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5443A - 팝업 루프를 가진 차량 - Google Patents

팝업 루프를 가진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5443A
KR20120045443A KR1020100106984A KR20100106984A KR20120045443A KR 20120045443 A KR20120045443 A KR 20120045443A KR 1020100106984 A KR1020100106984 A KR 1020100106984A KR 20100106984 A KR20100106984 A KR 20100106984A KR 20120045443 A KR20120045443 A KR 20120045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op
roof
pow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2459B1 (ko
Inventor
윤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밴텍디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밴텍디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밴텍디엔씨
Priority to KR1020100106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459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20Vehicle storage compartments for roof parts or for collapsible flexible 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팝업루프를 가진 차량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차량은 다수의 좌석 열들이 설치될 수 있는 실내 공간을 가진 차체와, 차체 상판 중앙에 형성된 장방형 개구부를 덮고,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는 팝업 루프와, 팝업 루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지 못하도록 상기 차체에 락킹하기 위한 락킹부재와, 주차 상태에서는 상기 락킹부재가 락킹 해제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주차 상태 이외에는 상기 락킹부재가 락킹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락킹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팝업 루프를 가진 차량{Vehicle with Pop-Up Roof }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 지붕을 상 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는 팝업 루프를 가진 차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주5일 근무제 도입으로 야외활동시간의 증대로 캠핑카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캠핑카는 차량 실내 공간에서 고개를 들고 활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차고가 높기 때문에 국내의 주택 구조상 주차의 어려움이 있어서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캠핑카는 휴일 또는 주말에만 가동되고 평일에는 사용되지 못하기 때문에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주차가 용이하면서도 평일에는 출퇴근용으로 사용하고 주말에는 캠핑카로 활용할 수 있는 다용도 차량의 출현이 요구되고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승합차, 비즈니스 카 및 캠핑카를 겸용할 수 있는 팝업 루프를 가진 차량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 주행을 위하여 주차 브레이크 연동되어 락킹되는 팝업 루프를 가진 차량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은 다수의 좌석 열들이 설치될 수 있는 실내 공간을 가진 차체와, 차체 상판 중앙에 형성된 장방형 개구부를 덮고,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는 팝업 루프와, 팝업 루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지 못하도록 상기 차체에 락킹하기 위한 락킹부재와, 주차 상태에서는 상기 락킹부재가 락킹 해제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주차 상태 이외에는 상기 락킹부재가 락킹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락킹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평일 출퇴근시에는 지붕을 내려서 통상적인 승합차로 운용할 수 있으므로 주차가 용이하며 비즈니스 용도로 사용시에는 운전석과 조수석을 돌려서 제2열 좌석들과 마주보게 배치하고 중앙에 탁자를 배치하여 회의실을 구성하며 지붕을 들어 올려서 고개를 들고 실내에서 활동할 수 있는 움직이는 회의실로 활용할 수 있으며, 캠핑카로 활용시에는 제3열 및 제4열 좌석열 배치 공간에 마련된 냉장고, 싱크대, 좌변기 또는 조리대를 활용하고 취침시에는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제1열 좌석들과 제2열 좌석들을 결합하여 침대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1차 3용도로 차량의 활용가치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주차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주차 상태 이외에서는 팝업 루프의 락킹이 해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차량의 팝업루프를 닫은 상태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차량의 팝업루프를 연 상태의 외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차량의 주행모드의 실내 평면 배치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차량의 회의모드의 실내 평면 배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차량의 침대 모드의 실내 평면 배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차량의 침대 모드의 실내 측면 배치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탁자부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팝업 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팝업 루프의 프론트 링크 부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팝업 루프의 락킹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팝업 루프를 가진 차량의 전체 회로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차량의 지붕을 내린 상태의 외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차량의 지붕을 올린 상태의 외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차량의 주행모드의 실내 평면 배치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차량의 회의실 모드의 실내 평면 배치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차량의 침대 모드의 실내 평면 배치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용도 차량(MRV)(100)은 통상 12인승 승합차의 차체(102)의 상판 지붕을 푸시 업 루프(110) 형태로 개조한 것이다. 따라서 통상시에는 푸시 업 루프(110)가 닫힌 상태(도 1)로 출퇴근이나 주차시 통상의 승합차 형태로 무리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주차 상태에서 비즈니스를 위하여 회의실이나 캠핑카로 사용시에는 푸시 업 루프(110)를 밀어 올려서 열린 상태(도 2)로 실내 공간을 상방향으로 확장시켜서 실내에서 직립활동이 가능하도록 사용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용도 차량(100)은 제1열(120)의 운전석(122)과 조수석(124)과 제2열(130)의 승객석(132, 134)을 포함한다. 제3열 및 제4열(140)의 좌석들은 제거되고 이 공간에 싱크대 및 화장실 수납장(144)과 조리대 및 냉장고 수납장(144)이 설치된다.
제1열(120)의 운전석(122)과 조수석(124) 각각은 제1열 설치 위치, 즉 주행모드위치(120a)와 침대모드위치(120c)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도면에서 점선 표시된 부분이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임). 회담모드위치(120b)는 주행모드위치(120a)와 침대모드위치(120c)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운전석(122)과 조수석(124) 각각은 180도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열(130)의 승객석(132, 134) 각각은 제2열 설치 위치, 즉 주행모드위치(130a)와 침대모드위치(130b)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승객석(132, 134) 각각의 엉덩이 받침(132a, 134a) 전단에는 다리받침(132b, 134b)이 전방 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등받침(132c, 134c)은 후방 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등받침(132c, 134c)의 상단에는 목받침(132d, 134d)이 각각 설치된다.
승객석(132)의 우측 사이드에는 보조 좌석 부재(136)가 결합되어 승객석(132, 134) 사이의 공간 상에 제공된다.
탁자부재(150)는 운전석(122)과 조수석(124) 사이의 통상의 사이드 브레이크 손잡이 위치에 배치되고 주행모드위치 및 침대모드 위치(150a)와 회담모드위치(150b)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탁자부재(150)는 회담모드위치(150b)에서 90도 회전되어 차량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열 좌석부재(120)와 제2열 좌석부재(130) 사이에 회의용 탁자로 제공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탁자부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탁자부재(150)는 장방형의 몸체(151)와, 몸체(151) 저면 중앙에 설치된 회전판(152)과, 회전판(152) 저면에 설치되고 차체 바닥에 형성된 가이드 홈(104)을 따라 침대모드위치 및 주행모드위치인 제1위치(150a)와 회담모드위치인 제2위치(150b) 사이를 이동되는 슬라이딩 차대(153)를 포함한다. 몸체(151)는 회전판(152)에 의해 길이방향(차체 길이방향)과 가로방향(차체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싱크대 및 화장실 수납장(142)에는 주로 물을 사용하는 공간으로 싱크대(142a)와 양변기(142b)가 설치된다. 조리대 및 냉장고 수납장(144)에는 주로 전기를 사용하는 공간으로 유도가열기 또는 가스렌지를 올려놓고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대(144a)와 냉장고(144b)가 설치된다. 조리대 및 냉장고 수납장(144)에는 조명 및 텔레비전 전원 콘트롤 박스와 배터리 박스가 수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시한 제3열 및 제4열(140)의 배치구조는 하나의 바람직한 예를 도시한 것이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배치와 설치가 가능하다.
주행모드에서는 통상적인 승합차로 사용하기 때문에 실내 공간이 높을 필요가 없으나 회담모드나 침대 모드에서는 주차 상태에서 활동하므로 가급적이면 고개를 펴고 직립 상태에서 실내 활동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주차 상태에서는 차량의 지붕을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팝업 루프(110)가 설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팝업 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팝업 루프의 프론트 링크 부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팝업루프(110)는 덮개(111), 한 쌍의 덮개 고정 프레임(112), 한 쌍의 상판 고정 프레임(114), 프론트 링크부재(115), 제1쇼크 업소버(116), 락킹부재(117), 천막(118)을 포함한다.
덮개(110)는 차체(102)의 상판 중앙에 형성된 장방형 개구부(102c)를 덮는 사이즈를 가지며, 중앙이 볼록한 타입이다. 차체(102)의 상판에 개구부(102c)를 형성하고 그 둘레에 차체 강도 보강을 위한 상판 프레임(102a)을 설치한다.
한 쌍의 덮개 고정 프레임(112)은 덮개(111) 내측 저면 전반부 좌우측 에지 근처에 개구부(102c) 폭 보다 큰 간격을 두고 각각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정되고 전단에는 힌지축(112a)이 형성되고 후반부에는 장공의 가이드 레일(112b)이 형성된다. 한 쌍의 상판 고정 프레임(114)은 개구부(102c) 좌우 주변부 차량 상판 프레임(102a)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고정되고, 전단에는 힌지축(114a)이 형성되고 후반부에는 장공의 가이드 레일(114b)이 형성된다. 프론트 링크부재(115)는 X자로 교차된 한 쌍의 로드(115a, 115b)와 교차지점에 형성된 힌지축(115c)을 포함한다. 로드(115a)의 선단은 힌지축(114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단은 가이드레일(112b)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로드(115b)의 선단은 힌지축(11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단은 가이드레일(114b)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116)의 일단(116b)은 상판 프레임(102a)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116a)은 덮개(11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러므로 덮개(111)는 밀어 올리면 힌지축(115c)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동되어 후단이 선단 보다 더 높게 올려져 경사진 각도를 유지한다. 들어 올릴 때 제1쇼크 업소버(116)의 작용으로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가볍게 밀어 올릴 수 있다.
덮개(111)와 상판 프레임(102a) 사이에는 빙 둘러서 천막(118)으로 가려지게 된다. 물론 천막(118)에는 통풍을 위한 통기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팝업 루프(110)에 의해 차체 실내 공간이 상방향으로 확장되므로 고개를 쳐든 직립 상태로 실내 공간에서 활동이 가능하게 된다.
침대모드에서 제1열 및 제2열 좌석들에 의해 성인 2인의 침대 공간은 확보가 가능하다. 2인 이상의 침실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팝업 루프에 의해 확장된 공간을 아이들을 위한 침실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접이식 벙커 침대(160)를 덮개(111)와 상판 프레임(102a) 사이에 설치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팝업 루프의 락킹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팝업 루프를 가진 차량의 전체 회로 블록도를 나타낸다.
핍업 루프(110)는 락킹부재(170)를 포함한다. 락킹부재(170)는 덮개(1110의 후단 내측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락(117)과 차체(102) 상판 후단 중앙에 고정된 락킹고리(102b)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솔레노이드 락(117)은 스위치(SW3) 및 스위치(SW2)를 거쳐서 전원부(183)로부터 직류 12V를 공급받는다. 그러므로 스위치(SW3) 및 스위치(SW2)가 동시에 턴온 되어야 전원이 공급되므로 솔레노이드가 동작된다.
따라서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SW2)가 오프인 상태, 즉 주행 중일 경우에는 전원공급이 차단되므로 팝업루프(110)의 락킹이 해제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주차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 상태에서만 스위치(SW2)가 턴온되므로 팝업 루프 락킹 해제 스위치(SW3)에 의해 락킹이 해제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은 크게 차량 회로부(180)와 보조 회로부(190)를 포함한다.
차량 회로부(180)는 팝업루프 락킹통상의 차량 전기회로 구조와 유사한 것으로 차량 엔진 발전기(181), 배터리 충전회로(182), 차량전용 직류 12V 공급제어부(183), 차량부하(184), 팝업루프 락킹부(185)를 포함한다.
보조회로부(190)는 교류전원 입력부(191), 보조전원 직류 12V 공급제어부(192), 냉장고(193), 야외 조명등(194), DMB 텔레비전(195), 직류 12V 출력부(196), 솔라 발전부(197)를 포함한다.
보조전원 직류 12V 공급제어부(192)는 차량 회로부(190)으로부터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SW1)를 통하여 직류를 공급받거나 외부의 교류전원을 직접 입력받거나 솔라 발전부(197)로부터 직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주행시에는 차량회로부(18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나 차량 주차시에는 스위치(SW1)가 턴오프되어 직류공급이 중단된다. 그 이유는 차량 전용 직류 12V 공급제어부(183) 내부의 차량용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하여 항상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주차시에는 교류전원입력부(191)를 통하여 외부 교류전원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거나 솔라 발전부(197)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보조전원 직류 12V 공급제어부(192)는 큰트롤 박스로 수납장(144)에 설치되어 냉장고(193), 야외 조명등(194), DMB 텔레비전(195), 직류 12V 출력부(196) 등으로 직류 공급을 제어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도면 및 그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멀티 배터리 시스템에 구비된 복수의 배터리부들에 대한 구체적인 회로도는 해당 구성 요소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인 것이므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에서 일부 소자의 추가 및/또는 생략 등의 설계 변경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Claims (2)

  1. 다수의 좌석 열들이 설치될 수 있는 실내 공간을 가진 차체;
    상기 차체 상판 중앙에 형성된 장방형 개구부를 덮고,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는 팝업 루프;
    상기 팝업 루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지 못하도록 상기 차체에 락킹하기 위한 락킹부재; 및
    주차 상태에서는 상기 락킹부재가 락킹 해제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차 상태 이외에는 상기 락킹부재가 락킹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락킹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루프를 가진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보조 회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회로부는
    직류, 교류 및 솔라 발전전류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여 보조전원을 공급 제어하는 보조전원 직류 공급 제어부;
    상기 보조전원 직류공급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냉장고;
    상기 보조전원 직류공급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야외 조명등;
    상기 보조전원 직류공급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텔레비전; 및
    상기 보조전원 직류공급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직류출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루프를 가진 차량.
KR1020100106984A 2010-10-29 2010-10-29 팝업 루프를 가진 차량 KR101242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984A KR101242459B1 (ko) 2010-10-29 2010-10-29 팝업 루프를 가진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984A KR101242459B1 (ko) 2010-10-29 2010-10-29 팝업 루프를 가진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443A true KR20120045443A (ko) 2012-05-09
KR101242459B1 KR101242459B1 (ko) 2013-03-12

Family

ID=4626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984A KR101242459B1 (ko) 2010-10-29 2010-10-29 팝업 루프를 가진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4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044A (ko) 2017-07-18 2019-01-28 김기환 수납공간 확장형 차량 루프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002B1 (ko) 2020-07-10 2021-11-26 주식회사 다온티앤티 차량용 팝업 텐트 결합구조
KR102308406B1 (ko) 2021-03-24 2021-10-01 지대헌 시트 조립체의 탈착구조를 갖는 승합차량용 수납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0375B2 (ja) * 1994-03-29 2000-11-2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ルーフ昇降装置
KR20050117508A (ko) * 2005-11-29 2005-12-14 세정캠핑카주식회사 각종 여가시설이 내설된 입체형 적재함이 차량과일체형으로 구비된 캠핑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044A (ko) 2017-07-18 2019-01-28 김기환 수납공간 확장형 차량 루프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2459B1 (ko) 2013-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6975B2 (ja) トラック
CA3043706C (en) Automotive vehicle body
KR102336407B1 (ko) 공간 확장이 가능한 차량
KR101242459B1 (ko) 팝업 루프를 가진 차량
KR101224555B1 (ko) 다용도 차량
DE202013012406U1 (de) Kraftfahrzeug mit einem Innenausbau zur Ausbildung einer Wohn- und/oder Schlafgelegenheit
CN205168519U (zh) 一种火车的模块化升降行李架
CN106476674B (zh) 多功能房车
CN211493815U (zh) 三向扩散商务房车
CN107139817A (zh) 一种多功能乘用车
KR20160089994A (ko) 다목적용 4밴탑
KR102193291B1 (ko) 회전 가능한 컨테이너를 갖는 캠핑용 트레일러
KR101321739B1 (ko)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
CN217145798U (zh) 一种皮卡可折叠装载式野外露营厢
CN218400358U (zh) 新型纵横床房车内部结构
JP7092321B1 (ja) キャンピングカー用ボックス
JP2023180143A (ja) キャンピングカー用ボックス
JP2023180185A (ja) キャンピングカー用ボックス
CN217170542U (zh) 带助力仓功能的运输车
CN204687934U (zh) 上层车顶自动升降通过下层车顶天窗进出的双层车顶帐篷
CN210284044U (zh) 一种四轮房车
CN215552676U (zh) 一种多功能车载座箱沙发
CN217734356U (zh) 一种空间利用率充足的折叠箱式房屋
CN218343356U (zh) 新型自行式c型双层顶结构斜升顶露营旅居车
CN217495944U (zh) 一种可扩展式车厢及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