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100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100A
KR20220168100A KR1020210077692A KR20210077692A KR20220168100A KR 20220168100 A KR20220168100 A KR 20220168100A KR 1020210077692 A KR1020210077692 A KR 1020210077692A KR 20210077692 A KR20210077692 A KR 20210077692A KR 20220168100 A KR20220168100 A KR 20220168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upling
disposed
cooking applian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택
강대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7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8100A/ko
Priority to US17/840,271 priority patent/US20220397279A1/en
Priority to EP22179182.5A priority patent/EP4105562A1/en
Publication of KR20220168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1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9Cooking devices induction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1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sealings for doors or transparent pa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과 상면을 개폐하는 도어 중 하우징의 상면을 개폐하는 도어상면부가 힌지부에 의해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부는 도어상면부에 전후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열원(熱源)의 종류에 따라 가스 오븐과 전기 오븐으로 대별된다. 가스 오븐은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여 점화시킴으로써 공급되는 가스가 타면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며,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과 달리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다수의 히터가 작동되면서,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이 중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보다 요리의 속도가 빠르고 열효율이 높으며, 안정성이 좋아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에 비해 소형화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크기가 작은 미니 오븐 형태의 전기 오븐(이하 "미니 오븐"이라 한다)도 출시되고 있다.
상기 미니 오븐은, 크기가 작아 크기가 큰 음식물의 조리에는 부적합하지만, 대용량의 오븐을 사용하기엔 부담스러운 소량의 음식물을 굽거나 데우는데 적합하다.
특히 미니 오븐은, 토스트를 굽는데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으면서도, 토스트 외에도 크기가 작은 소량의 음식물을 조리하는데도 이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기존의 토스트기를 대체하는 조리기기로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니 오븐은 모든 구성품을 수용하기 위한 외부 케이스와, 조리 시에 음식물을 올려놓기 위한 복수개의 선반과, 전면이 개구되어 음식물을 넣어서 조리할 수 있도록 된 조리실을 구비한다.
또한 미니 오븐은, 음식물을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오븐히터와,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도어는 조리실에 음식물을 넣고 조리를 하는 동안 조리실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어 밀폐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도어에는, 도어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와, 도어를 열지 않고도 조리실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리창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미니 오븐에서, 도어는 대부분 하부 개방형 타입으로 구비된다. 즉 미니 오븐에 적용되는 도어는, 그 하단부가 도어 힌지를 통해 외부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부를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동하여 조리실을 개방하고, 조리실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부방향으로 회동하여 조리실을 폐쇄하는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
도어는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약 90도 정도의 각도로 회동하여 조리실을 개방하고,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은 이와 같이 도어가 조리실을 개방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어는 미니 오븐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반과 대략 평행을 이루는 상태로 개방되며,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미니 오븐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첫째,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미니 오븐이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었을 때 도어의 개방과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둘째,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크기만큼이나 무게도 가벼운 미니 오븐의 특성 상,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면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릴 수 밖에 없고, 이 경우 미니 오븐이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증가된다.
특히 선반의 인출시, 조리 상태의 확인이나 선반의 임시 거치를 위해 선반이 도어의 상부에 얹혀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는데, 이와 같이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구조에서는 미니 오븐의 전도 위험성이 커질 수밖에 없게 된다.
더욱이 선반 또는 선반에 올려진 음식물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 이러한 위험성은 더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 무거운 음식물의 조리에 위험성이 더해질 뿐 아니라, 선반의 중량을 증가시키는데 부담이 있게 된다. 즉 조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껍고 무게가 많이 나가는 재질의 선반의 채용이 필요하더라도, 미니 오븐의 전도 발생 위험으로 인해 이러한 선반의 채용이 어렵게 된다.
셋째,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의 통로, 그리고 조리 상태 확인의 통로가 미니 오븐의 전면으로 제한됨으로 인해, 여러 가지 제약이 발생된다.
즉 선반의 삽입 및 인출 방향이 전후방향으로만 제한되므로, 미니 오븐이 낮은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 선반의 삽입 및 인출에 불편함이 발생된다. 또한 조리 상태의 확인의 통로가 도어에 구비된 유리창으로만 제한되므로, 미니 오븐이 낮은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 조리 상태를 확인하는데 상당한 불편함이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음식물 전체의 조리 상태를 제대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어 개방만으로는 부족하고, 트레이의 인출이 반드시 이루어져야만 한다.
즉 사용자가 음식물 전체의 조리 상태를 제대로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한 후 선반을 직접 인출, 삽입하여야만 하는데, 미니 오븐이 낮은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 이러한 작업은 매우 불편한 작업이며, 사용자가 선반을 직접 인출, 삽입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넷째, 사용자가 조리실 내부로부터 선반을 직접 당기거나 조리실 내부로 밀어 넣는 형태로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사용자의 불편 및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성이 증가된다.
조리 도중, 사용자가 선반을 인출하여 전체적으로 직접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한 후 직접 선반을 잡고 인출하여야 하고, 조리를 재개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직접 선반을 잡고 조리실 내부로 선반을 밀어 넣어야 한다.
즉 단순히 조리 상태를 확인하고 싶을 때에도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하고 선반을 직접 인출, 삽입하여야 하는 불편함에 사용자가 노출되고, 또한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이 과정에서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려 미니 오븐의 전도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사용자의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될 수 있다.
선행문헌1(일본등록특허 제6289602호)에는, 도어의 개폐와 연동하여 조리실을 출입하는 조리판을 포함하는 가열조리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1의 구성에 따르면, 조리실에는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이하 "제1슬라이드 레일"이라 한다)이 마련되고, 도어에도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이하 "제2슬라이드 레일"이라 한다)이 마련되어 조리실측에 마련된 슬라이드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슬라이드 레일은 제1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도어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조리실을 개폐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슬라이드 레일에는 지지부재가 설치되며, 지지부재의 상단부에는 조리판이 상방에서 걸려 지지된다. 즉 조리판은 지지부재에 의해 제2슬라이드 레일에 지지되고, 이 제2슬라이드 레일은 제1슬라이드 레일에 지지된다.
상기 구조에 의해, 조리판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어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조리판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동작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조리실을 출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는, 조리판의 출입이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리판의 삽입과 인출이 좀 더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는, 상술한 미니 오븐의 첫 번째 단점과 두 번째 단점을 그대로 갖는다.
즉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단점,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는 단점이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는, 단순히 조리판의 출입이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뿐, 조리 상태 확인을 위해서는 여전히 도어 개방이 필요한 구조로 제공되므로, 단순히 조리 상태를 확인하고 싶을 때에도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는 불편함 또한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
선행문헌2(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1565호)에는,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전방뿐 아니라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상부 일부분도 함께 개방되는 구조의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2의 구성에 따르면, 토스터기의 전방에 도어가 설치되고, 이 도어는 토스터기의 전방측으로 회동하여 토스터기의 내부공간을 개방한다. 이때 도어가 토스터기의 전방뿐 아니라 상부 일부분도 함께 덮을 수 있게 마련되므로,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전방뿐 아니라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상부 일부분도 함께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선행문헌2의 구성에 따르면, 도어의 내부에 토스터홀드가 내설되고, 도어 개방시 토스터홀드가 도어와 함께 전방으로 회동하며 조리기기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선행문헌2의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는, 토스터홀드의 출입이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토스터의 삽입과 인출이 좀 더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2의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상부 일부분도 함께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폐시 토스터홀드에 수용된 토스터와 조리기기의 프레임 간의 간섭 발생이 회피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선행문헌2의 장치는, 상술한 미니 오븐의 첫 번째 단점과 두 번째 단점을 그대로 갖는다.
즉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단점,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는 단점,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의 통로, 그리고 조리 상태 확인의 통로가 미니 오븐의 전면으로 제한됨으로 인해, 여러 가지 제약이 발생되는 단점이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2에 개시된 장치는, 단순히 토스터홀드의 출입이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뿐, 조리 상태 확인을 위해서는 여전히 도어 개방이 필요한 구조로 제공되므로, 단순히 조리 상태를 확인하고 싶을 때에도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는 불편함 또한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2에 개시된 장치에 따르면, 도어의 내부에 토스터홀드가 내설되기 때문에,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더욱 쏠리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상기 선행문헌2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도어 개방시 도어가 토스터기의 전방으로 펼쳐질 뿐 아니라, 전방으로 펼쳐진 도어의 무게에 토스터홀드의 무게, 토스터홀드에 수용된 토스터의 무게가 더해지게 되므로,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더욱 쏠리게 되고, 이로 인해 토스터기의 전도 발생 위험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선행문헌3(미국등록특허 제6271502호)에는, 프런트 도어와 탑 커버를 구비하는 오븐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3의 구성에 따르면, 오븐의 전방에는 프런트 도어가 설치되고, 오븐의 상부에는 탑 커버가 설치된다. 프런트 도어와 탑 커버는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각각 독자적으로 동작하며, 오븐 내부 공간의 전방은 프런트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오븐 내부 공간의 상부는 탑 커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선행문헌3의 장치는, 상술한 미니 오븐의 첫 번째 단점과 두 번째 단점을 그대로 갖는다.
즉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단점,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는 단점이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또한 선행문헌3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프런트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내부 공간과 탑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내부 공간은 서로 분리된 공간이고 서로 연결된 공간이 아니다.
즉 프런트 도어와 탑 커버가 함께 개방된다고 해서 프런트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내부 공간의 개방 정도가 확장되는 것이 아니며, 탑 커버의 개방에 의해서는 단지 탑 커버의 개방에 의해서만 개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개방될 뿐이다.
선행문헌4(미국등록특허 제6029649호)에는, 원통형으로 제공되는 오븐에 설치되어 오븐을 개폐하는 오븐 도어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4에 따르면, 도어는 원통 형상의 바디에 도어가 설치되고, 이 도어는 원통 형상의 바디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며 바디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는, 개방시 바디의 전방이나 후방 어디로도 돌출되지 않으며, 단지 바디 둘레를 회전하며 바디를 개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선행문헌4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첫째, 선행문헌4에 개시된 도어는, 조리기기의 본체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육면체 형상의 조리기기 본체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므로, 호환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둘째, 선행문헌4에 개시된 바디의 내부에는 선반과 같이 음식물이 안착되기 위한 구조물의 설치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또한 바디의 내부에 선반과 같은 구조물이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바디의 구조상 이러한 선반의 인출과 삽입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선행문헌4에 개시된 도어의 구조에 따르면, 조리기기의 전면이나 상부면에 조작스위치가 배치되기 어렵다. 이는 바디의 전면과 상부면 대부분이 도어에 의해 덮여있거나 도어의 회전범위 내에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선행문헌4에서는 타이머와 같은 조작스위치가 바디의 측면에 배치된 구성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조작스위치가 조리기기의 전면이나 상부면에 배치되지 못하고 조리기기의 측면에 배치되면, 사용자가 조작스위치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있게 된다. 따라서 선행문헌4와 같은 조작스위치의 배치 형태는 사용자의 편의성 측면에서 볼 때 바람직한 형태라고 보기 어렵다.
또한 선행문헌1 내지 선행문헌4 어디에도,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된 형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선행문헌1 내지 선행문헌4에는 조작스위치가 본체에 구비되어 있다.
특히 선행문헌1 및 선행문헌3에는, 조작스위치가 조리기기의 본체에 배치되되, 도어의 좌우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조작스위치가 배치되는데 필요한 공간만큼 본체의 좌우방향 폭이 길어져야 하는데, 이로 인해 조리기기 전체의 크기는 커지면서도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폭은 그에 비해 좁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선행문헌2에서는, 조작스위치가 조리기기의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조작스위치의 위치가 낮아짐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있게 된다. 또한 선행문헌2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또 조작스위치가 배치되는데 필요한 공간만큼 본체의 상하방향 길이가 길어져야 하는데, 이로 인해 조리기기 전체의 크기는 커지면서도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폭은 그에 비해 좁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마지막으로, 선행문헌4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리기기의 측면에 배치되면, 사용자가 조작스위치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있게 된다.
상기 선행문헌1 내지 선행문헌4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되기가 어렵다. 선행문헌1 내지 선행문헌4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리실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도어에 투시창이 배치되는데, 이러한 투시창이 도어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하므로, 도어에 조작스위치가 설치될만한 공간이 확보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되면, 조작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판도 도어 내부에 배치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제어기판이 설치될 공간이 도어 내에서 확보되기도 어렵다.
따라서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되는 구성이 제공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의 설계가 요구된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들에는, 조리기기의 본체와 도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조리실 내부의 열기 및 수증기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선행문헌들, 특히 선행문헌2 및 선행문헌3에서는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 또는 바디 내부 공간의 전면과 함께 상부 일부분도 함께 개방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범위가 확장될수록 조리기기의 본체와 도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조리실 내부의 열기 및 수증기가 새어나올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조리기기의 본체와 도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조리실 내부의 열기 및 수증기가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새어나오게 되면, 새어나온 열기 또는 수증기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조리기기의 본체와 도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온 수증기에 의해 도어 및 그 주변에 이슬 맺힘이 발생되거나, 도어에 맺힌 이슬에 의해 도어 주변에 물고임이 발생되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범위가 확장될수록, 본체와 도어 사이의 사이의 틈새와 관련된 공차 관리가 어려워지게 된다. 이러한 공차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도어의 개폐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조리실 내부의 열기 및 수증기의 누설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선행문헌1 : 일본등록특허 제6289602호 선행문헌2 : 한국공개특허 제20-2011-0001565호 선행문헌3 : 미국등록특허 제6271502호 선행문헌4 : 미국등록특허 제6029649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기기의 크기 증가는 억제되면서도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통로의 폭이 증가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 상태 확인이 용이하며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방과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에 배치되어야 하는 각종 구성들이 도어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에 배치되어야 하는 각종 구성들이 도어에 쉽고 빠르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 중 조리실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 및 수증기가 도어의 전방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에 배치되어야 하는 각종 구성들이 열기나 수증기에 의해 받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와 도어 사이의 사이의 틈새와 관련된 공차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는, 도어 개방시 하우징의 전방과 상부가 함께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힌지 어셈블리 내부에는, 조리기기의 전면 및 상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유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유로는, 힌지 어셈블리의 전방 및 상부에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유로의 하부에는, 냉각팬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의 영향을 받아 온도가 쉽게 상승될 수 있으면서 사용자와의 접촉 가능성이 높은 부분에 대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이 방지되고 도어의 과열로 인한 도어내부 부품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에 고정되어 힌지부와 결합되는 힌지결합부에는 체결부와 상기 힌지결합부 간의 전후방향 결합 위치를 안내하는 위치조절안내부가 마련되고, 체결부는 위치조절안내부에 전후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힌지결합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과 상면을 개폐하는 도어 중 하우징의 상면을 개폐하는 도어상면부가 힌지부에 의해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부는 도어상면부에 전후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위치조절안내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의 전후방향 위치에 따라 하우징의 전면과 도어전면부의 간격, 또는 하우징 측면의 전방 단부와 도어전면부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Y축 갭과 관련된 공차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과,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하우징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도어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도어와 하우징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가스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스켓부는, 조리실의 전방에서 하우징의 측면과 도어전면부 사이를 실링하는 제1가스켓과, 조리실의 전방에서 하우징으 전면과 도어전면부 사이를 실링하는 제2가스켓, 및 조리실의 상부에서 도어상면부와 측면 사이를 실링하는 제3가스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어 조리실의 전방에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되, 조리실의 전방에서 하우징의 배면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는 배기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도어 내부의 공기를 상기 도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배기구가 마련될 수 있다.
배기유도부는, 힌지 어셈블리 내부에 형성된 냉각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측면에 냉기토출부가 마련되고, 냉각유로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냉기토출부를 통해 조리실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리실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 및 수증기가 조리기기의 전방측에서 조리기기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 내부에 제어기판이 배치되고, 제어기판이 배치된 동일 공간에 냉각팬이 배치되며, 이 냉각팬은 제어기판이 설치된 공간의 공기를 도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어에 배치되어야 하는 각종 구성들이 열기나 수증기에 의해 받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냉각팬은, 도어상면부보다는 냉각홀에 좀 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냉각팬은 도어상면부보다 하부에 배치된 터치패널지지부 및 온도센서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냉각팬에서 토출되었던 고온의 공기 및 수증기의 재흡입, 그리고 도어상면부의 내부로부터 도어전면부 내부로의 수증기 유입이 억제됨으로써, 도어 내부에 대한 냉각 효율 및 수증기 제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상면부의 내부에 케이블장착부가 마련되고, 제1제어기판과 제1가열부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조리기기의 상부에 형성된 투시창을 통해 조리실 내부를 상부에서 내려다볼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지지패널이 도어본체부와 도어배면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도어본체부의 내부에 고정되고, 제어기판이 지지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손잡이와 지지패널과 도어가 하나의 브라켓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배면커버와 제어기판과 지지패널과 도어가 하나의 브라켓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도어 내부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도어 내부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어의 조립 작업에 소요되는 공수가 감소되고, 도어 조립 작업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온도센서가 배치되고, 이 온도센서가 조리실을 향해 도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온도센서가 배치되고, 이 온도센서가 조리실을 향해 도어 외부로 돌출되되, 조리실의 상부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온도센서는, 트레이와 가열부 사이에 배치되되, 가열부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는, 도어전면부의 상측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는, 가열부가 차폐판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투시창이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조리기기가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제1가열부가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레이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된 제1가열부는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도어상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가열부는 조작장치 및 제1제어기판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어의 무게 중심도 후방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제1가열부와 투시창이 도어상면부에 배치되고 조작장치는 제1가열부와 투시창이 설치되지 않은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가 하우징의 전면과 상면을 개방한 상태일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도록, 글라스와 히터 등과 같이 무게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가는 부품들이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조리기기는, 도어가 조리실을 개방할 때 조리기기의 무게중심이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방시 조리기기의 전도 발생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저면과 양측면과 배면으로 둘러싸인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도어상면부 및 상기 도어상면부의 전방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도어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와; 상기 도어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는 힌지결합부; 및 상기 힌지부를 상기 힌지결합부에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결합부에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힌지결합부 간의 전후방향 결합 위치를 안내하는 위치조절안내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위치조절안내부에 전후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힌지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힌지부 및 상기 결합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볼트부재를 상기 결합면에 고정시키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트부재와 상기 너트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위치조절안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볼트부재와 상기 너트부재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힌지부와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을 형성하는 결합면, 및 상기 결합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결합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위치조절안내부는 전후방향 길이가 상기 볼트부재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된 상기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안내부는 상기 결합면으로부터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체결가이드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너트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체결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가이드홈의 전후방향 길이가 상기 너트부재의 최장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체결가이드홈에 전후방향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너트부재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가이드홈은 상기 너트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너트부재의 회전을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어의 하부에서 상기 도어와 결합되는 도어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어에 배치되는 제1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제1가열부가 결합되는 히터장착부, 및 상기 도어상면부와 결합되어 상기 히터장착부를 상기 도어상면부에 지지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힌지부 및 상기 결합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힌지부를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시키는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볼트부재를 상기 결합면에 고정시키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트부재와 상기 너트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위치조절안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볼트부재와 상기 너트부재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가 상기 결합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너트부재가 상기 결합면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부재와 상기 너트부재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조절안내부는 상기 결합면의 상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체결가이드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너트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체결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가이드홈 및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도어상면부와 상기 도어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볼트부재는 상부방향으로 상기 결합면을 관통하여 상기 도어상면부와 상기 도어프레임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너트부재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안내부에 결합되는 상기 체결부의 전후방향 위치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상기 도어전면부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지 않고 상부방향으로 회동되며 조리실의 전면과 상면을 모두 개방할 수 있게 마련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도어의 개방이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음식물이나 트레이의 인출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에 의해 도어의 전면과 상면이 개방될 수 있어 도어의 개방에 의해 트레이부가 더 많이 노출되므로, 트레이의 일부만 인출하여도 조리물을 용이하게 넣거나 꺼낼 수 있어 더 향상된 편의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지 않고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며 개폐되도록 마련되므로, 도어의 개방시에도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릴 우려가 적고, 이에 따라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회동 중심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형성되고, 도어의 무게 중심이 도어전면부보다 도어상면부에 치우치게 형성되며, 도어의 개방시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므로,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고, 이로써 조리기기의 안전성 및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장치가 도어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의 크기는 줄이면서도 트레이 및 음식물이 출입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출입구를 제공할 수 있고, 이로써 컴팩트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더욱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시창이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조작장치가 도어의 전방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조리기기가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정면에서 마주보며 쉽고 편리하게 조작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내부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도어 내부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어의 조립 작업에 소요되는 공수가 감소되고, 도어 조립 작업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열의 영향을 받아 온도가 쉽게 상승될 수 있으면서 사용자와의 접촉 가능성이 높은 부분에 대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이 방지되고 도어의 과열로 인한 도어내부 부품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조절안내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의 전후방향 위치에 따라 하우징의 전면과 도어전면부의 간격, 또는 하우징 측면의 전방 단부와 도어전면부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Y축 갭과 관련된 공차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의 Y축 갭과 관련된 공차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인해 도어의 개폐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뿐 아니라, 조리실 내부의 열기 및 수증기의 누설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브라켓을 이용하여 캐비닛의 전면이 하우징의 전방에서 하우징의 전면과 밀착된 상태로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우징과 캐비닛 간의 갭 관련 공차의 용이해지도록 할 뿐 아니라, 캐비닛 설치 작업의 난이도를 낮추면서도 조리기기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닛의 전면이 하우징의 전방에서 하우징의 전면과 밀착된 상태로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캐비닛의 전면과 하우징의 전면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누설은 차단되고, 냉기토출부를 통한 냉기 토출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조리실을 폐쇄할 때 도어와 하우징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지점에 가스켓들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조리실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도어와 하우징 간의 접촉으로 인해 도어 또는 하우징에 긁힘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조리실을 폐쇄할 때 도어에 가해지는 충격이 가스켓들에 의해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조리실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도어 자체 또는 도어에 설치된 부품들의 파손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 중 조리실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 및 수증기가 도어의 전방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와 하우징 사이의 틈새를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새어나온 열기 또는 수증기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와 하우징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온 수증기에 의해 도어에 이슬 맺힘이 발생되거나 도어에 맺힌 이슬에 의해 도어 주변에 물고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 및 그 주변이 물기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기판와 조작장치 등이 수용된 도어전면부 내부로 유입된 열기 및 수증기가 도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 내부의 부품들의 성능 저하 및 고장 발생 위험성을 낮추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내부에서의 제1냉각팬의 위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냉각팬에서 토출되었던 고온의 공기 및 수증기의 재흡입, 그리고 도어상면부의 내부로부터 도어전면부 내부로의 수증기 유입이 억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 내부에 대한 냉각 효율 및 수증기 제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 내부의 부품들의 성능 저하 및 고장 발생 위험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낮추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및 힌지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1의 "Ⅹ-Ⅹ"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Ⅹ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도어의 일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제1제어기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0은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무게 중심 변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어전면부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지지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지지패널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4는 온도센서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1에 도시된 브라켓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지지패널과 도어배면커버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어본체부 전면과 지지패널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어전면부의 내부 구성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 내지 도 31은 도어전면부의 조립 과정을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32는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27에 도시된 터치조작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제2가열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제2가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6은 도 34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4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온도센서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8은 도 34에 도시된 제2제어기판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9는 도 38에 도시된 제2제어기판의 배면에 배면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프레임 및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성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40에 도시된 도어프레임 및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성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2는 도 41에 도시된 도어프레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3은 도어프레임과 제1가열부 및 보호그릴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어프레임과 제1가열부와 보호그릴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45는 도 40의 "ⅩⅩⅩⅩⅤ-ⅩⅩⅩⅩⅤ" 선에 따른 단면도 이다.
도 46은 도 40의 "ⅩⅩⅩⅩⅥ-ⅩⅩⅩⅩ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7은 도어프레임과 힌지부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8은 도어프레임과 힌지부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9는 도어프레임과 힌지부와 도어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0은 도어전면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1은 도 50에 도시된 도어전면부 내부에서의 수증기 및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에 마련된 냉각유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53은 도 52에 도시된 냉각유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54는 도 52에 도시된 냉각유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도 55는 도 52에 도시된 냉각유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56은 도 55에 도시된 냉각유로를 통한 조리실 내부로의 공기 토출 흐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7은 도 52에 도시된 냉각유로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도 59는 도 58의 "ⅩⅩⅩⅩⅩ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61은 도 60의 "ⅩⅩⅩⅩⅩⅩ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63은 도 62의 "ⅩⅩⅩⅩⅩⅩⅢ"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4는 도 59의 "ⅩⅩⅩⅩⅩⅩⅣ"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5는 도 61의 "ⅩⅩⅩⅩⅩⅩⅤ"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6은 도 63의 "ⅩⅩⅩⅩⅩⅩⅥ"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8은 도 67에 도시된 도어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69는 도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70은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71은 도 70의 "ⅩⅩⅩⅩⅩⅩⅩ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3은 도 72의 "ⅩⅩⅩⅩⅩⅩⅩⅢ"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4는 도 72에 도시된 도어프레임과 힌지부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5는 도 4의 "ⅩⅩⅩⅩⅩⅩⅩⅤ"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과 하우징을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77은 도 75에 도시된 캐비닛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8은 도 75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9는 도 78의 "ⅩⅩⅩⅩⅩⅩⅩⅨ-ⅩⅩⅩⅩⅩⅩⅩ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조리기기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바닥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토출부를 향하는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한다. 편의상 이렇게 하방과 상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하방은 제1방향의 일방, 상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조리기기가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앞에서 조리기기를 바라볼 때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조리기기의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을 조리기기의 전후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전후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3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의 제2방향 및 제3방향과 나란한 평면의 연장방향을, 편의상 평면방향이라 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하우징(100)과 도어(300)와 트레이(200) 및 가열부(400,6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골격을 형성한다. 이에 따르면,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여러 부품들은 하우징(100)에 각각 설치되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10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하우징(100)은, 저면(110)과 한 쌍의 측면(120,130)과 배면(140)을 포함하고, 그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으로 둘러싸인 조리실(105)이 형성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배치된다. 트레이(200)는, 조리물이 안착되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조리실(105)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저면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트레이(200)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납작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트레이(200)의 저면은, 하우징(100)의 저면(110)에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면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200)의 네 측면은 트레이(200)의 저면 테두리로부터 각각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300)는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이 조리기기의 저면, 측면,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도어(300)는 조리기기의 상면 및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도어(300)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전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상면부(310)는, 도어(300)의 상면을 이루며, 도어(300)가 하우징(100) 내부의 조리실(105)을 폐쇄할 때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구성에 해당된다. 그리고 도어전면부(350)는, 도어(300)의 전면을 이루며,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할 때 하우징(100)의 개방된 전면을 덮는 구성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300)는 "ㄱ"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도어(300)는, 도어(300)의 상면을 이루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300)의 전면을 이루는 도어전면부(350)가 "ㄱ" 형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도어(300)는, 조리실(105) 개폐를 위한 회동시, "ㄱ" 형상으로 연결된 도어상면부(310)와 도어전면부(350)가 함께 회동하면서 조리실(105)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도어(300)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를 매개로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며,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이 힌지 어셈블리(8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어(300)의 전면에는 손잡이(305)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손잡이(305)를 잡고 도어(30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며 조리실(105)을 개폐할 수 있다.
가열부(400,600)는, 하우징(100) 또는 도어(300)에 설치되어 조리실(105)에 배치된 트레이(200)를 가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부(400,600)는 도어(300)에 배치되는 제1가열부(400)와 하우징(100)에 배치되는 제2가열부(6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가열부(400)는, 도어(300)에 설치되되,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하였을 때 제1가열부(400)가 조리실(105)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되, 하우징(100)의 저면과 마주하는 도어상면부(310)의 저면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가열부(400)는 전기히터를 구비한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는, 트레이(200)에 안착된 조리물을 트레이(200)의 상부에서 가열할 수 있다.
제2가열부(600)는, 하우징(100)에 설치되되, 트레이(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가열부(600)는, 제1가열부(400)와 다른 가열방식으로 트레이(200)를 가열하는 가열부, 예를 들면 유도가열부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제2가열부(60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설치되는 워킹코일(610)을 포함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트레이(200)의 하부에서 트레이(200)의 가열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트레이(200)는, 제2가열부(600)에 의해 유도 가열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105)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조리실(105)의 전방 및 상부를 동시에 개방할 수 있게 구비되는 도어(300)와, 조리실(105) 내부를 상부에서 가열할 수 있게 마련된 제1가열부(400), 및 조리실(105) 내부의 트레이(200)를 유도 가열할 수 있게 마련된 제2가열부(600)를 포함하며, 도어(300)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트레이(200)의 인출 및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된다.
위에서 언급된 구성들, 및 그 외에 아직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 순차적으로 기재될 것이다.
[하우징의 구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및 힌지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저면(110)과 한 쌍의 측면(120,130)과 배면(140)을 포함하고, 그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된다.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는 조리실(105)이 형성되고, 이러한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저면 하부에는 제2가열부(6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배면 후방에는 제2가열부(600)의 가동과 관련된 전장부품, 예를 들면 후술할 제2제어기판(700)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 외측에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된 힌지 어셈블리(800)와의 결합을 매개로 도어(300)가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하우징(100)은 금속판이 "└┘" 형상으로 절곡되고 이처럼 절곡된 금속판이 하우징(100)의 저면과 양측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우징(100)이 제조되면, 하우징(100)의 저면(110)이 양측면(120,130)과 이음새 없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조리실(105) 내부의 미감이 향상될 뿐 아니라,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 간의 틈새에 이물질이 끼거나 그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빠져 제2가열부(600)의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하우징(100)은 "ㅗ" 형상의 금속판의 왼쪽 돌출 부분과 오른쪽 돌출 부분을 각각 상부방향으로 접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을 형성하고, 배후측 돌출 부분을 상부방향으로 접어 하우징(100)의 배면(140)을 형성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우징이 제조되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 간, 그리고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배면(140) 간의 이음새 없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전방 및 상부에서 보았을 때 조리실(105) 내부의 이음새가 거의 보이지 않게 되면서 조리실(105)의 내측면이 매끄러운 평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조리실(105) 내부의 미감이 더욱 향상될 뿐 아니라, 조리실(105)의 내측면에 묻은 오염물의 제거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100)의 저면(110)은, 세라믹 글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세라믹 글라스는 소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세라믹 글라스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 저면(110)의 절개된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세라믹 글라스는 제2가열부(600)와 트레이(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에는, 후술할 제2제어기판(700)을 수용하는 배면케이스(150)가 배치된다. 제2제어기판(700)은 배면케이스(150)에 수용되어 하우징(100)의 배후에 설치되며, 하우징(100)의 배면(140)과 배면케이스(150) 사이에는 절연판(160)이 배치된다.
절연판(160)은, 조리실(105) 내부의 열기가 하우징(100)의 배면(140)을 통해 제2제어기판(70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2제어기판(700)이 설치된 배면케이스(150)와 하우징(100) 사이를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하우징(100)은 캐비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70)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을 덮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캐비닛(170)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에 설치된 힌지 하우징(800)과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설치된 제2제어기판(700)을 외측에서 감싸 보호하며, 조리기기의 측부 및 배후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의 구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1의 "₁-₁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Ⅹ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도어(300)는 도어(300)의 상면을 이루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300)의 전면을 이루는 도어전면부(350)가 "ㄱ" 형상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구비된다.
도어상면부(31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상면부(310)에는, 도어프레임(320)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1가열부(400)는 이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된 형태로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300)는, 투시창(W)을 포함할 수 있다. 투시창(W)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되, 도어상면부(310)의 평면방향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투시창(W)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그 중 하나의 글라스(330; 이하, "제1글라스"라 한다)는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글라스(335)는 도어프레임(320; 이하, "제2글라스"라 한다)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에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은, 도어상면부(310)의 평면방향 중앙, 그리고 도어프레임(320)의 평면방향 중앙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글라스(330)는 도어상면부(310)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부에서 덮으며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고, 제2글라스(335)는 도어프레임(320)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부에서 덮으며 도어프레임(320)에 설치된다.
제1글라스(330) 및 제2글라스(335)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유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시창(W)은 제1글라스(330) 및 제2글라스(335)로 덮인 관통공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형성된 투시창(W)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를 상부에서 내려다볼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에서의 음식물 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미니 오븐의 특성 상, 사용자의 얼굴보다 상당히 낮은 지점에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가 사용되는 빈도가 높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도어(300)의 상면에 형성된 투시창(W)은,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투시창(W)을 형성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는, 각각 서로 다른 구성, 즉 하나는 도어상면부(310)에 다른 하나는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되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투시창(W)의 내부에는 두 글라스(330,335) 사이의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글라스(330)는 도어상면부(3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2글라스(335)는 도어프레임(320)에 설치되는데, 이에 따라 제1글라스(330)와 제2글라스(335) 사이는 적어도 도어상면부(310)의 두께만큼 이격될 수 있다.
즉 투시창(W)을 형성하는 제1글라스(330)와 제2글라스(335) 사이에는 적어도 도어상면부(310)의 두께만큼의 이격 공간에 형성되며, 이로써 투시창(W)의 내부에는 두 글라스(330,335) 사이의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이격 공간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처럼 이격 공간에 유입된 공기는 이격 공간 내에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형성된 이격 공간에 형성된 공기층은, 조리실(105)에 직접 노출된 제2글라스(335)를 가열한 열이 최외측에 위치한 제1글라스(33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와 같이 이중창 구조로 제공된 투시창(W)은, 투시창(W)의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그리고 투시창(W)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김서림 발생 등을 상당 수준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 된다.
아울러 도어상면부(310)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도어프레임(320)에 형성되는 관통공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상면부(310)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도어프레임(320)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내측 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어상면부(310)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투시창(W)을 통해 도어프레임(320)의 내측 테두리가 노출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투시창(W)을 통해 도어프레임(320)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미관상 유리한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되, 상부에서 보았을 때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가 형성하는 가로방향의 평면 상에서,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 및 도어프레임(320)에 형성된 관통공의 외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가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1가열부(400)가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는 영역에 배치된다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투시창(W)을 통한 시야 확보에도 문제가 발생되며, 투시창(W) 부분의 온도 상승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인 도어전면부(350)의 형상을 감안하면,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제1가열부(400)가 배치되어야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그만큼 증가될 수 있고,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증가된 만큼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이로써 미관 유지, 시야 확보 유지, 투시창(W)의 온도 상승 억제,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과 같은 기능적 이점을 확보하기가 유리해질 수 있게 된다.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어상면부(310)가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한다면, 도어전면부(350)는 세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한다.
일례로서,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의 전방 단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 공간과 도어상면부(310)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도어전면부(350)와 도어상면부(31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어(300)는, 그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된 도어전면부(350)와 도어상면부(310)가 "ㄱ" 형상으로 일체로 연결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어전면부(350)에는,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공간부에는, 조작장치(1000)의 적어도 일부분과 제1제어기판(500)이 수용될 수 있다.
조작장치(10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제어 조작을 위한 각종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작장치(1000)는 도어전면부(350)의 전면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조작장치(1000)를 직접 조작하여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제1제어기판(500)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된다. 제1제어기판(500)에는, 조작장치(100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된다.
제1제어기판(500)은, 조작장치(1000), 제1가열부(400) 및 제2가열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제1제어기판(500)은, 조작장치(1000)와 마찬가지로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되어 조작장치(1000)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같은 도어(300) 상에 배치된 제1가열부(400)와도 상당히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장치(1000)는 제1제어기판(500) 상에 직접 장착된 형태로 제1제어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조작장치(1000)에 마련된 각각의 조작 스위치는, 도어전면부(350)를 관통하여 제1제어기판(5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가열부(400)는, 서로 연결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와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를 통해 설치되는 케이블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 제1제어기판(500)과 조작장치(1000)와 제1가열부(400)가 매우 근접하고 공간적으로 연결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기 위한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이들 간의 연결 구조도 매우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케이블장착부(340,3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장착부(340,345)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사이에 배치되되,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아울러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는, 연결부재(343)가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연결부재(343)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케이블장착부(340,345) 사이를 각각 연결한다. 즉 한 쌍의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연결부재(343)는, 투시창(W)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연결부재(343)의 결합체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장착부(340,345)가 설치된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된 케이블장착부(340,345)에는, 서로 연결된 도어상면부(310)의 내부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를 통해 제1제어기판(500)과 제1가열부(40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C1,C2)이 설치된다.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 중 어느 하나에는, 전원을 제1가열부(400) 및 제1제어기판(500)에 공급하는 전원케이블(C2)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 중 다른 하나에는, 제1제어기판(50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1가열부(400)에 전달하는 신호케이블(C1)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도어(300)에는, 투시창(W)을 중심으로 전후방향 양측에 제1가열부(400)가 각각 배치되고, 투시창(W)을 중심으로 좌우방향 양측에 전원케이블(C2)과 신호케이블(C1)이 각각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1가열부(400)와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의 배치 구조는, 제1가열부(400)와 힌지 어셈블리(800)의 배치 구조를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1가열부(400)는 그 발열체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힌지 어셈블리(800; 도 3 참조)는, 투시창(W)을 중심으로 좌우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은, 제1가열부(400)와 제1제어기판(500)과 같이 도어(300)에 배치된 구성들뿐 아니라, 제2제어기판(700; 도 68 참조) 등과 같이 하우징(100)에 배치된 구성들과도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를 되도록 노출되지 않게 통과하려면, 도어(300)와 하우징(100) 간의 유일한 연결 부분인 힌지 어셈블리(800)가 배치된 부분을 통과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일례로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 중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의 연결 구간은,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를 통과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의 구간에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조리기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을 파손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가열부(400)의 발열체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 됨을 고려하면,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은 되도록 발열체와 먼 측에 배치되면서도 발열체의 연장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가열부(40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영향이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에 미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또한 복수개의 제1가열부(400)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됨을 고려하면,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제1가열부(400)의 좌우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이 제1가열부(400)들을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로 연결하는데 유리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투시창(W)을 사이에 두고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서로 다른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전원케이블(C2)은 하우징(100)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 중 어느 하나의 내부를 통과하여 그와 인접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되고, 신호케이블(C1)은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 중 어느 다른 하나의 내부를 통과하여 그와 인접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케이블은 하우징(100)의 좌측에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를 통과하여 도어(300)의 좌측에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되고, 신호케이블(C1)은 하우징(100)의 우측에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를 통과하여 도어(300)의 우측에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케이블이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를 통해,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 작업을 위한 배선 작업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와 관련된 유지보수 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케이블장착부(340,345) 및 연결부재(343)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글라스(330)와 제2글라스(3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케이블장착부(340,345) 및 연결부재(343)는 제2글라스(335)의 상부에 안착되며, 제1글라스(330)는 케이블장착부(340,345) 및 연결부재(343)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제1글라스(330)와 접촉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의 상부면과 제2글라스(335)와 접촉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의 하부면에는, 장착홈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글라스(330)와 접촉되는 연결부재(343)의 상부면과 제2글라스(335)와 접촉되는 연결부재(343)의 상부면에도, 장착홈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장착홈에는, 실링부재(S)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제1글라스(330) 사이,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제2글라스(335) 사이, 그리고 연결부재(343)와 제1글라스(330) 사이, 연결부재(343)와 제2글라스(335) 사이에 실링부재(S)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장착부(340,345) 및 연결부재(343)와 제1글라스(330) 사이 및 케이블장착부(340,345) 및 연결부재(343)와 제2글라스(335) 사이에 실링부재(S)를 이용한 밀폐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밀폐 구조는, 글라스(330,335) 사이에 습기가 들어가고 이로 인해 글라스(330,335)에 습기가 차거나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조작장치의 구조]
도 5를 참조하면, 조작장치(10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제어 조작을 위한 각종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작장치(1000)는 도어전면부(350)의 전면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조작장치(1000)를 직접 조작하여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서, 조작장치(1000)는 조리 대상물의 종류 및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 조리 정도나 조리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조작장치(1000)는 제1가열부(400; 도 3 참조)의 온/오프나 화력 조절을 위한 조작 스위치, 제2가열부(600; 도 3 참조)의 온/오프나 화력 조절을 위한 조작 스위치, 제1가열부(400)나 제2가열부(600)의 동작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 조작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두 개의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 중 하나는 조리 대상물의 종류 및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조리 정도나 조리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 스위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전 조작과 누름 조작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조작 스위치가 회전 조작과 누름 조작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각각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갖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때 각각의 조작 스위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조작 스위치 모두 회전 조작과 누름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 형태로 구비되고, 이 중 하나의 스위치는 조리 대상물의 종류 및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조리 정도나 조리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두 개의 조작 스위치 중 하나를 예로 들어 조작장치(10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도어의 일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조작장치(1000)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고, 이 조작 스위치는 샤프트(1100) 및 노브(1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샤프트(1100)는, 조작장치(1000)에 마련되는 엔코더(1200)에 구비된다. 이러한 샤프트(110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100)는, 전후방향으로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엔코더(1200)는, 이러한 샤프트(110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엔코더(1200)는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엔코더(1200)는,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되어 도여전면부(3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엔코더(1200)는, 제1제어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엔코더(1200)는, 샤프트(1100)의 회전 각도 또는 축방향 이동을 감지하여 그 결과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1제어기판(5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제어기판(500)은, 엔코더(12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1가열부(400; 도 3 참조)와 제2가열부(600; 도 3 참조) 및 후술할 발광부재(17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노브(1300)는, 사용자가 회전 조작할 수 있게 마련된 구성이다. 노브(1300)는, 샤프트(1100)와 결합됨으로써 샤프트(1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노브(1300)는, 샤프트(1100)와 함께 회전 및 축방향 이동할 수 있게 샤프트(1100)와 연결될 수 있다.
노브(1300)는, 축결합부(1310)를 포함할 수 있다. 축결합부(1310)는, 누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축결합부(1310)의 내부에는, 축결합공(1311)이 형성될 수 있다. 축결합공(1311)은, 축결합부(1310)의 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샤프트(1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축결합공(1311)은, 축결합부(1310)의 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축결합공(1311)의 전방은, 축결합부(1310)의 전면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축결합부(1310)의 형상에 의해, 축결합부(1310)에 결합되는 샤프트(1100)의 설치 위치 및 삽입 깊이가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소켓부재(1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켓부재(1600)는, 노브(1300)를 도어(300)에 회전 및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소켓부재(1600)는 도어(3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소켓부재(1600)는, 도어전면부(350) 내부에 설치된 엔코더(1200)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수용할 수 있게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엔코더(1200)와 연결된 샤프트(1100)는, 소켓부재(1600)의 직경방향 대략 중심을 통과하여 소켓부재(160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소켓부재(1600)는, 엔코더(1200)를 내부에 수용하며 엔코더(1200)를 보호하는 역할, 샤프트(1100)와 결합된 노브(1300)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지지하는 역할, 후방에서 노브(1300)를 지지하는 역할, 후술할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의 경로를 정의하는 역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발광부재(1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재(1700)는,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되며, 제1제어기판(500)을 통해 이루어지는 동작 제어에 의해 점등되어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발광부재(1700)는, 소켓부재(16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소켓부재(1600)에는,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을 소켓부재(1600)의 전방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의 경로는 소켓부재(1600)에 의해 정의되고, 이 빛은 조작장치(1000)의 조작 상태, 조작장치(1000)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 제어의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무드조명을 위한 발광부재(1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드조명을 위한 각각의 발광부재(1700)는, 1제어기판(500)에 설치되며, 소켓부재(16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재(1700)는, 발광부재(1700)보다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은, 소켓부재(1600)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소켓부재(1600)를 통과하여 노브(1300)의 후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로는, 제1연결지지부(1630)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통로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되,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리브형상부(1633) 사이에 형성된 홀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광부재(1700)에 의해 구현되는 무드조명은,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직접 조사되지 않고 조작장치(1000)의 후방을 비추는 간접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무드조명은, 조리기기의 동작 대기 상태에서 조작장치의 조작이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웰컴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재(1700)에 의해 구현되는 무드조명은, 조작장치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드 조명을 제공할 수 있으며, 어두운 곳에서도 조작장치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명을 제공할 수도 있다.
[소켓부재의 구조]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제1제어기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소켓부재(1600)는 외측지지부(161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지지부(16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측지지부(1610)는 대략 누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외측지지부(1610)는 노브(1300)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노브(13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측지지부(1610)로 둘러싸인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노브(1300)는, 그 후방측 단부가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과 접하는 형태로 외측지지부(16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노브(1300)의 후방측 단부는,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노브(1300)는, 소켓부재(1600)에 회전 및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 즉 노브(1300)의 후방측 단부와 인접한 외측지지부(1610)의 내측면에는, 삽입홈(1611)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1611)은,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에 원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노브(1300)의 후방측 단부는 이러한 삽입홈(1611)에 삽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노브(1300)와 소켓부재(16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소켓부재(1600)는, 내측지지부(1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측지지부(16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측지지부(1620)는 대략 누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내측지지부(1620)는 외측지지부(1610)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지지부(1620)는, 엔코더(1200)와 외측지지부(16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엔코더(1200)는, 내측지지부(1620)로 둘러싸인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내측지지부(1620)는, 외측지지부(1610)의 내부에서 엔코더(1200)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소켓부재(1600)는,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를 지지하는 제1연결지지부(1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지지부(1630)는,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를 서로 연결시키며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지지부(1630)는,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연결지지부(1630)는, 또한 제1연결지지부(1630)는, 소켓부재(1600)의 배면을 형성하며,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의 후방에서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켓부재(1600)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되되,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된 제1제어기판(5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소켓부재(1600)의 배면을 형성하는 제1연결지지부(1630)는, 소켓부재(1600)가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될 때 제1제어기판(500)과 맞닿는 결합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지지부(1630)는, 플랜지형상부(1631)와 리브형상부(16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플랜지형상부(1631)는, 내측지지부(1620)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형상부(1631)는, 내측지지부(1620)로부터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리브형상부(1633)는, 플랜지형상부(1631)와 외측지지부(1610) 사이를 연결한다. 리브형상부(1633)는, 플랜지형상부(1631)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형상부(1631)와 외측지지부(1610) 사이에는, 복수개의 리브형상부(1633)가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구비된 리브형상부(1633)는, 소켓부재(1600) 전체의 중량 증가를 억제하면서도 소켓부재(1600) 전체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지지부(1620)는, 노브(1300)의 축결합부(13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지지부(1620)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노브(1300)의 축결합부(1310)를 후방에서 지지함으로써, 노브(1300)의 과도한 이동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샤프트(1100) 및 엔코더(1200)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내측지지부(1620)는, 제1연결지지부(1630)에 의해 지지되되, 내측지지부(1620)와 제1연결지지부(1630)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탄성이 부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켓부재(16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되, 외측지지부(1610)와 내측지지부(1620) 및 제1연결지지부(1630)가 일체화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연결지지부(1630)의 플랜지형상부(1631)와 리브형상부(1633) 사이는, 스커트형상부(163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스커트형상부(1635)는, 플랜지형상부(1631)의 외주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랜지형상부(1631)와 리브형상부(1633)는 "└┐"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내측지지부(1620)와 제1연결지지부(1630) 사이, 그리고 외측지지부(1610)와 제1연결지지부(1630) 사이에 탄성이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노브(1300)가 눌리면서 내측지지부(1620)를 후방으로 눌렀을 때, 내측지지부(1620)는 노브(1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노브(130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측지지부(1620)는, 노브(1300)를 누르는 힘이 해제되었을 때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노브(1300)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데 필요한 힘을 노브(1300)에 가하여 줄 수도 있다.
한편 소켓부재(1600)에는, 광통과홀(1640)이 마련될 수 있다. 광통과홀(1640)은, 소켓부재(16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외측지지부(1610)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통과홀(1640)은,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된 발광부재(1700)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제어기판(500)에는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재(1700)는 외측지지부(1610)의 후방에 배치되되, 외측지지부(1610)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는, 외측지지부(1610)의 후방에 외측지지부(161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지지부(1610)에는 복수개의 광통과홀(1640)이 마련되며, 복수개의 광통과홀(1640)은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발광부재(1700)가 하나의 광통과홀(1640)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형태로, 발광부재(1700)와 광통과홀(1640)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은, 각각의 발광부재(1700)의 전방에 배치된 각 광통과홀(1640)을 통해 소켓부재(1600)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의 이동 경로는, 그 전방에 배치된 각각의 광통과홀(1640)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 중에서 어느 발광부재(1700)가 점등되었는지가 조작장치(1000)의 외부에서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켓부재(1600)는, 제1결합부(1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1420)는, 제1돌출돌기부(1651)와 제1결합돌기부(16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돌기부(1651)는, 외측지지부(1610)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돌기부(1653)는, 제1돌출돌기부(165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돌기부(1653)는 제1제어기판(500)에 형성된 끼움공(5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소켓부재(160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소켓부재(1600) 상에서의 제1결합부(1420)의 위치는, 광통과홀(1640)의 위치와 발광부재(1700)의 위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결합부(1420)는, 제1결합돌기부(1653)가 제1제어기판(500)의 끼움공(510)에 끼움 결합되었을 때, 복수개의 광통과홀(1640)의 위치와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의 위치가 전후방향으로 일치될 수 있게 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1420)는, 제1제어기판(500) 상에서 소켓부재(1600)가 설치될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1결합부(1420)를 제1제어기판(500)에 끼움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소켓부재(1600)의 설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소켓부재(1600)는, 제2결합부(1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1660)는, 제2돌출돌기부(1661)와 제2결합돌기부(16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돌출돌기부(1661)는, 외측지지부(1610)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결합돌기부(1663)는, 제2돌출돌기부(166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1660)는, 후술할 전면커버부재(1800)와 소켓부재(160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제2돌출돌기부(1661)는 전면커버부재(18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면커버부재(1800)와 소켓부재(16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소켓부재(1600)에는, 복수개의 제1결합부(1420)와 제2결합부(166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켓부재(1600)에 2개의 제1결합부(1420)와 4개의 제2결합부(1660)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결합부(1420)와 제2결합부(166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소켓부재(1600)는, 제3결합부(16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결합부(1670)는, 제1연결지지부(163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플랜지형상부(163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결합부(1670)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결합부(1670)는 제1제어기판(500)에 형성된 체결홀(520)을 통해 제1제어기판(5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소켓부재(1600)가 제1제어기판(500)에 고정될 수 있다.
소켓부재(1600)에는, 복수개의 제3결합부(1670)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3결합부(1670)는, 플랜지형상부(1631)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배치된 복수개의 제3결합부(1670)가 복수개의 지점에서 제1제어기판(500)에 결합됨으로써, 소켓부재(160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결합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노브의 구조]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노브(1300)는 사용자가 회전 조작할 수 있게 마련된 구성으로서, 축결합부(1310)를 통해 샤프트(1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노브(1300)는, 스커트부(1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커트부(1320)는, 축결합부(1310)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커트부(13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커트부(1320)가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축결합부(1310)와 스커트부(1320)를 포함하는 노브(1300)는, 축결합부(1310) 및 스커트부(1320)가 동심원을 이루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노브(1300)는, 제2연결지지부(1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지지부(1330)는, 축결합부(1310)의 후방에 배치되며, 축결합부(1310)의 후방에서 축결합부(1310)와 스커트부(1320) 사이를 연결하는 원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제2연결지지부(1330)는, 축결합부(1310)와 스커트부(132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스커트부(1320)가 구심방향으로 함몰되지 않게 스커트부(1320)를 지지하는 기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지지부(1330)는, 소켓부재(1600)에 구비된 내측지지부(1620)의 전방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노브(1300)가 후방으로 이동했을 때 내측지지부(1620)를 후방으로 누르는 부분이 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노브커버(1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브커버(1350)는, 후방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브커버(1350)는, 스커트부(13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노브(1300)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쌀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커트부(1320)의 외주면에는 결합홈(132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321)은, 스커트부(1320)의 외주면으로부터 구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노브커버(1350)는, 결합홈(1321)에 삽입된 상태로 스커트부(13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노브커버(1350)는, 스커트부(1320)에서 원심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게 노브(130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노브커버(1350)는, 노브커버(1350)과 인접한 스커트부(1320)의 원심방향 최외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스커트부(13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커버(1350)는, 전면부(1360)와 측면부(1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부(136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축과 교차하는 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부(1360)의 전면은, 도어전면부(350)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부(1360)의 배면은, 노브커버(1350)가 노브(1300)에 설치되었을 때 축결합부(1310) 및 스커트부(1320)의 전방측 단부와 맞닿을 수 있다. 전면부(1360)의 배면이 축결합부(1310) 및 스커트부(1320)의 전방측 단부와 맞닿음으로써, 노브(1300)에 설치되는 노브커버(1350)의 전후방향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노브커버(1350)는, 사용자가 노브(1300)를 조작하기 위해 손으로 잡는 부분이면서, 노브(1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기에 적합한 재질 및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은 물론,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아야 한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노브커버(135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부(1360)의 외주면이 노브커버(1350)에 의해 덮이지 않은 스커트부(1320)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노브커버(135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1360)의 전면이 버튼(1400)의 누름부(1410)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그 자체에서 볼록하게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패여 들어간 곳 없이 심플하고 매끄러운 외관을 가지게 됨으로써, 미관을 통해 사용자가 느끼는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면커버부재의 구조]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전면커버부재(1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부재(1800)는, 노브(1300)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도어(300)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게 도어전면부(136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부재(1800)는, 노브(1300)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노브(1300)를 그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커버부재(1800)가 노브(1300)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소켓부재(1600)의 전방에 배치되며, 소켓부재(160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소켓부재(1600)의 전방에서 소켓부재(16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외측지지부(1610)를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전면커버부재(1800)는, 전방에서 바라본 외측지지부(16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소켓부재(1600)에 결합되어 외측지지부(1610)를 전방에서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지지부(1610)에 형성된 광통과홀(1640)의 전방은 전면커버부재(1800)에 의해 차폐되고, 이로써 광통과홀(1640) 및 그 후방의 발광부재(1700)는 전면커버부재(1800)에 가려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아울러 전면커버부재(1800)는, 투광성 또는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커버부재(1800)가 금속 질감을 갖는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소켓부재(1600)와 그에 형성된 구멍인 광통과홀(1640), 그리고 발광부재(17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리는 역할을 함과 더불어, 발광부재(1700)에 의해 발산된 빛이 은은하게 퍼져 보이게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전면커버부재(1800)는, 불필요하게 도어(300) 외부로 노출되어 미감을 해칠 수 있는 부분을 보이지 않게 덮는 마감재로 이용될 수 있고, 금속 질감을 통해 해당 마감 부분이 더욱 고급스러워 보이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할 뿐 아니라, 해당 부분을 통해 비치는 불빛이 은은하게 퍼져 보이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커버부재(1800)를 통해, 조작장치(1000) 및 그 주변부의 미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조작장치(1000)를 통해 제공되는 표시등 또한 은은하고 더욱 아름다운 형태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발광부재(1700)의 점등은, 샤프트(1100)의 회전에 연동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샤프트(1100)의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발광부재(1700)가 점등될 수 있고, 샤프트(1100)의 회전이 계속해서 이루어지면 그에 대응하여 다른 발광부재(1700)가 점등될 수 있다.
이때 샤프트(1100)의 회전은, 엔코더(12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이처럼 엔코더(1200)에 의해 취득된 샤프트(1100)의 회전에 관한 정보는 조작신호로 생성되고, 제1제어기판(500)에 마련된 제어부는 이를 수신하여 발광부재(1700)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면커버부재(1800)와 소켓부재(1600) 간의 결합은, 끼움 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면커버부재(1800)에는, 결합보스(1810)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보스(1810)는, 전면커버부재(180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보스(1810)에는, 소켓부재(1600)의 제2결합부(166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돌출돌기부(166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결합보스(1810)와 제2결합부(1660) 간의 결합에 의해, 전면커버부재(1800)와 소켓부재(16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커버부재(1800)에는, 복수개의 결합보스(18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결합보스(1810)의 배치 위치 및 개수는, 제2결합부(1660)의 배치 위치 및 개수에 대응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면커버부재(1800)와 결합되는 소켓부재(1600)에는, 삽입홈(1611)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1611)은,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에 원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노브(1300)에는, 돌기부(1340)가 마련될 수 있다. 돌기부(1340)는, 스커트부(1320)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돌기부(1340)는, 삽입홈(1611)에 삽입되고, 이를 통해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홈(1611)은, 소켓부재(1600)의 내부 및 전방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소켓부재(16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삽입홈(1611)의 개방된 전방을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부(1340)는, 삽입홈(1611)과 전면커버부재(1800)로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1611)의 개방된 전방측을 통해 돌기부(1340)가 삽입홈(16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이로써 노브(1300)가 소켓부재(160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노브(1300)가 설치된 소켓부재(1600)의 전방에 전면커버부재(1800)가 설치됨으로써, 전방을 향한 노브(1300)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노브(130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의 구조]
도 3을 참조하면,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바꾸어 표현하면, 힌지 어셈블리(800)는 트레이(200)의 좌우방향 양측 외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하우징(100)의 좌우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은,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배치된 각각의 힌지 어셈블리(8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 좌측 모서리와 우측 모서리 부분이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된 힌지 어셈블리(8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300)는, 이처럼 힌지 어셈블리(8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하우징(100)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게 된다.
각각의 힌지 어셈블리(800)는, 힌지케이스(830) 및 힌지부(810)와 및 거치돌기(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케이스(830)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힌지케이스(830)는, 힌지부(810)와 거치돌기(820)의 일부분, 그리고 변환출력부(84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케이스(830)에는, 힌지부(810)를 지지하기 위한 각종 구조물, 그리고 후술할 냉각유로(850; 도 53 참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810)는, 힌지케이스(830)에 위치 변화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810)는, 도어(300)의 회동 궤도에 대응되는 궤도를 따라 회동될 수 있게 힌지케이스(830)에 설치될 수 있다. 힌지부(810)의 상단은, 도어(3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도어(300)와 결합된 힌지부(810)는,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그 자세가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부(810)와 결합된 도어(300)는, 힌지부(810)에 의해 그 회동 궤도 및 범위가 안내될 수 있다.
[조리기기의 전도 발생 억제 구조]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0은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무게 중심 변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20을 참조하면, 힌지부(810)는 하우징(100)의 양 측면(130) 측에 배치되되,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인접한 측에 각각 배치된다. 즉 힌지부(810)는, 하우징(100)의 양측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힌지부(810)는, 도어(300)와 결합되되,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에 결합된다. 즉 힌지부(810)는 도어상면부(310)의 양측 후방에 각각 결합되고, 도어(300)는 이처럼 힌지부(810)와 결합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조리실(105)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도어(300)는, 하우징(100)의 전면과 상면을 개방한 상태(이하 "개방상태"라 한다)일 때, 하우징(100)의 전면과 상면을 폐쇄한 상태(이하 "폐쇄상태"라 한다)일 때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처럼 도어(300)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폐쇄상태일 때보다 개방상태일 때 그 위치가 후방에 치우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방상태일 때 그 위치가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치우치게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도어(300)는,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조리기기의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첫 번째 구성은, 도어(300)가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폐쇄상태일 때보다 개방상태일 때 도어(300)의 위치가 후방에 치우치며, 이로써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조리기기의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는 것이다(G1→G1').
한편 도어(300) 자체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어(300)는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제공된다. 즉 도어(300)가 폐쇄상태일 때,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는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도어(300)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부피가 차지하는 비중이 도어전면부(350)의 부피가 차지하는 비중보다 크고, 이에 따라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이 도어전면부(350)가 차지하는 비중보다 크다. 따라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도어(300)의 전후방향 중심보다 후방에 치우치게 위치하게 된다(G2→G2').
도어(300)가 개방되기 위해 후방으로 회동하게 되면,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점차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어(300) 상에서, 도어전면부(350)는 전방측에 배치되고 도어상면부(310)는 그 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정도가 커지게 된다.
다시 말해,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조리기기 전체의 무게 중심도 더 신속하게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두 번째 구성은,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도어(300)가 제공되고, 이에 따라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 및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도어(300)에는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이 마련되며,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시창(W)은 한 쌍의 글라스(330,335; 도 11 참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글라스는 무게가 많이 나가는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글라스로 형성된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면, 도어상면부(310)의 무게는 그만큼 증가될 수밖에 없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투시창(W)은 한 쌍의 글라스(330,335), 즉 두 겹의 글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는 그만큼 더 증가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됨에 따라,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은 투시창(W)을 형성하는 글라스의 무게만큼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 및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제1가열부(400)로 인해 도어상면부(310) 측에 무게가 증가된 만큼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상면부(310)의 저면측에는 한 쌍의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다. 이때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중 하나의 제1가열부(400)는 힌지부(810)와 인접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가열부(4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됨에 따라,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은 제1가열부(400)의 무게만큼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 및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제1가열부(400)로 인해 도어상면부(310) 측에 무게가 증가된 만큼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더욱이 힌지부(810)와 인접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에 배치된 제1가열부(400)에 의해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로써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 및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세 번째 구성은,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종합하면, 본 실시예의 도어(300)는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위치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고,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제공되며,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도어(300)는, 조리실(105)이 개방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도어(300) 자체가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한편, 도어(300)의 후방 회동에 따라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신속하게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도어(300)는, 조리실(105)이 개방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도록 작용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방 전도 발생 위험성을 현저히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300)는 힌지부(810)와 결합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는데,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힌지부(810) 측으로 작용하게 된다.
힌지부(810)는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결국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은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만큼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도어(300) 자체의 위치 변화와 도어(300) 자체의 무게 중심 변화로 인한 영향에 더하여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영향이 추가적으로 작용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후방측으로 더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네 번째 구성은,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영향이 추가적으로 작용될 수 있도록, 도어(300)와 힌지부(810) 간의 결합점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도어(300) 측에서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는, 도어(300)에 작용하는 힘, 그리고 이 힘이 작용하는 위치와 회전축(도어와 힌지부의 결합 부분) 간의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도어(300)에는 중력만이 작용한다고 할 것인데, 중력은 도어(300)의 전체 부분에 작용하게 되므로, 도어(300)의 무게 중심에 중력이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멘트는,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도어(300)와 힌지부(810)의 결합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고(M1), 가까워질수록 작아진다고(M2)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300)가 조리실(105) 개방을 위해 후방으로 회동할수록 도어(300)의 무게 중심도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300) 측에서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도 함께 감소될 수 있다(M1→M2). 즉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도어(300) 측에서의 모멘트가 감소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 개방시 도어(300)로 인해 조리기기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다섯 번째 구성은, 도어(300)로 인해 조리기기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도록,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후방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구성이다.
[도어 구성 부품들의 배치 구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전면부(350)에는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고, 도어상면부(350)에는 투시창(W) 및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 구조는, 임의로 선택된 배치 구조가 아니라, 조리기기의 편의성, 안전성을 최대로 향상시키기 위한 설계의 결과로 도출된 배치 구조이다.
이에 따르면, 조작장치(1000)는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 도어상면부(310)에는 투시창(W)이 배치되는데, 이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하기 때문에 도어상면부(310)에는 조작장치(1000)가 배치될만한 마땅한 공간이 마련되기 어렵다.
특히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이 글라스(330)로 덮여 있음을 감안하면, 도어상면부(310)에는 조작장치(1000)가 설치될만한 부분이 마련되기 어렵다.
도어상면부(310)에는, 투시창(W) 외에도 제1가열부(400)가 설치된다. 제1가열부(400)는 높은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부품이며, 도어상면부(310)는 사용자의 접촉이 가능한 외측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그 상부면 대부분의 영역이 글라스(330)로 덮인 형태로 제공된다.
도어(300)의 외관 골격을 형성하는 금속 재질에 비해 글라스(330)의 열전도성이 낮으므로, 도어상면부(310)의 상부면 대부분의 영역을 글라스(330)로 덮음으로써, 제1가열부(400) 등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사용자의 접촉이 가능한 도어상면부(310)의 외측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고자 한 것이다.
만약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이 글라스(330)로 덮여있지 않고 투시창(W) 부분에만 글라스(330)가 덮인다고 하더라도, 조작장치(1000)의 설치가 가능한 영역은 투시창(W)의 평면방향 외측 영역으로 한정된다.
그러나 이 영역은 제1가열부(400)의 바로 위 영역이므로, 이 영역에 조작장치(1000)의 설치가 이루어지면, 조작장치(1000)가 고온의 열에 노출될 수밖에 없게 된다.
조작장치(1000)가 이러한 환경에 설치되면, 조작장치(1000)를 구성하는 각 조작 스위치, 그리고 각 조작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나 각종 전자부품에 좋지 않은 영향이 미칠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상승하는 열의 특성 상 도어전면부(350)보다는 도어상면부(310)가 좀 더 고온 상태에 놓일 수밖에 없는데, 더욱이 제1가열부(400)가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됨을 고려하면, 도어상면부(310)의 온도는 대부분 도어전면부(350)보다 고온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도어상면부(310)에 조작장치(1000)가 배치된다면, 조작장치(1000) 자체에 좋지 않은 영향이 미치게 될 뿐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도어상면부(310)와 접촉하여 화상을 입을 우려도 커지게 된다.
제1가열부(4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는 것은, 제1가열부(400)가 트레이(200)를 사이에 두고 제2가열부(600)와 마주보는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이와 같이 제1가열부(400)가 트레이(200)의 상부에 배치되어야 트레이(200)에 놓인 음식물을 위에서 고르게 가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될 수밖에 없다.
또한 투시창(W)이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되면,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상부에 형성된 투시창(W)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를 상부에서 내려다볼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투시창(W)도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될 수밖에 없게 된다.
즉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할 때 제1가열부(400)와 투시창(400)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은 제1가열부(400)와 투시창(400)에 의해 점유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조작장치(1000)는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조리기기를 정면에서 마주하며 조리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와 마주하는 면인 도어전면부(350)에 조작장치(1000)가 배치되면, 사용자가 조작장치(1000)를 좀 더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장치(1000) 조작도 좀 더 쉽고 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에 비해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부품들이 설치될 필요가 없는 부분이다. 즉 도어전면부(350)에는 투시창(400)이나 제1가열부(400)와 같은 무겁고 크기가 큰 부품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는 도어상면부(310)에 비해 공간적 여유가 있다.
이러한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에는,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제어기판(500)이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게 된다.
제1제어기판(500)에는, 조작장치(100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된다.
이러한 제1제어기판(500)이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되면,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이 매우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제1제어기판(500)은 조작장치(100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조작장치(1000)와 반드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제어기판(500)이 조작장치(1000)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면, 제1제어기판(500)과 조작장치(100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매우 쉽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제1제어기판(500) 상에 직접 장착된 형태로 제1제어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되므로,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연결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제어기판(500)은 제1가열부(400)와도 상당히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되므로, 제1가열부(40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전기적인 연결도 매우 쉽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조작장치(1000)가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되면, 설치 공간이 마땅치 않은 도어상면부(310)를 피해 상대적으로 공간 여유가 있는 부분에 조작장치(1000)가 설치될 수 있어 조작 스위치의 크기, 개수, 위치 등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질 수 있고, 고온의 영향을 덜 받아 조리기기의 동작 안정성 및 사용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과 제1가열부(400) 간의 전기적인 연결도 매우 쉽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상면부(310)에 투시창(W) 및 제1가열부(400)가 배치되고 도어전면부(350)에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면, 도어상면부(310)에는 상대적으로 중량인 부품의 배치가 이루어지고 도어전면부(350)에는 상대적으로 경량인 부품의 배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어상면부(310)에 상대적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는 투시창(W) 및 제1가열부(400)의 배치가 이루어지고 도어전면부(350)에 상대적으로 무게가 적게 나가는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의 배치가 이루어지므로, 도어상면부(310)가 도어전면부(35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무거워지고, 이에 따라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도어(300)의 후방측으로 좀 더 쏠리게 된다.
더욱이 도어(300)가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도어(300)의 후방측으로 확연하게 쏠리게 된다.
또한 힌지부(810)가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결국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만큼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도어의 개방시에도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릴 우려가 적어지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고, 이로써 조리기기의 안전성 및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장치(1000)가 하우징(100)이 아닌 도어(30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300)가 상부측에 배치되는 도어상면부(310)와 전방측에 배치되는 도어전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종래 조리기기에서 도어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하던 구성인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므로, 도어전면부(350)에는 조작장치(1000)가 배치될만한 충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전면부(350)에는 투시창(W)이나 제1가열부(400)와 같은 구성들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는 조작장치(1000)와 근접하게 연결되어야 하는 구성인 제1제어기판(500)이 설치되기에 충분한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도어(300)에 설치되기에 유리한 환경이 제공되며, 이에 따라 도어(300)에 조작장치(1000)가 배치되는 효율적인 조작장치(1000)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도어(300)에 설치됨으로써, 도어(300)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400)와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 간의 전기적인 연결도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제1가열부(400)와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도어(300) 내부에서 이루어짐은 물론, 이를 위한 배선 길이도 짧아질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간결하고 깔끔한 배선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이러한 배선 처리가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도어(300)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작장치(1000)가 도어(300)에 설치되면,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하우징(100)에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은,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고려할 필요 없이, 오로지 조리실(105)의 크기와 도어(300)의 크기만을 고려한 크기와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은,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삭제한 만큼 감소된 크기로 제공될 수 있고, 도어(300)의 크기도 하우징(10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만큼 큰 크기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하우징(100)의 크기는 줄이면서도 트레이(200) 및 음식물이 출입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출입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컴팩트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더욱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어전면부의 내부 구조]
도 21은 도어전면부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에는 제1냉각팬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도 13 및 도 21을 참조하면, 도어(300)는 도어본체부(30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본체부(300a)는, 도어(3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본체부(300a)는, 도어상면부(31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과 도어전면부(35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이 "ㄱ" 형상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어본체부(300a) 중 도어상면부(31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을 제1도어본체부(310a), 도어본체부(300a) 중 도어전면부(35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을 제2도어본체부(350a)라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본체부(300a)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에는, 후술할 지지패널(550), 및 이에 설치되는 제1제어기판(500), 온도센서(580) 등과 같은 전장부품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본체부(300a) 내부의 수용공간은, 일측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도어본체부(300a) 중 제1도어본체부(310a)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은, 하부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본체부(300a) 중 제2도어본체부(350a)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은, 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도어배면커버(350b)는, 도어본체부(300a)의 개방된 일측을 덮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배면커버(350b)가 제2도어본체부(350a)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도어배면커버(350b)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후방에 배치되며, 제2도어본체부(350a)의 개방된 후방을 덮을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도어배면커버(350b)는 브라켓(590)을 매개로 도어본체부(300a)와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도어본체부(300a)와 결합된 도어배면커버(350b)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개방된 후방을 덮음으로써, 제2도어본체부(350a) 내부에 수용된 각종 전장부품들이 도어본체부(300a)와 도어배면커버(350b)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2도어본체부(350a)와 도어배면커버(350b)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는, 지지패널(55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패널(550)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패널(550)은, 도어본체부(300a)와 도어배면커버(35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도어본체부(300a)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패널(550)은 브라켓(590)을 매개로 제2도어본체부(350a) 및 도어배면커버(350b)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제2도어본체부(350a) 및 도어배면커버(350b)에 결합된 지지패널(550)은, 제2도어본체부(350a) 및 도어배면커버(350b), 특히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제어기판(500)은, 지지패널(55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제어기판(500)은, 지지패널(550)에 고정됨으로써, 제2도어본체부(350a)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제어기판(500)에는 엔코더(1200) 및 샤프트(110)가 설치될 수 있고, 조작장치(1000)는 샤프트(1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도어본체부(350a)에는, 조작장치(1000)가 샤프트(110)에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통로를 형성하는 관통홀(351a)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300)의 전면에 배치되는 조작장치(1000)의 일부분은, 관통홀(351a)을 통해 제2도어본체부(350a)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패널의 구조 - 제1제어기판 관련 영역]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지지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2에는 제1냉각팬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도 13과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지지패널(550)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패널(550)도 이와 유사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패널(550)은, 메인패널부(551) 및 위치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패널부(551)는, 지지패널(550)의 골격을 형성한다. 이러한 메인패널부(551)는, 제1제어기판(500)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패널부(551)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형상과 유사한 형상,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 메인패널부(551)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패널부(551)는, 가벼운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제어기판(500) 및 이에 설치되는 각종 전장부품들을 지지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위치규제부는, 메인패널부(551)에 구비될 수 있다. 위치규제부는, 메인패널부(551)에 지지되는 제1제어기판(500)의 위치를 규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메인패널부(551)에서 돌출된 구조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규제부는, 하부지지부(553)와 측부지지부(5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규제부가 하부지지부(553) 및 측부지지부(555)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하부지지부(553)는 제1제어기판(5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측부지지부(555)는 제1제어기판(50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패널(550)은 제1영역(550a)과 제2영역(55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550a)은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는 영역이며, 제2영역(550b)은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이다. 하부지지부(553)는, 제2영역(550b)에 배치되되, 제1영역(550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측부지지부(555)는, 제2영역(550b)에 배치되되, 제1영역(550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제어기판(500)의 상하방향 위치와 측방향 위치는, 상기 하부지지부(553)와 측부지지부(555)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 즉 제1영역(550a)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지지부(553)에 의해 제1제어기판(500)의 상하방향 위치가 규제되고, 제1영역(550a)의 측부에 배치된 측부지지부(555)에 의해 제1제어기판(500)의 측방향 위치가 규제됨으로써, 제1제어기판(500)의 배치 위치가 제1영역(550a)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부(553)와 측부지지부(555) 중 적어도 하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는, 몸체부(553a) 및 돌출부(553b)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53a)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553a)는, 측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553b)는, 몸체부(553a)로부터 제1제어기판(500)을 향해 돌출되되,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지지부(553)와 측부지지부(555) 모두가 후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하부지지부(553)에 포함되는 후크의 돌출부(553b)는, 몸체부(553a)로부터 상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측부지지부(555)에 포함되는 후크의 돌출부(553b)는, 몸체부(553a)로부터 측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돌출부(553b)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돌출되되,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제1제어기판(500)의 두께만큼 이격된 위치에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형성되는 메인패널부(551)와 돌출부(553b) 사이의 공간에는, 제1제어기판(50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즉 하부지지부(553)에는 제1제어기판(50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고, 측부지지부(555)에는 제1제어기판(500)의 측단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제어기판(500)은, 하부지지부(553) 및 측부지지부(555)에 의해 그 전후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즉 제1제어기판(500)의 후방은 메인패널부(551)에 의해 지지되고 제1제어기판(500)의 전방은 돌출부(553b)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제1제어기판(500)의 전후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종합하면, 제1제어기판(500)의 측방향 위치는 하부지지부(553) 및 측부지지부(555)에 의해 규제되고, 제1제어기판(500)의 전후방향 위치는 메인패널부(551) 및 돌출부(553b)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제어기판(500)은 제1영역(550a), 즉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도록 설계된 위치에 정확히 배치되면서 지지패널(550) 상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하부지지부(553)는, 좌우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제어기판(500)의 하부가 하부지지부(553)에 의해 더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게 되므로, 제1제어기판(500)이 지지패널(550) 상에 더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패널(550)은, 리브(5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브(552)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메인패널부(551)와 제1제어기판(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552)는, 지지패널(550)의 구조적 강성을 더 향상시키는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리브(552)는, 제1제어기판(500)과 메인패널부(551)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제어기판(500)의 열이 방출되는데 필요한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지지패널의 구조 - 제1제어기판 외 기타 전장부품 관련 영역]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지지패널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24는 온도센서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 21 내지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온도센서(580)는, 길고 가느다란 봉 형상의 센서본체(581), 및 센서본체(581)로부터 돌출되는 플랜지(5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583)는, 센서본체(581)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사각 형상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580)는, 지지패널(550)에 고정된 형태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패널(550)은 온도센서지지부(5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지지부(557)는, 제2영역(550b) 즉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지지부(557)는 온도센서(580)를 지지하며, 이로써 온도센서(580)는 온도센서지지부(557)에 의해 지지되어 제2영역(550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지지부(557)는, 제2측벽부(557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측벽부(557a)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2측벽부(557a)의 내부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측벽부(557a)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사각기둥의 내부가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온도센서(580)는, 제2측벽부(557a)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온도센서(580)의 플랜지(583)는, 상하좌우방향 위치가 제1측벽부(556a)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
그리고 온도센서지지부(557)는, 제2지지면부(557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면부(557b)는, 제2측벽부(557a)로부터 제2측벽부(557a)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며, 전후방향과 교차하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지지면부(557b)는 메인패널부(551)와 나란한 평면이 제2측벽부(557a)의 내부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측벽부(557a)의 내부에 삽입된 플랜지(583)는 플랜지(583)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지지면부(557b)와 접촉될 수 있고, 그 결과 온도센서(580)의 후방 이동이 규제될 수 있다.
즉 제2측벽부(557a)의 내부에 삽입된 온도센서(580)는, 상하좌우방향 위치가 제2측벽부(557a)와 플랜지(583) 간의 간섭으로 인해 규제되고 전후방향 위치가 제2지지면부(557b)와 플랜지(583) 간의 간섭으로 인해 규제된 형태로, 온도센서지지부(557)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온도센서지지부(557)는, 보스부(557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스부(557c)는, 제2지지면부(557b)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지지면부(557b)는 메인패널부(551)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보스부(557c)는 이러한 제2지지면부(557b)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보스부(557c)는, 메인패널부(551)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지는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부(557c)의 내부에는 체결홀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홀은 제2지지면부(557b)의 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583)에도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583)의 체결홀은, 보스부(557c)의 체결홀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583)의 체결홀과 보스부(557c)의 체결홀이 서로 중첩될 수 있게 플랜지(583)가 제2지지면부(557b)와 접촉된 상태에서, 플랜지(583)의 후방으로부터 스크류가 체결홀을 통과하여 보스부(557c)와 체결되면, 플랜지(583)가 제2지지면부(557b)와 밀착되며 온도센서지지부(557)에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온도센서(580)가 지지패널(550) 상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온도센서지지부(557)는, 후크(557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크(557d)는, 제1측벽부(557a)로부터 온도센서지지부(557)의 내부, 즉 제2측벽부(557a)의 내부를 향해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측벽부(557a)의 하부측에 배치된 후크(557d)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2측벽부(5567a)의 상부측에 배치된 후크(557d)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측벽부(557a)의 하부측과 상부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557d)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리고 이러한 후크(557d)는, 제2지지면부(557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후크(557d)는, 제2지지면부(557b)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되, 제1지지면부(557b)로부터 온도센서(580)의 일부분의 두께만큼,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플랜지(583)의 두께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형성되는 제2지지면부(557b)와 후크(557d) 사이의 공간에는, 온도센서(580)의 일부분, 즉 플랜지(583)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센서(580)의 1차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온도센서(580) 체결 작업이 좀 더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설치된 온도센서(580)에 따르면, 센서본체(581)의 후방은 도어배면커버(350b)를 관통하여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온도센서(580)는, 도어전면부(350) 내부에서 도어전면부(35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조리실(105)에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본체(581)의 후방이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된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의 내부에서 조리실(105)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도 63 참조).
그리고 센서본체(581)의 전방은, 도어(300)의 내부로 노출되어 제1제어기판(50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센서본체(581)의 전방이 케이블을 통해 제1제어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센서(580)의 측정 결과는 제1제어기판(500)으로 전송될 수 있고, 제1제어기판(500)은 이를 기초로 제1가열부(400) 등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저지지부(557)는, 지지패널(55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도어배면커버(350b)에는 함몰부(351b)가 마련될 수 있다. 함몰부(351b)는, 도어배면커버(350b) 중 온도센서지지부(557)의 후방에 위치한 일부분이 후방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351b)는, 전방에서 봤을 때에는 후방으로 함몰된 형상, 후방에서 봤을 때는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온도센서지지부(577)는, 함몰부(351b)에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함몰부(351b)에는, 센서본체(581)가 도어배면커버(350b)를 통과하는데 필요한 통과홀(352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지패널(550)은, 케이블고정부(5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고정부(558)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제어기판(500)과 온도센서지지부(55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고정부(558)는, 제1제어기판(500)과 온도센서지지부(557) 사이를 연결시키는 케이블을 지지패널(5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블고정부(558)는, 한 쌍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후크는, 몸체부(558a) 및 돌출부(558b)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58a)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558a)는, 측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558b)는, 몸체부(558a)로부터 인접한 다른 후크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후크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되, 각 후크의 돌출부(558b)가 서로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후크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558b)가 배치된 부분인 두 후크의 전방 부분의 간격은, 몸체부(558a)가 배치된 부분인 두 후크의 후방 부분의 간격보다 훨씬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돌출부(558b) 간의 간격이 케이블의 직경보다 더 좁거나 아예 두 돌출부(558b)가 서로 접촉될 정도로 후크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이 케이블고정부(558)의 전방으로부터 케이블고정부(558)에 끼워질 수 있으며, 이처럼 케이블고정부(558)에 끼워진 케이블은 케이블고정부(558)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없다.
아울러 상기 지지패널(550)에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부(558)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제어기판(500)에는 케이블과 제1제어기판(500) 간의 연결을 위한 단자(50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자(501)는, 제1제어기판(500) 상에서 하부에 치우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과 도 21 및 22를 참조하면, 조작장치(1000)와 관련된 구성, 즉 샤프트(110), 엔코더(1200)와 같은 구성은 제1제어기판(50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측에 배치된다. 조작장치가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와 연결되는 샤프트(110), 엔코더(1200) 등은 제1제어기판(50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측에 배치되어야 한다.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하부에 치우친 위치에 손잡이(305)가 배치되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서 조작장치(1000)의 배치에 적합한 공간을 확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조작장치(1000)가 되도록 상부에 배치되어야 사용자가 조작장치(1000)를 조작하기 쉽다는 점도 고려되어야 한다.
만약 손잡이(305)가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면, 조작장치(1000)는 그 하부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 경우, 손잡이(305)로 인해 조작장치(1000)의 조작이 매우 불편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
또한 손잡이(305)가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면, 도어(300)의 개폐에도 많은 힘이 들어가게 되고, 조작에도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조작장치(1000)의 배치 위치는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작장치(1000)가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샤프트(110), 엔코더(1200) 등은 제1제어기판(50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제어기판(500)의 상부 영역이 샤프트(110), 엔코더(1200) 등에 의해 대부분 점유됨에 따라, 단자(501)의 배치 위치는 제1제어기판(500) 상에서 하부에 치우친 위치로 결정된다.
한편 온도센서지지부(557) 및 이에 장착된 온도센서(580)는, 지지패널(5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580)는, 통신모듈(570)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단자(501)보다는 샤프트(110) 및 엔코더(1200)에 가까운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580)가 지지패널(5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상세한 이유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온도센서(580)와 단자(501) 간의 높이 차가 발생됨에 따라, 온도센서(580)와 단자(501) 간의 거리도 그만큼 멀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온도센서(580)와 단자(501)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그만큼 그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고, 도어(300)의 내부는 길어진 케이블로 인해 복잡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부(558)가 온도센서지지부(557)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조가 제시된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부(558)는, 온도센서(580)와 단자(501)의 위치 특성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케이블을 복수개의 지점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센서(580)와 제1제어기판(50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지지패널(550) 상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됨으로써, 도어(300)의 내부가 더욱 깔끔하고 정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지패널(550)은, 케이블지지부(5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지지부(559)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제어기판(5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고정부(558)는, 제1제어기판(500)과 연결된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다. 케이블지지부(559)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은, 제1제어기판(500)과 제1가열부 사이를 연결하는 것일 수도 있고, 제1제어기판(500)과 제2제어기판 사이를 연결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케이블지지부(559)는, 제1돌기부(559a) 및 제2돌기부(559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부(559a)는, 메인패널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돌기부(559b)는, 제1돌기부(559a)로부터 메인패널부(551)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2돌기부(559b)는, 메인패널부(551)와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패널(550)에는, 복수개의 케이블지지부(559)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블지지부(559)는, 지지패널(550)의 테두리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블지지부(559) 중 일부는 지지패널(550)의 하부 테두리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케이블지지부(559) 중 다른 일부는 지지패널(550)의 측부 테두리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패널(550)의 하부 테두리에 인접되게 배치된 케이블지지부(559)와 지지패널(550)의 측부 테두리에 인접되게 배치된 케이블지지부(559)의 형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지지패널(550)의 하부 테두리에 인접되게 배치된 케이블지지부(559)에서는, 제2돌기부(559b)가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패널(550)의 측부 테두리에 인접되게 배치된 케이블지지부(559)에서는, 제2돌기부(559b)가 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케이블은, 제1돌기부(559a)와 제2돌기부(559b)로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되는 형태로 케이블지지부(55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의 배치 위치는, 지지패널(550)의 테두리에 인접한 영역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 위치가 안내된 케이블은, 지지패널(550)의 테두리에 가깝게 배치되면서 제1제어기판(5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제어기판(500)과 연결되는 케이블이 지지패널(550)의 테두리에 가깝게 배치된 상태로 지지패널(550) 상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도어(300)의 내부가 더욱 깔끔하고 정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제1제어기판(500) 상에 실장된 각종 부품들과 케이블 간의 불필요한 접촉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패널(550)은, 지지돌기(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돌기(560)는, 메인패널부(551)와 마주보는 도어본체부(300a)를 향해,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향해 메인패널부(55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560)는, 제1제어기판(500)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돌기(560)는 지지패널(550)의 하부 테두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돌기(560)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간섭되어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간의 간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돌기(560)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제어기판(500)의 상부 영역에는 샤프트(110) 및 엔코더(12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샤프트(110) 및 엔코더(1200)를 감싸는 소켓부재(1600)도 제1제어기판(50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다.
소켓부재(1600)의 후방측은 제1제어기판(500)에 결합되고, 소켓부재(1600)의 전방측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접촉될 수 있다. 즉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사이에 소켓부재(1600)가 개재되고,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사이의 간격은 소켓부재(160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지지패널(550)의 상부 영역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향해 휘어지지 않게 소켓부재(16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반대로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도 지지패널(550)을 향해 휘어지지 않게 소켓부재(16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런데 소켓부재(1600)와 같은 구조물이 배치되지 않은 지지패널(550)의 하부 영역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향해 휘어질 우려가 있게 된다. 또한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의 하부 영역도 지지패널(550)을 향해 휘어질 우려가 있다.
예컨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이 눌려 휘어지거나 도어배면커버(350b)가 눌려 휘어질 경우,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간의 간격이 지나치게 좁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제어기판(500)에 실장된 부품들이 파손될 수도 있고,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형상이 변화되어 도어(300)의 미관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패널(550)의 하부측에 지지돌기(560)가 마련된다. 이 지지돌기(560)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한편,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이 후방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종합하면, 지지패널(550)의 상부측에는 소켓부재(1600)가 배치되어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의 상부측 사이를 지지하고, 지지패널(550)의 하부측에는 지지돌기(560)가 마련되어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의 하부측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지지패널(550) 및 이에 설치된 제1제어기판(500)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의 간격을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도어(30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충격이나 가압에 의한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의 변형 발생이 억제될 수 있는 등, 도어(300)의 구조적 안정성도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어와 지지패널과 도어배면커버 간의 결합 구조]
도 25는 도 21에 도시된 브라켓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6은 지지패널과 도어배면커버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27은 도어본체부 전면과 지지패널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8은 도어전면부의 내부 구성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에는 제1냉각팬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도 21 내지 도 22 및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브라켓(5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590)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590)은, 지지패널(550)과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시키며 지지패널(550)을 도어본체부(300a)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패널(550)은, 제1영역(550a)과 제2영역(550b) 외에, 결합영역(550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영역(550c)은, 제1영역(550a)과 제2영역(550b)을 포함한 영역의 좌우방향 양측 외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영역(550c)은 지지패널(550)의 측방향 양측 테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590)은, 제1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각각의 결합영역(550c)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브라켓(590)은, 결합영역(550c)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브라켓(590)은,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 및 연결부(59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591)는, 결합영역(550c)과 나란한 결합면을 형성한다. 예컨대, 제1결합부(591)는, 좌우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더 긴 사각 형상의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593)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나란한 결합면을 형성한다. 얘컨대, 제2결합부(593)는, 제1결합부(591)와 유사한 사각 형상의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결합부(593)는, 제1결합부(591)보다는 상하방향 길이가 짧고 좌우방향 길이는 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결합영역(550c)이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도 전후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595)는,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가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595)는,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595)는 제1결합부(591) 및 제2결합부(593)를 가로지르는, 좀 더 바람직하게는 제1결합부(591) 및 제2결합부(593)와 직교하는 사각 형상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590)은, 상기와 같은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 및 연결부(595)가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590)은, 상부에서 봤을 때, 제1결합부(591)와 연결부(595) 및 제2결합부(593)가 "ㄷ"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590)이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지지패널(550)의 상에서 제1영역(550a)과 제2영역(550b)의 좌측과 우측에 결합영역(550c)이 각각 배치되고, 브라켓(590)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좌측의 결합영역(550c) 사이,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우측의 결합영역(550c)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브라켓(590) 중 좌측에 배치되는 브라켓(590)에서는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의 좌측 단부가 연결부(59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브라켓(590) 중 우측에 배치되는 브라켓(590)에서는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의 우측 단부가 연결부(59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좌측에 배치되는 브라켓(590)은 제1결합부(591)와 연결부(595) 및 제2결합부(593)가 "ㄷ"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좌측에 배치되는 브라켓(590)은 제1결합부(591)와 연결부(595) 및 제2결합부(593)가 "コ"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결합부(591)와 결합영역(550c)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돌기(561)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부(591)와 결합영역(550c) 중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홀(591a)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561)는, 제1결합부(591)와 결합영역(550c) 중 어느 하나에서 제1결합부(591)와 결합영역(550c)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홀(591a)은 제1결합부(591)와 결합영역(550c) 중 다른 하나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591)와 결합영역(550c)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된 가이드돌기(561)는, 제1결합부(591)와 결합영역(550c)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가이드홀(591a)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돌기(561)가 결합영역(550c)에 마련되고 가이드홀(591a)이 제1결합부(591)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가이드돌기(561)는 결합영역(550c)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이러한 가이드돌기(561)는 그 전방에 위치한 가이드홀(591a)에 삽입되며 제1결합부(591)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결합영역(550c)에 복수개의 가이드돌기(561)가 마련되고, 각각의 제1결합부(591)에 복수개의 가이드홀(591a)이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각각의 결합영역(550c)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561)가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제1결합부(591)에는 한 쌍의 가이드홀(591a)이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하나의 가이드돌기(561)와 하나의 가이드홀(591a)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가이드홀(591a)에 하나의 가이드돌기(561)가 삽입될 수 있게 복수개의 가이드돌기(561)와 가이드홀(591a)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돌기(561)는, 후크를 포함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후크는, 몸체부(561a) 및 돌출부(561b)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61a)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561a)는,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561b)는, 몸체부(561a)로부터 돌출되되,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후크를 등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후크 중 상부에 배치된 후크의 돌출부(561b)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고, 한 쌍의 후크 중 하부에 배치된 후크의 돌출부(561b)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가이드돌기(561)는, 가이드홀(591a)을 통해 제1결합부(591)를 관통하면서 제1결합부(591)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가이드돌기(561)와 제1결합부(591) 간의 결합에 의해,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1차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1차적인 결합이란,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 위치가 안내되는 결합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결합영역(550c)과 제1결합부(591)에는 체결홀(562,591b)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 체결홀(562,591b)들은, 체결부재(565)를 이용한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체결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여기서 체결부재(565)는, 전술한 체결부재(563)와 동일 또는 유사한 스크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영역(550c)의 체결홀(562)과 제1결합부(591)의 체결홀(591b)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결합영역(550c)과 제1결합부(591)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스크류가 이 체결홀(562,591b)들을 통해 결합영역(550c)과 제1결합부(591)를 관통함에 따라, 결합영역(550c)과 제1결합부(591)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영역(550c)의 체결홀(562)과 제1결합부(591)의 체결홀(591b)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기 위한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위치 정렬은, 가이드돌기(561)와 제1결합부(591) 간의 결합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즉 가이드돌기(561)를 제1결합부(591)에 끼워 넣기만 하면, 결합영역(550c)의 체결홀(562)과 제1결합부(591)의 체결홀(591b)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게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홀(562,591b)들이 가이드돌기(561)보다 상하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는, 스크류를 이용한 체결이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이루어질수록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
즉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상측 단부에 인접한 위치와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하측 단부에 인접한 위치가 스크류에 의해 단단히 고정됨으로써,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상측 단부나 하측 단부가 들뜨지 않게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이 서로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를 이용한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중앙 부분에서는 가이드돌기(561)를 이용한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중앙 부분에서도 들뜸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이하, 결합영역(550c)과 제1결합부(591)간의 결합 구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정리한다.
가이드돌기(561)와 제1결합부(591) 간의 결합에 의해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1차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간의 1차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면, 스크류를 이용한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기에 적합한 상태가 되도록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1차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면, 스크류 체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임시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상측 단부에 인접한 위치와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하측 단부에 인접한 위치가 스크류에 의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고,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상하방향 중앙 부분에서는 가이드돌기(561)에 의한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들뜸 없이 단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이를 위한 스크류 체결 작업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결합부(593)는, 도어본체부(300a),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제2결합부(593)에는 체결홀(353a,593a)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 체결홀(353a,593a)들은, 후술할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도어본체부(300a)와 브라켓(590) 간의 체결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의 체결홀(353a)과 제2결합부(593)의 체결홀(593a)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제2결합부(593)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체결부재(563)가 이 체결홀(353a,593a)들을 통해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제2결합부(593)를 관통함에 따라,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제2결합부(59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재(563)는, 스크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563)는 몸체부(553a)와 머리부(563b)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53a)는 대략 원형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몸체부(553a)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머리부(563b)는, 몸체부(553a)의 길이방향 단부에 몸체부(553a)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체결부재(563)에 의해 브라켓(590)의 제2결합부(593)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간의 결합과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손잡이(305) 간의 결합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체결부재(563)는, 제2결합부(593)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관통하며 손잡이(305)에 삽입됨으로써, 손잡이(305)와 제2결합부(593)를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사이에 두고, 손잡이(305)와 제2결합부(59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부재(563)는 머리부(563b)가 제2결합부(593)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2결합부(593)의 후방으로부터 제2결합부(593) 및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관통하며 손잡이(305)에 삽입될 수 있다.
만약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 간의 결합과 도어본체부(300a)와 손잡이(305) 간의 결합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별도로 이루어진다면,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 간의 결합 부위가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게 될 것이다.
예컨대, 도어(300)의 전방으로부터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면, 체결부재(563)의 머리부(563b)가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브라켓(590)의 후방으로부터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결합이 이루어진다면, 체결부재(563)의 몸체부(553a)가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체결부재(563)를 가릴 별도의 구조물이 도어(300)의 외부에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더욱이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제2결합부(593)의 두께가 그리 두껍지 않기 때문에, 도어본체부(300a)와 브라켓(590) 간의 결합 강도도 충분히 확보되기 어렵다. 또한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 간의 결합과 도어본체부(300a)와 손잡이(305) 간의 결합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별도로 이루어진다면, 그만큼 체결 작업에 필요한 공수도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한 번의 체결 작업으로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와 손잡이(305)의 결합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결 구조가 제시된다.
이에 따르면, 브라켓(590) 및 도어본체부(300a)를 관통하여 도어본체부(300a)의 외부로 돌출된 체결부재(563)의 일부분이 손잡이(305)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와 손잡이(305)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체결부재(563)의 어느 부분도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제2결합부(593)의 두께가 그리 두껍지 않더라도 손잡이(305)에 의해 체결부재(563)의 삽입 깊이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게 되므로, 도어본체부(300a)와 브라켓(590) 간의 결합 강도도 충분히 확보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한 번의 체결 작업으로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와 손잡이(305)의 결합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체결 작업에 소요되는 공수도 그만큼 감소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563)는, 제2결합부(593)의 체결홀(593a)과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의 체결홀(353a)을 통해 제2결합부(593)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관통하며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제2결합부(593)의 체결홀(593a)은, 제1결합부(591)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 또는 체결홀(593a)의 후방이 제1결합부(591)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결합부(593)의 체결홀(593a)은, 후방에서 봤을 때 제1결합부(59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결합부(593)는 제1결합부(591)보다는 상하방향 길이가 짧고 좌우방향 길이는 긴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좌측에 배치된 브라켓(590)의 제2결합부(593)는 제1결합부(591)보다 우측으로 더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우측에 배치된 브라켓(590)의 제2결합부(593)는 제1결합부(591)보다 좌측으로 더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결합부(593)에 마련되는 체결홀(593a)은, 제1결합부(591)보다 좌우방향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좌측에 배치된 브라켓(590)의 제2결합부(593)에 마련된 체결홀(593a)은, 제1결합부(591)보다 우측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에 배치된 브라켓(590)의 제2결합부(593)에 마련된 체결홀(593a)은, 제1결합부(591)보다 좌측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체결 작업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즉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체결이 브라켓(590)의 후방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2결합부(593)에 마련된 체결홀(593a)이 제1결합부(591)로 인해 가려질 경우, 체결 작업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에서 봤을 때 제2결합부(593)의 체결홀(593a)이 제1결합부(59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로써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체결 작업이 제1결합부(591)와 같은 다른 구조물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29 내지 도 31은 도어전면부의 조립 과정을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 도 26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도어전면부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도 26 및 도 29를 참조하면, 도어전면부(350)의 조립을 위해, 먼저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 간의 결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손잡이(305)를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의 전방에, 그리고 브라켓(590)을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의 후방에 배치시킨다. 이때 손잡이(305)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홀과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형성된 체결홀(353a), 그리고 브라켓(590)의 제2결합부(593)에 형성된 체결홀(593a)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결합부(593)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체결부재(563)를 제2결합부(593) 및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체결하여 준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563)는, 제2결합부(593)의 후방으로부터 제2결합부(593) 및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관통하며 손잡이(305)에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하나의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한 번의 체결 작업으로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와 손잡이(305)의 결합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체결 지점이 각 브라켓(590) 당 2개씩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각각의 제2결합부(593)에는 한 쌍의 체결홀(593a)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도 체결홀(353a)들이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4번의 체결 작업으로 손잡이(305)와 도어(300)와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593) 상에서, 한 쌍의 체결홀(593a) 사이에는 끼움홀(593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도 이러한 끼움홀(355a)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손잡이(305)에는, 끼움돌기(305a)가 마련될 수 있다. 끼움돌기(305a)는, 손잡이의 양측 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돌기(305a)는, 끼움홀(355a,593b)에 삽입되며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및 제2결합부(593)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끼움돌기(305a)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및 제2결합부(593) 간의 결합에 의해, 손잡이(305)와 도어전면부(350) 간의 결합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즉 끼움돌기(305a)가 끼움홀(355a,593b)에 삽입되면, 손잡이(305)와 도어전면부(350) 및 제2결합부(593)의 체결홀들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의 결과로서, 손잡이(305)와 도어(300)와 브라켓(590) 간의 결합을 위한 작업이 좀 더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305)와 도어(300)와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 다음, 도 26과 도 27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1차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1차적인 결합은, 가이드돌기(561)와 제1결합부(591)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패널(550)의 체결홀(562)과 제1결합부(591)의 체결홀(591b)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게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26과 도 27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본체부(300a)의 개방된 후방을 도어배면커버(350b)로 덮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배면커버(350b)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스크류를 도어배면커버(350b)에 체결하여 준다.
이에 따라 도어배면커버(350b)와 결합영역(550c)과 제1결합부(591)가 하나의 스크류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즉 도어배면커버(350b)와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하나의 스크류에 의해 단 번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크류를 이용한 체결 지점이 각 브라켓(590) 당 2개씩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각각의 제1결합부(591)에는 한 쌍의 체결홀(591b)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도어배면커버(350b)와 지지패널(550)에도 체결홀(562)들이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스크류를 이용한 4번의 체결 작업으로 도어배면커버(350b)와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종합하면, 총 4번의 체결 작업만으로 손잡이(305)와 도어(300)와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고, 또한 총 4번의 체결 작업만으로 도어배면커버(350b)와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는 등, 매우 적은 횟수의 체결 작업만으로 도어전면부(350)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도어(300)의 조립 작업에 소요되는 공수가 현저히 감소되고, 도어(300)의 조립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온도센서 배치 구조]
도 32는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0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온도센서(58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센서(580)가 서모스탯(Thermostat)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 내부가 과열되지 않도록 조리실(105)의 온도를 유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580)는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되며, 이러한 온도센서(580)의 높이는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제1가열부(400) 사이로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온도센서(58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보다 제1가열부(400)에 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 내부에서 상부로 좀 더 치우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온도센서(580)는 트레이(200)와 제1가열부(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온도센서(580)는 트레이(200)보다 제1가열부(400)에 좀 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온도센서(580)의 배치는,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 분포, 그리고 조리실(105) 내부에 있는 조리물과의 온도센서(580) 간의 간섭 발생 가능성을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
조리기기에서, 음식물 조리는 조리실(105)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식물은 트레이(200)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음식물 조리는, 통상적으로 음식물이 트레이(2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조리실(105) 내부를 가열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이 트레이(20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트레이(200)에 안착된 음식물과 온도센서(580) 간의 간섭이 발생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음식물과 온도센서(580) 간의 간섭이 발생되면, 온도센서(580)에 의해 이루어지는 온도 측정의 결과가 부정확해지거나 온도센서(580)의 동작에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과 온도센서(580)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온도센서(580)의 배치가 필요하다.
또한 조리실(105) 내부에서는, 통상적으로 조리실(105)의 상부로 갈수록 온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는, 가열된 공기가 상승됨으로 인한 것이기도 하고, 조리실(105) 내부를 가열하는 제1가열부(400)가 조리실(105)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물론 조리실(105)의 하부에도 제2가열부(600; 도 64 참조)가 있기는 하다. 그러나 직접 발열하는 제1가열부(400)와 달리, 제2가열부(600)는 직접 발열하는 장치가 아니다. 따라서 조리실(105) 내부에서는, 조리실(105)의 상부로 갈수록 온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의 온도가 설정된대로 유지되도록 하거나 과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온도센서(580)가 이러한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조리실(105) 중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곳에 온도센서(580)가 배치되는 것이 그 반대인 경우보다 유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의도된 것보다 온도가 낮았을 때보다 그 반대의 경우가 조리물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아무래도 온도가 높게 나타나는 지점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온도센서(580)의 역할이 과열 방지에 있다면, 더욱 그러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조리실(105)의 하부에 인접한 측에 온도측정모듈(640; 도 50 참조)이 배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므로, 이러한 온도측정모듈(640)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 온도센서(580)가 배치되기 보다는 온도측정모듈(640)과 어느 정도 이격된 위치에 온도센서(580)가 배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센서(580)가 조리실(105) 내부에서 상부로 좀 더 치우친 높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조리실(105)의 온도가 설정된대로 유지되도록 하거나 과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온도센서(580)의 역할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21과 도 22과 도 26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550b)은 제1영역(550a)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온도센서(580)는 제2영역(550b)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영역(550a)에는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고, 이 제1제어기판(500)에는 조작장치(1000)와 관련된 부품, 즉 샤프트(110)와 엔코더(1200) 등과 같은 부품들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제어기판(500)은, 지지패널(550) 상에서 상당히 넓은 영역을 차지할만한 크기로 마련된다. 그로 인해, 지지패널(550) 상에서 제1제어기판(500)은 지지패널(550)의 반 이상의 영역을 차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그렇기 때문에, 조작장치(1000)와 관련된 부품들이 제1제어기판(500) 상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제1제어기판(500)도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그로 인해, 지지패널(550)의 상부 영역도 제1제어기판(500)에 의해 상당 부분 점유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리고 제1제어기판(500)의 상부에서는, 온도센서(580)가 설치될만한 공간, 즉 온도센서지지부(557)가 마련될만한 공간이 사실상 확보되기 어렵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센서(580)가 제1제어기판(500)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게 제1제어기판(500)의 측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 내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되, 측방향 일측에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온도센서(58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도어전면부(350)의 상측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온도센서(580)는, 제1제어기판(500) 등과 같은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으면서도 그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음식물이 조리실(105)의 중앙에 안착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기와 같이 온도센서(580)가 상측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온도센서(580)와 음식물의 접촉 가능성을 상당 부분 낮출 수 있다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기기는 차폐판(3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판(328)은,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폐판(328)은,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한 쌍의 제1가열부(400)가 배치되며, 차폐판(328)도 이에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차폐판(328)은, 제1가열부(400)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제1가열부(400)의 열의 발산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제1가열부(400) 중 도어전면부(350)에 인접한 측에 위치한 제1가열부(400)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차폐판(328)은, 도어전면부(350)와 제1가열부(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1가열부(400) 중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한 제1가열부(400)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차폐판(328)은, 하우징(100)의 배면과 제1가열부(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차폐판(328)은, 제1가열부(400)의 열의 발산 방향을 조리실(105)의 중앙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차폐판(328)은, 제1가열부(400)의 열이 도어전면부(350) 측 또는 하우징(100)의 배면(140) 측으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가열부(400)는, 도어전면부(350) 또는 하우징(100)의 배면(140) 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전면부(350)와 하우징(100)의 배면(140)은, 제1가열부(400)에 의해 집중적으로 가열되기 쉬운 환경에 노출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와 하우징(100)의 배후에는 각종 전장부품들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집중적인 가열이 가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전면부(350)와 제1가열부(400) 사이, 그리고 하우징(100)의 배면과 제1가열부(400) 사이에 각각 차폐판(328)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차폐판(328)은, 제1가열부(400)의 열이 도어전면부(350) 측 또는 하우징(100)의 배면(140) 측으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전장부품들이 열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전면부(350)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한 차폐판(328)은, 온도센서(580)와 제1가열부(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온도센서(580)는 제1가열부(400)와의 사이가 차폐판(328)에 의해 가로막힌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센서(580)는, 제1가열부(400)의 열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즉 온도센서(580)는, 제1가열부(400)와 인접한 영역이면서도 제1가열부(400)의 열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온도센서(580)가 제1가열부(400)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됨에도 불구하고, 조리실(105) 내부의 실제 온도와 가까운 신뢰성 높은 측정 결과가 온도센서(580)에 의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터치조작부의 구조]
도 33은 도 1에 도시된 터치조작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13 및 도 3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터치조작부(1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조작부(1900)는, 조작장치(1000)와 함께 도어전면부(35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조작부(1900)가 조작장치(100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되, 조작장치(1000)의 측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터치조작부(1900)를 조작장치(1000)와 함께 직접 조작하여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서, 터치조작부(1900)는 제1가열부(400)의 온/오프 조절을 위한 조작 스위치와 조리 대상물의 종류 및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치조작부(1900)는, 기판(1910)과 부스터(19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910)은, 지지패널(550)에 고정된 형태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패널(550)은, 터치패널지지부(5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널지지부(565)는, 제2영역(550b), 즉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패널지지부(565)는 터치조작부(1900)를 지지하며, 이로써 터치조작부(1900)는 터치패널지지부(565)에 의해 지지되어 제2영역(550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지지부(565)는, 돌출면부(565a)와 돌출지지면부(565b) 및 돌출리브부(565c)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면부(565a)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메인패널부(551)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지지면부(565b)는, 돌출면부(565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메인패널부(551)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지지면부(565b)는, 메인패널부(551) 및 돌출면부(565a)보다 전방으로 앞선 위치에서 기판(19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1910)이 돌출지지면부(565b)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터치조작부(1900)는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돌출리브부(565c)는, 돌출지지면부(565b)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터치패널지지부(565)에서는, 한 쌍의 돌출리브부(565c)가 돌출지지면부(565b)를 사이에 두고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돌출리브부(565c)가 돌출면부(565a)를 사이에 두고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각각의 돌출리브부(565c)는, 돌출면부(565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돌출리브부(565c)는, 돌출지지면부(565b)의 돌출 정도와 동등 수준으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돌출리브부(565c)에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홈에는 패킹부재(566)가 삽입될 수 있다. 패킹부재(566)는, 고정홈에 삽입됨으로써, 돌출리브부(565c)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566)는, 터치패널지지부(565)와 기판(1910) 사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돌출면부(565a)와 기판(19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부재(566)는, 고정홈에 삽입되었을 때, 돌출리브부(565c) 및 돌출지지면부(565b)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킹부재(566)는, 탄성 변형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566)는, 돌출면부(565a)와 기판(1910) 사이에서 기판(1910)과 오버랩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부재(566)는 기판(1910)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힘을 기판(1910)에 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터치조작부(터치조작부(1900)가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더욱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지지패널(550)은, 외측지지돌기(5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패널지지부(565) 및 터치조작부(1900)의 외측에 복수개의 외측지지돌기(567)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외측지지돌기(567)는 터치패널지지부(565) 및 터치조작부(1900)의 상하방향 외측 및 좌우방향 외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외측지지돌기(567)는, 지지패널(550)의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외측지지돌기(567)는,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접촉될 수 있게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외측지지돌기(567)들은, 터치조작부(1900)의 주변에서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조작부(1900)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눌러야 한다. 이러한 조작이 반복되면,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이 반복된 눌림으로 인해 변형될 수 있다. 외측지지돌기(567)는, 터치조작부(1900)의 주변에서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지지함으로써, 터치조작부(1900)의 조작으로 인한 도어(300)의 변형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측지지돌기(567)는, 터치조작부(1900)의 전방 영역에서만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이 눌릴 수 있게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지지함으로써, 터치조작부(1900)의 조작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터치패널지지부(565)에 설치되는 터치조작부(1900)는 정전용량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일 수 있다. 이러한 터치조작부(1900)의 기판(19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전용량부가 형성될 수 있다.
기판(1910)의 전방에는 부스터(1920)가 배치될 수 있다. 부스터(1920)는,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기판(19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부스터(1920)는,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중 부스터(1920)와 밀착되는 영역에는, 터치조작부(1900)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능 아이콘들이 음각 또는 양각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중 해당 부분이 눌려지면, 부스터(1920)가 이와 함께 눌려져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부스터(1920)와 정전용량부 간의 간격이 변화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정전용량의 변화에 의해 터치조작부(1900)에 대한 터치가 인식될 수 있다.
상기 부스터(1920)가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잘 밀착되어 있어야 터치조작부(1900)에 대한 터치 인식률이 상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리브부(565c)에 설치된 패킹부재(566)가 기판(1910)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힘을 기판(1910)에 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스터(1920)가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제2가열부와 수신코일 및 제2제어기판의 구조]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제2가열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제2가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36은 도 34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7은 도 34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온도센서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38은 도 34에 도시된 제2제어기판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39는 도 38에 도시된 제2제어기판의 배면에 배면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과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면, 제2가열부(600)는 트레이(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2가열부(60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설치되며, 제1가열부(400)와 다른 가열방식으로 트레이(200)를 가열하는 가열부, 예를 들면 유도가열부 형태로 제공된다. 유도가열부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설치되는 워킹코일(610)을 포함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트레이(200)의 하부에서 트레이(200)의 가열을 유도할 수 있다.
워킹코일(610)은, 코일설치베이스(61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설치베이스(611)가 트레이(200)의 형상에 가까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는 트레이(200)의 전체 영역이 워킹코일(61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워킹코일(610)의 크기와 형상을 트레이(200)의 형상에 가깝게 한 설계의 결과이다.
코일설치베이스(611)에는, 도 35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을 기준으로 코일(613)이 설치될 수 있는 나선형의 홈이 마련된다. 그리고 코일(613)은, 이 나선형의 홈에 코일(613)이 수용되며, 코일설치베이스(611) 상부에 촘촘하게 감겨져 고정된다. 코일(613)의 단부에는, 상기 코일(613)을 제어하기 위한 코일제어PCB와 연결되는 코일연결배선(615)이 구비된다.
아울러 제2가열부(600)는, 수신코일(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코일(620)은, 무선으로 전송된 전원을 수신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으로서, 제2가열부(60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수신코일(620)의 하부에는 베이스(180)가 배치된다. 베이스(18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결합되어 수신코일(620)의 하부에서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등을 지지하는 한편, 조리기기의 저면 외관을 형성한다.
수신코일(620)은, 워킹코일(610)과 마찬가지로 코일설치베이스(621)와 코일(6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신코일(620)의 코일설치베이스(621)는, 워킹코일(610)의 코일설치베이스(611)와 다르게 대략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수신코일(620)의 형상을 쿡탑(Cooktop)에 구비된 유도가열부의 워킹코일의 형상에 가깝게 형성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코일(620)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와 별개로 구비되는 다른 조리기기, 즉 쿡탑의 유도가열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게 마련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쿡탑에 올려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조리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은 쿡탑의 유도가열부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를 쿡탑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쿡탑의 워킹코일과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를 함께 동작시키면, 쿡탑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수신코일(6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에는, 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쿡탑의 워킹코일에서 변화하는 자기장을 통해 수신코일(620) 쪽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쿡탑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수신코일(6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신코일(620)의 전력 수신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를 쿡탑에 올리되, 수신코일(620)의 위치와 쿡탑의 유도가열부에 구비된 워킹코일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게 올려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유도가열부에는,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기차폐판(6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자기차폐판(630)은, 금속재질의 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차폐판(630)은,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사이에 배치되어 워킹코일(610)에 의한 EMI가 수신코일(620)에 영향을 미치거나 수신코일(620)에 의한 EMI가 워킹코일(610)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수신코일(620)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쿡탑의 유도가열부로부터 무선을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거추장스러운 전원케이블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심플하고 깔끔한 외관으로 제공될 수 있고, 쿡탑에 조리기기를 올려놓기만 하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수신코일(620)은, 도 34 내지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의 후방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쿡탑의 워킹코일로부터 수신코일(620)로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은, 수신코일(6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제어기판(700) 측으로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의 내부공간과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의 내부공간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배치된 유도가열부의 워킹코일(610)과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은, 서로 연결된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의 내부공간과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의 내부공간을 통해 워킹코일(610)과 제2제어기판(70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제어기판(700)에는, 제2가열부(600)의 유도가열부 등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처리부가 마련된다. 전원처리부는, 수신코일(620)과 연결되어 수신코일(6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전원을 제2가열부(600) 등에서 이용되기에 적합한는 형태로 처리한다. 이러한 전원처리부는 노이즈필터 PC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제어기판(700)에는 워킹코일(6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코일제어 PCB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노이즈필터 PCB는 워킹코일(610)에 공급하고자 하는 전원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고, 코일제어 PCB는 워킹코일(6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코일제어 PCB에는 워킹코일(6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칩, 예를 들면 IGBT와 같은 칩이 실장될 수 있다.
IGBT는, 온도 관리가 필요한 고발열칩의 일종으로서,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과승되면 워킹코일(610)을 제어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2제어기판(700)에는 제2냉각팬(730)이 설치된다. 제2냉각팬(730)은, 하우징(100)의 외부 공간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IGBT 측으로 배출하는 시로코 팬일 수 있다.
제2냉각팬(730)은, IGBT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배후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IGBT를 향한 측방을 향해 배출할 수 있다.
제2냉각팬(730)을 통해 하우징(100)의 배면 배후의 공간부에 유입된 공기는, 먼저 IGBT 및 이를 냉각하기 위한 히트싱크와 접촉하며 이들을 냉각하고, 노이즈필터 PCB 부분을 냉각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기판(700) 및 제2냉각팬(730)은, 배면지지패널(750)에 고정됨으로써,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고정될 수 있다.
배면지지패널(750)은, 도 3 및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배면지지패널(750)은,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결합됨으로써, 하우징(100)의 후방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배면지지패널(750)은, 메인패널부(751)와 제1돌출테두리부(75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패널부(751)는, 제2제어기판(700)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패널부(751)는, 하우징(100)의 배면(140)과 유사한 형상,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 메인패널부(751)는, 가벼운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제어기판(700) 및 이에 설치되는 각종 전장부품들을 지지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제1돌출테두리부(755)는, 메인패널부(751)의 테두리에 배치된다. 제1돌출테두리부(755)는, 메인패널부(751)의 테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패널부(751)의 후방에는, 메인패널부(751)와 제1돌출테두리부(755)로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제어기판(700) 및 제2냉각팬(730)은, 이러한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면지지패널(750)은, 제1영역(750a)과 제2영역(75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750a)은 제2제어기판(700)이 배치되는 영역이며, 제2영역(750b)은 제2제어기판(70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영역(750a)과 제2영역(750b)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얘컨대, 제1영역(750a)이 좌측에, 제2영역(750b)이 우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면지지패널(750)의 대부분은 제1영역(750a)에 의해 점유될 수 있다.
제2영역(750b)에는, 제2냉각팬(73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750b)에는, 전원연결부(735) 및 통신모듈(740)이 배치될 수 있다.
전원연결부(735)는, 배면지지패널(750)에 설치되되, 제2영역(750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연결부(735)는, 제2제어기판(700)의 측부에 배치되어 제2제어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전원연결부(735)는, 인렛 파워 소켓(Inlet power socket)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연결부(735)는, 외부 전원과 연결된 전원 케이블의 플러그와 연결됨으로써,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전원연결부(735)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제2제어기판(700)의 전원처리부에 의해 제2가열부(600) 등에서 이용되기에 적합한는 형태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전원연결부(735)는, 제2제어기판(700)의 측부에 배치되되, 제2냉각팬(730)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연결부(735)가 제2냉각팬(730)보다 상부에 배치될 경우, 그만큼 전원연결부(735) 및 그와 연결된 전원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기 쉽다.
또한 전원연결부(735)와 연결된 전원 케이블이 상부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조리기기 사용 과정에서 전원 케이블이 장애물로 작용되거나 조리기기를 전복시키는 원인이 될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연결부(735)가 최대한 노출되기 어려운 위치, 예컨대 조리기기의 배면 하단 모서리에 배치되도록 하였다. 이로써 전원연결부(735) 및 이와 연결된 전원케이블로 인한 조리기기의 미관 저하 또는 전원 케이블로 인한 안전 문제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게 된다.
통신모듈(740)은, 외부 기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과 조리기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일 수 있다.
일례로서, 통신모듈(740)은 근거리통신모듈일 수 있다. 예 컨대, 통신모듈(740)은 BLE(Bluetooth low energy)와 같은 저전력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일 수 있다. 그 밖에도, 통신모듈(740)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신모듈(740)은 이동통신모듈일 수 있다. 예컨대, 통신모듈(740)은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740)은, 제2제어기판(70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740)은, 제2냉각팬(730)의 하부 및 전원연결부(735)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통신모듈(740)은, 제2제어기판(700)의 측부에 배치되되, 제2냉각팬(730)과 전원연결부(7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모듈(740)의 배치 구조는, 제2냉각팬(730)과 통신모듈(740)과 전원연결부(735) 중에서 전원연결부(735)가 가장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면서 통신모듈(740)과 제2제어기판(700) 간의 배선 길이가 가장 짧아질 수 있는 위치에 통신모듈(740)이 배치되도록 한 설계의 결과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 3과 도 51 및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커버(7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면커버(760)는, 배면지지패널(750)의 후방에 배치되어 배면지지패널(75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배면커버(760)는, 메인커버부(761)와 제2돌출테두리부(76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커버부(761)는, 배면지지패널(75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메인패널부(751)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커버부(761)는, 메인패널부(751)와 유사한 형상,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메인커버부(761)는, 가벼운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커버부(761) 및 이를 포함하는 배면커버(760)는, 캐비닛(170)의 배면과 제2제어기판(7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배면커버(760)는, 금속 재질의 캐비닛(170)과 제2제어기판(700)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배면커버(760)에는, 통기홀(762)이 마련될 수 있다. 통기홀(762)은, 메인커버부(761) 상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홀(762)은, 메인커버부(761) 상에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통기홀(762)은, 제2냉각팬(730)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조리기기의 배면 상에서 제2냉각팬(730)이 우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고 하면, 통기홀(752)은 좌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2냉각팬(73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지나치게 이른 시점에서 배면커버(760)의 후방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또한 배면커버(760)에는, 팬설치홀(763)이 마련될 수 있다. 팬설치홀(763)은, 배면지지패널(750)과 배면커버(760) 사이에 설치되는 제2냉각팬(730)의 일부분이 배면커버(760)의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팬설치홀(763)은, 메인커버부(761) 상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제2냉각팬(7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냉각팬(730)의 대부분, 특히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므로, 이러한 제2냉각팬(730의 일부분이 배면커버(760)의 후방으로 노출되거나 캐비닛(170)과 접촉되어도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그런데 배면지지패널(750)에 설치되는 부품들 중에서, 후방으로 가장 돌출되는 부품은 제2냉각팬(730)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2냉각팬(730)의 일부분이 배면커버(760)의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되면, 그만큼 배면커버(760)가 후방으로 덜 돌출되게 조리기기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즉 조리기기의 전후방향 크기가 그만큼 축소될 여지가 있게 된다. 또한 제2냉각팬(730)과 배면커버(760) 간에 이루어지는 끼움 결합에 의해, 배면지지패널(750)과 배면커버(760) 간의 결합 위치가 안내됨으로써, 배면커버(760)의 설치가 좀 더 용이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도 있다.
아울러 배면커버(760)에는, 절개부(764)가 마련될 수 있다. 절개부(764)는, 메인커버부(761)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764)는, 전원연결부(735)와 캐비닛(170)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배면커버(760)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제2돌출테두리부(765)는, 메인커버부(761)의 테두리에 배치된다. 제2돌출테두리부(765)는, 메인커버부(761)의 테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돌출테두리부(765)는, 배면지지패널(750)의 제1돌출테두리부(755)와 결합될 수 있다. 이들 간의 결합에 의해, 배면커버(760)과 배면지지패널(750) 사이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배면커버(760)와 배면지지패널(75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제1돌출테두리부(755)와 제2돌출테두리부(765)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756)가 구비될 수 있고, 제1돌출테두리부(755)와 제2돌출테두리부(765)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756)와의 결합을 이루기 위한 후크홈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제어기판(700)과 캐비닛(170)의 배면에는, 관통홀(17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통홀(171)에는, 흡배기그릴(175)이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171)은, 외부 공기가 캐비닛(170)을 통과하여 제2제어기판(700) 측으로 유입되거나 제2제어기판(700) 주변의 공기가 캐비닛(17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흡배기그릴(175)은, 관통홀(171)을 통한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은 허용하면서 관통홀(171)을 통해 외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흡배기그릴(175)은, 루버(Louver) 구조물을 포함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2가열부(600)는, 도 34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측정모듈(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측정모듈(640)은, 트레이의 온도 또는 트레이가 배치된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온도측정모듈(640)은, 워킹코일(61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측정모듈(640)은 코일설치베이스(611) 상에서 코일(613)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 예를 들면 코일설치베이스(611)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측정모듈(640)은, 코일설치베이스(61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워킹코일(6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된 온도측정모듈(640)은, 서미스터(Thermistor) 등과 같은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배치되어 트레이의 온도 또는 트레이가 배치된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 제2가열부, 제2제어기판, 투시창, 제1가열부, 조작장치, 제1제어기판의 배치 관계]
도 3과 도 34 내지 도 39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에는 힌지 어셈블리(800)와 제2가열부(600) 및 제2제어기판(700)이 배치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조리실(105)이 형성되며,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트레이(200)를 가열하기 위한 제2가열부(600)가 배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양측부에는 도어(3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각각 배치된다.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300)의 양측에서 도어(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배치된다. 하우징(100)의 상면 및 전면은 개방되어 있고,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제2가열부(60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배후나 양측부에 배치될 수밖에 없다. 그 중에서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힌지 어셈블리(800)가 배치되는 것이 상기한 이유들로 인해 여러모로 유리하다.
수신코일(620)은, 하우징(100)의 하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가열부(6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수신코일(620)은 무선 전력 전송을 하는 대상, 예를 들면 쿡탑의 워킹코일과 가장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수신코일(620)의 배치 위치는 하우징(100)의 하부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신코일(620)이 제2가열부(600)의 워킹코일(610)과 함께 하우징(100)의 하부에 배치되면, 워킹코일(610) 또는 수신코일(620)의 EMI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사이에는 전자기차폐판(6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제어기판(700)은, 수신코일(620)을 통한 전력 수신과 워킹코일(610)의 동작과 밀접하게 관련된 구성이므로, 수신코일(620) 및 워킹코일(610)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제2가열부(600) 및 수신코일(620)이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100)의 양측부에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제2제어기판(700)의 배치에 가장 적합한 위치는 후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2제어기판(700)은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의 공간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제2제어기판(700)은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2제어기판(700)과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을 연결하는 배선을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우징(100)의 후방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의 위치는 각각의 힌지 어셈블리(800)와도 가까운 위치이다. 이에 따라 도어(300)에 배치된 구성들과 제2제어기판(700) 사이를 연결하는 배선을 구성할 때 이 배선들을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에 쉽게 숨길 수 있게 되므로, 배선이 외부로 잘 노출되지 않게 배선의 구성을 깔끔하고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가열부(600)과 수신코일(620)과 힌지 어셈블리(800) 및 제2제어기판(700)은, 하우징(100)의 하부와 양측부 및 배후에 각각 배치된다. 이들 구성은, 도어(300)보다는 하우징(100)에 배치되기에 더 적합한 구성들이며, 각각 최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구조적 안정성이 높으며 배선의 구성을 깔끔하고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서로 간의 간섭을 효율적으로 피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한편, 도 3과 도 5 및 도 32를 참조하면, 도어(300)에는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와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된다. 이들 구성은, 그 기능상 하우징(100)보다는 도어(300)에 배치되는 것이 더 적합한 구성들이다. 하우징(100)에 이미 여러 다른 구성들이 배치되어 있어 그 외에 다른 구성이 더 배치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도, 상기 구성들의 배치 위치는 하우징(100)보다는 도어(300) 측인 것이 더 적합하다.
투시창(W)은,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시선보다 낮은 위치에서 사용되는 미니 오븐의 형태로 제공되는 조리기기의 특성을 고려하면, 투시창(W)은 조리기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보다는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투시창(W)은, 도어(300)의 상부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 이때 투시창(W)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조리실(105) 내부에 대한 시야 확보에 유리하지만, 투시창(W)의 크기는 제1가열부(400) 및 케이블장착부(340,345)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도어상면부(310)에 확보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과 마찬가지로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 이는 제1가열부(400)가 트레이(200)를 사이에 두고 제2가열부(600)와 마주보는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즉 제1가열부(400)는, 트레이(200)보다 상부에 배치되기 위해 도어상면부(310) 상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투시창(W)과 함께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400)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만약 제1가열부(400)가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는 영역에 배치된다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투시창(W)을 통한 시야 확보에도 문제가 발생되며, 투시창(W) 부분의 온도 상승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인 도어전면부(350)의 형상을 감안하면,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제1가열부(400)가 배치되어야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그만큼 증가될 수 있고,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증가된 만큼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이로써 미관 유지, 시야 확보 유지, 투시창(W)의 온도 상승 억제,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과 같은 기능적 이점을 확보하기가 유리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됨에 따라,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이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에 의해 점유된다. 그리고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은,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이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에 의해 점유되는 상태를 고려하면, 도어상면부(310)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설치될만한 공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만약 조작장치(10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면, 도어(300)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조리기기의 상부에 위치한 장애물과 조작장치(1000) 간의 충돌이 발생되어 조작장치(1000)가 파손될 위험성이 있다. 특히 조작장치(1000)가 도어(300)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면, 이러한 위험성은 더 커지게 된다.
또한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 도어상면부(310)는, 도어전면부(350)에 비해 온도가 높을 가능성이 높다. 조작장치(10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구성임을 감안하면, 이러한 조작장치(10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었을 때에는 조작장치(1000)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도어상면부(310)의 뜨거운 부분과 접촉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될 것이다. 즉 조작장치(10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면, 조작장치(1000)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을 입을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조작장치(1000)는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 조작장치(1000)가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조리기기의 전방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어전면부(350)에는, 조작장치(1000) 외에도 제1제어기판(500)도 함께 배치된다. 제1제어기판(500)에는, 조작장치(100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된다. 따라서 제1제어기판(500)은, 특히 조작장치(1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제어기판(500)은 조작장치(1000)와 마찬가지로 도어전면부(350)에 설치되어 조작장치(1000)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장치(1000)를 제1제어기판(500)에 직접 연결하는 형태로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연결이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매우 간결하고 안정적인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의 연결 구조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제어기판(500)은, 발열 부품인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가열부(400)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한 영향에서도 어느 정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가열부(400)가 작동 중일 때 발생되는 열이 제1제어기판(500)에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감소될 수 있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안정성 및 동작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어프레임의 구조]
도 42는 도 41에 도시된 도어프레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3은 도어프레임과 제1가열부 및 보호그릴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4는 도어프레임과 제1가열부와 보호그릴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또한 도 45는 도 40의 "ⅩⅩⅩⅩⅤ-ⅩⅩⅩⅩ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6은 도 40의 "ⅩⅩⅩⅩⅥ-ⅩⅩⅩⅩ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7은 도어프레임과 힌지부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8은 도어프레임과 힌지부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49는 도어프레임과 힌지부와 도어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3에서는 글라스 및 리플렉터의 도시가 제외되어 있고, 도 45 내지 도 48에서는 글라스의 도시가 제외되어 있다.
도 40 내지 도 43을 참조하면,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의 하부를 덮으며 도어(300)와 결합된다. 이러한 도어프레임(320)은, 제1가열부(400)를 지지하며 도어(3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된 제1가열부(400)는, 도어(3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20)은, 결합부(321)와 히터장착부(3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히터장착부(325)는 결합부(321)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며, 이러한 히터장착부(325)에는 제1가열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321)는, 도어상면부(310)와 결합되어 히터장착부(325)를 도어상면부(310)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321)는,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ㅁ" 형상의 프레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관통공과 인접한 결합부(321)의 내측면에는, 안착면(322)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면(322)은 결합부(321)의 상부면보다 높이가 낮은 오목한 평면을 형성하며, 이 안착면(322)에는 글라스(335)의 각 테두리 주변이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착면(322)에 안착되는 글라스(335)는, 관통공을 상부에서 덮으며 히터장착부(325) 및 히터장착부(325)에 설치된 제1가열부(4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안착면(322)은, 결합부(321)의 상부면보다 높이가 낮은 평면을 형성하되, 대략 글라스(335)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결합부(321)보다 낮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글라스(335)는, 결합부(321)의 상부면보다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도어프레임(3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322)은, 관통공의 좌우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안착면(322)은, 관통공의 전후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도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착면(322)이 관통공의 좌우방향 양측과 전후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라 글라스(335)는, 네 테두리 주변이 안착면(322)에 의해 지지되며 도어프레임(320)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착면(322)을 둘러싸는 결합부(321)의 내측면에 의해 좌우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므로, 글라스(335)의 좌우방향 설치 위치가 안내될 수 있음은 물론, 글라스(335)의 좌우방향 흔들림이 억제되며 글라스(335)의 설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가열부(400)는, 발열체(410)와 제1접속단(420) 및 제2접속단(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발열체(410)는, 전기히터 형태로 마련된 제1가열부(400)에서 열을 방출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이러한 발열체(410)는, 소정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41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는 제1접속단(420)이 배치되고, 그 반대편인 발열체(41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는 제2접속단(430)이 배치된다.
제1접속단(420)과 제2접속단(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통형상부(421) 및 키형상부(42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접속단(420)과 제2접속단(430) 모두가 원통형상부(421) 및 키형상부(425)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원통형상부(421)는, 발열체(410)의 길이방향 단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원통형상부(421)는, 원형의 밑면이 제1가열부(410)의 최외측 단부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키형상부(425)는, 발열체(410)와 원통형상부(421) 사이에 배치된다. 즉 발열체(410)를 중심으로 그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키형상부(425)가 배치되고, 그 길이방향 최외측에 원통형상부(421)가 배치된다.
키형상부(425)는, 그 두께가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보다 얇고 그 폭이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보다 긴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형상부(425)의 폭방향과 나란한 한 쌍의 사각형 면(426; 이하, "제1면"이라 한다)이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키형상부(425)의 상면과 하면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과 나란한 두 쌍의 사각형 면(427; 이하, "제2면"이라 한다)이 한 쌍의 제1면(426) 사이에 배치되어 키형상부(425)의 네 측면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제1면(426)은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보다 긴 변을 갖는 사각형의 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면(427)은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보다 짧은 변을 갖는 사각형의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가열부(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접속단(420) 또는 제2접속단(430)을 봤을 때에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원통형상부(421)가 키형상부(425)보다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일부 영역에서만 키형상부(425)가 원통형샹부(a)보다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히터장착부(325)는,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제1접속단(420) 및 제2접속단(430)을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히터장착부(325)는, 제1접속단(420)을 고정시키는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430)을 고정시키는 제2접속단고정부(3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커버(a) 및 지지벽(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모두가 동일하게 커버(a) 및 지지벽(b)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커버(a)는, 접속단의 주변을 둘레방향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커버(a)는, 접속단의 하부와 측부를 감싸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접속단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또는 그보다 조금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a)가 "U"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커버(a)는, 지지벽(b) 주변을 감싸되, 지지벽(b)의 하부와 양측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a)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아울러 히터장착부(325)는, 제1가로지지부(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가로지지부(323)는, 제1가열부(400)보다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서 먼측에 배치되며,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가로지지부(323)는,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히터장착부(325)는, 제2가로지지부(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가로지지부(324)는, 제1가열부(400)보다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 가까운측에 배치되며,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바꾸어 표현하면, 제2가로지지부(324)는 커버(a)를 사이에 두고 제1가로지지부(323)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제2가로지지부(324)는, 제1가로지지부(323)와 마찬가지로,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가 각각 배치된다. 또한 제1가열부(400)보다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서 먼측에는 제1가로지지부(323)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가열부(400)보다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서 가까운측에는 제2가로지지부(324)가 배치된다.
또한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에는 커버(a)가 각각 배치되고, 각각의 커버(a)는 제1가로지지부(323) 및 제2가로지지부(324)의 길이방향 단부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커버(a)의 상부측은 제1가로지지부(323) 및 제2가로지지부(324)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지지벽(b)은, 커버(a)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벽(b)은, 커버(a)로부터 상기 공간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지지벽(b)은, 커버(a)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에 따른 내측공간과 외측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벽(b)에는, 접속단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벽(b)에는, 안착홈(c)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c)은, 지지벽(b)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c)의 입구는, 상부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c)에 원통형상부(a)가 끼워짐으로써, 접속단이 지지벽(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접속단은, 연장부(4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422)는, 원통형상부(421)가 키형상부(425)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422)는, 키형상부(425)의 폭방향과 나란한 면, 즉 제1면(426)과의 사이에 단턱(423)이 형성되도록, 키형상부(425)의 제1면(426)에서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연장부(422)에 의해, 원통형상부(421)와 인접한 키형상부(425)의 일부분에는 연장부(422)와 키형상부(425)가 중첩된 영역이 형성된다.
이 영역에서는, 연장부(422)가 키형상부(425)의 제1면(426)보다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으로 더 돌출되고, 키형상부(425)의 제2면(427)이 연장부(422)보다 키형상부(425)의 폭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장부(422)가 형성됨으로써, 원통형상부(421)와 키형상부(425) 간의 결합 부위의 강도가 더 보강될 수 있게 된다. 만약 연장부(422)가 없다면 원통형상부(421)와 키형상부(425) 간의 결합 부위가 키형상부(425)의 측면 단부로만 한정될 것이다. 그러나 접속단에 연장부(422)가 형성됨으로써, 키형상부(425) 간의 결합 부위가 연장부(422)와 키형상부(425)의 중첩 지점까지 확장될 수 있게 되므로, 원통형상부(421)와 키형상부(425) 간의 결합 부위의 강도가 더 보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히터장착부(325)는 접속단지지부재(3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단지지부재(329)는, 안착홈(c)에 안착된 접속단을 지지벽(b)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며 접속단을 지지벽(b)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속단지지부재(329)는, 안착홈(c) 및 지지벽(b)의 상부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329a)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코일스프링(329a)은, 안착홈(c)의 상부에서 안착홈(c)의 입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은, 안착홈(c)의 입구와 접속단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329a)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는, 제1결합부(329b)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스프링(329a)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는, 제2결합부(329c)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벽(b)의 상부에는, 제1스프링결합부(j) 및 제2스프링결합부(k)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스프링결합부(j)와 제2스프링결합부(k)는, 지지벽(b)의 상부에 배치되되, 안착홈(c)을 사이에 두고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결합부(329b)는 제1스프링결합부(j)에 결합될 수 있고, 제2결합부(329c)는 제2스프링결합부(k)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부(329b) 및 제2결합부(329c)가 각각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제1스프링결합부(j)와 제2스프링결합부(k) 중 어느 하나는 지지벽(b)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제1스프링결합부(j)와 제2스프링결합부(k) 중 다른 하나는 지지벽(b)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스프링결합부(j)가 지지벽(b)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마련되고, 제2스프링결합부(k)가 지지벽(b) 내부에 체결홀이 형성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1결합부(329b)와 제1스프링결합부(j)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접속단지지부재(329)의 길이방향 일측과 지지벽(b)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329c)와 제2스프링결합부(k)를 스크류로 체결함에 의해 접속단지지부재(329)의 길이방향 타측과 지지벽(b)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코일스프링은, 접속단의 상부에서 접속단을 하부로 누르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단은, 안착홈(c)의 내부에서 코일스프링, 즉 접속단지지부재(329)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접속단 지지 구조에 의해, 제1가열부(400)의 파손 발생 가능성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접속단 지지 구조에 따르면, 도어(300)의 개폐 과정에서 제1가열부(400)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도어(300)에 가해지는 충격이 제1가열부(400)에 전달될 때 제1가열부(400)가 받는 충격이 상당 부분 완화될 수 있다.
만약 제1가열부(400)가 전혀 움직일 수 없게 안착홈(c) 내부에 단단히 고정된다면, 제1가열부(40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제1가열부(400)는 이 충격의 영향을 모두 받을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제1가열부(400)의 파손 발생 가능성이 증가될 수밖에 없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가열부(400)가 접속단지지부재(329)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1가열부(40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제1가열부(400)는 안착홈(c)의 내부에서 어느 정도 이동하면서 충격의 영향을 어느 정도 회피할 수 있고, 그 이후에는 다시 원래 상태로 복귀한 후 그 상태를 계속해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가열부(400)가 접속단지지부재(329)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히터장착부(325) 상에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고, 충격으로 인한 제1가열부(400)의 파손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접속단 지지 구조에서는, 접속단지지부재(329)의 길이방향 일측을 제1스프링결합부(j)에 걸어 고정시킨 상태에서 접속단지지부재(329)의 길이방향 타측을 스크류로 체결하여 주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종합하면, 상기 접속단지지부재(329)를 이용한 접속단 지지 구조에 의해, 제1가열부(400)의 안정적인 설치 및 제1가열부(400)의 파손 발생 억제와 관련된 효과가 제공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1가열부(400)의 설치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함께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는, 각각 외벽(f)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벽(f)은, 발열체(4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지지벽(b)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결합부(321)의 내측면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외벽(f)은, 발열체(4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최외측 벽을 형성한다.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에는, 커버(a)와 지지벽(b)과 외벽(f)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각각 형성된다. 해당 공간은 커버(a)와 지지벽(b)과 외벽(f)에 의해 측부 및 하부가 둘러싸인 공간이며, 이러한 공간에는 제1접속단고정부(326) 또는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고정된 고정단의 원통형상부(421)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된다.
상기 공간 내에서, 원통형상부(421)는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다. 원통형상부(421)와 연결되는 케이블은, 제1제어기판(500; 도 7 참조)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1가열부(400)에 전달하는 신호케이블일 수도 있고, 전원을 제1가열부(400)에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일 수도 있으며, 신호케이블과 전원케이블 둘 다일 수도 있다.
신호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상면부(310)에 마련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은,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된 부분을 결합부(321)가 덮는 상태로 이루어진다.
케이블장착부(340,345)에는 복수개의 체결보스(341,346)가 배치되며, 도어프레임(320)에는 복수개의 체결홀(320a)이 체결보스(341,346)와 대응되게 배치된다. 체결홀(320a)과 체결보스(341,346)의 위치가 일치되도록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의 위치를 일치시킨 후, 체결홀(320a)과 체결보스(341,346)이 형성된 부분을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주면,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된 부분은 결합부(321)에 의해 덮이게 된다.
글라스(330,335)는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된 부분을 덮지는 않지만, 제1가열부(400) 및 히터장착부(325)는 글라스(335)에 의해 덮인 영역의 하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된 케이블이 접속단과 연결되기 위해서는, 도 53 내지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335)에 의해 덮이지 않은 결합부(321) 영역과 글라스(335)에 의해 덮인 히터장착부(325) 영역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외벽(f)과 결합부(321)의 연결 부위에 오목홈(g)이 마련된다. 오목홈(g)은, 외벽(f)과 결합부(321)의 연결 부위에 결합부(321)의 상부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결합부(321)의 안착면(322)보다 오목한 면을 형성한다. 이처럼 형성된 오목홈(g)은, 안착면(322)에 안착된 글라스(335)의 하부에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접속단의 원통형상부(a)가 수용된 공간과 케이블장착부(340,345; 도 7 참조) 사이에 케이블이 통과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리플렉터(440) 및 보호그릴(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플렉터(440)는, 제1가열부(400)의 열이 트레이(200; 도 1 참조) 측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제1가열부(400)의 열을 반사시키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리플렉터(440)는, 제1가열부(400)와 제1가로지지부(323) 사이 및 제1가열부(400)와 글라스(335) 사이를 가로막으며 제1가열부(400)의 열을 반사시킬 수 있다.
리플렉터(440)는, 도 41과 도 44 및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리플렉터부(441)와 제2리플렉터부(4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리플렉터부(441)는, 제1가열부(400)와 글라스(3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리플렉터부(441)는, 제1가열부(400)와 글라스(335) 사이 및 제1가열부(400)와 제1가로지지부(323)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1리플렉터부(441)는, 제1가열부(400)와 제1가로지지부(323)와 글라스(335) 사이를 경사지게 가로지르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리플렉터부(441)가 라운드지게 경사진 형상, 예를 들면 "つ"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2리플렉터부(445)는, 제1리플렉터부(441)와 글라스(3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리플렉터부(445)는, 제1리플렉터부(441)와 글라스(335)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2리플렉터부(445)는, 글라스(335)와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리플렉터부(445)는, 제1리플렉터부(441)의 상부에서 제1리플렉터부(44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440)는, 제1리플렉터부(441)와 제2리플렉터부(445)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나의 금속 판재가 벤딩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에 배치된 제1리플렉터부(441)와 하부에 배치된 제2리플렉터부(445)가 "て" 형상을 이루며 연결될 수 있게 하나의 금속 판재가 벤딩됨으로써, 리플렉터(440)의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440)는, 탄성 변형 가능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플렉터(440)에서는, 제1리플렉터부(441)와 제2리플렉터부(445) 중에서도 특히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1리플렉터부(441)가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아울러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제1리플렉터부(441)와 제2리플렉터부(445) 사이에는, 제1리플렉터부(441)와 제2리플렉터부(445) 및 제1가로지지부(323)로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공간은, 제1리플렉터부(441)와 제2리플렉터부(445) 간의 열전달을 억제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간은, 제1가열부(400)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1리플렉터부(441)를 가열한 제1가열부(400)의 열이 제2리플렉터부(445)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로써 제1가열부(400)의 열로 인해 도어(300)의 상부면, 즉 도어상면부(310)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플렉터(440)는, 제2가로지지부(324)와 커버(a)에 결합됨으로써, 도어프레임(3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가로지지부(324)에는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가 마련되고, 커버(a)에는 제2리플렉터지지돌기(m)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리플렉터지지돌기(m)는, 커버(a)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a)는 리플렉터(440)를 전방과 후방 및 하부에서 감싸는 "U"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a)는, 리플렉터(44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면과 리플렉터(44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측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는, 제2가로지지부(324)에서 제1가로지지부(323)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는, 리플렉터(440)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는, 커버(a)의 측벽 중 제2가로지지부(324)에 인접한 측벽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리플렉터지지돌기(m)는, 커버(a)의 측벽 중 제1가로지지부(323)에 인접한 측벽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리플렉터지지돌기(m)는, 커버(a)의 바닥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커버(a)의 측벽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될 수 있다.
리플렉터(440)보다 상부에 배치된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는, 제2리플렉터부(445)와 간섭되어 제2리플렉터부(445)의 상하방향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즉 제2리플렉터부(445)의 상부면이 리플렉터(440)보다 상부에 배치된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와 접촉되고, 이에 따라 제2리플렉터부(445)의 상하방향 위치는,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보다 하부인 영역으로 규제될 수 있다.
커버(a)의 측벽과 제2리플렉터지지돌기(m) 사이의 공간에는 제1리플렉터부(441)의 하측 단부가 삽입되고, 이에 따라 제1리플렉터부(441)와 커버(a)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이루어지는 제1리플렉터부(441)와 커버(a)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제1리플렉터부(441)의 전후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리플렉터부(445)의 상하방향 위치가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에 의해 규제되고 제1리플렉터부(441)의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 위치가 제2리플렉터지지돌기(m)에 의해 규제됨으로써, 리플렉터(440)의 설치 위치는 커버(a)의 바닥면과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 사이의 영역, 그리고 커버(a)의 양 측벽 사이의 영역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440)는, 커버(a)의 바닥면과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 사이의 거리보다 긴 상하방향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플렉터(440)는, 제1리플렉터부(441)가 커버(a)에 끼움 결합되고 제2리플렉터부(445)가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의 하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커버(a)의 내부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리플렉터(440)는 커버(a)의 바닥면과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축된 형태로 설치되므로, 리플렉터(440)가 커버(a)의 내부 영역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리플렉터(400)는, 제1가열부(400)와 제1가로지지부(323) 사이, 및 제1가열부(400)와 글라스(335) 사이를 가로막으며 제1가열부(400)의 열을 반사시킴으로써, 제1가열부(400)의 열이 트레이(200) 측으로 집중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보호그릴(450)은, 도 40 내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열부(400)의 열이 트레이(20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면서 제1가열부(400)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보호그릴(450)은, 제1가열부(400)를 사이에 두고 제1가로지지부(323)와 이격되게 배치되거나, 제1가열부(400)를 사이에 두고 글라스(335)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보호그릴(450)은, 복수개의 강선(4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강선(451)은,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되, 대략 제1가열부(40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또는 그보다 약간 더 긴 길이로 마련된다.
복수개의 강선(451)은, 제1가열부(400)의 주변을 제1가열부(400)의 둘레방향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배열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강선(451)은, 제1가열부(4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열부(400)의 둘레방향 주변은 리플렉터(440)와 보호그릴(450)로 둘러싸인다. 즉 제1가열부(400)의 전후방향 일측과 가열부(400)의 상부는 리플렉터(440)에 의해 둘러싸이며, 나머지 방향, 즉 제1가열부(400)의 전후방향 타측과 가열부(400)의 하부는 보호그릴(450)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강선(451)은 제1가열부(400)의 전후방향 타측과 가열부(400)의 하부를 제1가열부(400)의 둘레방향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보호그릴(450)은, 그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도어프레임(3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 각각에는, 그릴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릴고정부는, 보호그릴(450)의 강선(451)을 히터장착부(325)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고정리브(h)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리브(h)는, 복수개의 강선(451)의 배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고정리브(h)는, 커버(a)에서 제1가열부(40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고정리브(h) 사이에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리브(h) 간의 이격 간격은, 상기 고정홈이 강선(451)의 굵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고정리브(h)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홈에 강선(451)을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보호그릴(450)과 그릴고정부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 각각에 형성되는 그릴고정부에 보호그릴(450)의 양측 단부를 끼워 고정시키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도어프레임(320)에 보호그릴(450)을 설치하는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커버(a)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리브(h)는, 커버(a)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 구조물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히터장착부(325)는, 그릴지지부(3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릴지지부(328)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릴지지부(328)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에서 강선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그릴지지부(328)는, 커버(328a)와 복수개의 고정리브(328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328a)는, 제1접속단고정부(326) 또는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커버(a)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328a)는 상부가 개방된 "U"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리브(328b)는, 제1접속단고정부(326) 또는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고정리브(h)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리브(328b)는, 복수개의 강선(451)의 배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고정리브(328b)는 커버(328a)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각의 고정리브(328b) 사이에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고정리브(328b)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홈에 강선(451)을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보호그릴(450)과 그릴지지부(328)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에 마련되는 그릴지지부(328)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에서 보호그릴(450)을 지지함으로써, 보호그릴(450)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에서 쳐짐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고, 보호그릴(450)의 고정이 더욱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중 어느 하나의 커버(a)에는, 도 55 및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통과홀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커버(a)에 그릴통과홀이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그릴통과홀은, 보호그릴(450)의 강선(451)이 커버(a)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릴통과홀은, 커버(a)의 단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접속단고정부(327)와 마주보는 커버(a)의 일측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리브(h)는 지지벽(b)과 그릴통과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릴통과홀은, 제2접속단고정부(327)를 향해 개방될 수 있으며, 광폭부(n) 및 협폭부(o)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폭부(n)는, 커버(a)의 길이방향 단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접속단고정부(327)와 마주보는 커버(a)의 일측 단부와 고정리브(h)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광폭부(n)는, 커버(a)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협폭부(o)는, 광폭부(n)와 고정리브(h) 사이에 배치되며, 커버(a)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협폭부(o)는, 제2접속단고정부(327)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협폭부(o)는, 광폭부(n)와 연결되며, 광폭부(n)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협폭부(o)는, 광폭부(n)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면서, 광폭부(n)의 폭방향 내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협폭부(o)는 강선(451)의 굵기보다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되, 강선(451)의 굵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접속단고정부(326)에 마련된 복수개의 고정리브(h) 사이에 형성된 고정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광폭부(n)와는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면서도 협폭부(o)와는 상하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접속단고정부(326)에는, 보호그릴(450)의 강선(451)이 커버(a)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데 필요한 통로 및 강선(451)을 제1접속단고정부(326)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물이 함께 마련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강선(451)의 길이방향 일측이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고정된 후, 강선(451)의 길이방향 타측이 제1접속단고정부(326)에 고정되는 형태로 강선(451)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제1가열부(400) 또는 리플렉터(450)의 설치가 먼저 이루어진 상태라면, 도어프레임(320)의 상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강선(451)을 끼워 넣는 방법으로 강선(451)의 설치가 이루어지기는 어렵다.
이 경우에는, 측방향으로 강선(451)을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 끼워 넣는 방법으로 강선(451)의 설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강선(451)을 제1접속단고정부(326) 측으로부터 그릴지지부(328)의 내부 영역을 측방향으로 통과시킨다. 그런 다음 이 강선(451)을 측방향으로 밀어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내부로 끼워 넣은 후,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고정홈에 끼워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강선(451)의 길이방향 일측의 고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강선(451)의 길이방향 타측은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하부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강선(451)의 길이방향 타측이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내부로 끼워 넣어지기 위해서는, 강선(451)의 길이방향 타측이 커버(a)를 상부방향으로 통과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강선(451)의 길이방향 타측은 그릴통과홀을 통해 커버(a)를 통과하여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내부로 삽입된 강선(451)은,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가열부(400)의 설치 및 접속단과 케이블의 연결 작업이 완료되면,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 도 31 참조)의 개방된 상부에는 캡이 각각 덮여 접속단을 보호할 수 있다.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와 캡 간의 결합을 이루기 위해, 커버(a)의 상부에는 결합돌기(i)가 돌출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리플렉터(440)에는, 끼움결합돌기(447)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끼움결합돌기(447)는, 제2리플렉터부(445)로부터 전후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결합돌기(447)에는, 끼움공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결합돌기(447)는, 끼움공에 결합돌기(i)가 삽입되도록 결합돌기(i)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끼움결합돌기(447)와 결합돌기(i) 간의 결합에 의해, 커버(a)와 리플렉터(44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리플렉터(440)의 고정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프레임(320)에는,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통과홀(320b)이 마련될 수 있다. 제1힌지통과홀(320b)은, 결합부(32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힌지통과홀(320b)은, 힌지부(810)가 도어프레임(320)을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도어프레임(320)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프레임(320)에는, 도 42와 도 47 내지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결합부(320c) 및 제2힌지결합부(320d)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결합부(320c) 및 제2힌지결합부(320d)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힌지부(8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을 이루기 위한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결합부(320c)와 제2힌지결합부(320d)는, 힌지부(810)와 각각 결합되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힌지결합부(320c) 및 제2힌지결합부(320d) 중 어느 하나는 힌지부(810)와 측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되고, 제1힌지결합부(320c) 및 제2힌지결합부(320d) 중 다른 하나는 힌지부(810)와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힌지결합부(320c)가 힌지부(810)와 측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되고, 제2힌지결합부(320d)가 힌지부(810)와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1힌지결합부(320c)는, 제1힌지통과홀(320b)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힌지결합부(320c)는, 제1힌지통과홀(320b)과 매우 인접한 위치에서 도어프레임(320)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힌지결합부(320b)는, 힌지부(810)와 측방향으로 마주보는 결합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힌지결합부(320d)는, 제1힌지통과홀(320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힌지결합부(320d)는, 제1힌지통과홀(320b)의 상부에서 힌지부(810)와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는 결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힌지결합부(320d)는, 제1힌지통과홀(320b)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제1힌지통과홀(320b)의 상부에 배치된 면이 상기 힌지부(810)와의 결합면을 이루고, 이 결합면은 도어프레임(320)으로부터 돌출된 측벽들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힌지부(8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800)의 힌지부(8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때 힌지부(810)는, 제1힌지링크(811)와 제2힌지링크(812)와 제3힌지링크(813) 및 제4힌지링크(81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힌지부(810)는, 복수개의 힌지링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 도어프레임(320)과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은 제1힌지링크(811)이다. 제1힌지링크(811)는, 도어프레임(320)과 결합되어 도어(300)와 함께 회동할 수 있다.
이 제1힌지링크(811)에는, 제2힌지링크(812) 및 제3힌지링크(813)가 연결될 수 있다. 제2힌지링크(812) 및 제3힌지링크(813)는, 제1힌지링크(8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힌지링크(812) 및 제3힌지링크(813)는, 제4힌지링크(814)와 연결될 수 있다.
도어(300) 회동시 제1힌지링크(811)와 연결된 제2힌지링크(812) 및 힌지링크(813)의 자세가 변화되고, 이에 따라 이와 연결된 제4힌지링크(814)의 자세가 변화될 수 있다.
제4힌지링크(814)는, 힌지어셈블리(800)에 마련된 댐퍼(815; 도 52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댐퍼(815)는, 힌지케이스(83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4힌지링크(814)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로써 도어(300)는, 적절한 속도로 부드럽게 회동하며 조리실(105; 도 52 참조)을 개폐할 수 있다.
제1힌지링크(811)는, 도어프레임(320)의 하부로부터 제1힌지통과홀(320b)을 통과하여 도어프레임(320)의 상부에서 도어프레임(320)과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힌지링크(811)는, 양측면과 상면을 포함하는 사각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힌지링크(811)의 측면은, 제1힌지결합부(320c)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힌지링크(811)의 상면은 제2힌지결합부(320d)와 결합될 수 있다. 제1힌지링크(811)의 측면과 제1힌지결합부(320c) 간의 결합, 그리고 제1힌지링크(811)의 상면과 제2힌지결합부(320d) 간의 결합은 스크류 체결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힌지링크(811)의 측면과 제1힌지결합부(320c)는 측방향으로 결합되고, 제1힌지링크(811)의 상면과 제2힌지결합부(320d)는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지점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힌지부(8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힌지부(8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이 더욱 강한 결합력으로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프레임(320)에는 복수개의 체결홀(320a)이 마련되는데, 이 체결홀(320a) 중 일부는 제1힌지통과홀(320b)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도어프레임(320)과 도어상면부(310) 간의 결합이 제1힌지통과홀(320b)과 매우 인접된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제1힌지통과홀(320b) 부근에서 도어프레임(320)과 도어상면부(310) 간의 벌어짐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도어프레임(320)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결합됨으로써, 도어상면부(310) 내부에 배치된 케이블장착부(340,345; 도 7 참조) 및 이에 설치된 케이블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도어상면부(310)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도어프레임(320)은,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된 부분을 결합부(321)가 덮는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장착부(340,345) 등에 체결되는 형태로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결합된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 내부에 배치된 케이블장착부(340,345; 도 7 참조) 및 이에 설치된 케이블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커버할 수 있으며, 필요시 도어(30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부품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시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조리기기의 유지보수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도어프레임(320)은 제1가열부(400)와 그 관련 부품들, 그리고 글라스(335)가 하나의 단위체로 조립될 수 있는 틀을 제공함으로써, 부품 관리 및 제조 관리가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어프레임(320)에는, 글라스(335)가 도어프레임(320)에 고정되기 위한 구조물들 외에도, 제1가열부(400)와 리플렉터(440) 및 보호그릴(450)이 도어프레임(320)에 고정되기 위한 구조물들이 함께 제공된다.
이에 따라 글라스(335)와 제1가열부(440)와 리플렉터(440) 및 보호그릴(450)이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된 하나의 단위체가 제공될 수 있고, 도어프레임(320)을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결합하는 것만으로 글라스(335)와 제1가열부(440)와 리플렉터(440) 및 보호그릴(450)가 단번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셋째, 도어프레임(320)은 제1가열부(400)가 도어프레임(320)에 쉽고 빠르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들을 제공함으로써, 제1가열부(400) 설치 작업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열부(400)의 일측 단부를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중 어느 하나에 먼저 끼우고, 제1가열부(400)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가열부(400)의 양측 단부가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각각 끼워지도록 한 후, 이를 접속단지지부재(329)로 고정시키는 단순하고 쉬운 작업만으로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이때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는 방향성 있게 마련된 것이 아니므로, 제1가열부(400)의 일측 단부를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중 어느 것에 먼저 끼우더라도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문제없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도어프레임(320)은, 제1가열부(400) 설치 작업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제조 작업은 물론 제1가열부(400)의 교체를 위해 이루어지는 유지보수 작업 또한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넷째, 제1가열부(400)가 접속단지지부재(329)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히터장착부(325) 상에 안정되게 설치됨으로써,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짐은 물론, 충격으로 인한 제1가열부(400)의 파손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도어 내부의 냉각 구조]
도 50은 도어전면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1은 도 50에 도시된 도어전면부 내부에서의 수증기 및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 및 도 50을 참조하면, 도어상면부(310)의 내부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는 각각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된 투시창(W)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투시창(W)을 포함한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와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 사이, 바꾸어 말하면, 제1도어본체부(310a)와 도어프레임(320)으로 둘러싸인 공간부와 제2도어본체부(350a)와 도어배면커버(350b)로 둘러싸인 공간부는, 실링부재(S) 등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도어전면부(350)의 하단에는, 냉각홀(301)이 마련될 수 있다. 냉각홀(301)은, 도어전면부(350)의 하단,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저면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홀(301)은,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도어전면부(350) 상에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저면에 복수개의 냉각홀(301)이 마련되며, 복수개의 냉각홀(301)이 도어전면부(350)의 하단에 좌우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는, 배기구(303)가 마련될 수 있다. 배기구(303)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도어상면부(310) 상에 형성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냉각팬(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냉각팬(360)은, 도어상면부(310)의 내부 또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냉각팬(360)은,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냉각팬(360)은, 지지패널(550)에 결합되어 지지패널(5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된 영역과 다른 영역, 즉 제2영역(550b)에 제1냉각팬(360)이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도어상면부(310)에는 투시창(W), 제1가열부(400) 등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어상면부(310)에는 여유 공간이 부족하다. 이에 비해 도어전면부(350)에는 제1제어기판(500) 외에는 부피를 차지하는 부품들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넉넉한 여유 공간을 갖는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 설계의 결과로서, 제1냉각팬(360)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영역(550a)에는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고, 제1제어기판(500)에는 조작장치(1000)와 관련된 부품들이 배치된다. 따라서 제1영역(550a)에서는, 제1냉각팬(360)이 설치될만한 여유 공간이 확보되기 어렵다.
제2영역(550b)에는, 온도센서(580), 터치조작부(1900)와 같은 부품들이 배치된다. 제1냉각팬(360)은, 이들과 함께 제2영역(550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제1냉각팬(360)은, 외부 공기가 냉각홀(301)을 통해 도어(300)의 내부로 유입되고 도어(300) 내부의 공기가 다시 냉각홀(301)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킨다.
이처럼 제1냉각팬(360)에 의해 발생된 공기 흐름에 의해, 외부 공기가 냉각홀(301)을 통해 도어전면부(35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어전면부(350)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제1제어기판(500)을 냉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제어기판(500)을 냉각시킨 공기는, 다시 냉각홀(303)을 통해 도어(3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와 조리실(105) 사이가 실링부재(S) 등에 의해 차폐되지만, 조리실(105) 내부의 열기나 수증기가 이들 사이를 통해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로 유입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여럽다.
또한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와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 사이가 실링부재(S) 등에 의해 차폐되지만,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열기나 수증기가 이들 사이를 통해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로 유입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
즉 조리실(105) 내부에서 조리가 이루어질 때 발생하는 열기나 수증기가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를 거쳐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열기나 수증기, 특히 수증기가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로 유입될 경우, 이 수증기는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부품들, 즉 제1제어기판(500), 조작장치(1000), 터치조작부(1900) 등과 같은 부품들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이들을 수분에 노출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로 유입된 수증기는,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부품들의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이들의 고장 발생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로 유입된 수증기는,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냉각팬(360)에 의해 도어(3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냉각팬(360)에 의해, 도어전면부(350) 내부에는 외부 공기가 냉각홀(301)을 통해 도어전면부(35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흐름, 그리고 제1제어기판(500)을 냉각시킨 공기 및 도어상면부(310)로부터 도어전면부(350)의 내부로 유입된 수증기가 냉각홀(303)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흐름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냉각팬(360)이 원심팬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냉각팬(36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하부를 향해 토출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냉각팬(360)의 축방향 일측과 도어전면부(350) 사이,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냉각팬(360)의 전방측에 형성된 흡입구와 제1도어본체부(350a)의 배면 사이가 소정 간격 이격되므로, 제1냉각팬(360)의 흡입구를 통한 공기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냉각팬(360)은, 제2영역(550b)에 배치되되, 냉각홀(303)과 인접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냉각팬(360)은 터치조작부(1900) 및 온도센서(58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냉각팬(360)은 도어상면부(310)와 냉각홀(301) 사이에 배치되되, 도어상면부(310)보다는 냉각홀(301)에 좀 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제1냉각팬(360)은, 냉각홀(301)과 인접한 위치에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만약 제1냉각팬(360)이 냉각홀(301)보다는 도어상면부(310)에 좀 더 인접한 위치, 예컨대 터치조작부(1900)와 도어상면부(310) 사이에 배치된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첫째, 제1냉각팬(360)에서의 공기 토출이 냉각홀(301)에서 먼 위치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제1냉각팬(360)에서 토출되었던 고온의 공기 및 수증기가 다시 제1냉각팬(360)으로 재흡입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제1냉각팬(360)에서의 공기 토출 위치가 냉각홀(301)에서 멀어질수록, 제1냉각팬(360)에서 토출된 공기가 도어전면부(350) 내부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증가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제1냉각팬(360)에서 토출된 공기가 도어전면부(350) 내부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증가되면, 그만큼 이 공기가 제1냉각팬(360)으로 재흡입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냉각홀(301)을 통과하여 도어(300) 외부로 배출된 공기보다는 도어전면부(350)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가 제1냉각팬(360)으로 재흡입되기가 쉽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처럼 제1냉각팬(360)으로 재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질수록, 그만큼 도어(300) 내부에 대한 냉각 효율 및 수증기 제거 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게 된다.
둘째, 제1냉각팬(360)의 공기 흡입이 도어상면부(310)에서 너무 가까운 위치에서 이루어지게 되면,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로부터 도어전면부(350) 내부로의 수증기 유입이 촉진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도어상면부(310)와 제1냉각팬(360)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도어상면부(310)와 도어전면부(350) 사이의 틈에 작용하는 제1냉각팬(360)의 흡입력의 크기가 그만큼 증가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도어상면부(310)와 도어전면부(350) 사이의 틈에 작용하는 제1냉각팬(360)의 흡입력의 크기가 증가되면, 그만큼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로부터 도어전면부(350) 내부로의 수증기 유입이 촉진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냉각팬(360)이 도어상면부(310)보다는 냉각홀(301)에 좀 더 인접한 위치, 바람직하게는 치패널지지부(565) 및 온도센서(58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냉각팬(360)은, 냉각홀(301)을 향한 방향, 예컨대 하부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토출된 공기가 최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를 벗어나 도어(3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제1냉각팬(360)이 이와 같이 마련됨으로써, 제1냉각팬(360)에서 토출되었던 고온의 공기 및 수증기의 재흡입, 그리고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로부터 도어전면부(350) 내부로의 수증기 유입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300) 내부에 대한 냉각 효율 및 수증기 제거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도어(300) 내부의 부품들의 성능 저하 및 고장 발생 위험성을 낮추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힌지어셈블리 내부의 냉각유로 구조]
도 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에 마련된 냉각유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53은 도 52에 도시된 냉각유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며, 도 54는 도 52에 도시된 냉각유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또한 도 55는 도 52에 도시된 냉각유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고, 도 56은 도 55에 도시된 냉각유로를 통한 조리실 내부로의 공기 토출 흐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7은 도 52에 도시된 냉각유로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3 및 도 52를 참조하면, 힌지 어셈블리(800)는 트레이(200)의 좌우방향 양측 외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하우징(100)의 좌우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 52 내지 도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케이스(830)와 힌지부(810) 및 냉각유로(85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케이스(830)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이러한 힌지케이스(830)의 내부에는 힌지부(810)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유로(850)는, 이러한 힌지케이스(830) 내부의 수용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냉각유로(850)는 힌지케이스(830)의 외부로부터 힌지케이스(8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힌지케이스(830)에는, 유로입구(831) 및 유로출구(833)가 마련될 수 있다.
유로입구(831)는, 냉각유로(850)로부터 힌지케이스(830)의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입구(831)는, 힌지케이스(830)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입구(831)가 힌지케이스(830)의 하단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유로출구(833)는, 냉각유로(850)로부터 조리실(105) 내부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출구(833)는, 유로입구(831)의 상부에 배치되며, 힌지케이스(830)의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냉각유로(850)의 하부에 유로입구(831)가 배치되고, 냉각유로(850)의 상부 측에 유로출구(833)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출구(833)가 힌지케이스(830)의 측부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구체적으로, 유로출구(833)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마주보는 힌지케이스(830)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유로출구(833)는 조리실(105) 측을 향한 힌지케이스(830)의 일측면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로입구(831)는 냉각유로(850)의 하단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유로출구(833)는 냉각유로(850)의 일측면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냉각유로(850)는, 힌지케이스(830) 내부에 형성된 구조물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유로(850)는, 제1구간(851)과 제2구간(853)을 포함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구간(851)은, 냉각유로(850)의 두 구간 중에서, 유로입구(83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에 해당된다. 이러한 제1구간(851)은, 하우징(100)의 전면 및 도어전면부(35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구간(853)은, 냉각유로(850)의 두 구간 중에서, 제1구간(851)의 상부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구간에 해당된다. 이러한 제2구간(853)은, 하우징(100)의 상면 및 도어상면부(31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입구(831)는, 냉각유로(850)의 하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구간(851)의 하부에 위치한다. 유로입구(831)는, 냉기유로(850)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나란한 방향에 대해서, 냉기유로(850)보다 유로입구(831)의 폭이 넓다.
이러한 유로입구(831)가 형성되는 힌지케이스(830)의 하부에는, 팬장착부(835)가 마련될 수 있다. 팬장착부(835)는, 유로입구(831)를 둘러싸며 힌지케이스(850)의 하부에서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팬장착부(835)는 유로입구(831)가 배치되는 하우징(850)의 하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팬장착부(835)의 내부에는, 제3냉각팬(86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팬장착부(835)는 힌지케이스(830)의 하부에서 하우징(100)의 저면(11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저면(110)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이 힌지케이스(830)를 향해 측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팬장착부(835)의 적어도 일부분은,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형성된 공간(이하, "하부공간"이라 함)에 삽입될 수 있다.
하부공간에는, 제2가열부(600; 도 34 참조)가 배치된다. 상기 공간에 수용되는 제2가열부(600), 좀 더 구체적으로 워킹코일(610; 도 34 참조)은, 상기 하부공간을 꽉 채우게 구비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워킹코일(610)은 좌우방향에 대해서 하우징(100)의 저면(11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05) 내부에 배치되는 트레이(200)의 좌우방향 길이가 하우징(100)의 저면(110)보다 짧을 수밖에 없고, 워킹코일(610)의 좌우방향 길이가 트레이(200)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길 필요가 없다. 또한 워킹코일(610)은, 통상적으로 이 하우징(100)의 좌우방향 중앙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공간의 측부에는, 팬장착부(835)의 삽입이 이루어질만한 공간이 충분히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공간은 측방향으로 개방되며, 이를 통해 팬장착부(835)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부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팬장착부(835)의 대부분이 하부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팬장착부(835)의 삽입이 이루어짐으로써, 팬장착부(835)를 매개로 한 힌지케이스(830)와 하우징(10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힌지 어셈블리(800)가 하우징(100)에 더욱 안정된 형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형태로 팬하우징(835)의 삽입이 이루어짐으로써, 돌출 구조물인 팬하우징(835)으로 인해 조리기기 상에서 힌지 어셈블리(800)가 차지하는 영역의 좌우방향 길이가 증가되거나 조리기기의 크기가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제3냉각팬(860)은, 힌지케이스(830)의 하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팬장착부(835)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냉각팬(860)은, 외부 공기가 유로입구(831)를 통해 냉각유로(85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제3냉각팬(860)에 의해 발생된 공기 흐름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로입구(831)를 통해 냉각유로(8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냉각유로(85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냉각유로(850)의 제1구간(851)과 제2구간(853)을 통과하면서 힌지케이스(83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부(810)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과 연결된다. 이러한 힌지부(810)는, 힌지케이스(830) 내에서 후방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냉각유로(850)는, 제1구간(851)과 제2구간(8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구간(851)과 제2구간(853)은, 힌지케이스(830)의 전방 상측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유로입구(831)를 통해 냉각유로(85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제1구간(851)을 통과하면서 하우징(100)의 전면 및 도어전면부(350) 주변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구간(851)을 지나 제2구간(853)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2구간(853)을 통과하면서 하우징(100)의 상면 및 도어상면부(310) 주변을 냉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냉각유로(850)에는, 유로가이드(855)가 마련될 수 있다. 유로가이드(855)는, 냉각유로(850) 상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제1구간(851)과 제2구간(853)의 연결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유로가이드(855)는, 냉각유로(850)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 방향이 전환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가이드(855)는, 제1구간(851)을 통과한 공기가 제2구간(853)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서, 유로가이드(855)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두 돌기 사이가 곡면 형상의 돌기로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상면과 전면, 그리고 도어상면부(310)와 도어전면부(350)는, 사용자와의 접촉 가능성이 높은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부분은, 조리실(105) 내의 열에 의한 영향을 쉽게 받을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부분 주변에 냉각유로(850)가 배치되도록 하고, 제3냉각팬(860)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가 냉각유로(850)로 유입되도록 하는 냉각 구조가 제공된다.
이를 통해, 상기와 같이 열의 영향을 받아 온도가 쉽게 상승될 수 있으면서 사용자와의 접촉 가능성이 높은 부분에 대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 도어(300)의 과열로 인한 도어(300) 내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유로출구(833)는, 제1구간(851)의 상부, 즉 제1구간(851)과 제2구간(853)의 연결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출구(833)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마주보는 힌지케이스(830)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됨으로써, 냉각유로(850)를 힌지케이스(830) 외부로 개방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에는, 냉기토출부(125)가 마련될 수 있다. 냉기토출부(125)는, 유로출구(833)와 연통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냉기토출부(125)는, 복수개의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토출구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에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냉기토출부(125)는, 이처럼 형성된 복수개의 토출구가 유로출구(833) 주변에 집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3냉각팬(860)에 의해 냉각유로(850)로 유입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분은, 도 54 내지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출구(833) 및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의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로출구(833)와 냉기토출부(125)가 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냉기토출부(125)는 토유로출구(833)과 측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냉각팬(860)에 의해 냉각유로(850)로 유입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분이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측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아울러 힌지어셈블리(800)와 하우징(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토출돌기(83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돌기(835)가 힌지어셈블리(800)에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토출돌기(835)는 힌지케이스(830)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돌기(835)는, 유로출구(833)를 감싸며 힌지케이스(830)로부터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돌기(835)는, 유로출구(833)와 냉기토출부(125)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즉 토출돌기(835)의 내부에는 유로출구(833)와 냉기토출부(125)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통로는 힌지케이스(830)와 토출돌기(835) 및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토출돌기(835)에 의해 형성된 통로에 의해, 유로출구(833)를 통해 냉각유로(850)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가 냉기토출부(125) 측으로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냉각팬(860)에 의해 냉각유로(850)로 유입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배기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유도부는,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배치되어 조리실(105)의 전방에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기유도부는,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하우징(100)의 다른 측면으로 이동하거나 조리실(105)의 전방에서 하우징(100)의 배면(110)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배기유도부는,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유로(850)로 유입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하우징(100)의 다른 측면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유도부는,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유로(850)로 유입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제2구간(853)을 통해 후방으로 유동하며 조리실(105) 내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실(105)의 전방에서 하우징(100)의 배면(110)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조리실(105)의 전방에서 하우징(100)의 배면(110)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은, 하우징(100)의 전방측에 배치된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도 유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유도부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기유도부는 냉각유로(850)와 유로입구(831) 및 유로출구(8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기유도부는, 제3냉각팬(8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기유도부는, 토출돌기(8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유도부의 구체적인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하우징과 도어의 실링 구조]
도 5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고, 도 59는 도 58의 "ⅩⅩⅩⅩⅩ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고, 도 61은 도 60의 "ⅩⅩⅩⅩⅩⅩ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6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63은 도 62의 "ⅩⅩⅩⅩⅩⅩⅢ"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8 내지 도 6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 및 제3가스켓(3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기기가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 및 제3가스켓(390)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조리기기가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 및 제3가스켓(390) 중 둘만 포함할 수도 있고,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 및 제3가스켓(390)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8 및 도 59를 참조하면, 제1가스켓(370)은 힌지케이스(830) 또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가스켓(370)은, 냉각유로(850)의 전방에서 힌지케이스(830)와 도어전면부(350) 사이 또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전면부(350)의 배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배면커버(350b)에 제1가스켓(370)이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도 60 및 도 61을 참조하면, 제2가스켓(380)은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가스켓(380)은, 냉각유로(850)의 전방에서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전면부(350)의 배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배면커버(350b)에 제2가스켓(380)이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도 62 및 도 63을 참조하면, 제3가스켓(390)은 하우징(100)의 상면과 도어상면부(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가스켓(390)은, 냉각유로(850)의 상부에서 힌지케이스(830)와 도어상면부(310) 사이, 또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3가스켓(390)은 힌지케이스(830)의 상면과 도어상면부(310)의 저면 사이를 실링하거나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의 상단과 도어상면부(310)의 저면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상면부(310)의 저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프레임(320)의 저면에 제3가스켓(390)이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8 내지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가 제1가스켓(370) 및 제2가스켓(380)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이때 제1가스켓(370)은, 조리실(105)의 좌우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조리실(105)의 전방에서 실링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가스켓(370)은, 조리실(105)의 좌우방향 양측에서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각각 실링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가스켓(380)은, 조리실(105)의 하부에 배치되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조리실(105)의 전방에서 실링할 수 있다. 이러한 제2가스켓(380)은, 조리실(105)의 하부에서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또한, 도 62 및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가 제3가스켓(390)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이때 제3가스켓(390)은, 조리실(105)의 좌우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를 조리실(105)의 상부에서 실링할 수 있다. 이러한 제3가스켓(390)은, 조리실(105)의 좌우방향 양측에서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를 각각 실링할 수 있다.
종합하면, 도 58 내지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전면부(35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는 제1가스켓(370) 및 제2가스켓(380)에 의해 실링될 수 있고, 도어상면부(31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는 제3가스켓(390)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가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 및 제3가스켓(390)에 의해 실링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리 과정에서 조리실(105)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 또는 수증기는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새어나가기 어렵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들(370,380,390)은, 조리 과정에서 조리실(105)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 또는 수증기가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스켓들(370,380,390)의 작용에 의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온 열기 또는 수증기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을 입거나,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온 수증기에 의해 도어(300)에 이슬 맺힘이 발생되거나, 도어(300)에 맺힌 이슬에 의해 도어(300) 주변에 물고임이 발생되는 것과 같은 문제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7 및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가스켓(390)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상단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되, 측방향에 대해서 하우징(100)의 측방향 중심과 제2구간(85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구간(853)은, 제3가스켓(390)과 비교하여 하우징(100)의 측방향 중심으로부터 더 먼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위치에 배치된 제2구간(853)을 따라 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제3가스켓(390)과 하우징(100) 사이를 통과한 공기를 제3가스켓(390)의 측방향 외측에서 가로막는 에어커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의 틈새는, 제3가스켓(390)에 의해서만 실링되는 것이 아니라, 제2구간(853)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커튼에 의해서도 실링될 수 있다.
[가스켓의 구조 - 제1가스켓]
도 64는 도 59의 "ⅩⅩⅩⅩⅩⅩⅣ"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5는 도 61의 "ⅩⅩⅩⅩⅩⅩⅤ"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66은 도 63의 "ⅩⅩⅩⅩⅩⅩⅥ"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4 내지 도 6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9 및 도 64를 참조하면, 제1가스켓(370)은 힌지케이스(830) 또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가스켓(370)이 힌지케이스(830) 또는 하우징(100)의 전면과 마주보는 도어전면부(350)의 배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가스켓(370)은 도어배면커버(350b)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스켓(370)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가스켓(370)은, 실리콘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가스켓(370)은, 제1실링몸체(3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몸체(371)는, 도어(300; 도 62 참조),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전면부(3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실링몸체(371)의 적어도 일부분은, 도어(300)도어(300)의 내부로부터 도어(300)를 관통하여 하우징(10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링몸체(371)는 도어전면부(350)의 배면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며 도어전면부(350)의 배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실링몸체(371)는, 도어배면커버(350b)를 관통하며 도어배면커버(350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실링몸체(371)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전면부(350)의 배면에 설치되는 제1실링몸체(371)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실링몸체(371)의 일측면, 즉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마주보는 제1실링몸체(371)의 배면은, 하우징(100)을 향해 라운드지게 돌출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실링몸체(371)의 후측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실링몸체(371)의 후측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한 상태일 때, 제1실링몸체(371)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의 전면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링몸체(371)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300) 사이의 틈새를 더욱 효과적으로 실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실링몸체(371)의 후측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제1가스켓(370)과 하우징(100) 간의 접촉이 면접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1가스켓(370)과 하우징(100) 간의 접촉이 면접촉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면, 제1가스켓(370)의 모서리 부분 등이 하우징(100)과 접촉되는 경우에 비해 제1가스켓(370)과 하우징(100) 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이처럼 제1가스켓(370)과 하우징(100) 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면, 도어(300) 개폐 과정에서 제1가스켓(370)에 가해지는 단위 면적당 충격량이 감소될 수 있게 되므로, 제1가스켓(370)과 하우징(100) 간의 반복적인 접촉으로 인한 제1가스켓(370) 파손 발생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1가스켓(370)과 하우징(100) 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고, 이에 따라 도어(300) 개폐 과정에서 제1가스켓(370)에 가해지는 단위 면적당 충격량이 감소되면, 도어(300) 개폐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제1실링몸체(371)의 내부에는, 제1가스켓중공부(37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가스켓중공부(372)는, 제1실링몸체(371)의 내부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스켓중공부(372)가 제1실링몸체(371)의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제1실링몸체(371)의 탄성 변형 범위가 더욱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링몸체(371)는, 하우징(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측면(120,130)의 전면에 더욱 확실하게 밀착되며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실링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가스켓(370)은, 제1실링커버(3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커버(373)는, 제1실링몸체(371)로부터 돌출되며, 도어배면커버(350b)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실링커버(373)는, 도어(300)의 외부에서 도어배면커버(350b)에 밀착될 수 있다.
도어배면커버(350b)에는, 제1가스켓끼움홀(352b)이 마련될 수 있다. 제1가스켓끼움홀(352b)은, 도어배면커버(350b)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실링몸체(371)는, 이러한 제1가스켓끼움홀(352b)에 삽입되며 도어배면커버(350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1실링몸체(37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가스켓끼움홀(352b)은 이에 대응되는 형상의 홀(hol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실링커버(373)는, 제1실링몸체(371)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실링커버(373)는, 제1가스켓끼움홀(352b)에 삽입된 제1실링몸체(371)와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의 틈새를 도어배면커버(350b)의 배후에서 덮음으로써, 제1실링몸체와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의 틈새를 실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된 제1실링커버(373)는, 조리실(105) 내부로부터 도어전면부(350)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온 열기 또는 수증기가 제1가스켓끼움홀(352b)을 통해 도어(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실링커버(373)는, 제1실링몸체(371)의 배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300)가 조리실을 폐쇄할 때, 제1실링몸체(371)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에서 납작하게 찌그러지며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때 제1실링커버(373)는, 도어배면커버(350b) 및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각각 밀착되며 도어배면커버(350b)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사이의 틈새를 실링할 수 있다.
제1지지몸체(375)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서 제1실링몸체(371)를 지지할 수 있다. 제1지지몸체(375)는, 도어전면부(350)의 측부에 치우치게 배치되되, 도어배면커버(350b)와 지지패널(5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패널(550)은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몸체(375)는, 지지패널(55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지지패널(550)의 양측에 배치된 결합영역(550c)과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제1지지몸체(375)는, 지지패널(550)의 결합영역(550c)과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끼움 결합에 의해, 제1지지몸체(375)와 도어전면부(35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패널(550)과 도어배면커버(350b)와 제1지지몸체(375) 사이에 이루어지는 끼움 결합에 의해, 제1지지몸체(375)가 도어전면부(35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지지몸체(375)가 도어전면부(350)에 안정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제1가스켓(370)이 흔들리거나 도어전면부(350)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제1가스켓(370)과 도어전면부(350)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가스켓(370)은, 제1실링돌기(3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돌기(374)는, 제1실링커버와 마찬가지로 제1실링몸체(371)로부터 돌출되며, 도어배면커버(350b)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실링커버(373)는, 도어(300)의 내부에서 도어배면커버(350b)에 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실링돌기(374)는 도어배면커버(350b)를 사이에 두고 제1실링커버(37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실링돌기(374)는, 제1가스켓끼움홀(352b)에 삽입된 제1실링몸체(371)와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의 틈새를 도어배면커버(350b)의 전방에서 덮음으로써, 제1실링몸체와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의 틈새를 실링할 수 있다.
즉 도어배면커버(350b)의 전후방향 양측에 제1실링커버(373)와 제1실링돌기(374)가 배치되어 도어배면커버(350b)의 전후방향 양측에서 제1실링몸체와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의 틈새에 대한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조리실(105) 내부로부터 도어전면부(350)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온 열기 또는 수증기가 제1가스켓끼움홀(352b)을 통해 도어(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마련된 제1실링커버(373)는, 조리실(105) 내부로부터 도어전면부(350)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온 열기 또는 수증기가 제1가스켓끼움홀(352b)을 통해 도어(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가스켓의 구조 - 제2가스켓]
도 60 및 도 65를 참조하면, 제2가스켓(380)은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가스켓(380)이 도어전면부(350)의 배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가스켓(380)은 도어배면커버(350b)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스켓(380)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가스켓(380)은, 제1가스켓(370; 도 64 참조)과 마찬가지로, 실리콘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가스켓(380)은, 제2실링몸체(38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실링몸체(381)는, 도어(3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전면부(3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실링몸체(381)의 적어도 일부분은, 도어(300)의 내부로부터 도어(300)를 관통하여 하우징(10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실링몸체(381)는 도어전면부(350)의 배면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며 도어전면부(350)의 배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실링몸체(381)는, 도어배면커버(350b)를 관통하며 도어배면커버(350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실링몸체(381)는,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전면부(350)의 배면에 설치되는 제2실링몸체(381)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실링몸체(381)의 후측 단부는, 제1실링몸체(371; 도 64 참조)와 마찬가지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실링몸체(381)의 후측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한 상태일 때, 제2실링몸체(381)가 하우징(100)의 저면(110)의 전방 단부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링몸체(381)가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도어(300) 사이의 틈새를 더욱 효과적으로 실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2실링몸체(381)의 후측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제2가스켓(380)과 하우징(100) 간의 반복적인 접촉으로 인한 제2가스켓(380) 파손 발생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어(300) 개폐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제2실링몸체(381)의 내부에는, 제2가스켓중공부(38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가스켓중공부(382)는, 제2실링몸체(381)의 내부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스켓중공부(382)가 제2실링몸체(381)의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제2실링몸체(381)는 하우징(100)의 저면(110)에 더욱 확실하게 밀착되며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실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가스켓(380)은, 제2실링돌기(3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실링돌기(383)는, 제2실링몸체(381)로부터 돌출되며, 도어배면커버(350b)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배면커버(350b)에는, 제2가스켓끼움홀(354b)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제2가스켓끼움홀(354b)은, 제1가스켓끼움홀(352b; 도 64 참조)과 마찬가지로, 도어배면커버(350b)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실링몸체(381)는, 이러한 제2가스켓끼움홀(354b)에 삽입되며 도어배면커버(350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2실링몸체(38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가스켓끼움홀(354b)은 이에 대응되는 형상의 홀(hol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실링돌기(383)는, 제2실링몸체(381)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실링돌기(383)는, 도어(300)가 조리실을 폐쇄할 때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에서 납작하게 찌그러지는 제2실링몸체(381)와 함께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때 제2실링돌기(383)는,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밀착되며 도어배면커버(350b)와 하우징(100)의 저면(110) 사이의 틈새를 실링할 수 있다.
제2지지몸체(385)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서 제2실링몸체(381)를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몸체(385)는, 도어전면부(350)의 하부에 치우치게 배치되되, 도어배면커버(350b)와 지지패널(5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패널(550)은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몸체(385)는, 지지패널(550)과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제2지지몸체(385)는, 지지패널(550)과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끼움 결합에 의해, 제2지지몸체(385)와 도어전면부(35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패널(550)과 도어배면커버(350b)와 제2지지몸체(385) 사이에 이루어지는 끼움 결합에 의해, 제2지지몸체(385)가 도어전면부(35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2지지몸체(385)가 도어전면부(350)에 안정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제2가스켓(380)이 흔들리거나 도어전면부(350)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제2가스켓(380)과 도어전면부(350)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가스켓(380)은, 제2실링돌기(3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실링돌기(383)는, 제2실링몸체(381)로부터 돌출되며, 도어배면커버(350b)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실링돌기(383)는, 도어(300)의 외부에서 도어배면커버(350b)에 밀착될 수 있다.
도어배면커버(350b)에는, 제2가스켓끼움홀(354b)이 마련될 수 있다. 제2가스켓끼움홀(354b)은, 도어배면커버(350b)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실링몸체(381)는, 이러한 제2가스켓끼움홀(354b)에 삽입되며 도어배면커버(350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2실링몸체(38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가스켓끼움홀(354b)은 이에 대응되는 형상의 홀(hol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실링돌기(383)는, 제2실링몸체(381)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스켓(380)에는, 복수개의 제2실링돌기(383)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제2실링돌기(383)는, 제2실링몸체(381)의 길이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배치된 제2실링돌기(38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어(300)의 외부에서 도어배면커버(350b)와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실링돌기(383)는, 제2가스켓끼움홀(354b)에 삽입된 제2실링몸체(381)와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의 틈새를 도어배면커버(350b)의 후방에서 덮음으로써, 제2실링몸체와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의 틈새를 실링할 수 있다.
이로써 조리실(105) 내부로부터 도어전면부(350)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온 열기 또는 수증기가 제2가스켓끼움홀(354b)을 통한 도어(300) 내부로의 열기 또는 수증기의 유입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복수개의 제2실링돌기(383)가 제2가스켓(380)에 마련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첫째, 도어배면커버(350b)과 제2실링몸체(381) 사이의 실링이 도어배면커버(350b)의 전방과 후방에서 다중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2가스켓끼움홀(354b)을 통한 도어(300) 내부로의 열기 또는 수증기의 유입이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둘째, 한 규격의 제2가스켓(380)이 다양한 규격의 도어(300)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기가 용이해진다. 예컨대, 제2가스켓(380)이 끼워지는 부분의 두께,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배면커버(350b)의 두께가 얇아지거나 두꺼워진다고 하더라도, 제2실링몸체(381)와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의 틈새가 복수개의 제2실링돌기(38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충분히 덮일 수 있게 되므로, 제2실링몸체(381)와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의 틈새에 대한 실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지지몸체(385)는, 제1돌출지지부(386)와 제2돌출지지부(38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부지지부(396)는, 제2실링몸체(381)로부터 도어배면커버(350b)가 형성하는 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돌출지지부(387)는, 제1돌출지지부(386)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되., 제1돌출지지부(386)의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돌출지지부(386)와 제2돌출지지부(387)가 일직선으로 연결되게 배치되고, 제2실링몸체(381)는 제1돌출지지부(386)와 제2돌출지지부(387)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2실링몸체(381)가 제2가스켓끼움홀(354b)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돌출지지부(386)와 제2돌출지지부(387)는 제2가스켓끼움홀(354b)을 사이에 두고 일직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돌출지지부(386) 및 제2돌출지지부(387)는, 제2가스켓끼움홀(354b)의 상하방향 양측에서 도어배면커버(350b)와 지지패널(550) 사이에 끼워지면서 도어전면부(35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가스켓끼움홀(354b)의 상하방향 양측에서 이루어지는 지지패널(550)과 도어배면커버(350b)와 제2지지몸체(385)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제2지지몸체(385)의 상하방향 위치가 효과적으로 규제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2가스켓(380)과 도어전면부(350) 간의 결합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가스켓의 구조 - 제3가스켓]
도 61 및 도 66을 참조하면, 제3가스켓(390)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가스켓(390)이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3가스켓(390)은 도어프레임(1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가스켓(390)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3가스켓(380)은, 제1가스켓(370; 도 64 참조) 및 제2가스켓(380; 도 65)과 마찬가지로, 실리콘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가스켓(390)은, 제3실링몸체(39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실링몸체(391)는, 도어프레임(320), 좀 더 구체적으로는 결합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3실링몸체(391)의 적어도 일부분은, 도어(300)의 내부로부터 도어프레임(320)을 관통하여 하우징(10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실링몸체(391)는 도어프레임(320)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며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3실링몸체(391)는 결합부(321)를 관통하며 결합부(32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3실링몸체(391)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의 상단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프레임(320)에 설치되는 제3실링몸체(391)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실링몸체(391)의 하측 단부는, 제2실링몸체(381; 도 65 참조)와 마찬가지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실링몸체(391)의 하측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한 상태일 때, 제3실링몸체(391)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의 상단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실링몸체(391)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300) 사이의 틈새를 더욱 효과적으로 실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3실링몸체(391)의 후측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제3가스켓(390)과 하우징(100) 간의 반복적인 접촉으로 인한 제3가스켓(390) 파손 발생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어(300) 개폐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제3실링몸체(391)의 내부에는, 제3가스켓중공부(392)가 마련될 수 있다. 제3가스켓중공부(392)는, 제3실링몸체(391)의 내부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가스켓중공부(392)가 제3실링몸체(391)의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제3실링몸체(391)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에 더욱 확실하게 밀착되며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실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가스켓(390)은, 제3실링돌기(3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실링돌기(393)는, 제3실링몸체(391)로부터 돌출되며, 도어배면커버(350b)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실링돌기(393)는, 도어(300)의 외부에서 도어프레임(320)에 밀착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320)에는, 제3가스켓끼움홀(312b)이 마련될 수 있다. 제3가스켓끼움홀(312b)은, 도어프레임(320)의 결합부(32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실링몸체(391)는, 이러한 제3가스켓끼움홀(312b)에 삽입되며 도어프레임(32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3실링몸체(39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3가스켓끼움홀(312b)은 이에 대응되는 형상의 홀(hol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실링돌기(393)는, 제1실링몸체(371)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실링돌기(393)는, 제3가스켓끼움홀(312b)에 삽입된 제3실링몸체(391)와 도어프레임(320) 사이의 틈새를 도어프레임(320)의 하부에서 덮음으로써, 제3실링몸체와 도어상면부(310) 사이의 틈새를 실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된 제3실링돌기(393)는, 조리실(105) 내부로부터 도어상면부(310)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온 열기 또는 수증기가 제3가스켓끼움홀(312b)을 통해 도어(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제3실링돌기(393)는, 제3실링몸체(391)의 저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300)가 조리실을 폐쇄할 때, 제3실링몸체(391)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에서 납작하게 찌그러지는 제3실링몸체(391)와 함께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때 제3실링돌기(393)는, 도어프레임(320) 및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각각 밀착되며 도어상면부(310)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사이의 틈새를 실링할 수 있다.
아울러 제3가스켓(390)은, 제3실링돌기(3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실링돌기(393)는, 제3실링몸체(391)로부터 돌출되며, 도어프레임(320)의 결합부(321)가 형성하는 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320)에는, 제3가스켓끼움홀(312b)이 마련될 수 있다. 제3가스켓끼움홀(312b)은, 도어프레임(320), 좀 더 구체적으로는 결합부(32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실링몸체(391)는, 이러한 제3가스켓끼움홀(312b)에 삽입되며 도어프레임(32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3실링몸체(39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3가스켓끼움홀(312b)은 이에 대응되는 형상의 홀(hol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실링돌기(393)는, 제3실링몸체(391)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가스켓(390)에는, 복수개의 제3실링돌기(393)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제3실링돌기(393)는, 제3실링몸체(391)의 길이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배치된 제3실링돌기(39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3가스켓끼움홀(312b) 내부에서 도어프레임(320)의 내주면과 제3실링몸체(391)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제3실링돌기(393)는, 도어프레임(320)의 내주면과 제3실링몸체(391) 사이를 실링하는 한편, 도어프레임(320)과 제3실링몸체(391) 간에 이루어지는 끼움 결합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즉 제3실링돌기(393)는, 조리실(105) 내부로부터 도어상면부(310)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온 열기 또는 수증기가 제3가스켓끼움홀(312b)을 통해 도어(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제3가스켓(390)과 도어(300)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개의 제3실링돌기(393)가 제3가스켓(390)에 마련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첫째, 도어배면커버(350b)의 내주면과 제3실링몸체(391) 사이의 실링이 다중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열기 또는 수증기가 제3가스켓끼움홀(312b)을 통해 도어(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둘째, 도어배면커버(350b)와 제3실링몸체(391) 간의 결합 강도 강화 부위가 복수개의 지점에 형성될 수 있게 됨으로써, 제3가스켓(390)과 도어(300) 간의 결합 상태가 더욱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제3지지몸체(395)는, 도어상면부(310)의 내부에서 제3실링몸체(391)를 지지할 수 있다. 제3지지몸체(395)는,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치우치게 배치되되, 도어프레임(320)의 상면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몸체(385)는, 제1돌출지지부(396)와 제2돌출지지부(39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부지지부(396)는, 제3실링몸체(391)로부터 도어프레임(320)의 결합부(321)가 형성하는 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돌출지지부(397)는, 제1돌출지지부(396)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되., 제1돌출지지부(396)의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돌출지지부(396)와 제2돌출지지부(397)가 일직선으로 연결되게 배치되고, 제3실링몸체(391)는 제1돌출지지부(396)와 제2돌출지지부(397)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3실링몸체(391)가 제3가스켓끼움홀(312b)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돌출지지부(396)와 제2돌출지지부(397)는 제3가스켓끼움홀(312b)을 사이에 두고 일직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돌출지지부(396) 및 제2돌출지지부(397)는, 제3가스켓끼움홀(312b)의 측방향 양측에서 도어프레임(320)에 끼워지면서 도어전면부(35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어상면부(310)의 내부에는,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장착부(340,345)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사이에 배치되되,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장착부(340,345)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글라스(330)와 제2글라스(3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케이블장착부(340,345) 제2글라스(335)의 상부에 안착되며, 제1글라스(330)는 케이블장착부(340,345)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바꾸어 표현하면, 케이블장착부(340,345) 사이에 끼워지는 것이라고 할 수도 있다.
제1글라스(330)와 접촉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의 상부면과 제2글라스(335)와 접촉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의 하부면에는, 장착홈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장착홈에는, 실링부재(S)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제1글라스(330) 사이,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제2글라스(335) 사이에 실링부재(S)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제1글라스(330) 사이 및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제2글라스(335) 사이에 실링부재(S)를 이용한 밀폐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글라스(335)의 측방향 단부는, 제3가스켓(390)과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장착부(340,345)의 하부면 중에서 장착홈의 측방향 일측 부분은 제2글라스(335)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고, 케이블장착부(340,345)의 하부면 중에서 장착홈의 측방향 타측 부분은 제2글라스(335)의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지지몸체(395) 중 제1돌출지지부(396)는, 제3실링몸체(391)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되, 제2글라스(335)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형성된 제1돌출지지부(396)는, 제3실링몸체(391)가 제3가스켓끼움홀(312b)에 끼워진 상태에서 케이블장착부(340,345) 중 제2글라스(335)의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과 도어프레임(320)의 결합부(321)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즉 제1돌출지지부(396)의 저면 중 적어도 일부분은 결합부(321)의 상면에 밀착되고 제1돌출지지부(396)의 상면 중 일부분은 케이블장착부(340,345)의 하부면 중 일부분과 밀착되는 형태로, 제1돌출지지부(396)가 도어프레임(320)과 케이블장착부(340,345)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끼움 결합에 의해, 제3지지몸체(395)의 상하방향 위치가 효과적으로 규제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3가스켓(390)과 도어상면부(310) 간의 결합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3지지몸체(395)가 도어상면부(3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제3가스켓(390)이 흔들리거나 도어상면부(310)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제3가스켓(390)과 도어상면부(310)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가스켓의 작용, 효과]
도 6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68은 도 67에 도시된 도어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7 및 도 68을 참조하면, 도어(300)의 배면, 즉 도어전면부(350)의 배면에는 한 쌍의 제1가스켓(370), 그리고 제2가스켓(38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도어(300)의 배면에는 3개의 가스켓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가스켓(370) 사이에 제2가스켓(380)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이 대략 "凹"형상으로 연결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 사이는 서로 연결될 수도 있고,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 사이가 분리될 수도 있다.
도어(300)가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제1가스켓(37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을 각각 포함할 수 있으며, 제2가스켓(380)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가스켓(370)은 세로방향의 직선 형태로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제2가스켓(380)은 제1가스켓(370)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의 직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300)의 저면, 즉 도어상면부(310)의 저면에는, 한 쌍의 제3가스켓(39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도어상면부(310)의 저면에는 2개의 가스켓(39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제3가스켓(390)이 투시창(W)을 사이에 두고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300)가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제3가스켓(39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가스켓(390)은, 제1가스켓(370) 및 제2가스켓(380)과 직교하는 직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 및 제3가스켓(390)은, 도어(300)가 조리실(105; 도 70 참조)을 폐쇄할 때 도어(300)와 하우징(100)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배치되는 가스켓들(370,380,390)은, 조리실(105)의 전방 또는 상부에서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실링할 수 있다. 예컨대,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은, 조리실(105)의 전방에서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및 저면(11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그리고 제3가스켓(390)은, 조리실(105)의 상부에서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켓들(370,380,390)은, 조리실(105)의 전방 또는 상부에서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실링함으로써, 조리실(105) 내부의 열기와 수증기가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들(370,380,390)은,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도어(300)와 하우징(100) 간의 접촉으로 인해 도어(300) 또는 하우징(100)에 긁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가스켓들(370,380,390)은, 도어(300)가 조리실을 폐쇄하면서 하우징(100)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도어(3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켓들(370,380,390)은,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도어(300)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도어(300) 자체 또는 도어(300)에 설치된 부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율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수증기 후방 배출 유도 관련 구조]
도 69는 도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70은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며, 도 71은 도 70의 "ⅩⅩⅩⅩⅩⅩⅩ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과 도 62 및 도 64를 참조하면, 도어(300)의 배후측에는 배기구(303)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상면부(310)의 내부에는 공간부(315)가 형성될 수 있고,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는 배기구(303)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간부(315)는 투시창(W)과 배기구(3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공간부(315)는 도어상면부(310) 내부에서 실링부재(S; 도 9 참조)와 배기구(30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배기구(303)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구(303)는,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315)를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서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조리 과정에서 가열된 도어상면부(310)에서 발생되거나 조리실(105)에서 공간부(315)로 유입된 열기 또는 수증기는, 배기구(303)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320), 좀 더 구체적으로 결합부(321)에는, 연결홀(321a)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홀(321a)은, 결합부(32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홀(321a)은,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315)와 조리실(105)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4 내지 도 66을 참조하면, 조리 과정에서 가열된 도어상면부(310)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공간부(315)에 채워질 수 있고, 공간부(315)의 열기는 배기구(303)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리 과정에서 조리실(105)에서 발생된 열기와 수증기는, 연결홀(321a)을 통해 공간부(315)로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공간부(315)로 유입된 열기와 수증기는, 배기구(303)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어프레임(320) 상에서 하부로 돌출된 구조물인 히터장착부(325)에는 통과홀(328c)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구(303)가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 마련되되, 도어상면부(310)의 측방향 중앙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홀(321a)과 배기구(303)가 대략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연결홀(321a)은 결합부(321)의 측방향 중앙, 즉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 보다는 그릴지지부(328)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통과홀(328c)은, 연결홀(321a)과 전후방향으로 대략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그릴지지부(328)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통과홀(328c)은, 연결홀(321a)의 적어도 일부분이 통과홀(328c)의 적어도 일부분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통과홀(328c)은, 그릴지지부(328)의 커버(328a)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과홀(328c)이 커버(328a)의 측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조리실(105)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나 수증기, 또는 조리실(105)의 전방측에서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배출된 공기는, 그릴지지부(328)와 같이 조리실(105)의 내부로 돌출된 구조물을 상기 통과홀(328c)을 통해 통과하여 연결홀(321a)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즉 통과홀(328c)은, 조리실(105) 전방측의 공기가 조리실(105)의 내부로 돌출된 구조물을 통과하여 후방측으로 효과적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과홀(328c)은, 연결홀(321a)의 전방에서 연결홀(321a)을 가로막는 그릴지지부(328)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수증기 전방 배출 방지 구조]
이하, 도 56 내지 도 6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수증기 전방 배출 방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8 내지 도 도 65를 참조하면,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에는, 제2가스켓(380)과 제2가스켓(380) 및 제3가스켓(39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스켓(370)은, 조리실(105)의 좌우방향 양측에서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가스켓(380)은, 조리실(105)의 하부에서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때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은, 조리실(105)의 전방에서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또한 제3가스켓(390)은, 조리실(105)의 좌우방향 양측에서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를 각각 실링할 수 있다. 이때 제3가스켓(390)은, 조리실(105)의 상부에서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따.
종합하면, 하우징(100)의 개방된 전면과 도어(300) 사이의 틈새는 제1가스켓(370) 및 제2가스켓(380)에 의해 실링될 수 있고,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과 도어(300) 사이의 틈새는 제3가스켓(390)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가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 및 제3가스켓(390)에 의해 실링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리 과정에서 조리실(105)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 또는 수증기는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새어나가기 어렵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들(370,380,390)은, 조리 과정에서 조리실(105)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 또는 수증기가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도 56 및 도 57을 참조하면, 제3냉각팬(860)에 의해 냉각유로(85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유로출구(833) 및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에서 조리실(105)의 측방향 중심측으로 유동하는 공기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조리실(105) 전방측에서 조리실(105) 후방측으로 유동하는 공기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조리실(105)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흐름에 의해, 조리실(105) 내부에서 형성된 열기 및 수증기의 흐름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조리실(105)의 후방측을 향한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즉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조리실(105) 내부에서 형성된 열기 및 수증기의 흐름은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의 틈새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 배기구(303)와 인접한 조리실(105)의 후방측을 향한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은,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가로막는 에어커튼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종합하면,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은,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가로막는 에어커튼 역할을 하는 한편, 조리실(105) 내부에서 형성된 열기 및 수증기의 흐름을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의 틈새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 배기구(303)와 인접한 조리실(105)의 후방측을 향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64 내지 도 66을 참조하면, 도어(3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는 배기구(303)가 마련되며, 도어프레임(320)에는 연결홀(321a)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홀(321a)은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315)와 조리실(105)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배기구(303)는 공간부(315)를 도어(300)의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조리 과정에서 조리실(105)에서 발생된 열기와 수증기는, 연결홀(321a)을 통해 공간부(315)로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공간부(315)로 유입된 열기와 수증기는, 배기구(303)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특히 조리실(105)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 및 수증기는,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배출된 공기에 의해 유도된 공기흐름에 의해 조리실(105)의 후방측을 향해 이동한 후, 연결홀(321a)을 통해 공간부(315)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연결홀(321a)은,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배출된 공기로 인해 후방측으로 유동된 열기 및 수증기가 배기구(303) 측으로 유동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배치된 도어프레임(320)에서 조리실(105)을 향해 하부로 돌출된 구조물, 예컨대 그릴지지부(328)에 통과홀(328c)이 형성되고, 이 통과홀(328c)은 열기 및 수증기가 도어프레임(320)에서 조리실(105)을 향해 하부로 돌출된 구조물을 통과하여 배기구(303) 측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종합하면, 조리실(105)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 및 수증기의 전방 배출은 다음과 같은 구조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첫째, 하우징(100)의 개방된 전면 및 상면과 도어(300) 사이의 틈새가 하우징(10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에 배치되는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 그리고 하우징(100)과 도어상면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가스켓(390)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둘째,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은,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가로막는 에어커튼 역할을 하는 한편, 조리실(105) 내부에서 형성된 열기 및 수증기의 흐름을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의 틈새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셋째,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은, 조리실(105)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 및 수증기를 배기구(303)와 인접한 조리실(105)의 후방측을 향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넷째, 조리실(105)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 및 수증기는,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배출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 조리실(105)의 후방측으로 이동하다가 연결홀(321a)을 통해 도어(300) 내부로 유입된 후 배기구(303)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가스켓들(370,380,390)의 작용과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배출되는 기류의 작용을 이용하여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막는 한편, 조리실(105) 내부에서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빠져나가기 어려워진 열기 및 수증기가 배기구(30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조리실(105) 내부의 열기 및 수증기의 흐름을 후방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실(105)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 및 수증기가 조리기기의 전방측에서 조리기기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조리기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7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3은 도 72의 "ⅩⅩⅩⅩⅩⅩⅩⅢ"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74는 도 72에 도시된 도어프레임과 힌지부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75는 도 4의 "ⅩⅩⅩⅩⅩⅩⅩⅤ"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7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과 하우징을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7은 도 75에 도시된 캐비닛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8은 도 75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79는 도 78의 "ⅩⅩⅩⅩⅩⅩⅩⅨ-ⅩⅩⅩⅩⅩⅩⅩ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 72 내지 도 7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어 갭 조절 구조]
이하, 도 72 내지 도 7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갭 조절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2 내지 도 7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힌지결합부(2321) 및 체결부(10,15)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결합부(2321)는, 도어(3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상면부(310)에 고정되어 힌지부(81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10,15)는, 힌지부(810)를 힌지결합부(2321)에 결합시킬 수 있다.
힌지결합부(2321)는, 도어프레임(2320)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힌지결합부(2321)는, 결합부(32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결합부(2321)는, 힌지부(810)와 도어프레임(2320) 간의 결합을 이루기 위한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결합부(2320)가 힌지부(810)와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힌지결합부(2320)는 제1힌지통과홀(320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결합부(2320)는, 제1힌지통과홀(320b)의 상부에서 힌지부(810)와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을 형성하는 결합면(23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결합면(2322)은, 제1힌지통과홀(320b)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제1힌지통과홀(320b)의 상부에 배치된 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면(2322)은 도어프레임(2320)으로부터 돌출된 측벽들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면(2322)에는, 제1체결공(23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공(2323)은, 결합면(2322)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힌지결합부(2321)에는, 위치조절안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위치조절안내부는, 체결부와 힌지결합부(2321) 간의 전후방향 결합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는, 위치조절안내부에 전후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힌지결합부(2321)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는 볼트부재(2010) 및 너트부재(2015)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볼트부재(2010)는 힌지부(810) 및 결합면(2322)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힌지부(810) 및 결합면(232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너트부재(2015)는, 볼트부재(2010)와 결합되어 볼트부재(2010)를 결합면(232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볼트부재(2010)와 너트부재(2015)의 결합은, 나사 결합 형태로 이루어지되, 볼트부재(2010)와 너트부재(20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위치조절안내부에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너트부재(2015)가 위치조절안내부에 결합되면서 볼트부재(2010)와 너트부재(2015)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볼트부재(2010)는, 결합면(2322)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제1체결공(2323)을 통해 결합면(2322)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때 볼트부재(2010)는, 볼트부재(2010)의 헤드가 결합면(2322)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결합면(2322)을 관통하며 힌지결합부(2321)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너트부재(2015)는, 결합면(2322)의 상부에서 볼트부재(201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너트부재(2015)는 볼트부재(2010) 중 결합면(2322)의 상부로 돌출된 부분과 결합될 수 있고, 볼트부재(2010)와 너트부재(2015) 간의 결합에 의해 힌지부(810)가 도어프레임(232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조절안내부는 상기 제1체결공(23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위치조절안내부에 포함되는 제1체결공(2323)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위치조절안내부는, 전후방향 길이가 볼트부재(2010)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된 제1체결공(23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체결공(2323)이 볼트부재(2010)보다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체결부는 전후방향 위치 조절 가능하게 힌지결합부(23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힌지결합부(2321)를 상대로 한 볼트부재(2010)의 전후방향 위치가 어느 한 위치로만 고정된 형태로 볼트부재(2010)와 힌지결합부(2321)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힌지결합부(2321)를 상대로 볼트부재(2010)의 위치가 전후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형태로 볼트부재(2010)와 힌지결합부(2321)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볼트부재(2010)의 삽입이 가능하게 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 제1체결공(2323)에 의해, 볼트부재(2010)와 힌지결합부(2321)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위치가 전후방향을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볼트부재(2010)에 의해 체결부와 결합되는 힌지부(810)는, 체결부에 의해 도어프레임(2320)에 결합되되, 전후방향 위치 조절 가능하게 도어프레임(232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힌지부(810)와 도어프레임(2320) 간의 결합 위치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공(2323)을 통해 힌지결합부(2321)에 끼워지는 볼트부재(2010)가 힌지결합부(2321)에 결합되는 전후방향 위치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아울러 위치조절안내부는, 체결가이드홈(23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가이드홈(2324)은, 결합면(2322)으로부터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가이드홈(2324)이 결합면(2322)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 체결가이드홈(2324)에는, 너트부재(2015)의 적어도 일부분이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볼트부재(2010)와 너트부재(2015) 간의 나사 결합이 체결가이드홈(2324)의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가이드홈(2324)의 전후방향 길이가 너트부재(2015)의 최장 직경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체결공(2323)이 볼트부재(2010)보다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체결가이드홈(2324)은 너트부재(2015)보다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너트부재(2015)는 체결가이드홈(2324)에 끼움 결합되되, 체결가이드홈(2324)에 전후방향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체결가이드홈(2324)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너트부재(2015)가 체결가이드홈(2324)에 끼워지되, 힌지결합부(2321)를 상대로 한 너트부재(2015)의 위치가 체결가이드홈(2324) 내부에 형성된 전후방향 통로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너트부재(2015)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가이드홈(2324)은, 너트부재(2015)와 간섭되어 너트부재(2015)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너트부재(2015)는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가이드홈(2324)은, 너트부재(2015)의 형상에 대응되는 육각 기둥 형상을 전후방향으로 길게 늘인 형상이 결합면(2322)에 음각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너트부재(2015)는, 체결가이드홈(2324)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은 가능하지만 볼트부재(2010)를 중심으로 한 회전은 제한되는 상태로, 힌지결합부(232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가이드홈(2324) 및 이 체결가이드홈(2324)에 끼워지는 너트부재(2015)는, 도어프레임(23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체결가이드홈(2324) 및 너트부재(2015)는, 도어상면부(310)와 마주보는 도어프레임(2320)의 상부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가이드홈(2324) 및 너트부재(2015)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23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체결가이드홈(2324) 및 너트부재(2015)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2320)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안내부가 마련된 도어프레임(2320)과 힌지부(810) 및 도어상면부(310) 간의 결합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체결가이드홈(2324)에 너트부재(2015)가 끼워지고, 힌지결합부(2321)와 힌지부(810)가 상하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트부재(2010)가 힌지부(810) 및 힌지결합부(2321)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볼트부재(2010)는 헤드가 결합면(2322)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힌지부(810) 및 결합면(2322)을 관통하며 힌지부(810) 및 힌지결합부(2321)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힌지부(810)가 결합면(2322)에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볼트부재(2010)가 힌지부(810) 및 결합면(2322)을 관통할 수 있고, 볼트부재(20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1체결공(2323)을 통해 결합면(2322)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볼트부재(2010) 중 결합면(2322)의 상부로 돌출된 부분이, 체결가이드홈(2324) 내에서 너트부재(2015)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부(810) 중 힌지결합부(2321)와 직접 결합되는 것은 제1힌지링크(811)인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제1힌지링크(811)에는 제2체결공(811a)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체결공(811a)은, 제1힌지링크(81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체결공(811a)은 볼트부재(201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볼트부재(2010)는, 제2체결공(811a)을 통해 힌지부(810)를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볼트부재(2010)는, 제2체결공(811a) 및 제1체결공(2323)을 통해 힌지부(810) 및 힌지결합부(2321)를 차례로 관통한 후, 결합면(2322)의 상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체결가이드홈(2324) 내에서 너트부재(2015)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체결가이드홈(2324)에 의해 너트부재(2015)의 회전이 제한되므로, 너트부재(2015)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인력이나 장치 없이도 볼트부재(2010)를 너트부재(2015)에 체결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볼트부재(2010) 및 너트부재(2015)의 결합 위치가 체결가이드홈(2324)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전후방향에 따른 제1힌지링크(811)와 힌지결합부(2321) 간의 결합 위치, 즉 힌지부(810)와 도어프레임(2320) 간의 결합 위치가 손쉽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힌지부(810)가 결합된 도어프레임(2320)은, 도어상면부(3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300)는, 힌지부(810)를 통해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어(300)는, 힌지부(810)를 상대로 한 전후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힌지부(81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후방향에 따른 힌지부(810)와 도어프레임(2320) 간의 결합 위치가 조절될 수 있고, 이처럼 조절되는 힌지부(810)와 도어프레임(2320) 간의 결합 위치에 따라 하우징(100)을 상대로 한 도어(300)의 전후방향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2320)은, 도어상면부(310)의 개방된 하부를 덮으며 도어상면부(3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가이드홈(2324) 및 너트부재(2015)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23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볼트부재(2010)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2320) 사이의 공간에서 너트부재(2015)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부재(2010)와 너트부재(2015)의 체결 부위가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23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힌지부(810)와 도어(300) 간의 체결 작업이 효율적이면서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면서도, 외부로 노출되는 도어(300)의 외관이 매끄럽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스켓(370; 도 59 참조)과 제2가스켓(380; 도 61 참조) 및 제3가스켓(390; 도 63 참조)과 같은 복수개의 가스켓들(370,380,390)이 도어(3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켓들(370,380,39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열기와 수증기의 누설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 도어(300) 또는 하우징(100)에 긁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 조리실(105) 개폐시 도어(3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스켓들(370,380,390)로 인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갭과 관련된 공차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다. 즉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에 가스켓들(370,380,390)이 더 부가되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갭을 변화시킬 수 있는 요인이 더 추가됨으로써,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갭과 관련된 공차 관리가 좀 더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갭과 관련하여,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상단과 도어상면부(310) 사이의 갭(이하, "Z축 갭"이라 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및 저면(110)의 전방 단부와 도어전면부(350) 사이의 갭(이하, "Y축 갭"이라 한다)이 주로 고려될 수 있다. 이들에 대한 공차 관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도어(300)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그리고 조리실(105)에서 발생된 열기와 수증기의 누설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Z축 갭과 관련된 공차는, Y축 갭과 관련된 공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리가 용이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Z축 갭과 관련된 가스켓의 수가 Y축 갭과 관련된 가스켓의 수보다 적고, 도어(300) 자체의 하중에 의해 Z축 갭과 관련된 공차가 어느 정도 보정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리고 Y축 갭과 관련된 가스켓의 수가 Z축 갭과 관련된 가스켓의 수보다 많고 도어(300) 자체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과 Y축 갭이 증감하는 방향이 서로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면, Y축 갭과 관련된 공차 관리가 Z축 갭과 관련된 공차 관리에 비해 까다롭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Y축 갭과 관련된 공차 관리를 위한 구조가 개시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가 위치조절안내부에 전후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힌지결합부(2321)와 결합되고, 하우징(100)에 설치된 힌지부(810)와 도어(300)와 결합되는 도어프레임(2320)이 이 체결부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가 개시된다.
이에 따르면, 위치조절안내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의 전후방향 위치에 따라 하우징(100)의 전면과 도어전면부(350)의 간격, 또는 하우징(100) 측면(120,130)의 전방 단부와 도어전면부(350)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우징(100)의 전면과 도어전면부(350)의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Y축 갭과 관련된 공차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캐비닛 고정 구조]
이하, 도 75 내지 도 7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캐비닛 고정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과 도 75 내지 도 7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관은 도어와 하우징(100) 및 캐비닛(217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2170)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을 덮을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2170)은, 양측면(120,130)의 전방 단부 및 상부 단부, 그리고 배면(140)의 후방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캐비닛(2170)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에 설치된 힌지 하우징(800)과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설치된 제2제어기판(700)을 외측에서 감싸 보호하며, 조리기기의 측부 및 배후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조리기기의 전방 일부를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2170)은, 배면커버부(2171)와, 한 쌍의 측면커버부(2173) 및 전면커버부(2175)를 포함할 수 있다.
배면커버부(2171)는, 캐비닛(2170)의 배면을 형성하며, 하우징(100)의 배면(14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면커버부(2171)는,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설치된 제2제어기판(700)을 외측에서 감싸 보호하며, 제2제어기판(700)을 외측에서 감싸 보호할 수 있다.
배면커버부(2171)에는, 관통홀(17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관통홀(171)에는 흡배기그릴(175)가 설치될 수 있다. 관통홀(171) 및 흡배기그릴(175)의 구성 및 작용은 이전 실시예에서 예시된 것들과 동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측면커버부(2173)는, 캐비닛(2170)의 측면을 형성하며,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측면커버부(2173)가 배면커버부(2171)를 사이에 두고 배면커버부(2171)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한 쌍의 측면커버부(2173)는,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의 측방향 외측에서 양측면(120,130) 및 힌지어셈블리(800)를 감싸 보호할 수 있다.
전면커버부(2175)는, 캐비닛(2170)의 전면을 형성하며,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 및 힌지어셈블리(8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커버부(2175)가 측면커버부(2173)의 전방 단부에서 측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캐비닛(2170)의 전방 양측에 한 쌍의 전면커버부(2175)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의 전면과 인접한 제1측면(120) 및 제2측면(130)의 단부, 즉 제1측면(120) 및 제2측면(130)의 전방 단부에는, 전방연장면부(135)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전방연장면부(135)는, 제1측면(120)과 제2측면(13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 즉 하우징(100)의 측방향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연장면부(135)는, 제1측면(120)의 전방 단부와 제2측면(130)의 전방 단부가 각각 측방향으로 절곡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방연장면부(135)는, 하우징(100)의 전면 및 배면(140)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방연장면부(135)가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 사이 외에도, 제1측면(120)과 전방연장면부(135) 사이, 그리고 제2측면(130)과 전방연장면부(135) 사이도 이음새 없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측면(120)과 결합되는 힌지 어셈블리(800)는, 제1측면(120)과 전방연장면부(135)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 어셈블리(800)는, 제1측면(120) 및 전방연장면부(135)와 접촉되며 제1측면(120) 및 전방연장면부(135)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측면(120)과 마주보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측면이 제1측면(120)과 면접촉하며 제1측면(120)과 결합되고, 전방연장면부(135)와 마주보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전면이 전방연장면부(135)의 배면과 접촉되며 전방연장면부(135)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측면(120)과 결합되는 힌지 어셈블리(800)는, 제2측면(130)과 전방연장면부(135)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 어셈블리(800)는, 제2측면(130) 및 전방연장면부(135)와 접촉되며 제2측면(130) 및 전방연장면부(135)와 결합된다.
즉 제2측면(130)과 마주보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측면이 제2측면(130)과 면접촉하며 제2측면(130)과 결합되고, 전방연장면부(135)와 마주보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전면이 전방연장면부(135)의 배면과 접촉되며 전방연장면부(135)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힌지 어셈블리(800)와 결합되는 전방연장면부(135)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전후방향 결합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전방연장면부(135)와 마주보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전면이 전방연장면부(135)의 배면과 접촉되는 위치가 힌지 어셈블리(800)의 결합 위치라고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연장면부(135)는, 적어도 2방향 이상에서 하우징(100)과 힌지 어셈블리(8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우징(100)과 힌지 어셈블리(800) 간의 결합 강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전방연장면부(135)와 같이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물과 힌지 어셈블리(800)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 구조가 형성되면,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의 측방향 변형에 저항하는 저항력이 한층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면커버부(2175)는, 전방연장면부(135)를 전방에서 덮을 수 있다. 이러한 전면커버부(2175)는, 조리기기 중 도어(300)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커버부(2173)는, 저면(110)의 일부분을 함께 덮을 수도 있다.
전면커버부(2175)는 하우징(100)의 전방에 덮이며, 이에 따라 하우징(100)의 전방연장면부(135) 및 저면(110)과 전면커버부(2175)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틈새는, 하우징(100)의 전방연장면부(135) 및 저면(110)과 전면커버부(2175)가 밀착되게 결합되는 만큼 좁아질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의 전방연장면부(135) 및 저면(110)과 전면커버부(2175)가 밀착될 수 있게 제대로 결합되지 못한다면, 하우징(100)의 전방연장면부(135) 및 저면(110)과 전면커버부(2175) 사이가 전후방향으로 벌어지는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2170)은, 하단연장부(21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단연장부(2177)는, 전면커버부(2175)의 하단으로부터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하단연장부(2177)는, 전면커버부(2175)의 하단으로부터 전면커버부(2175)와 대략 직교하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평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하단연장부(2177)는, 캐비닛(2170)의 날카로운 단면이 캐비닛(2170)의 하단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외관 품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연장부(2177)는, 사용자가 캐비닛(2170)의 날카로운 단면에 베어 부상을 입지 않도록 사용자를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런데 캐비닛(2170)의 하단에 상기 하단연장부(2177)가 마련됨에 따라, 캐비닛(2170)을 하우징(100)에 설치할 때 몇몇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캐비닛(2170)의 전방측에 배치된 하단연장부(2177)가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캐비닛(2170)을 하우징(100)에 설치할 때, 캐비닛(2170)과 하우징(100) 간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부의 캐비닛(2170)을 하부의 하우징(100)에 씌우는 형태로 하우징(100)에 캐비닛(2170)을 설치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캐비닛(2170) 하단의 하단연장부(2177)가 캐비닛(2170)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하우징(100)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하우징(100)에 캐비닛(217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하우징(100)과 하단연장부(2177) 간의 간섭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예컨대, 상부의 캐비닛(2170)을 하부의 하우징(100)에 씌우는 과정에서,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이 하단연장부(2177)에 긁힐 수도 있고, 하우징(100)의 저면(110)이 하단연장부(2177)에 긁힐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00)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하단연장부(2177)로 인해, 캐비닛(2170)을 하우징(100)에 씌우는 과정에서 캐비닛(2170)과 하우징(100) 간의 간섭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캐비닛(2170)을 하우징(100)에 씌우는 작업의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
캐비닛(2170)과 하우징(100) 간의 간섭 발생을 회피하기 위해, 캐비닛(2170)의 측면커버부(2173)나 전면커버부(2175)를 측방향 외측 또는 전방측으로 벌린 후 캐비닛(2170)을 하우징(100)에 설치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 간의 갭이 증가됨은 물론,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 간의 갭 관련 공차의 관리가 매우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경우, 캐비닛(2170)을 벌린 결과 캐비닛(2170)의 변형이 영구적으로 발생되고, 이로 인해 조리기기의 품질 불량, 특히 조리기기의 외관 품질 불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캐비닛(2170) 하단에 하단연장부(2177)가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100)의 긁힘이 발생되거나, 캐비닛(2170) 설치 작업의 난이도가 높아지거나,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 간의 갭 관련 공차의 관리가 어려워지거나, 조리기기의 외관 품질 불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는 캐비닛고정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고정부(는, 전면커버부(2175)의 전후방향 위치를 구속하며 캐비닛(2170)을 하우징(1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캐비닛고정부(는, 도 76 내지 도 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브라켓(2060) 및 체결부재(207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브라켓(2060)은, 캐비닛(2170)에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체결브라켓(2060)의 적어도 일부분은, 하우징(100)의 저면과 나란하게 맞대어질 수 있다.
체결브라켓(2060)은, 하단연장부(2177)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하단연장부(2177)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브라켓(2060)은, 체결면부(2161) 및 끼움부(216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면부(2161)는,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나란하게 맞대어지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면부(2161)는, 저면(110)과 맞대어진 상태에서 체결부재(2070)와 결합될 수 있다.
끼움부(2162)는, 체결면부(216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부(2162)는, 하단연장부(2177)를 관통하며 하단연장부(2177)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체결면부(2161)를 캐비닛(217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단연장부(2177)에는 제1브라켓끼움홀(2178)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부(2162)는, 체결면부(2161)로부터 하단연장부(2177)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끼움부(2162)는 체결면부(2161)와 대략 "L" 형상을 이루는 형태로 체결면부(2161)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부(2162)는, 제1끼움부(2162a)와 제2끼움부(216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끼움부(2162a)는, 체결면부(2161)로부터 제1브라켓끼움홀(2178)의 관통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끼움부(2162a)는, 체결면부(2161)와 직교하는 형태로 체결면부(216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끼움부(2162b)는, 제1끼움부(2162a)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되,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끼움부(2162b)는 제1끼움부(2162a)로부터 상부와 후방 사이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부(2162b)는, 제1브라켓끼움홀(2178)을 통해 하단연장부(2177)를 관통하여 하단연장부(2177)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처럼 하단연장부(2177)의 상부로 돌출된 제2끼움부(2162b)가 하단연장부(2177)의 상부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전후방향 길이는, 제1브라켓끼움홀(2178)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길다.
바꾸어 말하면, 하단연장부(2177)의 상부로 돌출된 제2끼움부(2162b)의 상단의 전후방향 위치는, 제1브라켓끼움홀(2178)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제2끼움부(2162b)가 제1끼움부(2162a)로부터 상부와 후방 사이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즉 제2끼움부(2162b)는, 제1끼움부(2162a)로부타 상부와 후방 사이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제1브라켓끼움홀(2178)을 통해 하단연장부(2177)를 관통하여 하단연장부(2177)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하단연장부(2177)의 상부로 돌출된 제2끼움부(2162b)의 상단은 제1브라켓끼움홀(2178)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방향에 대해서, 제1브라켓끼움홀(2178)의 최대 길이가 체결면부(2161)의 최소 길이보다 짧고, 끼움부(2162)의 길이가 제1브라켓끼움홀(2178)의 길이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에 대해서, 끼움부(2162)의 길이가 제1브라켓끼움홀(2178)의 길이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끼움부(2162)는 제1브라켓끼움홀(2178)에 삽입될 수 있지만, 체결면부(2161)는 제1브라켓끼움홀(2178)에 삽입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끼움부(2162)가 제1브라켓끼움홀(2178)을 통해 하단연장부(2177)에 끼워지며 체결브라켓(2060)의 전후방향 위치 및 좌우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끼움부(2162),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끼움부(2162a)가 제1브라켓끼움홀(2178)을 둘러싸는 하단연장부(2177)의 내주면과 억지끼움되게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끼움부(2162a)의 전후방향 길이는 제1브라켓끼움홀(2178)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될 수 있고, 제1끼움부(2162a)의 좌우방향 길이는 제1브라켓끼움홀(2178)의 좌우방향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하단연장부(2177)의 하부에 배치되는 체결면부(2161)와 제1브라켓끼움홀(2178)을 통해 하단연장부(2177)의 상부로 돌출된 제2끼움부(2162b) 사이에 하단연장부(2177)가 끼워지는 형태로 체결브라켓(2060)의 상하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끼움부(2162a)의 상하방향 길이는 저면(110) 중 하단연장부(2177)와 체결면부(2161) 사이에 위치한 영역의 상하방향 길이와 체결면부(2161)의 상하방향 길이를 합한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상하방향에 대해서, 제1끼움부(2162a)는 저면(110)과 체결면부(2161)를 합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체결면부(2161)가 하단연장부(2177)의 하부에서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단과 간섭되어 체결브라켓(2060)의 상부방향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하단연장부(2177)의 상부에서 상부와 후방 사이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제2끼움부(2162b)가 하단연장부(2177) 또는 하우징(100) 저면(110) 상단과 간섭되어 체결브라켓(2060)의 하부방향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이로써 체결면부(2161)와 제2끼움부(2162b) 사이에 하단연장부(2177)가 끼워지는 형태로 체결브라켓(2060)의 상하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체결브라켓(2060)은, 이와 같은 형태로 상하방향 위치가 규제되면서 캐비닛(217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브라켓끼움홀(2178)을 통해 끼움부(2162)를 하단연장부(2177)에 끼워준 후, 제2끼움부(2162b)와 체결면부(2161) 사이에 하단연장부(2177)가 끼워지도록 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체결브라켓(2060)을 캐비닛(2170)에 쉽고 빠르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2끼움부(2162b)의 상단이 하단연장부(2177)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2끼움부(2162b)를 꺾어주는 방법으로 체결브라켓(2060)을 캐비닛(2170)에 좀 더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하단연장부(2177)는 저면(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저면(110)에는 제2브라켓끼움홀(112)이 마련될 수 있다. 제2브라켓끼움홀(112)은, 저면(11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브라켓끼움홀(2178)과 상하방향으로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끼움부(2162b)는, 제2브라켓끼움홀(112)을 통해 저면(11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2끼움부(2162b)는, 제1브라켓끼움홀(2178)과 제2브라켓끼움홀(112)을 통해 하단연장부(2177)와 저면(110)을 관통하여 하단연장부(2177) 및 저면(11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제1브라켓끼움홀(2178)과 제2브라켓끼움홀(112)을 통과하는 끼움부(2162)에 의해, 캐비닛(2170)과 하우징(100)의 임시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끼움부(2162)에 의해 이루어지는 캐비닛(2170)과 하우징(100)의 임시적인 결합에 의해, 캐비닛(2170)과 하우징(100)의 결합 위치가 안내되면서 체결부재(2070)를 이용한 체결 작업이 쉽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체결부재(2070)는, 상하방향으로 맞대어진 체결면부(2161)와 저면(11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체결면부(2161)를 저면(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재(2070)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볼트부재는 체결면부(2161)와 저면(11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체결면부(2161) 및 저면(1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체결부재(2070)는 너트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너트부재는 저면(110)의 상부에서 볼트부재와 결합되어 볼트부재를 저면(11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볼트부재와 너트부재의 결합은, 나사 결합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볼트부재는, 볼트부재의 헤드가 체결면부(2161)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체결면부(2161) 및 저면(110)을 관통하여 저면(11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 그리고 너트부재는, 저면(110)의 상부에서 볼트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너트부재는 볼트부재 중 저면(110)의 상부로 돌출된 부분과 결합될 수 있고, 볼트부재와 너트부재 간의 결합에 의해 체결브라켓(2060)이 하우징(100)의 저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면부(2161)는, 상하방향으로 맞대어진 체결면부(2161)와 저면(11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부재(2070)에 의해 저면(1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체결면부(2161)와 저면(110) 간의 결합에 의해, 저면(110)을 상대로 한 하단연장부(2177)의 상하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부(2162)와 하단연장부(2177) 간의 결합에 의해, 하우징(100)의 전면을 상대로 한 전면커버부(2175)의 전후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즉 체결부재(2070)에 의해 이루어지는 체결면부(2161)와 저면(110) 간의 결합에 의해,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캐비닛(2170)의 상하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브라켓(2060)의 끼움부(2162)에 의해 이루어지는 체결브라켓(2060)과 캐비닛(2170) 간의 결합에 의해,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캐비닛(2170)의 전후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캐비닛(2170)의 전면커버부(2175)는 체결브라켓(2060)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진 상태로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비닛(2170)은 하우징(100)의 전방연장면부(135)의 전방에서 전방연장면부(135)와 밀착된 상태로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 간의 갭이 감소될 수 있게 됨은 물론,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 간의 갭 관련 공차의 관리가 매우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즉 체결브라켓(2060)에 의해, 캐비닛(2170)의 전면커버부(2175)가 하우징(100)의 전방연장면부(135)의 전방에서 전방연장면부(135)와 밀착된 상태로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게 됨으로써,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 간의 갭이 감소되고,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 간의 갭 관련 공차의 관리가 매우 용이해지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비닛(2170)의 측면커버부(2173)나 전면커버부(2175)를 측방향 외측 또는 전방측으로 벌린 후 캐비닛(2170)을 하우징(100)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캐비닛(2170)을 하우징(100)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하단연장부(2177)로 인해 하우징(100)의 긁힘이 발생되거나, 캐비닛(2170) 설치 작업의 난이도가 높아지거나,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 간의 갭 관련 공차의 관리가 어려워지거나, 조리기기의 외관 품질 불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가 효과적으로 해결될 수 있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캐비닛(2170) 설치 구조에 의해, 캐비닛(2170) 설치 작업의 난이도를 낮추면서도 조리기기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캐비닛(2170)의 전면과 하우징(100)의 전면이 밀착될 수 있게 됨으로써, 캐비닛(2170)의 전면과 하우징(100)의 전면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누설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0)의 전방연장면부(135)와 캐비닛(2170)의 전면커버부(2175) 주변에 제3냉각팬(860; 도 56 참조), 냉각유로(850; 도 56 참조), 냉기토출부(125; 도 56 참조) 등이 배치된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전방연장면부(135)와 캐비닛(2170)의 전면커버부(2175) 사이가 벌어진 형태로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면, 캐비닛(2170)의 전면과 하우징(100)의 전면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누설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캐비닛(2170)의 전면과 하우징(100)의 전면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누설이 발생된다면, 냉기토출부(125)를 통한 냉기 토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그 결과 조리실 내부의 열기 및 수증기가 조리기기의 후방으로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거나, 심한 경우 조리실 내부의 열기 및 수증기가 캐비닛(2170)의 전면과 하우징(100)의 전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오는 결과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으로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브라켓(2060)에 의해, 캐비닛(2170)의 전면커버부(2175)가 하우징(100)의 전방연장면부(135)의 전방에서 전방연장면부(135)와 밀착된 상태로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캐비닛(2170)의 전면과 하우징(100)의 전면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누설은 차단되고, 냉기토출부(125)를 통한 냉기 토출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05 : 조리실
110 : 저면
112 : 제2브라켓끼움홀
120,130 : 측면
125 : 냉기토출부
135 : 전방연장면부
140 : 배면
150 : 배면케이스
160 : 절연판
170 : 캐비닛
171 : 관통홀
175 : 흡배기그릴
180 : 베이스
200 : 트레이
205 : 트레이본체
210 : 거치부
211 : 제1돌출부
213 : 제2돌출부
214 : 슬라이딩면
215 : 거치홈
220 : 물받이홈
230 : 스팀커버
300 : 도어
301 : 흡기구
303 : 배기구
305 : 손잡이
305a : 끼움돌기
310 : 도어상면부
315 : 공간부
320 : 도어프레임
320a : 체결홀
320b : 제1힌지통과홀
320c : 제1힌지결합부
320d : 제2힌지결합부321 : 결합부
321a : 연결홀
321b : 제3가스켓끼움홀
322 : 안착면
323 : 제1가로지지부
324 : 제2가로지지부
325 : 히터장착부
326 : 제1접속단고정부
327 : 제2접속단고정부
328 : 그릴지지부
328a : 커버
328b : 고정리브
328c : 통과홀
329 : 접속단지지부재
329a : 코일스프링
329b : 제1결합부
329c : 제2결합부
330,335 : 글라스
340,345 : 케이블장착부
341,346 : 체결보스
343 : 연결부재
350 : 도어전면부
360 : 제1냉각팬
370 : 제1가스켓
371 : 제1실링몸체
372 : 제1가스켓중공부
373 : 제1실링커버
374 : 제1실링돌기
375 : 제1지지몸체
380 : 제2가스켓
381 : 제2실링몸체
382 : 제2가스켓중공부
383 : 제2실링돌기
385 : 제2지지몸체
386 : 제1돌출지지부
387 : 제2돌출지지부
390 : 제3가스켓
391 : 제3실링몸체
392 : 제3가스켓중공부
393 : 제3실링돌기
395 : 제3지지몸체
396 : 제1돌출지지부
397 : 제2돌출지지부
300a : 도어본체부
310a : 제1도어본체부
312b : 제3가스켓끼움홀
350a : 제2도어본체부
351a : 관통홀
353a : 체결홀2
350b : 도어배면커버
352b : 제1가스켓끼움홀
354b : 제2가스켓끼움홀
400 : 제1가열부
410 : 발열체
420 : 제1접속단
421 : 원통형상부
422 : 연장부
423 : 단턱
425 : 키형상부
430 : 제2접속단
440 : 리플렉터
441 : 제1리플렉터부
445 : 제2리플렉터부
450 : 보호그릴
500 : 제1제어기판
501 : 단자
550 : 지지패널
550a : 제1영역
550b : 제2영역
550c : 결합영역
551 : 메인패널부
552 : 리브
553 : 하부지지부
553a : 몸체부
553b : 돌출부
555 : 측부지지부
557 : 온도센서지지부
557a : 제2측벽부
557b : 제2지지면부
557c : 보스부
557d : 후크
558 : 케이블고정부
558a : 몸체부
558b : 돌출부
559 : 케이블지지부
559a : 제1돌기부
559b : 제2돌기부
560 : 지지돌기
561 : 가이드돌기
561a : 몸체부
561b : 돌출부
562 : 체결홀
563 : 체결부재
563a : 몸체부
563b : 머리부
565 : 터치패널지지부
565a : 돌출면부
565b : 돌출지지면부
565c : 돌출리브부
566 : 패킹부재
567 : 외측지지돌기
570 : 통신모듈
580 : 온도센서
581 : 센서본체
583 : 플랜지
590 : 브라켓
591 : 제1결합부
591a : 가이드홀
591b : 체결홀
593 : 제2결합부
593a : 체결홀
593b : 끼움홀
595 : 연결부
600 : 제2가열부
610 : 워킹코일
611 : 코일설치베이스
613 : 코일
615 : 코일연결배선
620 : 수신코일
621 : 코일설치베이스
623 : 코일
630 : 전자기차폐판
640 : 온도측정모듈
700 : 제2제어기판
730 : 제2냉각팬
735 : 전원연결부
740 : 통신모듈
750 : 배면지지패널
750a : 제1영역
750b : 제2영역
751 : 메인패널부
755 : 제1돌출테두리부
756 : 후크
760 : 배면커버
761 : 메인커버부
762 : 통기홀
763 : 팬설치홀
764 : 절개부
765 : 제2돌출테두리부
800 : 힌지 어셈블리
810 : 힌지부
811 : 제1힌지링크
811a : 제2체결공
812 : 제2힌지링크
813 : 제3힌지링크
814 : 제4힌지링크
820: 거치돌기
830 : 힌지케이스
831 : 유로입구
833 : 유로출구
835 : 토출돌기
840 : 팬장착부
850 : 냉각유로
851 : 제1구간
853 : 제2구간
860 : 제3냉각팬
1000 : 조작장치
1100 : 샤프트
1200 : 엔코더
1300 : 노브
1310 : 축결합부
1311 : 축결합공
1320 : 스커트부
1321 : 결합홈
1330 : 제2연결지지부
1340 : 돌기부
1350 : 노브커버
1360 : 전면부
1361 : 관통부
1360 : 측면부
1600 : 소켓부재
1610 : 외측지지부
1611 : 삽입홈
1620 : 내측지지부
1630 : 제1연결지지부
1631 : 플랜지형상부
1633 : 리브형상부
1635 : 스커트형상부
1640 : 광통과홀
1650 : 제1결합부
1651 : 제1돌출돌기부
1653 : 제1결합돌기부
1660 : 제2결합부
1661 : 제2돌출돌기부
1663 : 제2결합돌기부
1670 : 제3결합부
1680 : 자성부재
1700 : 발광부재
1800 : 전면커버부재
1810 : 결합보스
1900 : 터치조작부
1910 : 기판
1920 : 부스터
2010 : 볼트부재
2015 : 너트부재
2060 : 체결브라켓
2161 : 체결면부
2062 : 끼움부
2162a : 제1끼움부
2162b : 제2끼움부
2070 : 체결부재
2170 : 캐비닛
2171 : 배면커버부
2172 : 제1상면커버부
2173 측면커버부
2174 : 제2상면커버부
2175 : 전면커버부
2176 : 제2힌지통과홀
2177 : 하단연장부
2178 : 제1브라켓끼움홀
2015 : 너트부재
2320 : 도어프레임
2321 : 힌지결합부
2322 : 결합면
2323 : 제1체결공
2324 : 체결가이드홈
W : 투시창
s : 실링부재

Claims (13)

  1. 저면과 양측면과 배면으로 둘러싸인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도어상면부 및 상기 도어상면부의 전방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도어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
    상기 도어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는 힌지결합부; 및
    상기 힌지부를 상기 힌지결합부에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결합부에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힌지결합부 간의 전후방향 결합 위치를 안내하는 위치조절안내부가 마련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위치조절안내부에 전후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힌지결합부와 결합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힌지부 및 상기 결합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볼트부재를 상기 결합면에 고정시키는 너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부재와 상기 너트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위치조절안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볼트부재와 상기 너트부재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힌지부와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을 형성하는 결합면, 및 상기 결합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결합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위치조절안내부는, 전후방향 길이가 상기 볼트부재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된 상기 체결공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안내부는, 상기 결합면으로부터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체결가이드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너트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체결가이드홈에 끼워지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가이드홈의 전후방향 길이가 상기 너트부재의 최장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체결가이드홈에 전후방향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재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가이드홈은, 상기 너트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너트부재의 회전을 구속하는 조리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하부에서 상기 도어와 결합되는 도어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마련되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배치되는 제1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제1가열부가 결합되는 히터장착부, 및 상기 도어상면부와 결합되어 상기 히터장착부를 상기 도어상면부에 지지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에 마련되는 조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힌지부 및 상기 결합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힌지부를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시키는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볼트부재를 상기 결합면에 고정시키는 너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부재와 상기 너트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위치조절안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볼트부재와 상기 너트부재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가 상기 결합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너트부재가 상기 결합면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부재와 상기 너트부재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조절안내부는, 상기 결합면의 상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체결가이드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너트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체결가이드홈에 끼워지는 조리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가이드홈 및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도어상면부와 상기 도어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볼트부재는, 상부방향으로 상기 결합면을 관통하여 상기 도어상면부와 상기 도어프레임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너트부재와 결합되는 조리기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안내부에 결합되는 상기 체결부의 전후방향 위치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상기 도어전면부의 간격이 조절되는 조리기기.
KR1020210077692A 2021-06-15 2021-06-15 조리기기 KR2022016810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692A KR20220168100A (ko) 2021-06-15 2021-06-15 조리기기
US17/840,271 US20220397279A1 (en) 2021-06-15 2022-06-14 Cooking appliance
EP22179182.5A EP4105562A1 (en) 2021-06-15 2022-06-15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692A KR20220168100A (ko) 2021-06-15 2021-06-15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100A true KR20220168100A (ko) 2022-12-22

Family

ID=8206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692A KR20220168100A (ko) 2021-06-15 2021-06-15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97279A1 (ko)
EP (1) EP4105562A1 (ko)
KR (1) KR202201681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7596A1 (en) * 2018-04-12 2019-10-1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utomatic door for a domestic appliance
CN116509212B (zh) * 2023-05-12 2023-12-08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炸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9649B2 (ja) 1976-06-10 1985-07-11 ピルキントン・ブラザ−ス・リミテツド 物品処理用流動作動方法および装置
KR20110001565U (ko) 2009-08-07 2011-02-15 이종석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
JP6271502B2 (ja) 2012-04-04 2018-01-31 ゾエティス・サービシーズ・エルエルシー マイコプラズマ・ハイオニューモニエワクチン
JP6289602B2 (ja) 2016-12-28 2018-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05081U1 (de) 1999-03-19 1999-08-12 Su Yung Sen Verbesserung der Struktur einer Ofentür
US6271502B1 (en) 2000-02-18 2001-08-07 Wen-Ching Lee Quick-disconnect arrangement for oven door
FR2845722B1 (fr) * 2002-10-10 2005-01-14 Distral Sa Gond dote d'un goujon adapte pour se loger dans une penture d'un ouvrant, notamment d'un portail
BE1015758A3 (nl) * 2003-10-31 2005-08-02 Talpe Joseph Mechanisme voor het op een instelbare hoogte aan een steun ophangen van een poort.
WO2020145765A1 (ko) * 2019-01-11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9649B2 (ja) 1976-06-10 1985-07-11 ピルキントン・ブラザ−ス・リミテツド 物品処理用流動作動方法および装置
KR20110001565U (ko) 2009-08-07 2011-02-15 이종석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
JP6271502B2 (ja) 2012-04-04 2018-01-31 ゾエティス・サービシーズ・エルエルシー マイコプラズマ・ハイオニューモニエワクチン
JP6289602B2 (ja) 2016-12-28 2018-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97279A1 (en) 2022-12-15
EP4105562A1 (en) 202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5310B1 (ko) 조리기기
KR20230129211A (ko) 조리기기
EP3680555B1 (en) Cooking appliance
KR102572684B1 (ko) 조리기기
KR20220168100A (ko) 조리기기
US20230300956A1 (en) Cooking appliance
KR20220168099A (ko) 조리기기
KR102564249B1 (ko) 조리기기
KR20220168098A (ko) 조리기기
KR20220168102A (ko) 조리기기
KR20220168097A (ko) 조리기기
KR20220168101A (ko) 조리기기
KR102213630B1 (ko) 조리기기
KR102522669B1 (ko) 조리기기
CN113271827B (zh) 烹饪设备
KR20200087650A (ko) 조리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