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121B1 -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 Google Patents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121B1
KR101318121B1 KR1020110032795A KR20110032795A KR101318121B1 KR 101318121 B1 KR101318121 B1 KR 101318121B1 KR 1020110032795 A KR1020110032795 A KR 1020110032795A KR 20110032795 A KR20110032795 A KR 20110032795A KR 101318121 B1 KR101318121 B1 KR 101318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exhaust
case
exhaust pip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4938A (ko
Inventor
이종경
Original Assignee
이종경
비젼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경, 비젼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경
Priority to KR1020110032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121B1/ko
Publication of KR20120114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는, 내부에 구이실이 마련되며,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구이실을 개폐하도록 개폐도어가 마련되는 케이스;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조리하고자 하는 대상체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릴부; 대상체를 가열하도록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할로겐 히터; 및 할로겐 히터를 통해 대상체에 열이 가해질 때 대상체로부터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중 배기관 구조로 형성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부를 내측 및 외측 배기관의 이중 배기관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조리 대상물을 조리할 때 구이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연소 가스를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여 구이기가 설치된 장소의 대기 오염 및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ROTATIONARY ROASTER HAVING VENTILATION PART}
본 발명은,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 대상물을 조리할 때 구이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여 구이기가 설치된 장소의 대기 오염 및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는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패류나 수조육류(獸鳥肉類)등과 같는 음식물을 굽는 구이기는 기본적으로 히터를 이용하여 직접 또는 간접 복사열로 굽도록 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여러 종류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가열하는 열원으로는 숯불과 더불어 가스, 전기 등이 사용되고 있고 그 형태 또한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종래에는 숯불이나 가스불에 음식물을 직접 굽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장시간 조리를 하는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숯이나 가스를 교체 공급해야 하고 특히, 숯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가스는 안전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반면, 전기는 사용이 간편하고 온도제어가 자유로우며 안전성이 우수한 이점으로 인해 근래에는 이를 이용한 구이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한편, 상기 전기를 이용한 전기 구이기는 전원공급에 의해 가열되는 히터의 열을 음식물에 직접 전달하여 굽는 방식과, 상기 열을 별도의 가열판 등을 가열시켜 이의 간접 복사열로 굽는 방식으로 대별된다. 여기서, 상기 직접 열전달 방식의 경우에는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나 음식물에 직접 열을 가하므로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이 단시간에 증발되므로 음식물의 겉과 속이 다르게 익혀지게 될 뿐만 아니라 영양소 파괴도 심하여 결과적으로 음식물의 맛을 크게 떨어뜨리게 되고 조리된(구워진) 음식물은 단시간에 경화되어 소비자의 식욕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분이 단시간에 증발됨에 따라 음식물의 겉 표면과 속이 다르게 익혀지게 되어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할로겐 히터의 간접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방식을 채용한 전열 구이기가 제안되었다.
한편, 할로겐 히터를 이용한 구이기를 특히 실내공간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내부의 연소실에서 생성되는 연소 가스를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해야 할 필요가 발생하는데, 만약 연소가스의 신속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구이기가 설치된 장소의 대기 오염 및 사용자의 불편함이 증가할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구이기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연소가스의 신속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 대상물을 조리할 때 구이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여 구이기가 설치된 장소의 대기 오염 및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는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조리 대상물을 일정 주기 간격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연소시에 발생하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냄새 등의 유해성분을 탈취하여 배출할 수 있는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구이실이 마련되며,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구이실을 개폐하도록 개폐도어가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조리하고자 하는 대상체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릴부; 상기 대상체를 가열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할로겐 히터; 및 상기 할로겐 히터를 통해 상기 대상체에 열이 가해질 때 상기 대상체로부터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중 배기관 구조로 형성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구이실을 형성하는 구이실 벽체에 형성된 관통홀과 연통하도록 마련되어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내측 배기관; 및 상기 내측 배기관과의 사이에서 이격 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내측 배기관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하단에는 송풍기가 설치되는 외측 배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 배기관을 유동하는 연소가스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복수의 배기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배기관의 내면 및 외면, 상기 외측 배기관의 내면에는 부식방지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부는, 상기 배기홀과 상기 내측 배기관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가스를 탈취시키는 탈취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필터부는, 필터 하우징; 및 상기 필터 하우징에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탈취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 하우징은 상기 케이스에 교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분리 가능하도록 기름받이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도어; 및 상기 케이스에 힌지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손잡이가 마련되는 회전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도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윈도우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내에는 상기 그릴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그릴회전 구동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그릴회전 구동부는, 구동모터; 및 상기 그릴부와 상기 구동모터 사이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이실을 형성하는 구이실 벽체에 설치되어 상기 그릴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그릴부 홀더; 및 상기 그릴부 홀더와 상기 구동모터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는 스테핑 모터이며, 상기 구동연결부는 타이밍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부를 내측 및 외측 배기관의 이중 배기관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조리 대상물을 조리할 때 구이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연소 가스를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여 구이기가 설치된 장소의 대기 오염 및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리 대상체를 지지하는 그릴부를 회전시키는 그릴회전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조리 대상물을 일정 주기 간격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또한 탈취필터부를 마련하여 연소시에 발생하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냄새 등의 유해성분을 탈취하여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일부 구성을 생략한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에서 그릴부와 그릴회전 구동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의 컨트롤 패널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의 배기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일부 구성을 생략한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에서 그릴부와 그릴회전 구동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의 컨트롤 패널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9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의 배기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이하, '회전 구이기'라 한다)는, 육류, 생선류 및 기타 음식물(이하, '대상체'라 한다) 등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내부에 구이실(110)이 마련되며,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구이실(110)을 개폐하도록 개폐도어(120)가 마련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조리하고자 하는 대상체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릴부(200)와, 대상체를 가열하도록 케이스(100)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할로겐 히터(130)와, 할로겐 히터(130)를 통해 대상체에 열이 가해질 때 대상체로부터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케이스(100)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중 배기관 구조로 형성되는 배기부(3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구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케이스(100)의 내벽과 이격되면서 구이실(110)을 형성하도록 구이실 벽체(140)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할로겐 히터(130)를 이용하여 대상체에 열을 가하여 대상체를 조리할 때, 대상체로부터 발생하는 기름 및 연소 찌꺼기 등을 수납하여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기름받이부(150)가 더 설치된다. 이러한 기름받이부(150)는 케이스(10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면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는 기름받이부(150)에 일정 이상의 기름 및 연소 찌꺼기 등이 수납된 경우 케이스(100)로부터 분리한 후 세척하여 다시 결합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케이스(100) 내부에는 그릴부(20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낙하하는 기름 및 연소 찌꺼기 등이 보다 용이하게 기름받이부(150) 내부로 안내되도록 경사진 경사안내부(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도어(120)는, 케이스(10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도어(121)와, 케이스(100)에 힌지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손잡이(124)가 마련되는 회전도어(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도어(123)는 힌지축(미도시)를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구이실(110) 내부에서 실질적으로 대상체를 굽는 작용이 진행될 때,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케이스(100) 외부에서 구이실(110) 내부의 조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도어(121)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윈도우(122)가 마련된다. 이러한 윈도우(122)는 내열성이 우수한 강화유리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그릴부(200)의 회전 주기, 조리 시간 및 할로겐 히터(130)의 발열 온도 등을 조절하도록 컨트롤 패널(160)이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컨트롤 패널(160), 마이컴(미도시)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할로겐 히터(130)의 발열 온도, 후술하는 구동모터(410)의 회전 주기, 그릴부(200)의 회전 주기, 후술하는 송풍기(330)의 구동 상태 등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미도시)는 설정된 시간 범위 동안의 구동모터(410) 및 그릴부(200)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할로겐 히터(130)의 발열온도를 증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전체 전원이 ON된 상태에서 개폐도어(120)가 폐쇄된 후 대략 설정된 시간 후에 송풍기(330)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0)와 개폐도어(120)가 상호 접촉하는 영역에는 개폐도어(120)의 개방 여부 등을 전기적으로 감지하도록 리미트 스위치(170)가 설치된다. 제어부는 리미트 스위치(17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개폐도어(120)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면, 할로겐 히터(130), 송풍기(330) 및 구동모터(41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릴부(200)는, 케이스(100)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조리하고자 하는 대상체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1 그릴안내판(210)과, 제1 그릴안내판(210)의 양측에 상호간에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제2 및 제3 그릴안내판(220,230)과, 제2 및 제3 그릴안내판(220,23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봉(240)과, 복수의 지지봉(240) 사이로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며 조리 대상체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그릴망(2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제2 및 제3 그릴안내판(220,230)은 오목홈부(260)를 갖는 채널 형상의 오목판과, 오목판의 양단에 절곡 형성되는 플랜지판을 포함하는데, 복수의 지지봉(240)은 플랜지판에 연결되어 서로 이격된 제2 및 제3 그릴안내판(220,230)을 연결한다. 사용자는 한 쌍의 그릴망(250) 사이에 대상체를 배치한 후, 제1, 제2 및 제3 그릴안내판(210,220,230)의 오목홈부(260) 내로 그릴망(250)을 삽입하여 그릴망(25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그릴안내판(210)에는 후술하는 그릴부 홀더(421)와 암수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회전축(211)이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0) 내에 그릴부(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그릴회전 구동부(400)가 설치된다. 케이스(10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구이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함과 더불어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컨트롤 패널(160)이 마련되어 있는데,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160)의 버튼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그릴부(200)의 회전 상태 즉, 회전 주기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릴회전 구동부(400)는, 구동모터(410)와, 그릴부(200)와 구동모터(410) 사이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력전달부(420)는, 구이실(110)을 형성하는 구이실 벽체(140)에 설치되어 그릴부(20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그릴부 홀더(421)와, 그릴부 홀더(421)와 구동모터(410)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연결부(430)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릴부 홀더(421)는, 구이실 벽체(140)의 후방 벽에 형성된 체결공(180)에 체결되며 내부에 그릴부(200)의 회전축(211)이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422a)이 마련되는 회전축 홀더(422)와, 회전축 홀더(422)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구동연결부(430)를 통한 회전축 홀더(422)의 회전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부싱(423)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211)의 외주면에는 환형의 제1 리세스(212)가 마련되어 있으며, 회전축 홀더(422) 내부에 회전축(211)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리세스(212)와 대응하는 위치의 회전축 홀더(422)에는 마찬가지로 오목하게 들어간 환형의 제2 리세스(422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 리세스(422b)의 일부 영역에는 회전축 홀더(422)의 중심축을 향해 관통되는 고정관통홀(422c)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관통홀(422c)에는 결합볼(424)이 삽입되며 이러한 결합볼(424)은 스냅링(425)에 의해 가압되어 그 일부가 제1 리세스(212)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회전축(211)은 회전축 홀더(422)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며, 사용자는 그릴부(200)의 세척 필요시에 스냅링(425)을 제거한 후 회전축 홀더(422)로부터 그릴부(200)의 회전축(211)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릴부(200)의 회전축(211)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213)가 돌출 형성되며, 회전축 홀더(422)의 내주면에는 걸림돌기(213)와 대응 결합되는 걸림홈(422d)이 마련된다. 따라서, 회전축(211)과 회전축 홀더(422)는 걸림돌기(213)와 걸림홈(422d) 구조를 통해 상호 일체로 결합되며, 이에 따라 구동연결부(430)의 구동시에 회전축(211)과 회전축 홀더(422)는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걸림돌기(213)와 걸림홈(422d)이 형성되는 위치는 전술한 반대로 상호 간에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구동연결부(430)는, 구동모터(410)의 동력을 그릴부 홀더(421) 측으로 전달하여 그릴부(200)가 회전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 홀더(422)에 볼트 등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는 제1 회전풀리(431)와, 구동모터(410)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제2 회전풀리(432)와, 제1 회전풀리(431)와 제2 회전풀리(432) 사이를 연결하는 회전벨트(43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릴부(200)의 회전 각도가 보다 일정하게 변하도록, 구동모터(410)는 스테핑 모터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때 회전벨트(433)는 타이밍 벨트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예로 구동모터(410)는 정역 회전이 가능한 것으로 적용되어 컨트롤 패널(160)에 사용자의 요구 사항이 입력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주기적으로 구동모터(410)의 회전 방향을 정역으로 변경하여 그릴부(200)의 회전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예로, 구동연결부(430)는 전술한 풀리와 벨트의 조합 모듈 이외에 체인과 스프라킷 휠의 조합 모듈, 기어 모듈 중 선택된 다른 하나로 적용될 수도 있다.
할로겐 히터(130)는 원적외선 파장의 빛과 열을 방사하여 실질적으로 대상체를 가열하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각도로 절곡된 반사판(131) 사이의 거치홈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된다. 한편, 도 7에서는 그릴부(200)의 상측 방향에 할로겐 히터(130)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할로겐 히터(130)는 그릴부(200)의 상측 방향 이외에 그릴부(200)의 좌우 측면 방향에도 더 설치될 수 있다. 할로겐 히터(130)가 전술한 그릴부(200)의 좌우 측면 방향에 더 마련되면 대상체에 보다 신속하면서도 균일하게 열을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부(300)는, 할로겐 히터(130)를 통해 대상체에 열이 가해질 때 대상체로부터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케이스(100)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중 배기관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연소가스를 보다 신속하게 케이스(1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배기부(300)는, 구이실(110)을 형성하는 구이실 벽체(140)에 형성된 관통홀(190)과 연통하도록 마련되어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내측 배기관(310)과, 내측 배기관(310)과의 사이에서 이격 공간이 형성되게 내측 배기관(310)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하단에는 송풍기(330)가 설치되는 외측 배기관(320)을 포함한다.
구이실(110) 내부의 연소가스는 일차적으로 관통홀(190)을 통해 내측 배기관(310) 내부로 유입되어 내측 배기관(310)을 따라 유동한 후 최종적으로 케이스(100)에 형성된 복수의 배기홀(19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제어부(미도시)는 할로겐 히터(130)의 작동과 동시에, 또는 할로겐 히터(130)가 작동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송풍기(330)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송풍기(330)가 동작하면 내측 배기관(310)과 외측 배기관(32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고속의 공기 유동이 발생하게 되며, 내측 배기관(310)을 따라 유동하는 연소가스는 이러한 고속의 공기 유동에 영향을 받아 더욱 신속하게 배기홀(191) 측으로 배출된다. 보다 자세하게, 내측 배기관(310)과 외측 배기관(32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고속의 공기 유동에 의해 내측 배기관(310)의 내측 유로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저압 영역이 형성되며, 내측 배기관(310) 내의 연소가스는 송풍기(330)로부터 송풍된 공기와의 압력차에 의해 더욱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배기관(310)의 내면 및 외면, 외측 배기관(320)의 내면에 부식방지 코팅층(34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소가스가 특히 내측 배기관(310)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경우, 내측 배기관(310)의 내면에 부착되어 내측 배기관(310)의 내부를 부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외측 배기관(320)의 내면 및 내측 배기관(310)의 외면에도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내측 배기관(310) 및 외측 배기관(320)의 청결 유지 상태를 더욱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부(300)는, 배기홀(191)과 내측 배기관(310)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연소가스의 냄새(유해 성분 포함)를 탈취한 후 배출하도록 하는 탈취필터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탈취필터부(500)가 더 마련되어 연소가스에 포함된 유해성분을 필터링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회전 구이기가 설치된 공간의 대기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한층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탈취필터부(500)는, 필터 하우징(510)과, 필터 하우징(510)에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탈취필터(5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탈취필터(520)는 입자 또는 분말 상태의 카본 필터로 적용될 수 있으며, 물에 세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필터로 적용된다. 한편, 필터 하우징(510)은 케이스(100)에 교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케이스(100)로부터 필터 하우징(510)을 분리한 후 탈취필터(520) 등을 새로 교체한 후 재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케이스 121: 고정도어
122: 윈도우 123: 회전도어
130: 할로겐 히터 150: 기름받이부
160: 컨트롤 패널 170: 리미트 스위치
200: 그릴부 212: 제1 리세스
213: 걸림돌기 240: 지지봉
300: 배기부 310: 내측 배기관
320: 외측 배기관 340: 부식방지 코팅층
400: 그릴회전 구동부 420: 동력전달부
421: 그릴부 홀더 422: 회전축 홀더
422b: 제2 리세스 422c: 고정관통홀
422d: 걸림홈 423: 부싱
424: 결합볼 425: 스냅링
430: 구동연결부 500: 탈취필터부

Claims (11)

  1. 내부에 구이실이 마련되며,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구이실을 개폐하도록 개폐도어가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조리하고자 하는 대상체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릴부;
    상기 대상체를 가열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할로겐 히터; 및
    상기 할로겐 히터를 통해 상기 대상체에 열이 가해질 때 상기 대상체로부터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중 배기관 구조로 형성되는 배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분리 가능하도록 기름받이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구이실을 형성하는 구이실 벽체에 형성된 관통홀과 연통하도록 마련되어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내측 배기관; 및
    상기 내측 배기관과의 사이에서 이격 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내측 배기관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하단에는 송풍기가 설치되는 외측 배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 배기관을 유동하는 연소가스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복수의 배기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배기관의 내면 및 외면, 상기 외측 배기관의 내면에는 부식방지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배기홀과 상기 내측 배기관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가스를 탈취시키는 탈취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필터부는,
    필터 하우징; 및
    상기 필터 하우징에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탈취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 하우징은 상기 케이스에 교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도어; 및
    상기 케이스에 힌지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손잡이가 마련되는 회전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도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윈도우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는 상기 그릴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그릴회전 구동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그릴회전 구동부는,
    구동모터; 및
    상기 그릴부와 상기 구동모터 사이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이실을 형성하는 구이실 벽체에 설치되어 상기 그릴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그릴부 홀더; 및
    상기 그릴부 홀더와 상기 구동모터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스테핑 모터이며, 상기 구동연결부는 타이밍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KR1020110032795A 2011-04-08 2011-04-08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KR101318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795A KR101318121B1 (ko) 2011-04-08 2011-04-08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795A KR101318121B1 (ko) 2011-04-08 2011-04-08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938A KR20120114938A (ko) 2012-10-17
KR101318121B1 true KR101318121B1 (ko) 2013-10-15

Family

ID=4728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795A KR101318121B1 (ko) 2011-04-08 2011-04-08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1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5255A (zh) * 2016-04-23 2016-09-14 沈阳天体科技有限公司 多功能环保型碳烤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383B1 (ko) * 2013-10-22 2015-02-05 주식회사 유원 구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913Y1 (ko) * 2005-12-09 2006-03-10 박재근 양면 구이가 가능한 할로겐 히터가 구비된 바베큐 구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913Y1 (ko) * 2005-12-09 2006-03-10 박재근 양면 구이가 가능한 할로겐 히터가 구비된 바베큐 구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5255A (zh) * 2016-04-23 2016-09-14 沈阳天体科技有限公司 多功能环保型碳烤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938A (ko)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797B1 (ko) 히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8563900B2 (en) Charcoal smoke-far infrared ray radiating oven
JP4654096B2 (ja) 加熱調理器
KR100760790B1 (ko) 절전형 열산화 공기순환식 전기프라이팬
KR20120100050A (ko) 회전식 구이기
KR100914173B1 (ko) 회전 구이기
KR101318121B1 (ko)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KR101318120B1 (ko) 그릴회전 구동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KR100794911B1 (ko) 전기프라이팬의 공기순환 분사구조
KR100878783B1 (ko) 전기 숯불 구이기
KR101117330B1 (ko) 근적외선 전기 오븐
KR101990626B1 (ko) 오븐
EP3702671B1 (en) Cooking apparatus
KR100615386B1 (ko) 피자 구이기
KR20080106812A (ko) 육류 구이장치
KR101206207B1 (ko) 통닭구이기
CN211862570U (zh) 一种可翻转电热管的烧烤炉
KR200453072Y1 (ko) 꼬치구이장치
KR20090100744A (ko) 육류 구이장치
KR101355907B1 (ko) 2열 컨베이어가 설치된 컨베이어 오븐
KR20200017067A (ko) 회전 구이기
KR101439197B1 (ko) 수평 회전식 구이장치
KR20150015238A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드럼식 조리장치
KR101175734B1 (ko) 오븐
KR20050061712A (ko) 꼬치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