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849B1 -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849B1
KR100853849B1 KR1020080000181A KR20080000181A KR100853849B1 KR 100853849 B1 KR100853849 B1 KR 100853849B1 KR 1020080000181 A KR1020080000181 A KR 1020080000181A KR 20080000181 A KR20080000181 A KR 20080000181A KR 100853849 B1 KR100853849 B1 KR 100853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lishing
protective cover
frame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동
Original Assignee
(주)프로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프로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080000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plate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적인 연마작업에 의해 연마수단이 닳는 정도에 따라 연마수단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으므로 보호커버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고, 보호커버의 측면과 모서리를 모두 가공할 수 있으며, 연마하고자 하는 보호커버의 크기에 따라 연마수단을 조절하여 연마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80000181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적재부, 흡착수단, 연마수단, 연마보정부, 가이드수단

Description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GRINDING APPARATUS FOR DISPLAY PROTECTION COVER OF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적인 연마작업에 의해 연마수단이 닳는 정도에 따라 연마수단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으므로 보호커버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고, 보호커버의 측면과 모서리를 모두 가공할 수 있으며, 연마하고자 하는 보호커버의 크기에 따라 연마수단을 조절하여 연마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MP3 등 휴대용 전자기기에 다양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형성시키는 경향이 증가 되고 있다. 이들 전자기기는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고, 따라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화면이 파손되거나 외부 오염 물질로 인하여 손상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커버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배치시킨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보호커버는 유리재나 플라스틱 제품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유리재 의 경우 빛의 투과 및 쉽게 깨지는 성질로 인하여 다이아몬드 커터나 레이저를 이용하여 절단하는데 한계가 있어 플라스틱 제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플라스틱은 부드러운 탄성으로 인해 가공성이 매우 뛰어나지만, 주위 환경에 의해 쉽게 표면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거나, 온도 변화에 따라 투명도가 저하됨은 물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색되기도 하여 우수한 화질의 사진 및 동영상을 얻는데 한계가 있다.
보호커버는 적용하고자 하는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에 맞게 1차 절단하게 되며, 이렇게 절단된 보호커버의 모서리 부분이 날카롭기 때문에 보호커버의 모서리를 가공하여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과는 분야가 조금 다르지만,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58537호 "평판표시패널의 유리기판 모따기장치" 에는 유리기판을 소정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유리기판의 모서리를 모따기 가공하는 다이아몬드 휠을 구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평판표시패널의 유리기판 모따기 장치"의 경우 연속적인 가공에 의해 다이아몬드 휠이 닳게 되었을 경우 이를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다이아몬드 휠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서리만을 가공하므로 유리기판의 측면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를 이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적인 연마작업에 의해 연마수단이 닳는 정도에 따라 연마수단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으므로 보호커버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커버의 측면과 모서리를 모두 가공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마하고자 하는 보호커버의 크기에 따라 연마수단을 조절하여 연마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에 있어서, 내부 상측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제1 프레임과, 제1 프레임의 하측에 소정 간격 떨어져 제1 프레임과 엇갈리도록 형성된 제2 프레임이 형성된 본체와; 평판의 보호커버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딩수단과, 슬라이딩수단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하로 절첩되며 적재부에 적재된 보호커버를 진공 흡착하는 흡착수단으로 구성된 이송부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보호커버가 안착되고 안착된 보호커버를 진공 흡착하여 고정하는 안착수단과, 안착수단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수평 단면의 표면적이 넓어지는 연마보정부로 구성되어 안착수단과 연마보정부를 연결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안착부; 및 제2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수단과, 이동수단의 동작에 따라 한쪽에 형성된 가이드휠이 연마보정부에 접하여 동작되거나 연마보정부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지고 다른 쪽에 형성된 연마휠이 가이드휠과 동시에 동작되어 보호커버에 접하여 보호커버를 연마하거나 보호커버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지는 연마수단과, 가이드휠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갖는 연마부;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를 제공한다.
적재부는 한쪽에 에어분사수단이 형성되고, 이송부의 흡착수단은, 적재부에 적재된 보호커버를 흡착하고, 일정 높이로 상승하여 멈추며, 에어분사수단은 멈춰있는 흡착수단에 흡착된 보호커버의 하측에 에어를 분사하여 보호커버가 낱장으로 공급되도록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송부에 의해 안착부에 안착되는 보호커버의 연마위치를 정렬시키며, 보호커버의 연마위치가 정렬되면 안착부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지도록 이동되는 정렬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마부는, 안착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제1 연마부와 제2 연마부로 나뉘어 구성되고, 제1 연마부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보호커버의 측면을 연마하며, 제2 연마부는 안착부에 안착된 보호커버의 모서리를 모따기 연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에는 제1 연마부와 제2 연마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폭조절부가 형성되고, 폭조절부는, 제2 프레임의 한쪽 말단에 형성되어 제2 프레임의 축을 중심으로 제2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핸들; 및 제1 연마부와 제2 연마부에 각각 형성되어 제2 프레임에 연결되고, 핸들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 연마부와 제2 연마부를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간격조절부; 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착부에 안착된 보호커버 또는 보호커버에 접한 연마수단에 절삭유를 공급하는 절삭유공급부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에 의하면, 연속적인 연마작업에 의해 연마수단이 닳는 정도에 따라 연마수단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으므로 보호커버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보호커버의 측면과 모서리를 모두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마하고자 하는 보호커버의 크기에 따라 연마수단을 조절하여 연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일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디스플 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이하, 연마장치라 한다)는 크게 본체(100)와 적재부(200), 이송부(300), 안착부(400) 및 연마부(600)로 구성된다.
본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게 되며, 도시된 도 1 내지 도 3의 경우 본체 내에 2세트의 연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체(100)의 내부 상측에는 제1 프레임(102)이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제1 프레임(102)의 하측에 소정 간격 떨어져 제1 프레임(102)과 엇갈리도록 제2 프레임(104)이 형성된다. 본체(100)의 하측에는 개폐가능한 도어(106)가 형성되어 연마장치의 각종 부품들의 수리 등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연마장치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본체의 하면에는 다수의 바퀴(108)가 형성된다.
적재부(200)는 평판의 보호커버(C), 즉 적용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에 맞게 1차 절단된 보호커버(C)가 적재된다. 이때, 적재부(200)는 이동이 가능한 2세트로 마련하여 한쪽의 적재부(200)에 적재된 보호커버(C)의 작업이 완료되면 다른 쪽에 위치한 적재부(200)가 작업위치로 이동하여 계속 연마공정이 이루어지고, 비어 있는 적재부(200)에 보호커버(C)를 적재함으로서 연속적으로 연마공정이 진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송부(300)는 전술한 적재부(200)에 적대된 보호커버(C)를 하기에 서술하는 안착부(400)에 이송하여 연마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통상의 로봇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이송부(300)는 2세트로 나누어 구성하여 제1 이송부(310)는 적재부(200)로부터 보호커버(C)를 안착부(400)에 이송하도록 하고, 제2 이송부(320)는 연마작업이 완료된 보호커버(C)를 안착부(400)로부터 별도의 적재수단이 나 운반수단, 예를 들어 컨베이어(A)에 이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부(400)는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보호커버(C)가 안착되어 연마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이며, 하측에 수직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즉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수평 단면의 표면적이 넓어지는 연마보정부(420)를 갖는다. 이러한 안착부(400)는 본체(100) 하측에 배치되는 구동부(430)의 구동력에 의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연마부(600)는 안착부(400)에 안착된 보호커버(C)를 연마휠(614b, 624b)을 이용하여 연마하게 된다. 이때, 보호커버(C)의 연마공정은 보호커버(C)의 측면을 가공하는 1차 연마과정과 보호커버(C)의 모서리를 가공하여 모따기하는 2차 연마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적재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200)는 크게 몸체(210)와 밀대(220) 및 에어분사수단(230)으로 구성된다.
몸체(210)는 다수의 보호커버(약 200여장)가 적재되는 일종의 틀을 형성하며, 보호커버(C)의 적재가 용이하고, 적재된 보호커버(C)의 수량 파악이 용이하도록 한쪽 면과, 이에 대향되는 다른 쪽 면의 중심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몸체(210)는 다양한 보호커버(C)를 연마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의 몸체(210)가 준비되어 본체(100)에 탈부착되며, 이와 같은 탈부착을 위해 탈부착구(V)가 형성된다.
밀대(220)는 몸체(2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몸체(210)에 적재되어 있는 보호커버(C)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밀대(220)의 동작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몸체(210)의 상측에 배치된 커버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일정 위치에 보호커버(C)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밀대(220)가 보호커버(C)를 밀어올리고, 이에 의해 커버감지센서에 보호커버(C)가 감지되면 밀대(220)의 동작을 멈추도록 구성된다.
에어분사수단(230)은 보호커버(C)가 낱장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송부(300), 특히 제1 이송부(310)가 적재부(200)에 적재되어 있는 보호커버(C)를 흡착하여 이송하고자 할 경우 보호커버(C) 1장이 이송되어야 하나, 습기 등에 의해 보호커버(C)가 2장 내지 3장 이상이 한꺼번에 이송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제1 이송부(310)가 보호커버(C)를 흡착한 후 일정 높이(약 10mm)로 상승하여 멈추도록 구성하고, 흡착된 보호커버(C) 1장의 두께를 감안하여 그 하측에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1장의 보호커버(C)를 제외한 다른 보호커버(C)가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이송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를 살펴보면, 이송부(300)는 적재부(200)로부터 보호커버(C)를 흡착하여 하기의 안착부(400)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310)와 안착부(400)로부터 컨베이어(A)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320)로 구성되며, 이러한 제1 및 제2 이송부(310m 320)는 슬라이딩수단(312, 322)과 흡착수단(314, 324)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딩수단(312, 322)은 본체(100)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프레임(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이송부(310, 320) 전체가 이동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흡착수단(314, 324)은 슬라이딩수단(312, 322)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하로 절첩되며 제1 이송부(310)의 경우 적재부(200)에 적재된 보호커버(C)를 진공 흡착하고, 제2 이송부(320)의 경우 연마공정이 완료되어 안착부(400)에 안착되어 있는 보호커버(C)를 진공 흡착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이송부(310)의 경우 1차적으로 흡착수단(314)이 적재부(200)에 적재되어 있는 보호커버(C)를 흡착한 후 일정 높이(약 10mm)로 상승하고 멈추어 보호커버(C)가 낱장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2차적으로 상승하고 이동하여 안착부(400)에 보호커버(C)를 안착시키게 된다. 이와는 달리 제2 이송부(320)는 통상의 로봇과 같이 연마완료된 보호커버(C)를 흡착하여 상승한 후 컨베이어(A)에 안착시키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안착부와 정렬부를 나타낸 도로써 도 6a는 안착부와 정렬부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안착부와 정렬부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안착부(400)는 안착수단(410)과 연마보정부(420) 및 흡착력을 발생시키고 안착수단(410)과 연마보정부(420)를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430)로 구성된다.
안착수단(410)은 제1 이송부(310)에 의해 이송된 보호커버(C)가 안착되는 부 분이며, 중심 부근에 4이렇게 안착된 보호커버(C)를 진공 흡착할 수 있도록 흡착공(412)이 형성된다.
연마보정부(420)는 안착수단(410)의 하측에 마련되는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수평 단면의 표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동부(430)는 안착수단(410)에 안착된 보호커버(C)를 흡착하는 회전력과, 안착수단(410)과 연마보정부(420)를 상호 연결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정렬부(500)는 제1 이송부(310)에 의해 안착부(400)에 안착되는 보호커버(C)의 연마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정렬부(500)는 안착부(400)를 중심으로 양쪽에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정렬수단(510)과, 각각의 정렬수단(510)을 이동시키는 구동바아(520)로 구성되며, 제1 이송부(310)에 의해 적재부(200)로부터 보호커버(C)가 이송될 경우에는 정렬수단(510)이 안착부(400)를 감싸는 형상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보호커버(C)가 정확한 연마위치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정렬수단(510)의 내측에는 보호커버(C) 등이 파손되지 않도록 고무 재질 등으로 구성된 보호부재(512)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보호커버(C)가 정렬부(500)에 의해 연마위치가 정렬된 상태로 안착부(400)에 안착된 후 흡착공(412)에 의해 흡착 고정되면, 안착부(400)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지도록 이동되어 연마부(600)가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연마부 중 제2 연마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7a는 제2 연마부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안 제2 연마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연마부는 제1 및 제2 연마부의 구성이 거의 유사하므로 도 7a 및 도 7b에서는 제2 연마부만을 도시하였다.
도 7a 및 도 7b를 살펴보면, 연마부(600)는 전술한 정렬부(500)와 마찬가지로 안착부(400)를 중심으로 양쪽에 제1 연마부(610)와 제2 연마부(620)로 나뉘어 구성되며, 정렬부(500)와는 상호 동작에 방해되지 않는 방위로 설치된다.
이러한 연마부(600)는 제1 및 제2 연마부(610, 620) 모두 이동수단(622)과 연마수단(624) 및 높이조절수단(626)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제1 연마부(610)의 도면부호는 이동수단의 경우 612, 연마수단의 경우 614, 높이조절수단은 616이 부여된다.
이동수단(612, 622)은 제2 프레임(104)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제1 및 제2 연마부(610, 620)가 안착부(400)에 안착된 보호커버(C)를 연마할 수 있도록 하거나, 안착부(400)로부터 떨어지도록 하게 된다.
제2 연마부(620)의 연마수단(624)은 가이드휠(624a)과 연마휠(624b)로 구성되어 동시에 동작되는데, 연마휠(624b)은 통상 다이아몬드가 휠의 둘레 외면에 일정 두께로 형성된 다이아몬드 휠을 사용하게 된다. 이때, 제1 연마부(610)의 연마수단(614)의 경우 가이드휠은 도면부호가 614a, 연마휠은 도면부호가 614b로 부여된다. 이러한 제1 연마부(610)의 연마휠(614b)은 보호커버(C)의 측면을 가공할 수 있도록 연마휠의 단면이 평면인 것으로 형성되고, 제2 연마부(620)의 경우 연마휠(624b)이 보호커버(C)의 모서리를 모따기 가공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홈에 보호커버(C)를 삽입하여 연마하게 된다. 이때, 제2 연마부(620)의 연마휠(624b)에 형성된 홈은 연마작업이 계속됨에 따라 닳게 되며, 홈의 다이아몬드가 다 닳을 경우 다 닳은 홈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다른 홈을 이용하여 계속 모따기 연마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 제2 연마부(620)의 연마휠(624b)이 한쪽은 낮게, 다른 쪽은 높게 도시되어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홈을 사용하다가 다른 홈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 연마부(610, 620)는 이동수단(612, 622)의 동작, 즉 이동수단(612, 622)이 안착부(400)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 가이드휠(614a, 624a)은 연마보정부(420)에 접하게 되고, 연마휠(614b, 624b)은 안착부(400)에 안착된 보호커버(C)에 접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이동수단(612, 622)이 안착부(400)로부터 떨어지도록 동작되면 가이드휠(614a, 624a)과 연마휠(614b, 624b) 또한 연마보정부(420)와 보호커버(C)로부터 떨어지도록 동작하게 된다.
높이조절수단(626)은 가이드휠(624a)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요소이며, 제1 연마부(610)의 경우 높이조절수단의 도면부호는 616이 부여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는 이와 같은 높이조절수단(616, 626)을 갖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데, 높이조절수단(616, 626)을 이용하여 가이드휠(614a, 624a)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면, 이동수단(612, 622)에 의해 이동되는 가이드휠(614a, 624a)이 접하는 연마보정부(420)의 높이가 달라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연마휠(614a, 624a)이 계속적으로 보호커버(C)의 연마과정을 거치게 되면 보호커버(C)와 닿는 일정부분이 닳게 된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생산되는 보호커버(C)는 생산자가 원하는 치수가 아닌 불량품으로 제작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연마휠(614a, 624a)이 연마한 보호커버(C)의 개수나 연마휠(614a, 624a)을 사용한 시간 등에 따라 연마휠(614a, 624a)이 닳는 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연마보정부(420)는 수직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 즉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수평단면의 표면적(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높이조절수단(616, 626)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가이드휠(614a, 624a)은 연마보정부(420)에 접하는 높이가 조절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연마휠(614a, 624a)이 닳은 만큼 보호커버(C)에 더 근접하게 되므로 보호커버(C)의 생산이 계속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높이조절수단(616, 626)에 의해 보정되는 가이드휠(614a, 624a)의 높이는 정확하게 보정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제2 연마부(620)의 한쪽에는 누름바아(628)가 형성된다. 이러한 누름바아는 제1 연마부(610)의 경우 618의 도면번호가 부여된다. 누름바아(618, 628)는 높이조절수단(616, 626)에 의해 가이드휠(614a, 624a)과 동시에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누름바아(618, 628)의 상승은 별도로 탈부착되는 측정기(M)에 의해 상승되는 치수가 측정된다. 즉, 누름바아(618, 628)의 상승에 따라 측정기(M)의 한쪽에 형성된 압력바아가 눌리게 되고, 이 압력에 의해 상승 치수가 표시되는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폭조절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에 는 제1 연마부(610)와 제2 연마부(6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폭조절부(70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폭조절부(700)는 제작하고자 하는 보호커버(C)의 크기에 따라 제1 및 제2 연마부(610, 62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핸들(710)과 간격조절부(미도시)로 구성된다.
핸들(710)은 제2 프레임(104)의 한쪽 말단에 형성되어 제2 프레임(104)의 축을 중심으로 제2 프레임(104)을 회전시키게 된다.
간격조절부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및 제2 연마부(610, 620)의 내측, 즉 이동수단(612, 622)의 내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2 프레임(104)에 연결되고, 핸들(7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 연마부(610)와 제2 연마부(620)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지도록 제2 프레임(10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단순화시켜 도시한 도면을 이용하여 연마작업 과정을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제1 이송부(310)가 적재부(200)에 적재되어 있는 보호커버(C)를 흡착하여 이송하게 된다. 이때, 제1 이송부(310)는 보호커버(C)를 흡착한 상태에서 일정 높이로 상승한 상태에서 멈추게 되고, 에어분사수단(230)에 의해 에어가 분사되어 2장 이상의 보호커버(C)가 상승되어 있을 경우 제1 이송 부(310)에 흡착되어 있는 상측의 보호커버(C)를 제외한 다른 보호커버(C)는 다시 적재부(200)에 적재된다. 이와 같이 제1 이송부(310)가 보호커버(C)를 흡착하여 이송하게 되면 적재부(200)의 커버감지센서에서 보호커버(C)가 감지되지 않는 것을 제어부(미도시)에 알리게 되고, 제어부가 밀대(220)를 제어하여 적재부(200)에 적재되어 있는 보호커버(C)를 상측으로 밀어올려 다음 보호커버(C)가 이송될 수 있도록 준비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부(310)는 보호커버(C)를 안착부(400)로 이송시켜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정렬부(500)는 안착부(400)를 감싸고 있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보호커버(C)가 안착부(400)에 안착되기 전에 정렬부(500)에 의해 정렬되어 안착부(400)에 안착되게 된다.
다음, 도 11과 같이 보호커버(C)가 안착부(400)에 안착되어 흡착공(412)에 의해 안착부(400)에 고정되면 정렬부(500)가 안착부(400)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지도록 이동하게 되며, 이후 도 12와 같이 보호커버(C)를 연마하기 위한 연마부(600) 중 보호커버(C)의 측면을 연마하는 제1 연마부(610)가 이동하여 연마휠(614b)로 보호커버(C)를 연마하게 된다. 이때, 제1 연마부(610)의 가이드휠(614a)이 연마보정부(420)에 접한 상태에서 안착부(400)의 회전에 따라 연마보정부(420)의 외면 둘레를 따라 동작되며, 제1 연마부(610)의 연마휠(614b)은 가이드휠(614a)의 동작에 따라 보호커버(C)를 연마하게 된다.
그리고, 도 13을 살펴보면 제1 연마부(610)에 의해 보호커버(C)의 측면 연마가 완료된 후에는 제2 연마부(620)의 연마휠(624b)이 보호커버(C)에 접하여 보호커 버(C)의 모따기 연마가 시작된다.
여기서, 연마휠(614b, 624b)과 보호커버(C)의 마찰에 의한 마찰열의 냉각과 윤활을 위해 안착부(400)에 안착된 보호커버(C)에 절삭유, 예를 들어 물을 공급하는 절삭유공급부(800)가 배치된다. 이러한 절삭유공급부(800)는 본체(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공급탱크(810)와, 안착부(400)에 소정 간격 떨어진 상측에 배치된 공급관(820)으로 구성되어 보호커버(C)의 연마시 절삭유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절삭유공급부(800)는 연마휠(614b, 624b)에 절삭유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본체(100)의 하부에 배치된 공급탱크(810) 외에 외부로부터 절삭유를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4는 보호커버(C)의 측면 및 모따기 연마가 모두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2 이송부(320)가 연마 완료된 보호커버(C)를 흡착하여 컨베이어(A)에 이송함으로써 하나의 보호커버(C) 연마가 완료되며 계속해서 제1 이송부(310)가 적재부(200)에서 다른 보호커버(C)를 이송시켜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연마부와 제2 연마부가 순차적으로 동작되어 보호커버를 연마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및 제2 연마부가 동시에 동작되어 보호커버를 연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일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적재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이송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안착부와 정렬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연마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폭조절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02: 제1 프레임
104: 제2 프레임 106: 도어
108: 바퀴 200: 적재부
210: 몸체 220: 밀대
230: 에어분사수단 300: 이송부
310: 제1 이송부 312, 322: 슬라이딩수단
314, 324: 흡착수단 320: 제2 이송부
400: 안착부 410: 안착수단
412: 흡착공 420: 연마보정부
430: 구동부 500: 정렬부
510: 정렬수단 512: 보호부재
520: 구동바아 600: 연마부
610: 제1 연마부 612, 622: 이동수단
614, 624: 연마수단 614a, 624a: 가이드휠
614b, 624b: 연마휠 616, 626: 높이조절수단
618, 628: 누름바아 620: 제2 연마부
700: 폭조절부 710: 핸들
800: 절삭유공급부 810: 공급탱크
820: 공급관 A: 컨베이어
C: 보호커버 M: 측정기
V: 탈부착구

Claims (8)

  1.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에 있어서,
    내부 상측에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에 소정 간격 떨어져 상기 제1 프레임과 엇갈리도록 형성된 제2 프레임이 형성된 본체와;
    평판의 보호커버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딩수단과, 상기 슬라이딩수단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하로 절첩되며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보호커버를 진공 흡착하는 흡착수단으로 구성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보호커버가 안착되고 안착된 상기 보호커버를 진공 흡착하여 고정하는 안착수단과, 상기 안착수단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수평 단면의 표면적이 넓어지는 연마보정부로 구성되어 상기 안착수단과 상기 연마보정부를 연결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안착부와;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동작에 따라 한쪽에 형성된 가이드휠이 상기 연마보정부에 접하여 동작되거나 상기 연마보정부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지고 다른 쪽에 형성된 연마휠이 상기 가이드휠과 동시에 동작되어 상기 보호커버에 접하여 상기 보호커버를 연마하거나 상기 보호커버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지는 연마수단과, 상기 가이드휠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갖는 연마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적재부는 한쪽에 에어분사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부의 흡착수단은,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보호커버를 흡착하고, 일정 높이로 상승하여 멈추며,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멈춰있는 상기 흡착수단에 흡착된 상기 보호커버의 하측에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보호커버가 낱장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보호커버의 연마위치를 정렬시키며, 상기 보호커버의 연마위치가 정렬되면 상기 안착부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지도록 이동되는 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상기 안착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제1 연마부와 제2 연마부로 나뉘어 구성되고,
    상기 제1 연마부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보호커버의 측면을 연마하며,
    상기 제2 연마부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보호커버의 모서리를 모따기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1 연마부와 상기 제2 연마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폭조절부가 형성되고,
    상기 폭조절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한쪽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핸들; 및
    상기 제1 연마부와 상기 제2 연마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연마부와 상기 제2 연마부를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간격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보호커버 또는 상기 보호커버에 접한 상기 연마수단에 절삭유를 공급하는 절삭유공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
KR1020080000181A 2008-01-02 2008-01-02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 KR100853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181A KR100853849B1 (ko) 2008-01-02 2008-01-02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181A KR100853849B1 (ko) 2008-01-02 2008-01-02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3849B1 true KR100853849B1 (ko) 2008-08-22

Family

ID=39878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181A KR100853849B1 (ko) 2008-01-02 2008-01-02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8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666B1 (ko) * 2013-04-12 2014-10-23 김태형 에지 그라인딩 장치
KR101475394B1 (ko) * 2013-04-18 2014-12-22 주식회사 피닉스아이앤씨 터치스크린용 유리 다층 면취 가공 시스템
CN106501977A (zh) * 2016-12-27 2017-03-1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清洗机的导轮装置及清洗机
EP3347165A4 (en) * 2015-09-08 2019-06-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ROTATING TOOL WITH ABRASIVE AGGLOMERAT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316A (ko) * 2000-04-21 2001-11-08 류경한 액정표시장치용 유리기판 에지 그라인더 시스템 및 그그라인딩 방법
KR20010097320A (ko) * 2000-04-21 2001-11-08 류경한 액정표시장치용 유리기판 에지 그라인더 시스템
KR20030092812A (ko) * 2002-05-31 2003-12-06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시트 분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316A (ko) * 2000-04-21 2001-11-08 류경한 액정표시장치용 유리기판 에지 그라인더 시스템 및 그그라인딩 방법
KR20010097320A (ko) * 2000-04-21 2001-11-08 류경한 액정표시장치용 유리기판 에지 그라인더 시스템
KR20030092812A (ko) * 2002-05-31 2003-12-06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시트 분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666B1 (ko) * 2013-04-12 2014-10-23 김태형 에지 그라인딩 장치
KR101475394B1 (ko) * 2013-04-18 2014-12-22 주식회사 피닉스아이앤씨 터치스크린용 유리 다층 면취 가공 시스템
EP3347165A4 (en) * 2015-09-08 2019-06-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ROTATING TOOL WITH ABRASIVE AGGLOMERATES
CN106501977A (zh) * 2016-12-27 2017-03-1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清洗机的导轮装置及清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8900B2 (ja) クリーンルーム環境下において、ガラス板のエッジを自動で研磨する装置及び方法
JP5162640B2 (ja) 板ガラスの搬送装置とそれを備えた面取り装置
TWI554461B (zh) 玻璃板搬運裝置及其搬運方法
KR101365074B1 (ko) 글라스용 면취 가공 시스템
CN102152206A (zh) 研磨装置、研磨方法、按压研磨具的按压部件
KR100853849B1 (ko)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커버 연마장치
CN100482411C (zh) 玻璃板边缘修整的方法和设备
JP2009095923A (ja) 研磨装置
CN108972248A (zh) 一种磨光机
KR20100049582A (ko) 연마 장치
KR101456617B1 (ko) 소형 글라스 연마시스템
KR101480685B1 (ko) 유리 기판 가공 장치
KR102331086B1 (ko)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테두리면 정밀 연마 정압조절 방법 및 그 장치
KR101462597B1 (ko) 글라스 면취시스템
JP2007038369A (ja) ガラス板端面加工装置
KR20150145503A (ko) 기판 폴리싱장치 및 방법
JP6562305B2 (ja)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713575B1 (ko) 면취 가공유닛 및 이를 이용한 면취 가공시스템
JP2014213419A (ja) ガラス板端面加工方法、および、ガラス板端面加工装置
JP3727300B2 (ja) 板材の面取装置
US11919122B2 (en) Polishing hea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processing method of substrate using the same
CN107265838B (zh) 划片设备
KR20190008177A (ko) 판유리의 제조 방법
KR101094318B1 (ko) 이형 글라스체 연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형 글라스체 연마 방법
KR20100026620A (ko) 평판 유리용 벨트형 엣지 폴리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