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713B1 - 전기그릴 - Google Patents

전기그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713B1
KR101902713B1 KR1020170164747A KR20170164747A KR101902713B1 KR 101902713 B1 KR101902713 B1 KR 101902713B1 KR 1020170164747 A KR1020170164747 A KR 1020170164747A KR 20170164747 A KR20170164747 A KR 20170164747A KR 101902713 B1 KR101902713 B1 KR 101902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oil
plate
main body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병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
Priority to KR1020170164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05B3/0071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domestic applications
    • H05B3/0076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domestic applications for cooking, e.g. in ov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2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by radia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를 열원으로 하는 전기그릴에 관한 것이다. 전기그릴은 일반 가정이나 요식업계에서 육류, 어류 등의 구이물을 굽거나 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사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 구성의 틀이 되며 몸체의 중간 높이에 적외선 발생이 가능한 열원이 장착되는 그릴본체와, 그릴본체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얹혀서 열원의 위에 배치되며 아랫쪽의 열원으로부터 가열되어 전도방식으로 음식물을 가열하는 상판과, 그릴본체의 일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판의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기름을 포집하는 상판기름받이통을 포함하고,
그릴본체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어 외부로 출입하며 열원의 아래에 배치되어 윗쪽의 열원으로부터 적외선 복사방식으로 음식물을 직화구이 가능하게 받쳐주는 하판과, 하판과 함께 그릴본체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어 외부로 출입하며 하판을 받침하도록 하판의 하단에 배치되며 동시에 하판에서 직화구이 중에 발생하는 기름을 포집하는 하판기름받이통을 포함하는 구성이 이루어져서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그릴{Electric Grill}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를 열원으로 하여 손쉽게 사용 가능한 전기그릴에 관한 것이다.
전기그릴은 일반 가정이나 요식업계에서 육류, 어류 등의 구이물을 굽거나 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사용되며, 전기그릴은 가스그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간접 가열방식에 의해 구이물을 굽게 되므로 구이물이 타거나 연기가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며, 전기는 다른 열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제어가 용이하며 가정 등에서 간편하게 공급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보급이 보편화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는 종래의 전기그릴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상부가 개방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본체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본체에는 전기에 의해 발열되도록 구비되는 발열선이 구비되고, 상기 발열선의 상부에는 고기 또는 생선 등과 같은 구이물이 놓이는 석쇠 형태의 구이용 받침대가 구비되고, 상기 발열선의 하부에는 고기 또는 생선과 같은 구이물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이 고이도록 기름받이가 구비되는데 즉, 상부가 개방된 챔버 형태의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수용부에 내장되어 전기에 의해 가열되는 발열선과, 이 발열선의 상부에 위치되어 구이물 또는 용기가 놓이도록 구비되는 구이용 또는 용기용받침대와, 상기 발열선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대에서 떨어지는 기름을 수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기름받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그릴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종래의 다른 전기그릴의 예시로서 등록특허 제936895호(2010.01.06)를 도 1과 함께 살펴보면,
상기 본체에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걸이부재가 결합되고, 이 걸이부재의 대향된 위치에는 상기 수용부에 연통되는 장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발열선은 전원이 인가되도록 콘센트에 착탈되는 단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의 위치에는 상기 장착공에 상기 발열선을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이 구비된다. 이 발열선은 그 양단이 상기 걸이부재와 장착공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의 내벽에는 상기 장착공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받침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재의 선단에는 상향되는 수직돌출편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받침부재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돌출편에 걸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발열선이 수용부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전기그릴은,
고기를 포함하는 육류나 생선을 포함하는 어류와 같은 음식물을 굽거나 조리할 시에 1차적으로 하판에서 직화구이를 실시하면서 다량의 기름을 유출시킨 후에, 직화구이된 음식을 상판에 얹고서 2차로 조리하면서 남은 기름을 유출시키거나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취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기그릴에 있어서,
전체 구성의 틀이 되며 몸체의 중간 높이에 적외선 발생이 가능한 열원(110)이 장착되는 그릴본체(100);
그릴본체(10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얹혀서 열원(110)의 위에 배치되며 아랫쪽의 열원(110)으로부터 가열되어 전도방식으로 음식물을 가열하는 상판(200);
그릴본체(100)의 일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판(200)의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기름을 포집하는 상판기름받이통(300);
그릴본체(10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어 외부로 출입하며 열원(110)의 아래에 배치되어 윗쪽의 열원(110)으로부터 적외선 복사방식으로 음식물을 직화구이 가능하게 받쳐주는 하판(400); 및
하판(400)과 함께 그릴본체(10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어 외부로 출입하며 하판(400)을 받침하도록 하판(400)의 하단에 배치되며 동시에 하판(400)에서 직화구이 중에 발생하는 기름을 포집하는 하판기름받이통(500);을 포함하고,
그릴본체(100)는,
본체전면(102a), 본체일측면(103), 본체타측면(104) 및 본체저면(105)이 사각박스의 판넬 형태로 둘러쌓이고, 본체배면(102b)은 그릴본체(100)의 상단 모서리 쪽만 차단하는 판넬 형태를 취하여 그 아래는 개방되어서, 내부가 비고 배면의 아랫부분이 개방되도록 제공되고, 그릴본체(100)의 저면 각 모서리 4곳에는 그릴본체(100)를 지지하는 본체받침대(160)가 각각 구비되고,
본체전면(102a) 및 본체배면(102b)의 상단은 ‘┗’ 형태의 본체측거취홈(120)이 형성되고,
본체일측면(103)에는 상판기름받이통(300)을 수납하도록 상판기름받이통(300)의 외형에 대응하는 내벽면의 형태를 취하며 상면이 개방되는 상판기름받이통수납함(130)이 형성되고,
본체일측면(103) 및 본체타측면(104)의 각 내측면 아래에는 하판기름받이통(500)을 받침하는 하판기름받이통받침대(140)과 보조적으로 슬라이딩으로 출입시에 마찰을 감소시킬 롤러(140r)가 적어도 앞뒤 어느 한 쪽에는 구비되고,
본체저면(105)에는 앞뒤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복수 구비되어 본체저면(105)의 상면 좌우측에 각각 고정되는 하판기름받이통저면받침대(150)가 구비되고,
열원(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일단이 본체일측면(103)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본체타측면(104)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본체타측면(104)에 열원(110)을 제어할 열원제어부(101)가 구성되고,
상판(200)은,
장방형의 판 형태를 취하며 둘레에 아래로 오목한 홈이 패여 기름을 포집하는 기름드레인(210)이 형성되고, 기름드레인(210)에는 본체일측면(103)에 위치하는 쪽에 기름을 아래로 유출할 기름유출구(211)가 천공되고,
본체전면(102a) 및 본체배면(102b)에 위치하게 되는 상판(200)의 테두리는 본체측거취홈(120)에 대응하는 ‘┓’ 형태의 상판측거취홈(220)이 형성되어 상판(200)을 그릴본체(100)에 얹을시에 상판측거취홈(220)이 본체측거취홈(120)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판기름받이통(300)은,
내부에 빈 공간(330)이 형성되고 상면이 트인 사각박스 형태를 취하되, 상판기름받이통타측면(301)의 상단에는 상판기름받이통수납함(130)에 수납될 시에 기름유출구(211)로부터 유출되는 기름을 빠짐없이 상판기름받이통(300)의 내부로 포집되게 안내하도록 상판기름받이통타측면(301)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기름가이드(310)가 구성되고,
상판기름받이통일측면(302)의 상단에는 상판기름받이통노브(320)가 상판기름받이통일측면(30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아래에는 내측으로 요입된 파지용요부(321)가 형성되어서 상판기름받이통(300)을 상판기름받이통수납함(130)에 수납하거나 이탈시킬 시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고,
하판(400)은,
장방형의 판 형태를 취하며 하판몸체평면(401)에 기름을 아래로 유출할 하판기름유출구(430)가 복수 천공되고, 하판좌우평면(402)에는 파지홈(420)이 천공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하판(400)의 테두리에는 ‘┓’ 형태의 하판측거취홈(410)이 형성되고,
하판기름받이통(500)은,
장방형의 판 형태를 취하되 아래로 오목하게 패인 기름포집요부(501)가 형성되어 하판(400)으로부터 아래로 유출되는 기름을 포집하고, 기름포집요부(501)의 저면은 하판기름받이통저면받침대(150)로부터 지지받고,
기름포집요부(501)의 테두리 상단은 하판측거취홈(410)에 대응하는 ‘┗’ 형태의 하판기름받이통측거취홈(510)이 형성되어 하판(400)을 하판기름받이통(500)에 얹을시에 하판측거취홈(410)이 하판기름받이통측거취홈(510)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하판기름받이통(500)의 좌우측 가장 외각 테두리에 배치되는 슬라이딩편(502)은 하판기름받이통받침대(140)에 얹혀서 하판기름받이통(500)을 앞뒤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게 가이드를 하고,
하판기름받이통(500)의 앞쪽에 아랫 방향으로 절곡된 전방절곡편(503)이 형성되어 구조물의 강도를 증가시키거나 하판기름받이통(500)이 외부 출입시에 소정 범위에서 걸림이 되어 의도하지 않은 인출범위의 제한을 둘 수 있게 하고,
하판기름받이통(500)의 뒷쪽 아래에 판넬 형태로 부착되어 구조물의 강도를 증가시키며 한 쪽을 은폐하는 가림막(504)과, 가림막(504)으로부터 외측으로 평행하게 돌출되어 하판기름받이통노브(530)이 형성되어 하판기름받이통(500)을 인출시에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고, 가림막(504)의 좌우측 아래에 각각 가림막(504)으로부터 아랫 방향으로 돌출하여 하판기름받이통(500)을 지지하는 하판기름받이통받침대(520)를 포함하여서,
고기와 같은 음식물을 조리할 시에 1차적으로 하판(400)에서 직화구이를 실시하고 동시에 다량의 기름을 하판기름받이통(500)에 유출시킨 후에, 하판(400) 및 하판기름받이통(500)을 외부로 인출시켜 빼어내서 직화구이된 음식을 상판(200)에 얹고서 2차로 조리하면서 남은 기름을 상판기름받이통(300)으로 유출시키거나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그릴에 따르면,
고기를 포함하는 육류나 생선을 포함하는 어류와 같은 음식물을 굽거나 조리할 시에 1차적으로 하판에서 직화구이를 실시하면서 다량의 기름을 유출시킨 후에, 직화구이된 음식을 상판에 얹고서 2차로 조리하면서 남은 기름을 유출시키거나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음식물을 취식할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어느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부분의 조립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이하 도면 예시와 함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개시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그릴은 도 2 및 도3에서,
상단이 개방되고(트이고) 전후 어느 일측면이 개방된 사각상자 형상을 취하여 전기그릴을 이루는 외형디자인을 결정하고, 각 구성의 프레임 역할을 하며, 내부 구성을 보호하는 하우징 역할을 한다. 특히, 몸체의 중간 높이에 적외선 발생이 가능한 열원(110)이 장착되어서 상하로 적외선 및 복사열을 발산하여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그릴본체(100)를 포함하고,
음식물을 얹을 수 있도록 장방형상의 판형을 취하여 그릴본체(100) 상단의 개방된 곳을 착탈식으로 덮어 페쇄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열원(110)의 위에 위치하여 아랫쪽의 열원(110)으로부터 가열되어 전도방식으로 음식물을 가열하는 상판(200)을 포함하고,
상단이 개방된 용기 형태를 취하여 그릴본체(100)의 좌우 어느 일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판(200)의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기름을 포집하여 다른 곳에 비울 수 있는 상판기름받이통(300)을 포함하고,
음식물을 얹을 수 있도록 장방형의 판형을 취하여서 그릴본체(100)의 내부 아래 쪽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어, 그릴본체의 전후 어느 일측면에 개방된 곳을 통하여 외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열원(110)의 아래에 배치되어 윗쪽의 열원(110)으로부터 적외선 복사방식으로 음식물을 직화구이 가능하게 받쳐주는 하판(400)을 포함하고,
장방형 판형의 용기 형태를 취하여, 하판(400)과 함께 그릴본체(10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어, 그릴본체의 전후 어느 일측면에 개방된 곳을 통하여 외부로 출입하며, 하판(400)을 받침하도록 하판(400)의 하단에 배치되며 동시에 하판(400)에서 직화구이 중에 발생하는 기름을 포집하여 다른 곳에 비울 수 있는 하판기름받이통(5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가령, 고기 등 구이물과 같은 음식물을 조리할 시에 1차적으로 하판(400)에서 직화구이를 시행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다량의 기름을 하판기름받이통(500)에 유출시켜 임시보관할 수 있고, 이 상태로 잘 조리하여 익혀서 취식할 수도 있으며 더하여, 하판(400) 및 하판기름받이통(500)을 외부로 인출시켜 빼어내서 직화구이된 음식을 다시 상판(200)에 얹고서 2차로 가열하여 조리하면서 남은 기름을 상판기름받이통(300)으로 빼어내어 유출시킨다. 더하여, 상판(200)과 하판(400)에 각기 다른 형태의 음식물을 얹어서 다양한 형태의 조리방법으로 혹은 조리시간을 절함하기 위하여 동시에 조리할 수 있으며, 상판(200)과 하판(400) 어느 한 쪽을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상태로 두어서 항상 따뜻한 음식을 취식(섭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식물은 고기, 생선, 기타 구이물은 물론, 볶음, 국물음식 등 가열되어 조리될 수 있는 모든 식품류를 포함한다
그릴본체(100)는,
내부가 빈 사각박스 형태를 취한다. 즉, 판넬 형태를 취해서 전후로 배치되는 본체전면(102a) 및 본체배면(102b)이 전부 또는 일부를 폐쇄하는 가림막의 역할을 하고, 판넬 형태를 취해서 좌우로 배치되는 본체일측면(103) 및 본체타측면(104)이 가림막의 역할을 하고, 아래 저면에 배치되는 본체저면(105)이 판넬 형태를 취하여 그릴본체(100)의 내부를 둘러싼다. 단, 그릴본체(100)의 후방은 윗 쪽만 판넬 형태로 수평하게 가림막이 되고 그 아래 쪽은 개방되도록 제공되며 이를 위하여, 본체배면(102b)이 그릴본체(100)의 후방 윗 쪽만 수평하게 가리도록 설치된다.
본체전면(102a)의 상단 및 본체배면(102b)의 상단은 각 길이를 따라 ‘┗’ 형태로 홈을 낸 본체측거취홈(120)이 형성된다.
본체일측면(103)은 상판기름받이통(300)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판기름받이통(300)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된 내벽면을 가지는 수납공간 형태를 취하되 상면이 개방되는 상판기름받이통수납함(130)이 본체일측면(103)에 형성된다.
본체일측면(103) 및 본체타측면(104)의 각 내측면 아랫 쪽에는 각각 하판기름받이통받침대(140)이 구비되어서, 하판기름받이통(500)을 떠받치면서 하판기름받이통(500)이 슬라이딩으로 출입시에 마찰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체저면(105)에는, 앞뒤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복수(2개)로 구비되어 본체저면(105)의 상면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고정되는 하판기름받이통저면받침대(150)가 구비된다. 본체저면(105) 또는 그릴본체(100)의 저면 각 모서리 4곳에는 그릴본체(100)를 지지하는 본체받침대(160)가 구비된다.
그릴본체(100)의 내부에는 열원(110)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다. 열원(110)은 그 일단이 본체일측면(103)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본체타측면(104)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본체타측면(104)에 열원(110)을 제어할 열원제어부(101)가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기술을 인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상판(200)은,
장방형의 판 형태를 취하며 판 형태의 테두리(둘레, 가장자리, edge) 상면에는 기름을 포집하는 기름드레인(210)이 구비되고, 기름드레인(210)은 상판(200)의 판 형태 가장자리를 따라 아랫 방향으로 오목하게 요입되게 패인 홈으로 형성이 되고, 기름드레인(210)에는 본체일측면(103)에 위치하는 쪽에 수직으로 천공된(구멍이 뚫인) 기름유출구(211)가 형성되고, 기름유출구(211)는 상판(200)으로부터 흘러내린 기름을 모아서 아래로 유출시킨다.
본체전면(102a) 및 본체배면(102b)과 만나는 상판(200)의 각 테두리 저면은 본체측거취홈(120)에 대응하는 ‘┓’ 형태의 상판측거취홈(220)이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상판(200)을 그릴본체(100)에 얹을시에, 상판측거취홈(220)이 본체측거취홈(120)에 착탈식으로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다.
상판기름받이통(300)은,
내부에 기름을 임시 수납할 빈 공간(330)이 자리하고 상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를 취한다. 상판기름받이통(300)은 상판기름받이통타측면(301), 상판기름받이통일측면(302), 기름가이드(310), 상판기름받이통노브(320) 및 파지용요부(3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판기름받이통(300)이 상판기름받이통수납함(130)에 수납되면, 기름유출구(211)로부터 유출되는 기름을 빠짐없이 상판기름받이통(300)의 내부로 가이드하여 포집하도록, 상판기름받이통타측면(301)의 상단에는 기름가이드(310)가 구성되되, 기름가이드(310)는 도 4의 예시와 같이 그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기름가이드(310)의 연장부(311)를 구비한다.
상판기름받이통일측면(302)의 상단에는 상판기름받이통노브(320)가 상판기름받이통일측면(30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아래에는 내측으로 요입된 파지용요부(321)가 형성되어서 상판기름받이통(300)을 상판기름받이통수납함(130)에 수납하거나 이탈시킬 시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하판(400)은,
장방형의 판 형태를 취하며 하판몸체평면(401)에 기름을 아래로 유출할 하판기름유출구(430)가 복수 천공되고, 하판좌우평면(402)에는 파지홈(420)이 천공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제공된다.
하판(400)의 테두리에는 ‘┓’ 형태의 하판측거취홈(410)이 형성되어서, 하판(400)을 하판기름받이통(500)에 얹을 때 걸쳐지면서 지지받을 수 있도록 제공된다.
하판기름받이통(500)은,
가운데에 아래로 오목하게 패인 기름포집요부(501)가 형성된 장방형의 판 형태를 취한다. 하판기름받이통(500)의 기름포집요부(501)는 하판(400)으로부터 아래로 낙하, 유출되는 기름을 포집한다. 필요에 따라 기름포집요부(501)의 저면이 하판기름받이통저면받침대(150)에 접촉하여 지지받도록 구성할 수 있다.
기름포집요부(501)의 상단 테두리의 안 쪽은 하판측거취홈(410)에 대응하는 ‘┗’ 형태의 하판기름받이통측거취홈(510)이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하판(400)을 하판기름받이통(500)에 얹을시에, 하판측거취홈(410)이 하판기름받이통측거취홈(510)에 끼워져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하판기름받이통(500)의 좌우측 가장 외각 테두리에 각각 배치되는 슬라이딩편(502)은 하판기름받이통받침대(140)에 얹혀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서, 하판기름받이통(500)을 앞뒤 방향으로 움직일 시에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게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하판기름받이통(500)의 앞쪽에 아랫 방향으로 절곡된 전방절곡편(5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하판기름받이통(500) 구조물의 강도를 증가시키거나 하판기름받이통(500)이 외부 출입시에 소정 범위에서 걸림이 되어 의도하지 않은 인출범위의 제한을 둘 수 있다.
더하여, 하판기름받이통(500)의 뒷쪽 테두리의 아래에 판넬 형태를 취하는 가림막(504)이 구비(부착)될 수 있다. 가림막(504)은 구조물의 강도를 증가시키며 한 쪽(뒤쪽)을 은폐한다. 그리고 가림막(504)으로부터 외측(더 뒷쪽)으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는 하판기름받이통노브(530)이 구비되어서, 하판기름받이통(500)을 인출시에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가림막(504)의 좌우측 각각의 아래에는 가림막(504)으로부터 아랫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판기름받이통받침대(520)이 구비되어서, 하판기름받이통(500)을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제품이 수익을 내고 안정적인 시장을 주도하도록 양산하는데에 있어서, 원가절감 절박성 및 내구성의 신뢰도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서 프레스 작업 한 번으로 절곡, 성형되어 제조공정 및 부속품을 줄이며, 내구성도 보장되는 보다 진보된 본체저면(105)의 구조 및 본체저면(105)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지지받는 하판기름받이통(500)에 관하여 도 4 내지 도 7의 예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 도 6 및 도 7에서 본체저면(105)은 장방형의 판넬 형상을 취하되, 본체저면(105)의 앞쪽 테두리는 위로 대략 수직되게 위로 올라가도록 한 번 절곡(t1)된 후, 수평면을 제공하도록 외측으로 절곡(t2)되어 형성되는 본체전면받침편(170)이 구비된다. 본체전면받침편(170)에 본체전면(102a)의 아래쪽 저부가 단단히 부착(고정, 결합)된다. 이로써, 본체전면(102a)이 본체전면받침편(170)으로부터 받침을 받아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
본체전면받침편(170)와 함께 한 번의 프레스 작업으로 하판기름받이통받침대(140)를 형성한다. 하판기름받이통받침대(140)는, 본체저면(105)의 좌우측 각 테두리가 절곡(t3)되어 위쪽으로 수직되게 올라간 후, 외측(바깥쪽)으로 수평하게 절곡(t4)되어 일차 수평면(141)을 형성한다. 그리고 다시 위쪽으로 수직되게 올라가도록 절곡(t5)되어 수직면을 만든 후에 외측으로 수평하게 절곡(t6)되어 이차 수평면(142)을 형성한다. 다음, 아래쪽으로 수직되게 절곡(t7)되어 내려간 후 다시, 수평하게 외측으로 절곡(t8)되어 3차 수평면(143)을 형성한다.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본체일측면(103) 및 본체타측면(104)의 각 저부(s1)에 인접한 내측은, 이차 수평면((142)과 3차 수평면(143)을 사이에 두고 이루어진 절곡(t7, t8)으로 형성된 수직면에 부착(고정, 결합)되고, 본체일측면(103) 및 본체타측면(104)의 각 저부(s1)는 3차 수평면(143)에 부착되어서, 본체일측면(103) 및 본체타측면(104)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본체저면(105)의 좌우측 테두리에 단단히 고정 결합된다. 부착(고정, 결합)은 나사조임, 리벳팅, 용접처리 등 공지된 방법을 따른다.
하판기름받이통(500)은 본체저면(10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 4에서, 하판기름받이통(500)의 좌우측 각 슬라이딩편(502)이 본체저면(105) 좌우측의 각 하판기름받이통받침대(140)에 접촉하여 얹혀진 상태로 슬라이딩이 되도록 조립된다. 보다 상세하게, 슬라이딩편(502)은 이차 수평면(142)에 얹혀서 지지받으며, 또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를 받는다. 동시에 더하여, 일차 수평면(141)에도 얹혀서 지지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릴본체(100); 열원(110);
상판(200);
상판기름받이통(300);
하판(400);
하판기름받이통(500);

Claims (1)

  1. 전체 구성의 틀이 되며 몸체의 중간 높이에 적외선 발생이 가능한 열원(110)이 장착되는 그릴본체(100);
    그릴본체(10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얹혀서 열원(110)의 위에 배치되며 아랫쪽의 열원(110)으로부터 가열되어 전도방식으로 음식물을 가열하는 상판(200);
    그릴본체(100)의 일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판(200)의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기름을 포집하는 상판기름받이통(300);
    그릴본체(10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어 외부로 출입하며 열원(110)의 아래에 배치되어 윗쪽의 열원(110)으로부터 적외선 복사방식으로 음식물을 직화구이 가능하게 받쳐주는 하판(400); 및
    하판(400)과 함께 그릴본체(10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어 외부로 출입하며 하판(400)을 받침하도록 하판(400)의 하단에 배치되며 동시에 하판(400)에서 직화구이 중에 발생하는 기름을 포집하는 하판기름받이통(500);을 포함하는 전기그릴에 있어서,

    그릴본체(100)는,
    본체전면(102a), 본체일측면(103), 본체타측면(104) 및 본체저면(105)이 사각박스의 판넬 형태로 둘러쌓이고, 본체배면(102b)은 그릴본체(100)의 상단 모서리 쪽만 차단하는 판넬 형태를 취하여 그 아래는 개방되어서, 내부가 비고 배면의 아랫부분이 개방되도록 제공되고, 그릴본체(100)의 저면 각 모서리 4곳에는 그릴본체(100)를 지지하는 본체받침대(160)가 각각 구비되고,
    본체전면(102a) 및 본체배면(102b)의 상단은 '┗' 형태의 본체측거취홈(120)이 형성되고,
    본체일측면(103)에는 상판기름받이통(300)을 수납하도록 상판기름받이통(300)의 외형에 대응하는 내벽면의 형태를 취하며 상면이 개방되는 상판기름받이통수납함(130)이 형성되고,
    본체일측면(103) 및 본체타측면(104)의 각 내측면 아래에는 하판기름받이통(500)을 받침하는 하판기름받이통받침대(140)과 보조적으로 슬라이딩으로 출입시에 마찰을 감소시킬 롤러(140r)가 적어도 앞뒤 어느 한 쪽에는 구비되고,
    본체저면(105)에는 앞뒤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복수 구비되어 본체저면(105)의 상면 좌우측에 각각 고정되는 하판기름받이통저면받침대(150)가 구비되고,
    열원(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일단이 본체일측면(103)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본체타측면(104)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본체타측면(104)에 열원(110)을 제어할 열원제어부(101)가 구성되고,

    상판(200)은,
    장방형의 판 형태를 취하며 둘레에 아래로 오목한 홈이 패여 기름을 포집하는 기름드레인(210)이 형성되고, 기름드레인(210)에는 본체일측면(103)에 위치하는 쪽에 기름을 아래로 유출할 기름유출구(211)가 천공되고,
    본체전면(102a) 및 본체배면(102b)에 위치하게 되는 상판(200)의 테두리는 본체측거취홈(120)에 대응하는 '┓' 형태의 상판측거취홈(220)이 형성되어 상판(200)을 그릴본체(100)에 얹을시에 상판측거취홈(220)이 본체측거취홈(120)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판기름받이통(300)은,
    내부에 빈 공간(330)이 형성되고 상면이 트인 사각박스 형태를 취하되, 상판기름받이통타측면(301)의 상단에는 상판기름받이통수납함(130)에 수납될 시에 기름유출구(211)로부터 유출되는 기름을 빠짐없이 상판기름받이통(300)의 내부로 포집되게 안내하도록 상판기름받이통타측면(301)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기름가이드(310)가 구성되고,
    상판기름받이통일측면(302)의 상단에는 상판기름받이통노브(320)가 상판기름받이통일측면(30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아래에는 내측으로 요입된 파지용요부(321)가 형성되어서 상판기름받이통(300)을 상판기름받이통수납함(130)에 수납하거나 이탈시킬 시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고,

    하판(400)은,
    장방형의 판 형태를 취하며 하판몸체평면(401)에 기름을 아래로 유출할 하판기름유출구(430)가 복수 천공되고, 하판좌우평면(402)에는 파지홈(420)이 천공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하판(400)의 테두리에는 '┓' 형태의 하판측거취홈(410)이 형성되고,

    하판기름받이통(500)은,
    장방형의 판 형태를 취하되 아래로 오목하게 패인 기름포집요부(501)가 형성되어 하판(400)으로부터 아래로 유출되는 기름을 포집하고, 기름포집요부(501)의 저면은 하판기름받이통저면받침대(150)로부터 지지받고,
    기름포집요부(501)의 테두리 상단은 하판측거취홈(410)에 대응하는 '┗' 형태의 하판기름받이통측거취홈(510)이 형성되어 하판(400)을 하판기름받이통(500)에 얹을시에 하판측거취홈(410)이 하판기름받이통측거취홈(510)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하판기름받이통(500)의 좌우측 가장 외각 테두리에 배치되는 슬라이딩편(502)은 하판기름받이통받침대(140)에 얹혀서 하판기름받이통(500)을 앞뒤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게 가이드를 하고,
    하판기름받이통(500)의 앞쪽에 아랫 방향으로 절곡된 전방절곡편(503)이 형성되어 구조물의 강도를 증가시키거나 하판기름받이통(500)이 외부 출입시에 소정 범위에서 걸림이 되어 의도하지 않은 인출범위의 제한을 둘 수 있게 하고,
    하판기름받이통(500)의 뒷쪽 아래에 판넬 형태로 부착되어 구조물의 강도를 증가시키며 한 쪽을 은폐하는 가림막(504)과, 가림막(504)으로부터 외측으로 평행하게 돌출되어 하판기름받이통노브(530)이 형성되어 하판기름받이통(500)을 인출시에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고, 가림막(504)의 좌우측 아래에 각각 가림막(504)으로부터 아랫 방향으로 돌출하여 하판기름받이통(500)을 지지하는 하판기름받이통받침대(520)를 포함하여서,

    고기와 같은 음식물을 조리할 시에 1차적으로 하판(400)에서 직화구이를 실시하고 동시에 다량의 기름을 하판기름받이통(500)에 유출시킨 후에, 하판(400) 및 하판기름받이통(500)을 외부로 인출시켜 빼어내서 직화구이된 음식을 상판(200)에 얹고서 2차로 조리하면서 남은 기름을 상판기름받이통(300)으로 유출시키거나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그릴.
KR1020170164747A 2017-12-03 2017-12-03 전기그릴 KR101902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747A KR101902713B1 (ko) 2017-12-03 2017-12-03 전기그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747A KR101902713B1 (ko) 2017-12-03 2017-12-03 전기그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713B1 true KR101902713B1 (ko) 2018-09-28

Family

ID=6372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747A KR101902713B1 (ko) 2017-12-03 2017-12-03 전기그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7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208A (ko) * 2018-10-17 2020-04-27 김민준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00002416U (ko) 2019-04-24 2020-11-03 김현상 전기구이기구
WO2022211606A1 (ko) * 2021-03-31 2022-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5361A (ja) 2002-05-09 2003-11-18 Paloma Ind Ltd グリル
KR100522401B1 (ko) 2004-04-23 2005-10-18 김운식 직화구이기
KR101449555B1 (ko) * 2014-04-18 2014-10-13 계상범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5361A (ja) 2002-05-09 2003-11-18 Paloma Ind Ltd グリル
KR100522401B1 (ko) 2004-04-23 2005-10-18 김운식 직화구이기
KR101449555B1 (ko) * 2014-04-18 2014-10-13 계상범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208A (ko) * 2018-10-17 2020-04-27 김민준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218963B1 (ko) * 2018-10-17 2021-02-23 김민준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00002416U (ko) 2019-04-24 2020-11-03 김현상 전기구이기구
WO2022211606A1 (ko) * 2021-03-31 2022-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8532B2 (ja) 外部ドリップトレイモジュール付き垂直グリル
KR101902713B1 (ko) 전기그릴
CA2365023C (en) Food grilling system for oven cavity with byproduct removal
KR200466279Y1 (ko) 난로 겸용 구이기
KR20140114728A (ko)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US20170318629A1 (en) Multifunction Ovens
US2767298A (en) Domestic appliance
KR101042079B1 (ko) 숯불 고기구이기
KR102076911B1 (ko) 구이장치
KR101571499B1 (ko) 다용도 불판
KR100936895B1 (ko) 전기식 로스터
US3466998A (en) Bacon crisper
CN208463631U (zh) 烹饪器具
KR102103721B1 (ko) 조리기기
US10655864B2 (en) Deep-embossed sump and heating element for an oven
CN210697272U (zh) 一种上掀式电烤器结构
JP2006029622A (ja) 加熱調理用受け皿セット及び加熱調理器
KR101042138B1 (ko) 숯불 고기구이기
JP4000526B2 (ja) 加熱調理器
CN215175280U (zh) 便携式卡式炉和便携式卡式炉套件
CN217659397U (zh) 一种开放式烤箱
RU217829U1 (ru) Узел вращения гриля
CN219680405U (zh) 一种手提式多功能无烟碳烤炉
CN211796009U (zh) 一种便于户外使用的烧烤炉
CN213757825U (zh) 一种红外线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