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907B1 - 2열 컨베이어가 설치된 컨베이어 오븐 - Google Patents

2열 컨베이어가 설치된 컨베이어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907B1
KR101355907B1 KR1020130094538A KR20130094538A KR101355907B1 KR 101355907 B1 KR101355907 B1 KR 101355907B1 KR 1020130094538 A KR1020130094538 A KR 1020130094538A KR 20130094538 A KR20130094538 A KR 20130094538A KR 101355907 B1 KR101355907 B1 KR 101355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housing
hot air
conveyo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엔케이마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엔케이마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엔케이마스터
Priority to KR1020130094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0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arrangements
    • A21B1/24Ovens heated by media flowing therethrough
    • A21B1/245Ovens heated by media flowing therethrough with a plurality of air nozzles to obtain an impingement effect on the food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4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baking surfaces moving during the baking
    • A21B1/46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baking surfaces moving during the baking with surfaces suspended from an endless conveyor or a revolving wheel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4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baking surfaces moving during the baking
    • A21B1/48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baking surfaces moving during the baking with surfaces in the form of an endless ban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05B6/107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for continuous movement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서로 다른 가열시간이 요구되는 2종류 이상의 음식을 한 번에 투입하여 조리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컨베이어가 구비된 양방향 2열 컨베이어 오븐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전후로 음식물 이동 통로가 개설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열기를 생성하는 열발생수단, 및 상기 음식물 이동 통로의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무한궤도 운동을 하면서 음식물을 이동시키며 2열로 설치된 음식거치부를 포함하는 2열 컨베이어 오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 종류의 음식물을 다량으로 조리할 수 있고, 2종류 이상의 음식물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2열 컨베이어가 설치된 컨베이어 오븐{CONVEYOR OVEN WITH DUAL-ROW CONVEYOR}
본 발명은 2열 컨베이어가 설치된 컨베이어 오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가열시간이 요구되는 2종류 이상의 음식을 한 번에 투입하여 조리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컨베이어가 구비된 2열 컨베이어 오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가스오븐레인지는 가정용 및 업소용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가스오븐레인지는 가스오븐레인지 내의 가온된 열기를 이용해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사용하는 기기이다.
업소에 사용되는 가스오븐레인지의 경우 보통 피자, 구이용 닭, 및 스테이크 등을 조리하는데 사용되며, 이러한 음식을 가스오븐레인지 내부에 올려놓고 그 주위를 가온된 열기가 순환하면서 음식을 조리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 가온된 열기가 음식 전체에 고루 전달되는데 그 한계점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가스오븐레인지 내부에 컨베이어를 장착해 음식을 이동시키면서 가온된 열기가 음식 전체에 고루 전달되도록 하는 컨베이어 가스오븐레인지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166811호(1999년10월28일 등록)에 "콘베이어 가스오븐"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전후로 통로가 개설된 본체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열기를 생성하는 가스버너와, 상기 가스버너로부터 열기를 공급받아 통로로 열기를 공급하는 수단과, 상기 통로의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무한궤도 운동을 하면서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콘베이어, 및 상기 통로로 공급된 열을 흡입하여 상기 열기를 공급하는 수단측으로 다시 공급하여 재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콘베이어 가스오븐에 관한 것이다.
이는 조리시간이 일정한 한 가지 음식물을 다량으로 조리하는데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반면, 여러 가지 음식물을 조리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흔히 주방에서 조리하는 조리자의 경우 한 가지 음식물만 조리하는 것이 아니라 한꺼번에 여러 가지 음식을 조리하는 것이 다반사이므로, 이러한 종래의 컨베이어 오븐은 그 사용처가 한 종류의 음식물만 판매하는 음식점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
따라서, 2종류 이상의 음식을 한 번에 조리할 수 있는 컨베이어 오븐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26959호(2002.03.13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1214호(2009.05.2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6926호(2010.12.03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2종류 이상의 음식물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고, 좁은 장소에서의 공간 확보가 용이하며, 음식물 동시 조리량 대비 유지비용이 절감된 양방향 2열 컨베이어 오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후로 음식물 이동 통로가 개설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열기를 생성하는 열발생수단, 및 상기 음식물 이동 통로의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무한궤도 운동을 하면서 음식물을 이동시키며 2열로 설치된 음식거치부를 포함하는 2열 컨베이어 오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 조리수량 대비 그 설치공간이 실질적으로 감소되므로, 더 넓은 주방공간의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음식물이 투입되는 통로의 입구측과 출구측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설치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구동을 부분적으로 제어하여 유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 종류의 음식물을 다량으로 조리할 수 있고, 2종류 이상의 음식물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최소 기존 컨베이어 오븐 2대와 대등한 음식물 조리 능력을 발휘할 수 있지만, 기존 컨베이어 오븐 2대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므로, 구매자로 하여금 식당 창업에 대한 초기 투자비용의 부담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오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오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오븐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의한 2열 컨베이어가 설치된 컨베이어 오븐(이하, '컨베이어 오븐'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오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오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오븐은 전후로 음식물 이동 통로가 개설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열기를 생성하는 열발생수단(200)과, 2열로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 이동 통로의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무한궤도 운동을 하면서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음식거치부(300)와, 상기 음식거치부(30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미도시), 및 상기 열발생수단(20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음식물로 순환되도록 구동하는 송풍수단(400)을 포함한다.
이러한 열발생수단(200)은 내부에 가스가 유입되어 연소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로 가스가 유입되도록 유로 역할을 하는 가스배관과, 상기 연소실로 공급된 가스가 연소실 내부에 점화되도록 하는 점화기, 및 상기 연소실 내부의 온도를 체크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 오븐은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에 따라 연소실의 불꽃을 제어하도록 상기 연소실로 유입되는 가스의 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로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모터를 사용하여 양방향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오븐은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음식물이 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전후로 통로가 개설된 것으로, 제 1 하우징(110) 및 제 2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하우징(110)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가스 및 공기를 점화기로 점화하여 불꽃으로 변환시키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가스제어밸브와, 상기 제 1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브로워와, 상기 제 1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제어밸브 및 브로워로부터 배출된 가스 및 공기가 연소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에 연결설치되어 연소실로 공급된 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기, 및 상기 연소실에 연결설치되어 연소실 내부에서 점화되는 불꽃을 감지하는 프레임 로드(flame rod)가 설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하우징(110)의 일측면, 바람직하게는 후면이나 측면 하단부에는 내부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하우징 관통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관통홈의 내측면에는 제 1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 공기와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는 송풍기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송풍기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연소실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제 1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가스제어밸브, 브로워 및 연소실, 점화기, 프레임 로드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 1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 1 하우징(110)은 상기 가스제어밸브, 브로워, 연소실, 점화기, 프레임 로드가 내부에 구비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스제어밸브는 외부의 가스를 수송하는 가스배관 및 연소실에 연결설치되고,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의해 제어되며, 가스배관으로부터 연소실로 유입되는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한다. 이때, 가스제어밸브는 제 1 하우징(110)에 관통되도록 삽입되거나 제 1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로워는 제 1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 1 하우징(110)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으로서, 제 1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된 연소실에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연소실로 유입시킨다.
상기 연소실은 가스 및 공기가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 1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고, 가스제어밸브 및 브로워와 연결설치되며, 가스 및 공기가 연소되어 변환된 불꽃을 배출한다.
상기 점화기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소실에 연결설치되어 연소실로 공급된 가스가 연소실 내부에서 제어부의 의해 점화되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 로드는 연소실에 연결설치되어 연소실 내부에서 점화되는 불꽃의 유무를 감지한다. 이렇게 감지된 불꽃의 유무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이는 상기 제어부에서 점화기를 통한 점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프레임 로드를 통해 점화 성공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는 프레임 로드를 통해 점화가 실패하였다는 것을 판별시 점화기를 제어하여 재차 점화를 시도한다. 이러한 점화 시도는 3회까지 실시되며, 최초 설계 목적에 따라 점화 시도의 횟수는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재점화 시도를 복수회까지 실시하였으나, 지정된 숫자, 예컨대 3회안에 정상적인 점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별도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점화 이상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붉은색 전구가 점멸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사용자에게 점화이상 여부를 인지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하우징(1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사항을 제어부에 전달하는 조작부(1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112)는 제 1 하우징(110)에 분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부(112)는 조리자가 조리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온도상승버튼, 온도하강버튼, 및 온도선택버튼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12)는 조리자가 조리속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속도상승버튼, 속도하강버튼, 및 속도선택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조리 준비 기간에 연소실 내부 온도를 예열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예열모드버튼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온도상승버튼 및 온도하강버튼을 통해 조리자가 설정하고자 하는 조리온도를 설정한 후, 상기 온도선택버튼을 누름으로써 설정하고자 하는 조리온도가 설정된다.
또한, 상기 속도상승버튼 및 속도하강버튼을 통해 조리자가 설정하고자 하는 조리속도를 설정한 후, 상기 속도선택버튼을 누름으로써 설정하고자 하는 조리속도가 설정된다. 상기 조리속도는 음식거치부(300)의 컨베이어가 제 2 하우징(120)의 음식물 이동 통로(122)를 통과하는 속도를 의미한다. 즉, 상기 조작부(112)의 조리속도 설정 버튼을 통해 조리속도가 설정되면, 설정된 조리속도에 따라 제어부에서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컨베이어가 음식물 이동 통로(122)를 지나는 구동속도(구동시간)를 제어한다.
상기 조작부(112)를 통해 조리자가 조리속도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음식거치부(300)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고, 상기 조작부(112)를 통한 별도의 설정 없이 조리를 시작할 수 있는 온도인 80℃에 도달하면 상기 음식거치부(300)가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는 조리자가 상기 조작부(112)를 통한 설정과정을 간소화하여 보다 간편하게 컨베이어 오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1 하우징(1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거치부(300)에 연결되어 상기 음식거치부(30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음식거치부(300)를 구성하는 컨베이어 축을 결합시키는 컨베이어 삽입홀(114, 116)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 삽입홀(114, 116)은 음식거치부(300)를 구성하는 컨베이어의 숫자와 대응되는 숫자로 구성되며, 도 1과 같이 2개의 컨베이어가 설치된 경우에는 제 1 컨베이어 삽입홀(114)과 제 2 컨베이어 삽입홀(116)로 구성된다. 이때, 제 1 컨베이어 삽입홀(114)로 내삽된 제 1 컨베이어 축(316)은 제 1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제 2 컨베이어 삽입홀(116)로 내삽된 제 2 컨베이어 축(326)은 제 2 구동모터와 연결된다.
한편, 제 2 하우징(120)은 제 1 하우징(110)과 연결되어 피자 등의 음식물이 통과할 수 있는 전후로 음식물 이동 통로(122)가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하우징(110)부터 열풍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 1 하우징(110)과의 사이에 통공(124)이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제 2 하우징(120)은 외력에 의해 개구부가 개폐되는 도어(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조리용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리용 온도센서는 음식물이 통과하는 통로의 온도를 체크하여 이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음식물 이동 통로(122)의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그 내부 어느 곳에 위치하여도 무관하다.
이는 상기 제어부에서 음식물이 이동하는 통로의 온도를 체크하여 이를 바탕으로 음식물에 대한 적합한 온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조리용 온도센서는 음식물이 이동하는 음식물 이동 통로(122)의 내부온도를 체크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도달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조리를 시작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조리온도 도달 알림기능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은 음식물 이동 통로(122)를 통과하는 음식물의 전면에 균일한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음식물을 균일하게 조리하는 열풍공급수단이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열풍공급수단은 상기 음식물 이동 통로(122)의 상부, 하부, 또는 이들 모두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풍공급수단은 제 1 열풍공급판(132), 제 2 열풍공급판(134), 또는 이들 모두가 포함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풍공급판(132)은 음식물의 상부 전면에 열풍을 제공하기 위해 제 2 하우징(120)의 내부에 위치한 음식물 이동 통로(122)의 상부에 구비된 것으로서,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제 1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열풍공급판(134)은 음식물의 하부 전면에 열풍을 제공하기 위해 제 2 하우징(120)의 내부에 위치한 음식물 이동 통로(122)의 하부에 구비된 것으로서,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제 2 관통홀이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열풍공급판(132) 및 제 2 열풍공급판(134)은 열풍이 유입되는 제 2 하우징(120)의 통공(124) 방향이 개방된 직육면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음식물에 열풍을 균일하게 제공하기 위해 벤츄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벤츄리 구조는 제 1 열풍공급판(132) 및 제 2 열풍공급판(134)의 내부 면적이 열풍의 유입경로에 따라 감소되도록 형성된 형태를 의미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0)에는 열풍공급수단을 통해 음식물 이동 통로(122)로 공급되는 열풍의 유량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열풍 제어판(1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열풍 제어판(140)은 음식물 이동 통로(122)에 마주보는 열풍공급수단의 측면에 접촉되며,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열풍공급판(132)에 접촉되는 제 1 열풍 제어판(140)과, 제 2 열풍공급판(134)에 접촉되는 제 2 열풍 제어판(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열풍 제어판(140)은 제 1, 2 열풍공급판(132, 134)에 형성된 관통홀의 원활한 개방과 밀폐를 위해 제 1, 2 열풍공급판(132, 134)의 관통홀과 동일한 크기 및 간격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사용자는 열풍 제어판(140)의 관통홀과 열풍공급수단의 관통홀을 일치시켜 열풍공급수단의 관통홀을 100% 개방시킬 수도 있으며, 열풍 제어판(140)의 위치를 변경시켜 열풍공급수단의 관통홀을 50% 개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열풍 제어판(140)이 사용자에 의해 제 2 하우징(120)의 내외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 2 하우징(120)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열풍 제어판(140)이 내삽될 수 있게 하는 내삽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 2 하우징(120)은 그 내부로 내삽된 열풍 제어판(140)이 제 2 하우징(120)의 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열풍 제어판(140)의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안착돌기(150)가 제 2 하우징(1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돌기(150)는 제 2 하우징(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하우징(120)의 내부 양 측면에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은 제 1 열풍공급판(132)의 하부나, 제 2 열풍공급판(134)의 상부, 또는 이들 모두에 히터(16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히터(160)는 음식물 이동 통로(122)를 통과하는 음식물에 추가적인 열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적외선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오븐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오븐은 열풍유동 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풍유동 제어수단은 제 1 음식거치부(310) 및 제 2 음식거치부(320)에 서로 다른 온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이를 위해 열풍 분배판(172) 및 밸브(174)로 구성된다.
상기 열풍 분배판(172)은 도 3과 같이 제 2 하우징(120)의 내부를 분획하도록 제 2 하우징(120)의 통공(124)과 음식물 이동 통로(122) 사이에 구비되고, 음식거치부(300)와 대응되도록 2열로 복수개의 열풍 유로(173)가 형성되는 것으로, 제 2 하우징(120)의 내부를 수평으로 2등분하는 평판 구조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밸브(174)는 상기 열풍 유로(173)에 설치되고 제어부에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열풍 유로(173)를 통한 열풍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밸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브(174)는 열풍 유로(173)를 통과하는 열풍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제 1 음식거치부(310)과 제 2 음식거치부(320)에 서로 다른 열풍의 유량을 제공하여 제 1 음식거치부(310)과 제 2 음식거치부(320)을 통해 이동하는 음식물이 각각 서로 다른 온도로 조리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조리환경을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열풍유동 제어수단은 열풍 유로 분획판(176)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열풍 유로 분획판(176)은 열풍 유로(173)를 통해 서로 분획된 구역을 가지는 음식물 이동 통로(122)에 다른 열풍 유로(173)를 통해 유입된 열풍이 유입되지 않도록 서로 인접한 열풍 유로(173)를 분획시키는 것으로, 음식물 이동 통로(122)에 마주보는 열풍 분배판(172)에 구비된다. 특정 양태로서, 상기 열풍 유로 분획판(176)은 평판 구조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 분배판(172)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제 2 하우징(120)은 2열 분획판(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2열 분획판은 열풍 유로(173)를 통해 제 1 음식거치부(310)과 제 2 음식거치부(320)로 각각 유입되는 열풍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제 1 음식거치부(310)와 제 2 음식거치부(320)를 격리하는 것으로, 평판 구조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2열 분획판은 일단이 2열로 설치된 제 1 음식거치부(310)와 제 2 음식거치부(3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제 1 음식거치부(310)와 제 2 음식거치부(320)를 분획시키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2열로 형성된 열풍 유로(173)를 분획시키기 위해 상기 열풍 분배판(172)의 중앙에 연결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열풍 분배판(172)은 제 1 음식거치부(310)와 제 2 음식거치부(320)로 동일한 종류의 음식물을 조리한 경우 제 2 하우징(120)로 탈착될 수 있도록 제 2 하우징(120)에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판 구조물을 탈부착시키는 구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오븐은 음식거치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음식거치부(300)는 음식물 이동 통로(122)의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무한궤도 운동을 하면서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하우징(100)에는 복수개의 음식거치부(300)가 2열 이상으로 설치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거치부(300)는 도 1과 같이 제 1 음식거치부(310) 및 제 2 음식거치부(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음식거치부(310)는 틀 역할을 하는 제 1 프레임(312)과, 상기 제 1 프레임(312) 내부에 위치하는 레일 형식의 제 1 컨베이어(314), 및 상기 제 1 컨베이어(314)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 1 컨베이어(314)를 회전시키는 제 1 컨베이어 축(31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음식거치부(320)는 상기 제 1 프레임(312)과 측면에 동일 수평선상으로 배치된 제 2 프레임(322)과, 상기 제 1 프레임(312) 내부에 위치하는 레일 형식의 제 2 컨베이어(324), 및 상기 제 2 컨베이어(324)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 2 컨베이어(324)를 회전시키는 제 2 컨베이어 축(326)으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오븐은 송풍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수단(400)은 열발생수단(20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100)의 음식물 이동 통로(122)로 순환시키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송풍기라면 어떠한 송풍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된 송풍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송풍수단(400)은 제 1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제 1 하우징(110)에 잔류하는 가열된 공기를 제 2 하우징(120)에 강제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음식물 이동 통로(122)로 삽입된 음식물에 간접 열을 원활히 공급하여 음식물의 조리속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오븐은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열발생수단(200), 송풍수단(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열발생수단(200), 송풍수단(40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조리실 내부의 온도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제 1 하우징(110)에 설치된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최초 조리자가 설정한 속도에 맞춰 각 컨베이어가 제 2 하우징(120)의 음식물 이동 통로(122)를 통과하도록 구동시킴으로써 컨베이어 위에 거치된 음식물 조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예컨대, 제어부는 조작부(112)를 통해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에 연결된 제 1 구동모터 및 제 2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제 1 구동모터에 연결된 제 1 음식거치부(310)의 컨베이어 축을 회전시키고, 제 2 구동모터에 연결된 제 2 음식거치부(320)의 컨베이어 축을 회전시킨다.
이때, 조작부(112)에 제 1 구동모터와 제 2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설정하는 메뉴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 1 구동모터와 제 2 구동모터는 설정된 속도로 회전하여 제 1 음식거치부(310)와 제 2 음식거치부(320)를 통해 이동되는 음식물의 이동속도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제 1 음식거치부(310)을 통해 조리되는 음식물이 제 2 하우징(120)의 음식물 이동 통로(122)를 5분 동안 통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제 2 음식거치부(320)을 통해 조리되는 음식물이 제 2 하우징(120)의 음식물 이동 통로(122)를 10분 동안 통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컨베이어 하우징(100)은 동일한 종류의 음식물만 조리할 수 있었지만, 본 발명은 각 음식거치부(300)마다 음식물에 대한 조리 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물을 한 번에 조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제 1 하우징
120 : 제 2 하우징 122 : 음식물 이동 통로
132 : 제 1 열풍공급판 134 : 제 2 열풍공급판
140 : 열풍 제어판 150 : 안착돌기
160 : 히터 172 : 열풍 분배판
173 : 열풍 유로 174 : 밸브
176 : 열풍 유로 분획판 200 : 열발생수단
300 : 음식거치부 310 : 제 1 음식거치부
312 : 제 1 프레임 314 : 제 1 컨베이어
316 : 제 1 컨베이어 축 320 : 제 2 음식거치부
322 : 제 2 프레임 324 : 제 2 컨베이어
326 : 제 2 컨베이어 축 400 : 송풍수단

Claims (9)

  1. 전후로 음식물 이동 통로가 개설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열기를 생성하는 열발생수단;
    상기 음식물 이동 통로의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무한궤도 운동을 하면서 음식물을 이동시키며 2열로 설치된 음식거치부;
    상기 열발생수단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통로로 이동시키는 송풍수단; 및
    상기 열발생수단, 송풍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열발생수단, 송풍수단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조리실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열발생수단 및 송풍수단이 설치된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과 연결되어 음식물이 통과할 수 있는 전후로 음식물 이동 통로가 개설되며, 상기 제 1 하우징으로부터 열풍을 제공받아 상기 음식물 이동 통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 1 하우징과의 사이에 통공이 형성된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를 분획하도록 제 2 하우징의 통공과 음식물 이동 통로 사이에 구비되고 음식거치부와 대응되도록 2열로 복수개의 열풍 유로가 형성된 열풍 분배판, 및 상기 열풍 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열풍 유로를 통한 열풍의 이동을 제어하는 밸브로 구성된 열풍유동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 컨베이어 오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거치부는
    틀 역할을 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레일 형식의 제 1 컨베이어, 및 상기 제 1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 1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제 1 컨베이어 축으로 구성된 제 1 음식거치부, 및
    상기 제 1 프레임과 측면에 동일 수평선상으로 배치된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레일 형식의 제 2 컨베이어, 및 상기 제 2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 2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제 2 컨베이어 축으로 구성된 제 2 음식거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 컨베이어 오븐.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유동 제어수단은
    서로 인접한 열풍 유로를 분획시킬 수 있도록 음식물 이동 통로에 마주보는 열풍 분배판에 열풍 유로 분획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 컨베이어 오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일단이 2열로 설치된 음식거치부를 분획시키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2열로 형성된 열풍 유로를 분획시키기 위해 상기 열풍 분배판에 연결되는 2열 분획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 컨베이어 오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이동 통로를 통과하는 음식물의 전면에 균일한 열풍을 공급하도록 상기 음식물 이동 통로의 상부, 하부, 또는 이들 모두에 설치되며,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열풍공급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 컨베이어 오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이동 통로에 마주보는 열풍공급판의 측면에 접촉되며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열풍 제어판,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열풍 제어판의 안착공간을 제공하도록 제 2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하우징의 내부 양 측면에 형성된 안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 컨베이어 오븐.

KR1020130094538A 2013-08-09 2013-08-09 2열 컨베이어가 설치된 컨베이어 오븐 KR101355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538A KR101355907B1 (ko) 2013-08-09 2013-08-09 2열 컨베이어가 설치된 컨베이어 오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538A KR101355907B1 (ko) 2013-08-09 2013-08-09 2열 컨베이어가 설치된 컨베이어 오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5907B1 true KR101355907B1 (ko) 2014-01-29

Family

ID=5014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538A KR101355907B1 (ko) 2013-08-09 2013-08-09 2열 컨베이어가 설치된 컨베이어 오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9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427B1 (ko) * 2017-02-13 2018-10-22 주식회사 협진기계 스파이럴 오븐기용 세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9934B2 (en) 2001-03-22 2003-04-01 Zesto Food Equipment Manufacturing Inc. Multiconveyor convection oven
JP2003526066A (ja) 1999-08-04 2003-09-02 ザ フライマスター コーポレイション 高速可変サイズ・トースタ
US7340992B1 (en) * 2005-01-27 2008-03-11 Wolfe Electric, Inc. Dual belt conveyor oven
KR101280192B1 (ko) 2010-11-23 2013-06-28 전경표 이송 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6066A (ja) 1999-08-04 2003-09-02 ザ フライマスター コーポレイション 高速可変サイズ・トースタ
US6539934B2 (en) 2001-03-22 2003-04-01 Zesto Food Equipment Manufacturing Inc. Multiconveyor convection oven
US7340992B1 (en) * 2005-01-27 2008-03-11 Wolfe Electric, Inc. Dual belt conveyor oven
KR101280192B1 (ko) 2010-11-23 2013-06-28 전경표 이송 구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427B1 (ko) * 2017-02-13 2018-10-22 주식회사 협진기계 스파이럴 오븐기용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2630B2 (ja) 自動焼き機、食品の群を自動で焼く方法および自動焼きシステム
CA2834138C (en) Gas oven range
US20160330801A1 (en) Heat cooker
KR20140129198A (ko) 컨베이어 오븐
KR101464495B1 (ko) 바베큐 장치
EP3421893B1 (en) Cooking applian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cooking appliance
KR20160107946A (ko) 조리기기
KR101355907B1 (ko) 2열 컨베이어가 설치된 컨베이어 오븐
US11125447B2 (en) Cooking apparatus
US10302309B2 (en) Oven appliance having a broiler assembly
US10571131B2 (en) Oven appliance having a convection assembly
KR200443519Y1 (ko) 훈열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
KR100796321B1 (ko) 구이 장치
KR20050079522A (ko) 전기오븐레인지
US20110186036A1 (en) Cooking Appliance
US463073A (en) Cooking apparatus
KR20100013997A (ko) 오븐레인지
WO2020244529A1 (zh) 具有组合的辐射炙烤与对流炙烤的烤箱设备
KR102212157B1 (ko) 다목적 삼단 화덕
JP5925818B2 (ja) 加熱調理器
KR101719820B1 (ko) 가스 조리기기
CN217978936U (zh) 电气两用的组合灶具
CN219147375U (zh) 一种多功能烤炉
US9897323B2 (en) Gas oven
KR101175734B1 (ko)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