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925A -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영상송신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영상송신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925A
KR20160121925A KR1020150051794A KR20150051794A KR20160121925A KR 20160121925 A KR20160121925 A KR 20160121925A KR 1020150051794 A KR1020150051794 A KR 1020150051794A KR 20150051794 A KR20150051794 A KR 20150051794A KR 20160121925 A KR20160121925 A KR 20160121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deo
control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6099B1 (ko
Inventor
가지훈
윤현규
이상준
박성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1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099B1/ko
Priority to EP15201328.0A priority patent/EP3082342B1/en
Priority to US15/011,975 priority patent/US20160301973A1/en
Priority to CN201610074022.1A priority patent/CN106060666B/zh
Publication of KR20160121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영상송신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은 영상표시장치와 영상송신장치가 연동하여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영상송신장치,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하고, 영상표시장치는, 턴온될 때 영상송신장치를 부팅시키는 제1 제어신호를 영상송신장치로 전송하고, 영상송신장치가 부팅되면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이전 시청 정보에 기초하여, 부팅된 영상송신장치를 절전 상태로 변경하는 제2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영상송신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Driving Method of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영상송신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DTV와 같은 영상표시장치가 사용자 시청 정보를 기반으로 주변 영상송신장치의 전원 동작 상태를 변경하는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영상송신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에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영상표시장치는 영상이 입력되는 입력부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하나의 장치 안에 구성된다. 여기서 입력부는 입력 단자로서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영상 매체들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서비스나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위한 셋탑박스(STB), 그리고 BD(Blue-ray Disk) 재생기 등이 입력 단자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시스템은 공간상의 제약이 뒤따른다. 다시 말해 댁내에서 영상표시장치는 거실뿐 아니라 다양한 공간에 배치될 수 있지만, 셋탑박스 등은 한 곳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영상 시청이 자유롭지 못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영상표시장치와 무선으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영상송신장치를 셋탑박스 등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기술이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의 경우 영상 시청이 자유로울 수는 있지만, 독립된 2개의 개별 장치 사이에 전원 제어가 쉽지 않아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가령 서로 다른 공간에 배치되면 개별 제어를 해야 하므로 제어에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DTV와 같은 영상표시장치가 사용자 시청 정보를 기반으로 주변 영상송신장치의 전원 동작 상태를 변경하는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영상송신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시스템은 영상표시장치와 영상송신장치가 연계하여 동작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영상송신장치,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턴온될 때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부팅시키는 제1 제어신호를 상기 영상송신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송신장치가 부팅되면 상기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이전 시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팅된 영상송신장치를 절전 상태로 변경하는 제2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주변의 영상송신장치와 연계하여 동작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턴온될 때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부팅시키는 제1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이전 시청 정보에 기초하여, 부팅된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절전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동작상태 처리부, 및 상기 발생한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동작상태 처리부의 제어 하에 상기 영상송신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상태 처리부는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을 시청한 상기 이전 시청 정보가 없을 때, 상기 절전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동작상태 처리부는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을 시청한 상기 이전 시청 정보가 있을 때,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동작상태 처리부는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에 대한 영상 시청이 변경되면,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절전 상태로 변경하는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동작상태 처리부는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송신장치로부터 제3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턴온시켜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동작상태 처리부는,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턴오프되기 전에 사용자가 시청한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이전 시청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영상송신장치에서 제공되는 영상 또는 통신망을 경유해 제공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상태 처리부는,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시청 전환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송신장치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영상표시장치와 연계하여 동작하는 영상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부팅시키기 위한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이전 시청 정보에 기초하여, 부팅된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절전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부팅시키고, 상기 제2 제어신호에 근거해 상기 부팅된 영상송신장치를 절전 상태로 변경하는 전원 상태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상태 관리부는 상기 영상송신장치가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영상을 제공한 상기 이전 시청 정보가 없을 때, 상기 전원 동작 상태를 절전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상태 관리부는 상기 영상송신장치가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영상을 제공한 상기 이전 시청 정보가 있을 때,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영상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상태 관리부는 상기 영상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 대한 영상 시청이 변경되면, 상기 절전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전원상태 관리부는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턴온시키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턴온시킨 후 상기 영상송신장치에서 제공하는 영상을 처리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전 시청 정보는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턴오프되기 전에 사용자가 시청한 영상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주변의 영상송신장치와 연계하여 동작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턴온될 때,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부팅시키는 제1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이전 시청 정보에 기초하여, 부팅된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절전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발생한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상기 영상송신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을 시청한 상기 이전 시청 정보가 없을 때, 상기 절전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을 시청한 상기 이전 시청 정보가 있을 때, 상기 영상송신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상기 영상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 대한 영상 시청을 전환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절전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송신장치가 제공하는 제3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3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턴온시켜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턴오프되기 전에 사용자가 시청한 영상에 관련된 시청 정보를 상기 이전 시청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은 무선 통신 장식으로 영상표시장치와 연계하여 동작하는 영상송신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부팅시키기 위한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이전 시청 정보에 기초하여, 부팅된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절전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부팅시키고, 상기 제2 제어신호에 근거해 상기 부팅된 영상송신장치를 절전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절전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송신장치에서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영상을 제공한 상기 이전 시청 정보가 없을 때, 상기 절전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은 상기 영상송신장치에서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영상을 제공한 상기 이전 시청 정보가 있을 때,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이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전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 대한 영상 시청이 변경되면, 상기 절전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은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턴온시키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사용자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턴온시켜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을 처리하도록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송신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송신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송신장치 간 전원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송신장치 간 전원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송신장치 간 전원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송신장치 간 전원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송신장치 간 전원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송신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90)은 영상표시장치(100), 영상송신장치(110), 영상제공장치(120), 원격제어장치(130), 통신망(140) 및 서비스제공장치(15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원격제어장치(1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본 시스템에서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영상송신장치(11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영상제공장치(12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DTV, 스마트폰,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MP3 및 PDP 등 영상표시가 가능한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USB(Univeral Serial Bus) 장치, BD 재생기 등의 영상제공장치(120)에서 제공하는 영상을 영상송신장치(11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물론 영상표시장치(100)는 음향도 함께 처리할 수 있다. 이에 근거해 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제공장치(120)가 음향 장치로 대체된 경우에는 오디오 신호만을 제공받아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자신의 모드(mode) 즉 동작 방식에 따라 영상송신장치(110)의 전원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 여기서 모드란 특정 작업을 수행시킬 수 있는 임의의 상태를 의미하거나, 그 특정 작업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드의 의미는 영상송신장치(1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영상송신장치(110)가 전원 동작을 위해 여러 작업(ex. 정상 상태, 전원 절약 상태)의 수행이 가능할 때 그 중 하나의 작업을 수행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100)의 특정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표시장치(100)의 특정 상태는 원격제어장치(130)의 특정 버튼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에 자세히 살펴보겠지만, 간략히 소개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위에서 언급한 대로 자신이 오프된 상태이고, 영상송신장치(110)가 오프된 상태일 때, 자신이 턴온되면 영상송신장치(110)를 함께 턴온시킨다. 영상표시장치(100)와 영상송신장치(110)는 턴온 동작시 부팅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영상송신장치(110)가 현재 턴온된 상태인지를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체크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영상송신장치(110)로 전송하여 턴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100)를 오프시키기 전에 시청했던 영상의 시청 정보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영상송신장치(110)에서 전송된 영상의 시청 이력이 있다면, 영상송신장치(11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확인 결과 영상송신장치(110)에서 제공되는 영상의 시청 이력이 없으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송신장치(110)를 전원 절약(혹은 절전) 상태 즉 슬립 모드로 동작시킨다. 가령, 시청 정보를 확인할 결과 외부의 통신망(140)을 경유하여 서비스제공장치(150)에서 영상을 제공받은 이력 즉 시청 정보가 있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통신망(140)을 통해 제공되는 영상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영상송신장치(110)의 영상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시청 전환을 했다고 가정하자. 이의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전원 절약 상태 즉 슬립 모드 상태에 있는 영상송신장치(110)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송신장치(110)는 전원 절약 상태를 정상 상태로 변경한다. 여기서, 정상 상태는 내부의 모든 기능 블록들에 전원을 제공하여 동작시키는 것이라면, 전원 절약 상태는 최소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일부 블록만을 동작시키고, 나머지 블록들은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또는 정상 상태는 전원 절약 상태보다 많은 기능 블록들에 전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정상 상태로 변경된 영상송신장치(11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영상을 전송하게 된다. 이의 과정에서 사용자가 통신망(140)을 통해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시청 전환을 수행할 때 영상송신장치(110)는 슬립 모드가 된다. 즉 대기 상태(stand-by state)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슬립 모드는 전원 절약을 위하여 특정 블록들로 제공되는 전압을 차단시키는 임의의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이후에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와 영상송신장치(110)가 모두 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100)를 턴오프시키게 되면, 영상표시장치(100)와 영상송신장치(11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현재 영상을 처리하던 경로, 즉 사용자의 시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턴온될 때 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영상표시장치(100) 및 영상송신장치(110)가 모두 오프된 상태에서 영상송신장치(110)가 먼저 사용자에 의해 턴온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송신장치(110)의 제어에 의해 턴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송신장치(1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능 블록을 동작시킬 수 있다. 물론 이의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을 처리하기 위하여 영상송신장치(110)와 별도의 절차를 더 수행하겠지만, 영상송신장치(110)가 먼저 턴온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영상송신장치(110)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고 싶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영상 처리를 위한 별도의 절차 없이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영상 처리를 위한 과정이 이루어지는지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영상표시장치(100)는 셋탑박스와 같은 방송수신장치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방송수신장치는 통신망(140)과 연결되어 영상을 수신하고,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수신장치에서 제공하는 영상을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영상송신장치(110)는 USB 장치나 BD 재생기와 같은 영상제공장치(120)로부터 영상을 제공받아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송신장치(110)는 영상제공장치(120)와 유선으로,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와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가령 영상송신장치(110)는 영상 수신부 즉 입력 단자를 통해 하나의 영상제공장치(120)가 아니라, 복수의 영상제공장치(12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송신장치(110)는 방송, HDMI, DVI, S-video, USB 장치 등을 위한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이에 매칭되는 다양한 영상제공장치(120)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송신장치(11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복수의 영상 제공원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선택된 영상 제공원의 영상을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영상제공장치(120)는 USB 장치, BD 재생기, 캠코더 및 휴대폰 등과 같이 사용자 기반의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가 공중파를 수신하기 위하여 통신망(14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라면 이를 제외한 다른 영상 제공원이 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또 다른 예로서 영상표시장치(100)가 인터넷 망이 아닌 외부 공중파 안테나를 통해 영상을 수신하는 경우, 영상제공장치(120)는 인터넷 망 등의 통신망(140)에 연결된 셋탑박스가 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제공장치(120)가 STB나 BD 재생기와 같이 특정 장소에 고정되어 위치를 변경하는 데에 번거로움이 있거나 다소 불편한 경우의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휴대 가능한 USB 장치나 휴대폰 등은 영상표시장치(100)에 직접(direct) 연결하는 데에 그다지 어려움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상송신장치(110)는 (또는 유선의 영상송신장치라 해도) 영상표시장치(100)가 자유롭게 공간 이동이 가능할 때, 고정되어 있는 영상제공장치(120)의 영상을 용이하게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것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원격제어장치(130)는 영상표시장치(100) 및 영상송신장치(110) 각각을 턴온 및 턴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버튼을 구비하고 있고, 채널 전환 등과 같이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원격제어장치(130)는 통합 전원 버튼을 통해 2개의 개별 장치를 동시에 턴온 및 턴오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원격제어장치(130)는 통합 전원 버튼을 통해 영상표시장치(100) 및 영상송신장치(110)를 동시에 턴온시키거나 턴오프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개별 전원 버튼을 통해 각각의 장치를 개별적으로 온 및 오프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버튼만 형성되어도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이다. 가령 전원이 통합 제어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기저장된 시청 정보나 현재 화면에 표시된 영상의 시청을 전환하는 시청 정보에 따라 영상송신장치(110)의 전원 동작 상태를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원격제어장치(130)를 통해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영상 제공원을 통신망(140)에서 영상제공장치(120)로, 또는 영상제공장치(120)에서 통신망(140)으로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
통신망(14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4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4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4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4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영상표시장치(10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영상표시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제공장치(150)는 다양한 영상 제공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국의 방송 서버가 될 수 있으며,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버 및 검색 엔진을 구비한 검색 전문 포탈 업체의 서버일 수 있다. 서비스제공장치(150)는 영상제공장치(120)와 비교해 볼 때 영상 제공원이라는 점에서는 서로 유사하지만, 서비스제공장치(150)는 인터넷이라는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진다면, 영상제공장치(120)는 사용자 기반의 오프라인 장치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서비스제공장치(150)는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3 업체 즉 서브파티 업체와 연계하여 컨텐츠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구성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송신장치(110)는 절전 상태에 있을 때 영상표시장치(100)의 모드 전환시 빠른 대응 즉 동작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국내 S사 TV의 경우 전원 오프(power off) 상태에서 턴온될 때 5 ~ 10초의 시간이 소요된다면, 절전 상태에서 턴온될 때는 1 ~ 2초가 소요될 수 있다.
이에 근거해 볼 때, 영상송신장치(110)의 경우에도 절전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의 전환 동작은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 비해 빠른 동작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절전 상태에서 빠른 동작 전환이 이루어지는 이유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턴온될 때 이루어지는 가령 장치의 부팅 시간이 불필요하기 때문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및 동작 상태 처리부(2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기본적으로 동작 상태 처리부(210)와 연계하여 영상 처리와 관련한 동작을 수행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동작 상태의 제어와 관련해 살펴보면, 가령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오프된 상태에서 턴온될 때, 영상송신장치(110)를 턴온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에 앞서, 영상송신장치(110)가 현재 오프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가령 이와 같이 확인을 위해 요청 신호를 영상송신장치(110)로 전송하는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동작 상태 처리부(210)의 제어 하에, 영상송신장치(110)의 전원 동작 상태를 전원 절약 상태 즉 슬립 모드 상태로 변경하라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이에 대하여도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전송된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영상송신장치(110)를 정상 상태에서 전원 절약 상태로 변경하는 것은 영상표시장치(100)의 요청에 빠르게 응답하기 위한 과정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영상송신장치(110)는 스탠바이 상태가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영상표시장치(100)가 영상송신장치(110)로 영상제공장치(120)의 영상을 요청한 경우, 이에 대한 빠른 동작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가령, 영상송신장치(110)가 단순히 온 및 오프 동작만을 수행한다면,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 시간이 그만큼 늦어질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슬립 모드인 스탠바이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턴온시에 발생되는 부팅 시간을 줄여줄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응답 시간이 빨라지게 된다.
나아가,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오프된 상태라 하더라도,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를 정상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통신 인터페이스부(200)에만 전원이 제공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내부적으로 별도의 제어부 즉 CPU를 구비하고, 영상송신장치(11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동작 상태 처리부(210)를 웨이크업하여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표시장치(100)가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영상송신장치(110)를 먼저 턴온시키는 경우, 이는 사용자가 영상제공장치(120)의 영상을 시청하길 원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때문에 영상송신장치(110)가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을 켜라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이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외에도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영상송신장치(110)와 연계하여 다양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예컨대,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무엇보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영상송신장치(11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400)의 경우도 마찬가지겠지만, 2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부 통신망(140)을 통해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통신 모듈과, 상호간 근거리 통신, 가령 와이파이 등을 이용해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 즉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상태 처리부(21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영상송신장치(110)가 오프된 상태이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요청에 의해 턴온될 때, 오프된 상태의 영상송신장치(110)를 턴온시키기 위하여 기저장된 제어 신호를 불러오거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200)에 전달한다. 여기서, 기저장된 제어 신호를 불러오거나 생성하는 동작은 '발생'이라 명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신호의 전송에 의해 동작 상태 처리부(210)는 영상송신장치(110)를 정상 상태로 동작시킨다. 이후 가령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시청 정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시청 정보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메모리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시청 정보의 확인 결과 영상표시장치(100)가 턴오프되기 전에 사용자가 시청했던 영상이 영상송신장치(110)의 영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동작 상태 처리부(210)는 영상송신장치(110)의 영상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반면, 영상송신장치(110)가 아닌 다른 경로, 즉 도 1의 통신망(140)을 통해 영상이 제공된 기록이 있다면, 동작 상태 처리부(210)는 영상송신장치(110)의 전원 동작 상태를 전원 절약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슬립 모드에 관련된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영상송신장치(1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상태 처리부(21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슬립 모드 상태에 있는 영상송신장치(110)를 웨이크업하여 정상 상태로 전환한 후 영상을 제공받을 수도 있고, 또 영상표시장치(100)가 턴오프될 때 영상송신장치(110)를 함께 턴오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2의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및 동작 상태 처리부(210)는 물리적으로 서로 분리된 칩(Chip)으로 구성되어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후 이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하드웨어로 구성하여 동작시킬 수도 있다. 가령, 프로그램을 각각 저장하여 실행시키는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및 동작 상태 처리부(210)는 롬(ROM)이나 EPROM 및 EEPROM 등이 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2를 참조하여 동작 상태 처리부(210)를 전원 동작 상태를 처리하기 위한 관점에서 기술하였지만, 영상 처리 부문도 함께 고려하는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신호 처리부(310), 디스플레이부(320), 전원 생성부(330), 제어부(340) 및 저장부(35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35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영상표시장치(100')가 구성되거나, 제어부(3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신호 처리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영상표시장치(100')에 구성되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도 2의 통신 인터페이스부(200)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통신 인터페이부(300)는 영상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영상은 신호 처리부(310)에 제공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제어부(340)의 제어 하에 전원 생성부(330)에서 제공하는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가 오프 상태인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영상송신장치(1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전원 생성부(33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신호 처리부(310)는 수신된 영상에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고, 자막 정보와 같은 부가 정보가 있는 경우 이를 함께 분리한다. 그리고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거나 스케일링하는 등의 동작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GUI 생성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스케일링된 영상에 부가 정보를 다시 결합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메뉴 정보를 조합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어부(340)의 제어 하에, 도 1의 영상송신장치(110)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통신망(140)을 통해 제공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제어부(34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신호 처리부(310), 디스플레이부(320), 전원 생성부(330) 및 저장부(350) 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가 턴온되는 경우, 전원 생성부(330)를 제어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신호 처리부(310), 디스플레이부(320) 및 저장부(350)로 전압이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영상송신장치(110)를 턴온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발생이란 하나의 예로서 저장부(350)에 저장된 제어 신호를 불러내어 제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저장부(350)에 저장된 시청 정보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영상송신장치(110)로 영상을 요청하거나, 영상송신장치(110)의 전원 동작 상태를 전원 절약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제공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제어한다.
전원 생성부(330)는 외부의 상용 전원, 가령 220V의 전원을 제공받아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신호 처리부(310), 디스플레이부(320) 및 저장부(350)에 필요한 DC 전원을 생성한다. 이러한 DC 전원은 Vcc 전원(ex. 14V) 등 다양한 레벨의 전압이 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3에서는 동일 레벨의 전압이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전원 생성부(330)에서 생성된 전압은 제어부(340)의 제어 하에 각각의 블록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점에 근거해 볼 때, 전원 생성부(330)는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340)의 제어 하에 제어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장부(350)는 영상송신장치(1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또는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비트 정보를 생각해 보자. "01"은 영상송신장치(110)를 턴온시키는 신호이고, "11"은 영상송신장치(110)의 전원 동작 상태를 정상 상태에서 전원 절약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라 규정하였다면, 이러한 제어 정보는 저장부(3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50)는 사용자의 시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시청 정보는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100')를 턴오프시키기 전에 어떠한 영상, 가령 방송을 시청하였는지에 대한 정보에 해당된다. 이러한 정보는 제어부(340)의 제어 하에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송신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송신장치(1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및 전원 상태 관리부(4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영상송신장치(110)가 오프된 상태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정상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정상 상태란 전압이 제공되어 통신 인터페이스부(400)가 깨어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전원 상태 관리부(410)에 전달하기 위하여 전원 상태 관리부(410)를 웨이크업하는 제어부, 가령 CPU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상태 관리부(410)는 내부의 특정 기능 블록들에 전원을 모두 인가하여 영상송신장치(110)를 정상 상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영상송신장치(110)를 먼저 턴온하라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오프된 상태를 확인한 후 영상표시장치(100)를 턴온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원 상태 관리부(410)의 제어 하에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오프된 상태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신호를 전송하여 응답이 없는 경우나 기저장된 정보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판단될 수 있을 것이다.
전원 상태 관리부(4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에서 전달하는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영상송신장치(110)의 전원 동작 상태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영상송신장치(110)가 오프된 상태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메인 전원을 턴온하라는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 메인 전원을 제공하여 영상송신장치(110)를 정상 상태로 동작시킨다. 또한 전원 상태 관리부(410)는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슬립 모드로 전환하라는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전원을 절약하기 위한 전원 절약 모드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전원 절약을 위하여 전원 상태 관리부(410)를 구성하는 일부의 기능 블록에 대하여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상태 관리부(41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영상송신장치(110)를 턴온하라는 명령이 있는 경우, 이에 관련된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발생된 제어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영상송신장치(110)는 온 상태, 슬립 모드 상태 및 오프된 상태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오프 상태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활성화(active) 상태로 유지하되,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간단한 저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전력만을 사용한다. 또한 슬립 모드 상태인 경우 영상송신장치(1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와 별도의 저장부 또는 전원 상태 관리부(410) 내의 메모리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활성화 상태이지만 오프된 상태에 비해 좀더 높은 소비 전력을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온 상태 즉 정상 상태는 모든 구성 요소 즉 통신 인터페이스부(400)와 전원 상태 관리부(410)를 모두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해당 블록이 다른 블록과 동일 전압을 사용하더라도 사용하는 전류의 양이 다르면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및 전원 상태 관리부(410)는 롬이나 EPROM 또는 EEPROM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구현할 수 있지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하드웨어적으로 기판상에 구성하여 구현시키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지금까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원 동작 상태의 관점에서 기술하였으며, 도 5를 계속 참조하여 영상 처리의 관점에서도 함께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송신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송신장치(1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신호 처리부(510), 영상 수신부(520), 전원 생성부(530), 제어부(540) 및 저장부(55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도 5에 도시된 영상송신장치(110')의 구조를 도 3의 영상표시장치(100')와 비교해 볼 때, 영상을 처리한다는 관점에서 보면 전반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자세한 내용은 도 3의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한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다만, 도 5의 영상송신장치(11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전원 동작 상태를 정상 상태에서 전원 절약 상태로, 또 전원 절약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변경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영상송신장치(110')는 도 1의 영상제공장치(120)가 제공하는 영상을 입력 단자를 통해 수신하여 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영상송신장치(110')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영상송신장치(110')를 턴온하라는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전원 생성부(530)를 제어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신호 처리부(510), 영상 수신부(520), 제어부(540) 및 저장부(550)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여 정상 상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로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제어부(540)를 웨이크업시킨 후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540)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확인한 후 확인 결과에 따라 다른 기능 블록들, 즉 전원 생성부(530)를 제어하여 신호 처리부(510), 영상 수신부(520) 및 저장부(550)에 전원이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가령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다시 슬립 모드로 전환하라는 명령이 있는 경우, 제어부(54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이외에 다른 신호 처리부(510), 영상 수신부(520) 및 저장부(550)에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자신에게 제공되는 전원도 이어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송신장치(110')는 슬립 모드에서 최소한의 기능만 수행하도록 동작하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의 턴온 지시에 따라 영상송신장치(110')는 턴온된 후,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영상 서비스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540)는 영상 수신부(520)로 수신되는 영상제공장치(120)의 영상을 영상표시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신호 처리부(510)는 해당 영상을 부호화하는 등 정보 변환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영상 수신부(520)에 다양한 유형의 영상 제공원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54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특정 영상 제공원을 선택하여 선택된 채널에 해당되는 영상을 전송해 줄 수 있다.
또한 영상송신장치(110')의 경우에도 영상표시장치(100)가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턴온 명령을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장부(550)의 내부에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송신장치 간 전원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와 영상송신장치(110)가 모두 오프된 상태에서,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표시장치(100)를 턴온하라는 명령을 수신한다(S600).
물론 이의 과정은 다양한 방식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턴온 명령이 입력되면, 영상송신장치(110)의 현 상태에 관계없이 무조건 전원 온 신호(power on signal)를 영상송신장치(110)로 전송하는 것이다(S610).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영상송신장치(110)의 현 상태를 확인한 후에 전원 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거나, 상태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응답이 없으면 영상송신장치(110)가 오프된 상태라 판단하여 전원 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원 온 신호에 의해 영상송신장치(110)는 턴온된다(S620). 이의 과정에서 부팅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송신장치(110)가 턴온되는 동안, 영상표시장치(100)는 이전 동작 상태를 체크한다(S630). 가령,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턴오프되기 전 사용자가 시청했던 시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전 상태를 체크한 결과, 영상송신장치(110)로부터 영상을 시청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송신장치(110)를 슬립 모드로 동작시키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640).
이에 따라 영상송신장치(110)는 슬립 모드 즉 전원 절약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S660).
반면 이전 상태를 체크한 결과,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영상을 시청한 것으로 확인되면 외부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시도한다(S650). 여기서, 외부 네트워크는 영상송신장치(110) 이외의 영상 제공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령 도 1의 서비스제공장치(150)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이 완료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가령 서비스제공장치(150)로부터의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S670).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송신장치 간 전원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과 비교해 볼 때, 도 6의 S660 단계에서 이전 상태를 체크한 결과, 영상송신장치(110)로부터 영상을 시청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이다(S720).
이의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송신장치(110)로 네트워크 연결을 요청하고(S740), 두 장치 사이에 연결 동작을 수행한다(S750, S760). 예를 들어, 두 장치 사이에 다이렉트 통신이 가능하다면 이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순한 요청 및 응답 등은 블루투스(BT) 신호로 처리된다면, 네트워크 연결 동작은 와이파이(Wi-Fi) 통신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동작이 완료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송신장치(110)에서 전송하는 영상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S770, S780).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송신장치 간 전원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와 영상송신장치(110)가 모두 오프된 상태에서 영상송신장치(110)가 사용자에 의해 먼저 턴온된 경우이다(S800).
이의 경우에도 영상송신장치(1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원 온 신호를 발생시켜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810).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유사하게 영상송신장치(110)의 경우에도 영상표시장치(100)의 현 상태를 확인한 후에 전원 온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신호가 전송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해당 신호에 따라 전원을 턴온시킨다(S820). 여기서, 전원 즉 메인 전원의 턴온은 정상 상태를 의미한다.
이후, 영상송신장치(110)는 이전 동작 상태를 체크하여 자신이 영상표시장치(100)의 턴오프 전 영상을 제공한 것으로 확인되면, 네트워크 연결을 요청하여 연결 동작을 수행하고, 연결이 완료되면 영상을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한다(S830 ~ S870).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송신장치(110)에 제공되는 영상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S880).
물론 위의 S830 단계는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영상송신장치(110)를 먼저 턴온시켰다는 것은 영상송신장치(110)의 영상 서비스를 이용하겠다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기 때문에 이전 동작 상태의 체크 없이 바로 S840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송신장치 간 전원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와 영상송신장치(110)가 모두 턴온된 상태에서, 영상표시장치(100)는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고 영상송신장치(110)는 슬립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에 해당된다(S900, S910). 이는 실제로 도 6의 동작에 이어지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 사용자로부터 외부 영상 시청 모드로의 변경을 수신할 수 있다(S920). 여기서, 외부 영상 시청이란 영상송신장치(110)를 의미한다.
이의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송신장치(110)가 슬립 모드 상태에 있다는 것을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근거해 영상송신장치(110)를 웨이크업하기 위한 신호(Wake-up signal)를 전송한다(S930). 다시 말해,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영상송신장치(110)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정상 모드 상태로 변경되도록 한다.
이후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송신장치(110)로 네트워크 연결을 요청하고, 두 장치 사이에 연결 동작을 수행한다(S940 ~ S960).
연결 동작이 완료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송신장치(110)로부터의 영상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S970, S980).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송신장치 간 전원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가 영상송신장치(110)로부터 영상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경우에 해당된다. 이는 도 7이나 도 8의 동작에 이어지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송신장치(110)의 영상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S100, S1010).
이의 과정에서 가령 사용자로부터 외부 네트워크 이용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있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송신장치(110)로 슬립 모드로 진입하라는 제어 신호(Sleep signal)를 전송한다(S1030).
이에 따라 영상송신장치(110)는 슬립 모드로 진입하고,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시도하며, 연결이 완료되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S1040, S1050).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1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의 시청 정보에 근거하여 영상송신장치, 가령 도 1의 영상송신장치(110)의 전원 동작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S1100).
예를 들어, 사용자의 턴온 명령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가 턴온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송신장치(110)를 동시에 턴온시키고, 시청 정보를 더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영상송신장치(110)의 전원 동작 상태를 정상 상태로 유지할지, 전원 절약 상태로 변경할지에 관련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시청 전환에 의한 시청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에도 이에 관련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발생된 제어 신호에 따라 영상송신장치(110)를 자유롭게 제어하기 위하여 영상표시장치(100)는 발생된 제어 신호를 영상송신장치(110)로 전송한다(S1110).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송신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송신장치, 가령 도 1의 영상송신장치(110)는 사용자의 시청 정보에 근거하여 발생된 제어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수신한다(S1200).
예를 들어, 영상송신장치(110)가 턴온된 상태에서 영상송신장치(110)는 전원 동작 상태를 정상 상태로 유지해야 할지, 슬립 모드로 진입시킬지에 대한 제어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어 영상송신장치(11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동작 상태를 변경한다(S1210). 예를 들어, 슬립 모드로 진입하라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슬립 모드로 변경하고,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정상 모드로 변경하라는 제어 신호, 가령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정상 모드로 변경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100': 영상표시장치 110, 110': 영상송신장치
120: 영상제공장치 130: 원격제어장치
140: 통신망 150: 서비스제공장치
200, 300, 400, 500: 통신 인터페이스부 210: 동작 상태 처리부
310, 510: 신호 처리부 320: 디스플레이부
330, 530: 전원 생성부 340, 540: 제어부
350, 550: 저장부 410: 전원 상태 관리부
520: 영상 수신부

Claims (25)

  1. 영상표시장치와 영상송신장치가 연계하여 동작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영상송신장치;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턴온될 때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부팅시키는 제1 제어신호를 상기 영상송신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송신장치가 부팅되면 상기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이전 시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팅된 영상송신장치를 절전 상태로 변경하는 제2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영상 처리 시스템.
  2. 무선 통신 방식으로 주변의 영상송신장치와 연계하여 동작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턴온될 때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부팅시키는 제1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이전 시청 정보에 기초하여, 부팅된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절전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동작상태 처리부; 및
    상기 발생한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동작상태 처리부의 제어 하에 상기 영상송신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 처리부는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을 시청한 상기 이전 시청 정보가 없을 때, 상기 절전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 처리부는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을 시청한 상기 이전 시청 정보가 있을 때,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 처리부는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에 대한 영상 시청이 변경되면,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절전 상태로 변경하는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 처리부는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송신장치로부터 제3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턴온시켜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 처리부는,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턴오프되기 전에 사용자가 시청한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이전 시청 정보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송신장치에서 제공되는 영상 또는 통신망을 경유해 제공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상태 처리부는,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시청 전환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무선 통신 방식으로 영상표시장치와 연계하여 동작하는 영상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부팅시키기 위한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이전 시청 정보에 기초하여, 부팅된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절전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부팅시키고, 상기 제2 제어신호에 근거해 상기 부팅된 영상송신장치를 절전 상태로 변경하는 전원 상태 관리부;를
    포함하는 영상송신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상태 관리부는 상기 영상송신장치가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영상을 제공한 상기 이전 시청 정보가 없을 때, 상기 전원 동작 상태를 절전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송신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상태 관리부는 상기 영상송신장치가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영상을 제공한 상기 이전 시청 정보가 있을 때,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영상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송신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상태 관리부는 상기 영상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 대한 영상 시청이 변경되면, 상기 절전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송신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상태 관리부는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턴온시키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턴온시킨 후 상기 영상송신장치에서 제공하는 영상을 처리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송신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시청 정보는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턴오프되기 전에 사용자가 시청한 영상에 관련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송신장치.
  15. 무선 통신 방식으로 주변의 영상송신장치와 연계하여 동작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턴온될 때,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부팅시키는 제1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이전 시청 정보에 기초하여, 부팅된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절전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발생한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상기 영상송신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을 시청한 상기 이전 시청 정보가 없을 때, 상기 절전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을 시청한 상기 이전 시청 정보가 있을 때, 상기 영상송신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 대한 영상 시청을 전환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절전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송신장치가 제공하는 제3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3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턴온시켜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턴오프되기 전에 사용자가 시청한 영상에 관련된 시청 정보를 상기 이전 시청 정보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1. 무선 통신 방식으로 영상표시장치와 연계하여 동작하는 영상송신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부팅시키기 위한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이전 시청 정보에 기초하여, 부팅된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절전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부팅시키고, 상기 제2 제어신호에 근거해 상기 부팅된 영상송신장치를 절전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송신장치에서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영상을 제공한 상기 이전 시청 정보가 없을 때, 상기 절전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송신장치에서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영상을 제공한 상기 이전 시청 정보가 있을 때,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이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 대한 영상 시청이 변경되면, 상기 절전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송신장치를 턴온시키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사용자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턴온시켜 상기 영상송신장치의 영상을 처리하도록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50051794A 2015-04-13 2015-04-13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영상송신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 KR102246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794A KR102246099B1 (ko) 2015-04-13 2015-04-13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영상송신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
EP15201328.0A EP3082342B1 (en) 2015-04-13 2015-12-18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method for driving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US15/011,975 US20160301973A1 (en) 2015-04-13 2016-02-01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method for driving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CN201610074022.1A CN106060666B (zh) 2015-04-13 2016-02-02 图像显示装置及用于驱动图像显示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794A KR102246099B1 (ko) 2015-04-13 2015-04-13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영상송신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925A true KR20160121925A (ko) 2016-10-21
KR102246099B1 KR102246099B1 (ko) 2021-04-29

Family

ID=5507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794A KR102246099B1 (ko) 2015-04-13 2015-04-13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영상송신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301973A1 (ko)
EP (1) EP3082342B1 (ko)
KR (1) KR102246099B1 (ko)
CN (1) CN10606066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489A (ko) * 2018-08-30 2020-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3906B (zh) * 2017-05-24 2020-12-25 深圳市载德光电技术开发有限公司 高清视频矩阵输入/输出子卡的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JP2020148889A (ja) * 2019-03-13 2020-09-17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起動プログラム及び起動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9445A (ko) * 2006-08-28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셋탑박스,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무선 영상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JP2008219392A (ja) * 2007-03-02 2008-09-18 Sharp Corp テレビジョン受像機,デジタル放送信号処理装置
US20100253844A1 (en) * 2009-04-01 2010-10-07 Sony Corporation Establishing tv input at power-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1267A1 (ja) * 2003-07-25 2005-02-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省電力制御装置及び方法
WO2005027508A1 (en) * 2003-09-12 2005-03-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tart up method for a television apparatus
JP2006333315A (ja) * 2005-05-30 2006-12-07 Sharp Corp 表示装置
US8930986B2 (en) * 2007-07-08 2015-01-06 NL Giken Incorporated Receiving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digital contents and commercial messages
JP4846841B2 (ja) * 2009-12-25 2011-12-28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
CN102098468B (zh) * 2010-12-16 2016-12-07 深圳市经纬科技有限公司 模拟电视显示设备及其图像数据传输方法
CN102752648A (zh) * 2011-04-18 2012-10-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机顶盒及其省电的方法
CN103123537B (zh) * 2011-11-21 2016-04-20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电子显示设备及其省电方法
US9237496B2 (en) * 2011-12-05 2016-01-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hannel switching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9445A (ko) * 2006-08-28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셋탑박스,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무선 영상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JP2008219392A (ja) * 2007-03-02 2008-09-18 Sharp Corp テレビジョン受像機,デジタル放送信号処理装置
US20100253844A1 (en) * 2009-04-01 2010-10-07 Sony Corporation Establishing tv input at power-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489A (ko) * 2018-08-30 2020-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099B1 (ko) 2021-04-29
EP3082342B1 (en) 2019-11-27
EP3082342A1 (en) 2016-10-19
US20160301973A1 (en) 2016-10-13
CN106060666A (zh) 2016-10-26
CN106060666B (zh) 202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716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6254914B (zh) 便携式设备的操作方法、内容再现设备的操作方法、便携式设备以及内容再现设备
US20070018844A1 (en) Two way remote control
US20230421833A1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KR20130033044A (ko) 컨텐츠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20110125812A (ko) 디지털 tv 및 그의 제어 방법
US887521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volume punch-through
US11240559B2 (en)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content reproducing method
KR20210069441A (ko) 디스플레이 장치
TW201404187A (zh) 用於傳輸無線音訊之電視系統及其控制方法
US2011029543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2246099B1 (ko)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영상송신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
CN114175692A (zh) 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EP2797245A1 (en) Display apparatus with a plurality of tuners that can be connected to a satellite antenna and channel searching method thereof
KR2021001728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3187780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3247539A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4639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청 상태에 연동한 소스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2013025758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put switching method
JP2014123918A (ja) 再生装置、再生システムおよび処理実行制御方法
JP2010041160A (ja) 記録再生装置
US20130133004A1 (en) Method for performing broadcasting program schedule control through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apparatuses
US20170006330A1 (en) Management of the operation of a control module
KR20100074854A (ko)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방법
JP2013138289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