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185B1 -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 - Google Patents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185B1
KR102578185B1 KR1020230053378A KR20230053378A KR102578185B1 KR 102578185 B1 KR102578185 B1 KR 102578185B1 KR 1020230053378 A KR1020230053378 A KR 1020230053378A KR 20230053378 A KR20230053378 A KR 20230053378A KR 102578185 B1 KR102578185 B1 KR 102578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ight
block
guide frame
pickup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3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석
Original Assignee
최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석 filed Critical 최태석
Priority to KR1020230053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07Connections of movable or detachable racks or stanchions to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6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at vehicle front or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8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comprising adjustabl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업트럭 캐빈(10)의 데크면에 고정되는 지지부(110), 지지부(110)의 일측에 회전하도록 결합된 제1회전승강부(120), 제1회전승강부(120)를 회전승강시켜 가이드프레임(124)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제1승강구동부, 지지부(110)의 타측에 회전하도록 결합된 제2회전승강부(140), 제2회전승강부(140)를 회전승강시켜 가이드프레임(124)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제2승강구동부, 및 회전프레임(122)의 중앙과 가이드프레임(124)의 종단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가이드프레임(124)의 높이조절에 따라 회전프레임(122)과의 각도가 조절되어 가이드프레임(124)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160)를 포함하여, 다양한 구조물을 가이드프레임(124)의 상단에 안착시키고 승강높이를 조절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HEIGHT CONTROLLING RACK FOR PICKUP TRUCK}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물을 가이드프레임의 상단에 안착시키고 승강높이를 조절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픽업트럭의 적재함에 다양한 캠핑용 장비를 실을 수 있도록 베드랙(bed rack)이 추가 설치되는데, 야외 취미활동의 증가로 인해 이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한편,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56122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종래기술에 의한 픽업트럭용 시스템 베드랙은, 적재함에 볼트로 고정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4개의 세로프레임과, 상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부프레임에는 평판형 커버가 착탈될 수 있어서, 픽업트럭 천장의 높이만큼 베드랙을 설치하여 픽업트럭에 설치하기가 어려운 루프탑텐트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하지만, 하부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조로서, 특정 차종의 픽업트럭에만 적용되는 한계가 있고, 픽업트럭 적재함의 격벽에 타공하여 하부프레임과 직접 볼트체결하여 결합시켜서, 높이조절이 불가능하여 파이프, 각목 등의 구조물을 차체 루프와의 간섭없이 적재하기 쉽지 않으며, 캐빈보다 부피가 상대적으로 큰 구조물의 경우, 자체 높이로 인해 주행중 공기저항에 노출되어 연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6572호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 2020.01.15)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4200호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2016.11.0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56122호 (픽업트럭용 시스템 베드랙, 2022.02.08)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구조물을 가이드프레임의 상단에 안착시키고 승강높이를 조절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픽업트럭 캐빈의 데크면에 차체길이방향으로 대향하여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지부; 상기 각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힌지홀더와, 상기 힌지홀더에 일정각도로 힌지회전하도록 결합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대향하는 회전프레임의 각 상단에 결합되고 중앙에 볼트홀이 관통 형성된 제1부시블록과, 상기 제1부시블록의 좌우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1회전승강부; 상기 대향하는 제1부시블록의 볼트홀에 나사체결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역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스터드볼트와, 상기 스터드볼트의 종단에 고정된 볼트헤드가 노출되도록 지지하는 삽입블록으로 구성되어, 상기 볼트헤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부시블록이 좌우 슬라이딩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제1승강구동부; 상기 각 고정프레임의 타측에 각각 형성된 힌지홀더와, 상기 힌지홀더에 일정각도로 힌지회전하도록 결합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대향하는 회전프레임의 각 상단에 결합되고 중앙에 볼트홀이 관통 형성된 제2부시블록과, 상기 제2부시블록의 좌우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2회전승강부; 상기 대향하는 제2부시블록의 볼트홀에 나사체결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역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스터드볼트와, 상기 스터드볼트의 종단에 고정된 볼트헤드가 노출되도록 지지하는 삽입블록으로 구성되어, 상기 볼트헤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부시블록이 좌우 슬라이딩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제2승강구동부; 및 상기 회전프레임의 중앙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종단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높이조절에 따라 상기 회전프레임과의 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하는,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승강구동부 및 상기 제2승강구동부는, 각각, 상기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중앙블블록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부시블록 및 상기 제2부시블록의 좌우에 각각 고정된 가이드블록의 좌우 슬라이딩을 지지하는 제1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치 전동드라이버 또는 수동 토크렌치에 의해 상기 볼트헤드를 회전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양단에 일정높이로 연장되어 각각 결합되는 사이드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된 스토퍼핀의 회전을 제한하는 원호형상의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레일과, 상기 제2레일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하는 레일블록과, 상기 레일블록의 상단에 시소구조로 일정각도범위내에서 기울어지는 시소프레임과, 상기 시소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어 루프탑텐트의 지지바가 안착되는 안착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루프랙;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힌지홀더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승강부와 상기 제2회전승강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 사이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사이드프레임이 구조물의 측면을 압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소프레임의 저면 양단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레일블록의 상단에서의 상기 시소프레임의 기울기각도를 일정각도범위에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의 상단 내측면에는 후크고리 또는 패드아이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랙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여 사다리, 관재, 각목, 자전거, 카약, 스노우보드 등을 루프 또는 캐빈과의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할 있으며, 주행중 공기저항을 줄이고자 랙의 높이를 낮추더라도 측면지지부에 의해 고하중의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쉽게 쳐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의 정면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의 측면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의 회전승강부를 분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의 저면 사시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의 승강 작동을 예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1의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의 루프랙을 예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1의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의 적용을 예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1의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의 일부 분해도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은, 전체적으로, 픽업트럭 캐빈(10)의 데크면에 고정되는 지지부(110), 지지부(110)의 일측에 회전하도록 결합된 제1회전승강부(120), 제1회전승강부(120)를 회전승강시켜 가이드프레임(124)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제1승강구동부, 지지부(110)의 타측에 회전하도록 결합된 제2회전승강부(140), 제2회전승강부(140)를 회전승강시켜 가이드프레임(124)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제2승강구동부, 및 회전프레임(122)의 중앙과 가이드프레임(124)의 종단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가이드프레임(124)의 높이조절에 따라 회전프레임(122)과의 각도가 조절되어 가이드프레임(124)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160)를 포함하여, 다양한 구조물을 가이드프레임(124)의 상단에 안착시키고 승강높이를 조절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의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을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지부(110)는 캐빈(10)의 데크면에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도 1을 참고하면, 픽업트럭의 후방에 배치된 캐빈(10)의 데크면에, 차체길이방향으로 데크면의 폭만큼 이격되어 대향하여,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111)과, 고정프레임(111) 사이에 결합되는 가로프레임(112)으로 구성되어서, 캐빈(10)의 데크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고정프레임(111)은 볼트홀(111a)을 통한 볼트체결 또는 후크체결에 의해 고정되거나 용접되어 고정될 수도 있으며, 가로프레임(112)의 양단은 고정프레임(111)의 종단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고 볼트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음, 제1회전승강부(120)는 일정각도범위내에서 회전하여 승강하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각 고정프레임(111)의 일측에 각각 고정되어 형성된 힌지홀더(121)와, 힌지홀더(121)에 일정각도로 힌지회전하도록 결합되는 회전프레임(122)과, 대향하는 회전프레임(122)의 각 상단에 결합되고 스터드볼트(131)와 체결되도록 중앙에 볼트홀이 관통 형성된 제1부시블록(123)과, 제1부시블록(123)의 좌우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12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1회전승강부(120)의 구성에 의해서, 필요에 따라, 양단의 회전프레임(122)을 승강시켜 가이드프레임(124)의 높이를 가변시켜서, 가이드프레임(124)의 상단에 적재되는 사다리, 관재, 루프탑 텐트 등의 구조물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제1승강구동부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대향하는 제1부시블록(123)의 볼트홀에 나사체결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역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스터드볼트(131)와, 스터드볼트(131)의 종단에 고정된 볼트헤드(132)가 노출되도록 지지하는 삽입블록(133)으로 구성되어, 볼트헤드(132)의 회전에 따른 스터드볼트(131)의 회전에 따라 한쌍의 제1부시블록(123)이 마주보며 좌우 슬라이딩하여 회전프레임(122)의 회전각도가 가변되어 가이드프레임(124)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다.
즉, 스터드볼트(131)는 시계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제1스터드볼트(131a)와 반시계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제2스터드볼트(131b)로 좌주에 각각 구분되어 형성되어,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볼트헤드(132)에 의한 회전에 의해 대향하는 한쌍의 제1부시블록(123)이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좌우 슬라이딩하여 회전프레임(122)의 회전각도를 가변시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제2회전승강부(140)는 일정각도범위내에서 회전하여 승강하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도 1,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각 고정프레임(111)의 타측에 각각 고정되어 형성된 힌지홀더(141)와, 힌지홀더(141)에 일정각도로 힌지회전하도록 결합되는 회전프레임(142)과, 대향하는 회전프레임(142)의 각 상단에 결합되고 스터드볼트(151)와 체결되도록 중앙에 볼트홀이 관통 형성된 제2부시블록(143)과, 제2부시블록(143)의 좌우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14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2회전승강부(140)의 구성에 의해서, 필요에 따라, 양단의 회전프레임(142)을 승강시켜 가이드프레임(144)의 높이를 가변시켜서, 가이드프레임(144)의 상단에 적재되는 사다리, 관재, 루프탑 텐트 등의 구조물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제2승강구동부는,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제1승강구동부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구체적으로, 제2부시블록(143)의 볼트홀에 나사체결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역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스터드볼트(151)와, 스터드볼트(151)의 종단에 고정된 볼트헤드(152)가 노출되도록 지지하는 삽입블록(153)으로 구성되어, 도 6에서와 같이, 볼트헤드(152)의 회전에 따른 스터드볼트(151)의 회전에 따라 한쌍의 제2부시블록(143)이 마주보며 좌우 슬라이딩하여 회전프레임(142)의 회전각도가 가변되어 가이드프레임(144)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다.
즉, 스터드볼트(151)는 시계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제2스터드볼트(151a)와 반시계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제2스터드볼트(151b)로 좌주에 각각 구분되어 형성되어,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볼트헤드(152)에 의한 회전에 의해 대향하는 한쌍의 제2부시블록(143)이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좌우 슬라이딩하여 회전프레임(142)의 회전각도를 가변시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제1승강구동부 및 제2승강구동부는, 각각, 스터드볼트(131)가 관통하여 지지되는 중앙블블록(134,154)과, 가이드프레임(124,144)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부시블록(123) 및 제2부시블록(143)의 좌우에 각각 고정된 가이드블록(G)의 좌우 슬라이딩을 지지하는 제1레일(135,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앙블블록(134,154)은 스터드볼트(131)의 아이들회전을 지지하고 변형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렌치 전동드라이버 또는 수동 토크렌치에 의해 볼트헤드(132,152)를 회전구동시키도록 하거나, 볼트헤드(132,152)에 체결된 별도의 구동축과,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여 스위치조작에 의해 볼트헤드(132,152)를 회전구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측면지지부(160)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회전프레임(122,142)의 중앙과 가이드프레임(124,144)의 종단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가이드프레임(124,144)의 높이조절에 따라 회전프레임(122,142)과의 각도가 조절되어 가이드프레임(124,144)을 지지하도록 하여서, 고하중의 구조물이 가이드프레임(124,144)의 상단에 안착되어도 가이드프레임(124,144)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회전프레임(122,142)이 쳐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가이드프레임(124)의 양단에 일정높이로 연장되어 각각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사이드프레임(S)을 더 포함하여서, 필요에 따라, 적재되는 구조물의 측면이 사이드프레임(S)에 의해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좌우 요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운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이드프레임(S)과 가이드프레임(124,144) 사이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torsion coil spring)이 개재되어 탄성력에 의해 사이드프레임(S)이 구조물의 측면을 압박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프레임(S)에는 가이드프레임(124,144)의 양단에 결합된 스토퍼핀(P)의 회전을 제한하는 원호형상의 가이드홀(H)이 형성되어서, 가이드프레임(124,144)의 하강위치와 상승위치를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루프랙(170)은,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124,144)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레일(171)과, 제2레일(171)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하는 레일블록(172)과, 레일블록(172)의 상단에 시소구조로 일정각도범위내에서 기울어지는 시소프레임(173)과, 시소프레임(173)의 상단에 고정되어 루프탑텐트의 지지바 또는 자전거의 휠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안착프레임(174)으로 구성된다.
이에, 제1회전승강부(120)의 가이드프레임(124)의 높이조절과, 제2회전승강부(140)의 가이드프레임(144)의 높이조절은 연동할 수도 있으나, 개별적으로 이루어져서 제1회전승강부(120)의 가이드프레임(124)과 제2회전승강부(140)의 가이드프레임(144) 사이에 경사가 생길 수 있어, 경사도에 따라 시소프레임(173)이 회전하여 루프탑텐트의 지지바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루프탑텐트의 지지바의 이격거리에 따라 레일블록(172)은 제2레일(171)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하여 폭을 조절하여서, 루프탑텐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거나, 2대 이상의 자전거를 간섭없이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시소프레임(173)의 저면 양단에는 스토퍼(175)가 각각 형성되어, 레일블록(172)의 상단에서의 시소프레임(173)의 좌우 기울기각도를 일정각도범위에서 제한하도록 하고, 스토퍼(175)와 레일블록(172) 사이에 코일 스프링(미도시)이 개재되어 스토퍼(175)와 레일블록(172) 사이의 과도한 충격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을 참고하면, 각 힌지홀더(121)는 롤러(미도시)를 통해 고정프레임(111)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하도록 결합되고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서, 제1회전승강부(120)와 제2회전승강부(14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구조물의 길이에 따라 이격거리를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회전프레임(122,142)의 상단 내측면에는 후크고리 또는 패드아이(K)가 형성되어서 회전프레임(122,142)의 사이공간에 다양한 물품을 거치하여 수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의 구성에 의해서, 랙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여 사다리, 관재, 각목, 자전거, 카약, 스노우보드 등을 루프 또는 캐빈과의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할 있으며, 주행중 공기저항을 줄이고자 랙의 높이를 낮추더라도 측면지지부에 의해 고하중의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쉽게 쳐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지지부 111 : 고정프레임
112 :가로프레임 120 : 제1회전승강부
121 : 힌지홀더 122 : 회전프레임
123 : 제1부시블록 124 : 가이드프레임
131 : 스터드볼트 132 : 볼트헤드
133 : 삽입블록 140 : 제2회전승강부
141 : 힌지홀더 142 : 회전프레임
143 : 제2부시블록 144 : 가이드프레임
151 : 스터드볼트 152 : 볼트헤드
153 : 삽입블록 160 : 측면지지부
170 : 루프랙 171 : 제2레일
172 : 레일블록 173 : 시소프레임
174 : 안착프레임 175 : 스토퍼

Claims (10)

  1. 픽업트럭 캐빈의 데크면에 차체길이방향으로 대향하여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지부;
    상기 각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힌지홀더와, 상기 힌지홀더에 일정각도로 힌지회전하도록 결합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대향하는 회전프레임의 각 상단에 결합되고 중앙에 볼트홀이 관통 형성된 제1부시블록과, 상기 제1부시블록의 좌우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1회전승강부;
    상기 대향하는 제1부시블록의 볼트홀에 나사체결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역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스터드볼트와, 상기 스터드볼트의 종단에 고정된 볼트헤드가 노출되도록 지지하는 삽입블록으로 구성되어, 상기 볼트헤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부시블록이 좌우 슬라이딩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제1승강구동부;
    상기 각 고정프레임의 타측에 각각 형성된 힌지홀더와, 상기 힌지홀더에 일정각도로 힌지회전하도록 결합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대향하는 회전프레임의 각 상단에 결합되고 중앙에 볼트홀이 관통 형성된 제2부시블록과, 상기 제2부시블록의 좌우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2회전승강부;
    상기 대향하는 제2부시블록의 볼트홀에 나사체결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역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스터드볼트와, 상기 스터드볼트의 종단에 고정된 볼트헤드가 노출되도록 지지하는 삽입블록으로 구성되어, 상기 볼트헤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부시블록이 좌우 슬라이딩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제2승강구동부; 및
    상기 회전프레임의 중앙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종단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높이조절에 따라 상기 회전프레임과의 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양단에 일정높이로 연장되어 각각 결합되는 사이드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구동부 및 상기 제2승강구동부는, 각각, 상기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중앙블블록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부시블록 및 상기 제2부시블록의 좌우에 각각 고정된 가이드블록의 좌우 슬라이딩을 지지하는 제1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
  3. 제1항에 있어서,
    렌치 전동드라이버 또는 수동 토크렌치에 의해 상기 볼트헤드를 회전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된 스토퍼핀의 회전을 제한하는 원호형상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레일과, 상기 제2레일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하는 레일블록과, 상기 레일블록의 상단에 시소구조로 일정각도범위내에서 기울어지는 시소프레임과, 상기 시소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어 루프탑텐트의 지지바가 안착되는 안착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루프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힌지홀더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승강부와 상기 제2회전승강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 사이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사이드프레임이 구조물의 측면을 압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프레임의 저면 양단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레일블록의 상단에서의 상기 시소프레임의 기울기각도를 일정각도범위에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의 상단 내측면에는 후크고리 또는 패드아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
KR1020230053378A 2023-04-24 2023-04-24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 KR102578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3378A KR102578185B1 (ko) 2023-04-24 2023-04-24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3378A KR102578185B1 (ko) 2023-04-24 2023-04-24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185B1 true KR102578185B1 (ko) 2023-09-12

Family

ID=88019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3378A KR102578185B1 (ko) 2023-04-24 2023-04-24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18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2718A1 (en) * 2003-05-20 2004-11-25 Kerns Christopher Lynn Pickup truck recreational equipment rack
US7464977B1 (en) * 2007-03-16 2008-12-16 Price Brent A Elevating long cargo support assembly for pickup truck
KR101674200B1 (ko) 2015-04-16 2016-11-09 주식회사 한잠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CN107554399A (zh) * 2017-09-30 2018-01-09 林桂炳 车辆扩展空间升降装置
KR102066572B1 (ko) 2017-12-19 2020-01-15 (주)화담알앤알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
KR102356122B1 (ko) 2021-07-12 2022-02-08 김수환 픽업트럭용 시스템 베드랙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2718A1 (en) * 2003-05-20 2004-11-25 Kerns Christopher Lynn Pickup truck recreational equipment rack
US7464977B1 (en) * 2007-03-16 2008-12-16 Price Brent A Elevating long cargo support assembly for pickup truck
KR101674200B1 (ko) 2015-04-16 2016-11-09 주식회사 한잠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CN107554399A (zh) * 2017-09-30 2018-01-09 林桂炳 车辆扩展空间升降装置
KR102066572B1 (ko) 2017-12-19 2020-01-15 (주)화담알앤알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
KR102356122B1 (ko) 2021-07-12 2022-02-08 김수환 픽업트럭용 시스템 베드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2830A (en) Motor vehicle and boat trailer
US7931433B2 (en) Apparatus for level ride lift
US4881859A (en) Trailer for selectively transporting vehicles and general freight
JP2000500096A (ja) 可動性の補助床を付与する道路車両用の構造装置
KR100545141B1 (ko) 광폭 판체 적재용 각도 가변 장치
US11130436B2 (en) Vehicle hauling apparatus
KR101464806B1 (ko) 판 형상 화물의 수송용 날개식 컨테이너 및 그것을 적재하는 트레일러
KR102578185B1 (ko)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
US7226116B2 (en) Recreational vehicle full wall slide-out
US8448735B2 (en) Cab tilt with multifunction flag pin and locking cylinder
CA2993863C (en) Truck bed lift
JP2667232B2 (ja) 数台の自動車を停車させるための装置
US20060119135A1 (en) Tower structure supporting bed on frame
US7267392B1 (en) Utility trailer transport assembly
JP4121023B2 (ja) ステップ一体型荷受台昇降装置
KR101650889B1 (ko)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
KR102148135B1 (ko) 지지롤러를 구비한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KR20200118348A (ko)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 및 대차어셈블리
KR102586221B1 (ko) 셀프로더
KR102584884B1 (ko) 차량용 버켓
JP4133763B2 (ja) 荷受台昇降装置の突入防止装置
JP3233378U (ja) 車両荷室
JP4248361B2 (ja) 荷受台昇降装置
US20220410785A1 (en) Torsion bar bracket with bushing
JP2008511486A (ja) 部分昇降式荷積みプラットフォ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