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876B1 - 컨텐트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트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876B1
KR102585876B1 KR1020190001923A KR20190001923A KR102585876B1 KR 102585876 B1 KR102585876 B1 KR 102585876B1 KR 1020190001923 A KR1020190001923 A KR 1020190001923A KR 20190001923 A KR20190001923 A KR 20190001923A KR 102585876 B1 KR102585876 B1 KR 102585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distance
output
playbac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5595A (ko
Inventor
황성준
마지연
이영아
데이비드 맥조지
조나단 리자 브로우
자냐 다마리스 페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1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876B1/ko
Priority to PCT/KR2020/000280 priority patent/WO2020145631A1/en
Priority to US16/735,986 priority patent/US11240559B2/en
Publication of KR20200085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8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by altering the content in the rendering process, e.g. blanking, blurring or masking an image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6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by muting the audi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장치가 개시된다. 컨텐트 재생 장치는 단말기와 주기적으로 연결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컨텐트를 출력하는 출력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연결 신호를 기반으로 얻어진 단말기와의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 멀어지면 출력부를 제어하여,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단말기가 컨텐트 재생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이에 상응하여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트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Contents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컨텐트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발생한 상황에 따라 컨텐트 출력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TV, PC, 태블릿, 휴대전화 등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컨텐트를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하나의 디바이스를 통해 컨텐트를 시청하다가 시청을 방해하는 상황이 생기면, 사용자는 시청 방해 상황이 종료할 때까지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된 컨텐트를 놓치게 된다. 시청 방해 상황이 생긴 이후에 출력되는 컨텐트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 사용자는 별도로 일시 정지 버튼을 누르는 등과 같이 시청 중지를 요청하는 행위를 해야 한다.
사용자가 시청 중지를 요청하는 행위를 한 이후, 시청 방해 상황이 종료하면, 다시 컨텐트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재생 버튼을 누르는 등과 같이 시청 계속을 요청하는 행위를 해야 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용자에게 발생한 상황을 감지하여 컨텐트 출력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장치는, 단말기와 주기적으로 연결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컨텐트를 출력하는 출력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신호를 기반으로 얻어진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 멀어지면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컨텐트 출력부는 상기 컨텐트에 포함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컨텐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영상의 출력을 일시 정지시키거나 또는 상기 오디오의 볼륨을 더 높여 상기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연결 신호의 세기가 소정 세기보다 약한 경우,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졌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진 이후부터,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짧아진 경우,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컨텐트가 원래대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결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연결 신호의 세기가 소정 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짧아졌다고 결정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진 이후부터,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짧아지지 않으면,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컨텐트 출력을 완전히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진 경우, 상기 출력하던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컨텐트에 액세스하여 상기 컨텐트를 이어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진 이후부터,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짧아진 경우,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트 재생 시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출력한 이후부터 상기 컨텐트를 이어서 출력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수신하는 단말기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 모두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진 경우에만 상기 컨텐트 출력을 조절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 중 일부의 단말기와의 거리만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진 경우, 상기 출력하던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거리가 멀어진 일부의 단말기에게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컨텐트에 액세스하여 상기 컨텐트를 이어서 출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컨텐트를 계속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방법은 단말기와 주기적으로 연결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연결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 멀어졌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지면 상기 컨텐트 출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단말기와 주기적으로 연결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연결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 멀어졌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지면 상기 컨텐트 출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트 재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장치는, 시청 방해 상황이 발생했는지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장치는, 시청 방해 상황이 종료했는지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컨텐트의 출력을 원래대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장치는, 시청 방해 상황이 발생한 경우, 단말기를 이용하여 연속하여 컨텐트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라, 컨텐트 재생 장치가 사용자에게 시청 방해 상황이 발생한 경우를 감지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컨텐트 재생 장치가 사용자에게 시청 방해 상황이 발생한 경우를 감지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라, 컨텐트 재생 장치가 단말기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를 감지하고 컨텐트 출력을 조절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라,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와의 근접도를 이용하여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로부터 이벤트에 대한 신호를 받아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의 이벤트 발생 및 종료 시, 컨텐트 재생 장치와 단말기가 컨텐트를 이어서 출력하는 방법을 신호 흐름과 같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가 화면을 통해서 출력하는 컨텐트 연속 재생 여부 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가 복수개인 경우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다양한 다른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명칭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특히,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된 "상기" 및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들의 순서를 명백하게 지정하는 기재가 없다면, 기재된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기재된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 예에서" 또는 "일 실시 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 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라 컨텐트 재생 장치가 사용자에게 시청 방해 상황이 발생한 경우를 감지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TV(100) 시청이 가능한 공간에서 TV(100)를 시청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컨텐트 재생 장치가 TV(10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TV(100) 및 단말기(130, 140)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청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TV(100)를 시청하다가 시청 방해 상황이 생기면, 일시적으로 또는 완전히 TV(100) 시청이 가능하지 않은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TV(100)가 설치되어 있는 거실에서 TV(100)를 시청하다가 다른 방으로 가거나 또는 외출을 해야 할 경우가 있다. 사용자가 단말기(140)를 휴대한 상태로 이동할 경우, 단말기(140) 또한 TV(100) 시청이 가능하지 않은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는 TV(100)를 시청할 수 있는 공간을 떠나면서, TV(100)를 일시 정지 시키거나 전원을 종료시키는 등의 행위를 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다시 TV(100) 시청이 가능 공간으로 돌아오기까지 TV(100)에서 출력되는 컨텐트를 놓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 예에서, TV(100)는 단말기(130, 140)와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여, 단말기(130, 140)가 TV(100)에서 멀어졌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미리 TV(100)는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130, 140)와 통신망을 통해 결합한 상태일 수 있다. TV(100)는 결합한 단말기(130, 140)와 주기적으로 연결 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써, 단말기(130, 140)가 근접 영역(110)을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근접 영역(110)은, TV(100)가 단말기(130, 140)에게 시청 방해 상황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데 사용하는 기준 영역일 수 있다. 근접 영역(110)은 TV(100)를 기준으로 소정의 근접 거리(120) 이내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TV(100) 시청이 가능한 근접 영역(110) 이내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 또한 근접 영역(110)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기의 도면 부호를 130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근접 영역(110)을 벗어나 단말기 또한 근접 영역(110)을 벗어나 위치하는 경우, 그 단말기에 대해서 도면부호 140을 이용하여 표시하기로 한다.
실시 예에서, TV(100)는 초음파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을 이용하여 공간 내 위치한 디바이스를 찾기 위한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즉, TV(100)는 TV(100)와 연결된 디바이스가 TV(100)로부터 근접 거리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주변에 제1 연결 신호를 지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30, 140)가 TV(100) 주변에 위치한 경우, 단말기(130, 140)는 TV(100)로부터의 제1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130, 140)는 TV(100)로부터 제1 연결 신호를 수신한 후, 제1 연결 신호를 수신했음을 알리는 제2 연결 신호를 TV(100)에 보낼 수 있다. 제2 연결 신호는 단말기(130, 140)가 제1 연결 신호를 수신한 후, 제1 연결 신호를 전송한 TV(100)에 보내는 일종의 응답 신호이다. TV(100)와 단말기(130, 140)는 주기적으로 제1 연결 신호 및 제2 연결 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써, TV(100)와 단말기(130, 140) 사이의 데이터 링크가 잘 동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연결 신호를 수신한 단말기(130)가 소정 시간 이내에 TV(100)에 제2 연결 신호를 보내는 경우, TV(100)는 단말기(130)가 근접 영역(110) 안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말기(140)가 제1 연결 신호를 수신했음을 알리는 제2 연결 신호를 소정의 시간 이내에 TV(100)에 보내지 않는 경우, TV(100)는 단말기(140)가 근접 영역(110)을 벗어났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TV(100)가 단말기(130, 140)에 주기적으로 제1 연결 신호를 전송한 후, 단말기(130, 140)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제 1 연결 신호를 수신했음을 확인하는 제2 연결 신호를 받는 경우, TV(100)는 제2 연결 신호의 세기에 따라 단말기(130, 140)가 근접 영역(110)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TV(100)는 단말기(140)로부터 수신한 제2 연결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한 소정의 세기보다 강도가 약한 경우, 단말기(140)가 근접 영역(110)을 벗어났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TV(100)는 제2 연결 신호의 세기에 따라 TV(100)와 단말기(130, 14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TV(100)는 제2 연결 신호의 세기에 따라 측정된 단말기(130, 140)와의 거리를 이용하여 단말기(130, 140)가 근접 영역(110)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TV(100)는 단말기(140)가 근접 영역(110)을 벗어났다고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시청 방해 상황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컨텐트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TV(100)는 출력 중이던 컨텐트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TV(100)는 단말기(140)가 근접 영역(110)을 벗어나, 사용자에게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한 경우, 컨텐트의 볼륨을 더 올려서 큰 오디오 소리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TV(100)에서 출력되는 컨텐트가 지상파 방송 신호등과 같이 실시간 방송인 경우, TV(100)는 출력 중이던 컨텐트의 볼륨을 높임으로써 사용자가 멀리에서도 TV(100)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TV(100)에서 멀리 떨어진 경우에도 TV(1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실시 예에서, TV(100)는 출력 중이던 컨텐트에 대해 녹화를 시작할 수도 있다. 컨텐트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TV(100)는 사용자에게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한 이후부터 TV(100)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트에 대해 녹화를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TV(100)는 출력 중이던 컨텐트를 일시 정지 시킬 수도 있다. 시청 방해 상황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TV(100)에서 멀어져 TV(100) 시청을 할 수 있는 상황이 되지 않는 경우, TV(100)는 출력 중이던 컨텐트를 일시적으로 정지 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서, TV(100)는 컨텐트를 일시 정지시킴과 동시에, 출력 중이던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14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컨텐트에 대한 정보는, 출력 중이던 컨텐트의 타이틀 등과 같은 컨텐트 식별자, 컨텐트의 저장 위치를 나타내는 컨텐트 액세스 정보, 출력 중이던 컨텐트의 재생 시점 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트의 저장 위치는 컨텐트를 제공하는 서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40)는 TV(100)로부터 받은 컨텐트 식별자 및 컨텐트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트를 제공하는 서버에 액세스하여 소정 식별자를 갖는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40)는 컨텐트의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TV(100)에서 재생하던 시점 이후부터의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TV(100)에서 멀어진 경우에도 단말기(140)를 이용하여 계속하여 컨텐트를 이어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단말기(140)가 근접 영역(110)을 벗어난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다시 근접 영역(110) 안에 들어오면, TV(100)는 단말기(130)에 이벤트가 종료되었음을 감지하고, 컨텐트를 원래대로 출력할 수 있다. 즉, TV(100)가 단말기(140)에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한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단말기(130)로부터 제2 연결 신호를 받는 경우, 또는 제2 연결 신호의 세기가 소정 기준 값보다 큰 경우, 또는 제2 연결 신호를 기반으로 측정한 단말기(130)와의 거리가 근접 거리(120) 안에 드는 경우, TV(100)는 단말기(130)가 근접 영역(110) 이내에 위치한다고 결정하고, 이벤트가 종료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TV(100)는 이벤트 종료를 감지한 후, 이에 상응하여 오디오 볼륨을 다시 원래대로 조절하여 사용자가 TV(100)로부터 출력되는 컨텐트를 원래의 오디오 볼륨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거나, 컨텐트 녹화를 중단한 채 컨텐트 재생만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컨텐트 녹화를 계속 함과 동시에, 화면에는 이미 녹화하여 저장한 컨텐트 부분부터 출력하여, 사용자가 근접 영역(110)을 벗어난 시점부터 이용하지 못했던 컨텐트를 다시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TV(100)는 일시 정지했던 컨텐트의 출력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트가 VOD(Video On Demand)나 OTT(Over The Top) 등의 서비스를 통한 인터넷 방송인 경우, TV(100)는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여 출력 중이던 컨텐트를 일시 정지한 후, 이벤트 종료를 감지하면, 중지했던 컨텐트를 다시 재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TV(100)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후 단말기(140)에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단말기(140)가 컨텐트를 이어서 출력하도록 한 이후, 단말기(130)에 이벤트가 종료된 경우, 단말기(130)는 단말기(130)를 통해 출력 중이던 컨텐트의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TV(100)에 전송할 수 있다. TV(100)는 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130)가 출력한 이후의 시점부터 이어서 컨텐트 재생을 시작할 수 있다.
TV(100)는 단말기(140)가 근접 영역(110)을 벗어난 이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단말기(140)가 다시 근접 영역(110) 안에 들어오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외출을 했거나 하는 등의 사유로 더 이상 TV(100)를 시청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컨텐트 출력을 완전히 중단할 수 있다. 이 경우, TV(100)는 디폴트로 설정된 홈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TV(100)는 전원을 끄고 더 이상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별도로 컨텐트를 종료시키거나 TV(100)를 끄는 등의 행위를 하지 않아도, 시청 방해 상황이 생김을 감지한 TV(100)가 컨텐트를 종료시키거나 TV(100) 전원을 끄는 동작을 대신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컨텐트 재생 장치가 사용자에게 시청 방해 상황이 발생한 경우를 감지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TV(200) 시청이 가능한 공간에서 단말기(230)를 휴대한 상태로 TV(200)에서 출력되는 컨텐트를 시청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말기(230)를 휴대한 상태로 근접 거리(220) 이내의 근접 영역(210) 안에서 TV(200)를 시청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TV(200)는 미리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230)와 통신망을 통해 결합한 상태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근접 영역(210) 안에 위치한 단말기(230)에 전화가 오는 것과 같은 시청 방해 상황이 생길 경우, 사용자는 일시적으로 또는 완전히, 단말기(230)를 소지한 채로 TV 시청이 가능하지 않은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TV(200)는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고 컨텐트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TV(200)를 시청하는 중에 단말기(230)에 전화가 오는 경우, 근접 영역(210) 안에 위치한 상태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미처 TV(200)에서 출력되는 컨텐트를 일시 정지시키거나 컨텐트의 볼륨을 낮추는 등의 기능을 실행시킬 경황이 없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말기(230)는 전화가 오는 상황과 같이 이벤트가 발생하면, 결합되어 있는 TV(200)에 이벤트 발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TV(200)는 단말기(230)로부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단말기(230)에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하고 출력 중이던 컨텐트의 볼륨을 낮추거나 무음(MUTE)으로 비디오만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소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가 단말기(230)를 이용한 전화 통화를 종료한 경우, 단말기(230)는 TV(200)에 이벤트가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이벤트 종료 신호를 보낼 수 있다. TV(200)는 단말기(230)로부터 이벤트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단말기(230)에 발생했던 이벤트가 종료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벤트 종료에 상응하여, TV(200)는 컨텐트의 볼륨을 원래대로 다시 높이거나, 일시 정지 상태의 컨텐트 출력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벤트 발생 이후 단말기(230)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계속하여 TV(200)가 소정 시간 이내에 단말기(230)로부터 이벤트 종료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TV(200)는 출력 중이던 컨텐트를 완전히 종료하거나, TV(200) 전원을 끄고 더 이상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라 컨텐트 재생 장치가 단말기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를 감지하고 컨텐트 출력을 조절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컨텐트 재생 장치(300), 서버(320), 사용자 단말기(340), 제1 네트워크(310) 및 제2 네트워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다양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100)는 TV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트 재생 장치(100)는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모니터와 셋탑박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컨텐트 재생 장치(100)는 평면(flat)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곡률을 가지는 화면인 곡면(curve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곡률을 조정 가능한 가변형(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100)의 출력 해상도는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Full HD, Ultra HD, 또는 Ultra HD 보다 더 선명한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20)는 통신부와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이다. 서버(320)는 컨텐트를 공급하는 서버나 전자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서버(320)는 소정 컨텐트를 컨텐트 재생 장치(400)로 송신할 수 있는 방송국 서버, 컨텐트 제공자 서버, 컨텐트 저장 장치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서버(320)는 지상파 방송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지상파 방송국에서 수신한 컨텐트를 실시간으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서버(320)는 인터넷 방송국 등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320)는 Netflix, Amazon, Tving, Kootv 등의 컨텐트 제공 업체가 유지 관리하는 서버 등이 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서버(320)로부터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트를 VOD나 OTT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서버(320)는 제1 네트워크(310)을 통해 컨텐트 재생 장치(300) 및 단말기(340)로 다양한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트는 비디오, 오디오, 텍스트, 이미지,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트는 컨텐트 재생 장치(300) 내부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310)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서버(3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고, 또는 서버(320)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여 이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340)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전자 기기로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340)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말기(340)는 단수 개 일수도 있고,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예컨대, 단말기(340)가 복수 개(341, 342, 343)인 경우, 각각의 단말기(341, 342, 343)들은 제1 네트워크(310) 및 제2 네트워크(330)를 이용하여 서버(320) 및 컨텐트 재생 장치(3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와 단말기(340)는 각각 제1 네트워크(310)을 통하여 서버(320)에 접속하여 서버(320)로부터의 컨텐트를 받아 이를 재생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310)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일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와 단말기(340)는 제2 네트워크(330)을 통하여 서로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제2 네트워크(330)를 통해 단말기(340)과 결합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제2 네트워크(300)를 통해 단말기(340)에 연결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연결 신호는 컨텐트 재생 장치(300)가 단말기(340)로 전송하는 제1 연결 신호 및 단말기(340)가 제1 연결 신호를 수신했음을 알리는 제2 연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330)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 레이저 빔 통신과 같은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통적 블루투스(Classic Bluetooth)는 가까운 거리에서 데이터나 음성을 교환할 때 사용하는 무선 기술 표준이다. 이 기술은 스마트폰, 노트북, PC 주변장치, 이어폰 등 장치간에 데이터, 오디오 및 비디오를 전송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Bluetooth Low Energy)기술은 기존 블루투스 기술과 동일한 스펙트럼에서 작동되지만 사용되는 채널은 다르다. 블루투스 기술의 1 MHz 폭 채널 79개 대신에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기술은 2 MHz 폭 채널 40개를 사용하며,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기법을 이용해 협대역 간섭 문제를 해결한다. BLE로 초 저전력 커넥티비티와 기본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BLE는 극히 낮은 수준의 전력 소모가 가능하여 순수한 의미의 저전력 소모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컨텐트 재생 장치(300)와 단말기(340)가 대기 모드이든 노말 모드이든 항상 동작하게 하도록 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제2 네트워크(300)를 통해 단말기(340)와 송수신하는 연결 신호를 기초로 단말기(340)와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인지 또는 소정 거리보다 멀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와의 근접도를 판단하여 근접도가 소정 값 이하인 경우, 즉, 컨텐트 재생 장치(300)와 단말기(340)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 멀어진 경우,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하고, 컨텐트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와의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 멀어진 이후부터 기준 시간 이내에 단말기(340)와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로 짧아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준 시간은, 단말기(340)와의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 멀어졌다고 결정한 시점 이후부터 소정의 기 설정된 시간 간격일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기준 시간 이내에 단말기(340)와의 근접도가 소정 값 이상이 되는 경우, 즉, 컨텐트 재생 장치(300)와 단말기(340) 사이의 거리가 다시 소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진 경우, 컨텐트를 원래대로 다시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가 멀어진 이후 기준 시간이 지나도 단말기(340)와의 근접도가 소정 값 이상으로 커지지 않는 경우, 즉, 컨텐트 재생 장치(300)와 단말기(340)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로 짧아지지 않는 경우, 컨텐트 출력을 완전히 중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단말기(340)는 전화 통화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2 네트워크(330)를 통하여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340)는 전화 통화가 종료하는 경우와 같이 이벤트가 종료하면, 이벤트 종료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2 네트워크(330)를 통하여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발생 신호 및 이벤트 종료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또는 종료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컨텐트 출력을 조절하거나, 이미 조절된 상태를 원래대로 다시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이벤트 종료를 감지하지 못하면 컨텐트 출력을 완전히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기(340)가 복수개인 경우,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1, 342, 343)들 각각에 대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 및 종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말기(341, 342, 343)들 모두에 대해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한 경우에만,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컨텐트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단말기(341, 342, 343)들 중 어느 하나라도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컨텐트 출력을 계속할 수 있다. 예컨대, 아빠, 엄마, 아이가 각각 단말기(341, 342, 343)를 하나씩 소지하고 있는 상태로 함께 거실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를 통하여 컨텐트를 시청한다고 가정한다.
아빠와 아이가 각각 안방 및 아이 방으로 이동하고 엄마만 거실에 남게 된 경우,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아빠와 아이의 사용자 단말기(341, 342)와의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 멀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엄마가 휴대하고 있는 또 다른 단말기(343)는 소정 거리를 벗어나지 않았으므로, 컨텐트를 이용하고 있는 또 다른 단말기(343) 사용자를 위해서 계속하여 컨텐트를 출력하게 된다.
실시 예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이벤트가 발생한 아빠와 아이의 사용자 단말기들(341, 342)로 제2 네트워크(330)를 통하여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컨텐트에 대한 정보는 출력되는 컨텐트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액세스 정보 및 컨텐트 재생 시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41, 342)는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310)를 통해, 컨텐트 재생 장치(300)가 출력하던 컨텐트를 제공하는 서버(320)에 직접 액세스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41, 342)는 서버(320)로부터 컨텐트 재생 장치(300)가 출력하던 컨텐트를 소정 시점부터 수신하고 이를 끊김 없이 화면에 이어서 재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계속하여 컨텐트를 출력하게 되고, 이벤트가 발생하여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부터 멀어진 단말기(341, 342)도 또한 동일한 컨텐트를 재생함으로써, 아빠, 엄마, 아이 모두 컨텐트를 놓치지 않고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컨텐트 재생 장치(400)는 프로세서(410), 통신부(420), 메모리(430) 및 컨텐트 출력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400)는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등의 컨텐트를 재생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400)는 리모컨 또는 휴대폰과 같이 컨텐트 재생 장치(4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제어 장치(미도시)로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컨텐트 재생 장치(400)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컨텐트 재생 장치(4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입력 펜 등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400)가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컨텐트 재생 장치(400)는 사용자의 음성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통신부(420)는,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방송 수신 모듈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은 방송 수신을 수행하는 튜너, 블루투스,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CDMA, WCDMA 등과 같은 통신 규격을 따르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뜻한다.
통신부(420)는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320)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420)는 프로세서(410)의 제어에 따라서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서버(3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 (420)는 3G, 3GPP, 4G, 와이파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컨텐트를 제공하는 서버(320)에 접속하여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20)는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단말기(34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42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적외선 통신, 또는 레이저 빔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단말기(340)와 연결 신호 및 이벤트 발생 신호, 이벤트 종료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통신부(420)가 단말기(340)와 주고 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이벤트가 종료했는지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20)는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340)로 전송할 수 있다. 컨텐트에 대한 정보는 컨텐트 식별자, 컨텐트 액세스 정보, 및 컨텐트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20)는 단말기(340)로부터 컨텐트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메모리(4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430)는, 프로세서(4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30)는 프로세서(410)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430)에는 컨텐트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컨텐트는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되어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가 프로세서(41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430)에 저장될 수 있다.
컨텐트 출력부(440)는, 통신부(420)를 통하여 수신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컨텐트 출력부(440)는 컨텐트에 포함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와 컨텐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미도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410)가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한 경우, 프로세서(410)는 컨텐트 출력부(440)에 포함된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여 컨텐트의 볼륨을 높이거나 낮추거나 또는 무음으로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10)는 컨텐트 출력부(44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출력 중이던 컨텐트의 영상을 일시 정지 시키고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여 컨텐트의 오디오 출력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프로세서(410)가 단말기(340)에 이벤트 종료를 감지한 경우, 컨텐트 출력부(440)는 프로세서(410)의 제어에 따라 컨텐트를 원래대로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트 출력부(440)는 볼륨을 원래대로 다시 조절하여 컨텐트를 출력하거나, 일시 정지되었던 화면을 다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컨텐트 재생 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0)는, 메모리(4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컨텐트 재생 장치(4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410)를 도시하였으나, 컨텐트 재생 장치(400)는 복수개의 프로세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장치(400)에서 수행되는 동작들 각각은 복수개의 프로세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410)는 프로세서(4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메모리(미도시)에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내부에 구비되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앞으로 기술할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410)는 프로세서(4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4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소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410)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코어(core, 미도시)와 GPU(미도시)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메모리(430) 또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단말기(340)의 상황을 감지하여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단말기(340)가 컨텐트 재생 장치(400)로부터 멀어지거나 또는 사용자가 단말기(340)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프로세서(410)는 컨텐트 출력부(440)를 통한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트를 놓치는 상황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410)는 단말기(340)로부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단말기(340)는 사용자가 단말기(340)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거나 또는 전화를 받아 통화를 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컨텐트 재생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이벤트 발생 신호 수신에 상응하여 컨텐트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410)는 단말기(340)와 연결 신호를 송수신하고, 연결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기(340)와의 근접도를 얻을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근접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아지는 경우, 즉, 단말기(340)가 컨텐트 생성 장치(400)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이벤트 발생 감지에 상응하여 컨텐트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시청을 방해 받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컨텐트 출력이 자동으로 조절되게 된다.
프로세서(410)는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컨텐트의 볼륨을 조절하거나 컨텐트 출력을 일시 정지시켜 컨텐트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410)는 컨텐트 녹화를 시작하도록 컨텐트 재생 장치(4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미리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컨텐트 재생 장치(400)가 어떤 방법으로 컨텐트 출력을 조절하도록 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컨텐트 재생 장치(400)에는 디폴트로 컨텐트를 조절하는 방법이 세팅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단말기(340)와의 근접도를 기초로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경우, 즉, 단말기(340)가 컨텐트 재생 장치(400)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멀어져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한 경우, 컨텐트 재생을 일시 정지 한 후, 출력하던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340)에 송신할 수 있다. 단말기(340)는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직접 컨텐트에 액세스할 수 있고, 이 경우 컨텐트를 계속하여 이어서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컨텐트 재생 장치(400)로부터 멀어진 경우에도 계속하여 컨텐트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실시 예에서, 통신망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연결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말기(340)가 복수 개이고, 복수의 단말기들 중 일부의 단말기에 대해서만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410)는 출력하던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이벤트가 발생한 단말기(340)에게 송신함과 동시에,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단말기(340)를 위하여 컨텐트를 계속하여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이벤트 발생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종료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 컨텐트 출력을 원래대로 조절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이벤트가 종료한 경우,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컨텐트 출력을 자동으로 원래 출력하던 방식대로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프로세서(410)는 이벤트 발생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단말기(340)로부터 이벤트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이벤트 종료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410)는 이벤트 발생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연결 신호에 기초하여 얻어진, 상기 단말기와의 근접도가 기 설정된 값과 같거나 그보다 커지면, 단말기(340)가 컨텐트 재생 장치(400) 근처에 위치한다고 판단하고 이벤트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의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종료한 경우, 별도의 동작 없이도, 사용자는 컨텐트 재생 장치(400)를 통하여 원래 이용 중이던 컨텐트를 다시 계속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프로세서(410)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후 출력하던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340)에 송신하여 단말기(340)가 컨텐트를 계속하여 이어서 출력한 경우, 이벤트 발생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종료되면, 프로세서(410)는 단말기(340)로부터 컨텐트의 재생 시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컨텐트의 재생 시점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340)가 재생한 시점 이후부터 컨텐트를 이어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컨텐트 재생 장치(400)와 멀어졌다가 다시 근접 영역에 오게 되면 단말기(340)를 통해 출력하던 컨텐트를 다시 컨텐트 재생 장치(400)가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연속적으로 컨텐트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프로세서(410)는 이벤트 발생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종료되었음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컨텐트 출력을 완전히 종료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이벤트 발생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단말기(340)로부터 이벤트 종료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이거나 또는 단말기(340)와의 연결 신호에 기초하여 얻어진, 단말기와의 근접도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가 되지 않는 경우, 이벤트가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이 경우, 사용자가 더 이상 컨텐트 이용을 원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컨텐트 출력을 완전히 종료하거나 또는 컨텐트 재생 장치(400)의 전원을 끌 수 있다.
사용자는 미리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 소정 시간 동안 이벤트가 종료하지 않는 경우, 컨텐트 재생 장치(400)가 어떤 방법으로 컨텐트 출력을 종료하도록 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컨텐트 재생 장치(400)에는 디폴트로 컨텐트 출력을 종료하는 방법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외출을 했거나 또는 통화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컨텐트 출력이 자동으로 중단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트 재생 장치(500)는, 프로세서(410) 및 메모리(430), 이외에 튜너부(510), 통신부(520), 감지부(530), 입/출력부(540), 비디오 처리부(550), 디스플레이(555), 오디오 처리부(560), 오디오 출력부(570), 및 사용자 입력부(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 및 메모리(430)에 대하여, 도 4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도 5에서 생략한다. 또한, 도 4에서 설명한 통신부(420)는 도 5의 튜너부(510) 및 통신부(52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튜너부(5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컨텐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5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컨텐트는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컨텐트는 오디오(audio), 영상 신호인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정보는 컨텐트가 저장된 위치, 컨텐트의 타이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트는 컨텐트로도 불릴 수 있다.
튜너부(510)를 통해 수신된 컨텐트는 디코딩(decoding,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프로세서(41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430)에 저장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500)의 튜너부(510)는 하나이거나 복수개일 수 있다. 튜너부(510)는 컨텐트 재생 장치(5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컨텐트 재생 장치(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박스(set-top box, 도시되지 아니함), 입/출력부(540)에 연결되는 튜너부(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520)는 프로세서(410)의 제어에 의해 컨텐트 재생 장치(5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외부 서버(320))와 연결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통신부(52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서버(320)로부터 컨텐트를 수신, 외부 장치에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520)는 컨텐트 재생 장치(5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521), 블루투스(52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523)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20)는 무선랜(521), 블루투스(52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523)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20)는 프로세서(41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미도시)를 통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520)는 블루투스(522)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미도시), BLE(bluetooth low energy,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520)는 블로투스(522)나 BLE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단말기(340)와 결합하고, 연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520)는 단말기(340)로부터 연결 신호의 수신 여부 및 연결 신호의 강도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이벤트가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부(520)는 단말기(340)로부터 이벤트 발생 신호나 이벤트 종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520)는 단말기(340)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발생 신호 및 이벤트 종료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이벤트가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감지부(53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하며, 마이크(531), 카메라부(532), 및 광 수신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53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53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41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531)는, 사용자로부터, 채널 정보 요청에 대응되는 음성 신호를 제어 장치(1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532)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부(532)는 사용자로부터, 컨텐트 제어에 대응되는 모션을 제어 장치(1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광 수신부(533)는, 제어 장치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수신한다. 광 수신부(533)는 리모컨이나 핸드폰 등과 같은 제어 장치(101)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프로세서(41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입/출력부(540)는 프로세서(410)의 제어에 의해 컨텐트 재생 장치(500)의 서버(320) 등으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신호나 정지 영상 신호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신호나, 음악 신호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컨텐트에 대한 설명이나 컨텐트 타이틀, 컨텐트 저장 위치)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54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54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542), PC 포트(PC port, 543), 및 USB 포트(USB port, 54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540)는 HDMI 포트(541), 컴포넌트 잭(542), PC 포트(543), 및 USB 포트(54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430)는, 프로세서(4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인스트럭션들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컨텐트 재생 장치(500)로 입력되거나 컨텐트 재생 장치(5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30)는 컨텐트 재생 장치(5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다. 메모리(430)는 단말기(340)의 상황을 파악하고 컨텐트 출력 조절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컨텐트 재생 장치(5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컨텐트 재생 장치(500)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41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메모리(43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메모리(4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함으로써, 단말기(340)의 상황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10)는 내부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메모리(430)에 저장되는 데이터, 프로그램, 및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가 프로세서(410)의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550)는, 디스플레이(555)에 의해 표시될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며,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렌더링,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및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55)는 프로세서(41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510)를 통해 수신된 컨텐트에 포함된 영상 신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555)는 통신부(520) 또는 입/출력부(54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트(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55)는 프로세서(41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43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55)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555)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555)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트 재생 장치(4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컨텐트 재생 장치(400)는 디스플레이(555)를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5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5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570)는 프로세서(41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510)를 통해 수신된 컨텐트에 포함된 오디오, 통신부(520) 또는 입/출력부(54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메모리(43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570)는 스피커(571), 헤드폰 출력 단자(572)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57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570)는 단말기(340)의 상태를 감지한 프로세서(410)의 제어에 의해,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높이거나 낮추어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오디오 출력부(570)는 프로세서(410)의 제어에 의해, 오디오를 무음으로 출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580)는, 사용자가 컨텐트 재생 장치(5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사용자 입력부(580)는 리모컨 또는 휴대폰과 같이 컨텐트 재생 장치(5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컨텐트 재생 장치(500)의 디스플레이(555)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58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입력 펜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80)는 적외선(infrared)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트 재생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80)는 구비된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버튼, 터치 패드(touchpad) 외에도 모션 인식이 가능한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580)의 역할을 감지부(530)가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음성 수신이 가능한 마이크(531)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제어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80)는 컨텐트 재생 장치(100)의 전원을 온(on)시키거나 오프(off)시키기 위한 전원 온/오프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58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컨텐트 재생 장치(100)의 채널 변경, 음량 조정, 지상파 방송/케이블 방송/위성 방송 선택, 또는 환경 설정(setting)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580)는 포인팅 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580)는, 특정 키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 포인팅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컨텐트 재생 장치(400, 500)의 블록도는 일 실시 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컨텐트 재생 장치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라,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통신망을 통하여 단말기(340)와 주기적으로 연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단계 610). 이를 위해 미리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와 통신망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연결 신호는 제1 연결 신호 및 제2 연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340)에게 제1 연결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 근처에 위치한 단말기들 중, 제1 연결 신호를 수신한 단말기는 컨텐트 재생 장치(300)에게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했음을 알리는 제2 연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트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단계 620). 사용자는 컨텐트 재생 장치(300)를 제어하여 원하는 컨텐트를 출력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트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 지상파 방송국이나 인터넷 방송국, 또는 외부 컨텐트 제공자 등에 요청하여 수신하거나 또는 컨텐트 재생 장치(300)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메모리로부터 추출한 컨텐트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에서 출력되는 컨텐트를 미러링(mirroring) 또는 캐스팅(casting) 기술을 이용하여 컨텐트 재생 장치(300)의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미러링 또는 캐스팅 기술은 단말기(340)에서 표시되어야 할 내용을 주변의 다른 장치에 표시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단계 630). 실시 예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로부터 이벤트 발생 신호를 받는 경우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단말기(340)는 사용자가 단말기(340)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거나 또는 외부에서 걸려온 전화를 받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했다는 것을 표시하는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340)는 이벤트 발생 신호를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로부터 수신한 제2 연결 신호에 기초하여 얻어진, 단말기(340)와의 근접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아지면,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로부터 제1 연결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연결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기(340)가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부터 멀어져, 근접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아졌다고 판단하고,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로부터 제1 연결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연결 신호를 수신한 경우라도, 제2 연결 신호의 세기가 소정 기준 값보다 약한 경우, 단말기(340)가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부터 멀어져, 근접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아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제2 연결 신호를 기초로 얻어진, 단말기(340)와의 근접도가 소정 값보다 작아지면,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이에 상응하여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단계 640). 실시 예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컨텐트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단말기(340)를 가지고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멀어진 경우,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컨텐트의 볼륨을 높여서, 먼 거리에서도 사용자가 컨텐트의 오디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가 소정 거리 이상 멀어진 경우, 컨텐트 출력을 일시 적으로 정지시킬 수도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가 미러링이나 캐스팅 기술로 단말기(340)의 화면을 출력하는 중에,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함을 감지하는 경우,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미러링이나 캐스팅으로 중단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로부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컨텐트의 볼륨을 낮추거나 무음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사용자가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부터 멀리 떨어지지 않은 위치에서, 단말기(340)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하는 경우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함을 감지하는 경우, 사용자가 전화 통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오디오를 낮추어 출력하거나 무음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오디오 볼륨을 조절하는 대신, 컨텐트 출력을 일시 정지시킬 수도 있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와의 근접도를 이용하여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통신망을 통하여 결합한 단말기(340)와 연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주변의 단말기(340)에게 제1 연결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단말기(340)로부터 제1 연결 신호를 수신했음을 알리는 제2 연결 신호를 받을 수 있다. 제2 연결 신호는 단말기(340)가 컨텐트 재생 장치(300)에게 전송하는 것으로, 컨텐트 재생 장치(300)가 보낸 제1 연결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했음을 송신 측에 통보하기 위한 ACK(Acknowledgement) 신호일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제2 연결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단말기(340)가 제1 연결 신호를 제대로 수신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에게 주기적으로 제1 연결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단말기(340)로부터 또한 주기적으로 제1 연결 신호에 상응하는 제2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에 제1 연결 신호를 전송한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단말기(340)로부터 제2 연결 신호를 수신하는지를 계속하여 체크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와의 근접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710). 실시 예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제1 연결 신호를 전송한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단말기(340)로부터 제2 연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단말기(340)와의 근접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아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제1 연결 신호를 전송한 이후, 단말기(340)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제2 연결 신호를 수신하였으나, 제2 연결 신호의 세기가 기준 값보다 약한 경우, 단말기와의 근접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2 연결 신호의 세기는 제2 연결 신호의 파워(TxPower)로, 단말기(340)가 생성하는 제2 연결 신호의 강도를 나타낸다. 파워 레벨은 dBm 단위로 나타내지며 블루투스 통신에서 전송 파워 레벨은 -100dbm에서 +20dBm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제2 연결 신호의 파워 값에 따라 단말기(340)와 컨텐트 재생 장치(300) 사이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와의 근접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아진 경우,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출력 중이던 컨텐트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단계 720).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컨텐트의 볼륨을 더 높이거나 또는 컨텐트 출력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또는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출력중인 컨텐트에 대해 녹화를 시작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출력 중이던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34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컨텐트에 대한 정보는, 출력 중이던 컨텐트의 타이틀, 컨텐트의 저장 위치, 출력 중이던 컨텐트의 재생 위치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트의 저장 위치는 컨텐트를 제공하는 서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340)는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부터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컨텐트를 제공하는 서버에서 컨텐트를 수신하여 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단말기(340)는 컨텐트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출력 중이던 컨텐트의 재생 위치를 이용하여, 컨텐트 재생 장치(300)가 출력한 이후의 지점부터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소정 시간 이내에, 단말기(340)와의 근접도가 기 설정된 값과 같거나 이보다 커졌는지를 판단한다(단계 730).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와의 근접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아진 시점부터 소정의 시간을 카운트하고, 그 시간 이내에 다시 단말기(340)와의 근접도가 원래대로 커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와의 근접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면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종료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이벤트가 종료했음을 감지한 경우, 컨텐트 출력을 원래대로 조절할 수 있다(단계 740). 실시 예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이벤트 발생 감지 후 오디오 볼륨을 높인 경우, 이벤트 종료에 상응하여, 오디오 볼륨을 원래 재생하던 크기로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가 이벤트 발생 감지 후 컨텐트 출력을 일시 정지시킨 경우,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이벤트 종료에 상응하여, 컨텐트 출력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가 이벤트 발생 감지 후 컨텐트에 대해 녹화를 시작한 경우,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이벤트 종료에 상응하여 컨텐트 녹화를 중지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가 이벤트 발생 감지 후 출력 중이던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340)에 전송하여 단말기(340)가 컨텐트를 이어서 출력한 경우,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이벤트 종료에 상응하여 단말기(340)로부터 컨텐트 재생 시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기(340)가 출력한 이후부터 컨텐트를 이어서 출력할 수도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소정 시간 이내에, 단말기(340)와의 근접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계속하여 작은 경우(단계 730), 컨텐트 출력을 완전히 종료시킬 수 있다(단계 750).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소정 시간 이내에, 단말기(340)에 이벤트 종료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가 더 이상 컨텐트를 이용할 의사가 없다고 판단하고, 컨텐트 출력을 완전히 종료시켜, 컨텐트 대신, 디폴트 화면을 출력하거나, 또는 컨텐트 재생 장치(300) 전원을 오프(off)시켜 컨텐트 재생 장치(300)가 더 이상 동작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로부터 이벤트에 대한 신호를 받아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로부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810).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단말기(340)를 휴대한 채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태로, 전화를 수신하거나 또는 전화를 거는 등의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사용자가 컨텐트를 이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생겼다고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기(340)는 사용자가 전화를 걸거나 전화를 받아 전화 통화를 시작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340)는 이벤트 발생 신호를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로부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에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후, 이에 상응하여 컨텐트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단계 820). 실시 예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출력 중이던 컨텐트의 볼륨을 낮추거나 무음으로 비디오만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소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가 단말기(340)를 이용한 전화 통화를 종료한 경우, 단말기(340)는 이벤트가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이벤트 종료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 보낼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단말기(340)로부터 이벤트 종료 신호를 수신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830).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소정 시간 이내에 단말기(340)로부터 이벤트 종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컨텐트 출력을 원래대로 조절할 수 있다(단계 840). 실시 예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이벤트 발생 감지 후 오디오 볼륨을 줄이거나 무음으로 만든 경우, 이벤트 종료에 상응하여, 오디오 볼륨을 원래 재생하던 크기로 올려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이벤트 발생 감지 후 컨텐트를 일시 정지 상태로 만든 경우, 이벤트 종료에 상응하여, 컨텐트 출력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기(340)를 이용한 전화 통화를 계속하는 경우,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로부터 이벤트 종료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소정 시간 이내에 단말기(340)로부터 이벤트 종료 신호를 수신하지 못했으므로, 컨텐트 출력을 완전히 종료할 수 있다(단계 850). 실시 예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오디오 볼륨을 낮추거나 무음으로 출력 중이던 컨텐트를 완전히 종료하거나, 컨텐트 재생 장치(300)의 전원을 off하여 컨텐트 재생 장치(300)가 더 이상 동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의 이벤트 발생 및 종료 시, 컨텐트 재생 장치와 단말기가 컨텐트를 이어서 출력하는 방법을 신호 흐름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트를 출력한다(단계 910).
사용자는 단말기(340)를 휴대하고 있다가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멀리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단계 920).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로부터 수신하는 연결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단계 930). 실시 예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와 주기적으로 연결 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써,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에 제1 연결 신호를 보내고 단말기(340)로부터, 제1 연결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내는 제2 연결 신호를 소정 시간 이내에 수신하지 못하거나, 수신하더라도 신호의 세기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단말기(340)와의 근접도가 소정 값보다 작아졌다고 판단하고,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로부터 직접 이벤트 발생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할 수도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후, 이에 상응하여 컨텐트 출력을 일시 정지할 수 있다(단계 940).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컨텐트에 대한 정보(945)를 단말기(340)로 전송할 수 있다.
컨텐트에 대한 정보(945)는 컨텐트 식별자와 컨텐트 액세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트에 대한 정보는 컨텐트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트 식별자는 컨텐트 재생 장치(300)가 재생하는 컨텐트의 이름과 같이 컨텐트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컨텐트 식별자는 프로그램 ID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트가 공중파나 케이블 TV의 컨텐트인 경우, 컨텐트는 TS 패킷으로 수신되며 TS 패킷은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담고 있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자 및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트가 IPTV 컨텐트나 VOD 서비스를 통해서 수신되는 신호인 경우, 컨텐트 제공 서버는 프로그램 ID나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TS 패킷이나 컨텐트 제공 서버로부터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 ID를 추출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컨텐트 식별자를 단말기(340)에 제공할 수 있다.
컨텐트 액세스 정보는 컨텐트를 액세스하는데 이용되는 정보로서, URL과 같은 컨텐트의 위치 정보 또는 컨텐트를 제공하는 컨텐트 제공 서버의 식별자, 또는 컨텐트를 제공하는 컨텐트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트 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는, Netflix, Tving, Amazon 등이 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는 컨텐트 재생 장치(300)가 재생하고 있는 컨텐트에 관련된 시간 정보로서, 컨텐트의 전체 재생 시간 및 그 중 재생 경과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트의 전체 재생 시간은 컨텐트를 모두 재생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고, 재생 경과 시간은 컨텐트를 재생하기 시작하여 현재 시점에서 경과한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재생 경과 시간을 이용하여 단말기(340)는 현재 사용자가 컨텐트의 어느 분량까지를 재생하여 시청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단말기(340)는 컨텐트에 대한 정보(945)를 이용하여 컨텐트를 전송하는 서버에 직접 액세스할 수 있다. 단말기(340)는 액세스한 서버로부터 컨텐트를 다운로드하거나 실시간 스트리밍을 받아 컨텐트 재생 장치(300)가 재생하던 시점부터 이어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단계 950).
단말기(340)는 컨텐트를 재생하는 중에,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이벤트가 종료할 수 있다(단계 960).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단말기(340)를 소지한 채 컨텐트 재생 장치(300) 근처로 이동하면, 단말기(340)와 컨텐트 재생 장치(300) 사이의 거리가 일정 기준 값보다 더 가까워질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340)는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부터 제1 연결 신호를 수신한 후 제2 연결 신호를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340)는 소정 값 이상으로 신호 세기가 큰 제2 연결 신호를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로부터의 연결 신호(965)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종료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단계 970).
단말기(340)는 이벤트가 종료된 후, 컨텐트 출력을 정지할 수 있다(단계 980). 또한, 단말기(340)는 컨텐트 재생 시점 정보(985)를 생성하고 이를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시점 정보(985)는 단말기(340)가 재생하고 있는 컨텐트에 관련된 시간 정보로서, 단말기(340)가 컨텐트의 어느 분량까지를 재생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이벤트 종료를 감지(단계 970)한 후, 단말기(340)로부터 컨텐트 재생 시점 정보(985)를 수신하고, 단말기(340)가 컨텐트를 어디까지 출력했는지를 알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가 출력한 이후의 지점부터 컨텐트를 이어서 출력할 수 있다(단계 990).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말기(340)를 구비한 채 컨텐트 재생 장치(300)를 시청하다가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에도 단말기(340)를 이용하여 계속하여 컨텐트를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다시 컨텐트 재생 장치(300) 근처로 돌아오는 경우, 다시 컨텐트 재생 장치(300)를 이용하여 다시 컨텐트를 계속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가 화면을 통해서 출력하는 컨텐트 연속 재생 여부 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와의 연결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340)가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상 벗어났다고 판단하면, 사용자가 단말기(340)를 소지하고 컨텐트 재생 장치(300)를 시청할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컨텐트를 연속하여 시청할 것인지 여부를 단말기(34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단말기(340)는 컨텐트를 이어서 볼 것인지를 묻는 팝업창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컨텐트 연속 시청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기(340)는 화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010)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010)은 "TV에서 재생중인 컨텐트를 연속하여 재생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1020)와 함께 이러한 문의에 대해 컨텐트 연속 재생을 선택하기 위한 "확인"이라는 아이템(1030)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종료하기 위한 "닫기"라는 아이템(104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10)에서 사용자가 확인 아이템(1030)을 선택하면 단말기(340)는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소정 서버의 소정 컨텐트에 액세스하고 액세스된 컨텐트를 재생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에 대한 정보는 컨텐트 식별자와 컨텐트 액세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340)는 컨텐트 액세스 정보 및 컨텐트 식별자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트가 위치하는 곳을 액세스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트 식별자는 "Me Before You"라는 컨텐트의 타이틀이 될 수 있고, 컨텐트 액세스 정보는 "Netflix"와 같은 컨텐트 제공자 이름이 될 수 있다. 단말기(340)는 넷플릭스라는 앱을 통해서 영화 "Me Before You"에 액세스하여 해당 영화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컨텐트에 대한 정보는 컨텐트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340)는 현재 영화의 어느 분량까지 컨텐트 재생 장치(300)가 재생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단말기(340)는 컨텐트 재생 장치(300)가 재생한 이후 지점부터 재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컨텐트 재생 장치(300)에서 시청하던 컨텐트를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에서도 끊김없이 연속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가 복수개인 경우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통신망을 통하여 단말기(340)와 결합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결합한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함을 감지할 수 있다(단계 1100). 단말기(340)가 컨텐트 재생 장치(300)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멀어지거나, 또는 사용자가 단말기(340)를 통하여 전화 통화를 하는 경우,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단말기(340)로부터의 연결 신호의 수신 여부, 연결 신호의 강도, 또는 단말기(340)로부터 이벤트 발생 신호의 수신 여부 등을 이용하여 단말기(340)에 이벤트가 발생함을 감지할 수 있다.
단말기(340)가 복수개인 경우,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복수개의 단말기(340)들 각각과 통신망을 통하여 결합하고, 각각의 단말기(340)와 연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각각의 단말기(340)로부터 연결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또는 수신되는 연결 신호의 강도가 소정 기준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각각의 단말기(340)로부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각각의 단말기(340)들에 대해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1110).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복수개의 단말기들(340) 모두에 대해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경우, 컨텐트 출력을 조절한다(단계 1120).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컨텐트의 볼륨을 조절하거나, 컨텐트 출력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또는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컨텐트 출력을 일시 정지시킴과 동시에 이벤트가 발생한 단말기에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이벤트가 발생한 단말기가 컨텐트를 이어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복수개의 단말기들(340) 모두에 대해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지 않은 경우, 즉, 일부에 대해서만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경우, 컨텐트를 계속하여 출력한다(단계 1130). 즉, 이 경우,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단말기(340)를 위하여 계속하여 컨텐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컨텐트 재생 장치(300)는 이벤트가 발생한 단말기(340)에게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이벤트가 발생한 단말기가 컨텐트를 이어서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다중언어로 구성된 문장을 획득하는 동작, 및 다중언어 번역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다중언어로 구성된 문장에 포함되는 단어들 각각에 대응하는 벡터 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벡터 값들을 목표 언어에 대응하는 벡터 값들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벡터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언어로 구성된 문장을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Claims (20)

  1. 컨텐트 재생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와 주기적으로 연결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컨텐트를 출력하는 컨텐트 출력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신호를 기반으로 얻어진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 멀어지면 상기 컨텐트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하고,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진 이후부터,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짧아졌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짧아진 경우,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컨텐트가 원래대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짧아지지 않은 경우,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컨텐트 출력을 완전히 종료하는 컨텐트 재생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출력부는
    상기 컨텐트에 포함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컨텐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영상의 출력을 일시 정지시키거나 또는 상기 오디오의 볼륨을 더 높여 상기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하는 컨텐트 재생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연결 신호의 세기가 소정 세기보다 약한 경우,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졌다고 결정하는 컨텐트 재생 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결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연결 신호의 세기가 소정 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짧아졌다고 결정하는 컨텐트 재생 장치.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진 경우, 상기 출력하던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컨텐트에 액세스하여 상기 컨텐트를 이어서 출력하도록 하는 컨텐트 재생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진 이후부터,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짧아진 경우,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트의 재생 시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출력한 이후부터 상기 컨텐트를 이어서 출력하는 컨텐트 재생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수신하는 단말기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 모두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진 경우에만 상기 컨텐트 출력을 조절하는 컨텐트 재생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 중 일부의 단말기와의 거리만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진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하던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거리가 멀어진 일부의 단말기에게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컨텐트에 액세스하여 상기 컨텐트를 이어서 출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컨텐트를 계속하여 출력하는 컨텐트 재생 장치.
  11. 컨텐트 재생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와 주기적으로 연결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연결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 멀어졌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지면 상기 컨텐트 출력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진 이후부터,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짧아졌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짧아진 경우, 상기 컨텐트를 원래대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짧아지지 않은 경우, 상기 컨텐트 출력을 완전히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트 재생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는 영상 및 오디오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의 출력을 일시 정지시키거나 또는 상기 오디오의 볼륨을 더 높여 상기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트 재생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졌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연결 신호의 세기가 소정 세기보다 약한 경우,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졌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트 재생 방법.
  14. 삭제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짧아졌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결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연결 신호의 세기가 소정 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짧아졌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트 재생 방법.
  16. 삭제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진 경우, 상기 출력하던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컨텐트에 액세스하여 상기 컨텐트를 이어서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트 재생 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진 이후부터,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짧아진 경우,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트의 재생 시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시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가 출력한 이후부터 상기 컨텐트를 이어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트 재생 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출력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수신하는 단말기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 모두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진 경우에만 상기 컨텐트 출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트 재생 방법.
  20. 단말기와 주기적으로 연결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연결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 멀어졌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지면 상기 컨텐트 출력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멀어진 이후부터,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짧아졌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짧아진 경우, 상기 컨텐트를 원래대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짧아지지 않은 경우, 상기 컨텐트 출력을 완전히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트 재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90001923A 2019-01-07 2019-01-07 컨텐트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85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923A KR102585876B1 (ko) 2019-01-07 2019-01-07 컨텐트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CT/KR2020/000280 WO2020145631A1 (en) 2019-01-07 2020-01-07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content reproducing method
US16/735,986 US11240559B2 (en) 2019-01-07 2020-01-07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content reproduc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923A KR102585876B1 (ko) 2019-01-07 2019-01-07 컨텐트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595A KR20200085595A (ko) 2020-07-15
KR102585876B1 true KR102585876B1 (ko) 2023-10-11

Family

ID=7140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923A KR102585876B1 (ko) 2019-01-07 2019-01-07 컨텐트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40559B2 (ko)
KR (1) KR102585876B1 (ko)
WO (1) WO20201456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9597B2 (en) 2019-02-01 2021-10-26 Vidubly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rtificial dubbing
US11202131B2 (en) * 2019-03-10 2021-12-14 Vidubly Ltd Maintaining original volume changes of a character in revoiced media stream
US11837062B2 (en) 2021-08-24 2023-12-05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that pauses media playback based on external interruption context
US11558664B1 (en) * 2021-08-24 2023-01-17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that pauses media playback based on interruption contex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6544A1 (en) * 2006-07-14 2008-01-17 Asustek Computer Inc.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0199A1 (en) * 2008-12-19 2010-06-23 Nagravision S.A. A method for documenting viewing activity of a viewer of a broadcast program content
US8949871B2 (en) 2010-09-08 2015-02-03 Opentv, Inc. Smart media selection based on viewer user presence
KR101852816B1 (ko) 2011-06-23 2018-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250837B2 (en) * 2012-12-05 2019-04-02 DISH Technologies L.L.C. User proximity recognition and hands-free control
US8850466B2 (en) 2013-02-12 201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he determination of a present viewer in a smart TV
KR20160035381A (ko) 2014-09-23 2016-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58052B1 (ko) 2014-09-25 2021-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와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864570B2 (en) * 2014-12-09 2018-01-0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Proximity based temporary audio sharing
KR20160095377A (ko) * 2015-02-03 2016-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79600B1 (ko) * 2015-06-12 2021-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기기에서의 동작 방법,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휴대 기기 및 컨텐츠 재생 장치
CN110366036A (zh) 2019-07-31 2019-10-22 移康智能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技术的电视自动开关机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6544A1 (en) * 2006-07-14 2008-01-17 Asustek Computer Inc.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595A (ko) 2020-07-15
US11240559B2 (en) 2022-02-01
WO2020145631A1 (en) 2020-07-16
US20200221176A1 (en)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5876B1 (ko) 컨텐트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6254914B (zh) 便携式设备的操作方法、内容再现设备的操作方法、便携式设备以及内容再现设备
US95539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WO2017008627A1 (zh) 多媒体直播方法、装置和系统
KR101633100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US99925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JP2014131113A (ja) 再生装置、再生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20080082288A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3873798A (zh) 智能电视的声音播放方法和装置
US95099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ile during video call in electronic device
JP2014011793A (ja) オーディオ信号再生のための無線オーディオ/ビデオシステム及びそれ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方法
WO2017128626A1 (zh) 一种音视频播放系统及方法
US11545148B2 (en) Do not disturb functionality for voice responsive devices
KR10261133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는 서버
JP5751200B2 (ja) オーディオ機器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電話機
KR20180081390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10025812A (ko) 전자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21925A (ko)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영상송신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
JP2014207522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のコンテンツ再生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123918A (ja) 再生装置、再生システムおよび処理実行制御方法
KR2023011655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20150002429A1 (en) Hos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hos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JP2015012502A (ja) 映像出力装置、番組関連プログラム、及び映像出力方法
CN116668772A (zh) 多媒体数据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5643438A (zh) 一种显示设备、终端设备及镜像投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