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320Y1 - 무연로스터 - Google Patents

무연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320Y1
KR200439320Y1 KR2020060032374U KR20060032374U KR200439320Y1 KR 200439320 Y1 KR200439320 Y1 KR 200439320Y1 KR 2020060032374 U KR2020060032374 U KR 2020060032374U KR 20060032374 U KR20060032374 U KR 20060032374U KR 200439320 Y1 KR200439320 Y1 KR 200439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ipe
central suction
smoke
central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섭
Original Assignee
신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섭 filed Critical 신광섭
Priority to KR2020060032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3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3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를 중앙흡입관을 통해 흡입하여 계속 순환시키면서 중앙흡입관 내의 필터유닛으로 정화시킴으로써 연기가 실내로 방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구이대상물 내에 적절한 수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육질과 맛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무연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무연로스터는,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연기가 실내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무연로스터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 내에 거치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을 관통하여 상기 외통에 지지되는 중앙흡입관과, 상기 중앙흡입관에 끼워지고 상기 내통 내에 안착되는 숯통과, 상기 중앙흡입관에 끼워지고 상기 내통의 상측에 거치되는 구이용그릴과, 상기 중앙흡입관 내에 끼워지고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를 상기 중앙흡입관 내로 유도하며 연기가 상기 중앙흡입관을 관류하는 동안 연기 내에 포함된 불순물을 포집하는 필터유닛과, 상기 외통 내에 설치되고 흡인력을 발생시켜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가 상기 중앙흡입관을 통해 계속 순환되도록 하는 흡기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연로스터, 외통, 내통, 중앙흡입관, 숯통, 구이용그릴, 필터유닛, 흡기팬

Description

무연로스터{SMOKELESS ROAST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연로스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연로스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연로스터에 있어서, 필터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연로스터의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무연로스터
10 : 외통
11 : 제 1 지지구
13 : 제 1 단턱
15 : 제 1 공기유입공
20 : 내통
31 : 제 2 지지구
23 : 제 2 단턱
25a, 25b : 제 2 공기유동공
30 : 중앙흡입관
40 : 숯통
50 : 구이용그릴
60 : 필터유닛
61 : 중앙지지대
63 : 흡입유도갓
65 : 제 1 필터부재
67 : 제 2 필터부재
70 : 흡기팬
75 : 수조
본 고안은 무연로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를 중앙흡입관을 통해 흡입하여 계속 순환시키면서 중앙흡입관 내의 필터유닛으로 정화시킴으로써 연기가 실내로 방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구이대상물 내에 적절한 수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육질과 맛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무연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고기,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 고등어, 갈치와 같은 생선류, 대합과 같은 조개류, 새우와 같은 해산물 등(이하, '구이대상물'이라 한다)을 구워 조리하기 위해 로스터가 사용된다.
음식점과 같은 영업소에 사용되는 로스터의 경우에는 보통 탁자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로스터는 천정에 배열된 상태로 하부로 각각 연장되는 상부흡입관을 통해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를 강제흡입하여 외부로 일괄배출시킴으로써 연기가 실내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형태가 대부분이지만,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를 로스터의 상단 측면을 통해 로스터의 내부로 강제흡입하여 다시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연기가 실내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무연로스터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무연로스터의 경우에는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를 로스터의 상단 측면을 통해 로스터의 내부로 강제흡입한 후 효과적인 여과과정을 거치지 않고 다시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주변공기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부방향으로 배출되는 연기를 로스터의 상단 측면을 통해 전부 흡입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연기가 실내로 방출될 가능성이 높고 상부방향으로 배출되는 연기를 로스터의 상단 측면을 통해 전부 흡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대용량의 흡기팬이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를 계속적으로 흡입만 함에 따라 구이대상물에 함유된 수분도 연기와 함께 계속 배출되고, 그 결과 구이대상물이 수분부족에 의해 마름과 동시에 타게 되어 육질과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를 중앙흡입관을 통해 흡입하여 계속 순환시키면서 중앙흡입관 내의 필터유닛으로 정화시킴으로써 연기가 실내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무연로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정화공기가 구이대상물에 제공되도록 함과 동시에 정화공기내에 수분을 보충해 줌으로써 구이대상물 내에 적절한 수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육질과 맛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무연로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연기가 실내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무연로스터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 내에 거치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을 관통하여 상기 외통에 수직으로 지지되는 중앙흡입관과, 상기 중앙흡입관에 끼워지고 상기 내통 내에 안착되는 숯통과, 상기 중앙흡입관에 끼워지고 상기 내통의 상측에 거치되는 구이용그릴과, 상기 중앙흡입관 내에 끼워지고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를 상기 중앙흡입관 내로 유도하며 연기가 상기 중앙흡입관을 관류하는 동안 연기 내에 포함된 불순물을 포집하는 필터유닛과, 상기 외통 내에 설치되고 흡인력을 발생시켜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가 상기 중앙흡입관을 통해 계속 순환되도록 하는 흡기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로스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터유닛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 앙지지대와, 상기 중앙지지대의 상단에 고정되며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의 상승을 억제하여 상기 중앙흡입관 내로 유도하는 흡입유도갓과, 상기 중앙지지대 상에 소정간격을 두고 교호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중앙흡입관을 관류하는 연기로부터 불순물을 포집하는 제 1 및 제 2 필터부재와, 상기 중앙지지대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중앙흡입관에 밀착되어 상기 중앙흡입관으로부터 상기 필터유닛을 분리시킬 때 상기 중앙흡입관의 내벽에 흡착된 불순물을 긁어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불순물제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필터부재는 원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필터부재는 상기 제 1 필터부재보다 더 큰 직경의 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흡입관 내에 지그재그 형상의 공기유로를 형성한다.
본 고안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필터부재는 연기로부터 포집된 불순물이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중앙부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필터부재의 상측에는 기름받이홈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흡기팬의 전방에는 흡기팬의 임펠러의 하부가 잠겨지는 수조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조는 상기 외통으로부터 인출가능한 서랍으로 형성된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 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무연로스터(1)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무연로스터(1)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필터유닛(60)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무연로스터(1)는 소고기,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 고등어, 갈치와 같은 생선류, 대합과 같은 조개류, 새우와 같은 해산물 등을 구울 때 연기가 실내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는 외통(10)과, 외통(10) 내에 거치되는 내통(20)과, 내통(20)을 관통하여 외통(10)에 수직으로 지지되는 중앙흡입관(30)과, 중앙흡입관(30)에 끼워지고 내통(20) 내에 안착되는 숯통(40)과, 중앙흡입관(30)에 끼워지고 내통(20)의 상측에 거치되는 구이용그릴(50)과, 중앙흡입관(30) 내에 끼워지고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를 중앙흡입관(30) 내로 유도하며 연기가 중앙흡입관(30)을 관류하는 동안 연기 내에 포함된 불순물을 포집하는 필터유닛(60)과, 외통(10) 내에 설치되고 흡인력을 발생시켜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가 중앙흡입관(30)을 통해 계속 순환되도록 하는 흡기팬(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외통(10)은 본 고안에 따른 무연로스터(1)의 외부케이싱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에는 내통(20)을 지지함과 동시에 중앙흡입관(30)이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 1 지지구(11)가 구비되며, 상측에는 내통(20)이 안착되는 제 1 단턱(13)이 형성되며, 중앙 둘레에는 숯불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 1 공기유동공(15)이 형성된다.
전술한 외통(10) 내에는 내통(20)이 거치되는데, 이 내통(20)은 숯통(40)을 지지함과 동시에 구이용그릴(50)이 거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하부면 상에는 숯통(40)을 지지하는 제 2 지지구(21)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구이용그릴(50)이 안착되는 제 2 단턱(23)이 형성되며, 그 둘레에는 숯불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 또는 중앙흡입관(30)을 통해 관류되면서 필터유닛(60)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제 2 공기유동공(25a, 25b)이 형성된다.
전술한 외통(10)에는 중앙흡입관(30)이 내통(20)을 관통하여 지지되는데, 이 중앙흡입관(30)은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가 흡기팬(70)의 흡인력에 의해 흡입되는 관로임과 동시에 필터유닛(60)이 끼워져 고정되는 관로로서, 외통(10)의 제 1 지지구(11)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전술한 중앙흡입관(30)에는 숯통(40)이 끼워져 내통(20) 내에 안착되는데, 이 숯통(40)은 내부에 숯불이 수납되어 상부의 구이용그릴(50)로 열을 가하는 것으로, 그 중앙에는 중앙흡입관(30)에 끼워지기 위한 관통공(41)이 형성된다.
전술한 중앙흡입관(30)에는 또한 구이용그릴(50)이 끼워져 내통(20)의 상측에 거치되는데, 이 구이용그릴(50)은 실제 구이대상물이 놓여져 구워지는 부분으로서, 그 중앙에도 또한 중앙흡입관(30)에 끼워지기 위한 관통공(51)이 형성된다.
전술한 중앙흡입관(30) 내에는 필터유닛(60)이 끼워지는데, 이 필터유닛(60)은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를 중앙흡입관(30) 내로 유도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연기가 중앙흡입관(30)을 관류하는 동안 연기 내에 포함된 불순물을 포집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앙지지대(61)와, 중앙지지대(61)의 상단에 고정되며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의 상승을 억제하여 중앙흡입관(30) 내로 유도하는 흡입유도갓(63)과, 중앙지지대(61) 상에 소정간격을 두고 교호적으로 고정되며 중앙흡입관(30)을 관류하는 연기로부터 불순물을 포집하는 제 1 및 제 2 필터부재(65, 67)와, 중앙지지대(61)의 하단에 고정되며 중앙흡입관(30)에 밀착되어 중앙흡입관(30)으로부터 필터유닛(60)을 분리시킬 때 중앙흡입관(30)의 내벽에 흡착된 불순물을 긁어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불순물제거구(6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중앙지지대(61)의 상단에 고정되는 흡입유도갓(63)은 상부면은 편평하고 하부로 갈수록 볼록하게 형성됨에 따라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의 상승을 억제함과 동시에 중앙흡입관(30) 내로 유도하여 하향으로 흡입되도록 한다. 흡입유도갓(63)은 중앙지지대(61)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될 수도 있고, 나사결합 등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중앙지지대(61) 상의 제 1 필터부재(65)는 원판으로 형성되고 제 2 필터부재(67)는 제 1 필터부재(65)보다 더 큰 직경의 링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 1 및 제 2 필터부재(65, 67)가 중앙지지대(61) 상에 소정간격을 두고 교호적으로 고정될 경우 중앙흡입관(30) 내에 지그재그 형상의 공기유로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단면적의 차이로 인한 압력차에 의해 연기 내에 포함된 불순물이 제 1 및 제 2 필터부재(65 및 67)에 포집된다.
또한 불순물의 포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 1 필터부재(65)는 연기로부터 포집된 불순물이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중앙부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 2 필터부재(67)의 상측에는 기름받이홈(67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순물제거구(69)는 중앙흡입관(30)의 내벽에 밀착됨에 따라 중앙흡입관(30) 내에 필터유닛(60)이 고정되도록 할 뿐 아니라 중앙흡입관(30)으로부터 필터유닛(60)을 분리시킬 경우 중앙흡입관(30)의 내벽에 흡착된 불순물을 긁어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외통(10) 내에는 흡기팬(70)이 설치되는데, 이 흡기팬(70)은 흡인력을 발생시켜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가 중앙흡입관(30)을 통해 계속 순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모터와 모터축에 설치되는 임펠러(70a)로 구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통(10)의 소정위치 또는 본 고안에 따른 무연로스터(1)가 탁자와 일체로 형성될 경우 탁자의 소정위치에는 흡기팬(70)의 구동을 위한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흡기팬(70)의 전후에는 중앙흡입관(30)을 관류한 연기가 흡기팬(70)을 거쳐 다시 상향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덕트(71, 73)가 설치되고, 특히 흡기팬(70)의 전방에는 흡기팬(70)의 임펠러(70a)의 하부가 잠겨지는 수조(7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임펠러(70a)의 회전시마다 수조(75) 내의 물이 비산됨에 따라 중앙흡입관(30)을 관류하면서 필터유닛(60)에 의해 정화된 공기에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정화공기 내에 포함된 불순물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수조(75)는 그 내부의 물이 오염될 경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외통(10)으로부터 인출가능한 서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무연로스터(1)의 작동도가 도시되는데,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무연로스터(1)의 전체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외통(10) 내에 내통(20)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중앙흡입관(30)을 수직으로 결합한 후, 숯불이 수납된 숯통(40)을 중앙흡입관(30)에 끼워 내통(20) 내에 안착시킨 다음, 구이용그릴(50)을 중앙흡입관(30)에 끼워 내통(20) 내에 안착시킨 다. 그 다음에 필터유닛(60)을 중앙흡입관(30)에 끼워 소정위치에 고정시킨 다음 구이용그릴(50)에 구이대상물을 올리고 흡기팬(70)을 작동시키면 된다.
이 경우에 구이대상물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는 상승하면서 흡기팬(70)에 의한 흡인력에 의해 흡입되면서 흡입유도갓(63)에 부딪히게 되고, 결국 중앙흡입관(30) 내로 흡입된다.
흡입된 연기는 중앙흡입관(30) 내를 관류하면서 제 1 및 제 2 필터유닛(65 및 67)에 의해 형성되는 지그재그 형상의 공기유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제 1 및 제 2 필터유닛(65 및 67)의 단면적의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해 연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이 포집된다.
또한, 중앙흡입관(30)을 관류하면서 필터유닛(60)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흡기팬(70)의 임펠러(70a)의 회전시 비산되는 물로부터 수분을 공급받게 되고, 정화 공기 내에 포함된 불순물은 수분에 의해 흡착되어 수조(75)로 다시 떨어진다.
흡기팬(70)을 통과한 정화공기는 제 2 덕트(73)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흐르게 되고, 정화공기의 일부는 내통(20)의 제 2 공기유동공(25a)을 통해 구이용그릴(50)로 제공되면서 구이대상물에 수분을 제공함으로써 구이대상물의 육질과 맛을 향상시키게 되고 정화공기의 나머지는 내통(20)의 제 2 공기유동공(25b)을 통해 구이용그릴(50)의 외측에서 다시 중앙흡입관(30)으로 유동되면서 일종의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외풍에 의해 연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구이용그릴(50)에 제공된 정화공기는 연기와 함께 다시 중앙흡입관(30)으로 흡입되고 전술한 유동을 반복하게 되며, 그 결과 실내로 연기가 방출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무연로스터에 의하면,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를 중앙흡입관을 통해 흡입하여 계속 순환시키면서 중앙흡입관 내의 필터유닛으로 정화시킴으로써 연기가 실내로 방출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순환구조에 의해 정화공기가 구이대상물에 제공됨과 동시에 흡기팬에 의해 정화공기에 수분이 보충됨으로써 구이대상물 내에 적절한 수분이 유지될 수 있어 육질과 맛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필터유닛에 의해 연기 내에 포함된 불순물이 걸러지고, 흡기팬에 의해 비산되는 수분에 의해 불순물이 포집됨에 따라 완벽히 정화된 공기가 순환 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연기가 실내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무연로스터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되는 외통;
    상기 외통 내에 거치되는 내통;
    상기 내통을 관통하여 상기 외통에 수직으로 지지되는 중앙흡입관;
    상기 중앙흡입관에 끼워지고 상기 내통 내에 안착되는 숯통;
    상기 중앙흡입관에 끼워지고 상기 내통의 상측에 거치되는 구이용그릴;
    상기 중앙흡입관 내에 끼워지고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를 상기 중앙흡입관 내로 유도하며 연기가 상기 중앙흡입관을 관류하는 동안 연기 내에 포함된 불순물을 포집하는 필터유닛; 및
    상기 외통 내에 설치되고 흡인력을 발생시켜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가 계속 순환되도록 하는 흡기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유닛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앙지지대와, 상기 중앙지지대의 상단에 고정되며 구이대상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의 상승을 억제하여 상기 중앙흡입관 내로 유도하는 흡입유도갓과, 상기 중앙지지대 상에 소정간격을 두고 교호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중앙흡입관을 관류하는 연기로부터 불순물을 포집하는 제 1 및 제 2 필터부재와, 상기 중앙지지대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중앙흡입관에 밀착되어 상기 중앙흡입관으로부터 상기 필터유닛을 분리시킬 때 상기 중앙흡입관의 내벽에 흡착된 불순물을 긁어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불순물제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로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부재는 원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필터부재는 상기 제 1 필터부재보다 더 큰 직경의 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흡입관 내에 지그재그 형상의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로스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부재는 연기로부터 포집된 불순물이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중앙부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필터부재의 상측에는 기름받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로스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팬의 전방에는 흡기팬의 임펠러의 하부가 잠겨지는 수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로스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외통으로부터 인출가능한 서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로스터.
  6. 삭제
KR2020060032374U 2006-12-22 2006-12-22 무연로스터 KR200439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374U KR200439320Y1 (ko) 2006-12-22 2006-12-22 무연로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374U KR200439320Y1 (ko) 2006-12-22 2006-12-22 무연로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320Y1 true KR200439320Y1 (ko) 2008-04-04

Family

ID=4164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374U KR200439320Y1 (ko) 2006-12-22 2006-12-22 무연로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3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508B1 (ko) 2013-04-18 2014-08-21 이민호 자동 공기순환 덕트장치
CN108606621A (zh) * 2016-12-12 2018-10-02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锅具和锅具组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508B1 (ko) 2013-04-18 2014-08-21 이민호 자동 공기순환 덕트장치
CN108606621A (zh) * 2016-12-12 2018-10-02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锅具和锅具组件
CN108606621B (zh) * 2016-12-12 2023-08-0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锅具和锅具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966B1 (ko) 직, 간접 열을 동시에 이용하는 복합구이기
JP2020508818A (ja) 油蒸気および煙浄化循環システムを具備した電気グリラー
KR200493211Y1 (ko) 전기 그릴 팬
JP2014044032A (ja) 無煙グリル
CN101057751A (zh) 烘烤器的空气循环系统
KR100823674B1 (ko) 고기 구이기의 후드 및 탈취장치
KR102153416B1 (ko) 유증기 및 연기 정화 순환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전기구이기
KR200439320Y1 (ko) 무연로스터
KR101841760B1 (ko) 테이블형 숯불 로스터용 배기장치
WO2020077762A1 (zh) 电烤盘
KR101314265B1 (ko) 구이기용 공기 정화장치
WO2020073941A1 (zh) 一种抽烟炸锅机
KR20060000063U (ko) 숯불구이기
KR102208632B1 (ko)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공기 순환식 로스터
CN209136307U (zh) 一种智能炸炉
KR102250905B1 (ko)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개량형 공기 순환식 로스터
KR101414675B1 (ko)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
CN107692856A (zh) 一种在烧烤过程中可进行油烟吸收处理的自动烧烤机
CN210185377U (zh) 下排烟电热管烤炉
KR200309976Y1 (ko) 공기순환식 고기구이기
KR100850532B1 (ko) 회전식 바비큐장치
KR200192544Y1 (ko) 상하 승강되는 덕트 및 후드를 구비하는 숯불 및가스겸용 원형그릴로스터
JP3805328B2 (ja) 排煙機能付ロースター
KR200424657Y1 (ko) 회전식 바베큐장치
CN215777464U (zh) 一种富勒烯远红外加热无油烟烤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