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200B1 -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200B1
KR101674200B1 KR1020150053808A KR20150053808A KR101674200B1 KR 101674200 B1 KR101674200 B1 KR 101674200B1 KR 1020150053808 A KR1020150053808 A KR 1020150053808A KR 20150053808 A KR20150053808 A KR 20150053808A KR 101674200 B1 KR101674200 B1 KR 101674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gear
gear member
driving
pinion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590A (ko
Inventor
박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잠
Priority to KR1020150053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200B1/ko
Publication of KR20160123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5Enclosure-type carriers, e.g. containers,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는, 승,하강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트레일러의 상면에 마련되는 승,하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수단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된 케이스에 형성되는 제1,2 측벽에, 구동축에 의해 정,역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구동 피니언; 상기 구동 피니언과 맞물리는 제1 랙기어가 상면에 연이어 형성되고, 측면에는 제2 랙기어가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구동 피니언의 회전 동작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바닥 한쪽에 설치되는 구동 랙기어부재; 측면에 연이어 형성되는 제3 랙기어와 상기 제2 랙기어 사이에 설치되어 제2,3 랙기어와 맞물리는 연동 피니언에 의해 상기 구동 랙기어부재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바닥 다른 쪽에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피동 랙기어부재; 및 상기 구동 피니언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 랙기어부재와 피동 랙기어부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상향으로 밀어 올리거나 내리도록, 각각의 일단은 상기 구동 랙기어부재와 상기 피동 랙기어부재의 서로 반대방향 끝단부에 각각 축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에 각각 축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캠핑용 트레일러의 상면에 핸들이나 전기모터 등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피니언에 의해 양쪽의 랙기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양쪽의 연결로드가 베이스 프레임을 들어올려 상승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구동축의 구동만으로 베이스 프레임을 용이하고 신속하며 안전하게 상승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LIFTING DEVICE FOR CAMPING TRAILER}
본 발명은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캠핑 트레일러의 상부에 장착되어 화물이 적재되거나 루프탑 텐트가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용이하고 원활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는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산업화의 발전과 레저문화의 발달로 인하여 휴식일수가 증가하여 주말이나 휴식기간에 등산이나 해변, 야외 나들이가 성행하고 이에 따라 각종 휴양지나 산행시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야영하여 휴식을 취하거나 취침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며, 이와 같이 야외에서 야영하는 경우 그 대부분이 이동 조립식 가옥인 텐트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야영시에 사용하는 텐트는 일반적으로 대체로 부피가 커 휴대 및 이동 등의 취급이 불편하고,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하는 부품의 수가 상당히 많아 조립 설치 및 철거에 많은 노고가 뒤따르는 어려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조립하는 부품의 수가 상당히 많아 이의 보관이나 취급에 상당한 주의가 요구되며, 사용자의 취급이나 보관시 부주의로 인하여 부품이 분실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쉽게 발생하여 부품의 수리 및 보수에 추가로 비용이 부담되는 경제적인 불리점과 텐트의 설치 사용에 많은 애로가 발생하는 등의 텐트 유지 관리에도 여러 가지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음이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근래에 들어 산업화와 생활여건의 발전 및 향상에 따라 RV차량(Recreational Vehicle)의 대량 보급이 이루어지고 레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RV차량을 이용하여 나들이하여 야영하는 소위 오토캠핑(Auto Camping)이 점차로 성행하여 유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RV차량을 이용하여 야영할 경우 RV차량의 사이드 도어 및 후방도어를 개방한 다음, 차량의 실내 룸을 이용하여 휴식이나 취침을 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으나, 이는 RV차량의 실내 룸의 좌석배치나 좌석의 구조상 장시간 정상적인 취침을 하기에는 상당한 불편이 있어, 단시간 휴식이나 어린이 등과 같은 소아 이외에는 편안한 휴식이나 취침을 효과를 달성하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RV차량을 이용하여 야영을 한다 하더라도 주로 별도의 조립식 텐트를 차량 주변에 설치하거나 내리쬐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차양막 등을 설치하여 뜨거운 태양을 가리도록 하였으나, 이를 위해서는 텐트 및 차양막 등을 차량에 별도로 준비하여 휴대 보관해야만 하는 실정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별도의 텐트를 사용하는 경우에서 나타나는 불편과 번거러움을 해소할 수 없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36951호(공고일 : 2014.09.25)에 개시된 차량용 루프탑 텐트에 의해 다소 해소될 수 있었다. 이러한 차량용 루프탑 텐트는, 차량의 루프 캐리어에 접힘이 가능한 루프탑 텐트를 설치한 것으로, 이동성이 양호하고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제공되었으나, 항상 차량의 루프 캐리어에 장착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캠핑용 박스 트레일러의 상부에 지지체를 구성한 후 이 지지체에 루프탑 텐트를 설치함으로써, 전술한 차량용 루프탑 텐트가 갖는 문제점들이 해소될 수 있었다. 즉, 캠핑용 박스 트레일러는, 차량으로 견인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박스 트레일러의 상부에 텐트를 설치한 후 평상시에는 견인차량에서 분리하여 견인차량을 평소 용도로 이용하고, 캠핑을 갈 경우에만 견인차량으로 박스 트레일러를 견인하여 캠핑장소로 이동할 수 있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었다.
한 예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24104호(공고일 : 2014.08.01)에는 루프탑 텐트용 리프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루프탑 텐트용 리프트는, 트레일러의 양측면에 수직상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안내브라켓과, 상기 안내브라켓에 끼워져 설치되고, 한쪽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된 다수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힌지로 결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부착 설치되고, 텐트의 바닥부를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안내브라켓에 설치되고, 수직프레임을 일정 높이로 고정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는 클램프와, 상기 트레일러의 양측면과 수평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쇼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루프탑 텐트용 리프트는,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텐트를 설치할 수 있고, 텐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었다.
즉, 트레일러의 견인(운행) 중에는 베이스프레임의 높이를 낮춰 안전성을 확보하고, 캠핑장에 도착해서는 베이스프레임의 높이를 높혀 트레일러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텐트가 지면과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여 개방감 및 양호한 전망을 제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루프탑 텐트용 리프트는, 각 안내브라켓에 끼움 결합된 수직 프레임들을 하나씩 들어올린 후 클램프로 고정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즉, 4개의 수직 프레임들 중에서 하나의 수직 프레임을 들어 올린 후 클램프로 고정하고, 다른 쪽 수직 프레임을 최초로 들어 올렸던 수직 프레임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들어 올려 클램프로 고정하는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36951호(공고일 : 2014.09.25)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24104호(공고일 : 2014.08.01)
본 발명의 목적은, 캠핑용 트레일러에 설치되는 텐트 리프트 장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승,하강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 트레일러의 상면에 마련되는 승,하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수단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된 케이스의 제1,2 측벽에, 구동축에 의해 정,역회전 하도록 설치되는 구동 피니언; 상기 구동 피니언과 맞물리는 제1 랙기어가 상면에 연이어 형성되고, 측면에는 제2 랙기어가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구동 피니언의 회전 동작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바닥 한쪽에 설치되는 구동 랙기어부재; 측면에 연이어 형성되는 제3 랙기어 및 상기 제2 랙기어와 맞물리는 연동 피니언에 의해 상기 구동 랙기어부재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바닥 다른 쪽에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피동 랙기어부재; 및 상기 구동 피니언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 랙기어부재와 피동 랙기어부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상향으로 밀어 올리거나 내리도록, 각각의 일단은 상기 구동 랙기어부재와 상기 피동 랙기어부재의 서로 반대방향 끝단부에 각각 축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에 각각 축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는, 상기 구동 랙기어부재와 피동 랙기어부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상기 구동 랙기어부재와 피동 랙기어부재를 직선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이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 랙기어부재와 피동 랙기어부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안내홈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제1,2 측벽 사이에는,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 피니언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 수직으로 마련된 축부재에 결합되는 상기 연동 피니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브라켓이 설치되되,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은, 상기 구동 피니언이 상기 제1 랙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구동 피니언을 상기 제1 측벽 쪽에 위치시키고, 상기 구동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 피니언과 제2 측벽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2 지지단; 및 상기 축부재의 상단이 결합되어 상기 연동 피니언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1,2 지지단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바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상기 승,하강 수단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안내하고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안내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코너에서 직하방으로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같이 승,하강되는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들; 상기 수직 프레임이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트레일러의 양쪽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안내 프레임들; 및 상기 안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영역에 형성되는 상승 고정공 및 상부영역에 형성되는 하강 고정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승상태 또는 하강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안내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상승 고정공 또는 하강 고정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위치고정구를 포함하는 제1 위치고정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은, 핸들에 의해 수동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되거나, 전기모터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연결로드용 작동공이 양쪽에 단부와 상면에 연이어 형성된 커버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로드는, 쇽업소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 피니언과 마주보는 상기 제1 지지단과 상기 제1 측벽 사이에는, 상기 구동 피니언의 상승을 위한 회전은 허용하고, 하강을 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하강방지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하강방지수단은, 일단에 상기 구동 피니언의 기어이에 걸리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단과 제1 측벽에 설치되는 회전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토퍼 본체; 상기 제1,2 측벽을 연결하는 브라켓에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스토퍼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 본체가 상기 회전 지지축을 중심으로 항상 상기 구동 피니언 쪽으로 회전되도록 탄력 지지하기 위한 스토퍼용 스프링; 및 상기 스토퍼가 상기 기어이에 걸렸을 때 상기 스토퍼 본체가 추가로 상기 구동 피니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구동 피니언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지지단과 제1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 본체를 지지하는 걸림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의 상면에 1 - 5개가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 수단이 2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각각의 상기 구동축은 연결축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피니언이 동시에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승,하강 작동시 상기 수직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떨림 방지용 부싱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캠핑용 트레일러의 상면에 핸들이나 전기모터 등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피니언에 의해 양쪽의 랙기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양쪽의 연결로드가 베이스 프레임을 들어올려 상승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구동축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만으로 베이스 프레임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을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의 승.하강 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승,하강 수단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하강방지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수단의 각 구동축이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의 승.하강 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승,하강 수단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하강방지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는, 캠핑용 트레일러(10)의 상면에 설치되어 텐트가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20)을 핸들(30)이나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승강시키고 하강시키도록 된 것으로, 케이스(4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 피니언(50)과, 구동 피니언(50)의 회전 동작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케이스(40)의 바닥 한쪽에 설치되는 구동 랙기어부재(60)와, 케이스(40)의 바닥 다른 쪽에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피동 랙기어부재(70)와, 구동 랙기어부재(60)와 피동 랙기어부재(70)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 피니언의 회전시 구동 랙기어부재(60)와 피동 랙기어부재(7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연동 피니언(80)과, 각각의 일단은 구동 랙기어부재(60)와 피동 랙기어부재(70)의 서로 반대방향 끝단부에 각각 축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베이스 프레임(20)의 저면에 각각 축 결합되어 구동 랙기어부재(60)와 피동 랙기어부재(70)가 서로 반대 방향을 직선운동할 때 베이스 프레임(20)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도록 작동하는 한 쌍의 연결로드로 구성된 승,하강 수단(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스(40)는, 승,하강 수단(1)이 내설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의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된 구조를 갖으며, 중앙에는 제1,2 측벽(42,44)이 다른 부분의 측벽보다 더 높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는 구동 피니언(50)이 원활하게 회전 구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1,2 측벽(42,44) 양쪽에는 제1,2 측벽(42,44) 사이를 커버하기 위한 브라켓(46)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브라켓(46)에는 각종 부품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40)는 캠핑 트레일러(10)의 상면에 장착된다. 제1,2 측벽(42,44)에는 축공이 각각 형성되고, 이 축공에는 구동축(52)이 관통 설치된다. 이러한 축공에는 구동축(5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이 설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40)의 상부에는, 연결로드용 작동공(47)이 양쪽에 단부와 상면에 연이어 형성된 커버부재(48)가 결합되어 케이스(40)의 내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재(48)는, 이물질 등이 케이스(4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 피니언(50)은, 제1,2 측벽(42,4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52)에 결합되고, 구동 랙기어부재(60)의 제1 랙기어(62)와 맞물리도록 된 것으로, 구동축(52)의 회전 작동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된다.
이러한 구동 피니언(50)은, 구동 피니언(50)과 제2 측벽(44) 사이에 설치되는 이탈방지 브라켓(90)에 의해 위치가 유동되지 않고 제1 랙기어(62)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바닥부(96)의 양쪽에서 상향으로 수직 절곡된 제1,2 지지단(92,94)이 제2 측벽(44)과 구동 피니언(50) 사이에 설치되므로, 구동 피니언(50)은 제1 지지단(92)과 제1 측벽(42) 사이에 위치하여 유동되지 않고 항상 제1 랙기어(62)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전술한 제1,2 지지단(92,94)에는 전술한 구동축(52)이 관통되기 위한 축공이 각각 형성된다.
구동축(52)은, 핸들(30)에 의해 수동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되거나, 전기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승,하강 수단(1)은 트레일러(10)의 상면에 1 - 5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승,하강 수단(1)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승,하강 수단(1)이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승,하강 수단(1)이 2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구동축(52)은 연결축(52A)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구동 피니언(50)이 동시에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결축(52A)의 양쪽 단부에는 다각형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구동축(52)의 단부에는 다각형의 삽입단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의해 양쪽 승,하강 수단(1)의 구동축(52)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랙기어부재(60)는, 구동피니언(50)의 정,역회전 구동에 의해 케이스(4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구동 피니언(50)과 맞물리는 제1 랙기어(62)가 상면에 연이어 형성되고, 측면에는 제2 랙기어(64)가 연이어 형성된다. 즉,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 랙기어(62)가 연이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 랙기어(64)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 랙기어부재(60)는 구동 피니언(50)의 하부 방향에 위치하도록 케이스(40)의 바닥 한쪽(제1 측벽 쪽)으로 치우쳐 설치된다. 이때, 구동 랙기어부재(60)의 저면에는 안내홈(65)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케이스(40)의 바닥에 설치되는 안내레일(45A)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 랙기어부재(60)는 안내레일(45A)에 의해 이탈됨 없이 직선방향으로 왕복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피동 랙기어부재(70)는, 연동 피니언(80)에 의해 구동 랙기어부재(60)와 연결되어 구동 랙기어부재(60)의 이동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것으로, 측면에 제3 랙기어(72)가 연이어 형성되고, 제3 랙기어(72)가 제2 랙기어(64) 마주보도록 케이스(40)의 바닥 다른 쪽에 직선 왕복운동 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피동 랙기어부재(70)의 저면에는 안내홈(75)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케이스(40)의 바닥에 설치되는 안내레일(45B)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피동 랙기어부재(70)는 안내레일(45B)에 의해 이탈됨 없이 직선방향으로 왕복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연동 피니언(80)은, 구동 랙기어부재(60)가 구동 피니언(50)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때, 피동 랙기어부재(70)가 구동 랙기어부재(6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2 랙기어(64) 및 제3 랙기어(72)가 양쪽에서 각각 맞물리도록 케이스(40)의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된 축부재(8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연동 피니언(80)은 구동 피니언(50)이 구동되어 상기 구동 랙기어부재(60)가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피동 랙기어부재(70)가 구동 랙기어부재(60)의 이동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즉, 피동 랙기어부재(70)와 구동 랙기어부재(60)가 동시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연결로드(300)는, 구동 피니언(50)의 구동에 의해 구동 랙기어부재(60)와 피동 랙기어부재(7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때 베이스 프레임(20)을 상향으로 밀어 올리거나 내리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일단은 구동 랙기어부재(60)와 피동 랙기어부재(70)의 서로 반대방향 끝단부에 각각 축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베이스 프레임(20)의 저면에 각각 축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로드(300)는 쇽업소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로드(300)를 쇽업소버로 구성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20)의 승,하강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서, 관련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 연결로드(300)는, 일단이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랙기어부재(60)의 한쪽 끝단 및 피동 랙기어부재(70)의 다른 쪽 끝단에 결합되는 각 연결부재(67,77)의 축(67A,77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베이스 프레임(20)의 양쪽 저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축으로 결합된다.
이탈방지 브라켓(9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축(52)에 결합된 구동 피니언(50)의 위치를 고정하고, 케이스(40)의 바닥에 수직으로 마련된 축부재(82)에 결합되는 연동 피니언(8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피니언(50)이 제1 랙기어(62)와 맞물리도록 구동 피니언(50)을 제1 측벽 (42)쪽에 위치시키고, 구동축(52)이 관통되는 관통공(92A,94A)을 구비하여 구동 피니언(50)과 제2 측벽(44)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2 지지단(92,94)과, 축부재(82)의 상단이 끼움 결합되어 연동 피니언(8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1,2 지지단(92,94)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바닥부(9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탈방지 브라켓(90)은 단면이 'U'형상을 갖는 것이다.
한편, 구동 피니언(50)과 마주보는 제1 지지단(92)과 제1 측벽(42) 사이에는, 구동 피니언(50)의 상승을 위한 회전은 허용하고, 하강을 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하강방지수단(100)이 마련된다.
이러한 하강방지수단(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구동 피니언(50)의 기어이(51)에 걸리는 스토퍼(112)가 돌출 형성되고, 제1 지지단(92)과 제1 측벽(42)에 설치되는 회전 지지축(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토퍼 본체(110)와, 제1,2 측벽(42,44)을 연결하는 브라켓(46)에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은 스토퍼 본체(110)에 결합되어 스토퍼 본체(110)가 회전 지지축(114)을 중심으로 항상 구동 피니언(50) 쪽으로 회전되도록 탄력 지지하기 위한 스토퍼용 스프링(120)과, 스토퍼(112)가 기어이(51)에 걸렸을 때 스토퍼 본체(110)가 추가로 구동 피니언(50)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구동 피니언(50)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하도록 제1 지지단(92)과 제1 측벽(42)에 설치되어 스토퍼 본체(110)를 지지하는 걸림바(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하강방지수단(100)은 구동 피니언(50)이 정회전(예를 들면 상승을 위한 회전)될 때에는 스토퍼 본체(110)가 도 5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스토퍼(112)가 기어이(51)를 타고 넘어 구동 피니언(50)의 정회전을 허용하고, 구동 피니언(50)이 역회전을 하게 되면 스토퍼 본체(110)가 걸림바(13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므로, 스토퍼(112)가 기어이(51)에 끼워져 구동 피니언(50)의 역회전을 방지한다. 따라서, 구동 피니언(50)을 역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전술한 스토퍼 본체(110)를 반시계방향 강제 회전시켜 스토퍼(112)를 기어이(51)에서 이탈시킨 후에 구동축(52)을 역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트레일러(10)에는, 베이스 프레임(20)이 전술한 승,하강 수단(1)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안내하고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안내수단(200)이 구비된다.
이러한 안내수단(200)은, 베이스 프레임(20)의 각 코너에서 직하방으로 설치되어 베이스 프레임(20)과 같이 승,하강되는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210)들과, 수직 프레임(210)이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트레일러(10)의 양쪽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안내 프레임(220)들과, 안내 프레임(220)에 설치되어 수직 프레임(210)의 하부영역에 형성되는 상승 고정공(212) 및 상부영역에 형성되는 하강 고정공(214)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수직 프레임(210)의 상승상태 또는 하강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수단(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안내 프레임(220)의 내측 중간부에는 수직 프레임(210)의 승,하강 작동시 수직 프레임(210)이 떨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수직 프레임(210)의 승,하강 작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수직 프레임(210)의 승,하강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떨림 방지용 부싱(222)이 설치된다. 이러한 떨림 방지용 부싱(222)은 안내 프레임(220)의 내부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된다. 이와 같은 떨림 방지용 부싱(222)에 의해 수직 프레임(210)의 승,하강 작동이 떨림없이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직 프레임(210)이 상승하였을 때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 된다.
위치고정수단(230)은, 제1 관통공(224) 또는 제2 관통공(226)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상승 고정공(212)이나 하강 고정공(214)에 삽입되어 수직 프레임(210)의 상승 또는 하강 상태를 고정하고, 상승 고정공(212)이나 하강 고정공(214)에서 이탈되어 수직 프레임(210)의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위치고정수단(23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프레임(220)의 외측에 설치되는 너트부재(231)와, 너트부재(231)에 체결되어 안내 프레임(220)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224) 통하여 수직 프레임(210)의 외주면 양쪽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는 각각의 상승 고정공(212) 및 각각의 하강 고정공(214)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볼트 구조의 위치고정구(232)를 포함하는 제1 위치고정구(230)와, 안내 프레임(220)의 외측에 설치되는 하우징(241)과, 하우징(241)의 내부에서 스프링(242)에 의해 안내 프레임(220)에 형성되는 제2 관통공(226) 쪽으로 탄력 지지되어 제2 관통공(226)을 통하여 상기 위치고정구(232)가 삽입되는 반대 방향의 상승 고정공(212) 또는 하강 고정공(214)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로드(244)를 포함하는 제2 위치고정구(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승 고정공(212)과 하강 고정공(214)은 각각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된다. 따라서 한쪽의 상승 고정공(212)과 하강 고정공(214)에는 위치고정구(232)가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다른 쪽의 상승 고정공(212)과 하강 고정공(214)에는 위치고정로드(244)가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은 위치고정수단(230)은, 수직 프레임(210)이 하강하였을 때 제1 관통공(224)과 하강 고정공(214)이 일치하면 위치고정구(232)를 조여 위치고정구(232)가 하강 고정공(214)에 삽입되도록 하여 수직 프레임(210)의 하강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고, 수직 프레임(210)이 상승하여 제1 관통공(224)과 상승 고정공(212)이 일치하면 위치 위치고정구(232)를 조여 위치고정구(232)가 상승 고정공(212)에 삽입되도록 하여 수직 프레임(210)의 상승 상태가 고정되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제1 관통공(224)과 제2 관통공(226)이 서로 같은 높이의 반대 방향에 각각 형성되므로, 위치고정구(232)가 제1 관통공(224)을 통하여 상승 고정공(212) 또는 하강 고정공(214)에 삽입될 때, 위치고정로드(244)도 스프링(242)의 탄성에 의해 제2 관통공(226)을 통하여 반대 방향의 상승 고정공(212) 또는 하강 고정공(214)에 삽입되는 것이다.
한편, 제1 위치고정구(230)에 대하여 위 실시예에서는 볼트구조와 너트구조로 구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위치고정구(232)가 스프링에 의해 제1 관통공(224) 쪽으로 탄력지지 되도록 설치되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승 고정공(212) 또는 하강 고정공(214)에 삽입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캠핑용 트레일러(10)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 및 구조의 트레일러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 수단(1)이 트레일러(10)의 전방영역 및 후방영역 상면에 각각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양쪽의 구동축(52)은 연결축(52A)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연결되며, 연결로드(300)의 각 상단부는 베이스 프레임(20)의 저면에 축으로 결합되고, 각 하단은 피동 랙기어부재(70)의 단부 및 구동 랙기어부재(60)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수직 프레임(210)이 각각의 안내 프레임(2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베이스 프레임(20)을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핸들(30)을 이용하여 구동축(52)을 정방향 회전(도 7에 도시된 일점쇄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축(52)의 정방향으로 구동 피니언(5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구동 랙기어부재(60)를 도 7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연동 피니언(80)이 제2 랙기어(64)와 제3 랙기어(72)와 맞물려 있으므로, 피동 랙기어부재(70)는 구동 랙기어부재(60)의 이동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구동 피니언(50)의 정방향 회전으로 구동 랙기어부재(60)와 피동 랙기어부재(70)가 서로 반대방향(우측과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동 피니언(50)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스토퍼(112)가 구동 피니언(50)의 기어이(51)에 간섭되지 않고 구동 피니언(50)의 회전을 허용한다.
그리고, 한쪽 승,하강 수단(1)과 다른 쪽 승,하강 수단(1)의 구동축(52)이 연결축(52A)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피동 랙기어부재(70)와 구동 랙기어부재(60)의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은 양쪽 승,하강 수단(1)들에서 동시에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과정으로 구동 랙기어부재(60)와 피동 랙기어부재(7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벌어지게 되면, 눕혀진 상태의 양쪽 연결로드(300)들은 서서히 세워지면서 베이스 프레임(20)을 밀어 올리게 되는 것이다.
즉, 구동 랙기어부재(60)와 피동 랙기어부재(70)가 좌,우측으로 벌어지는 작동을 하기 전에는 양쪽의 연결로드(300)가 눕혀진 상태이나, 각 연결로드(300)의 단부가 결합된 구동 랙기어부재(60)와 피동 랙기어부재(7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세워지게 되면서 베이스 프레임(20)을 상향으로 밀어 올리게 되므로, 베이스 프레임(20)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수직 프레임(210)들이 안내 프레임(220)에 안내되므로, 베이스 프레임(20)은 수평상태로 안정되게 상승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과정으로 베이스 프레임(20)이 상승을 완료한 상태에서, 제1,2 관통공(224,226)과 양쪽의 상승 고정공(212,212A)이 서로 일치하면, 위치고정구(232)를 한쪽의 상승 고정공(212)에 삽입하고, 위치고정로드(244)를 반대쪽의 상승 고정공(212A)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위치고정구(232)와 위치고정로드(244)가 양쪽의 상승 고정공(212,212A)에 삽입되므로 수직 프레임(210)의 상승위치가 고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베이스 프레임(20)의 상승된 상태가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스프링(242)에 탄력 지지 되는 위치고정로드(244)의 단부가 수직 프레임(210)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수직 프레임(210)이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위치고정로드(244)의 단부가 반대쪽의 상승 고정공(212A)에 일치하면 위치고정로드(244)의 단부가 스프링(242)의 탄성에 의해 상승 고정공(212A)에 스스로 삽입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3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동으로 피동 랙기어부재(70)와 구동 랙기어부재(6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는 이동을 함으로써, 양쪽의 연결로드(300)가 세워지면서 베이스 프레임(20)을 밀어 올려 상승시키게 된다.
한편, 전술한 과정으로 베이스 프레임(20)이 상승한 상태에서, 다시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하강방지수단(100)의 스토퍼 본체(110)를 스토퍼(112)가 기어이(51)에서 이탈되도록 구동 피니언(50)이 있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위치고정구(232)를 한쪽의 상승 고정공(212)에서 빼내고, 위치고정로드(244)를 반대쪽의 상승 고정공(212A)에서 빼내어 수직 프레임(21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이어서, 핸들(30)을 역회전 방향(상승을 위한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핸들(30)을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 랙기어(62)와 맞물린 구동 피니언(50)이 상승을 위한 회전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케이스(40)의 끝단부 쪽으로 이동되어 있던 구동 랙기어부재(60)를 케이스(40)의 중앙부(구동 피니언이 설치된 영역)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2 랙기어(64)와 맞물리고 제3 랙기어(72)와 맞물린 연동 피니언(80)이 회전하면서 피동 랙기어부재(70)도 케이스(40)의 중앙부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피동 랙기어부재(70)와 구동 랙기어부재(60)가 케이스(40)의 중앙부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피동 랙기어부재(70)와 구동 랙기어부재(60)의 각 단부에 결합된 연결로드(300)들이 케이스(40)의 중앙부 쪽으로 당겨지면서 눕혀지게 되므로 베이스 프레임(20)이 하강하여 그 높이가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정으로 베이스 프레임(20)이 하강하여 수직 프레임(210)이 안내 프레임(220) 내부로 삽입되어 양쪽의 하강 고정공(214,214A)과 제1,2 관통공(224,226)이 일치하면, 위치고정구(232)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단부가 한쪽의 하강 고정공(214)에 삽입되도록 하고, 위치고정로드(244)의 단부를 반대쪽의 하강 고정공(214A)에 삽입되돌고 한다. 이 과정으로 수직 프레임(210)이 하강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핸들(30)을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구동 랙기어부재(60)와 피동 랙기어부재(7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원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양쪽의 연결로드(300)를 세우거나 눕혀 베이스 프레임(20)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음으로써, 베이스 프레임(20)을 승,하강 시키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안내수단(20)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20)의 승,하강 작동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승된 상태 및 하강한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승,하강 수단 10 : 트레일러
20 : 베이스 프레임 30 : 핸들
40 : 케이스 50 : 구동 피니언
60 : 구동 랙기어부재 70 : 피동 랙기어부재
80 : 연동 피니언 90 : 이탈방지 브라켓
100 : 하강방지수단 200 : 안내수단
300 : 연결로드

Claims (11)

  1. 삭제
  2. 승,하강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 트레일러의 상면에 마련되는 승,하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수단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된 케이스에 형성되는 제1,2 측벽에, 구동축에 의해 정,역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구동 피니언;
    상기 구동 피니언과 맞물리는 제1 랙기어가 상면에 연이어 형성되고, 측면에는 제2 랙기어가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구동 피니언의 회전 동작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바닥 한쪽에 설치되는 구동 랙기어부재;
    측면에 연이어 형성되는 제3 랙기어와 상기 제2 랙기어 사이에 설치되어 제2,3 랙기어와 맞물리는 연동 피니언에 의해 상기 구동 랙기어부재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바닥 다른 쪽에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피동 랙기어부재; 및
    상기 구동 피니언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 랙기어부재와 피동 랙기어부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상향으로 밀어 올리거나 내리도록, 각각의 일단은 상기 구동 랙기어부재와 상기 피동 랙기어부재의 서로 반대방향 끝단부에 각각 축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에 각각 축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는,
    상기 구동 랙기어부재와 피동 랙기어부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상기 구동 랙기어부재와 피동 랙기어부재를 직선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이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 랙기어부재와 피동 랙기어부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안내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제1,2 측벽 사이에는,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 피니언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 수직으로 마련된 축부재에 결합되는 상기 연동 피니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브라켓이 설치되되,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은,
    상기 구동 피니언이 상기 제1 랙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구동 피니언을 상기 제1 측벽 쪽에 위치시키고, 상기 구동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 피니언과 제2 측벽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2 지지단; 및
    상기 축부재의 상단이 결합되어 상기 연동 피니언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1,2 지지단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바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상기 승,하강 수단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승,하강 작동을 안내하고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안내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코너에서 직하방으로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같이 승,하강되는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들;
    상기 수직 프레임이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트레일러의 양쪽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안내 프레임들; 및
    상기 안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영역에 형성되는 상승 고정공 및 상부영역에 형성되는 하강 고정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승상태 또는 하강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안내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 통하여 상기 상승 고정공 또는 하강 고정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위치고정구를 포함하는 제1 위치고정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핸들에 의해 수동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되거나, 전기모터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연결로드용 작동공이 양쪽에 단부와 상면에 연이어 형성된 커버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는,
    쇽업소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피니언과 마주보는 상기 제1 지지단과 상기 제1 측벽 사이에는,
    상기 구동 피니언의 상승을 위한 회전은 허용하고, 하강을 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하강방지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하강방지수단은,
    일단에 상기 구동 피니언의 기어이에 걸리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단과 제1 측벽에 설치되는 회전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토퍼 본체; 및
    상기 제1,2 측벽을 연결하는 브라켓에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스토퍼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 본체가 상기 회전 지지축을 중심으로 항상 상기 구동 피니언 쪽으로 회전되도록 탄력 지지하기 위한 스토퍼용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수단은,
    상기 트레일러의 상면에 1 - 5개가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 수단이 2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각각의 상기 구동축은 연결축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피니언이 동시에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승,하강 작동시 상기 수직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떨림 방지용 부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KR1020150053808A 2015-04-16 2015-04-16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KR101674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808A KR101674200B1 (ko) 2015-04-16 2015-04-16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808A KR101674200B1 (ko) 2015-04-16 2015-04-16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590A KR20160123590A (ko) 2016-10-26
KR101674200B1 true KR101674200B1 (ko) 2016-11-09

Family

ID=5725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808A KR101674200B1 (ko) 2015-04-16 2015-04-16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2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185B1 (ko) 2023-04-24 2023-09-12 최태석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81263B (zh) * 2018-05-31 2023-12-08 重庆金茂联合电子有限公司 用于手机组件焊接的加工装置
CN109131026A (zh) * 2018-09-04 2019-01-04 邵阳学院 一种c型房车双层自动变形装置
KR102316350B1 (ko) * 2021-07-06 2021-10-22 최종섭 차량 적재함을 이용한 캠핑카 및 그 조립 방법
CN114300219B (zh) * 2021-12-11 2024-04-05 徐州鑫贝克电力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变压器骨架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381A (ko) * 2003-01-06 2003-02-07 임경도 카 텐트
KR101436951B1 (ko) 2013-08-19 2014-09-25 한광진 차량용 루프탑텐트
KR101424104B1 (ko) 2014-04-08 2014-08-01 구은애 루프탑 텐트용 리프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185B1 (ko) 2023-04-24 2023-09-12 최태석 픽업트럭 장착용 높이조절 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590A (ko)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200B1 (ko)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US3466082A (en) Pickup truck bed mounted camper tent
US6035875A (en) Roof tent for automobiles
KR101618011B1 (ko) 탈착형 캠핑카 지지장치
AU2011213823A1 (en) A fifth-wheel trailer with an adjustable floor in its forward section and a method for its use
FR2633814A1 (fr) Systeme de lit escamotable pour pieces d'habitation de petites dimensions
KR102075078B1 (ko) 캠퍼
KR101950649B1 (ko) 캠핑 차량용 실내 주방 가구 이송장치
KR20140137468A (ko) 자동차용 루프탑 텐트
KR20160006577A (ko) 차량에 구비되는 여가용 부대장치
CN113006589A (zh) 一种长度可调的帐篷支架
KR101561006B1 (ko) 탈착형 캠핑카 지지장치
DE202010014492U1 (de) Transportable Wohnraumzelle, Wohnmobil sowie teilintegriertes Wohnmobil
KR20120108299A (ko) 캠핑카용 테이블
KR102193291B1 (ko) 회전 가능한 컨테이너를 갖는 캠핑용 트레일러
KR101536625B1 (ko) 루프 탑 텐트 설치용 리프팅장치
KR101570814B1 (ko) 자동차용 다목적 캠핑베드 장치
CN209366939U (zh) Agv牵引装置及agv小车
KR20150041833A (ko) 컨텐츠 공유장치
KR200481317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
KR20120045443A (ko) 팝업 루프를 가진 차량
KR200482911Y1 (ko) 차량적재함의 개폐식 천막구조
CN210680527U (zh) 一种野营拖挂车
CN216545884U (zh) 一种多功能汽车储物扶手箱
CN214776278U (zh) 一种电动车或摩托车坐垫防晒防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