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310B1 - 파킹레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파킹레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310B1
KR102573310B1 KR1020220007170A KR20220007170A KR102573310B1 KR 102573310 B1 KR102573310 B1 KR 102573310B1 KR 1020220007170 A KR1020220007170 A KR 1020220007170A KR 20220007170 A KR20220007170 A KR 20220007170A KR 102573310 B1 KR102573310 B1 KR 102573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ever
fixing
cable
park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1385A (ko
Inventor
김호진
Original Assignee
동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7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310B1/ko
Publication of KR20230111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05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by locking of wheel or transmission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킹레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킹레버를 회동가능하게 차량의 운전석의 일측 패널에 설치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장치를 재질변경에 따른 부품구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장치의 경량화와 함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부품수의 감소에 따른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나아가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파킹레버 고정장치{parking lever fixing device}
본 발명은 파킹레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킹레버를 회동가능하게 차량의 운전석의 일측 패널에 설치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장치를 재질변경에 따른 부품구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장치를 경량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부품수의 감소에 따른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나아가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파킹레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파킹브레이크는 파킹레버를 상부로 회전시켜 파킹케이블을 당기게 되면 작동되고, 파킹레버를 하부로 회전시켜 파킹케이블을 이완시키게 되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파킹레버 장치는, 폴과 라쳇구조를 통해 파킹브레이크를 해제하는 방향으로의 파킹레버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파킹브레이크의 작동상태에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파킹브레이크가 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파킹레버의 선단에 마련된 해제버튼을 통해 잠금상태를 해제한 후 파킹레버를 하부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파킹레버는, 기본적으로 버튼, 리턴스프링, 로드, 하우징, 폴, 라쳇 및 파킹레버 케이블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파킹레버는 운전자가 차량을 안전하게 파킹 또는 정차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하우징을 잡아당겨 파킹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하우징의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폴(pawl) 및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를 매개로 폴에 구속된 라쳇의 회전되면서 파킹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파킹레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파킹레버 및 유동궤적을 확보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한데, 최근 하이콘솔이 필요한 차량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간 확보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파킹레버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콘솔커버, 콘솔 마운팅 브래킷, 와이어링, 에어덕트 등의 회피가 절실하게 요구되어 왔다.
또한, 상기 파킹레버는, 차체와 연결되는 브래킷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과 레버하우징 쪽에 설치되는 제 2회전축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파킹레버는 두 축의 회전축을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하이콘솔이 필요한 차량의 내부 공간 확보가 불가하고, 또 연결부에 의해 회전을 전달하기 때문에 레버 비가 현저하게 낮아서 파킹레버 작동력이 무겁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트로크 전달을 위한 레버작동방향과 이퀄라이져 작동방향의 일치를 위하여 스틸 재질을 가지는 샤프트 구조와 회전축에 지지되어 있는 폴(pawl) 등이 2중의 축으로 연결되는 구조가 적용되어 작동시 작동음이 발생하였다.
또한, 다수의 부품에 의해 중량이 무거워지는 문제와, 다수의 부품에 의해 좁아지는 레이아웃에 의해 하이콘솔을 적용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즉, 파킹레버 실차 구성을 위해서는 파킹레버 및 유동궤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공간이 필요한데, 하이콘솔을 대응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하이콘솔이 필요한 차종에서는 레이아웃 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20-0023068호에 차량용 파킹레버가 제안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차량용 파킹레버는, 레버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버튼의 동작 및 상기 버튼의 동작을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스프링 및 상기 버튼의 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로드; 및 상기 리턴스프링과 상기 로드에 설치되는 레버작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레버작동수단 및 상기 로드에 연결되고, 회전축에 지지되어 회전 운동하는 폴 및 상기 폴에 치합되며,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는 라쳇과 상기 폴과 상기 라쳇을 지지하고, 차체와 연결하기 위한 브래킷 및 일단이 상기 라쳇에 연결되고, 타측은 파킹브레이크에 연결되는 파킹 케이블을 포함하며, 파킹레버 하부에 브래킷수단을 별물로 설치한 파킹레버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수단에는 레버의 작동에 의해 파킹케이블을 잡아당길 때 상기 파킹케이블의 방향 변화 및 상기 파킹케이블을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한 케이블 가이드수단을 포함한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 가이드수단은 합성수지 사출물이고, 브래킷수단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차량용 파킹레버는, 상기한 구성들로 인해 브래킷의 높이를 보정하여 하이콘솔이 필요한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단순한 캠 타입을 적용하여 좁은 콘솔 내에서도 레버 비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는 있으나,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된 브라킷수단의 무게로 인해 연비가 상승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또한, 상기 케이블 가이드수단을 브라킷수단에 적어도 3개 이상의 고정부를 통하여 고정시키게 되므로 조립작업의 공정수가 늘어 조립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많은 공정수로 제조단가가 상승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20-0023068호, 출원일; 2020년02월25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파킹레버를 회동가능하게 차량의 운전석의 일측 패널에 설치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장치를 재질변경에 따른 부품구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장치의 경량화와 함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부품수의 감소에 따른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나아가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파킹레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에는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일부가 내설되는 버튼(10)과, 상기 버튼(10)의 동작을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스프링(11)과, 상기 버튼(10)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버튼(10)의 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로드(12)와, 상기 로드(12)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버튼(10)의 동작에 의해 회동되는 래치(13)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파킹케이블(14)의 일단이 통과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반원형상의 케이블고정부(15)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레버작동플레이트(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버작동부(17)와, 상기 레버작동부(17)의 일단을 내측으로 수용하는 것에 의해 버튼(10)이 노출되게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파킹레버 하우징(18)과, 상기 레버작동부(17)의 레버작동플레이트(16)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어 회동축(19)을 매개로 상기 레버작동부(17)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래치(13)가 일시적으로 이맞물림되어 상기 버튼(10)에 의해 해제되도록 기어(20a)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고정홀이 각각 천공된 고정플랜지(20b)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캠플레이트(20)로 구성된 파킹레버(21)를 차량의 운전석 일측 바닥플레이트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파킹레버 고정장치로서,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사출물로 상면에는 상기 캠플레이트(20)를 안착시켜 고정볼트 및 너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결합면(110)과, 상기 결합면(110)의 선단부로부터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파킹레버(21)가 차실내 바닥플레이트로부터 이격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측면(120)과, 상기 측면(120)의 선단부에 방사방향으로 외향 돌출 연장되어 고정부재를 매개로 바닥플레이트에 고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플랜지부(130)와, 상기 결합면(11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고정부(15)에 일단이 걸림 고정된 파킹케이블(14)의 타단을 안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킹케이블 안내수단(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결합면(110)은, 상기 캠플레이트(20)를 상면에 안착시켜 고정볼트 및 너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되되, 평탄면에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복수 개의 결합홀(110a)이 형성되어 구비되고, 상기 측면(120)은, 상기 결합면(110)의 선단부로부터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파킹레버(21)가 차실내 바닥플레이트로부터 이격 설치될 수 있도록 상면(121)과 하면(122) 그리고 좌측면(123) 및 우측면(124)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플랜지부(130)는, 파킹레버 고정장치(100)가 바닥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120)의 하면(122)과 우측면(124)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고정부재를 매개로 바닥플레이트에 고정가능하도록 고정홀(130a)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파킹케이블 안내수단(140)은, 상기 케이블고정부(15)에 일단이 걸림 고정된 파킹케이블(14)의 타단을 안내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면(110)에 형성된 파킹케이블 유입홀(141)과, 상기 결합면(110)의 저면에 안내로가 형성되도록 일단은 상기 파킹케이블 유입홀(141)과 연통되고, 타단은 측면(120)의 하면(122) 내측면에 연결되어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돌출 형성된 파킹케이블 안내부(142)와, 상기 측면(120)의 하면(122)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파킹케이블 안내부(142)의 타단과 서로 연통되어 파킹케이블(14)을 방향 변환 및 유동이 가능하도록 측면(12)에 형성된 파킹케이블 유출홀(14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킹레버 고정장치에 따르면, 파킹레버를 회동가능하게 차량의 운전석의 일측 패널에 설치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장치를 재질변경에 따른 부품구성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파킹레버 고정장치를 경량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경량화에 다른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부품수의 감소에 따른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킹레버 고정장치가 파킹레버에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킹레버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킹레버 고정장치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킹레버 고정장치 파킹레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킹레버 고정장치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단에는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일부가 내설되는 버튼(10)과, 상기 버튼(10)의 동작을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스프링(11)과, 상기 버튼(10)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버튼(10)의 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로드(12)와, 상기 로드(12)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버튼(10)의 동작에 의해 회동되는 래치(13)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파킹케이블(14)의 일단이 통과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반원형상의 케이블고정부(15)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레버작동플레이트(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버작동부(17)와, 상기 레버작동부(17)의 일단을 내측으로 수용하는 것에 의해 버튼(10)이 노출되게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파킹레버 하우징(18)과, 상기 레버작동부(17)의 레버작동플레이트(16)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어 회동축(19)을 매개로 상기 레버작동부(17)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래치(13)가 일시적으로 이맞물림되어 상기 버튼(10)에 의해 해제되도록 기어(20a)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고정홀(도면부호 생략)이 각각 천공된 고정플랜지(20b)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캠플레이트(20)로 구성된 공지의 파킹레버(21)를 차량의 운전석 일측 바닥플레이트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파킹레버 고정장치(100)로서,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사출물로 상면에는 상기 캠플레이트(20)를 안착시켜 고정볼트 및 너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결합면(110)과, 상기 결합면(110)의 선단부로부터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파킹레버(21)가 차실내 바닥플레이트로부터 이격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측면(120)과, 상기 측면(120)의 선단부에 방사방향으로 외향 돌출 연장되어 고정부재를 매개로 바닥플레이트에 고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플랜지부(130)와, 상기 결합면(11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고정부(15)에 일단이 걸림 고정된 파킹케이블(14)의 타단을 안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킹케이블 안내수단(140)을 포함하여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플랜지부(130)와 측면(120)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플랜지부(130)를 보강가능하도록 고정플랜지부용 보강리브(150)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파킹레버 고정장치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파킹레버 고정장치의 결합면(110)은, 상면에 상기 캠플레이트(20)를 안착시켜 고정볼트 및 너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결합면(110)은 상기 캠플레이트(20)를 상면에 안착시켜 고정볼트 및 너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되되, 평탄면에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3개의 결합홀(110a)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결합면(110)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면(11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결합면보강용 리브(도면부호 생략)가 복수 개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결합홀(110a)의 일면 즉, 저면은 다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너트를 수용하도록 대응되는 다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측면(120)은, 상기 결합면(110)의 선단부로부터 하향 절곡 연장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한 측면(120)은, 상기 결합면(110)의 선단부로부터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파킹레버(21)가 차실내 바닥플레이트로부터 이격 설치될 수 있도록 상면(121)과 하면(122) 그리고 좌측면(123) 및 우측면(124)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고정플랜지부(130)는 상기 측면(120)의 선단부에 방사방향으로 외향 돌출 연장되어 고정부재를 매개로 바닥플레이트에 고정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고정플랜지부(130)는 파킹레버 고정장치(100)가 바닥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120)의 하면(122)과 우측면(124)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예를 들면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된 고정부재를 매개로 바닥플레이트에 고정가능하도록 고정홀(130a)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고정홀(130a)은 고정 위치를 바닥플레이트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보정가능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고정홀(130a)에는 고정부재를 매개로 바닥플레이트에 고정시 상기 고정홀(130a)을 보호가능하도록 "C"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스틸재질의 보강링(160)이 더 구비된다.
상기한 파킹케이블 안내수단(140)은 상기 결합면(110)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고정부(15)에 일단이 걸림 고정된 파킹케이블의 타단을 안내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파킹케이블 안내수단(140)은 상기 케이블고정부(15)에 일단이 걸림 고정된 파킹케이블(14)의 타단을 안내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면(110)에 형성된 파킹케이블 유입홀(141)과, 상기 결합면(110)의 저면에 안내로가 형성되도록 일단은 상기 파킹케이블 유입홀(141)과 연통되고, 타단은 측면(120)의 하면(122) 내측면에 연결되어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돌출 형성된 파킹케이블 안내부(142)와, 상기 측면(120)의 하면(122)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파킹케이블 안내부(142)의 타단과 서로 연통되어 파킹케이블(14)을 방향 변환 및 유동이 가능하도록 측면(12)에 형성된 파킹케이블 유출홀(14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파킹케이블 안내수단(140)의 파킹케이블 안내부(142)에 대향되는 상기 결합면에 형성된 파킹케이블 유입홀(141)과 상기 측면(120)의 하면(122)에 형성된 파킹케이블 유출홀(143) 사이에는 파킹케이블 안내부(142)의 깊이를 얕게 형성하여 파킹케이블(14)의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오목한 유선형의 요홈(144)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요홈(144)에는 파킹레버 고정장치(100)를 사출 성형시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변형방지용 연결편(145)이 복수 개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파킹레버 고정장치를 통하여 파킹레버를 차실내에 고정 설치하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파킹레버 하우징(18)이 일단에 결합된 레버작동플레이트(16)의 타단에 회동축(19)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캠플레이트(20)를 연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캠플레이트(20)가 레버작동플레이트(16)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 파킹레버 고정장치의 파킹케이블 안내수단(140)을 통하여 파킹케이블(14)을 안내시킨 후, 상기 캠플레이트(20)를 결합면(11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결합면(110)의 상면에 캠플레이트(20)가 안착되면, 상기 결합면(110)에 형성된 3개의 결합홀(110a) 저면에 다각 형상의 너트를 삽입시킨 후 볼트를 통하여 상기 캠플레이트(20)를 결합면(110)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캠플레이트(20)가 결합면(110)의 상면에 고정되면, 고정플랜지부(130)에 형성된 고정홀(130a)에 "C"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보강링(160)을 삽입시킨 후, 고정부재를 매개로 바닥풀레이트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파킹레버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된 파킹레버 고정장치를 통하여 파킹레버를 고정시키므로 인해,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부품수의 감소에 따른 조립성 향상 및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파킹레버 고정장치 110 ; 결합면
120 ; 측면 130 ; 고정플랜지부
140 ; 파킹케이블 안내수단 150 ; 고정플랜지부용 보강리브
160 ; 보강링

Claims (5)

  1. 일단에는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일부가 내설되는 버튼(10)과, 상기 버튼(10)의 동작을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스프링(11)과, 상기 버튼(10)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버튼(10)의 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로드(12)와, 상기 로드(12)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버튼(10)의 동작에 의해 회동되는 래치(13)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파킹케이블(14)의 일단이 통과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반원형상의 케이블고정부(15)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레버작동플레이트(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버작동부(17)와, 상기 레버작동부(17)의 일단을 내측으로 수용하는 것에 의해 버튼(10)이 노출되게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파킹레버 하우징(18)과, 상기 레버작동부(17)의 레버작동플레이트(16)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어 회동축(19)을 매개로 상기 레버작동부(17)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래치(13)가 일시적으로 이맞물림되어 상기 버튼(10)에 의해 해제되도록 기어(20a)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고정홀이 각각 천공된 고정플랜지(20b)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캠플레이트(20)로 구성된 파킹레버(21)를 차량의 운전석 일측 바닥플레이트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파킹레버 고정장치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사출물로 상면에는 상기 캠플레이트(20)를 안착시켜 고정볼트 및 너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결합면(110)과;
    상기 결합면(110)의 선단부로부터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파킹레버(21)가 차실내 바닥플레이트로부터 이격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측면(120)과;
    상기 측면(120)의 선단부에 방사방향으로 외향 돌출 연장되어 고정부재를 매개로 바닥플레이트에 고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플랜지부(130)와;
    상기 결합면(11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고정부(15)에 일단이 걸림 고정된 파킹케이블(14)의 타단을 안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킹케이블 안내수단(140)을 포함하되,
    상기 파킹케이블 안내수단(140)은, 상기 케이블고정부(15)에 일단이 걸림 고정된 파킹케이블(14)의 타단을 안내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면(110)에 형성된 파킹케이블 유입홀(141)과, 상기 결합면(110)의 저면에 안내로가 형성되도록 일단은 상기 파킹케이블 유입홀(141)과 연통되고, 타단은 측면(120)의 하면(122) 내측면에 연결되어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돌출 형성된 파킹케이블 안내부(142)와, 상기 측면(120)의 하면(122)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파킹케이블 안내부(142)의 타단과 서로 연통되어 파킹케이블(14)을 방향 변환 및 유동이 가능하도록 측면(12)에 형성된 파킹케이블 유출홀(143)으로 구성되고,
    상기 파킹케이블 안내수단(140)의 파킹케이블 안내부(142)에 대향되는 상기 결합면에 형성된 파킹케이블 유입홀(141)과 상기 측면(120)의 하면(122)에 형성된 파킹케이블 유출홀(143) 사이에는, 파킹케이블 안내부(142)의 깊이를 얕게 형성하여 파킹케이블(14)의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오목한 유선형의 요홈(144)이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요홈(144)에는, 파킹레버 고정장치(100)를 사출 성형시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변형방지용 연결편(145)이 복수 개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레버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110)은, 상기 캠플레이트(20)를 상면에 안착시켜 고정볼트 및 너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되되, 평탄면에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복수 개의 결합홀(110a)이 형성되어 구비되고, 상기 측면(120)은, 상기 결합면(110)의 선단부로부터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파킹레버(21)가 차실내 바닥플레이트로부터 이격 설치될 수 있도록 상면(121)과 하면(122) 그리고 좌측면(123) 및 우측면(124)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플랜지부(130)는, 파킹레버 고정장치(100)가 바닥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120)의 하면(122)과 우측면(124)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고정부재를 매개로 바닥플레이트에 고정가능하도록 고정홀(130a)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레버 고정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07170A 2022-01-18 2022-01-18 파킹레버 고정장치 KR102573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170A KR102573310B1 (ko) 2022-01-18 2022-01-18 파킹레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170A KR102573310B1 (ko) 2022-01-18 2022-01-18 파킹레버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385A KR20230111385A (ko) 2023-07-25
KR102573310B1 true KR102573310B1 (ko) 2023-08-31

Family

ID=8742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170A KR102573310B1 (ko) 2022-01-18 2022-01-18 파킹레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3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1956A (ja) * 2003-04-03 2006-09-28 フィコ ケーブルス エセ. アー. パーキングブレーキレバー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750B1 (ko) * 2016-01-04 2022-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023068A (ko) 2018-08-24 2020-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KR102301892B1 (ko) * 2020-02-25 2021-09-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파킹레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1956A (ja) * 2003-04-03 2006-09-28 フィコ ケーブルス エセ. アー. パーキングブレーキレバー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385A (ko)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32344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用フードラッチアセンブリ
JP2004017709A (ja) 車両用ペダル支持構造
EP1083108A2 (en) Integrated steering column and instrument panel structure apparatus
KR102573310B1 (ko) 파킹레버 고정장치
WO2017208485A1 (ja) 車両用ペダル装置の後退防止装置
JP5503696B2 (ja) リザーブタンクの支持構造
KR102301892B1 (ko) 차량용 파킹레버
US5881605A (en) Parking brake actuator with plastic operating lever
JP5495103B2 (ja) 車両のコントローラ取付構造
KR101669633B1 (ko) 단일체형 풋 파킹 브레이크용 마운틴 브라켓
JP5356103B2 (ja) 走行車両のボンネット支持構造
JP2009006900A (ja) 車両用艤装部品の係止構造
JP3932702B2 (ja) ペダルブラケットの構造
JP2011161996A (ja) 乗用車のフロントバンパ
KR101330236B1 (ko)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
JPH0796858A (ja) フードロックケーブルの配索構造及びその配索方法
JP4380502B2 (ja) 車両のペダル支持構造
JP3678014B2 (ja) 自動車のペダル支持部材構造
JP5212388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装置
KR100805637B1 (ko) 주차 브레이크 장치
WO2021024912A1 (ja) 車両前部構造体
US20110239811A1 (en) Pedal arrangement
US11913509B2 (en) Electric parking brake actuator mounting assembly
JPH059222Y2 (ko)
US6799651B2 (en) Attaching structure of a brake fluid pressure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