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981B1 -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981B1
KR101437981B1 KR1020080000362A KR20080000362A KR101437981B1 KR 101437981 B1 KR101437981 B1 KR 101437981B1 KR 1020080000362 A KR1020080000362 A KR 1020080000362A KR 20080000362 A KR20080000362 A KR 20080000362A KR 101437981 B1 KR101437981 B1 KR 101437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door
side link
link
accommod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4544A (ko
Inventor
김양경
이영우
양재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0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9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74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2Co-operating with a door, e.g. operated by the d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는 조리 대상물이 놓이고, 수용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랙; 케이스에 대하여 풀 다운(pull-down)과 풀 업(pull-up) 중 어느 하나의 상대 운동을 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개폐시키는 도어; 및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서 연장되어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도어측 링크와, 상기 회전축에서 연장되어 상기 랙과 연결되는 랙측 링크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에 개폐에 따라 상기 랙이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상대 운동되도록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한다.
개시되는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시킨 후, 랙을 인출 또는 인입하는 별도의 작업이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랙 인출 또는 인입 작업 시에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부상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랙 자동 이동, 도어, 링크, 플렉서블

Description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Rack automatic moving apparatus of cooking machine}
본 발명은 조리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는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에 대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 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다.
이러한 조리 기기에는 내부에 조리 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개폐시키는 도어가 설치된다. 상기 수용 공간에는 조리 대상물을 얹을 수 있는 랙이 설치된다.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도어의 개폐 방식에 따라 풀 다운(pull-down) 방식, 사이드 스윙(side swing) 방식 등의 다양한 구조로 형성된다. 그 중 풀 다운(pull-down) 방식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풀 다운 방식의 조리 기기에 있어서는, 조리 대상물을 조리 기기 내부에 넣거나 빼기 위해서, 도어를 완전히 개방시킨 후 사용자가 직접 랙을 수용 공 간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도어 개방 후 사용자의 랙 인출 또는 인입 작업이 요구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풀 다운 방식에 있어서, 도어가 사용자의 접근을 방해하는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어서, 이러한 불편함이 배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랙을 인출 또는 인입하여야 하는데, 조리 기기의 위치가 사용자의 키에 비해 낮은 곳에 설치된 경우, 랙 인출 또는 인입 작업 시에, 사용자의 허리 등에 과도한 하중이 걸려, 사용자의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풀 다운 방식의 조리 기기에서 랙이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는 케이스 내측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조리 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리 대상물이 놓이고, 상기 수용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랙;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풀 다운(pull-down)과 풀 업(pull-up) 중 어느 하나의 상대 운동을 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개폐시키는 도어; 및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서 연장되어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도어측 링크와, 상기 회전축에서 연장되어 상기 랙과 연결되는 랙측 링크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에 개폐에 따라 상기 랙이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상대 운동되도록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는 케이스 내측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조리 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리 대상물이 놓이고, 상기 수용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수 개의 랙;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풀 다운과 풀 업 중 어느 하나의 상대 운동을 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개폐시키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운동에 따라 상기 다수 개의 랙이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각각 다른 변위로 상대 운동되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다수 개의 랙을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는 케이스 내측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조리 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리 대상물이 놓이고, 상기 수용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랙;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풀 다운과 풀 업 중 어느 하나의 상대 운동을 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개폐시키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개폐에 따라 상기 랙이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상대 운동되도록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하면, 연결 유닛이 도어와 랙을 연결함으로써, 수용 공간의 개폐를 위한 도어의 회동에 따라 랙이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시킨 후, 랙을 인출 또는 인입하는 별도의 작업이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랙 인출 또는 인입 작업 시에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부상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하면, 롤러 연결 링크가 플렉서블 링크로 구성되는 경우, 연결 유닛이 구동될 때, 유연한 롤러 연결 링크가 변형되면서 기어 롤러 및 이동 방향 가이드부 사이를 이동하게 되므로, 롤러 연결 링크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랙의 이동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개폐에 따라 랙이 인출 또는 인입되더라도, 롤러 연결 링크가 내향 가이드부에 의해 케이스 내부로 안내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아니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 연결 링크가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조리 기기의 다른 구성 요소와 간섭되거나, 롤러 연결 링크에 의해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깔끔한 외관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하면, 도어에 도어의 변위량과 연결 유닛의 변위량에 차이가 나도록 기능할 수 있는 슬롯이 형성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도어의 변위량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랙의 변위량이 조절될 수 있어서, 랙이 요구되는 수준까지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하면, 랙측 링크의 길이가 도어측 링크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도어의 운동에 따라 연결 유닛이 구동될 때, 도어측 링크의 말단의 변위량보다 랙측 링크의 말단의 변위량이 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유닛의 크기가 컴팩트하게 유지되면서도, 랙의 이동량이 요구되는 수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하면, 기어 롤러의 기어치와 맞물리는 롤러 연결 링크에 주기적인 홀 형상의 기어 홀이 형성되어, 기어 홀에 기 어치가 삽입되면서 맞물림으로써, 기어 롤러와 롤러 연결 링크의 부피가 감소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연결 유닛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하면, 변위 가변부가 설치되는 경우, 도어의 개방이 완료되고, 연결 유닛의 작동이 정지되면, 다수 개의 랙의 인출 길이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각 랙에 대한 접근성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하면, 롤러 연결 링크에 랙 연결부 및 랙 비연결부가 함께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구성이 없어도, 랙의 이동량을 요구되는 수준으로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랙 자동 이동 장치가 적용된 조리 기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해 랙이 일정 거리 인출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해 랙이 인출 완료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의 랙 자동 이동 장치는 케이스(110)와, 제 1 랙(140)과, 도어(120)와, 연결 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 내측에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 공간에는 음식 물 등의 조리 대상물이 수용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10)는 그 자체로 상기 조리 기기(100) 내부를 그 외부와 구획시켜,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케이스(100)는 외관을 이루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의 이중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랙(140)은 상기 수용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조리 대상물이 그 상단에 놓일 수 있다. 상기 제 1 랙(140)은 플레이트 형상 또는 그물망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0)는 상기 케이스(110)에 대하여 풀 다운(pull-down) 또는 풀 업(pull-up)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개폐시킨다.
상세히, 풀 다운 방식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20)의 하부가 상기 케이스(1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 외력에 의해 상기 도어(120)가 상기 케이스(110)와의 연결점에 형성된 도어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하강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20)의 하강이 이루어지면, 상기 수용 공간이 외부에 대하여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0)를 닫고자 하는 경우, 상기 도어(120)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도어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120)를 역회전시키면서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풀 업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도어(120)의 상부가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 도어(120)에는 도어 손잡이(1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 손잡이(122)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도어 손잡이(122)를 사용자가 잡아서, 상기 도어(120)에 외력을 용이하게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200)은 링크 회전축(230)과, 도어측 링크(220)와, 랙측 링크(2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연결 유닛(200)은 상기 도어(12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 1 랙(140)이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상대 운동되도록 연결한다.
상세히, 상기 링크 회전축(230)은 상기 케이스(110)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유닛(200)의 회전 중심이 된다. 이러한 링크 회전축(230)은 상기 도어 회전축(130)과 일치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도어(120) 및 상기 연결 유닛(200)의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측 링크(220)는 상기 링크 회전축(230)에서 연장되어 상기 도어(120)에 연결된다. 상기 도어측 링크(220)의 상기 도어(120) 측 말단에는 슬롯 삽입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120)에는 상기 슬롯 삽입부(210)가 삽입될 수 있는 슬롯(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 삽입부(210)는 상기 슬롯(121)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슬롯(12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슬롯(121)은 상기 도어(120)의 변위량과 상기 연결 유닛(200)의 변위량에 차이가 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슬롯(12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20)의 회전 궤적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도어(120)의 운동 초기에는 상기 슬롯 삽입부(210)가 상기 슬롯(121)을 따라 이동되므로, 상기 연결 유닛(200)은 운동되지 아니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슬롯(121)의 말단에 상기 슬롯 삽입부(210)가 도달되면, 상기 슬롯(121)의 말단에 상기 슬롯 삽입부(210)가 걸려, 상기 도어(120)의 운동에 따라, 상기 연결 유닛(200)도 함께 운동되고, 이러한 연결 유닛(200)의 운동에 따라 상기 제 1 랙(140)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슬롯(121)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120)의 변위량과 상기 연결 유닛(200)의 변위량에 차이가 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상기 도어(120)의 변위량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상기 제 1 랙(140)의 변위량이 조절될 수 있어서, 상기 제 1 랙(140)이 요구되는 수준까지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슬롯(121) 이외에도 상기 도어(120)의 변위량과 상기 연결 유닛(200)의 변위량에 차이가 나도록 할 수 있는 다양한 슬롯이 제안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 랙측 링크(240)는 상기 링크 회전축(230)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 랙(140)과 연결된다. 이러한 랙측 링크(240)는 상기 링크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측 링크(220)와 일정한 각도로 고정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랙측 링크(240)의 길이는 상기 도어측 링크(22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도어(120)의 운동에 따라 상기 연결 유닛(200)이 구동될 때, 상기 도어측 링크(220)의 말단의 변위량보다 상기 랙측 링크(240)의 말단의 변위량이 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 유닛(200)의 크기가 컴팩트하게 유지되면서도, 상기 제 1 랙(140)의 이동량이 요구되는 수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유닛(200)은 그 일단이 상기 랙측 링크(240)에 연결되어 상기 랙측 링크(240)와 함께 운동되고, 그 타측이 상기 제 1 랙(140)과 연결되어 상기 랙측 링크(240)의 운동에 따라 상기 제 1 랙(140)을 이동시키는 롤러 연결 링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롤러 연결 링크(260)의 일측은 상기 랙측 링크(240)의 말단과 연결 부분(250)에서 연결되고, 그 타측은 자유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 연결 링크(260)의 일면에는 링크측 기어치(261)가 형성된다.
상기 롤러 연결 링크(260)의 하측에는 상기 링크측 기어치(261)와 맞물리는 롤러측 기어치(271)가 형성된 기어 롤러(270)가 설치된다. 상기 기어 롤러(270)는 상기 케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 롤러(270)와 대면되는 부분에는 이동 방향 가이드부(262)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 방향 가이드부(262)는 상기 기어 롤러(270)와 맞물려 이동되는 상기 롤러 연결 링크(26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한다.
상기 기어 롤러(270)는 제 1 랙 롤러(280)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함께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연결 유닛(200)이 구동될 때, 상기 롤러 연결 링크(260)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기어 롤러(270) 및 상기 제 1 랙 롤러(280)가 함께 회전된다. 상기 제 1 랙 롤러(280)는 상기 제 1 랙(140)의 하면과 맞닿아 있으므로, 상기 제 1 랙 롤러(28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랙(140)이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롤러 연결 링크(260)는 플렉서블 링크(flexible link)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연결 유닛(200)이 구동될 때, 유연한 상기 롤러 연결 링크(260)가 변형되면서 상기 기어 롤러(270) 및 상기 이동 방향 가이드부(262) 사이를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롤러 연결 링크(26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랙(140)의 이동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의 랙 자동 이동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랙(140)이 인출되는 과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나, 상기 제 1 랙(140)의 인입 과정은 상기 제 1 랙(140)의 인출 과정의 역과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측 링크(220)의 말단은 상기 슬롯(121)의 타단 부근에 삽입된 상태에 있고, 상기 제 1 랙(140)은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인입된 상태가 된다.
그 후, 상기 도어(120)에 외력에 가해져, 상기 도어(120)가 상기 도어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20)는 하강된다.
이 때, 상기 도어측 링크(220)의 말단이 상기 슬롯(121)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연결 유닛(200)은 회동되지 아니한다.
그 후, 상기 도어측 링크(220)의 말단이 상기 슬롯(121)의 말단에 도달되면, 상기 도어(120)의 하강에 따라, 상기 도어측 링크(220)의 말단이 상기 슬롯(121)에 걸린 상태로, 상기 도어측 링크(220)가 상기 링크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링크 회전축(230)에서 연장된 상기 랙측 링크(240)도 회동된다.
이 때, 상기 도어측 링크(220)의 길이보다 상기 랙측 링크(24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측 링크(220)의 말단이 소정 거리(r1)만큼 변위될 때, 상기 랙측 링크(240)의 말단은 상기 도어측 링크(220)의 말단의 변위량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거리(r2)만큼 변위된다.
상기와 같이, 랙측 링크(240)가 회동되면, 상기 랙측 링크(240)와 기어에 의해 맞물린 상기 기어 롤러(270)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랙 롤러(280)가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랙 롤러(280)와 맞닿은 상기 제 1 랙(140)이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도어(120)가 완전히 하강되고, 상기 제 1 랙(140)이 완전히 인출된 모습이 도 3에 도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 유닛(200)이 상기 도어(120)와 상기 제 1 랙(140)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수용 공간의 개폐를 위한 상기 도어(12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 1 랙(140)이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120) 를 개방시킨 후, 상기 제 1 랙(140)을 인출 또는 인입하는 별도의 작업이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제 1 랙(140) 인출 또는 인입 작업 시에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부상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랙 자동 이동 장치가 적용된 조리 기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해 랙이 일정 거리 인출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해 랙이 인출 완료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의 랙 자동 이동 장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의 랙 자동 이동 장치는 케이스(110)와, 제 1 랙(140)과, 도어(120)와, 연결 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유닛(200)은 링크 회전축(230)과, 도어측 링크(220)와, 랙측 링크(24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 유닛(200)에 내향 가이드부(29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내향 가이드부(290)는 상기 도어(120)가 개폐될 때, 상기 랙측 링크(240)와 함께 운동되어 상기 제 1 랙(140)을 이동시킨 상기 롤러 연결 링크(260)의 부분을 상기 케이스(110) 내부로 안내한다.
상세히, 상기 내향 가이드부(2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방 향 가이드부(262)와 상기 기어 롤러(270)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케이스(110) 내부를 향하도록 만곡된 형상을 이룬다.
상기 도어(120)가 개폐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유닛(200)이 작동되어, 상기 랙측 링크(240)가 상기 기어 롤러(270)와 맞물린 채로 상기 이동 방향 가이드부(262)에 의해 안내되면서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상기 랙측 링크(240)의 이러한 이동에 의해 상기 제 1 랙(140)이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방향 가이드부(262)와 상기 기어 롤러(270) 사이를 지난 상기 롤러 연결 링크(260)의 부분은 상기 내향 가이드부(29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케이스(110) 내부로 향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롤러 연결 링크(260)는 플렉서블 링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도어(12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 1 랙(140)이 인출 또는 인입되더라도, 상기 롤러 연결 링크(260)가 상기 내향 가이드부(290)에 의해 상기 케이스(110) 내부로 안내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돌출되지 아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 연결 링크(260)가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조리 기기(100)의 다른 구성 요소와 간섭되거나, 상기 롤러 연결 링크(260)에 의해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깔끔한 외관을 창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기어 롤러(370)의 기어치(371)와 맞물리는 롤러 연결 링크(360)에 주기적인 홀 형상의 기어 홀(361)이 형성된다. 상기 기어 홀(361)에 상기 기어치(371)가 삽입되면서 맞물림으로써, 상기 기어 롤러(370)와 상기 롤러 연결 링크(360)의 부피가 감소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연결 유닛(200)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랙 자동 이동 장치가 적용된 조리 기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해 랙이 일정 거리 인출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해 랙이 인출 완료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110) 내의 수용 공간에 제 1 랙(140) 및 제 2 랙(141) 등 다수 개의 랙이 설치된다. 여기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제 1 랙(140) 및 상기 제 2 랙(141)이 설치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제 1 랙(140) 및 제 2 랙(141)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결 유닛(200)에 변위 가변부가 구비된다. 상기 변위 가변부가 구비된 상기 연결 유닛(200)에 의해, 상기 도어(120)의 운동에 따라 상기 제 1 랙(140) 및 상기 제 2 랙(141)이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각각 다른 변위로 상대 운동되도록 상기 도어(120)와 상기 제 1 랙(140) 및 상기 제 2 랙(141)이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변위 가변부는 각각 다른 회전수를 가지고 상기 제 1 랙(140) 및 상기 제 2 랙(141)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랙 롤러(280) 및 제 2 랙 롤러(4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랙 롤러(280) 및 제 2 랙 롤러(440)에는 각각 원동 롤러(410) 및 종동 롤러(43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원동 롤러(410) 및 상기 종동 롤러(430)는 연결 벨트(420)에 의해 연결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동 롤러(410)는 상기 종동 롤러(430)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도어(12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연결 유닛(200)이 작동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동 롤러(410)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 1 랙 롤러(280)를 회전시켜 상기 제 1 랙(140)을 인출시킨다.
이 때, 상기 원동 롤러(410)와 상기 연결 벨트(420)에 의해 연결된 상기 종동 롤러(430)도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종동 롤러(4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랙 롤러(440)가 회전되어, 상기 제 2 랙(141)이 인출된다.
여기서, 상기 원동 롤러(410)는 상기 종동 롤러(430)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원동 롤러(410)의 회전수에 비해 상기 종동 롤러(430)의 회전수가 더 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랙 롤러(280)의 회전수에 비해 상기 제 2 랙 롤러(440)의 회전수가 더 크게 되고, 결국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랙(141)이 상기 제 1 랙(140)보다 더 큰 변위로 인출된다.
상기 도어(120)의 개방이 완료되고, 상기 연결 유닛(200)의 작동이 정지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랙(141)이 상기 제 1 랙(140)보다 소정 거리(dd1)만큼 더 인출된다.
상기와 같이, 다수 개의 랙의 인출 길이가 달라지게 되므로, 각 랙에 대한 접근성이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동 롤러(410) 및 상기 종동 롤러(430)의 직경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다수 개의 랙의 인출 길이의 차이 및 더 많이 인출되는 랙의 선택 등이 가능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 연결 링크(510)에 랙 연결부(511) 및 랙 비연결부(512)가 함께 형성된다.
상기 랙 연결부(511)는 기어 롤러(270)의 기어치(271)와 맞물릴 수 있는 기어치가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랙 연결부(511)가 상기 기어 롤러(270)와 맞물리면, 상기 랙측 링크(240)의 회동에 따라 상기 기어 롤러(270)가 회전되어, 상기 제 1 랙(140)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랙 비연결부(512)는 상기 랙 연결부(511)와 연속하여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랙 연결부(511)는 달리 기어치가 형성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상기 랙 비연결부(512)와 상기 기어 롤러(270)가 대면되면, 상기 랙측 링크(240)가 회동하더라도, 상기 기어 롤러(270)가 회전되지 아니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랙(140)이 이동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이, 롤러 연결 링크(510)에 상기 랙 연결부(511) 및 상기 랙 비연결부(512)가 함께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구성이 없어도, 상기 제 1 랙(140)의 이동량을 요구되는 수준으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 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하면, 풀 다운 방식의 조리 기기에서 랙이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랙 자동 이동 장치가 적용된 조리 기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해 랙이 일정 거리 인출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해 랙이 인출 완료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랙 자동 이동 장치가 적용된 조리 기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해 랙이 일정 거리 인출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해 랙이 인출 완료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랙 자동 이동 장치가 적용된 조리 기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해 랙이 일정 거리 인출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랙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해 랙이 인출 완료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리 기기 110 : 케이스
120 : 도어 121 : 슬롯
130 : 도어 회전축 140 : 제 1 랙
200 : 연결 유닛 210 : 슬롯 삽입부
220 : 도어측 링크 230 : 링크 회전축
240 : 랙측 링크 260 : 롤러 연결 링크
270 : 기어 롤러 280 : 제 1 랙 롤러
290 : 내향 가이드부 410 : 원동 롤러
420 : 연결 벨트 430 : 종동 롤러
440 : 제 2 랙 롤러 511 : 랙 연결부
512 : 랙 비연결부

Claims (13)

  1. 케이스 내측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조리 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리 대상물이 놓이고, 상기 수용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랙;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풀 다운(pull-down)과 풀 업(pull-up) 중 어느 하나의 상대 운동을 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개폐시키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개폐에 따라 상기 랙이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상대 운동되도록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서 연장되어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도어측 링크;
    상기 회전축에서 상기 랙 방향으로 연장되는 랙측 링크; 및
    일측이 상기 랙측 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랙측 링크와 함께 운동되고, 타측이 상기 랙과 연결되어 상기 랙측 링크의 운동에 따라 상기 랙을 이동시키는 롤러 연결 링크;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랙측 링크의 길이는 상기 도어측 링크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의 회전축은 상기 도어의 회전축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도어측 링크의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자동 이동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연결 링크는 플렉서블 링크(flexible lin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자동 이동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연결 링크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상기 랙과 연결되는 랙 연결부와, 상기 랙과 연결되지 아니하는 랙 비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자동 이동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랙측 링크와 함께 운동되어 상기 랙을 이동시킨 상기 롤러 연결 링크의 부분을 상기 케이스 내부로 안내하는 내향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자동 이동 장치.
  9. 케이스 내측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조리 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리 대상물이 놓이고, 상기 수용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수 개의 랙;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풀 다운과 풀 업 중 어느 하나의 상대 운동을 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개폐시키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운동에 따라 상기 다수 개의 랙이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각각 다른 변위로 상대 운동되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다수 개의 랙을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서 연장되어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도어측 링크;
    상기 회전축에서 상기 랙 방향으로 연장되는 랙측 링크; 및
    상기 랙측 링크와 상기 다수 개의 랙을 연결하는 변위 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위 가변부는 각각 다른 회전수를 가지고 상기 다수 개의 랙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 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케이스 내측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조리 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리 대상물이 놓이고, 상기 수용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랙;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풀 다운과 풀 업 중 어느 하나의 상대 운동을 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개폐시키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개폐에 따라 상기 랙이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상대 운동되도록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도어의 운동을 상기 랙에 전달하는 플렉서블 링크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
  13. 삭제
KR1020080000362A 2008-01-02 2008-01-02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 KR101437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362A KR101437981B1 (ko) 2008-01-02 2008-01-02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362A KR101437981B1 (ko) 2008-01-02 2008-01-02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544A KR20090074544A (ko) 2009-07-07
KR101437981B1 true KR101437981B1 (ko) 2014-09-05

Family

ID=4133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362A KR101437981B1 (ko) 2008-01-02 2008-01-02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98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5767A1 (ko) * 2019-01-11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11408612B2 (en) 2019-01-11 2022-08-09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US11519609B2 (en) 2019-01-11 2022-12-06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US11683865B2 (en) 2019-01-11 2023-06-20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WO2023198424A1 (de) * 2022-04-12 2023-10-19 Miele & Cie. Kg Gargerät mit einem garraum
WO2023198425A1 (de) * 2022-04-12 2023-10-19 Miele & Cie. Kg Gargerät mit einem garraum
WO2023198418A1 (de) 2022-04-12 2023-10-19 Miele & Cie. Kg Gargerät mit einem garra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7100609U1 (de) * 2017-02-06 2018-05-16 Grass Gmbh Vorrichtung zur Anbringung eines Trägerelements für Gegenstände in einem Korpus
CN109528027A (zh) * 2019-01-14 2019-03-29 郭鑫 空气炸锅
CN110464206A (zh) * 2019-09-25 2019-11-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顶出装置和烹饪器具
KR20230100892A (ko) 2021-12-29 2023-07-06 코웨이 주식회사 쿠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64462A (en) 1931-06-22 1932-06-21 Olsen Morris Bake-oven ejector
US4637373A (en) * 1983-11-16 1987-01-20 Sanyo Electric Co., Ltd. Oven
JPH09152137A (ja) * 1995-11-29 1997-06-10 Hitachi Home Tec Ltd 加熱調理装置
KR200302294Y1 (ko) 1996-12-19 2003-04-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출가능한음식물트레이를갖는전자렌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64462A (en) 1931-06-22 1932-06-21 Olsen Morris Bake-oven ejector
US4637373A (en) * 1983-11-16 1987-01-20 Sanyo Electric Co., Ltd. Oven
JPH09152137A (ja) * 1995-11-29 1997-06-10 Hitachi Home Tec Ltd 加熱調理装置
KR200302294Y1 (ko) 1996-12-19 2003-04-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출가능한음식물트레이를갖는전자렌지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5767A1 (ko) * 2019-01-11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11408612B2 (en) 2019-01-11 2022-08-09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US11519609B2 (en) 2019-01-11 2022-12-06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US11683865B2 (en) 2019-01-11 2023-06-20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US11971176B2 (en) 2019-01-11 2024-04-30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WO2023198424A1 (de) * 2022-04-12 2023-10-19 Miele & Cie. Kg Gargerät mit einem garraum
WO2023198425A1 (de) * 2022-04-12 2023-10-19 Miele & Cie. Kg Gargerät mit einem garraum
WO2023198418A1 (de) 2022-04-12 2023-10-19 Miele & Cie. Kg Gargerät mit einem garraum
BE1030446B1 (de) * 2022-04-12 2023-11-14 Miele & Cie Gargerät mit einem Garraum
BE1030445B1 (de) * 2022-04-12 2023-11-14 Miele & Cie Gargerät mit einem Garraum
BE1030444B1 (de) * 2022-04-12 2023-11-14 Miele & Cie Gargerät mit einem Garra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544A (ko) 2009-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981B1 (ko)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
KR102368377B1 (ko) 냉장고
KR10135682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조립방법
KR102309149B1 (ko)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CN110476030B (zh) 冰箱
CN109906349B (zh) 冰箱
EP3764042B1 (en) Refrigerator
EP2871276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20140375188A1 (en) Door hinge apparatus and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112212576B (zh) 冰箱
KR101798987B1 (ko) 자동문 도어 구동장치
KR101715936B1 (ko) 냉장고
EP3764039B1 (en) Refrigerator
CN212465430U (zh) 滑动装置
KR100606981B1 (ko) 냉장고
KR100187204B1 (ko) 냉장고 도어의 힌지 장치
KR100443931B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자동개폐장치
CN112212593B (zh) 一种冰箱
KR200302294Y1 (ko) 인출가능한음식물트레이를갖는전자렌지
KR100393572B1 (ko) 서랍형 세탁기의 자동인출장치
KR20130071178A (ko) 와이어 감김 구속장치를 장착한 자동인출식 도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9990009927A (ko) 절첩식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EP1911919A1 (en) Device for slowing the closing of sliding parts of pieces of furniture
KR101186057B1 (ko) 냉장고의 바스켓출납용 레일어셈블리
KR0115231Y1 (ko) 고주파가열장치의 도아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