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217B1 - 골프 클럽 헤드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217B1
KR102594217B1 KR1020180115058A KR20180115058A KR102594217B1 KR 102594217 B1 KR102594217 B1 KR 102594217B1 KR 1020180115058 A KR1020180115058 A KR 1020180115058A KR 20180115058 A KR20180115058 A KR 20180115058A KR 102594217 B1 KR102594217 B1 KR 102594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opening
head
golf club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0002A (ko
Inventor
나루히로 미즈타니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0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8Golf club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obtaining a variable impac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16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 A63B53/042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the face insert consisting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3Heads with special sole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5Strengthening ri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02Resonance frequency related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2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reinforcing fibres, e.g. carbon, polyamide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7Heads with special crown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66Heads wood-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7Heads iron-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87Heads for 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2Devices for measuring, verifying, correcting or customising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e.g. measuring the maximum torque a batting shaft can withst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4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means for damping vibrations

Abstract

(과제) 개구가 별도의 부재로 막힌 헤드에 있어서, 헤드의 강성을 높이는 것.
(해결 수단) 중공부를 갖는 골프 클럽 헤드 (2) 이다. 헤드 (2) 는, 개구를 갖는 제 1 부재 (M1) 와, 제 1 부재 (M1) 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를 막는 제 2 부재 (M2) 를 갖고 있다. 제 1 부재 (M1) 는, 상기 중공부로 돌출되는 제 1 리브 (Rb1) 를 갖고 있다. 제 2 부재 (M2) 는, 상기 중공부로 돌출되는 제 2 리브 (Rb2) 를 갖고 있다. 제 1 리브 (Rb1) 가 제 2 리브 (Rb2) 에 걸어맞춰져 있다. 제 2 부재 (M2) 의 재질의 영률이, 제 1 부재 (M1) 의 재질의 영률보다 작아도 된다. 제 2 부재 (M2) 가, 제 1 부재 (M1) 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Description

골프 클럽 헤드{Golf club head}
본 개시는, 골프 클럽 헤드에 관한 것이다.
중공부측으로 돌출된 리브를 갖는 헤드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5902912호는, 크라운의 적어도 일부가 섬유 강화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부재로 형성된 헤드를 개시한다. 이 수지 부재는, 중공부측으로 돌출되는 리브를 갖고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5902912호
개구를 갖는 본체와, 이 개구를 폐쇄하도록 배치된 덮개 부재를 갖는 헤드에서는, 부재마다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헤드는, 설계 자유도가 우수하다. 그러나, 상기 개구에서 기인하여, 이 헤드의 강성은 저하되기 쉽다. 덮개 부재의 강성이 높지 않은 경우, 헤드의 강성은 더욱 저하될 수 있다. 또, 본체와 덮개 부재의 접합의 방법에 따라서도, 헤드 강성은 더욱 저하될 수 있다. 헤드의 강성이 낮으면 타구음이 낮아진다.
본 개시는, 개구가 별도의 부재로 막힌 헤드에 있어서, 당해 헤드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 양태에서는, 골프 클럽 헤드는, 중공부를 가짐과 함께, 개구를 갖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를 막는 제 2 부재를 갖고 있다. 상기 제 1 부재가, 상기 중공부로 돌출되는 제 1 리브를 갖고 있다. 상기 제 2 부재가, 상기 중공부로 돌출되는 제 2 리브를 갖고 있다. 상기 제 1 리브가, 상기 제 2 리브에 걸어맞춰져 있다.
일 측면으로서, 개구가 별도의 부재로 막힌 헤드의 강성이 향상된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골프 클럽 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헤드의 바닥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F3-F3 선을 따른 단면도 (斷面圖) 이다.
도 4 는 도 2 의 F4-F4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1 의 헤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1 의 헤드의 제 1 부재의 바닥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 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복합 리브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헤드의 바닥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도 9 의 헤드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 는 도 9 의 헤드에 있어서의, 리브끼리의 걸어맞춤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e) 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리브끼리의 걸어맞춤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a)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리브끼리의 걸어맞춤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b) 는 도 14(a) 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 는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헤드의 바닥면도이다.
도 16 은 도 15 의 헤드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 은 도 15 의 F17-F17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 은 영률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적절히 도면이 참조되면서, 실시형태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헤드 (2) 를 크라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 는 헤드 (2) 를 솔측에서 본 바닥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F3-F3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F4-F4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헤드 (2) 는, 타격 페이스 (4), 크라운 (6), 솔 (8) 및 호젤 (10) 을 갖는다. 호젤 (10) 은, 호젤공 (12) 을 갖는다. 호젤공 (12) 에는, 선단부에 슬리브가 고정된 샤프트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3 및 도 4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2) 는 중공이다. 즉, 헤드 (2) 는 중공부를 갖고 있다.
헤드 (2) 는, 드라이버 헤드이다. 헤드 (2) 는, 우드형 헤드이다. 헤드 (2) 의 타입은 한정되지 않고, 우드형 헤드, 하이브리드형 헤드, 아이언형 헤드 및 퍼터형 헤드가 예시된다.
헤드 (2) 는, 리브 (Rb) 를 갖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리브 (Rb) 는, 복수의 리브가 복합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관점에서, 리브 (Rb) 는, 복합 리브라고도 칭해진다. 복합 리브 (Rb) 는, 솔 (8) 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복합 리브 (Rb) 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합 리브 (Rb) 는, 크라운 (6) 의 내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복합 리브 (Rb) 는, 크라운 (6) 의 내면에서 솔 (8) 의 내면까지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도 5 는 헤드 (2) 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의 헤드의 사시도에서는, 헤드 (2) 의 일부가 제거되어 있다. 도 6 은 헤드 (2) 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1 부재 (M1) 를 솔측에서 본 바닥면도이다.
헤드 (2) 는, 복수의 부재가 접합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2) 는, 제 1 부재 (M1) 와 제 2 부재 (M2) 를 갖는다. 제 2 부재 (M2) 는, 솔 (8) 의 일부를 구성한다. 솔 (8) 은, 제 1 부재 (M1) 와 제 2 부재 (M2) 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 (2) 는, 제 1 부재 (M1) 와 제 2 부재 (M2) 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 (2) 는, 추가로 제 3 부재를 갖고 있어도 된다. 헤드 (2) 는, 3 개 이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제 1 부재 (M1) 가 복수의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제 2 부재 (M2) 가 복수의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2 부재 (M2) 는, 제 1 부재 (M1) 에 접합되어 있다. 이 접합의 방법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다. 접합의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접합의 방법으로서, 접착제에 의한 접착, 납땜, 용접, 끼워 맞춤 및 그것들의 조합이 예시된다.
제 1 부재 (M1) 는, 헤드 (2) 의 본체이다. 제 1 부재 (M1) 는, 크라운 (6) 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부재 (M1) 는, 크라운 (6) 의 전체를 구성한다. 제 1 부재 (M1) 는, 타격 페이스 (4) 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부재 (M1) 는, 타격 페이스 (4) 의 전체를 구성한다. 제 1 부재 (M1) 는, 솔 (8) 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부재 (M1) 는, 솔 (8) 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 1 부재 (M1) 는, 호젤 (10) 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제 1 부재 (M1) 는, 호젤 (10) 의 전체를 구성한다. 또한, 제 1 부재 (M1) 의 구조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 1 부재 (M1) 가, 타격 페이스 (4) 를 포함하는 컵 페이스와 다른 부분을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부재 (M1) 는, 개구 (100) 를 갖는다. 개구 (100) 는, 솔 (8) 에 형성되어 있다. 개구 (100) 는, 솔 (8) 을 관통하고 있다. 개구 (100) 는, 상기 중공부와 헤드 (2) 의 외부를 연결하고 있다. 개구 (100) 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개구 (100) 는, 크라운 (6) 에 형성되어도 된다. 개구 (100) 는, 헤드의 사이드부 (스커트부) 에 형성되어도 된다. 개구 (100) 는, 크라운 (6) 에서 솔 (8) 에 이르는 영역에 형성되어도 된다.
도 5 및 도 7 이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 (M1) 는, 수용부 (102) 를 갖고 있다. 수용부 (102) 는, 개구 (100) 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 (102) 는, 개구 (100) 를 둘러싸고 있다. 수용부 (102) 는, 개구 (100) 를 둘러싸지 않아도 된다. 수용부 (102) 는, 개구 (100) 의 주위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6 이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 (102) 는, 제 1 부재 (M1) 의 외면에 패임부 (104) 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 (102) 는, 솔 (8) 의 외면에 패임부 (104) 를 형성하고 있다. 패임부 (104) 의 윤곽 형상은, 제 2 부재 (M2) 의 윤곽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이 패임부 (104) 에, 제 2 부재 (M2) 의 둘레 가장자리부 (250) 가 배치되어 있다 (도 3 참조). 패임부 (104) 의 깊이는, 제 2 부재 (M2) 의 둘레 가장자리부 (250) 의 두께에 대응하고 있다. 헤드 (2) 의 외면에 있어서, 제 1 부재 (M1) 와 제 2 부재 (M2) 의 경계 (k12) 에 단차는 없다.
도 5 가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 (102) 는, 제 1 부재 (M1) 의 내면에 튀어나옴부 (106) 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 (102) 는, 솔 (8) 의 내면에 튀어나옴부 (106) 를 형성하고 있다. 패임부 (104) 의 깊이와 튀어나옴부 (106) 의 높이는 동등하다. 물론, 패임부 (104) 의 깊이와 튀어나옴부 (106) 의 높이는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수용부 (102) 의 두께는, 당해 수용부 (102) 에 인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솔 (8) 의 두께와 동일해도 되고, 당해 수용부 (102) 에 인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솔 (8) 의 두께와는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용부 (102) 의 두께는, 당해 수용부 (102) 에 인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솔 (8) 의 두께보다 커도 된다.
도 5 및 도 6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 (M1) 는, 상기 서술한 수용부 (102) 와, 이 수용부 (102) 의 주위를 구성하는 본체부 (110) 를 갖는다. 본체부 (110) 는, 적어도, 수용부 (102) 에 인접한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 (110) 는, 제 1 부재 (M1) 중 수용부 (102) 를 제외한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제 1 부재 (M1) 는, 제 1 리브 (Rb1) 를 갖고 있다. 제 1 리브 (Rb1) 는, 기부 (Rb11) 와 개구 연장부 (Rb12) 를 갖고 있다. 기부 (Rb11) 는, 제 1 부재 (M1) 의 내면에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기부 (Rb11) 는, 제 1 리브 (Rb1) 중, 제 1 부재 (M1) 의 내면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개구 연장부 (Rb12) 는, 제 1 리브 (Rb1) 중, 개구 (100) 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개구 연장부 (Rb12) 는, 기부 (Rb11) 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헤드 (2) 에 있어서, 개구 연장부 (Rb12) 는, 제 2 리브 (Rb2) 의 상측에 위치한다.
도 5 가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리브 (Rb1) 는, 개구 (100) 의 일방측에서 개구 (100) 의 타방측까지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리브 (Rb1) 는, 개구 (100) 의 토우측에서 개구 (100) 의 힐측까지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 1 리브 (Rb1) 는, 개구 (100) 를 가로지르고 있다. 개구 연장부 (Rb12) 는, 개구 (100) 를 가로지르고 있다.
제 1 리브 (Rb1) 의 토우측 부분에 있어서, 제 1 리브 (Rb1) 는, 본체부 (110) 로부터 수용부 (102) 를 경유하여, 개구 (100) 의 상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동일하게, 제 1 리브 (Rb1) 의 힐측 부분에 있어서, 제 1 리브 (Rb1) 는, 본체부 (110) 로부터 수용부 (102) 를 경유하여, 개구 (100) 의 상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 1 리브 (Rb1) 는, 개구 (100) 의 일방측의 본체부 (110) 에서 개구 (100) 의 타방측의 본체부 (110) 까지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상측」이란, 헤드를 단독으로 수평면 상에 정치 (靜置) 한 상태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 상측을 의미한다.
제 2 부재 (M2) 는, 개구 (100) 를 막고 있다. 제 2 부재 (M2) 는, 개구 (100) 의 적어도 일부를 막고 있으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부재 (M2) 는, 개구 (100) 의 전체를 막고 있다. 제 2 부재 (M2) 는, 솔 (8) 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 2 부재 (M2) 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부재 (M2) 는, 크라운 (6) 에 형성되어도 된다. 제 2 부재 (M2) 는, 헤드의 사이드부 (스커트부) 에 형성되어도 된다. 제 2 부재 (M2) 는, 크라운 (6) 에서 솔 (8) 에 이르는 영역에 형성되어도 된다.
제 2 부재 (M2) 는, 제 2 리브 (Rb2) 를 갖는다. 제 2 리브 (Rb2) 는, 제 2 부재 (M2) 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리브 (Rb2) 는, 제 1 리브 (Rb1) 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헤드 (2) 에 있어서, 제 2 리브 (Rb2) 는 상기 중공부로 돌출되어 있다. 제 2 리브 (Rb2) 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부재 (M2) 의 둘레 가장자리부 (250) 가, 수용부 (102) 의 패임부 (104) 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부재 (M2) 는, 접착제로, 제 1 부재 (M1) 의 수용부 (102) 에 접착되어 있다.
[복합 리브 (Rb):제 1 리브 (Rb1) 와 제 2 리브 (Rb2) 의 걸어맞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 (2) 는, 복합 리브 (Rb) 를 갖는다. 복합 리브 (Rb) 는, 제 1 리브 (Rb1) 와 제 2 리브 (Rb2) 가 조합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 1 리브 (Rb1) 는, 수용 오목부 (120) 를 갖고 있다. 도 7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 오목부 (120) 는, 슬릿이다. 이 수용 오목부 (120) 에, 제 2 리브 (Rb2) 가 삽입되어 있다 (도 4 의 확대부 참조). 제 2 리브 (Rb2) 는, 수용 오목부 (120) 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부 (200) 를 갖는다. 도 4 의 확대부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리브 (Rb2) 의 상부가 삽입부 (200) 이다. 상기 삽입의 결과, 제 1 리브 (Rb1) 는 제 2 리브 (Rb2) 에 걸어맞춰져 있다. 제 1 리브 (Rb1) 는 제 2 리브 (Rb2) 와 연결되어 있다. 제 1 리브 (Rb1) 는 제 2 리브 (Rb2) 에 맞닿아 있다. 제 1 리브 (Rb1) 는 제 2 리브 (Rb2) 를 지지하고 있다.
제 1 리브 (Rb1) 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제 2 리브 (Rb2) 는 제 1 리브 (Rb1) 에 구속된다. 이 결과, 제 2 부재 (M2) 의 강성이 높아지고, 헤드 (2) 의 강성이 높아져 있다 (강성 향상 효과). 이 강성 향상 효과에 의해, 높은 타구음을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리브 (Rb1) 는 제 2 리브 (Rb2) 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제 1 리브 (Rb1) 와 제 2 리브 (Rb2) 의 맞닿음 부분이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걸어맞춤에 접착을 더함으로써, 상기 강성 향상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 (120) 는, 개구 연장부 (Rb12) 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리브 (Rb2) 로 개구 (100) 를 막음과 동시에, 제 2 리브 (Rb2) 가 수용 오목부 (120) 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리브 (Rb2) 의 수용 오목부 (120) 로의 삽입은 용이하다.
도 5 는 헤드 (2) 의 분해 사시도이다. 수용 오목부 (120) 는, 개구 연장부 (Rb12) 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 2 리브 (Rb2) 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수용 오목부 (120) 에 삽입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b) 은, 헤드 (2) 에 있어서의 제 1 리브 (Rb1) 와 제 2 리브 (Rb2) 의 걸어맞춤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은, 도 4 의 확대부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8(a) 의 복합 리브 (Rb) 에서는, 개구 연장부 (Rb12) 는 도 4 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 2 리브 (Rb2) 는, 기부 (210) 와, 이 기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212) 를 갖는다. 돌출부 (212) 의 두께는, 기부 (210) 의 두께보다 작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제 1 리브 (Rb1) 는 제 2 리브 (Rb2) 에 걸어맞춰져 있다. 수용 오목부 (120) 에, 돌출부 (212) 가 삽입되어 있다. 돌출부 (212) 의 상면 (214) 은, 제 1 리브 (Rb1) (개구 연장부 (Rb12)) 에 맞닿아 있다. 또한, 기부 (210) 의 상면 (216) 은, 제 1 리브 (Rb1) 에 맞닿아 있다. 제 2 리브 (Rb2) (돌출부 (212)) 의 측면 (전방측면) (218) 은, 제 1 리브 (Rb1) (개구 연장부 (Rb12)) 에 맞닿아 있다. 제 2 리브 (Rb2) (돌출부 (212)) 의 측면 (후방측면) (220) 은, 제 1 리브 (Rb1) (개구 연장부 (Rb12)) 에 맞닿아 있다. 이들의 맞닿음에 의해, 제 2 리브 (Rb2) 는 제 1 리브 (Rb1) 에 지지되어 있다.
제 1 리브 (Rb1) 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제 2 리브 (Rb2) 는 제 1 리브 (Rb1) 에 구속된다. 이 결과, 제 2 부재 (M2) 의 강성이 높아지고, 헤드 (2) 의 강성이 높아져 있다 (강성 향상 효과).
도 8(b) 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리브 (Rb1) 의 개구 연장부 (Rb12) 는 판상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리브 (Rb2) 가, 수용 오목부 (230) 를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제 1 리브 (Rb1) 는 제 2 리브 (Rb2) 에 걸어맞춰져 있다. 수용 오목부 (230) 에, 개구 연장부 (Rb12) 가 삽입되어 있다. 개구 연장부 (Rb12) 의 바닥면 (130) 이, 제 2 리브 (Rb2) 에 맞닿아 있다. 또한, 제 1 리브 (Rb1) (개구 연장부 (Rb12)) 의 측면 (전방측면) (132) 은, 제 2 리브 (Rb2) 에 맞닿아 있다. 제 1 리브 (Rb1) 의 측면 (후방측면) (134) 은, 제 2 리브 (Rb2) 에 맞닿아 있다. 제 2 리브 (Rb2) 는 제 1 리브 (Rb1) 에 지지되어 있다.
제 1 리브 (Rb1) 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제 2 리브 (Rb2) 는 제 1 리브 (Rb1) 에 구속된다. 이 결과, 제 2 부재 (M2) 의 강성이 높아지고, 헤드 (2) 의 강성이 높아져 있다 (강성 향상 효과).
도 9 는 제 2 실시형태의 헤드 (302) 를 솔측에서 본 바닥면도이다. 도 10 은 헤드 (302) 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의 헤드의 사시도에서는, 헤드 (302) 의 일부가 제거되어 있다. 도 11 은 헤드 (302) 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9 의 F11-F11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헤드 (302) 는, 타격 페이스 (304), 크라운 (306), 솔 (308) 및 호젤 (310) 을 갖는다. 호젤 (310) 은, 호젤공 (312) 을 갖는다. 호젤공 (312) 에는, 선단부에 슬리브가 고정된 샤프트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헤드 (302) 는, 중공부를 갖고 있다.
헤드 (302) 는, 복합 리브 (Rb) 를 갖고 있다. 복합 리브 (Rb) 는, 솔 (8) 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복합 리브 (Rb) 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합 리브 (Rb) 는, 크라운 (6) 의 내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헤드 (302) 는, 복수의 부재가 접합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302) 는, 제 1 부재 (M1) 와 제 2 부재 (M2) 를 갖는다. 제 2 부재 (M2) 는, 솔 (308) 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 1 부재 (M1) 는, 제 2 부재 (M2) 이외의 헤드 (302) 의 부분을 구성한다.
제 2 부재 (M2) 는, 제 1 부재 (M1) 에 접합되어 있다. 이 접합의 방법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다.
제 1 부재 (M1) 는, 헤드 (302) 의 본체이다. 제 1 부재 (M1) 는, 크라운 (306) 의 전체를 구성한다. 제 1 부재 (M1) 는, 타격 페이스 (304) 의 전체를 구성한다. 제 1 부재 (M1) 는, 호젤 (310) 의 전체를 구성한다. 제 1 부재 (M1) 는, 솔 (308) 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 1 부재 (M1) 는, 개구 (400) 를 갖는다. 개구 (400) 는, 솔 (308) 에 형성되어 있다. 개구 (400) 는, 솔 (308) 을 관통하고 있다. 개구 (400) 는, 상기 중공부와 헤드 (302) 의 외부를 연결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 이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 (M1) 는, 수용부 (402) 를 갖고 있다. 수용부 (402) 는, 개구 (400) 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 (402) 는, 개구 (400) 를 둘러싸고 있다. 수용부 (402) 는, 개구 (400) 를 둘러싸지 않아도 된다. 수용부 (402) 는, 개구 (400) 의 주위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11 이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 (402) 는, 제 1 부재 (M1) 의 외면에 패임부 (404) 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 (402) 는, 솔 (308) 의 외면에 패임부 (404) 를 형성하고 있다. 패임부 (404) 의 윤곽 형상은, 제 2 부재 (M2) 의 윤곽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이 패임부 (404) 에, 제 2 부재 (M2) 의 둘레 가장자리부 (550) 가 접합되어 있다 (도 11 참조). 이 접합은,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이다. 패임부 (404) 의 깊이는, 제 2 부재 (M2) 의 둘레 가장자리부 (550) 의 두께에 대응하고 있다. 헤드 (2) 의 외면에 있어서, 제 1 부재 (M1) 와 제 2 부재 (M2) 의 경계 (k12) 에 단차는 없다.
도 10 이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 (402) 는, 제 1 부재 (M1) 의 내면에 튀어나옴부 (406) 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 (402) 는, 솔 (308) 의 내면에 튀어나옴부 (406) 를 형성하고 있다. 패임부 (404) 의 깊이와 튀어나옴부 (406) 의 높이는 동등하다. 물론, 패임부 (404) 의 깊이와 튀어나옴부 (406) 의 높이는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수용부 (402) 의 두께는, 당해 수용부 (402) 에 인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솔 (308) 의 두께와 동일해도 되고, 당해 수용부 (402) 에 인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솔 (408) 의 두께와는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용부 (402) 의 두께는, 당해 수용부 (402) 에 인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솔 (408) 의 두께보다 커도 된다.
도 10 및 도 11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 (M1) 는, 상기 서술한 수용부 (402) 와, 이 수용부 (402) 의 주위를 구성하는 본체부 (410) 를 갖는다. 본체부 (410) 는, 적어도, 수용부 (402) 에 인접한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 (410) 는, 제 1 부재 (M1) 중 수용부 (402) 를 제외한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제 1 부재 (M1) 는, 제 1 리브 (Rb1) 를 갖고 있다. 제 1 리브 (Rb1) 는,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 분단되어 있다. 제 1 리브 (Rb1) 는, 2 개 지점에 분배되어 있다. 도 5 의 실시형태와는 달리, 제 1 리브 (Rb1) 는, 개구 (400) 의 일방측에서 개구 (400) 의 타방측까지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지 않다. 제 1 리브 (Rb1) 는, 개구 (400) 를 가로지르고 있지 않다. 제 1 리브 (Rb1) 는, 제 1 분리부 (Rt1) 와 제 2 분리부 (Rh1) 를 갖고 있다.
도 10 이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분리부 (Rt1) 는, 개구 (400) 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분리부 (Rt1) 는, 개구 (400) 의 토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분리부 (Rh1) 는, 개구 (400) 의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분리부 (Rh1) 는, 개구 (400) 의 힐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분리부 (Rt1) 및 제 2 분리부 (Rh1) 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분리부 (Rt1) 가 개구 (400) 의 페이스측에 배치되고, 제 2 분리부 (Rh1) 가 개구 (400) 의 백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제 1 분리부 (Rt1) 는, 기부 (Rt11) 와, 개구 연장부 (Rt12) 를 갖고 있다. 기부 (Rt11) 는, 제 1 부재 (M1) 의 내면에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기부 (Rt11) 는, 본체부 (410) 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과, 수용부 (402) 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갖는다. 개구 연장부 (Rt12) 는, 개구 (400) 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이다. 개구 연장부 (Rt12) 는, 기부 (Rt11) 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 2 분리부 (Rh1) 는, 기부 (Rh11) 와 개구 연장부 (Rh12) 를 갖고 있다. 기부 (Rh11) 는, 제 1 부재 (M1) 의 내면에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기부 (Rh11) 는, 본체부 (410) 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과, 수용부 (402) 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갖는다. 개구 연장부 (Rh12) 는, 개구 (400) 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이다. 개구 연장부 (Rh12) 는, 기부 (Rh11) 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도 11 이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리브 (Rb1) 의 제 1 분리부 (Rt1) 는, 본체부 (410) 로부터 수용부 (402) 를 경유하여, 개구 (400) 의 상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 1 분리부 (Rt1) 는, 개구 (400) 의 상측에서 종단 (終端) 되어 있다. 제 1 분리부 (Rt1) 의 단면 (端面) (412) 은, 개구 (400) 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 1 리브 (Rb1) 의 제 2 분리부 (Rh1) 는, 본체부 (410) 로부터 수용부 (402) 를 경유하여, 개구 (400) 의 상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 2 분리부 (Rh1) 는, 개구 (400) 의 상측에서 종단되어 있다. 제 2 분리부 (Rh1) 의 단면 (414) 은, 개구 (400) 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 2 부재 (M2) 는, 개구 (400) 를 막고 있다. 제 2 부재 (M2) 는, 솔 (308) 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 2 부재 (M2) 는, 제 2 리브 (Rb2) 를 갖는다. 제 2 리브 (Rb2) 는, 제 2 부재 (M2) 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헤드 (302) 에 있어서, 제 2 리브 (Rb2) 는 상기 중공부로 돌출되어 있다. 제 2 리브 (Rb2) 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2 부재 (M2) 의 둘레 가장자리부 (550) 가, 수용부 (402) 의 패임부 (404) 에 접합되어 있다. 제 2 부재 (M2) 는, 접착제로, 제 1 부재 (M1) 의 수용부 (402) 에 접착되어 있다.
[복합 리브:제 1 리브 (Rb1) 와 제 2 리브 (Rb2) 의 걸어맞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 (302) 는, 복합 리브 (Rb) 를 갖는다. 복합 리브 (Rb) 는, 제 1 리브 (Rb1) 와 제 2 리브 (Rb2) 가 조합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 2 리브 (Rb2) 는, 수용 오목부 (520) 를 갖고 있다. 도 10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리브 (Rb2) 는, 2 개의 수용 오목부 (520) 를 갖고 있다. 제 2 리브 (Rb2) 의 일단부에는, 제 1 수용 오목부 (522)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수용 오목부 (522) 는, 슬릿이다. 제 2 리브 (Rb2) 의 타단부에는, 제 2 수용 오목부 (524)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수용 오목부 (524) 는, 슬릿이다.
도 11 이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수용 오목부 (522) 에, 제 1 리브 (Rb1) 의 제 1 분리부 (Rt1) 가 삽입되어 있다. 이 삽입에 의해, 제 1 분리부 (Rt1) 가 제 2 리브 (Rb2) 에 걸어맞춰져 있다. 또, 제 2 수용 오목부 (524) 에, 제 1 리브 (Rb1) 의 제 2 분리부 (Rh1) 가 삽입되어 있다. 이 삽입에 의해, 제 2 분리부 (Rh1) 가 제 2 리브 (Rb2) 에 걸어맞춰져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 1 리브 (Rb1) 는 제 2 리브 (Rb2) 에 걸어맞춰져 있다. 제 1 리브 (Rb1) 는 제 2 리브 (Rb2) 와 연결되어 있다. 제 1 리브 (Rb1) 는 제 2 리브 (Rb2) 에 맞닿아 있다. 제 1 리브 (Rb1) 는 제 2 리브 (Rb2) 를 지지하고 있다. 제 1 분리부 (Rt1) 와 제 2 분리부 (Rh1) 와 제 2 리브 (Rb2) 로, 복합 리브 (Rb)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리브 (Rb2) 는 제 1 리브 (Rb1) 에 구속되어 있다. 이 결과, 제 2 부재 (M2) 의 강성이 높아지고, 헤드 (302) 의 강성이 높아져 있다 (강성 향상 효과). 이 강성 향상 효과에 의해, 높은 타구음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리브 (Rb2) 의 일방측의 단부에 제 1 수용 오목부 (522) 가 형성되고, 이 일방측의 단부가 제 1 분리부 (Rt1) 에 걸어맞춰져 있다. 또, 제 2 리브 (Rb2) 의 타방측의 단부에 제 2 수용 오목부 (524) 가 형성되고, 이 타방측의 단부가, 제 2 분리부 (Rh1) 에 걸어맞춰져 있다. 제 2 리브 (Rb2) 의 일방측의 단부 및 타방측의 단부가, 제 1 리브 (Rb1) 에 걸어맞춰져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분리부 (Rt1) 는 제 1 수용 오목부 (522) 에 접착제로 접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분리부 (Rh1) 는 제 2 수용 오목부 (524) 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걸어맞춤에 접착을 더함으로써, 상기 강성 향상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제 1 수용 오목부 (522) 에는, 제 1 분리부 (Rt1) 의 개구 연장부 (Rt12) 가 삽입되어 있다. 개구 연장부 (Rt12) 는, 제 1 수용 오목부 (522) 에 삽입되는 삽입부 (408) 를 갖는다. 제 2 수용 오목부 (524) 에는, 제 2 분리부 (Rh1) 의 개구 연장부 (Rh12) 가 삽입되어 있다. 제 2 부재 (M2) 가 개구 (400) 를 막음과 동시에, 제 1 리브 (Rb1) (제 1 분리부 (Rt1), 제 2 분리부 (Rh1)) 가 수용 오목부 (520) (제 1 수용 오목부 (522), 제 2 수용 오목부 (524)) 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리브 (Rb1) 는, 제 2 리브 (Rb2) 에 용이하게 걸어맞출 수 있다.
도 12(a) 는 제 1 분리부 (Rt1) 와 제 2 리브 (Rb2) 의 걸어맞춤 부분을 상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2(b) 는 제 2 분리부 (Rh1) 와 제 2 리브 (Rb2) 의 걸어맞춤 부분을 상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2(a) 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리브 (Rb1) 의 제 1 분리부 (Rt1) 는, 제 2 리브 (Rb2) 의 일단부에 걸어맞춰져 있다. 제 1 수용 오목부 (522) 에, 개구 연장부 (Rt12) 가 삽입되어 있다. 제 1 분리부 (Rt1) 의 단면 (412) 이, 제 2 리브 (Rb2) 에 맞닿아 있다. 제 1 분리부 (Rt1) 의 측면 (후방측면) (416) 이, 제 2 리브 (Rb2) 에 맞닿아 있다. 제 1 분리부 (Rt1) 의 측면 (전방측면) (418) 이, 제 2 리브 (Rb2) 에 맞닿아 있다.
도 12(b) 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리브 (Rb1) 의 제 2 분리부 (Rh1) 는, 제 2 리브 (Rb2) 의 타단부에 걸어맞춰져 있다. 제 2 수용 오목부 (524) 에, 개구 연장부 (Rh12) 가 삽입되어 있다. 개구 연장부 (Rh12) 는, 제 2 수용 오목부 (524) 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부 (409) 를 갖는다. 제 2 분리부 (Rh1) 의 단면 (414) 이, 제 2 리브 (Rb2) 에 맞닿아 있다. 제 2 분리부 (Rh1) 의 측면 (후방측면) (420) 이, 제 2 리브 (Rb2) 에 맞닿아 있다. 제 2 분리부 (Rh1) 의 전방측면 (422) 이, 제 2 리브 (Rb2) 에 맞닿아 있다. 제 2 리브 (Rb2) 는 제 1 리브 (Rb1) 에 지지되어 있다.
제 2 리브 (Rb2) 는 제 1 리브 (Rb1) 에 구속되어 있다. 이 결과, 제 2 부재 (M2) 의 강성이 높아지고, 헤드 (2) 의 강성이 높아져 있다 (강성 향상 효과).
도 13(a) 내지 도 13(e) 는 제 1 리브 (Rb1) 와 제 2 리브 (Rb2) 의 걸어맞춤 부분을 상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이들은 도 12(a), (b) 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이다.
도 13(a) 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12(a), (b) 의 실시형태와는 반대로, 제 1 리브 (Rb1) 의 단부에 수용 오목부 (424)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오목부 (424) 에, 제 2 리브 (Rb2) 의 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제 2 리브 (Rb2) 의 단면 (530) 이, 제 1 리브 (Rb1) 에 맞닿아 있다. 제 2 리브 (Rb2) 의 측면 (후방측면) (532) 이, 제 1 리브 (Rb1) 에 맞닿아 있다. 제 2 리브 (Rb2) 의 전방측면 (534) 이, 제 1 리브 (Rb1) 에 맞닿아 있다. 이 걸어맞춤이, 제 2 리브 (Rb2) 의 일단측 및 타단측의 양방에서 형성되어 있다.
도 13(b) 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리브 (Rb2) 의 단부에 단차부 (536)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 (536) 에, 제 1 리브 (Rb1) 의 단부가 맞닿아 있다. 제 1 리브 (Rb1) 의 단면 (426) 이, 제 2 리브 (Rb2) 에 맞닿아 있다. 제 1 리브 (Rb1) 의 측면 (428) 이, 제 2 리브 (Rb2) 의 측면 (537) 에 맞닿아 있다. 이 걸어맞춤이, 제 2 리브 (Rb2) 의 일단측 및 타단측의 양방에서 형성되어 있다.
도 13(c) 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13(b) 의 실시형태와는 반대로, 제 1 리브 (Rb1) 의 단부에 단차부 (430)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 (430) 에, 제 2 리브 (Rb2) 의 단부가 맞닿아 있다. 제 2 리브 (Rb2) 의 단면 (538) 이, 제 1 리브 (Rb1) 에 맞닿아 있다. 제 2 리브 (Rb2) 의 측면 (540) 이, 제 1 리브 (Rb1) 의 측면 (431) 에 맞닿아 있다. 이 걸어맞춤이, 제 2 리브 (Rb2) 의 일단측 및 타단측의 양방에서 형성되어 있다.
도 13(d) 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리브 (Rb2) 가 수용 오목부 (542) 를 갖고 있다. 이 수용 오목부 (542) 는, 제 2 리브 (Rb2) 의 단면 (544) 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리브 (Rb1) 는 볼록부 (432) 를 갖는다. 이 볼록부 (432) 는, 제 1 리브 (Rb1) 의 단면 (434) 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 (542) 에, 제 1 리브 (Rb1) 의 볼록부 (432) 가 삽입되어 있다. 제 1 리브 (Rb1) 의 단면 (434) 은, 제 2 리브 (Rb2) 의 단면 (544) 에 맞닿아 있다. 제 1 리브 (Rb1) 의 측면 (후방측면) (436) 은, 제 2 리브 (Rb2) 에 맞닿아 있다. 제 1 리브 (Rb1) 의 측면 (전방측면) (438) 은, 제 2 리브 (Rb2) 에 맞닿아 있다. 볼록부 (432) 의 선단면 (440) 은, 제 2 리브 (Rb2) 에 맞닿아 있다. 이 걸어맞춤이, 제 2 리브 (Rb2) 의 일단측 및 타단측의 양방에서 형성되어 있다.
도 13(e) 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리브 (Rb1) 의 단면 (442) 이, 제 2 리브 (Rb2) 의 단면 (546) 에 맞닿아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리브 (Rb1) 의 단면 (442) 과 제 2 리브 (Rb2) 의 단면 (546) 이 서로 맞닿아 있다. 이와 같은 리브끼리의 단순한 맞닿음도, 본 개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의 개념에 포함된다.
도 13(a) 내지 도 13(e) 의 실시형태에서도, 제 1 리브 (Rb1) 는 제 2 리브 (Rb2) 에 걸어맞춰져 있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리브 (Rb2) 는, 제 1 리브 (Rb1) 에 구속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제 2 부재 (M2) 의 강성이 높아져 있고, 헤드 (2) 의 강성이 높아져 있다 (강성 향상 효과).
도 14(a) 및 도 14(b) 도 도 12(a), (b) 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이다. 도 14(a) 는 상측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14(b) 는 도 14(a) 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제 1 리브 (Rb1) 의 단면 (454) 은, 제 2 리브 (Rb2) 의 단면 (564) 에 맞닿아 있다.
제 1 리브 (Rb1) 는, 솔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볼록부 (450) 를 갖는다. 제 2 리브 (Rb2) 는, 이 볼록부 (450) 를 수용하고 있는 오목부 (560) 를 갖는다. 볼록부 (450) 와 오목부 (560) 의 걸어맞춤에 의해, 제 1 리브 (Rb1) 와 제 2 리브 (Rb2) 의 걸어맞춤이 달성되고 있다.
제 2 리브 (Rb2) 는, 크라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볼록부 (562) 를 갖는다. 제 1 리브 (Rb1) 는, 이 볼록부 (562) 를 수용하고 있는 오목부 (452) 갖는다. 볼록부 (562) 와 오목부 (452) 의 걸어맞춤에 의해, 제 1 리브 (Rb1) 와 제 2 리브 (Rb2) 의 걸어맞춤이 달성되고 있다.
제 1 부재 (M1) 의 개구 (400) 에 제 2 부재 (M2) 를 배치함과 동시에, 오목부 (560) 가 볼록부 (450) 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부재 (M1) 의 개구 (400) 에 제 2 부재 (M2) 를 배치함과 동시에, 오목부 (452) 가 볼록부 (562) 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구 (400) 로의 제 2 부재 (M2) 의 장착은 용이하다.
도 14(a), (b) 의 실시형태에서도, 제 1 리브 (Rb1) 는 제 2 리브 (Rb2) 에 걸어맞춰져 있다. 제 2 리브 (Rb2) 는, 제 1 리브 (Rb1) 에 구속되어 있다. 제 2 부재 (M2) 의 강성이 높아져 있고, 헤드 (2) 의 강성이 높아져 있다 (강성 향상 효과).
도 15 는 전술한 헤드 (302) 의 변형예인, 헤드 (602) 를 나타낸다. 도 15 는 헤드 (602) 를 솔측에서 본 바닥면도이다. 도 16 은 헤드 (602) 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 은 도 16 의 원 내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16 과 도 17 에서는 단면선의 위치가 상이하다. 도 16 은 도 15 의 F16-F16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 은 도 15 의 F17-F17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 에 있어서의 제 1 부재 (M1) 의 단면도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 (M1) 는, 걸어맞춤 볼록부 (460) 를 갖는다. 걸어맞춤 볼록부 (460) 는, 수용부 (402) 에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 (460) 는, 수용부 (402) 의 패임부 (404) 에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 (460) 는, 솔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 (460) 는, 제 1 리브 (Rb1) 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헤드 (602) 에서는, 2 개의 걸어맞춤 볼록부 (460)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걸어맞춤 볼록부 (462) 는, 제 1 분리부 (Rt1) 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걸어맞춤 볼록부 (462) 는, 기부 (Rt11) 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걸어맞춤 볼록부 (464) 는, 제 2 분리부 (Rh1) 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걸어맞춤 볼록부 (464) 는, 기부 (Rh11) 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 16 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도 17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 (M2) 는, 걸어맞춤 볼록부 (460) 에 걸어맞추는 구멍 (570) 을 갖는다. 구멍 (570) 은, 제 2 부재 (M2) 의 둘레 가장자리부 (550) 에 형성되어 있다. 구멍 (570) 은, 걸어맞춤 볼록부 (460)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구멍 (570) 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 (460) 는, 구멍 (570) 에 걸어맞춰져 (끼워 맞춰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멍 (570) 은 관통공이다. 이 때문에, 걸어맞춤 볼록부 (460) 의 단면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도 15 에서는, 이 걸어맞춤 볼록부 (460) 의 단면을 검정색으로 칠하여 나타내고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 (460) 및 구멍 (570) 의 존재를 제외하고, 헤드 (602) 는, 헤드 (302) 와 동일하다.
걸어맞춤 볼록부 (460) 와 구멍 (570) 의 걸어맞춤에 의해, 제 1 리브 (Rb1) 와 제 2 리브 (Rb2) 사이의 걸어맞춤이 보다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 접착제에 의한 접착에, 물리적인 걸어맞춤이 더해짐으로써, 제 2 부재 (M2) 의 둘레 가장자리부 (550) 와 제 1 부재 (M1) 의 수용부 (402) 의 접합 강도가 높아진다.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리브 (Rb1) 와 제 2 리브 (Rb2) 의 걸어맞춤에 의해, 전술한 강성 향상 효과가 나타난다.
제 1 실시형태의 헤드 (2) 에서는, 제 1 리브 (Rb1) 가 개구 (100) 를 가로지르고 있다 (도 5 참조). 이 때문에, 제 1 리브 (Rb1) 와 제 2 리브 (Rb2) 의 걸어맞춤 영역을 길게 할 수 있다. 헤드 (2) 의 경우, 제 2 리브 (Rb2) 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제 1 리브 (Rb1) 에 걸어맞춰져 있다. 이 긴 제 1 리브 (Rb1) 에 의해, 제 2 리브 (Rb2) 로의 구속이 증대되어, 상기 강성 향상 효과가 높아진다.
제 1 리브 (Rb1) 가 개구 (100) 를 가로지르고 있는 경우, 이 제 1 리브 (Rb1) 자체가, 개구 (100) 에서 기인하는 제 1 부재 (M1) 의 강성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효과는, 리브끼리의 걸어맞춤에 기초하는 상기 강성 향상 효과와 더불어, 헤드 (2) 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헤드 (302) 에서는, 제 1 리브 (Rb1) 가 개구 (400) 의 일방측과 타방측에 분산되어 있다 (도 10 참조). 이 때문에, 제 1 리브 (Rb1) 의 경량화가 달성되고 있다. 또, 제 1 리브 (Rb1) 가 제 2 리브 (Rb2) 의 양단부에 걸어맞춰져 있으므로, 제 2 리브 (Rb2) 가 효과적으로 구속되어 있다. 이 헤드 (302) 도, 상기 강성 향상 효과가 우수하다.
헤드 (302) 에 있어서는, 제 1 리브 (Rb1) 는 개구 (400) 를 가로지르지 않지만, 복합 리브 (Rb) 는 개구 (400) 를 가로지르고 있다. 즉, 헤드 (302) 에 있어서도, 복합 리브 (Rb) 는, 개구 (400) 의 일방측에서 개구 (400) 의 타방측까지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복합 리브 (Rb) 는 개구 (400) 에서 기인하는 제 1 부재 (M1) 의 강성 저하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중공 헤드에서는, 헤드의 외각의 진동에 의해, 큰 타구음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솔의 진동에서는, 솔의 중앙부가 전면이 되는 진동 모드가 발생한다.
상기 진동에 있어서, 제 2 리브 (Rb2) 에는, 그 측면이 넘어지는 변형 또는 변위가 발생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 1 리브 (Rb1) 에는, 그 측면이 넘어지는 변형 또는 변위가 발생할 수 있다. 제 1 리브 (Rb1) 및 제 2 리브 (Rb2) 의 적어도 일방의 측면이 타방의 리브에 맞닿음으로써, 이러한 변형 또는 변위가 억제된다. 이 결과, 상기 진동이 억제되어 타구음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진동에 있어서, 제 2 리브 (Rb2) 에는, 그 단면이 넘어지는 변형 또는 변위가 발생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 1 리브 (Rb1) 에는, 그 단면이 넘어지는 변형 또는 변위가 발생할 수 있다. 제 1 리브 (Rb1) 및 제 2 리브 (Rb2) 의 적어도 일방의 단면이 타방의 리브에 맞닿음으로써, 이러한 변형 또는 변위가 억제된다. 이 결과, 상기 진동이 억제되어 타구음이 개선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 (도 5) 및 제 2 실시형태 (도 10) 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제 1 리브 (Rb1) 는, 제 1 부재 (M1) 의 본체부로부터 제 1 부재 (M1) 의 수용부를 경유하여, 개구의 상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즉, 제 1 리브 (Rb1) 는, 수용부에 걸쳐져 있다. 제 1 리브 (Rb1) 가 제 1 부재 (M1) 의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지 않고, 제 1 부재 (M1) 의 수용부로부터 개구의 상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경우, 수용부 근방의 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제 1 리브 (Rb1) 가 수용부에 걸쳐져 있음으로써, 수용부 근방의 강성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개구에서 기인하는 제 1 부재 (M1) 의 강성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수용부 근방의 강성이 높아짐으로써, 제 1 리브 (Rb1) 의 변형 및 변위도 억제된다. 이 결과, 제 1 리브 (Rb1) 에 의한 제 2 리브 (Rb2) 의 구속이 확실해진다.
도 4 의 확대부에 있어서 양 화살표 (HR) 로 나타내는 것은, 제 2 리브 (Rb2) 의 리브의 높이이다. 도 4 의 확대부에 있어서 양 화살표 (BR) 로 나타내는 것은, 제 2 리브 (Rb2) 의 리브의 폭이다. 도 4 의 확대부에 있어서 양 화살표 (FR) 로 나타내는 것은, 복합 리브의 높이이다. 도 4 의 확대부에 있어서 양 화살표 (WR) 로 나타내는 것은, 복합 리브의 폭이다.
제 1 리브 (Rb1) 의 기부 (Rb11) 에 있어서의 리브 높이가 과대이면, 이 기부 (Rb11) 로부터 연장되는 개구 연장부 (Rb12) 가 쉽게 진동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관점에서, 제 1 리브 (Rb1) 의 기부 (Rb11) 에 있어서의 리브 높이의 최대치는, 12 ㎜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8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리브 (Rb1) 의 기부 (Rb11) 에 있어서의 리브 높이가 과소이면, 이 기부 (Rb11) 로부터 연장되는 개구 연장부 (Rb12) 의 설계 자유도가 저하된다. 이 관점에서, 제 1 리브 (Rb1) 의 기부 (Rb11) 에 있어서의 리브 높이의 최대치는, 2 ㎜ 이상이 바람직하고, 3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최대치」를 규정한 것은, 당해 리브 높이가 제 1 리브 (Rb1) 에 있어서 변화할 수 있는 것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제 1 리브 (Rb1) 의 기부 (Rb11) 에 있어서의 리브폭이 과대이면, 제 1 리브 (Rb1) 및 복합 리브 (Rb) 의 중량이 과대가 되어, 헤드의 설계 자유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제 1 리브 (Rb1) 의 기부 (Rb11) 에 있어서의 리브폭의 최대치는, 5 ㎜ 이하가 바람직하고, 4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리브 (Rb1) 의 기부 (Rb11) 에 있어서의 리브폭이 과소이면, 제 2 리브 (Rb2) 로의 구속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제 1 리브 (Rb1) 의 기부 (Rb11) 에 있어서의 리브폭의 최대치는, 1 ㎜ 이상이 바람직하고, 1.2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최대치」를 규정한 것은, 당해 리브폭이 제 1 리브 (Rb1) 에 있어서 변화할 수 있는 것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제 2 리브 (Rb2) 의 리브 높이 (HR) 이 과대이면, 제 2 리브 (Rb2) 및 복합 리브 (Rb) 의 중량이 과대가 되어, 헤드의 설계 자유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제 2 리브 (Rb2) 의 높이 (HR) 의 최대치는, 12 ㎜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8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리브 (Rb2) 의 높이 (HR) 가 과소이면, 제 1 리브 (Rb1) 와의 걸어맞춤 구조의 자유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제 2 리브 (Rb2) 의 높이 (HR) 의 최대치는, 2 ㎜ 이상이 바람직하고, 3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최대치」를 규정한 것은, 당해 높이 (HR) 가 제 2 리브 (Rb2) 에 있어서 변화할 수 있는 것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제 2 리브 (Rb2) 의 폭 (BR) 이 과대이면, 제 2 리브 (Rb2) 및 복합 리브 (Rb) 의 중량이 과대가 되어, 헤드의 설계 자유도가 저하된다. 이 관점에서, 제 2 리브 (Rb2) 의 폭 (BR) 의 최대치는, 5 ㎜ 이하가 바람직하고, 4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리브 (Rb2) 의 리브폭 (BR) 이 과소이면, 제 2 부재 (M2) 의 강성을 높이는 효과가 감퇴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제 2 리브 (Rb2) 의 폭 (BR) 의 최대치는, 1 ㎜ 이상이 바람직하고, 1.2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최대치」를 규정한 것은, 당해 폭 (BR) 이 제 2 리브 (Rb2) 에 있어서 변화할 수 있는 것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복합 리브 (Rb) 의 높이 (FR) 가 과대이면, 복합 리브 (Rb) 의 중량이 과대가 되어, 헤드의 설계 자유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복합 리브 (Rb) 의 높이 (FR) 의 최대치는, 15 ㎜ 이하가 바람직하고, 12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복합 리브 (Rb) 의 리브 높이 (FR) 가 과소이면, 상기 강성 향상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또, 이 높이 (FR) 가 과소이면, 제 1 리브 (Rb1) 와 제 2 리브 (Rb2) 의 걸어맞춤 구조의 자유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들의 관점에서, 복합 리브 (Rb) 의 높이 (FR) 의 최대치는, 3 ㎜ 이상이 바람직하고, 4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최대치」를 규정한 것은, 당해 높이 (FR) 가 복합 리브 (Rb) 에 있어서 변화할 수 있는 것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복합 리브 (Rb) 의 폭 (WR) 이 과대이면, 복합 리브 (Rb) 의 중량이 과대가 되어, 헤드의 설계 자유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복합 리브 (Rb) 의 폭 (WR) 의 최대치는, 8 ㎜ 이하가 바람직하고, 7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복합 리브 (Rb) 의 폭 (WR) 이 과소이면, 상기 강성 향상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또, 이 폭 (WR) 이 과소이면, 제 1 리브 (Rb1) 와 제 2 리브 (Rb2) 의 걸어맞춤 구조의 자유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들의 관점에서, 복합 리브 (Rb) 의 폭 (WR) 의 최대치는, 2 ㎜ 이상이 바람직하고, 2.5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최대치」를 규정한 것은, 당해 폭 (WR) 이 복합 리브 (Rb) 에 있어서 변화할 수 있는 것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제 2 부재 (M2) 의 재질의 영률은, 제 1 부재 (M1) 의 재질의 영률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영률이 보다 큰 제 1 부재 (M1) 의 제 1 리브 (Rb1) 가 제 2 리브 (Rb2) 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영률이 보다 작은 제 2 부재 (M2) 의 강성이 효과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제 2 부재 (M2) 의 재질로서, 금속 및 수지가 예시된다. 이 수지는, 섬유 강화 수지를 포함한다. 헤드의 설계 자유도를 고려하면, 경량이고 강도가 우수한 재질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 섬유 강화 수지가 바람직하고, 탄소섬유 강화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으로서, 철, 스테인리스강, 티탄 합금, 알루미늄 합금 및 마그네슘 합금이 예시된다.
또한, 제 2 리브 (Rb2) 의 재질은, 제 2 부재 (M2) 의 주요부의 재질과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제 2 부재 (M2) 의 주요부란, 제 2 부재 (M2) 중 제 2 리브 (Rb2) 를 제외한 부분을 의미한다. 당해 주요부에 대한 제 2 리브 (Rb2) 의 고정 강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제 2 리브 (Rb2) 의 재질은, 제 2 부재 (M2) 의 주요부의 재질과 동일하게 된다.
제 1 부재 (M1) 의 재질로서, 금속 및 수지가 예시된다. 타구음의 관점에서는, 금속이 바람직하다. 이 금속으로서, 철, 스테인리스강, 티탄 합금, 알루미늄 합금 및 마그네슘 합금이 예시된다. 성형성 및 강도의 관점에서, 스테인리스강 및 티탄 합금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리브 (Rb1) 의 재질은, 제 1 부재 (M1) 의 본체부의 재질과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당해 본체부에 대한 제 1 리브 (Rb1) 의 고정 강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제 1 리브 (Rb1) 의 재질은, 제 1 부재 (M1) 의 본체부의 재질과 동일하게 된다.
일반적인 재료의 영률은 공지되어 있다. 이들 공지된 값에 기초하여, 제 1 부재 (M1) 의 영률과 제 2 부재 (M2) 의 영률의 대소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영률이 공지된 것이 아닌 경우, 또는, 상기 2 개의 영률의 대소 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측정 방법에 의해 영률을 특정할 수 있다.
도 18 은 영률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 측정에서는, 시험편 (S1) 은, JIS Z2204 의 금속 재료 굽힘 시험편에 준거한 3 호 시험편이 된다. 시험편 (S1) 의 단면 형상은 장방형이 된다. 이 시험편 (S1) 의 치수는, 폭 (W) (도시 생략) 이 20 ㎜ 가 되고, 두께 (T) 가 3.0 ㎜ 가 된다. 시험편 (S1) 의 길이 (L) 는 150 ㎜ 가 된다. 스팬 (L1) 이 30 ㎜ 가 된 2 개의 지지체 (P1, P2) 상에, 시험편 (S1) 이 재치 (載置) 된다. 시험편 (S1) 은 수평으로 재치된다. 지지점 (p1 과 p2) 사이를 이등분하는 위치에 하중 (F (N)) 을 작용시켰을 때의, 굴곡량 (H1 (㎜)) 이 측정된다. 하중 (F) 은, 100 N 이다. 하중 (F) 은, 압자 (A1) 에 의해 부여된다. 시험 장치로서, 인테스코사 제조의「인테스코 (로드셀 2 톤)」를 사용할 수 있다. 측정은, JIS Z2248 에 준거하여 이루어진다. 영률 Yg (㎬) 는 다음의 식에 의해 계산된다.
Yg = [(L13 × F)/(4 × W × T3 × H1)] × 10-3
상기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없는 재질의 영률은, 굽힘 공진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굽힘 공진법에서는, 10 ㎜ × 60 ㎜ × 2 ㎜ 의 시험편이 사용되고, 20 ℃ 에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재료에 이방성이 있는 경우, 영률이 최대가 되도록 시험편이 제조된다.
제 2 부재 (M2) 는, 제 1 부재 (M1) 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 타구음이 낮아지기 쉽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강성 향상 효과에서 기인하는 타구음의 개선 효과가 높아진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이하의 부기를 개시한다.
[부기 1]
중공부를 갖는 골프 클럽 헤드로서,
개구를 갖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를 막는 제 2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부재가, 상기 중공부로 돌출되는 제 1 리브를 갖고 있고,
상기 제 2 부재가, 상기 중공부로 돌출되는 제 2 리브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리브가, 상기 제 2 리브에 걸어맞춰져 있는 골프 클럽 헤드.
[부기 2]
상기 제 2 부재의 재질의 영률이, 상기 제 1 부재의 재질의 영률보다 작은 부기 1 에 기재된 골프 클럽 헤드.
[부기 3]
상기 제 2 부재가, 상기 제 1 부재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는 부기 1 또는 2 에 기재된 골프 클럽 헤드.
[부기 4]
상기 제 1 리브 및 상기 제 2 리브의 일방이, 수용 오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리브 및 상기 제 2 리브의 타방이, 상기 수용 오목부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부를 갖고 있는 부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프 클럽 헤드.
[부기 5]
상기 제 1 리브 및 상기 제 2 리브의 적어도 일방이, 단면을 갖고 있고,
상기 단면이, 상기 제 1 리브 및 상기 제 2 리브의 타방에 맞닿아 있는 부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프 클럽 헤드.
[부기 6]
상기 제 1 리브 및 상기 제 2 리브의 적어도 일방이, 측면을 갖고 있고,
상기 측면이, 상기 제 1 리브 및 상기 제 2 리브의 타방에 맞닿아 있는 부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프 클럽 헤드.
[부기 7]
상기 제 1 리브가, 상기 개구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개구 연장부를 갖고 있고,
상기 개구 연장부가, 상기 제 2 리브에 걸어맞춰져 있는 부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프 클럽 헤드.
[부기 8]
상기 제 1 부재가, 상기 개구의 주위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부재의 외면에 패임부를 형성하고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주위를 구성하는 본체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2 부재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상기 수용부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제 1 리브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수용부를 경유하여 상기 개구의 상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부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프 클럽 헤드.
[부기 9]
상기 제 1 리브가, 상기 개구의 일방측에 배치된 제 1 분리부와, 상기 개구의 타방측에 배치된 제 2 분리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2 리브의 일방측의 단부가, 상기 제 1 분리부에 걸어맞춰져 있고,
상기 제 2 리브의 타방측의 단부가, 상기 제 2 분리부에 걸어맞춰져 있는 부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프 클럽 헤드.
[부기 10]
상기 제 1 리브가, 상기 개구의 일방측에서 상기 개구의 타방측까지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는 부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프 클럽 헤드.
2 : 골프 클럽 헤드
4 : 타격 페이스
6 : 크라운
8 : 솔
10 : 호젤
100 : 개구
102 : 수용부
110 : 제 1 부재의 본체부
120 : 수용 오목부
200 : 삽입부
M1 : 제 1 부재
M2 : 제 2 부재
Rb : 복합 리브
Rb1 : 제 1 리브
Rb11 : 제 1 리브의 기부
Rb12 : 제 1 리브의 개구 연장부
Rb2 : 제 2 리브
Rt1 : 제 1 리브의 제 1 분리부
Rh1 : 제 1 리브의 제 2 분리부

Claims (10)

  1. 중공부를 갖는 골프 클럽 헤드로서,
    개구를 갖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를 막는 제 2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부재가, 상기 중공부로 돌출되는 제 1 리브를 갖고 있고,
    상기 제 2 부재가, 상기 중공부로 돌출되는 제 2 리브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개구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개구 연장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리브의 상기 개구 연장부가, 상기 제 2 리브에 걸어맞춰져 있는 골프 클럽 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의 재질의 영률이, 상기 제 1 부재의 재질의 영률보다 작은 골프 클럽 헤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가, 상기 제 1 부재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는 골프 클럽 헤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브 및 상기 제 2 리브의 일방이, 수용 오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리브 및 상기 제 2 리브의 타방이, 상기 수용 오목부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부를 갖고 있는 골프 클럽 헤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브 및 상기 제 2 리브의 적어도 일방이, 단면을 갖고 있고,
    상기 단면이, 상기 제 1 리브 및 상기 제 2 리브의 타방에 맞닿아 있는 골프 클럽 헤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브 및 상기 제 2 리브의 적어도 일방이, 측면을 갖고 있고,
    상기 측면이, 상기 제 1 리브 및 상기 제 2 리브의 타방에 맞닿아 있는 골프 클럽 헤드.
  7. 삭제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가, 상기 개구의 주위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부재의 외면에 패임부를 형성하고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주위를 구성하는 본체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2 부재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상기 수용부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제 1 리브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수용부를 경유하여 상기 개구의 상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골프 클럽 헤드.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브가, 상기 개구의 일방측에 배치된 제 1 분리부와, 상기 개구의 타방측에 배치된 제 2 분리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2 리브의 일방측의 단부가, 상기 제 1 분리부에 걸어맞춰져 있고,
    상기 제 2 리브의 타방측의 단부가, 상기 제 2 분리부에 걸어맞춰져 있는 골프 클럽 헤드.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브가, 상기 개구의 일방측에서 상기 개구의 타방측까지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는 골프 클럽 헤드.
KR1020180115058A 2018-02-19 2018-09-27 골프 클럽 헤드 KR1025942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26888A JP7069804B2 (ja) 2018-02-19 2018-02-19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JP-P-2018-026888 2018-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002A KR20190100002A (ko) 2019-08-28
KR102594217B1 true KR102594217B1 (ko) 2023-10-25

Family

ID=67616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058A KR102594217B1 (ko) 2018-02-19 2018-09-27 골프 클럽 헤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716974B2 (ko)
JP (1) JP7069804B2 (ko)
KR (1) KR102594217B1 (ko)
CN (1) CN20945124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4027B1 (en) * 2015-08-14 2018-03-13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JP7069804B2 (ja) * 2018-02-19 2022-05-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645569B1 (ja) * 2018-12-27 2020-02-1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7423987B2 (ja) * 2019-11-07 2024-01-3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1338179B2 (en) * 2020-07-15 2022-05-24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club head
JP2022028481A (ja) * 2020-08-03 2022-02-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1679313B2 (en) * 2021-09-24 2023-06-20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5217A (ja) * 2002-09-13 2004-04-08 Mizuno Corp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ゴルフクラブ
US20080214322A1 (en) * 2007-03-01 2008-09-04 Advanced International Multitech Co., Ltd. Golf club head
JP2010158418A (ja) * 2009-01-08 2010-07-22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ルフクラブ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912U (ja) 1982-06-29 1984-01-10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オイルレベルゲ−ジのガイド装置
JPH037854U (ko) * 1989-06-12 1991-01-25
US5261664A (en) * 1989-06-12 1993-11-16 Donald Anderson Golf club head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5294037A (en) * 1993-04-19 1994-03-15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Method of assembling a metal golf club head
US5993329A (en) * 1998-05-13 1999-11-30 Shieh; Tien Wu Golf club head
US6319149B1 (en) * 1998-08-06 2001-11-20 Michael C. W. Lee Golf club head
US6050904A (en) * 1998-10-27 2000-04-18 Kuo; Allen H. W. Golf club head
US6299549B1 (en) * 1999-12-07 2001-10-09 Wuu Horng Industrial Co., Ltd. Structure of golf club head
US20020108735A1 (en) * 2001-02-14 2002-08-15 Tang-San Kuo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luminum alloy rod head
JP2003079769A (ja) * 2001-09-10 2003-03-18 Sumitomo Rubber Ind Ltd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6648774B1 (en) * 2002-05-01 2003-11-18 Callaway Golf Company Composite golf club head having a metal striking insert within the front face wall
US6974393B2 (en) * 2002-12-20 2005-12-13 Ceramixgolf.Com Golf club head
JP2005160947A (ja) * 2003-12-05 2005-06-23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7153220B2 (en) * 2004-11-16 2006-12-26 Fu Sheng Industrial Co., Ltd. Golf club head with adjustable weight member
JP4378298B2 (ja) * 2005-01-28 2009-12-02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7775907B2 (en) * 2006-03-16 2010-08-17 Sri Sports Limited Method for manufacturing golf club head
JP2008154624A (ja) * 2006-12-20 2008-07-10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8228775A (ja) 2007-03-16 2008-10-02 Meian Kokusai Gigyo Kofun Yugenkoshi ゴルフクラブヘッド
TWM328303U (en) * 2007-10-05 2008-03-11 Advanced Int Multitech Co Ltd Head structure of Golf club
US7758453B2 (en) * 2008-02-21 2010-07-20 Sri Sports Limited Golf club head
JP4856156B2 (ja) * 2008-11-13 2012-01-18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7749104B2 (en) * 2008-12-08 2010-07-06 Sri Sports Limited Golf club head
US8206241B2 (en) * 2009-07-27 2012-06-26 Nike, Inc. Golf club assembly and golf club with sole plate
US8287400B2 (en) * 2009-11-19 2012-10-16 Nike, Inc. Fairway wood-type golf clubs with high moment of inertia
JP5749479B2 (ja) * 2010-12-07 2015-07-15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CN102794003A (zh) * 2011-05-23 2012-11-28 普利司通运动株式会社 高尔夫球杆头
US8678949B2 (en) * 2011-10-19 2014-03-25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club hea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JP5902912B2 (ja) 2011-10-31 2016-04-13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ゴルフクラブ
US8870681B2 (en) 2011-11-07 2014-10-28 Dunlop Sports Co. Ltd. Golf club head and golf club
JP6095282B2 (ja) * 2012-06-05 2017-03-15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CN105013157A (zh) * 2014-04-15 2015-11-04 复盛应用科技股份有限公司 高尔夫球木杆头及其制造方法
JP6892771B2 (ja) * 2017-03-16 2021-06-23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7069804B2 (ja) * 2018-02-19 2022-05-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5217A (ja) * 2002-09-13 2004-04-08 Mizuno Corp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ゴルフクラブ
US20080214322A1 (en) * 2007-03-01 2008-09-04 Advanced International Multitech Co., Ltd. Golf club head
JP2010158418A (ja) * 2009-01-08 2010-07-22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ルフクラブ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69804B2 (ja) 2022-05-18
US10716974B2 (en) 2020-07-21
US20200298071A1 (en) 2020-09-24
US11110326B2 (en) 2021-09-07
US20190255393A1 (en) 2019-08-22
KR20190100002A (ko) 2019-08-28
CN209451246U (zh) 2019-10-01
JP2019141225A (ja)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4217B1 (ko) 골프 클럽 헤드
US7390271B2 (en) Golf club head
US9011270B2 (en) Iron type golf club head
US9138622B1 (en) Multiple-material iron
JP4856156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S6335268A (ja) ゴルフクラブのヘツド
US10245483B2 (en) Golf club head
JP6405965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1027176B2 (en) Golf club head with hosel support structure
US20180104547A1 (en) Golf Club Head With Hosel Support Structure
US20080214323A1 (en) Golf club head
JP5156994B2 (ja) アイアン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アイアンゴルフクラブ
JP4528281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0369428B2 (en) Golf club head
JP6827310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0709940B2 (en) Golf club with weight and external rib in recess on sole
JP2018093959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1213727B2 (en) Golf club head
JP2005287528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746867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077819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20116237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5052545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20240052884A (ko) 보강 클럽 헤드 페이스를 구비하는 클럽 헤드와 관련 방법
JP2005279079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