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990A -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990A
KR20220162990A KR1020210071294A KR20210071294A KR20220162990A KR 20220162990 A KR20220162990 A KR 20220162990A KR 1020210071294 A KR1020210071294 A KR 1020210071294A KR 20210071294 A KR20210071294 A KR 20210071294A KR 20220162990 A KR20220162990 A KR 20220162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quality history
blockchain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섭
이근일
임홍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구하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구하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구하다
Priority to KR1020210071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2990A/ko
Publication of KR20220162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06Q30/012Providing warranty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Abstract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방법은 상품의 입고 시점부터 출고 시점까지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된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Blockchain Based Quality Assurance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상품의 입고시점부터 출고되기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흔히, 물적유통의 줄임말로 사용되는 '물류'는 생산자로부터 소비자까지의 물건의 흐름을 총칭한다. 즉, 일반적인 유통의 개념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재화와 서비스를 이전시키고 장소와 시간, 소유의 효용을 창조하는 활동이라 한다면, 물류는 소유의 효용을 위주로 하는 거래를 제외한 장소와 시간의 효용을 창출하는 활동 전체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물류의 대상은 상품의 수송, 하역, 보관, 포장과정은 물론 유통가공이나 수송기초시설 등의 물자유통과 정, 통신 기초시설과 정보방 등 정보유통개념 등을 아우르며, 특히 오늘날과 같은 세계 경제의 자유화, 국제 시장의 수평적 분업화, 자원의 세계화 등의 거시적 환경 변화 그리고 상품 차별화의 한계, 생산부문 합리화 한계, 다품종소량생산 시대 도래 등의 미시적 환경 변화를 감안하면, 체계적이고 효율적이며 상호 신뢰 가능한 물류관리는 비용과 효용성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상품의 입고시점부터 출고되기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방법은 상품의 입고 시점부터 출고 시점까지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된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 및 큐알 코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스캐닝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의 생산지역, 농가 정보, 상품 정보, 입고 정보, 선별 정보, 보관 정보와 출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방법은 상기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 단말을 통해 스탬프 적립 서비스와 응모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마케팅 서비스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방법은 상기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 단말에서 상기 상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 및 큐알 코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스캐닝하여 상기 상품의 품질이력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을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시스템은 상품의 입고 시점부터 출고 시점까지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된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된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을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집부는 상기 상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 및 큐알 코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스캐닝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상품의 생산지역, 농가 정보, 상품 정보, 입고 정보, 선별 정보, 보관 정보와 출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시스템은 상기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 단말을 통해 스탬프 적립 서비스와 응모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마케팅 서비스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제공하는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시스템은 상기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 단말에서 상기 상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 및 큐알 코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스캐닝하여 상기 상품의 품질이력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을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으로 상품의 입고시점부터 출고되기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블록체인 기반의 품질이력 관리 플랫폼을 통해 유통망 내 각 구성원이 유통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의 품질이력 관리 플랫폼을 통해 현재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비자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일관된 품질 관리 체계를 통해 생산자는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객(또는 구매자)는 본인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입고시점부터 배송시점까지 전 과정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구매한 상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기업은 품질이력관리 프로세스 자체에 대한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 관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마케팅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 관리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블록체인은 다수의 참여자들에게 데이터를 공유하여 데이터의 위조를 막는 방식을 사용한다. 블록체인은 대표적인 온라인 가상 화폐인 비트코인에 적용될 수 있다. 비트코인은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거래 내역을 기록하며, 비트코인을 사용하는 다수의 참여자들이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거래 내역을 검증하여 해킹을 막는다. 즉, 블록체인은 모든 네트워크 참여자가 거래 내역을 공유 및 보관하는 분권형(decentralized)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상품의 입고시점부터 출고되기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블록체인 기반의 품질이력 관리 플랫폼을 통해 유통망 내 각 구성원이 유통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태블릿 PC,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사용자 착용 장치(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이 있다. 일례로 제1 전자 기기(11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6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제1 전자 기기(11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자 기기(110)는 서버(16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기기(1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50)에 접속하여 서버(15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기기(110)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150)로 전송하면, 서버(15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제1 전자 기기(110)로 전송할 수 있고, 제1 전자 기기(110)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2에서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인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제1 전자 기기(110), 그리고 사용자의 단말과 통신하는 하나의 서버에 대한 예로서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이에, 이하 제1 전자 기기(110)는 사용자의 단말을 의미하며, 서버(150)는 사용자의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이나 서버(160) 역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10)와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제1 전자 기기(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1 전자 기기(110)와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제2 전자 기기(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일례로 검색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제1 전자 기기(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제1 전자 기기(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제1 전자 기기(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제1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제2 전자 기기(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4) 또한 마찬가지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가 메모리(22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 서버(15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전자 기기(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기기(11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제1 전자 기기(110)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방위 센서,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제1 전자 기기(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 관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품질이력 관리 서버 또는 품질이력 관리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 관리 방법은 상품의 입고 시점부터 출고 시점까지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수집한다(S310).
이 때, 단계 S3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품질이력 정보 수집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큐알 코드 등의 식별 코드를 스캐닝하여 상품에 대한 정보를 품질이력 정보 수집 단말기에서 품질이력 관리 서버 또는 품질이력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물론, 품질이력 정보 수집 단말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닝한 식별 코드에 대한 품질이력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수 있으며, 해당 기능을 통해 스캐닝한 식별 코드의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을 품질이력 관리 서버 또는 품질이력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계 S310에서 수집하는 품질이력 정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의 생산지역, 농가 정보, 상품 정보, 입고 정보, 선별 정보(예를 들어, 1차 선별 정보, 2차 선별 정보 등), 보관 정보(예를 들어, 보관 내역, 보관 온습도 등)와 출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품질이력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310에 의해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가 수집되면, 수집된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 예를 들어, 클레이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한다(S320).
이 때, 단계 S320은 수집된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품질관리 DB(또는 블록체인 DB)에 저장할 수 있다. 즉, 단계 S320은 단계 S310을 통해 수집된 상품의 생산지역, 농가 정보, 상품 정보, 입고 정보, 선별 정보, 보관 정보와 출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DB에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단계 S320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품질이력 정보를 저장할 때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를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가 수집되면, 품질이력 정보에 대하여 스마트 컨트랙트 코딩을 거친 후 블록체인 기반으로 DB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하면, 이렇게 저장된 블록체인 기반의 품질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을 관리한다(S330).
예를 들어, 단계 S3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된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을 관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블록체인 기반의 품질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에 대한 정보를 신뢰성 있게 추적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기반으로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때문에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이 보증되며, 상품에 대한 입고 정보, 선별 정보, 보관 정보, 출고 정보 등이 분절되어 DB에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각각에 대한 정보를 트래킹하기 용이하다.
나아가, 단계 S330은 품질이력관리 어드민을 이용하여 상품에 대한 통합 품질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품질이력관리 어드민 페이지를 통해 상품들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원산지 검색, 조회기간 설정, 상품에 대한 식별 코드 예를 들어, QR 코드를 통해 품질이력을 조회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체인 기반으로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을 관리할 수 있으며,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 단말에서 상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 및 QR 코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스캐닝하여 시스템으로 상품의 품질이력을 요청하는 경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을 구매자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엔드 유저인 구매자(또는 고객)에게 구매자 단말을 통해 스탬프 적립 서비스와 응모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상품별 정보를 블록체인 카드 형태로 발급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API 통신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구매자 또는 엔드 유저에게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별 정보를 블록체인 카드 형태로 발급하여 스탬프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탬프 이벤트를 통해 스탬프를 적립함으로써, 스탬프 적립을 통한 구매자에게 이벤트 상품 또는 보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별 정보를 블록체인 카드 형태로 발급하여 응모 이벤트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응모 이벤트에 응모함으로써, 특정 상품에 대한 응모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응모에 당첨되는 경우 응모 당첨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상품의 입고시점부터 출고되기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블록체인 기반의 품질이력 관리 플랫폼을 통해 유통망 내 각 구성원이 유통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블록체인 기반의 품질이력 관리 플랫폼을 통해 현재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비자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일관된 품질 관리 체계를 통해 생산자는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구매자 본인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입고시점부터 배송시점까지 전 과정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구매한 상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기업은 품질이력관리 프로세스 자체에 대한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클레이튼 플랫폼을 사용하여 노드구성이 필요없이 블록체인 기반의 품질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 관리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 1 내지 도 7의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대한 개념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 관리 시스템(800)은 수집부(810), 저장부(820), 관리부(830) 및 제공부(840)를 포함한다.
수집부(810)는 상품의 입고 시점부터 출고 시점까지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수집한다.
이 때, 수집부(810)는 품질이력 정보 수집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큐알 코드 등의 식별 코드를 스캐닝하여 상품에 대한 정보를 품질이력 정보 수집 단말기에서 품질이력 관리 서버 또는 품질이력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시스템에서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부(810)에서 수집하는 품질이력 정보는 상품의 생산지역, 농가 정보, 상품 정보, 입고 정보, 선별 정보(예를 들어, 1차 선별 정보, 2차 선별 정보 등), 보관 정보(예를 들어, 보관 내역, 보관 온습도 등)와 출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820)는 수집된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 예를 들어, 클레이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한다.
이 때, 저장부(820)는 수집된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품질관리 DB(또는 블록체인 DB)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부(820)는 수집부(310)를 통해 수집된 상품의 생산지역, 농가 정보, 상품 정보, 입고 정보, 선별 정보, 보관 정보와 출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DB에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저장부(820)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품질이력 정보를 저장할 때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를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가 수집되면, 품질이력 정보에 대하여 스마트 컨트랙트 코딩을 거친 후 블록체인 기반으로 DB에 저장할 수 있다.
관리부(830)는 저장된 블록체인 기반의 품질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을 관리한다.
제공부(840)는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 단말에서 상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 및 QR 코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스캐닝하여 시스템으로 상품의 품질이력을 요청하는 경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을 구매자 단말로 제공한다.
나아가, 제공부(840)는 엔드 유저인 구매자(또는 고객)에게 구매자 단말을 통해 스탬프 적립 서비스와 응모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비록, 도 8의 시스템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도 8을 구성하는 각 구성 수단은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모든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상품의 입고 시점부터 출고 시점까지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된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을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 및 큐알 코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스캐닝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의 생산지역, 농가 정보, 상품 정보, 입고 정보, 선별 정보, 보관 정보와 출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 단말을 통해 스탬프 적립 서비스와 응모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마케팅 서비스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 단말에서 상기 상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 및 큐알 코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스캐닝하여 상기 상품의 품질이력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을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방법.
  6. 상품의 입고 시점부터 출고 시점까지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된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된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을 관리하는 관리부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상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 및 큐알 코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스캐닝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상품의 생산지역, 농가 정보, 상품 정보, 입고 정보, 선별 정보, 보관 정보와 출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 단말을 통해 스탬프 적립 서비스와 응모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마케팅 서비스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제공하는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 단말에서 상기 상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 및 큐알 코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스캐닝하여 상기 상품의 품질이력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상품에 대한 품질이력을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시스템.
KR1020210071294A 2021-06-02 2021-06-02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162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294A KR20220162990A (ko) 2021-06-02 2021-06-02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294A KR20220162990A (ko) 2021-06-02 2021-06-02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990A true KR20220162990A (ko) 2022-12-09

Family

ID=84440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294A KR20220162990A (ko) 2021-06-02 2021-06-02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29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53295A1 (en) Platform data marketplace
US9684914B1 (en) Techniques for real-time dynamic pricing
US20140143039A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data mining out of stock items
US112017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ying token validity to a task executed in a computing system
US10878405B2 (en) Smart redundant pairing of a card reader
CN107346315B (zh) 对象数据关联索引系统及该系统的构建与应用方法
US112017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a user with a task executed in a computing system
EP41490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chain network congestion-adaptive digital asset event handling
US202203985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ransfers of digital assets
WO2017019465A1 (en) Omnichannel services platform
US20220351237A1 (en) A computer implemented platform for advertisement campaigns and method thereof
US20140222559A1 (en) Method and system of customer level transaction analytics across merchant sites
JP6696946B2 (ja) 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20162990A (ko)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88692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oad sharing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computing environments based on expected completion latency differences
EP4050506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manage application access in networked environments
US20180285911A1 (en) Optimizing profitability in fulfilling website-based order
EP3719726A1 (en) Multi-location delivery
CN113723892A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70123085A (ko) 도서 출판을 위한 전자적 자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1514069B1 (en) Aggregation of contextual data and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data
US1182295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requests using load-dependent throttling
US20220122059A1 (en) Prepaid card value redemption
KR102406161B1 (ko) 리뷰 커뮤니티를 통한 판매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24002068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ple gating verifications based on a blockchain wal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