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625B1 -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 Google Patents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625B1
KR101613625B1 KR1020140110766A KR20140110766A KR101613625B1 KR 101613625 B1 KR101613625 B1 KR 101613625B1 KR 1020140110766 A KR1020140110766 A KR 1020140110766A KR 20140110766 A KR20140110766 A KR 20140110766A KR 101613625 B1 KR101613625 B1 KR 101613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rear wheel
frame
auxiliar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0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4213A (ko
Inventor
반현철
Original Assignee
반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현철 filed Critical 반현철
Priority to KR1020140110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625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only part of the vehicle, e.g. front- or rear-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18Tow ropes, chains or the like
    • B60D1/187Tow ropes, chain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to the towing vehicle or to the tra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4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 B60D1/4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vertically
    • B60D1/465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vertically comprising a lifting mechanism, e.g. for coupling while li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실내공간을 제공하는 캐빈과, 상기 캐빈의 후측에 설치되어 피견인차량을 운송하는 견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부는 상기 캐빈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캐빈과 상기 견인부를 연결함으로써 견인차량의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키는 캐빈내장형프레임을 포함하여 피견인차량의 하중에 의해 프레임이 휘어지거나 절단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은 피견인차량을 운송할 때 상기 피견인차량에 의해 후륜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후륜이 주저앉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일측이 상기 캐빈내장형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후륜에 연결되어 상기 후륜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는 후륜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안정성이 높으며, 상기 후륜에 가해지는 하중이 설정압력보다 낮을 때 상기 후륜완충부재 내부의 유체를 완충시켜 하중을 상쇄시키는 저압용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후륜에 가해지는 하중이 설정압력보다 높을 때 상기 후륜완충부재 내부의 유체를 완충시켜 하중을 상쇄시키는 중압용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여 상황에 맞게 상기 후륜완충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언더리프트 견인차량{A WRECKER USING A UNDERLIFT}
본 발명은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실내공간을 제공하는 캐빈과, 상기 캐빈의 후측에 설치되어 피견인차량을 운송하는 견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부는 상기 캐빈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캐빈과 상기 견인부를 연결함으로써 견인차량의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키는 캐빈내장형프레임을 포함하여 피견인차량의 하중에 의해 프레임이 휘어지거나 절단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은 피견인차량을 운송할 때 상기 피견인차량에 의해 후륜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후륜이 주저앉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일측이 상기 캐빈내장형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후륜에 연결되어 상기 후륜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는 후륜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안정성이 높으며, 상기 후륜에 가해지는 하중이 설정압력보다 낮을 때 상기 후륜완충부재 내부의 유체를 완충시켜 하중을 상쇄시키는 저압용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후륜에 가해지는 하중이 설정압력보다 높을 때 상기 후륜완충부재 내부의 유체를 완충시켜 하중을 상쇄시키는 중압용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여 상황에 맞게 상기 후륜완충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견인차량은 사고차량과 같이 자체주행이 어려운 피견인차량을 견인하거나 주차위반 차량을 견인하여 이동시키는 특수차량으로, 피견인차량을 견인하는 방식에 따라 토우바 방식과 언더리프트 방식으로 구분된다.
토우바 방식은 일명 삼각대 방식이라고도 불리우며 견인보조물인 토우바를 이용하여 견인하는 방식이며 피견인차량의 차륜이 펑크가 난 경우나 피견인차량의 전방부가 크게 파손된 경우에 사용된다.
언더리프트 방식은 차량의 차륜 특허 전륜을 들어올려서 견인하는 방식으로 이하에서는 언더리프트 방식의 견인차량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종래에는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의 언더리프트장치에 대해서는 중점적인 개량 및 연구가 이루어진 반면 견인차량 자체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 지지 않았다.
(특허문헌) 특허 제10-2007-0073197호(2007.07.10.공개) "견인차량의 언더리프트장치"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은 작업자가 탑승하여 운전하는 공간인 캐빈과, 상기 캐빈과 연결되어 피견인차량을 운송하는 견인부로 나눌 수 있는데, 종래에는 상기 견인부의 프레임이 상기 캐빈 내부까지 연장되지 않아 피견인차량을 운송할 때 차체의 강성이 떨어져서 프레임이 휘어지거나 절단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견인차량의 강성이 약하다 보니 피견인차량의 무게에 의한 하중이 후륜에 그대로 전해져 후륜이 주저앉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빈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캐빈과 견인부를 연결함으로써 견인차량의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킨 캐빈내장형프레임을 포함하는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캐빈내장형프레임을 상기 캐빈의 차체프레임에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견인차량의 강성을 한층 더 높인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견인차량을 운송할 때 상기 피견인차량에 의해 후륜 및 보조후륜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후륜 및 보조후륜이 주저앉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완충부가 상기 후륜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는 후륜완충부재와, 상기 보조후륜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는 보조후륜완충부재를 포함하여 피견인차량 운송시에도 상기 후륜 및 보조후륜이 주저앉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이 향상된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후륜 및 보조후륜에 가해지는 하중이 설정압력보다 낮은지 높은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어큐뮬레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상황에 맞게 상기 후륜완충부재 및 보조후륜완충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는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견인부의 내구도가 향상되고 상기 완충부에 의해 안전성이 강화되어 상기 피견인차량을 운송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에 관한 각종 사고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은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실내공간을 제공하는 캐빈과, 상기 캐빈의 후측에 설치되어 피견인차량을 운송하는 견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부는 상기 캐빈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캐빈과 상기 견인부를 연결함으로써 견인차량의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키는 캐빈내장형프레임과, 일측이 상기 캐빈내장형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피견인차량에 연결되는 언더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에 있어서, 상기 캐빈은 하측에 상기 캐빈의 골격을 형성하는 차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캐빈내장형프레임은 상기 캐빈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차체프레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에 있어서, 상기 캐빈내장형프레임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개의 바로써 상기 캐빈의 후측면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차체프레임에 연결되는 세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의 복수개의 바를 연결하며 상기 캐빈 외부에 위치하여 적재함이 안착될 수 있도록 골격을 형성하는 가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은 피견인차량을 운송할 때 상기 피견인차량에 의해 후륜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후륜이 주저앉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일측이 상기 캐빈내장형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후륜에 연결되어 상기 후륜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는 후륜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은 상기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은 상기 후륜과 별도로 상기 후륜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보조후륜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일측이 상기 캐빈내장형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보조후륜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후륜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는 보조후륜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에 있어서, 상기 후륜완충부재 및 상기 보조후륜완충부재는 쇼크업소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후륜 및 상기 보조후륜에 가해지는 하중이 설정압력보다 낮을 때 상기 후륜완충부재 및 상기 보조후륜완충부재 내부의 유체를 완충시켜 하중을 상쇄시키는 저압용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후륜 및 상기 보조후륜에 가해지는 하중이 설정압력보다 높을 때 상기 후륜완충부재 및 상기 보조후륜완충부재 내부의 유체를 완충시켜 하중을 상쇄시키는 중압용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저압용 어큐뮬레이터와 중압용 어큐뮬레이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기준이 되는 설정압력을 설정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후륜완충부재 및 상기 보조후륜완충부재가 상기 후륜 및 상기 보조후륜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후륜완충부재 및 상기 보조후륜완충부재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일정한 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로부터 상기 후륜완충부재 및 상기 보조후륜완충부재에 공급되는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캐빈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캐빈과 견인부를 연결함으로써 견인차량의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킨 캐빈내장형프레임을 포함하는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캐빈내장형프레임을 상기 캐빈의 차체프레임에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견인차량의 강성을 한층 더 높인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피견인차량을 운송할 때 상기 피견인차량에 의해 후륜 및 보조후륜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후륜 및 보조후륜이 주저앉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완충부가 상기 후륜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는 후륜완충부재와, 상기 보조후륜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는 보조후륜완충부재를 포함하여 피견인차량 운송시에도 상기 후륜 및 보조후륜이 주저앉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이 향상된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후륜 및 보조후륜에 가해지는 하중이 설정압력보다 낮은지 높은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어큐뮬레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상황에 맞게 상기 후륜완충부재 및 보조후륜완충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는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견인부의 내구도가 향상되고 상기 완충부에 의해 안전성이 강화되어 상기 피견인차량을 운송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에 관한 각종 사고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의 좌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의 좌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의 평면도
도 4는 캐빈내장형프레임의 형상 및 설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의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완충부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인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은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실내공간을 제공하는 캐빈(1)과, 상기 캐빈(1)의 후측에 설치되어 피견인차량을 운송하는 견인부(3)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부(3)는 상기 캐빈(1)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캐빈(1)과 상기 견인부(3)를 연결함으로써 견인차량의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키는 캐빈내장형프레임(31)과, 일측이 상기 캐빈내장형프레임(31)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피견인차량에 연결되는 언더리프트장치(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은 평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언더리프트장치(35)를 적재함(7)쪽으로 접고 운행하다가, 피견인차량을 운송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언더리프트장치(35)를 펴고 상기 언더리프트장치(35)에 피견인차량을 안착시켜 견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언더리프트장치(35)는 일반적인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에 사용되고 있는 구성으로서 종래기술에 해당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빈(1)은 일반적인 견인차량의 앞부분을 의미하며, 작업자가 탑승하여 운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캐빈(1)의 하측으로는 상기 캐빈(1)의 골격을 형성하는 차체프레임(11)이 위치하며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차체프레임(11)은 상기 캐빈내장형프레임(31)과 연결된다. 상기 캐빈(1)은 통상적으로 일반 차량을 개조하여 만드는 것으로써 상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 어떠한 차종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견인부(3)는 상기 캐빈(1)의 후측에 위치하여 상기 캐빈(1)과 상기 견인부(3)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캐빈(1)이 상기 피견인차량을 운송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캐빈내장형프레임(31), 연결부재(33) 및 언더리프트장치(35)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빈내장형프레임(31)은 상기 캐빈(1)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캐빈(1)과 상기 견인부(3)를 연결하고, 그 상부로 적재함(7)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세로프레임(311) 및 가로프레임(313)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로프레임(311)은 긴 막대 모양의 복수개의 바로써 상기 바의 일부분은 상기 캐빈(1)의 후측면의 하측으로 상기 캐빈(1) 내부로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캐빈(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종래에는 적재함(7) 후단에 짧은 프레임을 장착하여 그 프레임에 상기 언더리프트장치(35)를 연결하였기 때문에 피견인차량을 운송할 때 상기 피견인차량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프레임이 휘어지거나 절단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세로프레임(311)이 상기 캐빈(1) 내부로까지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견인차량의 전체적인 강성이 향상되어 상기 피견인차량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내구도를 가진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세로프레임(311)은 복수개의 바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2개의 바로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긴 막대 모양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도 가질 수 있다.
상기 세로프레임(311)은 상기 캐빈(1) 내부로 삽입된 부분이 상기 차체프레임(11)과 상기 연결부재(33)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견인차량의 하중이 상기 세로프레임(311) 및 차체프레임(11)에 골고루 분포되어 가해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더욱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상기 가로프레임(313)은 상기 세로프레임(311)의 복수 개의 바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세로프레임(311)의 상기 캐빈(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가로프레임(313) 상측으로 상기 적재함(7)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가로프레임(313)은 상기 세로프레임(311)과 직각에 가깝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적재함(7)을 안착할 수 있는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으로도 상기 세로프레임(311)과 연결될 수 있고,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의 또 다른 실시예는 파견인차량을 운송할 때 상기 피견인차량에 의해 후륜(8) 및 보조후륜(9)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후륜(8) 및 보조후륜(9)이 주저앉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5)를 포함하여 안전성을 한층 강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견인부(3)의 내구도가 향상되고 상기 완충부(5)에 의해 안전성이 강화되어 상기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이 피견인차량을 운송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에 관한 각종 사고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5)는 후륜완충부재(51), 보조후륜완충부재(52), 저압용 어큐뮬레이터(53), 중압용 어큐뮬레이터(54), 연결호스(55), 압력조절부(56), 가압부(57), 솔밸브(58) 및 체크밸브(59)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륜완충부재(51)는 일측이 상기 캐빈내장형프레임(31)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후륜(8)에 연결되어 상기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이 운행 중에 상기 후륜(8)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후륜완충부재(51)와 어큐뮬레이터를 결합하여 피견인차량을 운송할 때 상기 후륜(8)에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상기 후륜(8)이 주저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보조후륜완충부재(52)는 일측이 상기 캐빈내장형프레임(31)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후륜(8)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보조후륜(9)에 연결되어 상기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이 운행 중에 상기 보조후륜(9)에 가해지는 충격 도는 진동을 흡수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후륜(8)과 별도로 상기 보조후륜(9)을 설치하여 상기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보조후륜완충부재(52)와 어큐뮬레이터를 결합하여 피견인차량을 운송할 때 상기 보조후륜(9)에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상기 보조후륜(9)이 주저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후륜완충부재(51)는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쇼크업소버는 스프링, 가스식 또는 유압식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유압식 쇼크업소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후륜완충부재(52)에도 상기 후륜완충부재(51)에 대한 기재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압용 어큐뮬레이터(53)는 상기 후륜(8) 및 보조후륜(9)에 가해지는 하중이 설정압력보다 낮을 때 상기 후륜완충부재(51) 및 보조후륜완충부재(52) 내부의 유체를 완충시켜 상기 하중을 상쇄시키는 구성으로,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중압용 어큐뮬레이터(54)와 선택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중압용 어큐뮬레이터(54)는 상기 후륜(8) 및 보조후륜(9)에 가해지는 하중이 설정압력보다 높을 때 상기 후륜완충부재(51) 및 보조후륜완충부재(52) 내부의 유체를 완충시켜 상기 하중을 상쇄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저압용 어큐뮬레이터(53)와 선택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저압용 어큐뮬레이터(53)와 중압용 어큐뮬레이터(54)는 상기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의 일정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후륜완충부재(51) 및 보조후륜완충부재(52)와 연결호스(55)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압용 어큐뮬레이터(53)와 중압용 어큐뮬레이터(54)는 내부에 가스 등의 유체가 채워져 있는데, 상기 언더리프트장치(35)에 피견인차량이 연결되어 그 하중이 상기 후륜완충부재(51) 및 보조후륜완충부재(52)에 가해지면 상기 저압용 어큐뮬레이터(53) 또는 중압용 어큐뮬레이터(54)의 유체에 의해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후륜완충부재(51) 및 보조후륜완충부재(52) 내부의 유체를 완충시켜 상기 하중을 상쇄하게 된다.
상기 압력조절부(56)는 상기 저압용 어큐뮬레이터(53)와 중압용 어큐뮬레이터(54)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기준이 되는 설정압력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후륜(8) 또는 보조후륜(9)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설정압력보다 낮은 경우에는 저압용 어큐뮬레이터(53)가 작동하여 상기 후륜완충부재(51) 및 보조후륜완충부재(52) 내부의 유체를 완충시키게 되고, 상기 하중이 상기 설정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중압용 어큐뮬레이터(54)가 작동하여 상기 후륜완충부재(51) 및 보조후륜완충부재(52) 내부의 유체를 완충시켜 상기 하중을 상쇄시키게 된다.
상기 압력조절부(56)는 상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장치라도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릴리프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압력조절부(56)에서 설정압력을 40bar로 설정하고, 상기 후륜완충부재(51)에 후술할 가압부(57)에서 30bar의 압력을 항시 제공하고 있으며, 상기 저압용 어큐뮬레이터(53)에 3bar의 에너지가 축적되어 있고, 상기 중압용 어큐뮬레이터(54)에 26bar의 에너지가 축적되어 있다고 가정했을 때, 상기 후륜(8)에 피견인차량 또는 각종 장치들에 의한 하중이 50bar의 크기로 가해지면 상기 설정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상기 중압용 어큐뮬레이터(54)의 26bar의 축적된 에너지를 상기 후륜완충부재(51)에 제공하여 상기 하중을 상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압력조절부(5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저압용 어큐뮬레이터(53)와 중압용 어큐뮬레이터(54)를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데, 이는 상기 압력조절부(56)가 하중을 체크하여 상기 설정압력과 비교한 후 자동적으로 어떤 어큐뮬레이터를 작동시킬지 선택하게 할 수도 있고, 상기 압력조절부(56)와 연결된 조작레버 등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상기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에 가해지는 하중을 체크하여 수동으로 전환시키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가압부(57)는 상기 후륜(8) 및 보조후륜(9)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후륜완충부재(51) 및 상기 보조후륜완충부재(52)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일정한 압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유압파워팩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솔밸브(58)는 상기 가압부(57)와 상기 후륜완충부재(51) 및 보조후륜완충부재(5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가압부(57)가 작동하면 밸브를 열어 상기 가압부(57)가 일정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체크밸브(59)는 상기 가압부(57)로부터 상기 후륜완충부재(51) 및 상기 보조후륜완충부재(52)에 공급되는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압력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은 상기 캐빈내장형프레임(31)이 상기 캐빈(1)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차체프레임(11)과 연결됨으로써 전체적인 강성이 향상되었으므로, 상기 견인부(3)에 피견인차량이 연결되어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프레임이 휘거나 절단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견인차량을 운송하거나 각종 장비를 운반할 때 상기 후륜(8) 및 보조후륜(9)에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부재, 어큐뮬레이터로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하중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저압용 어큐뮬레이터(53) 또는 중압용 어큐뮬레이터(54)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상황에 맞게 상기 완충부(5)를 활용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캐빈 11:차체프레임
3:견인부
31:캐빈내장형프레임 311:세로프레임 313:가로프레임
33:연결부재
35:언더리프트장치
5:완충부
51:후륜완충부재
52:보조후륜완충부재
53:저압용 어큐뮬레이터
54:중압용 어큐뮬레이터
55:연결호스
56:압력조절부
57:가압부
58:솔밸브
59:체크밸브
7:적재함
8:후륜
9:보조후륜

Claims (9)

  1.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실내공간을 제공하는 캐빈과, 상기 캐빈의 후측에 설치되어 피견인차량을 운송하는 견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부는 상기 캐빈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캐빈과 상기 견인부를 연결함으로써 견인차량의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키는 캐빈내장형프레임과, 일측이 상기 캐빈내장형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피견인차량에 연결되는 언더리프트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캐빈은 하측에 상기 캐빈의 골격을 형성하는 차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캐빈내장형프레임은 상기 캐빈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차체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캐빈내장형프레임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개의 바로써 상기 캐빈의 후측면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차체프레임에 연결되는 세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의 복수개의 바를 연결하며 상기 캐빈 외부에 위치하여 적재함이 안착될 수 있도록 골격을 형성하는 가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은, 바의 일부분은 캐빈 내부로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은 캐빈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은, 캐빈 내부로 삽입된 부분이 차체프레임과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은 피견인차량을 운송할 때 상기 피견인차량에 의해 후륜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후륜이 주저앉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일측이 상기 캐빈내장형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후륜에 연결되어 상기 후륜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는 후륜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리프트 견인차량은 상기 후륜과 별도로 상기 후륜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보조후륜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일측이 상기 캐빈내장형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보조후륜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후륜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는 보조후륜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완충부재 및 상기 보조후륜완충부재는 쇼크업소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후륜 및 상기 보조후륜에 가해지는 하중이 설정압력보다 낮을 때 상기 후륜완충부재 및 상기 보조후륜완충부재 내부의 유체를 완충시켜 하중을 상쇄시키는 저압용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후륜 및 상기 보조후륜에 가해지는 하중이 설정압력보다 높을 때 상기 후륜완충부재 및 상기 보조후륜완충부재 내부의 유체를 완충시켜 하중을 상쇄시키는 중압용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저압용 어큐뮬레이터와 중압용 어큐뮬레이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기준이 되는 설정압력을 설정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후륜완충부재 및 상기 보조후륜완충부재가 상기 후륜 및 상기 보조후륜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후륜완충부재 및 상기 보조후륜완충부재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일정한 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로부터 상기 후륜완충부재 및 상기 보조후륜완충부재에 공급되는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KR1020140110766A 2014-08-25 2014-08-25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KR101613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766A KR101613625B1 (ko) 2014-08-25 2014-08-25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766A KR101613625B1 (ko) 2014-08-25 2014-08-25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213A KR20160024213A (ko) 2016-03-04
KR101613625B1 true KR101613625B1 (ko) 2016-04-20

Family

ID=55535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0766A KR101613625B1 (ko) 2014-08-25 2014-08-25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6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134B1 (ko) * 2018-12-20 2020-08-26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크레인과 언더리프트가 구비된 견인차량의 프레임구조
KR102148135B1 (ko) * 2018-12-20 2020-08-26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지지롤러를 구비한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683B1 (ko) * 2013-11-08 2014-07-09 강경숙 견인차량의 붐대 승하강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683B1 (ko) * 2013-11-08 2014-07-09 강경숙 견인차량의 붐대 승하강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213A (ko) 2016-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3589B2 (ja) 車体の傾き防止装置
US9944137B2 (en) Pin box assembly with gooseneck coupler
CN104428199A (zh) 车高调整装置
KR101613625B1 (ko)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CN108349511A (zh) 水平调节装置
US9016741B1 (en) System for lifting, moving and transporting a vehicle via multiple slings connected to a common lifting vertex, and method of retrofitting a vehicle to facilitate lifting
JP6034487B2 (ja) 係合手段と荷重吸収手段を有して懸架された運転者ユニットを備える車両
CN102991296B (zh) 油气悬挂装置、油气悬架、底盘和车辆
CN104401413A (zh) 半挂车减振缓冲鹅颈
EP2868534A1 (en) Rops retention system for a work vehicle.
CN211032065U (zh) 一种公路及铁路两用直挂式集装箱半挂车
CN103950455A (zh) 工程车用转向架及工程车
US9108601B2 (en) Trailer braking system for use with a fifth wheel/gooseneck hitch having a surge brake actuator
KR101196671B1 (ko) 차량 견인 장치
KR101342394B1 (ko) 트랙터의 차체 승강 장치
WO2008073026A1 (en) Bed arrangement for vehicles
CN204210415U (zh) 一种倒车防撞减震装置
CN105946989A (zh) 一种载重汽车驾驶室悬浮式后悬架减振立柱总成
CN104442656A (zh) 一种倒车防撞减震装置
KR102382844B1 (ko) 차량용 휠 베이스 조절장치
EP2964513B1 (en) Axle lift for a vehicle
KR101724897B1 (ko) 리어 사이드 멤버
CN204995674U (zh) 一种用于急救车内的新型担架台
KR102173355B1 (ko) 하우스 트레일러의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견인형 트랙터
RU148442U1 (ru) Эвакуатор-автово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