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227A -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와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와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227A
KR20170075227A KR1020150184618A KR20150184618A KR20170075227A KR 20170075227 A KR20170075227 A KR 20170075227A KR 1020150184618 A KR1020150184618 A KR 1020150184618A KR 20150184618 A KR20150184618 A KR 20150184618A KR 20170075227 A KR20170075227 A KR 20170075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berry
enzyme
low temperature
concentrat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무혁
이균희
지유정
김민지
유현주
김명헌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4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5227A/ko
Publication of KR20170075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06Bilberries, blueberri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베리를 저온에서 효소를 이용하여 추출함으로써 변성과 영양 성분의 파괴를 방지하고 추출 효율을 극대화한 블루베리 음료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의 제조방법은 블루베리를 5 내지 10mm로 파쇄하는 파쇄단계(S100)와; 파쇄된 블루베리와 효소를 소정 온도, 시간, 교반 속도로 효소처리한 후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을 수득하는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 수득단계(S200)와; 상기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과 부첨가물을 배합하는 부첨가물 배합단계(S300)와; 배합물을 살균하는 살균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와 그의 제조방법{BLUEBERRY BEVERAGE USING ENZYME TREATMENT AT LOW TEMPERA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베리를 저온에서 효소를 이용하여 추출함으로써 변성과 영양 성분의 파괴를 방지하고 추출 효율을 극대화한 블루베리 음료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루베리는 진달래과(Ericaceae), 산앵두나무속(Vaccinium)에 속하는 관목성 식물로서 400여종이 있으며, 15-21℃ 의 온도와 pH 4.5-5의 산성토양에서 잘 자라는 다년생 온대 과수, 북아메리카 원산의 활엽 또는 상록성 과수로서 대부분 키가 낮게 자라는 관목형을 지니나 일부 품종은 성목으로 성장시 수고가 5 m 에 달하기도 한다.
블루베리의 열매는 둥글고 1개가 1~1.5g 정도이며 짙은 하늘색, 붉은빛을 띤 갈색, 검은색으로 표면에 흰 분말이 묻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블루베리의 주요 성분으로는 가용성 무질소물 81.36%, 수분 10.47%, 조 단백 2.66%, 조 지방 2.04%, 회분 1.99%, 조섬유 1.48% 등이 함유되어 있고, 무기질로는 Ca, K, P, Na 등이 있다.
그 밖에 안토시아닌(Anthocyanin), 플라보노이드 (Flavonoid), 라이코펜(Lycopene)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활성 산소를 억제하는 높은 항산화능과 시력강화, 면역 시스템 증진 및 뇌졸중 방지에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항암 작용, 요도염, 뇌경색 등에 효과가 있어 건강을 증진하고 노화를 방지하며 심혈관 질환을 비롯한 암까지도 발병 위험을 낮춰주는 훌륭한 기능성을 지니고 있어, 뉴욕타임지에서 선정한 세계 10대 슈퍼푸드로 선정되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블루베리는 그 맛이 새콤달콤하여 생으로 먹기도 하고 잼, 와인, 주스, 소스, 통조림 및 제과원료 등의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그 항산화 효과로 인하여 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지기도 한다.
한국 공개 특허 제 10-2013-0031590호(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서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을 위하여 블루베리를 첨가하였다.
또한, 한국 공개 특허 제 10-2010-0138019호(블루베리 추출물의 고요산혈증 예방 및 치료 용도)에서는 블루베리를 물, 알코올 그리고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고요산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블루베리 과실을 추출방법은 열수추출법을 사용한 것이 대부분으로, 열수추출법은 그 방법이 단순하고 편리하여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지만 고온에 의해 산화 및 변성이 발생하거나 추출 효율이 낮은 한계가 있다.
상기 특허 문헌들은 블루베리 본연의 항산화 및 치료 효과를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로서 제시된 것으로서, 블루베리의 추출률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 10-2013-0031590호(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한국 공개 특허 제 10-2010-0138019호(블루베리 추출물의 고요산혈증 예방 및 치료 용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루베리를 저온에서 효소를 이용하여 추출함으로써 변성과 영양 성분의 파괴를 방지하고 추출 효율을 극대화한 블루베리 음료와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의 제조방법은 블루베리를 5 내지 10mm로 파쇄하는 파쇄단계(S100)와; 파쇄된 블루베리와 효소를 소정 온도, 시간, 교반 속도로 효소처리한 후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을 수득하는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 수득단계(S200)와; 상기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과 부첨가물을 배합하는 부첨가물 배합단계(S300)와; 배합물을 살균하는 살균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 수득단계(S200)의 효소는 펙티나아제(Pectinase)와 셀룰라아제(Cellulas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 수득단계(S200)는 온도 45 내지 55 ℃, 교반속도 60 내지 200 rpm, 3 내지 5시간 배합 및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첨가물 배합단계(S300)의 부첨가물은 구연산, 당, 비타민, 루테인, 포도 농축액, 오미자 농축액, 아로니아 농축액, 레몬 농축액, 사과 농축액, 복분자 농축액, 오디 농축액, 체리 농축액, 앵두 농축액, 머루 농축액 중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와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블루베리를 저온에서 효소를 이용하여 추출함으로써 변성과 영양 성분의 파괴를 방지하고 추출 효율을 극대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공정사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베리를 저온에서 효소를 이용하여 추출함으로써 변성과 영양 성분의 파괴를 방지하고 추출 효율을 극대화한 블루베리 음료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의 제조방법은 블루베리를 5 내지 10mm로 파쇄하는 파쇄단계(S100)와 파쇄된 블루베리와 효소를 소정 온도, 시간, 교반 속도로 효소처리한 후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을 수득하는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 수득단계(S200)와 상기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과 부첨가물을 배합하는 부첨가물 배합단계(S300)와 배합물을 살균하는 살균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쇄 단계(S100)에서는 블루베리를 소정의 크기로 파쇄함으로써 표면적을 넓혀 추출성을 높이게 된다.
즉, 파쇄 단계에서는 블루베리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후속 공정인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 수득단계(S200)에서 효소가 파쇄된 블루베리와 잘 혼합되어 추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파쇄 크기는 3 내지 10mm 가 바람직한데, 파쇄 크기가 3mm 미만이면 표면적 증가에 따른 추출성의 큰 증가가 없으며, 후속 공정의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 수득단계(S200)에서 착즙하는 과정에서 블루베리의 과육 등이 착즙망을 통과하여 이를 제거하기 위한 추가 공정(여과 및 거름 공정)이 필요할 수 있다. 반면에 10mm를 초과하면 외부에 노출되는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져 추출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 수득단계(S200)에서는 파쇄된 블루베리와 효소를 소정 온도, 시간, 교반 속도로 효소처리한 후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을 수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소는 펙티나아제(Pectinase)와 셀룰라아제(Cellulas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일 효소가 아닌 펙티나아제와 셀룰라아제의 복합 효소를 사용한다.
펙틴(pectin)은 식물조직의 세포벽(cell wall)이나 세포와 세포 사이를 연결해주는 세포 간질(middle lamela)에 주로 존재하는 다당류로서, 과실과 야채류, 과실 가공품의 조직에 매우 중요한 역할과 함께 품질에도 큰 영향을 준다.
펙티나아제(Pectinase)는 세포와 세포 사이를 결착시켜주는 펙틴 사슬을 가수분해하여 결합분리 내지는 약화가 일어나며 결과적으로 조직의 연화(softening)를 가져오며, 과즙 속의 펙틴에 의한 점성 및 혼탁의 제거로 청징화(clarification) 효과를 볼 수 있다. 펙틴의 점도가 감소하면 부유 물질들을 신속하게 침전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과즙 추출의 향상, 과즙 청징이 수월해진다.
셀룰라아제(Cellulase)는 셀룰로오스를 가수분해하는 효소로서, 과실의 과피 및 과육의 섬유질을 분해하여 연화효과는 물론 당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효소가 블루베리의 과육 및 과피를 가수분해하여 연화시켜 과즙 추출을 향상시키고, 점도를 저하시켜 블루베리의 고유의 색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당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 수득단계(S200)는 상기 효소가 최적의 반응성을 나타낼 수 있는 온도이면서 영양성분의 산화 및 파괴가 발생하지 않는 45 내지 55 ℃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파쇄된 블루베리와 효소의 반응을 하기 위한 시간을 확보하고, 반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반속도 60 내지 500 rpm 에서 3시간 내지 5시간 교반하게 된다.
교반이 끝난 후 효소 배합된 블루베리를 착즙하여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을 수득하는데, 이때 착즙 장치 및 방법은 블루베리 과육 및 과피를 걸러내고 순수한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을 얻는 장치라면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은 블루베리 원과에서 85% 이상의 추출률로 과즙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습식 기준(Wet basis)의 경우 85 내지 9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건물 기준(Dry basis)의 경우 90 내지 9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첨가물 배합단계(S300)는 상기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과 부첨가물을 배합하여 배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에서는 소비자들의 기호도가 높은 부첨가물을 혼합하여 관능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부첨가물이 갖는 영양성분 및 비타민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 부첨가물 배합단계(S300)의 부첨가물은 구연산, 당, 비타민, 루테인, 포도 농축액, 오미자 농축액, 아로니아 농축액, 레몬 농축액, 사과 농축액, 복분자 농축액, 오디 농축액, 체리 농축액, 앵두 농축액, 머루 농축액 중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부첨가물의 첨가 함량은 한정하지 않으나, 블루베리의 효능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전체 배합물(블루베리 효소 추출액 + 부첨가물) 100 중량% 중 5 내지 30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살균단계(S400)에서는 상기 배합물을 90 내지 95 ℃에서 5분 내지 25분 살균하여 효소 추출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세균 및 대장균을 살균하고 이취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온도 및 시간 범위 미만이면, 살균 효과를 갖기 힘들고, 상기 온도 및 시간 범위를 초과하면 영양소의 파괴 및 변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적으로 제조된 블루베리 음료는 멸균 처리된 유리병에 주입 및 포장되어 출하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온 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의 공정 사진을 보여준다.
(a)는 블루베리를 세척하고 파쇄하는 파쇄단계(S100), (b)는 파쇄된 블루베리와 효소를 혼합하여 추출 반응을 시킨 후 여과 및 착즙하는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 수득단계(S200), (c)는 최종 생산된 블루베리 음료를 멸균병에 주입 및 포장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태양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는 저온에서 효소를 이용하여 추출함으로써 변성과 영양 성분의 파괴를 방지하고 추출 효율을 극대화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음료와 그의 제조방법에 따른 실시예 및 결과 데이터를 보여준다.
하기의 표 1에서 추출 조건(효소의 종류 및 효소 첨가량)에 따른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의 이화학적 특성을 보여준다.
A그룹은 펙티나아제(Pectinase, Plantase MAX), B그룹은 셀룰라아제(cellulase, Rohament CL), A+B그룹은 (펙티나아제+셀룰라아제=1:1)이다.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을 여과한 뒤 잔사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습식 기준(Wet basis)과 건물 기준(Dry basis)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습식 기준(Wet basis)은 여과 후에 블루베리 잔사물을 포함한 천의 무게를 측정하여 천의 무게를 제외한 값을 잔사물의 양으로 판단하고, 건물 기준(Dry basis)은 여과하기 24시간 전부터 천을 105℃의 건조 오븐(dry oven)에 넣어 수분을 미리 제거한 뒤에 여과를 하고 여과 후 또한 24시간 동안 105℃의 건조 오븐에서 잔존하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 뒤에 무게를 측정하여 잔사물의 양을 판단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잔사물의 양이 측정되면 (잔사된 블루베리의 양(g) / 첨가한 블루베리의 양(g) X 100)으로 추출률을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단일 종류의 효소를 사용하였을 때 보다 펙티나아제와 셀룰라아제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추출률이 높았고, 효소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추출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추출률이 높게 나온 A+B그룹의 최적 추출온도(40 내지 55℃ 범위), 시간(0 내지 5시간 범위), 교반 속도(0 내지 120 rpm)를 확인한 결과, 온도가 증가할수록 추출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55℃의 온도에서 추출하였을 때의 추출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추출 시간으로 인한 추출률 변화는 오랜 시간 추출할수록 증가하였고, 교반 속도의 경우에도 증가할수록 추출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효소 및 효소 첨가량, 추출 온도, 추출 시간, 교반 속도를 각기 달리한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의 당도와 pH는 각 처리구 마다 비슷한 값을 보였다.
하기의 표 2는 효소의 종류 및 함량과 추출 조건(온도, 시간, 교반속도)에 따른 총 페놀의 함량을 보여준다.
Figure pat00002
총 페놀 함량은 효소량이 많아질수록, 추출 온도가 높아질수록, 추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교반 속도(rpm)는 빨라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 중에서도 교반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은 블루베리 음료의 제조 공정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pH, 당도 및 산도)변화를 보여준다.
블루베리 음료는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 90 중량% 와 포도 농축액 10 중량% 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이다.
pH 당도( °Brix ) 산도( % )
블루베리 원료 3.19±0.01 2.80±0.00 0.20±0.00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 3.28±0.01 2.90±0.00 0.27±0.01
블루베리 음료 3.34±0.01 13.57±0.06 0.21±0.01
블루베리 원료의 pH는 3.19이었고,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 pH는 3.28, 블루베리 음료의 pH는 3.34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pH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블루베리 원료의 당도는 2.80 °Brix, 효소추출액의 당도는 2.90 °Brix로 원료와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의 당도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과 부첨가물(포도 농축액)을 혼합하여 제조한 블루베리 음료의 당도는 13.57 °Brix으로 확인되었다. 산도의 변화는 블루베리 원료는 0.20%, 효소추출액은 0.27%, 블루베리 음료의 산도는 0.21%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표 4는 본 발명의 블루베리 음료 제조 공정에 따른 중금속 검사 결과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공정(원료-효소 추출액-음료) 중 납 함량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정량한계 수준으로 값을 산출하였다. 식품공전상 블루베리의 납 기준은 0.1 mg/kg 이하(과일류)이다.
수은 납(mg/kg) 카드뮴(mg/kg)
블루베리 원료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블루베리 음료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수은, 납, 카드뮴은 모두 불검출 되었으며, 농산물에 검출이력이 높은 잔류 농약 59종 성분도 제조공정(원료-효소 추출액-음료) 중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표 5와 표 6은 본 발명의 블루베리 음료 제조 공정에 따른 세균수(표 5) 및 대장균군(표 6) 검사 결과를 보여준다.
시험항목 10 1 10 2 10 3 10 4 10 5
블루베리 원료 6.67 0.33 0.33 0.67 0
여과전 블루베리 효소 처리액 11.67 1 3 3.33 0
여과된 블루베리 효소 처리액 9 3.67 1.33 0.33 0
블루베리 음료 0 0 0 0 0
세균수는 표준평판법으로 각 3회 실험결과를 평균값으로 표시하였다. 블루베리 원료에서 약 6개, 여과전 블루베리 효소 처리액에서 약 11개, 여과후 효소 처리액에서 9개, 살균한 블루베리 음료에서는 세균수가 나오지 않았다.
시험항목 기준 결과
블루베리 원료 음성 음성
여과전 블루베리 효소 처리액 음성 음성
여과된 블루베리 효소 처리액 음성 음성
블루베리 음료 음성 음성
대장균군도 3회 반복하여 실험을 하였으며 블루베리 원료, 여과전 효소 처리액, 여과된 효소 처리액, 블루베리 음료 모두 음성을 나타내었다.
세균수는 1ml당 100 이하(다만, 가열하지 아니한 제품 또는 가열하지 아니한 원료가 함유된 제품은 100,000 이하), 대장균은 “음성”이어야 한다. (다만, 가열하지 아니한 제품 또는 가열하지 아니한 원료가 함유된 제품은 제외한다).
이에 세균수 결과는 각각 6, 11, 9, 0으로 적합하며, 대장균군 결과 역시 모두“음성”으로 측정되어 제조과정 중 블루베리 음료의 세균수, 대장균군 변화 추이를 보아 검사 결과는 모두 안전한 것으로 사료된다.
표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베리 음료의 자가품질 검사결과를 보여준다.
시험항목 기준 결과 항목판정
0.03 이하(mg/kg) 0.0 적합
카드뮴 0.1 이하(mg/kg) 0.0 적합
세균수 100 이하(ml당) 0 적합
대장균군 음성 음성 적합
식품공전상의 식품유형 중 음료류는 과채음료, 탄산음료, 두유류, 발효음료, 인삼 홍삼음료, 기타음료로 구분되며 과즙의 함량이 95% 이상일 경우 과채주스, 과즙의 함량이 10-95% 사이에 포함되는 경우 과채음료, 과즙의 함량이 10% 미만일 경우 혼합음료로 분류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블루베리 음료(블루베리 효소 추출액 90% + 포도 추출액 10%)는 블루베리 추출액이 90% 이므로 과채 음료로 분류된다.
과채음료의 품질 합격기준은 “고유의 색택과 향미를 가지고 이미, 이취가 없어야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납은 0.03mg/kg, 카드뮴은 0.1mg/kg, 세균수는 1ml 당 100이하(다만, 가열하지 아니한 제품 또는 가열하지 아니한 원료가 함유된 제품은 100,000 이하), 대장균은 “음성”이어야한다(다만, 가열하지 아니한 제품 또는 가열하지 아니한 원료가 함유된 제품은 제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베리 음료를 식품위생검사기관에 자가품질검사를 의뢰한 결과, 납, 카드뮴, 세균수 모두 결과는 0으로 적합판정을 받았으며, 대장균군 결과 역시 “음성”으로 측정되어 적합판정을 받아 블루베리 음료의 자가품질 검사 결과는 모두 적합한 것으로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베리 음료의 영양성분(열량(Kcal), 탄수화물, 당류, 단백질, 지방, 포화지방, 트랜스지방, 콜레스테롤, 나트륨) 총 9가지 분석을 푸드메이트 식품위생 검사소에 의뢰하여 조사한 결과, 블루베리 음료 100ml 기준으로 열량이 50kcal, 탄수화물 13g은 일일권장량의 4%, 단백질은 0%, 지방 0%, 포화지방 0%, 콜레스테롤 0%,나트륨 45mg 일일 권장량의 2%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블루베리를 5 내지 10mm로 파쇄하는 파쇄단계(S100)와;
    파쇄된 블루베리와 효소를 소정 온도, 시간, 교반 속도로 효소처리한 후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을 수득하는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 수득단계(S200)와;
    상기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과 부첨가물을 배합하는 부첨가물 배합단계(S300)와;
    배합물을 살균하는 살균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 수득단계(S200)의 효소는
    펙티나아제(Pectinase)와 셀룰라아제(Cellulas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베리 효소 추출액 수득단계(S200)는
    온도 45 내지 55 ℃, 교반속도 60 내지 200 rpm, 3 내지 5시간 배합 및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첨가물 배합단계(S300)의 부첨가물은
    구연산, 당, 비타민, 루테인, 포도 농축액, 오미자 농축액, 아로니아 농축액, 레몬 농축액, 사과 농축액, 복분자 농축액, 오디 농축액, 체리 농축액, 앵두 농축액, 머루 농축액 중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의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
KR1020150184618A 2015-12-23 2015-12-23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와 그의 제조방법 KR20170075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618A KR20170075227A (ko) 2015-12-23 2015-12-23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와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618A KR20170075227A (ko) 2015-12-23 2015-12-23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와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227A true KR20170075227A (ko) 2017-07-03

Family

ID=5935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618A KR20170075227A (ko) 2015-12-23 2015-12-23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와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52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689B1 (ko) * 2020-03-19 2020-09-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시우 식물세포 분해효소를 이용한 천연 첨가물 쥬스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식물세포 분해효소를 이용한 천연 첨가물 쥬스
KR20230070717A (ko) * 2021-11-15 2023-05-23 남기원 샤인머스켓 및 블루베리를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689B1 (ko) * 2020-03-19 2020-09-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시우 식물세포 분해효소를 이용한 천연 첨가물 쥬스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식물세포 분해효소를 이용한 천연 첨가물 쥬스
KR20230070717A (ko) * 2021-11-15 2023-05-23 남기원 샤인머스켓 및 블루베리를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07359A (zh) 一种苹果果酱及其制备方法
KR101163507B1 (ko) 과실즙의 제조방법
KR101885684B1 (ko) 무즙 및 배즙을 이용한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75227A (ko)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음료와 그의 제조방법
CN108157695A (zh) 一种具有抗氧化活性的山竹柠檬汁复合饮料及其制备方法
Naknean et al. Influence of clarifying agents on the quality of pasteurised palmyra palm sap (B orassus flabellifer L inn.)
KR101977833B1 (ko) 풋사과 농축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7489B1 (ko) 오디 추출물 함유 음료의 제조 방법
KR102232730B1 (ko) 기호도와 항산화 활성이 증대된 아로니아 우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아로니아 우유
KR102339451B1 (ko) 과채주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622666B1 (ko) 제주 손바닥선인장 열매 착즙액의 제조방법 및 착즙액을함유하는 유제품
KR20170075229A (ko)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농축액과 그의 제조방법
CN1972603A (zh) 淡白色的大花紫薇提取物的制备方法、淡白色的大花紫薇提取物、和含有淡白色的大花紫薇提取物的食品或饮料
Nithiyananthan et al. Formulation of ready to serve drink from palmyrah (Borrasus flabellifer L) fruit and modification of its process to improve some of its selected properties.
Gaikwad et al. Effect of extraction method and thermal processing on retention of bioacvtive compounds of pomegrante (Punica granatum)(cv. Bhagwa) juice
CN106616169B (zh) 一种银耳原浆的制备方法及其制备的产品
KR102577046B1 (ko) 효소 및 규조토 처리를 이용한 감귤청징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귤청징농축액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2622345B1 (ko) 갈변 현상이 최소화된 사과즙의 제조방법
KR102358930B1 (ko) 사과 농축액을 이용한 참기름 제조방법
dos Santos et al. Pineapple jam physicochemical and sensory evaluation with added pineapple peel
RU2371985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мпота из слив
EA006463B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нцентрированного сока из хурмы
KR20170073779A (ko) 고형소재를 함유하는 항산화기능성 베리음료 및 그 제조방법
Ibrahim et al. Effect of Blending Ratios from Pineapple Juice on Storage, Physicochemical, Antiradical Activity and Volatile Compounds of Two Cactus Pear Juices
CN105558647A (zh) 一种绿圣女果汁饮料及其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