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135B1 - 지지롤러를 구비한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 Google Patents

지지롤러를 구비한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135B1
KR102148135B1 KR1020180166088A KR20180166088A KR102148135B1 KR 102148135 B1 KR102148135 B1 KR 102148135B1 KR 1020180166088 A KR1020180166088 A KR 1020180166088A KR 20180166088 A KR20180166088 A KR 20180166088A KR 102148135 B1 KR102148135 B1 KR 102148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lift
vehicle
roller
support
tow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005A (ko
Inventor
최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Priority to KR1020180166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135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only part of the vehicle, e.g. front- or rear-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145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consisting of an elongated single bar or tube
    • B60D1/155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consisting of an elongated single bar or tube comprising telescopic or fold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8Semi-trailers, articulat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더리프트가 장착된 견인차량에 있어서, 언더리프트 수직붐과 보강플레이트 사이에 지지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원 발명은 차량 후부(後部)에 언더리프트 장치가 구비된 견인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샤시 위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빔 및 제2빔; 상기 제1빔 및 제2빔의 단부에 일체로서 연결되는 보강플레이트;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 사이에는 지지블럭이 구비되어 양 보강플레이트를 지지하되, 상기 지지블럭과 언더리프트의 수직붐 사이에 지지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리프트장치를 구비한 견인차량의 프레임구조이다.

Description

지지롤러를 구비한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THE UNDERLIFT TOW TRUCK WITH BOOM SUPPORTING ROLLERS}
본 발명은 언더리프트가 구비된 견인차량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언더리프트 수직붐과 보강플레이트의 지지블럭 사이에 지지롤러가 구비되어 사고차량의 하중에 대한 견인차량 프레임의 뒤틀림 저항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프레임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언더리프트 장치는 견인차량의 후부(後部) 프레임에 설치되어 고장차량, 사고차량 또는 불법주차 차량 등의 하중물(이하 ‘사고차량’이라 한다)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하부에서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차량을 견인하기 위한 장치이다. 견인차량 전부(前部)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윈치 또는 크레인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사고차량의 하부를 지지하는 언더리프트의 지지부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견인차량이 하중물을 견인하게 되는 경우, 큰 하중이 견인차량의 후부(後部)에 작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서 견인차량의 무게중심이 뒤쪽으로 쏠리게 되므로, 운행중 사고의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가능한한 언더리프트 장치를 견인차량 후부에서 앞쪽으로 설치하기 위해 수용홈이 형성된 프레임을 이용한다.
언더리프트는 상기 프레임의 수용홈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여 견인차량의 무게중심이 앞쪽에서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역학적 무게중심으로 고려하여 문헌 1의 견인차량에서도 프레임의 중앙부에 요홈부를 형성하고 이 부분에 언더바리프를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언더리프트 장치는 견인차량의 뒷바퀴에 매우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게 된다.
즉, 견인차량의 후부(後部) 프레임은 양쪽으로 양분된 프레임 구조를 가지고 그 중앙에 언더리프트 장치가 설치되게 된다. 이는 대형사고차량의 견인을 위한 대형견인차량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대형사고차량은 교통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에 빠른 시간안에 견인을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그러나 견인차량은 사고차량을 언더리프트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운행하게 되는데, 견인차량이 운행시에 특히, 회전운행시에 사고차량의 하중에 의해서 언더리프트가 한쪽으로 쏠림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대형차량을 견인해야 하는 경우에는 더욱 언더리프트에 작용하는 힘이 크게 되므로, 그로 인해 발생하는 뒤틀림 응력은 더욱 커지게 된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필요성에 의해서 제안된 것이다.
(문헌 0001) 국내공개특허 제10-1093161호 (2011.12.06.)
본원 발명은 언더리프트가 구비된 견인차량에 있어서, 특히 트럭, 트레일러와 같은 대하중차량을 견인해야 하는 견인차량을 위한 언더리프트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롤러에 의해서 지지되는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지지롤러가 구비된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에 있어서, 언더리프트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롤러 사이의 간격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조절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량 후부(後部)에 언더리프트 장치가 구비된 견인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샤시 위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빔 및 제2빔;
상기 제1빔 및 제2빔의 단부에 일체로서 연결되는 보강플레이트;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 사이에는 지지블럭이 구비되어 보강플레이트를 지지하되,
상기 지지블럭과 언더리프트의 수직붐 사이에 지지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이다.
한편, 상기 지지롤러는,
후방이 상기 지지블럭에 의해서 접촉 지지되는 ㄷ 자형 브라켓;
회전축에 의해서 상기 브라켓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전방의 개방부를 통해서 언더리프트의 수직붐을 접촉 지지하는 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롤러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회전축에 의해서 상기 ㄷ자형 브라켓의 양측면에 구비된 장공에 의해서 축지지되되,
상기 브라켓의 후방을 관통하고 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접촉되는 볼트의 조정을 통해서 상기 롤러를 가압하도록 하여 상기 롤러가 상기 장공을 따라서 수평이동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원 발명의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은 양측의 제1빔과 제2빔 사이를 연결해주는 보강플레이트와 언더리프트 수직붐 사이에 지지롤러를 부가됨으로 인해서 언더리프트가 지지롤러에 의해서 지지되고 운행중 수직붐의 쏠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은 상기 지지롤러와 언더리프트 수직붐 사이의 간격조정이 용이하도록 간격조절수단을 더 부가하여 언더리프트의 측면과 지지롤러의 롤러사이의 접촉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프레임 측면도
도 2는 본원발명의 견인차량 언더리프트와 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본원발명의 견인차량 언더리프트와 지지롤러 설치 사시도 및 확대도
도 4는 본원발명의 견인차량 언더리프트와 지지롤러 설치 평면도
도 5는 본원발명의 지지롤러 사시도
본원 발명은 차량의 후부(後部)에 설치된 수용부가 구비된 견인차량에 있어서, 언더리프트의 측면을 양쪽에서 지지하는 지지롤러를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견인차량이 운행시에, 특히 회전운행시에 차량을 견인하고 있는 언더리프트 장치가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서 언더리프트 장치의 흔들림이나 튀틀림을 방지하여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지지롤러가 구비된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을 제안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언더리프트 지지롤러(50)를 구비한 견인차량 프레임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2는 견인차량의 후부(後部) 샤시에 설치되는 베이스(10) 및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빔(11, 12), 상기 빔의 단부에 고정되는 보강플레이트(40), 그리고 상기 빔 사이에 설치된 언더리프트(20)를 포함하는 견인차량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의 양측면에는 대형크레인의 작동시에 외부하중에 대해서 차체의 균형을 지지해주는 아웃트리거(3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부(前部)와 후부(後部)에 각각 배치되며 차량의 길이에 따라서 중간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아웃트리거는 견인차량에 구비된 대형크레인의 운전시에 차량의 균형을 유지하며 차량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대형 붐을 포함하는 대형크레인(미도시)이 베이스 전부(前部)에 구비된 크레인설치부(60)에 설치된다.
베이스 중간부에는 윈치(26)가 구비되어서 케이블(미도시)을 풀고 당기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윈치(26)가 권취되는 과정을 통해서 케이블이 케이블지지부(27)을 관통하게 되고, 케이블 단부의 후크(미도시)는 언더바 지지부(21) 등에 걸려 차량을 들어올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10)의 양측에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베이스의 강도를 높여주는 빔(11,12)이 구비되되, 양측에 각각 제1빔과 제2빔이 구비된다. 바람하게 제1빔과 제2빔은 굽힘강도와 뒤틀림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사각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각단면 빔들은 차량의 양측에 구비되되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게 되며, 이 사각단면의 빔은 큰 견인하중으로부터 견인차량을 견고하게 지탱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견인상태에서 차량이 이동하게 되면, 더욱 큰 굽힘하중과 뒤틀림하중이 빔 및 베이스에 가해지기 때문이다. 상기 제1빔과 제2빔 상에는 붐받침대(13, 14)가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데릭실린더에 의해서 회동붐(25)이 베이스에 고정된 회전축(도면부호 없음)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견인중에도 회동붐이 소정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붐받침대(13, 14)는 상방향으로 향한 받침대 상에 환봉을 결합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회동붐이 하중에 의해서 내려앉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의 사각단면 빔들은 언더리프트를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갈라져 배치되며, 양측의 빔들이 더 큰 견인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빔들의 단부를 보강플레이트(40)로 고정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 사이에는 후방의 아웃트리거(30)가 배치되도록 하여, 아웃트리거와 보강플레이트가 일체로 구성되어서 더욱 견고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보강플레이트(40)는 바람직하게 두 겹이상을 구비하되 후면플레이트(42)와 전면플레이트(41)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지지블럭(42)에 의해서 더욱 보강되는 힘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언더리프트에 과부하가 작용하더라도 충분히 베이스 및 빔의 구조가 견디어 낼 수 있게 된다.
상기 사각 빔 사이에 설치되는 언더리프트 장치는 일단이 차체 위의 프레임에서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견인대상차량의 언더바와 같은 차량하체에 설치된다. 언더리프트장치의 언더바지지부는 견인대상차량의 언더바에 설치된 상태에서 프레임 사이에서 구비되어 일정 각도로 회동하면서 언더바를 상부로 밀어올리게 되며, 또한 견인차량의 프레임에 함께 설치되어 구동되는 케이블에 의해서 상부로 들어 올려진다.
상기 언더리프트(20) 장치가 구비된 견인차량은 더불어 대형 차량을 이동시켜야 할 경우를 위하여 대형크레인이 포함되고, 베이스 양측으로 아웃트리거가 함께 구비된다. 아웃트리거는 평상시에는 수축되어 있다가 크레인이 작동시에 펼쳐져서 견인차량의 중심을 잡아주고 견인하중에 의해서 견인차량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도 4는 보강플레이트와 언더리프트 사이에 지지롤러가 배치되어 고정된 구조를 평면도를 통해서 보여준다. 양측의 사각단면의 빔(11, 12)들은 상기 보강플레이트들 중에서 인접한 각각의 후면플레이트와 용접되어 결합되되 언더리프트의 수직붐(24)을 사이에 두고 구비된다. 이로 써 커다란 외부의 견인하중을 견딜 수 있게 한다. 전면플레이트는 후면플레이트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일체화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후면플레이트와 전면플레이트 사이에는 지지블럭이 용접되고 고정되어 있어서 언더리프트 양측에 구비된 차체 구조물의 강도를 강화시킨다. 특히 지지롤러는 전면플레이트(41)와 후면플레이트(42) 사이의 지지블럭에 의해서 후방의 브라켓(51)이 지지되고 전방의 롤러(53)는 언더리프트의 측면에 접촉되어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롤러는 ㄷ 자형 브라켓(51)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53)를 구비하고, 상기 ㄷ자형 브라켓(51)은 개방부를 통해서 롤러가 언더리프트(20)의 수직붐(24)에 접촉되며, 브라켓의 후부에 의해서 상기 지지블럭(43)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상기 지지롤러는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의 후방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볼트;
상기 ㄷ 자형 브라켓의 측면에 구비된 장공;
상기 장공을 통해서 지지되는 롤러의 회전축(52);를 구비하되,
상기 볼트의 길이방향 이동으로 롤러의 회전축이 가압되도록 하는 것이다.
삭제
상기 롤러의 회전축에는 커버가 구비되고 커버에는 상기 볼트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요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지지롤러(50)의 상세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ㄷ 자형 브라켓(51) 내부에 롤러(53)가 배치되되 개방된 부분을 향해서 롤러(53)가 돌출되어 언더리프트의 수직붐(24) 측면에 접촉지지되도록 하고, 롤러의 회전축(52)은 브라켓 양측으로 관통하여 회전되며 브라켓 외부에서 너트에서 의해서 롤러의 회전축이 고정된다. 롤러의 회전축은 브라켓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롤러의 이동은 브라켓 후방에 구비된 롤러위치 조절을 위한 볼트에 가압되어서 롤러의 축을 양쪽에서 밀어주게 된다.
10 : 베이스
11 : 제1빔
12 : 제2빔
20 : 언더리프트
21 : 지지부
22 : 연결부
23 : 지지붐
24 : 수직붐
25 : 회동붐
26 : 윈치
27 : 케이블지지부
30 : 아웃트리거
40 : 보강플레이트
41 : 전면플레이트
42 : 후면플레이트
43 : 지지블럭
44 : 리세스
50 : 지지롤러
51 : 브라켓
52 : 회전축
53 : 롤러
54 : 체결너트
55 : 볼트
60: 크레인 설치부

Claims (4)

  1. 차량 후부(後部)에 크레인과 언더리프트 장치가 구비된 견인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샤시 위에 설치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양측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빔(11) 및 제2빔(12);
    상기 제1빔(11) 및 제2빔(12)의 단부에 일체로서 수직하게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40);를 구비하되,
    상기 보강플레이트(40)는 전면플레이트(41)와 후면플레이트(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플레이트(41)와 후면플레이트(42) 사이에는 지지블럭(43)이 구비되어 양 보강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블럭(43)과 언더리프트(20)의 수직붐(24) 사이에는 지지롤러(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50)는,
    후면이 상기 지지블럭에 의해서 접촉 지지되는 ㄷ 자형 브라켓(51);
    회전축(52)에 의해서 상기 브라켓(51)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전면의 개방부를 통해서 언더리프트(20)의 수직붐(24)을 접촉 지지하는 롤러(53);를 포함하는 견인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50)에 있어서,
    상기 롤러(53)는 상기 회전축(52)에 의해서 상기 ㄷ자형 브라켓(51)의 양측면에 구비된 장공에 의해서 축지지되되,
    상기 브라켓(51)의 후면을 관통하고 단부가 상기 회전축(52)에 접촉되는 볼트(55)의 조정을 통해서 상기 롤러(53)를 가압하도록 하여 상기 롤러(53)가 상기 장공을 따라서 수평이동가능하게 하는 견인차량.
  4. 삭제
KR1020180166088A 2018-12-20 2018-12-20 지지롤러를 구비한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KR102148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088A KR102148135B1 (ko) 2018-12-20 2018-12-20 지지롤러를 구비한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088A KR102148135B1 (ko) 2018-12-20 2018-12-20 지지롤러를 구비한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005A KR20200077005A (ko) 2020-06-30
KR102148135B1 true KR102148135B1 (ko) 2020-08-26

Family

ID=71121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088A KR102148135B1 (ko) 2018-12-20 2018-12-20 지지롤러를 구비한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1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480Y1 (ko) 2004-08-02 2004-10-22 주식회사 평강특장자동차 차량견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161B1 (ko) 2009-07-21 2011-12-12 주식회사 평강특장자동차 차량 견인장치
KR101613625B1 (ko) * 2014-08-25 2016-04-20 반현철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480Y1 (ko) 2004-08-02 2004-10-22 주식회사 평강특장자동차 차량견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005A (ko)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870B1 (ko) 케이블드럼 이송보조장치
US11130436B2 (en) Vehicle hauling apparatus
US7607546B1 (en) Hitch mounted hoist assembly
JP2009509888A (ja) クレーン、特に狭い輪距と拡張された支持ベースとを有する移動式クレーン
KR100639721B1 (ko) 자주식 작업 기계
RU2698287C2 (ru) Подъем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грузопассажирского автомобиля
KR102148135B1 (ko) 지지롤러를 구비한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US6471299B2 (en) Mooring device for maintaining a dump body in a raised position
KR200380856Y1 (ko) 트레일러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적재프레임의 구조
KR100790321B1 (ko)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KR20190000753U (ko) 차량 크레인
KR102148134B1 (ko) 크레인과 언더리프트가 구비된 견인차량의 프레임구조
US20090057634A1 (en) RV stabilizer system
KR102318944B1 (ko) 특장차용 리프트 게이트의 게이트 판넬 개폐구조
US8973933B2 (en) Suspension device
WO2013163484A1 (en) Lift gate and mounting system
US8191922B2 (en) Drop-bed trailer
CN216332287U (zh) 一种救援车辆副车架
JPH09273325A (ja) 二段駐車装置
KR200322579Y1 (ko) 크레인 리프트 트럭
KR102578185B1 (ko)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
KR101417683B1 (ko) 견인차량의 붐대 승하강 구조
KR200449916Y1 (ko) 트레일러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적재프레임의 구조
KR101553634B1 (ko) 차량견인용 언더리프트장치의 무게분산 링크구조
KR200299068Y1 (ko) 중량차량 중량분산 승'하강장치의 쿠션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