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934B1 - 부침 조리기 - Google Patents

부침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934B1
KR102574934B1 KR1020230017136A KR20230017136A KR102574934B1 KR 102574934 B1 KR102574934 B1 KR 102574934B1 KR 1020230017136 A KR1020230017136 A KR 1020230017136A KR 20230017136 A KR20230017136 A KR 20230017136A KR 102574934 B1 KR102574934 B1 KR 102574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induction heating
frying
unit
panc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7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태문
유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위더스
주식회사 유진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위더스, 주식회사 유진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위더스
Priority to KR1020230017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bstract

본 발명은 부침 조리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조리 본체에 인덕션 가열부와 개폐 회전이 가능한 부침판 및/또는 배수 구조물을 구성한 것이고, 이에 따라 부침 조리기에 대한 유지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부침판에서 조리물을 부침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 찌꺼기를 원활하게 배수시키면서 부침판에서 조리물을 부침 조리시 주방 바닥면으로 낙하하는 기름찌꺼기로 인한 요리 종사자들의 미끄럼 사고를 방지하는 한편, 부침판 표면을 세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부침판 재사용 주기를 단축하면서도 위생상의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부침 조리기{Pancake Cooker}
본 발명은 부침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덕션 가열부가 적용되는 조리 본체에 개폐 회전이 가능한 부침판을 구성하면서 유지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부침판에서 조리물을 부침 조리시 주방 바닥면으로 낙하하는 기름찌꺼기로 인한 요리 종사자들의 미끄럼 사고를 방지하는 한편, 부침 조리 후에는 부침판 표면에 대한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침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재를 열전달매체로 사용하는 부침 조리기는 버너의 헤드 상측에 부침판을 구비하고, 점화된 버너의 불꽃이 부침판을 가열하면서 그 가열된 부침판의 열로 부침판 위에 올려진 부침 조리물(예; 계란 프라이, 부침개, 산전, 볶음밥 등)을 조리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부침 조리기에 적용되는 부침판은 조리 본체의 상단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조리 본체의 상단에 부침판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부침 조리기는 부침 조리물에 대한 부침 조리가 완료된 이후에 부침판 위에 남게 되는 기름 찌꺼기나 조리물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조리 본체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침판 위에 남아 있는 기름 찌꺼기나 조리물 찌꺼기를 제거하는 세척 작업시, 부침판 표면을 키친 타올로 기름이나 조리물 찌거기 등을 쓸어 담은 후 물로 세척하거나, 또는 주방 도구인 나무 또는 금속 재질의 주걱 등을 이용하여 기름이나 조리물 찌거기를 한 방향으로 밀어낸 후 이를 키친 타올 등을 이용하여 제거하면서 다시 물로 세척하게 되는데, 이 경우 물이 제대로 배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한번 사용한 부침판을 다시 사용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그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부침판 위의 기름 찌꺼기나 조림물 찌꺼기를 적당히 수거하고 물 세척없이 부침판을 다시 사용해야 하는 것이므로 위생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조리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부침판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부침판을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하지만, 조리 본체로부터 부침판 분리 후 세척, 그리고 다시 조리 본체에 올려 놓는 등의 과정이 복잡하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부침 조리기는 부침판에서 조리물을 부침 조리시 주방 바닥면으로 기름 찌거기가 낙하되면서, 요리 종사자들의 미끄럼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리 본체에 부침판이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는 조리 본체 내부에 구성되는 부품 교체가 수리를 어렵게 하는 단점이 있고, 조리 본체에 부침판이 분리 가능한 구조는 조리 본체와 부침판 사이의 틈새를 통해 조리 본체 내부로 외부 이물질이나 기름 찌꺼기 및/또는 조리물 찌꺼기가 유입되면서 조리 본체내의 부품 고장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2550호(공개일 2017.03.23.) 등록특허공보 제10-2180808호(공고일 2020.11.19.) 등록특허공보 제10-2212008호(공고일 2021.02.04.) 등록특허공보 제10-2286110호(공고일 2021.08.0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리 본체에 인덕션 가열부와 개폐 회전이 가능한 부침판 및/또는 배수 구조물을 구성함으로써, 부침 조리기에 대한 유지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부침판에서 조리물을 부침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 찌꺼기를 원활하게 배수시키면서 주방 바닥면으로 낙하하는 기름찌꺼기로 인한 요리 종사자들의 미끄럼 사고를 방지하는 한편, 부침판 표면을 세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부침판 재사용 주기를 단축하면서도 위생상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부침 조리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부침 조리기는, 상면 전방측 양단에 각각 연통구가 형성되는 조리 본체; 상기 조리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인덕션 가열부; 상기 조리 본체에서 개폐 회전되도록 상기 조리 본체와 축부 및 에어쇼버로 연결되며, 상기 인덕션 가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작부, 그리고 상기 인덕션 가열부에 인접하는 것으로 조리물이 올려지는 부침판이 포함되는 조리 덮개; 상기 부침판의 전방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양측단에 각각 상기 연통구에 인서트되는 배수덕트가 하단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배수 가이드부; 및, 상기 조리 본체의 전방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수덕트를 통해 배수되는 기름 찌거기나 조리물 찌꺼기 또는 세척수를 수집하는 서랍형의 수집통;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침판에는 상기 부침판의 가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조리 본체의 상면 후방측에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부침판의 가열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온도를 초과시 상기 부침판과 상기 인덕션 가열부 사이의 공간 열기를 상기 조리 본체의 수납공간으로 배기시키도록 온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환기 팬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리 본체의 상면 후방측에는 상기 조리 본체의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팬 고정부를 구성하고, 상기 팬 고정부에는 상기 환기 팬이 경사지게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환기 팬은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가열온도에 따라 온 구동하되, 상기 조작부에 의해 온 구동 또는 오프되도록 상기 조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터치형 패널 구조물인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리 덮개는 비전도성 재질이고, 상기 부침판은 상기 인덕션 가열부의 유도 가열에 따라 표면 온도가 상승되도록 소정의 두께로서 전도성을 가지는 스테인레스 합금 재질인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리 덮개는 상기 조작부가 형성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과 마주하는 것으로 상기 축부를 통해 상기 조리 본체와 연결되는 후면패널 및,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에어쇼버를 통해 상기 조리 본체의 양측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측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부침판은 상기 후면패널 및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측면패널과 밀착되는 격벽을 가지는 판형 구조물인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 가이드부는 상기 부침판의 전방측에 단차를 두고 연장되는 스테인레스 합금 재질의 홈형 구조물로서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단에 형성되는 상기 배수덕트의 방향으로 경사진 바닥면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리 본체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수납공간을 가지는 함체형 구조물로서, 상기 수납공간에는 상기 수집통에 수집되는 기름 찌꺼기나 음식물 찌꺼기 또는 세척수가 넘칠 때 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조리 본체에서 상기 수집통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수집통으로부터 넘치는 기름 찌꺼기나 음식물 찌꺼기 또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수용함체; 상기 수용함체의 저면에서 상기 조리 본체의 저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용함체에 수용되는 기름 찌꺼기나 음식물 찌꺼기 또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체; 및, 상기 조리 본체의 저면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체를 통해 배출되는 기름 찌꺼기나 음식물 찌꺼기 또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집진통;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함체는 상기 배출관체의 방향으로 경사진 바닥면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함체에는 개폐밸브를 가지는 연결구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에 상기 배출관체가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관체는 파이프 구조물 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호스 구조물인 것이다.
또한, 상기 인덕션 가열부로의 구동전원 공급은 제어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되, 상기 조작부에는 장시간 가열을 방지하도록 조리 온도를 설정하는 터치형 온도조절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온도조절기에 의해 설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인덕션 가열부로의 구동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덕션 가열부의 전원공급라인에는 안전장치로서 구동전원 공급에 따른 과부하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는 과부하 차단기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덕션 가열부의 전원공급라인에는 안전장치로서 상기 인덕션 가열부의 과온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는 열동형 차단기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덕션 가열부의 과온 발생시 부저음을 출력하는 부저음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저음 출력부는 상기 제어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리 본체에 인덕션 가열부와 개폐 회전이 가능한 부침판 및/또는 배수 구조물을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부침 조리기에 대한 유지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부침판에서 조리물을 부침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 찌꺼기를 원활하게 배수시키면서 부침판에서 조리물을 부침 조리시 주방 바닥면으로 낙하하는 기름찌꺼기로 인한 요리 종사자들의 미끄럼 사고를 방지하는 한편, 부침판 표면을 세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부침판 재사용 주기를 단축하면서도 위생상의 문제를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조리 덮개가 닫힘 상태인 부침 조리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조리 덮개가 열림 상태인 부침 조리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부침 조리기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부침 조리기의 구조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4의 A-A선 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덕션 가열부의 안전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조리 덮개가 닫힘 상태인 부침 조리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조리 덮개가 열림 상태인 부침 조리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부침 조리기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부침 조리기의 구조를 보인 평면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4에 대한 A-A선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침 조리기는, 조리 본체(10), 인덕션 가열부(20), 조리 덮개(30), 배수 가이드부(40), 수집통(50)을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온도센서(60), 환기 팬(70), 배출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리 본체(10)는 상면 전방측 양단에 각각 연통구(11)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어(12)에 의해 개폐되는 수납공간(S1)을 가지는 함체형 구조물인 것이다.
상기 인덕션 가열부(20)는 상기 조리 본체(10)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유도가열코일과 절연플레이트 및 방열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도가열코일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는 후술하는 제어회로부(90)에 의한 제어 및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조리 덮개(30)에 형성되는 부침판(34)을 유도 가열하는 것이다.
즉, 상기 유도가열코일은 99.9%의 순동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일체형 섬유조직과 같은 형태로 구비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이상이 없고 인체에 해가 없는 전자파를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가열코일은 상기 절연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상기 유도가열코일과 상기 절연플레이트 간의 결합은 내열성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절연플레이트는 소정 두께를 가진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도가열코일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며, 불연성 소재인 운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유도가열코일 및 절연플레이트는 열 변형이 방지되고 화재의 위험도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회로부(90)는 상기 유도가열코일에서 고주파 자기장이 발생되도록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구동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하여 상기 유도가열코일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자기장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PCB, 공진주파수발생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인덕션 가열부(20)로의 구동전원 공급이 상기 제어회로부(90)에 의해 제어시, 후술하는 조작부(33)에는 장시간 가열을 방지하도록 조리 온도를 설정하는 터치형의 온도조절기(33a)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어회로부(90)는 상기 온도조절기(33a)에 의해 설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인덕션 가열부(20)로의 구동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인덕션 가열부(20)의 전원공급라인에는 안전장치로서 구동전원 공급에 따른 과부하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는 과부하 차단기(91)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인덕션 가열부(20)의 과온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는 열동형 차단기(92)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인덕션 가열부(20)의 과온 발생시 부저음을 출력하는 부저음 출력부(93)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부저음 출력부(93)는 상기 제어회로부(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리 덮개(30)는 상기 조리 본체(10)에서 개폐 회전되도록 상기 조리 본체(10)와 축부(31) 및 에어쇼버(32)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인덕션 가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작부(33), 그리고 상기 인덕션 가열부(20)에 인접하는 것으로 조리물이 올려지는 상기 부침판(34)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리 덮개(30)는 비전도성 재질로서, 이는 상기 조작부(33)가 형성되는 전면패널(30a), 상기 전면패널(30a)과 마주하는 것으로 상기 축부(31)를 통해 상기 조리 본체(10)와 연결되는 후면패널(30b),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30a)과 상기 후면패널(30b)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에어쇼버(32)를 통해 상기 조리 본체(10)의 양측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측면패널(30c, 30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침판(34)은 상기 인덕션 가열부(20)의 유도 가열에 따라 표면 온도가 상승되도록 소정의 두께(예; 15t)로서 전도성을 가지는 스테인레스 합금 재질로서, 이는 상기 후면패널(30b) 및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측면패널(30c, 30d)과 밀착되는 격벽(34a)을 가지는 판형 구조물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33)는 터치형 패널 구조물로서, 이는 상기 조리 본체(10)의 전방에서 사용자가 부침 조리시, 돌출 구조를 이루는 조그셔틀 방식의 조작부가 장애요소로서 작용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함인 것이다.
즉, 사용자가 앞치마를 착용한 상태에서 부침 조리시, 상기 앞치마가 돌출 구조물인 조그셔틀 방식의 조작부를 터치하게 되면서, 상기 조작부가 사용자가 원하지 않지만 조작되는 문제를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배수 가이드부(40)는 상기 부침판(34)의 전방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양측단에는 각각 상기 연통구(11)에 인서트되는 배수덕트(41)가 하단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수 가이드부(40)는 상기 부침판(34)의 전방측에 단차를 두고 연장되는 스테인레스 합금 재질의 홈형 구조물로서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단에 형성되는 상기 배수덕트(41)의 방향으로 경사진 바닥면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배수 가이드부(40)는 상기 부침판(34)에서 이루어지는 부침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 찌꺼기나 음식물 찌끼거가 모이도록 함은 물론, 상기 부침판(34)의 표면을 물로 세척시 그 세척수가 모이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기름 찌꺼기나 음식물 찌끼거 또는 세척수는 키친 타올이나 별도의 주방도구(예; 주걱)를 통해 밀어낼 때, 상기 배수 가이드부(40)의 경사진 바닥면을 따라 상기 배수덕트(41)로 흘러 내리면서 상기 배수덕트(41)를 통해 상기 부침판(34)의 저면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집통(50)은 상기 조리 본체(10)의 전방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수덕트(41)를 통해 배수되는 기름 찌거기나 조리물 찌꺼기 또는 세척수를 수집하는 서랍형의 구조물인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수집통(50)에 정해진 기름 찌꺼기나 음식물 찌끼거 또는 세척수가 모이게 되면, 상기 수집통(50)을 상기 조리 본체(10)로부터 분리시켜 버릴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수집통(50)의 전면측에 투명창을 형성하면서, 상기 투명창을 통해 상기 수집통(50)에 수집되는 기름 찌꺼기나 음식물 찌끼거 또는 세척수의 저장용량을 확인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온도센서(60)는 상기 부침판(34)에 인접 또는 밀착되면서 상기 부침판(34)의 가열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환기 팬(70)은 상기 조리 본체(10)의 상면 후방측에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온도센서(60)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부침판(34)의 가열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온도를 초과시 상기 부침판(34)과 상기 인덕션 가열부(20) 사이의 공간 열기를 상기 조리 본체(10)의 수납공간(S1)으로 배기시키도록 온 구동하는 것이다.
즉, 상기 조리 본체(10)의 상면 후방측에는 상기 조리 본체(10)의 상기 수납공간(S1)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팬 고정부(71)가 구성되면서, 상기 팬 고정부(71)에 상기 환기 팬(70)을 경사지게 고정시키면서, 상기 환기 팬(70)의 온 구동시 상기 부침판(34)과 상기 인덕션 가열부(20) 사이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열기는 상기 수납공간(S1)으로 배기될 수 있고, 이에따라 상기 부침판(34)이 고열로 부침 조리기에 포함되는 전자장치에 데미지를 가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환기 팬(70)은 상기 온도센서(60)에 의해 측정되는 가열온도에 따라 온 구동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상기 조작부(33)에 의해 온 구동 또는 오프되도록 상기 조작부(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배출부(80)는 상기 조리 본체(10)에 형성되는 상기 수납공간(S1)을 관통하여 상기 조리 본체(10)의 저면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집통(50)에 수집되는 기름 찌꺼기나 조리물 찌꺼기 또는 세척수가 넘칠 때 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며, 이는 수용함체(81), 배출관체(82), 집진통(83)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용함체(81)는 상기 조리 본체(10)에서 상기 수집통(50)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집통(50)으로부터 넘치는 기름 찌꺼기나 조리물 찌꺼기 또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용함체(81)는 기름 찌꺼기나 조리물 찌꺼기 또는 세척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배출관체(82)의 방향으로 경사진 바닥면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용함체(81)는 상기 수집통(50)에 기름 찌꺼기나 음식물 찌꺼기 또는 세척수가 유입되면서 그 수위가 설정 수위를 초과하여 넘칠 때, 넘치는 상기 기름 찌꺼기나 음식물 찌꺼기 또는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는 상기 수집통(50)에 대한 수위 확인이 어려워지면서 상기 기름 찌꺼기나 음식물 찌꺼기 또는 세척수가 넘칠 때 이들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배출관체(82)는 상기 수용함체(81)의 저면에서 상기 조리 본체(10)의 저면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구조물 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호스 구조물로서, 이는 상기 수용함체(81)에 수용되는 기름 찌꺼기나 음식물 찌꺼기 또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집진통(83)은 상기 조리 본체(10)의 저면 외부에 놓여지는 것으로, 상기 배출관체(82)를 통해 배출되는 기름 찌꺼기나 음식물 찌꺼기 또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용함체(81)에는 개폐밸브(84)를 가지는 연결구(85)를 연장 형성하면서, 상기 연결구(85)에 상기 배출관체(82)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배출관체(82)를 통한 기름 찌꺼기나 조리물 찌꺼기 또는 세척수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침 조리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우선 부침판(34)에서의 부침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 찌꺼기나 음식물 찌끼거가 상기 배수 가이드부(40)에 모인 후, 상기 배수 가이드부(40)에 형성되는 배수덕트(41)를 통해 수집통(50)에 수집되므로, 부침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찌거기가 주방 바닥면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기름 찌꺼기로 인해 주방 바닥면에서 요리 종사자들의 미끄럼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부침 조리가 종료된 이후 상기 부침판(34)의 표면을 물로 세척시 그 세척수는 상기 수집통(50)으로 수집되면서, 상기 부침판(34)에 대한 세척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집통(50)에 상기 기름 찌꺼기나 음식물 찌끼거 또는 세척수가 필요 이상 많이 수집되면서 넘치는 경우, 넘친 상기 기름 찌꺼기나 음식물 찌끼거 또는 세척수는 배출부(80)에 포함되는 수용함체(81)에서 수용된 후 배출관체(82)를 통해 집진통(83)으로 담겨질 수 있으므로, 상기 기름 찌꺼기나 음식물 찌끼거 또는 세척수로 인한 오염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침 조리기는 조리 본체(10)에 조리 덮개(30)가 축부(31)와 에어쇼버(32)를 통해 개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구조를 이루므로, 상기 조리 본체(10)에 형성되는 인덕션 가열부(20)에 대한 유지 보수는 물론, 상기 조리 본체(10)의 상면으로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조리 덮개(30)는 상기 에어 쇼버(32)를 통해 개폐 회전하게 되면서 그 열림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조리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인덕션 가열부(20)에 대한 청소 또는 수리 또는 교체가 복수의 사용자가 아닌 1인 사용자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부침 조리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조리 본체 11; 연통구
12; 도어 20; 인덕션 가열부
30; 조리 덮개 30a; 전면패널
30b; 후면패널 30c, 30d; 측면패널
31; 축부 32; 에어쇼버
33; 조작부 33a; 온도조절기
34; 부침판 34a; 격벽
40; 배수 가이드부 41; 배수덕트
50; 수집통 60; 온도센서
70; 환기 팬 71; 팬 고정부
80; 배출부 81; 수용함체
82; 배출관체 83; 집진통
84; 개폐밸브 85; 연결구
90; 제어회로부 91; 과부하 차단기
92; 열동형 차단기 93; 부저음 출력부
S1; 수납공간

Claims (17)

  1. 상면 전방측 양단에 각각 연통구가 형성되는 조리 본체; 상기 조리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인덕션 가열부; 상기 조리 본체에서 개폐 회전되도록 상기 조리 본체와 축부 및 에어쇼버로 연결되며 상기 인덕션 가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작부 그리고 상기 인덕션 가열부에 인접하는 것으로 조리물이 올려지는 부침판이 포함되는 조리 덮개; 상기 부침판의 전방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양측단에 각각 상기 연통구에 인서트되는 배수덕트가 하단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배수 가이드부; 및, 상기 조리 본체의 전방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수덕트를 통해 배수되는 기름 찌거기나 조리물 찌꺼기 또는 세척수를 수집하는 서랍형의 수집통; 을 포함하고,
    상기 부침판에는 상기 부침판의 가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형성하되, 상기 조리 본체의 상면 후방측에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부침판의 가열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온도를 초과시 상기 부침판과 상기 인덕션 가열부 사이의 공간 열기를 상기 조리 본체의 수납공간으로 배기시키도록 온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환기 팬을 형성하며,
    상기 배수 가이드부는 상기 부침판의 전방측에 단차를 두고 연장되는 스테인레스 합금 재질로서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단에 형성되는 상기 배수덕트의 방향으로 경사진 바닥면을 가지는 홈형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침 조리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본체의 상면 후방측에는 상기 조리 본체의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팬 고정부를 구성하고,
    상기 팬 고정부에는 상기 환기 팬이 경사지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침 조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팬은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가열온도에 따라 온 구동하되, 상기 조작부에 의해 온 구동 또는 오프되도록 상기 조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침 조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터치형 패널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침 조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덮개는 비전도성 재질이고, 상기 부침판은 상기 인덕션 가열부의 유도 가열에 따라 표면 온도가 상승되도록 소정의 두께로서 전도성을 가지는 스테인레스 합금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침 조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덮개는 상기 조작부가 형성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과 마주하는 것으로 상기 축부를 통해 상기 조리 본체와 연결되는 후면패널 및,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에어쇼버를 통해 상기 조리 본체의 양측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측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부침판은 상기 후면패널 및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측면패널과 밀착되는 격벽을 가지는 판형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침 조리기.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본체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수납공간을 가지는 함체형 구조물로서, 상기 수납공간에는 상기 수집통에 수집되는 기름 찌꺼기나 음식물 찌꺼기 또는 세척수가 넘칠 때 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침 조리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조리 본체에서 상기 수집통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수집통으로부터 넘치는 기름 찌꺼기나 음식물 찌꺼기 또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수용함체;
    상기 수용함체의 저면에서 상기 조리 본체의 저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용함체에 수용되는 기름 찌꺼기나 음식물 찌꺼기 또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체; 및,
    상기 조리 본체의 저면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체를 통해 배출되는 기름 찌꺼기나 음식물 찌꺼기 또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집진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침 조리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함체는 상기 배출관체의 방향으로 경사진 바닥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침 조리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함체에는 개폐밸브를 가지는 연결구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에 상기 배출관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침 조리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체는 파이프 구조물 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호스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침 조리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가열부로의 구동전원 공급은 제어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되, 상기 조작부에는 장시간 가열을 방지하도록 조리 온도를 설정하는 터치형 온도조절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온도조절기에 의해 설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인덕션 가열부로의 구동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침 조리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가열부의 전원공급라인에는 안전장치로서 구동전원 공급에 따른 과부하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는 과부하 차단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침 조리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가열부의 전원공급라인에는 안전장치로서 상기 인덕션 가열부의 과온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는 열동형 차단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침 조리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가열부의 과온 발생시 부저음을 출력하는 부저음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저음 출력부는 상기 제어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침 조리기.
KR1020230017136A 2023-02-09 2023-02-09 부침 조리기 KR102574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7136A KR102574934B1 (ko) 2023-02-09 2023-02-09 부침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7136A KR102574934B1 (ko) 2023-02-09 2023-02-09 부침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934B1 true KR102574934B1 (ko) 2023-09-06

Family

ID=87974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7136A KR102574934B1 (ko) 2023-02-09 2023-02-09 부침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934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5666A (ja) * 2006-02-03 2007-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ンジフードファン
KR100962013B1 (ko) * 2010-03-16 2010-06-08 (주)구일엔지니어링 유도가열 롤의 온도 제어 장치 및 온도 제어 방법
KR101414675B1 (ko) * 2013-02-28 2014-08-07 주식회사 엘디비에프엔비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
JP2014212866A (ja) * 2013-04-24 2014-11-1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20170032550A (ko) 2015-09-15 2017-03-23 태흥주방산업(주) 가스 부침기
KR101791183B1 (ko) * 2016-12-19 2017-10-27 최윤수 수리가 용이한 인덕션 레인지
KR20190120974A (ko) * 2018-04-17 2019-10-2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정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180808B1 (ko) 2020-06-18 2020-11-19 화신주방산업(주) 부침조리기
KR102205797B1 (ko) * 2020-03-09 2021-01-21 최윤수 그리들
KR102212008B1 (ko) 2020-12-30 2021-02-04 화신주방산업 주식회사 전기 히팅형 부침조리기
KR102286110B1 (ko) 2020-09-21 2021-08-05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열 조리사 차단수단을 갖는 전기 히팅형 부침조리기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5666A (ja) * 2006-02-03 2007-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ンジフードファン
KR100962013B1 (ko) * 2010-03-16 2010-06-08 (주)구일엔지니어링 유도가열 롤의 온도 제어 장치 및 온도 제어 방법
KR101414675B1 (ko) * 2013-02-28 2014-08-07 주식회사 엘디비에프엔비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
JP2014212866A (ja) * 2013-04-24 2014-11-1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20170032550A (ko) 2015-09-15 2017-03-23 태흥주방산업(주) 가스 부침기
KR101791183B1 (ko) * 2016-12-19 2017-10-27 최윤수 수리가 용이한 인덕션 레인지
KR20190120974A (ko) * 2018-04-17 2019-10-2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정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205797B1 (ko) * 2020-03-09 2021-01-21 최윤수 그리들
KR102180808B1 (ko) 2020-06-18 2020-11-19 화신주방산업(주) 부침조리기
KR102286110B1 (ko) 2020-09-21 2021-08-05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열 조리사 차단수단을 갖는 전기 히팅형 부침조리기
KR102212008B1 (ko) 2020-12-30 2021-02-04 화신주방산업 주식회사 전기 히팅형 부침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527B1 (ko) 튀김 조리기
WO2015006891A1 (zh) 充分均匀加热食品的空气炸锅
CN210276928U (zh) 一种多功能烤箱
JP5028152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574934B1 (ko) 부침 조리기
KR100588164B1 (ko) 조리장치
EP1444935B1 (en) Cooking apparatus having a contamination preventing unit
CN213524863U (zh) 一种烹饪器具
KR20210008811A (ko) 밀폐형 무연 자동 튀김장치
CN210227878U (zh) 一种带有滤油功能的油炸锅
KR20010003193A (ko)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
JP5728400B2 (ja) 加熱調理器
WO2024099204A1 (zh) 一种结构改进的无烟煎烤器
KR102389505B1 (ko) 조리솥용 배기가스 배출장치
CN219397003U (zh) 高效便捷式多功能无烟烹饪设备
CN108784308A (zh) 一种新型电饭锅
KR100588158B1 (ko) 그릴장치
KR20200082649A (ko) 유도가열 코일이 유조의 중하단 기름가열부에 장착된 고주파 유도가열튀김장치
KR100820809B1 (ko) 전기 오븐 레인지
JP2004039356A (ja) 電磁誘導加熱コンロ
CN216166991U (zh) 一种电烤炉
CN219538083U (zh) 一种结构改进的无烟煎烤器
CN214048556U (zh) 一种电烤炉
WO2024099202A1 (zh) 一种便于清洗的无烟煎烤器
CN217118187U (zh) 一种新型无烟煎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