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809B1 - 전기 오븐 레인지 - Google Patents

전기 오븐 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809B1
KR100820809B1 KR1020050125430A KR20050125430A KR100820809B1 KR 100820809 B1 KR100820809 B1 KR 100820809B1 KR 1020050125430 A KR1020050125430 A KR 1020050125430A KR 20050125430 A KR20050125430 A KR 20050125430A KR 100820809 B1 KR100820809 B1 KR 100820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dirt
dust pan
electric ove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4868A (ko
Inventor
김광용
심성훈
이영민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5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809B1/ko
Publication of KR20070064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2Side rests; Side plates; Cover lids; Splash guards; Racks outside ovens, e.g. for drying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시 또는 조리과정 중에 캐비티에서 배출되는 오물을 받고, 모아진 오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더스트 팬을 구비하는 전기 오븐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 오븐 레인지의 본체 내부에서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형성하고, 경사진 바닥면을 가지는 캐비티;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티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 사이의 틈으로 오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 하부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에서 배출되는 오물을 받도록 하는 더스트 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오븐 레인지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50125430
전기 오븐 레인지, 자동청소 기능, 더스트 팬, 캐비티

Description

전기 오븐 레인지{electric oven ran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오븐 레인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전기 오븐 레인지에서 더스트 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팬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01 : 단열재
102 : 가스켓 111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캐비티 121 : 상부히터
122 : 하부히터 123 : 컨벡션 팬
130 : 전장실 131 : 컨트롤 패널
140 : 도어 141 : 힌지
142 : 핸들 150 : 더스트 팬
151 : 손잡이 152 : 수용부
D : 유입부
본 발명은 전기 오븐 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청소 모드에서와 조리 과정 중에 캐비티에서 배출되는 오물을 쉽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오븐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븐 레인지는 전기 오븐 레인지와 가스 오븐 레인지로 대별되며, 이 중에서 전기 오븐 레인지는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히터(예를 들어, 세라믹 히터(ceramic heater), 그릴 히터(sheath grill heater) 또는 할로겐 히터(halogen heater) 등)를 이용하여 오븐 내부의 각종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특히, 전기 오븐 레인지는 요리속도가 빠르고 열효율이 높으며, 화염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가스 오븐 레인지에 비해 화재로부터 안전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한편, 전기 오븐 레인지에서 요리가 이루어지는 캐비티 내부에는 요리를 할 때 이물질이나 기름때 등의 오물이 쌓이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전기 오븐 레인지에는 상기와 같이 오븐을 사용함에 따라 상기 캐비티에 쌓인 이물질이나 기름때를 소정 시간 주기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제거하는 자동청소 기능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자동청소 모드에서는 히터를 일정 수준이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캐비티 내부를 보통의 조리시보다 고온인 450℃ 이상까지 상승하도록 가열함으로써 상기 캐비티 내부의 기름때 등을 탄화시켜서 제거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이러한 캐비티 내부의 오물을 직접 제거하거나, 선택적으로 상기와 같은 자동청소 기능을 실행시킴으로써 제거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캐비티 내부의 오염물을 제거할 때, 도어와 캐비티 사이의 틈으로 오물이 떨어지게 되므로 청소가 깨끗하게 되지 않는 문제와, 사용자가 바닥이나 캐비티와 도어 사이의 틈을 재청소해야 하는 등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간단하고 효율성 있게 캐비티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오븐 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 오븐 레인지의 본체 내부에서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형성하고, 경사진 바닥면을 가지는 캐비티;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티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 사이의 틈으로 오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 하부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에서 배출되는 오물을 받도록 하는 더스트 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오븐 레인지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오븐 레인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전기 오븐 레인지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음식물 등이 수용되어 조리가 이루어지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티(120)와, 상기 본체(100)의 전면을 이루면서 상기 캐비티(120)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140), 그리고, 상기 캐비티(120)의 상부에서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전장실(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대략 장방체로서,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도어(1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장실(130)의 전면을 이루는 컨트롤 패널(131)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20) 내부의 소정 개소, 특히, 상면 및 저면에는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상부히터(121)와 하부히터(122)가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각 히터(121,122)는 통상 세라믹 히터, 할로겐 히터, 또는 그릴 히터 등이 채용된다.
또한, 상기 캐비티(120)의 후면에는 상기 각 히터(121,122)에서 발생한 열을 캐비티(120) 내부로 고르게 전달되도록 상기 캐비티(120) 내부의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컨벡션 팬(convection fan)(123)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130)에는 상기 캐비티(120) 내부로 열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미도시)과, 외기를 전기 오븐 레인지 내부로 공급함과 더불어 캐비티(120) 내부의 배기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덕트(미도시) 및 전기 오븐 레인지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미도시) 등의 전장품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131)은 상기 전장실(130) 내부의 전장품과 전기적 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전기 오븐 레인지의 작동을 입력하고 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송풍팬(132)는 후술하는 흡입루버(미도시) 및 본체(100)의 하부 등 전기 오븐 레인지의 기타 다른 부분을 통해 유입된 외기에 흡입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배기덕트(미도시) 쪽으로 강제 유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40)는 상기 도어(140)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도어(140)를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하는 핸들(142)과, 상기 도어(140)를 힌지거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140)의 하부에서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도어(140)를 본체(100)에 고정시키는 힌지(1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140)는 사용자가 상기 캐비티(120)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캐비티(120)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글래스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티(120)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킴으로써 캐비티(120)의 열 효율은 높임과 더불어, 상기 캐비티(120)에서 전달된 열에 의해 본체(100) 등이 열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도어(140) 외에도 가스켓(102)과 단열재(미도시)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도어(140)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도어(140)와 캐비티(120)가 맞닿는 부분에는 상기 캐비티(120)와 도어(140) 사이의 틈을 밀폐시키기 위한 가스켓(gasket)(10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단열재는 상기 캐비티(120)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캐비티(120)의 저면에는 상기 캐비티(120)에서 배출되는 오물을 받기 위한 더스트 팬(dust pan)(150)이 상기 캐비티(120)에서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더스트 팬(1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더스트 팬(150)은 상기 캐비티(120)의 저부에 설치되어 오물을 수용하는 수용부(152)와, 상기 수용부(152)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더스트 팬(150)을 사용자가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손잡이(151)로 이루어진다.
상기 더스트 팬(150)은 평상시에는 상기 캐비티(120)의 저부에 결합된 상태이고, 청소시에는 사용자가 상기 더스트 팬(150)을 캐비티(120)에서 일정 부분 전방으로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청소시에 사용자가 상기 더스트 팬(150)을 일정 부분 전방으로 인출하여 상기 캐비티(120)와 도어(140) 사이에 더스트 팬(150)을 걸쳐 놓고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더스트 팬(150)에서 사용자가 상기 캐비티(120)에서 배출시키는 오물을 받을 수 있게 되고, 더불어 상기 캐비티(120)와 도어(140) 사이의 틈으로 오물이 떨어지는 것을 차단시키게 되므로, 청소의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더스트 팬(150)에 모인 오물은 사용자가 더스트 팬(150)을 완전히 인출하여 상기 캐비티(120)에서 분리시킨 후 버리면 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52)는 상기 캐비티(120)의 저부에 결합되어야 하므로 편평하게 형성되고, 더불어 오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더스트 팬(150)은 상기 바닥면(120a)과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의 틈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120a)과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이 비교적 좁기 때문에, 상기 수용부(152)는 낮은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120a)의 전체에서 오물을 수용하도록 하는 것이 오물의 수용에 유리하므로, 상기 바닥면(120a)의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를 갖는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52)는 상기 바닥면(120a)의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형의 납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수용부(15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51)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51)를 잡고 상기 더스트 팬(150)을 캐비티(120)에서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어야 하므로, 상기 수용부(152)의 일 단부에서 상부로 수직으로 연장되게,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ㄴ" 형상의 측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더스트 팬(150)이 상기 캐비티(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면(120a)보다 상부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더스트 팬(150)은 상기 캐비티(120)의 단부 사이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유입부(D)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D)를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더스트 팬(150)은 평상시 상기 캐비티(120)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인데, 조리 과정 중에 발생하게 되는 수증기나 기 름기 등의 오물이 상기 바닥면(120a)을 따라 흘러내려서 상기 더스트 팬(150)으로 자동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유입부(D)는 상기 손잡이(151)와 상기 바닥면(120a) 단부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그 틈으로 오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손잡이(151)와 바닥면(120a)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상기 바닥면(120a)의 일측에 상기 바닥면(120a)을 관통하여 저부의 수용부(152)와 연통되는 홀 또는 슬릿(slit)을 형성함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캐비티(120)에서 발생하는 오물이 상기 바닥면(120a)을 관통하여 하부의 수용부(152)로 유입되고, 사용자가 상기 더스트 팬(150)을 캐비티(120)에서 분리하여 상기 수용부(152)에 모여진 오물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151)를 상기 바닥면(120a)보다 소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151)를 잡는 것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캐비티(120)에서 배출되는 오물이 도어(140) 쪽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120a)은 조리중에 발생하는 오물이나, 사용자가 청소시에 배출시키는 오물이 상기 더스트 팬(150) 쪽으로 흘러내리도록 상기 도어(140) 쪽을 향해 소정 각도(θ)만큼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조리 중에 발생하는 오물은 상기 바닥면(120a)의 경사를 따라서 자연적으로 더스트 팬(150) 쪽으로 모여지게 되므로, 조리가 끝난 후 사용자가 상기 더스트 팬(150)을 분리시킨 후 오물을 제거하면 되므로 청소가 용이하다. 또한, 조리 중에 발생하는 오물을 수시로 배출시키게 되므로 캐비티(120) 내부의 오염도가 낮아지고, 청소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청소시에도 오물이나 사용자가 뿌린 세척제 등이 더스트 팬(150) 쪽으로 모여지게 되므로, 청소의 효율성이 높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더스트 팬(150)은 구조를 간단하고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착탈가능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상기 더스트 팬(150)에 모터(미도시) 등을 설치하여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오븐 레인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더스트 팬에서 캐비티에서 배출시킬 오물을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물이 캐비티 또는 본체와 도어 사이의 틈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청소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가 재청소를 하거나 도어 사이의 틈을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한다.
둘째, 캐비티의 바닥면을 도어를 향해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캐비티 에서의 오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셋째, 조리과정 중에 발생하는 수증기나 기름 등의 오물이 자동적으로 더스트 팬에 모이도록 함으로써 캐비티 내부에 존재하는 오물의 양의 줄여서 청소를 간단하게 한다.

Claims (6)

  1. 전기 오븐 레인지의 본체 내부에서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형성하고, 경사진 바닥면을 가지는 캐비티;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티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하부에서 힌지거동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 그리고
    상기 힌지로 결합되어 생기는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 사이의 틈으로 오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 하부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캐비티에서 배출되는 오물을 받도록 하는 더스트 팬:을 포함하며,
    상기 더스트 팬은 청소시에 상기 캐비티에서 전방으로 인출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오븐 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도어 쪽을 향해 비스듬하게 경사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오븐 레인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팬은 상기 바닥면 저부로 삽입되어 오물을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더스트 팬을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손잡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오븐 레인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팬은 손잡이와 상기 바닥면의 단부 사이에 그 사이로 오물이 유 입될 수 있도록 틈이 형성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오븐 레인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더스트 팬으로 오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오븐 레인지.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팬의 손잡이는 상기 바닥면에 비해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오븐 레인지.
KR1020050125430A 2005-12-19 2005-12-19 전기 오븐 레인지 KR100820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430A KR100820809B1 (ko) 2005-12-19 2005-12-19 전기 오븐 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430A KR100820809B1 (ko) 2005-12-19 2005-12-19 전기 오븐 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868A KR20070064868A (ko) 2007-06-22
KR100820809B1 true KR100820809B1 (ko) 2008-04-10

Family

ID=3836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430A KR100820809B1 (ko) 2005-12-19 2005-12-19 전기 오븐 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8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755B1 (ko) 2016-09-09 202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4284U (ko) * 1975-10-22 1977-03-29
JPS5374495U (ko) 1976-11-25 1978-06-21
JPH03191213A (ja) * 1989-12-19 1991-08-21 Sanyo Electric Co Ltd オーブントースター
KR19980029344U (ko) * 1996-11-27 1998-08-17 배순훈 가스오븐렌지의 팬
KR200162319Y1 (ko) 1997-04-15 2000-01-15 윤종용 전자렌지
KR100251478B1 (ko) 1997-12-31 2000-05-01 윤종용 가스오븐렌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4284U (ko) * 1975-10-22 1977-03-29
JPS5374495U (ko) 1976-11-25 1978-06-21
JPH03191213A (ja) * 1989-12-19 1991-08-21 Sanyo Electric Co Ltd オーブントースター
KR19980029344U (ko) * 1996-11-27 1998-08-17 배순훈 가스오븐렌지의 팬
KR200162319Y1 (ko) 1997-04-15 2000-01-15 윤종용 전자렌지
KR100251478B1 (ko) 1997-12-31 2000-05-01 윤종용 가스오븐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868A (ko) 200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9995A (en) Deep-frying apparatus with food debris shield
CN1332153C (zh) 炉灶上方的多功能微波炉
US7263987B2 (en) Grill cooker with air cooling unit and multipurpose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0919173A1 (en) Liquid heating apparatus
KR20170121892A (ko) 전기 오븐
KR100820809B1 (ko) 전기 오븐 레인지
EP1913308B1 (en) A cooking device
CN1245132C (zh) 具有污染防止单元的烹饪设备
JP2006212243A (ja) 加熱調理器
KR101990626B1 (ko) 오븐
JP5651640B2 (ja) 加熱調理器
JP5089714B2 (ja) 加熱調理器
KR101481163B1 (ko) 오븐
JP5728400B2 (ja) 加熱調理器
CN220308974U (zh) 多功能空气炸烤箱
KR200377268Y1 (ko) 황토 숯가마 고기 구이기
KR102574934B1 (ko) 부침 조리기
JP3836943B2 (ja) グリル
JP2006250461A (ja) 加熱調理器
JP3675085B2 (ja) ホットプレート
JP3512560B2 (ja) ガス焼成器
JPS6017601Y2 (ja) 電熱調理器
KR101280192B1 (ko) 이송 구이장치
KR200394005Y1 (ko) 생선구이기
KR200383683Y1 (ko) 전기오븐의 팬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