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374B1 - 디버링 머신 - Google Patents

디버링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374B1
KR102579374B1 KR1020220177084A KR20220177084A KR102579374B1 KR 102579374 B1 KR102579374 B1 KR 102579374B1 KR 1020220177084 A KR1020220177084 A KR 1020220177084A KR 20220177084 A KR20220177084 A KR 20220177084A KR 102579374 B1 KR102579374 B1 KR 102579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burring
center
brush
vertic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7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영
최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엘
Priority to KR1020220177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3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9/00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 B24B29/005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u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by mechanical gearing or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3/0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 B24D13/02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 B24D13/1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comprising assemblies of 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물의 양측면을 각각 디버링하는 측면 디버링 머신(5) 및 공작물의 상면을 디버링하는 상면 디버링 머신(100)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디버링 머신(5)는 본체(6), 상기 본체(6)의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높이 조절부(10), 상기 높이 조절부(10)의 일측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폭 조절부(20), 상기 높이 조절부(10)의 타측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폭 조절부(30), 상기 제1 폭 조절부(20)의 전방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공작물의 좌측면을 디버링하는 제1 디버링 조립체(35), 상기 제2 폭 조절부(30)의 전방에 상기 제1 디버링 조립체(35)와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어, 공작물의 우측면을 디버링하는 제2 디버링 조립체(55) 및 상기 본체(6)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높이 조절부(1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균형을 조절하는 밸런스 실린더(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버링 조립체(35)는 상기 제1 폭 조절부(20)의 전방에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각도의 조정이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제1 회전 조절부(36), 상기 제1 회전 조절부(36)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작물의 좌측면을 디버링하는 제1 디버링 솔(40) 및 상기 제1 디버링 솔(40)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1 디버링 솔(40)을 회동시키는 제1 디버링 모터(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조절부(36)는 사전에 설정된 기준각도로 회동하고, 상기 기준각도는 7° 이상 13°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버링 머신{Deburring Manchine}
본 발명은 디버링 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절삭 가공을 거친 공작물의 상면 및 측면을 자동으로 각각 디버링할수 있는 디버링 머신에 관한 것이다.
버는 공작물을 기계 가공 시, 기계 가공에 의해 공작물이 절삭되어, 발생하는 얇은 잉여 부분을 의미한다.
공작물 도금 또는 도장 시, 공작물의 상면 및 측면에 다수의 버가 존재하거나, 공작물의 상면 및 측면이 부드럽지 못한 경우, 도금 또는 도장 불량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생산 현장에서는 가공 과정을 거친 공작물로부터 사전에 다수의 버를 제거해야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생산 현장에서는 원반형의 회동 가능한 숫돌바퀴가 구비된 핸드 그라인더, 원통형의 회동 가능한 숫돌 등을 이용하여, 공작물의 측면 및 상면에 다수 존재하는 버를 일일이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생산 현장에서는 가공 과정을 거친 공작물의 측면 및 상면을 각각 디버링할 수 있는 디버링 머신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디버링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디버링 작업 중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생산 현장에서는 작업자가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공작물의 측면 및 상면을 일일이 디버링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공작물의 측면 및 상면에 대한 디버링의 완성도가 가변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생산 현장에서는 공작물의 측면 및 상면을 한번에 디버링할 수 있는 디버링 머신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공작물의 측면 및 상면을 정밀하게 디버링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825556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삭 가공을 거친 공작물의 상면 및 측면을 자동으로 각각 디버링할수 있는 디버링 머신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 및 폭을 각각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좌우 대칭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 디버링 솔을 통해 공작물의 양측면을 자동으로 각각 디버링할 수 있는 디버링 머신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주면에 다수의 솔이 지그재그로 배열된 측면 디버링 솔을 통해 공작물의 양측면을 자동으로 각각 디버링할 수 있는 디버링 머신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는 상면 디버링 솔을 통해 공작물의 상면을 자동으로 디버링할 수 있는 디버링 머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버링 머신은 공작물의 양측면을 각각 디버링하는 측면 디버링 머신(5) 및 공작물의 상면을 디버링하는 상면 디버링 머신(100)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디버링 머신(5)는 본체(6), 상기 본체(6)의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높이 조절부(10), 상기 높이 조절부(10)의 일측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폭 조절부(20), 상기 높이 조절부(10)의 타측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폭 조절부(30), 상기 제1 폭 조절부(20)의 전방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공작물의 좌측면을 디버링하는 제1 디버링 조립체(35), 상기 제2 폭 조절부(30)의 전방에 상기 제1 디버링 조립체(35)와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어, 공작물의 우측면을 디버링하는 제2 디버링 조립체(55) 및 상기 본체(6)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높이 조절부(1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균형을 조절하는 밸런스 실린더(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버링 조립체(35)는 상기 제1 폭 조절부(20)의 전방에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각도의 조정이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제1 회전 조절부(36), 상기 제1 회전 조절부(36)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작물의 좌측면을 디버링하는 제1 디버링 솔(40) 및 상기 제1 디버링 솔(40)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1 디버링 솔(40)을 회동시키는 제1 디버링 모터(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조절부(36)는 사전에 설정된 기준각도로 회동하고, 상기 기준각도는 7° 이상 13°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디버링 조립체(55)는 상기 제1 디버링 솔(40)의 우측에 구비되어, 공작물의 우측면을 디버링하는 제2 디버링 솔(5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버링 솔(40)은 시계 방향으로 상기 기준 각도만큼 회동하고, 상기 제2 디버링 솔(56)은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기준 각도만큼 회동하고, 상기 제1 디버링 솔(40) 및 제2 디버링 솔(56) 간의 간격은 상부에 하부로 갈수록 멀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6)는 상기 본체(6)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대(7), 상기 지지대(7)의 중앙에 구비되고,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8) 및 상기 지지대(7)의 상부에 구비되고,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9)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10)는 상기 지지대(7)의 전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레일(11), 일방향 또는 상기 일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는 손잡이(12), 상기 손잡이(12)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12)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샤프트(13), 상기 제1 샤프트(13)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샤프트(1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잭 프레임(14), 상기 잭 프레임(14)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잭 프레임(14)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ㄱ자 형상의 중앙 브라켓(15), 상기 중앙 브라켓(15)의 전면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중앙 브라켓(15)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 브라켓(16), 상기 수평 브라켓(16)의 양측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수평 브라켓(16)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 브라켓(17) 및 상기 수직 브라켓(17)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수직 브라켓(17)에 의해 상기 수직 레일(1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 슬라이더(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폭 조절부(20)는 상기 높이 조절부(10)의 수평 브라켓(16)의 전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장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레일(21), 상기 수평 브라켓(16)의 일측에 구비되어, 일방향 또는 일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는 핸들(22), 상기 핸들(22)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핸들(22)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샤프트(23), 상기 제2 샤프트(23)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2 샤프트(23)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내측 브라켓(24), 상기 내측 브라켓(24)의 전면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내측 브라켓(24)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무빙 플레이트(25), 상기 무빙 플레이트(25)의 전면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무빙 플레이트(25)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방 브라켓(26) 및 상기 무빙 플레이트(25)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무빙 플레이트(25)에 의해 상기 수평 레일(21)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 슬라이더(28)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브라켓(26)은 전면 중앙에 돌출부(27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7a)의 전면 중앙에 나사홀(27b)이 함몰 형성되는 프론트 플레이트(27)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7)는 전면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 체결홀(27c)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 조절부(36)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7)의 전방에 상기 돌출부(27a)의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각도의 조정이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리어 플레이트(37)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플레이트(37)는 후면 중앙에 상기 돌출부(27a)에 삽입 결합되는 홈부(37a)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홈부(37a)는 내측 중앙에 상기 나사홀(27b)에 대응하는 관통홀(37b)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리어 플레이트(37)는 후면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 상기 체결홀(27c)에 대응하는 초승달 형상의 슬로트홀(37c)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디버링 솔(40)은 상기 제1 모터 샤프트(51)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1 디버링 모터(50)에 의해 회동하는 스핀들(41), 상기 스핀들(41)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코어(42), 상기 코어(42)의 외측에 상기 코어(42)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솔 홀더(43), 상기 솔 홀더(43)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 구비되는 수평 솔(45), 상기 솔 홀더(43)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솔 홀더(43) 및 코어(42)의 상면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제1 커버(46), 상기 솔 홀더(43)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솔 홀더(43) 및 코어(42)의 하면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제2 커버(47), 상기 스핀들(41)의 하단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48) 및 상기 스핀들(41)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는 수직 키(4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핀들(41)은 중앙에 바디부(41a)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41a)는 하부에 상기 바디부(41a)보다 직경이 작은 하부 바디(41b)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41a)는 외주면의 일측에 상기 수직 키(49)가 삽입되는 키홈(41c)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솔 홀더(43)는 상면 중앙에 내측에 상기 코어(42)가 구비될 수 있도록 관통부(43a)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솔 홀더(43)는 외주면에 상기 수평 솔(45)이 삽입 결합되는 관통공(43b)이 원주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3b)은 상기 수평 솔(45)이 공작물의 측면을 골고루 디버링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커버(46)는 상면 중앙에 상기 스핀들(41)의 바디부(41a)가 삽입 결합되는 상부 삽입홀(46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상부 삽입홀(46a)은 내주면의 일측에 상기 수직 키(49)가 삽입되는 제1 키홈부(46b)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버(46)는 하면 중앙에 외주면이 상기 솔 홀더(43)의 내주면의 상부와 면접촉하는 제1 테두리부(46c)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테두리부(46c)는 하면 중앙에 상기 코어(42)의 상단이 삽입 결합되는 제1 결합홀(46d)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코어(42)는 상면 중앙에 상기 스핀들(41)의 바디부(41a)가 삽입 결합되는 중앙 삽입홀(42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중앙 삽입홀(42a)은 내주면의 일측에 상기 수직 키(49)가 삽입되는 제2 키홈부(42b)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47)는 상면 중앙에 상기 스핀들(41)의 하부 바디(41b)가 삽입 결합되는 하부 삽입홀(47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47)는 상면 중앙에 외주면이 상기 솔 홀더(43)의 내주면의 하부와 면접촉하는 제2 테두리부(47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테두리부(47b)는 상면 중앙에 상기 코어(42)의 하단이 삽입 결합되는 제2 결합홀(47c)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면 디버링 머신(100)은 몸체부(105), 상기 몸체부(105)의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하강부(110), 상기 승하강부(11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120), 상기 회전부(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작물의 상면을 디버링하는 상면 디버링 조립체(125), 상기 회전부(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전력에 의해 회동하는 디버링 모터부(155) 및 상기 몸체부(105)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승하강부(11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균형을 조절하는 밸런싱 실린더(156)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 디버링 조립체(125)는 상기 회전부(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120)에 의해 회동하는 하부 프레임 조립체(126), 상기 하부 프레임 조립체(126)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디버링 모터부(155)의 회전력을 상면 디버링 솔(135)에 전달하는 기어 박스(130) 및 상기 기어 박스(1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기어박스(130)에 의해 전달받은 회전력에 의해 회동하는 상면 디버링 솔(1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130)는 상기 디버링 모터부(155)에 축 결합되어, 상기 디버링 모터부(155)에 의해 회동하는 수직 베벨기어(131) 및 상기 수직 베벨기어(131)와 기어 맞물림되어, 상기 수직 베벨기어(131)에 의해 회동하는 수평 베벨기어(132)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05)는 상기 몸체부(105)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06), 상기 지지부(106)의 중앙에 구비되고,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부재(107) 및 상기 지지부(106)의 상부에 구비되고,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수평부재(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면 디버링 솔(135)은 상기 수평 베벨기어(132)에 축 결합되어, 상기 수평 베벨기어(132)에 의해 회동하는 스핀들부(136), 상기 스핀들부(136)의 중앙에 다수 고정 결합되는 드럼(137), 상기 드럼(137)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 구비되는 수직 솔(138), 상기 드럼(137)의 일측에 구비되는 드럼 커버(139), 상기 드럼 커버(139)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커버(139)를 고정시키는 제1 클램프 너트(140), 상기 드럼(137)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137)을 고정시키는 제2 클램프 너트(141), 상기 제2 클램프 너트(141)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2 클램프 너트(141)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너트(142), 상기 스핀들부(136)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는 베어링 홀더(143), 상기 스핀들부(136)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1 키(145), 상기 스핀들부(136)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는 제2 키(146), 상기 제1 클램프 너트(140)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1 스토퍼링(147), 상기 스토퍼 너트(142)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2 스토퍼링(148), 상기 스토퍼 너트(142)에 다수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2 클램프 너트(141)를 가압하는 육각 볼트(149), 상기 베어링 홀더(143)의 타측에 구비되는 커버부재(150) 및 상기 커버부재(150)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핀들부(136)의 타단에 고정 결합되는 너트부재(1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핀들부(136)는 일측에 바디부재(136a)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재(136a)는 타측에 상기 바디부재(136a)보다 직경이 작은 결합부재(136b)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재(136a)는 외주면의 일측에 상기 제1 키(145)가 삽입되는 제1 키삽입부(136c)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재(136a)는 외주면의 중앙에 상기 제2 키(146)가 삽입되는 제2 키삽입부(136d)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드럼(137)은 타면 중앙에 상기 바디부재(136a)가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관통홀(137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홀(137a)은 내주면에 상기 제2 키(146)가 삽입되는 제3 키홈부(137b)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드럼(137)은 타면에 상기 수직 솔(138)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는 테두리홈(137c)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드럼(137)은 외주면에 상기 테두리홈(137c)과 연통되고, 상기 수직 솔(138)이 관통 삽입되는 삽입공(137d)이 원주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드럼 커버(139)는 일면 중앙에 상기 바디부재(136a)가 관통 삽입되는 제3 관통홀(139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3 관통홀(139a)은 내주면에 상기 제2 키(146)가 삽입되는 제4 키홈부(139b)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 키삽입부(136c) 및 제2 키삽입부(136d)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스토퍼링(147)이 결합되는 제1 스토퍼링 삽입홈(136e)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클램프 너트(140)는 타면 중앙에 상기 스핀들부(136)의 바디부재(136a)가 관통 삽입되는 제1 결합공(140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클램프 너트(140)는 일면 중앙에 상기 제1 스토퍼링(147)이 삽입 결합되는 제1 스토퍼링 삽입홀(140b)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 클램프 너트(141)는 일면 중앙에 상기 바디부재(136a)가 관통 삽입되는 제2 결합공(141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클램프 너트(141)는 타면 중앙에 상기 스토퍼 너트(142)가 삽입 결합되는 스토퍼 너트 삽입홀(141b)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너트(142)는 일면 중앙에 상기 바디부재(136a)가 관통 삽입되는 제3 결합공(142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너트(142)는 타면 중앙에 상기 제2 스토퍼링(148)이 삽입 결합되는 제2 스토퍼링 삽입홀(142b)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너트(142)는 타면에 상기 육각 볼트(149)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공(142c)이 다수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디버링 머신은 높이 및 폭을 각각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좌우 대칭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 디버링 솔을 통해 공작물의 양측면을 자동으로 각각 디버링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디버링 머신은 외주면에 다수의 솔이 지그재그로 배열된 측면 디버링 솔을 통해 공작물의 양측면을 자동으로 각각 정밀하게 디버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디버링 머신은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는 상면 디버링 솔을 통해 공작물의 상면을 자동으로 정밀하게 디버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디버링 머신은 디버링 작업 중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디버링의 완성도가 높아, 고품질의 제품을 항상 일정하게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측면 디버링 머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측면 디버링 머신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측면 디버링 머신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디버링 조립체 및 제2 디버링 조립체가 제거된 측면 디버링 머신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전방 브라켓이 제거된 측면 디버링 머신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측면 디버링 머신의 디버링 부위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7은 전방 브라켓 및 제1 회전 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회전 조절부의 후면도이다.
도 9는 제1 디버링 솔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 디버링 솔의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 디버링 솔의 상세도이다.
도 12는 솔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솔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4은 상면 디버링 머신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상면 디버링 머신의 좌측면도이다.
도 16은 상면 디버링 머신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상면 디버링 머신의 디버링 부위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8은 기어박스의 정단면도이다.
도 19는 상면 디버링 솔의 정단면도이다.
도 20은 상면 디버링 솔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디버링 머신(1)은 측면 디버링 머신(5) 및 상면 디버링 머신(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측면 디버링 머신(5)는 공작물의 양측면을 각각 디버링한다.
그리고, 상면 디버링 머신(100)은 공작물의 상면을 디버링한다.
도 1은 측면 디버링 머신(5)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측면 디버링 머신(5)의 좌측면도이고, 도 3은 측면 디버링 머신(5)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측면 디버링 머신(5)은 본체(6), 높이 조절부(10), 제1 폭 조절부(20), 제2 폭 조절부(30), 제1 디버링 조립체(35), 제2 디버링 조립체(55) 및 밸런스 실린더(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6)는 측면 디버링 머신(5)의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높이 조절부(10)는 본체(6)의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제1 폭 조절부(20)는 높이 조절부(10)의 일측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제1 폭 조절부(20)는 높이 조절부(1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 폭 조절부(30)는 높이 조절부(10)의 타측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제2 폭 조절부(30)는 높이 조절부(1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 디버링 조립체(35)는 제1 폭 조절부(20)의 전방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공작물의 좌측면을 디버링한다. 그리고, 제1 디버링 조립체(35)는 제1 폭 조절부(2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 디버링 조립체(55)는 제2 폭 조절부(30)의 전방에 제1 디버링 조립체(35)와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어, 공작물의 우측면을 디버링한다. 그리고, 제2 디버링 조립체(55)는 제2 폭 조절부(3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밸런스 실린더(60)는 본체(6)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높이 조절부(1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균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밸런스 실린더(60)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의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제1 디버링 조립체(35)는 제1 회전 조절부(36), 제1 디버링 솔(40), 제1 디버링 모터(50) 및 제1 모터 샤프트(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1 회전 조절부(36)는 제1 폭 조절부(20)의 전방에 상기 제1 회전 조절부(36)의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각도의 조정이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제1 회전 조절부(36)는 제1 폭 조절부(2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 회전 조절부(36)는 사전에 설정된 기준각도로 회동한다. 이때, 기준각도는 7° 이상 13°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디버링 솔(40)은 제1 회전 조절부(36)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작물의 좌측면을 디버링한다. 그리고 제1 디버링 솔(40)은 제1 회전 조절부(36)에 의해 회전각도가 조정된다.
이대, 제1 디버링 솔(40)의 중심축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디버링 모터(50)는 제1 회전 조절부(36)의 상부에 구비되고, 제1 디버링 솔(40)에 축 결합되어, 제1 디버링 솔(4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제1 디버링 모터(50)의 중심축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모터 샤프트(51)는 제1 디버링 모터(50) 및 제1 디버링 솔(40)의 사이에 구비되어, 제1 디버링 모터(50) 및 제1 제1 디버링 솔(40)을 연결시킨다.
이를 통해, 제1 디버링 솔(40)은 제1 디버링 모터(50)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공작물의 좌측면을 디버링할 수 있다.
한편, 제2 디버링 조립체(55)는 제2 디버링 솔(5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1 디버링 솔(40)은 공작물의 좌측면을 디버링한다.
그리고, 제2 디버링 솔(56)은 제1 디버링 솔(40)의 우측에 구비되어, 공작물의 우측면을 디버링한다.
그리고, 제1 디버링 솔(40) 및 제2 디버링솔은 높이 조절부(1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기준 높이만큼 중력의 방향으로 각각 이동한다.
그리고, 제1 디버링 솔(40)은 제1 폭 조절부(2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기준 폭만큼 일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 디버링 솔(56)은 제2 폭 조절부(3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기준 폭만큼 상기 일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 디버링 솔(40) 및 제2 디버링 솔(56) 간의 간격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버링 솔(40)은 시계 방향으로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각도만큼 회동하고, 제2 디버링 솔(56)은 반시계 방향으로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각도만큼 회동함으로써, 제1 디버링 솔(40) 및 제2 디버링 솔(56) 간의 간격은 상부에 하부로 갈수록 멀어지게 된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제1 디버링 솔(40) 및 제2 디버링 솔(56)은 각각 제1 기준 위치 및 제2 기준 위치에 배치되어, 공작물의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각각 디버링할 수 있다.
한편, 본체(6)는 지지대(7), 수평 프레임(8) 및 상부 프레임(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지지대(7)는 본체(6)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지지대(7)는 각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 프레임(8)은 지지대(7)의 중앙에 구비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9)은 지지대(7)의 상부에 구비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 4는 제1 디버링 조립체(35) 및 제2 디버링 조립체(55)가 제거된 측면 디버링 머신(5)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전방 브라켓(26)이 제거된 측면 디버링 머신(5)의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높이 조절부(10)는 수직 레일(11), 손잡이(12), 제1 샤프트(13), 잭 프레임(14), 중앙 브라켓(15), 수평 브라켓(16) 및 수직 슬라이더(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수직 레일(11)은 지지대(7)의 전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손잡이(12)는 수평 브라켓(16)의 후방 일측에 구비되어, 일방향 또는 상기 일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손잡이(12)의 중심축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샤프트(13)는 손잡이(12)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어, 손잡이(12)의 회전력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샤프트(13)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잭 프레임(14)은 제1 샤프트(13)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 샤프트(1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잭 프레임(14)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 브라켓(15)은 잭 프레임(14)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어, 잭 프레임(14)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중앙 브라켓(15)은 ㄱ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 브라켓(16)은 중앙 브라켓(15)의 전면에 고정 결합되어, 중앙 브라켓(15)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수평 브라켓(16)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 브라켓(17)은 수평 브라켓(16)의 양측에 나사 결합되어, 수평 브라켓(16)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수직 슬라이더(18)는 수직 브라켓(17)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어, 수직 브라켓(17)에 의해 수직 레일(1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폭 조절부(20)는 수평 레일(21), 핸들(22), 제2 샤프트(23), 내측 브라켓(24), 무빙 플레이트(25), 전방 브라켓(26) 및 수평 슬라이더(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수평 레일(21)은 수평 브라켓(16)의 전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장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핸들(22)은 수평 브라켓(16)의 일측에 구비되어, 일방향 또는 일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핸들(22)의 중심축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샤프트(23)는 핸들(22)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어, 핸들(22)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내측 브라켓(24)은 제2 샤프트(23)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어, 제2 샤프트(23)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무빙 플레이트(25)는 내측 브라켓(24)의 전면에 고정 결합되어, 내측 브라켓(24)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무빙 플레이트(25)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전방 브라켓(26)은 무빙 플레이트(25)의 전면에 고정 결합되어, 무빙 플레이트(25)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전방 브라켓(26)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 슬라이더(28)는 무빙 플레이트(25)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어, 무빙 플레이트(25)에 의해 수평 레일(21)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6은 측면 디버링 머신(5)의 디버링 부위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측면 디버링 머신(5)은 공작물의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사이에 형성된 상면을 디버링한다.
도 7은 전방 브라켓(26) 및 제1 회전 조절부(36)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제1 회전 조절부(36)의 후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전방 브라켓(26)은 프론트 플레이트(2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프론트 플레이트(27)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먼저, 프론트 플레이트(27)의 전면 중앙에는 돌출부(27a)가 돌출 형성되고, 돌출부(27a)의 전면 중앙에는 나사홀(27b)이 함몰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27a)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부(27a) 및 나사홀(27b)의 중심축은 전후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프론트 플레이트(27) 전면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는 체결홀(27c)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한편, 제1 회전 조절부(36)는 리어 플레이트(3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리어 플레이트(37)는 프론트 플레이트(27)의 전방에 돌출부(27a)의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각도의 조정이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리어 플레이트(37)의 후면 중앙에는 프론트 플레이트(27)의 돌출부(27a)에 삽입 결합되는 홈부(37a)가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홈부(37a)의 내측 중앙에는 프론트 플레이트(27)의 나사홀(27b)에 대응하는 관통홀(37b)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리어 플레이트(37) 후면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는 프론트 플레이트(27)의 체결홀(27c)에 대응하는 슬로트홀(37c)이 다수 관통 형성된다.
이때, 슬로트홀(37c)은 초승달의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제1 회전 조절부(36)는 리어 플레이트(37)의 관통홀(37b) 및 프론트 플레이트(27)의 나사홀(27b), 리어 플레이트(37)의 슬로트홀(37c) 및 프론트 플레이트(27)의 체결홀(27c)을 통해 전방 브라켓(26)에 회전 각도의 조정이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도 9는 제1 디버링 솔(40)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1 디버링 솔(40)의 정단면도이고, 도 11은 제1 디버링 솔(40)의 상세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디버링 솔(40)은 스핀들(41), 코어(42), 솔 홀더(43), 수평 솔(45), 제1 커버(46), 제2 커버(47), 너트부(48) 및 수직 키(4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스핀들(41)은 제1 모터 샤프트(51)에 축 결합되어, 제1 디버링 모터(50)의 회전력에 의해 회동한다.
그리고, 코어(42)는 스핀들(41)의 하부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코어(42)는 원통형으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솔 홀더(43)는 코어(42)의 외측에 코어(42)를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이때, 솔 홀더(43)는 원통형으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 솔(45)은 솔 홀더(43)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 구비된다.
이때, 수평 솔(45)은 나일론의 재질로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커버(46)는 솔 홀더(43)의 하부에 구비되어, 솔 홀더(43) 및 코어(42)의 상면에 각각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제2 커버(47)는 솔 홀더(43)의 상부에 구비되어, 솔 홀더(43) 및 코어(42)의 하면에 각각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너트부(48)는 스핀들(41)의 하단에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수직 키(49)는 스핀들(41)의 중앙에 고정 결합된다.
도 12는 솔 홀더(43)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솔 홀더(43)의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솔 홀더(43)의 상면 중앙에는 내측에 코어(42)가 구비될 수 있도록 관통부(43a)가 관통 형성된다.
이때, 관통부(43a)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관통부(43a)의 중심축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솔 홀더(43)의 외주면에는 수평 솔(45)이 삽입 결합되는 관통공(43b)이 원주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다.
이때, 관통공(43b)은 수평 솔(45)이 공작물의 측면을 골고루 디버링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공(43b)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공(43b)은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열로 형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핀들(41)의 중앙에는 바디부(41a)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바디부(41a)의 하부에는 상기 바디부(41a)보다 직경이 작은 하부 바디(41b)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부(41a)의 외주면의 일측에는 수직 키(49)가 삽입되는 키홈(41c)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1 커버(46)의 상면 중앙에는 스핀들(41)의 바디부(41a)가 삽입 결합되는 상부 삽입홀(46a)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삽입홀(46a)의 내주면의 일측에는 수직 키(49)가 삽입되는 제1 키홈부(46b)가 함몰 형성된다.
이때, 상부 삽입홀(46a)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삽입홀(46a)의 중심축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커버(46)의 하면 중앙에는 외주면이 솔 홀더(43)의 내주면의 상부와 면접촉하는 제1 테두리부(46c)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테두리부(46c)의 하면 중앙에는 코어(42)의 상단이 삽입 결합되는 제1 결합홀(46d)이 함몰 형성된다.
이때, 제1 결합홀(46d)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1 결합홀(46d)의 중심축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코어(42)의 상면 중앙에는 스핀들(41)의 바디부(41a)가 삽입 결합되는 중앙 삽입홀(42a)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 삽입홀(42a)의 내주면의 일측에는 수직 키(49)가 삽입되는 제2 키홈부(42b)가 함몰 형성된다.
이때, 중앙 삽입홀(42a)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 삽입홀(42a)의 중심축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커버(47)의 상면 중앙에는 스핀들(41)의 하부 바디(41b)가 삽입 결합되는 하부 삽입홀(47a)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하부 삽입홀(47a)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하부 삽입홀(47a)의 중심축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커버(47)의 상면에는 외주면이 솔 홀더(43)의 내주면의 하부와 면접촉하는 제2 테두리부(47b)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테두리부(47b)의 상면 중앙에는 코어(42)의 하단이 삽입 결합되는 제2 결합홀(47c)이 함몰 형성된다.
이때, 제2 결합홀(47c)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2 결합홀(47c)의 중심축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14은 상면 디버링 머신(100)의 정면도이고, 도 15는 상면 디버링 머신(100)의 좌측면도이고, 도 16은 상면 디버링 머신(100)의 평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면 디버링 머신(100)은 몸체부(105), 승하강부(110), 회전 모터(121), 상면 디버링 조립체(125) 및 밸런싱 실린더(1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몸체부(105)는 상면 디버링 머신(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승하강부(110)는 몸체부(105)의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회전부(120)는 승하강부(110)의 하부에 회전부(120)의 상하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회전부(120)의 중심축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부(120)는 승하강부(11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면 디버링 조립체(125)는 회전부(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작물의 상면을 디버링한다.
그리고, 상면 디버링 조립체(125)는 회전부(120)에 의해 회동한다. 마찬가지로, 상면 디버링 조립체(125)는 승하강부(11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디버링 모터부(155)는 회전부(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디버링 모터부(155)의 상하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력에 의해 회동한다.
이때, 디버링 모터부(155)의 중심축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밸런싱 실린더(156)는 몸체부(105)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승하강부(11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균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밸런싱 실린더(156)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의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면 디버링 조립체(125)는 하부 프레임 조립체(126), 기어박스(130), 상면 디버링 솔(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하부 프레임 조립체(126)는 회전부(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부(120)에 의해 회동한다.
그리고, 기어 박스(130)는 하부 프레임 조립체(126)의 하부에 구비되어, 디버링 모터부(155)의 회전력을 상면 디버링 솔(135)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면 디버링 솔(135)은 기어 박스(1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기어박스(130)에 의해 전달받은 회전력에 의해 회동한다.
이때, 상면 디버링 솔(135)의 중심축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17은 상면 디버링 머신(100)의 디버링 부위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면 디버링 머신(100)은 공작물의 상면 및 저면을 각각 디버링한다.
도 18은 기어박스(130)의 정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기어박스(130)는 수직 베벨기어(131) 및 수평 베벨기어(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수직 베벨기어(131)는 디버링 모터부(155)에 축 결합되어, 디버링 모터부(155)에 의해 수직 베벨기어(131)의 상하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한다.
이때, 수직 베벨기어(131)의 중심축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 베벨기어(132)는 수직 베벨기어(131)와 기어 맞물림되어, 수직 베벨기어(131)의 회전력에 의해 수평 베빌기어의 좌우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한다.
이때, 수평 베벨기어(132)의 중심축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2 모터 샤프트(157)는 디버링 모터부(155) 및 상면 디버링 솔(135)의 사이에 구비되어, 디버링 모터부(155) 및 상면 디버링 솔(135)을 연결시킨다.
이를 통해, 상면 디버링 솔(135)은 디버링 모터부(155)에 의해 상면 디버링 솔(135)의 좌우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함으로써, 공작물의 상면을 디버링할 수 있다.
한편, 상면 디버링 솔(135)은 승하강부(11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세팅 높이만큼 중력의 방향으로 각각 이동한다.
그리고, 상면 디버링 솔(135)은 회전부(12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세팅 각도만큼 회동한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몸체부(105)는 지지부(106), 수평부재(107) 및 상부 수평부재(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지지부(106)는 몸체부(105)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지지부(106)는 각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부재(107)는 지지부(106)의 중앙에 구비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수평부재(108)는 지지부(106)의 상부에 구비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한편, 승하강부(110)는 상하 레일(111), 운전부(112), 수평 샤프트(113), 잭 이동부(114), 중앙 브래킷부(115), 수평 브래킷부(116), 수직 브래킷부(117) 및 수직 이동부(1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하 레일(111)은 지지부(106)의 전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운전부(112)는 수평 브래킷부(116)의 후방 일측에 구비되어, 일방향 또는 상기 일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운전부(112)의 중심축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 샤프트(113)는 운전부(112)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어, 운전부(112)의 회전력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수평 샤프트(113)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잭 이동부(114)는 수평 샤프트(113)의 일측에 구비되어, 수평 샤프트(11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잭 이동부(114)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 브래킷부(115)는 잭 이동부(114)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어, 잭 이동부(114)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중앙 브래킷부(115)는 ㄱ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 브래킷부(116)는 중앙 브래킷부(115)의 전방에 나사 결합되어, 중앙 브래킷부(115)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수평 브래킷부(116)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 브래킷부(117)는 수평 브래킷부(116)의 양측에 나사 결합되어, 수평 브래킷부(116)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수직 이동부(118)는 수직 브래킷부(117)의 후방에 고정 결합되어, 수직 브래킷부(117)에 의해 상하 레일(11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9는 상면 디버링 솔(135)의 정단면도이고, 도 20은 상면 디버링 솔(135)의 상세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상면 디버링 솔(135)은 스핀들부(136), 드럼(137), 수직 솔(138), 드럼 커버(139), 제1 클램프 너트(140), 제2 클램프 너트(141), 스토퍼 너트(142), 베어링 홀더(143), 제1 키(145), 제2 키(146), 제1 스토퍼링(147), 제2 스토퍼링(148), 육각 볼트(149), 커버부재(150) 및 너트부재(1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스핀들부(136)는 수평 베벨기어(132)에 축 결합되어, 수평 베벨기어(132)의 회전력에 의해 회동한다.
이때, 스핀들부(136)의 중심축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드럼(137)은 스핀들부(136)의 중앙에 다수 고정 결합된다.
이때 드럼(137)은 원판형으로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 솔(138)은 드럼(137)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 구비된다.
이때, 수직 솔(138)은 나일론의 재질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드럼 커버(139)는 드럼(137)의 일측에 구비된다.
이때, 드럼 커버(139)는 원판형으로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클램프 너트(140)는 드럼 커버(139)의 일측에 구비되어, 드럼 커버(139)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제2 클램프 너트(141)는 드럼(137)의 타측에 구비되어, 드럼(137)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스토퍼 너트(142)는 제2 클램프 너트(141)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어, 제2 클램프 너트(141)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베어링 홀더(143)는 스핀들부(136)의 타측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너트부(48)는 스핀들부(136)의 하단에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제1 키(145)는 스핀들부(136)의 일측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제2 키(146)는 스핀들부(136)의 중앙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제1 스토퍼링(147)은 제1 클램프 너트(140)의 내측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제2 스토퍼링(148)은 스토퍼 너트(142)의 내측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육각 볼트(149)는 스토퍼 너트(142)에 다수 나사 결합되어, 제2 클램프 너트(141)를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커버부재(150)는 베어링 홀더(143)의 타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너트부재(151)는 커버부재(153)의 타측에 구비되고, 스핀들부(136)의 타단에 고정 결합된다.
한편, 스핀들부(136)의 일측에는 바디부재(136a)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바디부재(136a)의 타측에는 상기 바디부재(136a)보다 직경이 작은 결합부재(136b)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부재(136a)의 외주면의 일측에는 제1 키(145)가 삽입되는 제1 키삽입부(136c)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부재(136a)의 외주면의 중앙에는 제2 키(146)가 삽입되는 제2 키삽입부(136d)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드럼(137)의 타면 중앙에는 스핀들부(136)의 바디부재(136a)가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관통홀(137a)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제2 관통홀(137a)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2 관통홀(137a)의 중심축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관통홀(137a)의 내주면에는 제2 키(146)가 삽입되는 제3 키홈부(137b)가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드럼(137)의 타면에는 수직 솔(138)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는 테두리홈(137c)이 함몰 형성된다.
이때, 테두리홈(137c)은 원형 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테두리홈(137c)의 중심축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드럼(137)의 외주면에는 테두리홈(137c)과 연통되고, 수직 솔(138)이 관통 삽입되는 삽입공(137d)이 원주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다.
이때, 삽입공(137d)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드럼 커버(139)의 일면 중앙에는 스핀들부(136)의 바디부재(136a)가 관통 삽입되는 제3 관통홀(139a)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제3 관통홀(139a)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3 관통홀(139a)의 중심축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3 관통홀(139a)의 내주면에는 제2 키(146)가 삽입되는 제4 키홈부(139b)가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클램프 너트(140)의 타면 중앙에는 스핀들부(136)의 바디부재(136a)가 관통 삽입되는 제1 결합공(140a)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클램프 너트(140)의 일면 중앙에는 제1 스토퍼링(147)이 삽입 결합되는 제1 스토퍼링 삽입홀(140b)이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스핀들부(136)의 바디부재(136a)의 제1 키삽입부(136c) 및 제2 키삽입부(136d)의 사이에는 제1 스토퍼링(147)이 결합되는 제1 스토퍼링 삽입홈(136e)이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클램프 너트(141)의 일면 중앙에는 스핀들부(136)의 바디부재(136a)가 관통 삽입되는 제2 결합공(141a)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클램프 너트(141)의 타면 중앙에는 스토퍼 너트(142)가 삽입 결합되는 스토퍼 너트 삽입홀(141b)이 함몰 형성된다.
한편, 스토퍼 너트(142)의 일면 중앙에는 스핀들부(136)의 바디부재(136a)가 관통 삽입되는 제3 결합공(142a)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스토퍼 너트(142)의 타면 중앙에는 제2 스토퍼링(148)이 삽입 결합되는 제2 스토퍼링 삽입홀(142b)이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스토퍼 너트(142)의 타면에는 육각 볼트(149)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공(142c)이 다수 관통 형성된다.
상기 육각 볼트(149)는 제2 클램프 너트(141)가 드럼(137)에 밀착되도록 제2 클램프 너트(141)를 가압한다.
본 발명에 의한 디버링 머신은 높이 및 폭을 각각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좌우 대칭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 디버링 솔을 통해 공작물의 양측면을 자동으로 각각 디버링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디버링 머신은 외주면에 다수의 솔이 지그재그로 배열된 측면 디버링 솔을 통해 공작물의 양측면을 자동으로 각각 정밀하게 디버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디버링 머신은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는 상면 디버링 솔을 통해 공작물의 상면을 자동으로 정밀하게 디버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디버링 머신은 디버링 작업 중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디버링의 완성도가 높아, 고품질의 제품을 항상 일정하게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디버링 머신 5: 측면 디버링 머신
6: 본체 7: 지지대
8: 수평 프레임 9: 상부 프레임
10: 높이 조절부 11: 수직 레일
12: 손잡이 13: 제1 샤프트
14: 잭 프레임 15: 중앙 브라켓
16: 수평 브라켓 17: 수직 브라켓
18: 수직 슬라이더 20: 제1 폭 조절부
21: 수평 레일 22: 핸들
23: 제2 샤프트 24: 내측 브라켓
25: 무빙 플레이트 26: 전방 브라켓
27: 프론트 플레이트 27a: 돌출부
27b: 나사홀 27c: 체결홀
28: 수평 슬라이더 30: 제2 폭 조절부
35: 제1 디버링 조립체 36: 제1 회전 조절부
37: 리어 플레이트 37a: 홈부
37b: 관통홀 37c: 슬로트홀
40: 제1 디버링 솔 41: 스핀들
41a: 바디부 41b: 하부 바디
41c: 키홈 42: 코어
42a: 중앙 삽입홀 42b: 제2 키홈부
43: 솔 홀더 43a: 관통부
43b: 관통공 45: 수평 솔
46: 제1 커버 46a: 상부 삽입홀
46b: 제1 키홈부 46c: 제1 테두리부
46d: 제1 결합홀 47: 제2 커버
47a: 하부 삽입홀 47b: 제2 테두리부
47c: 제2 결합홀 48: 너트부
49: 수직 키 50: 제1 디버링 모터
51: 제1 모터 샤프트 55: 제2 디버링 조립체
56: 제2 디버링 솔 60: 밸런스 실린더
100: 상면 디버링 머신 105: 몸체부
106: 지지부 107: 수평부재
108: 상부 수평부재 110: 승하강부
111: 상하 레일 112: 운전부
113: 수평 샤프트 114: 잭 이동부
115: 중앙 브래킷부 116: 수평 브래킷부
117: 수직 브래킷부 118: 수직 이동부
120: 회전부 121: 회전 모터
125: 상면 디버링 조립체 126: 하부 프레임 조립체
130: 기어박스 131: 수직 베벨기어
132: 수평 베벨기어 135: 상면 디버링 솔
136: 스핀들부 136a: 바디부재
136b: 결합부재 136c: 제1 키삽입부
136d: 제2 키삽입부 136e: 제1 스토퍼링 삽입홈
136f: 제2 스토퍼링 삽입홈 137: 드럼
137a: 제2 관통홀 137b: 제3 키홈부
137c: 테두리홈 137d: 삽입공
138: 수직 솔 139: 드럼 커버
139a: 제3 관통홀 139b: 제4 키홈부
140: 제1 클램프 너트 140a: 제1 결합공
140b: 스토퍼링 삽입홀 141: 제2 클램프 너트
141a: 제2 결합공 141b: 스토퍼 너트 삽입홀
142: 스토퍼 너트 142a: 제3 결합공
142b: 제2 스토퍼링 삽입홀 142c: 체결공
143: 베어링 홀더 145: 제1 키
146: 제2 키 147: 제1 스토퍼링
148: 제2 스토퍼링 149: 육각 볼트
150: 커버부재 151: 너트부재
152: 부시 155: 디버링 모터부
156: 밸런싱 실린더 157: 제2 모터 샤프트

Claims (12)

  1. 공작물의 양측면을 각각 디버링하는 측면 디버링 머신(5); 및
    공작물의 상면을 디버링하는 상면 디버링 머신(100);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디버링 머신(5)는
    본체(6);
    상기 본체(6)의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높이 조절부(10);
    상기 높이 조절부(10)의 일측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폭 조절부(20);
    상기 높이 조절부(10)의 타측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폭 조절부(30);
    상기 제1 폭 조절부(20)의 전방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공작물의 좌측면을 디버링하는 제1 디버링 조립체(35);
    상기 제2 폭 조절부(30)의 전방에 상기 제1 디버링 조립체(35)와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어, 공작물의 우측면을 디버링하는 제2 디버링 조립체(55); 및
    상기 본체(6)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높이 조절부(1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균형을 조절하는 밸런스 실린더(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버링 조립체(35)는
    상기 제1 폭 조절부(20)의 전방에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각도의 조정이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제1 회전 조절부(36);
    상기 제1 회전 조절부(36)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작물의 좌측면을 디버링하는 제1 디버링 솔(40);
    상기 제1 디버링 솔(40)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1 디버링 솔(40)을 회동시키는 제1 디버링 모터(50); 및
    상기 제1 디버링 모터(50) 및 제1 디버링 솔(4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디버링 모터(50) 및 제1 제1 디버링 솔(40)을 연결시키는 제1 모터 샤프트(5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조절부(36)는
    사전에 설정된 기준각도로 회동하고,
    상기 기준각도는
    7° 이상 13° 미만이고,
    상기 제2 디버링 조립체(55)는
    상기 제1 디버링 솔(40)의 우측에 구비되어, 공작물의 우측면을 디버링하는 제2 디버링 솔(5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버링 솔(40)은
    시계 방향으로 상기 기준 각도만큼 회동하고,
    상기 제2 디버링 솔(56)은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기준 각도만큼 회동하고,
    상기 제1 디버링 솔(40) 및 제2 디버링 솔(56) 간의 간격은
    상부에 하부로 갈수록 멀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6)는
    상기 본체(6)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대(7);
    상기 지지대(7)의 중앙에 구비되고,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8); 및
    상기 지지대(7)의 상부에 구비되고,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9);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10)는
    상기 지지대(7)의 전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레일(11);
    일방향 또는 상기 일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는 손잡이(12);
    상기 손잡이(12)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12)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샤프트(13);
    상기 제1 샤프트(13)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샤프트(1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잭 프레임(14);
    상기 잭 프레임(14)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잭 프레임(14)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ㄱ자 형상의 중앙 브라켓(15);
    상기 중앙 브라켓(15)의 전면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중앙 브라켓(15)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 브라켓(16);
    상기 수평 브라켓(16)의 양측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수평 브라켓(16)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 브라켓(17); 및
    상기 수직 브라켓(17)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수직 브라켓(17)에 의해 상기 수직 레일(1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 슬라이더(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폭 조절부(20)는
    상기 높이 조절부(10)의 수평 브라켓(16)의 전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장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레일(21);
    상기 수평 브라켓(16)의 일측에 구비되어, 일방향 또는 일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는 핸들(22);
    상기 핸들(22)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핸들(22)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샤프트(23);
    상기 제2 샤프트(23)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2 샤프트(23)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내측 브라켓(24);
    상기 내측 브라켓(24)의 전면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내측 브라켓(24)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무빙 플레이트(25);
    상기 무빙 플레이트(25)의 전면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무빙 플레이트(25)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방 브라켓(26); 및
    상기 무빙 플레이트(25)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무빙 플레이트(25)에 의해 상기 수평 레일(21)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 슬라이더(28);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브라켓(26)은
    전면 중앙에 돌출부(27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7a)의 전면 중앙에 나사홀(27b)이 함몰 형성되는 프론트 플레이트(27);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7)는
    전면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 체결홀(27c)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 조절부(36)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7)의 전방에 상기 돌출부(27a)의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각도의 조정이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리어 플레이트(37);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플레이트(37)는
    후면 중앙에 상기 돌출부(27a)에 삽입 결합되는 홈부(37a)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홈부(37a)는
    내측 중앙에 상기 나사홀(27b)에 대응하는 관통홀(37b)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리어 플레이트(37)는
    후면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 상기 체결홀(27c)에 대응하는 초승달 형상의 슬로트홀(37c)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버링 솔(40)은
    상기 제1 모터 샤프트(51)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1 디버링 모터(50)에 의해 회동하는 스핀들(41);
    상기 스핀들(41)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코어(42);
    상기 코어(42)의 외측에 상기 코어(42)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솔 홀더(43);
    상기 솔 홀더(43)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 구비되는 수평 솔(45);
    상기 솔 홀더(43)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솔 홀더(43) 및 코어(42)의 상면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제1 커버(46);
    상기 솔 홀더(43)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솔 홀더(43) 및 코어(42)의 하면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제2 커버(47);
    상기 스핀들(41)의 하단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48); 및
    상기 스핀들(41)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는 수직 키(4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41)은
    중앙에 바디부(41a)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41a)는
    하부에 상기 바디부(41a)보다 직경이 작은 하부 바디(41b)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41a)는
    외주면의 일측에 상기 수직 키(49)가 삽입되는 키홈(41c)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솔 홀더(43)는
    상면 중앙에 내측에 상기 코어(42)가 구비될 수 있도록 관통부(43a)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솔 홀더(43)는
    외주면에 상기 수평 솔(45)이 삽입 결합되는 관통공(43b)이 원주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3b)은
    상기 수평 솔(45)이 공작물의 측면을 골고루 디버링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46)는
    상면 중앙에 상기 스핀들(41)의 바디부(41a)가 삽입 결합되는 상부 삽입홀(46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상부 삽입홀(46a)은
    내주면의 일측에 상기 수직 키(49)가 삽입되는 제1 키홈부(46b)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버(46)는
    하면 중앙에 외주면이 상기 솔 홀더(43)의 내주면의 상부와 면접촉하는 제1 테두리부(46c)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테두리부(46c)는
    하면 중앙에 상기 코어(42)의 상단이 삽입 결합되는 제1 결합홀(46d)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코어(42)는
    상면 중앙에 상기 스핀들(41)의 바디부(41a)가 삽입 결합되는 중앙 삽입홀(42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중앙 삽입홀(42a)은
    내주면의 일측에 상기 수직 키(49)가 삽입되는 제2 키홈부(42b)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47)는
    상면 중앙에 상기 스핀들(41)의 하부 바디(41b)가 삽입 결합되는 하부 삽입홀(47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47)는
    상면 중앙에 외주면이 상기 솔 홀더(43)의 내주면의 하부와 면접촉하는 제2 테두리부(47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테두리부(47b)는
    상면 중앙에 상기 코어(42)의 하단이 삽입 결합되는 제2 결합홀(47c)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디버링 머신(100)은
    몸체부(105);
    상기 몸체부(105)의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하강부(110);
    상기 승하강부(11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120);
    상기 회전부(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작물의 상면을 디버링하는 상면 디버링 조립체(125);
    상기 회전부(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전력에 의해 회동하는 디버링 모터부(155); 및
    상기 몸체부(105)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승하강부(11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균형을 조절하는 밸런싱 실린더(156);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 디버링 조립체(125)는
    상기 회전부(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120)에 의해 회동하는 하부 프레임 조립체(126);
    상기 하부 프레임 조립체(126)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디버링 모터부(155)의 회전력을 상면 디버링 솔(135)에 전달하는 기어 박스(130); 및
    상기 기어 박스(1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기어박스(130)에 의해 전달받은 회전력에 의해 회동하는 상면 디버링 솔(1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130)는
    상기 디버링 모터부(155)에 축 결합되어, 상기 디버링 모터부(155)에 의해 회동하는 수직 베벨기어(131); 및
    상기 수직 베벨기어(131)와 기어 맞물림되어, 상기 수직 베벨기어(131)에 의해 회동하는 수평 베벨기어(132);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05)는
    상기 몸체부(105)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06);
    상기 지지부(106)의 중앙에 구비되고,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부재(107); 및
    상기 지지부(106)의 상부에 구비되고,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수평부재(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디버링 솔(135)은
    상기 수평 베벨기어(132)에 축 결합되어, 상기 수평 베벨기어(132)에 의해 회동하는 스핀들부(136);
    상기 스핀들부(136)의 중앙에 다수 고정 결합되는 드럼(137);
    상기 드럼(137)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 구비되는 수직 솔(138);
    상기 드럼(137)의 일측에 구비되는 드럼 커버(139);
    상기 드럼 커버(139)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커버(139)를 고정시키는 제1 클램프 너트(140);
    상기 드럼(137)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137)을 고정시키는 제2 클램프 너트(141);
    상기 제2 클램프 너트(141)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2 클램프 너트(141)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너트(142);
    상기 스핀들부(136)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는 베어링 홀더(143);
    상기 스핀들부(136)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1 키(145);
    상기 스핀들부(136)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는 제2 키(146);
    상기 제1 클램프 너트(140)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1 스토퍼링(147);
    상기 스토퍼 너트(142)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2 스토퍼링(148);
    상기 스토퍼 너트(142)에 다수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2 클램프 너트(141)를 가압하는 육각 볼트(149);
    상기 베어링 홀더(143)의 타측에 구비되는 커버부재(150); 및
    상기 커버부재(150)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핀들부(136)의 타단에 고정 결합되는 너트부재(1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부(136)는
    일측에 바디부재(136a)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재(136a)는
    타측에 상기 바디부재(136a)보다 직경이 작은 결합부재(136b)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재(136a)는
    외주면의 일측에 상기 제1 키(145)가 삽입되는 제1 키삽입부(136c)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재(136a)는
    외주면의 중앙에 상기 제2 키(146)가 삽입되는 제2 키삽입부(136d)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드럼(137)은
    타면 중앙에 상기 바디부재(136a)가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관통홀(137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홀(137a)은
    내주면에 상기 제2 키(146)가 삽입되는 제3 키홈부(137b)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드럼(137)은
    타면에 상기 수직 솔(138)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는 테두리홈(137c)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드럼(137)은
    외주면에 상기 테두리홈(137c)과 연통되고, 상기 수직 솔(138)이 관통 삽입되는 삽입공(137d)이 원주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드럼 커버(139)는
    일면 중앙에 상기 바디부재(136a)가 관통 삽입되는 제3 관통홀(139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3 관통홀(139a)은
    내주면에 상기 제2 키(146)가 삽입되는 제4 키홈부(139b)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 키삽입부(136c) 및 제2 키삽입부(136d)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스토퍼링(147)이 결합되는 제1 스토퍼링 삽입홈(136e)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 너트(140)는
    타면 중앙에 상기 스핀들부(136)의 바디부재(136a)가 관통 삽입되는 제1 결합공(140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클램프 너트(140)는
    일면 중앙에 상기 제1 스토퍼링(147)이 삽입 결합되는 제1 스토퍼링 삽입홀(140b)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 클램프 너트(141)는
    일면 중앙에 상기 바디부재(136a)가 관통 삽입되는 제2 결합공(141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클램프 너트(141)는
    타면 중앙에 상기 스토퍼 너트(142)가 삽입 결합되는 스토퍼 너트 삽입홀(141b)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너트(142)는
    일면 중앙에 상기 바디부재(136a)가 관통 삽입되는 제3 결합공(142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너트(142)는
    타면 중앙에 상기 제2 스토퍼링(148)이 삽입 결합되는 제2 스토퍼링 삽입홀(142b)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너트(142)는
    타면에 상기 육각 볼트(149)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공(142c)이 다수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KR1020220177084A 2022-12-16 2022-12-16 디버링 머신 KR102579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084A KR102579374B1 (ko) 2022-12-16 2022-12-16 디버링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084A KR102579374B1 (ko) 2022-12-16 2022-12-16 디버링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9374B1 true KR102579374B1 (ko) 2023-09-18

Family

ID=88196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084A KR102579374B1 (ko) 2022-12-16 2022-12-16 디버링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37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7658U (ja) * 1984-04-18 1985-11-07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回転研削装置
JPH0636760U (ja) * 1992-10-23 1994-05-17 有限会社エイト総商 円筒状工作物の外周研削面研磨装置
KR100825556B1 (ko) 2002-05-02 2008-04-25 주식회사 포스코 자체회전이 가능한 나이프를 갖춘 주편절단설 제거용디버링머신
JP2010260143A (ja) * 2009-05-08 2010-11-18 Nok Corp バリ除去方法及び装置
KR20140071061A (ko) * 2012-12-03 2014-06-11 손성범 핸드폰 케이스 연마기
JP2015174183A (ja) * 2014-03-14 2015-10-0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ブローチ研削盤
KR101625453B1 (ko) * 2015-03-09 2016-05-30 (주)경성아이젠 버(Burr) 제거장치
KR101868107B1 (ko) * 2017-11-11 2018-07-19 박노은 디버링 장치
KR102331086B1 (ko) * 2020-06-12 2021-11-26 엘피티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7658U (ja) * 1984-04-18 1985-11-07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回転研削装置
JPH0636760U (ja) * 1992-10-23 1994-05-17 有限会社エイト総商 円筒状工作物の外周研削面研磨装置
KR100825556B1 (ko) 2002-05-02 2008-04-25 주식회사 포스코 자체회전이 가능한 나이프를 갖춘 주편절단설 제거용디버링머신
JP2010260143A (ja) * 2009-05-08 2010-11-18 Nok Corp バリ除去方法及び装置
KR20140071061A (ko) * 2012-12-03 2014-06-11 손성범 핸드폰 케이스 연마기
JP2015174183A (ja) * 2014-03-14 2015-10-0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ブローチ研削盤
KR101625453B1 (ko) * 2015-03-09 2016-05-30 (주)경성아이젠 버(Burr) 제거장치
KR101868107B1 (ko) * 2017-11-11 2018-07-19 박노은 디버링 장치
KR102331086B1 (ko) * 2020-06-12 2021-11-26 엘피티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42579B (zh) 一种金属板材表面打磨切割一体装置
CN113977313A (zh) 一种数控机床夹具
KR102579374B1 (ko) 디버링 머신
CN215659312U (zh) 一种磨刀机刀具快速夹持装置
CN213702606U (zh) 一种机床加工用定位夹持装置
CN219925458U (zh) 仿形加工设备
CN109664124B (zh) 一种夹紧驱动装置及焊缝清根机
CN111112759B (zh) 一种齿轮加工去毛刺系统
CN217166827U (zh) 一种滚齿机用承托装置
CN113523916B (zh) 一种木工钻头生产制造磨顶尖加工机械
CN214561573U (zh) 一种新型建筑板材切割装置
CN210475647U (zh) 一种铣床
CN201872062U (zh) 双主轴数控磨床
CN211163238U (zh) 铸件外廓清理工作台
CN114603445A (zh) 一种基于轴侧加工的自动化控制式磨削一体化装置
CN213080732U (zh) 一种机械加工支撑设备
CN220881615U (zh) 刀具生产加工用操作台
CN218746740U (zh) 一种圆型石材边缘打磨装置
CN212886170U (zh) 门窗型材端面铣磨加工装置
CN219188630U (zh) 一种辗环机锥棍磨损焊接后数控切削装置
CN212444467U (zh) 凹内斜面磨削工装
CN219521504U (zh) 一种数控相向磨削转盘磨床结构
CN217648064U (zh) 一种圆锥滚子球基面磨床
CN110052956B (zh) 一种万向节保持架外圆磨削机
CN218225846U (zh) 一种治具以及用该治具的磨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