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992B1 - 플러쉬 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플러쉬 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992B1
KR102590992B1 KR1020210045348A KR20210045348A KR102590992B1 KR 102590992 B1 KR102590992 B1 KR 102590992B1 KR 1020210045348 A KR1020210045348 A KR 1020210045348A KR 20210045348 A KR20210045348 A KR 20210045348A KR 102590992 B1 KR102590992 B1 KR 102590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andle member
deployed position
storage spac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9120A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아이티더블유오토모티브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아이티더블유오토모티브코리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아이티더블유오토모티브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45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99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9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 공간을 가지고, 차량 도어의 도어패널에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패널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핸들멤버; 엑츄에이터와, 상기 핸들멤버와 연결되고 상기 엑츄에이터의 출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핸들멤버가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위치하는 후퇴 위치와 상기 수납 공간의 외측으로 나온 전개 위치 간에 이동시키는 연결링크를 구비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전개 위치에서 상기 연결링크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개 위치에서 상기 핸들멤버의 처짐을 방지하는 고정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플러쉬 핸들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러쉬 핸들 조립체{FLUSH HANDLE ASSEMBLY}
본 발명은 후퇴 위치와 전개 위치 간에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플러쉬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사이드 도어, 백도어 등과 같은 다양한 도어를 가진다. 이러한 도어에 대한 개폐를 위해서, 차량은 외측 핸들 조립체(exterior handle assembly)를 가진다.
최근에는 외관미(aesthetics), 공력 특성(aerodynamics) 및 윈드노이즈 컨트롤(wind noise control)에 대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플러쉬(flush) 타입의 외측 핸들 조립체가 사용되고 있다.
플러쉬 핸들 조립체는, 도어패널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후퇴 위치(retracted position) 및 도어패널의 외측으로 전개되는 전개 위치(deployed position) 사이로 이동하는 핸들멤버와, 후퇴 위치와 전개 위치 간에 이동하도록 핸들멤버를 구동시키는 구동유닛 등을 포함한다.
핸들멤버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핸들멤버가 후퇴 위치로 이동하고, 이에 핸들멤버의 외면이 도어 패널의 외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핸들멤버를 사용할 경우에는 핸들멤버가 전개 위치로 이동하고, 이에 핸들멤버는 도어 패널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핸들멤버를 파지할 수 있다.
핸들멤버는 전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도어패널보다 돌출해 있음으로 인하여 하방으로 처지도록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에 의한 흔들거림에 취약할 수 있다. 도어 패널 중 핸들멤버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홀과 핸들멤버 간의 틈새가 클수록 흔들거림은 더 커진다. 그러한 틈새는 도어 패널에 플러쉬 핸들 조립체를 설치하는 작업 과정에서의 편의를 고려하여 더 커져야 한다는 요구를 계속 받고 있는 바, 그 틈새를 줄여서 핸들멤버의 흔들거림을 해결할 수는 없다. 오히려, 그 틈새가 커지는 경향에 따라, 핸들멤버의 흔들거림은 더욱 커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핸들멤버와 도어 패널의 설치홀 간의 간격을 크게 하더라도, 전개 위치에서 핸들멤버의 흔들거림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플러쉬 핸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플러쉬 핸들 조립체는, 수납 공간을 가지고, 차량 도어의 도어패널에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패널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핸들멤버; 엑츄에이터와, 상기 핸들멤버와 연결되고 상기 엑츄에이터의 출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핸들멤버가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위치하는 후퇴 위치와 상기 수납 공간의 외측으로 나온 전개 위치 간에 이동시키는 연결링크를 구비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전개 위치에서 상기 연결링크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개 위치에서 상기 핸들멤버의 처짐을 방지하는 고정지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링크는, 중공 관통형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지지 유닛은, 상기 중공 관통형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공 관통형 수용부는, 상기 연결링크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중공부를 관통하도록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공 관통형 수용부는, 상기 연결링크의 회전 시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링크의 회전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 곡면; 및 상기 회피 곡면의 반대 측에 형성되고, 상기 핸들멤버에 이동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핸들멤버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 커버 및 제2 커버; 그리고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를 체결하는 체결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체결 피스에 의해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커버는, 제1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는, 제2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제1 리세스부 및 상기 제2 리세스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커버과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링크의 회전 시에 상기 중공 관통형 수용부에 대응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커버과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 영역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플러쉬 핸들 조립체는, 핸들멤버; 상기 핸들멤버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핸들멤버의 양 측면에서 상기 핸들멤버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1 커버 및 제2 커버와,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를 체결하도록 상기 측면에서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 피스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핸들멤버와 연결되고 상기 엑츄에이터의 출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핸들멤버가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위치하는 후퇴 위치와 상기 수납 공간의 외측으로 나온 전개 위치 간에 이동시키는 연결링크를 구비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전개 위치에서 상기 연결링크를 지지하도록 상기 체결 피스에 의해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체결되어, 상기 전개 위치에서 상기 핸들멤버의 처짐을 방지하는 고정지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링크는, 그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지지 유닛은, 상기 중공부에 관통 삽입되게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커버는, 제1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는, 제2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제1 리세스부 및 상기 제2 리세스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커버과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쉬 핸들 조립체에 의하면, 하우징의 수납 공간에 수납된 핸들멤버는 구동 유닛의 연결링크에 연결되어 연결링크가 엑츄에이터의 출력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후퇴 위치와 전개 위치 간에 이동되며 전개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지지 유닛에 지지되기에, 핸들멤버와 도어 패널의 설치홀 간의 간격을 크게 하더라도 핸들멤버는 고정지지 유닛에 의해 전개 위치에서 구조적으로 처지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설치홀의 사이즈를 키워 핸들 조립체의 조립성을 높이면서도, 핸들 조립체가 전개 위치에서 처지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쉬 핸들 조립체(100)가 도어 패널(DP)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러쉬 핸들 조립체(100)를 단독으로 보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플러쉬 핸들 조립체(100)의 일부를 제거하여 내부를 보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플러쉬 핸들 조립체(100)의 다른 상태를 보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플러쉬 핸들 조립체(100)의 일부를 제거하여 내부를 보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플러쉬 핸들 조립체(100)에서 연결링크(155)와 고정지지 유닛(170)을 분리하여 보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고정지지 유닛(170)을 단독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플러쉬 핸들 조립체(1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 본 조립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쉬 핸들 조립체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쉬 핸들 조립체(100)가 도어 패널(DP)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조립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플러쉬 핸들 조립체(10)는 차량 도어의 도어 패널(DP)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도어 패널(DP)의 설치홀(IH)을 통해 외부로 드러나도록 도어 패널(DP)에 설치된다.
설치홀(IH)은 플러쉬 핸들 조립체(100)의 핸들멤버(130)의 윤곽에 대응하여 길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설치홀(IH)은 핸들멤버(130)의 외경보다는 큰 내경을 가진다.
핸들멤버(130)는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는 부분이고, 본 도면에서는 도어 패널(DP)의 외면과 일치된 위치, 즉 후퇴 위치(retracted position)에 놓여져 있다.
이상의 플러쉬 핸들 조립체(100)의 구체적 구성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플러쉬 핸들 조립체(100)를 단독으로 보인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플러쉬 핸들 조립체(100)의 일부를 제거하여 내부를 보인 조립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플러쉬 핸들 조립체(100)은, 앞서 설명한 핸들멤버(130)에 더하여, 하우징(110), 구동 유닛(150), 그리고 고정지지 유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핸들멤버(130)와 구동 유닛(150) 등을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도어 패널(DP, 도 1 참조)에 장착되는 것이다. 핸들멤버(130) 등을 수용하기 위하여, 하우징(110)은 수납 공간(111)을 가진다. 아울러, 수납 공간(111)은 제1 커버(113)와 제2 커버(117)의 결합에 의해 외부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113)는 핸들멤버(130)의 우 측방에서, 그리고 제2 커버(117)는 핸들멤버(130)의 좌 측방에서 서로에 대해 접근하는 구조로, 그들은 체결 피스(미도시)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체결 피스 역시 하우징(110)의 측면에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1 커버(113) 및 제2 커버(117)에 삽입 체결될 수 있다.
핸들멤버(130)는 사용자가 누르거나 잡아 당기는 대상이 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핸들멤버(130)는 외부로 드러나는 조작부(131)와, 후퇴 위치에서 수납 공간(111)에 수납되는 베이스부(1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작부(131)는 후퇴 위치에서 도어 패널(DP)의 설치홀(IH)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구동 유닛(150)은 핸들멤버(130)를 후퇴 위치에서 전개 위치(도 4 및 도 5 참조)로 변위시키는 구성이다. 구동 유닛(150)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엑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엑츄에이터는 모터나 실린더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연결링크(155)를 회전 방향(R)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엑츄에이터는 연결링크(155)의 하부의 일 부분, 구체적으로 쐐기 형상에서의 경사면(159)을 밀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엑츄에이터는 사용자가 소지한 전자 키(미도시)의 접근을 인식하여 작동하거나, 사용자가 조작부(131)를 누름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연결링크(155)는 하우징(110)과 핸들멤버(130)를 연결하는 링크이다. 구체적으로, 연결링크(155)의 제1 단부(156)는 제1 커버(1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단부(157)는 핸들멤버(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단부(157)는 핸들멤버(130)의 베이스부(135)에 연결되어 조작부(131)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지는 않을 수 있다.
고정지지 유닛(170)은 핸들멤버(130)가 전개 위치에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고정지지 유닛(170)은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171)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플레이트(171)의 제1 체결부(172)와 제2 체결부(173)는 상기 체결 피스에 의해 제1 커버(113) 및/또는 제2 커버(117)에 대해 고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171)는 두 지점에서 커버(113,117)에 대해 고정적으로 체결된다.
플러쉬 핸들 조립체(100)의 다른 상태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플러쉬 핸들 조립체(100)의 다른 상태를 보인 조립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플러쉬 핸들 조립체(100)의 일부를 제거하여 내부를 보인 조립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핸들멤버(130)는 수납 공간(111)의 외부로 인출되어 전개 위치(deployed position)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핸들멤버(130)는 조작부(131)뿐 아니라 베이스부(135)까지 도어 패널(DP, 도 1 참조)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는 연결링크(155)가 엑츄에이터의 출력에 의해 힘을 받아, 제1 단부(156)를 기준으로 회전 방향(R)을 따라 회전하여 핸들멤버(130)가 수납 공간(111)의 외부로 변위됨에 따른 것이다. 그러한 작동 과정에서, 지지 플레이트(171)는 연결링크(155)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그가 높이 방향(V)을 따라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여, 최종적으로 전개 위치에서 핸들멤버(130)가 해당 방향으로 처지지 않게 한다.
연결링크(155)와 고정지지 유닛(170)의 배치 관계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3의 플러쉬 핸들 조립체(100)에서 연결링크(155)와 고정지지 유닛(170)을 분리하여 보인 조립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연결링크(155)는 중공 관통형 수용부(158)를 가질 수 있다. 중공 관통형 수용부(158)는 제1 단부(156)와 제2 단부(157)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중공 관통형 수용부(158)는 지지 플레이트(171)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연결링크(155)의 중앙부에 중공부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 경우, 지지 플레이트(171)는 중공 관통형 수용부(158)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171)는 연결링크(155)의 회전 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그를 높이 방향(V)을 따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고정지지 유닛(170)의 구체적 구조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6의 고정지지 유닛(170)을 단독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 플레이트(171)는 대체로 삼각형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71)의 상부는 제1 영역(171a)으로서 중공 관통형 수용부(158)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그에 반해, 지지 플레이트(171)의 하부는 제2 영역(171b)으로서 제1 커버(113)와 제2 커버(117)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171a)과 제2 영역(171b)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171a)을 이루는 측면들은, 회피 곡면(175)과 회피 경사면(176)을 가질 수 있다. 회피 곡면(175)은 연결링크(155)의 회전시 그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와 달리, 회피 경사면(176)은 핸들멤버(130)의 이동시 그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회피 곡면(175)은 회피 경사면(176)의 반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영역(171b)과 관련한 구조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2의 플러쉬 핸들 조립체(1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 본 조립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커버(113)에는 제1 리세스부(114)가 형성되고, 제2 커버(117)에는 그에 대응하는 제2 리세스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113)와 제2 커버(117)가 결합된 경우에, 서로 대응하는 제1 리세스부(114)와 제2 리세스부(118)가 이루는 수용 공간에는 지지 플레이트(171)의 제2 영역(171b)이 끼워질 수 있다.
그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171)의 일부가 제1 커버(113)와 제2 커버(117)에 대해 끼움 결합되는 것이다. 이는 지지 플레이트(171)가 하우징(110)에 대해 체결 피스로 결합되는 것에 더하여, 그들 간의 체결의 강도를 높여 준다. 그들의 높은 체결 강도는 고정지지 유닛(170)이 핸들멤버(13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플러쉬 핸들 조립체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플러쉬 핸들 조립체 110: 하우징
113: 제1 커버 117: 제2 커버
130: 핸들멤버 131: 조작부
135: 베이스부 150: 구동 유닛
155: 연결링크 170: 고정지지 유닛
171: 지지 플레이트

Claims (12)

  1. 수납 공간을 가지고, 차량 도어의 도어패널에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패널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핸들멤버;
    엑츄에이터와, 상기 핸들멤버와 연결되고 상기 엑츄에이터의 출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핸들멤버가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위치하는 후퇴 위치와 상기 수납 공간의 외측으로 나온 전개 위치 간에 이동시키는 연결링크를 구비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전개 위치에서 상기 연결링크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두 지점에서 고정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전개 위치에서 상기 핸들멤버의 처짐을 방지하는 고정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링크는, 중공 관통형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지지 유닛은, 상기 중공 관통형 수용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핸들멤버가 상기 후퇴 위치와 상기 전개 위치 간에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러쉬 핸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중공 관통형 수용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쐐기 형상의 일 부분인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경사면을 밀도록 배치되는 모터 및 실린더 중 하나를 포함하는, 플러쉬 핸들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링크의 회전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 곡면; 및
    상기 회피 곡면의 반대 측에 형성되고, 상기 핸들멤버에 이동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 경사면을 포함하는, 플러쉬 핸들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핸들멤버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 커버 및 제2 커버; 그리고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를 체결하는 체결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체결 피스에 의해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되는, 플러쉬 핸들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제1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는, 제2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제1 리세스부 및 상기 제2 리세스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커버과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플러쉬 핸들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링크의 회전 시에 상기 중공 관통형 수용부에 대응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커버과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 영역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플러쉬 핸들 조립체.
  7. 핸들멤버;
    상기 핸들멤버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핸들멤버의 양 측면에서 상기 핸들멤버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1 커버 및 제2 커버와,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를 체결하도록 상기 측면에서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 피스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핸들멤버와 연결되고 상기 엑츄에이터의 출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핸들멤버가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위치하는 후퇴 위치와 상기 수납 공간의 외측으로 나온 전개 위치 간에 이동시키는 연결링크를 구비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전개 위치에서 상기 연결링크를 지지하도록 두 지점에서 상기 체결 피스에 의해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고정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전개 위치에서 상기 핸들멤버의 처짐을 방지하는 고정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링크는, 중공 관통형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지지 유닛은, 상기 중공 관통형 수용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핸들멤버가 상기 후퇴 위치와 상기 전개 위치 간에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러쉬 핸들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제1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는, 제2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제1 리세스부 및 상기 제2 리세스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커버과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플러쉬 핸들 조립체.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10045348A 2021-04-07 2021-04-07 플러쉬 핸들 조립체 KR102590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348A KR102590992B1 (ko) 2021-04-07 2021-04-07 플러쉬 핸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348A KR102590992B1 (ko) 2021-04-07 2021-04-07 플러쉬 핸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120A KR20220139120A (ko) 2022-10-14
KR102590992B1 true KR102590992B1 (ko) 2023-10-18

Family

ID=83599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348A KR102590992B1 (ko) 2021-04-07 2021-04-07 플러쉬 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9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297B1 (ko) * 2018-05-30 2019-08-01 주식회사 서연전자 핸들부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229B1 (ko) * 2018-08-31 2024-01-04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297B1 (ko) * 2018-05-30 2019-08-01 주식회사 서연전자 핸들부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120A (ko)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7973B2 (en) Chassis for a lock set
US20110232340A1 (en) Method and Mechanism for Attaching a Locking Mechanism to a Pick-Up Truck Tailgate
JP3905421B2 (ja) 鍵盤楽器の鍵盤蓋開閉機構および鍵盤楽器
US10995527B2 (en)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KR102590992B1 (ko) 플러쉬 핸들 조립체
EP1997985B1 (en) Door with door opening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US11649659B2 (en) Mechanism for opening a vehicle door
US20050272284A1 (en) Interconnected chassis for a lock set
US10961753B2 (en)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KR100526814B1 (ko)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도어 핸들의 조립 구조
JP4953397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4961622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200150172Y1 (ko) 자동차용 도어 장치
US20240125164A1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device
CN216101862U (zh) 一种取代锁舌的汽车杂物箱拉手结构
KR100348057B1 (ko)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설치구조
KR20200121234A (ko) 다기능 스위치 조작 장치
JPH0636198Y2 (ja) 自動車の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部構造
KR0136100Y1 (ko) 도어 액츄에이터용 댐핑 와셔
KR100534331B1 (ko) 차량용 후드힌지의 각도조절구조
KR0172215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 장치
JPH0613972Y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KR100323437B1 (ko) 차량용 세프티 노브 어셈블리
KR20070060898A (ko) 자동차 도어의 잠금 장치
CN115199160A (zh) 一种逃生门窗组件及具有其的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