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0800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0800A
KR20210080800A KR1020190172751A KR20190172751A KR20210080800A KR 20210080800 A KR20210080800 A KR 20210080800A KR 1020190172751 A KR1020190172751 A KR 1020190172751A KR 20190172751 A KR20190172751 A KR 20190172751A KR 20210080800 A KR20210080800 A KR 20210080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crew
air conditioner
housing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충완
최제민
박현우
조은성
박규상
이부연
이한석
임창수
장근정
황두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2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0800A/ko
Priority to PCT/KR2020/018504 priority patent/WO2021132977A1/en
Priority to US17/130,830 priority patent/US11608994B2/en
Publication of KR20210080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6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내기와의 사이에 냉매를 순환시키는 실외기를 포함하며, 실외기는,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열교환기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1판과, 제1판의 모서리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고, 하우징 내외 사이의 공기를 유통시키는 통풍구를 가지며, 제1판보다 큰 내식성을 가지는 재질을 포함하고 제1판과 결합되도록 마련된 나사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사용 공간 내의 공기의 여러 속성을 조정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실내기에 대응하여 외부에 설치되는 실외기에서,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의 결합 구조에서 발생하는 부식을 저감시키는 구조의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사용 공간의 요구에 따라서, 온도, 습도, 청정도, 기류 등의 속성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장치를 지칭한다. 공기조화기는 기본적으로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기를 구비하고, 송풍기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사용 공간의 환경을 사용자에게 있어서 쾌적한 상태로 바꾼다. 공기조화기는 통상적으로 공기의 냉각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장치를 지칭하지만, 공기의 습도를 낮추기 위한 제습기, 공기의 청정도를 높이기 위한 공기청정기 등도 공기조화기에 포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기화열에 의한 냉각 원리를 사용하여, 냉각모드로 동작 시에 실내의 온도를 낮춘다. 액체가 기체로 기화할 때는 열을 흡수하고 기체가 액체로 응축할 때는 열을 방출하는데, 기화할 때 흡수하는 열이 기화열이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로 압력을 크게 변화시켜 기체 상태였던 냉각제를 액체로 응축한 후, 압력을 낮춰서 증발기 안에서 액체 상태의 냉각제를 다시 증기로 기화시키며, 기화되는 냉각제에 의해 열을 흡수함으로써 주위의 온도를 낮춘다. 자연현상에서 열은 원래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이동하지만, 공기조화기의 냉각 사이클을 통해서 반대 방향인 낮은 온도의 실내에서 높은 온도의 실외로 옮겨간다. 이를 위해, 공기조화기는 기화를 수행하여 찬 바람을 방출하는 실내기와, 응축을 수행하여 더운 바람을 방출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반면에 공기조화기가 난방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실내기가 응축을 수행하고 실외기가 기화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실내기가 더운 바람을 방출하고 실외기가 찬 바람을 방출하게 된다.
실외기는 응축 또는 기화를 수행하는 열교환기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하우징(housing)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상측 또는 전면에 개구를 가진 제1판과, 제1판의 개구를 커버하며 내부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를 가지는 제2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판 및 제2판은 강판 재질을 포함하는데, 스크루(screw)가 제1판 및 제2판과 접촉하여 체결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제1판 및 제2판에서 스크루에 접촉하는 영역은 부식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설사 제1판 및 제2판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도장 처리를 한다고 하더라도, 스크루의 체결로 인해 스크루에 접촉하는 각 영역의 도장이 벗겨지게 되므로, 도장이 부식을 방지하는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 또한, 실외기는 실외에 설치되는 특성 상, 비와 눈 등으로 인해 수분에 빈번하게 접촉하므로, 상기한 영역에서의 부식은 더욱 심해질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1판 및 제2판을 결합시키되,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와의 사이에 냉매를 순환시키는 실외기를 포함하며, 상기 실외기는, 상기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열교환기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1판과, 상기 제1판의 모서리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외 사이의 공기를 유통시키는 통풍구를 가지며, 상기 제1판보다 큰 내식성을 가진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판과 결합되도록 마련된 나사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판은, 상기 제2판의 나사결합부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루의 본체가 통과되며 상기 나사결합부보다 큰 직경을 가진 나사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판은, 상기 제2판의 본체의 모서리에서 상기 제1판과 평행하게 절곡 연장되며 상기 나사결합부가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제1판 및 상기 제2판의 순서대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루의 스크루헤드와 상기 제1판 사이에 개재된 연성 재질의 와셔(wash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판은 설치면에서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판은 상기 제1판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판 또는 상기 제2판은 금속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판의 재질은 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판의 나사수용부의 재질은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판의 두께는 2.5 내지 3밀리미터 범위 사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판의 외면은 내식성을 가지는 도료로 도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판의 상기 통풍구는 망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판은, 상기 통풍구를 커버하는 상기 망과 나사 결합되며 상기 망보다 큰 내식성을 가지는 망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판은, 상기 제2판의 모서리가 지지되도록 상기 제1판으로부터 돌출된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간략히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실외기의 하우징의 제2판이 제1판과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외기의 하우징의 제2판이 제1판과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스크루에 의한 제1판 및 제2판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제1판의 걸림턱의 구조를 제1판의 내측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판의 걸림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걸림턱 위에 걸림부가 지지된 상태를 외부로부터 본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판의 토출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나사결합부의 재질이 제2판과 상이한 경우에, 스크루에 의한 제1판 및 제2판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판 및 제2판의 나사 결합 구조에 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제1판 및 제2판의 나사 결합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제2판이 토출구를 형성하는 망을 포함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1판 및 제2판의 나사 결합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A 영역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서 스크루에 의해 제1판 및 제2판이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8은 실외기의 하우징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된 제2판이 제1판과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제1판 및 제2판의 나사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20은 제1판 및 제2판의 나사 결합 구조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1은 제1판 및 제2판의 나사 결합 구조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2는 제1판 및 제2판의 나사 결합 구조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3은 제1판 및 제2판의 나사 결합 구조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에, 본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전체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건물의 실내와 같이 온도를 조정하고자 하는 환경의 제1장소에 설치하는 실내기(10)와, 건물의 실외와 같이 상기한 환경 이외의 제2장소에 설치하는 실외기(20)를 포함한다. 실내기(10) 및 실외기(20) 사이에서 냉매가 순환 이동하며, 실내기(10) 및 실외기(20)는 에너지에 의해 각기 냉매의 상태를 조정함으로써 제1장소에서의 온도를 조정한다. 냉매의 순환은, 실내기(10) 내부의 배관, 실외기(20) 내부의 배관, 그리고 실내기(10) 및 실외기(20) 사이를 연결하는 외부 배관들이 상호 연통되게 마련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실내기(10) 및 실외기(20) 각각의 대수는 1:1, 1:N, M:1, M:N (M, N은 둘 이상의 자연수) 등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기본적으로 기화열에 의한 냉각을 이용한다. 냉매는 액체에서 기체로 기화할 때에는 열을 흡수하고, 반대로 기체에서 액체로 응축할 때에는 열을 방출한다. 냉매가 기화할 때 흡수하는 열이 기화열이다. 공기조화기(1)는 냉매가 액체 및 기체 사이를 변화하는 상변화를 이용하므로, 공기조화기(1)에 사용되는 냉매는 기화점이 낮고 기화열이 큰 것이 사용된다. 또한, 공기조화기(1)의 실내외 배관이 주로 금속으로 마련되는 바, 냉매는 배관에 사용되는 금속을 부식시키지 않을 특성이 요구된다. 또한, 냉매가 겨울에 얼게 되면 곤란하므로, 사용 지역에 따라서는 저온에서도 액상으로 존재할 수 있는 냉매가 요구될 수 있다.
이하, 공기조화기(1)에 마련된 구성요소들에 관해 설명한다. 각 구성요소들은 실내기(10) 또는 실외기(20)로 각각의 설치위치가 구분된다. 이하 설명하는 공기조화기(1)의 구성요소들만으로 공기조화기(1)가 구현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설계 방식이 공기조화기(1)에 적용될 수 있는 바, 공기조화기(1)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지 않은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10)에는 실내 열교환기(110), 제1팽창밸브(expansion valve)(120) 등이 마련된다. 실외기(20)에는 실외 열교환기(130), 압축기(compressor)(140), 제2팽창밸브(150), 축압기(accumulator)(160), 포웨이밸브(four-way valve)(170), 서비스밸브(service valve)(180) 등이 마련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요소들 사이에는 다양한 경로를 형성하는 배관들이 설치됨으로써, 냉매가 구성요소들 사이를 이동하도록 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관해 간략히 설명한다.
실내 열교환기(110)는 냉매 및 대기 사이에 열에 관한 상호작용을 수행되게 함으로써, 냉매의 상변화와 이에 따른 주위 환경의 온도의 조정을 수행한다. 실내 열교환기(110)는 공기조화기(1)가 냉방모드일 때 증발기(evaporator)로 동작하고, 난방모드일 때 응축기(condenser)로 동작한다. 실내 열교환기(110)는 냉방모드 시에 냉매를 증발시켜 흡열반응을 일으킴으로써, 냉매가 기상으로 변화하고 주위 환경의 온도가 내려가도록 한다. 실내 열교환기(110)는 난방모드 시에 고온 및 고압의 냉매를 응축시켜 발열반응을 일으킴으로써, 냉매가 액상으로 변화하고 주위 환경의 온도가 올라가도록 한다.
제1팽창밸브(120)는 냉방모드에서 실외 열교환기(130)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실내 열교환기(110)로 전달한다. 제1팽창밸브(120)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줄어든 경로로 냉매를 통과시켜 냉매의 압력을 낮춤으로써, 차후 냉매의 증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실외 열교환기(130)는 기본적인 동작 방식이 실내 열교환기(110)와 유사하다. 다만, 실외 열교환기(130)는 각 모드 시에 실내 열교환기(110)와 반대로 동작한다. 즉, 실외 열교환기(130)는 냉방모드 시에 응축기로 동작하고, 난방모드 시에 증발기로 동작한다. 실외 열교환기(130)는 냉방모드 시에 실내 열교환기(110)에서 흡수된 열을 방출시킴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내리는 역할을 수행하며, 난방모드 시에는 그 반대의 역할을 수행한다.
압축기(140)는 각 모드 별로 증발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실내 열교환기(110) 또는 실외 열교환기(130)로부터 전달되는 기상의 차가운 냉매를 압축시켜, 냉매를 고온 및 고압의 기상으로 조정한다. 압축기(140)가 냉매를 압축시킴으로써, 높은 온도에서 액상으로의 상변화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40)는 저압의 냉매를 흡입하여 고압의 냉매를 배출함으로써, 냉매가 공기조화기(1) 내에서 순환 사이클을 형성하도록 이동하는 힘을 부여한다.
제2팽창밸브(150)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기능의 측면에서는 제1팽창밸브(120)와 동일하다. 제2팽창밸브(150)는 난방모드에서 실내 열교환기(110)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실외 열교환기(130)로 전달한다.
축압기(160)는 유입되는 냉매 중에서 기상의 냉매만이 압축기(140)로 전달되도록 한다. 증발된 냉매는 경우에 따라서 완전 증발이 일어나지 못하고 일부 액상을 포함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축압기(160)는 액상 냉매가 압축기(140)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포웨이밸브(170)는 냉방모드 및 난방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실외기(20) 내에서 냉매의 경로를 전환한다. 포웨이밸브(170)는 현재 모드에 대응하여 냉매의 이동을 조정함으로써, 모드 별로 실내 열교환기(110) 및 실외 열교환기(130)의 동작이 전환되도록 한다.
서비스밸브(180)는 공기조화기(1) 전체의 배관을 통한 냉매의 순환 사이클에, 관리자가 진공상태 조정 및 냉매 보충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밸브이다.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사이클 내의 냉매가 부족하게 되어 냉난방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에, 서비스밸브(180)를 통해 추가적인 냉매가 보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는 공기조화기(1)의 상기한 구성요소들을 비롯한 구조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지시하기 위한 컨트롤러(controller) 또는 프로세서(processor)(19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90)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된 CPU,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칩셋(chipset), SOC(system-on-chip) 등의 하드웨어 회로로 구현된다. 프로세서(190)는 실내기(10) 또는 실외기(20)에 설치되거나, 또는 실내기(10) 및 실외기(20)가 각기 설치되거나, 실내기(10) 및 실외기(20)가 아닌 별도의 장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실외기(20)에 관해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간략히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20)는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압축기(140)는 하우징(210)의 하부에 수용되며 냉매를 압축한다. 실외 열교환기(130)는 하우징(210) 내 압축기(140) 주변에 배치되며 실외기(20) 주변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한다. 또한, 실외기(20)는 하우징(210)의 상부에 수용되며 실외 공기가 하우징(210)을 통과하여 실외 열교환기(130)에서 열교환이 수행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240)을 포함한다. 실외기(20)는 팬(24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250)를 포함한다.
본 도면에서는 X 및 Z 방향이 나타나 있다. Z 방향은 상하방향이며, X 방향은 X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이다. 본 도면에서는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Y 방향은 Z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이면서, X 방향에 직교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방향의 정의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실외기(20)는 하우징(210) 내부의 공기가 Z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측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하우징(210)은 실외 열교환기(130) 및 압축기(140)를 수용하며 상측이 개방된 제1판(220)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210)은 제1판(220)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2판(230)을 포함한다.
제1판(220)은 Z 방향을 따라서 연장됨으로써 하우징(210)의 측벽을 형성한다. 제1판(220)은 하우징(210)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210) 내부로 흡입되도록 관통된 흡입구(221)를 가진다. 흡입구(22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실외 열교환기(130)를 거치면서 열교환되며, 하우징(210) 상측으로 이동한다.
제2판(230)은 X 방향을 따라서 평행한 판면을 가지며, 제1판(220)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함으로써 팬(240)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2판(230)은 팬(240)과 마주하는 판면 상에 하우징(210) 내부의 공기가 하우징(210) 외부로 배출되도록 관통된 토출구(231)를 가진다. 하우징(210) 내부의 공기는 회전하는 팬(240)을 거쳐서 토출구(231)를 통해 Z 방향으로 배출된다.
이하, 제1판(220) 및 제2판(230)의 지지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실외기의 하우징의 제2판이 제1판과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외기의 하우징의 제2판이 제1판과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판(220)의 전체가 아니라, 제2판(230)이 결합 및 지지되는 제1판(220)의 상측 요부만을 나타낸다.
제1판(220)은 하우징(210)의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기립된 측벽플레이트(2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Z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연장된 두 쌍의 측벽플레이트(222)가 사각형의 기둥을 형성하지만, 이는 한 가지 형상의 예시일 뿐, 제1판(220)의 구조 또는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측벽플레이트(222)에 의해 구성된 제1판(220)의 Z 방향 단부는 개방됨으로써, 제1판(2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제1판(220) 또는 측벽플레이트(222)는 강판과 같이 강성을 고려한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판(220)은 측벽플레이트(222)의 일 영역, 예를 들면 측벽플레이트(222)의 상측 영역에 관통 형성된 나사관통홀(223)을 포함한다. 나사관통홀(223)은 제2판(230)이 제1판(220)에 지지되면(도 4 참조), 후술할 제2판(230)의 나사결합부(234)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나사관통홀(223)은 제1판(220) 및 제2판(230)의 스크루(260) 결합에 관여되는 구성요소이며,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판(220)은 측벽플레이트(222)의 일 영역, 예를 들면 측벽플레이트(222)의 상측 모서리에 근접한 위치에, 제1판(220)이 안착되도록 마련된 걸림턱(224)을 포함한다. 걸림턱(224)은 후술할 제1판(220)의 걸림부(235)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며,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판(220)은 측벽플레이트(222)의 일 영역, 예를 들면 측벽플레이트(222)의 상측 모서리로부터, 내측(하우징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 제1걸림턱(224)을 포함한다. 제1걸림턱(224)은 제2판(230)의 후술할 제1걸림부(235)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제1판(220)은 제1걸림턱(224)에 근접한 측벽플레이트(222)의 내측면으로부터 제1걸림턱(224)과 단차를 두도록 연장된 제2걸림턱(225)을 포함한다. 제2걸림턱(225)은 제2판(230)의 후술할 제2걸림부(236)가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제2판(230)은 제1판(220)의 개구를 커버하도록 해당 개구의 형상에 대응하게 마련된다. 제2판(230)은 사각형의 플레이트이며, 중앙영역에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토출구(231)를 가진다. 제2판(230)은 알루미늄과 같이 내식성을 고려한 금속 재질을 포함한다.
제1판(220) 및 제2판(230) 각각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외기의 하우징에 요구되는 다양한 사항을 고려하여, 제1판(220)은 강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을, 제2판(230)은 제1판(220)보다 우수한 내식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2판(230)은 중앙영역에 토출구(231)가 형성된 커버플레이트(232)를 포함한다. 커버플레이트(232)는 제1판(220)의 개구 형상에 대응하며 제1판(220)의 개구를 커버하는 크기를 가진다. 커버플레이트(232)는 본 도면 상에서 X-Y 면에 평행한 사각형의 판면을 가진다. 제2판(230)의 두께, 또는 커버플레이트(232)의 두께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플레이트(232)가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에, 커버플레이트(232)의 두께는 2.5mm 내지 3mm 사이의 범위에서 마련된다. 만일 커버플레이트(232)가 2.5mm 미만의 두께를 가지게 되면 제2판(230)의 강성이 보장되지 않으며, 3mm를 초과하는 두께를 가지게 되면 제조 단가가 과도하게 상승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커버플레이트(232)는 상기한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진다.
또한, 제2판(230)은 커버플레이트(232)로부터 하향 절곡된 절곡부(233)를 가진다. 절곡부(233)는 커버플레이트(232)의 모서리로부터 -Z 방향으로 직교하게, 제1판(220)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절곡부(233)의 연장 길이 또는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절곡부(233)는 사각형의 커버플레이트(232)의 네 방향 모서리에 모두 마련될 수도 있고, 커버플레이트(232)의 네 방향 모서리 중에서 서로 마주하는 두 모서리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절곡부(233)는 제2판(230)이 제1판(220)에 지지되면(도 4 참조), 제1판(220)의 내부, 즉 하우징 내부로 수용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절곡부(233)에 접하는 커버플레이트(232)의 폭은 제1판(220)의 개구의 폭보다 작게 마련됨으로써, 제2판(230)의 모든 절곡부(233)가 제1판(22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는, 제2판(230)을 제1판(220)에 결합시킴에 있어서 부식 방지를 고려한 방안인 바,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제2판(230)은 스크루(260)가 체결되도록 절곡부(233)에 관통 형성된 체결홀을 포함하는 나사결합부(234)를 포함한다. 나사결합부(234)는 절곡부(233)의 연장방향에 직교하게, 즉 X 방향 또는 Y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나사결합부(234)는 절곡부(233)를 관통하여 형성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스크루(260)와 나사 결합이 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2판(230)은 제1판(220)의 제1걸림턱(224)에 지지되는 제1걸림부(235)를 포함한다. 제1걸림부(235)는 제1판(220)의 모서리로부터 제1판(220)의 내측영역을 향해 함몰된 영역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제1걸림턱(224)을 수용한다. 제1걸림턱(224)을 수용한 제1걸림부(235)는 제1걸림턱(224)에 의해 가로방향(즉, X 방향 및 Y 방향)에 따른 이동이 제한된다. 이로써, 제2판(230)이 제1판(220)에 지지된다.
또한, 제2판(230)은 제1판(220)의 제2걸림턱(225)에 지지되는 제2걸림부(236)를 포함한다.
제2판(230)이 제1판(220)에 결합되는 경우에, 절곡부(233)가 측벽플레이트(222)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제2판(230)이 제1판(220)의 개구를 커버한다. 제2걸림부(236)는 제2걸림턱(225)에 지지됨으로써, 제2판(230)이 제1판(220) 내의 수용공간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판(220)의 외부로부터 스크루(260)가 나사관통홀(223) 및 나사결합부(234)에 수용 및 결합됨으로써, 제2판(230)이 제1판(220)에 결합된다.
이하, 제1판(220) 및 제2판(230)의 결합 구조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스크루에 의한 제1판 및 제2판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판(230)은 제1판(220)의 모서리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제2판(230)의 커버플레이트(232)는 상측을 향하며, 절곡부(233)는 제1판(220)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1판(220)의 나사관통홀(223)과 제2판(230)의 나사결합부(234)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 즉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판(220)의 외부, 본 도면의 경우에 제1판(220)의 좌측에서 사용자가 X 방향을 향해서 보면, 나사관통홀(223) 및 나사결합부(234)을 통해 제1판(220)의 내부가 보이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판(220)의 외부, 본 도면의 경우에 제1판(220)의 좌측으로부터 스크루(260)가 나사관통홀(223)을 통과하여 나사결합부(234)에 나사 결합된다. 스크루(260)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플레이트로 구현된 헤드(261)와, 헤드(261)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그 외주면에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나사산을 가진 나사본체(262)를 포함한다. 헤드(261)의 직경은 나사본체(262)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된다.
나사결합부(234)의 직경 W1은 나사본체(262)의 직경에 대응함으로써, 나사본체(262) 및 나사결합부(234)의 나사 결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나사관통홀(223)의 직경 W2는 W2>W1을 만족함으로써, 나사결합부(234)에 나사 결합된 나사본체(262)가 나사관통홀(223)에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또한, 헤드(261) 및 제1판(220) 사이에는 와셔(washer)(270)가 개재된다. 와셔(270)는 플라스틱, 수지, 고무 등의 내식성이 강한 연성 재질을 포함하고, 중앙에 홀이 형성된 링 형상의 부재이다. 와셔(270)는 나사본체(262)가 나사결합부(234)에 나사 결합이 되어 있는 동안 헤드(261)가 제1판(22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판(220) 및 제2판(230)의 결합 구조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스크루(260)의 나사본체(262)는 제1판(220)의 나사관통홀(223)에 접촉이 최소화되도록 관통하여 제2판(230)의 나사결합부(234)에 나사 결합된다. 와셔(270)가 스크루(260)의 헤드(261) 및 제1판(220) 사이의 접촉을 차단한다. 스크루(260)의 헤드(261) 및 제2판(230)의 절곡부(233) 사이에 제1판(220)이 개재된 상태가 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내식성이 약한 제1판(220)에는 스크루(260)의 접촉이 최소화되고 상대적으로 내식성이 강한 제2판(230)에 스크루(260)가 접촉하게 된다.
이로써, 스크루(260)가 제1판(220)에 접촉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방지하면서도, 제2판(230)을 제1판(2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나사관통홀(223)을 포함하여 제1판(220)에 부식 방지를 위한 도금 또는 도장 처리가 수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루(260)가 제1판(220)에의 접촉이 최소화되므로, 스크루(260)의 접촉으로 인해 제1판(220)의 도금 또는 도장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제2판의 낙하를 방지하는 걸림부 및 걸림턱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제1판의 걸림턱의 구조를 제1판의 내측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판의 걸림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걸림턱 위에 걸림부가 지지된 상태를 외부로부터 본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판(220)의 제2걸림턱(225)은 제1판(220)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다. 제2걸림턱(225)의 높이는 측벽플레이트(222)의 높이보다 소정 거리 낮게 마련됨으로써, 제2걸림턱(225)에 지지되는 제2판(230)이 제1판(220)으로부터 X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제1걸림턱(224)의 높이가 H1이고 제2걸림턱(225)의 높이가 H2일 때, H1>H2를 만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걸림턱(225)이 나사관통홀(223)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제2걸림턱(225)의 위치가 반드시 나사관통홀(223)에 근접할 필요는 없다. 다만, 제2걸림턱(225)이 제2판(230)의 낙하를 방지하고 제2판(230)을 지지하는 특성 상, 측벽플레이트(222)의 상측 모서리(즉, 측벽플레이트(222)의 Z 방향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측벽플레이트(222)의 일 영역이 측벽플레이트(222)의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제2걸림턱(225)이 측벽플레이트(222)의 이 돌출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제2걸림턱(225)의 형상, 위치, 개수 등은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제2걸림턱(225)은 측벽플레이트(222)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제2판(23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제2판(230)의 제2걸림부(236)는 커버플레이트(232)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걸림부(236)가 커버플레이트(232)의 모서리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된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는 제2걸림턱(22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된 것 뿐이며 제2걸림부(236)의 형상이 어느 한 가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와 같이 제2걸림부(236) 및 제2걸림턱(225)이 전체적인 하우징에서 함몰된 형상을 가지는 경우, 가로방향(X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에 대해 제2판(230)을 지지할 수 있다.
이하, 제2판의 토출구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제2판의 토출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판(230)은 커버플레이트(232)의 일 영역, 예를 들면 커버플레이트(232)의 중앙영역에 토출구(231)가 관통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플레이트(232)의 일 영역이 관통되는 방식으로 토출구(231)가 형성된다. 다만,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토출구(231)를 형성하는 구성요소가 커버플레이트(232)와 일체형이 아닐 수도 있는 바,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커버플레이트(232)는 토출구(231)를 형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232)의 하측에 팬(240)이 배치된 경우에, 커버플레이트(232)는 팬(240)의 회전축이 위치하는 중앙영역을 형성하는 중앙부(311)를 포함한다. 커버플레이트(232)는 네 방향 모서리에 인접하여 중앙부(311)를 둘러싸는 주변부(312)를 포함한다. 커버플레이트(232)는 중앙부(311)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서 주변부(312)까지 연장된 복수의 제1프레임부(313)를 포함한다. 커버플레이트(232)는 상호 인접한 두 제1프레임부(313) 사이를 잇도록 연장된 복수의 제2프레임부(31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커버플레이트(232) 상에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토출구(231)가 형성된다.
중앙부(311), 주변부(312), 제1프레임부(313), 제2프레임부(314)의 형상에 따라서 토출구(231)의 구조가 결정되며, 이 구조는 설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 가지 예를 들면, 제1프레임부(313)는 직선으로 연장된 것이 아닌, 팬(240)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구부러질 수도 있다. 팬(2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된 경우, 제1프레임부(313) 또한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짐으로써 토출구(231)를 통한 공기의 토출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호 인접하는 두 제2프레임부(314) 사이의 간격이 클수록 토출구(231)가 점유하는 면적이 늘어나므로 유로 저항이 감소하고, 해당 간격이 작을수록 토출구(231)가 점유하는 면적이 줄어들므로 강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상기한 간격은 유로 저항과 강성 사이에서 적절히 설계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24mm 이하로 설계하면 유로 저항과 강성이 적절히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제2프레임부(314)는 중앙부(311)에 가까워질수록 곡률이 증가하고, 주변부(312)에 가까워질수록 곡률이 감소하여 직선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중앙부(311)로부터 멀어질수록, 인접한 두 제1프레임부(313)를 잇는 제2프레임부(314)의 길이가 늘어나기 때문에, 주변부(312)에 가까이 배치된 제2프레임부(314)에 대한 강성의 요구치가 높아진다. 제2프레임부(314)는 주변부(312)에 가까울수록 직선에 가깝게 연장됨으로써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마련된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2판 전체가 알루미늄과 같이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마련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판에서 적어도 스크루가 접촉하는 영역만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을 포함하는 설계도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나사결합부의 재질이 제2판과 상이한 경우에, 스크루에 의한 제1판 및 제2판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판(410) 및 제2판(420)이 스크루(430)에 의해 결합된다. 제1판(410)에는 나사관통홀(411)이 형성된다. 제2판(420)에는 커버플레이트(421)와, 절곡부(422)와, 나사결합부(423)가 형성된다. 스크루(430)의 나사본체(432)는 나사관통홀(411)을 접촉하지 않도록 통과하여 나사결합부(423)에 나사 결합된다. 스크루(430)의 헤드(431) 및 제1판(410) 사이에는 와셔(440)가 개재된다. 제1판(410) 및 제2판(420)의 결합 방식은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2판(420)은 재질 측면에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커버플레이트(421) 및 절곡부(422)는 제1판(4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강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나사결합부(423)는 절곡부(422)의 재질과 상이하게, 상대적으로 내식성이 강한 알루미늄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2판(420) 전체가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제2판(420)에서 스크루(430)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결합부(423)만이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마련된다. 나사결합부(423)는 예를 들면 중앙에 홀이 관통된 링 형상의 부재를 포함하며, 나사본체(432)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중앙의 홀의 내주면에 마련된다. 절곡부(422)는 이러한 나사결합부(423)를 수용 및 지지하기 위한 홀을 가지며, 나사결합부(423)는 절곡부(422)의 이러한 홀에 끼워맞춤되거나, 용접, 접착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절곡부(422)에 결합된다.
이러한 설계 방식은, 제2판(420)에 요구되는 강성의 수준이 높은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제1판 및 제2판의 다양한 구조의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제1판 및 제2판의 나사 결합 구조에 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측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의 하우징은 제1판(510)과 제2판(520)을 포함한다. 제1판(510)은 기립된 측벽플레이트(511)를 포함한다. 또한, 제1판(510)은 측벽플레이트(511)의 일단부로부터 절곡된 측벽절곡부(512)를 포함한다. 또한, 제1판(510)은 측벽절곡부(512) 하측에 측벽플레이트(51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턱(51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의 좌측(하우징의 X 방향 측)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실시예의 구조는 하우징의 우측(하우징의 -X 방향 측)에도 대칭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즉, Y 방향에서 볼 때 본 실시예의 구조가 하우징의 좌우에 대칭적으로 마련된다.
측벽플레이트(511)가 Z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것에 비해, 측벽절곡부(512)는 측벽플레이트(511)의 Z 방향 단부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어 X 방향을 따라서 소정 거리 연장된다. 측벽절곡부(512) 상에는 나사관통홀(514)이 Z 방향을 따라서 관통 형성된다. 측벽절곡부(512)는 걸림턱(513)과 함께 제2판(520)의 모서리(즉, 제2판(520)의 X 방향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걸림턱(513)은 측벽절곡부(512)와 평행하게 X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걸림턱(513)은 측벽절곡부(512)의 하측에 측벽절곡부(512)에 근접하게 돌출됨으로써, 측벽절곡부(512)와의 사이에 제2판(520)의 모서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걸림턱(513)은 제2판(520)이 -Z 방향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판(520)을 지지한다.
제2판(520)은 사각형의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제2판(520)의 모서리의 두께는 적어도 측벽절곡부(512) 및 걸림턱(513) 사이의 거리보다 작으며, 이로써 제2판(520)의 모서리가 측벽절곡부(512) 및 걸림턱(513)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제2판(520)의 모서리의 일 영역 상에는 스크루(53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결합부(521)가 관통 형성된다.
하우징에서 측벽절곡부(512) 및 걸림턱(513) 사이의 수용공간은, Y 방향측 또는 -Y 방향측이 개방된다. 이 개방된 영역을 통해 제2판(520)을 제1판(510)에 탈착 가능하도록 슬라이드하며 이동이 가능하다. 즉, 측벽절곡부(512)의 -Y 방향측으로부터 제2판(520)의 X 방향 모서리가 상기한 수용공간에 수용되기 시작하며, 제2판(520)이 Y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제2판(520)은 상기한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제2판(520)이 제1판(5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는, 상기한 동작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나사결합부(521)가 나사관통홀(514)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제2판(520)이 슬라이드 이동하면, 스크루(530)가 측벽절곡부(512)의 상측으로부터 나사결합부(521)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1판(510) 및 제2판(520)이 결합된다. 스크루(530)는 나사관통홀(514)을 통과하여 나사결합부(521)에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나사관통홀(514)의 직경 W3은 나사결합부(521)의 직경 W4보다 크게 마련된다. 또한, 스크루(530)가 나사결합부(521)에 나사 결합되는 동안, 스크루(530) 및 측벽절곡부(512) 사이에는 와셔(540)가 개재된다. 이로써, 스크루(530)가 나사결합부(521)에 나사 결합되고, 스크루(530)는 측벽절곡부(512)를 포함하는 제1판(510)에 접촉하지 않는다.
제2판(520)이 제1판(510)보다 높은 내식성의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에, 본 실시예의 구조는 스크루(530)가 제1판(510)에 직접 접촉하는 영역을 최소한으로 억제함으로써 제1판(510)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벽절곡부(512)가 측벽플레이트(511)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측벽절곡부(512)가 반드시 측벽플레이트(511)와 직교하는 설계 방식만 있는 것은 아닌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은 제1판 및 제2판의 나사 결합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의 하우징은 제1판(610)과 제2판(620)을 포함한다. 제1판(610)은 기립된 측벽플레이트(611)를 포함한다. 또한, 제1판(610)은 측벽플레이트(611)의 일단부로부터 절곡된 측벽절곡부(612)를 포함한다. 또한, 제1판(610)은 측벽절곡부(612) 하측에 측벽플레이트(61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턱(61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의 좌측(하우징의 X 방향 측)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실시예의 구조는 하우징의 우측(하우징의 -X 방향 측)에도 대칭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즉, Y 방향에서 볼 때 본 실시예의 구조가 하우징의 좌우에 대칭적으로 마련된다.
측벽절곡부(612)는 측벽플레이트(611)의 연장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된다. 이 각도는 특정 수치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설계 방식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측벽절곡부(612)는 측벽플레이트(611)로부터 상향 절곡된다. 또한, 측벽절곡부(612) 상에는 측벽절곡부(612)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사관통홀(614)이 관통 형성된다. 걸림턱(613)은 측벽절곡부(612)에 근접하게 측벽플레이트(611)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제2판(620)의 낙하를 방지한다.
제2판(620)은 커버플레이트(621)를 포함한다. 커버플레이트(621)의 연장방향은 측벽플레이트(611)의 연장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또한, 제2판(620)은 커버플레이트(621)의 단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절곡되도록 연장된 절곡부(622)를 포함한다. 절곡부(622)가 절곡된 각도는 측벽절곡부(612)가 절곡된 각도에 대응한다. 이로써, 절곡부(622)가 걸림턱(613)에 지지될 때, 측벽절곡부(612) 및 절곡부(622)가 평행하게 마주하도록 마련된다.
제2판(620)이 제1판(610)에 탈착되는 방식은 앞선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스크루(630)가 측벽절곡부(612)의 상측으로부터 나사결합부(623)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1판(610) 및 제2판(620)이 결합된다. 스크루(630)는 측벽절곡부(612)의 판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나사관통홀(614)을 통과하여 나사결합부(623)에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나사관통홀(614)의 직경은 나사결합부(623)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된다. 또한, 스크루(630)가 나사결합부(623)에 나사 결합되는 동안, 스크루(630) 및 측벽절곡부(612) 사이에는 와셔(640)가 개재된다. 이로써, 스크루(630)가 나사결합부(623)에 나사 결합되는 동안, 스크루(630)는 측벽절곡부(612)를 포함하는 제1판(610)에 접촉하지 않는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2판의 커버플레이트 상에 일부 영역이 절개됨으로써 토출구가 형성되는 구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제2판이 커버플레이트의 단일 구조가 아닐 수도 있는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4는 제2판이 토출구를 형성하는 망을 포함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판(700)은 사각형의 플레이트로 구현된 커버플레이트(710)를 포함한다. 또한, 제2판(700)은 커버플레이트(710)의 모서리로부터 하향 절곡된 절곡부(720)를 포함한다. 절곡부(720) 상에는 스크루에 의한 나사 결합이 수행되도록 마련된 나사결합부(730)가 마련된다. 절곡부(720) 및 나사결합부(730)의 구성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커버플레이트(710)의 중앙영역에는 개구(711)가 형성된다. 커버플레이트(710)에서 개구(711)의 내주면 상에는 망(740)이 결합되도록 마련된 망결합부(712)가 마련된다. 망결합부(712)는 개구(711)의 내주면으로부터 개구(711)의 중앙을 향하여 돌출된다. 복수의 망결합부(712)가 개구(711)의 내주면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됨으로써, 망(740)이 커버플레이트(710)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망결합부(712)는 예를 들면 나사 결합을 위한 홀을 포함하거나, 망(740)의 일부가 끼워맞춤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망(740)은 망결합부(712)에 결합되는 동안 개구(711)를 커버한다. 망(740)은 토출구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일부 영역이 관통되도록 마련되는 바, 예를 들면 금속 와이어의 조립체 또는 타공이 형성된 플레이트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망(740)은 모서리의 일부 영역이 망결합부(712)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커버플레이트(7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판(700)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판이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에,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스크루가 제1판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는 제1판 및 제2판의 나사 결합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A 영역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판(810) 및 제2판(820)이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제1판(810)은 기립 연장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플레이트(811)를 포함한다. 또한, 제1판(810)은 측벽플레이트(811)의 상측 모서리, 즉 측벽플레이트(811)의 Z 방향 단부로부터 직교하도록 절곡된 측벽절곡부(812)를 포함한다. 측벽절곡부(812)의 일 영역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결합부(813)가 관통 형성된다.
제2판(820)은 사각형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중앙영역에 형성된 토출구(821)를 가진다. 제2판(820)의 모서리 영역 상에는, 스크루가 관통하도록 마련된 나사관통홀(822)이 관통 형성된다.
측벽절곡부(812)는 제2판(820)에 접촉하며, 제2판(820)을 결합시키는 한편 제2판(820)의 낙하를 방지한다. 제2판(820)이 측벽절곡부(812) 상에 지지되고, 제2판(820)의 나사관통홀(822)은 제1판(810)의 나사결합부(813)와 연통하도록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루는 제2판(820)의 상측으로부터 나사관통홀(822)을 관통하고 나사결합부(813)에 나사 결합된다.
이하, 스크루에 의해 제1판(810) 및 제2판(820)이 결합하는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7은 도 15에서 스크루에 의해 제1판 및 제2판이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판(810) 및 제2판(820)이 스크루에 의해 나사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제1판(810)은 기립 연장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플레이트(811)를 포함한다. 또한, 제1판(810)은 측벽플레이트(811)의 상측 모서리로부터 직교하도록 절곡된 측벽절곡부(812)를 포함한다. 측벽절곡부(812)의 일 영역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결합부(813)가 관통 형성된다. 제2판(820)은 토출구가 형성된 사각형의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제2판(820)의 모서리에 근접하는 영역 상에는 나사관통홀(822)이 관통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관통홀(822)의 직경 W5가 나사결합부(813)의 직경 W6보다 크게 마련됨으로써, 스크루(830)가 나사관통홀(822)을 통과하여 나사결합부(813)에 나사 결합되는 동안, 스크루(830)가 나사관통홀(822)에 접촉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접촉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스크루(830) 및 제2판(820) 사이에는 와셔(840)가 개재된다. 이로써, 나사결합부(813)에 결합된 스크루(830)가 제2판(820)에 최소한으로 접촉되도록 마련된다.
제1판(810)이 제2판(820)보다 내식성이 높은 경우에, 본 실시예의 구조에 따르면 스크루(830) 및 제2판(820)의 접촉이 차단됨으로써, 제2판(820)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토출구가 형성된 제2판이 실외기 하우징의 상판면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외기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토출구가 형성된 제2판이 실외기 하우징의 전방 판면인 경우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는 단지 앞선 실시예에서 제2판의 방향만이 변경된 정도이다. 따라서, 제2판이 하우징의 전면을 커버하는 경우는, 제2판이 하우징의 상측을 커버하는 경우를 응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8은 실외기의 하우징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된 제2판이 제1판과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판(1100)의 전체가 아니라, 제2판(1200)이 결합 및 지지되는 제1판(1100)의 상측 요부만을 나타낸다.
제1판(1100)은 하우징의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기립된 측벽플레이트(1110)를 포함한다. 측벽플레이트(1110)는 Y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연장된 두 쌍의 측벽플레이트(1110)가 사각형의 기둥을 형성한다. 측벽플레이트(1110)에 의해 구성된 제1판(1100)의 전방, 즉 -Y 방향 단부는 개방됨으로써, 제1판(1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제1판(1100)은 측벽플레이트(1110)의 일 영역, 예를 들면 측벽플레이트(1110)의 전방 모서리에 근접하게 관통 형성된 나사관통홀(1120)을 포함한다.
제2판(1200)은 중앙영역에 토출구(1210)가 형성된 커버플레이트(1220)를 포함한다. 커버플레이트(1220)는 제1판(1100)의 개구 형상에 대응하며 제1판(1100)의 개구를 커버하는 크기를 가진다. 커버플레이트(1220)는 본 도면 상에서 X-Z 면에 평행한 사각형의 판면을 가진다.
또한, 제2판(1200)은 커버플레이트(1220)로부터 후방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1230)를 가진다. 절곡부(1230)는 커버플레이트(1220)의 모서리로부터 Y 방향으로 직교하게, 제1판(1100)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절곡부(1230)의 연장 길이 또는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절곡부(1230)는 사각형의 커버플레이트(1220)의 네 방향 모서리에 모두 마련될 수도 있고, 커버플레이트(1220)의 네 방향 모서리 중에서 서로 마주하는 두 모서리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절곡부(1230)는 제2판(1200)이 제1판(1100)에 지지되는 동안에, 제1판(1100)의 내부, 즉 하우징 내부로 수용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절곡부(1230)에 접하는 커버플레이트(1220)의 폭은 제1판(1100)의 개구의 폭보다 작게 마련됨으로써, 제2판(1200)의 모든 절곡부(1230)가 제1판(110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2판(1200)은 스크루가 체결되도록 절곡부(1230) 상에 관통 형성된 체결홀을 포함하는 나사결합부(1240)를 포함한다. 나사결합부(1240)는 절곡부(1230)의 연장방향에 직교하게, 즉 X 방향 또는 Z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나사결합부(1240)는 절곡부(1230)를 관통하여 형성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스크루(1300)와 나사 결합이 되도록 마련된다.
이하, 제1판(1100) 및 제2판(1200)의 결합 구조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9는 도 18의 제1판 및 제2판의 나사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판(1200)의 커버플레이트(1220)는 전방(본 도면의 우측)을 향하며, 절곡부(1230)는 제1판(1100)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배치된다. 제1판(1100)의 나사관통홀(1120)과 제2판(1200)의 나사결합부(1240)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판(1100)의 외부, 본 도면의 경우에 제1판(1100)의 상측으로부터 스크루(1300)가 나사관통홀(1120)을 통과하여 나사결합부(1240)에 나사 결합된다. 스크루(1300)는 헤드(1310)와, 헤드(1310)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그 외주면에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나사산을 가진 나사본체(1320)를 포함한다.
나사결합부(1240)의 직경은 나사본체(1320)의 직경에 대응함으로써, 나사본체(1320) 및 나사결합부(1240)의 나사 결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나사관통홀(1120)의 직경은 나사본체(1320) 또는 나사결합부(1240)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됨으로써, 나사결합부(1240)에 나사 결합된 나사본체(1320)가 나사관통홀(1120)에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또한, 헤드(1310) 및 제1판(1100) 사이에는 와셔(1400)가 개재된다. 와셔(1400)는 나사본체(1320)가 나사결합부(1240)에 나사 결합이 되어 있는 동안 헤드(1310)가 제1판(110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상대적으로 내식성이 약한 제1판(1100)에는 스크루(1300)가 접촉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내식성이 강한 제2판(1200)에만 스크루(1300)가 접촉하게 된다.
이하, 제1판 및 제2판의 다양한 결합 구조의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한다.
도 20은 제1판 및 제2판의 나사 결합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의 하우징은 제1판(1510)과 제2판(1520)을 포함한다. 제1판(1510)은 기립된 측벽플레이트(1511)를 포함한다. 또한, 제1판(1510)은 측벽플레이트(1511)에 스크루(153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나사수용홀(1512)을 포함한다.
제2판(1520)은 제1판(1510)의 상측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플레이트(1521)를 포함한다. 제2판(1520)은 커버플레이트(1521)의 모서리로부터 하향 절곡된 절곡부(15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플레이트(1521) 또는 절곡부(1522)는, 강성이 보장되는 범위 내에서 앞선 실시예의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판(1520)은 나사 결합을 위해 마련된 나사결합부(1523)를 포함한다. 나사결합부(1523)는 스크루(1530)가 안정적으로 나사 결합되기 위해서, 적정한 길이의 나사산을 가져야 한다. 그런데, 절곡부(1522)의 두께가 이러한 나사산의 적정한 길이보다 짧으므로, 나사결합부(1523)의 두께는 절곡부(1522)의 두께보다 두껍게 마련된다.
나사결합부(1523)는, 절곡부(1522)로부터 제1판(1510)의 내측을 향해 나사결합부본체(1524)가 연장되고, 나사결합부본체(1524)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결합홀(1525)이 나사결합부본체(1524)에 관통 형성됨으로써 구현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커버플레이트(1521) 또는 절곡부(1522)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설계하면서도, 스크루(1530)에 의한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나사결합홀(1525)의 직경은 스크루(1530)와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스크루(1530)의 직경에 대응한다. 한편, 나사수용홀(1512)의 직경은 나사결합홀(1525)의 직경 및 스크루(1530)의 직경보다 크다.
스크루(1530) 및 와셔(1540)를 사용한 제1판(1510) 및 제2판(1520)의 결합 방법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은 제1판 및 제2판의 나사 결합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의 하우징은 제1판(1610)과 제2판(1620)을 포함한다. 제1판(1610)은 기립된 측벽플레이트(1611)를 포함한다. 또한, 제1판(1610)은 측벽플레이트(1611)에 스크루(163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나사수용홀(1612)을 포함한다.
제2판(1620)은 제1판(1610)의 상측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플레이트(1621)를 포함한다. 제2판(1620)은 커버플레이트(1621)의 모서리로부터 하향 절곡된 제1절곡부(1622)를 포함한다. 또한, 제2판(1620)은 제1절곡부(1622)의 단부로부터 절곡된 제2절곡부(1623)를 포함한다. 제2절곡부(1623)는 커버플레이트(1621)와 평행하며, 커버플레이트(1621)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다. 즉, 제2판(1620)은 전체적으로 볼 때, 모서리 부분이 안쪽으로 말려들어간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는, 제2판(1620)의 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2판(1620)은 제1절곡부(1622) 상에 나사 결합을 위해 관통 형성된 나사결합부(1624)를 포함한다.
스크루(1630) 및 와셔(1640)를 사용한 제1판(1610) 및 제2판(1620)의 결합 방법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는 제1판 및 제2판의 나사 결합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의 하우징은 제1판(1710)과 제2판(1720)을 포함한다. 제1판(1710)은 기립된 측벽플레이트(1711)를 포함한다. 또한, 제1판(1710)은 측벽플레이트(1711)에 스크루(173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나사수용홀(1712)을 포함한다.
또한, 제1판(1710)은 측벽플레이트(1711)의 상단 모서리로부터 절곡 연장된 측벽절곡부(1713)를 포함한다. 측벽절곡부(1713)는 제1판(1710)의 바깥쪽을 향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된다. 이러한 측벽절곡부(1713)에 의해, 제2판(1720)을 제1판(1710)의 상측에 놓기가 편해지므로, 조립에 용이하다.
제2판(1720)은 제1판(1710)의 상측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플레이트(1721)를 포함한다. 제2판(1720)은 커버플레이트(1721)의 모서리로부터 하향 절곡된 절곡부(1722)를 포함한다. 제2판(1720)은 절곡부(1722) 상에 나사 결합을 위해 관통 형성된 나사결합부(1723)를 포함한다.
스크루(1730) 및 와셔(1740)를 사용한 제1판(1710) 및 제2판(1720)의 결합 방법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은 제1판 및 제2판의 나사 결합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의 하우징은 제1판(1810)과 제2판(1820)을 포함한다. 제1판(1810)은 기립된 측벽플레이트(1811)를 포함한다. 또한, 제1판(1810)은 측벽플레이트(1811)에 스크루(183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나사수용홀(1812)을 포함한다.
또한, 제1판(1810)은 측벽플레이트(1811)의 상단 모서리로부터 절곡 연장된 측벽절곡부(1813)를 포함한다. 측벽절곡부(1813)는 제1판(1810)의 내측을 향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된다. 이러한 측벽절곡부(1813)에 의해, 후술할 스크루(1830)가 나사 결합되는 영역(즉, 나사수용홀(1812) 및 나사결합부(1823) 등)에 대해 빗물 등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내식성이 향상된다.
제2판(1820)은 제1판(1810)의 상측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플레이트(1821)를 포함한다. 제2판(1820)은 커버플레이트(1821)의 모서리로부터 하향 절곡된 절곡부(1822)를 포함한다. 제2판(1820)은 절곡부(1822) 상에 나사 결합을 위해 관통 형성된 나사결합부(1823)를 포함한다.
스크루(1830) 및 와셔(1840)를 사용한 제1판(1810) 및 제2판(1820)의 결합 방법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210 : 하우징
220 : 제1판
222 : 측벽플레이트
223 : 나사관통홀
230 : 제2판
231 : 토출구
232 : 커버플레이트
233 : 절곡부
234 : 나사결합부
260 : 스크루
261 : 헤드
262 : 나사본체
270 : 와셔

Claims (13)

  1.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와의 사이에 냉매를 순환시키는 실외기를 포함하며,
    상기 실외기는,
    상기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열교환기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1판과,
    상기 제1판의 모서리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외 사이의 공기를 유통시키는 통풍구를 가지며, 상기 제1판보다 큰 내식성을 가진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판과 결합되도록 마련된 나사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은, 상기 제2판의 나사결합부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루의 본체가 통과되며 상기 나사결합부보다 큰 직경을 가진 나사관통홀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은, 상기 제2판의 본체의 모서리에서 상기 제1판과 평행하게 절곡 연장되며 상기 나사결합부가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제1판 및 상기 제2판의 순서대로 나사 결합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의 스크루헤드와 상기 제1판 사이에 개재된 연성 재질의 와셔(washer)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은 설치면에서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판은 상기 제1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 또는 상기 제2판은 금속 재질인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의 재질은 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판의 나사수용부의 재질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의 두께는 2.5 내지 3밀리미터 범위 사이로 마련된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의 외면은 내식성을 가지는 도료로 도장되는 공기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의 상기 통풍구는 망 형상으로 마련된 공기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판은, 상기 통풍구를 커버하는 상기 망과 나사 결합되며 상기 망보다 큰 내식성을 가지는 망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은, 상기 제2판의 모서리가 지지되도록 상기 제1판으로부터 돌출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90172751A 2019-12-23 2019-12-23 공기조화기 KR20210080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751A KR20210080800A (ko) 2019-12-23 2019-12-23 공기조화기
PCT/KR2020/018504 WO2021132977A1 (en) 2019-12-23 2020-12-17 Air conditioner
US17/130,830 US11608994B2 (en) 2019-12-23 2020-12-22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751A KR20210080800A (ko) 2019-12-23 2019-12-23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800A true KR20210080800A (ko) 2021-07-01

Family

ID=7643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751A KR20210080800A (ko) 2019-12-23 2019-12-23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08994B2 (ko)
KR (1) KR20210080800A (ko)
WO (1) WO20211329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800A (ko) * 2019-12-23 2021-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15398A (en) * 1941-11-03 1943-03-30 Rock Ola Mfg Corp Resilient mounting
KR20030067256A (ko) * 2002-02-07 2003-08-1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탑 커버 고정구조
US6705105B2 (en) * 2002-05-24 2004-03-16 American Standard International Inc. Base pan and cabinet for an air conditioner
JP2004132313A (ja) 2002-10-11 2004-04-30 Oriental Motor Co Ltd 軸流ファンモータ用フィンガーガード
KR200411747Y1 (ko) * 2005-12-30 2006-03-16 에이스냉동공조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패널의 체결구조
US7707798B1 (en) * 2006-02-20 2010-05-04 Cullinan James E Screening device
US8528875B2 (en) * 2009-09-29 2013-09-10 John Wilson, Jr. Three-dimensional telescoping adjustable equipment mounting fixture
JP5447580B2 (ja) * 2012-04-27 2014-03-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機の室外機
JP6021141B2 (ja) 2012-06-08 2016-11-09 アルバック機工株式会社 ポンプ装置
USD761948S1 (en) 2013-11-18 2016-07-19 Ebm-Papst Mulfingen Gmbh & Co. Kg Fan
JP6454126B2 (ja) * 2014-10-22 2019-01-16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105841245A (zh) * 2015-08-24 2016-08-10 福建福伦德电器有限公司 室内空气净化处理机
KR102565506B1 (ko) 2016-09-22 2023-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EP3339755A1 (en) * 2016-12-21 2018-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JP6960327B2 (ja) * 2017-12-20 2021-11-05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 Ltd. 室外機、空気調和機、ファンガード、及びファンガード製造方法
KR20200119595A (ko) * 2019-04-10 2020-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10080800A (ko) * 2019-12-23 2021-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10129869A (ko) * 2020-04-21 2021-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90333A1 (en) 2021-06-24
WO2021132977A1 (en) 2021-07-01
US11608994B2 (en)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0162B2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JP6091861B2 (ja) スポットエアコン
JP6491119B2 (ja) 一体型空調装置
US11608994B2 (en) Air conditioner
WO2020004281A1 (ja) 屋外空気調和装置
WO2020004282A1 (ja) 屋外空気調和装置
CN214094729U (zh) 空调室外机
US20130105114A1 (en) Air conditioner
CN213901280U (zh) 空调室外机
US10920998B2 (en)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CN214275948U (zh) 一种空调器
CN213901281U (zh) 空调室外机
CN216976930U (zh) 空调器室内机
CN213630712U (zh) 移动式空调
CN109425019B (zh) 节能空调器
CN211650468U (zh) 室内机以及空调机
US11732971B2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CN213901278U (zh) 空调室外机
CN214275970U (zh) 窗式空调器
KR1011958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297818Y1 (ko) 룸에어컨의 실내기용 고정구조
EP3059507B1 (en) Outdoor unit
KR100422701B1 (ko) 개인용 에어컨
JPH11325513A (ja) 空気調和機
KR200164659Y1 (ko) 패키지 에어컨 실내기의 프론트 패널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