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192B1 - 이송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이송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192B1
KR101280192B1 KR1020100116968A KR20100116968A KR101280192B1 KR 101280192 B1 KR101280192 B1 KR 101280192B1 KR 1020100116968 A KR1020100116968 A KR 1020100116968A KR 20100116968 A KR20100116968 A KR 20100116968A KR 101280192 B1 KR101280192 B1 KR 101280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ransfer
hot air
guide portion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299A (ko
Inventor
전경표
Original Assignee
전경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경표 filed Critical 전경표
Priority to KR1020100116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192B1/ko
Publication of KR20120055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5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endless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방하우징과, 상기 후방하우징의 전방으로 연장된 하부하우징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후방하우징에 수용되어 열풍을 공급하는 송풍부, 상기 후방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상부유입구와 하부유입구가 형성된 브라켓, 상기 하부하우징에 수용되며, 상방으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후방은 상기 하부유입구와 연통되는 하부안내부와, 상기 하부안내부의 상부로 이격되며, 하방으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후방은 상기 상부유입구와 연통되는 상부안내부로 이루어진 안내부, 상기 후방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커버 및 상기 하부안내부와 상부안내부 사이에 구비되어 피구이체를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송 구이장치에 따르면, 피구이체로 열풍이 공급되도록 가이드 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가 거치되는 브라켓과, 피구이체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이 각각 용이하게 분리 및 조립될 수 있어서, 상기 안내부, 브라켓 및 이송수단의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하며, 상기 이송부의 상측 및 하측으로 열풍을 각각 공급하는 한 쌍의 안내부를 구비함으로써 이송되는 피구이체를 고르게 구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송 구이장치{Transferring roasting device}
본 발명은 이송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구이체로 열풍이 공급되도록 가이드 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가 거치되는 브라켓과, 피구이체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이 각각 용이하게 분리 및 조립될 수 있는 이송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장치는 굽고자 하는 피구이체에 열기를 가하여 굽는 것으로, 이 피구이체를 석쇠에 거치시킨 후, 그 하측에서 불 또는 숯 등의 열기를 이용하여 굽게 된다. 이러한 구이장치들은 일정 크기의 석쇠에 한하여 피구이체를 구울 수 있기 때문에 그 굽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에 따라 대량으로 굽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피구이체를 이송시키며 구울 수 있는 이송 구이장치가 개발되어 단시간에 대량으로 피구이체를 구워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송 구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면부호 7은 이송 구이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이며, 상기 케이스(7)의 전면에는 개폐 가능하게 도어(14)가 형성되며, 케이스(7)의 일측으로는 구이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가 형성된 키이부(15)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7)의 내부에는 공기 공급팬(2), 버너(3), 열풍팬(4), 상,하부 안내판(5, 6), 이송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 공급팬(2)은 케이스(7)의 내부 후면에 형성되어 케이스(7) 밖의 공기를 흡입하여 케이스(7) 내부로 공급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버너(3)는 공기 공급팬(2)의 동작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해서 연료를 연소시켜 고온의 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열풍팬(4)은 상기 버너(3)의 연소동작에 의해 발생된 열을 케이스(7) 내부에 형성되는 상,하부 안내판(5, 6)을 통하여 케이스(7) 내부로 순환시킨다.
상기 케이스(7)의 내부 상단에는 상기 열풍팬(4)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이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상부 안내판(5)이 구비되는데, 이 상부 안내판(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은 열풍이 유입될 수 있도록 넓게 형성되고, 타측은 좁게 막혀있는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안내판(5)의 저면에는 다수의 통공(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5a)은 열풍팬(4)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이 케이스(7)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한편, 케이스(7)의 내부 하단에는 하부 안내판(6)이 구비되는데, 상기 하부 안내판(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은 개방된 상태로 넓게 형성되고 타측은 좁게 막혀있는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단의 평평한 부분에는 다수의 통공(6a)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안내판(5)의 통공(5a)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한 열풍은 상기 하부안내판(6)의 통공(6a)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하부 안내판(6)의 개방부위를 통해 다시 열풍팬(4)으로 재순환된다.
상부 안내판(5)과 하부 안내판(6)의 사이에는 피자 등의 피구이체를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이송수단은 지지판(8, 9), 회전구동부(10, 11), 컨베이어(12) 및 모터(1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8, 9)은 케이스(7)의 양측면에 수평으로 각각 형성되며, 회전 구동부(10, 11)는 각각의 지지판(8, 9) 끝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 구동부(1O, 11)의 외주면 상에는 다수의 걸림홈(10a, 1la)이 형성되는데, 이 걸림홈(10a, 1la)에는 컨베이어(12)가 걸려 회전하며, 상기 컨베이어(12)의 상면에는 피구이체가 놓여져 상,하부 안내판(5, 6) 사이로 공급되는 열풍을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송 구이장치는 일 방향에서만 열풍이 공급되므로 상하면이 모두 열풍에 충분히 접촉할 수 없는 구조이고, 피구이체에 고르게 열풍이 공급되지 않으며, 공기를 정화시키는 구조가 없어 지속적인 공기 순환에 의하여 오염의 정도가 심해지며,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구성품의 교체와 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피구이체로 열풍이 공급되도록 가이드 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가 거치되는 브라켓과, 피구이체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이 각각 용이하게 분리 및 조립될 수 있어서, 상기 안내부, 브라켓 및 이송수단의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하며, 상기 이송부의 상측 및 하측으로 열풍을 각각 공급하는 한 쌍의 안내부를 구비함으로써 이송되는 피구이체를 고르게 구울 수 있는 이송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송 구이장치는, 전방으로 개구된 후방하우징과, 상기 후방하우징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방으로 개구된 하부하우징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후방하우징에 수용되어 열풍을 공급하는 송풍부, 상기 후방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전방을 향하여 개구된 상부유입구와 하부유입구가 형성된 브라켓, 상기 하부하우징에 수용되며 상방으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후방은 상기 하부유입구와 연통되는 하부안내부와, 상기 하부안내부의 상부로 이격되며 하방으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후방은 상기 상부유입구와 연통되는 상부안내부로 이루어진 안내부, 상기 후방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커버 및 상기 하부안내부와 상부안내부 사이에 구비되어 피구이체를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부는 상기 후방하우징의 내측에 밀착되어 수용된 팬거치판과, 상기 팬거치판을 관통하여 거치되며, 전방을 향하여 열풍이 공급되도록 구비된 열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상부유입구와 하부유입구가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된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에서 후방으로 이격되며 팬 삽입구가 형성된 후면판과,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한 상면판과 하면판과,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의 단부에서 단턱부를 가지며 양측으로 각각 연장 구비된 측면돌출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면판의 상부에는 오목한 걸림공이 형성된 거치부재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안내부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측판과, 상기 측판 사이의 전방에 위치한 차단판과, 상기 측판 사이의 상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다공판과, 상기 측판 사이의 하부에 위치한 막힘판과, 상기 막힘판의 후방 단부에서 상기 다공판의 전방 단부로 경사지게 구비되며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경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사판의 일측 단부는 상기 막힘판의 후방 단부에서 상방으로 이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다공판의 전방 단부에서 하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에는 상기 경사판의 후방 단부에서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경사판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간섭탭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과 막힘판 사이에 정화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안내부는 상기 하부안내부의 상하 대칭된 형태이며, 측판의 후방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각각 돌출 구비된 걸이부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송 구이장치에 따르면, 피구이체로 열풍이 공급되도록 가이드 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가 거치되는 브라켓과, 피구이체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이 각각 용이하게 분리 및 조립될 수 있어서, 상기 안내부, 브라켓 및 이송수단의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하며, 상기 이송부의 상측 및 하측으로 열풍을 각각 공급하는 한 쌍의 안내부를 구비함으로써 이송되는 피구이체를 고르게 구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송 구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 이송 구이장치의 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 이송 구이장치의 종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송풍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브라켓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하부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하부안내부의 다공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하부안내부의 C-C'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상부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하부안내부 및 상부안내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는 도 15의 이송부를 이루는 구동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구동축과 모터축의 연결 예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8의 가로방향을 '길이방향'이라 하고, 도 19에서 브라켓(300)을 기준으로 열풍팬(230) 쪽을 '후방', 하부안내부(400) 또는 상부안내부(500) 쪽을 '전방'이라 하고, 도 18 또는 도 19에서 이송부(600)를 기준으로 상부안내부(500) 쪽을 '상부방향', 하부안내부(400) 쪽을 '하부방향'이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송풍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및 상방으로 개구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수용되어 열풍을 공급하는 송풍부(200)와, 상기 송풍부(200)의 전방으로 구비되는 브라켓(300)과, 하부와 상부로 각각 이격되어 상기 브라켓(300)과 연통되는 하부안내부(400) 및 상부안내부(500)와, 상기 상부안내부(500)를 덮도록 상기 본체(100)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커버(150)와, 상기 하부안내부(400)와 상부안내부(500) 사이에 구비되어 피구이체를 이송하는 이송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개구된 직사각형 형태의 후방하우징(110)과, 상기 후방하우징(11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방으로 개구된 직사각형 형태의 하부하우징(13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후방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130)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송풍부(2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하우징(110)의 내측에 밀착되어 수용된 팬거치판(210)과, 상기 팬거치판(210)을 관통하여 거치되며, 전방을 향하여 열풍이 공급되도록 구비된 열풍팬(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팬거치판(210)의 양단부는 체결공(216)이 형성된 체결탭(215)이 길이방향으로 마주보도록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열풍팬(230)의 후방에는 상기 열풍팬(230)을 회전시키는 팬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부(160)의 일측으로는 열기를 발생시키는 버너인 발열부(73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하우징(11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15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하우징(110)의 개구면의 상부로 경첩(17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일측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부(800)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부(800)에는 상기 발열부(730)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8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의 작동이나 정지, 상기 이송부(600)의 이송속도나, 열풍의 온도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이부(810)가 구비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브라켓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브라켓(3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유입구(311)와 하부유입구(315)가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된 전면판(310)과, 상기 전면판(310)에서 후방으로 이격되며 팬 삽입구(325)가 형성된 후면판(320)과, 상기 전면판(310)과 후면판(320) 사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한 상면판(330) 및 하면판(340)과, 상기 전면판(310)과 후면판(320) 사이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 측면판(350)과, 상기 측면판(350)의 단부에서 단턱부(365)를 가지며 양측으로 각각 연장 구비된 측면돌출탭(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판(310)의 후면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열풍팬(230)을 향하여 중심 부분이 돌출되어 상부와 하부로 각각 상부경사면(317)과 하부경사면(319)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경사면(317)의 전방 단부는 상기 상부유입공(311)으로 이어지며, 상기 하부경사면(319)의 전방 단부는 상기 하부유입공(315)로 이어진다.
상기 측면돌출탭(360)의 양단부는 체결공(375)이 형성된 체결탭(370)이 길이방향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측면판(350)의 상부에는 오목한 걸림공(391)이 형성된 거치부재(390)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브라켓(30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하우징(110)에서 상기 열풍팬(230)의 전방으로 구비되며, 상기 팬삽입공(325)으로 상기 열풍팬(230)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팬거치판(210)에 구비된 채결탭(215)과 브라켓(300)의 측면돌출부(360)에 구비된 체결탭(370)을 근접시켜 체결공(216, 375)을 통하여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수단으로 상기 팬거치판(210)에 상기 브라켓(300)을 고정결합시킬 수 있다.
그래서, 열풍팬(230)을 가동시켜 열풍이 상기 브라켓(300)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브라켓(300)으로 유입된 열풍은 상기 상부경사면(317)과 하부경사면(319)을 따라 상기 상부유입공(311)과 하부유입공(315)으로 각각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공(216, 375)에 결합된 체결수단의 결합을 해제하면, 상기 팬거치판(210)으로부터 상기 브라켓(300)이 분리되므로, 상기 본체(100)로부터 상기 브라켓(300)을 쉽게 분리시킬 수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하부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하부안내부의 다공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하부안내부의 C-C'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상부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하부안내부 및 상부안내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하부하우징(130)에 수용되어 후방이 상기 브라켓(300)의 하부유입구(315)와 연통되는 하부안내부(400)와, 상기 하부안내부(400)의 상부로 이격되어 후방이 상기 상부유입구(311)와 연통되는 상부안내부(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안내부(400)는 도 10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측판(430)과, 상기 측판(430) 사이에서 전방에 위치한 차단판(450)과, 상기 측판(430) 사이에서 상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통공(415)이 형성된 다공판(410)과, 상기 측판(430) 사이에서 상기 다공판(410)으로부터 이격되어 하부에 위치한 막힘판(420)과, 상기 측판(430) 사이에서 상기 막힘판(420)의 후방 단부로부터 상기 다공판(410)의 전방 단부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며 복수의 통공(445)이 형성된 경사판(4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판(450)은 상기 다공판(410)과 막힘판(420) 사이에 밀착되어 구비되며, 상기 하부안내부(400)의 후방은 개구되어 상기 하부유입구(311)와 연통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사판(440)의 후방측 단부는 상기 막힘판(420)의 후방 단부에서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경사판(440)의 후방측 단부와 막힘판(420)의 후방측 단부 사이에 제1절곡부(44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판(440)의 전방측 단부는 상기 다공판(410)의 전방 단부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경사판(440)의 전방측 단부와 상기 다공판(410)의 전방측 단부 사이에 제2절곡부(442)가 구비된다.
상기 제1절곡부(441)와 제2절곡부(442)는 상기 경사판(440)의 후방측 단부와 전방측 단부가 각각 연장 절곡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경사판(440)에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사판(440)의 후방 단부에서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경사판(440)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간섭탭(446)이 구비된다.
상기 간섭탭(446)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경사판(440) 사이의 경사각(θ)은 0°보다는 크고 90°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안내부(400)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사판(440), 제2절곡부(442), 다공판(410) 및 후방의 개구면이 둘러싸는 제1연통부(47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판(440), 차단판(450), 막힘판(420) 및 제1절곡부(441)가 둘러싸는 제2연통부(48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연통부(470)의 후방은 열풍이 유입될 수 있도록 넓게 형성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연통부(480)에는 정화부재(800)가 구비된다.
상기 정화부재(800)는 숯덩어리에 황토를 도포한 알갱이 형태로 상기 제2연통부(480)에 채워져 구비될 수 있으며, 맥반석, 천연옥 또는 활성탄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안내부(50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대칭된 형태의 하부안내부(400)에 걸이부재(550)가 구비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안내부(500)는 걸이부재(550)외에 상기 하부안내부(400)와 동일한 구성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걸이부재(55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안내부(500)를 이루는 각각의 측판(430)의 후방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각각 돌출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안내부(400)와 상부안내부(500)가 이루어지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안내부(400)는 다공판(410)이 상부로 향하고, 막힘판(420)이 하부로 향하도록 하며, 후방의 개구면이 상기 하부유입공(315)에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하부하우징(130)에 수용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안내부(500)는 다공판(410)이 하부로 향하고, 막힘판(420)이 상부로 향하도록 하며, 후방의 개구면이 상기 상부유입공(311)에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브라켓(300)에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부안내부(500)의 측판(430)에 구비된 걸이부재(550)를 상기 브라켓(300)에 구비된 거치부재(390)의 걸림공(391)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안내부(500)가 상기 브라켓(30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안내부(500)는 상기 하부안내부(40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안내부(400)의 다공판(410)과 상부안내부(500)의 다공판(410)은 서로 마주보게 된다.
열풍팬(230)에 의해 상기 브라켓(300)의 하부유입공(315)으로 열풍이 유입되면, 열풍은 상기 하부안내부(400)로 유입된 후 다공판(410)이 위치한 상측으로 유동되며, 상기 상부유입공(311)로 열풍이 유입되면, 상기 상부안내부(500)로 유입된 후 다공판(410)이 위치한 하측으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하부안내부(400) 및 상부안내부(500)로 공급된 열풍은 간섭탭(446)의 간섭에 의하여 방향이 변환될 수 있으며, 경사판(440)에 형성된 통공(415)을 통하여 제2연통부(480)를 비롯한 상기 하부안내부(400) 및 상부안내부(500) 내에서 열풍이 고르게 유동 될 수 있다.
제2연통부(480)로 유입된 열풍은 정화부재(800)를 거친 후 상기 경사판(440)에 형성된 통공(445)와 상기 다공판(410)에 형성된 통공(415)을 통하여 하부안내부(400) 및 상부안내부(500)의 외부로 유동된다.
한편, 상기 상부안내부(500)에 힘을 가하여, 상기 걸이부재(550)가 상기 거치부재(390)의 걸림공(391)에서 이탈되도록 하면, 상기 브라켓(300)으로부터 상기 상부안내부(500)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상기 하부안내부(500)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130)에서 들어냄으로써 쉽게 분리할 수가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는 도 15의 이송부를 이루는 구동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구동축과 모터축의 연결 예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상기 하부안내부(400)와 상부안내부(500) 사이에 위치하는 이송부(600)는 상기 하부수용부(130)의 상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이송부(600)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테두리로 이루어진 지지틀(610)과, 양단이 지지틀(610)의 테두리 내측으로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620)과, 상기 회전축(620)으로부터 이격되어 양단이 지지틀(610)의 테두리 내측으로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구동축(630)과, 양측이 상기 회전축(620)과 구동축(630)에 걸리어 상기 지지틀(610)의 테두리 내측으로 위치하는 망체(6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망체(640)는 금속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지지틀(610)의 일측에는 피구이체가 망체(640)로부터 이탈하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이탈방지부재(650)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틀(610)의 양단 하부에는 망체(640)에 존재할 수 있는 피구이체의 부스러기 등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포집부(6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30)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630)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망체(640)에 걸리어 망체(640)를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회전구동부(631)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620)에도 회전구동부(6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631)는 구동축(630)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일 수 있으며, 기어 등을 구동축(630)에 삽입시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동축(630)의 일단으로는 상기 지지틀(610)의 테두리 외측으로 연장되며 오목하게 삽입홈(637)이 형성된 돌출부(635)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635)에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의 모터축(861)이 결합하여 구동축(630)이 구동된다. 구동축(630)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는 상기 수납부(800)에 설치되고, 모터축(861)이 수납부(800)로부터 돌출되어 구동축(6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축(861)에는 상기 삽입홈(637)에 삽입되는 연장돌출부(8611)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축(630)에 연장돌출부(8611)가 구비되고, 모터축(861)에 삽입홈(637)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구이장치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구이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 구이장치가 구비되면, 먼저, 이송부(600)의 망체(640) 위에 통닭이나 피자와 같은 피구이체를 적치한다.
이어서, 상기 키이부(810)에 작동 명령을 입력하면, 발열부(730)가 작동하고, 팬모터가 구동하여 열풍팬(230)이 회전하면서 열풍이 상기 브라켓(300)을 통하여 상기 하부안내부(400) 및 상부안내부(500)로 공급된다.
이어서, 구동모터가 구동되어 피구이체는 망체(640)의 회전과 함께 상기 하부안내부(400)와 상부안내부(500) 사이로 서서히 이송된다.
상기 열풍팬(230)과 발열부(730)에 의하여 공급되는 열풍은 도 19에 화살표 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가이드(400) 및 상부가이드(500)의 경사판(440)에 구비된 간섭탭(446)에 의해 진행을 방해받으면서 정화부재(800)가 구비된 제2연통부(480)로 유동 된다.
이어서, 막힘판(42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경사판(440)의 통공(445) 및 다공판(410)의 통공(415)을 통하여 상기 하부안내부(400) 및 상부안내부(500)의 외부로 유동된다.
상기 하부안내부(400)의 외부로 유동되는 열풍은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되며, 상기 상부안내부(500)의 외부로 유동되는 열풍은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유동되며, 상기 망체(640)에 위치한 피구이체의 하부와 상부로 각각 전달된다.
이렇게, 열풍팬(230)의 열풍이 상기 하부안내부(400)와 상부안내부(500)를 통하여 피구이체로 전달되는 순환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피구이체를 조리할 수가 있다.
아울러, 상기 정화부재(800)를 통하여 원적외선이 피구이체로 전달될 수 있으며, 순환되는 열풍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상기 정화부재(800)에 포집되어 제거될 수 있어서, 위생적인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안내부(400) 및 상부안내부(500)를 통해 피구이체로 전달되는 열풍은 상기 커버(150)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 방출되지 않을 수 있다.
피구이체의 조리가 끝난 후 이송 구이장치를 세척하거나 또는 고장 등으로 수리를 할 경우에 먼저, 커버(150)를 열고, 이송부(600)를 들어서, 상기 하부하우징(130)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이어서, 브라켓(300)의 거치부재(390)로부터 상기 상부안내부(500)의 걸이부재(550)를 빼내어, 상기 브라켓(300)으로부터 상기 상부안내부(500)를 이탈시킨다.
이어서, 상기 하부하우징(130)에 수용된 하부안내부(400)를 빼내어, 상기 하부하우징(130)으로부터 상기 하부안내부(400)를 이탈시킨다.
이어서, 상기 브라켓(300)과 팬거치판(210)의 체결을 해제하여, 상기 팬거치판(210)으로부터 상기 브라켓(300)을 이탈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브라켓(300), 하부안내부(400) 및 상부안내부(500) 등을 상기 본체(100)로부터 쉽게 이탈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를 비롯한 브라켓(300), 하부안내부(400) 및 상부안내부(500) 내부 및 외부 청소를 청결하게 할 수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본체 110: 후방하우징
130: 하부하우징 150: 커버
200: 송풍부 300: 브라켓
311: 상부유입구 315: 하부유입구
400: 하부안내부 415: 통공
500: 상부안내부 600: 이송부

Claims (9)

  1. 전방으로 개구된 후방하우징(110)과, 상기 후방하우징(110)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방으로 개구된 하부하우징(130)으로 이루어진 본체(100); 상기 후방하우징(110)에 수용되어 열풍을 공급하는 송풍부(200); 상기 후방하우징(110) 내에 구비되며, 전방을 향하여 개구된 상부유입구(311)와 하부유입구(315)가 형성된 브라켓(300); 상기 하부하우징(130)에 수용되며 상방으로 복수의 통공(415)이 형성되고 후방은 상기 하부유입구(315)와 연통되는 하부안내부(400)와, 상기 하부안내부(400)의 상부로 이격되며 하방으로 복수의 통공(415)이 형성되고 후방은 상기 상부유입구(311)와 연통되는 상부안내부(500)로 이루어진 안내부; 상기 후방하우징(110)의 개구면의 상부로 경첩(17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안내부(500)를 덮도록 구비된 커버(150); 및 상기 하부안내부(400)와 상부안내부(500) 사이에 구비되어 피구이체를 이송하는 이송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이송 구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200)는
    상기 후방하우징(110)의 내측에 밀착되어 수용된 팬거치판(210)과, 상기 팬거치판(210)을 관통하여 거치되며, 전방을 향하여 열풍이 공급되도록 구비된 열풍팬(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이송 구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00)은 상기 상부유입구(311)와 하부유입구(315)가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된 전면판(310)과, 상기 전면판(310)에서 후방으로 이격되며 팬 삽입구(325)가 형성된 후면판(320)과, 상기 전면판(310)과 후면판(320) 사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한 상면판(330)과 하면판(340)과, 상기 전면판(310)과 후면판(320) 사이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 측면판(350)과, 상기 측면판(350)의 단부에서 단턱부(365)를 가지며 양측으로 각각 연장 구비된 측면돌출탭(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송 구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350)의 상부에는 오목한 걸림공(391)이 형성된 거치부재(390)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이송 구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안내부(400)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측판(430)과, 상기 측판(430) 사이의 전방에 위치한 차단판(450)과, 상기 측판(430) 사이의 상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통공(415)이 형성된 다공판(410)과, 상기 측판(430) 사이의 하부에 위치한 막힘판(420)과, 상기 막힘판(420)의 후방 단부에서 상기 다공판(410)의 전방 단부로 경사지게 구비되며 복수의 통공(445)이 형성된 경사판(4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이송 구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44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막힘판(420)의 후방 단부에서 상방으로 이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다공판(410)의 전방 단부에서 하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이송 구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440)에는 상기 경사판(440)의 후방 단부에서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경사판(440)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간섭탭(44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이송 구이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440)과 막힘판 사이에 정화부재(8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이송 구이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안내부(500)는 상기 하부안내부(400)의 상하 대칭된 형태이며, 측판(430)의 후방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각각 돌출 구비된 걸이부재(5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이송 구이장치.
KR1020100116968A 2010-11-23 2010-11-23 이송 구이장치 KR101280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968A KR101280192B1 (ko) 2010-11-23 2010-11-23 이송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968A KR101280192B1 (ko) 2010-11-23 2010-11-23 이송 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299A KR20120055299A (ko) 2012-05-31
KR101280192B1 true KR101280192B1 (ko) 2013-06-28

Family

ID=46270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968A KR101280192B1 (ko) 2010-11-23 2010-11-23 이송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1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907B1 (ko) 2013-08-09 2014-01-29 주식회사 지엔케이마스터 2열 컨베이어가 설치된 컨베이어 오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1648A (en) 1989-03-23 1990-08-28 Tecogen, Inc. Conveyor oven
KR900007826B1 (ko) * 1987-01-14 1990-10-20 린컨 푸드서비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음식물 제조용 오븐
US20080092754A1 (en) * 2006-10-19 2008-04-24 Wayne/Scott Fetzer Company Conveyor oven
KR20100131207A (ko) * 2009-06-05 2010-12-15 전경표 이송 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826B1 (ko) * 1987-01-14 1990-10-20 린컨 푸드서비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음식물 제조용 오븐
US4951648A (en) 1989-03-23 1990-08-28 Tecogen, Inc. Conveyor oven
US20080092754A1 (en) * 2006-10-19 2008-04-24 Wayne/Scott Fetzer Company Conveyor oven
KR20100131207A (ko) * 2009-06-05 2010-12-15 전경표 이송 구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907B1 (ko) 2013-08-09 2014-01-29 주식회사 지엔케이마스터 2열 컨베이어가 설치된 컨베이어 오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299A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987B1 (ko) 회전식 구이기
KR102500573B1 (ko) 자동 튀김 장치
KR102431129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직화드럼을 구비하는 연속식 자동 직화장치
CN110123150B (zh) 一种无烟烧烤炉
KR101280192B1 (ko) 이송 구이장치
KR100853566B1 (ko) 회전식 구이 장치
KR101031967B1 (ko) 이송 구이장치
KR102000918B1 (ko) 무연후드 기능을 갖춘 상부가열식 구이기
CN219629438U (zh) 空气炸锅
KR102467135B1 (ko) 고기 구이장치
KR20100083898A (ko) 가스버너를 이용한 농산물건조기의 폐열 회수장치
KR20110002669U (ko) 육류 구이기
JP2010025524A (ja) リジェネレイティブバーナー
CN212720713U (zh) 一种可调烘烤炉
KR200423357Y1 (ko) 구이기
KR101318121B1 (ko)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KR200367548Y1 (ko) 석쇠 회전식 구이기
KR200377268Y1 (ko) 황토 숯가마 고기 구이기
KR20090069650A (ko) 참나무 장작 구이기
JP6730081B2 (ja) 連続炊飯装置
KR20080074487A (ko) 황토 가마 및 고기구이기의 구조
US3109360A (en) Cooking device
KR100820809B1 (ko) 전기 오븐 레인지
CN214510832U (zh) 一种全自动旋转烧烤机
KR20100132177A (ko) 자동 구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