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675B1 -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675B1
KR101414675B1 KR1020130022142A KR20130022142A KR101414675B1 KR 101414675 B1 KR101414675 B1 KR 101414675B1 KR 1020130022142 A KR1020130022142 A KR 1020130022142A KR 20130022142 A KR20130022142 A KR 20130022142A KR 101414675 B1 KR101414675 B1 KR 101414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moke
discharging
separat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디비에프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디비에프엔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디비에프엔비
Priority to KR1020130022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구이장치에서 음식물의 구이시에 발생하는 기름이 포함된 연기에서 기름과 연기를 원활하게 분리 배출할 수 있는 하향식 배기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음식물이 조리되는 구이부; 상기 구이부에서 발생된 기름연기를 하향으로 이동시키는 하향식 환풍 통로부; 상기 하향식 환풍 통로부를 통하여 이동된 기름연기가 기름과 연기로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배기통로를 가지는 기름연기 분리 배출부를 포함하는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배기 시스템을 사용하면, 배기시스템에 눌어붙는 기름 때 등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위생적인 조리환경의 구축이 가능하고, 배출관 내부에 기름때, 먼지 등이 형성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배기(환기)효율의 저하문제 및 배기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DOWNWARD TYPE VENTILATION SYSTEM OF ROASTER APPARATUS}
본 발명은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이요리시 발생되는 연기에서 기름을 분리 배출하여 위생적인 조리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탈식의 구성을 통하여 청소 및 관리의 편의성이 현저히 증대된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대중의 다양한 미각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음식물에 대한 다양한 조리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그 중의 하나로 고기나 야채 등을 구워서 조리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숯불구이에서 발전하여 최근에는 이를 응용하여 즉석에서 각종고기나 야채, 어묵, 등을 꼬치구이 형태로 제공하는 외식업이 성업 중에 있다.
이러한 구이요리의 경우 구이장치(구이기)를 사용하여 특히 지방이 포함된 고기를 조리하는 경우 기름이 포함된 연기(기름연기)가 매우 많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이의 위생적이고 신속한 처리방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는 구이기 상부에 후드를 설치하여 기름연기를 흡입하여 상부로 배출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는 구이기 위쪽의 후드가 연기와 기름을 빨아들여 매장의 천장에 연결된 배기구로 빠져 나가는 시스템을 사용한다.
고기 꼬치 등을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는 기름을 동반하고 있으며, 후드로 흡수된 이 연기와 기름은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겪는데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기름이 꼬치구이 요리가 행해지는 후드와 배기구 사이의 배관에 머무르며 남게 된다. 배관에 잔류하는 기름은 그대로 시간이 지나게 되면 굳어 배관에 들러붙거나 심하면 요리되는 꼬치구이 등에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구이기의 사용기간이 단축되며 환풍 효율 또한 저하될 수밖에 없다. 또한 외식업의 특성상 매장에 이러한 기름때가 있는 배관 등이 노출되거나 기름연기가 배출되지 않고 매장 안에 머무르는 경우, 다양한 문제가 야기된다. 구체적으로 식사환경이 열악해지고, 가게의 위생도를 저하시키며 이는 전반적인 매장 이미지 하락이라는 결과를 불러올 수 있다.
기존의 구이기 배기시스템은 특히 연기에 포함된 기름을 제거하는 점에서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즉, 단순히 발생된 기름연기를 신속히 배출하기 위하여 고용량의 환풍기를 사용하거나 집진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 경우도 배관 등의 배기 시스템에 잔류하는 기름때 등을 제거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기름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고정식으로 설비된 구이기의 후드설비를 뜯어내고 그 내부를 청소하여야 하는데, 이는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영업을 일시적으로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기름과 연기를 원활하게 분리하여 기름과 연기를 분리 배출하는 배기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리상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구이기의 배기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21915호(2008.3.10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7836호(2012.02.29 공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239187호(2001.10.11일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이장치에서 음식물의 구이시에 발생하는 기름이 포함된 연기에서 기름과 연기를 원활하게 분리 배출하여 위생적인 조리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관리 및 청소의 편의성이 향상된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구이부; 상기 구이부에서 발생된 기름연기를 하향으로 이동시키는 하향식 환풍 통로부; 상기 하향식 환풍 통로부를 통하여 이동된 기름연기가 기름과 연기로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배기통로를 가지는 기름연기 분리 배출부를 포함하는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을 사용하면, 구이요리 중에 발생하는 기름이 포함된 연기에서 기름을 분리하여 별도의 배출구로 배출시키고 연기는 환풍장치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배기시스템에 눌어붙는 기름 때 등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위생적인 조리환경의 구축이 가능하고, 배출관 내부에 기름때, 먼지 등이 형성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배기(환기)효율의 저하문제 및 배기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이기 부분과 배기 장치 부분이 고정적으로 설비되는 것이 아니라, 착탈식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배기시스템의 관리 및 청소가 현저히 편리해진다.
나아가, 위생적인 조리환경이 구축됨으로써 수요자에게 쾌적하고 위생적인 매장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본 시스템을 도입하는 음석점의 매출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약칭해서는 '하향식 배기시스템'이라 한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하향식 배기시스템은 음식물이 조리되는 구이부(100)와 상기 구이부에서 발생된 기름연기를 하향으로 이동시키는 하향식 환풍 통로부(200) 그리고, 상기 하향식 환풍 통로부를 통하여 이동된 기름연기가 기름과 연기로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배기통로를 가지는 기름연기 분리 배출부(300)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배기시스템은 음식물이 조리되는 구이부(100)을 포함한다.
상기 구이부는 음식물이 거치되는 음식물 거치대(110)를 가진다. 이러한 음식물 거치대로는 음식물을 구울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예시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꼬치구이에 사용되는 망이나 석쇠 형태일 수 있으며, 판상일 수 있다. 그 재질은 철, 구리,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질 뿐만 아니라, 돌 등 광석물 재질일 수 있다. 즉 음식물이 구워지고 그에 따라 기름 연기가 발생될 수 있는 열을 전달하는 형태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구이부(100)는 상기 거치대(110)를 통하여 음식물에 열을 가하는 열원(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열원은 통상 가스를 분출하는 화구 형태로 구성되고, 도 1에서는 상기 구이부(100) 내부에 위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열원으로 사용되는 화구에 분출되는 가스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자동으로 불꽃(스파크)가 발생되지 않는 장치라면, 선택적으로 최초에 가스를 이용하여 화염을 발생시키기 위한 불꽃 발생기(122)와 상기 불꽃 발생기(122)를 삽입하여 불꽃을 제공할 수 있는 구멍인 불꽃발생기 삽입홀(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원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는 연료조절기(134)와 상기 연료가 이송되는 연료배관(132)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구이부(100)의 하단에는 서랍식의 이물질 수용용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거치대에서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각종 탄화물, 양념, 고기 부스러기 등의 낙하물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음식물 조리시 상기 서랍식 이물질 수용용기(140)에 식수로 사용될 수 있는 청정한 식수를 넣어두면, 물이 증발하여 조리되는 음식물에 공급되어 구이 요리시에 음식물이 딱딱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부드러운 육질의 꼬치구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서랍식으로 구성되어 이 낙하하는 이물질을 편리하게 외부로 배출하고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길게 형성된 구이부를 사용하는 경우 두 개 이상으로 나누어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배기시스템은 하향식 환풍 통로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하향식 환풍 통로부(200)는 상기 구이부(100)에서 발생된 기름연기를 상부가 아닌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꼬치구이 장치에서 배기 시스템은 연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에 후드를 설치하고 윗 방향으로 기름연기를 배출시키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연기는 신속하게 빠져나갈 수 있으나 기름연기에 포함된 기름 성분은 후드 상으로 지속적으로 낙하하여 거치대 상에 위치하는 후드에 눌어붙거나 심한 경우 조리되는 음식물에 낙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름때가 접착제 역할을 하여 다량의 먼지 등이 달라붙게 되어 매우 비위생적이 되고, 관리 및 청소가 불편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기름연기를 흡입하는 흡입구(212)가 형성된 거치대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후드(210)와 이러한 환풍 통로부에서 기름연기가 상기 음식물이 조리되는 거치대(110) 상에 가능한 최소한도로 머무르도록 상기 구이부 후면으로 절곡된 하향 환풍 통로(220)를 가진다.
즉, 거치대(110)의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기름연기를 흡입하기 위해서 필요한 상부 후드(210)만이 거치대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 후드(210)를 통하여 기름연기가 추가적으로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막고 즉시 하부로 이동할 있도록 아래쪽으로 연장된 하향 환풍 통로(220)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하향 환풍 통로(2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후드(210)의 양측에 연결되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기름연기 분리 배출부(300)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둥 형상으로 상기 하향 환풍 통로(220)를 구성하면 상기 상부 후드(210)에 비하여 기름연기의 이동경로의 단면적이 좁아져 유속이 빨라지고 따라서 기름이 포함된 비교적 무거운 상태의 연기라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하향식 환풍 통로부(200)의 상기 한 쌍의 기둥형 하향 환풍 통로(220) 사이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에서 조리되는 음식의 조리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윈도우(230)을 설치할 수 있다. 외부에서 음식을 조리과정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점의 집객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하향 환풍 통로(220)의 외부에는 조명장치(240)를 더 설치함으로써, 상기 윈도우(230)를 통하여 행인 등에게 보여지는 음식물이 모다 먹음직스럽게 보여지도록 연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하향 방향으로의 기름연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별도의 환풍기를 통하여 기름연기를 빨아들이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배기시스템은 기름연기 분리 배출부(300)을 포함한다.
상기 기름연기 분리 배출부(300)는 상기 하향식 환풍 통로부(200)를 통하여 이동된 기름연기가 기름과 연기로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배기통로(310)를 가진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통로(310)는 상기 기름연기에서 분리된 기름이 일측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경사진 하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통로(310)에는 상기 일측으로 수집된 기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기름 배출관(330)과 상기 기름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배출밸브(33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향식의 배기 과정에서 기름 성분은 자연스럽게 바닥으로 낙하하고, 낙하된 기름은 경사면을 따라 일측으로 고이게 된다. 이와 같이 일측에 고인 기름은 상기 기름 배출관(33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기름성분이 제거된 연기는 외부로 배출되는 데, 상기 기름연기 배출부(300)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된 연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 홀 형상의 배기관 연결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는 외부에 설치된 환풍기에 의하여 기름연기(또는 연기)가 빨아들여질 수 있는 배기관이 연결된다.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각 역할에 맞게 공지된 적당한 재질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와 관련되는 것으로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한 스테인리스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향식 환풍 통로부(200) 및 상기 기름연기 분리 배출부(300)가 상기 구이부(100)에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하향식 환풍 통로부(200)에서 상기 상부 후드(210)와 상기 하향 환풍 통로(220)도 분리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이장치에 설치되는 배기 시스템은 천장이나 벽 등에 고정적으로 일체로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각 구성요소 들이 용이하게 분리가능하도록, 돌기와 홈, 리벳, 볼트나 너트, 나사, 끼워맞춤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각 구성부분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청소 및 관리를 할 수 있으므로, 그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구이부 110 : 거치대
120 : 불꽃 발생기 삽입홀 122 : 불꽃 발생기
132 : 연료배관 134 : 연료조절기
140 : 서랍식 이물질 수용용기 200 : 하향식 환풍 통로부
210 : 상부 후드 212 : 흡입구
220 : 하향 환풍 통로 230 : 윈도우
240 : 조명장치 300 : 기름연기 분리 배출부
310 : 배기통로 320 : 배기관 연결부
330 : 기름 배출관 332 : 기름 배출 밸브

Claims (7)

  1. 음식물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음식물이 조리되는 구이부;
    상기 구이부에서 발생된 기름연기를 하향으로 이동시키는 하향식 환풍 통로부; 및
    상기 하향식 환풍 통로부를 통하여 이동된 기름연기가 기름과 연기로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배기통로를 가지는 기름연기 분리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통로가 상기 기름연기에서 분리된 기름이 일측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경사진 하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식 환풍 통로부가
    기름연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상부후드; 및
    상기 상부후드를 통하여 흡입된 기름연기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하향 환풍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식 환풍 통로부가
    상기 거치대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 및
    상기 하향 환풍 통로의 외부에 형성된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연기 분리 배출부는 흡입된 연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기관 연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통로가
    상기 일측으로 수집된 기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기름 배출관; 및
    상기 기름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배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 통로부 및 상기 기름연기 분리 배출부가 상기 구이부에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
KR1020130022142A 2013-02-28 2013-02-28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 KR101414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142A KR101414675B1 (ko) 2013-02-28 2013-02-28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142A KR101414675B1 (ko) 2013-02-28 2013-02-28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4675B1 true KR101414675B1 (ko) 2014-08-07

Family

ID=51748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142A KR101414675B1 (ko) 2013-02-28 2013-02-28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6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820B1 (ko) * 2020-08-21 2021-09-28 김문수 하향 배기식 로스터
KR102574934B1 (ko) * 2023-02-09 2023-09-06 주식회사 에코위더스 부침 조리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508Y1 (ko) * 2004-08-10 2004-11-12 김현동 고기구이기의 제연 정화장치
KR20070035247A (ko) * 2005-09-27 2007-03-30 안화일 원적외선 구이기
KR100870582B1 (ko) 2007-12-04 2008-11-27 박용호 참나무 장작 만능 구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508Y1 (ko) * 2004-08-10 2004-11-12 김현동 고기구이기의 제연 정화장치
KR20070035247A (ko) * 2005-09-27 2007-03-30 안화일 원적외선 구이기
KR100870582B1 (ko) 2007-12-04 2008-11-27 박용호 참나무 장작 만능 구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820B1 (ko) * 2020-08-21 2021-09-28 김문수 하향 배기식 로스터
KR102574934B1 (ko) * 2023-02-09 2023-09-06 주식회사 에코위더스 부침 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046B1 (ko) 열원을 이용한 직화구이의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US7002110B2 (en) Electric smokeless roaster
US20040187702A1 (en) Forced Venting Fry Utensil
US4436023A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and extracting smoke
KR101414675B1 (ko)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
KR101460243B1 (ko) 연기흡입 고기구이 장치
JP2012007873A (ja) 室内循環式空気浄化装置
KR101314265B1 (ko) 구이기용 공기 정화장치
KR200459644Y1 (ko) 육류 구이기
TW201825033A (zh) 具有可拋棄式集油托盤的烹飪烤架
KR20090086679A (ko) 직화구이 석쇠 및 이를 이용한 직화구이기
KR20070000744U (ko) 다용도 불고기 구이장치
KR200426034Y1 (ko) 구이용 식탁의 연기배출구
KR200439320Y1 (ko) 무연로스터
CN213189209U (zh) 一种集油嵌入式烤炉
CN210643758U (zh) 一种防止油水溢漏的无烟烧烤炉
KR102201076B1 (ko)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
KR101302447B1 (ko) 자동 연기 배출이 가능한 숯불용 구이틀
KR101331526B1 (ko) 숯불구이용 구이기
KR102640623B1 (ko) 연기흡입이 용이한 숯불구이 장치
KR20190009998A (ko) 흡입 유로를 구비한 전열식 조리기구
KR102082579B1 (ko) 직화구이용 로스터
CN210095527U (zh) 一种便于除烟的厨房用烧烤架装置
KR20090006431U (ko) 육류조리용 불판
CN208784510U (zh) 一种自助无烟烧烤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