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415B1 -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과 이를 함유한 피부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과 이를 함유한 피부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415B1
KR102590415B1 KR1020210096981A KR20210096981A KR102590415B1 KR 102590415 B1 KR102590415 B1 KR 102590415B1 KR 1020210096981 A KR1020210096981 A KR 1020210096981A KR 20210096981 A KR20210096981 A KR 20210096981A KR 102590415 B1 KR102590415 B1 KR 102590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strum
skin
present
hydrolysis produc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5622A (ko
Inventor
곽태일
김광일
김준혁
박현철
최재혁
조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팜스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팜스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팜스킨
Priority to KR1020210096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415B1/ko
Priority to CN202180010945.XA priority patent/CN115867359A/zh
Priority to PCT/KR2021/016968 priority patent/WO2023003095A1/ko
Publication of KR20230015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4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012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 A61K38/018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mi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과 이를 함유한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초유를 가수분해하여 생성된 가수분해 산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건강식품 또는 약제조성물 등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과 이를 함유한 피부미백용 조성물{Colostrum hydrolysis product and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it}
본 발명은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과 이를 함유한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초유를 가수분해하여 생성된 가수분해 산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기관 중 가장 큰 기관이 피부이다. 피부는 표피와 진피로 구성이 되어있다. 표피는 지속적으로 세포가 분열을 하며, 여러 종류의 층을 만들게 된다. 이때 가장 바깥쪽의 세포들은 죽고 단단하게 되어 외부의 스트레스로부터 신체를 보호하여 주는 가장 뛰어난 방어기관 중에 하나이며, 세균 또한 이 피부를 뚫지 못한다.
피부의 경우 피지선과 땀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지선에서는 피지를, 땀샘에서는 수분을 분비하여 인간 스스로 피지막을 만들어 내고 각질층을 보호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사람의 피부는 항상 촉촉하며, 윤기가 흐르고 매끄러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사람의 경우 이 각질층의 수분함량이 20%가 되었을 때가 가장 이상적인 피부이며, 아름다움이 한껏 돋보이는 상태이다. 그러나 피부는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아 다양한 변화와 노화를 일으키게 되고, 특히 일광이나 다양한 외부 광선에 노출되어 피부 질환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경우 피부의 빛깔이 검어지게 되고, 사람마다 피부색이 검은 정도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피부색은 대부분 맑고 투명한 피부로 가꾸고 싶은 것이 대부분의 욕망이고, 특히 하얀 피부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화장품이란 피부를 외부로부터 보호, 단장, 청결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지만, 화장품의 조성물을 자세히 보게 되면 본래의 뜻과는 다르게 제품의 형성에 있어서 꼭 필요한 성분이 들어가게 되어 그 성분들이 오히려 피부를 자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화제, 향료 그리고 방부제 등이 이에 속한다. 이들은 화학 반응 합성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민감성 피부의 경우, 염증 반응, 알러지, 홍반 등을 동반할 확률이 증가하게 된다.
최근 들어 천연 화장품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면서 각종 천연화장품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우유나 초유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제조하는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
특히, 기존의 초유에는 락토페린(Lactoferrin)이 존재하기 때문에 항염의 효과가 있다. 락토페린의 경우,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이나 Interleukin-1(IL-1) 등의 조절에 대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익히 알려져 있다(Yamanaka, 2003).
또한, 초유에는 Insulin-like Growth Factor-1(IGF-1)이 함유되어 있는데, IGF-1은 전체적인 성장을 촉진하며, 세포 성장과 증폭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Uruakpa et al, 2002).
초유에 함유되어 있는 카세인(casein)의 경우 우유 전체 성분의 3%, 유단백질중 약 80%를 차지하고 있고, 섭취시 우리 몸에 알러지를 일으키는 성분으로 밝혀져 있다(G. H. Docena et al, 1996). 또한, 카세인은 화장품 성분으로 쓰이고 있으나, 연구가 충분히 진행되어 있지 않다.
그 외에도, 초유에는 각질제거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권유빈, et al. 2007), 멜라닌 색소를 억제하는 TGF-beta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고(Martinez-Esparza M, et al, 1997), 또 초유에는 보습효과가 뛰어다나고 증명된 히알루론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Pedersen, et al, 2014).
피부 미용이나 미백을 위해 사용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는 전통적으로 피부에 발라 사용하는 화장품이 있으며, 식품으로 섭취하여 미용 효과를 나타내는 이너뷰티(iinner beauty; 먹는 화장료)도 개발되고 있다.
특히, 천연 성분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우유나 초유의 경우 피부의 보습, 주름개선, 미백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로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초유는 우유와는 달리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바람직한 성분으로 인식되어 있으나, 초기 생산 시기에 수집된 초유는 쉽게 부패하여 보관이 어렵고 가공이 쉽지 않아서 그 활용이 크게 제한적이다.
최근 본 발명자들에 의해 초유 발효산물에 대한 기능성 화장품이 연구된 바 있다. 이를 토대로 한국특허공개 제10-2019-0082159호 등에서는 초유 발효산물의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보습, 주름개선 및 미백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제안한 바 있다.
또한, 기존에 이러한 초유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로써, 한국등록특허 제10-0619289호에서는 초유의 알부민을 미백제인 알부틴과 연계한 미백 화장품의 제조방법에 대해 공지되어 있고, 한국특허공개 제10-2016-0110829호에서는 우유 발효물의 피부미백용 효능이 제안되어 있으며, 한국특허공개 제10-2013-0108828호에서는 우유 유래 올리고 펩타이드를 이용한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한국등록특허 제10-2186872호에서는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또, 초유나 우유 이외에도 동물성이나 식물성의 다양한 천연자원을 가공하여 미백 등 여러 종류의 기능성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이 천연성분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중에서, 특히 우유와 초유는 그 성분 구성이 인체에 매우 유용한 성분들로 구성되어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유제품을 활용한 기술로서 상기 언급한 특허로 예시된 기술을 보면, 일부 초유나 우유를 그대로 이용하거나 발효 처리하여 활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초유 성분의 여러 효능과 알부틴에 의한 미백 효과 또는 초유나 우유의 발효나 추출물 등을 이용한 피부미백용 조성물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우유나 초유 발효 처리하는 등으로 가공하고 있으나, 아직도 이로 인한 피부미용 효과에 대한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초유의 특성을 충분하게 활용하는 데는 부족함이 있다.
또한, 초유를 이용한 화장품 등으로 적용 가능한 실효성이 있는 화장료 성분에 관한 기술, 특히 피부미백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대로 제안하고 있지 못하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19-0082159호 한국등록특허 제10-0619289호 한국특허공개 제10-2016-0110829호 한국특허공개 제10-2013-0108828호 한국등록특허 제10-218687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초유 성분의 활용성을 연구하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초유 성분을 가수분해하여 얻어지는 초유의 유제품 가수분해 산물의 제공과 이에 대한 새로운 용도의 제공을 해결과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유를 가수분해 처리한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을 피부미백용 조성물로 적용하는 용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초유를 가수분해한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초유의 가수분해는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는 플라보자임, 프로타멕스, 파파인, 프로테아제, 뉴트라아제, 알칼라아제, 리파아제, 포스포타제, DNA글리코실라아제, 아밀라아제, 뉴클레아제, 헬리카아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피부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먹는 화장품, 건강식품 조성물 또는 약제조성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은 가수분해를 통해 초유에 함유된 특정 유효성분을 가수분해함으로써 색소 침착 억제 효과와 미백효과가 우수하므로, 기존의 우유, 유청 또는 이들의 발효물 등 유사 원료의 가공물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한 피부미백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은 그 제조가 간단하고 용이하며, 종래부터 널리 이용되는 가수분해 처리에 의해 새로운 형태의 가수분해 산물을 얻은 것이므로 인체 독성이 없고 안정성이 높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초유는 가수분해함으로써 그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은 성분 구성에서도 초유에 비해 매우 우수한 성분 구성을 나타내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을 이용하여 화장품 등을 제조하는 경우 기존에 알려진 우유의 유래 가공물에서 발현되는 효과와는 달리 초유를 가수분해 처리에 의해 생성된 가수분해 산물에 함유된 성분 구성으로 인해 색소침착 방지와 뛰어난 미백 효과를 발휘하는 화장품 등의 제조에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초유 가수분해 산물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이외에도 피부미백에 효과가 있는 이너뷰티 조성물이나 건강식품 또는 약제조성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의 미백효과에 대하여 멜라닌 세포 배양액에 대한 실험결과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타나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의 미백효과에 대하여 멜라닌 세포 자체에 대한 실험결과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타나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써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은 초유 원물보다 활용성이 우수한 가수분해 산물로써 그 자체가 새로운 물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얻어진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은 미백 활성이 우수하므로 기존에 화학합성이나 천연성분 유래의 다른 피부미백용 조성물 등을 대체 및 보완하기 위하여, 초유의 가수분해를 통하여 천연 화장품 조성물 등의 제조에 적용하면 특히 미백 효과를 증진시킨 새로운 용도의 피부미백용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수분해 원료로써 초유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그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초유를 가수분해시킨 가수분해 산물과 이에 대한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우유나 유청 또는 이들의 발효물 등 다른 유제품의 가수분해 산물에 비해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이 월등하게 우수한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에 적용된 가수분해는 가수분해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초유에 대한 가수분해를 위해 적용될 수 있는 상기 가수분해 효소는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로서는 플라보자임, 프로타멕스, 파파인, 프로테아제, 뉴트라아제, 알칼라아제, 리파아제, 포스포타제, DNA글리코실라아제, 아밀라아제, 뉴클레아제, 헬리카아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플라보자임, 프로타멕스, 파파인, 프로테아제, 뉴트라아제, 알칼라아제 중에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특히 가수분해의 전 또는 가수분해 이후에 카세인이 제거된 것, 살균 처리된 것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초유는 통상적으로 분만 후 3일 이내에 짠 젖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초유는 소, 염소, 산양 등 가축동물의 초유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초유 중에서도 소 초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초유는 통상적으로 염소, 산양 등 가축동물의 초유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초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초유를 급속 냉각한 다음 저온 살균 처리하여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를 거쳐 사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지방이 제거된 초유를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저온 살균처리는 통상의 저온 살균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이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은 제조 공정의 임의의 단계에서 카세인이 제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카세인 등의 제거를 위해 예컨대 응고효소 역할을 위한 효소 복합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렌넷(rennet)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에에 따르면, 상기 초유는 지방이 제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초유의 지방 제거는 통상적인 원심분리법, 여과방법, 지방 응집제 이용방법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초유 가수분해 산물은 추가적으로 여과 단계, 살균 단계, 추출 단계 또는 동결건조 등의 하나 이상의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가수분해 산물은 제조 후에 2회 또는 수회의 여과를 거쳐 혹시 있을지 모를 균을 제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수분해 공정은 예컨대 초유인 원료의 농도를 1∼50중량%로 하고, 가수분해 효소는 0.1∼5중량%로 첨가할 수 있다. 가수분해 공정 조건은 예컨대 40∼80℃에서 1∼12시간 가수분해할 수 있다. 이렇게 얻은 가수분해 산물을 여과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얻은 가수분해 산물은 기존에 초유나 우유의 가공물로부터 유래된 어느 성분과도 상이한 매우 유용한 성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놀라울 정도로 우수한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 자체로도 새로운 천연 가공물로서의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초유를 가수분해하여 제조된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 자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이러한 본 발명의 가수분해 산물의 뛰어난 미백 효과는 매우 적은 사용량에 의해서도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예컨대 초유를 이용하는 경우 0.1-500㎍/ml, 0.5-300㎍/ml, 1-200㎍/ml, 1-100㎍/ml, 더 적게는 1-50㎍/ml 에서도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본 발명의 초유 가수분해 산물의 효과는 초유에 비해 더 월등한 조건의 피부미백 효과를 보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수분해 산물, 예컨대 특히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은 타이로신 억제 활성, 즉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현저하게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멜라닌은 페놀류가 산화효소에 의해 산화되어 유도된 갈색 또는 흑색 고분자 색소의 총칭으로 생체 안에서는 빛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유 발효산물은 이러한 멜라닌 세포의 합성을 억제하는 놀라운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수분해 산물은 정제 과정을 거치는 경우 카세인 등에 의한 단점을 배제함과 동시에 기능성 성분의 함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특히 다른 유제품이나 유제품의 발효물 등에 비해 예측할 수 없었던 더욱 우수한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초유의 상기와 같은 가수분해 산물의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특히 본 발명의 초유 가수분해 산물은 기존의 미백용 조성물과는 달리 적은 량으로도 멜라닌 생성 억제에 대한 실질적이고도 월등한 피부미백 활성을 나타낸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의 가수분해 산물에 함유된 다양한 성분들에 의해 피부환경을 개선해 줌으로써, 천연 화장품으로 피부에 색소침착 등이 생기지 않도록 맑은 피부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으므로 피부미백용 화장료로 매우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수분해 산물의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화장료로 사용하는 용도는 기존에 알려진바 없는 신개념의 천연 미백 화장료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가수분해 산물의 미백용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매우 유의성이 있는 피부의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가수분해 산물은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여러 가지 성상으로 첨가할 수 있으며, 예컨대, 분말상, 액상, 나노캡슐, 복합체 등의 형태로 첨가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예로써는 액상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수분해 산물이 함유된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로는 화장수(스킨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영양에센스, 클렌져, 마스크팩 등의 화장료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기타 다양한 기능성 효과를 위한 식품 조성물 또는 약제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수분해 산물의 미백용 화장료는 그 원료가 초유이고 이를 가수분해하는데 사용된 가수분해 효소는 종래부터 식품제조에 이용되고 있는 성분이므로, 그 가수분해 산물 자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으며, 기존의 조성물에 비해 월등하게 우수한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수분해 산물의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화장료에 적용하여 피부에 사용하는 경우 색소침착이나 피부잡티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저하게 우수한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서 신개념 천연 피부미백용 조성물로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가수분해 산물은 피부미백용 효과를 발현하는 약제조성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식품 조성물로서 건강식품, 이너뷰티용 조성물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가수분해 산물은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매우 유용하고, 또한 피부미백용 의약품인 피부연고제, 경구제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가수분해 산물을 약제조성물로 적용하는 경우, 예컨대 피부연고제로서 1-500㎍/ml로 피부에 수회 도포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피부에 적용하는 피부미백 화장료를 적용한 화장품으로 제조하여 적용하는 경우에는 0.1-500㎍/ml로 구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더욱 바람직하게는 어떤 경우라도 피부에 1-400㎍/ml로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가수분해 산물의 피부미맥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가수분해 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약제조성물을 포함한다. 그 예로서는 피부미백용 피부연고제를 포함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가수분해 산물을 피부미백용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건강식품이나 피부연고제 등의 약제조성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초유 가수분해 산물의 제조
초유 1리터를 준비한 다음 여기에 가수분해 효소를 2%(w/w) 첨가하고, 50℃ shaking incubator에서 2시간 처리하여 가수분해를 시행하였다. 가수분해를 거친 이후에는 85℃에서 2분간 가열 처리하여 효소 가수분해 반응을 종료하였다.
가수분해 종료 후에 이를 3,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여 0.22um 필터로 여과하였다. 가수분해 산물은 진공 동결 건조하여 사용한다.
실험예 1 :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미백 효과 평가
세포주는 B16F1 멜라노마 세포(Murine melanoma cell line)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0.05 %의 트립신(trypsin)-EDTA (GIBCO BRL)로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자란 B16F1 멜라노마 세포를 띄워서 세포수 계산(Cellcounting)을 통하여 24 well-plate에 2 × 104cells/well에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주를 New-10 % FBS/DMEM 배지로 교체한 다음, 교체된 배지에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대조군 및 실시예인 시료 A)를 각각 1시간 전처리한 뒤, 1nM의 알파-멜라닌 형성세포 촉진 호르몬(α-Melanocyte stimulatinghormone,α-MSH)를 함께 처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Arbutin을 처리하였다.
시료를 처리한 후 72시간 동안 이산화탄소 배양(CO2 incubation, Thermo)하였다. 세포의 배양액을 100ul 취해 96well plate에 옮긴 후,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배양액으로 분비된 멜라닌 (Secreted melanin)의 양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O.D 405을 가지고 백분율로 환산하였으며, 무처리군에서 멜라노마 세포가 생성한 멜라닌의 생성량을 100 % 기준으로 하여 처리된 시료에 의해 멜라닌 생성이 억제된 정도를 비교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배양 후 0.05 % 트립신(trypsin)-EDTA(GIBCO BRL)를 처리하여 세포를 회수한 다음, 12,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남은 잔류물에 10% 디메틸포름아미드(DMSO)가 함유된 1N 소듐하이드록사이드 100 ㎕를 첨가하여 60 ℃에서 30분 동안 방치하고 다시 교반하여 혼합한 다음,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멜라닌을 정량하였다. 측정된 O.D 405을 가지고 백분율로 환산하였으며, 무처리군에서 멜라노마 세포가 생성한 멜라닌의 생성량을 100 % 기준으로 하여 처리된 시료에 의해 멜라닌 생성이 억제된 정도를 비교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면, 멜라닌 세포 배양액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시료 A (실시예)의 경우 초유 원물을 포함한 다른 대조군에 비해 월등하게 우수한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실시예(시료A)의 경우 매우 소량인 1ug/ml에서도 우수한 멜라닌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면, 멜라닌 세포 자체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이 실험에서도 상기와 동일하게 시료 A (실시예)의 경우 초유 원물을 포함한 다른 대조군에 비해 월등하게 우수한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실시예(시료A)의 경우 매우 소량인 1ug/ml에서도 우수한 멜라닌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들로부터 실시예에서 제조된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이 피부 미백효과가 월등하게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 세포 독성 실험
MTT Assay 방법은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가 가지고 있는 탈수소효소를 이용해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써, 실시예에 따른 초유 가수분해 산물의 독성여부를 평가했다.
세포주는 B16F1 cell를 사용하고, 동물세포배양 배지로는 10% FBS와 100UL S/P를 포함하는 DMEM(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Gibco)을 사용하였다. 96well plate 각 well에 4x103cell/well을 넣어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된 배지 plate에 발효 초유 추출물을 첨가하여(실시예 실험군) 72시간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0.5mg/ml MTT solution을 모든 well에 넣고 4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상층액을 제거 후 DMSO 100ul를 넣어 formazan crystal을 모두 녹인다. plate reader로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생존률을 비교한다.
상기 측정결과는 다음 표 1에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Relative Viability (%)
대조군 100%
실험군 101.3%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은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 피부자극 실험
피부에 대한 자극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피부 첩포시험(Human patch test)을 시행하였다. 피부 첩포시험은 20세 이상의 정상인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시료(실시예)를 0.001%, 0.01%, 0.1%, 1%, 10% 수용액으로 만든 다음 핀챔버(Finn chamber)를 이용하여 각각 48시간 동안 상박 안쪽 부위에 부착 한 뒤 제거한 후에 첫 판독을 하고, 72시간이 경과한 후에 2차 판독을 시행하여 피부 반응결과를 판정하였다. 평가 결과 실시예의 초유 가수분해 산물은 피부자극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제조예 : 화장품(마스크팩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과 함량으로 수상과 오일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고 혼합한 다음 검화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마스크 팩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스테아린산 6.5
미리스틴산 28.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0
초유 가수분해 산물(실시예) 12.0
프로필렌 글리콜 5.0
농글리세린 10.0
수산화나트륨 7.0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1
할미꽃추출물 0.5.
향료 미량
정제서 잔량

Claims (5)

  1. 초유를 플라보자임, 프로타멕스, 알칼라아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한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96981A 2021-07-23 2021-07-23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과 이를 함유한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590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981A KR102590415B1 (ko) 2021-07-23 2021-07-23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과 이를 함유한 피부미백용 조성물
CN202180010945.XA CN115867359A (zh) 2021-07-23 2021-11-18 初乳的水解物和包含该水解物的皮肤美白组合物
PCT/KR2021/016968 WO2023003095A1 (ko) 2021-07-23 2021-11-18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과 이를 함유한 피부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981A KR102590415B1 (ko) 2021-07-23 2021-07-23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과 이를 함유한 피부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622A KR20230015622A (ko) 2023-01-31
KR102590415B1 true KR102590415B1 (ko) 2023-10-18

Family

ID=8498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981A KR102590415B1 (ko) 2021-07-23 2021-07-23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과 이를 함유한 피부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90415B1 (ko)
CN (1) CN115867359A (ko)
WO (1) WO2023003095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38750B1 (en) * 1990-01-23 1993-10-27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Lactoferrin hydrolyzate for use as an antibacterial agent
JP2572931B2 (ja) * 1993-04-28 1997-01-16 雪印乳業株式会社 美白剤
KR100619289B1 (ko) 2004-01-29 2007-04-12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초유와 알부틴을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08828A (ko) 2012-03-26 2013-10-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올리고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60110829A (ko) 2015-03-13 2016-09-22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hy7301 우유 발효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2311097B1 (ko) 2017-12-29 2021-10-08 주식회사 팜스킨 초유의 호기성 발효산물
KR101974405B1 (ko) * 2018-11-30 2019-05-02 이호 초유 유청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9300B1 (ko) * 2018-12-14 2022-03-29 이호 생체모사 초유 유래 펩타이드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KR102186872B1 (ko) 2019-04-25 2020-12-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622A (ko) 2023-01-31
WO2023003095A1 (ko) 2023-01-26
CN115867359A (zh) 202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45790A (ja) 化粧料
CN111053716A (zh) 一种茯茶提取物在制备皮肤调节产品中的用途
JP2008291004A (ja) 美肌用組成物
KR101697152B1 (ko) 장어로부터 추출한 뮤신을 이용한 항노화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제재의 제조방법
JP7406839B2 (ja) 皮膚外用剤
CN101172095A (zh) 含有蜂王浆的蛋白水解物的化妆材料
KR101336804B1 (ko) 버섯을 이용한 전복 버섯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JP2023532093A (ja) 植物性コラーゲン及び植物性ムチンを含む植物抽出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15438A (ja) 抗老化用組成物
KR20200049122A (ko) 기능성 펩타이드와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JP6807535B2 (ja) 線維芽細胞増殖剤
TWI601540B (zh) Human Skin Epidermal Cell Proliferator, Compositions Containing Its Skin, and Cosmetic Ingredients
JP6706017B2 (ja) 幹細胞機能維持剤
CN112702990A (zh) 包含新型鼠李糖乳杆菌lm1011作为有效成分的皮肤美白用化妆品组合物
KR101437997B1 (ko) 생캐비어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20160129453A (ko) 마태반 발효물 및 마유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JP2004346045A (ja) 海洋深層水を使用する酒造時に得られる酒粕抽出エキスを有効成分とする化粧料添加剤、入浴剤及び健康食品類
KR102590415B1 (ko)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과 이를 함유한 피부미백용 조성물
JP6660519B1 (ja) エラスターゼ阻害剤
JP2018193336A (ja) 皮膚外用剤
JP2009179643A (ja) 化粧料
KR101552472B1 (ko)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이 증진된 굴 추출물의 제조방법
JP2017132703A (ja) カルボニル化抑制剤
KR102590413B1 (ko)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과 이를 함유한 피부개선용 조성물
KR101853927B1 (ko) 피부 각질 제거, 가려움증 개선, 및 두피 비듬 개선 효과가 우수한 연어 비늘의 효소 가수 분해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