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383B1 -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383B1
KR101490383B1 KR20130125829A KR20130125829A KR101490383B1 KR 101490383 B1 KR101490383 B1 KR 101490383B1 KR 20130125829 A KR20130125829 A KR 20130125829A KR 20130125829 A KR20130125829 A KR 20130125829A KR 101490383 B1 KR101490383 B1 KR 101490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meat
firebox
hous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원
Priority to KR20130125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3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 구이장치는 고기에서 발생되는 기름, 양념, 육즙 등이 열원으로 떨어지지 않게 하여 발암물질 및 연기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동시에, 구이재료를 단시간에 빨리 구워 구이재료의 맛과 향을 좋게 하면서 영양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숯불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이장치{A roaster}
본 발명은 예컨대 숯불과 같은 열원으로 고기를 굽는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재료에서 발생되는 기름, 양념, 육즙 등이 열원으로 떨어지지 않게 하여 발암물질 및 연기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동시에, 구이재료를 단시간에 빨리 구워 구이재료의 맛과 향을 좋게 하면서 영양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숯불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불에 의해 육류를 조리할 경우에는 냄새의 발생이 적고 숯의 독특한 작용에 의해 육질이 우수하게 나타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 이와 같은 숯불구이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부 내측에는 구이실(11)이 구비되고, 상기 구이실(11)의 전면 측에는 도어(11a)가 개폐 가능케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 양측에는 닭고기, 돼지고기, 쇠고기 등의 육류로 이루어지는 피조리물이 고정된 꽂이대(12)를 안착시키는 안착구(13)가 설치되며, 상기 꽂이대(12)는 별도의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하측에는 조리되는 육류에서 낙하된 기름 등의 이물질들을 저장하기 위한 기름받이통(14)이 안착된다.
상기 구이실(11)의 배면 측에는 내부에 숯불이 저장된 숯불 저장실(15)과, 상기 숯불 저장실(15)에서 배출된 재 등을 저장하는 재받이통(16)이 상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이실(11)의 하측에는 송풍기(1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기(17)에서 발생된 바람은 송풍통로(18)를 통하여 숯불 저장실(15)로 유입된 후 구이실(11)로 공급되도록 하여 피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이장치는 송풍에 의하여 재등이 날리어서 구이실의 육류들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생된 연기의 배출이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는데, 연기가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게 됨으로써 연기중에 포함되는 숯불재등의 분진으로 인하여 외부공기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생된 가스 및 연기의 배출이 외부로 잘 배출되어야 하는데, 가스 및 연기가 구이실에 정체되어 있으므 로인해 인체에 해로운 물질(암유발물질)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워진 육류를 섭취하는 동안 다량 구워진 육류를 보온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설비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제20-03488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고기를 굽는 동안 고기로부터 낙하되는 기름이 열원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동시에 감자,고구마와 같은 식품을 육류 구이와 함께 구울 수 있도록 한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숯불과 같은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재와 같은 분진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입휀을 사용하여 강제로 열을 구이실로부터 배출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재 등으로 인하여 구이실의 육류들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이실에 정체되어 있는 가스 및 연기등으로 인하여 인체에 해로운 영향(암유발 물질)을 제거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구이장치는 상부에 연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정면부에 개폐가능한 도어가 형성된 밀폐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되는 열원으로서의 화통과,
상기 화통의 측면측에 마련되며 굽고자하는 고기들이 수용되는 그릴과,
상기 화통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그릴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그릴안착대와,
상기 화통의 상부측에 마련되고 구이식품이 수용되며 외측면에 상기 그릴의 상단부가 지지되는 지지대가 형성된 구이통과,
상기 구이통 상부에 마련되며 구워진 고기를 저장하는 저장통과,
상기 그릴 및 화통의 측면측에 위치되고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며 고기가 꽂아지는 회전봉과,
상기 그릴 및 회전봉의 고기로부터 낙하되는 고기 기름들을 안내하는 기름트레이와,
상기 기름트레이로부터 낙하되는 기름받이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봉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봉과 연통되는 나사공이 형성된 한쌍의 이동블럭과, 상기 각 이동블럭에 각 일단이 고정되고 각 타단에 상기 고기에 꽂아지는 한쌍의 꽂이봉과, 상기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이동블럭을 상기 회전봉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구이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마련되고 유체가 저장되며 상면부에 출구가 형성된 저장조와, 일단이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저장조 유체에 잠기는 배기통과, 상기 배출구에 마련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어 상기 하우징내의 연기를 흡입시키는 흡입휀을 구비하여서,
상기 하우징내의 연기중에 포함되는 재와 같은 분진 및 냄새가 상기 유체에 흡수된 후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릴안착대는 상기 그릴의 일측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기 그릴로부터의 기름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유공이 형성된 바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투명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그릴이 출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서,
상기 그릴내의 고기가 익혀진 상태를 상기 투명 도어를 통하여 알 수 있게 하고,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그릴를 취출해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통의 측면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가 형성되어서, 상기 화통의 열기에 의해 물이 증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통은 육면체형상이고, 상면부 및 정면부는 그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부에는 개폐가능한 덮개로 형성되며,
상기 화통이 이격되어 한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화통 사이에 상기 그릴이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첫째, 본 발명 실시예의 구이장치는 고기로부터 발생되는 기름, 양념, 육즙 등이 열원으로 떨어지지 않게 하여 발암물질 및 연기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킨다.
둘째, 본 발명 실시예의 구이장치는 화통(130)의 상부측에 구이통(170)을 구비함으로써 고기를 굽는 것과 함께 감자,고구마와 같은 식품을 구울 수 있도록 하고, 저장통(180)을 구이통(170)의 상부측에 위치시킴으로써 화통(130)에 의한 직화를 피하여 구워진 고기를 보온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한다.
세째, 하우징(100)의 상면부에 유체(198)가 저장된 저장조(19)를 경유하여 연기를 배출토록 함으로써, 고기를 구울때 발생되는 연기 및 재와 같은 분진이 배출구(1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때 냄새 및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주변환경오염을 방지시키도록 한다.
네째, 경사부(212)와 배유공(213a)을 갖는 그릴안착대(210)를 구비함으로써, 고기를 굽는동안 그릴(200)로부터 흘러내리는 기름들이 경사부(212)를 타고 흘러내려 배유공(213a)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여, 기름이 원할하게 배출되게 하고 그릴(200)을 하우징(100)으로부터 꺼낼때 기름이 낙하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섯째, 도어(120)는 투명으로 형성하고, 하우징(100)에 그릴(200)이 출입되는 삽입구(101)가 형성하여서, 그릴(200)내의 고기가 익혀진 상태를 투명 도어(120)를 통하여 외부에서 알 수 있게 하고, 삽입구(101)를 통하여 그릴(200)를 취출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120)를 열고 닫음에 따른 열손실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여섯째, 그릴(200)의 양측에 화통(130)을 구비함으로써, 고기를 단시간에 빨리 구워 구이재료의 맛과 향을 좋게 하면서 영양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일곱째, 회전봉에 한쌍의 이동블럭(141) 및 꽂이봉(142)을 구비함으로써, 회전봉의 회전시 고기의 헛돌음을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골고루 구워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구이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구이장치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도 2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 사진,
도 5는 도 2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도 7a는 도 6의 장치에 채용되는 그릴안착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b는 도 6의 그릴안착대에 그릴이 안착된 상태의 발췌도,
도 8은 본 발명 제3실시예의 구이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장치에 채용되는 화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고기 고정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구이장치는 고기를 굽는 동안 고기로부터 낙하되는 기름이 열원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여 연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동시에 감자,고구마와 같은 식품을 육류 구이와 함께 구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의 구이장치는 숯불과 같은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재와 같은 분진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가스,연기 및 재, 분진등이 구이실로부터 잘 배출하도록 하여 인체에 해로운 물질(암유발물질)등이 고기에 묻어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구이장치를 나타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상부에 연기 배출구(110)가 형성되고 정면부에 개폐가능한 도어(120)가 형성된 밀폐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내에 수용되는 열원으로서의 화통(130)과, 상기 화통(130)의 측면측에 마련되며 굽고자하는 고기들이 수용되는 그릴(200)과, 상기 화통(130)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그릴(200)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그릴안착대(210)와, 상기 화통(130)의 상부측에 마련되고 고구마, 감자와 같은 구이식품이 수용되며 외측면에 상기 그릴(200)의 상단부가 지지되는 지지대(171)가 형성된 구이통(170)과, 상기 구이통(170) 상부에 마련되며 구워진 고기를 저장하는 저장통(180)과, 상기 그릴(200) 및 화통(130)의 측면측에 위치되고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며 고기(300)가 꽂아지는 회전봉(140)과, 상기 그릴(200) 및 회전봉(140)의 고기로부터 낙하되는 고기 기름들을 안내하는 기름트레이(150)와, 상기 기름트레이(150)로부터 낙하되는 기름을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 바닥에 마련되는 기름받이(155)를 구비한다.
참조번호 101은 슬릿으로서, 도어(12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회전봉(140)을 간편하게 결합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구이장치는 그릴(200)내의 고기 및 회전봉(140)에 꽂아진 고기(300)를 굽는 동안 고기로부터 낙하되는 기름이 화통(130)으로 낙하되지 않고 기름트레이(150)를 통하여 기름받이(155)에 수집되게 되므로 기름의 연소에 따른 연기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화통(130)의 상부측에 구이통(170)을 구비함으로써 고기를 굽는 것과 함께 감자,고구마와 같은 식품을 구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장통(180)을 구이통(170)의 상부측에 위치시킴으로써, 화통(130)에 의한 직화를 피하여 구워진 고기를 보온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140)은 체인(미도시) 및 모터(미도시)에 의해서 회전구동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화통(130)의 측면에는 물(135)이 저장되는 저수조(131)가 형성되어서, 상기 화통(130)의 열기에 의해 물(135)이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구워지는 고기의 육즙 손실을 줄이고 연하게 하며 하우징(100)내의 냄새 및 재와 같은 분진을 흡수하여 배출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120)는 투명으로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00)에 상기 그릴(200)이 출입되는 삽입구(101)가 형성하여서, 상기 그릴(200)내의 고기가 익혀진 상태를 상기 투명 도어(120)를 통하여 알 수 있게 하고, 상기 삽입구(101)를 통하여 상기 그릴(200)를 취출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120)를 열고 닫음에 따른 열손실을 줄일 수 있게 하였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봉(140)에 꽂아진 고기(300)가 회전봉(140)이 회전될때 헛돌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기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 고정수단은 상기 회전봉(14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봉(140)과 연통되는 나사공(141a)이 형성된 한쌍의 이동블럭(141)과, 상기 각 이동블럭(141)에 각 일단이 고정되고 각 타단에 상기 고기(300)에 꽂아지는 한쌍의 꽂이봉(142)과, 상기 나사공(141a)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이동블럭(141)을 상기 회전봉(140)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4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회전봉(140)을 회전시킬때 고기(300)가 꽂이봉(142)에 꽂아진 상태로 회전봉(140)과 함께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서 회전봉의 회전시 고기의 헛돌음을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골고루 구워질 수 있도록 한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 6을 참조하면, 이는 고기를 구울때 발생되는 연기 및 재와 같은 분진이 배출구(1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때 냄새 및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주변환경오염을 방지시키도록 한다.
이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부호 및 동일구성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구이장치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에 마련되고 유체(198)가 저장되며 상면부에 출구(191)가 형성된 저장조(190)와, 일단이 상기 배출구(11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저장조(190)의 유체(198)에 잠기는 배기통(195)과, 상기 배출구(110)에 마련되며 모터(196)의 동력으로 회전되어 상기 하우징(100)내의 연기를 흡입시키는 흡입휀(197)을 구비하여서, 상기 하우징(100)내의 연기중에 포함되는 재와 같은 분진 및 냄새가 상기 유체(198)에 흡수된 후 상기 출구(197)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1,2실시예에서 상기 그릴안착대(210)는 상기 그릴(200)의 일측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211)와, 상기 지지부(211)로부터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212)와, 상기 경사부(212)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기 그릴(200)로부터의 기름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유공(213a)이 형성된 바닥부(21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그릴안착대(210)는 고기를 굽는동안 그릴(200)로부터 흘러내리는 기름들이 경사부(212)를 타고 흘러내려 배유공(213a)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기름이 원할하게 배출되게 하고 그릴(200)을 하우징(100)으로부터 꺼낼때 기름이 낙하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 구이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는 상기 화통(130)은 육면체형상이고, 상면부 및 정면부는 그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부에는 개폐가능한 덮개(132)로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00)내에 상기 화통(130)이 좌우로 이격되어 한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화통(130) 사이에 상기 그릴(200)이 위치된다.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구성 및 동일부호에 대하여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구이장치는 그릴(200)의 양측에 화통(130)들이 위치됨으로써, 고기가 구워지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게 하여 고기의 맛과 향을 좋게 하면서 영양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100...하우징 110...배출구
120...도어 130...화통
140...회전봉 150...기름트레이
170...구이통 180...저장통
190...저장조

Claims (7)

  1. 상부에 연기 배출구(110)가 형성되고 정면부에 개폐가능한 도어(120)가 형성된 밀폐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내에 수용되는 열원으로서의 화통(130)과,
    상기 화통(130)의 측면측에 마련되며 굽고자하는 고기들이 수용되는 그릴(200)과,
    상기 화통(130)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그릴(200)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그릴안착대(210)와,
    상기 화통(130)의 상부측에 마련되고 구이식품이 수용되며 외측면에 상기 그릴(200)의 상단부가 지지되는 지지대(171)가 형성된 구이통(170)과,
    상기 구이통(170) 상부에 마련되며 구워진 고기를 저장하는 저장통(180)과,
    상기 그릴(200) 및 화통(130)의 측면측에 위치되고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며 고기(300)가 꽂아지는 회전봉(140)과,
    상기 그릴(200) 및 회전봉(140)의 고기로부터 낙하되는 고기 기름들을 안내하는 기름트레이(150)와,
    상기 기름트레이(150)로부터 낙하되는 기름을 수용하는 기름받이(155)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봉(14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봉(140)과 연통되는 나사공(141a)이 형성된 한쌍의 이동블럭(141)과, 상기 각 이동블럭(141)에 각 일단이 고정되고 각 타단에 상기 고기(300)에 꽂아지는 한쌍의 꽂이봉(142)과, 상기 나사공(141a)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이동블럭(141)을 상기 회전봉(140)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43)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에 마련되고 유체(198)가 저장되며 상면부에 출구(191)가 형성된 저장조(190)와, 일단이 상기 배출구(11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저장조(190)의 유체(198)에 잠기는 배기통(195)과, 상기 배출구(110)에 마련되며 모터(196)의 동력으로 회전되어 상기 하우징(100)내의 연기를 흡입시키는 흡입휀(197)을 구비하여서,
    상기 하우징(100)내의 연기중에 포함되는 재와 같은 분진 및 냄새가 상기 유체(198)에 흡수된 후 상기 출구(191)를 통해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안착대(210)는 상기 그릴(200)의 일측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211)와, 상기 지지부(211)로부터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212)와, 상기 경사부(212)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기 그릴(200)로부터의 기름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유공(213a)이 형성된 바닥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20)는 투명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에 상기 그릴(200)이 출입되는 삽입구(101)가 형성되어서,
    상기 그릴(200)내의 고기가 익혀진 상태를 상기 투명 도어(120)를 통하여 알 수 있게 하고, 상기 삽입구(101)를 통하여 상기 그릴(200)를 취출해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통(130)의 측면에는 물(135)이 저장되는 저수조(131)가 형성되어서, 상기 화통(130)의 열기에 의해 물(135)이 증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통(130)은 육면체형상이고, 상면부 및 정면부는 그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부에는 개폐가능한 덮개(132)로 형성되며,
    상기 화통(130)이 이격되어 한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화통(130) 사이에 상기 그릴(200)이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7. 삭제
KR20130125829A 2013-10-22 2013-10-22 구이장치 KR101490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829A KR101490383B1 (ko) 2013-10-22 2013-10-22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829A KR101490383B1 (ko) 2013-10-22 2013-10-22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383B1 true KR101490383B1 (ko) 2015-02-05

Family

ID=52590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5829A KR101490383B1 (ko) 2013-10-22 2013-10-22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3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380A (ko) * 2007-07-23 2009-01-30 김홍영 매연발생이 없는 바비큐 구이장치
KR20120114938A (ko) * 2011-04-08 2012-10-17 비젼테크 주식회사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380A (ko) * 2007-07-23 2009-01-30 김홍영 매연발생이 없는 바비큐 구이장치
KR20120114938A (ko) * 2011-04-08 2012-10-17 비젼테크 주식회사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1759B2 (en) Indoor barbecue
KR101121242B1 (ko) 숯불구이기
KR20100074539A (ko) 참숯 가마 형 오리 구이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리방법
KR101710701B1 (ko) 바비큐 그릴 장치
KR101042079B1 (ko) 숯불 고기구이기
KR101269786B1 (ko) 숯불구이기
KR101300863B1 (ko) 숯불 구이기
KR100821465B1 (ko) 훈제구이를 갖는 직화구이기
KR100719475B1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
KR101055065B1 (ko) 간접 가열 방식의 휴대용 바비큐 기기
KR20110099464A (ko) 고기훈제기
US20120260809A1 (en) Rotisserie Grill
KR101490383B1 (ko) 구이장치
KR20090123343A (ko) 바베큐장치
KR200405147Y1 (ko) 다단 회전식 바베큐 장치.
KR20070000744U (ko) 다용도 불고기 구이장치
US20130139706A1 (en) Mobile smoker oven
KR100459268B1 (ko) 숯불 바베큐장치
KR20110096469A (ko) 친환경 고기 구이기
KR20080006045U (ko) 훈제 바베큐 제조장치
KR20050118089A (ko) 회전식 숯불구이기
KR200434509Y1 (ko) 야외용 고기구이기
KR101985539B1 (ko) 훈제 바베큐 장치
CN108937631A (zh) 一种烧烤架
KR102412424B1 (ko) 다기능 웰빙 무연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