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684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684B1
KR102572684B1 KR1020190041611A KR20190041611A KR102572684B1 KR 102572684 B1 KR102572684 B1 KR 102572684B1 KR 1020190041611 A KR1020190041611 A KR 1020190041611A KR 20190041611 A KR20190041611 A KR 20190041611A KR 102572684 B1 KR102572684 B1 KR 102572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disposed
heating unit
control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7651A (ko
Inventor
김학수
윤성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1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684B1/ko
Priority to EP21191037.7A priority patent/EP3926240A1/en
Priority to PCT/KR2020/000456 priority patent/WO2020145717A1/ko
Priority to AU2020206080A priority patent/AU2020206080B2/en
Priority to CN202080008428.4A priority patent/CN113286972B/zh
Priority to EP20151090.6A priority patent/EP3680556B1/en
Priority to US16/739,437 priority patent/US11519609B2/en
Publication of KR20200087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651A/ko
Priority to US17/981,916 priority patent/US1197117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6Protective guard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heate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1/00Heating by combined application of processe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H05B3/00 - H05B7/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14Devices wherein the heating current flows through particular resistan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05B3/0071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domestic applications
    • H05B3/0076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domestic applications for cooking, e.g. in ov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9Cooking devices induction ov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저면과 양측면과 배면으로 둘러싸인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도어상면부 및 도어상면부의 전방측과 연결되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도어전면부를 포함하고, 도어상면부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하우징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와; 조리실에 배치되는 트레이; 및 하우징 또는 도어에 설치되어 트레이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개폐될 수 있게 제공되는 도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열원(熱源)의 종류에 따라 가스 오븐과 전기 오븐으로 대별된다. 가스 오븐은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여 점화시킴으로써 공급되는 가스가 타면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며,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과 달리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다수의 히터가 작동되면서,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이 중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보다 요리의 속도가 빠르고 열효율이 높으며, 안정성이 좋아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에 비해 소형화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크기가 작은 미니 오븐 형태의 전기 오븐(이하 "미니 오븐"이라 한다)도 출시되고 있다.
상기 미니 오븐은, 크기가 작아 크기가 큰 음식물의 조리에는 부적합하지만, 대용량의 오븐을 사용하기엔 부담스러운 소량의 음식물을 굽거나 데우는데 적합하다.
특히 미니 오븐은, 토스트를 굽는데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으면서도, 토스트 외에도 크기가 작은 소량의 음식물을 조리하는데도 이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기존의 토스트기를 대체하는 조리기기로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니 오븐은 모든 구성품을 수용하기 위한 외부 케이스와, 조리 시에 음식물을 올려놓기 위한 복수개의 선반과, 전면이 개구되어 음식물을 넣어서 조리할 수 있도록 된 조리실을 구비한다.
또한 미니 오븐은, 음식물을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오븐히터와,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도어는 조리실에 음식물을 넣고 조리를 하는 동안 조리실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어 밀폐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도어에는, 도어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와, 도어를 열지 않고도 조리실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리창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미니 오븐에서, 도어는 대부분 하부 개방형 타입으로 구비된다. 즉 미니 오븐에 적용되는 도어는, 그 하단부가 도어 힌지를 통해 외부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부를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동하여 조리실을 개방하고, 조리실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부방향으로 회동하여 조리실을 폐쇄하는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
도어는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약 90도 정도의 각도로 회동하여 조리실을 개방하고,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은 이와 같이 도어가 조리실을 개방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어는 미니 오븐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반과 대략 평행을 이루는 상태로 개방되며,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미니 오븐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첫째,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미니 오븐이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었을 때 도어의 개방과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둘째,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크기만큼이나 무게도 가벼운 미니 오븐의 특성 상,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면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릴 수 밖에 없고, 이 경우 미니 오븐이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증가된다.
특히 선반의 인출시, 조리 상태의 확인이나 선반의 임시 거치를 위해 선반이 도어의 상부에 얹혀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는데, 이와 같이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구조에서는 미니 오븐의 전도 위험성이 커질 수밖에 없게 된다.
더욱이 선반 또는 선반에 올려진 음식물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 이러한 위험성은 더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 무거운 음식물의 조리에 위험성이 더해질 뿐 아니라, 선반의 중량을 증가시키는데 부담이 있게 된다. 즉 조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껍고 무게가 많이 나가는 재질의 선반의 채용이 필요하더라도, 미니 오븐의 전도 발생 위험으로 인해 이러한 선반의 채용이 어렵게 된다.
셋째,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의 통로, 그리고 조리 상태 확인의 통로가 미니 오븐의 전면으로 제한됨으로 인해, 여러 가지 제약이 발생된다.
즉 선반의 삽입 및 인출 방향이 전후방향으로만 제한되므로, 미니 오븐이 낮은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 선반의 삽입 및 인출에 불편함이 발생된다. 조리 상태의 확인의 통로가 도어에 구비된 유리창으로만 제한되므로, 미니 오븐이 낮은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 조리 상태를 확인하는데 상당한 불편함이 있게 된다.
넷째, 사용자가 조리실 내부로부터 선반을 직접 당기거나 조리실 내부로 밀어 넣는 형태로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사용자의 불편 및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성이 증가된다.
조리 도중, 사용자가 선반을 인출하여 전체적으로 직접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한 후 직접 선반을 잡고 인출하여야 하고, 조리를 재개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직접 선반을 잡고 조리실 내부로 선반을 밀어 넣어야 한다.
즉 단순히 조리 상태를 확인하고 싶을 때에도 사용자가 직접 선반을 직접 인출, 삽입하여야 하는 불편함에 사용자가 노출되고, 또한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이 과정에서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려 미니 오븐의 전도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사용자의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 개방시 전도될 위험성이 낮고 도어의 개방과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 상태 확인이 용이하며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저면과 양측면과 배면으로 둘러싸인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도어상면부 및 상기 도어상면부의 전방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도어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조리실에 배치되는 트레이; 및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조리기기는, 전방으로 펼쳐지지 않고 상부방향으로 회동되며 조리실의 전면과 상면을 모두 개방할 수 있는 도어를 구비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도어의 개방이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음식물이나 트레이의 인출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종래의 조리실의 전면만 개방되는 도어 구조에서는, 케이스의 상면에 의해 조리물의 이동이 방해 받거나 시야가 가려지므로, 트레이에 조리물을 넣거나 꺼내기 위해서는 조리물이 노출되도록 트레이가 전방으로 많이 인출되어야 해 전도의 위험이 큰 반면, 본 발명은 도어에 의해 도어의 전면과 상면이 개방될 수 있어 도어의 개방에 의해 트레이부가 더 많이 노출되므로, 트레이의 일부만 인출하여도 조리물을 용이하게 넣거나 꺼낼 수 있어 더 향상된 편의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도어상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전기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입력부, 및 상기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제1제어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내부와 상기 도어전면부의 내부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제어기판은, 서로 연결된 상기 도어상면부의 내부와 상기 도어전면부의 내부를 통해 상기 입력부 및 상기 제1가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어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각 구성들이 각각 최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구조적 안정성이 높으며 배선의 구성을 깔끔하고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서로 간의 간섭을 효율적으로 피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투시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도어상면부에 설치되며,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투시창을 통해 노출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조리기기의 상부에 형성된 투시창을 통해 조리실 내부를 상부에서 내려다볼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투시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시창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도어상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전기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입력부, 및 상기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제1제어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전면부에는, 상기 입력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제1제어기판을 내부에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전면부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투시창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도어전면부의 하단에는, 도어전면부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단에는, 상기 투시창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제어기판 등과 같은 도어 내부의 부품들의 과열, 열화 발생이 억제됨으로써 조리기기의 고장, 성능 저하 등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고, 사용자가 투시창과 접촉하여 화상 등과 같은 부상을 입는 사고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열부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는 유도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 하부의 내부 공간과 상기 하우징의 배면 배후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되며 서로 연결된 상기 하우징의 저면 하부의 내부 공간과 상기 하우징의 배면 배후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유도가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제어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하우징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각 구성들이 각각 최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구조적 안정성이 높으며 배선의 구성을 깔끔하고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서로 간의 간섭을 효율적으로 피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가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무선으로 전송된 전원을 수신하는 수신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부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저면 상부를 유도 가열하는 워킹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기판은, 상기 워킹코일을 제어하는 칩, 및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코일은 상기 제2제어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리기기는 거추장스러운 전원케이블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심플하고 깔끔한 외관으로 제공될 수 있고, 쿡탑에 조리기기를 올려놓기만 하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어 개방시 상기 도어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기 트레이를 상기 조리실 내부로부터 전방으로 인출시키고 상기 도어 폐쇄시 상기 도어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기 트레이를 상기 조리실 내부를 향해 후방으로 삽입시키는 힌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어 개방 또는 폐쇄시 트레이가 자동으로 인출되거나 삽입될 수 있게 됨으로써, 음식물이나 트레이의 인출 및 삽입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지 않고 상부방향으로 회동되며 조리실의 전면과 상면을 모두 개방할 수 있게 마련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도어의 개방이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음식물이나 트레이의 인출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에 의해 도어의 전면과 상면이 개방될 수 있어 도어의 개방에 의해 트레이부가 더 많이 노출되므로, 트레이의 일부만 인출하여도 조리물을 용이하게 넣거나 꺼낼 수 있어 더 향상된 편의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음식물이나 트레이를 조리실에 삽입하거나 조리실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확장된 통로를 제공하는 동시에 도어 개방 또는 폐쇄시 트레이가 자동으로 인출되거나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나 트레이의 인출 및 삽입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지 않고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며 개폐되도록 마련되므로, 도어의 개방시에도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릴 우려가 적고, 이에 따라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도 위험성이 현저히 낮은 안정적인 구조의 조리기기를 제공함으로써, 조리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께 및 중량이 증가되는 트레이나 유도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한 트레이를 자유롭게 채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이 각각 최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구조적 안정성이 높으며 배선의 구성을 깔끔하고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서로 간의 간섭을 효율적으로 피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므로, 컴팩트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구조적 안정성과 동작 신뢰성 및 안전성이 높은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및 힌지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Ⅸ-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폐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ⅩⅥ-Ⅹ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제2가열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제2가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온도센서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7에 도시된 제2제어기판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하우징(100)과 도어(300)와 트레이(200) 및 가열부(400,6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골격을 형성한다. 이에 따르면,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여러 부품들은 하우징(100)에 각각 설치되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10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하우징(100)은, 저면(110)과 한 쌍의 측면(120,130)과 배면(140)을 포함하고, 그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으로 둘러싸인 조리실(105)이 형성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배치된다. 트레이(200)는, 조리물이 안착되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조리실(105)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20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조리실(105)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도어(300)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이동은 후술할 힌지 어셈블리(800)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어(300)는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이 조리기기의 저면, 측면,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도어(300)는 조리기기의 상면 및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도어(300)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전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상면부(310)는, 도어(300)의 상면을 이루며, 도어(300)가 하우징(100) 내부의 조리실(105)을 폐쇄할 때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구성에 해당된다. 그리고 도어전면부(350)는, 도어(300)의 전면을 이루며,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할 때 하우징(100)의 개방된 전면을 덮는 구성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300)는 "ㄱ"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도어(300)는, 도어(300)의 상면을 이루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300)의 전면을 이루는 도어전면부(350)가 "ㄱ" 형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도어(300)는, 조리실(105) 개폐를 위한 회동시, "ㄱ" 형상으로 연결된 도어상면부(310)와 도어전면부(350)가 함께 회동하면서 조리실(105)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도어(300)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를 매개로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며,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이 힌지 어셈블리(8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 좌측 모서리와 우측 모서리 부분이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된 힌지 어셈블리(8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300)는 이처럼 힌지 어셈블리(8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하우징(100)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300)의 전면에는 손잡이(305)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손잡이(305)를 잡고 도어(30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며 조리실(105)을 개폐할 수 있다.
가열부(400,600)는, 하우징(100) 또는 도어(300)에 설치되어 조리실(105)에 배치된 트레이(200)를 가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부(400,600)는 도어(300)에 배치되는 제1가열부(400)와 하우징(100)에 배치되는 제2가열부(6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가열부(400)는, 도어(300)에 설치되되,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하였을 때 제1가열부(400)가 조리실(105)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되, 하우징(100)의 저면과 마주하는 도어상면부(310)의 저면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가열부(400)는 전기히터를 구비한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는, 트레이(200)에 안착된 조리물을 트레이(200)의 상부에서 가열할 수 있다.
제2가열부(600)는, 하우징(100)에 설치되되, 트레이(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가열부(600)는, 제1가열부(400)와 다른 가열방식으로 트레이(200)를 가열하는 가열부, 예를 들면 유도가열부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제2가열부(60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설치되는 워킹코일(610)을 포함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트레이(200)의 하부에서 트레이(200)의 가열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트레이(200)는, 제2가열부(600)에 의해 유도 가열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105)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조리실(105)의 전방 및 상부를 동시에 개방할 수 있게 구비되는 도어(300)와, 조리실(105) 내부를 상부에서 가열할 수 있게 마련된 제1가열부(400), 및 조리실(105) 내부의 트레이(200)를 유도 가열할 수 있게 마련된 제2가열부(600)를 포함하며, 도어(300)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트레이(200)의 인출 및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된다.
위에서 언급된 구성들, 및 그 외에 아직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 순차적으로 기재될 것이다.

[하우징의 구조]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및 힌지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저면(110)과 한 쌍의 측면(120,130)과 배면(140)을 포함하고, 그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된다.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는 조리실(105)이 형성되고, 이러한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저면 하부에는 제2가열부(6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배면 후방에는 제2가열부(600)의 가동과 관련된 전장부품, 예를 들면 후술할 제2제어기판(700)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 외측에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된 힌지 어셈블리(800)와의 결합을 매개로 도어(300)가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하우징(100)은 금속판이 "└┘" 형상으로 절곡되고 이처럼 절곡된 금속판이 하우징(100)의 저면과 양측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우징(100)이 제조되면, 하우징(100)의 저면(110)이 양측면(120,130)과 이음새 없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조리실(105) 내부의 미감이 향상될 뿐 아니라,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 간의 틈새에 이물질이 끼거나 그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빠져 제2가열부(600)의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하우징(100)은 "ㅗ" 형상의 금속판의 왼쪽 돌출 부분과 오른쪽 돌출 부분을 각각 상부방향으로 접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을 형성하고, 배후측 돌출 부분을 상부방향으로 접어 하우징(100)의 배면(140)을 형성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우징이 제조되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 간, 그리고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배면(140) 간의 이음새 없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전방 및 상부에서 보았을 때 조리실(105) 내부의 이음새가 거의 보이지 않게 되면서 조리실(105)의 내측면이 매끄러운 평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조리실(105) 내부의 미감이 더욱 향상될 뿐 아니라, 조리실(105)의 내측면에 묻은 오염물의 제거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100)의 저면(110)은, 세라믹 글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세라믹 글라스는 소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세라믹 글라스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 저면(110)의 절개된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세라믹 글라스는 제2가열부(600)와 트레이(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에는, 후술할 제2제어기판(700)을 수용하는 배면케이스(150)가 배치된다. 제2제어기판(700)은 배면케이스(150)에 수용되어 하우징(100)의 배후에 설치되며, 하우징(100)의 배면(140)과 배면케이스(150) 사이에는 절연판(160)이 배치된다.
절연판(160)은, 조리실(105) 내부의 열기가 하우징(100)의 배면(140)을 통해 제2제어기판(70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2제어기판(700)이 설치된 배면케이스(150)와 하우징(100) 사이를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하우징(100)은 캐비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70)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을 덮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캐비닛(170)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에 설치된 힌지 하우징(800)과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설치된 제2제어기판(700)을 외측에서 감싸 보호하며, 조리기기의 측부 및 배후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의 구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6의 "Ⅸ-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도어(300)는 도어(300)의 상면을 이루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300)의 전면을 이루는 도어전면부(350)가 "ㄱ" 형상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구비된다.
도어상면부(31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상면부(310)에는, 도어프레임(320)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1가열부(400)는 이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된 형태로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300)는, 투시창(W)을 포함할 수 있다. 투시창(W)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되, 도어상면부(310)의 평면방향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투시창(W)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그 중 하나의 글라스(330)는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글라스(335)는 도어프레임(320)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형성된 투시창(W)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를 상부에서 내려다볼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에서의 음식물 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미니 오븐의 특성 상, 사용자의 얼굴보다 상당히 낮은 지점에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가 사용되는 빈도가 높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도어(300)의 상면에 형성된 투시창(W)은,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투시창(W)을 형성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는, 각각 서로 다른 구성, 즉 하나는 도어상면부(310)에 다른 하나는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되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투시창(W)의 내부에는 두 글라스(330,335) 사이의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이처럼 형성된 이격 공간에 형성된 공기층은, 조리실(105)에 직접 노출된 글라스(335)를 가열한 열이 최외측에 위치한 글라스(33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와 같이 이중창 구조로 제공된 투시창(W)은, 투시창(W)의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그리고 투시창(W)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김서림 발생 등을 상당 수준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 된다.
한편,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되, 상부에서 보았을 때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가 형성하는 가로방향의 평면 상에서,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가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1가열부(400)가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는 영역에 배치된다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투시창(W)을 통한 시야 확보에도 문제가 발생되며, 투시창(W) 부분의 온도 상승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인 도어전면부(350)의 형상을 감안하면,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제1가열부(400)가 배치되어야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그만큼 증가될 수 있고,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증가된 만큼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이로써 미관 유지, 시야 확보 유지, 투시창(W)의 온도 상승 억제,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과 같은 기능적 이점을 확보하기가 유리해질 수 있게 된다.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어상면부(310)가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한다면, 도어전면부(350)는 세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한다.
일례로서,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의 전방 단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 공간과 도어상면부(310)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도어전면부(350)와 도어상면부(31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어(300)는, 그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된 도어전면부(350)와 도어상면부(310)가 "ㄱ" 형상으로 일체로 연결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어전면부(350)에는, 입력부(360)와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공간부에는, 입력부(360)의 적어도 일부분과 제1제어기판(500)이 수용될 수 있다.
입력부(36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제어 조작을 위한 각종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360)는 제1가열부(400)의 온/오프나 화력 조절을 위한 조작 스위치, 제2가열부(600)의 온/오프나 화력 조절을 위한 조작 스위치, 제1가열부(400)나 제2가열부(600; 도 3 참조)의 동작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 조작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360)는 도어전면부(350)의 전면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입력부(360)를 직접 조작하여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제1제어기판(500)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된다. 제1제어기판(500)에는, 입력부(36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된다.
제1제어기판(500)은, 입력부(360), 제1가열부(400) 및 제2가열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제1제어기판(500)은, 입력부(360)와 마찬가지로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되어 입력부(360)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같은 도어(300) 상에 배치된 제1가열부(400)와도 상당히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360)는 제1제어기판(500) 상에 직접 장착된 형태로 제1제어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가열부(400)는 서로 연결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와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를 통해 설치되는 케이블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 제1제어기판(500)과 입력부(360)와 제1가열부(400)가 매우 근접하고 공간적으로 연결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기 위한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이들 간의 연결 구조도 매우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케이블장착부(340,3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장착부(340,345)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사이에 배치되되,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아울러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는, 연결부재(341)가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연결부재(341)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케이블장착부(340,345) 사이를 각각 연결한다. 즉 한 쌍의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연결부재(341)는, 투시창(W)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연결부재(341)의 결합체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장착부(340,345)가 설치된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된 케이블장착부(340,345)에는, 서로 연결된 도어상면부(310)의 내부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를 통해 제1제어기판(500)과 제1가열부(40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C1,C2)이 설치된다.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 중 어느 하나에는, 전원을 제1가열부(400) 및 제1제어기판(500)에 공급하는 전원케이블(C2)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 중 다른 하나에는, 제1제어기판(50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1가열부(400)에 전달하는 신호케이블(C1)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도어(300)에는, 투시창(W)을 중심으로 전후방향 양측에 제1가열부(400)가 각각 배치되고, 투시창(W)을 중심으로 좌우방향 양측에 전원케이블(C2)과 신호케이블(C1)이 각각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1가열부(400)와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의 배치 구조는, 제1가열부(400)와 힌지 어셈블리(800)의 배치 구조를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1가열부(400)는 그 발열체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힌지 어셈블리(800; 도 2 참조)는, 투시창(W)을 중심으로 좌우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은, 제1가열부(400)와 제1제어기판(500)과 같이 도어(300)에 배치된 구성들뿐 아니라, 제2제어기판(700; 도 21 참조) 등과 같이 하우징(100)에 배치된 구성들과도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를 되도록 노출되지 않게 통과하려면, 도어(300)와 하우징(100) 간의 유일한 연결 부분인 힌지 어셈블리(800)가 배치된 부분을 통과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일례로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 중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의 연결 구간은,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를 통과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의 구간에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조리기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을 파손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가열부(400)의 발열체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 됨을 고려하면,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은 되도록 발열체와 먼 측에 배치되면서도 발열체의 연장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가열부(40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영향이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에 미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또한 복수개의 제1가열부(400)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됨을 고려하면,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제1가열부(400)의 좌우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이 제1가열부(400)들을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로 연결하는데 유리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투시창(W)을 사이에 두고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서로 다른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전원케이블(C2)은 하우징(100)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 중 어느 하나의 내부를 통과하여 그와 인접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되고, 신호케이블(C1)은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 중 어느 다른 하나의 내부를 통과하여 그와 인접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케이블은 하우징(100)의 좌측에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를 통과하여 도어(300)의 좌측에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되고, 신호케이블(C1)은 하우징(100)의 우측에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를 통과하여 도어(300)의 우측에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케이블이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를 통해,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 작업을 위한 배선 작업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와 관련된 유지보수 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어 내부의 냉각 구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어상면부(310)의 내부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는 각각 공간부가 형성된다. 특히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된 투시창(W)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투시창(W)을 포함한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와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는, 서로 연결된다.
도어전면부(350)의 하단에는, 흡기구(301)가 형성된다. 흡기구(301)는, 도어전면부(350)의 하단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도어전면부(350) 상에 형성한다.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는, 배기구(303)가 형성된다. 배기구(303)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도어상면부(310) 상에 형성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냉각팬(3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냉각팬(370)은, 도어상면부(310)의 내부 또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냉각팬(370)이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는 도어상면부(310)에 투시창(W), 제1가열부(400) 등이 설치되어 있어 도어상면부(310)에 여유 공간이 부족함을 고려한 설계이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제1냉각팬(370)은, 외부 공기가 흡기구(301)를 통해 도어(300)의 내부로 유입되고 도어 내부의 공기가 배기구(30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킨다.
이처럼 제1냉각팬(370)에 의해 발생된 공기 흐름에 의해, 외부 공기가 흡기구(301)를 통해 도어전면부(350) 내부로 유입되고, 이처럼 도어전면부(350)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제1제어기판(500)을 냉각시킨다. 그리고 제1제어기판(500)을 냉각시킨 공기는, 도어상면부(310) 내부로 유입되어 투시창(W) 내부의 공간부를 통과한 후, 배기구(303)를 통해 도어(3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조리기기의 동작시, 제1제어기판(500)의 온도는 제1가열부(400)에 의해 가열된 투시창(W)의 온도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흡기구(301)를 통해 도어(30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제1제어기판(500)을 냉각시킨 공기는, 투시창(W)을 냉각시키기에 충분히 낮은 온도로 투시창(W) 내부를 통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냉각팬(370)에 의해 발생된 공기 흐름에 의해, 제1제어기판(500)에 대한 냉각과 투시창(W)에 대한 냉각이 충분히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도어(300) 내부의 냉각 구조에 의해, 제1제어기판(500) 등과 같은 도어(300) 내부의 부품들의 과열, 열화 발생이 억제됨으로써 조리기기의 고장, 성능 저하 등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도어(300)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가 투시창(W)을 구성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 간의 열 전달을 차단하여 투시창(W)의 과열 발생을 억제하므로, 사용자가 투시창(W)과 접촉하여 화상 등과 같은 부상을 입는 사고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트레이 인출 구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폐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ⅩⅥ-Ⅹ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배치된다. 트레이(200)는 도어(300)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이동은 힌지 어셈블리(800)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트레이(200)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납작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트레이(200)의 저면은 하우징(100)의 저면(110)에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면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트레이(200)의 네 측면은 트레이(200)의 저면 테두리로부터 각각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트레이(200)의 네 측면 중 하우징(100)의 좌우방향 양측면과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에는, 거치부(210)가 각각 마련된다. 거치부(210)는, 트레이(200)의 측면 상단부에서 트레이(2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211)와, 제1돌출부(211)의 외측 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돌출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부(210)는, 제1돌출부(211)와 제1돌출부(213)가 "ㄱ" 형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200)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된 거치부(210)에는, 거치홈(215)이 각각 형성된다. 거치홈(215)은, 거치부(2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돌출부(213)가 하단으로부터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홈(215)에는 후술할 거치돌기(820)가 끼워질 수 있으며, 이러한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트레이(200)와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트레이(200)에는, 물받이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물받이홈(220)은, 트레이(200)의 네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받이홈(220)이 트레이(200)의 전방에 위치한 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물받이홈(220)은, 트레이(200)의 측면 상단에서 하부로 오목하게 패여진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받이홈(220)에는 물이 담겨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물받이홈(220)에 담겨진 물은, 조리실(105) 내부 또는 트레이(200)가 가열되었을 때 증발되어 조리실(105) 내에 작용하는 스팀으로 제공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 개방시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트레이(200)를 조리실(105) 내부로부터 전방으로 인출시킨다. 또한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 폐쇄시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트레이(200)를 조리실(105) 내부를 향해 후방으로 삽입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힌지 어셈블리(800)는 트레이(200)의 좌우방향 양측 외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하우징(100)의 좌우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힌지 어셈블리(800)는 힌지부(810)와 및 거치돌기(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부(810)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과 힌지 결합되게 마련된다. 힌지부(810)는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연결부재는 힌지를 이용한 연결, 회전방향의 움직임을 직선방향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랙앤피니언(Rack & pinion) 또는 캠을 이용한 연결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힌지부(810)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연결부재들은 힌지케이스(8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과 직접 연결되는 연결부재는 힌지케이스(830)의 외부로 노출되어 힌지케이스(830)의 외부에서 도어상면부(310)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힌지케이스(830)의 내부에 수용된 연결부재들 중 말단에 위치한 연결부재는 거치돌기(8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는 힌지부(810)는,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태가 변화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300)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힌지부(810)가 도어(300)의 회동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거치돌기(8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선방향의 힘으로 변환시킬 수 있게 연결부재들의 상태가 변화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힌지부(810)는, 도어(300)의 회동에 의해 연결부재들의 상태가 변화되고 이처럼 상태가 변화된 연결부재들이 거치돌기(8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및 트레이(200)와 마주보는 힌지케이스(830)의 일측면에는 제1슬롯(83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슬롯(835)은, 힌지케이스(830)의 일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슬롯(835)은, 힌지케이스(830)의 내부에서 힌지부(810)의 연결부재 중 하나와 연결된 거치돌기(820)가 힌지케이스(83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통로, 및 이러한 거치돌기(8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힌지케이스(830) 상에 형성한다.
거치돌기(820)는, 힌지케이스(830)의 내부에서 힌지부(810)의 연결부재 중 하나와 연결되며, 힌지케이스(830) 상에 형성된 제1슬롯(835) 및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2슬롯(125)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제2슬롯(125)은,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되되, 제1슬롯(835)과 중첩되는 위치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돌기(820)에는, 트레이(200)가 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200)는 트레이(200)의 측부에 형성된 거치홈(215)에 거치돌기(820)가 끼워짐에 의해 거치돌기(820)에 거치될 수 있다.
트레이(200)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된 거치부(210)에는, 거치홈(215)이 각각 형성된다. 거치홈(215)은, 거치부(2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돌출부(213)가 하단으로부터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홈(215)에는 후술할 거치돌기(820)가 끼워질 수 있으며, 이러한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트레이(200)와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거치돌기(820)는, 힌지부(810)의 상태 변화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돌기(820)는, 거치돌기(820)에 거치된 트레이(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거치돌기(820)에 거치된 트레이(200)는, 거치돌기(820)의 전후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일 때, 트레이(200)는 조리실(105)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트레이(200)가 거치된 거치돌기(820)는 조리실(105)의 후방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개방하기 위해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면, 이러한 도어(300)의 회동에 의한 회전력은 힌지 어셈블리(800)의 힌지부(810)의 상태를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거치돌기(82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트레이(200)는, 이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거치돌기(82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트레이(200)가 자동으로 인출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쉽고 안전하게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트레이(200)에 놓거나 조리가 완료되어 트레이(200)에 놓여진 음식물을 트레이(200)에서 꺼낼 수도 있고, 전방으로 인출된 트레이(200)를 조리실(105) 내부에서 손쉽게 꺼내어 옮길 수도 있게 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가 조리실(105)의 전면과 상면을 모두 개방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300)가 조리실(105)의 전면만을 개방하거나 상면만을 개방하는 경우에 비해 훨씬 확장된 통로를 통해 음식물이나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에 삽입하거나 조리실(105)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음식물이나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에 삽입하거나 조리실(105)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확장된 통로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어(300) 개방시 트레이(200)가 자동으로 인출되어 음식물이나 트레이(200)의 인출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트레이(200)가 거치돌기(820)에 거치되어 있는 상태이기만 하면 도어(300) 폐쇄시 트레이(200)가 자동으로 조리실(105) 내부로 삽입되는 기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조리가 이루어지는 도중 트레이(200)를 꺼냈다가 다시 조리실(105)에 넣고자 할 때, 열기가 가득한 조리실(105) 내부에 손을 집어넣을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도어(300)가 전방으로 펼쳐지지 않고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며 개방되므로, 도어(300)의 개방시에도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릴 우려가 적다. 오히려, 도어(300) 개방시에는 도어(300) 폐쇄시보다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300) 개방시에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구조에서는, 도어(300) 개방시에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서는 트레이(200)의 중량을 증가시키기가 용이한데, 트레이(200)의 중량을 증가시키더라도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낮기 때문이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는 구조에 비해 훨씬 두껍고 무거운 트레이(2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트레이(200)가 두껍고 무게가 많이 나갈수록 고온 조리 성능이 향상되고 오랫동안 온기를 유지하기가 쉬워지므로, 트레이(200)가 두껍고 무거워질수록 그만큼 향상된 조리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유도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트레이(200)는 통상의 트레이에 비해 무게가 많이 나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통상의 트레이에 비해 훨씬 두껍고 무거운 트레이(200)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제2가열부(600)가 유도가열부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도 이에 적합한 트레이(200)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제2가열부과 수신코일 및 제2제어기판의 구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제2가열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제2가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온도센서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21은 도 17에 도시된 제2제어기판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과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제2가열부(600)는 트레이(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2가열부(60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설치되며, 제1가열부(400)와 다른 가열방식으로 트레이(200)를 가열하는 가열부, 예를 들면 유도가열부 형태로 제공된다. 유도가열부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설치되는 워킹코일(610)을 포함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트레이(200)의 하부에서 트레이(200)의 가열을 유도할 수 있다.
워킹코일(610)은, 코일설치베이스(61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설치베이스(611)가 트레이(200)의 형상에 가까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는 트레이(200)의 전체 영역이 워킹코일(61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워킹코일(610)의 크기와 형상을 트레이(200)의 형상에 가깝게 한 설계의 결과이다.
코일설치베이스(611)에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을 기준으로 코일(613)이 설치될 수 있는 나선형의 홈이 마련되고, 이 나선형의 홈에 코일(613)이 수용되며 코일설치베이스(611) 상부에 촘촘하게 감겨져 고정된다. 코일(613)의 단부에는, 상기 코일(613)을 제어하기 위한 코일제어PCB와 연결되는 코일연결배선(615)이 구비된다.
아울러 제2가열부(600)는, 수신코일(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코일(620)은, 무선으로 전송된 전원을 수신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으로서, 제2가열부(60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수신코일(620)의 하부에는 베이스(180)가 배치된다. 베이스(18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결합되어 수신코일(620)의 하부에서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등을 지지하는 한편, 조리기기의 저면 외관을 형성한다.
수신코일(620)은, 워킹코일(610)과 마찬가지로 코일설치베이스(621)와 코일(6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신코일(620)의 코일설치베이스(621)는, 워킹코일(610)의 코일설치베이스(611)와 다르게 대략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수신코일(620)의 형상을 쿡탑(Cooktop)에 구비된 유도가열부의 워킹코일의 형상에 가깝게 형성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코일(620)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와 별개로 구비되는 다른 조리기기, 즉 쿡탑의 유도가열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게 마련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쿡탑에 올려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조리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은 쿡탑의 유도가열부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를 쿡탑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쿡탑의 워킹코일과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를 함께 동작시키면, 쿡탑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수신코일(6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에는, 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쿡탑의 워킹코일에서 변화하는 자기장을 통해 수신코일(620) 쪽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쿡탑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수신코일(6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신코일(620)의 전력 수신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를 쿡탑에 올리되, 수신코일(620)의 위치와 쿡탑의 유도가열부에 구비된 워킹코일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게 올려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유도가열부에는,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기차폐판(6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자기차폐판(630)은, 금속재질의 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차폐판(630)은,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사이에 배치되어 워킹코일(610)에 의한 EMI가 수신코일(620)에 영향을 미치거나 수신코일(620)에 의한 EMI가 워킹코일(610)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수신코일(620)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쿡탑의 유도가열부로부터 무선을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거추장스러운 전원케이블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심플하고 깔끔한 외관으로 제공될 수 있고, 쿡탑에 조리기기를 올려놓기만 하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수신코일(620)은, 도 17과 도 18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의 후방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쿡탑의 워킹코일로부터 수신코일(620)로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은, 수신코일(6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제어기판(700) 측으로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의 내부 공간과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배치된 유도가열부의 워킹코일(610)과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은, 서로 연결된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의 내부 공간과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의 내부 공간을 통해 워킹코일(610)과 제2제어기판(70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제어기판(700)에는, 제2가열부(600)의 유도가열부 등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처리부가 마련된다. 전원처리부는, 수신코일(620)과 연결되어 수신코일(6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전원을 제2가열부(600) 등에서 이용되기에 적합한는 형태로 처리한다. 이러한 전원처리부는 노이즈필터 PCB(7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제어기판(700)에는 워킹코일(6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코일제어 PCB(72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노이즈필터 PCB(710)는 워킹코일(610)에 공급하고자 하는 전원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고, 코일제어 PCB(720)는 워킹코일(6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코일제어 PCB(720)에는 워킹코일(6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칩, 예를 들면 IGBT(725)와 같은 칩이 실장될 수 있다.
IGBT(725)는, 온도 관리가 필요한 고발열칩의 일종으로서,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과승되면 워킹코일(610)을 제어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2제어기판(700)에는 제2냉각팬(730)이 설치된다. 제3냉각팬(730)은, 하우징(100)의 외부 공간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IGBT(725) 측으로 배출하는 시로코 팬일 수 있다.
제3냉각팬(730)은, IGBT(725)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배후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IGBT(725)를 향한 측방을 향해 배출할 수 있다.
제3냉각팬(730)을 통해 하우징(100)의 배면 배후의 공간부에 유입된 공기는, 먼저 IGBT(725) 및 이를 냉각하기 위한 히트싱크(726)와 접촉하며 이들을 냉각하고, 노이즈필터 PCB(710) 부분을 냉각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2가열부(700)는,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측정모듈(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측정모듈(640)은, 트레이의 온도 또는 트레이가 배치된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온도측정모듈(640)은, 워킹코일(61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측정모듈(640)은 코일설치베이스(611) 상에서 코일(613)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 예를 들면 코일설치베이스(611)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측정모듈(640)은, 코일설치베이스(61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워킹코일(6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된 온도측정모듈(640)은, 서미스터(Thermistor) 등과 같은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배치되어 트레이의 온도 또는 트레이가 배치된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 제2가열부, 제2제어기판, 투시창, 제1가열부, 입력부, 제1제어기판의 배치 관계]
도 3과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에는 힌지 어셈블리(800)와 제2가열부(600) 및 제2제어기판(700)이 배치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조리실(105)이 형성되며,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트레이(200)를 가열하기 위한 제2가열부(600)가 배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양측부에는 도어(3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각각 배치된다.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300)의 양측에서 도어(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배치된다. 또한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트레이(200)를 인출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이 힌지 어셈블리(800)가 트레이(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트레이(200)와 결합되기 위해서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배치된다.
즉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트레이(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트레이(200)와의 결합을 이루기 위해,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배치되어야 한다.
게다가 하우징(100)의 상면 및 전면은 개방되어 있고,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제2가열부(60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배후나 양측부에 배치될 수밖에 없다. 그 중에서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힌지 어셈블리(800)가 배치되는 것이 상기한 이유들로 인해 여러모로 유리하다.
수신코일(620)은, 하우징(100)의 하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가열부(6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수신코일(620)은 무선 전력 전송을 하는 대상, 예를 들면 쿡탑의 워킹코일과 가장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수신코일(620)의 배치 위치는 하우징(100)의 하부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신코일(620)이 제2가열부(600)의 워킹코일(610)과 함께 하우징(100)의 하부에 배치되면, 워킹코일(610) 또는 수신코일(620)의 EMI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사이에는 전자기차폐판(6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제어기판(700)은, 수신코일(620)을 통한 전력 수신과 워킹코일(610)의 동작과 밀접하게 관련된 구성이므로, 수신코일(620) 및 워킹코일(610)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제2가열부(600) 및 수신코일(620)이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100)의 양측부에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제2제어기판(700)의 배치에 가장 적합한 위치는 후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2제어기판(700)은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의 공간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제2제어기판(700)은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2제어기판(700)과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을 연결하는 배선을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우징(100)의 후방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의 위치는 각각의 힌지 어셈블리(800)와도 가까운 위치이다. 이에 따라 도어(300)에 배치된 구성들과 제2제어기판(700) 사이를 연결하는 배선을 구성할 때 이 배선들을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에 쉽게 숨길 수 있게 되므로, 배선이 외부로 잘 노출되지 않게 배선의 구성을 깔끔하고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가열부(600)과 수신코일(620)과 힌지 어셈블리(800) 및 제2제어기판(700)은, 하우징(100)의 하부와 양측부 및 배후에 각각 배치된다. 이들 구성은, 도어(300)보다는 하우징(100)에 배치되기에 더 적합한 구성들이며, 각각 최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구조적 안정성이 높으며 배선의 구성을 깔끔하고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서로 간의 간섭을 효율적으로 피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한편,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어(300)에는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와 입력부(360) 및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된다. 이들 구성은, 그 기능상 하우징(100)보다는 도어(300)에 배치되는 것이 더 적합한 구성들이다. 하우징(100)에 이미 여러 다른 구성들이 배치되어 있어 그 외에 다른 구성이 더 배치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도, 상기 구성들의 배치 위치는 하우징(100)보다는 도어(300) 측인 것이 더 적합하다.
투시창(W)은,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시선보다 낮은 위치에서 사용되는 미니 오븐의 형태로 제공되는 조리기기의 특성을 고려하면, 투시창(W)은 조리기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보다는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투시창(W)은, 도어(300)의 상부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 이때 투시창(W)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조리실(105) 내부에 대한 시야 확보에 유리하지만, 투시창(W)의 크기는 제1가열부(400) 및 케이블장착부(340,345)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도어상면부(310)에 확보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과 마찬가지로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 이는 제1가열부(400)가 트레이(200)를 사이에 두고 제2가열부(600)와 마주보는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즉 제1가열부(400)는, 트레이(200)보다 상부에 배치되기 위해 도어상면부(310) 상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투시창(W)과 함께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400)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만약 제1가열부(400)가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는 영역에 배치된다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투시창(W)을 통한 시야 확보에도 문제가 발생되며, 투시창(W) 부분의 온도 상승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인 도어전면부(350)의 형상을 감안하면,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제1가열부(400)가 배치되어야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그만큼 증가될 수 있고,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증가된 만큼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이로써 미관 유지, 시야 확보 유지, 투시창(W)의 온도 상승 억제,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과 같은 기능적 이점을 확보하기가 유리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됨에 따라,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이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에 의해 점유된다. 그리고 입력부(360) 및 제1제어기판(500)은,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이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에 의해 점유되는 상태를 고려하면, 도어상면부(310)에서는 입력부(360)가 설치될만한 공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만약 입력부(36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면, 도어(300)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조리기기의 상부에 위치한 장애물과 입력부(360) 간의 충돌이 발생되어 입력부(360)가 파손될 위험성이 있다. 특히 입력부(360)가 도어(300)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면, 이러한 위험성은 더 커지게 된다.
또한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 도어상면부(310)는, 도어전면부(350)에 비해 온도가 높을 가능성이 높다. 입력부(36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구성임을 감안하면, 이러한 입력부(36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었을 때에는 입력부(360)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도어상면부(310)의 뜨거운 부분과 접촉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될 것이다. 즉 입력부(36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면, 입력부(360)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을 입을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입력부(360)는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 입력부(360)가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조리기기의 전방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어전면부(350)에는, 입력부(360) 외에도 제1제어기판(500)도 함께 배치된다. 제1제어기판(500)에는, 입력부(36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된다. 따라서 제1제어기판(500)은, 특히 입력부(3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제어기판(500)은 입력부(360)와 마찬가지로 도어전면부(350)에 설치되어 입력부(360)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부(360)를 제1제어기판(500)에 직접 연결하는 형태로 입력부(36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연결이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매우 간결하고 안정적인 입력부(360)와 제1제어기판(500)의 연결 구조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제어기판(500)은, 발열 부품인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가열부(400)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한 영향에서도 어느 정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가열부(400)가 작동 중일 때 발생되는 열이 제1제어기판(500)에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감소될 수 있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안정성 및 동작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05 : 조리실
110 : 저면
120,130 : 측면
125 : 제2슬롯
140 : 배면
150 : 배면케이스
160 : 절연판
170 : 캐비닛
180 : 베이스
200 : 트레이
210 : 거치부
211 : 제1돌출부
213 : 제2돌출부
215 : 거치홈
220 : 물받이홈
300 : 도어
301 : 흡기구
303 : 배기구
305 : 손잡이
310 : 도어상면부
320 : 도어프레임
330,335 : 글라스
340,345 : 케이블장착부
341 : 연결부재
350 : 도어전면부
360 : 입력부
370 : 제1냉각팬
400 : 제1가열부
500 : 제1제어기판
600 : 제2가열부
610 : 워킹코일
611 : 코일설치베이스
613 : 코일
615 : 코일연결배선
620 : 수신코일
621 : 코일설치베이스
623 : 코일
630 : 전자기차폐판
640 : 온도측정부
700 : 제2제어기판
710 : 노이즈필터 PCB
720 : 코일제어 PCB
725 : IGBT
726 : 히트싱크
730 : 제2냉각팬
800 : 힌지 어셈블리
810 : 힌지부
820 : 거치돌기
830 : 힌지케이스
835 : 제1슬롯
W : 투시창

Claims (21)

  1. 저면과 양측면과 배면으로 둘러싸인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도어상면부 및 상기 도어상면부의 전방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도어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을 가열하는 제1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내부와 상기 도어전면부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도어상면부 내부의 공간부와 상기 도어전면부 내부의 공간부가 서로 연결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도어상면부에 설치되는 전기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며 서로 연결된 상기 도어상면부 내부의 공간부와 상기 도어전면부 내부의 공간부를 통해 상기 제1가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제어기판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도어상면부에 설치되는 전기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입력부, 및 상기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제1제어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기판은, 서로 연결된 상기 도어상면부 내부의 공간부와 상기 도어전면부 내부의 공간부를 통해 상기 입력부 및 상기 제1가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리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투시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도어상면부에 설치되며,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투시창을 통해 노출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투시창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제1제어기판, 및 상기 투시창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장착부에는, 서로 연결된 상기 도어상면부 내부의 공간부와 상기 도어전면부 내부의 공간부를 통해 상기 제1제어기판과 상기 제1가열부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설치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케이블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전원을 상기 제1가열부 및 상기 제1제어기판에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투시창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케이블장착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제어기판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1가열부에 전달하는 신호케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전원케이블과 상기 신호케이블은, 상기 투시창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2제어기판, 및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와 상기 하우징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도어의 회동을 지지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케이블 및 상기 신호케이블은, 상기 힌지 어셈블리의 내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도어 사이를 통과하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전원케이블은,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의 내부를 통과하고,
    상기 신호케이블은,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 중 다른 하나의 내부를 통과하는 조리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투시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시창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도어상면부에 설치되는 전기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입력부, 및 상기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제1제어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전면부 내부의 공간부에는, 상기 입력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제1제어기판이 수용되고,
    상기 도어전면부 내부의 공간부와 상기 투시창 내부의 공간부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도어전면부의 하단에는, 도어전면부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단에는, 상기 투시창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외부 공기가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도어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도어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입력부; 및
    상기 도어전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제어기판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부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는 유도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 하부의 내부 공간과 상기 하우징의 배면 배후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되며 서로 연결된 상기 하우징의 저면 하부의 내부 공간과 상기 하우징의 배면 배후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유도가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제어기판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부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저면 상부를 유도 가열하는 워킹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기판은, 상기 워킹코일을 제어하는 칩, 및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처리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무선으로 전송된 전원을 수신하는 수신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코일은 상기 제2제어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리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저면 상부를 유도 가열하는 워킹코일과 상기 수신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기차폐판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에 배치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시 상기 도어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기 트레이를 상기 조리실 내부로부터 전방으로 인출시키고 상기 도어 폐쇄시 상기 도어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기 트레이를 상기 조리실 내부를 향해 후방으로 삽입시키는 힌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방측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태가 변화되는 힌지부; 및
    상기 트레이가 거치되고, 상기 힌지부의 상태 변화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트레이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거치돌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배치되는 제2가열부, 및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가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제어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거치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조리실 내부로 돌출되는 조리기기.
  21. 삭제
KR1020190041611A 2019-01-11 2019-04-09 조리기기 KR102572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611A KR102572684B1 (ko) 2019-01-11 2019-04-09 조리기기
EP21191037.7A EP3926240A1 (en) 2019-01-11 2020-01-10 Cooking appliance
PCT/KR2020/000456 WO2020145717A1 (ko) 2019-01-11 2020-01-10 조리기기
AU2020206080A AU2020206080B2 (en) 2019-01-11 2020-01-10 Cooker
CN202080008428.4A CN113286972B (zh) 2019-01-11 2020-01-10 烹饪设备
EP20151090.6A EP3680556B1 (en) 2019-01-11 2020-01-10 Cooking appliance
US16/739,437 US11519609B2 (en) 2019-01-11 2020-01-10 Cooking appliance
US17/981,916 US11971176B2 (en) 2019-01-11 2022-11-07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169 2019-01-11
KR1020190041611A KR102572684B1 (ko) 2019-01-11 2019-04-09 조리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169 Division 2019-01-11 2019-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651A KR20200087651A (ko) 2020-07-21
KR102572684B1 true KR102572684B1 (ko) 2023-08-29

Family

ID=6915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611A KR102572684B1 (ko) 2019-01-11 2019-04-09 조리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519609B2 (ko)
EP (2) EP3680556B1 (ko)
KR (1) KR102572684B1 (ko)
CN (1) CN113286972B (ko)
AU (1) AU2020206080B2 (ko)
WO (1) WO20201457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82522B1 (es) * 2017-03-20 2019-07-29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Sa Dispositivo de aparato domestico
CN111434293B (zh) 2019-01-11 2023-01-06 Lg电子株式会社 烹饪设备
EP4000480A1 (en) * 2020-11-24 2022-05-25 Koninklijke Philips N.V. Steam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EP4019852A1 (en) * 2020-12-24 2022-06-29 Koninklijke Philips N.V. Steam cooking apparatus
CN113974451A (zh) * 2021-11-18 2022-01-28 锐莫(佛山)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多用途卧式烹饪器具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8173A (en) * 1960-07-22 1963-10-22 Lakeshire Products Inc Infra-red heating apparatus
US3535999A (en) 1968-07-01 1970-10-27 Scovill Manufacturing Co Convertible cooking device with sloping spit
GB1495691A (en) 1974-03-23 1977-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icrowave oven
US3971307A (en) * 1975-08-14 1976-07-27 Wyott Corporation Deep fat fryer
JPS5326263A (en) 1976-08-24 1978-03-10 Kobe Steel Ltd Denitrating apparatus for exhaust gas
US4637373A (en) 1983-11-16 1987-01-20 Sanyo Electric Co., Ltd. Oven
FR2579869A1 (en) 1985-04-04 1986-10-10 Sarfati Richard Installation for manufacturing pizzas or the like
AU733355B2 (en) * 1991-05-14 2001-05-10 Patentsmith Ii, Inc. Microwave turntable convection heater
JPH0634137A (ja) 1992-07-21 1994-02-08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レンジ
KR940025187U (ko) 1993-04-19 1994-11-17 전자렌지 캐비티 본체의 조립구조
KR960005773B1 (ko) 1993-12-28 1996-05-01 대우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의 도어 및 트레이 자동개폐구조
JP3363239B2 (ja) 1994-03-23 2003-01-0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誘導加熱装置
KR970011605A (ko) 1995-08-04 1997-03-27 김광호 가스오븐렌지의 냉각장치
KR100227978B1 (ko) 1996-09-19 1999-11-01 구자홍 가스기기용 조절노브
KR100247614B1 (ko) 1997-12-10 2000-03-15 전주범 가열 조리기의 양면 그릴
KR20040061559A (ko) * 2002-12-31 2004-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서리부가 강화된 전자레인지
CN100460765C (zh) 2004-07-14 2009-02-11 田北技研株式会社 电热炉
KR20060044217A (ko) 2004-11-11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오븐
KR20060062202A (ko) * 2004-12-03 2006-06-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스윙 도어를 갖는 전자렌지
WO2007035068A1 (en) 2005-09-23 2007-03-29 Lg Electronics Inc. Fermenter and microwave oven having the same, their controlling method
KR20080024025A (ko) * 2006-09-12 2008-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080035396A (ko) 2006-10-19 200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도어
KR200450168Y1 (ko) * 2007-12-11 2010-09-08 권혁 전기 양면 구이 그릴
KR100999786B1 (ko) 2007-12-14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437981B1 (ko) 2008-01-02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
EP2116829B1 (en) 2008-05-08 2016-09-07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Temperature treatment device for active temperature treatment of a substance
CN101660784A (zh) * 2008-08-29 2010-03-0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微波炉
US20100178407A1 (en) 2008-12-31 2010-07-15 Rizzuto Leandro P Oven and method for cooking with dry heat and steam heat
KR101590639B1 (ko) * 2009-07-20 2016-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1039362A1 (de) 2009-10-02 2011-04-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ürvorrichtung für ein hausgerät, hausgerät mit einer derartigen tür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betätigen einer türvorrichtung für ein hausgerät
KR101251036B1 (ko) 2011-06-21 2013-04-04 (주)뮤트로닉스 자석을 이용한 밀폐구조용 수동회전 노브 장치
JP5799424B2 (ja) * 2011-06-21 2015-10-28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電熱加熱調理器
US9492031B2 (en) * 2012-02-15 2016-11-15 Pedro A. Diaz Versatile outdoor oven and grill
US9689575B2 (en) * 2014-04-30 2017-06-27 Grill-Top, Inc. Indoor grill
ITUB20154681A1 (it) 2015-10-15 2017-04-15 Bertos Spa Dispositivo di comando per elettrodomestici, in particolare per forni o piani di cottura
ITUB20155043A1 (it) 2015-10-19 2017-04-19 Piron S R L Forno per la cottura di prodotti alimentari
KR101774139B1 (ko) * 2016-01-15 2017-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선반 가이드 및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KR20190095332A (ko) * 2016-12-22 2019-08-14 콴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로컬 프로파일링을 위한 방법 및 개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방법
KR102599903B1 (ko) 2017-01-03 2023-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JP6403127B2 (ja) 2017-01-11 2018-10-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20180095332A (ko) 2017-02-17 201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테이블 및 그 동작 방법
KR101881339B1 (ko) 2017-06-01 2018-08-24 주식회사 디지티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CN107166455B (zh) 2017-06-30 2019-08-23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26240A1 (en) 2021-12-22
EP3680556A1 (en) 2020-07-15
US20200224882A1 (en) 2020-07-16
CN113286972B (zh) 2024-02-13
CN113286972A (zh) 2021-08-20
US11971176B2 (en) 2024-04-30
KR20200087651A (ko) 2020-07-21
EP3680556B1 (en) 2021-09-29
WO2020145717A1 (ko) 2020-07-16
AU2020206080B2 (en) 2023-05-18
US20230057784A1 (en) 2023-02-23
AU2020206080A1 (en) 2021-08-26
US11519609B2 (en)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684B1 (ko) 조리기기
KR102572685B1 (ko) 조리기기
EP3680555B1 (en) Cooking appliance
KR102575310B1 (ko) 조리기기
EP3680557B1 (en) Cooking appliance
KR20220168100A (ko) 조리기기
EP3973828B1 (en) Cooking appliance
KR102213630B1 (ko) 조리기기
KR102522669B1 (ko) 조리기기
KR20200087653A (ko) 조리기기
KR20200087652A (ko) 조리기기
KR20220168097A (ko) 조리기기
KR20220168098A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