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310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310B1
KR102575310B1 KR1020210186246A KR20210186246A KR102575310B1 KR 102575310 B1 KR102575310 B1 KR 102575310B1 KR 1020210186246 A KR1020210186246 A KR 1020210186246A KR 20210186246 A KR20210186246 A KR 20210186246A KR 102575310 B1 KR102575310 B1 KR 102575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isposed
coupling
cooking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8848A (ko
Inventor
윤동혁
김학수
곽동성
윤성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7663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44414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58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848A/ko
Priority to KR1020230112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9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3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35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2Reflectors for radiation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6Protective guard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heate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1/00Heating by combined application of processe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H05B3/00 - H05B7/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9Cooking devices induction ov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6/00Aspects relating to 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covered by group H05B6/00
    • H05B2206/02Induction heating
    • H05B2206/022Special supports for the induction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도어 개방시 하우징의 전방과 상부가 함께 개방되고, 이와 함께 도어 개방에 연동되어 트레이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열원(熱源)의 종류에 따라 가스 오븐과 전기 오븐으로 대별된다. 가스 오븐은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여 점화시킴으로써 공급되는 가스가 타면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며,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과 달리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다수의 히터가 작동되면서,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이 중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보다 요리의 속도가 빠르고 열효율이 높으며, 안정성이 좋아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에 비해 소형화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크기가 작은 미니 오븐 형태의 전기 오븐(이하 "미니 오븐"이라 한다)도 출시되고 있다.
상기 미니 오븐은, 크기가 작아 크기가 큰 음식물의 조리에는 부적합하지만, 대용량의 오븐을 사용하기엔 부담스러운 소량의 음식물을 굽거나 데우는데 적합하다.
특히 미니 오븐은, 토스트를 굽는데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으면서도, 토스트 외에도 크기가 작은 소량의 음식물을 조리하는데도 이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기존의 토스트기를 대체하는 조리기기로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니 오븐은 모든 구성품을 수용하기 위한 외부 케이스와, 조리 시에 음식물을 올려놓기 위한 복수개의 선반과, 전면이 개구되어 음식물을 넣어서 조리할 수 있도록 된 조리실을 구비한다.
또한 미니 오븐은, 음식물을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오븐히터와,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도어는 조리실에 음식물을 넣고 조리를 하는 동안 조리실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어 밀폐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도어에는, 도어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와, 도어를 열지 않고도 조리실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리창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미니 오븐에서, 도어는 대부분 하부 개방형 타입으로 구비된다. 즉 미니 오븐에 적용되는 도어는, 그 하단부가 도어 힌지를 통해 외부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부를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동하여 조리실을 개방하고, 조리실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부방향으로 회동하여 조리실을 폐쇄하는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
도어는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약 90도 정도의 각도로 회동하여 조리실을 개방하고,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은 이와 같이 도어가 조리실을 개방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어는 미니 오븐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반과 대략 평행을 이루는 상태로 개방되며,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미니 오븐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첫째,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미니 오븐이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었을 때 도어의 개방과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둘째,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크기만큼이나 무게도 가벼운 미니 오븐의 특성 상,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면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릴 수 밖에 없고, 이 경우 미니 오븐이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증가된다.
특히 선반의 인출시, 조리 상태의 확인이나 선반의 임시 거치를 위해 선반이 도어의 상부에 얹혀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는데, 이와 같이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구조에서는 미니 오븐의 전도 위험성이 커질 수밖에 없게 된다.
더욱이 선반 또는 선반에 올려진 음식물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 이러한 위험성은 더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 무거운 음식물의 조리에 위험성이 더해질 뿐 아니라, 선반의 중량을 증가시키는데 부담이 있게 된다. 즉 조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껍고 무게가 많이 나가는 재질의 선반의 채용이 필요하더라도, 미니 오븐의 전도 발생 위험으로 인해 이러한 선반의 채용이 어렵게 된다.
셋째,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의 통로, 그리고 조리 상태 확인의 통로가 미니 오븐의 전면으로 제한됨으로 인해, 여러 가지 제약이 발생된다.
즉 선반의 삽입 및 인출 방향이 전후방향으로만 제한되므로, 미니 오븐이 낮은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 선반의 삽입 및 인출에 불편함이 발생된다. 또한 조리 상태의 확인의 통로가 도어에 구비된 유리창으로만 제한되므로, 미니 오븐이 낮은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 조리 상태를 확인하는데 상당한 불편함이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음식물 전체의 조리 상태를 제대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어 개방만으로는 부족하고, 트레이의 인출이 반드시 이루어져야만 한다.
즉 사용자가 음식물 전체의 조리 상태를 제대로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한 후 선반을 직접 인출, 삽입하여야만 하는데, 미니 오븐이 낮은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 이러한 작업은 매우 불편한 작업이며, 사용자가 선반을 직접 인출, 삽입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넷째, 사용자가 조리실 내부로부터 선반을 직접 당기거나 조리실 내부로 밀어 넣는 형태로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사용자의 불편 및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성이 증가된다.
조리 도중, 사용자가 선반을 인출하여 전체적으로 직접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한 후 직접 선반을 잡고 인출하여야 하고, 조리를 재개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직접 선반을 잡고 조리실 내부로 선반을 밀어 넣어야 한다.
즉 단순히 조리 상태를 확인하고 싶을 때에도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하고 선반을 직접 인출, 삽입하여야 하는 불편함에 사용자가 노출되고, 또한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이 과정에서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려 미니 오븐의 전도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사용자의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될 수 있다.
선행문헌1(일본등록특허 제6289602호)에는, 도어의 개폐와 연동하여 조리실을 출입하는 조리판을 포함하는 가열조리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1의 구성에 따르면, 조리실에는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이하 "제1슬라이드 레일"이라 한다)이 마련되고, 도어에도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이하 "제2슬라이드 레일"이라 한다)이 마련되어 조리실측에 마련된 슬라이드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슬라이드 레일은 제1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도어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조리실을 개폐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슬라이드 레일에는 지지부재가 설치되며, 지지부재의 상단부에는 조리판이 상방에서 걸려 지지된다. 즉 조리판은 지지부재에 의해 제2슬라이드 레일에 지지되고, 이 제2슬라이드 레일은 제1슬라이드 레일에 지지된다.
상기 구조에 의해, 조리판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어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조리판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동작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조리실을 출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는, 조리판의 출입이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리판의 삽입과 인출이 좀 더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는, 상술한 미니 오븐의 첫 번째 단점과 두 번째 단점을 그대로 갖는다.
즉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단점,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는 단점이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는, 단순히 조리판의 출입이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뿐, 조리 상태 확인을 위해서는 여전히 도어 개방이 필요한 구조로 제공되므로, 단순히 조리 상태를 확인하고 싶을 때에도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는 불편함 또한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
선행문헌2(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1565호)에는,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전방뿐 아니라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상부 일부분도 함께 개방되는 구조의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2의 구성에 따르면, 토스터기의 전방에 도어가 설치되고, 이 도어는 토스터기의 전방측으로 회동하여 토스터기의 내부공간을 개방한다. 이때 도어가 토스터기의 전방뿐 아니라 상부 일부분도 함께 덮을 수 있게 마련되므로,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전방뿐 아니라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상부 일부분도 함께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선행문헌2의 구성에 따르면, 도어의 내부에 토스터홀드가 내설되고, 도어 개방시 토스터홀드가 도어와 함께 전방으로 회동하며 조리기기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선행문헌2의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는, 토스터홀드의 출입이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토스터의 삽입과 인출이 좀 더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2의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상부 일부분도 함께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폐시 토스터홀드에 수용된 토스터와 조리기기의 프레임 간의 간섭 발생이 회피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선행문헌2의 장치는, 상술한 미니 오븐의 첫 번째 단점과 두 번째 단점을 그대로 갖는다.
즉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단점,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는 단점,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의 통로, 그리고 조리 상태 확인의 통로가 미니 오븐의 전면으로 제한됨으로 인해, 여러 가지 제약이 발생되는 단점이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2에 개시된 장치는, 단순히 토스터홀드의 출입이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뿐, 조리 상태 확인을 위해서는 여전히 도어 개방이 필요한 구조로 제공되므로, 단순히 조리 상태를 확인하고 싶을 때에도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는 불편함 또한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2에 개시된 장치에 따르면, 도어의 내부에 토스터홀드가 내설되기 때문에,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더욱 쏠리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상기 선행문헌2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도어 개방시 도어가 토스터기의 전방으로 펼쳐질 뿐 아니라, 전방으로 펼쳐진 도어의 무게에 토스터홀드의 무게, 토스터홀드에 수용된 토스터의 무게가 더해지게 되므로,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더욱 쏠리게 되고, 이로 인해 토스터기의 전도 발생 위험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선행문헌3(미국등록특허 제6271502호)에는, 프런트 도어와 탑 커버를 구비하는 오븐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3의 구성에 따르면, 오븐의 전방에는 프런트 도어가 설치되고, 오븐의 상부에는 탑 커버가 설치된다. 프런트 도어와 탑 커버는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각각 독자적으로 동작하며, 오븐 내부 공간의 전방은 프런트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오븐 내부 공간의 상부는 탑 커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선행문헌3의 장치는, 상술한 미니 오븐의 첫 번째 단점과 두 번째 단점을 그대로 갖는다.
즉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단점,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는 단점이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또한 선행문헌3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프런트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내부 공간과 탑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내부 공간은 서로 분리된 공간이고 서로 연결된 공간이 아니다.
즉 프런트 도어와 탑 커버가 함께 개방된다고 해서 프런트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내부 공간의 개방 정도가 확장되는 것이 아니며, 탑 커버의 개방에 의해서는 단지 탑 커버의 개방에 의해서만 개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개방될 뿐이다.
선행문헌4(미국등록특허 제6029649호)에는, 원통형으로 제공되는 오븐에 설치되어 오븐을 개폐하는 오븐 도어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4에 따르면, 도어는 원통 형상의 바디에 도어가 설치되고, 이 도어는 원통 형상의 바디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며 바디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는, 개방시 바디의 전방이나 후방 어디로도 돌출되지 않으며, 단지 바디 둘레를 회전하며 바디를 개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선행문헌4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첫째, 선행문헌4에 개시된 도어는, 조리기기의 본체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육면체 형상의 조리기기 본체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므로, 호환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둘째, 선행문헌4에 개시된 바디의 내부에는 선반과 같이 음식물이 안착되기 위한 구조물의 설치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또한 바디의 내부에 선반과 같은 구조물이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바디의 구조상 이러한 선반의 인출과 삽입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된다.
또한 도어가 바디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며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도어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선반의 인출과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적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아울러 상기 선행문헌4에 개시된 도어의 구조에 따르면, 조리기기의 전면이나 상부면에 조작스위치가 배치되기 어렵다. 이는 바디의 전면과 상부면 대부분이 도어에 의해 덮여있거나 도어의 회전범위 내에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선행문헌4에서는 타이머와 같은 조작스위치가 바디의 측면에 배치된 구성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조작스위치가 조리기기의 전면이나 상부면에 배치되지 못하고 조리기기의 측면에 배치되면, 사용자가 조작스위치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있게 된다. 따라서 선행문헌4와 같은 조작스위치의 배치 형태는 사용자의 편의성 측면에서 볼 때 바람직한 형태라고 보기 어렵다.
또한 선행문헌1 내지 선행문헌4 어디에도,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된 형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선행문헌1 내지 선행문헌4에는 조작스위치가 본체에 구비되어 있다.
특히 선행문헌1 및 선행문헌3에는, 조작스위치가 조리기기의 본체에 배치되되, 도어의 좌우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조작스위치가 배치되는데 필요한 공간만큼 본체의 좌우방향 폭이 길어져야 하는데, 이로 인해 조리기기 전체의 크기는 커지면서도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폭은 그에 비해 좁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선행문헌2에서는, 조작스위치가 조리기기의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조작스위치의 위치가 낮아짐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있게 된다. 또한 선행문헌2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또 조작스위치가 배치되는데 필요한 공간만큼 본체의 상하방향 길이가 길어져야 하는데, 이로 인해 조리기기 전체의 크기는 커지면서도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폭은 그에 비해 좁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마지막으로, 선행문헌4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리기기의 측면에 배치되면, 사용자가 조작스위치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있게 된다.
상기 선행문헌1 내지 선행문헌4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되기가 어렵다. 선행문헌1 내지 선행문헌4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리실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도어에 투시창이 배치되는데, 이러한 투시창이 도어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하므로, 도어에 조작스위치가 설치될만한 공간이 확보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되면, 조작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판도 도어 내부에 배치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제어기판이 설치될 공간이 도어 내에서 확보되기도 어렵다.
따라서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되는 구성이 제공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의 설계가 요구된다.
선행문헌1 : 일본등록특허 제6289602호 선행문헌2 : 한국공개특허 제20-2011-0001565호 선행문헌3 : 미국등록특허 제6271502호 선행문헌4 : 미국등록특허 제6029649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기기의 크기 증가는 억제되면서도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통로의 폭이 증가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 상태 확인이 용이하며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방과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에 배치되어야 하는 각종 구성들이 도어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에 배치되어야 하는 각종 구성들이 도어에 쉽고 빠르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조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조리기기의 미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필요한 조작이나 오조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쉽고 편리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름 조작과 회전 조작이 모두 가능한 동시에, 누름 조작을 위한 누름면이 회전 조작 여부와 관계 없이 설정된 각도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작장치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름 조작을 위한 누름면이 회전 조작 여부와 관계 없이 설정된 각도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누름면을 누르는 힘이 노브와 연결된 회전축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름 조작을 위한 누름면이 회전 조작 여부와 관계 없이 설정된 각도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노브를 회전시키는 힘이 노브와 연결된 회전축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는, 도어 개방시 하우징의 전방과 상부가 함께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 개방시 하우징의 전방과 상부가 함께 개방되고, 이와 함께 도어 개방에 연동되어 트레이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 개폐에 연동되어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 개폐에 연동되어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힌지 어셈블리 내부에는, 조리기기의 전면 및 상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유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유로는, 힌지 어셈블리의 전방 및 상부에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유로의 하부에는, 냉각팬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의 영향을 받아 온도가 쉽게 상승될 수 있으면서 사용자와의 접촉 가능성이 높은 부분에 대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이 방지되고 도어의 과열로 인한 도어내부 부품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후방에 제어기판이 배치되고, 제어기판의 후방에 배면커버가 배치될 수 있다.
배면커버는, 절연 재질로 형성되어 금속 재질의 캐비닛과 제어기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전면부와 도어상면부의 내부에 공간부가 각각 형성되고, 도어전면부에는 흡기구가 형성되며, 도어상면부에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외부 공기가 흡기구를 통해 도어의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제1제어기판과 투시창 내부의 공간부를 냉각시킨 후 배기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상면부의 내부에 케이블장착부가 마련되고, 제1제어기판과 제1가열부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조리기기의 상부에 형성된 투시창을 통해 조리실 내부를 상부에서 내려다볼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지지패널이 도어본체부와 도어배면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도어본체부의 내부에 고정되고, 제어기판이 지지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손잡이와 지지패널과 도어가 하나의 브라켓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배면커버와 제어기판과 지지패널과 도어가 하나의 브라켓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도어 내부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도어 내부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어의 조립 작업에 소요되는 공수가 감소되고, 도어 조립 작업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온도센서가 배치되고, 이 온도센서가 조리실을 향해 도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온도센서가 배치되고, 이 온도센서가 조리실을 향해 도어 외부로 돌출되되, 조리실의 상부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온도센서는, 트레이와 가열부 사이에 배치되되, 가열부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는, 도어전면부의 상측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는, 가열부가 차폐판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투시창이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조리기기가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제1가열부가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레이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된 제1가열부는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도어상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가열부는 조작장치 및 제1제어기판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어의 무게 중심도 후방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제1가열부와 투시창이 도어상면부에 배치되고 조작장치는 제1가열부와 투시창이 설치되지 않은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가 하우징의 전면과 상면을 개방한 상태일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도록, 글라스와 히터 등과 같이 무게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가는 부품들이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조리기기는, 도어가 조리실을 개방할 때 조리기기의 무게중심이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방 및 선반 인출시 조리기기의 전도 발생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저면과 양측면과 배면으로 둘러싸인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도어상면부 및 상기 도어상면부의 전방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도어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조리실에 배치되는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어에 배치되는 제1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가열부를 지지하며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도어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도어상면부의 하부를 덮으며 상기 도어와 결합되고,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상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제1가열부가 결합되는 히터장착부; 및 상기 도어상면부와 결합되어 상기 히터장착부를 상기 도어상면부에 지지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가열부는,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접속단을 구비하는 전기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장착부는, 상기 발열체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접속단을 고정시키는 제1접속단고정부, 및 상기 발열체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 배치되는 접속단을 고정시키는 제2접속단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접속단고정부와 상기 제2접속단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접속단의 주변을 둘레방향 외측에서 감싸는 커버; 및 상기 커버부로부터 둘러싸인 공간을 상기 제1가열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내측공간과 길이방향 외측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접속단이 끼움 결합되는 지지벽;을 포함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제1가열부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보호그릴을 더 포함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그릴은, 상기 제1가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강선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강선은, 상기 제1가열부의 주변을 둘레방향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배열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접속단고정부와 상기 제2접속단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강선을 상기 히터장착부에 고정시키는 그릴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릴고정부는, 상기 커버에서 상기 제1가열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리브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강선은 복수개의 상기 고정리브 사이에 형성된 고정홈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접속단고정부와 상기 제2접속단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접속단고정부와 상기 제2접속단고정부 사이에서 상기 강선을 지지하는 그릴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가열부보다 상기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서 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접속단고정부와 상기 제2접속단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가로지지부; 및 상기 커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가로지지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1접속단고정부와 상기 제2접속단고정부를 연결하는 제2가로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릴지지부의 일측은 상기 제1가로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그릴지지부의 타측은 상기 제2가로지지부와 연결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강선이 상기 커버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리브가 배치된 공간으로 삽입되기 위한 통로를 상기 커버에 형성하는 그릴통과홀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지지벽과 상기 그릴통과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릴통과홀은,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 단부와 상기 고정리브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광폭부; 및 상기 광폭부와 상기 고정리브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협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협폭부는, 상기 광폭부와 연결되며, 상기 광폭부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평면방향 내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히터장착부의 상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덮는 글라스가 배치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가열부보다 상기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서 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접속단고정부와 상기 제2접속단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가로지지부; 및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제1가로지지부 사이 및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글라스 사이를 가로막으며 상기 제1가열부의 열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글라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글라스 사이 및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제1가로지지부 사이를 가로막는 제1리플렉터부; 및 상기 제1리플렉터부와 상기 글라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리플렉터부와 상기 글라스 사이를 가로막는 제2리플렉터부;를 포함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리플렉터부는,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제1가로지지부와 상기 글라스 사이를 경사지게 가로지르는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리플렉터부는, 상기 글라스와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리플렉터부와 상기 제2리플렉터부 사이에는, 상기 제1리플렉터부와 상기 제2리플렉터부 및 상기 제1가로지지부로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가로지지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1접속단고정부와 상기 제2접속단고정부를 연결하는 제2가로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가로지지부에는, 상기 제2가로지지부에서 상기 제1가로지지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리플렉터지지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1리플렉터지지돌기는, 상기 제2리플렉터부와 간섭되어 상기 제2리플렉터부의 상하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리플렉터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면과, 상기 리플렉터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측벽, 및 상기 상기 커버의 측벽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커버의 바닥면에서 돌출되는 제2리플렉터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측벽과 상기 제2리플렉터지지돌기 사이의 공간에 상기 제1리플렉터부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1리플렉터부의 전후방향 위치가 규제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제1리플렉터부와 상기 제2리플렉터부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나의 금속 판재가 "て" 형상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되,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벽에는, 상기 지지벽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입구가 상부를 향해 개방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히터장착부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접속단을 상기 지지벽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접속단을 상기 지지벽에 고정시키는 접속단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단지지부재는, 상기 안착홈의 입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안착홈의 입구와 상기 접속단 사이를 가로막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단은, 상기 안착홈 내부에서 상기 접속단지지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어셈블리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힌지케이스, 및 상기 힌지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냉각유로를 포함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유로의 입구가 상기 힌지케이스의 하부로 개방되고, 상기 냉각유로의 입구에 냉각팬이 배치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회동에 연동되어 자세가 변화되는 힌지부와; 상기 트레이가 거치되고, 상기 힌지부의 자세 변화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트레이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거치돌기; 및 상기 힌지부의 자세 변화에 의해 입력되는 힘을 상기 거치돌기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방향의 힘으로 변환하는 변환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변환출력부가 배치되고, 상기 변환출력부는, 상기 힌지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되,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연결되고,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변환출력부의 전방에 배치된 영역 및 상기 변환출력부의 상부에 배치된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힌지케이스의 하부로부터 상기 변환출력부의 전방에 배치된 영역을 통과하는 제1구간, 및 상기 제1구간의 상부측에서 상기 변환출력부의 상부에 배치된 영역을 통과하는 제2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간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 및 상기 도어전면부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구간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상기 도어상면부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가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판은, 서로 연결된 상기 하우징의 저면 하부의 내부공간과 상기 하우징의 배면 배후의 내부공간을 통해 상기 제2가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기판을 지지하는 배면지지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면지지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배면지지패널과 결합되는 배면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판은, 상기 배면지지패널과 상기 배면커버에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면지지패널에 설치되는 전원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제어기판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면지지패널에 설치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팬은, 상기 제어기판의 측부 및 상기 전원연결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면지지패널에 설치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어기판의 측부와 상기 전원연결부의 상부 및 상기 냉각팬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캐비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판은, 상기 배면지지패널과 상기 캐비닛에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기판과 마주보는 상기 캐비닛의 배면에는, 관통홀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는 흡배기그릴을 더 포함하는 것이 비람직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지 않고 상부방향으로 회동되며 조리실의 전면과 상면을 모두 개방할 수 있게 마련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도어의 개방이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음식물이나 트레이의 인출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에 의해 도어의 전면과 상면이 개방될 수 있어 도어의 개방에 의해 트레이부가 더 많이 노출되므로, 트레이의 일부만 인출하여도 조리물을 용이하게 넣거나 꺼낼 수 있어 더 향상된 편의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지 않고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며 개폐되도록 마련되므로, 도어의 개방시에도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릴 우려가 적고, 이에 따라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회동 중심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형성되고, 도어의 무게 중심이 도어전면부보다 도어상면부에 치우치게 형성되며, 도어의 개방시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므로,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고, 이로써 조리기기의 안전성 및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도 위험성이 현저히 낮은 안정적인 구조의 조리기기를 제공함으로써, 조리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께 및 중량이 증가되는 트레이나 유도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한 트레이를 자유롭게 채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음식물이나 트레이를 조리실에 삽입하거나 조리실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확장된 통로를 제공하는 동시에 도어 개방 또는 폐쇄시 트레이가 자동으로 인출되거나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나 트레이의 인출 및 삽입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장치가 도어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의 크기는 줄이면서도 트레이 및 음식물이 출입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출입구를 제공할 수 있고, 이로써 컴팩트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더욱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시창이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조작장치가 도어의 전방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조리기기가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정면에서 마주보며 쉽고 편리하게 조작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내부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도어 내부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어의 조립 작업에 소요되는 공수가 감소되고, 도어 조립 작업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열의 영향을 받아 온도가 쉽게 상승될 수 있으면서 사용자와의 접촉 가능성이 높은 부분에 대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이 방지되고 도어의 과열로 인한 도어내부 부품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및 힌지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1의 "Ⅹ-Ⅹ"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Ⅹ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도어의 일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제1제어기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폐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ⅩⅩⅧ-ⅩⅩ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의 "ⅩⅩⅨ-ⅩⅩ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7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ⅩⅩⅩⅠ-ⅩⅩⅩ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30의 "ⅩⅩⅩⅡ-ⅩⅩⅩ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3은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무게 중심 변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4는 도어전면부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지지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지지패널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7은 온도센서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34에 도시된 브라켓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9는 지지패널과 도어배면커버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어본체부 전면과 지지패널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1은 도어전면부의 내부 구성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2 내지 도 44는 도어전면부의 조립 과정을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45는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6은 도 27의 "ⅩⅩⅩⅩⅥ-ⅩⅩⅩⅩ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제2가열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8은 도 47에 도시된 제2가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9는 도 47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0은 도 47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온도센서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1은 도 47에 도시된 제2제어기판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52는 도 51에 도시된 제2제어기판의 배면에 배면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프레임 및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성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4는 도 53에 도시된 도어프레임 및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성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5는 도 54에 도시된 도어프레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6은 도 53의 "ⅩⅩⅩⅩⅩⅥ-ⅩⅩⅩⅩⅩ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7은 도 53의 "ⅩⅩⅩⅩⅩⅦ-ⅩⅩⅩⅩⅩ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8은 도 53의 "ⅩⅩⅩⅩⅩⅧ-ⅩⅩⅩⅩⅩ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9는 도 53에 도시된 도어프레임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0은 도어프레임과 힌지부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1은 도어프레임과 힌지부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2는 도어프레임과 힌지부와 도어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4는 도 63의 "ⅩⅩⅩⅩⅩⅩⅣ-ⅩⅩⅩⅩⅩⅩ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5는 도 64에 도시된 냉각유로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하우징(100)과 도어(300)와 트레이(200) 및 가열부(400,6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골격을 형성한다. 이에 따르면,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여러 부품들은 하우징(100)에 각각 설치되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10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하우징(100)은, 저면(110)과 한 쌍의 측면(120,130)과 배면(140)을 포함하고, 그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으로 둘러싸인 조리실(105)이 형성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배치된다. 트레이(200)는, 조리물이 안착되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조리실(105)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20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조리실(105)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도어(300)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이동은 후술할 힌지 어셈블리(800)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어(300)는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이 조리기기의 저면, 측면,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도어(300)는 조리기기의 상면 및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도어(300)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전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상면부(310)는, 도어(300)의 상면을 이루며, 도어(300)가 하우징(100) 내부의 조리실(105)을 폐쇄할 때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구성에 해당된다. 그리고 도어전면부(350)는, 도어(300)의 전면을 이루며,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할 때 하우징(100)의 개방된 전면을 덮는 구성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300)는 "ㄱ"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도어(300)는, 도어(300)의 상면을 이루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300)의 전면을 이루는 도어전면부(350)가 "ㄱ" 형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도어(300)는, 조리실(105) 개폐를 위한 회동시, "ㄱ" 형상으로 연결된 도어상면부(310)와 도어전면부(350)가 함께 회동하면서 조리실(105)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도어(300)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를 매개로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며,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이 힌지 어셈블리(8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어(300)의 전면에는 손잡이(305)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손잡이(305)를 잡고 도어(30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며 조리실(105)을 개폐할 수 있다.
가열부(400,600)는, 하우징(100) 또는 도어(300)에 설치되어 조리실(105)에 배치된 트레이(200)를 가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부(400,600)는 도어(300)에 배치되는 제1가열부(400)와 하우징(100)에 배치되는 제2가열부(6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가열부(400)는, 도어(300)에 설치되되,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하였을 때 제1가열부(400)가 조리실(105)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되, 하우징(100)의 저면과 마주하는 도어상면부(310)의 저면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가열부(400)는 전기히터를 구비한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는, 트레이(200)에 안착된 조리물을 트레이(200)의 상부에서 가열할 수 있다.
제2가열부(600)는, 하우징(100)에 설치되되, 트레이(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가열부(600)는, 제1가열부(400)와 다른 가열방식으로 트레이(200)를 가열하는 가열부, 예를 들면 유도가열부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제2가열부(60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설치되는 워킹코일(610)을 포함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트레이(200)의 하부에서 트레이(200)의 가열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트레이(200)는, 제2가열부(600)에 의해 유도 가열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105)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조리실(105)의 전방 및 상부를 동시에 개방할 수 있게 구비되는 도어(300)와, 조리실(105) 내부를 상부에서 가열할 수 있게 마련된 제1가열부(400), 및 조리실(105) 내부의 트레이(200)를 유도 가열할 수 있게 마련된 제2가열부(600)를 포함하며, 도어(300)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트레이(200)의 인출 및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된다.
위에서 언급된 구성들, 및 그 외에 아직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 순차적으로 기재될 것이다.
[하우징의 구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및 힌지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저면(110)과 한 쌍의 측면(120,130)과 배면(140)을 포함하고, 그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된다.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는 조리실(105)이 형성되고, 이러한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저면 하부에는 제2가열부(6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배면 후방에는 제2가열부(600)의 가동과 관련된 전장부품, 예를 들면 후술할 제2제어기판(700)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 외측에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된 힌지 어셈블리(800)와의 결합을 매개로 도어(300)가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하우징(100)은 금속판이 "└┘" 형상으로 절곡되고 이처럼 절곡된 금속판이 하우징(100)의 저면과 양측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우징(100)이 제조되면, 하우징(100)의 저면(110)이 양측면(120,130)과 이음새 없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조리실(105) 내부의 미감이 향상될 뿐 아니라,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 간의 틈새에 이물질이 끼거나 그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빠져 제2가열부(600)의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하우징(100)은 "ㅗ" 형상의 금속판의 왼쪽 돌출 부분과 오른쪽 돌출 부분을 각각 상부방향으로 접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을 형성하고, 배후측 돌출 부분을 상부방향으로 접어 하우징(100)의 배면(140)을 형성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우징이 제조되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 간, 그리고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배면(140) 간의 이음새 없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전방 및 상부에서 보았을 때 조리실(105) 내부의 이음새가 거의 보이지 않게 되면서 조리실(105)의 내측면이 매끄러운 평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조리실(105) 내부의 미감이 더욱 향상될 뿐 아니라, 조리실(105)의 내측면에 묻은 오염물의 제거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100)의 저면(110)은, 세라믹 글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세라믹 글라스는 소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세라믹 글라스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 저면(110)의 절개된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세라믹 글라스는 제2가열부(600)와 트레이(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에는, 후술할 제2제어기판(700)을 수용하는 배면케이스(150)가 배치된다. 제2제어기판(700)은 배면케이스(150)에 수용되어 하우징(100)의 배후에 설치되며, 하우징(100)의 배면(140)과 배면케이스(150) 사이에는 절연판(160)이 배치된다.
절연판(160)은, 조리실(105) 내부의 열기가 하우징(100)의 배면(140)을 통해 제2제어기판(70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2제어기판(700)이 설치된 배면케이스(150)와 하우징(100) 사이를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하우징(100)은 캐비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70)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을 덮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캐비닛(170)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에 설치된 힌지 하우징(800)과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설치된 제2제어기판(700)을 외측에서 감싸 보호하며, 조리기기의 측부 및 배후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의 구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1의 "₁-₁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물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도어(300)는 도어(300)의 상면을 이루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300)의 전면을 이루는 도어전면부(350)가 "ㄱ" 형상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구비된다.
도어상면부(31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상면부(310)에는, 도어프레임(320)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1가열부(400)는 이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된 형태로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300)는, 투시창(W)을 포함할 수 있다. 투시창(W)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되, 도어상면부(310)의 평면방향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투시창(W)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그 중 하나의 글라스(330; 이하, "제1글라스"라 한다)는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글라스(335)는 도어프레임(320; 이하, "제2글라스"라 한다)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에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은, 도어상면부(310)의 평면방향 중앙, 그리고 도어프레임(320)의 평면방향 중앙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글라스(330)는 도어상면부(310)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부에서 덮으며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고, 제2글라스(335)는 도어프레임(320)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부에서 덮으며 도어프레임(320)에 설치된다.
제1글라스(330) 및 제2글라스(335)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유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시창(W)은 제1글라스(330) 및 제2글라스(335)로 덮인 관통공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형성된 투시창(W)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를 상부에서 내려다볼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에서의 음식물 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미니 오븐의 특성 상, 사용자의 얼굴보다 상당히 낮은 지점에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가 사용되는 빈도가 높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도어(300)의 상면에 형성된 투시창(W)은,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투시창(W)을 형성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는, 각각 서로 다른 구성, 즉 하나는 도어상면부(310)에 다른 하나는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되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투시창(W)의 내부에는 두 글라스(330,335) 사이의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글라스(330)는 도어상면부(3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2글라스(335)는 도어프레임(320)에 설치되는데, 이에 따라 제1글라스(330)와 제2글라스(335) 사이는 적어도 도어상면부(310)의 두께만큼 이격될 수 있다.
즉 투시창(W)을 형성하는 제1글라스(330)와 제2글라스(335) 사이에는 적어도 도어상면부(310)의 두께만큼의 이격 공간에 형성되며, 이로써 투시창(W)의 내부에는 두 글라스(330,335) 사이의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이격 공간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처럼 이격 공간에 유입된 공기는 이격 공간 내에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형성된 이격 공간에 형성된 공기층은, 조리실(105)에 직접 노출된 제2글라스(335)를 가열한 열이 최외측에 위치한 제1글라스(33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와 같이 이중창 구조로 제공된 투시창(W)은, 투시창(W)의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그리고 투시창(W)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김서림 발생 등을 상당 수준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 된다.
아울러 도어상면부(310)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도어프레임(320)에 형성되는 관통공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상면부(310)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도어프레임(320)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내측 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어상면부(310)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투시창(W)을 통해 도어프레임(320)의 내측 테두리가 노출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투시창(W)을 통해 도어프레임(320)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미관상 유리한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되, 상부에서 보았을 때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가 형성하는 가로방향의 평면 상에서,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 및 도어프레임(320)에 형성된 관통공의 외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가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1가열부(400)가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는 영역에 배치된다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투시창(W)을 통한 시야 확보에도 문제가 발생되며, 투시창(W) 부분의 온도 상승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인 도어전면부(350)의 형상을 감안하면,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제1가열부(400)가 배치되어야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그만큼 증가될 수 있고,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증가된 만큼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이로써 미관 유지, 시야 확보 유지, 투시창(W)의 온도 상승 억제,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과 같은 기능적 이점을 확보하기가 유리해질 수 있게 된다.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어상면부(310)가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한다면, 도어전면부(350)는 세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한다.
일례로서,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의 전방 단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 공간과 도어상면부(310)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도어전면부(350)와 도어상면부(31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어(300)는, 그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된 도어전면부(350)와 도어상면부(310)가 "ㄱ" 형상으로 일체로 연결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어전면부(350)에는,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공간부에는, 조작장치(1000)의 적어도 일부분과 제1제어기판(500)이 수용될 수 있다.
조작장치(10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제어 조작을 위한 각종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작장치(1000)는 도어전면부(350)의 전면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조작장치(1000)를 직접 조작하여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제1제어기판(500)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된다. 제1제어기판(500)에는, 조작장치(100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된다.
제1제어기판(500)은, 조작장치(1000), 제1가열부(400) 및 제2가열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제1제어기판(500)은, 조작장치(1000)와 마찬가지로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되어 조작장치(1000)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같은 도어(300) 상에 배치된 제1가열부(400)와도 상당히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장치(1000)는 제1제어기판(500) 상에 직접 장착된 형태로 제1제어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조작장치(1000)에 마련된 각각의 조작 스위치는, 도어전면부(350)를 관통하여 제1제어기판(5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가열부(400)는, 서로 연결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와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를 통해 설치되는 케이블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 제1제어기판(500)과 조작장치(1000)와 제1가열부(400)가 매우 근접하고 공간적으로 연결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기 위한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이들 간의 연결 구조도 매우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케이블장착부(340,3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장착부(340,345)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사이에 배치되되,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아울러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는, 연결부재(343)가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연결부재(343)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케이블장착부(340,345) 사이를 각각 연결한다. 즉 한 쌍의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연결부재(343)는, 투시창(W)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연결부재(343)의 결합체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장착부(340,345)가 설치된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된 케이블장착부(340,345)에는, 서로 연결된 도어상면부(310)의 내부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를 통해 제1제어기판(500)과 제1가열부(40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C1,C2)이 설치된다.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 중 어느 하나에는, 전원을 제1가열부(400) 및 제1제어기판(500)에 공급하는 전원케이블(C2)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 중 다른 하나에는, 제1제어기판(50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1가열부(400)에 전달하는 신호케이블(C1)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도어(300)에는, 투시창(W)을 중심으로 전후방향 양측에 제1가열부(400)가 각각 배치되고, 투시창(W)을 중심으로 좌우방향 양측에 전원케이블(C2)과 신호케이블(C1)이 각각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1가열부(400)와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의 배치 구조는, 제1가열부(400)와 힌지 어셈블리(800)의 배치 구조를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1가열부(400)는 그 발열체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힌지 어셈블리(800; 도 3 참조)는, 투시창(W)을 중심으로 좌우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은, 제1가열부(400)와 제1제어기판(500)과 같이 도어(300)에 배치된 구성들뿐 아니라, 제2제어기판(700; 도 68 참조) 등과 같이 하우징(100)에 배치된 구성들과도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를 되도록 노출되지 않게 통과하려면, 도어(300)와 하우징(100) 간의 유일한 연결 부분인 힌지 어셈블리(800)가 배치된 부분을 통과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일례로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 중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의 연결 구간은,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를 통과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의 구간에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조리기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을 파손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가열부(400)의 발열체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 됨을 고려하면,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은 되도록 발열체와 먼 측에 배치되면서도 발열체의 연장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가열부(40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영향이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에 미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또한 복수개의 제1가열부(400)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됨을 고려하면,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제1가열부(400)의 좌우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이 제1가열부(400)들을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로 연결하는데 유리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투시창(W)을 사이에 두고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서로 다른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전원케이블(C2)은 하우징(100)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 중 어느 하나의 내부를 통과하여 그와 인접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되고, 신호케이블(C1)은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 중 어느 다른 하나의 내부를 통과하여 그와 인접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케이블은 하우징(100)의 좌측에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를 통과하여 도어(300)의 좌측에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되고, 신호케이블(C1)은 하우징(100)의 우측에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를 통과하여 도어(300)의 우측에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케이블이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를 통해,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 작업을 위한 배선 작업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와 관련된 유지보수 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케이블장착부(340,345) 및 연결부재(343)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글라스(330)와 제2글라스(3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케이블장착부(340,345) 및 연결부재(343)는 제2글라스(335)의 상부에 안착되며, 제1글라스(330)는 케이블장착부(340,345) 및 연결부재(343)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제1글라스(330)와 접촉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의 상부면과 제2글라스(335)와 접촉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의 하부면에는, 장착홈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글라스(330)와 접촉되는 연결부재(343)의 상부면과 제2글라스(335)와 접촉되는 연결부재(343)의 상부면에도, 장착홈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장착홈에는, 실링부재(s)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제1글라스(330) 사이,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제2글라스(335) 사이, 그리고 연결부재(343)와 제1글라스(330) 사이, 연결부재(343)와 제2글라스(335) 사이에 실링부재(s)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장착부(340,345) 및 연결부재(343)와 제1글라스(330) 사이 및 케이블장착부(340,345) 및 연결부재(343)와 제2글라스(335) 사이에 실링부재(s)를 이용한 밀폐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밀폐 구조는, 글라스(330,335) 사이에 습기가 들어가고 이로 인해 글라스(330,335)에 습기가 차거나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어 내부의 냉각 구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어상면부(310)의 내부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는 각각 공간부가 형성된다. 특히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된 투시창(W)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투시창(W)을 포함한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와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는, 서로 연결된다.
도어전면부(350)의 하단에는, 흡기구(301)가 형성된다. 흡기구(301)는, 도어전면부(350)의 하단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도어전면부(350) 상에 형성한다.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는, 배기구(303)가 형성된다. 배기구(303)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도어상면부(310) 상에 형성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냉각팬(3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냉각팬(370)은, 도어상면부(310)의 내부 또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냉각팬(370)이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도어상면부(310)에는 투시창(W), 제1가열부(400) 등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어상면부(310)에는 여유 공간이 부족하다. 이에 비해 도어전면부(350)에는 제1제어기판(500) 외에는 부피를 차지하는 부품들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넉넉한 여유 공간을 갖는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 설계의 결과로서, 제1냉각팬(370)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제1냉각팬(370)은, 외부 공기가 흡기구(301)를 통해 도어(300)의 내부로 유입되고 도어 내부의 공기가 배기구(30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킨다.
이처럼 제1냉각팬(370)에 의해 발생된 공기 흐름에 의해, 외부 공기가 흡기구(301)를 통해 도어전면부(350) 내부로 유입되고, 이처럼 도어전면부(350)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제1제어기판(500)을 냉각시킨다. 그리고 제1제어기판(500)을 냉각시킨 공기는, 도어상면부(310) 내부로 유입되어 투시창(W) 내부의 공간부를 통과한 후, 배기구(303)를 통해 도어(3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조리기기의 동작시, 제1제어기판(500)의 온도는 제1가열부(400)에 의해 가열된 투시창(W)의 온도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흡기구(301)를 통해 도어(30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제1제어기판(500)을 냉각시킨 공기는, 투시창(W)을 냉각시키기에 충분히 낮은 온도로 투시창(W) 내부를 통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냉각팬(370)에 의해 발생된 공기 흐름에 의해, 제1제어기판(500)에 대한 냉각과 투시창(W)에 대한 냉각이 충분히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도어(300) 내부의 냉각 구조에 의해, 제1제어기판(500) 등과 같은 도어(300) 내부의 부품들의 과열, 열화 발생이 억제됨으로써 조리기기의 고장, 성능 저하 등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도어(300)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가 투시창(W)을 구성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 간의 열 전달을 차단하여 투시창(W)의 과열 발생을 억제하므로, 사용자가 투시창(W)과 접촉하여 화상 등과 같은 부상을 입는 사고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조작장치의 전반적인 구조]
도 5를 참조하면, 조작장치(10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제어 조작을 위한 각종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작장치(1000)는 도어전면부(350)의 전면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조작장치(1000)를 직접 조작하여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서, 조작장치(1000)는 조리 대상물의 종류 및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 조리 정도나 조리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조작장치(1000)는 제1가열부(400; 도 3 참조)의 온/오프나 화력 조절을 위한 조작 스위치, 제2가열부(600; 도 3 참조)의 온/오프나 화력 조절을 위한 조작 스위치, 제1가열부(400)나 제2가열부(600)의 동작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 조작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두 개의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 중 하나는 조리 대상물의 종류 및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조리 정도나 조리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 스위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전 조작과 누름 조작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조작 스위치가 회전 조작과 누름 조작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각각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갖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때 각각의 조작 스위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조작 스위치 모두 회전 조작과 누름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 형태로 구비되고, 이 중 하나의 스위치는 조리 대상물의 종류 및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조리 정도나 조리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두 개의 조작 스위치 중 하나를 예로 들어 조작장치(10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도어의 일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뭄-뭄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조작장치(1000)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고, 이 조작 스위치는 샤프트(1100) 및 노브(1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샤프트(1100)는, 조작장치(1000)에 마련되는 엔코더(1200)에 구비된다. 이러한 샤프트(110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100)는, 전후방향으로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엔코더(1200)는, 이러한 샤프트(110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엔코더(1200)는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엔코더(1200)는,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되어 도여전면부(3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엔코더(1200)는, 제1제어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엔코더(1200)는, 샤프트(1100)의 회전 각도 또는 축방향 이동을 감지하여 그 결과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1제어기판(5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제어기판(500)은, 엔코더(12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1가열부(400; 도 3 참조)와 제2가열부(600; 도 3 참조) 및 후술할 발광부재(17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노브(1300)는, 사용자가 회전 조작할 수 있게 마련된 구성이다. 노브(1300)는, 샤프트(1100)와 결합됨으로써 샤프트(1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노브(1300)는, 샤프트(1100)와 함께 회전 및 축방향 이동할 수 있게 샤프트(1100)와 연결될 수 있다.
노브(1300)는, 축결합부(1310)를 포함할 수 있다. 축결합부(1310)는, 누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축결합부(1310)의 내부에는, 축결합공(1311)이 형성될 수 있다. 축결합공(1311)은, 축결합부(1310)의 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샤프트(1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축결합공(1311)은, 축결합부(1310)의 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축결합공(1311)의 전방은, 축결합부(1310)의 전면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축결합부(1310)의 형상에 의해, 축결합부(1310)에 결합되는 샤프트(1100)의 설치 위치 및 삽입 깊이가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소켓부재(1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켓부재(1600)는, 노브(1300)를 도어(300)에 회전 및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소켓부재(1600)는 도어(3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소켓부재(1600)는, 도어전면부(350) 내부에 설치된 엔코더(1200)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수용할 수 있게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엔코더(1200)와 연결된 샤프트(1100)는, 소켓부재(1600)의 직경방향 대략 중심을 통과하여 소켓부재(160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소켓부재(1600)는, 엔코더(1200)를 내부에 수용하며 엔코더(1200)를 보호하는 역할, 샤프트(1100)와 결합된 노브(1300)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지지하는 역할, 후방에서 노브(1300)를 지지하는 역할, 후술할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의 경로를 정의하는 역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발광부재(1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재(1700)는,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되며, 제1제어기판(500)을 통해 이루어지는 동작 제어에 의해 점등되어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발광부재(1700)는, 소켓부재(16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소켓부재(1600)에는,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을 소켓부재(1600)의 전방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의 경로는 소켓부재(1600)에 의해 정의되고, 이 빛은 조작장치(1000)의 조작 상태, 조작장치(1000)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 제어의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무드조명을 위한 발광부재(17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드조명을 위한 각각의 발광부재(1750)는, 1제어기판(500)에 설치되며, 소켓부재(16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재(1750)는, 발광부재(1700)보다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발광부재(1750)에서 발산되는 빛은, 소켓부재(1600)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소켓부재(1600)를 통과하여 노브(1300)의 후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로는, 제1연결지지부(1630)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통로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되,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리브형상부(1633) 사이에 형성된 홀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광부재(1750)에 의해 구현되는 무드조명은,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직접 조사되지 않고 조작장치(1000)의 후방을 비추는 간접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무드조명은, 조리기기의 동작 대기 상태에서 조작장치의 조작이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웰컴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재(1750)에 의해 구현되는 무드조명은, 조작장치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드 조명을 제공할 수 있으며, 어두운 곳에서도 조작장치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명을 제공할 수도 있다.
[소켓부재의 구조]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제1제어기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5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소켓부재(1600)는 외측지지부(161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지지부(16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측지지부(1610)는 대략 누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외측지지부(1610)는 노브(1300)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노브(13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측지지부(1610)로 둘러싸인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노브(1300)는, 그 후방측 단부가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과 접하는 형태로 외측지지부(16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노브(1300)의 후방측 단부는,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노브(1300)는, 소켓부재(1600)에 회전 및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 즉 노브(1300)의 후방측 단부와 인접한 외측지지부(1610)의 내측면에는, 삽입홈(1611)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1611)은,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에 원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노브(1300)의 후방측 단부는 이러한 삽입홈(1611)에 삽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노브(1300)와 소켓부재(16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소켓부재(1600)는, 내측지지부(1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측지지부(16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측지지부(1620)는 대략 누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내측지지부(1620)는 외측지지부(1610)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지지부(1620)는, 엔코더(1200)와 외측지지부(16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엔코더(1200)는, 내측지지부(1620)로 둘러싸인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내측지지부(1620)는, 외측지지부(1610)의 내부에서 엔코더(1200)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소켓부재(1600)는,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를 지지하는 제1연결지지부(1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지지부(1630)는,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를 서로 연결시키며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지지부(1630)는,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연결지지부(1630)는, 또한 제1연결지지부(1630)는, 소켓부재(1600)의 배면을 형성하며,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의 후방에서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켓부재(1600)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되되,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된 제1제어기판(5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소켓부재(1600)의 배면을 형성하는 제1연결지지부(1630)는, 소켓부재(1600)가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될 때 제1제어기판(500)과 맞닿는 결합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지지부(1630)는, 플랜지형상부(1631)와 리브형상부(16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플랜지형상부(1631)는, 내측지지부(1620)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형상부(1631)는, 내측지지부(1620)로부터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리브형상부(1633)는, 플랜지형상부(1631)와 외측지지부(1610) 사이를 연결한다. 리브형상부(1633)는, 플랜지형상부(1631)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형상부(1631)와 외측지지부(1610) 사이에는, 복수개의 리브형상부(1633)가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구비된 리브형상부(1633)는, 소켓부재(1600) 전체의 중량 증가를 억제하면서도 소켓부재(1600) 전체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지지부(1620)는, 노브(1300)의 축결합부(13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지지부(1620)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노브(1300)의 축결합부(1310)를 후방에서 지지함으로써, 노브(1300)의 과도한 이동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샤프트(1100) 및 엔코더(1200)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내측지지부(1620)는, 제1연결지지부(1630)에 의해 지지되되, 내측지지부(1620)와 제1연결지지부(1630)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탄성이 부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켓부재(16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되, 외측지지부(1610)와 내측지지부(1620) 및 제1연결지지부(1630)가 일체화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연결지지부(1630)의 플랜지형상부(1631)와 리브형상부(1633) 사이는, 스커트형상부(163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스커트형상부(1635)는, 플랜지형상부(1631)의 외주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랜지형상부(1631)와 리브형상부(1633)는 "┐"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내측지지부(1620)와 제1연결지지부(1630) 사이, 그리고 외측지지부(1610)와 제1연결지지부(1630) 사이에 탄성이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노브(1300)가 눌리면서 내측지지부(1620)를 후방으로 눌렀을 때, 내측지지부(1620)는 노브(1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노브(130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측지지부(1620)는, 노브(1300)를 누르는 힘이 해제되었을 때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노브(1300)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데 필요한 힘을 노브(1300)에 가하여 줄 수도 있다.
한편 소켓부재(1600)에는, 광통과홀(1640)이 마련될 수 있다. 광통과홀(1640)은, 소켓부재(16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외측지지부(1610)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통과홀(1640)은,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된 발광부재(1700)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제어기판(500)에는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재(1700)는 외측지지부(1610)의 후방에 배치되되, 외측지지부(1610)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는, 외측지지부(1610)의 후방에 외측지지부(161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지지부(1610)에는 복수개의 광통과홀(1640)이 마련되며, 복수개의 광통과홀(1640)은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발광부재(1700)가 하나의 광통과홀(1640)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형태로, 발광부재(1700)와 광통과홀(1640)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은, 각각의 발광부재(1700)의 전방에 배치된 각 광통과홀(1640)을 통해 소켓부재(1600)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의 이동 경로는, 그 전방에 배치된 각각의 광통과홀(1640)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 중에서 어느 발광부재(1700)가 점등되었는지가 조작장치(1000)의 외부에서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켓부재(1600)는, 제1결합부(1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1420)는, 제1돌출돌기부(1651)와 제1결합돌기부(16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돌기부(1651)는, 외측지지부(1610)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돌기부(1653)는, 제1돌출돌기부(165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돌기부(1653)는 제1제어기판(500)에 형성된 끼움공(5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소켓부재(160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소켓부재(1600) 상에서의 제1결합부(1420)의 위치는, 광통과홀(1640)의 위치와 발광부재(1700)의 위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결합부(1420)는, 제1결합돌기부(1653)가 제1제어기판(500)의 끼움공(510)에 끼움 결합되었을 때, 복수개의 광통과홀(1640)의 위치와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의 위치가 전후방향으로 일치될 수 있게 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1420)는, 제1제어기판(500) 상에서 소켓부재(1600)가 설치될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1결합부(1420)를 제1제어기판(500)에 끼움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소켓부재(1600)의 설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소켓부재(1600)는, 제2결합부(1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1660)는, 제2돌출돌기부(1661)와 제2결합돌기부(16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돌출돌기부(1661)는, 외측지지부(1610)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결합돌기부(1663)는, 제2돌출돌기부(166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1660)는, 후술할 전면커버부재(1800)와 소켓부재(160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제2돌출돌기부(1661)는 전면커버부재(18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면커버부재(1800)와 소켓부재(16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소켓부재(1600)에는, 복수개의 제1결합부(1420)와 제2결합부(166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켓부재(1600)에 2개의 제1결합부(1420)와 4개의 제2결합부(1660)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결합부(1420)와 제2결합부(166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소켓부재(1600)는, 제3결합부(16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결합부(1670)는, 제1연결지지부(163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플랜지형상부(163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결합부(1670)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결합부(1670)는 제1제어기판(500)에 형성된 체결홀(520)을 통해 제1제어기판(5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소켓부재(1600)가 제1제어기판(500)에 고정될 수 있다.
소켓부재(1600)에는, 복수개의 제3결합부(1670)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3결합부(1670)는, 플랜지형상부(1631)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배치된 복수개의 제3결합부(1670)가 복수개의 지점에서 제1제어기판(500)에 결합됨으로써, 소켓부재(160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결합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노브의 구조]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노브(1300)는 사용자가 회전 조작할 수 있게 마련된 구성으로서, 축결합부(1310)를 통해 샤프트(1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노브(1300)는, 스커트부(1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커트부(1320)는, 축결합부(1310)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커트부(13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커트부(1320)가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축결합부(1310)와 스커트부(1320)를 포함하는 노브(1300)는, 축결합부(1310) 및 스커트부(1320)가 동심원을 이루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노브(1300)는, 제2연결지지부(1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지지부(1330)는, 축결합부(1310)의 후방에 배치되며, 축결합부(1310)의 후방에서 축결합부(1310)와 스커트부(1320) 사이를 연결하는 원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제2연결지지부(1330)는, 축결합부(1310)와 스커트부(132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스커트부(1320)가 구심방향으로 함몰되지 않게 스커트부(1320)를 지지하는 기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지지부(1330)는, 소켓부재(1600)에 구비된 내측지지부(1620)의 전방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노브(1300)가 후방으로 이동했을 때 내측지지부(1620)를 후방으로 누르는 부분이 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노브커버(1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브커버(1350)는, 후방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브커버(1350)는, 스커트부(13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노브(1300)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쌀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커트부(1320)의 외주면에는 결합홈(132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321)은, 스커트부(1320)의 외주면으로부터 구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노브커버(1350)는, 결합홈(1321)에 삽입된 상태로 스커트부(13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노브커버(1350)는, 스커트부(1320)에서 원심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게 노브(130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노브커버(1350)는, 노브커버(1350)과 인접한 스커트부(1320)의 원심방향 최외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스커트부(13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커버(1350)는, 전면부(1360)와 측면부(1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부(136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축과 교차하는 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부(1360)의 전면은, 도어전면부(350)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부(1360)의 배면은, 노브커버(1350)가 노브(1300)에 설치되었을 때 축결합부(1310) 및 스커트부(1320)의 전방측 단부와 맞닿을 수 있다. 전면부(1360)의 배면이 축결합부(1310) 및 스커트부(1320)의 전방측 단부와 맞닿음으로써, 노브(1300)에 설치되는 노브커버(1350)의 전후방향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노브커버(1350)는, 사용자가 노브(1300)를 조작하기 위해 손으로 잡는 부분이면서, 노브(1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기에 적합한 재질 및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은 물론,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아야 한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노브커버(135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부(1370)의 외주면이 노브커버(1350)에 의해 덮이지 않은 스커트부(1320)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노브커버(135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1360)의 전면이 버튼(1400)의 누름부(1410)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그 자체에서 볼록하게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패여 들어간 곳 없이 심플하고 매끄러운 외관을 가지게 됨으로써, 미관을 통해 사용자가 느끼는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면커버부재의 구조]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전면커버부재(1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부재(1800)는, 노브(1300)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도어(300)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게 도어전면부(136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부재(1800)는, 노브(1300)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노브(1300)를 그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커버부재(1800)가 노브(1300)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소켓부재(1600)의 전방에 배치되며, 소켓부재(160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소켓부재(1600)의 전방에서 소켓부재(16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외측지지부(1610)를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전면커버부재(1800)는, 전방에서 바라본 외측지지부(16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소켓부재(1600)에 결합되어 외측지지부(1610)를 전방에서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지지부(1610)에 형성된 광통과홀(1640)의 전방은 전면커버부재(1800)에 의해 차폐되고, 이로써 광통과홀(1640) 및 그 후방의 발광부재(1700)는 전면커버부재(1800)에 가려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아울러 전면커버부재(1800)는, 투광성 또는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커버부재(1800)가 금속 질감을 갖는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소켓부재(1600)와 그에 형성된 구멍인 광통과홀(1640), 그리고 발광부재(17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리는 역할을 함과 더불어, 발광부재(1700)에 의해 발산된 빛이 은은하게 퍼져 보이게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전면커버부재(1800)는, 불필요하게 도어(300) 외부로 노출되어 미감을 해칠 수 있는 부분을 보이지 않게 덮는 마감재로 이용될 수 있고, 금속 질감을 통해 해당 마감 부분이 더욱 고급스러워 보이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할 뿐 아니라, 해당 부분을 통해 비치는 불빛이 은은하게 퍼져 보이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커버부재(1800)를 통해, 조작장치(1000) 및 그 주변부의 미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조작장치(1000)를 통해 제공되는 표시등 또한 은은하고 더욱 아름다운 형태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발광부재(1700)의 점등은, 샤프트(1100)의 회전에 연동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샤프트(1100)의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발광부재(1700)가 점등될 수 있고, 샤프트(1100)의 회전이 계속해서 이루어지면 그에 대응하여 다른 발광부재(1700)가 점등될 수 있다.
이때 샤프트(1100)의 회전은, 엔코더(12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이처럼 엔코더(1200)에 의해 취득된 샤프트(1100)의 회전에 관한 정보는 조작신호로 생성되고, 제1제어기판(500)에 마련된 제어부는 이를 수신하여 발광부재(1700)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면커버부재(1800)와 소켓부재(1600) 간의 결합은, 끼움 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면커버부재(1800)에는, 결합보스(1810)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보스(1810)는, 전면커버부재(180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보스(1810)에는, 소켓부재(1600)의 제2결합부(166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돌출돌기부(166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결합보스(1810)와 제2결합부(1660) 간의 결합에 의해, 전면커버부재(1800)와 소켓부재(16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커버부재(1800)에는, 복수개의 결합보스(18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결합보스(1810)의 배치 위치 및 개수는, 제2결합부(1660)의 배치 위치 및 개수에 대응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면커버부재(1800)와 결합되는 소켓부재(1600)에는, 삽입홈(1611)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1611)은,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에 원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노브(1300)에는, 돌기부(1340)가 마련될 수 있다. 돌기부(1340)는, 스커트부(1320)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돌기부(1340)는, 삽입홈(1611)에 삽입되고, 이를 통해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홈(1611)은, 소켓부재(1600)의 내부 및 전방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소켓부재(16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삽입홈(1611)의 개방된 전방을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부(1340)는, 삽입홈(1611)과 전면커버부재(1800)로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1611)의 개방된 전방측을 통해 돌기부(1340)가 삽입홈(16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이로써 노브(1300)가 소켓부재(160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노브(1300)가 설치된 소켓부재(1600)의 전방에 전면커버부재(1800)가 설치됨으로써, 전방을 향한 노브(1300)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노브(130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트레이의 인출 구조]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 도 21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배치된다. 트레이(200)는 도어(300)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이동은 힌지 어셈블리(800)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트레이본체(205)와 거치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트레이본체(205)는, 하우징(100)의 저면(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저면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트레이본체(205)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납작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트레이본체(205)의 저면은 하우징(100)의 저면(110)에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면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트레이(200)의 네 측면은 트레이(200)의 저면 테두리로부터 각각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트레이본체(205)의 네 측면 중 하우징(100)의 좌우방향 양측면과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에는, 거치부(210)가 각각 마련된다. 거치부(210)는, 트레이본체(205)의 측면 상단부에서 트레이본체(205)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211)와, 제1돌출부(211)의 외측 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돌출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부(210)는, 제1돌출부(211)와 제2돌출부(213)가 "ㄱ" 형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 개방시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트레이(200)를 조리실(105) 내부로부터 전방으로 인출시킨다. 또한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 폐쇄시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트레이(200)를 조리실(105) 내부를 향해 후방으로 삽입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힌지 어셈블리(800)는 트레이(200)의 좌우방향 양측 외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하우징(100)의 좌우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힌지 어셈블리(800)는 힌지부(810)와 및 거치돌기(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부(810)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과 힌지 결합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힌지부(810)는,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태가 변화될 수 있다.
거치돌기(820)는, 힌지케이스(830)의 내부에서 힌지부(810)의 연결부재 중 하나와 연결되며, 힌지케이스(830) 상에 형성된 제1슬롯(835) 및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2슬롯(125)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제2슬롯(125)은,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되되, 제1슬롯(835)과 중첩되는 위치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돌기(820)에는, 트레이(200)가 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200)는 트레이(200)의 측부에 형성된 거치홈(215)에 거치돌기(820)가 끼워짐에 의해 거치돌기(820)에 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200)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된 거치부(210)에는 거치홈(215)이 각각 형성된다. 거치홈(215)은, 거치부(2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돌출부(213)가 하단으로부터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홈(215)에는 거치돌기(820)가 거치홈(215)의 절개된 하부를 통해 끼워질 수 있으며, 이러한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트레이(200)와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거치부(2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돌출부(213)의 하단에는, 슬라이딩면(214)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면(214)은, 제2돌출부(213)의 하단에 접촉되는 거치돌기(820)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슬라이딩면(214)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거치홈(215)과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에 설치한 상태로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할 수도 있고, 조리된 음식물을 꺼내거나 트레이(200)를 세척하기 위해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외부로 꺼낼 수도 있다.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외부로 꺼낼 때에는, 거치돌기(820)가 거치홈(215)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트레이(200)를 상부로 살짝 들어준 뒤 꺼내면 된다.
그리고 꺼냈던 트레이(200)를 다시 조리실(105)의 내부에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거치돌기(820)가 거치홈(215)에 끼워질 수 있게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로 밀어 넣어주면 된다.
그러나 거치홈(215)이 트레이(200)의 하부에 위치해 있고 거치돌기(820)가 트레이(200)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거치홈(215) 및 거치돌기(82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돌출부(213)의 하단에 슬라이딩면(214)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이 슬라이딩면(214)은 거치홈(215)과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에 밀어 넣을 때, 처음부터 거치돌기(820)를 거치홈(215)에 정확히 끼워 맞출 필요가 없고, 일단 슬라이딩면(214)이 거치돌기(820)에 얹혀지도록 트레이(200)를 밀어 넣은 후, 전후방향으로 트레이(200)를 이동시켜주면 된다.
이 과정에서 거치돌기(82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레이(200)로 인해 슬라이딩면(820) 상을 슬라이딩하다가 거치홈(215)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즉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 거치돌기(820)를 거치홈(215)에 정확히 끼워 맞출 필요가 없고, 단순히 트레이(200)를 거치돌기(820) 위에 얹어놓은 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거치돌기(820)와 거치홈(215) 간의 끼움 결합 및 이를 통한 거치돌기(820)와 트레이(200) 간의 끼움 결합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 구조는 일례에 불과하며, 이와 다른 여러 변형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 구조의 다른 변형 실시예 중 하나로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홈(215)과 슬라이딩면(214) 사이에는 경사면(215a)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215a)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면(214)과 맞닿은 상태로 슬라이딩하는 거치돌기(820)가 거치홈(215)에 삽입되는 경로 상에 형성되어 거치돌기(8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홈(215)과 슬라이딩면(214) 사이에 경사면(215a)이 형성되면, 거치돌기(820)가 거치홈(215)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및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이로써 트레이(200)와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좀 더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경사면(215a)은, 거치홈(215)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 조리실(105)의 내부에 밀어 넣을 때,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위치보다는 트레이(200)를 덜 깊숙하게 넣는 경우가 많은 것을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
이와 같이 거치홈(215)의 후방측에 경사면(215a)이 형성되면,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위치보다 트레이(200)가 덜 깊숙하게 넣어진 상태에서 트레이(200)가 거치돌기(820) 상에 거치되었을 때,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 구조의 다른 변형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로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돌출부(213)에는 끼움홈(215b)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끼움홈(215b)은, 제2돌출부(213)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홈(215b)은, 거치홈(215)과 연결되게 형성되되, 거치홈(215)의 상단에서 전후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215b)은, 거치홈(215)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거치홈(215)에 거치돌기(820)가 끼워진 상태에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를 향해 후방측으로 더 밀어 넣으면, 거치홈(215)에 끼워져 있던 거치돌기(820)는 거치홈(215)의 전방으로 연장된 끼움홈(215b)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거치돌기(820)와 끼움홈(215b)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면, 이러한 결합으로 인해 트레이(200)의 상하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므로,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한편 거치돌기(820)는, 힌지부(810)의 상태 변화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돌기(820)는, 거치돌기(820)에 거치된 트레이(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거치돌기(820)에 거치된 트레이(200)는, 거치돌기(820)의 전후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폐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뭐*-뭐*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29는 도 27의 "뭐*-뭐*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0은 도 27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1은 도 30의 "뭐물-뭐물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2는 도 30의 "뭐묽-뭐묽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일 때, 트레이(200)는 조리실(105)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트레이(200)가 거치된 거치돌기(820)는 조리실(105)의 후방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트레이(200)의 후방측은 한 쌍의 거치돌기(8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200)의 전방측은 한 쌍의 지지롤러(1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트레이(200)는, 후방측에 배치된 한 쌍의 거치돌기(820)와 전방측에 배치된 한 쌍의 지지롤러(215)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리실(105)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롤러(115)는, 하우징(100)의 양 측면(120,130)에 각각 배치되되, 도어(300)와 인접한 하우징(100)의 전방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지지롤러(115)에는, 트레이(200)의 거치부(2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딩면(214; 도 38 참조)이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롤러(115)는, 트레이(200) 이동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트레이(200)가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게 트레이(20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300)는, 힌지 어셈블리(800)를 매개로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조리실(105)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며,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이 힌지 어셈블리(8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 좌측 모서리와 우측 모서리 부분이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된 힌지 어셈블리(8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300)는 이처럼 힌지 어셈블리(8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하우징(100)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게 된다.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힌지 어셈블리(800)는, 힌지케이스(830)와 힌지부(810)와 거치돌기(820) 및 변환출력부(8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케이스(830)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외관을 형성하며, 힌지부(810)와 거치돌기(820)의 일부분, 그리고 변환출력부(840)를 내부에 수용한다. 이러한 힌지케이스(830)에는, 힌지부(810)와 거치돌기(820) 및 변환출력부(840)를 지지하기 위한 각종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810)는, 힌지케이스(830)에 위치 변화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힌지부(810)는, 도어(300)의 회동 궤도에 대응되는 궤도를 따라 회동될 수 있게 힌지케이스(8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810)의 상단은 도어(3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도어(300)와 결합된 힌지부(810)는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그 자세가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부(810)와 결합된 도어(300)는, 힌지부(810)에 의해 그 회동 궤도 및 범위가 안내될 수 있다.
일례로서, 힌지부(810)는 평판 형태로 마련되되, 도어(300)의 회동 궤도에 대응되는 형상을 따라 휘어진 형태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케이스(830)에는, 도어(300)의 회동 궤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831)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홀(831)은, 힌지케이스(830) 상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가이드홀(831)은, 힌지부(830)의 회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힌지케이스(83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가이드홀(831)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승하고 후방으로 갈수록 하강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힌지부(810)에는, 스토퍼(811)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811)는, 힌지부(810) 상에 돌출되게 구비되되, 좌우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811)는, 가이드홀(831)에 삽입되어 가이드홀(831)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스토퍼(811)는, 가이드홀(831)을 따라 이동하면서 힌지부(810)의 회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811)는, 가이드홀(831)의 전방 및 상부 단부에서는 힌지케이스(830)와 간섭되어 전방 및 상부로 이동하는 힌지부(810)의 더 이상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고, 가이드홀(831)의 후방 및 하부 단부에서는 힌지케이스(830)와 간섭되어 후방 및 하부로 이동하는 힌지부(810)의 더 이상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즉 스토퍼(811)는, 힌지부(810)의 이동 범위를 가이드홀(831)의 형성 범위에 대응되는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거치돌기(820)는, 힌지케이스(830)의 내부에서 변환출력부(840)를 이루는 구성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며, 힌지케이스(830) 상에 형성된 제1슬롯(835) 및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2슬롯(125)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제2슬롯(125)은,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되되, 제1슬롯(835)과 중첩되는 위치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변환출력부(840)는, 힌지케이스(830)의 내부에 구비된다. 변환출력부(840)는, 힌지부(810)의 자세 변화에 의해 입력되는 힘을 거치돌기(8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방향의 힘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환출력부(840)는, 이동부재와 변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부재는, 거치돌기(8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에 해당된다. 그리고 변환부재는, 힌지부(810)의 자세 변화, 즉 힌지부(810)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에 해당된다.
일례로서, 변환출력부(840)는 벨트(841)와 복수개의 회전기어(842,843,844,845), 및 랙기어(8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 벨트(841)와 복수개의 회전기어(842,843,844,845)는 변환부재에 해당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리고 랙기어(846)는 이동부재에 해당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벨트(841)는,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기어가 형성된 오픈형 타이밍벨트(Timing belt) 형태로 마련된다. 벨트(841)는, 힌지케이스(830)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마련된 제1가이드리브(832)에 의해 상하 위치가 구속되는 한편, 전후방향 이동 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
벨트(841)의 후방측 단부는, 힌지부(8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벨트(841)는, 힌지부(810)의 자세 변화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부(810)가 전방 및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벨트(841)는 그에 연동되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힌지부(810)가 후방 및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벨트(841)는 그에 연동되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벨트(841)에 형성된 기어는, 복수개의 회전기어(842,843,844,845)와 맞물릴 수 있다.
제1회전기어(842)는, 복수개의 회전기어(842,843,844,845) 중 벨트(841)와 가장 인접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회전기어(842)는 타이밍 기어(Timing gea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회전기어(841)는, 벨트(842)와 맞물려 벨트(841)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제2회전기어(843) 및 제3회전기어(844)는, 제1회전기어(842)와 제4회전기어(845) 사이에 배치되어 제1회전기어(842)의 회전을 제4회전기어(845)로 전달한다.
즉 힌지부(810)의 자세 변화에 연동되어 벨트(841)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벨트(841)의 이동에 연동되어 복수개의 회전기어(842,843,844,845)의 회전이 이루어지는데, 결국 힌지부(810)의 자세 변화가 제4회전기어(845)의 회전을 유발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되는 제4회전기어(845)는, 그 하부에 배치된 랙기어(846)와 맞물릴 수 있다. 랙기어(846)는, 힌지케이스(830)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마련된 제2가이드리브(833)에 의해 상하 위치가 구속되는 한편, 전후방향 이동 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
랙기어(846)는, 제4회전기어(845)의 회전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부(810)가 전방 및 상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4회전기어(845)가 제1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랙기어(846)는 그에 연동되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32 참조). 그리고 힌지부(810)가 후방 및 하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4회전기어(845)가 제1방향의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랙기어(846)는 그에 연동되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29 참조).
상기 랙기어(846)에는, 거치돌기(82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거치돌기(820)는 랙기어(846)의 이동에 연동되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랙기어(846)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거치돌기(820)도 그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랙기어(846)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거치돌기(820)도 그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종합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힌지 어셈블리(800)는, 힌지 어셈블리(800)를 이루는 구성들, 즉 힌지부(810) 및 변환출력부(840)의 상태가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변화되고 이처럼 상태가 변화된 구성들이 거치돌기(8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개방하기 위해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면, 이러한 도어(300)의 회동에 의한 회전력은 힌지 어셈블리(800)의 힌지부(810)의 상태를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거치돌기(82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트레이(200)는, 이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거치돌기(82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트레이(200)가 자동으로 인출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쉽고 안전하게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트레이(200)에 놓거나 조리가 완료되어 트레이(200)에 놓여진 음식물을 트레이(200)에서 꺼낼 수도 있고, 전방으로 인출된 트레이(200)를 조리실(105) 내부에서 손쉽게 꺼내어 옮길 수도 있게 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가 조리실(105)의 전면과 상면을 모두 개방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300)가 조리실(105)의 전면만을 개방하거나 상면만을 개방하는 경우에 비해 훨씬 확장된 통로를 통해 음식물이나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에 삽입하거나 조리실(105)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음식물이나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에 삽입하거나 조리실(105)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확장된 통로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어(300) 개방시 트레이(200)가 자동으로 인출되어 음식물이나 트레이(200)의 인출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트레이(200)가 거치돌기(820)에 거치되어 있는 상태이기만 하면 도어(300) 폐쇄시 트레이(200)가 자동으로 조리실(105) 내부로 삽입되는 기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조리가 이루어지는 도중 트레이(200)를 꺼냈다가 다시 조리실(105)에 넣고자 할 때, 열기가 가득한 조리실(105) 내부에 손을 집어넣을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도어(300)가 전방으로 펼쳐지지 않고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며 개방되므로, 도어(300)의 개방시에도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릴 우려가 적다. 오히려, 도어(300) 개방시에는 도어(300) 폐쇄시보다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300) 개방시에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구조에서는, 도어(300) 개방시에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서는 트레이(200)의 중량을 증가시키기가 용이한데, 트레이(200)의 중량을 증가시키더라도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낮기 때문이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는 구조에 비해 훨씬 두껍고 무거운 트레이(2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트레이(200)가 두껍고 무게가 많이 나갈수록 고온 조리 성능이 향상되고 오랫동안 온기를 유지하기가 쉬워지므로, 트레이(200)가 두껍고 무거워질수록 그만큼 향상된 조리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유도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트레이(200)는 통상의 트레이에 비해 무게가 많이 나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통상의 트레이에 비해 훨씬 두껍고 무거운 트레이(200)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제2가열부(600)가 유도가열부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도 이에 적합한 트레이(200)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조리기기의 전도 발생 억제 구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도어(300) 개방시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200)는, 고온 조리 성능 및 온기 유지 성능의 향상을 위해 통상의 트레이에 비해 훨씬 두껍고 무거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트레이(200)가 인출된 만큼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고, 그로 인해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3은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무게 중심 변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0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힌지부(810)는 하우징(100)의 양 측면(130) 측에 배치되되,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인접한 측에 각각 배치된다. 즉 힌지부(810)는, 하우징(100)의 양측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힌지부(810)는, 도어(300)와 결합되되,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에 결합된다. 즉 힌지부(810)는 도어상면부(310)의 양측 후방에 각각 결합되고, 도어(300)는 이처럼 힌지부(810)와 결합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조리실(105)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도어(300)는, 하우징(100)의 전면과 상면을 개방한 상태(이하 "개방상태"라 한다)일 때, 하우징(100)의 전면과 상면을 폐쇄한 상태(이하 "폐쇄상태"라 한다)일 때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처럼 도어(300)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폐쇄상태일 때보다 개방상태일 때 그 위치가 후방에 치우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방상태일 때 그 위치가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치우치게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도어(300)는,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조리기기의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첫 번째 구성은, 도어(300)가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폐쇄상태일 때보다 개방상태일 때 도어(300)의 위치가 후방에 치우치며, 이로써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조리기기의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는 것이다(G1→G1').
한편 도어(300) 자체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어(300)는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제공된다. 즉 도어(300)가 폐쇄상태일 때,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는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도어(300)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부피가 차지하는 비중이 도어전면부(350)의 부피가 차지하는 비중보다 크고, 이에 따라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이 도어전면부(350)가 차지하는 비중보다 크다. 따라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도어(300)의 전후방향 중심보다 후방에 치우치게 위치하게 된다(G2→G2').
도어(300)가 개방되기 위해 후방으로 회동하게 되면,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점차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어(300) 상에서, 도어전면부(350)는 전방측에 배치되고 도어상면부(310)는 그 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정도가 커지게 된다.
다시 말해,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조리기기 전체의 무게 중심도 더 신속하게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두 번째 구성은,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도어(300)가 제공되고, 이에 따라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 및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도어(300)에는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이 마련되며,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시창(W)은 한 쌍의 글라스(330,335; 도 11 참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글라스는 무게가 많이 나가는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글라스로 형성된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면, 도어상면부(310)의 무게는 그만큼 증가될 수밖에 없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투시창(W)은 한 쌍의 글라스(330,335), 즉 두 겹의 글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는 그만큼 더 증가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됨에 따라,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은 투시창(W)을 형성하는 글라스의 무게만큼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 및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제1가열부(400)로 인해 도어상면부(310) 측에 무게가 증가된 만큼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상면부(310)의 저면측에는 한 쌍의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다. 이때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중 하나의 제1가열부(400)는 힌지부(810)와 인접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가열부(4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됨에 따라,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은 제1가열부(400)의 무게만큼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 및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제1가열부(400)로 인해 도어상면부(310) 측에 무게가 증가된 만큼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더욱이 힌지부(810)와 인접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에 배치된 제1가열부(400)에 의해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로써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 및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세 번째 구성은,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종합하면, 본 실시예의 도어(300)는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위치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고,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제공되며,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도어(300)는, 조리실(105)이 개방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도어(300) 자체가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한편, 도어(300)의 후방 회동에 따라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신속하게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도어(300)는, 조리실(105)이 개방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도록 작용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방 전도 발생 위험성을 현저히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300)는 힌지부(810)와 결합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는데,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힌지부(810) 측으로 작용하게 된다.
힌지부(810)는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결국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은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만큼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도어(300) 자체의 위치 변화와 도어(300) 자체의 무게 중심 변화로 인한 영향에 더하여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영향이 추가적으로 작용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후방측으로 더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네 번째 구성은,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영향이 추가적으로 작용될 수 있도록, 도어(300)와 힌지부(810) 간의 결합점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또한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도어(300)와 힌지부(810)의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조리기기에 모멘트(Moment)가 가해지는데, 이 모멘트는 조리기기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한다. 즉 상기 모멘트가 커지면 커질수록 조리기기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이 커지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아울러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되고, 이처럼 인출된 트레이(200)로 인해 발생되는 모멘트가 조리기기에 더해지게 되는데, 이 모멘트 또한 조리기기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도어(300) 측에서 작용하는 모멘트와 트레이(200) 측에서 작용하는 모멘트를 합한 힘이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을 더욱 높이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어(300) 측에서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는, 도어(300)에 작용하는 힘, 그리고 이 힘이 작용하는 위치와 회전축(도어와 힌지부의 결합 부분) 간의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도어(300)에는 중력만이 작용한다고 할 것인데, 중력은 도어(300)의 전체 부분에 작용하게 되므로, 도어(300)의 무게 중심에 중력이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멘트는,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도어(300)와 힌지부(810)의 결합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고(M1), 가까워질수록 작아진다고(M2)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300)가 조리실(105) 개방을 위해 후방으로 회동할수록 도어(300)의 무게 중심도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300) 측에서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도 함께 감소될 수 있다(M1→M2).
즉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트레이(200)의 전방 인출로 인해 트레이(200) 측에서의 모멘트가 증가되지만, 도어(300) 측에서의 모멘트는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 개방시 도어(300)로 인해 조리기기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방으로 인출되는 트레이(200)로 인한 조리기기의 전도가 발생될 위험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다섯 번째 구성은, 도어(300)로 인해 조리기기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도록,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후방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구성이다.
한편, 거치돌기(8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힌지케이스(830) 상에 형성된 제1슬롯(835) 및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2슬롯(125)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은, 힌지케이스(830) 내부에서 변환출력부(840)와 연결된 거치돌기(820)가 조리실(105) 내부로 돌출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한편, 거치돌기(8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은, 힌지케이스(830) 및 하우징(100)의 측면(120)에 각각 관통되게 형성되되, 거치돌기(820)의 두께에 대응되는 상하방향 폭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슬롯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의 전후방향 길이는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길이의 1/2 미만일 수 있다.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의 길이는, 트레이(200)의 인출 범위와 관련된다. 즉 트레이(200)는 거치돌기(820)가 전방으로 이동한 만큼 인출될 수 있고, 거치돌기(820)의 전방 이동 범위는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에 의해 제한되므로, 결국 트레이(200)의 인출 범위는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의 전후방향 길이가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길이의 1/2 미만이면, 트레이(200)의 이동 가능 거리는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길이의 1/2 미만으로 제한된다.
이에 따라 거치돌기(820)가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의 최후방 단부에 위치할 때 트레이(200)가 조리실(105)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다고 하면, 거치돌기(820)가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의 최전방 단부에 위치할 경우, 트레이(200)는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는, 트레이(200)가 인출되더라도 트레이(200)의 무게 중심이 조리실(105)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설계의 결과이다. 즉 트레이(200)가 트레이(200)가 과다하게 인출되면 그만큼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높아짐을 고려하여, 트레이(200)가 인출되더라도 트레이(200)의 무게 중심이 조리실(105)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트레이(200)가 과다하게 인출되어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게 되면, 그만큼 조리기기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커지고, 이에 따라 조리기기 자체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도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200)가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300) 개방시 트레이(200)가 자동으로 인출되어 음식물이나 트레이(200)의 인출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트레이(200) 및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은 낮추는 효과를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도어가 조리실의 전방만을 개방하는 종래 조리기기의 경우, 상기와 같이 트레이(200)가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되면, 여러 가지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즉 트레이(200)가 조리실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트레이(200)에 놓인 음식의 조리 상태를 제대로 확인하기가 어렵고, 트레이(200)에 음식을 올려 놓거나 트레이(200)에 놓인 음식을 꺼내는데 불편함이 있게 된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도어(300) 개방시 조리실(105)의 전면뿐 아니라 상면도 함께 개방되므로, 상기와 같이 트레이(200)가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되더라도 트레이(200)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트레이(200)가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되더라도, 트레이(200)에 놓인 음식 전체의 조리 상태를 확인하기가 용이하고, 트레이(200)에 음식을 올려 놓거나 트레이(200)에 놓인 음식을 꺼내는 것도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여섯 번째 구성은, 트레이(200)가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여 조리기기의 전도 발생 위험성을 낮추면서도 트레이(200)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어 구성 부품들의 배치 구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전면부(350)에는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고, 도어상면부(350)에는 투시창(W) 및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 구조는, 임의로 선택된 배치 구조가 아니라, 조리기기의 편의성, 안전성을 최대로 향상시키기 위한 설계의 결과로 도출된 배치 구조이다.
이에 따르면, 조작장치(1000)는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 도어상면부(310)에는 투시창(W)이 배치되는데, 이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하기 때문에 도어상면부(310)에는 조작장치(1000)가 배치될만한 마땅한 공간이 마련되기 어렵다.
특히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이 글라스(330)로 덮여 있음을 감안하면, 도어상면부(310)에는 조작장치(1000)가 설치될만한 부분이 마련되기 어렵다.
도어상면부(310)에는, 투시창(W) 외에도 제1가열부(400)가 설치된다. 제1가열부(400)는 높은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부품이며, 도어상면부(310)는 사용자의 접촉이 가능한 외측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그 상부면 대부분의 영역이 글라스(330)로 덮인 형태로 제공된다.
도어(300)의 외관 골격을 형성하는 금속 재질에 비해 글라스(330)의 열전도성이 낮으므로, 도어상면부(310)의 상부면 대부분의 영역을 글라스(330)로 덮음으로써, 제1가열부(400) 등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사용자의 접촉이 가능한 도어상면부(310)의 외측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고자 한 것이다.
만약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이 글라스(330)로 덮여있지 않고 투시창(W) 부분에만 글라스(330)가 덮인다고 하더라도, 조작장치(1000)의 설치가 가능한 영역은 투시창(W)의 평면방향 외측 영역으로 한정된다.
그러나 이 영역은 제1가열부(400)의 바로 위 영역이므로, 이 영역에 조작장치(1000)의 설치가 이루어지면, 조작장치(1000)가 고온의 열에 노출될 수밖에 없게 된다.
조작장치(1000)가 이러한 환경에 설치되면, 조작장치(1000)를 구성하는 각 조작 스위치, 그리고 각 조작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나 각종 전자부품에 좋지 않은 영향이 미칠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상승하는 열의 특성 상 도어전면부(350)보다는 도어상면부(310)가 좀 더 고온 상태에 놓일 수밖에 없는데, 더욱이 제1가열부(400)가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됨을 고려하면, 도어상면부(310)의 온도는 대부분 도어전면부(350)보다 고온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도어상면부(310)에 조작장치(1000)가 배치된다면, 조작장치(1000) 자체에 좋지 않은 영향이 미치게 될 뿐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도어상면부(310)와 접촉하여 화상을 입을 우려도 커지게 된다.
제1가열부(4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는 것은, 제1가열부(400)가 트레이(200)를 사이에 두고 제2가열부(600)와 마주보는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이와 같이 제1가열부(400)가 트레이(200)의 상부에 배치되어야 트레이(200)에 놓인 음식물을 위에서 고르게 가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될 수밖에 없다.
또한 투시창(W)이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되면,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상부에 형성된 투시창(W)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를 상부에서 내려다볼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투시창(W)도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될 수밖에 없게 된다.
즉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할 때 제1가열부(400)와 투시창(400)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은 제1가열부(400)와 투시창(400)에 의해 점유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조작장치(1000)는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조리기기를 정면에서 마주하며 조리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와 마주하는 면인 도어전면부(350)에 조작장치(1000)가 배치되면, 사용자가 조작장치(1000)를 좀 더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장치(1000) 조작도 좀 더 쉽고 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에 비해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부품들이 설치될 필요가 없는 부분이다. 즉 도어전면부(350)에는 투시창(400)이나 제1가열부(400)와 같은 무겁고 크기가 큰 부품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는 도어상면부(310)에 비해 공간적 여유가 있다.
이러한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에는,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제어기판(500)이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게 된다.
제1제어기판(500)에는, 조작장치(100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된다.
*이러한 제1제어기판(500)이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되면,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이 매우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제1제어기판(500)은 조작장치(100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조작장치(1000)와 반드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제어기판(500)이 조작장치(1000)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면, 제1제어기판(500)과 조작장치(100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매우 쉽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제1제어기판(500) 상에 직접 장착된 형태로 제1제어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되므로,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연결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제어기판(500)은 제1가열부(400)와도 상당히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되므로, 제1가열부(40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전기적인 연결도 매우 쉽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조작장치(1000)가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되면, 설치 공간이 마땅치 않은 도어상면부(310)를 피해 상대적으로 공간 여유가 있는 부분에 조작장치(1000)가 설치될 수 있어 조작 스위치의 크기, 개수, 위치 등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질 수 있고, 고온의 영향을 덜 받아 조리기기의 동작 안정성 및 사용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과 제1가열부(400) 간의 전기적인 연결도 매우 쉽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상면부(310)에 투시창(W) 및 제1가열부(400)가 배치되고 도어전면부(350)에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면, 도어상면부(310)에는 상대적으로 중량인 부품의 배치가 이루어지고 도어전면부(350)에는 상대적으로 경량인 부품의 배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어상면부(310)에 상대적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는 투시창(W) 및 제1가열부(400)의 배치가 이루어지고 도어전면부(350)에 상대적으로 무게가 적게 나가는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의 배치가 이루어지므로, 도어상면부(310)가 도어전면부(35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무거워지고, 이에 따라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도어(300)의 후방측으로 좀 더 쏠리게 된다.
더욱이 도어(300)가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도어(300)의 후방측으로 확연하게 쏠리게 된다.
또한 힌지부(810)가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결국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만큼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도어의 개방시에도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릴 우려가 적어지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고, 이로써 조리기기의 안전성 및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장치(1000)가 하우징(100)이 아닌 도어(30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300)가 상부측에 배치되는 도어상면부(310)와 전방측에 배치되는 도어전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종래 조리기기에서 도어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하던 구성인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므로, 도어전면부(350)에는 조작장치(1000)가 배치될만한 충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전면부(350)에는 투시창(W)이나 제1가열부(400)와 같은 구성들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는 조작장치(1000)와 근접하게 연결되어야 하는 구성인 제1제어기판(500)이 설치되기에 충분한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도어(300)에 설치되기에 유리한 환경이 제공되며, 이에 따라 도어(300)에 조작장치(1000)가 배치되는 효율적인 조작장치(1000)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도어(300)에 설치됨으로써, 도어(300)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400)와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 간의 전기적인 연결도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제1가열부(400)와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도어(300) 내부에서 이루어짐은 물론, 이를 위한 배선 길이도 짧아질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간결하고 깔끔한 배선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이러한 배선 처리가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도어(300)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작장치(1000)가 도어(300)에 설치되면,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하우징(100)에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은,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고려할 필요 없이, 오로지 조리실(105)의 크기와 도어(300)의 크기만을 고려한 크기와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은,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삭제한 만큼 감소된 크기로 제공될 수 있고, 도어(300)의 크기도 하우징(10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만큼 큰 크기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하우징(100)의 크기는 줄이면서도 트레이(200) 및 음식물이 출입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출입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컴팩트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더욱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어전면부의 내부 구조]
도 34는 도어전면부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34를 참조하면, 도어(300)는 도어본체부(30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본체부(300a)는, 도어(3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본체부(300a)는, 도어상면부(31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과 도어전면부(35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이 "ㄱ" 형상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어본체부(300a) 중 도어상면부(31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을 제1도어본체부(310a), 도어본체부(300a) 중 도어전면부(35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을 제2도어본체부(350a)라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본체부(300a)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에는, 후술할 지지패널(550), 및 이에 설치되는 제1제어기판(500), 온도센서(580) 등과 같은 전장부품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본체부(300a) 내부의 수용공간은, 일측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도어본체부(300a) 중 제1도어본체부(310a)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은, 하부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본체부(300a) 중 제2도어본체부(350a)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은, 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도어배면커버(350b)는, 도어본체부(300a)의 개방된 일측을 덮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배면커버(350b)가 제2도어본체부(350a)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도어배면커버(350b)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후방에 배치되며, 제2도어본체부(350a)의 개방된 후방을 덮을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도어배면커버(350b)는 브라켓(590)을 매개로 도어본체부(300a)와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도어본체부(300a)와 결합된 도어배면커버(350b)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개방된 후방을 덮음으로써, 제2도어본체부(350a) 내부에 수용된 각종 전장부품들이 도어본체부(300a)와 도어배면커버(350b)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2도어본체부(350a)와 도어배면커버(350b)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는, 지지패널(55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패널(550)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패널(550)은, 도어본체부(300a)와 도어배면커버(35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도어본체부(300a)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패널(550)은 브라켓(590)을 매개로 제2도어본체부(350a) 및 도어배면커버(350b)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제2도어본체부(350a) 및 도어배면커버(350b)에 결합된 지지패널(550)은, 제2도어본체부(350a) 및 도어배면커버(350b), 특히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제어기판(500)은, 지지패널(55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제어기판(500)은, 지지패널(550)에 고정됨으로써, 제2도어본체부(350a)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제어기판(500)에는 엔코더(1200) 및 샤프트(110)가 설치될 수 있고, 조작장치(1000)는 샤프트(1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도어본체부(350a)에는, 조작장치(1000)가 샤프트(110)에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통로를 형성하는 관통홀(351a)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300)의 전면에 배치되는 조작장치(1000)의 일부분은, 관통홀(351a)을 통해 제2도어본체부(350a)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패널의 구조 - 제1제어기판 관련 영역]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지지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14와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지지패널(550)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패널(550)도 이와 유사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패널(550)은, 메인패널부(551) 및 위치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패널부(551)는, 지지패널(550)의 골격을 형성한다. 이러한 메인패널부(551)는, 제1제어기판(500)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패널부(551)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형상과 유사한 형상,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 메인패널부(551)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패널부(551)는, 가벼운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제어기판(500) 및 이에 설치되는 각종 전장부품들을 지지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위치규제부는, 메인패널부(551)에 구비될 수 있다. 위치규제부는, 메인패널부(551)에 지지되는 제1제어기판(500)의 위치를 규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메인패널부(551)에서 돌출된 구조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규제부는, 하부지지부(553)와 측부지지부(5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규제부가 하부지지부(553) 및 측부지지부(555)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하부지지부(553)는 제1제어기판(5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측부지지부(555)는 제1제어기판(50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패널(550)은 제1영역(550a)과 제2영역(55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550a)은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는 영역이며, 제2영역(550b)은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이다. 하부지지부(553)는, 제2영역(550b)에 배치되되, 제1영역(550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측부지지부(555)는, 제2영역(550b)에 배치되되, 제1영역(550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제어기판(500)의 상하방향 위치와 측방향 위치는, 상기 하부지지부(553)와 측부지지부(555)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 즉 제1영역(550a)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지지부(553)에 의해 제1제어기판(500)의 상하방향 위치가 규제되고, 제1영역(550a)의 측부에 배치된 측부지지부(555)에 의해 제1제어기판(500)의 측방향 위치가 규제됨으로써, 제1제어기판(500)의 배치 위치가 제1영역(550a)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부(553)와 측부지지부(555) 중 적어도 하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는, 몸체부(553a) 및 돌출부(553b)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53a)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553a)는, 측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553b)는, 몸체부(553a)로부터 제1제어기판(500)을 향해 돌출되되,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지지부(553)와 측부지지부(555) 모두가 후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하부지지부(553)에 포함되는 후크의 돌출부(553b)는, 몸체부(553a)로부터 상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측부지지부(555)에 포함되는 후크의 돌출부(553b)는, 몸체부(553a)로부터 측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돌출부(553b)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돌출되되,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제1제어기판(500)의 두께만큼 이격된 위치에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형성되는 메인패널부(551)와 돌출부(553b) 사이의 공간에는, 제1제어기판(50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즉 하부지지부(553)에는 제1제어기판(50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고, 측부지지부(555)에는 제1제어기판(500)의 측단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제어기판(500)은, 하부지지부(553) 및 측부지지부(555)에 의해 그 전후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즉 제1제어기판(500)의 후방은 메인패널부(551)에 의해 지지되고 제1제어기판(500)의 전방은 돌출부(553b)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제1제어기판(500)의 전후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종합하면, 제1제어기판(500)의 측방향 위치는 하부지지부(553) 및 측부지지부(555)에 의해 규제되고, 제1제어기판(500)의 전후방향 위치는 메인패널부(551) 및 돌출부(553b)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제어기판(500)은 제1영역(550a), 즉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도록 설계된 위치에 정확히 배치되면서 지지패널(550) 상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하부지지부(553)는, 좌우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제어기판(500)의 하부가 하부지지부(553)에 의해 더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게 되므로, 제1제어기판(500)이 지지패널(550) 상에 더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패널(550)은, 리브(5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브(552)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메인패널부(551)와 제1제어기판(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552)는, 지지패널(550)의 구조적 강성을 더 향상시키는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리브(552)는, 제1제어기판(500)과 메인패널부(551)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제어기판(500)의 열이 방출되는데 필요한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지지패널의 구조 - 제1제어기판 외 기타 전장부품 관련 영역]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지지패널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37은 온도센서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 34 내지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온도센서(580)는, 길고 가느다란 봉 형상의 센서본체(581), 및 센서본체(581)로부터 돌출되는 플랜지(5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583)는, 센서본체(581)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사각 형상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580)는, 지지패널(550)에 고정된 형태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패널(550)은 온도센서지지부(5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지지부(557)는, 제2영역(550b) 즉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지지부(557)는 온도센서(580)를 지지하며, 이로써 온도센서(580)는 온도센서지지부(557)에 의해 지지되어 제2영역(550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지지부(557)는, 제2측벽부(557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측벽부(557a)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2측벽부(557a)의 내부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측벽부(557a)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사각기둥의 내부가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온도센서(580)는, 제2측벽부(557a)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온도센서(580)의 플랜지(583)는, 상하좌우방향 위치가 제1측벽부(556a)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
그리고 온도센서지지부(557)는, 제2지지면부(557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면부(557b)는, 제2측벽부(557a)로부터 제2측벽부(557a)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며, 전후방향과 교차하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지지면부(557b)는 메인패널부(551)와 나란한 평면이 제2측벽부(557a)의 내부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측벽부(557a)의 내부에 삽입된 플랜지(583)는 플랜지(583)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지지면부(557b)와 접촉될 수 있고, 그 결과 온도센서(580)의 후방 이동이 규제될 수 있다.
즉 제2측벽부(557a)의 내부에 삽입된 온도센서(580)는, 상하좌우방향 위치가 제2측벽부(557a)와 플랜지(583) 간의 간섭으로 인해 규제되고 전후방향 위치가 제2지지면부(557b)와 플랜지(583) 간의 간섭으로 인해 규제된 형태로, 온도센서지지부(557)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온도센서지지부(557)는, 보스부(557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스부(557c)는, 제2지지면부(557b)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지지면부(557b)는 메인패널부(551)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보스부(557c)는 이러한 제2지지면부(557b)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보스부(557c)는, 메인패널부(551)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지는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부(557c)의 내부에는 체결홀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홀은 제2지지면부(557b)의 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583)에도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583)의 체결홀은, 보스부(557c)의 체결홀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583)의 체결홀과 보스부(557c)의 체결홀이 서로 중첩될 수 있게 플랜지(583)가 제2지지면부(557b)와 접촉된 상태에서, 플랜지(583)의 후방으로부터 스크류가 체결홀을 통과하여 보스부(557c)와 체결되면, 플랜지(583)가 제2지지면부(557b)와 밀착되며 온도센서지지부(557)에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온도센서(580)가 지지패널(550) 상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온도센서지지부(557)는, 후크(557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크(557d)는, 제1측벽부(557a)로부터 온도센서지지부(557)의 내부, 즉 제2측벽부(557a)의 내부를 향해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측벽부(557a)의 하부측에 배치된 후크(557d)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2측벽부(5567a)의 상부측에 배치된 후크(557d)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측벽부(557a)의 하부측과 상부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557d)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리고 이러한 후크(557d)는, 제2지지면부(557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후크(557d)는, 제2지지면부(557b)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되, 제1지지면부(557b)로부터 온도센서(580)의 일부분의 두께만큼,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플랜지(583)의 두께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형성되는 제2지지면부(557b)와 후크(557d) 사이의 공간에는, 온도센서(580)의 일부분, 즉 플랜지(583)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센서(580)의 1차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온도센서(580) 체결 작업이 좀 더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설치된 온도센서(580)에 따르면, 센서본체(581)의 후방은 도어배면커버(350b)를 관통하여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온도센서(580)는, 도어전면부(350) 내부에서 도어전면부(35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조리실(105)에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본체(581)의 후방이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된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의 내부에서 조리실(105)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도 63 참조).
그리고 센서본체(581)의 전방은, 도어(300)의 내부로 노출되어 제1제어기판(50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센서본체(581)의 전방이 케이블을 통해 제1제어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센서(580)의 측정 결과는 제1제어기판(500)으로 전송될 수 있고, 제1제어기판(500)은 이를 기초로 제1가열부(400) 등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저지지부(557)는, 지지패널(55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도어배면커버(350b)에는 함몰부(351b)가 마련될 수 있다. 함몰부(351b)는, 도어배면커버(350b) 중 온도센서지지부(557)의 후방에 위치한 일부분이 후방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351b)는, 전방에서 봤을 때에는 후방으로 함몰된 형상, 후방에서 봤을 때는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온도센서지지부(577)는, 함몰부(351b)에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함몰부(351b)에는, 센서본체(581)가 도어배면커버(350b)를 통과하는데 필요한 통과홀(352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지패널(550)은, 케이블고정부(5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고정부(558)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제어기판(500)과 온도센서지지부(55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고정부(558)는, 제1제어기판(500)과 온도센서지지부(557) 사이를 연결시키는 케이블을 지지패널(5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블고정부(558)는, 한 쌍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후크는, 몸체부(558a) 및 돌출부(558b)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58a)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558a)는, 측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558b)는, 몸체부(558a)로부터 인접한 다른 후크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후크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되, 각 후크의 돌출부(558b)가 서로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후크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558b)가 배치된 부분인 두 후크의 전방 부분의 간격은, 몸체부(558a)가 배치된 부분인 두 후크의 후방 부분의 간격보다 훨씬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돌출부(558b) 간의 간격이 케이블의 직경보다 더 좁거나 아예 두 돌출부(558b)가 서로 접촉될 정도로 후크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이 케이블고정부(558)의 전방으로부터 케이블고정부(558)에 끼워질 수 있으며, 이처럼 케이블고정부(558)에 끼워진 케이블은 케이블고정부(558)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없다.
아울러 상기 지지패널(550)에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부(558)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제어기판(500)에는 케이블과 제1제어기판(500) 간의 연결을 위한 단자(50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자(501)는, 제1제어기판(500) 상에서 하부에 치우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와 도 34 및 35를 참조하면, 조작장치(1000)와 관련된 구성, 즉 샤프트(110), 엔코더(1200)와 같은 구성은 제1제어기판(50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측에 배치된다. 조작장치가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와 연결되는 샤프트(110), 엔코더(1200) 등은 제1제어기판(50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측에 배치되어야 한다.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하부에 치우친 위치에 손잡이(305)가 배치되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서 조작장치(1000)의 배치에 적합한 공간을 확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조작장치(1000)가 되도록 상부에 배치되어야 사용자가 조작장치(1000)를 조작하기 쉽다는 점도 고려되어야 한다.
만약 손잡이(305)가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면, 조작장치(1000)는 그 하부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 경우, 손잡이(305)로 인해 조작장치(1000)의 조작이 매우 불편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
또한 손잡이(305)가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면, 도어(300)의 개폐에도 많은 힘이 들어가게 되고, 조작에도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조작장치(1000)의 배치 위치는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작장치(1000)가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샤프트(110), 엔코더(1200) 등은 제1제어기판(50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제어기판(500)의 상부 영역이 샤프트(110), 엔코더(1200) 등에 의해 대부분 점유됨에 따라, 단자(501)의 배치 위치는 제1제어기판(500) 상에서 하부에 치우친 위치로 결정된다.
한편 온도센서지지부(557) 및 이에 장착된 온도센서(580)는, 지지패널(5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580)는, 통신모듈(570)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단자(501)보다는 샤프트(110) 및 엔코더(1200)에 가까운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580)가 지지패널(5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상세한 이유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온도센서(580)와 단자(501) 간의 높이 차가 발생됨에 따라, 온도센서(580)와 단자(501) 간의 거리도 그만큼 멀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온도센서(580)와 단자(501)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그만큼 그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고, 도어(300)의 내부는 길어진 케이블로 인해 복잡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부(558)가 온도센서지지부(557)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조가 제시된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부(558)는, 온도센서(580)와 단자(501)의 위치 특성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케이블을 복수개의 지점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센서(580)와 제1제어기판(50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지지패널(550) 상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됨으로써, 도어(300)의 내부가 더욱 깔끔하고 정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지패널(550)은, 케이블지지부(5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지지부(559)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제어기판(5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고정부(558)는, 제1제어기판(500)과 연결된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다. 케이블지지부(559)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은, 제1제어기판(500)과 제1가열부 사이를 연결하는 것일 수도 있고, 제1제어기판(500)과 제2제어기판 사이를 연결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케이블지지부(559)는, 제1돌기부(559a) 및 제2돌기부(559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부(559a)는, 메인패널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돌기부(559b)는, 제1돌기부(559a)로부터 메인패널부(551)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2돌기부(559b)는, 메인패널부(551)와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패널(550)에는, 복수개의 케이블지지부(559)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블지지부(559)는, 지지패널(550)의 테두리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블지지부(559) 중 일부는 지지패널(550)의 하부 테두리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케이블지지부(559) 중 다른 일부는 지지패널(550)의 측부 테두리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패널(550)의 하부 테두리에 인접되게 배치된 케이블지지부(559)와 지지패널(550)의 측부 테두리에 인접되게 배치된 케이블지지부(559)의 형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지지패널(550)의 하부 테두리에 인접되게 배치된 케이블지지부(559)에서는, 제2돌기부(559b)가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패널(550)의 측부 테두리에 인접되게 배치된 케이블지지부(559)에서는, 제2돌기부(559b)가 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케이블은, 제1돌기부(559a)와 제2돌기부(559b)로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되는 형태로 케이블지지부(55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의 배치 위치는, 지지패널(550)의 테두리에 인접한 영역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 위치가 안내된 케이블은, 지지패널(550)의 테두리에 가깝게 배치되면서 제1제어기판(5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제어기판(500)과 연결되는 케이블이 지지패널(550)의 테두리에 가깝게 배치된 상태로 지지패널(550) 상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도어(300)의 내부가 더욱 깔끔하고 정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제1제어기판(500) 상에 실장된 각종 부품들과 케이블 간의 불필요한 접촉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패널(550)은, 지지돌기(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돌기(560)는, 메인패널부(551)와 마주보는 도어본체부(300a)를 향해,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향해 메인패널부(55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560)는, 제1제어기판(500)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돌기(560)는 지지패널(550)의 하부 테두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돌기(560)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간섭되어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간의 간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돌기(560)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제어기판(500)의 상부 영역에는 샤프트(110) 및 엔코더(12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샤프트(110) 및 엔코더(1200)를 감싸는 소켓부재(1600)도 제1제어기판(50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다.
소켓부재(1600)의 후방측은 제1제어기판(500)에 결합되고, 소켓부재(1600)의 전방측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접촉될 수 있다. 즉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사이에 소켓부재(1600)가 개재되고,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사이의 간격은 소켓부재(160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지지패널(550)의 상부 영역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향해 휘어지지 않게 소켓부재(16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반대로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도 지지패널(550)을 향해 휘어지지 않게 소켓부재(16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런데 소켓부재(1600)와 같은 구조물이 배치되지 않은 지지패널(550)의 하부 영역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향해 휘어질 우려가 있게 된다. 또한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의 하부 영역도 지지패널(550)을 향해 휘어질 우려가 있다.
예컨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이 눌려 휘어지거나 도어배면커버(350b)가 눌려 휘어질 경우,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간의 간격이 지나치게 좁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제어기판(500)에 실장된 부품들이 파손될 수도 있고,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형상이 변화되어 도어(300)의 미관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패널(550)의 하부측에 지지돌기(560)가 마련된다. 이 지지돌기(560)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한편,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이 후방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종합하면, 지지패널(550)의 상부측에는 소켓부재(1600)가 배치되어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의 상부측 사이를 지지하고, 지지패널(550)의 하부측에는 지지돌기(560)가 마련되어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의 하부측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지지패널(550) 및 이에 설치된 제1제어기판(500)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의 간격을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도어(30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충격이나 가압에 의한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의 변형 발생이 억제될 수 있는 등, 도어(300)의 구조적 안정성도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어와 지지패널과 도어배면커버 간의 결합 구조]
도 38은 도 34에 도시된 브라켓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9는 지지패널과 도어배면커버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40은 도어본체부 전면과 지지패널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1은 도어전면부의 내부 구성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 내지 도 35 및 도 38 내지 도 4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브라켓(5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590)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590)은, 지지패널(550)과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시키며 지지패널(550)을 도어본체부(300a)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패널(550)은, 제1영역(550a)과 제2영역(550b) 외에, 결합영역(550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영역(550c)은, 제1영역(550a)과 제2영역(550b)을 포함한 영역의 좌우방향 양측 외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영역(550c)은 지지패널(550)의 측방향 양측 테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590)은, 제1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각각의 결합영역(550c)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브라켓(590)은, 결합영역(550c)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브라켓(590)은,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 및 연결부(59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591)는, 결합영역(550c)과 나란한 결합면을 형성한다. 예컨대, 제1결합부(591)는, 좌우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더 긴 사각 형상의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593)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나란한 결합면을 형성한다. 얘컨대, 제2결합부(593)는, 제1결합부(591)와 유사한 사각 형상의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결합부(593)는, 제1결합부(591)보다는 상하방향 길이가 짧고 좌우방향 길이는 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결합영역(550c)이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도 전후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595)는,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가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595)는,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595)는 제1결합부(591) 및 제2결합부(593)를 가로지르는, 좀 더 바람직하게는 제1결합부(591) 및 제2결합부(593)와 직교하는 사각 형상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590)은, 상기와 같은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 및 연결부(595)가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590)은, 상부에서 봤을 때, 제1결합부(591)와 연결부(595) 및 제2결합부(593)가 "ㄷ"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590)이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지지패널(550)의 상에서 제1영역(550a)과 제2영역(550b)의 좌측과 우측에 결합영역(550c)이 각각 배치되고, 브라켓(590)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좌측의 결합영역(550c) 사이,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우측의 결합영역(550c)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브라켓(590) 중 좌측에 배치되는 브라켓(590)에서는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의 좌측 단부가 연결부(59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브라켓(590) 중 우측에 배치되는 브라켓(590)에서는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의 우측 단부가 연결부(59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좌측에 배치되는 브라켓(590)은 제1결합부(591)와 연결부(595) 및 제2결합부(593)가 "ㄷ"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좌측에 배치되는 브라켓(590)은 제1결합부(591)와 연결부(595) 및 제2결합부(593)가 "コ"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결합부(591)와 결합영역(550c)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돌기(561)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부(591)와 결합영역(550c) 중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홀(591a)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561)는, 제1결합부(591)와 결합영역(550c) 중 어느 하나에서 제1결합부(591)와 결합영역(550c)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홀(591a)은 제1결합부(591)와 결합영역(550c) 중 다른 하나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591)와 결합영역(550c)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된 가이드돌기(561)는, 제1결합부(591)와 결합영역(550c)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가이드홀(591a)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돌기(561)가 결합영역(550c)에 마련되고 가이드홀(591a)이 제1결합부(591)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가이드돌기(561)는 결합영역(550c)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이러한 가이드돌기(561)는 그 전방에 위치한 가이드홀(591a)에 삽입되며 제1결합부(591)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결합영역(550c)에 복수개의 가이드돌기(561)가 마련되고, 각각의 제1결합부(591)에 복수개의 가이드홀(591a)이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각각의 결합영역(550c)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561)가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제1결합부(591)에는 한 쌍의 가이드홀(591a)이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하나의 가이드돌기(561)와 하나의 가이드홀(591a)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가이드홀(591a)에 하나의 가이드돌기(561)가 삽입될 수 있게 복수개의 가이드돌기(561)와 가이드홀(591a)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돌기(561)는, 후크를 포함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후크는, 몸체부(561a) 및 돌출부(561b)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61a)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561a)는,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561b)는, 몸체부(561a)로부터 돌출되되,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후크를 등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후크 중 상부에 배치된 후크의 돌출부(561b)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고, 한 쌍의 후크 중 하부에 배치된 후크의 돌출부(561b)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가이드돌기(561)는, 가이드홀(591a)을 통해 제1결합부(591)를 관통하면서 제1결합부(591)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가이드돌기(561)와 제1결합부(591) 간의 결합에 의해,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1차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1차적인 결합이란,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 위치가 안내되는 결합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결합영역(550c)과 제1결합부(591)에는 체결홀(562,591b)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 체결홀(562,591b)들은, 체결부재(565)를 이용한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체결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여기서 체결부재(565)는, 전술한 체결부재(563)와 동일 또는 유사한 스크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영역(550c)의 체결홀(562)과 제1결합부(591)의 체결홀(591b)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결합영역(550c)과 제1결합부(591)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스크류가 이 체결홀(562,591b)들을 통해 결합영역(550c)과 제1결합부(591)를 관통함에 따라, 결합영역(550c)과 제1결합부(591)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영역(550c)의 체결홀(562)과 제1결합부(591)의 체결홀(591b)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기 위한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위치 정렬은, 가이드돌기(561)와 제1결합부(591) 간의 결합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즉 가이드돌기(561)를 제1결합부(591)에 끼워 넣기만 하면, 결합영역(550c)의 체결홀(562)과 제1결합부(591)의 체결홀(591b)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게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홀(562,591b)들이 가이드돌기(561)보다 상하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는, 스크류를 이용한 체결이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이루어질수록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
즉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상측 단부에 인접한 위치와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하측 단부에 인접한 위치가 스크류에 의해 단단히 고정됨으로써,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상측 단부나 하측 단부가 들뜨지 않게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이 서로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를 이용한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중앙 부분에서는 가이드돌기(561)를 이용한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중앙 부분에서도 들뜸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이하, 결합영역(550c)과 제1결합부(591)간의 결합 구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정리한다.
가이드돌기(561)와 제1결합부(591) 간의 결합에 의해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1차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간의 1차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면, 스크류를 이용한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기에 적합한 상태가 되도록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1차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면, 스크류 체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임시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상측 단부에 인접한 위치와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하측 단부에 인접한 위치가 스크류에 의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고,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상하방향 중앙 부분에서는 가이드돌기(561)에 의한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들뜸 없이 단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이를 위한 스크류 체결 작업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결합부(593)는, 도어본체부(300a),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제2결합부(593)에는 체결홀(353a,593a)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 체결홀(353a,593a)들은, 후술할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도어본체부(300a)와 브라켓(590) 간의 체결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의 체결홀(353a)과 제2결합부(593)의 체결홀(593a)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제2결합부(593)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체결부재(563)가 이 체결홀(353a,593a)들을 통해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제2결합부(593)를 관통함에 따라,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제2결합부(59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재(563)는, 스크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563)는 몸체부(553a)와 머리부(563b)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53a)는 대략 원형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몸체부(553a)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머리부(563b)는, 몸체부(553a)의 길이방향 단부에 몸체부(553a)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체결부재(563)에 의해 브라켓(590)의 제2결합부(593)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간의 결합과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손잡이(305) 간의 결합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체결부재(563)는, 제2결합부(593)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관통하며 손잡이(305)에 삽입됨으로써, 손잡이(305)와 제2결합부(593)를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사이에 두고, 손잡이(305)와 제2결합부(59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부재(563)는 머리부(563b)가 제2결합부(593)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2결합부(593)의 후방으로부터 제2결합부(593) 및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관통하며 손잡이(305)에 삽입될 수 있다.
만약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 간의 결합과 도어본체부(300a)와 손잡이(305) 간의 결합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별도로 이루어진다면,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 간의 결합 부위가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게 될 것이다.
예컨대, 도어(300)의 전방으로부터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면, 체결부재(563)의 머리부(563b)가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브라켓(590)의 후방으로부터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결합이 이루어진다면, 체결부재(563)의 몸체부(553a)가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체결부재(563)를 가릴 별도의 구조물이 도어(300)의 외부에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더욱이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제2결합부(593)의 두께가 그리 두껍지 않기 때문에, 도어본체부(300a)와 브라켓(590) 간의 결합 강도도 충분히 확보되기 어렵다. 또한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 간의 결합과 도어본체부(300a)와 손잡이(305) 간의 결합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별도로 이루어진다면, 그만큼 체결 작업에 필요한 공수도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한 번의 체결 작업으로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와 손잡이(305)의 결합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결 구조가 제시된다.
이에 따르면, 브라켓(590) 및 도어본체부(300a)를 관통하여 도어본체부(300a)의 외부로 돌출된 체결부재(563)의 일부분이 손잡이(305)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와 손잡이(305)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체결부재(563)의 어느 부분도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제2결합부(593)의 두께가 그리 두껍지 않더라도 손잡이(305)에 의해 체결부재(563)의 삽입 깊이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게 되므로, 도어본체부(300a)와 브라켓(590) 간의 결합 강도도 충분히 확보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한 번의 체결 작업으로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와 손잡이(305)의 결합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체결 작업에 소요되는 공수도 그만큼 감소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563)는, 제2결합부(593)의 체결홀(593a)과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의 체결홀(353a)을 통해 제2결합부(593)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관통하며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제2결합부(593)의 체결홀(593a)은, 제1결합부(591)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 또는 체결홀(593a)의 후방이 제1결합부(591)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결합부(593)의 체결홀(593a)은, 후방에서 봤을 때 제1결합부(59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결합부(593)는 제1결합부(591)보다는 상하방향 길이가 짧고 좌우방향 길이는 긴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좌측에 배치된 브라켓(590)의 제2결합부(593)는 제1결합부(591)보다 우측으로 더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우측에 배치된 브라켓(590)의 제2결합부(593)는 제1결합부(591)보다 좌측으로 더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결합부(593)에 마련되는 체결홀(593a)은, 제1결합부(591)보다 좌우방향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좌측에 배치된 브라켓(590)의 제2결합부(593)에 마련된 체결홀(593a)은, 제1결합부(591)보다 우측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에 배치된 브라켓(590)의 제2결합부(593)에 마련된 체결홀(593a)은, 제1결합부(591)보다 좌측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체결 작업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즉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체결이 브라켓(590)의 후방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2결합부(593)에 마련된 체결홀(593a)이 제1결합부(591)로 인해 가려질 경우, 체결 작업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에서 봤을 때 제2결합부(593)의 체결홀(593a)이 제1결합부(59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로써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체결 작업이 제1결합부(591)와 같은 다른 구조물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42 내지 도 44는 도어전면부의 조립 과정을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 도 39 내지 도 44를 참조하여 도어전면부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도 39 및 도 42를 참조하면, 도어전면부(350)의 조립을 위해, 먼저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 간의 결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손잡이(305)를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의 전방에, 그리고 브라켓(590)을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의 후방에 배치시킨다. 이때 손잡이(305)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홀과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형성된 체결홀(353a), 그리고 브라켓(590)의 제2결합부(593)에 형성된 체결홀(593a)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결합부(593)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체결부재(563)를 제2결합부(593) 및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체결하여 준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563)는, 제2결합부(593)의 후방으로부터 제2결합부(593) 및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관통하며 손잡이(305)에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하나의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한 번의 체결 작업으로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와 손잡이(305)의 결합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체결 지점이 각 브라켓(590) 당 2개씩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각각의 제2결합부(593)에는 한 쌍의 체결홀(593a)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도 체결홀(353a)들이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4번의 체결 작업으로 손잡이(305)와 도어(300)와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593) 상에서, 한 쌍의 체결홀(593a) 사이에는 끼움홀(593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도 이러한 끼움홀(355a)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손잡이(305)에는, 끼움돌기(305a)가 마련될 수 있다. 끼움돌기(305a)는, 손잡이의 양측 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돌기(305a)는, 끼움홀(355a,593b)에 삽입되며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및 제2결합부(593)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끼움돌기(305a)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및 제2결합부(593) 간의 결합에 의해, 손잡이(305)와 도어전면부(350) 간의 결합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즉 끼움돌기(305a)가 끼움홀(355a,593b)에 삽입되면, 손잡이(305)와 도어전면부(350) 및 제2결합부(593)의 체결홀들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의 결과로서, 손잡이(305)와 도어(300)와 브라켓(590) 간의 결합을 위한 작업이 좀 더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305)와 도어(300)와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 다음, 도 39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1차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1차적인 결합은, 가이드돌기(561)와 제1결합부(591)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패널(550)의 체결홀(562)과 제1결합부(591)의 체결홀(591b)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게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39 및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본체부(300a)의 개방된 후방을 도어배면커버(350b)로 덮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배면커버(350b)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스크류를 도어배면커버(350b)에 체결하여 준다.
이에 따라 도어배면커버(350b)와 결합영역(550c)과 제1결합부(591)가 하나의 스크류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즉 도어배면커버(350b)와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하나의 스크류에 의해 단 번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크류를 이용한 체결 지점이 각 브라켓(590) 당 2개씩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각각의 제1결합부(591)에는 한 쌍의 체결홀(591b)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도어배면커버(350b)와 지지패널(550)에도 체결홀(562)들이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스크류를 이용한 4번의 체결 작업으로 도어배면커버(350b)와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종합하면, 총 4번의 체결 작업만으로 손잡이(305)와 도어(300)와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고, 또한 총 4번의 체결 작업만으로 도어배면커버(350b)와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는 등, 매우 적은 횟수의 체결 작업만으로 도어전면부(350)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도어(300)의 조립 작업에 소요되는 공수가 현저히 감소되고, 도어(300)의 조립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온도센서 배치 구조]
도 45는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3 및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온도센서(58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센서(580)가 서모스탯(Thermostat)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 내부가 과열되지 않도록 조리실(105)의 온도를 유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580)는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되며, 이러한 온도센서(580)의 높이는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제1가열부(400) 사이로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온도센서(58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보다 제1가열부(400)에 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 내부에서 상부로 좀 더 치우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온도센서(580)는 트레이(200)와 제1가열부(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온도센서(580)는 트레이(200)보다 제1가열부(400)에 좀 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온도센서(580)의 배치는,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 분포, 그리고 조리실(105) 내부에 있는 조리물과의 온도센서(580) 간의 간섭 발생 가능성을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
조리기기에서, 음식물 조리는 조리실(105)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식물은 트레이(200)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음식물 조리는, 통상적으로 음식물이 트레이(2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조리실(105) 내부를 가열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이 트레이(20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트레이(200)에 안착된 음식물과 온도센서(580) 간의 간섭이 발생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음식물과 온도센서(580) 간의 간섭이 발생되면, 온도센서(580)에 의해 이루어지는 온도 측정의 결과가 부정확해지거나 온도센서(580)의 동작에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과 온도센서(580)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온도센서(580)의 배치가 필요하다.
또한 조리실(105) 내부에서는, 통상적으로 조리실(105)의 상부로 갈수록 온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는, 가열된 공기가 상승됨으로 인한 것이기도 하고, 조리실(105) 내부를 가열하는 제1가열부(400)가 조리실(105)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물론 조리실(105)의 하부에도 제2가열부(600; 도 64 참조)가 있기는 하다. 그러나 직접 발열하는 제1가열부(400)와 달리, 제2가열부(600)는 직접 발열하는 장치가 아니다. 따라서 조리실(105) 내부에서는, 조리실(105)의 상부로 갈수록 온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의 온도가 설정된대로 유지되도록 하거나 과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온도센서(580)가 이러한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조리실(105) 중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곳에 온도센서(580)가 배치되는 것이 그 반대인 경우보다 유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의도된 것보다 온도가 낮았을 때보다 그 반대의 경우가 조리물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아무래도 온도가 높게 나타나는 지점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온도센서(580)의 역할이 과열 방지에 있다면, 더욱 그러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조리실(105)의 하부에 인접한 측에 온도측정모듈(640; 도 67 참조)이 배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므로, 이러한 온도측정모듈(640)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 온도센서(580)가 배치되기 보다는 온도측정모듈(640)과 어느 정도 이격된 위치에 온도센서(580)가 배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센서(580)가 조리실(105) 내부에서 상부로 좀 더 치우친 높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조리실(105)의 온도가 설정된대로 유지되도록 하거나 과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온도센서(580)의 역할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1과 도 52 및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550b)은 제1영역(550a)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온도센서(580)는 제2영역(550b)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영역(550a)에는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고, 이 제1제어기판(500)에는 조작장치(1000)와 관련된 부품, 즉 샤프트(110)와 엔코더(1200) 등과 같은 부품들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제어기판(500)은, 지지패널(550) 상에서 상당히 넓은 영역을 차지할만한 크기로 마련된다. 그로 인해, 지지패널(550) 상에서 제1제어기판(500)은 지지패널(550)의 반 이상의 영역을 차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그렇기 때문에, 조작장치(1000)와 관련된 부품들이 제1제어기판(500) 상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제1제어기판(500)도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그로 인해, 지지패널(550)의 상부 영역도 제1제어기판(500)에 의해 상당 부분 점유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리고 제1제어기판(500)의 상부에서는, 온도센서(580)가 설치될만한 공간, 즉 온도센서지지부(557)가 마련될만한 공간이 사실상 확보되기 어렵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센서(580)가 제1제어기판(500)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게 제1제어기판(500)의 측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 내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되, 측방향 일측에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온도센서(58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도어전면부(350)의 상측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온도센서(580)는, 제1제어기판(500) 등과 같은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으면서도 그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음식물이 조리실(105)의 중앙에 안착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기와 같이 온도센서(580)가 상측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온도센서(580)와 음식물의 접촉 가능성을 상당 부분 낮출 수 있다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기기는 차폐판(3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판(328)은,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폐판(328)은,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한 쌍의 제1가열부(400)가 배치되며, 차폐판(328)도 이에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차폐판(328)은, 제1가열부(400)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제1가열부(400)의 열의 발산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제1가열부(400) 중 도어전면부(350)에 인접한 측에 위치한 제1가열부(400)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차폐판(328)은, 도어전면부(350)와 제1가열부(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1가열부(400) 중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한 제1가열부(400)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차폐판(328)은, 하우징(100)의 배면과 제1가열부(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차폐판(328)은, 제1가열부(400)의 열의 발산 방향을 조리실(105)의 중앙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차폐판(328)은, 제1가열부(400)의 열이 도어전면부(350) 측 또는 하우징(100)의 배면(140) 측으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가열부(400)는, 도어전면부(350) 또는 하우징(100)의 배면(140) 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전면부(350)와 하우징(100)의 배면(140)은, 제1가열부(400)에 의해 집중적으로 가열되기 쉬운 환경에 노출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와 하우징(100)의 배후에는 각종 전장부품들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집중적인 가열이 가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전면부(350)와 제1가열부(400) 사이, 그리고 하우징(100)의 배면과 제1가열부(400) 사이에 각각 차폐판(328)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차폐판(328)은, 제1가열부(400)의 열이 도어전면부(350) 측 또는 하우징(100)의 배면(140) 측으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전장부품들이 열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전면부(350)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한 차폐판(328)은, 온도센서(580)와 제1가열부(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온도센서(580)는 제1가열부(400)와의 사이가 차폐판(328)에 의해 가로막힌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센서(580)는, 제1가열부(400)의 열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즉 온도센서(580)는, 제1가열부(400)와 인접한 영역이면서도 제1가열부(400)의 열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온도센서(580)가 제1가열부(400)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됨에도 불구하고, 조리실(105) 내부의 실제 온도와 가까운 신뢰성 높은 측정 결과가 온도센서(580)에 의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터치조작부의 구조]
도 46은 도 27의 "ⅩⅩⅩⅩⅥ-ⅩⅩⅩⅩ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14 및 도 4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터치조작부(1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조작부(1900)는, 조작장치(1000)와 함께 도어전면부(35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조작부(1900)가 조작장치(100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되, 조작장치(1000)의 측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터치조작부(1900)를 조작장치(1000)와 함께 직접 조작하여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서, 터치조작부(1900)는 제1가열부(400)의 온/오프 조절을 위한 조작 스위치와 조리 대상물의 종류 및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치조작부(1900)는, 기판(1910)과 부스터(19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910)은, 지지패널(550)에 고정된 형태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패널(550)은, 터치패널지지부(5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널지지부(565)는, 제2영역(550b), 즉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패널지지부(565)는 터치조작부(1900)를 지지하며, 이로써 터치조작부(1900)는 터치패널지지부(565)에 의해 지지되어 제2영역(550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지지부(565)는, 돌출면부(565a)와 돌출지지면부(565b) 및 돌출리브부(565c)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면부(565a)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메인패널부(551)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지지면부(565b)는, 돌출면부(565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메인패널부(551)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지지면부(565b)는, 메인패널부(551) 및 돌출면부(565a)보다 전방으로 앞선 위치에서 기판(19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1910)이 돌출지지면부(565b)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터치조작부(1900)는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돌출리브부(565c)는, 돌출지지면부(565b)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터치패널지지부(565)에서는, 한 쌍의 돌출리브부(565c)가 돌출지지면부(565b)를 사이에 두고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돌출리브부(565c)가 돌출면부(565a)를 사이에 두고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각각의 돌출리브부(565c)는, 돌출면부(565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돌출리브부(565c)는, 돌출지지면부(565b)의 돌출 정도와 동등 수준으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돌출리브부(565c)에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홈에는 패킹부재(566)가 삽입될 수 있다. 패킹부재(566)는, 고정홈에 삽입됨으로써, 돌출리브부(565c)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566)는, 터치패널지지부(565)와 기판(1910) 사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돌출면부(565a)와 기판(19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부재(566)는, 고정홈에 삽입되었을 때, 돌출리브부(565c) 및 돌출지지면부(565b)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킹부재(566)는, 탄성 변형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566)는, 돌출면부(565a)와 기판(1910) 사이에서 기판(1910)과 오버랩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부재(566)는 기판(1910)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힘을 기판(1910)에 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터치조작부(1900)가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더욱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지지패널(550)은, 외측지지돌기(5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패널지지부(565) 및 터치조작부(1900)의 외측에 복수개의 외측지지돌기(567)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외측지지돌기(567)는 터치패널지지부(565) 및 터치조작부(1900)의 상하방향 외측 및 좌우방향 외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외측지지돌기(567)는, 지지패널(550)의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외측지지돌기(567)는,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접촉될 수 있게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외측지지돌기(567)들은, 터치조작부(1900)의 주변에서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조작부(1900)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눌러야 한다. 이러한 조작이 반복되면,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이 반복된 눌림으로 인해 변형될 수 있다. 외측지지돌기(567)는, 터치조작부(1900)의 주변에서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지지함으로써, 터치조작부(1900)의 조작으로 인한 도어(300)의 변형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측지지돌기(567)는, 터치조작부(1900)의 전방 영역에서만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이 눌릴 수 있게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지지함으로써, 터치조작부(1900)의 조작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터치패널지지부(565)에 설치되는 터치조작부(1900)는 정전용량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일 수 있다. 이러한 터치조작부(1900)의 기판(19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전용량부가 형성될 수 있다.
기판(1910)의 전방에는 부스터(1920)가 배치될 수 있다. 부스터(1920)는,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기판(19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부스터(1920)는,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중 부스터(1920)와 밀착되는 영역에는, 터치조작부(1900)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능 아이콘들이 음각 또는 양각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중 해당 부분이 눌려지면, 부스터(1920)가 이와 함께 눌려져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부스터(1920)와 정전용량부 간의 간격이 변화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정전용량의 변화에 의해 터치조작부(1900)에 대한 터치가 인식될 수 있다.
상기 부스터(1920)가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잘 밀착되어 있어야 터치조작부(1900)에 대한 터치 인식률이 상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리브부(565c)에 설치된 패킹부재(566)가 기판(1910)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힘을 기판(1910)에 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스터(1920)가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제2가열부와 수신코일 및 제2제어기판의 구조]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제2가열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8은 도 47에 도시된 제2가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49는 도 47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0은 도 47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온도센서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51은 도 47에 도시된 제2제어기판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52는 도 51에 도시된 제2제어기판의 배면에 배면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과 도 47 및 도 48을 참조하면, 제2가열부(600)는 트레이(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2가열부(60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설치되며, 제1가열부(400)와 다른 가열방식으로 트레이(200)를 가열하는 가열부, 예를 들면 유도가열부 형태로 제공된다. 유도가열부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설치되는 워킹코일(610)을 포함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트레이(200)의 하부에서 트레이(200)의 가열을 유도할 수 있다.
워킹코일(610)은, 코일설치베이스(61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설치베이스(611)가 트레이(200)의 형상에 가까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는 트레이(200)의 전체 영역이 워킹코일(61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워킹코일(610)의 크기와 형상을 트레이(200)의 형상에 가깝게 한 설계의 결과이다.
코일설치베이스(611)에는, 도 66 및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을 기준으로 코일(613)이 설치될 수 있는 나선형의 홈이 마련되고, 이 나선형의 홈에 코일(613)이 수용되며 코일설치베이스(611) 상부에 촘촘하게 감겨져 고정된다. 코일(613)의 단부에는, 상기 코일(613)을 제어하기 위한 코일제어PCB와 연결되는 코일연결배선(615)이 구비된다.
아울러 제2가열부(600)는, 수신코일(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코일(620)은, 무선으로 전송된 전원을 수신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으로서, 제2가열부(60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수신코일(620)의 하부에는 베이스(180)가 배치된다. 베이스(18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결합되어 수신코일(620)의 하부에서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등을 지지하는 한편, 조리기기의 저면 외관을 형성한다.
수신코일(620)은, 워킹코일(610)과 마찬가지로 코일설치베이스(621)와 코일(6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신코일(620)의 코일설치베이스(621)는, 워킹코일(610)의 코일설치베이스(611)와 다르게 대략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수신코일(620)의 형상을 쿡탑(Cooktop)에 구비된 유도가열부의 워킹코일의 형상에 가깝게 형성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코일(620)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와 별개로 구비되는 다른 조리기기, 즉 쿡탑의 유도가열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게 마련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쿡탑에 올려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조리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은 쿡탑의 유도가열부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를 쿡탑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쿡탑의 워킹코일과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를 함께 동작시키면, 쿡탑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수신코일(6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에는, 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쿡탑의 워킹코일에서 변화하는 자기장을 통해 수신코일(620) 쪽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쿡탑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수신코일(6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신코일(620)의 전력 수신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를 쿡탑에 올리되, 수신코일(620)의 위치와 쿡탑의 유도가열부에 구비된 워킹코일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게 올려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유도가열부에는,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기차폐판(6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자기차폐판(630)은, 금속재질의 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차폐판(630)은,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사이에 배치되어 워킹코일(610)에 의한 EMI가 수신코일(620)에 영향을 미치거나 수신코일(620)에 의한 EMI가 워킹코일(610)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수신코일(620)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쿡탑의 유도가열부로부터 무선을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거추장스러운 전원케이블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심플하고 깔끔한 외관으로 제공될 수 있고, 쿡탑에 조리기기를 올려놓기만 하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수신코일(620)은, 도 47 내지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의 후방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쿡탑의 워킹코일로부터 수신코일(620)로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은, 수신코일(6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제어기판(700) 측으로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의 내부공간과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의 내부공간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배치된 유도가열부의 워킹코일(610)과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은, 서로 연결된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의 내부공간과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의 내부공간을 통해 워킹코일(610)과 제2제어기판(70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제어기판(700)에는, 제2가열부(600)의 유도가열부 등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처리부가 마련된다. 전원처리부는, 수신코일(620)과 연결되어 수신코일(6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전원을 제2가열부(600) 등에서 이용되기에 적합한는 형태로 처리한다. 이러한 전원처리부는 노이즈필터 PC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제어기판(700)에는 워킹코일(6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코일제어 PCB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노이즈필터 PCB는 워킹코일(610)에 공급하고자 하는 전원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고, 코일제어 PCB는 워킹코일(6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코일제어 PCB에는 워킹코일(6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칩, 예를 들면 IGBT와 같은 칩이 실장될 수 있다.
IGBT는, 온도 관리가 필요한 고발열칩의 일종으로서,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과승되면 워킹코일(610)을 제어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2제어기판(700)에는 제2냉각팬(730)이 설치된다. 제2냉각팬(730)은, 하우징(100)의 외부 공간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IGBT 측으로 배출하는 시로코 팬일 수 있다.
제2냉각팬(730)은, IGBT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배후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IGBT를 향한 측방을 향해 배출할 수 있다.
제2냉각팬(730)을 통해 하우징(100)의 배면 배후의 공간부에 유입된 공기는, 먼저 IGBT 및 이를 냉각하기 위한 히트싱크와 접촉하며 이들을 냉각하고, 노이즈필터 PCB 부분을 냉각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기판(700) 및 제2냉각팬(730)은, 배면지지패널(750)에 고정됨으로써,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고정될 수 있다.
배면지지패널(750)은, 도 3 및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배면지지패널(750)은,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결합됨으로써, 하우징(100)의 후방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배면지지패널(750)은, 메인패널부(751)와 제1돌출테두리부(75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패널부(751)는, 제2제어기판(700)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패널부(751)는, 하우징(100)의 배면(140)과 유사한 형상,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 메인패널부(751)는, 가벼운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제어기판(700) 및 이에 설치되는 각종 전장부품들을 지지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제1돌출테두리부(755)는, 메인패널부(751)의 테두리에 배치된다. 제1돌출테두리부(755)는, 메인패널부(751)의 테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패널부(751)의 후방에는, 메인패널부(751)와 제1돌출테두리부(755)로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제어기판(700) 및 제2냉각팬(730)은, 이러한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면지지패널(750)은, 제1영역(750a)과 제2영역(75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750a)은 제2제어기판(700)이 배치되는 영역이며, 제2영역(750b)은 제2제어기판(70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영역(750a)과 제2영역(750b)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얘컨대, 제1영역(750a)이 좌측에, 제2영역(750b)이 우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면지지패널(750)의 대부분은 제1영역(750a)에 의해 점유될 수 있다.
제2영역(750b)에는, 제2냉각팬(73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750b)에는, 전원연결부(735) 및 통신모듈(740)이 배치될 수 있다.
전원연결부(735)는, 배면지지패널(750)에 설치되되, 제2영역(750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연결부(735)는, 제2제어기판(700)의 측부에 배치되어 제2제어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전원연결부(735)는, 인렛 파워 소켓(Inlet power socket)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연결부(735)는, 외부 전원과 연결된 전원 케이블의 플러그와 연결됨으로써,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전원연결부(735)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제2제어기판(700)의 전원처리부에 의해 제2가열부(600) 등에서 이용되기에 적합한는 형태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전원연결부(735)는, 제2제어기판(700)의 측부에 배치되되, 제2냉각팬(730)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연결부(735)가 제2냉각팬(730)보다 상부에 배치될 경우, 그만큼 전원연결부(735) 및 그와 연결된 전원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기 쉽다.
또한 전원연결부(735)와 연결된 전원 케이블이 상부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조리기기 사용 과정에서 전원 케이블이 장애물로 작용되거나 조리기기를 전복시키는 원인이 될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연결부(735)가 최대한 노출되기 어려운 위치, 예컨대 조리기기의 배면 하단 모서리에 배치되도록 하였다. 이로써 전원연결부(735) 및 이와 연결된 전원케이블로 인한 조리기기의 미관 저하 또는 전원 케이블로 인한 안전 문제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게 된다.
통신모듈(740)은, 외부 기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과 조리기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일 수 있다.
일례로서, 통신모듈(740)은 근거리통신모듈일 수 있다. 예 컨대, 통신모듈(740)은 BLE(Bluetooth low energy)와 같은 저전력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일 수 있다. 그 밖에도, 통신모듈(740)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신모듈(740)은 이동통신모듈일 수 있다. 예컨대, 통신모듈(740)은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740)은, 제2제어기판(70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740)은, 제2냉각팬(730)의 하부 및 전원연결부(735)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통신모듈(740)은, 제2제어기판(700)의 측부에 배치되되, 제2냉각팬(730)과 전원연결부(7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모듈(740)의 배치 구조는, 제2냉각팬(730)과 통신모듈(740)과 전원연결부(735) 중에서 전원연결부(735)가 가장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면서 통신모듈(740)과 제2제어기판(700) 간의 배선 길이가 가장 짧아질 수 있는 위치에 통신모듈(740)이 배치되도록 한 설계의 결과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 3과 도 51 및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커버(7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면커버(760)는, 배면지지패널(750)의 후방에 배치되어 배면지지패널(75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배면커버(760)는, 메인커버부(761)와 제2돌출테두리부(76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커버부(761)는, 배면지지패널(75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메인패널부(751)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커버부(761)는, 메인패널부(751)와 유사한 형상,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메인커버부(761)는, 가벼운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커버부(761) 및 이를 포함하는 배면커버(760)는, 캐비닛(170)의 배면과 제2제어기판(7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배면커버(760)는, 금속 재질의 캐비닛(170)과 제2제어기판(700)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배면커버(760)에는, 통기홀(762)이 마련될 수 있다. 통기홀(762)은, 메인커버부(761) 상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홀(762)은, 메인커버부(761) 상에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통기홀(762)은, 제2냉각팬(730)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조리기기의 배면 상에서 제2냉각팬(730)이 우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고 하면, 통기홀(752)은 좌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2냉각팬(73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지나치게 이른 시점에서 배면커버(760)의 후방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또한 배면커버(760)에는, 팬설치홀(763)이 마련될 수 있다. 팬설치홀(763)은, 배면지지패널(750)과 배면커버(760) 사이에 설치되는 제2냉각팬(730)의 일부분이 배면커버(760)의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팬설치홀(763)은, 메인커버부(761) 상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제2냉각팬(7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냉각팬(730)의 대부분, 특히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므로, 이러한 제2냉각팬(730의 일부분이 배면커버(760)의 후방으로 노출되거나 캐비닛(170)과 접촉되어도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그런데 배면지지패널(750)에 설치되는 부품들 중에서, 후방으로 가장 돌출되는 부품은 제2냉각팬(730)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2냉각팬(730)의 일부분이 배면커버(760)의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되면, 그만큼 배면커버(760)가 후방으로 덜 돌출되게 조리기기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즉 조리기기의 전후방향 크기가 그만큼 축소될 여지가 있게 된다. 또한 제2냉각팬(730)과 배면커버(760) 간에 이루어지는 끼움 결합에 의해, 배면지지패널(750)과 배면커버(760) 간의 결합 위치가 안내됨으로써, 배면커버(760)의 설치가 좀 더 용이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도 있다.
아울러 배면커버(760)에는, 절개부(764)가 마련될 수 있다. 절개부(764)는, 메인커버부(761)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764)는, 전원연결부(735)와 캐비닛(170)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배면커버(760)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제2돌출테두리부(765)는, 메인커버부(761)의 테두리에 배치된다. 제2돌출테두리부(765)는, 메인커버부(761)의 테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돌출테두리부(765)는, 배면지지패널(750)의 제1돌출테두리부(755)와 결합될 수 있다. 이들 간의 결합에 의해, 배면커버(760)과 배면지지패널(750) 사이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배면커버(760)와 배면지지패널(75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제1돌출테두리부(755)와 제2돌출테두리부(765)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756)가 구비될 수 있고, 제1돌출테두리부(755)와 제2돌출테두리부(765)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756)와의 결합을 이루기 위한 후크홈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제어기판(700)과 캐비닛(170)의 배면에는, 관통홀(17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통홀(171)에는, 흡배기그릴(175)이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171)은, 외부 공기가 캐비닛(170)을 통과하여 제2제어기판(700) 측으로 유입되거나 제2제어기판(700) 주변의 공기가 캐비닛(17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흡배기그릴(175)은, 관통홀(171)을 통한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은 허용하면서 관통홀(171)을 통해 외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흡배기그릴(175)은, 루버(Louver) 구조물을 포함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2가열부(600)는, 도 47 내지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측정모듈(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측정모듈(640)은, 트레이의 온도 또는 트레이가 배치된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온도측정모듈(640)은, 워킹코일(61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측정모듈(640)은 코일설치베이스(611) 상에서 코일(613)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 예를 들면 코일설치베이스(611)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측정모듈(640)은, 코일설치베이스(61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워킹코일(6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된 온도측정모듈(640)은, 서미스터(Thermistor) 등과 같은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배치되어 트레이의 온도 또는 트레이가 배치된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 제2가열부, 제2제어기판, 투시창, 제1가열부, 조작장치, 제1제어기판의 배치 관계]
도 3과 도 47 내지 도 52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에는 힌지 어셈블리(800)와 제2가열부(600) 및 제2제어기판(700)이 배치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조리실(105)이 형성되며,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트레이(200)를 가열하기 위한 제2가열부(600)가 배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양측부에는 도어(3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각각 배치된다.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300)의 양측에서 도어(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배치된다. 또한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트레이(200)를 인출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이 힌지 어셈블리(800)가 트레이(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트레이(200)와 결합되기 위해서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배치된다.
즉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트레이(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트레이(200)와의 결합을 이루기 위해,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배치되어야 한다.
게다가 하우징(100)의 상면 및 전면은 개방되어 있고,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제2가열부(60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배후나 양측부에 배치될 수밖에 없다. 그 중에서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힌지 어셈블리(800)가 배치되는 것이 상기한 이유들로 인해 여러모로 유리하다.
수신코일(620)은, 하우징(100)의 하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가열부(6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수신코일(620)은 무선 전력 전송을 하는 대상, 예를 들면 쿡탑의 워킹코일과 가장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수신코일(620)의 배치 위치는 하우징(100)의 하부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신코일(620)이 제2가열부(600)의 워킹코일(610)과 함께 하우징(100)의 하부에 배치되면, 워킹코일(610) 또는 수신코일(620)의 EMI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사이에는 전자기차폐판(6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제어기판(700)은, 수신코일(620)을 통한 전력 수신과 워킹코일(610)의 동작과 밀접하게 관련된 구성이므로, 수신코일(620) 및 워킹코일(610)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제2가열부(600) 및 수신코일(620)이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100)의 양측부에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제2제어기판(700)의 배치에 가장 적합한 위치는 후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2제어기판(700)은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의 공간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제2제어기판(700)은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2제어기판(700)과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을 연결하는 배선을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우징(100)의 후방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의 위치는 각각의 힌지 어셈블리(800)와도 가까운 위치이다. 이에 따라 도어(300)에 배치된 구성들과 제2제어기판(700) 사이를 연결하는 배선을 구성할 때 이 배선들을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에 쉽게 숨길 수 있게 되므로, 배선이 외부로 잘 노출되지 않게 배선의 구성을 깔끔하고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가열부(600)과 수신코일(620)과 힌지 어셈블리(800) 및 제2제어기판(700)은, 하우징(100)의 하부와 양측부 및 배후에 각각 배치된다. 이들 구성은, 도어(300)보다는 하우징(100)에 배치되기에 더 적합한 구성들이며, 각각 최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구조적 안정성이 높으며 배선의 구성을 깔끔하고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서로 간의 간섭을 효율적으로 피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한편, 도 3과 도 5 및 도 34를 참조하면, 도어(300)에는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와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된다. 이들 구성은, 그 기능상 하우징(100)보다는 도어(300)에 배치되는 것이 더 적합한 구성들이다. 하우징(100)에 이미 여러 다른 구성들이 배치되어 있어 그 외에 다른 구성이 더 배치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도, 상기 구성들의 배치 위치는 하우징(100)보다는 도어(300) 측인 것이 더 적합하다.
투시창(W)은,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시선보다 낮은 위치에서 사용되는 미니 오븐의 형태로 제공되는 조리기기의 특성을 고려하면, 투시창(W)은 조리기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보다는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투시창(W)은, 도어(300)의 상부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 이때 투시창(W)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조리실(105) 내부에 대한 시야 확보에 유리하지만, 투시창(W)의 크기는 제1가열부(400) 및 케이블장착부(340,345)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도어상면부(310)에 확보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과 마찬가지로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 이는 제1가열부(400)가 트레이(200)를 사이에 두고 제2가열부(600)와 마주보는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즉 제1가열부(400)는, 트레이(200)보다 상부에 배치되기 위해 도어상면부(310) 상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투시창(W)과 함께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400)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만약 제1가열부(400)가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는 영역에 배치된다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투시창(W)을 통한 시야 확보에도 문제가 발생되며, 투시창(W) 부분의 온도 상승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인 도어전면부(350)의 형상을 감안하면,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제1가열부(400)가 배치되어야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그만큼 증가될 수 있고,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증가된 만큼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이로써 미관 유지, 시야 확보 유지, 투시창(W)의 온도 상승 억제,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과 같은 기능적 이점을 확보하기가 유리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됨에 따라,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이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에 의해 점유된다. 그리고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은,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이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에 의해 점유되는 상태를 고려하면, 도어상면부(310)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설치될만한 공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만약 조작장치(10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면, 도어(300)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조리기기의 상부에 위치한 장애물과 조작장치(1000) 간의 충돌이 발생되어 조작장치(1000)가 파손될 위험성이 있다. 특히 조작장치(1000)가 도어(300)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면, 이러한 위험성은 더 커지게 된다.
또한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 도어상면부(310)는, 도어전면부(350)에 비해 온도가 높을 가능성이 높다. 조작장치(10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구성임을 감안하면, 이러한 조작장치(10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었을 때에는 조작장치(1000)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도어상면부(310)의 뜨거운 부분과 접촉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될 것이다. 즉 조작장치(10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면, 조작장치(1000)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을 입을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조작장치(1000)는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 조작장치(1000)가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조리기기의 전방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어전면부(350)에는, 조작장치(1000) 외에도 제1제어기판(500)도 함께 배치된다. 제1제어기판(500)에는, 조작장치(100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된다. 따라서 제1제어기판(500)은, 특히 조작장치(1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제어기판(500)은 조작장치(1000)와 마찬가지로 도어전면부(350)에 설치되어 조작장치(1000)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장치(1000)를 제1제어기판(500)에 직접 연결하는 형태로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연결이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매우 간결하고 안정적인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의 연결 구조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제어기판(500)은, 발열 부품인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가열부(400)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한 영향에서도 어느 정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가열부(400)가 작동 중일 때 발생되는 열이 제1제어기판(500)에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감소될 수 있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안정성 및 동작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어프레임의 구조]
도 55는 도 54에 도시된 도어프레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6은 도 53의 "뭐뭐뭇-뭐뭐뭇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57은 도 53의 "ⅩⅩⅩⅩⅩⅦ-ⅩⅩⅩⅩⅩ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58은 도 53의 "ⅩⅩⅩⅩⅩⅧ-ⅩⅩⅩⅩⅩ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9는 도 53에 도시된 도어프레임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0은 도어프레임과 힌지부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1은 도어프레임과 힌지부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62는 도어프레임과 힌지부와 도어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6에서는 글라스 및 리플렉터의 도시가 제외되어 있고, 도 58 내지 도 61에서는 글라스의 도시가 제외되어 있다.
도 53 내지 도 56을 참조하면,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의 하부를 덮으며 도어(300)와 결합된다. 이러한 도어프레임(320)은, 제1가열부(400)를 지지하며 도어(3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된 제1가열부(400)는, 도어(3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20)은, 결합부(321)와 히터장착부(3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히터장착부(325)는 결합부(321)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며, 이러한 히터장착부(325)에는 제1가열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321)는, 도어상면부(310)와 결합되어 히터장착부(325)를 도어상면부(310)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321)는,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ㅁ" 형상의 프레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관통공과 인접한 결합부(321)의 내측면에는, 안착면(322)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면(322)은 결합부(321)의 상부면보다 높이가 낮은 오목한 평면을 형성하며, 이 안착면(322)에는 글라스(335)의 각 테두리 주변이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착면(322)에 안착되는 글라스(335)는, 관통공을 상부에서 덮으며 히터장착부(325) 및 히터장착부(325)에 설치된 제1가열부(4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안착면(322)은, 결합부(321)의 상부면보다 높이가 낮은 평면을 형성하되, 대략 글라스(335)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결합부(321)보다 낮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글라스(335)는, 결합부(321)의 상부면보다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도어프레임(3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322)은, 관통공의 좌우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안착면(322)은, 관통공의 전후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도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착면(322)이 관통공의 좌우방향 양측과 전후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라 글라스(335)는, 네 테두리 주변이 안착면(322)에 의해 지지되며 도어프레임(320)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착면(322)을 둘러싸는 결합부(321)의 내측면에 의해 좌우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므로, 글라스(335)의 좌우방향 설치 위치가 안내될 수 있음은 물론, 글라스(335)의 좌우방향 흔들림이 억제되며 글라스(335)의 설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가열부(400)는, 발열체(410)와 제1접속단(420) 및 제2접속단(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발열체(410)는, 전기히터 형태로 마련된 제1가열부(400)에서 열을 방출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이러한 발열체(410)는, 소정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41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는 제1접속단(420)이 배치되고, 그 반대편인 발열체(41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는 제2접속단(430)이 배치된다.
제1접속단(420)과 제2접속단(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통형상부(421) 및 키형상부(42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접속단(420)과 제2접속단(430) 모두가 원통형상부(421) 및 키형상부(425)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원통형상부(421)는, 발열체(410)의 길이방향 단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원통형상부(421)는, 원형의 밑면이 제1가열부(410)의 최외측 단부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키형상부(425)는, 발열체(410)와 원통형상부(421) 사이에 배치된다. 즉 발열체(410)를 중심으로 그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키형상부(425)가 배치되고, 그 길이방향 최외측에 원통형상부(421)가 배치된다.
키형상부(425)는, 그 두께가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보다 얇고 그 폭이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보다 긴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형상부(425)의 폭방향과 나란한 한 쌍의 사각형 면(426; 이하, "제1면"이라 한다)이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키형상부(425)의 상면과 하면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과 나란한 두 쌍의 사각형 면(427; 이하, "제2면"이라 한다)이 한 쌍의 제1면(426) 사이에 배치되어 키형상부(425)의 네 측면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제1면(426)은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보다 긴 변을 갖는 사각형의 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면(427)은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보다 짧은 변을 갖는 사각형의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가열부(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접속단(420) 또는 제2접속단(430)을 봤을 때에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원통형상부(421)가 키형상부(425)보다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일부 영역에서만 키형상부(425)가 원통형샹부(a)보다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히터장착부(325)는,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제1접속단(420) 및 제2접속단(430)을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히터장착부(325)는, 제1접속단(420)을 고정시키는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430)을 고정시키는 제2접속단고정부(3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커버(a) 및 지지벽(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모두가 동일하게 커버(a) 및 지지벽(b)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커버(a)는, 접속단의 주변을 둘레방향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커버(a)는, 접속단의 하부와 측부를 감싸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접속단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또는 그보다 조금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a)가 "U"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커버(a)는, 지지벽(b) 주변을 감싸되, 지지벽(b)의 하부와 양측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a)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아울러 히터장착부(325)는, 제1가로지지부(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가로지지부(323)는, 제1가열부(400)보다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서 먼측에 배치되며,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가로지지부(323)는,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히터장착부(325)는, 제2가로지지부(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가로지지부(324)는, 제1가열부(400)보다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 가까운측에 배치되며,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바꾸어 표현하면, 제2가로지지부(324)는 커버(a)를 사이에 두고 제1가로지지부(323)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제2가로지지부(324)는, 제1가로지지부(323)와 마찬가지로,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가 각각 배치된다. 또한 제1가열부(400)보다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서 먼측에는 제1가로지지부(323)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가열부(400)보다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서 가까운측에는 제2가로지지부(324)가 배치된다.
또한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에는 커버(a)가 각각 배치되고, 각각의 커버(a)는 제1가로지지부(323) 및 제2가로지지부(324)의 길이방향 단부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커버(a)의 상부측은 제1가로지지부(323) 및 제2가로지지부(324)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지지벽(b)은, 커버(a)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벽(b)은, 커버(a)로부터 상기 공간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지지벽(b)은, 커버(a)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에 따른 내측공간과 외측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벽(b)에는, 접속단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벽(b)에는, 안착홈(c)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c)은, 지지벽(b)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c)의 입구는, 상부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c)에 원통형상부(a)가 끼워짐으로써, 접속단이 지지벽(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접속단은, 연장부(4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422)는, 원통형상부(421)가 키형상부(425)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422)는, 키형상부(425)의 폭방향과 나란한 면, 즉 제1면(426)과의 사이에 단턱(423)이 형성되도록, 키형상부(425)의 제1면(426)에서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연장부(422)에 의해, 원통형상부(421)와 인접한 키형상부(425)의 일부분에는 연장부(422)와 키형상부(425)가 중첩된 영역이 형성된다.
이 영역에서는, 연장부(422)가 키형상부(425)의 제1면(426)보다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으로 더 돌출되고, 키형상부(425)의 제2면(427)이 연장부(422)보다 키형상부(425)의 폭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장부(422)가 형성됨으로써, 원통형상부(421)와 키형상부(425) 간의 결합 부위의 강도가 더 보강될 수 있게 된다. 만약 연장부(422)가 없다면 원통형상부(421)와 키형상부(425) 간의 결합 부위가 키형상부(425)의 측면 단부로만 한정될 것이다. 그러나 접속단에 연장부(422)가 형성됨으로써, 키형상부(425) 간의 결합 부위가 연장부(422)와 키형상부(425)의 중첩 지점까지 확장될 수 있게 되므로, 원통형상부(421)와 키형상부(425) 간의 결합 부위의 강도가 더 보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히터장착부(325)는 접속단지지부재(3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단지지부재(329)는, 안착홈(c)에 안착된 접속단을 지지벽(b)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며 접속단을 지지벽(b)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속단지지부재(329)는, 안착홈(c) 및 지지벽(b)의 상부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329a)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코일스프링(329a)은, 안착홈(c)의 상부에서 안착홈(c)의 입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은, 안착홈(c)의 입구와 접속단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329a)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는, 제1결합부(329b)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스프링(329a)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는, 제2결합부(329c)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벽(b)의 상부에는, 제1스프링결합부(j) 및 제2스프링결합부(k)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스프링결합부(j)와 제2스프링결합부(k)는, 지지벽(b)의 상부에 배치되되, 안착홈(c)을 사이에 두고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결합부(329b)는 제1스프링결합부(j)에 결합될 수 있고, 제2결합부(329c)는 제2스프링결합부(k)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부(329b) 및 제2결합부(329c)가 각각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제1스프링결합부(j)와 제2스프링결합부(k) 중 어느 하나는 지지벽(b)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제1스프링결합부(j)와 제2스프링결합부(k) 중 다른 하나는 지지벽(b)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스프링결합부(j)가 지지벽(b)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마련되고, 제2스프링결합부(k)가 지지벽(b) 내부에 체결홀이 형성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1결합부(329b)와 제1스프링결합부(j)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접속단지지부재(329)의 길이방향 일측과 지지벽(b)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329c)와 제2스프링결합부(k)를 스크류로 체결함에 의해 접속단지지부재(329)의 길이방향 타측과 지지벽(b)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코일스프링은, 접속단의 상부에서 접속단을 하부로 누르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단은, 안착홈(c)의 내부에서 코일스프링, 즉 접속단지지부재(329)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접속단 지지 구조에 의해, 제1가열부(400)의 파손 발생 가능성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접속단 지지 구조에 따르면, 도어(300)의 개폐 과정에서 제1가열부(400)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도어(300)에 가해지는 충격이 제1가열부(400)에 전달될 때 제1가열부(400)가 받는 충격이 상당 부분 완화될 수 있다.
만약 제1가열부(400)가 전혀 움직일 수 없게 안착홈(c) 내부에 단단히 고정된다면, 제1가열부(40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제1가열부(400)는 이 충격의 영향을 모두 받을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제1가열부(400)의 파손 발생 가능성이 증가될 수밖에 없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가열부(400)가 접속단지지부재(329)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1가열부(40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제1가열부(400)는 안착홈(c)의 내부에서 어느 정도 이동하면서 충격의 영향을 어느 정도 회피할 수 있고, 그 이후에는 다시 원래 상태로 복귀한 후 그 상태를 계속해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가열부(400)가 접속단지지부재(329)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히터장착부(325) 상에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고, 충격으로 인한 제1가열부(400)의 파손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접속단 지지 구조에서는, 접속단지지부재(329)의 길이방향 일측을 제1스프링결합부(j)에 걸어 고정시킨 상태에서 접속단지지부재(329)의 길이방향 타측을 스크류로 체결하여 주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종합하면, 상기 접속단지지부재(329)를 이용한 접속단 지지 구조에 의해, 제1가열부(400)의 안정적인 설치 및 제1가열부(400)의 파손 발생 억제와 관련된 효과가 제공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1가열부(400)의 설치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함께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는, 각각 외벽(f)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벽(f)은, 발열체(4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지지벽(b)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결합부(321)의 내측면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외벽(f)은, 발열체(4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최외측 벽을 형성한다.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에는, 커버(a)와 지지벽(b)과 외벽(f)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각각 형성된다. 해당 공간은 커버(a)와 지지벽(b)과 외벽(f)에 의해 측부 및 하부가 둘러싸인 공간이며, 이러한 공간에는 제1접속단고정부(326) 또는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고정된 고정단의 원통형상부(421)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된다.
상기 공간 내에서, 원통형상부(421)는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다. 원통형상부(421)와 연결되는 케이블은, 제1제어기판(500; 도 7 참조)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1가열부(400)에 전달하는 신호케이블일 수도 있고, 전원을 제1가열부(400)에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일 수도 있으며, 신호케이블과 전원케이블 둘 다일 수도 있다.
신호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상면부(310)에 마련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은,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된 부분을 결합부(321)가 덮는 상태로 이루어진다.
케이블장착부(340,345)에는 복수개의 체결보스(341,346)가 배치되며, 도어프레임(320)에는 복수개의 체결홀(320a)이 체결보스(341,346)와 대응되게 배치된다. 체결홀(320a)과 체결보스(341,346)의 위치가 일치되도록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의 위치를 일치시킨 후, 체결홀(320a)과 체결보스(341,346)이 형성된 부분을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주면,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된 부분은 결합부(321)에 의해 덮이게 된다.
글라스(330,335)는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된 부분을 덮지는 않지만, 제1가열부(400) 및 히터장착부(325)는 글라스(335)에 의해 덮인 영역의 하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된 케이블이 접속단과 연결되기 위해서는, 도 53 내지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335)에 의해 덮이지 않은 결합부(321) 영역과 글라스(335)에 의해 덮인 히터장착부(325) 영역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외벽(f)과 결합부(321)의 연결 부위에 오목홈(g)이 마련된다. 오목홈(g)은, 외벽(f)과 결합부(321)의 연결 부위에 결합부(321)의 상부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결합부(321)의 안착면(322)보다 오목한 면을 형성한다. 이처럼 형성된 오목홈(g)은, 안착면(322)에 안착된 글라스(335)의 하부에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접속단의 원통형상부(a)가 수용된 공간과 케이블장착부(340,345; 도 7 참조) 사이에 케이블이 통과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리플렉터(440) 및 보호그릴(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플렉터(440)는, 제1가열부(400)의 열이 트레이(200; 도 1 참조) 측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제1가열부(400)의 열을 반사시키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리플렉터(440)는, 제1가열부(400)와 제1가로지지부(323) 사이 및 제1가열부(400)와 글라스(335) 사이를 가로막으며 제1가열부(400)의 열을 반사시킬 수 있다.
리플렉터(440)는, 도 54와 도 57 및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리플렉터부(441)와 제2리플렉터부(4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리플렉터부(441)는, 제1가열부(400)와 글라스(3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리플렉터부(441)는, 제1가열부(400)와 글라스(335) 사이 및 제1가열부(400)와 제1가로지지부(323)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1리플렉터부(441)는, 제1가열부(400)와 제1가로지지부(323)와 글라스(335) 사이를 경사지게 가로지르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리플렉터부(441)가 라운드지게 경사진 형상, 예를 들면 "つ"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2리플렉터부(445)는, 제1리플렉터부(441)와 글라스(3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리플렉터부(445)는, 제1리플렉터부(441)와 글라스(335)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2리플렉터부(445)는, 글라스(335)와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리플렉터부(445)는, 제1리플렉터부(441)의 상부에서 제1리플렉터부(44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440)는, 제1리플렉터부(441)와 제2리플렉터부(445)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나의 금속 판재가 벤딩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에 배치된 제1리플렉터부(441)와 하부에 배치된 제2리플렉터부(445)가 "て" 형상을 이루며 연결될 수 있게 하나의 금속 판재가 벤딩됨으로써, 리플렉터(440)의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440)는, 탄성 변형 가능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플렉터(440)에서는, 제1리플렉터부(441)와 제2리플렉터부(445) 중에서도 특히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1리플렉터부(441)가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아울러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제1리플렉터부(441)와 제2리플렉터부(445) 사이에는, 제1리플렉터부(441)와 제2리플렉터부(445) 및 제1가로지지부(323)로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공간은, 제1리플렉터부(441)와 제2리플렉터부(445) 간의 열전달을 억제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간은, 제1가열부(400)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1리플렉터부(441)를 가열한 제1가열부(400)의 열이 제2리플렉터부(445)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로써 제1가열부(400)의 열로 인해 도어(300)의 상부면, 즉 도어상면부(310)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플렉터(440)는, 제2가로지지부(324)와 커버(a)에 결합됨으로써, 도어프레임(3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가로지지부(324)에는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가 마련되고, 커버(a)에는 제2리플렉터지지돌기(m)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리플렉터지지돌기(m)는, 커버(a)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a)는 리플렉터(440)를 전방과 후방 및 하부에서 감싸는 "U"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a)는, 리플렉터(44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면과 리플렉터(44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측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는, 제2가로지지부(324)에서 제1가로지지부(323)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는, 리플렉터(440)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는, 커버(a)의 측벽 중 제2가로지지부(324)에 인접한 측벽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리플렉터지지돌기(m)는, 커버(a)의 측벽 중 제1가로지지부(323)에 인접한 측벽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리플렉터지지돌기(m)는, 커버(a)의 바닥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커버(a)의 측벽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될 수 있다.
리플렉터(440)보다 상부에 배치된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는, 제2리플렉터부(445)와 간섭되어 제2리플렉터부(445)의 상하방향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즉 제2리플렉터부(445)의 상부면이 리플렉터(440)보다 상부에 배치된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와 접촉되고, 이에 따라 제2리플렉터부(445)의 상하방향 위치는,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보다 하부인 영역으로 규제될 수 있다.
커버(a)의 측벽과 제2리플렉터지지돌기(m) 사이의 공간에는 제1리플렉터부(441)의 하측 단부가 삽입되고, 이에 따라 제1리플렉터부(441)와 커버(a)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이루어지는 제1리플렉터부(441)와 커버(a)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제1리플렉터부(441)의 전후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리플렉터부(445)의 상하방향 위치가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에 의해 규제되고 제1리플렉터부(441)의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 위치가 제2리플렉터지지돌기(m)에 의해 규제됨으로써, 리플렉터(440)의 설치 위치는 커버(a)의 바닥면과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 사이의 영역, 그리고 커버(a)의 양 측벽 사이의 영역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440)는, 커버(a)의 바닥면과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 사이의 거리보다 긴 상하방향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플렉터(440)는, 제1리플렉터부(441)가 커버(a)에 끼움 결합되고 제2리플렉터부(445)가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의 하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커버(a)의 내부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리플렉터(440)는 커버(a)의 바닥면과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축된 형태로 설치되므로, 리플렉터(440)가 커버(a)의 내부 영역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리플렉터(400)는, 제1가열부(400)와 제1가로지지부(323) 사이, 및 제1가열부(400)와 글라스(335) 사이를 가로막으며 제1가열부(400)의 열을 반사시킴으로써, 제1가열부(400)의 열이 트레이(200) 측으로 집중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보호그릴(450)은, 도 53 내지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열부(400)의 열이 트레이(20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면서 제1가열부(400)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보호그릴(450)은, 제1가열부(400)를 사이에 두고 제1가로지지부(323)와 이격되게 배치되거나, 제1가열부(400)를 사이에 두고 글라스(335)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보호그릴(450)은, 복수개의 강선(4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강선(451)은,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되, 대략 제1가열부(40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또는 그보다 약간 더 긴 길이로 마련된다.
복수개의 강선(451)은, 제1가열부(400)의 주변을 제1가열부(400)의 둘레방향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배열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강선(451)은, 제1가열부(4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열부(400)의 둘레방향 주변은 리플렉터(440)와 보호그릴(450)로 둘러싸인다. 즉 제1가열부(400)의 전후방향 일측과 가열부(400)의 상부는 리플렉터(440)에 의해 둘러싸이며, 나머지 방향, 즉 제1가열부(400)의 전후방향 타측과 가열부(400)의 하부는 보호그릴(450)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강선(451)은 제1가열부(400)의 전후방향 타측과 가열부(400)의 하부를 제1가열부(400)의 둘레방향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보호그릴(450)은, 그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도어프레임(3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 각각에는, 그릴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릴고정부는, 보호그릴(450)의 강선(451)을 히터장착부(325)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고정리브(h)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리브(h)는, 복수개의 강선(451)의 배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고정리브(h)는, 커버(a)에서 제1가열부(40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고정리브(h) 사이에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리브(h) 간의 이격 간격은, 상기 고정홈이 강선(451)의 굵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고정리브(h)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홈에 강선(451)을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보호그릴(450)과 그릴고정부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 각각에 형성되는 그릴고정부에 보호그릴(450)의 양측 단부를 끼워 고정시키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도어프레임(320)에 보호그릴(450)을 설치하는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커버(a)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리브(h)는, 커버(a)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 구조물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히터장착부(325)는, 그릴지지부(3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릴지지부(328)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릴지지부(328)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에서 강선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그릴지지부(324)는, 커버(328a)와 복수개의 고정리브(328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328a)는, 제1접속단고정부(326) 또는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커버(a)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328a)는 상부가 개방된"U"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리브(328b)는, 제1접속단고정부(326) 또는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고정리브(h)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리브(328b)는, 복수개의 강선(451)의 배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고정리브(328b)는 커버(328a)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각의 고정리브(328b) 사이에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고정리브(328b)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홈에 강선(451)을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보호그릴(450)과 그릴지지부(324)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에 마련되는 그릴지지부(324)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에서 보호그릴(450)을 지지함으로써, 보호그릴(450)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에서 쳐짐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고, 보호그릴(450)의 고정이 더욱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중 어느 하나의 커버(a)에는, 도 55 및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통과홀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커버(a)에 그릴통과홀이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그릴통과홀은, 보호그릴(450)의 강선(451)이 커버(a)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릴통과홀은, 커버(a)의 단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접속단고정부(327)와 마주보는 커버(a)의 일측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리브(h)는 지지벽(b)과 그릴통과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릴통과홀은, 제2접속단고정부(327)를 향해 개방될 수 있으며, 광폭부(n) 및 협폭부(o)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폭부(n)는, 커버(a)의 길이방향 단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접속단고정부(327)와 마주보는 커버(a)의 일측 단부와 고정리브(h)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광폭부(n)는, 커버(a)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협폭부(o)는, 광폭부(n)와 고정리브(h) 사이에 배치되며, 커버(a)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협폭부(o)는, 제2접속단고정부(327)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협폭부(o)는, 광폭부(n)와 연결되며, 광폭부(n)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협폭부(o)는, 광폭부(n)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면서, 광폭부(n)의 폭방향 내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협폭부(o)는 강선(451)의 굵기보다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되, 강선(451)의 굵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접속단고정부(326)에 마련된 복수개의 고정리브(h) 사이에 형성된 고정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광폭부(n)와는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면서도 협폭부(o)와는 상하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접속단고정부(326)에는, 보호그릴(450)의 강선(451)이 커버(a)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데 필요한 통로 및 강선(451)을 제1접속단고정부(326)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물이 함께 마련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강선(451)의 길이방향 일측이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고정된 후, 강선(451)의 길이방향 타측이 제1접속단고정부(326)에 고정되는 형태로 강선(451)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제1가열부(400) 또는 리플렉터(450)의 설치가 먼저 이루어진 상태라면, 도어프레임(320)의 상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강선(451)을 끼워 넣는 방법으로 강선(451)의 설치가 이루어지기는 어렵다.
이 경우에는, 측방향으로 강선(451)을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 끼워 넣는 방법으로 강선(451)의 설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강선(451)을 제1접속단고정부(326) 측으로부터 그릴지지부(324)의 내부 영역을 측방향으로 통과시킨다. 그런 다음 이 강선(451)을 측방향으로 밀어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내부로 끼워 넣은 후,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고정홈에 끼워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강선(451)의 길이방향 일측의 고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강선(451)의 길이방향 타측은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하부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강선(451)의 길이방향 타측이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내부로 끼워 넣어지기 위해서는, 강선(451)의 길이방향 타측이 커버(a)를 상부방향으로 통과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강선(451)의 길이방향 타측은 그릴통과홀을 통해 커버(a)를 통과하여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내부로 삽입된 강선(451)은,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가열부(400)의 설치 및 접속단과 케이블의 연결 작업이 완료되면,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 도 31 참조)의 개방된 상부에는 캡이 각각 덮여 접속단을 보호할 수 있다.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와 캡 간의 결합을 이루기 위해, 커버(a)의 상부에는 결합돌기(i)가 돌출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리플렉터(440)에는, 끼움결합돌기(447)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끼움결합돌기(447)는, 제2리플렉터부(445)로부터 전후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결합돌기(447)에는, 끼움공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결합돌기(447)는, 끼움공에 결합돌기(i)가 삽입되도록 결합돌기(i)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끼움결합돌기(447)와 결합돌기(i) 간의 결합에 의해, 커버(a)와 리플렉터(44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리플렉터(440)의 고정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프레임(320)에는,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통과홀(320b)이 마련될 수 있다. 힌지통과홀(320b)은, 결합부(32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통과홀(320b)은, 힌지부(910)가 도어프레임(320)을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도어프레임(320)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프레임(320)에는, 도 55와 도 60 내지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결합부(320c) 및 제2힌지결합부(320d)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결합부(320c) 및 제2힌지결합부(320d)는, 힌지 어셈블리(900)의 힌지부(9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을 이루기 위한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결합부(320c)와 제2힌지결합부(320d)는, 힌지부(910)와 각각 결합되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힌지결합부(320c) 및 제2힌지결합부(320d) 중 어느 하나는 힌지부(910)와 측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되고, 제1힌지결합부(320c) 및 제2힌지결합부(320d) 중 다른 하나는 힌지부(910)와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힌지결합부(320c)가 힌지부(910)와 측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되고, 제2힌지결합부(320d)가 힌지부(910)와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1힌지결합부(320c)는, 힌지통과홀(320b)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힌지결합부(320c)는, 힌지통과홀(320b)과 매우 인접한 위치에서 도어프레임(320)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힌지결합부(320b)는, 힌지부(910)와 측방향으로 마주보는 결합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힌지결합부(320d)는, 힌지통과홀(320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힌지결합부(320d)는, 힌지통과홀(320b)의 상부에서 힌지부(910)와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는 결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힌지결합부(320d)는, 힌지통과홀(320b)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힌지통과홀(320b)의 상부에 배치된 면이 상기 힌지부(910)와의 결합면을 이루고, 이 결합면은 도어프레임(320)으로부터 돌출된 측벽들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힌지부(9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900)의 힌지부(9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때 힌지부(910)는, 제1힌지링크(911)와 제2힌지링크(912)와 제3힌지링크(913) 및 제4힌지링크(91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힌지부(910)는, 복수개의 힌지링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 도어프레임(320)과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은 제1힌지링크(911)이다. 제1힌지링크(911)는, 도어프레임(320)과 결합되어 도어(300)와 함께 회동할 수 있다.
이 제1힌지링크(911)에는, 제2힌지링크(912) 및 제3힌지링크(913)가 연결될 수 있다. 제2힌지링크(912) 및 제3힌지링크(913)는, 제1힌지링크(9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힌지링크(912) 및 제3힌지링크(913)는, 변환출력부(940)와 연결된 제4힌지링크(914)와 연결될 수 있다.
도어(300) 회동시 제1힌지링크(911)와 연결된 제2힌지링크(912) 및 힌지링크(913)의 자세가 변화되고, 이에 따라 이와 연결된 제4힌지링크(914)의 자세가 변화될 수 있다. 그로 인해 트레이(200)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이 발생되고, 이 동력의 작용 방향이 변환출력부(940)에 의해 직선 방향으로 변환됨으로써, 트레이(20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힌지링크(911)는, 도어프레임(320)의 하부로부터 힌지통과홀(320b)을 통과하여 도어프레임(320)의 상부에서 도어프레임(320)과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힌지링크(911)는, 양측면과 상면을 포함하는 사각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힌지링크(911)의 측면은, 제1힌지결합부(320c)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힌지링크(911)의 상면은 제2힌지결합부(320d)와 결합될 수 있다. 제1힌지링크(911)의 측면과 제1힌지결합부(320c) 간의 결합, 그리고 제1힌지링크(911)의 상면과 제2힌지결합부(320d) 간의 결합은 스크류 체결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힌지링크(911)의 측면과 제1힌지결합부(320c)는 측방향으로 결합되고, 제1힌지링크(911)의 상면과 제2힌지결합부(320d)는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지점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힌지부(9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힌지부(9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이 더욱 강한 결합력으로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프레임(320)에는 복수개의 체결홀(320a)이 마련되는데, 이 체결홀(320a) 중 일부는 힌지통과홀(320b)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도어프레임(320)과 도어상면부(310) 간의 결합이 힌지통과홀(320b)과 매우 인접된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힌지통과홀(320b) 부근에서 도어프레임(320)과 도어상면부(310) 간의 벌어짐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도어프레임(320)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결합됨으로써, 도어상면부(310) 내부에 배치된 케이블장착부(340,345; 도 7 참조) 및 이에 설치된 케이블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도어상면부(310)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도어프레임(320)은,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된 부분을 결합부(321)가 덮는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장착부(340,345) 등에 체결되는 형태로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결합된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 내부에 배치된 케이블장착부(340,345; 도 7 참조) 및 이에 설치된 케이블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커버할 수 있으며, 필요시 도어(30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부품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시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조리기기의 유지보수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도어프레임(320)은 제1가열부(400)와 그 관련 부품들, 그리고 글라스(335)가 하나의 단위체로 조립될 수 있는 틀을 제공함으로써, 부품 관리 및 제조 관리가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어프레임(320)에는, 글라스(335)가 도어프레임(320)에 고정되기 위한 구조물들 외에도, 제1가열부(400)와 리플렉터(440) 및 보호그릴(450)이 도어프레임(320)에 고정되기 위한 구조물들이 함께 제공된다.
이에 따라 글라스(335)와 제1가열부(440)와 리플렉터(440) 및 보호그릴(450)이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된 하나의 단위체가 제공될 수 있고, 도어프레임(320)을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결합하는 것만으로 글라스(335)와 제1가열부(440)와 리플렉터(440) 및 보호그릴(450)가 단번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셋째, 도어프레임(320)은 제1가열부(400)가 도어프레임(320)에 쉽고 빠르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들을 제공함으로써, 제1가열부(400) 설치 작업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열부(400)의 일측 단부를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중 어느 하나에 먼저 끼우고, 제1가열부(400)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가열부(400)의 양측 단부가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각각 끼워지도록 한 후, 이를 접속단지지부재(329)로 고정시키는 단순하고 쉬운 작업만으로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이때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는 방향성 있게 마련된 것이 아니므로, 제1가열부(400)의 일측 단부를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중 어느 것에 먼저 끼우더라도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문제없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도어프레임(320)은, 제1가열부(400) 설치 작업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제조 작업은 물론 제1가열부(400)의 교체를 위해 이루어지는 유지보수 작업 또한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넷째, 제1가열부(400)가 접속단지지부재(329)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히터장착부(325) 상에 안정되게 설치됨으로써,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짐은 물론, 충격으로 인한 제1가열부(400)의 파손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의 다른 예]
도 6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4는 도 63의 "ⅩⅩⅩⅩⅩⅩⅣ-ⅩⅩⅩⅩⅩⅩ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65는 도 64에 도시된 냉각유로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63 내지 65를 참조하여 힌지 어셈블리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5 및 도 66을 참조하면, 힌지 어셈블리(900)는 트레이(200)의 좌우방향 양측 외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하우징(100)의 좌우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힌지 어셈블리(900)는 힌지케이스(930)와 힌지부(910)와 거치돌기(920) 및 변환출력부(9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힌지케이스(930)와 힌지부(910)와 거치돌기(920) 및 변환출력부(940)의 구조, 형상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힌지 어셈블리(800; 도 29 참조)에 구비된 힌지케이스(830; 도 29 참조), 거치돌기(820; 도 29 참조), 및 변환출력부(940; 도 29 참조)의 구조, 형상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힌지 어셈블리(900)는, 냉각유로(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케이스(930)는 힌지 어셈블리(9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이러한 힌지케이스(930)의 내부에는 힌지부(910)와 거치돌기(920) 및 변환출력부(94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힌지케이스(930) 내부의 수용공간에는, 힌지부(910)와 거치돌기(920) 및 변환출력부(940)를 지지하기 위한 각종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유로(950)는, 이러한 힌지케이스(930) 내부의 수용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냉각유로(950)는, 힌지케이스(930) 내부에 형성된 구조물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유로(950)는, 제1구간(951)과 제2구간(953)을 포함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구간(951)은, 냉각유로(950)의 두 구간 중에서 힌지케이스(930)의 하부로부터 변환출력부(940)의 전방에 배치된 영역을 통과하는 구간에 해당된다. 이러한 제1구간(951)은, 하우징(100)의 전면 및 도어전면부(35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구간(953)은, 냉각유로(950)의 두 구간 중에서 제1구간(951)의 상부측에서 변환출력부(940)의 상부에 배치된 영역을 통과하는 구간에 해당된다. 이러한 제2구간(953)은, 하우징(100)의 상면 및 도어상면부(31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로(950)의 입구는, 냉각유로(950)의 하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구간(951)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냉각유로(950)의 입구는, 힌지케이스(930)의 하부로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유로(950)의 입구에는, 제3냉각팬(960)이 배치될 수 있다.
제3냉각팬(960)은, 힌지 어셈블리(9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힌지케이스(9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냉각팬(960)은, 외부 공기가 냉각유로(950)의 입구를 통해 냉각유로(95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제3냉각팬(960)에 의해 발생된 공기 흐름에 의해, 외부 공기가 냉각유로(950)의 입구를 통해 냉각유로(9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냉각유로(95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냉각유로(950)의 제1구간(951)과 제2구간(953)을 통과하면서 힌지케이스(93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부(910)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과 연결된다. 이러한 힌지부(910)는, 힌지케이스(930) 내에서 후방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힌지부(910)는, 힌지케이스(930) 내에서 변환출력부(940)와 연결된다. 이때 변환출력부(940)는, 힌지케이스(930) 내부에서 힌지부(910)와 연결되되,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연결된다.
그리고 변환출력부(940)의 하부에는, 거치돌기(920)가 배치된다. 거치돌기(920)는, 변환출력부(940)와 연결되며, 조리실(105)의 내부로 돌출되어 트레이(2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치 구조에 따르면, 힌지케이스(930) 내부의 수용공간 중에서 전방 일부 영역을 제외한 전후방향 대부분의 영역은 힌지부(910) 및 변환출력부(940)에 의해 점유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일부 영역을 제외한 상하방향 대부분의 영역은 변환출력부(940)와 거치돌기(920)에 의해 점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케이스(930) 내부의 수용공간 중에서 냉각유로(950)의 배치가 가능한 영역은, 전방 일부 영역과 상부 일부 영역으로 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유로(950)가 힌지케이스(930) 내부의 수용공간 중에서 전방 영역과 상부 영역에 배치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냉각유로(950)는 변환출력부(94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구간(951)과 변환출력부(94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구간(9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구간(951)과 제2구간(953)은, 변환출력부(940)의 전방 및 상부에 해당되는 위치, 예컨대 힌지케이스(930)의 전방 상측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유로(950)의 입구를 통해 냉각유로(95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제1구간(951)을 통과하면서 하우징(100)의 전면 및 도어전면부(350) 주변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구간(951)을 지나 제2구간(953)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2구간(953)을 통과하면서 하우징(100)의 상면 및 도어상면부(310) 주변을 냉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냉각유로(950)에는, 유로가이드(955)가 마련될 수 있다. 유로가이드(955)는, 냉각유로(950) 상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제1구간(951)과 제2구간(953)의 연결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유로가이드(955)는, 냉각유로(950)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 방향이 전환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가이드(955)는, 제1구간(951)을 통과한 공기가 제2구간(953)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서, 유로가이드(955)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두 돌기 사이가 곡면 형상의 돌기로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상면과 전면, 그리고 도어상면부(310)와 도어전면부(350)는, 사용자와의 접촉 가능성이 높은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부분은, 조리실(105) 내의 열에 의한 영향을 쉽게 받을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부분 주변에 냉각유로(950)가 배치되도록 하고, 제3냉각팬(960)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가 냉각유로(950)로 유입되도록 하는 냉각 구조가 제공된다.
이를 통해, 상기와 같이 열의 영향을 받아 온도가 쉽게 상승될 수 있으면서 사용자와의 접촉 가능성이 높은 부분에 대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 도어(300)의 과열로 인한 도어(300) 내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05 : 조리실
110 : 저면
120,130 : 측면
125 : 제2슬롯
140 : 배면
150 : 배면케이스
160 : 절연판
170 : 캐비닛
171 : 관통홀
175 : 흡배기그릴
180 : 베이스
200 : 트레이
205 : 트레이본체
210 : 거치부
211 : 제1돌출부
213 : 제2돌출부
214 : 슬라이딩면
215 : 거치홈
220 : 물받이홈
230 : 스팀커버
300 : 도어
301 : 흡기구
303 : 배기구
305 : 손잡이
305a : 끼움돌기
310 : 도어상면부
320 : 도어프레임
320a : 체결홀
320b : 힌지통과홀
321 : 결합부
322 : 안착면
323 : 제1가로지지부
324 : 제2가로지지부
325 : 히터장착부
326 : 제1접속단고정부
327 : 제2접속단고정부
328 : 그릴지지부328a : 커버
328b : 고정리브
329 : 접속단지지부재
329a : 코일스프링
329b : 제1결합부
329c : 제2결합부
330,335 : 글라스
340,345 : 케이블장착부
341,346 : 체결보스
343 : 연결부재
350 : 도어전면부
370 : 제1냉각팬
300a : 도어본체부
310a : 제1도어본체부
350a : 제2도어본체부
351a : 관통홀
353a : 체결홀2
350b : 도어배면커버
400 : 제1가열부
410 : 발열체
420 : 제1접속단
421 : 원통형상부
422 : 연장부
423 : 단턱
425 : 키형상부
430 : 제2접속단
440 : 리플렉터
441 : 제1리플렉터부
445 : 제2리플렉터부
450 : 보호그릴
500 : 제1제어기판
501 : 단자
550 : 지지패널
550a : 제1영역
550b : 제2영역
550c : 결합영역
551 : 메인패널부
552 : 리브
553 : 하부지지부
553a : 몸체부
553b : 돌출부
555 : 측부지지부
557 : 온도센서지지부
557a : 제2측벽부
557b : 제2지지면부
557c : 보스부
557d : 후크
558 : 케이블고정부
558a : 몸체부
558b : 돌출부
559 : 케이블지지부
559a : 제1돌기부
559b : 제2돌기부
560 : 지지돌기
561 : 가이드돌기
561a : 몸체부
561b : 돌출부
562 : 체결홀
563 : 체결부재
563a : 몸체부
563b : 머리부
565 : 터치패널지지부
565a : 돌출면부
565b : 돌출지지면부
565c : 돌출리브부
566 : 패킹부재
567 : 외측지지돌기
570 : 통신모듈
580 : 온도센서
581 : 센서본체
583 : 플랜지
590 : 브라켓
591 : 제1결합부
591a : 가이드홀
591b : 체결홀
593 : 제2결합부
593a : 체결홀
593b : 끼움홀
595 : 연결부
600 : 제2가열부
610 : 워킹코일
611 : 코일설치베이스
613 : 코일
615 : 코일연결배선
620 : 수신코일
621 : 코일설치베이스
623 : 코일
630 : 전자기차폐판
640 : 온도측정모듈
700 : 제2제어기판
730 : 제2냉각팬
735 : 전원연결부
740 : 통신모듈
750 : 배면지지패널
750a : 제1영역
750b : 제2영역
751 : 메인패널부
755 : 제1돌출테두리부
756 : 후크
760 : 배면커버
761 : 메인커버부
762 : 통기홀
763 : 팬설치홀
764 : 절개부
765 : 제2돌출테두리부
800,900 : 힌지 어셈블리
810,910 : 힌지부
820,920: 거치돌기
830,930 : 힌지케이스
835 : 제1슬롯
840,940 : 변환출력부
950 : 냉각유로
951 : 제1구간
953 : 제2구간
960 : 제3냉각팬
1000 : 조작장치
1100 : 샤프트
1200 : 엔코더
1300 : 노브
1310 : 축결합부
1311 : 축결합공
1320 : 스커트부
1321 : 결합홈
1330 : 제2연결지지부
1340 : 돌기부
1350 : 노브커버
1360 : 전면부
1361 : 관통부
1370 : 측면부
1600 : 소켓부재
1610 : 외측지지부
1611 : 삽입홈
1620 : 내측지지부
1630 : 제1연결지지부
1631 : 플랜지형상부
1633 : 리브형상부
1635 : 스커트형상부
1640 : 광통과홀
1650 : 제1결합부
1651 : 제1돌출돌기부
1653 : 제1결합돌기부
1660 : 제2결합부
1661 : 제2돌출돌기부
1663 : 제2결합돌기부
1670 : 제3결합부
1680 : 자성부재
1700 : 발광부재
1800 : 전면커버부재
1810 : 결합보스
1900 : 터치조작부
1910 : 기판
1920 : 부스터
W : 투시창
a : 커버
b : 지지벽
c : 결합홀
d :
e :
f : 외벽
g : 오목홈
h : 고정리브
i : 결합돌기
j : 제1스프링결합부
k : 제2스프링결합부
l : 제1리플렉터지지돌기
m : 제2리플렉터지지돌기
n : 광폭부
o : 협폭부
s : 실링부재

Claims (10)

  1. 저면과 양측면과 배면으로 둘러싸인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도어상면부 및 상기 도어상면부의 전방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도어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힌지케이스, 및 상기 힌지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냉각유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와 연결되는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힌지케이스가 상기 조리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의 양 측부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힌지 어셈블리가 상기 조리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와 연결되는 조리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의 입구가 상기 힌지케이스의 하부로 개방되고,
    상기 냉각유로의 입구에 냉각팬이 배치되는 조리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회동에 연동되어 자세가 변화되는 힌지부;
    상기 조리실에 배치되는 트레이가 거치되고, 상기 힌지부의 자세 변화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트레이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거치돌기; 및
    상기 힌지부의 자세 변화에 의해 입력되는 힘을 상기 거치돌기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방향의 힘으로 변환하는 변환출력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출력부와 상기 냉각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힌지케이스의 내부에 함께 배치되는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출력부는, 상기 힌지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되,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연결되고,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변환출력부의 전방에 배치된 영역 및 상기 변환출력부의 상부에 배치된 영역에 형성되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한 쌍의 힌지 어셈블리가 상기 조리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와 연결되고,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힌지케이스의 하부로부터 상기 변환출력부의 전방에 배치된 영역을 통과하는 제1구간, 및 상기 제1구간의 상부측에서 상기 변환출력부의 상부에 배치된 영역을 통과하는 제2구간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간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 및 상기 도어전면부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구간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상기 도어상면부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KR1020210186246A 2019-01-11 2021-12-23 조리기기 KR102575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2761A KR20230129211A (ko) 2019-01-11 2023-08-28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169 2019-01-11
KR1020190004169 2019-01-11
KR1020190038037 2019-04-01
KR20190038037 2019-04-01
KR1020190040379 2019-04-05
KR1020190040379 2019-04-05
KR1020190176632A KR102344414B1 (ko) 2019-01-11 2019-12-27 조리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632A Division KR102344414B1 (ko) 2019-01-11 2019-12-27 조리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2761A Division KR20230129211A (ko) 2019-01-11 2023-08-28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848A KR20210158848A (ko) 2021-12-31
KR102575310B1 true KR102575310B1 (ko) 2023-09-06

Family

ID=7152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246A KR102575310B1 (ko) 2019-01-11 2021-12-23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90794A1 (ko)
KR (1) KR102575310B1 (ko)
WO (1) WO20201457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414B1 (ko) * 2019-01-11 202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220168097A (ko) * 2021-06-15 2022-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2564249B1 (ko) * 2021-06-15 2023-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220168101A (ko) * 2021-06-15 2022-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220168099A (ko) * 2021-06-15 2022-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220168100A (ko) * 2021-06-15 2022-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220168098A (ko) * 2021-06-15 2022-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168Y1 (ko) * 2007-12-11 2010-09-08 권혁 전기 양면 구이 그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605A (ko) * 1995-08-04 1997-03-27 김광호 가스오븐렌지의 냉각장치
DE29905081U1 (de) 1999-03-19 1999-08-12 Su, Yung-Sen, Tainan Verbesserung der Struktur einer Ofentür
US6271502B1 (en) 2000-02-18 2001-08-07 Wen-Ching Lee Quick-disconnect arrangement for oven door
US20080314891A1 (en) * 2004-07-14 2008-12-25 Takita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Electric Stove
KR20060062202A (ko) * 2004-12-03 2006-06-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스윙 도어를 갖는 전자렌지
KR100999786B1 (ko) * 2007-12-14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00081242A (ko) * 2009-01-05 2010-07-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다기능 전자레인지의 히터결합체
KR101590639B1 (ko) * 2009-07-20 2016-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01565U (ko) 2009-08-07 2011-02-15 이종석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
JP6289602B2 (ja) 2016-12-28 2018-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168Y1 (ko) * 2007-12-11 2010-09-08 권혁 전기 양면 구이 그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848A (ko) 2021-12-31
US20220090794A1 (en) 2022-03-24
WO2020145765A1 (ko)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5310B1 (ko) 조리기기
KR20230129211A (ko) 조리기기
US11408612B2 (en) Cooking appliance
US11683865B2 (en) Cooking appliance
KR102572684B1 (ko) 조리기기
KR20220168100A (ko) 조리기기
KR20220168099A (ko) 조리기기
KR102564249B1 (ko) 조리기기
KR102213630B1 (ko) 조리기기
US20220160172A1 (en) Cooking appliance
KR20220168098A (ko) 조리기기
KR20220168097A (ko) 조리기기
KR20220168101A (ko) 조리기기
KR20220168102A (ko) 조리기기
KR102522669B1 (ko) 조리기기
KR102678070B1 (ko) 조리기기
KR20200087650A (ko) 조리기기
KR20200087684A (ko) 조리기기
CN113271827A (zh) 烹饪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