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068Y1 - 중량차량 중량분산 승'하강장치의 쿠션프레임 - Google Patents

중량차량 중량분산 승'하강장치의 쿠션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068Y1
KR200299068Y1 KR20-2002-0021396U KR20020021396U KR200299068Y1 KR 200299068 Y1 KR200299068 Y1 KR 200299068Y1 KR 20020021396 U KR20020021396 U KR 20020021396U KR 200299068 Y1 KR200299068 Y1 KR 200299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cushion frame
weight
fastening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3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채
Original Assignee
조영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채 filed Critical 조영채
Priority to KR20-2002-00213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0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0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1/00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 B62D61/12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with variable number of ground engaging wheels, e.g. with some wheels arranged higher than others, or with retractab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 B60Y2200/1422Multi-axle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량차량 중량분산 승'하강장치의 쿠션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종래의 중량차 중량분산장치는 중량차 주행중 장애물에 의한 충격이 링크암과 용접연결 및 축체결된 쿠션프레임에 충격을 주어 쿠션프레임의 연결부분과 용접부분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현상 등을 감안하여 본원은 차체축 체결부(4)상측에 지지판(제 1지지판. 제 2지지판)을 부착하여 그 지지판에 링크암(50)이 체결되도록 하는 쿠션프레임(3)을 제공하여 주행중 장애물에 의한 충격을 받더라도 그 충격을 커버할 수 있는 쿠션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량차량 중량분산 승'하강장치의 쿠션프레임{Cushion Frame}
본 고안은 화물차 등 전체 중량이 많이 나가는 중량차량에 장착되는 중량 분산용 승하강장치의 쿠션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 및 특장차 들은 그 전체 중량이 매우 많이 나가기 때문에 주행중 도로 파손이 초래되거나 또는 교량 파손이 야기된다.
그럼으로 지반이 약한 도로나 교량의 경우 통과중량 제한 표시를 하여 운행 통제를 하고 있으며, 차량 중량이 통과 제한중량 이상으로 초과되면 교량이나 도로를 운행하지 못하도록 규제되고 있다.
이러한 도로 파손의 원인을 간단히 살펴보면 차량의 적재물이 차량전체에 분산되지 않고 적재함에 집중되기 때문이다. 즉 차량뒷부분으로 적재물이 집중됨에 따라 도로 파손을 야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차량의 적재함으로 집중된 적재하중을 분산시켜 도로의 파손 방지와, 도로 주행에 따른 통과제한 범위 내에 속하지 않기 위해서, 중량분산 장치를 하중이 집중되는 차량 바퀴에 설치하여 중량을 분산시킨다.
상기 적재물은 일반적으로 수십 톤의 적재물을 적재함으로 상기 승강장치의 부품이 그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구조가 간단(A/S 발생을 감안하여))하면서 견고해야만 이 부품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자의 경험에 의하면 승하강창치의 파손부분이 그들 부품 중에서 쿠션프레임에 있었다. 따라서 본원은 그 쿠션프레임을 집중적으로 실험과 연구를 반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와 그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도 1을(종래 기술)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면 승하강장치는 차종에 따라 체결공간 범위 내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중량분산장치의 전체 길이를 짧게(D)하여 그 범위 내에 구성품인 부품들을 설치해야 한다. 그러다 보니 쿠션에어백에 에어를 공급할 시 메인프레임 상판으로부터 쿠션프레임이 약 250mm 이상 이완(F)된다. 이와 같이 이완에 따라 쿠션프레임을 지지하는 링크암 또한 이완방향인 하측으로 하강하여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암(100)은 약 45도시 내지는 그 이상 기울기가 유지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중량차 주행중 장애물 충격이 쿠션에어백에 흡수와 동시에 대각선(기울기)으로 위치한 링크암에 충격을 받게된다. 따라서 링크암과 용접연결 및 축연결된 쿠션프레임에 충격이 전달되어 쿠션프레임의 용접부분이 파손되거나 변형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실험의 결론은 쿠션프레임과 링크암의 연결부분에 문제점이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중량차에 설치하는 기기인데도 상기 종래 중량분산장치는 쿠션프레임 일 측에 연결날개(101)를 형성하여 그 연결날개에 링크암을 연결함으로서 쿠션프레임의 파손율을 유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자는 쿠션프레임의 구조를 달리하여 링크암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견고한 쿠션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차체축(A) 체결부(4) 상부에 링크암(50)이 체결되도록 소정간격을 유지한 제 1지지판(6)과 제 2지지판(7)과 상기 제 1지지판(6)과 제 2지지판(7)상단에 쿠션에어백(51)이 체결될 수 있는 쿠션에어백체결판(8)으로 구성한다.
제 1도는 중량차량 중량분산장치에 본 고안의 쿠션프레임을 적용한 측면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쿠션프레임의 사시도
제 3도는 본 고안의 쿠션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제 4도는 본 고안의 쿠션프레임으로서 차체축 체결부를 생략한 측면도
제 5도는 종래의 중량차량 중량분산장치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쿠션프레임 4. 차체축체결부
6. 제 1지지판 7. 제 2지지판
8. 쿠션에어백체결부 50. 링크암
51. 쿠션에어백 52. 메인프레임
링크암(50)일단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는 쿠션프레임(3)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바,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쿠션프레임에 있어서
차체축에 체결되는 체결부(4) 상부에 링크암(50)이 체결되도록 소정간격을 유지한 제 1지지판(6)과 제 2지지판(7)과 상기 제 1지지판(6)과 제 2지지판(7)상단에 쿠션에어백(51)이 체결될 수 있는 쿠션에어백체결판(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지지판(6)또는 제 2지지판(7)외측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판(9)을 부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지지판(6)과, 제 2지지판(7)판 사이에 체결되는 링크암(50)체결은 상기 제 1지지판(6)과 제 2지지판(7)측벽을 체결핀(10)으로 관통하여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4)상단에 부착되는 제 1지지판(6)과, 제 2지지판(7)하단이 상기 체결부(4)강도 보강을 위해 상기 체결부(4)에 감싸지도록 상기 제 1지지판(6)과, 제 2지지판(7)하단을 오목홈(11)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차체프레임(A)에 체결되는 메인프레임(52),이 메인프레임(52)의 회전운동축(53)에 링크암(50)일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으로는 브라켓(60)에 의해 차체축(A)에 체결된 쿠션프레임(3)인 제 1지지판(6)과 제 2지지판(7)사이에 고정되도록 소정간격으로 조립핀에 의해 체결된다. 그 후 쿠션에어백(51)에 에어를 주입한다.
상기 링크암(50)일단이 차체축 체결부(4) 상부에 체결되어 있다.
미설명 100은 픽업쇼바이다.
이와 같이 체결부(4)상측의 지지판(제 1지지판. 제 2지지판)사이에 링크암(50)을 체결함으로서 주행중 바퀴에 장애물 접촉으로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그 충격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중량차 주행중 장애물에 의한 충격이 링크암과 용접연결 및 축체결된 쿠션프레임에 충격이 전달되어 쿠션프레임 (용접부분 연결날개(101) 포함)이 파손되거나 변형 현상 등을 감안할 때 본 고안은 차체축 체결부(4)상측에 지지판(제 1지지판. 제 2지지판)을 부착하여 그 지지판 사이에 링크암(50)이 체결되도록 하는 쿠션프레임(3)을 제공함으로서 장애물에 의해 바퀴로부터 충격을 감수(感受)하더라도 종래 쿠션프레임과 비교해 볼 때 보다 견고한 쿠션프레임이라 할 수 있다.

Claims (4)

  1. 중량차량 중량분산 승'하강장치의 쿠션프레임에 있어서
    차체축에 체결되는 체결부(4) 상부에 링크암(50)이 체결되도록 소정간격을 유지한 제 1지지판(6)과, 제 2지지판(7)과, 상기 제 1지지판(6)과 제 2지지판(7)상단에 쿠션에어백(51)이 체결될 수 있는 쿠션에어백체결판(8)을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차량 중량분산 승'하강장치의 쿠션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판(6)또는 제 2지지판(7)외측 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판(9)을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차량 중량분산 승'하강장치의 쿠션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판(6)과, 제 2지지판(7)판 사이에 체결되는 링크암(50)체결은 상기 제 1지지판(6)과 제 2지지판(7)측벽을 하나 이상의 체결핀(10)으로 관통하여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차량 중량분산 승'하강장치의 쿠션프레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4)상단에 부착되는 제 1지지판(6)과, 제 2지지판(7)하단이 상기 체결부(4)강도 보강을 위해 상기 체결부(4)에 감싸지도록 상기 제 1지지판(6)과, 제 2지지판(7)하단을 오목홈(11)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차량 중량분산 승'하강장치의 쿠션프레임
KR20-2002-0021396U 2002-07-18 2002-07-18 중량차량 중량분산 승'하강장치의 쿠션프레임 KR200299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396U KR200299068Y1 (ko) 2002-07-18 2002-07-18 중량차량 중량분산 승'하강장치의 쿠션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396U KR200299068Y1 (ko) 2002-07-18 2002-07-18 중량차량 중량분산 승'하강장치의 쿠션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068Y1 true KR200299068Y1 (ko) 2003-01-03

Family

ID=49397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396U KR200299068Y1 (ko) 2002-07-18 2002-07-18 중량차량 중량분산 승'하강장치의 쿠션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0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23653C (en) Vehicle chassis assembly
US4268053A (en) Wheel fender assembly
US5791681A (en) Single beam suspension system
AU2004200399B2 (en) Front loading trailer and method of use
MXPA06007996A (es) Dispositivo para nivelar el piso en un remolque.
US20190061847A1 (en) Tandem lift auxiliary axle assembly
US7131670B2 (en)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US8998239B2 (en) Trailer and method of use
EP1154927B1 (en) Method and device for suspension of a cab on a vehicle frame
KR200299068Y1 (ko) 중량차량 중량분산 승&#39;하강장치의 쿠션프레임
EP0991560B1 (en) Axle lifting device for a vehicle
JP3621546B2 (ja) 自走式クレーンのブーム支持フレーム
FI110243B (fi) Pyörien ripustuslaite
KR200233249Y1 (ko) 화물차량의 적재물 중량분산 승하강장치
KR102148135B1 (ko) 지지롤러를 구비한 언더리프트 견인차량
KR200399165Y1 (ko) 트럭의 적재하중 분배용 보조 서스펜션장치
JP2002266311A (ja) 転圧機械
CN210680924U (zh) 一种伸缩式副车架及汽车起重机
KR102148134B1 (ko) 크레인과 언더리프트가 구비된 견인차량의 프레임구조
CN220245321U (zh) 龙门吊
CN212766472U (zh) 一种矿用自卸车的车架总成及矿用自卸车
CN113799876B (zh) 滑动式安装架和电传动矿用自卸车
CN111547352B (zh) 托盘辅助装置
KR200373891Y1 (ko) 트럭의 푸셔 및 테그 액슬 고정 구조
JP2679534B2 (ja) フォークリフトにおけるチェーンの取り付けピ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