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086B1 -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086B1
KR102331086B1 KR1020200071317A KR20200071317A KR102331086B1 KR 102331086 B1 KR102331086 B1 KR 102331086B1 KR 1020200071317 A KR1020200071317 A KR 1020200071317A KR 20200071317 A KR20200071317 A KR 20200071317A KR 102331086 B1 KR102331086 B1 KR 102331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abrasive
edge surface
unit
flat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효중
Original Assignee
엘피티 주식회사
박효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피티 주식회사, 박효중 filed Critical 엘피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1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hollow glassware, e.g. drinking glasses, preserve jars, television picture tube viewin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0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performing a reciprocating movement of carriages or work-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02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stantaneous size and required size of the workpiece acted upon, the measuring or gauging being continuous or intermit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얇은 두께의 유리재질의 평판 글라스를 대량으로 층층이 쌓은 상태에서 글라스의 테두리 사면 및 모서리면을 동시에 연마하는 폴리싱장치의 정밀 연마 정압조절장치에 의해 파손 및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테두리면 연마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마재 회전유닛에 별도로 제어부를 통해 상기 연마재가 회전되는 회전샤프트를 선택적 또는 동시에 작동이 이루어질 있도록 정압조절유닛에 의해 평판글라스 테두리면의 있는 마찰 평탄도를 측정한 평탄도 범위값에서 임의로 미세 간격을 조절하여 평판글라스를 종류에 관계없이 연마할 수 있도록 방법 및 장치를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평판 글라스 폴리싱장비에 두께 제한없이 다양한 형태의 평판글라스를 연마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 현재 굴곡 또는 젖힘형태의 유리재질 평판 글라스를 폴리싱 할 때 정압조절유닛에 의해 안전하게 대량으로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방법 및 그 장치{The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the micro-pressure of a rotary polishing drum rim for mobile phone flat glass}
본 발명은 휴대폰, 태블릿, 노트북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얇은 두께의 유리재질의 평판 글라스를 대량으로 층층이 쌓은 상태에서 글라스의 테두리 사면 및 모서리면을 동시에 연마하는 폴리싱장치에 과연마와 불량을 방지하는 정밀 정압조절방벙과 그 장치를 구비하여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의 파손 및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각종 액정패널은 시각적으로 각종정보를 제공하는 부품으로 사용되고 있고, 최근 관련분야 기술이 발달하고 사용분야가 다양해짐에 따라 TV, 모바일폰, 테블릿등 다양한 제품에 액정패널이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전자기기 제품의 형태는 바타입(평면)과 임의각도로 외관 형태를 일정각도로 젖힘 변형시킬 수 있는 플렉시블 형태의 비중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기 평판 또는 플렉시블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경우 제품 케이스, 외·내외장 부품 및 액정화면을 임의각도로 젖힘 동작에 따라 제품의 형태가 변형되어도 각 구성 부품의 파손없이 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 그 중에서 플렉시블 액정패널은 180°로 젖힘 동작이 발생하여도 액정의 파손 없이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액정화면 동작에 따라 외부에 노출되어 표시되는 부위에 액정의 내구성 및 제품보호를 위해 구부리거나 일정각도로 플렉시블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두께가 얇은 유리재질의 평판 글라스가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평판 글라스는 기본적으로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고, 쉽게 오염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청소도 용이하여 전자기기의 액정패널의 보호용 커버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제품 규격별로 초경 다이아몬드 휠, 텅스텐 카바이드 절단휠, 워터제트컷팅, 레이저 절단 등으로 이루어진 유리컷팅 수단에 의해 수개의 낱장 글라스 여러 장을 잘라서 사용하는 방법을 통상 이용하고 있다.
상기 평판 글라스는 전자기기의 형태에 1차 컷팅 후 굴곡 또는 평면형태로 2차 성형가공을 거치게 되고, 상기 1차 컷팅된 평판글라스는 컷팅된 외곽 테두리면을 정밀하게 폴리싱(연마)장치를 통해 테두리면을 연마하여 제품의 품질을 높이고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연마하여 후공정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평판 글라스용 폴리싱장비는 두께가 얇은 굴곡 또는 젖힘이 가능한 유리재질의 평판 글라스는 두께가 0.01T~0.6T의 얇은 두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테두리 사면 및 모서리면 연마 공정에서 기존 폴리싱장비로는 뭉개짐, 크랙 및 과연마가 발생되어 불량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을 연마위한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선행기술이 공지되어 현재 사용중이거나 공개되어 있다.
한 예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38969호(공개일자: 2005.08.24)에서는 “박판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TFT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PDP), 유기EL(Organic Electroluminescence) 등에 사용되는 글라스를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시키면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연마지석으로 구성된 연마부에서 글라스의 모서리를 연마하도록 된 글라스의 모서리 연마 장치에 있어서, 상부면에 통공(111)이 형성되어, 별도 설치되는 백큠장치와 배관연결되어, 백큠장치의 흡입작동에 의해 글라스(G)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모터(112)에 의해 정, 역회전 하는 흡착테이블(110)과, 보드 형태로 이루어져 정, 역회전하는 흡착테이블(110) 하단을 지지하며, 모터(121)와 모터(121)에 축설된 리드스쿠루(122)가 하부면에 치합되면서 관통하여, 모터(121)의 정, 역회전에 의해 리드스크루(122)를 타고, 글라스 인입부(300)와 연마부(200) 및 세정부(400)를 직선상으로 왕복 운동하는 이송수단(120)으로 이루어진 이송부(100)와; 글라스인입부(300)와 세정부(400)의 중간에 모터(211)(213)(215)(217)에 의해 회전하는 연마지석(212)(214)(216)(218)을 글라스(G)가 진행하는 양측 상하부에 설치하여 글라스(G)의 양측 변 모서리 상하단을 연마하는 연마1부(210)와, 연마1부(210) 다음 단에 설치되어 글라스(G)의 4 모서리 상하부분을 연마하도록 모터(221)(223)(225)(227)에 의해 회전하는 연마지석(222)(224)(226)(228)이 각각 설치된 연마2부(220)와, 연마2부(220)를 통과한 후, 모터(112)에 의해 90°회전하는 이송부(100)의 흡착테이블(110)에 의해 90°회전하여 이송되는 글라스(G)의 양측 변 모서리 상하단을 연마하도록 모터(231)(233)(235)(237)에 의해 회전하는 연마지석(232)(234)(236)(238)이 진행하는 글라스(G)의 양측 상하부분에 설치된 연마3부(230)가 연속되는 직선상의 연마라인으로 이루어진 연마부(2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의 모서리 연마 장치”가 있고,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47224호(공개일자: 2014.7.16)에서는 “적층된 복수의 글라스를 고정하는 고정 유닛; 및 상기 복수의 글라스 중 하나의 글라스와 인접한 글라스의 가장자리가 만나는 연접 부분을 향하여 연마용 파우더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글라스의 양면에는 보호 필름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글라스의 가공 장치”가 있으며,
또,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89924호(공개일자: 2014.04.29)에서는 “초경 다이아몬드 절삭 휠로 절단(컷팅)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라스의 가장자리 4곳의 에지면에 대한 연마가 가능한 평판 글라스의 에지면 연마장치(A)에 있어서,
일측에는 상,하 다단으로 적층되어 있는 다수의 글라스를 일괄로 고정시킬 수 있는 다발 글라스 고정용 클램프장치(100)를 설치한 것과; 상기 다발 글라스 고정용 클램프장치(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다단으로 적층된 글라스 에지면의 연마를 위한 연마용 브러시휠(200)을 설치한 것과; 상기 다발 글라스 고정용 클램프장치(100)의 상단부에는 상호 마찰되는 상기 브러시휠(200)과 글라스 사이에 산화세륨과 같은 연마액을 뿌릴 수 있도록 하는 연마액 분사노즐(300)을 설치한 것과;상기 다발 글라스 고정용 클램프장치(100)는, 상,하 다단으로 적층된 다수개 글라스의 상면과 저면에서 일괄 동시적인 클램핑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이동이 자유로워 작업하기 편한 별도의 장소에서 글라스를 사전에 클램핑 하여두었다가, 연마작업이 실시될 때 연마기로 옮겨와 도킹에 의한 셋팅을 실시할 수 있음에 따라 연마작업시 필요한 피가공물에 대한 공정대응이 가능토록 상측과 하측끝에 상,하 도킹부를 포함한 착탈식 클램프(110)가 설치되고, 상기 착탈식 클램프(110)가 도킹될 위치의 연마기 상측과 하측에는 상기 착탈식 클램프(110)측 상,하 도킹부가 맞물림 되어 안전한 도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기측 상,하단도킹부(120, 1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평판 글라스의 에지면 연마장치”가 있고,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585657호(공개일자: 2019.07.04)에서는 “베이스(121); 상기 베이스(121)를 평면상에서 움직이도록 구동하는 X-Y 구동부(110);
소정 개수의 지그(137)를 체결, 고정하여 상기 베이스(121)에 체결된 지그 장착대(131); 상기 지그 장착대(131)를 소정 각도 틸트 시키는 X틸트 구동부(130); 하단에 연마패드 체결구(160)가 구비된 샤프트(157)와, 상기 샤프트(157)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와, 상기 샤프트(157)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147)로 구성되어 연마패드를 체결하여 회전시키면서 상기 지그(137) 상부에서 승강하며 강화유리(1)를 연마하는 소정 개수의 연마기(170); 및 프레임(141)에 체결, 고정된 Y틸트 모터(142)와, 소정 개수의 연마기(170)의 각 샤프트(157)가 관통되고 일측이 프레임(141)에 축(153)으로 체결되며 타측은 상기 Y틸트 모터(142) 축(143)에 체결된 지지패널(144)과, 상기 지지패널(144)의 상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승강실린더(147)를 체결하며 지지패널(144)과 가이드(149)로 체결된 실린더 지지프레임(146)과, 상기 실린더 지지프레임(146)과 지지패널(144) 사이에 설치되고 소정 개수의 연마기(170)가 체결되며 승강 실린더(147)의 로드(148)와 체결된 승강패널(145)로 구성되어 상기 연마기(170)를 소정 각도 틸트 시키는 Y틸트 구동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강화유리의 평탄부 및 곡면부의 법선 방향에서 연마패드가 밀착되어 연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강화유리 연마장치”가 있으며,
또,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45465호(공개일자: 2019.03.26)에서는 “초경 다이아몬드 절삭 휠로 절단(컷팅)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라스(G)의 가장자리의 테두리면(T) 연마가 가능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에 있어서, 수개의 글라스(G)를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에 적층 시켜 각 글라스(G) 좌, 우, 전, 후를 균일하게 정렬시키는 글라스 정렬장치(B)를 구성한 것과, 상기 글라스 정렬장치(B)를 통해 정렬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은 각 글라스(G)의 테두리면(T)이 연마되도록 테두리면 연마장치(A)에 도킹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글라스 정렬장치(B)와 테두리면 연마장치(A)에는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을 글라스 정렬장치(B)와 테두리면 연마장치(A)에 공급 과 배출작업을 수행하는 글라스 입출유닛(C)를 구성한 것과, 상기 테두리면 연마장치(A)의 일측에는 테두리면 연마장치(A)를 통해 연마가 완료된 글라스(G)가 적층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을 글라스 입출유닛(C)에 의해 배출시킨 후에 반전회전시켜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에 클램프 된 수개의 글라스(G)를 낱장으로 분리하는 글라스 반전장치(D)를 구성한 것과, 상기 테두리면 연마장치(A)는 상기 글라스 정렬장치(B)에 의해 다수개의 글라스(G)가 정렬되어 적층 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에 고정시키는 글라스 클램프장치(100)를 설치한 것과; 상기 글라스 클램프장치(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다단으로 적층된 글라스(G) 테두리면(T) 연마를 위한 연마
용 브러시휠(200)을 설치한 것과; 상기 연마용 브러시휠(200)의 상단부에는 상호 마찰되는 상기 브러시휠(200)과 글라스(G) 사이에 산화세륨과 같은 연마액을 뿌릴 수 있도록 하는 연마액 분사노즐(300)을 구비한 것과; 상기 연마액 분사노즐(300)의 후측 편측 고정지지체(195)에는 양측핀(A-1)에 끼워지는 클램프 프레임(113)을 갖는 클램프 결합부(114)를 구성한 것과; 상기 글라스 클램프장치(100)는, 상, 하 다단으로 다수 개 글라스(G)가 적층 되어 클램핑 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상면과 저면에서 일괄동시적인 클램핑 동작되는 장치로서, 상기 글라스 정렬장치(B)를 통해 글라스(G)가 정렬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이 글라스 입출유닛(C)에 의해 테두리면 연마장치(A)에 공급될 수 있도록 클램핑 하여두었다가, 연마작업이 실시될 때 테두리면 연마장치(A)로 옮겨와 도킹에 의한 셋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글라스(G) 연마작업시 필요한 피가공물에 대한 공정대응이 가능토록, 상기 글라스 클램프장치(100)의 상측과 하측 끝에는 상, 하 도킹부(120)(130)를 구비하여 그 상,하 도킹부(120)(130) 사이에는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상,하 도킹체결부(115)(116)에 맞물림 되어 도킹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은, 상기 클램프 프레임(113)의 중심 윗면과 저 면에는 상기 피가공물인 글라스(G)를 적층 한 후, 상기 상, 하 양방향으로 스페이서(S)를 끼운 다음 그 상, 하측으로 각각 누르고 받치는 가압지지판(111a)(112a)을 구비한 상클램프 조절유닛(111)과 하클램프 조절유닛(112)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이 있고,
또,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5458호(공개일자: 2018.01.05)에서는 “석션홀(102)을 구비한 평판 형태의 베이스(101)와, 합성수지를 소재로 성형되어 상기 베이스(101)의 양측에 체결되는 측부프레임(103)과, 합성수지를 소재로 성형되어 상기 베이스(101)의 전,후단에 체결되는 단부프레임(110)으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101) 상부에 커버 글라스(1)를 고정하는 휴대폰 커버 글라스 연마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단부프레임(110)의 베이스 방향 모서리에 홈 형태로 형성된 에지안착부(112); 상기 에지 안착부(112)의 하부에 홈 형태로 형성된 배수구(114); 및 초경합금을 소재로 성형되고, 체결수단으로 상기 에지 안착부(112)에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어 상면이 베이스(101) 표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에지부(1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커버 글라스 연마용 지그”가 있다.
상기와 같이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 위한 다양한 폴리싱(연마)관련 선행기술들이 공지되어 있으나,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0-0538969호의 경우 박판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TFT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PDP), 유기EL(Organic Electroluminescence) 등에 사용되는 글라스(Glass) 또는 아크릴 등의 모서리를 그라인딩(Grinding; 연마) 시에 글라스의 이송라인을 직선형태로 구성하여 기본 이송라인에서 별도의 연마부(복수개로 구성됨)로 이동하였다 되돌아오는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장치의 프로세싱(Processing)을 단순화하고 연마 작업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설치면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글라스의 모서리 연마 장치를 제공함을 기술적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단방향으로 연마를 위한 소재가 이동될 때 상·하 양측에 구비된 연마부러쉬에 의해 연마가 되도록 구비하고 있으나, 두께가 작은 글라스를 난장으로 연마하게 되므로 작업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 두께가 얇은 평판글라스를 적층시켜 이동시킬 때 각 위치에 세팅된 부러쉬에 의해 테두리면 연마의 불량률 발생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대량으로 연속적이 작업이 어려워 연마단가 상승하고, 각 테두리 사면 또는 모서리면에 대한 균일한 연마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0-1447224호의 경우 적층된 복수의 글라스를 고정하는 고정 유닛; 및 상기 복수의 글라스 중 하나의 글라스와 인접한 글라스의 가장자리가 만나는 연접 부분을 향하여 연마용 파우더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글라스의 가공 장치를 제공 하고 있으나, 수평으로 양측 지그에 물려 고정 지지되는 글라스를 구비한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질 때, 외면에 노즐을 통해 파우더입자에 의해 테두리가 연마 중에 얇은 두께의 글라스 외면 테두리를 정밀한 연마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또, 파우더 입자의 분사량과 각도조절은 가능할 수 있으나 사각형태의 글라스 표면의 외면을 연마시 각 모서리면에 대한 과연마가 발생되어 정밀한 연마가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 본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공보 제10-1389924호, 제10-1964565호의 경우 글라스 가장자리 4곳의 에지면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결함요소를 일괄 동시적이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연마수단을 제공할 뿐 아니라 연마 가공시 다수의 글라스에 대하여 일괄 동시적인 고효율 작업이 가능한 연마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다단 적층된 평판 글라스를 연마할 때 상기 브러시 전후측이동수단에 의해 브러시 샤프트가 좌·우 대칭으로 축소 및 확장을 통해 상기 다발 글라스 고정용 클램프장치에 고정설치된 착탈식 클램프의 글라스 외측 테두리면을 연마되도록 하고 있으나, 굴곡 또는 젖힘이 가능한 평판 글라스는 현재 0.01~0.6T의 얇은 두께의 조건이 필요로 하고 상기 조건에서 폴리싱할 때 경도는 강하나 연마중에 얇은 두께로 인해서 외부적인 연마공정중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테두리 사면 및 모서리면이 뭉개짐, 크랙 및 과연마가 발생되어 불량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 이러한 연마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마속도를 조절하게 되면 작업효율성이 떨어져 제조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0-1958565호의 강화유리의 곡면부 파손 없이 치수 안정성이 높게 곡면 강화유리 표면을 연마할 수 있는 곡면 강화유리 연마장치를 제공하고 있으나, 지그장착대 상부에 표면을 연마하는 곡면 강화유리를 위치시킨 다음 상측에서 다수개의 연마기를 통해 연마하지만, 테두리면의 정밀한 연마가 어렵고 특히 얇은 두께의 평판글라스의 테두리면 연마시에 파손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5458호의 휴대폰 커버 글라스를 고정하는 지그를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편마모가 발생하지 않는 지그를 제공함으로써,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휴대폰 커버 글라스를 생산할 수 있는 휴대폰 커버 글라스 연마용 지그를 제공하고 있으나, 굴곡 또는 젖힘이 가능한 평판 글라스는 얇은 두께의 평판 글라스를 대량으로 생산시 불량 발생률이 높아 연마시간 및 제조단가가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에 대한 연마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지그형태의 구조로 인해 테두리면 연마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10-0538969호 (공개일자 2005.08.24) 문헌2 등록특허공보 제10-1447224호(공개일자 2014.07.16) 문헌3 등록특허공보 제10-1389924호 (공개일자 2014.04.29) 문헌4 등록특허공보 제10-19585657호 (공개일자 2019.07.04) 문헌5 등록특허공보 제10-1945465호 (공개일자 2019.03.26) 문헌6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5458호 (공개일자 2018.01.05)
없음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임의각도로 굴곡 또는 젖힘에 사용되는 0.01T~0.6T의 얇은 두께의 평판 글라스 테두리 사면 및 모서리면에 폴리싱 연마에서 발생되는 과연마, 크랙 및 뭉개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방법과 그 장치에 의해 정밀하면서도 안정적인 연마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평판 글라스 특성에 맞도록 선택적으로 제어부를 통해 정밀제어할 수 있는 정압조절유닛을 구비하여 두께가 큰 평판 글라스 및 얇은 평판 글라스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연마할 수 있도록 구비한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평판 글라스가 정렬되어 적층된 글라스 클램프유닛의 하측을 Y축이동유닛에 고정 거치되는 적층단계; 상기 적층단계를 통해 거치된 글라스 클램프유닛은 Y축이동유닛에 의해 내부로 이동되어 상기 클램프 정·역회전유닛에 수직으로 정렬시켜 상측을 클램핑하는 고정단계; 상기 고정단계를 통해 상·하측이 클램핑된 글라스 클램프유닛은 상기 평판 글라스의 테두리면에 연마용 세륨분사 및 연마재 회전유닛의 연마드럼이 회전되게 하는 연마회전단계; 상기 연마회전단계의 연마재 회전유닛은 상기 평판 글라스의 테두리면에 연마드럼의 연마재가 마찰되는 연마단계; 상기 연마단계를 통해 테두리면이 연마된 상기 글라스 클램프유닛을 배출시키는 취출단계; 로 구비되는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연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마회전단계에서는 상기 연마재 회전유닛의 연마재에 연마용 세륨을 분사시켜 흡수된 상태에서 연마 작업 전 균일한 회전력으로 상기 평판 글라스의 테두리면을 따라 접촉시키고, 상기 접촉된 연마재는 정압조절유닛의 감지센서에 의해 각 위치별 마찰에 대한 마찰 평탄도를 측정하고, 상기 각 위치별 측정된 마찰 평탄도는 상기 평판글라스 테두리면에 대한 전체 마찰 평탄도 범위값을 규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평탄도 범위값은 제어부의 제어로직에 따라 상기 연마재 회전유닛의 이동제어유닛과 정압조절유닛을 실시간으로 선택제어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정압조절유닛에서는 상기 평판 글라스의 재질 및 특성에 따라 테두리면 연마시 연마재의 마찰 가압압력을 평탄도 범위값 범위 내에서 정밀 제어할 수 있는 정압조절단계; 로 이루어지는 정압조절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평탄도 범위값은 상기 평판글라스의 테두리면에 측정된 마찰 평탄도의 전체 조절간격은 ±5mm 범위 내에서 정압조절단계를 정밀 제어할 수 있도록 정압조절방법을 제공하며,
도 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몸체 상측에 다수개의 글라스가 정렬되어 적층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에 거치하는 Y축이동유닛을 구비한 것과, 상기 Y축이동유닛의 양측에는 하나 이상의 수직축봉을 구비하여 그 상측에 수평브라켓을 구비한 것과, 상기 수평브라켓의 상측 중앙에는 상기 정·역회전유닛을 구비하여, 그 하측에 상기 Y축이동유닛에 거치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되어 그 상측이 클램핑되어 정·역회전 되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정·역회전유닛의 양측에는 연마재 회전유닛을 구비한 것과, 상기 연마재 회전유닛에는 이동제어유닛을 구비한 것과, 상기 이동제어유닛에는 회전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연마드럼의 연마재의 양측에서 X축 방향으로 축소되거나 확대되어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에 고정된 다수개의 글라스의 테두리면에 대량으로 연마하는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에 있어서,
도 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제어유닛에 구비된 상기 연마드럼의 연마재는 평판 글라스의 테두리면을 따라 회전이동 될 때, 상기 테두리면의 불규칙한 버(Burr), 팁(Tip) 및 이물질로 인해 미세하게 돌출되는 테두리면의 이동간격을 위치별로 정밀하게 이동시키는 정압조절유닛을 구비한다.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압조절유닛은 상기 이동제어유닛의 이동블럭의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수직레일지지판이 고정체결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수직레일지지판의 아래 측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레일지지판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레일지지판과 상기 수직레일지지판의 양측에는 힘살판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레일지지판의 상측에는 좌·우측 길이방향으로 LM가이드레일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상기 LM가이드레일의 상측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블럭판이 삽설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블럭판의 상측에는 좌우이동되는 조절판이 고정설치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수평레일지지판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조절판을 좌·우측으로 정밀하게 이동시키는 정압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레일지지판의 외측 상부에는 수직으로 센서브라켓을 구비하되, 그 편 측에는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유동판의 측면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판의 상측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일체로 고정결합되는 유동판을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결합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구멍의 상측에는 “∪”형 지지브라켓이 고정체결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지지브라켓의 중심에는 연마재가 구비된 연마드럼이 체결되는 회전샤프트가 삽설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회전샤프트의 상측에는 모터고정판이 체결되어 상기 지지브라켓과 고정되도록 구비한 다음 그 상측에 회전모터가 체결되어 회전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마재 회전유닛은 상기 수평브라켓의 상측에 꺾임형태의 고정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지지판의 내측에는 수직으로 하나 이상의 Y축가이드레일를 구비하며, 상기 Y축가이드레일의 외측에는 Y축이동판을 구비하고, 상기 Y축이동판의 외측에는 수평으로 상·하측으로 X축가이드레일을 양측에 구비하며, 상기 X축가이드레일에는 좌·우로 슬라이딩 되는 이동블럭을 하나 이상 구비한 이동제어유닛을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도 9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압조절수단은 상기 수평레일지지판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정밀제어되는 정압 공압실린더 또는 서보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좌·우측 길이방향 이동되는 이동가이드핀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마재는 굴곡 또는 젖힘에 사용되는 0.01T~0.6T의 얇은 두께의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에 연마에서 발생하는 과연마, 크랙 및 뭉개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모재질의 휄트, 나일론 및 부직포를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유동판의 측면을 실시간으로 마찰 평탄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M가이드레일에는 외부 공압에 의해 상기 LM가이드레일의 측면 또는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조절판이 좌·우측 길이방향으로 미세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공압브레이크블럭을 구비함이 바람직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판에는 상기 LM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상기 조절판 양측에 하나 이상의 쿠션기능을 하는 쿠션제가 설치되어 과도한 작동에 따라 상기 조절판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방법 및 그 장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기존 평판 글라스 폴리싱장비에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평판글라스를 연마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 현재 굴곡 또는 젖힘형태의 유리재질 평판 글라스를 폴리싱할 때 구조적으로 평판 글라스의 두께가 0.01T~0.6T의 얇은 두께를 정압조절유닛에 의해 안전하게 대량으로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으며,
또한 신속하게 연마하여도 제품의 파손과 불량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한 정압조절유닛에 의해 실시간으로 평판 글라스 테두리 사면 및 모서리면을 연마 공정에서 뭉개짐, 크랙 및 과연마 발생을 억제하여 불량률을 현저하게 감소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생산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된 바가 실로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방법에 개념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 예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를 정면 및 측면에서 본 일부 파절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마재 회전유닛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평판글라스의 테두리면에 대한 마찰 평탄도 및 평탄도 범위값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연마재 회전유닛의 정면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연마재 회전유닛의 이동제어유닛과 정압조절유닛을 나타낸 분해 조립예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정압조절유닛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정압조절유닛에 구비되는 정압조절수단의 작동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정압조절유닛의 또 다른 분해 조립예시도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정압조절유닛의 또 다른 작동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임.
본 발명의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방법 및 그 장치는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평판 글라스(G)가 정렬되어 적층된 글라스 클램프유닛(110)의 하측을 Y축이동유닛(115)에 고정 거치되는 적층단계(1);
상기 적층단계(1)를 통해 거치된 글라스 클램프유닛(110)은 Y축이동유닛(115)에 의해 내부로 이동되어 상기 클램프 정·역회전유닛(120)에 수직으로 정렬시켜 상측을 클램핑하는 고정단계(2);
상기 고정단계(2)를 통해 상·하측이 클램핑된 글라스 클램프유닛(110)은 상기 평판 글라스(G)의 테두리면(T)에 연마용 세륨분사 및 연마재 회전유닛(130)의 연마드럼(1301)이 회전되게 하는 연마회전단계(3);
상기 연마회전단계(3)의 연마재 회전유닛(130)은 상기 평판 글라스(G)의 테두리면(T)에 연마드럼(1301)의 연마재(1301-1)가 마찰되는 연마단계(4);
상기 연마단계(4)를 통해 테두리면(T)이 연마된 상기 글라스 클램프유닛(110)을 배출시키는 취출단계(8);
로 구비되는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G) 테두리면(T) 폴리싱장치(A)의 테두리면 연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마회전단계(3)에서는,
상기 연마재 회전유닛(130)의 연마재(1301-1)에 연마용 세륨을 분사시켜 흡수된 상태에서 연마 작업 전 균일한 회전력으로 상기 평판 글라스(G)의 테두리면(T)을 따라 접촉시키고,
상기 접촉된 연마재(1301-1)는 정압조절유닛(130B)의 감지센서(1345)에 의해 각 위치별 마찰에 대한 마찰 평탄도(T-2)를 측정하고,
상기 각 위치별 측정된 마찰 평탄도(T-2)는 상기 평판글라스(G) 테두리면(T) 에 대한 전체 마찰 평탄도 범위값(T-1)을 규정하는 측정단계(5);
상기 측정단계(5)의 평탄도 범위값(T-1)은 제어부(5-1)의 제어로직에 따라 상기 연마재 회전유닛(130)의 이동제어유닛(130A)과 정압조절유닛(130B)를 실시간으로 선택제어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정압조절유닛(130B)에서는 상기 평판 글라스(G)의 재질 및 특성에 따라 테두리면(T) 연마시 연마재(1301-1)의 마찰 가압압력을 평탄도 범위값(T-1) 범위 내에서 정밀 제어할 수 있는 정압조절단계(6);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탄도 범위값(T-1)은,
상기 평판글라스(G)의 테두리면(T)에 측정된 마찰 평탄도(T-2)의 전체 조절간격은 ±5mm 범위 내에서 정압조절단계(6)를 정밀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찰 평탄도(T-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층이 쌓인 형태의 평판글라스(G)는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에 대량으로 적층되어 1차적으로 사면을 정렬기(미도시)를 통해 정렬된 상태에서 Y축이동유닛(115)과 상기 정·역회전유닛(120)에 의해 상·하측이 클램핑 된 상태에서,
본격적인 연마 전 각 평판글라스(G)의 테두리면(T)에 발생되는 각종 버, 팁 및 이물질에 의해 테두리면(T)에 미세한 단차 간격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단차 간격은 연마드럼(1301)이 구비된 연마재(1301-1)가 상기 테두리면(T)의 각 위치별 마찰에 의해 상기 유동판(1303)이 미세하게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감지센서(1345)가 실시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측정되도록 작동한다.
상기 평탄도 범위값(T-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판글라스(G)의 테두리면(T) 각 위치별로 측정된 마찰 평판도(T-1)는 평판글라스(G)의 전체 마찰에 따른 미세 이동 간격 범위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평탄도 범위값(T-2)을 제어부(5-1)에 의해 상기 정압조절유닛(130B)의 이동간격을 제어할 수 있도록 통제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5-1)는,
상기 마찰 평탄도(T-2)로 통해 각위치별 마찰 간격 전체 범위를 측정한 평탄도 범위값(T-2)은 제어부(5-1)에 실시간으로 데이터 값을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전달된 데이터 값은 마찰 평탄도(T-2)와 평탄도 범위값(T-2)의 실시간 제공 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제어로직에 의해 상기 정압조절유닛(130B)의 동시 또는 선택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몸체(101) 상측에 다수개의 글라스(G)가 정렬되어 적층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에 거치하는 Y축이동유닛(115)을 구비한 것과,
상기 Y축이동유닛(115)의 양측에는 하나 이상의 수직축봉(102)을 구비하여 그 상측에 수평브라켓(103)을 구비한 것과,
상기 수평브라켓(103)의 상측 중앙에는 상기 정·역회전유닛(120)을 구비하여, 그 하측에 상기 Y축이동유닛(115)에 거치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되어 그 상측이 클램핑되어 정·역회전 되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정·역회전유닛(120)의 양측에는 연마재 회전유닛(130)을 구비한 것과,
상기 연마재 회전유닛(130)에는 이동제어유닛(130A)을 구비한 것과,
상기 이동제어유닛(130A)에는 회전모터(1306)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연마드럼(1301)의 연마재(1301-1)의 양측에서 X축 방향으로 축소되거나 확대되어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에 고정된 다수개의 글라스(G)의 테두리면(T)에 대량으로 연마하는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G) 테두리면(T) 폴리싱장치(A)에 있어서,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제어유닛(130A)에 구비된 상기 연마드럼(1301)의 연마재(1301-1)는 평판 글라스(G)의 테두리면(T)을 따라 회전이동 될 때, 상기 테두리면(T)의 불규칙한 버(Burr), 팁(Tip) 및 이물질로 인해 미세하게 돌출되는 테두리면(T)의 이동간격을 위치별로 정밀하게 이동시키는 정압조절유닛(130B)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압조절유닛(130B)은,
상기 이동제어유닛(130A)의 이동블럭(137)의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수직레일지지판(1310)이 고정체결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수직레일지지판(1310)의 아래 측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레일지지판(1315)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레일지지판(1315)과 상기 수직레일지지판(1310)의 양측에는 힘살판(1311)(1312)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레일지지판(1315)의 상측에는 좌·우측 길이방향으로 LM가이드레일(1335)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상기 LM가이드레일(1335)의 상측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블럭판(1336)이 삽설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블럭판(1336)의 상측에는 좌우이동되는 조절판(1340)이 고정설치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수평레일지지판(1315)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조절판(1340)을 좌·우측으로 정밀하게 이동시키는 정압조절수단(130C)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레일지지판(1315)의 외측 상부에는 수직으로 센서브라켓(1346)을 구비하되, 그 편 측에는 감지센서(1345)를 구비하여 유동판(1303)의 측면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판(1340)의 상측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1350)에 의해 체결되어 일체로 고정결합되는 유동판(1303)을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결합구멍(1303-1)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구멍(1303-1)의 상측에는 “∪”형 지지브라켓(1351)이 고정체결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지지브라켓(1351)의 중심에는 연마재(1301-1)가 구비된 연마드럼(1301)이 체결되는 회전샤프트(1302)가 삽설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회전샤프트(1302)의 상측에는 모터고정판(1353)이 체결되어 상기 지지브라켓(1351)과 고정되도록 구비한 다음 그 상측에 회전모터(1306)가 체결되어 회전되도록 구비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마재 회전유닛(130)은,
상기 수평브라켓(103)의 상측에 꺾임형태의 고정지지판(133)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지지판(133)의 내측에는 수직으로 하나 이상의 Y축가이드레일(134)를 구비하며,
상기 Y축가이드레일(134)의 외측에는 Y축이동판(135)을 구비하고,
상기 Y축이동판(153)의 외측에는 수평으로 상·하측으로 X축가이드레일(136)을 양측에 구비하며,
상기 X축가이드레일(136)에는 좌·우로 슬라이딩 되는 이동블럭(137)을 하나 이상 구비한 이동제어유닛(130A)을 구비하고,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압조절수단(130C)은,
상기 수평레일지지판(1315)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제어부(5-1)에 의해 정밀제어되는 정압 공압실린더(1321) 또는 서보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좌·우측 길이방향 이동되는 이동가이드핀(1322)를 구비하며,
상기 연마재(1301-1)는,
굴곡 또는 젖힘에 사용되는 0.01T~0.6T의 얇은 두께의 평판 글라스(G) 테두리면(T)에 연마에서 발생하는 과연마, 크랙 및 뭉개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모재질의 휄트, 나일론 및 부직포를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감지센서(1345)는,
상기 유동판(1303)의 측면을 실시간으로 마찰 평탄도(T-2)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를 구비되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M가이드레일(1335)에는,
외부 공압에 의해 상기 LM가이드레일(1335)의 측면 또는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조절판(1340)이 좌·우측 길이방향으로 미세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공압브레이크블럭(1330)을 구비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판(1340)에는,
상기 LM가이드레일(1335)을 따라 슬라이딩 상기 조절판(1340) 양측에 하나
이상의 쿠션기능을 하는 쿠션제(1340-1)가 설치되어 과도한 작동에 따라 상기 조절판(1340)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방법 및 그 장치의 각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0.01T ~ 0.6T의 두께를 가지는 평판글라스(G) 테두리면(T)을 대량으로 연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평판 글라스(G)를 정렬기(미도시)를 통해 1차 정렬시킨 다음 글라스 클램프유닛(110)에 체결고정되도록 구비하여 폴리싱장치(A)의 구비된 하측 고정지지되는 Y축이동유닛(115)에 고정 거치되도록 하는 적층단계(1)를 통해 글라스 클램핑유닛(110)이 고정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단계(2)를 통해 고정된 글라스 클램프유닛(110)은 Y축이동유닛(115)에 의해 기계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도록 이동시킨 다음 그 상측에 클램프 정·역회전유닛(120)에 수직으로 정렬시켜 상기 글라스 클램프유닛(110)의 상측을 고정체결되어 작업중에 상기 평판글라스(G) 테두리면(T)의 전체 회전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고정단계(2)를 구비하여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단계(2)의 평판글라스(G)의 테두리면(T)에는 별도로 고정설치되는 노즐을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연마용 세륨분시켜 상기 연마재 회전유닛(130)의 연마드럼(1301)에 의해 일정한 회전이 이루어지되록 하는 연마회전단계(3)을 구비하여 작동되도록 하며,
상기 연마회전단계(3)을 통해 연마드럼(1301)의 외측에는 과연마, 크랙 및 뭉개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모재질의 휄트, 나일론 및 부직포를 선택적으로 구비된 마찰 부러쉬 형태의 연마재(1301-1)에 의해 상기 테두리면(T)이 마찰되어 연마되는 연마단계(4)를 구비하여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연마단계(4)를 통해 테두리면(T)이 연마된 글라스 클램프유닛(110)은 상기 연마단계(4), 연마회전단계(3), 고정단계(2) 및 적층단계(1) 역순별로 작동되어 외부로 배출시키는 취출단계(8)를 통해 작동되도록 하며,
상기 연마회전단계(3)에서는 연마재 회전유닛(130)의 연마재(1301-1)에 연마용 세륨을 분사시켜 머금고 있는 상태에서 본격적인 연마 작업 전 1 내지 2회 범위내에서 선택적으로 균일한 회전력으로 상기 평판 글라스(G) 테두리면(T)을 따라 이동시켜 접촉된 연마재(1301-1)는 상기 정압조절유닛(130B)의 감지센서(1345)에 의해 실시간으로 각 위치별 마찰 평탄도(T-2) 데이터 값을 측정하여 전체 평탄도 범위값(T-1) 하는 측정단계(5)을 구비하여 작동되도록 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단계(5)를 통해 측정된 전체 평탄도 범위값(T-1)은 제어부(5-1)의 제어로직에 따라 상기 연마재 회전유닛(130)의 이동제어유닛(130A)과 정압조절유닛(130B)를 실시간으로 동시 또는 선택 제어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정압조절유닛(130B)에는 평판 글라스(G)의 재질 및 특성에 따라 테두리면(T) 연마시 연마재(1301-1)의 마찰 가압압력을 평탄도 범위값(T-1) 범위내에서 정밀 제어되도록 하는 정압조절단계(6)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다.
또, 상기 평탄도 범위값(T-1)은 상기 평판글라스(G)의 테두리면(T)의 측정된 마찰 평탄도(T-2) 중에서 ±5mm 범위 내에서 정압조절단계(6)를 통해 정밀제어될 수 있도록 작동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몸체(101) 상측에 다수개의 글라스(G)가 정렬되어 적층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에 거치하는 Y축이동유닛(115)을 구비한 것과, 상기 Y축이동유닛(115)의 양측에는 하나 이상의 수직축봉(102)을 구비하여 그 상측에 수평브라켓(103)을 구비한 것과, 상기 수평브라켓(103)의 상측 중앙에는 상기 정·역회전유닛(120)을 구비하여, 그 하측에 상기 Y축이동유닛(115)에 거치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되어 그 상측이 클램핑되어 정·역회전 되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정·역회전유닛(120)의 양측에는 연마재 회전유닛(130)을 구비한 것과, 상기 연마재 회전유닛(130)에는 이동제어유닛(130A)을 구비한 것과, 상기 이동제어유닛(130A)에는 회전모터(1306)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연마드럼(1301)의 연마재(1301-1)의 양측에서 X축 방향으로 축소되거나 확대되어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에 고정된 다수개의 글라스(G)의 테두리면(T)에 대량으로 연마하는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G) 테두리면(T) 폴리싱장치(A)에 있어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마재 회전유닛(130)의 좌·우측에 구비된 연마드럼(1301)은 상기 이동제어유닛(130A)에 의해 좁아지거나 확장되면서 상기 평판글라스(G)의 테두리면(T)을 1차 연마 가압하도록 작동하지만, 1차 작업시에 각 연마재 회전유닛(130) 및 이동제어유닛(130A)의 각 구성별 단차 및 구조적 특성에서 발생되는 미세 오차갭들을 제어할 수 없어 이러한 오차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보다 정밀하게 상기 평판 글라스(G)의 테두리면(T)을 연마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제어유닛(130A)에 구비된 상기 연마드럼(1301)의 연마재(1301-1)가 상기 평판 글라스(G)의 테두리면(T)을 따라 회전이동 될 때,
상기 평판글라스(G)의 테두리면(T)이 대량으로 컷팅되어 정렬기(미도시)를 통해 글라스 클램프유닛(110)에 적층된 상태에서 각 평판글라스(G)의 테두리면(T)이 정밀하게 연마되지 않아 상기 테두리면(T)의 다양한 위치에 불규칙한 버(Burr), 팁(Tip) 및 이물질로 인해 미세하게 돌출되는 마찰저항들을 상기 연마드럼(1301)에 구비된 부러쉬 형태의 연마재(1301-1)가 회전마찰되면서 각 위치별로 마찰 평탄도(T-2) 값들을 측정하여,
상기 테두리면(T)의 각 위치별로 정밀하게 상기 연마재(1301-1)가 연마 가압력을 제어부(5-1)에 의해 실시간으로 정밀 정압을 제공할 수 있는 정압조절유닛(130B)을 구비하여 작동되도록 하고,
도 8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압조절유닛(130B)은,
상기 이동제어유닛(130A)의 이동블럭(137)의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수직레일지지판(1310)이 고정체결되어 상기 이동제어유닛(130A)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정압조절유닛(130B)이 좌·우로 확장 및 축소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수직레일지지판(1310)의 아래 측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레일지지판(1315)를 구비하되, 그 양측에는 힘살판(1311)(1312)을 구비하여 작동중에 상기 수평레일지지판(1315)에 가해지는 하부충격을 견디도록 작동하며,
상기 힘살판(1311)(1312) 사이 수평레일지지판(1315)의 상측에는 좌·우측 길이방향으로 LM가이드레일(1335)을 하나 이상 구비하여 그 상측에 상기 LM가이드레일(1335)의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블럭판(1336)이 삽설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나 이상 구비하여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블럭판(1336)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조절판(1340)을 구비하여 이동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조절판(1340)의 편측에는 좌·우측으로 정밀하게 이동시키는 정압조절수단(130C)을 구비하여 상기 조절판(1340)이 정밀하게 이동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수평레일지지판(1315)의 외측 상부에는 수직으로 센서브라켓(1346)이 고정설치되어 그 편 측에는 감지센서(1345)를 구비하여 상기 감지센서(1345)는 상기 유동판(1303)의 측면을 항시 밀착시켜 이동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판(1340)의 상측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1350)에 의해 체결되어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유동판(1303)을 구비하여, 상기 유동판(1303)의 편측이 상기 감지센서(1345)의 측면이 항시 마찰 되도록 작동하여 상기 연마재(1301-1)와 테두리면(T)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 평탄도(T-2)를 측정할 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유동판(1303)의 상측 중심에는 편측에 수직으로 결합구멍(1301-1)을 구비하여 상기 결합구멍(1303-1)의 내측에 편측으로 관통되는 “∪”형 지지브라켓(1351)을 고정지지되도록 하여 그 중심에 연마재(1301-1)가 설치된 연마드럼(1301)이 체결된 회전샤프트(1302)를 삽설되어 고정지지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회잔샤프트(1302) 상측에 모터고정판(1353)이 체결되어 고정시킨 다음 그 상측에 회전모터(1306)가 체결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회전샤프트(1302)가 정역회전되도록 작동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마재 회전유닛(130)은 상기 수평브라켓(103)의 상측에 “」”꺾임형태의 고정지지판(133)이 고정설치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고정지지판(133)의 내측에는 수직으로 하나 이상의 Y축가이드레일(134)를 양측에 구비하여 그 외측에 Y축이동판(135)을 구비하여 상·하 이동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Y축이동판(153)의 외측에는 수평으로 상·하측으로 X축가이드레일(136)을 양측에 구비하여 그 외측에 슬라이딩되는 이동블럭(137)을 하나 이상 구비한 이동제어유닛(130A)을 구비하여 상기 정압조절유닛(130B)가 상기 이동제어유닛(A)에 의해 1차적으로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압조절수단(130C)은 상기 수평레일지지판(1315)의 내측 상부에는 제어부(5-1)에 의해 정밀제어되는 정압 공압실린더(1321) 또는 서보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좌·우측 길이방향 이동되는 이동가이드핀(1322)의 좌·우 이동거리는 ±5mm 범위내에서 정밀 구비하여 상기 조절판(1340)의 상측에 체결된 유동판(1303)이 좌·우 길이방향으로 외부 정압이 공급되는 공압을 이용하여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작동한다.
도 2 내지 도 16에 도시된 상기 연마재(1301-1)는 굴곡 또는 젖힘에 사용되는 0.01T~0.6T의 얇은 두께의 평판 글라스(G) 테두리면(T)에 연마에서 발생하는 과연마, 크랙 및 뭉개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모재질의 휄트, 나일론 및 부직포를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하여 다양한 형태의 평판글라스(G) 테두리면(T)을 연마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상기 감지센서(1345)는 상기 유동판(1303)의 측면을 실시간으로 마찰 평탄도(T-2)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작동시킬 수 있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M가이드레일(1335)은 외부 공압에 의해 상기 LM가이드레일(1335)의 측면 또는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조절판(1340)이 좌·우측 길이방향으로 미세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공압브레이크블럭(1330)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5-1)를 통해 상기 정압조절수단(130C)에 의해 이동 후 연마작동중에 발생될 수 있는 마찰에 따른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LM가이드레일(1335)의 측면 또는 평면을 가압시켜 고정지지되도록 작동하여 정밀한 정압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한다.
도 13에 도시된 상기 조절판(1340)에는 상기 LM가이드레일(1335)을 따라 슬라이딩 상기 조절판(1340) 양측에 하나 이상의 쿠션기능을 하는 쿠션제(1340-1)가 설치되어 과도한 작동에 따라 상기 조절판(1340)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A: 폴리싱장치 G: 평판 글라스
T: 테두리면 T-1: 평탄도 범위값
T-2: 마찰 평탄도 1: 적층단계
2: 고정단계 3: 연마회전단계
4: 연마단계 5: 측정단계
5-1: 제어부 6: 정압조절단계
8: 취출단계 101: 바디몸체
102: 수직축봉 103: 수평브라켓
110: 글라스 클램프유닛 115: Y축이동유닛
120: 정·역회전유닛 130: 연마재 회전유닛
130A: 이동제어유닛 130B: 정압조절유닛
130C: 정압조절수단 133: 고정지지판
134: Y축가이드레일 135: Y축이동판
136: X축가이드레일 137: 이동블럭
1301: 연마드럼 1301-1: 연마재
1302: 회전샤프트 1306: 회전모터
1303: 유동판 1303-1: 결합구멍
1306: 회전모터 1310: 수직레일지지판
1311,1312: 힘살판 1315: 수평레일지지판
1321: 공압실린더 1322: 이동가이드핀
1330: 공압브레이크블럭 1335: LM가이드레일
1336: 가이드블럭판 1340: 조절판
1340-1: 쿠션제 1345: 감지센서
1346: 센서브라켓 1350: 고정볼트
1351: 지지브라켓 1353: 모터고정판

Claims (11)

  1. 바디몸체(101) 상측에 다수개의 글라스(G)가 정렬되어 적층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에 거치하는 Y축이동유닛(115)을 구비한 것과, 상기 Y축이동유닛(115)의 양측에는 하나 이상의 수직축봉(102)을 구비하여 그 상측에 수평브라켓(103)을 구비한 것과, 상기 수평브라켓(103)의 상측 중앙에는 정·역회전유닛(120)을 구비하여, 그 하측에 상기 Y축이동유닛(115)에 거치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되어 그 상측이 클램핑되어 정·역회전 되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정·역회전유닛(120)의 양측에는 연마재 회전유닛(130)을 구비한 것과, 상기 연마재 회전유닛(130)에는 이동제어유닛(130A)을 구비한 것과, 상기 이동제어유닛(130A)에는 회전모터(1306)의 회전력에 의해 연마드럼(1301)의 연마재(1301-1)의 양측에서 X축 방향으로 축소되거나 확대되어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에 고정된 다수개의 글라스(G)의 테두리면(T)에 대량으로 연마하는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G) 테두리면(T) 폴리싱장치(A)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어유닛(130A)에 구비된 상기 연마드럼(1301)의 연마재(1301-1)는 평판 글라스(G)의 테두리면(T)을 따라 회전이동 될 때, 상기 테두리면(T)의 불규칙한 버(Burr), 팁(Tip) 및 이물질로 인해 미세하게 돌출되는 테두리면(T)의 이동간격을 위치별로 정밀하게 이동시키는 정압조절유닛(130B)을 구비한 것과,
    상기 정압조절유닛(130B)은 상기 이동제어유닛(130A)의 이동블럭(137)의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수직레일지지판(1310)이 고정체결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수직레일지지판(1310)의 아래 측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레일지지판(1315)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레일지지판(1315)과 상기 수직레일지지판(1310)의 양측에는 힘살판(1311)(1312)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레일지지판(1315)의 상측에는 좌·우측 길이방향으로 LM가이드레일(1335)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상기 LM가이드레일(1335)의 상측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블럭판(1336)이 삽설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블럭판(1336)의 상측에는 좌우이동되는 조절판(1340)이 고정설치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수평레일지지판(1315)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조절판(1340)을 좌·우측으로 정밀하게 이동시키는 정압조절수단(130C)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레일지지판(1315)의 외측 상부에는 수직으로 센서브라켓(1346)을 구비하되, 그 편 측에는 감지센서(1345)를 구비하여 유동판(1303)의 측면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조절판(1340)의 상측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1350)에 의해 체결되어 일체로 고정결합되는 유동판(1303)을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결합구멍(1303-1)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구멍(1303-1)의 상측에는 “∪”형 지지브라켓(1351)이 고정체결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지지브라켓(1351)의 중심에는 연마재(1301-1)가 구비된 연마드럼(1301)이 체결되는 회전샤프트(1302)가 삽설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회전샤프트(1302)의 상측에는 모터고정판(1353)이 체결되어 상기 지지브라켓(1351)과 고정되도록 구비한 다음 그 상측에 회전모터(1306)가 체결되어 회전되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연마재 회전유닛(130)은 상기 수평브라켓(103)의 상측에 꺾임형태의 고정지지판(133)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지지판(133)의 내측에는 수직으로 하나 이상의 Y축가이드레일(134)를 구비하며, 상기 Y축가이드레일(134)의 외측에는 Y축이동판(135)을 구비하고, 상기 Y축이동판(135)의 외측에는 수평으로 상·하측으로 X축가이드레일(136)을 양측에 구비하며, 상기 X축가이드레일(136)에는 좌·우로 슬라이딩 되는 이동블럭(137)을 하나 이상 구비한 이동제어유닛(130A)을 구비한 것과,
    상기 정압조절수단(130C)은 상기 수평레일지지판(1315)의 내측 상부에는 제어부(5-1)에 의해 정밀제어되는 정압 공압실린더(1321) 또는 서보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좌·우측 길이방향 이동되는 이동가이드핀(1322)를 구비한 것과,
    상기 연마재(1301-1)는 굴곡 또는 젖힘에 사용되는 0.01T~0.6T의 얇은 두께의 평판 글라스(G) 테두리면(T)에 연마에서 발생하는 과연마, 크랙 및 뭉개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모재질의 휄트, 나일론 및 부직포를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감지센서(1345)는 상기 유동판(1303)의 측면을 실시간으로 마찰 평탄도(T-2)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를 구비한 것과,
    상기 LM가이드레일(1335)에는 외부 공압에 의해 상기 LM가이드레일(1335)의 측면 또는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조절판(1340)이 좌·우측 길이방향으로 미세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공압브레이크블럭(133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1340)에는,
    상기 LM가이드레일(1335)을 따라 슬라이딩 상기 조절판(1340) 양측에 하나 이상의 쿠션기능을 하는 쿠션제(1340-1)가 설치되어 과도한 작동에 따라 상기 조절판(1340)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071317A 2020-06-12 2020-06-12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방법 및 그 장치 KR102331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317A KR102331086B1 (ko) 2020-06-12 2020-06-12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317A KR102331086B1 (ko) 2020-06-12 2020-06-12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086B1 true KR102331086B1 (ko) 2021-11-26

Family

ID=78700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317A KR102331086B1 (ko) 2020-06-12 2020-06-12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0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2310A (zh) * 2021-12-08 2022-03-01 深圳市中科智联数控设备有限公司 一种大尺寸玻璃流水线抛光设备及其抛光方法
KR102579374B1 (ko) * 2022-12-16 2023-09-18 주식회사 씨앤엘 디버링 머신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969B1 (ko) 2004-02-19 2005-12-26 태화일렉트론(주) 글라스의 모서리 연마 장치
KR20100018202A (ko) * 2008-08-06 2010-02-17 (주)한 송 백텐션을 적용한 면취 장치 및 방법
KR101389924B1 (ko) 2013-01-16 2014-04-29 박효중 평판 글라스의 에지면 연마장치
KR101447224B1 (ko) 2013-01-03 2014-10-07 스피넥스 주식회사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글라스의 가공 장치 및 가공 방법
KR200485458Y1 (ko) 2016-06-28 2018-01-11 주식회사 태신프라미스 휴대폰 커버 글라스 연마용 지그
KR101945465B1 (ko) 2018-11-21 2019-04-17 변유미 유아시트 겸용 기능성 카시트
KR101958565B1 (ko) 2017-09-12 2019-07-04 강상구 곡면 강화유리 연마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969B1 (ko) 2004-02-19 2005-12-26 태화일렉트론(주) 글라스의 모서리 연마 장치
KR20100018202A (ko) * 2008-08-06 2010-02-17 (주)한 송 백텐션을 적용한 면취 장치 및 방법
KR101447224B1 (ko) 2013-01-03 2014-10-07 스피넥스 주식회사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글라스의 가공 장치 및 가공 방법
KR101389924B1 (ko) 2013-01-16 2014-04-29 박효중 평판 글라스의 에지면 연마장치
KR200485458Y1 (ko) 2016-06-28 2018-01-11 주식회사 태신프라미스 휴대폰 커버 글라스 연마용 지그
KR101958565B1 (ko) 2017-09-12 2019-07-04 강상구 곡면 강화유리 연마장치
KR101945465B1 (ko) 2018-11-21 2019-04-17 변유미 유아시트 겸용 기능성 카시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2310A (zh) * 2021-12-08 2022-03-01 深圳市中科智联数控设备有限公司 一种大尺寸玻璃流水线抛光设备及其抛光方法
KR102579374B1 (ko) * 2022-12-16 2023-09-18 주식회사 씨앤엘 디버링 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1974B2 (ja) 端縁部を研磨テープにより研磨仕上げした板ガラス並びに板ガラス端縁部の研磨方法及び研磨装置
KR102331086B1 (ko)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방법 및 그 장치
JP3010572B2 (ja) ウェーハエッジの加工装置
JP5162640B2 (ja) 板ガラスの搬送装置とそれを備えた面取り装置
JP6190108B2 (ja) 板ガラス等ワークの周縁部を研磨テープにより研磨する研磨装置及び研磨方法
KR100967283B1 (ko) 판 형상체의 모따기 방법 및 그 장치
CN203843640U (zh) 一种密度板砂光机
TW200908124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a bevel polishing head with an efficient tape routing arrangement
CN100482411C (zh) 玻璃板边缘修整的方法和设备
CN102059594A (zh) 涂布刮刀陶瓷涂层的精密磨削工装夹具、磨削方法及制品
JP4143763B2 (ja) 研磨装置
KR101389924B1 (ko) 평판 글라스의 에지면 연마장치
TWI488713B (zh) 大型合成石英玻璃基板的製造方法
TW201412456A (zh) 板狀體之研磨方法及板狀體之研磨裝置
CN104942690A (zh) 一种异形工件的弹性抛光设备以及方法
KR20170084704A (ko) 연삭·연마 복합가공장치 및 연마장치
JP2014233797A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板の製造装置
KR101480685B1 (ko) 유리 기판 가공 장치
JP3727300B2 (ja) 板材の面取装置
KR100853849B1 (ko)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
CN208841126U (zh) 一种磨光机
KR200482071Y1 (ko)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
JP2001121392A (ja) ガラス物品の加工仕上げ装置
CN214445194U (zh) 一种机械加工制造用铸铁边角打磨装置
KR101409476B1 (ko) 기판의 모서리 연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