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046B1 - 효소 및 규조토 처리를 이용한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귤청징농축액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효소 및 규조토 처리를 이용한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귤청징농축액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046B1
KR102577046B1 KR1020200177824A KR20200177824A KR102577046B1 KR 102577046 B1 KR102577046 B1 KR 102577046B1 KR 1020200177824 A KR1020200177824 A KR 1020200177824A KR 20200177824 A KR20200177824 A KR 20200177824A KR 102577046 B1 KR102577046 B1 KR 102577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trus
concentrate
food composition
juice
diatomaceous ear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7279A (ko
Inventor
김영훈
김주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해
Priority to KR1020200177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046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23L2/06Extraction of juices from citrus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15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귤착즙액에 섬유질 분해효소 및 규조토를 첨가하고 일정 시간 반응시킨 후 압착여과하여 청징화하므로, 높은 투명도 및 당도를 가지는 청징화된 감귤농축액을 얻을 수 있는 효소 및 규조토 처리를 이용한 김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귤청징농축액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효소 및 규조토 처리를 이용한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귤청징농축액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Method for manufacturing clarified citrus concentrate and Food composition containing clarified citrus concentrate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감귤착즙액에 섬유질 분해효소 및 규조토를 첨가하고 일정 시간 반응시킨 후 압착여과하여 청징화하므로, 높은 투명도 및 당도를 가지는 청징화된 감귤농축액을 얻을 수 있는 효소 및 규조토 처리를 이용한 김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귤청징농축액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감귤은 운향과 감귤속에 속하는 상록 소교목의 열매로, 맛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비타민 C가 풍부하여 미백효과를 제공하고 피부 노화를 늦추며, 칼슘 및 칼륨이 풍부하여 뼈 밀도를 높이고 혈압을 낮추어 동맥경화를 방지하고, 펙틴 및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노페물 배출을 촉진하여 장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하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감귤의 착즙액을 이용하는 식품 조성물이 널리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 제10-2013-0000519호(2013. 01. 03. 공개) "유산균발효 야채즙과 감귤착즙액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조성물"
상기 감귤착즙액은 음료의 주성분을 이루거나 다양한 식품에 첨가물로 널리 사용되며, 주로 농축액 형태로 사용되는데, 농축하는 과정에서 투명도가 저하되어 관능적인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감귤착즙액에 섬유질 분해효소 및 규조토를 첨가하고 일정 시간 반응시킨 후 압착여과하여 청징화하므로, 농축함에도 높은 투명도 및 당도를 가지는 청징화된 감귤농축액을 얻을 수 있는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징화된 감귤농축액에 추가적인 추출물을 혼합하여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보존기간을 늘릴 수 있는 청징화된 감귤농축액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 은 감귤착즙액에 섬유질 분해 효소 및 규조토를 첨가하고 반응시켜 감귤착즙액반응물을 얻는 효소및규조토처리단계와, 상기 효소및규조토처리단계에서 얻은 감귤착즙액반응물을 압착여과하여 감귤청징액을 얻는 압착여과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은 상기 압축여과단계에서 얻어진 감귤청징액을 농축하여 감귤청징농축액을 얻는 농축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효소및규조토처리단계에서 사용되는 상기 섬유질 분해 효소는 베타글루카나제(Beta-glucanase), 크실라나아제(Xyla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및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섬유질 분해 효소는 감귤 착즙액 대비 0.05 ~ 0.15중량%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규조토는 감귤 착즙액 대비 2 ~ 3중량%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효소및규조토처리단계는 감귤 착즙액, 섬유질 분해 효소 및 규조토의 혼합물을 50 내지 60℃로 유지되는 항온수조에 넣고 1.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농축단계는 상기 압축여과단계에서 얻어진 감귤청징액을 87 ~ 91℃에서 농축하고 여과하여 제1농축액을 얻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얻어진 제1농축액을 45 ~ 55℃에서 농축하고 여과하여 제2농축액을 얻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얻어진 제2농축액을 10 ~ 15℃에서 냉각하고 여과하여 감귤청징농축액을 얻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은 감귤을 물로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된 감귤을 예열된 증자기에 넣어 감귤을 처리하는 증자단계와, 상기 증자단계 후 감귤의 껍질을 제거하는 껍질제거단계와, 상기 껍질제거단계에서 껍질이 제거된 감귤을 파쇄한 후 착즙하여 감귤착즙액을 얻는 감귤착즙액수득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귤착즙액수득단계에서는 껍질이 제거된 감귤을 파쇄한 후 데칸터를 이용하여 착즙하여 감귤 착즙액을 얻고, 상기 압착여과단계에서는 필터프레스를 이용하여 감귤착즙반응물을 압착여과하여 감귤청징액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감귤청징농축액과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감귤청징농축액은 제9항의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감귤청징농축액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식품 조성물의 보존 기간 향상을 위해 사용되며, 식품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중량%로 혼합되고, 상기 식물 추출물은 고광나무 100 내지 200중량부, 염주나무 100 내지 200중량부, 조릿대 100 내지 200중량부 및 노간주나무 100 내지 200중량부를 추출 용매에 혼합하여 추출하고 여과 및 동결건조 과정을 거쳐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감귤착즙액에 섬유질 분해효소 및 규조토를 첨가하고 일정 시간 반응시킨 후 압착여과하여 청징화하므로, 농축함에도 높은 투명도 및 당도를 가지는 청징화된 감귤농축액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징화된 감귤농축액에 추가적인 추출물을 혼합하여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보존기간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효소 및 규조토 처리를 이용한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귤청징농축액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소 및 규조토 처리를 이용한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조방법은 감귤을 물로 세척하는 세척단계(S1)와, 세척된 감귤을 예열된 증자기에 넣어 감귤을 처리하는 증자단계(S2)와, 상기 증자단계(S2) 후 감귤의 껍질을 제거하는 껍질제거단계(S3)와, 상기 껍질제거단계(S3)에서 껍질이 제거된 감귤을 파쇄한 후 착즙하여 감귤착즙액을 얻는 감귤착즙액수득단계(S4)와, 상기 감귤착즙액수득단계(S4)에서 얻은 감귤착즙액에 섬유질 분해 효소 및 규조토를 첨가하고 반응시켜 감귤착즙액반응물을 얻는 효소및규조토처리단계(S5)와, 상기 효소및규조토처리단계(S5)에서 얻은 감귤착즙액반응물을 압착여과하여 감귤청징액을 얻는 압착여과단계(S6)와, 상기 압착여과단계(S6)에서 얻어진 감귤청징액을 농축하여 감귤청징농축액을 얻는 농축단계(S7) 등을 포함한다. 상기 감귤은 운향과 감귤속에 속하는 상록 소교목의 열매로, 맛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풍부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 세척단계(S1)는 선별된 감귤을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세척단계(S1)에서 사용되는 물은 여과된 지하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증자단계(S2)는 상기 세척단계(S1)에서 세척된 감귤을 예열된 증자기에 넣어 처리하는 단계로, 상기 감귤을 살균함과 동시에 상기 껍질제거단계(S3)에서 껍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행된다.
상기 껍질제거단계(S3)는 상기 증자단계(S2) 후 감귤의 껍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감귤착즙액수득단계(S4)는 상기 껍질제거단계(S3)에서 껍질이 제거된 감귤을 파쇄한 후 착즙하여 감귤착즙액을 얻는 단계이다. 상기 감귤착즙액수득단계(S4)는 껍질이 제거된 감귤을 파쇄한 후 데칸터, 원심분리 등을 이용하여 감귤 착즙액을 얻게 된다.
상기 효소및규조토처리단계(S5)는 상기 감귤착즙액수득단계(S4)에서 얻은 감귤착즙액에 섬유질 분해 효소 및 규조토를 첨가하고 반응시켜 감귤착즙액반응물을 얻는 단계로, 감귤 착즙액, 섬유질 분해 효소 및 규조토의 혼합물을 50 내지 60℃로 유지되는 항온수조에 넣고 1.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효소및규조토처리단계(S5)에서 사용되는 섬유질 분해 효소는 Cellulase 계열인 베타글루카나제(Beta-glucanase), 크실라나아제(Xyla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및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가 혼합된 비스코자임 엘(Viscozyme L)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질 분해 효소는 감귤 착즙액 대비 0.05 ~ 0.15중량%가 사용되어 불용성 다당체와 펙틴을 분해하고 침전입자를 크게 함으로써 여과를 쉽게하도록 한다. 상기 규조토는 감귤 착즙액 대비 2 ~ 3중량%가 사용되어 혼탁물질을 흡착 및 응고시켜 가라앉힘으로써 감귤착즙액을 투명하게 한다.
상기 압착여과단계(S6)는 상기 효소및규조토처리단계(S5)에서 얻은 감귤착즙액반응물을 압착여과하여 감귤청징액을 얻는 단계이다. 상기 압착여과단계(S6)에서는 필터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압착여과하여 감귤착즙반응물을 케이크(Cake)와 감귤청징액으로 분리하게 된다.
상기 농축단계(S7)는 상기 압착여과단계(S6)에서 얻어진 감귤청징액을 농축하여 감귤청징농축액을 얻는 단계이다. 상기 농축단계(S7)는 상기 압착여과단계(S6)에서 얻어진 감귤청징액을 87 ~ 91℃에서 농축하고 여과하여 제1농축액을 얻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얻어진 제1농축액을 45 ~ 55℃에서 농축하고 여과하여 제2농축액을 얻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얻어진 제2농축액을 10 ~ 15℃에서 냉각하고 여과하여 감귤청징농축액을 얻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감귤착즙액은 농축액 형태로 사용되는데, 농축하는 과정에서 투명도가 저하되어 관능적인 품질이 떨어지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방법에 의해 감귤착즙액을 청징화한 후 농축하는 경우 기존의 감귤농축액보다 당도가 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감귤착즙액에 섬유질 분해효소 및 규조토를 첨가하고 일정 시간 반응시킨 후 압착여과하여 청징화하므로, 농축함에도 높은 투명도 및 당도를 가지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효소 및 규조토 처리를 이용한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감귤청징농축액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상기 감귤청징농축액은 그 자체로 식품(음료)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맛과 향을 더하기 위해 식품 첨가물(과일 농축액, 꿀 등의 당 성분)이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보존 기간 향상을 위한 식물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식품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중량%로 혼합될 수 있으며, 고광나무 100 내지 200중량부, 염주나무 100 내지 200중량부, 조릿대 100 내지 200중량부 및 노간주나무 100 내지 200중량부를 추출 용매에 혼합하여 추출하고 여과 및 동결건조 과정을 거쳐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고광나무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범의귀과의 낙엽활엽 관목이며, 상기 염주나무는 쌍떡잎식물 아욱목 피나무과의 낙엽활엽 소교목이고, 상기 조릿대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대나무이며, 상기 노간주나무는 겉씨식물 구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침엽 교목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료의 준비
1. 감귤 시료의 준비
(1) 감귤을 물로 세척하고 증자하여 껍질을 분리한 후 파쇄하고 데칸터를 이용하여 감귤 착즙액을 얻었다.
(2) 상기 감귤 착즙액을 89℃에서 농축여과하여 제1농축액을 얻고, 상기 제1농축액을 50℃에서 농축여과하여 제2농축액을 얻고, 상기 제2농축액을 15℃ 이하에서 냉각하여, 감귤 농축액을 얻었다.
(3) 상기 감귤 착즙액에 섬유질 분해효소(Viscozyme L)와 규조토를 첨가하여(감귤 착즙액 원물 대비 0.1중량%의 섬유질 분해효소가 사용되고, 감귤 착즙액 원물 대비 2.5중량%의 규조토가 사용됨)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항온수조에 넣고 55℃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필터프레스를 이용하여 압착여과하여 감귤청징액을 얻었다.
(4) 상기 감귤청징액을 89℃에서 농축여과하여 제1농축액을 얻고, 상기 제1농축액을 50℃에서 농축여과하여 제2농축액을 얻고, 상기 제2농축액을 15℃ 이하에서 냉각하여, 감귤정징농축액을 얻었다.
2. 식품 보존기간 향상을 위한 식물 추출물을 준비
(1) 건조되고 파쇄된 고광나무(잎) 25g, 염주나무(잎) 25g, 조릿대(잎) 25g 및 노간주나무(잎) 25g을 에탄올 1L에 혼합하고 교반하여 48시간 추출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식물 추출물 1을 준비하였다.
(2) 건조되고 파쇄된 고광나무(잎) 100g을 에탄올 1L에 혼합하고 교반하여 48시간 추출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식물 추출물 2를 준비하였다.
(3) 건조되고 파쇄된 염주나무(잎) 50g 및 조릿대(잎) 50g을 에탄올 1L에 혼합하고 교반하여 48시간 추출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식물 추출물 3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2> 감귤청징액 및 감귤청징농축액의 투과율 분석
1. 투과율은 실험대상(감귤 착즙액, 감귤 농축액, 감귤청징액, 감귤청징농축액)을 통과하는 빛의 양을 나타내는 수치로, 흡광도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구체적으로 600nm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고 투과율로 환산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2. 표 1을 보면, 감귤청징액의 투과율은 97.95%이며, 감귤청징농축액의 투과율은 91.10%임을 확인할 수 있어, 섬유질 분해효소 및 규조토를 첨가하고 일정 시간 반응시킨 후 압착여과하여 청징화하는 경우, 농축함에도 높은 투명도를 가지는 감귤청징농축액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감귤착즙액 감귤청징액 감귤농축액 감귤청징농축액
투과율(%) 0.98 97.95 0.46 91.10
<실시예 3> 감귤청징액 및 감귤청징농축액의 당도 분석
1. 실험대상(감귤 착즙액, 감귤 농축액, 감귤청징액, 감귤청징농축액)의 당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2. 표 2를 보면, 감귤농축액의 당도는 60.3%이며, 감귤청징농축액의 당도는 60.0%임을 확인할 수 있어, 섬유질 분해효소 및 규조토를 첨가하고 일정 시간 반응시킨 후 압착여과하여 청징화된 감귤청징액을 농축함에도 일반 감귤농축액과 같이 높은 당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감귤착즙액 감귤청징액 감귤농축액 감귤청징농축액
Brix(%) 10 9.8 60.3 60.0
<실시예 4> 청징화된 감귤농축액을 함유한 식품의 보존 기간 증대 효과 확인
1. 과일주스 시료의 준비
상기 감귤청징농축액, 설탕 및 물을 1:1: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과일주스를 준비하고, 이를 시료 1로 하였다. 상기 감귤농축액, 설탕 및 물을 1:1: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과일주스를 준비하고, 이를 시료 2로 하였다. 상기 시료 1에 0.5중량%의 식물추출물 1을 첨가하여 시료 3를 준비하고, 상기 시료 1에 0.5중량%의 식물추출물 2를 첨가하여 시료 4를 준비하고, 상기 시료 1에 0.5중량%의 식물추출물 3을 첨가하여 시료 5를 준비하였다.
2. 과일주스 시료를 이용한 관능 실험
(1) 20명을 대상으로 시료 1 내지 5를 모두 음용하게 한 후, 맛과 색상이 떨어지는 시료를 선정하게 한 결과, 맛에서는 유의적인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고, 색상에 있어서는 20명 도두 시료 2를 선택하였다.
(2) 시료 1 내지 5 각각에 동일량의 침을 혼합하고 30℃에서 1일 동안 보관한 후, 부패 정도(냄새 및 외관 검사)를 검사한 결과, 시료 2가 부패가 가장 심하였고, 시료 1이 그 다음으로 부패가 심하였으며, 시료 3 내지 5는 시료 1 및 2에 비해 현저하게 부패가 덜하였고, 시료 3이 가장 부패가 덜하였다.
3. 과일주스 시료의 일반세균수 측정
시료 1 내지 5 각각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각각을 100배 희석한 후 멸균된 standard methods agar(Difco) 위에 접종하여 35℃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집락을 세어 1평판 당 30~300개의 집락을 생성한 평판을 택하여 colony 수를 센 후 희석배율을 곱하여 일반세균수를 산출하였는데, 시료 3 및 5의 일반 세균수가 현저하게 적었으며, 그 다음으로 시료 4이 일반세균수가 적었으며, 시료 1 및 2는 일반세균수가 현저하게 많았고, 시료 3이 시료 5보다 일반세균수가 적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감귤청징농축액과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식품 조성물의 보존 기간 향상을 위해 사용되며, 식품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중량%로 혼합되고,
    상기 식물 추출물은 고광나무 100 내지 200중량부, 염주나무 100 내지 200중량부, 조릿대 100 내지 200중량부 및 노간주나무 100 내지 200중량부를 추출 용매에 혼합하여 추출하고 여과 및 동결건조 과정을 거쳐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귤청징농축액은, 감귤착즙액에 섬유질 분해 효소 및 규조토를 첨가하고 반응시켜 감귤착즙액반응물을 얻는 효소및규조토처리단계와, 상기 효소및규조토처리단계에서 얻은 감귤착즙액반응물을 압착여과하여 감귤청징액을 얻는 압착여과단계와, 상기 압착여과단계에서 얻어진 감귤청징액을 농축하여 감귤청징농축액을 얻는 농축단계를 거쳐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질 분해 효소는 베타글루카나제(Beta-glucanase), 크실라나아제(Xyla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및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질 분해 효소는 감귤착즙액 대비 0.05 ~ 0.15중량%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규조토는 감귤착즙액 대비 2 ~ 3중량%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및규조토처리단계는 감귤착즙액, 섬유질 분해 효소 및 규조토의 혼합물을 50 내지 60℃로 유지되는 항온수조에 넣고 1.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단계는 상기 압착여과단계에서 얻어진 감귤청징액을 87 ~ 91℃에서 농축하고 여과하여 제1농축액을 얻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얻어진 제1농축액을 45 ~ 55℃에서 농축하고 여과하여 제2농축액을 얻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얻어진 제2농축액을 10 ~ 15℃에서 냉각하고 여과하여 감귤청징농축액을 얻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177824A 2020-12-17 2020-12-17 효소 및 규조토 처리를 이용한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귤청징농축액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2577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824A KR102577046B1 (ko) 2020-12-17 2020-12-17 효소 및 규조토 처리를 이용한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귤청징농축액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824A KR102577046B1 (ko) 2020-12-17 2020-12-17 효소 및 규조토 처리를 이용한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귤청징농축액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279A KR20220087279A (ko) 2022-06-24
KR102577046B1 true KR102577046B1 (ko) 2023-09-11

Family

ID=8221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824A KR102577046B1 (ko) 2020-12-17 2020-12-17 효소 및 규조토 처리를 이용한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귤청징농축액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04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721A (ko) * 2000-02-08 2001-08-20 주용준 감귤껍질이 함유된 주스농축액 제조방법
KR101701895B1 (ko) * 2014-08-20 2017-02-02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고미가 제거된 면역 증강용 감귤류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충기피식물53] 노간주나무, 자담 연재 산야초이야기(2010.12.29), 인터넷(http://www.jadam.kr/news/articleView.html?idxno=6403)
과실음료의 국내외 소비동향 및 새로운 제조기술 개발 현황, 식품기술 제8권 제3호, 한국식품연구원, 1995, p69-85. 1부.*
모감주나무(란화·欒華), 경남일보(2013.7.10), 인터넷(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6297)
장미란 외 2인, 조릿대 Ethanol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 효과, 한국식품조리학회지, 2010, 26(6), 848-85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279A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09907A (zh) 一种复合植物酵素醋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902209B1 (ko) 증진된 기호성과 생리활성물질을 갖는 산야초, 기능성 채소 및 사탕수수 당밀의 혼합발효 조성물
CN102551143B (zh) 一种浓缩洋李汁的制备方法
CN100595191C (zh) 竹笋氨基酸肽类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3653134A (zh) 一种澄清紫薯汁的制备方法
CN102008104B (zh) 天山雪莲果浓缩汁及其制备方法
CN104336696A (zh) 一种油桃果醋饮料及其制备方法
CN1302732C (zh) 柑橘果醋饮料
CN106635644A (zh) 一种红心火龙果石榴复合养生果酒及其制备方法
KR101042576B1 (ko) 배를 이용한 발효음료 제조방법
KR102577046B1 (ko) 효소 및 규조토 처리를 이용한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귤청징농축액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CN114451537A (zh) 陈皮秋梨膏制备工艺
JP3811712B2 (ja) まろやかな健康食酢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67197A (ko) 무화과 활성물질을 이용한 켄음료 제조방법
CN112617065A (zh) 一种高花色苷杨梅汁及其制备方法
KR20170075227A (ko)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와 그의 제조방법
CN106721827B (zh) 一种红豆饮料的制备方法
US20210106030A1 (en) Process for processing mandarin segments with both acidic and alkaline process water being directly utilized
KR102537246B1 (ko) 부티아 시럽 및 그 제조방법
CN112640975A (zh) 一种榴莲皮茶的制备方法
KR102166296B1 (ko) 고로쇠 수액으로 추출된 홍삼 추출물
KR102622345B1 (ko) 갈변 현상이 최소화된 사과즙의 제조방법
KR102392112B1 (ko) 사과, 비트, 및 당근을 포함하는 유산균 발효 주스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주스
KR101475783B1 (ko) 기호성과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여주 피클의 제조 방법
KR102444816B1 (ko) 뽕잎, 오디 및 찹쌀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쌀 앙금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