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538B1 -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 Google Patents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538B1
KR102571538B1 KR1020230029036A KR20230029036A KR102571538B1 KR 102571538 B1 KR102571538 B1 KR 102571538B1 KR 1020230029036 A KR1020230029036 A KR 1020230029036A KR 20230029036 A KR20230029036 A KR 20230029036A KR 102571538 B1 KR102571538 B1 KR 102571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aterial
unit
cutting
window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9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철
Original Assignee
정윤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철 filed Critical 정윤철
Priority to KR1020230029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26D1/0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형상, 사이즈를 가지는 창호 보강재를 커팅하기 위해 그에 맞는 지그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종류의 창호 보강재를 하나의 장치 내에서 정확하고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Sash Reinforcement Frame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형상, 사이즈를 가지는 창호 보강재를 커팅하기 위해 그에 맞는 지그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종류의 창호 보강재를 하나의 장치 내에서 정확하고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창호란 건물 벽면 등에 설치된 창틀과, 상기 창틀에 설치된 창짝을 통칭하는 용어로, 실내와 실외 간의 열 전달을 차단하고, 실외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기능을 한다.
창호는 사용 재료에 따라 목재 창호, 금속재 창호, PVC와 같은 합성수지재 창호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개폐 방식에 따라서는 슬라이딩 창호, 여닫이 창호 등으로 나뉜다.
과거에는 창호의 재료로 목재와 알루미늄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목재 창호는 가공이 어려워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없고 원자재의 소모가 많아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으며, 알루미늄재 창호는 알루미늄 표면에 녹이 쉽게 발생 되고 오래된 창호에서 불쾌한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 등이 있어, 근래에는 PVC 등을 사용한 합성수지재 창호의 제작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합성수지재 창호는 PVC 수지 등을 통해 창호 본체인 프로파일을 형성하는데, 창호 프로파일은 사출 또는 압출 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바, 원자재의 소모가 적어 경제적이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습기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한 녹 발생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PVC 프로파일은 물성 면에서 강도가 약한 문제가 있었으므로, 합성수지재 창호 프로파일의 내부에 금속 보강재를 삽입하여 창호의 강도를 높이고 내풍압 성능 등을 향상시켰다.
도 1은 종래의 창호(90)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2869호(2016.06.03.)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종래의 창호(90)는 프로파일(91)과, 프로파일(91) 내부에 삽입되는 보강재(9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강재(93)는 프로파일(91)의 내구성을 높여 휘어짐이나 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단열성을 높여주는 기능을 한다.
도 1의 보강재(93)는 상기 프로파일(91)의 보강재 삽입홈(911)에 삽입되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심부(931)와 날개부(933)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933)에는 상기 보강재(93)의 강도를 보다 높여주기 위해 리브(9331)가 형성된 특징이 있다.
이러한 상기 보강재(93)는 상기 보강재 삽입홈(911)의 형상, 길이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 사이즈로 구성될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는 창호(90) 제작에 사용되는 길이 이상으로 제작된 장바(Long Bar)를 원하는 사이즈에 맞게 절단하는 과정에서 장바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그가 장바의 단면 형상, 사이즈별로 각각 구성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단면 형상, 사이즈 등에 따라 보강재를 구분할 경우, 그 종류는 무수히 많아지게 되는데, 종래의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에 의하면, 커팅하고자 하는 보강재에 따라 각기 다른 지그를 구비해야 했으므로, 장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었어 작업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관련 업계에서는 다양한 형상, 사이즈를 가지는 창호 보강재라도, 각각 다른 지그를 구비할 필요없이, 하나의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에서 용이하게 커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2869호(2016.06.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 보강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하나의 커팅 장치 내에서 다양한 형상, 사이즈를 가지는 창호 보강재를 정확하고 균일하게 커팅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형상, 사이즈를 가지는 창호 보강재를 커팅하기 위해 그에 맞는 지그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종류의 창호 보강재를 하나의 장치 내에서 커팅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강재 안치부가 서프트부에 대해 경사질 수 있도록 하는 리프트부를 구성해, 보강재를 이송할 때에는 보강재의 이송이 원활해지도록 리프트부로 보강재 안치부의 타측을 들어올리고, 보강재를 이송하지 않을 때에는 들어 올려진 보강재 안치부의 타측을 원래의 수평한 레벨 상태로 복귀시키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의 정보에 따라 보강재 추진부가 보강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하여, 블레이드부 앞쪽으로 보강재가 돌출되는 정도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들림 방지부를 구성해,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가압해 보강재의 들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를 이송시키는 추진 롤러부 사이의 간격이 변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형상, 크기의 보강재를 하나의 장치 내에서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크부가 상승하면 추진 롤러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고, 포크부가 하강하면 추진 롤러부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보강재의 사이즈, 형상 등에 알맞게 추진 롤러부 사이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송기로부터 이송된 보강재의 양측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성해, 커팅시 보강재가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금형이 서로 어긋나면서 커팅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블레이드부가 수직으로 하강해 누르는 방식에 의해 커팅이 이루어짐으로써, 보강재의 절단면이 평활해지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력 전달부에 의한 고정부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여, 이송된 보강재의 종류에 따라 고정부가 알맞게 슬라이딩 이동하여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의 양측면에 밀착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부에 슬라이딩 슬릿부를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딩 슬릿부 상에 베이스부의 고정 레일부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부가 정위치를 이탈하는 것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부상에 블레이드부의 단부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블레이드 수용부를 구성해, 블레이드부의 하강에 의한 누름 방식으로 보강재의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부 상에 절단 슬릿부를 구성해, 블레이드부의 승하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딩부가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의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 등을 인식하면 장치가 절단 길이에 맞게 자동으로 가동되어 보강재 커팅을 수행하고, 수행 정보는 저장부에 기록되어 관리되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를 이송하는 이송기와, 상기 이송기를 통해 공급되는 보강재의 종류에 상관없이 상기 보강재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이송기는, 상기 보강재를 이송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보강재 안치부와, 상기 보강재 안치부를 지지하는 서포트부와, 상기 서포트부에 대해 상기 보강재 안치부의 경사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재 안치부와 상기 서포트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보강재 안치부의 일측을 상기 서포트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피벗 연결부와, 상기 보강재 안치부의 타측을 상기 서포트부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승하강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승하강 연결부는, 상기 서포트부에 대한 상기 보강재 안치부의 레벨을 결정하는 레벨 결정부와, 상기 보강재를 이송할 때에는 상기 보강재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상기 레벨 결정부에 의해 레벨이 결정된 상기 보강재 안치부의 타측을 들어올리고, 상기 보강재를 이송하지 않을 때에는 들어 올려진 상기 보강재 안치부의 타측을 원래의 레벨 상태로 복귀시키는 리프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이송기는, 상기 보강재 안치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재 안치부 상에 안치된 상기 보강재를 상기 커팅기 측으로 추진시키는 보강재 추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보강재 추진부는, 보강재의 이송축을 중심으로 양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보강재와 접촉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보강재를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이드부와,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안내를 받으며 이동하는 보강재의 들림이 방지되도록 상기 보강재를 가압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부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재가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을 벗어나지 않도록 가이드하면서 접촉된 보강재를 회전력에 의해 이동시키는 추진 롤러부와, 상기 추진 롤러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 양측에 나란히 배치된 추진 롤러부 사이의 간격이 변화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분리 이격된 한 쌍의 플레이트부와, 분리 이격된 상기 플레이트부를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에 대해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딩부는, 분리 이격된 상기 플레이트부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플레이트 지지부와,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에 대해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를 양측 방향으로 미는 탄성 가압부와,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승시에는 상기 탄성 가압부의 탄성력에 의해 분리 이격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가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 측으로 모이도록 하고 하강시에는 상기 탄성 가압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가 분리 이격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진 포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크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샤프트부와,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샤프트부로부터 갈라져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집게부와, 상기 집게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의 경사면과 접촉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지지부가 형성하는 경사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포크부를 수용하는 수용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포크부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상에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부와, 일측은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 레일부 상에 안치되어 상기 포크부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부 위를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들림 방지부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재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롤러부와, 상기 가압 롤러부와 결합되며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높이 조절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커팅기는, 보강재의 이송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이송기로부터 이송된 보강재의 양측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에 파지된 상기 보강재를 커팅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보강재와 접촉하여 이송된 보강재의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보강재 이송축에 수직한 좌우측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를 밀거나 당겨 상기 고정부를 슬라이딩시키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는, 고정부의 슬라이딩이 가이드 되도록 상기 보강재 이송축에 수직한 좌우측 방향으로 함입된 슬라이딩 슬릿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슬라이딩 슬릿부에 삽입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에 의한 상기 고정부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고정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절단부는, 상기 보강재를 커팅하는 블레이드부와, 상기 블레이드부를 승하강시키는 블레이드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보강재의 커팅을 위해 상기 블레이드 승하강부에 의해 승하강하는 상기 블레이드부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부와 맞물리는 블레이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블레이드부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에 수직한 상하측 방향으로 함입된 절단 슬릿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는, 상기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를 특정하고, 특정된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에 따라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의 정보를 스캔하는 리딩부와, 상기 리딩부에 연결되어 상기 리딩부에 의해 특정된 보강재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절단 슬릿부로부터 보강재의 추진 정도를 제어하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에 연결되어 장치의 동작 이력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창호 보강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하나의 커팅 장치 내에서 다양한 형상, 사이즈를 가지는 창호 보강재를 정확하고 균일하게 커팅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형상, 사이즈를 가지는 창호 보강재를 커팅하기 위해 그에 맞는 지그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종류의 창호 보강재를 하나의 장치 내에서 커팅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보강재 안치부가 서프트부에 대해 경사질 수 있도록 하는 리프트부를 구성해, 보강재를 이송할 때에는 보강재의 이송이 원활해지도록 리프트부로 보강재 안치부의 타측을 들어올리고, 보강재를 이송하지 않을 때에는 들어 올려진 보강재 안치부의 타측을 원래의 수평한 레벨 상태로 복귀시키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의 정보에 따라 보강재 추진부가 보강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하여, 블레이드부 앞쪽으로 보강재가 돌출되는 정도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들림 방지부를 구성해,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가압해 보강재의 들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를 이송시키는 추진 롤러부 사이의 간격이 변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형상, 크기의 보강재를 하나의 장치 내에서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포크부가 상승하면 추진 롤러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고, 포크부가 하강하면 추진 롤러부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보강재의 사이즈, 형상 등에 알맞게 추진 롤러부 사이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이송기로부터 이송된 보강재의 양측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성해, 커팅시 보강재가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금형이 서로 어긋나면서 커팅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블레이드부가 수직으로 하강해 누르는 방식에 의해 커팅이 이루어짐으로써, 보강재의 절단면이 평활해지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동력 전달부에 의한 고정부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여, 이송된 보강재의 종류에 따라 고정부가 알맞게 슬라이딩 이동하여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의 양측면에 밀착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고정부에 슬라이딩 슬릿부를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딩 슬릿부 상에 베이스부의 고정 레일부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부가 정위치를 이탈하는 것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상에 블레이드부의 단부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블레이드 수용부를 구성해, 블레이드부의 하강에 의한 누름 방식으로 보강재의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정부 상에 절단 슬릿부를 구성해, 블레이드부의 승하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리딩부가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의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 등을 인식하면 장치가 절단 길이에 맞게 자동으로 가동되어 보강재 커팅을 수행하고, 수행 정보는 저장부에 기록되어 관리되도록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종래의 창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이송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연결부에 의해 결합된 보강재 안치부와 서포트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가이드 롤러부와 플레이트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슬라이딩부와 들림 방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포크부의 하강시 플레이트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포크부의 상승시 플레이트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커팅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다른 시점에서 커팅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본 발명인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1)는 서로 다른 형상, 사이즈를 가지는 창호 보강재를 커팅하기 위해 그에 맞는 지그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종류의 창호 보강재를 하나의 장치 내에서 정확하고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1)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1)는, 이송기(10) 및 커팅기(3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기(10)는,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를 이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후술할 커팅기(30)는 상기 이송기(10)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바, 창호 보강재 커팅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상기 이송기(10)와 커팅기(30)를 인접하게 배치시키고,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상기 이송기(10)와 커팅기(3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도 3은 상기 이송기(10)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이송기(10)는, 보강재 안치부(11), 서포트부(12), 연결부(13), 보강재 추진부(14)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재 안치부(11)는, 상기 창호 보강재를 이송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서포트부(12)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는 긴 장바(Long Bar)의 형태로 구성되어 본 발명의 커팅 장치(1)에 의해 사용에 맞는 길이로 절단되는 것인바, 이러한 긴 장바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재 안치부(11)는 상기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보강재 안치부(11)는, 안치 몸체부(111)와 안치 롤러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안치 몸체부(111)는, 장바 형태의 상기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를 지지하는 기초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안치 몸체부(111) 상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안치 롤러부(112)는 이러한 가이드 홈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안치 몸체부(111) 상에서 그 위치가 조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치 롤러부(112)는, 상기 안치 몸체부(111) 상에서 위치하여, 상기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에 직접 접촉해 이를 지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치 롤러부(112)는 상기 안치 몸체부(111) 상에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안치 롤러부(112)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치 롤러부(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의 이송방향에 나란한 보강재 이송축에 수직한 제1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제1회전부(1121)와, 상기 보강재 이송축 및 상기 제1회전축에 수직한 제2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제2회전부(11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11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전부(1122) 측 부분이 축경되어 단턱을 형성하는바, 반경이 축경된 부분 상에 상기 창호 보강재가 안치되고, 이 부분에 창호 보강재가 안치되면, 창호 보강재의 일측면은 상기 단턱에 의해 지지되고, 창호 보강재의 타측면은 상기 제2회전부(1122)에 의해 지지되는바, 상기 안치 롤러부(112) 상에 안치된 창호 보강재의 정위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부(12)는, 상기 보강재 안치부(1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재 안치부(11)의 하측에 형성된 지지 프레임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부(12)는 그 하측 바닥에 이동수단이 형성되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그 하측 바닥에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커팅 작업 중에는 움직이지 않게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13)는, 상기 서포트부(12)에 대해 상기 보강재 안치부(11)의 경사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재 안치부(11)와 상기 서포트부(12)를 연결하는 구성을 말한다. 평상시에는 상기 보강재 안치부(11)는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되지만, 상기 보강재 안치부(11) 위에 안치된 보강재를 이송하는 경우 금형 등과의 마찰에 의해 이송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연결부(13)는 보강재를 이송할 때에 상기 서포트부(12)의 타측을 약간 경사지게 들어주고, 보강재를 이송하지 않을 때에는 들어올려진 타측을 내려 상기 서포트부(12)가 다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타측은 상기 커팅기(30)와 인접한 측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연결부(13)에 의해 결합된 보강재 안치부(11)와 서포트부(12)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연결부(13)는, 피벗 연결부(131) 및 승하강 연결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피벗 연결부(131)는, 상기 보강재 안치부(11)의 일측을 상기 서포트부(12)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구성으로, 상기 일측은 커팅기(30)와 인접한 측의 반대측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보강재 안치부(11)는 상기 피벗 연결부(13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후술할 승하강 연결부(132)가 상승하면, 수평 상태에 있던 상기 보강재 안치부(11)는 경사진 상태가 되고, 승하강 연결부(132)가 하강하면, 상기 보강재 안치부(11)는 다시 수평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상기 승하강 연결부(132)는, 상기 보강재 안치부(11)의 타측을 상기 서포트부(12)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구성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타측은 후술할 커팅기(30) 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승하강 연결부(132)는 상기 보강재 안치부(11)의 타측을 상측 방향으로 들어올리거나, 하측 방향으로 내릴 수 있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피벗 연결부(131)에 의해 상기 보강재 안치부(11)의 일측은 그 위치가 고정되지만, 상기 승하강 연결부(132)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보강재 안치부(11)의 경사각은 달라지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승하강 연결부(132)는, 레벨 결정부(1321) 및 리프트부(1322)를 포함한다.
상기 레벨 결정부(1321)는, 상기 서포트부(12)에 대한 상기 보강재 안치부(11)의 레벨을 결정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레벨이란, 상기 보강재 안치부(11)의 기울어진 정도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재 안치부(11)는 수평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벨 결정부(13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장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너트는 상기 보강재 안치부(11)에 고정이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장볼트가 상기 너트에 체결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장볼트의 회전 방향 및 정도에 따라 상기 보강재 안치부(11)의 타측은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어, 작업자는 현장 상황에 맞게 상기 장볼트를 돌려 보강재 안치부(11)가 수평해 지도록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프트부(1322)는, 상기 보강재를 이송할 때에는 상기 보강재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상기 레벨 결정부(1321)에 의해 레벨이 결정된 상기 보강재 안치부(11)의 타측을 들어올리고, 상기 보강재를 이송하지 않을 때에는 들어 올려진 상기 보강재 안치부(11)의 타측을 원래의 레벨 상태로 복귀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부(1322)는 유압 실리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부(1322)가 상기 보강재 안치부(11)를 들어올렸을 때, 상기 레벨 결정부(1321)의 장볼트 하단은 상기 서포트부(12)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상기 리프트부(1322)가 들어올려진 상기 보강재 안치부(11)를 내려놓게 되면, 상기 레벨 결정부(1321)의 장볼트 하단은 상기 서포트부(12)에 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 추진부(14)는, 상기 보강재 안치부(11)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재 안치부(11) 상에 안치된 상기 보강재를 커팅기(30) 측으로 추진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부는 상기 보강재 안치부(11) 중 커팅기(30) 측에 위치한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보강재 추진부(14)에서 발생한 동력에 의해 상기 창호 보강재는 커팅기(30) 측으로 이송되며, 이 과정에서 전출한 안치 롤러부(112)가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보강재 추진부(14)는, 가이드부(141) 및 들림 방지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14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의 이송축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보강재와 접촉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보강재를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이처럼 상기 가이드부(141)는 보강재의 이송축을 중심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바, 보강재의 사이즈, 형상 등의 상관없이 보강재의 안정적 파지 및 추진이 가능해지게 되면서, 커팅 대상 보강재를 흔들리지 않게 잡기 위한 별도의 지그를 보강재 종류에 맞게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가이드부(141)는, 가이드 롤러부(1411), 플레이트부(1412) 및 슬라이딩부(1413)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롤러부(1411)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커팅 대상 보강재를 이송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롤러부(1411)의 회전축은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에 수직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빠르고 정확하며 안정적인 이송을 위해 상기 가이드 롤러부(1411)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가이드 롤러부(1411)는, 추진 롤러부(14111), 지지 롤러부(14112)를 포함한다.
상기 추진 롤러부(14111)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재가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을 벗어나지 않도록 가이드하면서 접촉된 보강재를 회전력에 의해 이동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진 롤러부(14111)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제공받은 동력에 의해 상기 보강재를 이송시키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추진 롤러부(141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추진 롤러부(14111)가 보강재의 이송축 양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이송축에 나란하게 일렬로 배치되어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추진 롤러부(14111)의 하측에는 모터 등이 연결될 수 있고, 모터에 직결된 추진 롤러부(14111)에 다른 추진 롤러부(14111)가 벨트 등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보강재 이송축 양측 중 일측에 놓인 추진 롤러부(14111)들만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 롤러부(14112)는, 상기 추진 롤러부(14111)의 회전축과 수직한 회전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구성으로, 상기 추진 롤러부(14111)가 회전력에 의해 상기 보강재의 측면을 추진시키는 것이었다면, 상기 지지 롤러부(14112)는 상기 보강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커팅 대상 보강재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상기 지지 롤러부(141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따라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강재의 이송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지지롤러부(14112)는 대칭이 아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어긋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1412)는, 상기 추진 롤러부(14111)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 양측에 나란히 배치된 추진 롤러부(14111) 사이의 간격이 도 5에 도시된 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분리 이격된 구성으로, 한 쌍이 대칭이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추진 롤러부(14111)는 이러한 상기 플레이트부(1412) 사이의 간격 조정에 의해, 추진 롤러부(14111) 사이의 간격이 조정된다. 상기 플레이트부(1412)의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부(1412) 사이의 간격이 변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형상, 크기의 보강재를 하나의 장치 내에서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부(1413)는, 분리 이격된 상기 플레이트부(1412)를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에 대해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즉, 상기 플레이트부(1412)는 상기 슬라이딩부(1413)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슬라이딩부(1413)는, 플레이트 지지부(14131), 탄성 가압부(14132), 포크부(14133), 바디부(14134), 가이드 레일부(14135) 및 이동부(14136)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131)는, 분리 이격된 상기 플레이트부(1412) 하측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부(1412)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131)는 경사면(141311)이 형성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141311)은 도 7과 같이 보강재의 이송축을 중심으로 바깥쪽 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봄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부(1412)는 두 개가 쌍을 이루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131) 역시 두 개가 쌍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 가압부(14132)는,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131)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에 대해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131)를 양측 방향으로 미는 구성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131)는 상기 탄성 가압부(14132)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방향으로 밀리는 힘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고, 결국,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131)에 연결된 플레이트부(1412)는 상기 탄성 가압부(14132)에 의해 벌어지게 된다. 후술할 포크부(14133)는 상승시 이러한 탄성 가압부(14132)에 의한 복원력을 극복하면서, 벌어지려는 플레이트부(1412)를 오므리는 구성으로 볼 수 있으며, 포크부(14133)가 하강하면 상기 탄성 가압부(14132)에 의해 플레이트부(1412) 사이의 간격은 다시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포크부(14133)는,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도 8과 같이 상승시에는 상기 탄성 가압부(14132)의 탄성력에 의해 분리 이격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131)가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 측으로 모이도록 하고, 도 7과 같이 하강시에는 상기 탄성 가압부(1413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131)가 분리 이격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진 구성을 말한다. 본 발명은 상기 포크부(14133)를 구성해, 상기 가이드 롤러부(1411) 사이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하므로, 보강재의 종류에 상관없이 다양한 사이즈, 형상을 가진 보강재들은 하나의 장치 내에서 절단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포크부(14133)는, 샤프트부(141331), 집게부(141332), 회전부(141333) 및 체결부(141334)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부(14133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으로, 그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긴 사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부(141331)의 하측 단부에는 유압 실린더 등과 같은 승하강 수단이 결합되는바, 상기 승하강 수단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141331)가 승하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집게부(141332)는,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131)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샤프트부(141331)로부터 갈라져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지지부(14131)가 형성하는 경사면(141311)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포크부(14133)가 도 7과 같이 하강하면 상기 수용공간 중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상측 부분에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131)가 위치하게 되는바, 상기 플레이트부(1412)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고, 도 8과 같이 상기 포크부(14133)가 상승하면 상기 수용공간 중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하측 부분에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131)가 위치하게 되는바, 상기 플레이트부(1412)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게 된다.
상기 회전부(141333)는, 상기 집게부(141332)의 각각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131)의 경사면(141311)과 접촉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회전부(141333)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집게부(141332)의 단부는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131)의 경사면(141311)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부(141334)는, 상기 포크부(14133) 중 상기 샤프트부(141331)에 결합되어, 상기 포크부(14133)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구성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부(141331)의 하측부에 승하강 수단이 결합 되더라도, 상기 포크부(14133)의 안정적인 승하강을 위해서는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수단이 필요하므로, 상기 포크부(14133)에는 상기 샤프트부(141331)에 상기 체결부(141334)가 구성되고, 이러한 상기 체결부(141334)는 후술할 바디부(14134)의 바디 레일부(141342) 상에서 슬라이딩 함으로써 상기 포크부(14133)의 승하강을 가이드 한다.
상기 바디부(14134)는, 상기 포크부(14133)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바디부(14134)의 상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4135)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바디부(14134)의 하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크부(14133)를 승하강시키는 유압 실린더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4134)는 후술할 가이드 레일부(14135)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바디부(14134)는, 수용홀(141341) 및 바디 레일부(141342)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홀(141341)은, 상기 포크부(14133)를 수용하는 구멍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포크부(14133)는 상기 플레이트부(1412)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기 위해 승하강 되므로, 이러한 상기 포크부(14133)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바디부(14134) 상에는 상기 바디부(14134)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수용홀(141341)이 형성된다.
상기 바디 레일부(141342)는, 상기 체결부(141334)와 결합되어 상기 체결부(141334)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바디 레일부(14134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413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상기 바디부(14134)로부터 상기 체결부(141334)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부(14135)는, 상기 바디부(14134) 상에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131)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구성을 말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의 이송축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쌍을 이루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부(14135)의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가이드 레일부(14135) 위에 안치되는 이동부(14136)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413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131)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 레일부(14135) 상에 안치되어 상기 포크부(14133)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부(14135) 위를 이동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크부(14133)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 이동부(14136)는 상기 가이드 레일부(14135)를 따라 보강재의 이송축에서 바깥쪽 양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크부(14133)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 이동부(14136)는 상기 가이드 레일부(14135)를 따라 보강재의 이송축을 향해 안쪽으로 모이게 된다.
상기 들림 방지부(142)는,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141)의 안내를 받으며 이동하는 보강재의 들림이 방지되도록 상기 보강재를 가압하는 구성을 말한다. 본 발명은 상기 들림 방지부(142)를 구성해,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커팅 대상 보강재를 가압하는바, 커팅을 위해 강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커팅 대상 보강재가 움직이지 않게 되며, 승하강이 가능하여, 다양한 사이즈, 형상을 가지는 보강재를 하나의 장치로 커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들림 방지부(142)는, 가압 롤러부(1421), 높이 조절부(1422) 및 프레임부(1423)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 롤러부(1421)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재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가압 롤러부(1421)에 의해 보강재의 들림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 상기 추진 롤러부(14111)의 회전에 의해 보강재를 이송시킬 때 가압 롤러부(1421)가 회전하게 되는바, 창호 보강재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결국, 커팅 대상 보강재의 측면은 상기 추진 롤러부(14111)에 접촉함으로써 좌우 이동이 제한되고, 커팅 대상 보강재의 하측은 상기 지지 롤러부(14112)에 접촉하고 커팅 대상 보강재의 상측은 상기 가압 롤러부(1421)에 접촉함으로써 상하 이동도 제한이 된다.
상기 높이 조절부(1422)는, 상기 가압 롤러부(1421)와 결합되며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유압 실린더에 포함된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의해 상기 가압 롤러부(1421)를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높이 조절부(14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프레임부(1423)의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423)는, 상기 높이 조절부(1422)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부(1412)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423)에는 보강재의 이송축을 따라 전측에서 후측 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구멍을 통해 커팅 대상 보강재가 보강재 이송축을 따라 간섭 없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팅기(30)는, 상기 이송기(10)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보강재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구성을 말한다.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의 정보에 따라 상기 보강재 추진부(14)가 보강재를 이동시키게 되고, 이동된 보강재를 상기 커팅기(30)가 커팅을 하면, 다시 상기 보강재 추진부(14)가 보강재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커팅기(30)에 의한 커팅이 반복해서 수행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커팅기(30)는, 파지부(31), 베이스부(32) 및 절단부(33)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부(31)는, 보강재의 이송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이송기(10)로부터 이송된 보강재의 양측을 파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파지부(31)를 통해 커팅시 보강재가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지부(31)가 커팅 대상 보강재를 너무 강하게 파지할 경우에는 보강재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보강재가 움직이지 않을 정도만 파지 되면 더 이상의 슬라이딩 움직임이 없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파지부(31)는, 고정부(311) 및 동력 전달부(31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311)는, 상기 보강재와 접촉하여 이송된 보강재의 양측을 고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두 개가 쌍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11)는 후술할 동력 전달부(312)에 의해 사전에 결정된 범위 내에서 그 위치가 변화할 수 있으며, 동력 전달부(312)에 걸리는 유압 등에 의해 특정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고정부(311) 각각이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실시예를 본 발명에서 제외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고정부(311)는 서로 동기화되어 일측에 위치한 고정부(311)가 보강재의 이송축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움직이면 타측에 위치한 고정부(311)도 보강재의 이송축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움직이고, 일측에 위치한 고정부(311)가 보강재의 이송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움직이면 타측에 위치한 고정부(311)도 보강재의 이송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311)는, 슬라이딩 슬릿부(3111) 및 절단 슬릿부(3112)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슬릿부(3111)는, 고정부(311)의 슬라이딩이 가이드 되도록 상기 보강재 이송축에 수직한 좌우측 방향으로 함입된 홈을 말한다. 상기 슬라이딩 슬릿부(3111)에는 후술할 고정 레일부(321)가 삽입되는바, 사전에 계획된 방향과 범위 내에서 상기 고정부(311)의 슬라이딩이 정확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 슬릿부(3111)는 고정부(311)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 슬릿부(3112)는, 후술할 블레이드부(33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에 수직한 상하측 방향으로 함입된 구성을 말한다. 종래에는 금형이 서로 어긋나면서 커팅이 이루어졌는데, 본 발명은 블레이드부(331)가 수직으로 하강해 누르는 방식에 의해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강재의 절단면이 평활해지도록 하는 것인바, 이러한 블레이드부(331)의 수직 승하강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311)에 상기 절단 슬릿부(3112)가 구성된다.
상기 동력 전달부(312)는, 상기 보강재 이송축에 수직한 좌우측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311)를 밀거나 당겨 상기 고정부(311)를 슬라이딩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동력 전달부(312)에 의해 이송된 보강재의 종류에 따라 상기 고정부(311)의 위치가 알맞게 슬라이딩 되어 조정되는바,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의 사이즈, 형상이 상이하더라도, 상기 고정부(311)는 창호 보강재의 양측면에 항상 밀착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상기 동력 전달부(312)는 유압 실린더가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2)는, 상기 파지부(31)를 지지하도록 상기 파지부(31)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커팅기(30)의 기초를 형성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커팅기(30)의 이동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32)의 하단에는 이동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베이스부(32)는, 고정 레일부(321) 및 블레이드 수용부(32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레일부(321)는, 상기 슬라이딩 슬릿부(3111)에 삽입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312)에 의한 상기 고정부(311)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311)의 슬라이딩 방향은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에 수직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레일부(321)의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322)는, 상기 보강재의 커팅을 위해 블레이드 승하강부(332)에 의해 승하강하는 상기 블레이드부(331)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부(331)와 맞물리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322)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부(331)는 하강에 의한 누름 방식으로 보강재의 커팅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금형이 서로 어긋나면서 커팅을 하는 것이 아니라, 블레이드부(331)의 하강에 의한 수직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커팅을 수행하므로, 보다 정교한 커팅이 가능해 진다.
상기 절단부(33)는, 상기 베이스부(32)로부터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31)에 파지된 상기 보강재를 커팅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절단부(33)는 상기 베이스부(3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절단부(33)는, 블레이드부(331) 및 블레이드 승하강부(332)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부(331)는, 상기 보강재를 커팅하는 구성으로,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질적으로 보강재를 커팅하는 커팅 부분과, 상기 커팅 부분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할 블레이드 승하강부(332)에 의해 승하강하는 블레이드부(331)의 안정적 가이드를 도모하기 위해, 상기 블레이드부(331) 중 상기 커팅 부분의 일부는 상기 고정부(311)의 절단 슬릿부(3112)에 삽입되어 가이드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부분은 후술할 고정부(311)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승하강부(332)는, 상기 블레이드부(331)를 승하강시키는 구성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부(331)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32) 상에 결합되어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승하가부(332)의 승하강 방식에 대해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1)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1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어부(50)가 추가된 차이가 있는바, 이하에서는 추가된 제어부(5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를 특정하고, 특정된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에 따라 장비를 제어하는 구성을 말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이즈가 다른 다양한 종류의 창호 보강재를 하나의 장치에서 커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커팅 대상 보강재가 무엇이며, 어떻게 자를 것인지 등에 관한 확인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50)를 구성해, 서로 다른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 및 원하는 커팅 길이를 정확히 특정해 작업자의 니즈에 맞는 정확한 커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제어부(50)는, 리딩부(51), 가동부(52) 및 저장부(53)를 포함한다.
상기 리딩부(51)는, 상기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의 정보를 스캔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에는 바코드 등과 같은 인식수단이 존재하며, 상기 인식수단을 통해 작업자는 커팅 대상 보강재의 사이즈 정보, 절단 사이즈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딩부(51)는 이러한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리더기 등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딩부(51)는 상기 창호 보강재가 커팅되는 커팅기(30)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동부(52)는, 상기 리딩부(51)에 연결되어 상기 리딩부(51)에 의해 특정된 보강재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절단 슬릿부(3112)로부터 보강재의 추진 정도를 제어하는 구성을 말한다. 작업자가 커팅 대상 보강재의 인식수단을 통해 보강재 정보를 읽고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상기 커팅 대상 보강재가 절단해야 하는 길이만큼 상기 블레이드부(331) 앞으로 튀어나오도록 이송되고, 상기 커팅기(30)에 있는 블레이드부(331)의 수직 하강에 의해 정확한 커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커팅 과정에 센서를 두어 상기 블레이드부(331) 앞으로 보강재의 돌출된 정도가 절단되어야 하는 길이만큼 정확하게 되었는지 감지할 수도 있으며, 상기 추진 롤러부(14111)의 회전 정도에 따른 보강재의 이동 거리를 계산해 상기 추진 롤러부(14111)의 정확한 회전을 통해 블레이드부(331) 앞으로 보강재의 돌출되는 정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53)는, 상기 가동부(52)에 연결되어 장치의 동작 이력을 저장하는 구성을 말한다. 작업자는 상기 저장부(53)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장치의 작업 이력을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저장된 정보들을 통해, 보강재 종류별 파지, 이송 및 커팅 등이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딩부(1413)를 통한 상기 플레이트부(1412)의 이동이 적절치 못한 경우에는 커팅 대상 보강재가 안정적으로 파지되지 않거나, 과도한 파지에 의해 커팅 대상 보강재가 찌그러지는 등의 손상을 입을 수 있는데, 상기 저장부(53)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보강재 종류에 따른 장치의 정확한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1)는, 상기 이송기(10)와 상기 커팅기(30)가 분리 구성되어, 사용이 필요할 때 이들을 인접하게 배치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분리시킬 수 있는바,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장치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해 지는 이점이 생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팅 대상 보강재(L)는 장바 형태로 공급이 되므로, 상기 이송기(10)는 장바 형태의 커팅 대상 보강재(L)를 이송시키고, 상기 커팅기(30)는 이송된 커팅 대상 보강재(L)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시킴으로써 창호 제작에 필요한 사이즈의 보강재(R)가 제조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이송기(10)는 사이즈, 형상 등이 다른 다양한 종류의 보강재를 이송시킬 수 있으며, 상기 커팅기(30) 역시 다양한 종류의 보강재를 안정적으로 파지해 커팅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종류의 보강재를 파지하기 위한 지그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상기 커팅기(30)는 금형이 서로 어긋나는 방식에 의해 커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수직 하강을 통해 커팅을 수행하기 때문에 절단면이 평활한 보강재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10: 이송기
11: 보강재 안치부
111: 안치 몸체부
112: 안치 롤러부
1121: 제1회전부
1122: 제2회전부
12: 서포트부
13: 연결부
131: 피벗 연결부
132: 승하강 연결부
1321: 레벨 결정부
1322: 리프트부
14: 보강재 추진부
141: 가이드부
1411: 가이드 롤러부
14111: 추진 롤러부
14112: 지지 롤러부
1412: 플레이트부
1413: 슬라이딩부
14131: 플레이트 지지부
141311: 경사면
14132: 탄성 가압부
14133: 포크부
141331: 샤프트부
141332: 집게부
141333: 회전부
141334: 체결부
14134: 바디부
141341: 수용홀
141342: 바디 레일부
14135: 가이드 레일부
14136: 이동부
142: 들림 방지부
1421: 가압 롤러부
1422: 높이 조절부
1423: 프레임부
30: 커팅기
31: 파지부
311: 고정부
3111: 슬라이딩 슬릿부
3112: 절단 슬릿부
312: 동력 전달부
32: 베이스부
321: 고정 레일부
322: 블레이드 수용부
33: 절단부
331: 블레이드부
332: 블레이드 승하강부
50: 제어부
51: 리딩부
52: 가동부
53: 저장부

Claims (19)

  1.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를 이송하는 이송기와, 상기 이송기를 통해 공급되는 보강재의 종류에 상관없이 상기 보강재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기는, 상기 보강재를 상기 커팅기 측으로 추진시키는 보강재 추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재 추진부는, 보강재의 이송축을 중심으로 양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보강재와 접촉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보강재를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분리 이격된 플레이트부를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에 대해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부는, 분리 이격된 상기 플레이트부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플레이트 지지부와,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에 대해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를 양측 방향으로 미는 탄성 가압부와,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승시에는 상기 탄성 가압부의 탄성력에 의해 분리 이격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가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 측으로 모이도록 하고 하강시에는 상기 탄성 가압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가 분리 이격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진 포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는, 상기 보강재를 이송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보강재 안치부와, 상기 보강재 안치부를 지지하는 서포트부와, 상기 서포트부에 대해 상기 보강재 안치부의 경사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재 안치부와 상기 서포트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보강재 안치부의 일측을 상기 서포트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피벗 연결부와, 상기 보강재 안치부의 타측을 상기 서포트부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승하강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연결부는, 상기 서포트부에 대한 상기 보강재 안치부의 레벨을 결정하는 레벨 결정부와, 상기 보강재를 이송할 때에는 상기 보강재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상기 레벨 결정부에 의해 레벨이 결정된 상기 보강재 안치부의 타측을 들어올리고, 상기 보강재를 이송하지 않을 때에는 들어 올려진 상기 보강재 안치부의 타측을 원래의 레벨 상태로 복귀시키는 리프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 추진부는,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안내를 받으며 이동하는 보강재의 들림이 방지되도록 상기 보강재를 가압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재가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을 벗어나지 않도록 가이드하면서 접촉된 보강재를 회전력에 의해 이동시키는 추진 롤러부와, 상기 추진 롤러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 양측에 나란히 배치된 추진 롤러부 사이의 간격이 변화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분리 이격된 한 쌍의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크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샤프트부와,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샤프트부로부터 갈라져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집게부와, 상기 집게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의 경사면과 접촉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지지부가 형성하는 경사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포크부를 수용하는 수용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포크부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상에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부와, 일측은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 레일부 상에 안치되어 상기 포크부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부 위를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들림 방지부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재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롤러부와, 상기 가압 롤러부와 결합되며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높이 조절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기는, 보강재의 이송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이송기로부터 이송된 보강재의 양측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에 파지된 상기 보강재를 커팅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보강재와 접촉하여 이송된 보강재의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보강재 이송축에 수직한 좌우측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를 밀거나 당겨 상기 고정부를 슬라이딩시키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고정부의 슬라이딩이 가이드 되도록 상기 보강재 이송축에 수직한 좌우측 방향으로 함입된 슬라이딩 슬릿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슬라이딩 슬릿부에 삽입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에 의한 상기 고정부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고정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보강재를 커팅하는 블레이드부와, 상기 블레이드부를 승하강시키는 블레이드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보강재의 커팅을 위해 상기 블레이드 승하강부에 의해 승하강하는 상기 블레이드부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부와 맞물리는 블레이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블레이드부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보강재의 이송축에 수직한 상하측 방향으로 함입된 절단 슬릿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는, 상기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를 특정하고, 특정된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에 따라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팅 대상 창호 보강재의 정보를 스캔하는 리딩부와, 상기 리딩부에 연결되어 상기 리딩부에 의해 특정된 보강재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절단 슬릿부로부터 보강재의 추진 정도를 제어하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에 연결되어 장치의 동작 이력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KR1020230029036A 2023-03-06 2023-03-06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KR102571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036A KR102571538B1 (ko) 2023-03-06 2023-03-06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036A KR102571538B1 (ko) 2023-03-06 2023-03-06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538B1 true KR102571538B1 (ko) 2023-08-29

Family

ID=8780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036A KR102571538B1 (ko) 2023-03-06 2023-03-06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53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4286A (ja) * 2000-11-13 2002-05-21 Watanabe Foodmach Co Ltd 食品スライサにおける送り出しコンベア装置
KR20130039036A (ko) * 2011-10-11 2013-04-19 (주)엘지하우시스 창호프레임 배수공개공 및 통기공천공 복합장치
KR20150055230A (ko) * 2013-11-13 2015-05-21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프로파일 자동 절단장치
KR20160062869A (ko) 2014-11-26 2016-06-03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보강재
KR102209578B1 (ko) * 2019-08-02 2021-01-29 스마트공작기계 주식회사 창호재 다중각 양면 절단기
KR102244091B1 (ko) * 2020-11-30 2021-04-22 김태경 공간 활용성과 치수 정밀성이 확보된 창틀프레임 커팅장치 및 그 커팅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4286A (ja) * 2000-11-13 2002-05-21 Watanabe Foodmach Co Ltd 食品スライサにおける送り出しコンベア装置
KR20130039036A (ko) * 2011-10-11 2013-04-19 (주)엘지하우시스 창호프레임 배수공개공 및 통기공천공 복합장치
KR20150055230A (ko) * 2013-11-13 2015-05-21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프로파일 자동 절단장치
KR20160062869A (ko) 2014-11-26 2016-06-03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보강재
KR102209578B1 (ko) * 2019-08-02 2021-01-29 스마트공작기계 주식회사 창호재 다중각 양면 절단기
KR102244091B1 (ko) * 2020-11-30 2021-04-22 김태경 공간 활용성과 치수 정밀성이 확보된 창틀프레임 커팅장치 및 그 커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08706A (zh) 复合保温板自动切割设备
CN107243544B (zh) 钢筋桁架楼承板用模板数控加工设备及其使用方法
KR102378811B1 (ko) 회전자 자동 피딩기구
KR102571538B1 (ko) 창호 보강재 커팅 장치
CN114852638B (zh) 一种石膏板立边成型的调整及定位输送一体化机构
CN110712936A (zh) 一种同步交替式上料机构
CN217076128U (zh) 门扇木方自动下料设备
CN112224823B (zh) 一种自动排列伞骨的送料装置
CN111924491B (zh) 一种伞骨自动化步进送料装置
KR102258661B1 (ko)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CN213386487U (zh) 一种圆柱形伞骨自动送料装置
KR102395253B1 (ko) 압출프레임 자동제조시스템
CN211541732U (zh) 一种用于加气砖生产线的翻转脱模吊具
CN212145246U (zh) 一种笼筋端板装配流水线
CN210910354U (zh) 一种腰枋自动钻孔机
CN209551261U (zh) 一种自动进料装置
FI79152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tt goera veddoser av en vedstroem.
CN218807098U (zh) 一种酒盒挡板自动安装及压紧装置
CN216990709U (zh) 一种内外盖体压合机构
CN114084650B (zh) 一种自动间隔上料机
CN216828301U (zh) 一种新型管桩端板与裙板压嵌成型机
CN215316765U (zh) 一种铰链塑料圆管组装载具
CN109551287A (zh) 一种自动进料装置
CN219488541U (zh) 板材流水线用推料装置
CN211616200U (zh) 一种陶瓷大板切割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