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139B1 - 선반 가이드 및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 Google Patents

선반 가이드 및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139B1
KR101774139B1 KR1020160005211A KR20160005211A KR101774139B1 KR 101774139 B1 KR101774139 B1 KR 101774139B1 KR 1020160005211 A KR1020160005211 A KR 1020160005211A KR 20160005211 A KR20160005211 A KR 20160005211A KR 101774139 B1 KR101774139 B1 KR 101774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bent
guide
side plate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5727A (ko
Inventor
구자언
김학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5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139B1/ko
Publication of KR20170085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2Co-operating with a door, e.g. operated by the d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ndcart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 가이드 및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에 관한 것으로, 조리 공간을 형성하며, 회동되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선반 가이드; 상기 선반 가이드에 양단이 수용되어 상기 캐비티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선반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 가이드는, 상기 캐비티에 전후 이격 배치된 가이드 장착홀에 양단이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양단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홀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반 가이드 및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 Shelf guide and oven with the shelf guide }
본 발명은 선반 가이드 및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븐(오븐레인지)는 조리 공간의 내부에 조리를 위한 식품을 넣고 도어를 닫아 조리 공간을 밀폐시킨 후 가열 조리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오븐은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조리 공간의 내부에 식품을 넣어 조리하게 된다. 그리고, 조리 공간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놓이는 선반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반은 조리 공간의 내부에 제공되는 다수의 안착 구조에 의해 원하는 높이에 장착되어 조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통상 상기 조리 공간의 내부에 장착되는 선반의 경우 조리물을 용이하게 넣거나 꺼내기 위해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슬라이딩 인출입 구조를 위해서는 상기 오븐의 좌우 양측 벽면에 성형단을 형성하거나 와이어 형상의 소재로 성형된 가이드가 구비되어 상기 선반을 인출입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미국공개특허 US2010/0155552 에는 오븐의 조리 공간의 좌우 벽면에 다수의 가이드(G)와 글라이딩 프레임(S1)이 다양한 높이에 구비되고, 선반(R)이 원하는 높이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슬라이딩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인출식 오븐 쉘프에 대한 지지체와 슬라이딩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전체적인 가이드와 글라이딩 프레임의 크기가 커 재료비와 운반비가 과도하게 큰 문제가 있다.
그리고, 다수의 가이드 및 글라이딩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좁아 오븐 내부의 청소 작업시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좁은 간격의 다수의 가이드 및 글라이딩 프레임 사이의 청소시 사용자의 손이 끼거나 부딪히는 등 사용자의 부상이 우려되는 안전 사고의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선반의 인출입을 가이드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크기가 작은 소형 구조로 제공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선반 가이드 및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오븐 내부의 청소성이 향상되는 선반 가이드 및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 실시 예는 청소 또는 선반의 분리 장착시 사용자의 안전이 보장되는 선반 가이드 및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인출입되는 선반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선반 가이드 및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은, 조리 공간을 형성하며, 회동되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선반 가이드; 상기 선반 가이드에 양단이 수용되어 상기 캐비티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선반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 가이드는, 상기 캐비티에 전후 이격 배치된 가이드 장착홀에 양단이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양단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배면 양측에는 링크 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링크 브라켓과 상기 선반 어셈블리를 연결하며,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선반 어셈블리를 인출입 시키는 링크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선반 연결부와, 상기 링크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라켓 연결부와, 상기 선반 연결부와 상기 브라켓 연결부를 연결하는 링크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상기 링크 로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 장착홀에 삽입되도록 절곡된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홀더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이격시키는 제 1 절곡부와; 상기 제 1 절곡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 2 절곡부와; 상기 제 2 절곡부의 단부에서 상기 가이드 장착홀을 관통하도록 절곡되는 제 3 절곡부와; 상기 제 3 절곡부에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 4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절곡부와 제 4 절곡부는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절곡부는 라운드 또는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되, 상기 선반 가이드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절곡부와 제 4 절곡부가 각각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장착홀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를 지지하는 플렌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플렌지부와 접하는 위치에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렌지부에 안착되는 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반가이드는, 한쌍의 상기 삽입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반 가이드는, 상기 고정부와 삽입부를 연결하며, 상기 홀더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이격 배치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부재의 체결을 위해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개구된 가이드 고정홀의 외측을 따라 절곡되는 구속부와; 상기 구속부의 양단을 상기 연결부의 단부와 연결하되, 상기 구속부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밀착되도록 연장되는 제 5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고정홀에는,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 너트와 결합되는 아우터 체결부와, 상기 구속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사이드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체결되는 이너 체결부로 구성되는 체결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부재보다 더 상기 캐비티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에는, 상기 선반과 접하여 상기 선반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며,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슬라이드 가이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의 상하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홀더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압입되는 결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선반 가이드는, 오븐 캐비티의 양측면에 개구된 가이드 장착홀에 삽입되는 한쌍의 삽입부; 상기 한쌍의 삽입부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캐비티와 접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에 체결되는 결합부재; 상기 한쌍의 삽입부와 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결합부재보다 더 상기 캐비티와 이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캐비티 내부에 구비되어 음식물이 안착되는 선반 어셈블리가 인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양단을 수용하는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서 절곡되며, 상기 연결부를 상기 캐비티로부터 이격시키는 제 1 절곡부와; 상기 제 1 절곡부에서 절곡되며, 상기 캐비티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 2 절곡부와; 상기 제 2 절곡부에서 절곡되며, 상기 가이드 장착홀을 관통하는 제 3 절곡부와; 상기 제 3 절곡에서 절곡되며, 상기 캐비티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제 4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절곡부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절곡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평면 형상의 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면은 상기 가이드 장착홍의 둘레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렌지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서 상기 캐비티를 향하여 절곡되는 제 5 절곡부와; 상기 제 5 절곡부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캐비티에 개구된 가이드 고정홀의 외측을 따라 절곡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구속부를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에 체결되며, 상기 제 5 절곡부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결합부재보다 더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선반 가이드는 캐비티의 양측에 구비되며, 선반의 양단을 지지하여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프레임과 홀더로된 간단한 구조를 가지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소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선반 가이드는 삽입부가 상기 캐비티의 양측에 삽입되고,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부가 상기 캐비티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 가이드의 탈거와 부착이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며, 선반 가이드의 분리를 통해 상기 캐비티 내부의 청소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선반 가이드는 분리가 용이하여 상기 캐비티의 청소시 간단하게 분리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분리 후 청소를 하여 캐비티의 청소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선반 가이드는 단일 구성으로 되어 있어 선반의 분리 장착시에도 사용자의 신체가 끼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낮은 이점이 있다.
넷째, 상기 선반과 상기 도어를 연결하는 링크부재에 의해 상기 선반이 슬라이딩 인출입될 때 상기 선반 가이드는 선반의 양단을 지지하여 상기 선반이 원활하게 슬라이딩 인출입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선반 가이드는 홀더의 내부에 플라스틱 소재의 슬라이딩 가이드가 구비되어 상기 선반의 슬라이딩이 보다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선반 가이드는 양단이 상기 삽입부에 고정되고, 다수의 절곡부에 의해 상기 캐비티의 내외측에서 밀착 지지되며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도어 개방시 상기 선반 또는 선반 가이드가 유동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상기 선반의 인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오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오븐의 도어가 개방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선반 가이드 및 선반의 장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선반 가이드와 선반 사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선반 가이드의 장착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선반 가이드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7-7'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8-8'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도어의 개방이 진행 중인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오븐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도어의 하단을 축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동 되어 개방되는 조리기기들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오븐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오븐의 도어가 개방된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오븐(1)은 내부에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제공되어 조리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도어(20),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식품의 조리가 가능한 탑버너(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본체(1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식품의 가열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티(6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60)는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을 제외한 상기 조리 공간의 나머지 상/하/좌/우측면 그리고 후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캐비티(60)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도어(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힌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23)는 상기 도어(20)의 하단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20)가 회동에 의해 상기 캐비티(6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캐비티(60)의 개구된 전면의 둘레에는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밀착되어 상기 캐비티(60) 내부를 기밀시키는 가스켓(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60)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20)의 적어도 일부에는 투시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전면 상단에는 상기 도어(20)의 회동 조작을 위한 손잡이(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배면에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링크부재(90)가 장착되는 링크 브라켓(24)이 구비된다. 상기 링크 브라켓(24)은 상기 도어(20)의 배면 하단에 구비되며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상기 캐비티(60)와 구분된 별도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하부에 제공되는 별도의 공간에는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드로워(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0)의 내부에는 식품 또는 조리용 기구들의 수납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에 별도의 히터가 제공되는 경우 이미 가열 조리된 음식을 따뜻하게 보관하거나 간단히 데우는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다수의 버너(41)가 구비된 탑버너(4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탑버너(40)에는 버너(41)의 상방에 그레이트(42)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식품이 담긴 용기가 상기 그레이트(4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버너(41)에 의해 가열 조리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탑버너(40)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으며, 밀폐식 버너 또는 유도가열 방식의 히터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탑버너(40)의 전방 즉, 상기 본체(10) 상면의 전단에는 조작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50)는 상기 오븐(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노브(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브(51)의 조작에 의해 상기 캐비티(60) 내부의 가열 상태 조작 또는 상기 탑버너(40)의 점화, 화력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조작부(50)에는 상기 오븐(1)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오븐(1)의 동작 상태 및 조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52)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캐비티(60)는 상기 도어에 의해 전면이 차폐되는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상의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는 다수의 가공된 판재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조리 공간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 플레이트(61), 그리고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플레이트(미도시) 그리고 상기 좌우 양측면과 하면 일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플레이트(62) 그리고 하면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로어 플레이트(6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의 양측면에는 요철 형상의 성형단(6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의 양측면에는 선반 가이드(7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반 가이드(70)에는 조리를 위한 식품이 안착되는 선반 어셈블리(8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선반 가이드(70)는 옵션으로 제동되는 선반 어셈블리(80)의 선택적인 사용을 위한 것으로, 상기 캐비티(60)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시 상기 선반 가이드(70)를 장착하여 상기 선반 어셈블리(8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반 어셈블리(80)는 다양한 오븐 또는 조리기기 모델에서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에 의해 상기 캐비티(60)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선반 어셈블리(80)는 링크부재(90)에 의해 상기 도어(2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도어(20)의 개방시 연동되어 상기 선반 가이드(70)를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인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선반 가이드 및 선반의 장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선반 가이드와 선반 사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캐비티(60)는 사이드 플레이트(62)에 의해 좌우 양측면과 하면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는 하면에 개구(621)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621)에 상기 로어 플레이트(63)가 장착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는 저장공간의 양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저장공간의 양측면을 서로 연결하야 지지하는 부분이 일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되는 성형단(622)은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상하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하 배치되는 상기 성형단(622)의 사이에는 식품이 안착되는 선반이 장착되는 그루브(624)를 형성된다.
상기 성형단(622)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성형단(622)의 전반부에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6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623)에 의해 상기 성형단(622)에 안착된 상기 선반의 구속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그루브(624)측으로 노출된 성형단(622)의 상면에는 요철 형상의 포밍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선반의 장착 후 상기 선반이 임의로 전후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높이의 그루브(624)에 선반을 장착하여 원하는 높이에서 식품의 가열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60)의 내부에 다수의 선반을 장착하여 내부를 다단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의 좌우 양측면에는 선반 가이드(70)가 장착된다. 상기 선반 가이드(70)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의 장착 및 인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의 양측 벽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선반 가이드(70)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선반 어셈블리(80)는 상기 선반 가이드(70)에 양단이 수용되며, 상기 도어(20)의 개폐에 연동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하 2단으로 구성된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선반 어셈블리(80)는 1단 혹은 다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의 구조와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선반 가이드(70)에 양단이 수용되는 다양한 구조의 선반이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선반 어셈블리(80)는 바닥면을 형성하며 식품이 안착되는 베이스 선반(81)과 상기 베이스 선반(81)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높이 조절부(82) 그리고, 상기 높이 조절부(82)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상부 선반(8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선반(81)과 상기 높이 조절부(82) 및 상부 선반(83)은 모두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금속 소재의 와이어 또는 금속 봉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그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선반(81)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부(811)와 상기 테두리부(811)의 내측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안착부(8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811) 중 상기 베이스 선반(81)의 양단을 형성하는 부분은 상기 선반 가이드(70)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812)에는 링크부재(90)가 장착되는 링크 장착부(8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장착부(813)는 상기 베이스 선반(8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82)는 전후 이격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포스트(821)와, 상기 포스트(821)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하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선반 지지부(8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 지지부(822)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양단이 절곡 형성되며, 절곡된 단부가 상기 포스트(821)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 선반(83)은 상기 베이스 선반(81)과 마찬가지로 그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선반(83)의 양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선반 지지부(822)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삽입되는 선반 삽입부(83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선반(83)은 상기 높이 조절부(82)의 선반 지지부(822)들 중 원하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90)는 상기 링크 장착부(813)와 상기 도어(20)의 링크 브라켓(24)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20)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기 선반 어셈블리(80)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링크부재(90)는 상기 링크 장착부(81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선반 연결부(91)와, 상기 링크 브라켓(2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브라켓 연결부(92) 그리고 상기 선반 연결부(91)와 상기 브라켓 연결부(92)를 연결하는 링크 로드(9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 연결부(91)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링크 장착부(813)가 관통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연결부(92)는 상기 링크 로드(93)의 단부에서 측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링크 브라켓(24)의 브라켓 홀(도 9에서 241)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의 개방시 상기 링크 브라켓(24)은 상기 베이스 선반(81)을 상기 캐비티(60) 상기 캐비티(60) 외측으로 당겨 인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를 닫게 될 때 상기 링크 브라켓(24)은 상기 베이스 선반(81)을 상기 캐비티(60) 내측으로 밀어 인입시키게 된다.
그리고,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링크부재(90)에는 연결부재(9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94)는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링크 로드(93)를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선반 어셈블리(80)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로 슬라이딩 인출입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상기 선반 가이드의 장착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선반 가이드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의 7-7'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5의 8-8'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선반 가이드(70)는 양측의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선반 가이드(70)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의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으나, 상기 도어(20)와의 연동을 위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선반 가이드(70)의 장착을 위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에는 가이드 장착홀(625)과 가이드 고정홀(6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장착홀(625)은 상기 선반 가이드(70)의 양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고정홀(626)은 상기 가이드 고정홀(626)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장착홀(625)과 상기 가이드 고정홀(626)은 상기 성형단(622) 사이에 형성된 그루브(62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 가이드(70)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에 고정되는 프레임(71)과, 상기 프레임(71)에 구비되며,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의 양단을 수용하는 홀더(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71)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프레임(71)은 상기 프레임(71)의 양단을 형성하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75)와, 상기 고정부(76)의 사이 중간 지점에 배치되며, 결합부재(731)가 체결되는 고정부(76) 그리고, 상기 삽입부(75)와 고정부(76)를 연결하는 연결부(7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75)는 상기 연결부(77)의 양단에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로 연장되는 제 1 절곡부(751)와, 상기 제 1 절곡부(751)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 2 절곡부(752), 그리고 상기 제 2 절곡부(752)의 상단에서 상기 가이드 장착홀(625)을 관통하도록 절곡된 제 3 절곡부(753), 상기 제 3 절곡부(753)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의 배면에 지지되는 제 4 절곡부(754)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 1 절곡부(751)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71)에 장착된 상기 홀더(72)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절곡부(751)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의 양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절곡부(751)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80) 또는 홀더(72)가 상기 성형단(622)과 간섭되지 않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절곡부(752)는 상기 가이드 장착홀(625)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절곡부(752)는 상기 선반 가이드(70)의 장착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의 전면과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절곡부(753)는 상기 제 2 절곡부(752)와 제 4 절곡부(754)를 연결하도록 벤딩 형성되되,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4 절곡부(754) 및 제 3 절곡부(753)가 상기 가이드 장착홀(625)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절곡부(753)는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제 3 절곡부(753)의 길이는, 상기 선반 가이드(7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절곡부(752)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의 전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 4 절곡부(754)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3 절곡부(753)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75)가 상기 가이드 장착홀(625)에 삽입될 때, 상기 삽입부(75)가 자연스럽게 회전되면서 삽입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절곡부(752)와 제 4 절곡부(754)가 각각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4 절곡부(754)와 제 2 절곡부(752)는 상기 제 3 절곡부(753)를 기준으로 상방과 하방에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에 접하여 안정적인 장착 및 고정 구조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장착 구조로 인하여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의 인출입 과정 중에도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장착홀(625)에는 플렌지부(62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렌지부(625a)는 상기 가이드 장착홀(625)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3 절곡부(753)의 둘레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렌지부(625a)는 상기 가이드 장착홀(625)의 성형시 버링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렌지부(625a)와 대응하는 상기 제 3 절곡부(753)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지지면(753a,753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753a,753b)은 상기 플렌지부(625a)와 접하는 면으로 평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렌지부와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절곡부(753)는 상기 가이드 장착홀(625)의 내측면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753a,753b)은 곡면 형상의 제 3 절곡부(753)의 외측면과 달리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절곡부(752)와 접하는 모서리 부분 그리고 상기 제 4 절곡부(754)와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75)는 상기 선반 가이드(70)의 양단에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반 가이드(70) 중간의 상기 고정부(76)와 연결부(77)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6)는 양측의 상기 연결부(77)에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 측으로 절곡되는 한쌍의 제 5 절곡부(761)와, 상기 제 5 절곡부(761)의 단부를 연결하며 결합부재(731)에 의해 구속되는 구속부(76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 5 절곡부(761)는 양측에서 연장되는 상기 연결부(77)의 단부에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제 5 절곡부(761)는 상기 선반 가이드(7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속부(762)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5 절곡부(761)에 의해 상기 결합부재(731)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731)의 체결시 상기 결합부재(731)가 상기 연결부(77)보다 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선반 가이드(70)에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의 인출입시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구속부(762)는 양측의 상기 제 5 절곡부(761)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고정홀(626)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라운드지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속부(762)는 상기 결합부재(731)의 상부에 걸쳐질 수 있도록 절곡되며, 상기 결합부재(731)는 상기 구속부(762)의 절곡된 사이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731)의 체결시 상기 구속부(762)는 상기 결합부재(731)에 의해 눌려지게 되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71)의 연결부에는 홀더(72)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72)는 상기 연결부(77)의 양측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삽입부(75)와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72)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금속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 선반 어셈블리(80)의 단부를 수용하는 슬라이드 가이드(74)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72)에는 홀더 결합부(721)가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홀더 결합부(721)는 스팟 용접에 의해 상기 연결부(77)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72)는 상기 캐비티(60)의 내측을 향하여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면과 하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72)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공간에는 슬라이딩 가이드(7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74)는 내마모성과 윤활성능을 가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의 양단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의 인출입 이동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74)와 접촉 상태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74)에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의 양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74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741)은 상기 캐비티(60)의 내측 방향으로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741)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상방과 하방으로 돌출된 결합 돌기(7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742)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74)는 상기 홀더(72)의 내측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홀더(72)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 돌기(742)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74)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결합 홈(72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74)가 상기 홀더(72)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731)는 상기 선반 가이드(70)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된다.
상기 결합부재(731)는 나사부(731a)와 헤드(73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731a)는 상기 결합부재(731)의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부재(732)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731b)는 상기 나사부(731a)보다 더 큰직경을 가지며, 상기 구속부(762)와 접하여 상기 구속부(762)를 고정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고정홀(626)의 둘레에는 와셔(733)가 배치되며, 상기 와셔(733)와 상기 가이드 고정홀(626)을 관통하도록 상기 체결부재(73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732)는 상기 가이드 고정홀(626)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아우터 체결부(732b)와 상기 캐비티(60)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이너 체결부(732a)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732)의 중앙은 중공되도록 형성되며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체결부(732a)는 상기 가이드 고정홀(626)보다 외경이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와셔(733)를 내측에서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체결부(732a)는 상기 구속부(762)가 형성하는 내측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체결부(732a)의 중앙에는 상기 결합부재(731)의 나사부(731a)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체결부(732b)는 상기 가이드 고정홀(626)보다 외경이 더 작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고정홀(626)을 관통하여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체결부(732b)에는 고정 너트(734)가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 체결부(732b)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너트(734)의 내측면에는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너트(734)의 체결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732)는 상기 가이드 고정홀(626) 상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선반 가이드의 조립 및 장착구조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 프레임(71)은 금속 봉재 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금속 소재의 와이어가 다수회 절곡되어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양측의 상기 연결부(77)에는 성형된 상기 홀더(72)가 용접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72)에는 슬라이딩 가이드(74)를 압입하여 장착하게 된다.
상기 선반 가이드(7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양단의 삽입부(75)를 상기 가이드 장착홀(625)에 삽입시키게 된다. 상기 가이드 장착홀(625)에 상기 삽입부(75)를 회전시키면서 제 4 절곡부(754)와 제 3 절곡부(753)를 차례로 삽입하면 도 7과 같이 상기 삽입부(75)가 상기 가이드 장착홀(625)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 3 절곡부(753)의 지지면(753a,753b)은 상기 플렌지부(625a)에 안착된 상태가 되며, 상기 제 4 절곡부(754)와 제 3 절곡부(753)는 각각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 가이드(70)의 양단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 상에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75)가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속부(762)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에 밀착되며, 상기 구속부(76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측에 상기 가이드 고정홀(626)이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먼저 와셔(733)를 상기 가이드 고정홀(626)에 배치한 후 상기 체결부재(732)를 상기 가이드 고정홀(626)에 삽입시키고 그런 다음 상기 고정 너트(734)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아우터 체결부(732b)에 결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732)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에 고정된 상태가 되며, 상기 이너 체결부(732a)가 상기 구속부(762)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측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부재(731)를 상기 이너 체결부(732a)에 체결하게 되면 상기 결합부재(731)는 상기 구속부(762)를 눌러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에 밀착시키는 한편 상기 선반 가이드(70)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상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재(731)의 체결에 의해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의 슬라이딩 인출입 과정 중에도 상기 선반 가이드(70)는 유동되지 않게 되며, 상기 선반 가이드(70)의 유동에 의한 소음이나 상기 선반 가이드(70)가 탈거 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의 양단을 상기 선반 가이드(70)의 홀더(72)에 삽입하여 상기 캐비티(60)의 내측에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선반 가이드(70)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80)를 양측에서 지지하게 되며 상기 선반 어셈블리(80)가 슬라이딩 인출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티(60)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자동인출을 위한 선반 어셈블리(8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80)를 먼저 상기 선반 가이드(70)에서 분리한 후 상기 선반 가이드(70)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상기 선반 가이드(70)의 탈거를 위해서는 우선 상기 결합부재(731)를 상기 체결부재(732)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삽입부(75)를 상기 가이드 장착홀(625)로부터 빼서 분리하게 된다. 상기 선반 가이드(70)는 이와 같은 간단한 작업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반 가이드(70)의 분리 후 상기 캐비티(60) 내부의 청소를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선반 가이드 장치의 작용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상기 도어의 개방이 진행 중인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선반 어셈블리(80)가 상기 캐비티(60)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의 양단이 상기 선반 가이드(7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링크부재(90)는 상기 도어(20)의 링크 브라켓(24)과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의 링크 장착부(813)를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90)는 양단이 상기 링크 브라켓(24) 및 상기 링크 장착부(8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를 전방으로 열어서 도 9와 같이 개방하게 되면, 상기 링크부재(90)는 상기 도어(20)와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선반 어셈블리(80)를 상기 캐비티(60)의 외측을 향하여 당기게 된다. 상기 링크부재(90)에 의해 상기 선반 어셈블리(80)는 전방으로 이동을 시작하게 되며, 상기 선반 가이드(70)의 홀더(72)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선반 가이드(70)는 상기 삽입부(75)와 결합부재(731)에 의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2)에 완전히 결합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 가이드(70)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의 이동시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도어(20)의 회동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74)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와 접하여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20)를 완전히 개방하게 되면, 상기 링크부재(90)에 의해 상기 선반 어셈블리(80)는 지속적으로 전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의 전반부 일부가 상기 캐비티(6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에 안착된 식품 또한 상기 선반 어셈블리(80)와 함께 상기 캐비티(60)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캐비티(60)의 외측에서 식품을 용이하게 꺼내거나 넣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선반 어셈블리(80)가 인출된 상태에서도 각각의 상기 선반 가이드(70)에 제공되는 한쌍의 홀더(72)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80)를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닫히게 되면 상기 링크부재(90)에 의해 상기 선반 어셈블리(80)를 다시 캐비티(60)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인입할 수 있다.

Claims (24)

  1. 조리 공간을 형성하며, 회동되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플레이트;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선반 가이드;
    상기 선반 가이드에 양단이 수용되어 상기 캐비티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선반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 가이드는,
    상기 캐비티에 전후 이격 배치된 가이드 장착홀에 양단이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서 상기 가이드 장착홀에 삽입되도록 절곡되는 삽입부와;
    한쌍의 상기 삽입부의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이 절곡되는 고정부와;
    상기 프레임에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양단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향하여 절곡되어, 상기 홀더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이격시키는 제 1 절곡부와;
    상기 제 1 절곡부에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캐비티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 2 절곡부와;
    상기 제 2 절곡부에서 절곡되며, 상기 가이드 장착홀을 관통하는 제 3 절곡부와;
    상기 제 3 절곡에서 절곡되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제 4 절곡부를 포함하는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배면 양측에는 링크 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링크 브라켓과 상기 선반 어셈블리를 연결하며,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선반 어셈블리를 인출입 시키는 링크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선반 연결부와,
    상기 링크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라켓 연결부와,
    상기 선반 연결부와 상기 브라켓 연결부를 연결하는 링크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4. 제 3 항에 있어서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상기 링크 로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곡부와 제 4 절곡부는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절곡부는 라운드 또는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되,
    상기 선반 가이드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절곡부와 제 4 절곡부가 각각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착홀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를 지지하는 플렌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플렌지부와 접하는 위치에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렌지부에 안착되는 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가이드는,
    상기 고정부와 삽입부를 연결하며, 상기 홀더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이격 배치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부재의 체결을 위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개구된 가이드 고정홀의 외측을 따라 절곡되는 구속부와;
    상기 구속부의 양단을 상기 연결부의 단부와 연결하되, 상기 구속부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밀착되도록 연장되는 제 5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고정홀에는,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 너트와 결합되는 아우터 체결부와,
    상기 구속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사이드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체결되는 이너 체결부로 구성되는 체결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부재보다 더 상기 캐비티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상기 선반과 접하여 상기 선반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며,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슬라이드 가이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의 상하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홀더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압입되는 결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연결부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연결부보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20. 오븐 캐비티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플레이트에서 개구된 가이드 장착홀에 삽입되는 한쌍의 삽입부;
    상기 한쌍의 삽입부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접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일면에 체결되는 결합부재;
    상기 한쌍의 삽입부와 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결합부재보다 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이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캐비티 내부에 구비되어 음식물이 안착되는 선반 어셈블리가 인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선반 어셈블리의 양단을 수용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항하여 절곡되며, 상기 연결부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이격시키는 제 1 절곡부와;
    상기 제 1 절곡부에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캐비티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 2 절곡부와;
    상기 제 2 절곡부에서 절곡되며, 상기 가이드 장착홀을 관통하는 제 3 절곡부와;
    상기 제 3 절곡에서 절곡되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제 4 절곡부를 포함하는 선반 가이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절곡부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가이드.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절곡부의 외주면에는 평면 형상의 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면은 상기 가이드 장착홀의 둘레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렌지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가이드.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서 상기 캐비티를 향하여 절곡되는 제 5 절곡부와;
    상기 제 5 절곡부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캐비티에 개구된 가이드 고정홀의 외측을 따라 절곡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가이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구속부를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에 체결되며,
    상기 제 5 절곡부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결합부재보다 더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가이드.
KR1020160005211A 2016-01-15 2016-01-15 선반 가이드 및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KR101774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211A KR101774139B1 (ko) 2016-01-15 2016-01-15 선반 가이드 및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211A KR101774139B1 (ko) 2016-01-15 2016-01-15 선반 가이드 및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727A KR20170085727A (ko) 2017-07-25
KR101774139B1 true KR101774139B1 (ko) 2017-09-01

Family

ID=59422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211A KR101774139B1 (ko) 2016-01-15 2016-01-15 선반 가이드 및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1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684B1 (ko) * 2019-01-11 202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EP3910243B1 (en) 2019-01-11 2023-10-25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6709A (ja) 2002-08-27 2005-12-02 ムルチブラス・エシ・ア・エレトロドメステイコス オーブン用の棚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6709A (ja) 2002-08-27 2005-12-02 ムルチブラス・エシ・ア・エレトロドメステイコス オーブン用の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727A (ko) 201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6045A (en) Side burner attachment for gas-fired grill
KR20180067457A (ko) 다단 그릴 랙 시스템 및 그릴 마운트들
US4923260A (en) Refrigerator shelf construction
KR100921379B1 (ko) 서랍식 냉장고
KR102306328B1 (ko) 외부 드립트레이 모듈이 구비된 수직형 그릴
US20030079615A1 (en) Rail system for food supports in a baking oven
KR20090027109A (ko) 서랍부 및 이를 이용한 서랍식 냉장고
KR101774139B1 (ko) 선반 가이드 및 선반 가이드가 구비된 오븐
CN101133748B (zh) 全深搁物架
KR101276498B1 (ko) 드로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오븐
KR101886927B1 (ko) 주방가구 하부수납장의 서랍용 걸이형 선반
KR101902713B1 (ko) 전기그릴
US20200305641A1 (en) Rack assembly
US8881645B2 (en) Barbecue support assembly
KR20150136787A (ko) 오븐
KR101055950B1 (ko) 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KR100500611B1 (ko) 선반을 가진 바베큐 그릴 조립체
KR102103721B1 (ko) 조리기기
KR20160003847U (ko) 이동식 선반형 서랍
KR100727161B1 (ko) 가열 조리기기
US1063183A (en) Withdrawing skeleton oven.
CN112471917B (zh) 一种烤架组件的固定结构
US9565971B2 (en) Food mounting assembly for a cooking appliance
US20230044392A1 (en) Transversely-loadable rotisserie baskets for grills
KR100988700B1 (ko) 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