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762B1 - 실외기, 공기 조화기, 팬 가드 및 팬 가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실외기, 공기 조화기, 팬 가드 및 팬 가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762B1
KR102591762B1 KR1020207011588A KR20207011588A KR102591762B1 KR 102591762 B1 KR102591762 B1 KR 102591762B1 KR 1020207011588 A KR1020207011588 A KR 1020207011588A KR 20207011588 A KR20207011588 A KR 20207011588A KR 102591762 B1 KR102591762 B1 KR 102591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radial
outdoor unit
fan guard
fre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0035A (ko
Inventor
타케시 타카하라
히데키 이시카와
스구루 나카가와
제민 최
재성 유
준호 윤
동식 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00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0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with outlet air in upward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Abstract

팬 가드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면서 송풍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실외기(100)는 상부벽(11)에 공기 토출구(X)가 형성되는 하우징(10)과, 공기 토출구(X)에 대응하도록 하우징(10) 내에 마련된 송풍팬(20)과, 송풍팬(20)을 덮는 팬 가드(30)를 포함하고, 팬 가드(30)는 송풍팬(20)의 직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환상 리브(32)와, 복수의 환상 리브(32)를 연결하는 방사상 리브(33)를 포함하며, 방사상 리브(33)의 자유단부(3a)는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며, 각 자유단부(3a)를 포함하는 한 쌍의 대향 조각부(3b)는 서로 면 접촉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실외기, 공기 조화기, 팬 가드 및 팬 가드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상향 타입의 실외기, 이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이 실외기에 상용되는 팬 가드, 및 이 팬 가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향 타입의 실외기로는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공기 토출구에 대응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과, 송풍팬을 덮는 팬 가드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
팬 가드는 송풍팬의 직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된 복수의 환상 리브와, 이러한 환상 리브를 연결하는 방사상 리브를 갖고 있다.
그런데, 상향 타입의 실외기에서는 위쪽에서 물건이 떨어질 가능성을 대비해서, 수평 타입의 실외기에 비해 팬 가드에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가 높아 리브가 두꺼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상향 타입의 실외기로는, 예를 들어 빌딩의 옥상 등에 설치된 대형이 있으며, 이러한 대형은 송풍량이 크기 때문에 특히, 송풍팬의 선회류를 방해하는 방사상 리브가 굵으면 송풍 저항으로 작용하여 송풍 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 제2009-85562호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팬 가드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면서 송풍 저항을 저감시키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는 상부벽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공기 토출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된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덮는 팬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팬 가드는 상기 송풍팬의 직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환상 리브와, 상기 복수의 환상 리브를 연결하는 방사상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상 리브의 자유단부는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각 자유단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대향 조각부는 서로 면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외기는 방사상 리브의 자유단부가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한 쌍의 대향 조각부가 서로 면 접촉 때문에 방사상 리브의 폭 치수를 가급적 줄일 수 있어 송풍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자유단부가 서로 어긋나서 면 접촉하고 있으면, 송풍팬으로부터의 바람이 닿는 부분(면적)이 많아져 버리고, 그 부분이 음원이 되어 소음이 생긴다.
따라서, 상기 자유단부는 각각 서로 면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일 경우 송풍팬으로부터의 바람이 닿는 부분을 적게 할 수 있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벽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구를 형성하는 내연부는 상기 환상 리브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일 경우, 방사상 리브와 상부벽의 교차부의 내연부가 일체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교차부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자유단부가 위쪽을 향하고 있으면, 자유단부의 틈새에 빗물이 고여 리브가 부식되어 버리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자유단부는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상 리브뿐만 아니라 환상 리브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면서 송풍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환상 리브는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자유단부가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각 자유단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대향 조각부가 서로 면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리브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환상 리브의 폭 치수와 상기 방사상 리브의 폭 치수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각 리브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각 리브의 폭 치수가 너무 작으면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없고, 너무 크면 각 리브를 절곡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같은 단면에서 볼 때 높이 치수가 너무 크면 한 쌍의 대향 조각부가 열려 버려 송풍 저항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환상 리브 및 상기 방사상 리브는 각각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폭 치수(W)와 높이 치수(H)의 비율이 0.1 < 폭 치수(W) / 높이 치수(H) < 0.5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상기 폭 치수(W)는 1mm 이상 3.2mm 이하, 그리고 상기 높이 치수(H)는 2.5mm 이상 7.5mm 이하인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팬 가드의 기계적 강도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팬 가드가 상기 각 방사상 리브가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송풍팬 축의 위쪽에 위치하는 평판상의 보호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판에 위쪽으로 돌출하는 보강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외기의 외형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상기 환상 리브 및 상기 방사상 리브는 상기 보호판보다 위쪽으로 돌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상 리브 및 상기 방사상 리브는 상기 상부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일 경우,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비용 절감 및 조립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도 본 발명의 하나이며, 이러한 공기 조화기라면 상술한 작용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팬 가드는 상부벽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공기 토출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된 송풍팬을 포함하는 실외기에 사용되는 팬 가드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직경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환상 리브와, 상기 복수의 환상 리브를 연결하는 방사상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상 리브의 자유단부는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각 자유단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대향 조각부는 서로 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이러한 팬 가드를 이용하면, 상술한 실외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팬 가드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면서 송풍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의 실외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의 팬 가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의 팬 가드의 보호판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팬 가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의 팬 가드의 교차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의 공기 토출구의 내연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의 팬 가드의 각 리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변형 실시 예의 팬 가드의 각 리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100)는 적어도 실내 열교환기를 갖는 실내기와 배관 연결되어 공기 조화기를 구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빌딩의 옥상 등에 설치되는 상향 타입의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실외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벽(11)에 공기 토출구(X)가 형성된 하우징(10)과, 공기 토출구(X)에 대응하도록 하우징(10) 내에 마련된 송풍팬(20)과, 송풍팬(20)을 덮는 팬 가드(30)를 구비하는 것이다.
하우징(10)은 미도시된 실외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예컨대,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측벽(12)에 흡기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하우징(10)은 공기 토출구(X)가 1 개 형성된 것이지만, 공기 토출구(X)는 복수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우징(10)의 상부벽(11)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장방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공기 토출구(X)는 송풍량을 늘리기 위해 가급적 큰 형상, 구체적으로는 상부벽(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약간 긴 형상을 하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기울어진 다각형을 이룬다. 공기 토출구(X)는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등 적절히 변경하여도 상관 없다.
송풍팬(20)은 미도시된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회전함으로써 공기의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우징(10) 내에 1 개의 송풍팬(20)을 마련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공기 토출구(X)를 복수개 형성하여 하우징(10) 내에 2 개 이상의 송풍팬(20)을 마련할 수도 있다.
팬 가드(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풍팬(20)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송풍팬(20)의 축의 위쪽에 위치하는 보호판(31)과, 송풍팬(20)의 직경 방향으로 이격해서 마련된 복수의 환상 리브(32)와, 복수의 환상 리브(32)를 연결하는 방사상 리브(33)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환상이란 원형, 다각형, 타원형의 환형태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보호판(31)은 공기 토출구(X)의 중앙에 위치하는 평판 형태이며, 여기에서는 공기 토출구(X)와 마찬가지로 다각형을 이룬다. 본 실시 예의 보호판(31)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으로 돌출되어 보호판(31)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보강부(34)가 마련되어 있다. 보강부(34)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하더라도 상관 없지만, 여기에서 보강부(34)는 보호판(31)의 중앙 부분을 모아서 위쪽으로 돌출시킨 원통형의 것이다.
환상 리브(32)는 여기에서는 공기 토출구(X)와 마찬가지로 다각의 환 형태를 이루는 것이며, 다각형의 각 변에 위치하는 복수의 직선형 리브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방사상 리브(33)는 보호판(31)의 외연과 공기 토출구(X)의 내연 사이에 놓여지는 직선형의 것이며, 여기에서는 보호판(31)의 다각형의 각 꼭지점으로부터 연장되어 각 환상 리브(32)의 다각형 꼭지점 부분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각 방사상 리브(33)와 각 환상 리브(32)의 교차부(3x)는 방사상 리브(33)의 연신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팬 가드(30)는 하우징(10)의 상부벽(11)과 일체로 마련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팬 가드(30)와 하우징(10)의 상부벽(11)은 예를 들어 판금 등의 단일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상 리브(32)나 방사상 리브(33)(이하, 각 리브(32, 33)라고도 함)가 되는 부분(z)이 남도록 판금 등에 복수의 관통공(h)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판금을 헤밍 가공 장비(P)로 프레스함으로써 남겨진 부분(z)의 자유단부(3a)를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이 부분(z)이 헤밍 가공되어 각 리브(32, 33)가 형성된다.
상술한 헤밍 가공으로 인해 환상 리브(32) 및 방사상 리브(33)가 교차하는 교차부(3x)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이 평면이고 하면에는 요홈부가 형성된 형상이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벽(11)에 있어서 공기 토출구(X)를 형성하는 내연부(X1)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리브(32, 33)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각 리브(32, 33)는 상부벽(11)의 상면이나 보호판(31)보다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며, 여기에서는 각 리브(32, 33)의 상면과 상부벽(11)의 상면이나 보호판(31)이 대략 동일면상이 되도록 하고 있다.
각 리브(32, 33)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자유단부(3a)를 포함하는 한 쌍의 대향 조각부(3b)와, 이러한 대향 조각부(3b)를 연결하는 절곡부(3c)를 갖고 있으며, 한 쌍의 대향 조각부(3b)는 서로 면 접촉하고 있다.
여기에서, 한 쌍의 대향 조각부(3b)는 대략 동일한 길이이며, 각 리브(32, 33)의 자유단부(3a)는 서로 겹쳐져서 면 접촉하고 있다. 즉, 각 리브(32, 33)는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대략 U 자형을 이룬다.
각 리브(32, 33)의 자유단부(3a)는 수평보다 하측, 즉 아래쪽을 향하고 있어서 절곡부(3c)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자유단부(3a)는 연직 방향의 아래쪽을 향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각 리브(32, 33)는 폭 치수가 판금 두께의 약 2 배가 되며, 여기에서는 각 리브(32, 33)가 각각 동일한 폭 치수이고, 동일한 높이의 치수이다.
여기서, 각 리브(32, 33)의 연신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경우, 각 리브(32, 33)의 폭 치수를 W, 높이 치수를 H라 하면, 폭 치수(W)가 너무 작으면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게 되고, 너무 크면 판금 가공이 곤란해진다. 또한, 높이 치수(H)가 너무 작으면 판금 가공이 곤란하고, 너무 크면 대향 조각부(3b)가 넓어져 송풍 저항이 커져 버린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각 리브(32, 33)는 0.1 <폭 치수(W) / 높이 치수(H) < 0.5를 만족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폭 치수(W)가 1mm 이상 3.2mm 이하, 그리고 높이 치수(H)가 2.5mm 이상 7.5mm 이하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실외기(100)라면 각 리브(32, 33)의 자유단부(3a)가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쌍의 대향 조각부(3b)가 서로 면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각 리브(32, 33)의 폭 치수를 가급적 줄일 수 있어 송풍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리브(32, 33)의 자유단부(3a)가 서로 면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송풍팬(20)으로부터의 바람이 닿는 부분을 적게 할 수 있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리브(32, 33)의 아래쪽을 트고 있기 때문에, 자유단부(3a)의 틈새나 교차부(3x)의 하면에 형성된 요홈부 등에 빗물이 모이기 어렵게 할 수 있어서 각 리브(32, 33)의 부식을 억제 할 수 있다.
나아가, 팬 가드(30)가 하우징(10)의 상부벽(1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비용 절감 및 조립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상부벽(11)에서 공기 토출구(X)를 형성하는 내연부(X1)가 환상 리브(32)나 방사상 리브(33)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방사상 리브(33)와 상부벽(11)의 교차부인 내연부(X1)를 일체로 구성할 수 있어, 방사상 리브(33)와 상부벽(11)의 교차부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리브(32, 33)의 폭 치수나 높이 치수를 동일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각 리브(32, 33)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보호판(31)에 보강부(34)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팬 가드(30)의 기계적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실시 예에서는 환상 리브(32)와 방사상 리브(33) 모두가 헤밍 가공되어 있지만, 환상 리브(32)에 비해 방사상 리브(33) 쪽이 송풍 저항으로 작용하는 경향을 감안하면, 적어도 방사상 리브(33)가 헤밍 가공되어 있으면 된다. 이러한 구성도 종래에 비해 팬 가드(30)의 기계적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송풍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의 각 리브(32, 33)는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대략 U 자형을 이루는 것이었지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단면에 있어서 대략 J 자형을 이루는 것일 수도 있다. 바꿔 말하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각 리브(33)의 한 쌍의 자유단부(3a)가 서로 면 접촉하고 있었지만, 일측의 자유단부(3a)만이 대향하는 대향 조각부(3b)에 면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 환상 리브(32)와 방사상 리브(33)가 모두 같은 폭 치수이고 동일한 높이 치수였지만, 환상 리브(32)와 방사상 리브(33)의 크기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팬 가드(30)와 하우징(10)의 상부벽(11)이 판금 등의 단일 부재로 구성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팬 가드(30)를 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해 상부벽(11)에 일체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팬 가드(30)와 상부벽(11)을 일체로 형성하면,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비용 절감 및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각 리브(32, 33)와 상부벽(11)의 상면이나 보호판(31)은 동일면상일 필요가 없으며, 예를 들어 각 리브(32, 33)가 상부벽(11)의 상면이나 보호판(31)보다 위쪽으로 불룩해 있을 수도 있다.
각 리브(32, 33)는 반드시 헤밍 가공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제조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바꾸어 상관 없다.
그 외,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실외기
X: 공기 토출구
10: 케이스
11: 상부벽
20:송풍팬
30: 팬 가드
31: 보호판
32: 환상 리브
33: 방사상 리브
3a: 자유단부
3b: 대향 조각부

Claims (20)

  1. 상부벽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공기 토출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을 덮는 팬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팬 가드는,
    상기 송풍팬의 직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환상 리브(rib); 및
    상기 복수의 환상 리브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리브는 각 자유단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대향 조각부를 가지고, 상기 방사상 리브의 각 자유단부는 상기 방사상 리브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한 쌍의 대향 조각부는 서로 면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실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구를 형성하는 내연부는 상기 환상 리브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실외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리브의 각 자유단부는 서로 면 접촉하고 있는 실외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리브의 각 자유단부는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실외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리브는 각 자유단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대향 조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상 리브의 각 자유단부는 상기 환상 리브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대향 조각부는 서로 면 접촉하고 있는 실외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리브의 폭 치수와 상기 방사상 리브의 폭 치수는 동일한 실외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리브 및 상기 방사상 리브는 각각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폭 치수(W)와 높이 치수(H)의 비율이 0.1 < 폭 치수(W) / 높이 치수(H) < 0.5인 실외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폭 치수(W)는 1mm 이상 3.2mm 이하, 그리고 상기 높이 치수(H)는 2.5mm 이상 7.5mm 이하인 실외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가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리브가 연결되고 상기 송풍팬 축의 위쪽에 위치하는 평판 형상의 보호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에는 위쪽으로 돌출되는 보강부가 마련되는 실외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리브 및 상기 방사상 리브는 상기 보호판보다 위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실외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리브 및 상기 방사상 리브는 상기 상부벽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실외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3. 상부벽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공기 토출구에 대응하도록 송풍팬을 포함하는 실외기에 사용되는 팬 가드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직경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환상 리브; 및
    상기 복수의 환상 리브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리브의 각 자유단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대향 조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상 리브의 각 자유단부는 상기 방사상 리브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대향조각부는 서로 면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팬 가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리브의 각 자유단부는 서로 면 접촉하고 있는 팬 가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리브의 각 자유단부는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팬 가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리브는 각 자유단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대향 조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상 리브의 각 자유단부는, 상기 환상 리브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대향 조각부는 서로 면 접촉하는 팬 가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리브 및 상기 방사상 리브는 각각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폭 치수(W)와 높이 치수(H)의 비율이 0.1 < 폭 치수(W) / 높이 치수(H) < 0.5인 팬 가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폭 치수(W)는 1mm 이상 3.2mm 이하이고, 상기 높이 치수(H)는 2.5mm 이상 7.5mm 이하인 팬 가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리브가 연결되고 상기 송풍팬 축의 위쪽에 위치하는 평판 형상의 보호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에는 위쪽으로 돌출되는 보강부가 마련되는 팬 가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리브 및 상기 방사상 리브는 상기 보호판보다 위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팬 가드.




KR1020207011588A 2017-12-20 2018-12-13 실외기, 공기 조화기, 팬 가드 및 팬 가드 제조 방법 KR102591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43669A JP6960327B2 (ja) 2017-12-20 2017-12-20 室外機、空気調和機、ファンガード、及びファンガード製造方法
JPJP-P-2017-243669 2017-12-20
PCT/JP2018/045819 WO2019124200A1 (ja) 2017-12-20 2018-12-13 室外機、空気調和機、ファンガード、及びファンガード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035A KR20200100035A (ko) 2020-08-25
KR102591762B1 true KR102591762B1 (ko) 2023-10-23

Family

ID=66994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588A KR102591762B1 (ko) 2017-12-20 2018-12-13 실외기, 공기 조화기, 팬 가드 및 팬 가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14243B2 (ko)
JP (1) JP6960327B2 (ko)
KR (1) KR102591762B1 (ko)
WO (1) WO20191242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800A (ko) * 2019-12-23 2021-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D1023264S1 (en) * 2021-09-02 2024-04-16 Xiaoxuan Liu Humidifi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93351A1 (en) 2006-02-07 2008-11-27 Carrier Corporation Self louver openi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5433U (ko) * 1985-12-20 1987-07-06
JP3725970B2 (ja) * 1998-02-05 2005-12-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室外ユニット
JP2003214658A (ja) * 2002-01-28 2003-07-30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4156884A (ja) * 2002-11-08 2004-06-03 Daikin Ind Ltd 送風ユニットのファンガード
JP2009014325A (ja) * 2007-07-09 2009-01-22 Toshiba Carrier Corp 熱源装置
JP2009085562A (ja) 2007-10-03 2009-04-23 Yanmar Co Ltd ファンガード
KR20100051460A (ko) * 2008-11-07 2010-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5282903B2 (ja) * 2009-10-19 2013-09-0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1085356A (ja) * 2009-10-19 2011-04-28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MX346109B (es) * 2012-11-30 2017-03-07 Plasticos Y Alambres S A De C V * Guarda para aparatos de aire acondicionado.
KR20160077835A (ko) 2014-12-24 201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JP6505443B2 (ja) * 2015-01-15 2019-04-24 シャープ株式会社 室外機用ファンガード
KR101769817B1 (ko) 2015-10-30 201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JP6730671B2 (ja) * 2016-05-31 2020-07-2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93351A1 (en) 2006-02-07 2008-11-27 Carrier Corporation Self louver ope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24200A1 (ja) 2019-06-27
US11614243B2 (en) 2023-03-28
KR20200100035A (ko) 2020-08-25
US20200348032A1 (en) 2020-11-05
JP2019109030A (ja) 2019-07-04
JP6960327B2 (ja)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1762B1 (ko) 실외기, 공기 조화기, 팬 가드 및 팬 가드 제조 방법
JP5282903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AU2019240622B2 (en) Outdoor unit of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US20200378628A1 (en) Fan unit, an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mprising fan unit
US5529092A (en) Air duct turning vane and rail assembly
CN105588193A (zh) 一种空调室内机
JP4884781B2 (ja) 空気調和装置用キャビネ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
JP5293684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1085356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5263539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9198049A (ja) 空気調和機
WO2019003338A1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7163036A (ja) 空気調和機用室外機
CN201589347U (zh) 一种空调器室内机
EP1918658A2 (en) Air conditioner
JP4141368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CN210399262U (zh) 冷凝器防护网、空调室外机和空调器
CN213931397U (zh) 出风结构以及具有其的空调器
CN219934136U (zh) 一种出风网罩及空调外机
JP2006337018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00011109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773060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2011052882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0175137A (ja) 空調用ダクト
JP3009047U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