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974B1 - 적재물 상하차가 용이한 탑차 적재함 구조 - Google Patents

적재물 상하차가 용이한 탑차 적재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974B1
KR102578974B1 KR1020210084897A KR20210084897A KR102578974B1 KR 102578974 B1 KR102578974 B1 KR 102578974B1 KR 1020210084897 A KR1020210084897 A KR 1020210084897A KR 20210084897 A KR20210084897 A KR 20210084897A KR 102578974 B1 KR102578974 B1 KR 102578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weight
loading
main body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845A (ko
Inventor
유연상
Original Assignee
유연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연상 filed Critical 유연상
Priority to KR1020210084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974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62D33/048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for 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60P1/36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the chains or belts being fixed to a rigid pusher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58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by displacement of walls
    • B65D88/60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by displacement of walls of internal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4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flexible load carrier, e.g. a belt, which is wound up at one end and paid out at the 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0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foul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물 상하차가 용이한 탑차 적재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의 이동이 가능한 무빙 구조를 이룸으로써 적재물의 상.하차시 작업자가 적재함 내부로 진입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상.하차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적재물의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는 가운데 적재함 본체(10)의 후방 측에는 개폐도어(11)가 구비된 탑차 적재함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본체(10) 바닥면에는 양측의 회동축(21)을 중심으로 궤도 형태로 정,역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무빙 플로어(20)가 구성되고; 상기 무빙 플로(20)어 일측에는 이동벽체(30)가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연결 구성되며; 상기 적재함 본체(10)의 상부에는 이동벽체(30)의 전,후진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4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재물 상하차가 용이한 탑차 적재함 구조{Structure of loading box for easy loading and unloading}
본 발명은 탑차 적재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의 상차 및 하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신체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탑차 적재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용화물차의 적재함은 눈이나 비로부터 화물을 보호할 수 없고, 화물이 운반 중 쏠림현상 등에 의해 도로로 쉽게 쏟아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각종 화물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탑재 및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화물을 싣고 내리는 상.하차 작업이 편리하고 운송의 효율성이 높은 이른바 탑차, 윙바디 또는 밴형 화물자동차(van type truck) 등과 같은 각종 특수차량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특수차량은 대부분이 완성차 업체에서 출고한 상용화물차의 차대 위에 주로 상부가 막히고 측면 한쪽에 도어가 달린 박스형이나 컨테이너형으로 적재함을 조립 설치하는 방식으로 개조하여 제작한다.
특히, 최근에는 택배 물량이 증가하고 있는데 택배 차량에서 택배 물품을 상차 및 하차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좁은 적재함 내로 진입해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근골격계의 피로가 누적됨과 함께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371385호(2004.12.18.등록)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231184호(2001.05.03.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적재함의 상.하차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탑차 적재함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보다 안전한 상.하차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적재물의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는 가운데 적재함 본체의 후방 측에는 개폐도어가 구비된 탑차 적재함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본체의 바닥면에는 양측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궤도 형태로 정,역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무빙 플로어가 구성되고; 상기 무빙 플로어 일측에는 이동벽체가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연결 구성되며; 상기 적재함의 상부에는 이동벽체의 전,후진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탑차용 적재함은, 바닥면의 이동이 가능한 무빙 구조를 이룸으로써 적재물의 상.하차시 작업자가 적재함 내부로 진입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상.하차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한정된 공간의 적재함 내부에서 상.하차 작업을 실시함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 발생을 방지함과 함께 작업속도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탑차 적재함의 도어 개방 상태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적재함 후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적재함 내부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동 플로어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이동 플로어 동작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적재함 내부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적재함 후면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재물 상하차가 용이한 탑차 적재함 구조를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탑차 적재함은, 내부에 적재물의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는 가운데 적재함 본체(10)의 후방 측에 개폐도어(11)가 구비된 구조를 이루며, 상기 적재함 본체(10) 바닥면에는 양측의 회동축(21)을 중심으로 궤도 형태로 정,역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무빙 플로어(20)가 구성되고, 상기 무빙 플로어(20) 일측에는 이동벽체(30)가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연결 구성되며, 상기 적재함 본체(10)의 상부 천정면에는 이동벽체(30)의 전,후진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레일(40) 2개가 일정 간격을 이루어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무빙플로어(20)는 무한궤도 형태를 이루는 가운데 적재함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컨트롤 패널(50)의 동작제어에 의해 구동모터(미도시)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탑차 적재함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적재함 본체(10)에 적재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개폐도어(11)를 개방한 후 컨트롤 패널(50) 조작을 통해 하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이때에는 무빙 플로어(20)가 서서히 이동됨에 따라 바닥면에 적재된 적재물이 함께 출구 측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이동벽체(30)가 함께 이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적재물이 뒤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동벽체(30)는 상단부가 가이드레일(40)에 의해 지지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이동 과정에서 흔들림 발생을 방지하는 가운데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재함 본체(10)의 바닥면이 서서히 움직이는 무빙 플로어(20) 구조를 통하여 작업자는 물품의 상.하차를 위해 적재함 내부로 진입하지 않고 외부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물품을 상차시키는 과정에서도 무빙 플로어(20)를 반대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되도록 구동시킨 상태에서 상차 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탑차용 적재함은, 바닥면의 이동이 가능한 무빙 구조를 이룸으로써 적재물의 상.하차시 작업자가 적재함 내부로 진입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상.하차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한정된 공간의 적재함 내부에서 상.하차 작업을 실시함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 발생을 방지함과 함께 작업속도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동벽체(30) 상부에는 수직상태 지지를 위한 "ㄱ"형태의 단면 구조를 이루는 상부 지지구(31)가 구성된다.
또한, 이동벽체(30)에는 적재물의 보호를 위해 스펀지 재질로 다수의 완충블럭(32)이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고, 상기 완충블럭(32) 상호 간에는 완충그물(33)이 연결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상부 지지구(31)의 구성으로 인해 이동벽체(30)의 이동과정에서 앞쪽으로 쏠리거나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보다 안정적인 이동벽체(3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완충블럭(32) 및 완충그물(33)의 구성으로 인해 적재물이 이동벽체(30)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됨과 함께 완충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적재물 하차 과정에서 적재물의 파손 내지는 손상 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적재함 본체(10)의 내벽면에는 적재물이 이동과정에서 접촉에 따른 손상 및 오염 방지를 위한 보호층(12)이 코팅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호층(12)은 올레핀 수지 15~35중량%, 산화크롬 1~10중량%, 페녹시에탄올 10~20중량%,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10~30중량%, 폴리에틸렌 왁스 1~20중량%, 다이메톡시다이페닐실레인 1~10중량%, 소듐하이드록사이드 1~10중량%, 솔비탄 올리베이트 1~10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적재함 본체(10) 내벽면에 보호층(12)을 형성시키게 되면, 무빙 플로어(20) 구동에 따른 적재물이 적재함 내벽면에 접촉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적재물의 마찰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보호층(12)에는 페녹시에탄올 및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성분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살균 기능을 나타내어 표면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올레핀 수지는 보호층(12)의 탄력성을 향상시키고, 산화크롬은 촉매 기능을 통한 내구성을 강화하며, 소듐하이드록사이드는 올레핀 수지의 활성화에 따른 경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추가 첨가된 폴리에틸렌 왁스는 보호층(12)의 광택성을 향상시키고, 다이메톡시다이페닐실레인 및 솔비탄 올리베이트는 각각 표면 변색 및 산화 발생을 방지하는 진보된 작용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탑차 적재함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이동벽체의 이동을 상부에서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천정면에 2개로 구성된 상태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가이드레일의 설치 개수는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적재함 본체 11 : 개폐도어
20 : 무빙 플로어 21 : 회동축
30 : 이동벽체 40 : 가이드레일
50 : 컨트롤 패널

Claims (4)

  1. 내부에 적재물의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는 가운데 적재함 본체(10)의 후방 측에는 개폐도어(11)가 구비된 탑차 적재함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본체(10) 바닥면에는 양측의 회동축(21)을 중심으로 궤도 형태로 정,역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무빙 플로어(20)가 구성되고,
    상기 무빙 플로어(20) 일측에는 이동벽체(30)가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연결 구성되며,
    상기 적재함 본체(10)의 상부에는 이동벽체(30)의 전,후진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40)이 구성되고,
    상기 이동벽체(30) 상부에는 수직상태 지지를 위한 "ㄱ"형태의 단면 구조를 이루는 상부 지지구(31)가 구성되며,
    상기 이동벽체(30)에는 적재물의 보호를 위한 다수의 완충블럭(32)이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고, 상기 완충블럭(32) 상호 간에는 완충그물(33)이 연결 구성되며,
    상기 적재함 본체(10)의 내벽면에는 적재물이 이동과정에서 접촉에 따른 손상 및 오염 방지를 위한 보호층(12)이 코팅 형성되되, 상기 보호층(12)은 올레핀 수지 15~35중량%, 산화크롬 1~10중량%, 페녹시에탄올 10~20중량%,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10~30중량%, 폴리에틸렌 왁스 1~20중량%, 다이메톡시다이페닐실레인 1~10중량%, 소듐하이드록사이드 1~10중량%, 솔비탄 올리베이트 1~10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상하차가 용이한 탑차 적재함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84897A 2021-06-29 2021-06-29 적재물 상하차가 용이한 탑차 적재함 구조 KR102578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897A KR102578974B1 (ko) 2021-06-29 2021-06-29 적재물 상하차가 용이한 탑차 적재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897A KR102578974B1 (ko) 2021-06-29 2021-06-29 적재물 상하차가 용이한 탑차 적재함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845A KR20230001845A (ko) 2023-01-05
KR102578974B1 true KR102578974B1 (ko) 2023-09-15

Family

ID=84926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897A KR102578974B1 (ko) 2021-06-29 2021-06-29 적재물 상하차가 용이한 탑차 적재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9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400B1 (ko) * 2018-10-22 2019-04-26 정규원 내장탑차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8343A (en) * 1974-12-30 1976-12-21 Fors Vernen E Cargo moving apparatus for trucks
KR100231184B1 (ko) 1996-11-30 1999-11-15 엄길용 평판 디스플레이용 게터
KR100371385B1 (ko) 2000-07-12 2003-02-06 김종민 실내 스키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400B1 (ko) * 2018-10-22 2019-04-26 정규원 내장탑차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845A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20121202A (ru) Конструкция багажного отсе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промышл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CN101372240B (zh) 用于乘用车辆的改进的货物入口及保持系统
JP3724588B2 (ja) 上部構造付きボディ
JP4879011B2 (ja) 貨物自動車の貨物落下防止装置
CN112896213A (zh) 一种轨道车辆及轨道车辆的运输系统
KR102578974B1 (ko) 적재물 상하차가 용이한 탑차 적재함 구조
US2587456A (en) Convertible automobile and general freight carrying trailer
CN207157318U (zh) 汽车车厢及应用该汽车车厢的汽车
JP7028451B2 (ja) 車載式荷役装置
CN109466396A (zh) 一种货物运输车厢
CN112277977B (zh) 散粒货物运输车
KR101537003B1 (ko)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FI90844C (fi) Monikäyttöinen rautatievaunu
KR100641030B1 (ko)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시스템의 하역 처리방법 및 장치
JP3294970B2 (ja) 車両用荷崩れ防止装置
RU53985U1 (ru) Кузов-фургон для перевозки продуктов в контейнерах, оборудованных колесами
JPH0310105Y2 (ko)
JP3146038U (ja) クレーン付自動車
CN210212487U (zh) 工具车车厢的翻转机构及相应的工具车车厢
JP3092430B2 (ja)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JP7367648B2 (ja) 配送用車両
KR100229269B1 (ko) 화물차용 적재함의 적재물 승하강 장치
KR20170109991A (ko) 컨테이너 내용물 하역기계
JPH0415550Y2 (ko)
JP2019073181A (ja) 車両用幌装置、及び幌付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