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9445A - 무선 셋탑박스,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무선 영상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셋탑박스,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무선 영상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9445A
KR20080019445A KR1020060081801A KR20060081801A KR20080019445A KR 20080019445 A KR20080019445 A KR 20080019445A KR 1020060081801 A KR1020060081801 A KR 1020060081801A KR 20060081801 A KR20060081801 A KR 20060081801A KR 20080019445 A KR20080019445 A KR 20080019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ata
unit
control
top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1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9445A/ko
Priority to US11/764,830 priority patent/US20080051027A1/en
Priority to EP07112245A priority patent/EP1919194A3/en
Priority to CNA200710136151XA priority patent/CN101137001A/zh
Publication of KR20080019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4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셋탑박스와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무선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원온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전원온데이터를 무선 셋탑박스에 송신하는 단계와, 무선 셋탑박스는 수신한 전원온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모듈부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제1 모듈부에서 처리된 AV 데이터를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와,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는 AV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다채널로 AV 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영상시스템, 무선 셋탑박스,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모듈부, 무선 인터페이스부, 제어상태데이터, 전원상태데이터

Description

무선 셋탑박스,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무선 영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WIRELESS SET-TOP BOX, WIRELESS DISPLAY APPARATUS, WIRELESS VIDEO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영상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셋탑박스의 상세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상세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상호 연동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셋탑박스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제어상태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무선 셋탑박스 120 :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200-1 : 제1 모듈부 220 : 튜너부
222 : 엠펙부 230 : 제어부
232 : 전원부 234 : 저장부
240-1 : 제1 무선 인터페이스부 310 : 무선 인터페이스부
330 : 영상처리부 332 : OSD 생성부
340 : 디스플레이부 350 : 전원부
352 : 전원부 354 : 입력부
본 발명은 무선 셋탑박스,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무선 영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채널로 AV 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셋탑박스,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무선 영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신호에 관한 무선 영상시스템은 무선 셋탑박스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셋탑박스는 RF 신호를 수신하여 튜너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선국하여 디지털 영상신호를 얻고, 이 디지털 영상신호를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한다. 그리고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는 무선 셋탑박스로부터 송신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종래의 무선 영상시스템은 무선 셋탑박스에 1대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만이 연결되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리모콘을 이용하여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온시키면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처리부와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이 공급되고, 또 한 전원온데이터는 무선 셋탑박스로 전송된다. 무선 셋탑박스는 전원온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튜너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RF 신호는 튜너부에서 선국되어 디지털 영상신호를 얻고, 이 디지털 영상신호는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된다. 또한, 사용자가 리모콘을 이용하여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면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처리부와 디스플레이부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또한 전원오프데이터는 무선 셋탑박스로 전송된다. 무선 셋탑박스는 전원오프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튜너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즉 종래의 단채널 통신의 무선 영상시스템은 소비자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를 켜거나 끄고 싶을 때,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를 향해 리모콘을 조작하면 무선 셋탑박스도 같이 켜지거나 꺼지므로, 무선 셋탑박스에서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다채널 통신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채널로 AV 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셋탑박스,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무선 영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에 제어상태데이터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도모하는 무선 셋탑박스,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무선 영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브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무선 셋탑박스,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무선 영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 셋탑박스에 있어서, 복수의 모듈부와, 상기 복수의 모듈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복수의 모듈부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 무선으로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모듈부로부터 입력된 AV데이터와 제어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송신되는 제어데이터를 수신하는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부와, 및 상기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중 어느 하나의 동작전원을 온시키는 전원온데이터를 검출한 경우 해당 모듈부에 상기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분석하여, 제2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전원을 오프시키는 전원오프데이터를 검출한 경우 상기 전원오프데이터를 상기 제2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제어데이터로 송신되도록 해당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에 대한 전원상태요청데이터인 경우 전원상태데이터를 상기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제어데이터로 송신되도록 해당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에 대한 디스플레이상태요청데이터인 경우 디스플레 이상태데이터를 상기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제어데이터로 송신되도록 해당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에 대한 전원상태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에 대한 디스플레이상태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분석하여, 튜너부 및 엠펙부 중 적어도 하나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중 어느 하나의 동작전원을 오프시키는 전원오프데이터를 검출한 경우 해당 모듈부에 상기 동작전원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와 각각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 셋탑박스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무선 셋탑박스에서 송신된 AV데이터와 제어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셋탑박스로 제어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부와, 및 상기 복수의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제어상태표시가 요청된 경우 상기 제어상태요청데이터를 상기 무선 셋탑박스에 제어데이터로 송신되도록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복수의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제어상태데이터를 표시하는 제 어부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복수의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제어상태데이터로 상기 복수의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전원상태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복수의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제어상태데이터로 상기 복수의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디스플레이상태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상태데이터를 표시하도록 OSD 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LED부에 상기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상태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복수의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전원오프데이터를 상기 무선 셋탑박스에 제어데이터로 송신되도록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한편, 본 발명은, 무선 셋탑박스와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무선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원온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온데이터를 상기 무선 셋탑박스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셋탑박스는 수신한 상기 전원온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모듈부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모듈부에서 처리된 AV 데이터를 상기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송 신하는 단계와, 및 상기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는 AV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와 각각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무선 셋탑박스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전원을 온시키는 전원온데이터를 검출한 경우 해당 모듈부에 상기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및 상기 모듈부에서 처리된 AV 데이터를 상기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와 각각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 셋탑박스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셋탑박스로부터 송신된 AV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AV 데이터를 복원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된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제어상태표시가 요청된 경우 제어상태요청데이터를 상기 무선 셋탑박스에 송신하는 단계와, 및 상기 무선 셋탑박스에서 송신된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제어상태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 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영상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로, 무선 영상시스템(100)은 다채널 전송이 가능한 무선 셋탑박스(110)와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 130, 140)를 포함한다.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 제2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30) 및 제3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4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무선 셋탑박스(110)는 거실에 설치되고,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 130, 140)는 각각 거실, 침실 및 주방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셋탑박스(110) 및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 130, 140)는 각각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영상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선 통신으로 무선랜을 들 수 있다. 무선랜의 국제표준인 IEEE 802.11은 MAC(Media Access Contro)과 물리계층의 상세 규격을 제공하며, 802.11, 802.11a, 802.11b 및 802.11g로 세분화되어 있고, 각각은 주파수 대역, 전송 속도 및 변조 방식 등에 다소 차이가 있다.
무선으로 제어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 130, 140)에 설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제어데이터를 입력하면, 입력된 제어데이터는 해당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부에서 처리되고, 무선 셋탑박스(110)에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어데이터를 패킷화하여 무선 셋탑박스(110)에 전송된다. 이러한 제어데이터의 예로는 전원온, 전원오프, 제어상태, 전원상태, 디스플레이상태, 채널업, 채널다운, 오디오 선택(스테레오, 모노), 볼륨 조절, 캡션정보 선택 등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셋탑박스의 상세한 구성도로, 무선 셋탑박스(200)는 복수의 모듈부(200-1, 200-2, 200-3),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부(240-1. 240-2. 240-3), 제어부(230) 및 전원부(232)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부(200-1)는 신호입력부(210), 튜너부(220) 및 엠펙부(222)를 포함하며, 제2 모듈부(200-2) 및 제3 모듈부(200-3)는 제1 모듈부(200-1)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신호입력부(210)는 안테나(212), CVBS입력단자(212) 또는 기타입력단자(미도시됨) 등으로 구성된다. 안테나(212)는 위성 디지털 방송신호, 지상 디지털 방송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튜너(232)에 RF 신호를 제공하며, CVBS입력단자(212)는 아날로그 복합비디오신호(CVBS)와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단자이다.
튜너부(220)는 안테나(212)에 수신된 디지털 방송신호의 복수의 채널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선국하고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아날로그 방송신호의 복수의 채널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선국하고 아날로그 CVBS와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출력한다.
엠펙부(222)는 ADC부(224)와 엠펙 엔코더부(226)로 구성되며, ADC부(224)는 튜너부(220) 또는 CVBS 입력단자(214)에서 공급되는 아날로그 CVBS와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고, 엠펙 엔코더부(226)는 디지털로 변환된 영상신호와 오디오신호를 압축하여 TS 데이터로 출력한다.
무선 인터페이스부(240-1)는 튜너부(220)로부터 제공된 TS 데이터를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 130, 140)의 어느 하나에 전송하며, 제어부(230)에서 제공되는 제어데어터를 패킷화하여 전송하고,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 130, 140)의 어느 하나에서 수신된 패킷화된 제어데이터를 제어부(230)에 출력한다.
제어부(230)는 튜너부(220), 엠펙부(222), 무선 인터페이스부(240-1) 및 전원부(232)를 제어한다.
전원부(232)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모듈부(200-1, 200-2, 200-3)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며, 제1 모듈부(200-1)의 튜너부(220)가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튜너부(220)에만 전원이 공급되고, 제1 모듈부(200-1)의 튜너부(220)가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튜너부(220)와 엠펙부(222) 모두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되고, CVBS입력단자의 영상신호와 오디오신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엠펙부(222)에만 전원을 공급한다.
저장부(234)는 무선 셋탑박스(110)의 제어상태데이터뿐만 아니라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 130, 140)에 대한 각각의 제어상태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상세한 구성도로,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310), 오디오처리부(320), 스피커(322), 영상처리부(330), OSD생성부(332), 영상합성부(334), 디스플레이부(340), 제어부(350), 전원부(352), 입력부(354) 및 LED부(356)를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부(310)는 무선 셋탑박스(110)로부터 제공된 TS 데이터와 패 킷화된 제어데이터를 수신하고, 무선 셋탑박스(110)에 제어부(350)에서 제공되는 제어데이터를 전송한다.
오디오처리부(32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31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신호에 기초하여 음성데이터를 복호하며, 복호된 음성데이터는 스피커(322)를 통해 출력된다.
영상처리부(33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31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데이터를 복호하고, 이 복호된 영상데이터는 영상합성부(334)에 공급된다. OSD 생성부(332)는 디스플레이부(340)에 표시될 다수의 제어상태데이터에 대한 화면데이터를 생성한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20, 130, 140)에 대한 전원제어상태 및 디스플레이상태에 대한 화면데이터를 생성한다. 영상합성부(334)는 영상처리부(330)에서 생성된 영상데이터와 OSD 생성부(332)에서 생성된 제어상태데이터에 대한 화면데이터를 합성하거나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340)에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340)는 영상합성부(334)에서 제공된 영상데이터 또는 제어상태데이터에 대한 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
제어부(35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310), 오디오처리부(320), 영상처리부(330), OSD 생성부(332), LED부(356) 및 전원부(352)를 제어한다. LED부(356)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제어상태를 표시한다.
전원부(352)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동작전원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가 대기상태가 아닌 정상적인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원이다.
입력부(354)는 리모콘으로 송신된 제어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의 설치된 전원버튼 등의 동작을 감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상호 연동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셋탑박스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제어상태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무선 셋탑박스,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및 무선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의 동작전원, 제2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30)의 동작전원 및 무선 셋탑박스(110)의 동작전원이 모두 오프상태에서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에 리모콘 또는 전원키 등의 입력부(354)를 통해 전원온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부(35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전원온데이터를 제어데이터패킷에 실어 무선 셋탑박스로 송신한다(S402, S602).
무선 셋탑박스(110)는 수신된 제어데이터패킷을 분석하여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어느 하나의 동작전원이 온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02). 즉, 무선 셋탑박스(110)는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로부터 수신된 제어데이터패킷에서 전원온데이터를 검출하면, 제어부(230)가 전원부(232)를 제어하여 해당 모듈부(200-1)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S404, S504).
또한, 무선 셋탑박스(110)의 제어부(230)는 제1의 무선 인터페이스부(240-1) 에서 수신된 제어데이터패킷으로부터 채널데이터를 검출하고, 튜너부(220)에 선택된 채널에 대한 채널전압을 공급한다. 따라서 튜너부(220)에서는 사용자가 선택된 채널이 선국되어 디지털 압축 영상신호/오디오신호 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오디오신호를 출력한다. 튜너부(220)에서 출력된 TS 데이터인 디지털 압축 영상신호/오디오신호는 제1의 무선 인터페이스부(240-1)로 입력되고 AV(AUDIO VIDEO) 데이터로 패킷화되어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로 송신되며, 튜너부(22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오디오신호는 엠펙부(222)에서 TS 데이터로 생성되어 제1의 무선 인터페이스부(240-1)로 입력되고 AV 데이터로 패킷화되어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로 송신된다(S406, S506).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는 제1의 무선 인터페이스부(240-1)에서 송신된 AV 데이터로 영상데이터와 오디오데이터를 복원하여 디스플레이부(340)에 영상을 표시하고, 스피커(332)를 통해 오디오를 들을 수 있다(S408, S606).
제2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30)에 리모콘 또는 전원키 등의 입력부를 통해 전원온신호가 입력되면(S410), 제어부(35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전원온데이터를 제어데이터패킷에 실어 무선 셋탑박스(110)로 송신하고, 무선 셋탑박스(110)는 해당 모듈부(200-2)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T/S 데이터를 제2의 무선 인터페이스부(240-2)를 통해 제2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30)로 송신한다(S412, S508).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상태데이터, 즉 전원상태데이터 및 채널 등에 대한 디스플레이상태데이터를 저장부(242)에 저장한다(S416, S510).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에 입력부(354)를 통해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 130, 140)의 제어상태의 표시가 요청되면, 무선 인터페이스부(310)는 이 제어상태요청데이터를 제어데이터패킷에 실어 무선 셋탑박스(110)로 송신한다(S418, S606). 무선 셋탑박스(110)는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로부터 수신된 제어데이터패킷을 분석하여 제어상태요청데이터가 검출되면, 제어상태데이터를 제어데이터패킷에 실어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로 송신한다(S420, S512).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의 제어부(350)는 무선 셋탑박스(110)로부터 수신된 제어데이터패킷을 분석하여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제어상태데이터를 검출하고, 이 제어상태데이터에 따라 OSD 생성부(332)에서 제어상태데이터에 대한 화면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화면데이터는 영상처리부(330)에서 출력된 영상데이터와 함께 영상합성부(334)에서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340)에 표시된다(S422, S608).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40)에 제어상태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은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데이터(710)와 각각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전원상태데이터(720), 채널데이터(722) 및 사용시간데이터(724) 등이 표시된다.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에 제2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30)를 동작전원을 오프시키는 전원오프신호가 입력되면, 무선 인터페이스부(310)는 이 전원오프신호를 제어데이터패킷에 실어 무선 셋탑박스(110)로 전송한다(S424, S610).
무선 셋탑박스(110)의 제어부(230)는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제2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30)의 동작전원을 오프시키는 전원오프데이터가 검출하면, 이 전원오프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모듈부(200-2)의 동작전원을 차단하고, 이 전원오프데이터를 제2의 무선 인터페이스부(240-2)를 통해 제2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30)에 송신한다(S426, S514).
제2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30)의 제어부(350)는 전원오프데이터를 검출하면, 제2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30)의 동작전원을 차단한다(S428).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에 입력부(354)를 통해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의 동작전원을 오프시키는 전원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50)는 이 이 전원오프신호에 따라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의 동작전원을 오프시키고, 무선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이 전원오프신호를 제어패킷에 실어 무선 셋탑박스(110)에 송신한다(S430, S612).
무선 셋탑박스(110)의 제어부(230)는 제1의 무선 인터페이스부(240-1)에 수신된 제어패킷을 분석하여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120)의 동작전원이 오프된 경우 전원부(232)를 제어하여 제1 모듈부(200-1)에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차단한다(S432 S516).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영상시스템은 다채널로 AV 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시청하는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제어상태데이터를 표시하므로, 화면을 보고 각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제어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영상시스템은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서브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Claims (24)

  1. 무선 셋탑박스에 있어서,
    복수의 모듈부와;
    상기 복수의 모듈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복수의 모듈부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 무선으로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모듈부로부터 입력된 AV데이터와 제어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송신되는 제어데이터를 수신하는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중 어느 하나의 동작전원을 온시키는 전원온데이터를 검출한 경우 해당 모듈부에 상기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셋탑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분석하여, 제2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전원을 오프시키는 전원오프데이터를 검출한 경우 상기 전원오프데이터를 상기 제2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제어데이터로 송신되도록 해당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셋탑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에 대한 전원상태요청데이터인 경우 전원상태데이터를 상기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제어데이터로 송신되도록 해당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셋탑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에 대한 디스플레이상태요청데이터인 경우 디스플레이상태데이터를 상기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제어데이터로 송신되도록 해당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셋탑박스.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에 대한 전원상태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에 대한 디스플레이상태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셋탑박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부는 튜너부와 엠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튜너부 및 상기 엠펙부 중 적어도 하나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셋탑박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중 어느 하나의 동작전원을 오프시키는 전원오프데이터를 검출한 경우 해당 모듈부에 상기 동작전원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셋탑박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부는, 제1 모듈부가 제1 채널을 수신하여 처리하고 제2 모듈부가 제2 채널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셋탑박스.
  9. 복수의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와 각각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 셋탑박스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무선 셋탑박스에서 송신된 AV데이터와 제어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셋탑박스로 제어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복수의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제어상태표시가 요청된 경우 상기 제어상태요청데이터를 상기 무선 셋탑박스에 제어데이터로 송신되도록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복수의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제어상태데이터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복수의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제어상태데이터로 상기 복수의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전원상태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복수의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제어상태데이터로 상기 복수의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디스플레이상태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OSD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상태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OSD 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LED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D부에 상기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상태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복수의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전원오프데이터를 상기 무선 셋탑박스에 제어데이터로 송신되도록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15. 무선 셋탑박스와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무선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원온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온데이터를 상기 무선 셋탑박스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셋탑박스는 수신한 상기 전원온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모듈부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모듈부에서 처리된 AV 데이터를 상기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는 AV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된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제어상태표시가 요청된 경우 제어상태요청데이터를 상기 무선 셋탑박스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셋탑박스는 상기 제어상태요청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제어상태데이터를 상기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제어상태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제어상태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전원상태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영상시 스템의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제어상태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디스플레이상태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
  19.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와 각각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무선 셋탑박스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전원을 온시키는 전원온데이터를 검출한 경우 해당 모듈부에 상기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모듈부에서 처리된 AV 데이터를 상기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셋탑박스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분석하여, 제2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전원을 오프시키는 전원오프데이터를 검출한 경우 상기 전원오프데이터를 상기 제2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제어데이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셋탑박스의 제어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에 대한 제어상태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셋탑박스의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에 대한 제어상태요청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어상태데이터를 상기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셋탑박스의 제어방법.
  23. 복수의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와 각각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 셋탑박스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셋탑박스로부터 송신된 AV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AV 데이터를 복원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제1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된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제어상태표시가 요청된 경우 제어상태요청데이터를 상기 무선 셋탑박스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셋탑박스에서 송신된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제어상태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복수의 외부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전원오프데이터를 상기 무선 셋탑박스에 제어데이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60081801A 2006-08-28 2006-08-28 무선 셋탑박스,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무선 영상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KR2008001944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801A KR20080019445A (ko) 2006-08-28 2006-08-28 무선 셋탑박스,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무선 영상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US11/764,830 US20080051027A1 (en) 2006-08-28 2007-06-19 Wireless set-top box, wireless display apparatus, wireless video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07112245A EP1919194A3 (en) 2006-08-28 2007-07-11 Wireless set-top box, wireless display apparatus, wireless video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A200710136151XA CN101137001A (zh) 2006-08-28 2007-07-19 无线机顶盒、无线显示设备、无线视频系统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801A KR20080019445A (ko) 2006-08-28 2006-08-28 무선 셋탑박스,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무선 영상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445A true KR20080019445A (ko) 2008-03-04

Family

ID=39160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801A KR20080019445A (ko) 2006-08-28 2006-08-28 무선 셋탑박스,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무선 영상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51027A1 (ko)
EP (1) EP1919194A3 (ko)
KR (1) KR20080019445A (ko)
CN (1) CN1011370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8628A (ko) * 2012-07-10 2014-01-22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60121925A (ko) * 2015-04-13 2016-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영상송신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5577B2 (en) * 2006-01-03 2012-02-28 Monster Cable Products, Inc. Integrated power center and mount system for flat screen video displays and projectors with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CN101034966B (zh) * 2007-04-06 2010-05-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机顶盒和子母机顶盒系统
KR101315414B1 (ko) * 2007-11-29 2013-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00014868A1 (en) * 2008-07-18 2010-01-21 Emcore Corporation Hybrid optical/wireless RF transceiver modules and photonic network components
KR20100026799A (ko) * 2008-09-01 2010-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컨텐츠 이용방법
CN102147968B (zh) * 2010-02-06 2012-10-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力线通信设备
KR101622635B1 (ko) * 2010-02-12 2016-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3개의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8839112B2 (en) * 2010-08-10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Cloning or extending a computer desktop on a wireless display surface
JP5668397B2 (ja) * 2010-10-01 2015-02-1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通信機器設定装置、通信機器設定方法、及び通信機器設定プログラム
KR101705549B1 (ko) * 2010-10-25 2017-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신호 무선 송수신 시스템
CN102137297B (zh) * 2010-11-30 2013-04-24 广东星海数字家庭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数字机顶盒的数据检测方法
US9753528B2 (en) * 2011-12-21 2017-09-05 Intel Corporation Mechanism for facilitating power extension service at computing devices
TWI450513B (zh) * 2011-12-21 2014-08-21 Acer Inc 無線顯示系統及其遙控器與通信方法
JP6236771B2 (ja) * 2012-03-22 2017-11-29 株式会社リコー 通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45812B1 (ko) * 2012-06-08 2019-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10524100B2 (en) 2012-09-07 2019-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utputting content by the electronic apparatus
KR101888650B1 (ko) * 2012-09-07 2018-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CN111009106B (zh) * 2018-10-05 2021-11-30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人机界面系统及其通讯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2750A (en) * 1998-01-06 2000-04-18 Sony Corporation Of Japan Home audio/video network for generating default control parameters for devices coupled to the network, and replacing updated control parameters therewith
JP2002111615A (ja) * 2000-10-03 2002-04-12 Sharp Corp 放送信号受信システム
US8601519B1 (en) * 2000-12-28 2013-12-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igital residential entertainment system
CN100440822C (zh) * 2001-03-26 2008-12-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源控制装置
US20030214604A1 (en) * 2002-05-17 2003-11-20 Lg Electronics Inc.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4336727A (ja) * 2003-04-17 2004-11-25 Sharp Corp ワイヤレス制御システム、制御機器、被制御機器、機器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230857B2 (ja) * 2003-08-27 2009-02-25 株式会社東芝 データ伝送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8628A (ko) * 2012-07-10 2014-01-22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60121925A (ko) * 2015-04-13 2016-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영상송신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51027A1 (en) 2008-02-28
EP1919194A2 (en) 2008-05-07
EP1919194A3 (en) 2008-12-10
CN101137001A (zh)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9445A (ko) 무선 셋탑박스,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무선 영상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US8965215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72858B1 (ko) 시나리오에 따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WO2011009088A1 (en) Wireless transmission of data using an available channel of a spectrum
US79377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03244570A (ja) テレビシステム
WO2004107745A1 (ja) 放送受信システム
KR101295301B1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US20090115768A1 (en) Image providing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system constituted by the same
JP2001111970A (ja) 音声制御装置、および、テレビ受像機
US20070268403A1 (en) Power Sav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KR20100081823A (ko) 오디오 기기, 이를 구비한 에이브이 시스템 및 오디오 기기의 제어 방법
JP2001111916A (ja) 輝度制御装置及びテレビ受像機
KR20030058118A (ko) 디지털 티브이 셋탑박스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간의무선 접속 장치
KR101372242B1 (ko) 리모컨 타입의 콘텐츠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2007027973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JP4410053B2 (ja) 放送受信装置
KR101583085B1 (ko) 무선 av 수신 장치
KR101377940B1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는 방법
EP2227007A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mproved in information updating method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2010072352A (ja) 画像表示システム、送信機及び受信機
JP2008148182A (ja) 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025200A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システム
KR100662458B1 (ko) 방송수신장치의 외부 모듈 인터페이스장치
JP2001024533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テレ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