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572B1 -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572B1
KR102066572B1 KR1020170175377A KR20170175377A KR102066572B1 KR 102066572 B1 KR102066572 B1 KR 102066572B1 KR 1020170175377 A KR1020170175377 A KR 1020170175377A KR 20170175377 A KR20170175377 A KR 20170175377A KR 102066572 B1 KR102066572 B1 KR 102066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heelchair
guide part
pulle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033A (ko
Inventor
정찬우
박운식
Original Assignee
(주)화담알앤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담알앤알 filed Critical (주)화담알앤알
Priority to KR1020170175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5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4Wheelch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상부에 설치된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로부터 연장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제2가이드부가 최대로 연장되면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하는 휠체어 장착부; 상기 제1가이드부의 하측에 설치된 제1풀리와 제2풀리; 일단이 상기 제1풀리에 권취되고, 상기 제2풀리에 권취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휠체어 장착부와 연결된 와이어; 및 상기 제1풀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휠체어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과 수평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없이, 하나의 구동수단을 통해 휠체어를 차량의 루프탑에 적재 또는 인출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의 단순화로 인해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고 고장발생률을 낮출 수 있으며, 단 한 번의 작동을 통해 휠체어를 적재 또는 인출이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과정을 생략하여 더욱 빠르고 안전하게 사용가능하다.

Description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WHEELCHAIR LOADING APPAT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휠체어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의 사용자가 이동을 위해서 차량에 탑승하면 차량의 운전을 위한 보조 인력이 필요하다.
이에 휠체어의 사용자가 직접 운전가능한 차량이 개발되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휠체어 사용자는 차량을 직접 운전할 수 있으나, 차량을 운전하기 위해 차량의 운전석으로 이석한 후, 보조 인력이 휠체어를 접어 차량 내부에 수납하여야 했으며, 이동을 마친 후 차량에서 내릴 때에도 수납된 휠체어를 펼쳐줄 수 있는 보조 인력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등록특허 10-0615692(공고일 : 2006.08.25.)는 차량 내부의 공간 활용을 위해 휠체어를 거치 또는 인출가능하도록 차량의 루프 캐리어를 구비하고, 보조 인력의 필요없이 휠체어 사용자 혼자서도 휠체어를 상기 루프 캐리어에 거치하거나 인출가능한 차량의 휠체어 수납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등록특허 10-0615692(공고일 : 2006.08.25.)는 휠체어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리프트수단과 휠체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자세변경수단 등을 구비하여 복수의 구동부가 필요하며, 복수의 구동부로 인한 부피 또는 무게의 증가가 필연적이고, 결국에는 차량의 연비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 10-0615692(공고일 : 2006.08.25.)는 복수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복잡한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고장발생율이 높고, 휠체어를 승하강시키는 과정과 휠체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과정이 필요하므로 복수의 과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KR 10-0615692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구동부의 단 한 번의 구동을 통해 휠체어를 차량의 루프에 마련된 적재함에서 꺼내거나 적재함에 보관할 수 있는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휠체어를 수직이동과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구동부를 하나로 줄여 기계적인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기기의 부피를 줄이고 고장발생율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는, 차량의 상부에 설치된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로부터 연장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제2가이드부가 최대로 연장되면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하는 휠체어 장착부; 상기 제1가이드부의 하측에 설치된 제1풀리와 제2풀리; 일단이 상기 제1풀리에 권취되고, 상기 제2풀리에 권취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휠체어 장착부와 연결된 와이어; 및 상기 제1풀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가이드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프레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가이드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풀리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제2가이드부에 마련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랙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가이드부로부터 상기 제2가이드부가 최대로 연장되면 상기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와 상기 랙 기어가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부는, 차량의 측면과 이격된 위치에서 하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2풀리로부터 권출된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제3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부는, 하방으로 상기 제2가이드부와 0°이상 90°이하의 회동각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동차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가이드부가 설치된 고정적재함; 및 상기 고정적재함과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가이드부의 왕복운동에 따라 왕복하는 이동적재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휠체어 장착부가 하방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한 쌍의 레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휠체어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과 수평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없이, 하나의 구동수단을 통해 휠체어를 차량의 루프탑에 적재 또는 인출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의 단순화로 인해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고 고장발생률을 낮출 수 있으며, 단 한 번의 작동을 통해 휠체어를 적재 또는 인출이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과정을 생략하여 더욱 빠르고 안전하게 사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프레임부의 회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나타내는 도면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프레임부의 회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도면은 개략도인 것으로, 제1가이드부(110)와 풀리부(300)는 고정적재함(600)의 내부에 장착되고, 제2가이드부(120)는 이동적재함(700)의 내부에 장착되며, 제2가이드부(120)와 이동적재함(700)은 하측이 관통되어 끌어올려지거나 내려지는 휠체어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는 차량(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량(10)의 상부 루프탑(rooftop)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이 휠체어에서 차량(10)의 운전석으로 이석 후, 휠체어를 차량(10) 내부가 아닌 차량(10)의 루프탑에 거치함으로써 차량(10) 내부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외부인력의 도움없이 휠체어를 차량에 거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적재 장치는 가이드부(100)와 휠체어 장착부(200), 풀리부(300), 와이어(400) 및 구동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00)는 차량(10)의 상부 즉, 루프탑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00)는 차량(10)의 루프탑에 고정설치되는 제1가이드부(110)와, 제1가이드부(110)로부터 연장되도록 제1가이드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2가이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110)와 제2가이드부(120)는 차량(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차량(10)의 조수석에서 운전석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이드부(110)와 제2가이드부(120)는 각각 한 쌍의 레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가이드부(120)가 제1가이드부(110)를 따라 이동가능하다면 어떤 형태를 적용해도 무방하다.
제1가이드부(110)는 한 쌍의 레일 사이에 지지판(130)이 설치될 수 있고, 후술하는 와이어(400)가 관통하는 관통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도 6 또는 도 7 참조). 제2가이드부(120)는 한 쌍의 레일이 제1가이드부(110)의 한 쌍의 레일에 배치되어 제1가이드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이때, 제1가이드부(110)와 제2가이드부(120) 사이에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롤러나 베어링 등 마찰을 완화시킬 수 있는 부재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가이드부(1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하측에는 피니언 기어(111)가 마련되고, 후술하는 제2가이드부(120)의 랙 기어(121)와 치합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111)와 랙 기어(121) 및 풀리부(300)에 관련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적재 장치는 프레임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40)는 제2가이드부(120)에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부(140)는 제2가이드부(120)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즉, 프레임부(140)는 제2가이드부(120)에 고정설치되어 제2가이드부(120)의 움직임에 따라 제1가이드부(11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부(140)는 후술하는 휠체어 장착부(2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휠체어 장착부(200)가 끌어올려질 때 프레임부(140)의 일측은 휠체어 장착부(200)의 일측과 서로 접할 수 있으며, 휠체어 장착부(200)가 당겨지면서 프레임부(140)와 제2가이드부(120) 역시 당겨지고 제1가이드부(11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부(140)는 제2가이드부(120)에 회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부(140)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2가이드부(120)를 이루는 한 쌍의 레일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레임부(140)는 제2가이드부(120)와 회동수단(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과 8을 참조하면, 프레임부(140)는 절곡되는 부분에 상기 회동수단이 배치된 것으로 유추가능하지만, 상기 회동수단의 위치는 특별히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프레임부(140)는 회동하면서,‘ㄴ’의 프레임부(140) 중에서 제2가이드부(120)와 수직된 부분이 제2가이드부(120)와 평행하게 되며, 제2가이드부(120)와 수평한 부분이 제2가이드부(120)와 수직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프레임부(140)는 제2가이드부(120)의 하측으로 0°부터 90 °까지의 회동각도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부(140)는 회동시 차량(10)과 간섭이 방지되도록 차량(10)의 측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이격된 위치에서 하측으로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휠체어 장착부(200) 역시 제2가이드부(120)의 하측으로 회동이 0°부터 90 °까지로 제한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140)가 회동된 후 제2가이드부(120)는 휠체어 장착부(200)가 차량(10)과 근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2가이드부(120)는 차량(10)의 가림막 역할을 수행하며 요동칠 수 있는 휠체어 장착부(200)로부터 차량(10)을 보호할 수 있다.
제2가이드부(120)는 제1가이드부(110)의 피니언 기어(111)와 치합되는 랙 기어(121)가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휠체어 장착부(200)는 휠체어가 장착될 수 있고, 제2가이드부(120)를 따라 움직일 수 있고 일측이 와이어(4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가이드부(120)가 제1가이드부(110)로부터 최대로 연장되면, 늘어나는 와이어(400)에 따라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하고 차량(10)의 운전석 옆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휠체어 장착부(200)가 하방으로 회전 또는 회동가능하도록 제2가이드부(120)가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한 쌍의 레일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휠체어 장착부(200)는 후술하는 제1풀리(310)로부터 권출되는 와이어(400)의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듦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풀리부(300)는 제1풀리(310)와 제2풀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풀리(310)는 제2풀리(3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차량(10)의 운전석 쪽에 치우쳐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풀리(320)는 제1풀리(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차량(10)의 조수석 쪽에 치우쳐져 배치될 수 있다.
제1풀리(310)와 제2풀리(320)는 한 쌍의 레일로 형성된 제1가이드부(110)의 관통공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지만,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제1가이드부(110)를 형성하는 한 쌍의 레일과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풀리(310)는 와이어(400)의 일단이 권취될 수 있다. 휠체어 장착부(200)는 와이어(400)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제2풀리(320)는 와이어(400)의 일단과 타단 사이 부분이 권취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구동부(500)에 의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면, 제1풀리(310)가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와이어(400)는 제1풀리(310)에 권취되거나 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부(110)의 하측에 배치된 피니언 기어(111)는 제1풀리(310)와 동일한 회전축(미부호)을 가지고, 구동부(500)에 의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면, 제1풀리(310)와 피니언 기어(111)는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풀리(310)와 제2풀리(320)가 회전하면서 와이어(400)가 늘어나고 줄어듦에 따라 휠체어 장착부(200)는 당겨지거나 와이어(400)에 매달린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제2가이드부(120)는 제1가이드부(11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하거나 제1가이드부(1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제1가이드부(110)와 겹쳐질 수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차량(10)의 루프탑에 고정적재함(600)과 이동적재함(700)이 결합된 경우, 제1가이드부(110)와 제2가이드부(120)는 겹쳐져 있으며, 피니언 기어(111)와 랙 기어(121)는 서로 치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구동부(500)가 구동하고 상기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피니언 기어(111) 역시 회전하게 되며, 제2가이드부(120)는 차량(10)의 외측으로 제1가이드부(110)를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후, 랙 기어(121)와 피니언 기어(111)의 치합이 해제되면 휠체어 장착부(200)는 제2가이드부(120)를 이루는 한 쌍의 레일 사이 또는 이동적재함(700)의 개방된 하측으로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하며 지면에 놓여질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구동부(500)가 구동하고 상기 회전축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풀리(310) 역시 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휠체어 장착부(200)는 제2가이드부(120)의 레일 사이 또는 이동적재함(700)의 개방된 하측을 통해 들어올려지고, 휠체어 장착부(200)의 일측이 프레임부(140)와 접하면서 휠체어 장착부(200)는 제2가이드부(120)와 수평되게 회동된다. 이후 제1풀리(310)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400)가 제1풀리(310)에 권취되면서 휠체어 장착부(200)가 당겨지고 결국 프레임부(140)와 제2가이드부(120) 역시 당겨지게 되며, 랙 기어(121)는 피니언 기어(111)와 다시 치합되어 결국 제2가이드부(120)는 슬라이딩하여 제1가이드부(110)에 겹쳐질 수 있다.
참고로, 제2가이드부(120)가 제1가이드부(110)로부터 최대로 연장된 상태라면, 랙 기어(121)는 가이드부(100)의 연장 방향으로 피니언 기어(111)와 이격될 수 있다.
한편, 풀리부(300)는 프레임부(140)에 설치되는 제3풀리(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제3풀리(141)가 프레임부(140)의 제2가이드부(120)와 수직되게 배치되는 부분의 중심에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제작자의 선택사항일 뿐, 와이어(400)와 제1 내지 제3풀리(310, 320, 141)는 가이드부(100)의 어느 한 쪽 레일에 근접하도록 치우쳐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3풀리(141)는 제2풀리(320)에 권취된 와이어(400)가 권취되면서 휠체어 장착부(200)를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제3풀리(141)로 인해 와이어(400)는 프레임부(140)와 이격되어 간섭 및 마찰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덧붙여서 제3풀리(141)는 제1가이드부(110)와 제2가이드부(120)의 최대 연장시 차량(10)의 측면으로부터 차량(10)의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는 고정적재함(600)과 이동적재함(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적재함(600)과 이동적재함(700)은 휠체어 장착부(200)를 덮는 일종의 커버일 수 있다.
고정적재함(600)은 자동차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1가이드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가이드부(110)와 제1풀리(310)와 제2풀리(320) 및 구동부(500)는 고정적재함(6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가이드부(110)와 제1풀리(310)와 제2풀리(320) 및 구동부(500)는 고정적재함(600)의 내부공간에 고정되도록 고정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수단을 특별히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동적재함(700)은 고정적재함(600)과 결합하여 휠체어 장착부(200)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제2가이드부(120)의 왕복운동에 따라 왕복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가이드부(120)는 이동적재함(7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2가이드부(120)는 이동적재함(700)의 내부공간에 고정되도록 고정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수단을 특별히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의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는 차량(10)의 루프탑에 휠체어가 적재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거치된다.
먼저 사용자는 구동부(500)를 작동시킨다.
구동부(500)가 작동되면 동일한 회전축(미부호)을 공유하는 제1풀리(310)와 피니언 기어(111)가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111)에 제2가이드부(120)의 랙 기어(121)가 치합되어 있으므로, 피니언 기어(111)의 회전으로 제2가이드부(120)는 제1가이드부(110)로부터 제1가이드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차량(10)의 외측을 향해 슬라이딩한다. 이때, 제2가이드부(120)가 이동되면서 제1풀리(310) 역시 회전되고, 제1풀리(310)에 권취된 와이어(400)가 권출되면서 와이어(400)의 길이 또한 늘어나므로 휠체어 장착부(200) 역시 제2가이드부(12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120)가 이동되면, 제2가이드부(120)가 고정되는 이동적재함(700) 또한 고정적재함(60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동된다.
제2가이드부(120)는 랙 기어(121)가 하측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가이드부(120)가 제1가이드부(110)로부터 최대로 이동되면 랙 기어(121)와 피니언 기어(111)의 치합이 해제되며, 휠체어 장착부(200)는 제2가이드부(120)를 이루는 한 쌍의 레일 사이 및 이동적재함(700)의 하측에 형성된 관통된 부분(미도시)으로 회동되면서 지면을 향해 처진다. 이때, 구동부(500)에 의해 제1풀리(310)는 계속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와이어(400)는 늘어나게 되며, 결국 휠체어 장착부(200)는 지면에 놓여지게 된다. 참고로, 휠체어 장착부(200)가 제2가이드부(120)로부터 하방으로 회동되는 지점은 차량(10)의 운전석으로부터 차량(10)의 외측으로 이격된 지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가이드부(120)에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부(140)가 하방으로 회동가능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부(140)는 ‘ㄴ’자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제2가이드부(120)를 이루는 한 쌍의 레일 사이로 하방을 향해 0°내지 90°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다. 만약, 프레임부(140)가 하방으로 90°만큼 회동하면, 프레임부(140)는 가림막 역할을 하며 휠체어 장착부(200)가 와이어의 매달림에 의한 요동을 방지할 수 있고, 결국 차량(10)은 휠체어 장착부(200)와 간섭이 방지되며 차량(10) 및 휠체어는 손상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휠체어 장착부(200)에 휠체어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차량(10)의 운전석으로 이석한 후, 구동부(500)를 조작하여 상기 회전축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축이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풀리(310)와 피니언 기어(111)는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하고, 와이어(400)가 제1풀리(310)에 권취됨에 따라 휠체어 장착부(200)는 상방으로 당겨지며 지면으로부터 이격된다.
휠체어 장착부(200)가 승강되어 프레임부(140)와 접촉되면, 와이어(400)가 계속해서 제1풀리(310)에 권취되므로 휠체어 장착부(200)는 회동하여 제2가이드부(120)와 평행하게 된다. 휠체어 장착부(200)는 제2가이드부(120)를 이루는 한 쌍의 레일 사이 또는 이동적재함(700)의 하측에 형성된 관통된 부분(미도시)을 통해 회동가능하다. 이때, 프레임부(140)가 ‘ㄴ’형상의 프레임부(140)가 회동가능하다면, 휠체어 장착부(200)와 함께 동시에 회동한다.
휠체어 장착부(200)가 당겨질 때 프레임부(140)와 제2가이드부(120) 역시 당겨지며 제2가이드부(120)는 제1가이드부(110)를 따라 차량(10)의 보조석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휠체어 장착부(200)에 의해 제2가이드부(120)가 당겨지면, 제2가이드부(120)의 랙 기어(121)는 피니언 기어(111)와 치합된다.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제1풀리(310)와 피니언 기어(111)는 동시에 회전하며, 제2가이드부(120)는 제1가이드부(110)와 겹쳐지게 되고, 결국 이동적재함(700)과 고정적재함(600)은 결합하며 휠체어는 고정적재함(600)과 이동적재함(700)에 의해 커버되어 보호된다.
한편,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휠체어를 인출하는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구동부(500)의 구동에 따라 상기에 언급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차량
100 : 가이드부 110 : 제1가이드부
111 : 피니언 기어 120 : 제2가이드부
121 : 랙 기어 130 : 지지판
131 : 관통공 140 : 프레임부
141 : 제3풀리
200 : 휠체어 장착부 300 : 풀리부
310 : 제1풀리 320 : 제2풀리
400 : 와이어 500 : 구동부
600 : 고정적재함 700 : 이동적재함

Claims (9)

  1. 차량의 상부에 설치된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로부터 연장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제2가이드부가 최대로 연장되면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하는 휠체어 장착부;
    상기 제1가이드부의 하측에 설치된 제1풀리와 제2풀리;
    일단이 상기 제1풀리에 권취되고, 상기 제2풀리에 권취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휠체어 장착부와 연결된 와이어;상기 제1풀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제1가이드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풀리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제2가이드부에 마련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랙 기어;
    를 포함하는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가이드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프레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로부터 상기 제2가이드부가 최대로 연장되면 상기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와 상기 랙 기어가 상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차량의 측면과 이격된 위치에서 하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2풀리로부터 권출된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제3풀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하방으로 상기 제2가이드부와 0°이상 90°이하의 회동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자동차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가이드부가 설치된 고정적재함; 및
    상기 고정적재함과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가이드부의 왕복운동에 따라 왕복하는 이동적재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휠체어 장착부가 하방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한 쌍의 레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
KR1020170175377A 2017-12-19 2017-12-19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 KR102066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377A KR102066572B1 (ko) 2017-12-19 2017-12-19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377A KR102066572B1 (ko) 2017-12-19 2017-12-19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033A KR20190074033A (ko) 2019-06-27
KR102066572B1 true KR102066572B1 (ko) 2020-01-15

Family

ID=67057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377A KR102066572B1 (ko) 2017-12-19 2017-12-19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5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185B1 (ko) 2023-04-24 2023-09-12 최태석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
KR20240033324A (ko) 2022-09-05 2024-03-12 주식회사 다온티앤티 차량용 휠체어 적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2030A (en) 1978-08-24 1980-12-30 Clement Clyde H Self-loading car-top carrier for wheelchairs or similar sized loads
US4376611A (en) 1981-06-04 1983-03-15 Koop Bruce H Car top carrier for wheelchai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554A (ja) * 1997-06-27 1999-01-26 Otec Japan:Kk 車両用車椅子格納装置
JP2000237238A (ja) 1999-02-25 2000-09-05 Nisshin Jidosha Kogyo:Kk 車両の車椅子格納装置
KR20140125570A (ko) * 2013-04-19 2014-10-29 윤성권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2030A (en) 1978-08-24 1980-12-30 Clement Clyde H Self-loading car-top carrier for wheelchairs or similar sized loads
US4376611A (en) 1981-06-04 1983-03-15 Koop Bruce H Car top carrier for wheelchai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324A (ko) 2022-09-05 2024-03-12 주식회사 다온티앤티 차량용 휠체어 적재장치
KR102676121B1 (ko) * 2022-09-05 2024-06-18 주식회사 다온티앤티 차량용 휠체어 적재장치
KR102578185B1 (ko) 2023-04-24 2023-09-12 최태석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033A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6355A (en) Roof top carrier
KR102066572B1 (ko)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
KR101186959B1 (ko) 차량용 캐리어
JPH02500905A (ja) 自動車を駐車させるプラットフォームのリフト装置
US8016268B2 (en) Wind tower service lift
JP5972089B2 (ja) コンテナ及びコンテナ移動架台
US20090110528A1 (en) Lift mechanism
CN209394628U (zh) 一种翻转装置以及蒙皮成型模翻转设备
KR20190067640A (ko) 입체형 주차장의 주차시스템
JP2005289636A (ja) 昇降装置
JPWO2018229860A1 (ja) エレベーター用主ロープ振れ止め装置
US20130293071A1 (en) Cantilever Carousel System
CN108100959A (zh) 一种异形圆筒装配平台
KR20160066247A (ko) 탑차의 측면 도어 오픈 및 폐쇄장치
JP4723232B2 (ja) 入出庫装置
KR102101096B1 (ko) 차량의 루프 수납장치
US2063912A (en) Cable winding mechanism
JPH0762931A (ja) スライド式開閉テントの開閉状態維持機構
JP2009243223A (ja) 地下式自転車駐輪設備
JP2004168439A (ja) クレーン装置
JP2000043634A (ja) 車両用の車椅子積降し装置
JP2006177107A (ja) 駐輪設備
JPH07101508A (ja) 移載装置
JP3644507B2 (ja) 保管装置
JPH10273205A (ja) 物品保管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