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940B1 -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1940B1 KR102571940B1 KR1020220143586A KR20220143586A KR102571940B1 KR 102571940 B1 KR102571940 B1 KR 102571940B1 KR 1020220143586 A KR1020220143586 A KR 1020220143586A KR 20220143586 A KR20220143586 A KR 20220143586A KR 102571940 B1 KR102571940 B1 KR 1025719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ir
- main material
- fry
- robot
- fry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45—Manipulators used in the food indust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2—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travelling along a guidew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8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omprising a plurality of manipul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ulti-articulated arm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즉, 본 발명은 평면에서 볼 때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한 한 쌍의 직교로봇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체에 연결판으로 연결된 지지체를 마련하고, 지지체에 축 지지되어 회전수단으로 회전시키고, 연결판에 결합되며 구동수단으로 구동하는 볶음솥을 구비한 볶음장치와; 상기 볶음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한 쌍의 직교로봇의 사이의 전방에 배치되어 볶음솥을 가열하는 가열수단 및 가열수단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볶음장치의 일측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주재료를 공급하는 주재료공급장치와; 상기 주재료공급장치의 전방 하측에 설치된 해면수단과; 상기 해면수단의 후방에 설치되어 해면된 주재료를 볶음장치의 볶음솥에 공급하는 주재료공급로봇과; 상기 볶음장치의 타측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부재료를 공급하는 부재료공급장치와; 상기 부재료공급장치의 하측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부재료를 볶음장치의 볶음솥에 공급하는 부재료공급로봇을 포함하는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볶음장치의 제2실시례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볶음장치의 제3실시례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도 7은 정면도
도 9는 도 7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의 제1실시례를 보인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 볶음요리 시스템의 제1실시례에 적용된 주재료공급로봇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 볶음요리 시스템의 제1실시례에 적용된 부재료공급로봇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의 제2실시례를 보인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정면도
도 17은 도 15의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의 제3실시례를 보인 평면도
도 19는 도 18의 정면도
도 20은 도 18의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의 제3실시례에 적용된 주재료공급선반 및 주재료인출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의 제3실시례에 적용된 주재료공급로봇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의 제4실시례를 보인 평면도
도 24는 도 23의 정면도
도 25는 도 23의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의 제4실시례에 적용한 바구니승강수단을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27은 본 발명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의 제4실시례에 적용한 주재료공급로봇의 다른 예를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의 제1 내지 제4실시례에 적용될 수 있는 부재료공급장치의 예를 보인 정면도
도 29는 도 28의 측면도
도 30은 도 28의 평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의 제5실시례를 보인 평면도
도 32는 도 31의 정면도
도 33은 도 31의 측면도
도 34는 본 발명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의 제5실시례에 적용된 주재료공급선반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3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의 제6실시례를 보인 평면도
도 36은 도 35의 정면도
도 37은 도 35의 측면도
도 38은 본 발명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의 제6실시례에 적용될 수 있는 주재료공급선반 및 선반회전로봇의 정면도와 평면도
도 39는 본 발명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의 제6실시례에 적용될 수 있는 부재료공급장치의 정면도와 평면도
도 40은 본 발명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의 각 실시례에 적용될 수 있는 세척수단의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
도 4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의 제7실시례를 보인 평면도
도 42는 도 41의 정면도
도 43은 도 41의 측면도
도 44 내지 도 4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의 제8실시례 내지 제10실시례를 보인 평면도
4:연결판 5:회동축 6:회전수단
7:구동축 8:볶음솥 8a:가열부
8b:원통형 걸림부 9:구동수단 10:가열수단
101:회전핀 102:각도조절용 승강수단
11:승강수단 12:좌우이동용 직교로봇 13:전후이동용 직교로봇
100: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110:주재료공급장치 120:해면수단 130:주재료공급로봇
131:주재료공급용주행로봇 132:주재료수직이동로봇 133:그리퍼
134:주재료공급바구니 135:다관절로봇 140:부재료공급장치
141:인출용 레일 142:설치판 143:배출관
143-1:배출구멍 143-2:배출스크루 143-3:구동모터
143-4:세팅구멍 144:계량수단 145:부재료공급통
145-1:세팅핀 145-2:배출호퍼 145-3:차단판
145-4:투명커버 146:구동체 147:회전구동수단
148:부재료배출수단 149:부재료 배출모터 149-1부재료배출모터용 직교로봇
150:부재료공급로봇 151:부재료주행로봇 152:수직지지대
153:수평지지대 154:그리퍼 155:부재료공급바구니
160:주재료공급선반 161:공간 162:안치통
163:지지축 164:지지판 164-1:배출공
165:회전판 165-1:주재료안치홈 166:구동핀
167:선반회전로봇 167-1:선반회전용 수직직교로봇
167-2:선반회전용 수평직교로봇 168:가압구
170:주재료인출수단 171:인출용 수직직교로봇
172:인출용 수평직교로봇 173:푸싱수단 180:바구니승강수단
181:승강엑추에이터 182:가이드 183:축지부
184:승강봉 185:바구니거치대 200:선반회전로봇
201:회전용 수직직교로봇 202:회전용 수평직교로봇 210:세척수단
211:세척조 212:승강수단 213:세척노즐
214:드레인관 215:접지링 216:걸름판
220:제면기 230:제2부재료공급부
240:배출부 241:용기공급수단 242:용기안치부
243:용기 250:용기제공용 로봇 260:서빙로봇
Claims (48)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평면에서 볼 때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한 한 쌍의 직교로봇(2)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체에 연결판(4)으로 연결된 지지체(3)를 마련하고, 지지체(3)에 축 지지되어 회전수단(6)으로 회전시키고, 연결판(4)에 결합되며 구동수단(9)으로 구동하는 볶음솥(8)을 구비한 볶음장치(1)와;
상기 한 쌍의 직교로봇(2)의 사이의 전방에 배치되어 볶음솥(8)을 가열하는 가열수단(10) 및 가열수단(10)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1)과;
상기 볶음장치(1)의 일측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주재료를 공급하는 주재료공급장치(110)와;
상기 주재료공급장치(110)의 전방 하측에 설치된 해면수단(120)과;
상기 해면수단(120)의 후방에 설치되어 해면된 주재료를 볶음장치(1)의 볶음솥(8)에 공급하는 주재료공급로봇(130)과;
상기 볶음장치(1)의 타측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부재료를 공급하는 부재료공급장치(140)와;
상기 부재료공급장치(140)의 하측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부재료를 볶음장치(1)의 볶음솥(8)에 공급하는 부재료공급로봇(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공급로봇(150)은 부재료공급장치(140)의 하측을 주행하는 부재료주행로봇(151)과;
상기 부재료주행로봇(151)을 따라 이동하는 수직지지대(152)와;
수직지지대(152)에 결합된 수평지지대(153)와;
수평지지대(153)의 선단에 결합되며 180도 회전되는 그리퍼(133) 및 그리퍼(133)에 그립핑되어 부재료공급장치(140)에서 부재료를 공급받아 볶음솥(8)에 투입하는 부재료공급바구니(1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평면에서 볼 때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한 한 쌍의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을 따라 이동하도록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과 직각으로 전후이동용 직교로봇(13)을 배치하고, 전후이동용 직교로봇(13)을 따라 이동하는 연결판(4)으로 연결된 지지체(3)를 마련하고, 지지체(3)에 축 지지되어 회전수단(6)으로 회전시키고, 연결판(4)에 결합되며 구동수단(9)으로 구동하는 볶음솥(8)을 구비한 볶음장치(1)와;
상기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의 중간 아래쪽으로 배치되어 볶음솥(8)을 가열하는 가열수단(10)과;
상기 볶음장치(1)의 일측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주재료를 공급하는 주재료공급장치(110)와;
상기 주재료공급장치(110)의 전방 하측에 설치된 해면수단(120)과;
상기 해면수단(120)의 후방에 설치되어 해면된 주재료를 볶음장치(1)의 볶음솥(8)에 공급하는 주재료공급로봇(130)과;
상기 볶음장치(1)의 타측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볶음솥(8)에 부재료를 공급하는 부재료공급장치(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주재료공급로봇(130)은, 주재료공급장치(110)의 하측을 주행하는 주재료주행로봇(131)과;
상기 주재료주행로봇(131)을 따라 이동하며 상하 승강하는 주재료수직이동로봇(132)과;
주재료수직이동로봇(132)에 구비되며 180도 회전되는 그리퍼(133) 및 그리퍼(133)에 그립핑되어 주재료공급장치(110)에서 주재료를 공급받아 해면수단(120)에서 주재료를 해면시킨 후 볶음솥(8)에 투입하는 주재료공급바구니(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평면에서 볼 때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한 한 쌍의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을 따라 이동하도록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과 직각으로 전후이동용 직교로봇(13)을 배치하고, 전후이동용 직교로봇(13)을 따라 이동하는 연결판(4)으로 연결된 지지체(3)를 마련하고, 지지체(3)에 축 지지되어 회전수단(6)으로 회전시키고, 연결판(4)에 결합되며 구동수단(9)으로 구동하는 볶음솥(8)을 구비한 볶음장치(1)와;
상기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의 중간 아래쪽으로 배치되어 볶음솥(8)을 가열하는 가열수단(10)과;
상기 볶음장치(1)의 일측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주재료를 공급하는 주재료공급선반(160)과;
상기 주재료공급선반(160)의 후방에 설치되어 주재료를 푸싱 인출하는 주재료인출수단(170)과;
상기 주재료공급선반(160)의 전방 하측에 설치된 해면수단(120)과;
상기 해면수단(120)의 후방에 설치되어 주재료공급선반(160)에서 공급되는 주재료를 공급받아 해면수단(120)에서 해면한 후 해면된 주재료를 볶음장치(1)의 볶음솥(8)에 공급하는 주재료공급로봇(130)과;
해면수단(1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주재료공급로봇(130)으로 투입되는 주재료가 담긴 주재료공급바구니(134)를 해면수단(120)에서 침지시켜 해면 후 해면된 주재료를 주재료 해면수단(120)에서 인출하는 기능성을 제공하는 바구니승강수단(180)과;
상기 볶음장치(1)의 타측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볶음솥(8)에 부재료를 공급하는 부재료공급장치(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주재료공급선반(160)의 후방에 설치되어 주재료를 푸싱 인출하는 주재료인출수단(170)은,
좌우 한 쌍의 인출용 수직직교로봇(171)과;
상기 인출용 수직직교로봇(171)에 의해 수직이동하는 인출용 수평직교로봇(172)과;
상기 인출용 수평직교로봇(172)에 결합되어 푸싱되는 푸싱수단(1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해면수단(120)의 후방에 설치된 주재료공급로봇(130)은,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주재료공급용 주행로봇(131)과;
상기 주재료공급용 주행로봇(131)을 따라 주재료공급선반(160)과 해면수단(120) 및 볶음장치(1) 위로 이동하며 승강 기능을 갖는 주재료 수직이동로봇(132)과;
상기 주재료 수직이동로봇(132)에 결합되어 180도 회전되는 그리퍼(133) 및 그리퍼(133)에 그립핑되어 주재료공급선반(160)에서 주재료를 공급받아 해면수단(120)에서 주재료를 해면시킨 후 볶음솥(8)에 투입하는 주재료공급바구니(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평면에서 볼 때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한 한 쌍의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을 따라 이동하도록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과 직각으로 전후이동용 직교로봇(13)을 배치하고, 전후이동용 직교로봇(13)을 따라 이동하는 연결판(4)으로 연결된 지지체(3)를 마련하고, 지지체(3)에 축 지지되어 회전수단(6)으로 회전시키고, 연결판(4)에 결합되며 구동수단(9)으로 구동하는 볶음솥(8)을 구비한 볶음장치(1)와;
상기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의 중간 아래쪽으로 배치되어 볶음솥(8)을 가열하는 가열수단(10)과;
상기 볶음장치(1)의 측방에 배치되는 해면수단(120)과;
상기 해면수단(120)의 후방에 설치되어 수작업으로 투입되는 주재료가 담긴 주재료공급바구니(134)를 해면수단(120)에서 침지시켜 해면 후 해면된 주재료를 주재료 해면수단(120)에서 인출하는 바구니승강수단(180)과;
상기 해면수단(120)의 상측에 배치되며, 수직다관절로봇(135)에 결합된 그리퍼(133)로 주재료공급바구니(134)를 그립핑하여 해면된 주재료를 볶음솥(8)에 투입하는 주재료공급로봇(130)과;
상기 볶음장치(1)의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볶음솥(8)에 부재료를 공급하는 부재료공급장치(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주재료공급로봇(130)은 수직다관절로봇(135)에 결합된 그리퍼(133) 및 그리퍼(133)에 그립핑되어 수작업으로 투입되는 주재료를 공급받아 해면수단(120)에서 주재료를 해면시킨 후 볶음솥(8)에 투입하는 주재료공급바구니(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주재료공급로봇(130)은 횡방향으로 설치된 주재료주행로봇(131)과;
상기 주재료주행로봇(131)을 따라 이동하는 다관절로봇(135)과;
상기 다관절로봇(135)에 결합된 그리퍼(133) 및 그리퍼(133)에 그립핑되어 주재료공급장치(110)에서 주재료를 공급받아 해면수단(120)에서 주재료를 해면시킨 후 볶음솥(8)에 투입하는 주재료공급바구니(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평면에서 볼 때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한 한 쌍의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을 따라 이동하도록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과 직각으로 전후이동용 직교로봇(13)을 배치하고, 전후이동용 직교로봇(13)을 따라 이동하는 연결판(4)으로 연결된 지지체(3)를 마련하고, 지지체(3)에 축 지지되어 회전수단(6)으로 회전시키고, 연결판(4)에 결합되며 구동수단(9)으로 구동하는 볶음솥(8)을 구비한 볶음장치(1)와;
상기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의 아래쪽으로 배치되어 볶음솥(8)을 가열하는 가열수단(10)과;
상기 볶음장치(1)의 일측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볶음솥(8)에 부재료를 공급하는 부재료공급장치(140)와;
상기 볶음장치(1)의 타측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볶음솥(8)에 소스를 공급하는 소스공급장치(190)와
상기 볶음장치(1)의 전방에 배치되어 완성된 볶음요리를 용기에 담아 배출하는 배출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평면에서 볼 때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한 한 쌍의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을 따라 이동하도록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과 직각으로 전후이동용 직교로봇(13)을 배치하고, 전후이동용 직교로봇(13)을 따라 이동하는 연결판(4)으로 연결된 지지체(3)를 마련하고, 지지체(3)에 축 지지되어 회전수단(6)으로 회전시키고, 연결판(4)에 결합되며 구동수단(9)으로 구동하는 볶음솥(8)을 구비한 볶음장치(1)와;
상기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의 아래쪽으로 배치되어 볶음솥(8)을 가열하는 가열수단(10)과;
상기 볶음장치(1)의 일측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볶음솥(8)에 부재료를 공급하는 부재료공급장치(140)와;
상기 볶음장치(1)의 타측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볶음솥(8)에 소스를 공급하는 소스공급장치(190)와;
상기 볶음장치(1)의 후방 또는 측방에 배치되어 주재료공급장치(110)에서 공급되는 주재료인 면류를 삶아 볶음솥(8)에 제공하는 해면수단(120)과;
상기 볶음장치(1)의 전방에 배치되어 완성된 볶음요리를 용기에 담아 배출하는 배출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19 또는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240)는, 용기(243)를 공급하는 용기공급수단(241)과;
완성된 볶음요리를 담아 배출하는 용기안치부(2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240)의 측방에는 용기제공용 로봇(250)을 배치하여 용기공급수단(241)에서 용기안치부(242)로 용기(243)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용기안치부(242)의 전방에는 서빙로봇(260)이 더 배치되며;
상기 용기제공용 로봇(250)은, 완성된 볶음요리가 담긴 용기(243)를 용기안치부(242)에서 서빙로봇(260)으로 배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9, 11, 13, 16, 19,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공급장치(140)는,
한 쌍의 인출용 레일(141)과;
상기 인출용 레일(141)을 따라 이동하는 설치판(142)과;
상기 설치판(142) 상측에 구비되며 하측으로 배출구멍(143-1)이 형성된 배출관(143)과;
상기 배출관(143)의 내부에 설치한 배출스크루(143-2)와;
상기 설치판(142)에 고정되어 배출스크루(143-2)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43-3)와;
상기 배출관(143)의 상측에 안치되며 개방된 하측을 임의로 차단하는 차단판(145-3)이 구비된 부재료공급통(145)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43)의 상측으로 세팅구멍(143-4)을 형성하고, 부재료공급통(145)의 하측으로 세팅구멍(143-4)이 끼워지는 세팅핀(145-1)을 형성하여 배출관(143)과 부재료공급통(145)을 분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공급통(145)은 구동모터(143-3)쪽 측벽에 투명커버(145-4)를 적용하여 내부의 잔량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43)에 형성한 배출구멍(143-1) 하측에는 부재료의 중량을 체크하는 계량수단(144)을 마련하여 부재료를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평면에서 볼 때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한 한 쌍의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을 따라 이동하도록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과 직각으로 전후이동용 직교로봇(13)을 배치하고, 전후이동용 직교로봇(13)을 따라 이동하는 연결판(4)으로 연결된 지지체(3)를 마련하고, 지지체(3)에 축 지지되어 회전수단(6)으로 회전시키고, 연결판(4)에 결합되며 구동수단(9)으로 구동하는 볶음솥(8)을 구비한 볶음장치(1)와;
상기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의 중간 아래쪽으로 배치되어 볶음솥(8)을 가열하는 가열수단(10)과;
상기 볶음장치(1)의 일측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주재료를 공급하는 선반형 주재료공급선반(160)와;
상기 주재료공급선반(160)의 전방 하측에 설치된 해면수단(120)과;
상기 해면수단(120)의 후방에 설치되어 주재료공급바구니(134)를 승강시키는 바구니승강수단(180)과;
상기 주재료공급선반(160)의 전방에 설치되어 주재료공급선반(160)에 안치된 주재료를 주재료공급바구니(134)에 투입하고, 주재료공급바구니(134)를 클램핑하여 해면된 주재료를 볶음장치(1)의 볶음솥(8)에 공급하는 주재료공급로봇(130)과;
상기 볶음장치(1)의 타측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볶음솥(8)에 부재료를 공급하는 부재료공급장치(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주재료공급선반(160)은,
다층구조로 제공되는 선반패널과;
상기 각 선반패널에 횡방향으로 안치되는 주재료가 내입되는 복수의 안치통(162)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주재료공급로봇(130)에 구비된 그리퍼(133)로 안치통(162)을 그립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승강수단(180)은,
해면수단(120)의 후방에 수직으로 배치된 승강엑추에이터(181)과;
상기 승강엑추에이터(181)에 결합되어 승강하며, 주재료공급바구니(134)를 걸어 고정하는 걸림부가 구비된 바구니거치대(18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평면에서 볼 때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한 한 쌍의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을 따라 이동하도록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과 직각으로 전후이동용 직교로봇(13)을 배치하고, 전후이동용 직교로봇(13)을 따라 이동하는 연결판(4)으로 연결된 지지체(3)를 마련하고, 지지체(3)에 축 지지되어 회전수단(6)으로 회전시키고, 연결판(4)에 결합되며 구동수단(9)으로 구동하는 볶음솥(8)을 구비한 볶음장치(1)와;
상기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의 중간 아래쪽으로 배치되어 볶음솥(8)을 가열하는 가열수단(10)과;
상기 볶음장치(1)의 일측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주재료를 공급하는 주재료공급선반(160)과;
상기 주재료공급선반(160)의 측방에 설치되어 주재료공급선반(160)에 안치된 주재료를 볶음장치(1)의 볶음솥(8)에 공급하는 선반회전로봇(200)과;
상기 볶음장치(1)의 타측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볶음솥(8)에 부재료를 공급하는 부재료공급장치(140)와;
상기 부재료공급장치(140)의 측방에 설치되어 소스를 공급하는 소스공급장치(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주재료공급선반(160)은,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축(163)과;
상기 지지축(163)에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되며, 전방 하측으로 배출공(164-1)을 형성한 지지판(164)과;
상기 지지판(164) 상측에 안치되며, 지지축(163)에 베어링지지되도록 축결합되어 회전하며, 방사형으로 복수의 주재료안치홈(165-1)을 형성한 회전판(165)과;
회전판(165)의 가장자리에 이웃하는 안치홈의 경계부분에 위치하도록 돌출되도록 결합한 복수의 구동핀(16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선반회전로봇(200)은,
상기 주재료공급선반(160)의 측방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회전용 수직직교로봇(201)과;
상기 회전용 수직직교로봇(201)에 직각으로 결합되어 승강하는 회전용 수평직교로봇(202)과;
상기 회전용 수평직교로봇(202)에 결합되어 수평이동할 때 주재료공급선반(160)의 회전판(165)에 결합한 구동핀(166)을 가압하여 회전판(165)을 회전시키는 가압구(2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공급장치(140)는,
수직으로 세워지며 회전구동수단(147)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체(146)와;
상기 구동체(146)에 방사형으로 결합되며, 부재료가 내입되는 복수의 부재료공급통(145)과;
상기 부재료공급통(145)의 하단에 구비되어 회전시 부재료를 일정량 배출하는 부재료배출수단(148)과;
상기 부재료배출수단(148)과 클러치로 연결되는 부재료배출모터(149)와;
상기 부재료배출모터(149)를 전후진시키는 부재료배출모터용 직교로봇(149-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평면에서 볼 때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한 한 쌍의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을 따라 이동하도록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과 직각으로 전후이동용 직교로봇(13)을 배치하고, 전후이동용 직교로봇(13)을 따라 이동하는 연결판(4)으로 연결된 지지체(3)를 마련하고, 지지체(3)에 축 지지되어 회전수단(6)으로 회전시키고, 연결판(4)에 결합되며 구동수단(9)으로 구동하는 볶음솥(8)을 구비한 볶음장치(1)와;
상기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의 중간 아래쪽으로 배치되어 볶음솥(8)을 가열하는 가열수단(10)과;
상기 볶음장치(1)의 측방에 배치되는 해면수단(120)과;
상기 해면수단(120)의 후방에 설치되어 주재료공급바구니(134)를 승강시키는 바구니승강수단(180)과;
상기 해면수단(120)의 후방에 설치한 제면기(220)와;
상기 해면수단(1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제면기(220)에서 제면된 주재료인 면을 바구니승강수단(180)에 분리 가능하도록 거치되는 주재료공급바구니(134)에 공급하고, 삶아진 면을 볶음솥(8)에 공급하는 주재료공급로봇(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해면수단(120)의 전방으로 수산물이나 육류와 같은 재료를 담아 주재료공급로봇으로 그립핑하여 볶음장치(1)의 볶음솥(8)에 공급하도록 한 제2부재료공급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9, 11, 13, 16, 19, 20, 28, 31, 3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한 한 쌍의 직교로봇(2) 또는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좌우이동용 직교로봇(12) 사이 하측에는 볶음솥(8)을 세척하는 세척수단(21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210)은,
세척조(211)와;
상기 세척조(211)의 바닥에 설치되어 볶음솥(8)의 내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213) 및 드레인관(214)과;
상기 세척조(211)의 상단에 결합되어 볶음솥(8)의 가장자리와 면접하는 접지링(2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210)은, 세척조(211)의 하측으로 세척조(211)를 상하 일정폭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212)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38에 있어서;
세척조(211)의 바닥에는 볶음솥(8)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찌꺼기를 걸러내는 걸름판(216)이 바닥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걸름판(216)에는 손잡이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삭제
- 삭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10)은 볶음솥(8)의 일부를 감싸는 호형으로 구성한 인덕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1, 13, 16, 19, 20, 28, 31, 3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볶음솥(8)은, 바닥이 막힌 원통형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11, 13, 16, 19, 20, 28, 31, 3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볶음솥(8)은, 바닥이 막힌 상태에서 전방 직경이 점차 넓어지는 가열부(8a)와;
가열부(8a)의 전방으로 원통형 걸림부(8b)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청구항 9, 11, 13, 16, 19, 20, 28, 31, 3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볶음솥(8)의 내부에는 1~4개의 교반편(8c)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3586A KR102571940B1 (ko) | 2022-11-01 | 2022-11-01 |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KR1020230016102A KR102571943B1 (ko) | 2022-11-01 | 2023-02-07 | 볶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3586A KR102571940B1 (ko) | 2022-11-01 | 2022-11-01 |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16102A Division KR102571943B1 (ko) | 2022-11-01 | 2023-02-07 | 볶음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1940B1 true KR102571940B1 (ko) | 2023-08-29 |
Family
ID=878021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3586A Active KR102571940B1 (ko) | 2022-11-01 | 2022-11-01 |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KR1020230016102A Active KR102571943B1 (ko) | 2022-11-01 | 2023-02-07 | 볶음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16102A Active KR102571943B1 (ko) | 2022-11-01 | 2023-02-07 | 볶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571940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1402B1 (ko) | 2014-08-27 | 2014-11-13 |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 볶음기 |
CN105361643A (zh) * | 2015-12-19 | 2016-03-02 | 海南大学 | 全自动烧菜系统及方法 |
KR20200000280A (ko) * | 2018-06-22 | 2020-01-02 | 홍석표 | 다용도 요리기 |
KR102082874B1 (ko) | 2018-10-12 | 2020-02-28 | 웰시 프랜차이즈 인코포레이티드 | 음식 조리기 |
KR102134384B1 (ko) * | 2020-02-13 | 2020-07-15 | 김대종 | 밥 제조장치 |
KR102386408B1 (ko) * | 2022-01-17 | 2022-04-14 | 주식회사 로보테크 | 탕류 요리 시스템 |
-
2022
- 2022-11-01 KR KR1020220143586A patent/KR102571940B1/ko active Active
-
2023
- 2023-02-07 KR KR1020230016102A patent/KR10257194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1402B1 (ko) | 2014-08-27 | 2014-11-13 |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 볶음기 |
CN105361643A (zh) * | 2015-12-19 | 2016-03-02 | 海南大学 | 全自动烧菜系统及方法 |
CN105361643B (zh) * | 2015-12-19 | 2017-05-17 | 海南大学 | 全自动烧菜系统及方法 |
KR20200000280A (ko) * | 2018-06-22 | 2020-01-02 | 홍석표 | 다용도 요리기 |
KR102082874B1 (ko) | 2018-10-12 | 2020-02-28 | 웰시 프랜차이즈 인코포레이티드 | 음식 조리기 |
KR102134384B1 (ko) * | 2020-02-13 | 2020-07-15 | 김대종 | 밥 제조장치 |
KR102386408B1 (ko) * | 2022-01-17 | 2022-04-14 | 주식회사 로보테크 | 탕류 요리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1943B1 (ko) | 2023-08-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388573B (zh) | 全自动智能多锅位烹饪方法 | |
KR102488735B1 (ko) | 미니 튀김조리장치 | |
KR102386408B1 (ko) | 탕류 요리 시스템 | |
JP6389745B2 (ja) | 撹拌装置及び炊飯システム | |
CN114365942A (zh) | 多级烹饪系统 | |
KR102624955B1 (ko) | 급식용 면 조리시스템 | |
KR102571940B1 (ko) | 볶음장치를 이용한 볶음요리 시스템 | |
JP4088968B2 (ja) | 連続式炊飯設備 | |
KR102448826B1 (ko) | 콤팩트형 튀김 조리장치 | |
CN108789446B (zh) | 一种自动做饭机器人 | |
JP2005052432A5 (ko) | ||
KR102624964B1 (ko) | 흄 제거 회전국솥 | |
JP7139716B2 (ja) | 自動炊飯装置 | |
JP2021069648A (ja) | 自動炊飯装置 | |
EP4082412B1 (en) | Automated cooking system and methods of managing basket workflow for food preparation | |
JP6302662B2 (ja) | 攪拌装置 | |
CA2322680A1 (en) | Process and correspon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ready-cooked and semi-cooked dishes | |
US11896045B2 (en) | Automated food coating system | |
US11678769B2 (en) | Automated cooking system and methods of managing basket workflow for food preparation | |
CN215127175U (zh) | 一种全自动炒菜机 | |
CN114343422A (zh) | 烹饪机构和系统 | |
JP2003047558A (ja) | 釜内攪拌装置 | |
CN213664639U (zh) | 执行装置和无人售卖设备 | |
CN218978677U (zh) | 全自动油炸装置 | |
TW202100082A (zh) | 自動烹飪設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1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20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