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071Y1 -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071Y1
KR200482071Y1 KR2020150007552U KR20150007552U KR200482071Y1 KR 200482071 Y1 KR200482071 Y1 KR 200482071Y1 KR 2020150007552 U KR2020150007552 U KR 2020150007552U KR 20150007552 U KR20150007552 U KR 20150007552U KR 200482071 Y1 KR200482071 Y1 KR 200482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metal plate
members
disposed
horizontal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플러스
Priority to KR2020150007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0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0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24C3/083Transfer or fee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24C3/1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for treating extern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는 베이스부(2)와; 상기 베이스부(2)의 상부에 배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25)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계단 형태인 한 쌍의 경사부재(12,12)를 갖는 높이 조절장치(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30,3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30,30)의 하부에 배치되며, 금속판(5)의 하부를 지지하여 수평을 유지하는 하부 수평 유지부재(4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30,30)의 상부에 회동하게 배치되며, 금속판(5)의 상부를 지지하여 수평을 유지하는 상부 수평 유지부재(5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Metal sheet leveling device for sanding apparatus}
본 고안은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샌딩기의 입구로부터 출구까지 롤 투 롤(Roll to roll)방식으로 이송되는 금속판을 일정한 높이로 수평을 유지함과 동시에 샌딩 가공시 다수의 노즐로 부터 분사된 높은 공기 압력으로 인하여 금속판이 휘는 것(심한 요동과 흔들림에 의해 휘는 것)을 억제하여 평탄하게 공급함으로써 금속판의 요부에 발생되는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는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샌딩기(또는 샌드 블라스트 장치)는 주물 등 금속제품의 표면이나 금속판의 표면을 깨끗하게 마무리 손질을 하기 위해 예리하고 강도가 높은 연마재(유리나 알루미늄 등)를 뿜어내어 제작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매끈한 요철면으로 마무리하는 데 이용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119258호(특허문헌 1)는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 상에 설치되어, 가공 대상체(10)를 이송하는 컨베이어(200); 내부 수용공간부(310), 그리고 상기 대상체(10)를 위한 전방 입구(320) 및 후방 출구(330)를 갖고, 상기 컨베이어(200) 상부에 설치되는 본체(300); 투사재(shot material) 저장부(410), 투사재의 분사를 위한 압축공기공급부(420), 그리고 이들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부(310)에 배치되되 수용공간부(310) 내로 이송된 대상체(10)를 향해 투사재를 분사하게 되는 노즐부(430)를 포함하는 분사모듈(400); 상기 노즐부(430)에서 분사된 투사재 및 이에 의해 대상체(10)에서 발생한 칩(chip)이 수집되도록 상기 컨베이어(200) 하부에 설치되는 호퍼(500); 상기 저장부(410)와 상기 호퍼(50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투사재와 상기 칩을 분리하는 투사재 회수용 집진모듈(600); 및 상기 노즐부(430)의 상하 이동을 위한 승강모듈(700)을 포함하는 단위유닛(U)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모듈(700)은 상기 본체(300) 상부에 결합되는 서포트(710), 상기 서포트(710) 상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720), 내부 활주부(731)를 갖고 상기 플레이트(720)에 장착되는 가이드(730), 상기 가이드(730)의 활주부(731)에 끼워지는 대응가이드(741)와, 중앙에 상하 관통형성된 나선부(742)를 갖고, 상기 플레이트(720) 하부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플레이트(740), 상기 서브플레이트(740)의 나선부(742)에 체결되는 대응나선부(751)를 갖고, 상기 플레이트(720)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750), 상기 회전축(750)의 선회동작을 위한 승강모터(760), 그리고 상기 본체(300)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부(430)와 상기 서브플레이트(740)를 연결하는 중계부재(7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특허문헌1에 제공되는 금속제품(금속판)은 컨베이어로 이동시키지만 이는 양면 가공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이 불편하고 아울러, 일측면을 가공하고 다른 일측면 가공시 서로 다른 환경에 의해 양자가 다르게 마무리되거나 미세한 색깔의 차이가 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12-0119258호(공개일: 2012.10.31)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샌딩기의 입구로부터 출구까지 금속판의 양면을 지지하여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금속판의 상,하 방향의 수평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금속판의 휨을 방지(즉, 금속판의 좌,우 방향의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금속판의 요부(사용하고자 하는 소재부위)의 측면에 발생되는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는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삭제
본 고안의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계단 형태인 한 쌍의 경사부재를 갖는 높이 조절장치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금속판의 하부를 지지하여 수평을 유지하는 하부 수평 유지부재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의 상부에 회동하게 배치되며, 금속판의 상부를 지지하여 수평을 유지하는 상부 수평 유지부재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본 고안의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는 샌딩기의 입구로부터 출구까지 금속판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금속판의 휨을 방지하여 금속판의 요부(사용하고자 하는 소재부위)의 측면에 발생되는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샌딩작업이 종래에 비하여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며 아울러 금속판의 요부에서 발생되는 스크래치가 방지되므로 불량률이 줄어들게 되어 작업 수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삭제
도 1은 본 고안의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높이조절장치를 배제하고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인 하부 수평 유지부재의 개략적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인 상부 수평 유지부재의 개략적인 도면,
도 5는 종래 금속판 샌딩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의 설명에 앞서 샌딩기의 작업 공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샌딩기의 샌딩작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을 준비하는 단계(S1)와, 금속판의 양면을 샌딩하는 양면 샌딩작업 단계(S2)와, 샌딩된 금속판을 세정하는 세정작업 단계(S3)와, 금속판을 건조하는 건조작업 단계(S4) 및 작업을 완료하는 작업완료 단계(S5)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금속판을 준비하는 단계(S1)는 롤 방식으로 금속판을 공급하게 되고, 상기 작업을 완료하는 작업완료 단계(S5)는 롤 방식으로 금속판을 회수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샌딩기의 샌딩작업은 금속판을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으로 공급 및 회수하게 된다.
본 고안의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와, 높이 조절장치(20)와, 한 쌍의 지지부재(30,30)와, 하부 수평 유지부재(40) 및 상부 수평 유지부재(50)로 크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베이스부(2)는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되고, 상부 일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가이드 홈(14)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홈(14)에는 후술하는 높이 조절장치(20)가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2)의 양측면에는 높이 조절장치(20)의 한 쌍의 경사부재(12,12)의 이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눈금부(4)가 형성된다.
상기 높이 조절장치(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의 상부에 배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25)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일측에 복수개의 계단 형태인 한 쌍의 경사부재(12,12)를 구비하게 된다. 즉, 상기 높이 조절장치(20)의 한 쌍의 경사부재(12,12)는 복수개의 단턱부(13)가 배치되며, 일측에 각각 배치된 조절부재(15)를 조절함에 의해 베이스부(2)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 홈(14)을 따라서 좌,우로 이동하게 구성된다. 상기 조절부재(15)는 나사에 연결된 노브로 구성되므로 노브를 회전시킴에 의해 한 쌍의 경사부재(12,12)가 각각 이동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부재(30,30)와 함께 높이 조절장치(20)의 한 쌍의 경사부재(12,12)에 배치된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25)는 한 쌍의 경사부재(12,12)의 단턱부(13,13)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의 상부에는 간극을 두고 한 쌍의 지지부재(30,30)가 배치된다.
상기 하부 수평 유지부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부재(30,30)의 하부에 배치되며, 금속판(5)의 하부를 지지하여 수평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하부 수평 유지부재(40)는 한 쌍의 보조 지지부재(45,45)의 내측에 금속판(5)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가이드 부재(42,42)가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보조 지지부재(45,45) 및 제1 가이드 부재(42,42)는 축(44)에 삽설되고 체결부재(46)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재(46)는 너트와 같은 종류를 적용하게 된다.
상기 상부 수평 유지부재(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부재(30,30)의 상부에 회동하게 배치되며, 금속판(5)의 상부를 안내하여 수평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상부 수평 유지부재(50)는 'A'자 형태로 구성된 회동부재(55)에 대하여, 일측은 제1축(54)에 한 쌍의 제2 가이드 부재(52,52)가 배치되고 타측은 제2축(56)에 힌지 형태로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 부재(52,52)는 제1축(54)에 체결부재(57)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상부 수평 유지부재(50)의 상부는 제2축(56)에 체결부재(59)에 힌지 형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42,42; 52,52)는 각각 원판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42,42; 52,52)는 금속판(5)의 요부(사용하고자 하는 소재부분)의 측면에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판(5)을 지지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 쌍의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 사이의 간극(W)은 금속판(5)의 두께에 상응하여 적용되지만, 여기서는 0.5mm 내지 0.9mm 의 범위를 적용할 수 있지만 0.7mm 정도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 사이의 벌어진 각도(α)는 25°내지 35°의 범위를 적용할 수 있지만, 30°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의 동작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는 샌딩기(도시되지 않음)에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가 배치된다. 여기서, 샌딩기에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를 복수개 배치한 이유는 금속판(금속판재)이 롤투롤 방식으로 공급되므로 입구 및 출구는 물론 중간에 샌딩하는 영역 등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는 입구측 롤(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금속판(5)이 제공되어 샌딩 작업 후 출구측 롤(도시되지 않음)에 감겨지게 된다. 샌딩기의 샌딩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금속판(5)의 높이를 샌딩기의 전체 구간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금속판(5)은 높이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금속판(5)의 요부(사용하고자 하는 소재부위(즉, 금속판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사각형태 부분(도시되지 않음)))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금속판(5)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된다. 여기서,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1개만을 설명하겠지만, 샌딩기의 소정부위에 복수개를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이해하기 바란다.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에 배치되는 한 쌍의 경사부재(12,12)의 단턱부(13,13)에 베이스 플레이트(25)를 배치하게 된다. 사용자가 높이 조절장치(20)를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5)의 높이를 적절한 높이로 선정하게 된다. 상기 높이 조절장치(20)의 한 쌍의 경사부재(12,12)를 각각 조절부재(15)를 조절하여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고 베이스 플레이트(25)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높이 조절장치(20)를 이용하여 소정의 높이로 베이스 플레이트(25)가 고정되면, 사용자가 상부 수평 유지부재(50)를 현수한 상태에서 입구측 롤(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제공된 금속판(5)을 고정하게 된다. 즉, 상부 수평 유지부재(50)는 한 쌍의 지지부재(30,30)에 끼워진 제2 축(56)을 중심으로 힌지 형태로 회동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현수한 상태에서 금속판(5)을 하부 수평 유지부재(40)에 끼우고 다시 상부 수평 유지부재(50)에 끼우게 된다.
사용자는 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먼저 금속판(5)을 하부 수평 유지부재(40)에 끼우고, 상부 수평 유지부재(50)를 현수한 상태에서 금속판(5)을 조정하면서 상부 수평 유지부재(50)를 끼우게 된다. 이때, 상기 금속판(5)의 상부는 상부 수평 유지부재(50)의 한 쌍의 제2 가이드 부재(52,52)에 의해 지지되고, 금속판(5)의 하부는 하부 수평 유지부재(40)의 한 쌍의 제1 가이드 부재(42,42)에 의해 지지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42,42; 52,52)의 간극(W)은 작업하는 금속판(5)의 두께에 상응하여 적용되며 여기서는 약 0.7mm 정도 내외를 적용하게 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 사이의 벌어진 각도(α)는 30°를 적용하였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42,42; 52,52)의 간극(W) 및 각도(α)를 적용함에 의해 금속판(5)이 휘거나 처지지 않고 샌딩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일정한 높이로 배치된 금속판의 샌딩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샌딩 작업시 금속판(5)을 일정한 높이로 휘지 않게 제공하게 되므로 금속판(5)의 요부(사용하고자 하는 소재부위)의 측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샌딩작업 후 금속판을 롤투롤 방식으로 양면샌딩을 수행하게 되므로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샌딩하는 것에 비하여 샌딩작업 효과가 현저한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는 금속판과 같은 재질을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으로 양면을 지지하여 일정한 높이로 휨없이 공급하여 소재의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부품 가공작업 분야에 널리 적용된다.
2: 베이스부 5: 금속판
12,12: 한 쌍의 경사부재 13: 단턱부
14: 가이드 홈 15: 조절부재
20: 높이 조절장치 40: 하부 수평 유지부재
42, 52: 한 쌍의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
45: 한 쌍의 보조 지지부재 50: 상부 수평 유지부재

Claims (5)

  1. 베이스부(2)와;
    상기 베이스부(2)의 상부에 배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25)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계단 형태인 한 쌍의 경사부재(12,12)를 갖는 높이 조절장치(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30,3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30,30)의 하부에 배치되며, 금속판(5)의 하부를 지지하여 수평을 유지하는 하부 수평 유지부재(4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30,30)의 상부에 회동하게 배치되며, 금속판(5)의 상부를 지지하여 수평을 유지하는 상부 수평 유지부재(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장치(20)의 한 쌍의 경사부재(12,12)에는 복수개의 단턱부(13)가 배치되며, 일측에 각각 배치된 조절부재(15)를 조절함에 의해 베이스부(2)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 홈(14)을 따라서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평 유지부재(40)는 한 쌍의 보조 지지부재(45,45)의 내측에 금속판(5)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가이드 부재(42,42)가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보조 지지부재(45,45) 및 제1 가이드 부재(42,42)는 축에 삽설되고 체결부재(46)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평 유지부재(50)는 'A'자 형태로 구성된 회동부재(55)에 대하여, 일측은 제1축(54)에 금속판(5)을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제2 가이드 부재(52,52)가 배치되고 타측은 제2축(56)에 힌지 형태로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42,42; 52,52)는 금속판(5)을 지지하여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 사이의 간극(W)은 금속판(5)의 두께에 상응하며, 한 쌍의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 사이의 벌어진 각도(α)는 25°내지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
KR2020150007552U 2015-11-20 2015-11-20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 KR200482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552U KR200482071Y1 (ko) 2015-11-20 2015-11-20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552U KR200482071Y1 (ko) 2015-11-20 2015-11-20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071Y1 true KR200482071Y1 (ko) 2016-12-13

Family

ID=57571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552U KR200482071Y1 (ko) 2015-11-20 2015-11-20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0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676B1 (ko) * 2020-03-05 2021-09-13 주식회사금강테크원 리드프레임 플래시제거 샌드브라스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8645A (ja) * 1985-06-17 1986-12-18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発信制御装置
KR100439077B1 (ko) * 2003-11-19 2004-07-06 강 박 정화조 제조용 샌딩장치
KR20090124085A (ko) * 2008-05-29 2009-12-03 (주)태웅 면취기용 클램핑 장치
KR20120119258A (ko) 2011-04-21 2012-10-31 주식회사 프로코텍 샌드 블라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8645A (ja) * 1985-06-17 1986-12-18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発信制御装置
KR100439077B1 (ko) * 2003-11-19 2004-07-06 강 박 정화조 제조용 샌딩장치
KR20090124085A (ko) * 2008-05-29 2009-12-03 (주)태웅 면취기용 클램핑 장치
KR20120119258A (ko) 2011-04-21 2012-10-31 주식회사 프로코텍 샌드 블라스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676B1 (ko) * 2020-03-05 2021-09-13 주식회사금강테크원 리드프레임 플래시제거 샌드브라스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442B1 (ko)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
US6231429B1 (en) Process for edging of glass blanks through simultaneous machining of plural edges
JPS5822307B2 (ja) ザイモクオシアゲサイスンスルキカイ
RU229231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лит материала
US7740525B2 (en) Device for securing material plates, such as glass sheets, during the working thereof
TWI603810B (zh) A polishing apparatus and a polishing method of polishing the peripheral edge of a workpiece such as a plate glass with a polishing tape
CN212600848U (zh) 一种玻璃双边打磨机
CN108602169A (zh) 用于抛光石板材的轨道型抛光机器
CN107627186A (zh) 一种平面抛光机
US11813711B1 (en) Glass sheet polishing assembly
RU2666825C2 (ru)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резки плит из керам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CN108972248A (zh) 一种磨光机
KR200482071Y1 (ko)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
KR101553564B1 (ko) 플레이트 부품의 자동 피니싱 장치
KR102331086B1 (ko)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72883A (ko) 연마장치 및 웨이퍼의 연마방법
US6994081B2 (en) Apparatus for roughing the surfaces of casted concrete block
KR20130004649A (ko) 슬라이드 휴대폰에 내장되는 박판 프레임의 부분 헤어라인 연마장치
KR100853849B1 (ko)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
JP2007290115A (ja) 板状成形体の研磨加工装置
JP3727300B2 (ja) 板材の面取装置
KR101218330B1 (ko) 표면 가공장치
KR101192134B1 (ko) 목재패널의 투입 및 배출측 받침테이블을 갖는 에지밴딩기
KR102061663B1 (ko) 석재 자동 측면 연마기
EP0839608A1 (en) A polishing and smoothing machine for slabs, tile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