KR20160129460A - 자료 수신 알림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자료 수신 알림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460A
KR20160129460A KR1020150061657A KR20150061657A KR20160129460A KR 20160129460 A KR20160129460 A KR 20160129460A KR 1020150061657 A KR1020150061657 A KR 1020150061657A KR 20150061657 A KR20150061657 A KR 20150061657A KR 20160129460 A KR20160129460 A KR 20160129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data
importance
data transmission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준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50061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9460A/ko
Priority to US14/825,644 priority patent/US10149130B2/en
Publication of KR20160129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4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 디바이스와 자료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에서 자료의 수신 여부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자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자체의 상태 또는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상황을 인지하여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한 알림의 중요도가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자료 수신 알림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informing data rece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료 수신 알림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바이스들 간에 텍스트 메시지, 사진, 또는 기타 데이터 파일 등의 자료를 송수신할 때, 자료를 수신한 디바이스에서 자료의 수신 알림을 출력하는 방법 및 해당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디바이스에는 퍼스널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디바이스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원하는 대로 설치 및 삭제할 수 있고,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통신망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바,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텍스트 메시지, 사진, 또는 기타 데이터 파일 등의 자료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만,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항상 디바이스를 주시하고 있지 않으므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자료가 디바이스로 수신되면 해당 수신 사실을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의 출력이 필요하다. 이 때, 사용자의 현재 상태, 디바이스의 현재 상태, 또는 자료를 송신한 외부 디바이스와의 관계 등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식, 형태, 또는 빈도 등으로 알림을 출력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바이스들 간에 자료가 송수신될 때, 자료를 수신한 디바이스에서 해당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바이스들 간에 자료가 송수신될 때, 자료를 수신한 디바이스 자체의 상태 또는 해당 디바이스 주변의 상황을 고려하여 자료 수신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고, 결정한 중요도에 따라서 자료 수신 알림의 출력 여부, 출력 방법 등을 결정할 수 있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바이스들 간에 자료가 송수신될 때, 자료 자체의 특성 또는 해당 자료를 송신한 디바이스의 상태를 고려하여 자료 수신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고, 결정한 중요도에 따라서 자료 수신 알림의 출력 여부, 출력 방법 등을 결정할 수 있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 디바이스와 자료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에서 자료의 수신 여부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자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자체의 상태 또는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상황을 인지하여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한 알림의 중요도가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자료를 저장하거나 송수신하는 서버를 통하여 제1 및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들 간에 송수신하는 자료의 수신 여부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통신부에 의해,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자료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디바이스 자체의 상태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주변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로부터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결정한 알림의 중요도가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하라는 신호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디바이스들 간에 자료가 송수신될 때, 자료를 수신한 디바이스에서 해당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들 간에 자료가 송수신될 때, 자료를 수신한 디바이스 자체의 상태 또는 해당 디바이스 주변의 상황을 고려하여 자료 수신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고, 결정한 중요도에 따라서 자료 수신 알림의 출력 여부, 출력 방법 등을 결정할 수 있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들 간에 자료가 송수신될 때, 자료 자체의 특성 또는 해당 자료를 송신한 디바이스의 상태를 고려하여 자료 수신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고, 결정한 중요도에 따라서 자료 수신 알림의 출력 여부, 출력 방법 등을 결정할 수 있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자료 송수신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수신 알림 방법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수신 알림 방법을 통하여 자료가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출력하는 방법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시스템(10)은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또한, 자료 송수신 시스템(10)은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로부터 자료를 수신하고, 수신한 자료를 저장하고,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로 자료를 송신하는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료 송수신 시스템(10)은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및 서버(300) 중 둘 이상을 위한 연결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시스템(10)에서 자료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각각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타 디바이스와 자료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자료는 텍스트 메시지, 그림, 사진, 동영상, 전자 문서, 또는 전자적 신호 등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전기, 전파, 또는 기타 전자적 물질이나 물리량의 차이를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 간에 송수신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각각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디바이스로 이루어지고, 물리적으로 독립된 두 개의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 일 수 있다. 즉,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제2a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a)는 서로 다른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로 취급될 수 있다. 다만, 디바이스에 로그인 되어있는 계정의 동일 여부에 따라서 그 동일 여부가 구분될 수도 있다. 즉, 제1 계정으로 제2a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a)에 로그인을 수행한 경우의 제2a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a) 및 해당 제1 계정으로 제2b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b)에 로그인을 수행한 경우의 제2b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b)는 서로 동일한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로 취급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와 자료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외부의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는 복수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각각이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노트북(notebook) 중 어느 하나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는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어, 데스크 탑(desk top),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디바이스,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각각은 전자 칠판, 터치 테이블 등과 같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각각은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악세서리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와 자료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와 서로 자료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표시부 상에 사용자들 간의 대화를 나타내는 자료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들 각각도 각각의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의 표시부 상에 사용자들 간의 대화를 나타내는 자료들을 표시할 수 있다.
서버(300)는 자료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서버를 표시하였지만, 접속량 혹은 데이터 양에 따라 복수 개의 서버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서버(300)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간에 송수신되는 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300)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또는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공 받은 자료를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및 기타 자료 송수신 시스템(10)에 포함되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서버(300)는 자료를 제공한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또는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가 자료를 전달하기 희망하는 디바이스들에만 해당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300)는 자료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에도 일반적인 검색 서비스 및 기타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서버(300)는 자료 송수신 서비스 외에도 검색, 이메일,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뉴스, 쇼핑 정보 제공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는 검색, 이메일, 뉴스, 쇼핑과 같은 포털(porta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연결되어, 포털(portal) 서비스에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로 포털(portal) 서비스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서버(300)와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고, 개념적으로만 분리된 동일한 서버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가 통신망(400)을 통하여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와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연결된 것처럼 표시되어 있으나,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서버(300)를 거쳐서만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서 전자적 신호로 송신된 자료가 통신망(400)을 통하여 서버(300)로 전달이 되고, 그 후 서버(300)에서 통신망(400)을 통하여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로 해당 자료를 송신할 수도 있다.
통신망(400)은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서버(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400)은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를 서버(300)와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400)은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신망(400)은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간에 자료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300)를 거쳐서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 통신망(4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자료 송수신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시스템(10)은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및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는 통신부(501), 입력부(502), 출력부(503), 메모리(504), 프로그램 저장부(505), 및 제어부(50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503)는 표시부(503a), 음향부(503b), 및 진동부(503c)를 포함할 수 있다.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는 하드웨어일 수 있으며, 대화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하드웨어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의 기능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자체가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 일 수 있다.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외에도,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또는 자료 송수신 시스템(10)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들에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 포함되는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부(501)는 외부 디바이스와 자료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부(501)는 통신망(400)을 통하여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또는 서버(30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501)는 통신망(400)을 통하여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또는 서버(300)와 자료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50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통신부(501)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서 외부 전자 디바이스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해당 구성 요소 자체가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의 통신부(501) 일 수도 있다.
입력부(502)는 자료가 수신되었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502)는 자료를 송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502)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사용자의 문자 입력,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502)는 표시부(503a)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하나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503a)와 입력부(502)가 하나의 물리적인 형태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 때, 입력부(502)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구성 요소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해당 구성 요소 자체가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의 입력부(502) 일 수도 있다.
출력부(503)는 자료가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출력부(503)는 자료가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다양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503)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알림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503a), 음향부(503b), 및 진동부(503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503a)는 자료가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시각적인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503a)는 표시부(503a)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자료가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나타내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해당 UI에는 자료 송신자, 자료의 종류, 자료의 적어도 일부의 내용, 및 자료를 수신한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표시부(503a)는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표시(flexible display), 3차원 표시(3D display), 및 전기영동 표시(electrophoretic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는 표시부(503a)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표시부(503a)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 요소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해당 구성 요소 자체가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의 표시부(503a) 일 수도 있다.
음향부(503b)는 자료가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청각적인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부(503b)는 자료가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나타내는 소리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음향부(503b)는 자료 송신자, 자료의 종류, 자료의 적어도 일부의 내용, 및 자료를 수신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서로 다른 길이, 주파수, 강도, 높낮이, 또는 맵시를 가진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부(503b)는 튜너, 이퀄라이저, 헤드폰, 이어폰, 및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음향부(503b)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 방법을 통하여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 때, 음향부(503b)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구성 요소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해당 구성 요소 자체가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의 음향부(503b) 일 수도 있다.
진동부(503c)는 자료가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촉각적인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부(503c)는 진동부(503c)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자료가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의 적어도 일부 또는 진동부(503c) 자체를 진동시킴으로써 출력할 수 있다. 진동부(503c)는 자료 송신자, 자료의 종류, 자료의 적어도 일부의 내용, 및 자료를 수신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서로 다른 길이, 강도, 또는 패턴을 가진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진동부(503c)는 진동 모터 또는 진동 필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진동부(503c)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 방법을 통하여 떨림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나아가, 진동부(503c)는 그 이름에도 불구하고, 떨림이 아닌 다양한 형태의 촉각적 효과(예컨대, 찌르는 효과, 압력을 가하는 효과, 또는 미세한 전류를 흐르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키는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이 때, 진동부(503c)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서 떨림을 발생시키는 구성 요소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해당 구성 요소 자체가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의 진동부(503c) 일 수도 있다.
메모리(504)는 제어부(506)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504)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504)는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또는 서버(300)와 송수신한 자료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504)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서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해당 구성 요소 자체가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의 메모리(504) 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505)는 자료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이거나 보조적인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탑재하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저장부(505)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구동에 필수적이거나 보조적인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기 위한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구성 요소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해당 구성 요소 자체가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의 프로그램 저장부(505) 일 수도 있다.
제어부(506)는 통상적으로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6)는,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저장부(505)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통신부(501), 입력부(502), 출력부(503), 메모리(504), 또는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에 포함되는 기타 구성 부분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6)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디바이스(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디바이스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제어부(506)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구성 요소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해당 구성 요소 자체가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의 제어부(506) 일 수도 있다.
제어부(506)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가 자료를 수신한 경우, 해당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하도록 출력부(503)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506)는 자료 수신에 대한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고, 해당 알림의 중요도를 기초로 자료 수신에 대한 알림의 출력 여부, 출력 방법, 출력 강도, 또는 출력 빈도 수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506)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자체의 상태 및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주변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인지하여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6)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6)는 사용자가 특정 명령을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 입력하는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입력하는 동작은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를 터치하는 동작,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상의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이동시키는 동작, 및 음성으로 명령어를 말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506)는 검출한 사용자의 입력과 대응되는 명령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명령의 종류에는 알림에 대한 확인,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표시부(503a)를 비활성화하라는 입력,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소리 출력을 비활성화하라는 입력,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진동을 비활성화하라는 입력, 또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를 초기화하라는 입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506)가 사용자의 입력을 검출한 경우, 제어부(506)는 사용자의 입력을 고려하여, 알림의 중요도를 낮게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6)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가 잠금 상태인지 여부를 함께 고려하여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6)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가 잠금 상태인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입력을 검출할 수 있고, 해당 입력을 기초로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506)는 사용자가 자료의 수신을 인지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추가적인 자료의 수신 알림을 출력하지 않거나,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약한 알림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어부(506)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주변의 조도를 기초로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6)는 제어부(506),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 또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 포함되는 조도 센서를 통하여,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주변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506)는 측정된 조도가 낮을수록 알림의 중요도를 높게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506)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가방 안 또는 주머니 안에 보관되어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강한 알림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어부(506)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흔들리는 정도를 기초로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6)는 제어부(506),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 또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 포함되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통하여,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가 흔들리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506)는 측정된 흔들림의 정도가 클수록 알림의 중요도를 높게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506)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움직이는 도중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강한 알림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어부(506)는 사용자가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를 바라보고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6)는 제어부(506),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 또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 포함되는 안구 추적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를 바라보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506)는 사용자가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를 바라보지 않는 경우에는, 바라보는 경우보다 알림의 중요도를 높게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506)는 사용자가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를 주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강한 알림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6)는 수신한 자료 자체의 특성, 또는 해당 자료를 송신한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6)는 수신한 자료의 종류를 기초로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료의 종류에는 텍스트 메시지, 그림, 사진, 동영상, 또는 전자 문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중, 단순 텍스트 메시지에 비해서, 그림이나 사진 등은 더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직접 자료의 종류에 따른 중요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6)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자료의 종류 간의 중요도 또는 자동으로 결정된 자료의 종류 간의 중요도에 따라서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506)는 자료 자체의 종류 또는 자료를 송신한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를 기초로 자료의 기본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고, 이 후에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해당 기본 중요도를 보정하여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506)는 상대적으로 중요한 종류의 자료가 수신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강한 알림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어부(506)는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로부터 최근에 자료를 수신한 후 경과된 시간,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로 최근에 자료를 송신한 후 경과된 시간,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로부터 자료를 수신한 시점에서부터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로 자료를 송신한 시점까지의 평균 경과 시간, 제1 기준 기간 동안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간 자료 송수신 여부,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와의 자료 송수신 횟수 대비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로의 자료 송신 횟수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나열한 사항들은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간의 자료 송수신 빈도 수,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로의 자료 송수신에 대한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자료 송수신에 대한 적극성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일 수 있다. 즉, 제어부(506)는 상기 나열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의 사용자 간의 관계의 중요도 또는 관계의 친밀도 등을 평가할 수 있고, 그 평가 결과에 따라서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506)는 자료의 발신자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6)는 자료의 발신자와의 관계의 중요도가 높은 경우, 상기 자료의 알림을 좀더 강하게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6)는 알림의 중요도가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자료 수신 시점의 알림의 중요도가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506)는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6)는 자료 수신 시점의 알림의 중요도가 높을수록 더 강한 강도로 알림을 출력하거나, 더 자주 알림을 출력하거나, 더 다양한 방법으로 알림을 출력하도록 출력부(50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6)는 알림의 중요도를 하나 이상의 임계값들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각각 확인할 수 있고, 그 확인 결과에 따라서 출력할 알림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자료 수신 알림 UI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방법, 자료 수신 알림음을 출력하는 방법, 자료 수신 알림 진동을 발생시키는 방법 등으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6)는 알림의 중요도가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자료 수신 알림 UI가 표시부(503a)에 표시되도록 출력부(50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6)는 알림의 중요도가 제2 임계값 초과 제3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자료 수신 알림 UI가 표시부(503a)에 표시되면서 자료 수신 알림 진동이 진동부(503c)에서 발생되도록 출력부(50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6)는 알림의 중요도가 제3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UI를 통한 표시, 진동 발생, 및 알림음 출력의 세 가지 알림이 모두 발생되도록 출력부(503)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506)는 알림의 중요도에 따라서 UI를 통한 표시, 진동 발생, 및 알림음 출력 중 일부의 알림만이 출력되도록 출력부(503)를 제어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어부(506)는 알림의 중요도에 따라서 각각의 알림의 출력 강도 또는 알림의 출력 빈도 수가 변경되도록 출력부(503)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6)는 알림의 중요도가 높을수록 더 강한 떨림의 진동이 발생되거나, 더 큰 소리의 알림음이 출력되거나, 알림이 더 자주 발생되도록 출력부(503)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506)는 알림의 중요도에 따라서 출력되는 알림의 종류, 알림의 출력 강도, 또는 알림의 출력 빈도 수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황에 맞는 알림이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6)는 알림이 출력된 시점에서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알림의 종류, 알림의 출력 강도, 또는 알림의 출력 빈도 수가 조절되도록 출력부(503)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알림이 출력된 이후에도 사용자가 이에 상응하는 동작을 보이지 않는 경우, 제어부(506) 알림의 출력 강도 또는 알림의 출력 빈도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알림을 인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알림이 출력된 이후에도 사용자가 이에 상응하는 동작을 보이지 않는 경우, 제어부(506)는 사용자가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를 조작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하여, 더 이상 자료 수신 알림이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10)는 서버(300)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서버(300)는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10)는 통신부(511), 메모리(512), 프로그램 저장부(513), 데이터베이스(514), 및 제어부(5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10)의 구성 요소 중, 도 2의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가지는 구성 요소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10)는 서버(300)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10)는 서버(3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는 하드웨어일 수 있으며, 대화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하드웨어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 자체가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10) 일 수 있다.
통신부(511)는 통신망(400)을 통하여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들과 유무선 통신으로 자료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11)는 통신망(400)을 통하여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또는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로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하라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11)는 통신망(400)을 통하여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또는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로 알림의 중요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511)는 서버(300)에서 외부 전자 디바이스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포함될 수도 있고, 서버(300)의 해당 구성 요소 자체가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10)의 통신부(511) 일 수도 있다.
메모리(512)는 제어부(515)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512)는 서버(300)에서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포함될 수도 있고, 서버(300)의 해당 구성 요소 자체가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10)의 메모리(512) 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513)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들이 자료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자료를 저장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이거나 보조적인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탑재하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저장부(513)는 서버(300)의 구동에 필수적이거나 보조적인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기 위한 서버(300)의 구성 요소에 포함될 수도 있고, 서버(300)의 해당 구성 요소 자체가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10)의 프로그램 저장부(513) 일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514)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또는 서버(300)가 송수신한 자료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514)는 서버(300)에서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포함될 수도 있고, 서버(300)의 해당 구성 요소 자체가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10)의 데이터베이스(514) 일 수도 있다.
제어부(515)는 통상적으로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6)는,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10)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저장부(513)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통신부(511), 메모리(512), 데이터베이스(514), 및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10)에 포함되는 기타 구성 부분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515)는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300)의 구성 요소에 포함될 수도 있고, 서버(300)의 해당 구성 요소 자체가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10)의 제어부(515) 일 수도 있다.
제어부(515)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또는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 자체의 상태 또는 그 주변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로부터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515)는 각각의 디바이스들 주변의 조도, 각각의 디바이스들의 흔들림 정도, 각각의 디바이스들 간의 관계, 각각의 디바이스들의 사용자의 디바이스 주시 여부 등을 기초로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디바이스들과 관련된 정보는 해당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다.
제어부(515)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또는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의 사용자의 입력의 종류를 기초로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를 해당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다.
제어부(515)는 결정한 알림의 중요도를 기초로 하여, 통신부(511)가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또는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로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하라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부(5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515)는 결정한 알림의 중요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통신부(511)가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또는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200)로 송신하도록 통신부(51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수신 알림 방법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2에 도시된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 또는 도 3에 도시된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 또는 도 3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수신 알림 방법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자료를 수신하는 단계(S110 단계), 디바이스 자체의 상태 및 디바이스 주변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인지하여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S120 단계), 및 결정한 알림의 중요도가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S13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S120 단계)는, 자료 자체 및 자료를 송신한 외부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자료의 기본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디바이스 자체의 상태 및 디바이스 주변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인지하고, 인지한 상황을 기초로 기본 중요도를 보정하여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료 수신 알림 방법은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자료를 제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S210 단계), 제2 디바이스 자체의 상태 및 제2 디바이스 주변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로부터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S220 단계), 및 결정한 알림의 중요도가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하라는 신호를 제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S23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S220 단계)는, 자료 자체 및 자료를 송신한 제1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자료의 기본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2 디바이스 자체의 상태 및 제2 디바이스 주변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상황을 기초로 기본 중요도를 보정하여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수신 알림 방법을 통하여 자료가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출력하는 방법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가 통신망(400)으로부터 자료를 수신한 경우,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수신 알림 방법에 따라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400)으로부터 자료(520)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가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내에 포함된 경우, 도 6의 (b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자체의 상태 혹은 주변의 상황으로부터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는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 또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다양한 종류의 측정 장치들을 사용하여,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주변의 조도(522),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흔들림(524),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주변의 소리(526), 또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의 시선(528)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후,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는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자료(520) 수신 여부에 대한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가 서버(300) 내에 포함된 경우, 도 6의 (b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는 통신망(400)을 통하여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로 알림 출력 명령 신호(530)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자체의 상태 혹은 주변의 상황을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후,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는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자료(520) 수신 여부에 대한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는 알림의 중요도를 기초로 생성한 알림 출력 명령 신호(530)를 는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로 송신할 수 있다. 알림 출력 명령 신호(530)는 알림의 중요도 자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고, 알림의 중요도를 기초로 결정한 알림의 출력 강도, 알림의 출력 빈도 수, 또는 알림의 출력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알림의 중요도가 결정된 이후,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는 알림의 중요도를 하나 이상의 임계값들과 비교하여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서 출력될 알림의 강도, 알림의 빈도 수, 또는 알림의 종류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출력할 수 있는 알림의 종류에는 소리를 통한 자료 수신 알림(532), 시각적 기호를 통한 자료 수신 알림(534), 또는 진동을 통한 자료 수신 알림(536)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는 알림의 중요도가 높을수록 알림의 출력 강도 또는 알림의 출력 빈도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500)는 알림의 중요도를 기초로 출력하는 알림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수신 알림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바이스들 간에 자료가 송수신될 때, 자료를 수신한 디바이스에서 해당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디바이스들 간에 자료가 송수신될 때, 자료를 수신한 디바이스 자체의 상태 또는 해당 디바이스 주변의 상황을 고려하여 자료 수신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고, 결정한 중요도에 따라서 자료 수신 알림의 출력 여부, 출력 방법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디바이스들 간에 자료가 송수신될 때, 자료 자체의 특성 또는 해당 자료를 송신한 디바이스의 상태를 고려하여 자료 수신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고, 결정한 중요도에 따라서 자료 수신 알림의 출력 여부, 출력 방법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매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무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및 유통이 가능한 형태의 매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디바이스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자료 송수신 시스템
100: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
200: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
300: 서버
400: 통신망
500, 510: 자료 수신 알림 디바이스
501, 511: 통신부
503: 출력부
506, 515: 제어부

Claims (20)

  1. 외부 디바이스와 자료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에서 자료의 수신 여부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통신부에 의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자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 자체의 상태 및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인지하여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의 출력부에 의해, 상기 결정한 알림의 중요도가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에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입력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고,
    상기 검출한 입력의 종류에는 상기 알림에 대한 확인 입력, 상기 디바이스의 표시를 비활성화하라는 입력, 상기 디바이스의 소리 출력을 비활성화하라는 입력, 상기 디바이스의 진동을 비활성화하라는 입력, 및 상기 디바이스를 초기화하라는 입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자체의 상태가 잠금 상태인 도중에 검출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고,
    상기 잠금 상태는, 상기 디바이스가 수신할 수 있는 입력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한 상태인, 자료 수신 알림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자료 자체 및 자료를 송신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자료의 기본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 자체의 상태 및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한 상황을 기초로 상기 기본 중요도를 보정하여 상기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최근에 자료를 수신한 후 경과된 시간,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최근에 자료를 송신한 후 경과된 시간,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자료를 수신한 시점에서부터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자료를 송신한 시점까지의 평균 경과 시간, 제1 기준 기간 동안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 간 자료 송수신 여부,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자료 송수신 횟수 대비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의 자료 송신 횟수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기본 중요도를 결정하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여 상기 주변의 조도가 낮을수록 상기 알림의 중요도를 높게 결정하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의 흔들리는 정도를 측정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흔들리는 정도가 클수록 상기 알림의 중요도를 높게 결정하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디바이스를 바라보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바이스를 바라보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알림의 중요도를 낮게 결정하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한 알림의 중요도가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출력할 알림의 종류를 적어도 하나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종류의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알림의 종류에는 소리를 통한 알림, 진동을 통한 알림, 또는 시각적 기호를 상기 디바이스의 표시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 표시하는 방법을 통한 알림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한 알림의 중요도에 비례하게 상기 알림의 출력 강도, 알림의 출력 빈도 수, 또는 상기 알림의 표시 범위를 증가시키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을 출력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에 비례하게 상기 알림의 출력 강도, 알림의 출력 빈도 수, 또는 상기 알림의 표시 범위를 증가시키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12. 자료를 저장하거나 송수신하는 서버를 통하여 제1 및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들 간에 송수신하는 자료의 수신 여부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통신부에 의해,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자료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디바이스 자체의 상태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주변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로부터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결정한 알림의 중요도가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하라는 신호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검출한 사용자 입력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고,
    상기 검출한 입력의 종류에는 상기 알림에 대한 확인 입력,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표시를 비활성화하라는 입력,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소리 출력을 비활성화하라는 입력,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진동을 비활성화하라는 입력, 상기 제1 디바이스를 초기화하라는 입력, 상기 제1 디바이스를 잠금 상태로 변경하라는 입력,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자체의 상태가 상기 잠금 상태인 도중에 상기 알림에 대한 확인 입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잠금 상태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수신할 수 있는 입력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한 상태인, 자료 수신 알림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자료 자체 및 자료를 송신한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자료의 기본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자체의 상태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주변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상황을 기초로 상기 기본 중요도를 보정하여 상기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주변의 조도 또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흔들리는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주변의 조도가 낮을수록 또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흔들리는 정도가 클수록 상기 알림의 중요도를 높게 결정하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를 바라보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를 바라보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알림의 중요도를 낮게 결정하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한 알림의 중요도가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출력할 알림의 종류를 적어도 하나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종류의 알림을 출력하라는 신호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상기 알림의 종류에는 소리를 통한 알림, 진동을 통한 알림, 또는 시각적 기호를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표시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 표시하는 방법을 통한 알림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18.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한 알림의 중요도에 비례하게 상기 알림의 출력 강도, 알림의 출력 빈도 수, 또는 상기 알림의 표시 범위가 증가되도록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알림 출력 신호를 조절하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19.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을 출력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에 비례하게 상기 알림의 출력 강도, 알림의 출력 빈도 수, 또는 상기 알림의 표시 범위가 증가되도록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알림 출력 신호를 조절하는, 자료 수신 알림 방법.
  20.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 항 내지 제19 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61657A 2015-04-30 2015-04-30 자료 수신 알림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6012946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657A KR20160129460A (ko) 2015-04-30 2015-04-30 자료 수신 알림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4/825,644 US10149130B2 (en) 2015-04-30 2015-08-13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ums storing computer programs for notifying data recep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657A KR20160129460A (ko) 2015-04-30 2015-04-30 자료 수신 알림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460A true KR20160129460A (ko) 2016-11-09

Family

ID=5720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657A KR20160129460A (ko) 2015-04-30 2015-04-30 자료 수신 알림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49130B2 (ko)
KR (1) KR201601294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9602A (ko) * 2022-06-09 2023-12-18 네이버 주식회사 알림 최적화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0739B2 (en) * 2022-05-17 2024-01-09 Bank Of America Corporation Auto-adjust app operation in response to data entry anomali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3130B2 (en) * 2000-03-16 2007-07-10 Microsoft Corporation Notification platform architecture
US7936258B2 (en) * 2008-03-28 2011-05-0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mart legibility adjustment for vehicular display
US9110556B2 (en) * 2011-04-28 2015-08-18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functionality of an electronic device in a locked state
EP2994808A4 (en) * 2013-05-08 2017-02-15 Geva, Ran Motion-based message display
KR102056485B1 (ko) 2013-05-09 2019-12-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수신 메시지 특성에 따른 메시지 수신 알림 방법 및 장치
KR101670808B1 (ko) 2013-09-03 201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9602A (ko) * 2022-06-09 2023-12-18 네이버 주식회사 알림 최적화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23363A1 (en) 2016-11-03
US10149130B2 (en)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4612B2 (en) Adjustable mobile phone settings based on environmental conditions
KR102643417B1 (ko) 향상된 아이콘들을 갖는 개인화된 맵 인터페이스의 생성
WO2017041617A1 (zh) 移动终端通知栏的控制方法、装置和移动终端
JP2014225860A (ja) 地磁気センサーを用いた通信部制御方法及びこのための電子機器
KR2015012942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전자 장치
EP2701302B1 (en) A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bration intensity according to situation awareness in electronic device
US11356620B2 (en) Including video feed in message thread
KR102292447B1 (ko) 고속 사용자들을 위한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200041903A (ko) 애플리케이션-독립적 메시징 시스템
KR102356450B1 (ko) 연결부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2844007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60018984A1 (en) Method of activating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90042082A (ko) 오디오 및 비주얼 콘텐츠 관리 시스템
US90920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entity-related decision support information based on user-supplied preferences
US20170223514A1 (en) Sensor-based action control for mobile wireless telecommunication computing devices
US10348857B2 (en) Dynamic creation of subservices
KR102219910B1 (ko) 컨텐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60129460A (ko) 자료 수신 알림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TW202014845A (zh) 調整顯示螢幕的移動以補償顯示螢幕上移動速度的變化
US11799846B2 (en) Password protecting selected message content
US20160350135A1 (en) Dynamic update of tips on a device
KR20150135065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장치의 메시지 수신 설정 방법
EP2827570B1 (en)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70021331A (ko) 비디오 기반 체크인 방법, 단말, 서버 및 시스템
KR20150120123A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