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1460A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1460A
KR20100051460A KR1020080110633A KR20080110633A KR20100051460A KR 20100051460 A KR20100051460 A KR 20100051460A KR 1020080110633 A KR1020080110633 A KR 1020080110633A KR 20080110633 A KR20080110633 A KR 20080110633A KR 20100051460 A KR20100051460 A KR 20100051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s
shielding
outdoor unit
air condition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웅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0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1460A/ko
Publication of KR20100051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4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실외기 본체와; 상기 실외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실외 송풍팬과; 공기가 통과되도록 개구됨과 아울러 상기 실외 송풍팬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공기 토출구의 외부에 배치되는 토출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그릴은, 상기 공기 토출구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의 외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 부재와; 상기 테두리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를 차폐하는 복수개의 차폐 부재들과; 상기 복수개의 차폐 부재들의 일부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차폐 부재들의 일단을 각각 연결하는 중심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제품 제작에 있어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제품의 제작단가를 현저히 절감하는 이점을 가진다.
실외기, 토출그릴, 실외 송풍팬, 금형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Air condition's outdoor uni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분적으로 실외 송풍팬을 보호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작업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토출그릴을 부분적으로 금형 또는 사출 성형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쾌적한 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흡입공기를 처리하여 건물 또는 방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크게 일체형(window type)과 분리형(seperate type 또는 split type)이 있다.
상기한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냉각·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 및 압축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 중 분리형은 크게 실내 열교환기와 실내팬을 포함하는 실내기와,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실외 송풍팬을 포함하는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를 서로 연결하는 냉매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의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실외 송풍팬을 이용하여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데, 상기 공기 토출구를 통하여 작업자의 손이 상기 실외 송풍팬에 닿아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토출구가 상기 실외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그 직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실외기 본체 내부에 상기 실외 송풍팬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공기 토출구를 통하여 자유낙하하는 물체에 의하여 상기 실외 송풍팬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상기 공기 토출구를 통하여 공기가 통과되도록 개구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 토출구를 차폐하는 그릴 형상의 토출그릴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구성하는 토출그릴(100)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구성하는 토출그릴(100)은,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 그 지름이 상이한 복수개의 링 그릴들(105)과, 하나의 원 중심을 가지도록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상기 링 그릴들(105)을 원주에 직교되게 용접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 그릴들(110)과, 상기 복수개의 연결 그릴들(110)의 일단을 상기 링 그릴들(105)의 원 중심에서 용접 연결하는 중심부재(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토출그릴(100)은, 각각의 상기 링 그릴들(105)을 별도로 제작하고, 제작된 상기 링 그릴들(105)을 용접 연결하여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많아 제품의 생산속도가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실외 송풍팬을 보호하거나 작업자의 작업환경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토출그릴을 생산·제작함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금형화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공수를 줄이고, 이와 같은 상기 토출그릴의 금형화 작업으로 인하여 제품의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실외기 본체와; 상기 실외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실외 송풍팬과; 공기가 통과되도록 개구됨과 아울러 상기 실외 송풍팬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공기 토출구의 외부에 배치되는 토출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그릴은, 상기 공기 토출구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의 외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 부재와; 상기 테두리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를 차폐하는 복수개의 차폐 부재들과; 상기 복수개의 차폐 부재들의 일부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차폐 부재들의 일단 을 각각 연결하는 중심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 부재는, 다각형상을 갖고,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적층 배치되는 복수개의 와이어 리브들과;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리브들을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게 연결하는 복수개의 테두리 연결 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테두리 연결 리브들은, 상기 와이어 리브들의 각각의 꼭지점을 연결하여 모서리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서리 리브들과; 상기 와이어 리브들의 각각의 변을 연결하여 강성을 보강하는 복수개의 강성 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성 리브들 2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공기 토출구의 둘레에 상기 테두리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부재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중심부재와 상기 테두리 부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차폐 리브들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차폐 연결 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은, 상기 중심부재에서 이격될수록 서로 멀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부재는 금형 또는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은 적어도 하나의 교차점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그 교차점에서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이 형성하는 내각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이 형성하는 내각에 대한 상기 차폐 부재들 의 개수의 곱은 3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의 교차점에는,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을 서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중심 부재와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패널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부재는 원형의 판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복수개의 차폐 부재들의 일단이 각각 안착되는 안착 홈들이 형성된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덮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리브들은 상기 연결패널을 매개로 상기 안착판에 형성된 상기 안착 홈에 면용접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토출그릴을 생산·제작함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금형화 작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공수를 줄이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토출그릴의 금형화 작업으로 인하여 제품의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구성 중 토출그릴(200)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구성 중 테두리 부재(21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구성 중 차폐 부재(22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구성 중 중심 부재(23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의 구성 중 중심 부재(23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공기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된 실외기 본체(미도시)와; 상기 실외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실외 송풍팬(미도시)과; 공기가 통과되도록 개구됨과 아울러 상기 실외 송풍팬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공기 토출구의 외부에 배치되는 토출그릴(200)을 포함한다.
상기 토출그릴(200)은,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토출구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의 외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 부재(210)와, 상기 테두리 부재(210)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를 차폐하는 복수개의 차폐 부재들(220)과, 상기 복수개의 차폐 부재들(220)의 일부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차폐 부재들(220)의 일단을 각각 연결하는 중심 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테두리 부재(210)는 상기 토출그릴(200)을 상기 공기 토출구의 외측 테두리 부분에의 연결을 매개함과 동시에 상기 토출그릴(200)의 전체적인 골격을 이루는 역할을 한다.
상기 테두리 부재(210)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다각형상을 갖고,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적층 배치되는 복수개의 와이어 리브들(211)과, 상기 복수개 의 와이어 리브들(211)을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게 연결하는 복수개의 테두리 연결 리브들(2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리브들(211)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되 원형에 가까운 8각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 리브들(211)은 각각 그 변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순차적으로 그 변의 길이가 작거나 크게 형성된 복수개의 와이어 리브들(211)일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리브들(211)의 변이 각각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경우에는 각각의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리브들(211)이 적층 배치될 경우 수직되게 적층된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리브들(211)의 변이 상이할 경우 그 변의 길이가 큰 와이어 리브(211)가 맨 아래에 배치되고 위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그 변의 길이가 작은 와이어 리브(211)가 배치되어 상방으로 갈수록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적층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리브들(211)은 상기 복수개의 테두리 연결 리브들(212)에 의하여 용접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복수개의 테두리 연결 리브들(214)은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적층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리브들(211)의 각 변들에 대하여 수직되게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리브들(211)을 용접 연결시킨다.
상기 복수개의 테두리 연결 리브들(214)은, 상기 와이어 리브들(211)의 각각의 꼭지점을 연결하여 모서리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서리 리브들(213)과, 상기 와이어 리브들(211)의 각각의 변을 연결하여 강성을 보강하는 복수개의 강성 리브 들(21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 리브들(213)은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리브들(211)의 꼭지점을 서로 연결하여 수직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테두리 부재(210)의 입체적인 골격을 이루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강성 리브들(212)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 리브들(213) 사이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리브들(211)의 각 변에 대하여 수직되게 용접 연결되어 상기 테두리 부재(210)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강성 리브들(212) 2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공기 토출구의 테두리부에 상기 테두리 부재(210)를 고정시키도록 고정 고리(212a)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고리(212a)가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강성 리브들(212)은 각각 상기 고정 고리(212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일반적인 상기 강성 리브(212)와 순차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 부재(22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중심 부재(230)와 상기 테두리 부재(210)를 연결하는 한 쌍의 차폐 리브들(221)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221)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차폐 연결 리브들(222)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221)은 적어도 한 군데에서 각각의 일단이 서로 교차되는 교차점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타단 측으로 갈수록(즉, 상기 중심 부재(230)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221)은 어느 한 변을 구성하지 않는 3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221)이 형성하는 내각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합이 360°가 되는 갯수만큼 하나의 상기 토출그릴(200)에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22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차폐 연결 리브들(222)은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221)을 각각 연결시키되,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221)에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차폐 부재(220)는, 전체적으로 3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 부재(210)의 일변에 상기 차폐 리브들(221)의 타단이 용접 연결된다. 상기 차폐 부재(220)가 상기 테두리 부재(210)의 일변에 용이하게 용접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221)의 타단은 상기 테두리 부재(210)의 하부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차폐 부재(220)는,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221)이 서로 교차되는 교차점 부위에는,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221)을 서로 교차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중심 부재(230)와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패널(233)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복수개의 차폐 부재들(220)은 상기 테두리 부재(210)의 변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테두리 부재(210)의 각변에 대해 용접 연결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하나의 상기 토출그릴(200)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폐 부재들(220)은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221)과 상기 차폐 연결 리브들(222) 및 상기 연결패널(233)을 동시에 금형 또는 사출 성형 제작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토출그릴(200)과는 달리 상기 토출그릴(200)을 구성하 는 주요 일부 구성을 상술한 바와 같이 금형 또는 사출 성형 제작할 수 있게 된 바, 상기 토출그릴(200)을 제작함에 있어서 다수의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중심 부재(230)는, 도 5 및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복수개의 차폐 부재들(220)의 일단이 각각 안착되는 안착 홈(233)들이 형성된 안착판(231)과, 상기 안착판(231)의 일면에 결합되는 덮개판(2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 홈들(233)에는 상기 복수개의 차폐 부재들(220)에 각각 형성된 상기 연결패널(233)이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패널(233)을 상기 안착 홈(233)에 면용접 연결하여 상기 복수개의 차폐 부재들(220)의 일단을 상기 중심 부재(230)에 연결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중심 부재(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판(231)과 상기 덮개판(232)으로 분리된 구성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중심 부재는 하나의 부재로 구비되되, 상기 차폐 부재들에 형성된 상기 연결패널들이 각각 삽입되어 용접 연결되는 삽입 홈(미도시)이 두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토출그릴(200)을 공기 토출구의 외측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테두리 부재(210)를 상기 고정 고리(212a)가 형성된 상기 강성 리브들(212)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 토출구의 외측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각각 사출 성형 또는 금형 제작된 상기 복수개의 차폐 부재들(220)을 상기 중심부재의 안착 홈(233)(또는 삽입홈)에 용접 연결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복수개의 차폐 부재들(220)의 타단, 즉 절곡 형성된 상기 차폐 리브들(221)의 타단을 상기 테두리 부재(210)의 각 변에 용접 연결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토출그릴(200)은 부분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차폐 부재들(220)을 금형 또는 사출 성형 제작함으로써 작업공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바, 제품의 선행 제작이 가능함은 물론 제품의 제작단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토출그릴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구성 중 테두리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구성 중 차폐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구성 중 중심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구성 중 중심 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00: 토출그릴 210: 테두리 부재
211: 와이어 리브(들) 212: 강성 리브(들)
212a: 고정 고리 213: 모서리 리브(들)
214: 테두리 연결 리브(들) 220: 차폐 부재(들)
221: (한 쌍의) 차폐 리브(들) 222: 차폐 연결 리브(들)
223: 연결패널 230: 중심 부재
231: 안착판 232: 덮개판
233: 안착 홈

Claims (12)

  1.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실외기 본체와; 상기 실외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실외 송풍팬과; 공기가 통과되도록 개구됨과 아울러 상기 실외 송풍팬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공기 토출구의 외부에 배치되는 토출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그릴은,
    상기 공기 토출구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의 외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 부재와;
    상기 테두리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를 차폐하는 복수개의 차폐 부재들과;
    상기 복수개의 차폐 부재들의 일부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차폐 부재들의 일단을 각각 연결하는 중심 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부재는,
    다각형상을 갖고,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적층 배치되는 복수개의 와이어 리브들과;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리브들을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게 연결하는 복수개의 테두리 연결 리브들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테두리 연결 리브들은,
    상기 와이어 리브들의 각각의 꼭지점을 연결하여 모서리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서리 리브들과;
    상기 와이어 리브들의 각각의 변을 연결하여 강성을 보강하는 복수개의 강성 리브들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강성 리브들 2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공기 토출구의 둘레에 상기 테두리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고리가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중심부재와 상기 테두리 부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차폐 리브들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차 폐 연결 리브들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은, 상기 중심부재에서 이격될수록 서로 멀어지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금형 또는 사출 성형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은 적어도 하나의 교차점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그 교차점에서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이 형성하는 내각은 서로 동일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이 형성하는 내각에 대한 상기 차폐 부재들의 개수 의 곱은 360°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의 교차점에는, 상기 한 쌍의 차폐 리브들을 서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중심 부재와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패널이 결합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는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복수개의 차폐 부재들의 일단이 각각 안착되는 안착 홈들이 형성된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차폐 리브들은 상기 연결패널을 매개로 상기 안착판에 형성된 상기 안착 홈에 면용접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0080110633A 2008-11-07 2008-11-07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000514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633A KR20100051460A (ko) 2008-11-07 2008-11-07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633A KR20100051460A (ko) 2008-11-07 2008-11-07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460A true KR20100051460A (ko) 2010-05-17

Family

ID=42277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633A KR20100051460A (ko) 2008-11-07 2008-11-07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14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035A (ko) * 2017-12-20 2020-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외기, 공기 조화기, 팬 가드 및 팬 가드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035A (ko) * 2017-12-20 2020-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외기, 공기 조화기, 팬 가드 및 팬 가드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66801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01424427B (zh) 空调的室外机
JP4582818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6718134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US10113752B2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with a blowoff structure blowing air to all directions
US11162693B2 (en) Fan unit, an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mprising fan unit
JP2013007560A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20100051460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591762B1 (ko) 실외기, 공기 조화기, 팬 가드 및 팬 가드 제조 방법
JP2017215080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AU2018288739B2 (en) Air conditioning indoor unit
WO2019151313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5263539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218685B2 (ja) 床置き形空気調和機の据付器具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システム
EP3073207B1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JP3223911B2 (ja) 空気調和機
WO2019187536A1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H11337125A (ja) 空気調和機
JP4817904B2 (ja)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JP4141368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KR10148559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JP7137685B2 (ja) 天井埋め込み型エアコン
JP2018151137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H0886471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3009047U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