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661B1 -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 Google Patents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661B1
KR102258661B1 KR1020190102431A KR20190102431A KR102258661B1 KR 102258661 B1 KR102258661 B1 KR 102258661B1 KR 1020190102431 A KR1020190102431 A KR 1020190102431A KR 20190102431 A KR20190102431 A KR 20190102431A KR 102258661 B1 KR102258661 B1 KR 102258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ylinder
assembly
contac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2969A (ko
Inventor
문제정
Original Assignee
문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제정 filed Critical 문제정
Priority to KR1020190102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66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2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02Nailing machines
    • B27F7/025Nailing machines for inserting joint-n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02Nailing machines
    • B27F7/05Driving means
    • B27F7/09Driving means operated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15/00Boring or turning tools; Augers
    • B27G15/02Drills for undercut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23/00Gauging means specially designed for adjusting of tools or guides, e.g. adjusting cutting blades in cutter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27M3/007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characterised by nailing, stapling or screwing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1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urniture or of do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재의 사각틀을 조립, 형성하는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필요한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여 설치비를 절감시킴은 물론 고장이 발생할 확률을 낮춰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절감을 할 수 있고, 시스템의 부피를 축소시켜 공간활용도를 높여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Square frame assembly system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재로 사용되는 판재를 사각 형태의 틀로 조립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구재를 형성하는 양 측판과 상,하판을 자동으로 조립하여 제품의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가구재 생산에 필요한 인력을 최소화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가구재는 각종 물품을 진열 및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목재로 된 판재를 이용하여 직육면체 형태의 사각틀로 가공하여 제공되며, 그 용도에 따라 내부에 선반을 설치하거나 개방된 전방에 도어를 설치하여 서랍장이나 신발장 또는 장농 및 씽크대로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 가구재는 소정 두께 및 면적으로 제공되는 상,하판과 양측판을 서로 체결하여 사각틀을 형성한 다음 후방에 후면판을 타카로 고정하고, 내부에는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선반을 설치하며, 전방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를 설치된다.
종래에는 상기 사각틀을 가공하기 위해 작업자가 상,하판과 양측판을 일일이 나사로 체결하였기 때문에 생산성 및 작업 능률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바 있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3086호의 가구재 조립장치는 부품의 수가 많고 설치가 매우 까다로워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공정 또한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이 다시 제안한 등록특허공보 제10-1938599호의 가구재 제조용 자동화시스템은 가구재를 생산하는 모든 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는 있었으나, 상기 자동화시스템 중 상,하판과 양측판을 조립하는 제3가공부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부품의 수가 많아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3086호 등록특허공보 제10-193859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구재의 사각틀을 조립, 형성하는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필요한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여 설치비를 절감시킴은 물론 고장이 발생할 확률을 낮춰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절감을 할 수 있고, 시스템의 부피를 축소시켜 공간활용도를 높여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을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구재를 구성하는 상,하판과 양측판을 사각틀 형태가 되게 자동으로 조립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프로파일을 사각 형태로 조립하여 형성되는 본체의 상부 전,후방에 각각 가이드봉이 설치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위치되게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 설치되어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하판과 양측판을 밀착시키는 제1결합체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에 위치되게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하판의 폭과 비례하여 좌,우로 이동하는 제2결합체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하부 측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양측판을 각각 후방으로 이송 및 밀착시키는 측판밀착부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하부 내측에 서로 대칭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판과 하판의 하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취구부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하부 내측에 서로 대칭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판과 양측판이 접하는 하부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한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상판하부고정견인부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상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판과 양측판이 접하는 상부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는 상판상부고정부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상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하판과 양측판이 접하는 상부를 고정하는 하판상부고정부와; 상기 측판밀착부와 하부취구부와 상판하부고정견인부 및 상판상부고정부 또는 상기 측판밀착부와 하부취구부와 상판하부고정견인부 및 하판상부고정부에 의해 상판과 양측판 또는 하판과 양측판이 밀착, 고정되면 양측판의 소정 위치에 다수의 구멍을 뚫고, 상기 구멍에 각각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상,하판과 양측판을 일체로 체결하여 사각틀 형태로 조립하는 나사체결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프로파일을 사각 형태가 되게 조립하여 본체를 형성하되, 상기 본체의 전,후방에 위치되는 프로파일의 상부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봉을 설치하고, 일측 하부에는 상기 제1결합체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밀착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밀착실린더와 이격된 위치에는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는 볼스크류가 가로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제2결합체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결합체는 소정 면적 및 두께의 금속판체 형태로 제공되는 상부베이스판과, 상기 상부베이스판과 동일한 면적 및 두께로 제공되며, 상부 일측에 일정 길이의 설치파일이 설치되는 하부베이스판과, 상기 상,하부베이스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승강봉과, 상기 상,하부베이스판 사이의 전후방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며, 전면 또는 후면에 가이드레일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프로파일과,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밀착실린더의 로드와 결합되는 결합판과,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가이드봉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가이드블록과, 상기 하부베이스판 상부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체결부의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부와, 상기 상부베이스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체결부에 나사를 공급하는 나사공급부와,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어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박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결합체는 소정 면적 및 두께의 금속판체 형태로 제공되는 상부베이스판과, 상기 상부베이스판과 동일한 면적 및 두께로 제공되며, 상부 일측에 일정 길이의 설치파일이 설치되는 하부베이스판과, 상기 상,하부베이스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승강봉과, 상기 상,하부베이스판 사이의 전후방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며, 전면 또는 후면에 가이드레일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프로파일과,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볼스크류와 결착되는 이동결착판과,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가이드봉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가이드블록과, 상기 하부베이스판 상부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체결부의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부와, 상기 상부베이스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체결부에 나사를 공급하는 나사공급부와,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어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박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판밀착부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에 서로 대칭으로 설치되는 받침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에 설치되는 설치파일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측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센서와 상기 하판의 하부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실린더 및 다수의 안내롤러가 각각 소정 위치에 장착되고, 후방 외측면에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외측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이동실린더와, 상기 이동실린더의 로드와 결합되어 전,후로 이동하며, 회동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회동하여 측판의 전방 하부를 밀어 밀착,고정시키는 밀착블록과, 상기 밀착블록의 전방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이동실린더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며, 내측에는 측판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안내롤러가 일정 간격으로 소정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외측에는 복수의 조임실린더가 일체로 장착되며, 후방 측면에 감지센서가 일체로 장착되는 일정 면적 및 두께로 제공되는 설치판과, 상기 복수의 조임실린더의 로드를 상기 설치판의 내측으로 관통되게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로드에 결합되어 측판의 하부를 잡아주는 조임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취구부는 일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에 대칭으로 각각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에 대칭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인출실린더와, 상기 한쌍의 인출실린더의 로드가 일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승강실린더와, 상기 한쌍의 승강실린더의 로드가 각각 하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부에는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한쌍의 취구블록과, 상기 한쌍의 취구블록에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에 각각 결합되어 그 사이에 상기 상,하판의 하부 또는 쫄대가 끼워지는 두개의 취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하부고정견인부는 일정 길이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며,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일체로 장착된 프로파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슈가 연결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일측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측판의 하부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면 중앙에는 소정 길이로 절개된 이동홈이 형성되며, 상부면 후방에 상판의 하부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지지블록이 일체로 형성된 사각 파이프 형태의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홈으로 로드를 돌출시켜 상판의 하부 내측면과 접하도록 하는 지지실린더와, 상기 지지실린더가 저면에 일체로 장착되는 지지대를 전, 후로 이동시켜 상기 지지실린더의 로드와 상기 지지블록 사이에 위치된 상판의 하부를 밀착, 고정시키는 밀착실린더와, 상기 이동체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판의 하부에 일체로 조립, 설치되는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이 결합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를 정, 역으로 회전시켜 상기 이동블록과 연결판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이동체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상부고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상부베이스판에 상부면 후방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상,하부베이스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와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상,하부베이스판 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프로파일 중 후방에 설치된 프로파일의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가이드슈가 후방에 설치되고, 저면에는 연결판이 일체로 형성된 제1승강체와, 상기 제1승강체의 연결판 상부면에 설치되는 밀착실린더와, 상기 밀착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는 고정앵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로드를 하향되게 신축시켜 상판의 상부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실린더와, 상기 제1승강체의 연결판 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밀착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판의 상부 외측면이 전방으로 밀착되며, 후방에는 보조실린더가 설치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승강체의 전방 상부에는 상기 측판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실린더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상기 감지실린더의 로드가 측판의 상부면과 접하면서 입력된 측판의 높이보다 높게 감지될 경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보조실린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공과 상기 보조실린더의 로드가 전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도록 유동공을 수직으로 장공 형태가 되게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판상부고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상부베이스판에 상부면 전방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상,하부베이스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와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상,하부베이스판 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프로파일 중 전방에 설치된 프로파일의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가이드슈가 전방에 설치된 제2승강체와, 상기 제2승강체의 후방 하부 내벽에 전,후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되며, 일정 길이로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판의 상부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제2승강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풋싱실린더와, 상기 풋싱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어 하판의 상부 외측면을 지지하며, 상부면에 소정의 직경으로 핀공이 단차지게 수직 관통된 밀착대와, 상기 밀착대의 핀공에 삽입되어 일정길이 돌출된 하부가 측판의 전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풋싱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측판을 후방으로 밀착,고정시키는 고정핀과, 상기 제2승강체의 후방 상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향 신축되는 로드에 의해 상기 풋싱실린더와 연결된 밀착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조절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승강체의 후방 상부에는 상기 측판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실린더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상기 감지실린더의 로드가 측판의 상부면과 접하면서 입력된 측판의 높이보다 높게 감지될 경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가구재의 사각틀을 조립, 형성하는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필요한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여 설치비를 절감시킴은 물론 고장이 발생할 확률을 낮춰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절감을 할 수 있고, 자동화시스템의 부피를 소형화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경제성까지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의 메인프레임을 도시해 보인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의 제1결합체를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의 제2결합체를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의 측판밀착부를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의 하부취구부를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의 상판하부고정견인부를 도시해 보인 도면.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의 상판상부고정부를 도시해 보인 도면.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의 하판상부고정부를 도시해 보인 도면.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의 하판상부고정부를 도시해 보인 도면.
도 28 내지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의 측판체결부를 도시해 보인 도면.
도 35 내지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은 일정 면적 및 두께로 제공되는 상,하판(10)(20)과 좌,우 측판(30)을 사각틀 형태가 되게 자동으로 조립하여 씽크대나 서랍장 또는 신발장 등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메인프레임(100)과 제1결합체(200), 제2결합체(300), 측판밀착부(400), 하부취구부(500), 상판하부고정견인부(600), 상판상부고정부(700), 하판상부고정부(800) 및 나사체결부(900)로 크게 구성된다.
즉, 다수의 프로파일을 사각 형태로 조립하여 형성되는 본체의 상부 전,후방에 각각 가이드봉이 설치된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일측에 위치되게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 설치되어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하판과 양측판을 밀착시키는 제1결합체(20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타측에 위치되게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하판의 폭과 비례하여 좌,우로 이동하는 제2결합체(200)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하부 측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양측판을 각각 후방으로 이송 및 밀착시키는 측판밀착부(400)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하부 내측에 서로 대칭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판과 하판의 하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취구부(500)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하부 내측에 서로 대칭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판과 양측판이 접하는 하부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한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상판하부고정견인부(600)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상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판과 양측판이 접하는 상부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는 상판상부고정부(700)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상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하판과 양측판이 접하는 상부를 고정하는 하판상부고정부(800)와; 상기 측판밀착부와 하부취구부와 상판하부고정견인부 및 상판상부고정부 또는 상기 측판밀착부와 하부취구부와 상판하부고정견인부 및 하판상부고정부에 의해 상판과 양측판 또는 하판과 양측판이 밀착, 고정되면 양측판의 소정 위치에 다수의 구멍을 뚫고, 상기 구멍에 각각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상,하판과 양측판을 일체로 체결하여 사각틀 형태로 조립하는 나사체결부(9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프로파일을 사각형태의 본체(110) 형태가 되게 조립하되, 상기 본체(110)의 전,후방에 위치되는 프로파일의 상부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봉(120)을 설치하고, 일측 하부에는 상기 제1결합체(20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밀착실린더(130)가 설치되며, 상기 밀착실린더(130)와 이격된 위치에는 구동모터(140)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140)의 구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는 볼스크류(150)가 가로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140)의 구동에 의해 제2결합체(300)를 좌,우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다수의 프로파일로 된 본체(110)의 전,후방 상부에 각각 좌,우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제공되는 금속제 가이드봉(120)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110)의 일측 하부에는 밀착실린더(130)를 설치하여 이 밀착실린더(130)의 신축에 의해 상기 제1결합체(200)를 이동시키고, 상기 본체(110)의 소정 위치에는 구동모터(140)와 이 구동모터(140)에 의해 연동 회전하는 볼스크류(150)를 좌,우 길이방향으로 설치하여 상기 제2결합체(300)를 좌,우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는 본 발명의 시스템 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바퀴(112)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11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다수의 높이조절봉(114)이 일체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전방 일측에는 감지리프트부(160)를 설치하여 상,하판(10)(20)과 측판(30)의 길이를 측정하여 후술되는 제2결합체(300)를 소정 위치까지 이동시켜 대기상태에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감지리프트부(160)는 상,하판(10)(20) 및 측판(30)이 적재되는 적재판(162)과, 상기 적재판(162)을 승하강시키는 실린더(164)와, 상기 적재판(16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110) 전방에 설치되는 감지대(166)와, 상기 감지대(166)에 설치되어 모터(168)의 구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는 볼스크류(170)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하여 상,하판(10)(20)과 측판(30)의 길이를 측정하는 센서(17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합체(20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본체(110)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가구재의 사각틀 일측을 고정 및 체결하는 다수의 장치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소정 면적 및 두께의 금속판체 형태로 제공되는 상부베이스판(210)과, 상기 상부베이스판(210)과 동일한 면적 및 두께로 제공되며, 상부 일측에 일정 길이의 설치파일(222)이 설치되는 하부베이스판(220)과, 상기 상,하부베이스판(210)(22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승강봉(230)과, 상기 상,하부베이스판(210)(220) 사이의 전후방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며, 전면 또는 후면에 가이드레일(242)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프로파일(240)과, 상기 하부베이스판(220)의 저면에 설치되어 밀착실린더(130)의 로드와 결합되는 결합판(250)과, 상기 하부베이스판(22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가이드봉(120)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가이드블록(260)과, 상기 하부베이스판(220) 상부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체결부(900)의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부(270)와, 상기 상부베이스판(2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체결부(900)에 나사를 공급하는 나사공급부(280)와, 상기 하부베이스판(220)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어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박스(290)로 이루어진다.
즉, 일정 면적을 갖는 금속판체로 형성되는 하부베이스판(220)은 그 저면에 결합판(250)과 다수의 가이드블록(260)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결합판(250)은 상기 밀착실린더(1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블록(260)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가이드봉(120)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 하부베이스판(220) 상부에는 다수의 승강봉(230)과 한쌍의 프로파일(240)의 하단이 체결되고, 일정 면적을 갖는 금속판체로 형성된 상부베이스판(210)이 상기 승강봉(230)과 프로파일(240)의 상단에 설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프로파일(240)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각각 가이드레일(242)이 길이방향으로 일체가 되게 형성되어 후술되는 상판상부고정부(700)와 하판상부고정부(800)가 각각 설치되어 승하강하게 되며, 상기 승강봉(230)에는 후술되는 나사체결부(700)가 결합되어 상기 승강봉(230)을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집진부(270)는 후술되는 나사체결부(900)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베이스판(220)상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소정의 케이스 내부에 흡입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흡입모터와 연결되는 호스를 통해 분진을 흡입, 저장하게 되며, 상기 나사공급부(280)는 후술되는 나사체결부(900)에 나사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베이스판(210) 저면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것이며, 상기 콘트롤박스(290)는 상기 하부베이스판(220) 상에 설치되어 제1결합체(200)에 설치되는 여러 장치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2결합체(30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본체(110)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가구재의 사각틀 타측을 고정 및 체결하는 다수의 장치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소정 면적 및 두께의 금속판체 형태로 제공되며, 상부 일측에 일정 길이의 설치파일(312)이 설치되는 상부베이스판(310)과, 상기 상부베이스판(310)과 동일한 면적 및 두께로 제공되는 하부베이스판(320)과, 상기 상,하부베이스판(310)(32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승강봉(330)과, 상기 상,하부베이스판(310)(320) 사이의 전후방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며, 전면 또는 후면에 가이드레일(342)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프로파일(340)과, 상기 하부베이스판(32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구동모터(140)와 연동되는 볼스크류(150)와 결착되는 이동결착판(350)과, 상기 하부베이스판(32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가이드봉(120)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가이드블록(360)과, 상기 하부베이스판(320) 상부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체결부(900)의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부(370)와, 상기 상부베이스판(3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체결부(900)에 나사를 공급하는 나사공급부(380)와, 상기 하부베이스판(320)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어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박스(39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결합체(300)는 메인프레임(100)의 본체(110) 상부에 상기 제1결합체(200)와 대칭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하부베이스판(310)(320)과, 다수의 승강봉(330)과, 한쌍의 프로파일(340)과 다수의 가이드블록(360)과 집진부(370)와 나사공급부(380) 및 콘트롤박스(390)의 구성은 상기 제1결합체(200)와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이동결착판(350)은 상기 하부베이스판(320)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본체(110)에 설치된 볼스크류(150)와 결합되어 이와 연동되는 구동모터(140)의 구동에 의해 제2결합체(300)가 사각틀의 넓이에 맞게 좌,우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측판밀착부(400)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30)을 후방으로 밀착,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에 서로 대칭으로 설치되는 받침롤러(410)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에 설치되는 설치파일(222)(322)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측판(30)의 위치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센서(422)와 상기 하판(20)의 하부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실린더(424) 및 다수의 안내롤러(426)가 각각 소정 위치에 장착되고, 후방 외측면에 지지대(428)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몸체(420)와, 상기 고정몸체(420)의 외측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이동실린더(430)와, 상기 이동실린더(430)의 로드와 결합되어 전,후로 이동하며, 회동실린더(442)의 작동에 의해 회동하여 측판(30)의 전방 하부를 밀어 밀착,고정시키는 밀착블록(440)과, 상기 밀착블록(440)의 전방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이동실린더(430)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며, 내측에는 측판(30)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안내롤러(452)가 일정 간격으로 소정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외측에는 복수의 조임실린더(454)가 일체로 장착되며, 후방 측면에 감지센서(456)가 일체로 장착되는 일정 면적 및 두께로 제공되는 설치판(450)과, 상기 복수의 조임실린더(454)의 로드를 상기 설치판(450)의 내측으로 관통되게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로드에 결합되어 측판(30)의 하부를 잡아주는 조임판(4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취구부(500)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어 상판(10)과 하판(20)의 하부가 끼워져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에 대칭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인출실린더(510)와, 상기 한쌍의 인출실린더(510)의 로드가 일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블록(520)과, 상기 고정블록(52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승강실린더(530)와, 상기 한쌍의 승강실린더(530)의 로드가 각각 하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부에는 다수의 체결공(542)이 형성된 한쌍의 취구블록(540)과, 상기 한쌍의 취구블록(540)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542)에 각각 결합되어 그 사이에 상기 상,하판(10)(20)의 하부 또는 쫄대(도시하지 않음)가 끼워지는 두개의 취구(55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부취구부(500)는 사각틀을 형성하는 상판(10)과 하판(20)의 하부가 각각 두개의 취구(550) 사이에 끼워져 세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받쳐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체(200)와 제2결합체(300)에 대칭으로 각각 설치된다.
상기 상판하부고정견인부(600)는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체결부(900)에 의해 일체로 나사 조립된 상판(10)과 양측판(30)을 후방으로 일정 거리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일정 길이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된 설치파일(222)(322)의 상부에 일체로 장착되는 가이드레일(610)과, 상기 가이드레일(6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슈(622)가 연결판(621)의 하부에 설치되고, 일측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측판(30)의 하부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판(624)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면 중앙에는 소정 길이 절개된 이동홈(626)이 형성되며, 상부면 후방에 상판(10)의 하부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지지블록(628)이 일체로 형성된 사각 파이프 형태의 이동체(620)와, 상기 이동체(6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홈(626)으로 로드를 돌출시켜 상판(10)의 하부 내측면과 접하도록 하는 지지실린더(630)와, 상기 지지실린더(630)가 저면에 일체로 장착되는 지지대(642)를 전, 후로 이동시켜 상기 지지실린더(630)의 로드와 상기 지지블록(628) 사이에 위치된 상판(10)의 하부를 밀착, 고정시키는 밀착실린더(640)와, 상기 이동체(620)의 연결판(621)이 하부에 일체로 조립, 설치되는 이동블록(650)과, 상기 이동블록(650)이 결합되는 볼스크류(660)와, 상기 볼스크류(660)를 정, 역으로 회전시켜 상기 이동블록(650)과 연결판(621)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이동체(62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동모터(670)로 이루어진다.
즉, 설치파일(222)(322)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610)과 상기 설치파일(222)(322)의 외측으로 위치되는 볼스크류(660)와, 상기 볼스크류(660)를 정,역으로 회전시는 구동모터(670)를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한다.
상기 볼스크류(660)의 정,역 회전에 의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볼스크류(660)와 결합되는 이동블록(650)과 상기 가이드레일(610)과 결합되는 가이드슈(622)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판(621)의 상부에 이동체(620)를 일체로 설치한다.
상기 이동체(62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사각 파이프 형태로 구비되며, 상부면에는 일정 길이를 절개시켜 이동홈(626)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홈(626)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지지블록(628)을 설치하며, 측면 상부에는 지지판(624)이 일체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체(620)의 내부 후방에는 밀착실린더(640)가 장착되며, 상기 밀착실린더(640)의 로드에 결합되는 지지대(642)의 저면에는 지지실린더(630)를 수직으로 설치하되, 상기 지지실린더(630)의 로드가 상기 이동홈(626)을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설치하면 된다.
상기 상판상부고정부(700)는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0)과 양측판(30) 상부를 밀착,고정시켜 나사체결부(900)의 나사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의 상부베이스판(210)(310) 상부면 후방에 설치되는 구동모터(710)와, 상기 구동모터(710)의 구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의 상,하부베이스판(210)(220)(310)(32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볼스크류(720)와, 상기 볼스크류(720)와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의 상,하부베이스판(210)(220)(310)(320) 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프로파일(240)(340) 중 후방에 설치된 프로파일의 가이드레일(242)(342)에 결합되는 가이드슈(732)가 후방에 설치되고, 저면에는 연결판(734)이 일체로 형성된 제1승강체(730)와, 상기 제1승강체(730)의 연결판(734) 상부면에 설치되는 밀착실린더(740)와, 상기 밀착실린더(740)의 로드에 연결되는 고정앵글(752)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로드를 하향되게 신축시켜 상판(10)의 상부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실린더(750)와, 상기 제1승강체(730)의 연결판(734) 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밀착실린더(740)의 작동에 의해 상판(10)의 상부 외측면이 전방으로 밀착되며, 후방에는 보조실린더(762)가 설치되는 지지판(76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승강체(730)의 전방 상부에는 상기 측판(30)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실린더(770)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상기 감지실린더(770)의 로드가 측판(30)의 상부면과 접하면서 입력된 측판(30)의 높이보다 높게 감지될 경우 상기 구동모터(71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판(760)에는 상기 보조실린더(76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공(764)과 상기 보조실린더(762)의 로드가 전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도록 유동공(766)을 수직으로 장공 형태가 되게 형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상기 하판상부고정부(800)는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20)과 양측판(30) 상부를 밀착,고정시켜 나사체결부(900)의 나사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의 상부베이스판(210)(310)에 상부면 전방에 설치되는 구동모터(810)와, 상기 구동모터(810)의 구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의 상,하부베이스판(210)(220)(310)(32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볼스크류(820)와, 상기 볼스크류(820)와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의 상,하부베이스판(210)(220)(310)(320) 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프로파일(240)(340) 중 전방에 설치된 프로파일(240(340))의 가이드레일(242)(342)에 결합되는 가이드슈(832)가 전방에 설치된 제2승강체(830)와, 상기 제2승강체(830)의 후방 하부 내벽에 전,후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되며, 일정 길이로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판(20)의 상부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대(840)와, 상기 제2승강체(830)의 저면에 설치되는 풋싱실린더(850)와, 상기 풋싱실린더(850)의 로드에 연결되어 하판(20)의 상부 외측면을 지지하며, 상부면에 소정의 직경으로 핀공(862)이 단차지게 수직 관통된 밀착대(860)와, 상기 밀착대(860)의 핀공(862)에 삽입되어 일정길이 돌출된 하부가 측판(30)의 전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풋싱실린더(8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측판(30)을 후방으로 밀착,고정시키는 고정핀(870)과, 상기 제2승강체(830)의 후방 상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향 신축되는 로드에 의해 상기 풋싱실린더(850)와 연결된 밀착대(86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조절실린더(88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승강체(830)의 후방 상부에는 상기 측판(30)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실린더(890)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상기 감지실린더(890)의 로드가 측판(30)의 상부면과 접하면서 입력된 측판(30)의 높이보다 높게 감지될 경우 상기 구동모터(81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나사체결부(900)는 도 28 내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0)과 하판(20) 및 양측판(30)에 구멍을 뚫고 이어서 나사로 체결하여 사각형의 형틀을 조립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의 상부베이스판(210)(310) 상부 전방과 후방에는 연동축(912)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감속기(914)가 설치되고, 상기 감속기(914)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910)와, 상기 감속기(914)와 연동되어 정역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볼스크류(920)와, 상기 볼스크류(920)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승강봉(230)(330)에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승강몸체(930)와, 상기 승강몸체(930)의 후방에 설치되는 구동모터(942)의 구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는 볼스크류(944)와 다수의 안내봉(945)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상부에 한쌍의 고정블록(946)이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이동몸체(940)와, 상기 이동몸체(940)의 한쌍의 고정블록(946) 하부에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측판(30)과 상판(10) 또는 하판(20)과 측판(30)에 구멍을 뚫는 천공부(1100)와, 상기 이동몸체(940)의 한쌍의 고정블록(946) 상부에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멍에 나사를 체결하는 체결부(120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천공부(1100)는 상기 이동몸체(940)의 한쌍의 고정블록(946)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장공 형태의 회전방지홈(1112)이 형성되며, 중간 부분의 외주연에는 감지홈(1114)이 관통되게 형성된 하우징(1110)과, 상기 하우징(1110)의 단부에 설치되는 헤드부(1120)와, 상기 하우징(1110)의 외주연을 감싸듯이 설치되되, 어느 하나는 감지센서(1132)를 장착하여 이 감지센서(1132)가 상기 하우징(1110)의 감지홈(1114) 상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유동블록(1130)과,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타공실린더(1140)와, 상기 타공실린더(1140)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110)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1110)의 회전방지홈(11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걸림핀(1152)이 일체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후방 외주연에는 감지핀(1154)이 일체로 매립되게 설치된 드릴(1150)과, 상기 이동몸체(940)의 한쌍의 고정블록(946) 중 일측의 고정블록(946)에 고정되고, 신축되는 로드는 상기 한쌍의 유동블록(1130) 중 다른 하나의 유동블록(1130)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110) 전체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헤드부(1120)가 측판(30)의 외벽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실린더(116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체결부(1200)는 상기 이동몸체(940)의 한쌍의 고정블록(946)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장공 형태의 회전방지홈(1212)이 형성되며, 중간 부분의 외주연에는 감지홈(1214)이 관통되게 형성된 하우징(1210)과, 상기 하우징(1210)의 단부에 설치되는 헤드부(1220)와, 상기 하우징(1210)의 외주연을 감싸듯이 설치되되, 어느 하나는 감지센서(1232)를 장착하여 이 감지센서(1232)가 상기 하우징(1210)의 감지홈(1214) 상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유동블록(1230)과, 상기 하우징(12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체결실린더(1240)와, 상기 체결실린더(1240)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210)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1210)의 회전방지홈(12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걸림핀(1252)이 일체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후방 외주연에는 감지핀(1254)이 일체로 매립되게 설치된 드릴(1250)과, 상기 이동몸체(940)의 한쌍의 고정블록(946) 중 일측의 고정블록(946)에 고정되고, 신축되는 로드는 상기 한쌍의 유동블록(1230) 중 다른 하나의 유동블록(1230)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210) 전체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헤드부(1220)가 측판(30)의 외벽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실린더(126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동몸체(94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천공부(1100)와 체결부(1200)에 의해 측판(30)이 밀려나지 않도록 흡착부(1300)를 설치하되, 상기 흡착부(1300)는 상기 이동몸체(94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밀착실린더(1310)와, 상기 밀착실린더(1310)의 로드에 결합되어 공기 흡입에 의해 측판(30)을 흡입하여 고정하는 흡착판(13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다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의 작용은 도 35 내지 도 3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본체(110) 전방에 설치되는 감지리프트부(160)의 적재판(162)에 상,하판(10)(20) 및 측판(30)을 적재시킨 상태에서 모터(168)를 구동시켜 볼스크류(170)에 의해 센서(172)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하판(10)(20) 및 측판(30)의 길이를 측정하여 신호를 전달하게 되면,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구동모터(140)가 볼스크류(1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볼스크류(150)에 결합된 제2결합체(300)가 가이드봉(120)을 타고 제1결합체(200) 측으로 소정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된 측판밀착부(400)에 두개의 측판(30)을 서로 마주보도록 올려놓되, 상기 측판(30)의 하부가 받침롤러(410)와 고정몸체(420)에 설치된 다수의 안내롤러(426)와 설치판(450)에 설치된 다수의 안내롤러(452) 상부에 안착시키면 된다.
계속해서, 상기 설치판(450)에 장착된 복수의 조임실린더(454)의 로드가 축소되어 조임판(460)이 측판(30)의 내측과 밀착되면서 상기 측판(30)의 하부를 견고하게 잡은 상태에서 이동실린더(430)의 로드가 후방으로 신장되어 상기 설치판(450) 전체를 후방으로 밀게 됨에 따라 상기 측판(30)의 하부가 상기 상판하부고정견인부(600)의 지지블록(628) 전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이동실린더(430)의 로드에 결합된 밀착블록(440)은 상기 회동실린더(442)의 로드가 축소되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상기 측판(30)의 안착 및 이동을 간섭하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 하부취구부(500)의 한쌍의 인출실린더(510)가 작동하여 고정블록(520)을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의 내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인출시킨 다음 상기 고정블록(520)에 설치된 승강실린더(530)의 로드가 신장되어 이 로드와 결합된 취구블록(540)이 소정 위치까지 상승하게 되면 상기 취구블록(540)에 설치된 두개의 취구(550) 사이에 상판(10)과 하판(20)의 하부를 각각 끼워넣어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판(10)의 양측 하부 외측면이 상기 상판하부고정견인부(600)의 지지블록(628)과 각각 맞닿은 상태가 되면, 지지대(642)에 설치된 지지실린더(630)의 로드를 신장,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620)에 설치된 밀착실린더(640)의 로드를 축소시켜 상기 지지실린더(630)의 로드가 상판(10)의 양측 하부 내측면에 각각 밀착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즉, 상판(10)의 양측 하부 외측면은 상기 지지블록(628)에 의해 지지되고, 그 내측면은 상기 지지실린더(630)의 로드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 위치되는 상판(10)의 하부를 집어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에 각각 설치된 상판상부고정부(700)가 작동하여 상기 상판(10) 및 측판(30)의 상부를 각각 고정하게 되는바, 먼저 구동모터(710)의 구동에 의해 볼스크류(7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의 프로파일(240)(34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42)(342)과 가이드슈(732)로 연결된 제1승강체(730)가 하강하면서 상기 제1승강체(730)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판(760)이 상기 상판(10)의 상부 외측면과 접하여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밀착실린더(740)의 로드에 결합된 고정앵글(752)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지지실린더(750)의 로드를 하향되게 신장시킨 다음 상기 밀착실린더(740)의 로드를 축소시켜 상기 지지실린더(750)의 로드가 상기 상판(10)의 상부 내측면을 밀착,고정하게 되고, 상기 감지실린더(770)의 로드가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측판(30)의 후방 상부를 눌러 동시에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상판(10)의 상부 외측면은 상기 제1승강체(730)가 하강하면서 연결판(734)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지지판(76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상판(10)의 상부 내측면은 지지실린더(750)의 로드를 하향 돌출시킨 상태에서 밀착실린더(740)의 로드를 축소시켜 줌으로써, 상기 상판(10)의 내,외측면이 지지판(760)과 지지실린더(750)의 로드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되며, 상기 감지실린더(770)의 로드가 측판(30)의 후방 상부를 눌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승강체(73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입력된 측판(30)의 높이보다 높을 경우 상기 감지실린더(750)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710)의 구동을 정지시켜 상판(10) 또는 측판(30)이 파손되거나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본체(110) 하부에 설치된 밀착실린더(130)의 로드를 신장시켜 상기 제1결합체(200)가 가이드봉(120)을 따라 상기 제2결합체(300) 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측판(30)의 후방 내측면과 상판(10)의 양측단이 서로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에 설치된 각각의 나사체결부(900)가 작동하게 되는바, 먼저 각각의 상부베이스판(210)(310) 상부에 위치되는 구동모터(910)를 구동시켜 연동축(912)으로 연결된 한쌍의 감속기(914)를 구동시키면 한쌍의 볼스크류(9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 회전에 의해 승강몸체(930)가 다수의 승강봉(230)(330)을 타고 소정의 위치까지 하강하게 되며, 상기 승강몸체(930)에 설치된 이동몸체(940) 상의 천공부(1100) 및 체결부(1200)의 헤드부(1120)(1220)가 상기 측판(30)의 외측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승강몸체(930)에 설치되는 이동몸체(940)의 고정블록(946)에 설치된 밀착실린더(1160)의 로드가 신장되어 상기 하우징(1110) 전체를 이동시켜 헤드부(1120)가 측판(3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몸체(940) 상의 천공부(1100)의 하우징(1110) 내부에 설치되는 드릴(1150)이 회전하는 동시에 타공실린더(1140)가 작동하여 로드를 신장시켜 상기 드릴(1150)을 헤드부(1120) 측으로 밀어 상기 드릴(1150)에 설치된 비트가 측판(30)을 관통한 후 상판(10)까지 소정 깊이의 구멍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몸체(940)의 상부에 설치된 흡착부(1300)의 밀착실린더(1310)가 작동하여 흡착판(1320)이 상기 측판(30)의 외측면을 흡착하여 밀려나지 않도록 잡아줌으로써 상기 구멍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헤드부(1120)와 호스(1122)로 연결된 상기 집진부(270)(370)가 작동하여 상기 드릴(115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여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승강몸체(930)를 하강시켜 상기 체결부(1200)의 헤드부(1220)가 상기 구멍의 높이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이동몸체(940)의 고정블록(946)에 설치된 밀착실린더(1260)의 로드를 신장시켜 상기 하우징(1210) 전체를 이동시켜 헤드부(1220)가 측판(3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에 설치된 나사공급부(280)(380)와 호스(1222)로 연결된 헤드부(1220)에 나사를 공급한 후 상기 이동몸체(940) 상의 체결부(1200)의 하우징(1210) 내부에 설치되는 드릴(1250)이 회전하는 동시에 체결실린더(1240)가 작동하여 로드를 신장시켜 상기 드릴(1250)을 헤드부(1220) 측으로 밀어 상기 구멍에 나사를 체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910)의 구동으로 볼스크류(920)를 회전시켜 승강몸체(930)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구멍을 형성하고 나사를 체결하는 작업을 여러 회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상기 측판(30)과 상판(10)이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측판(30)과 상판(10)이 다수의 나사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후에는 상기 상판상부고정부(700)의 감지실린더(770)의 로드를 축소시켜 측판(30)의 후방 상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다음 제1승강체(730)에 설치된 밀착실린더(740)의 로드를 신장시키는 동시에 상기 고정앵글(752)에 설치된 지지실린더(750)의 로드를 축소시키면서 상판(10)의 상부 내측면과 분리되도록 하며, 상기 구동모터(710)를 역구동에 의해 상기 볼스크류(720)를 역으로 회전시켜 상기 볼스크류(720)에 결합된 제1승강체(730)를 일정 높이까지 상승시켜 상기 상판상부고정부(700)가 측판(30)과 상판(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하부취구부(500)의 고정블럭(520)에 설치된 승강실린더(530) 중 상판(10)이 올려져 있는 승강실린더(530)를 하강시켜 취구블록(540)에 설치된 취구(550)가 상판(10)의 하부와 분리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판하부고정견인부(600)의 이동체(620) 내부에 설치된 밀착실린더(640)의 로드를 신장시켜 지지실린더(630)의 로드가 상판(10)의 하부 내측면과 분리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판밀착부(400)의 조임실린더(454)의 로드를 신장시켜 측판(30)의 하부를 잡고 있던 조임판(460)을 풀어준 다음 상기 이동실린더(430)의 로드를 전방으로 축소시켜 상기 설치판(450) 전체를 전방으로 원상복귀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본체(110)에 설치된 밀착실린더(130)의 로드를 축소시켜 제1결합체(200)를 원상복귀시켜 조립된 상태의 상판(10)과 측판(30)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상판하부고정견인부(600)의 이동체(620) 내부에 설치된 밀착실린더(640)의 로드를 다시 축소시켜 지지실린더(630)의 로드가 상판(10)의 하부 내측면과 접하고, 지지블록(628)에 의해 외측면이 지지되도록 하여 상판(10)의 하부를 견고하게 잡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의 하부베이스판(220)(320)에 설치된 설치파일(222)(322)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모터(670)를 구동시켜 이와 연동되는 볼스크류(6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볼스크류(660)와 이동블록(650)에 의해 연결된 이동체(620)가 가이드슈(622)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610)을 타고 후방으로 견인하여 이동하되, 상기 측판(30)의 입력된 길이만큼 이동한 후 정지한 다음 상기 이동체(620)의 내부에 설치된 밀착실린더(640)의 로드가 신장되어 지지실린더(630)의 로드가 상판(10)의 하부 내측면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측면밀착부(400)가 작동하여 상기 측판(30)을 밀착, 고정시키게 되는데, 먼저 상기 설치판(450) 후방 측면에 설치된 감지센서(456)에 측판(30)이 감지되지 않게 되면, 상기 회동실린더(442)의 로드가 신장되어 밀착블록(440)을 직각으로 회동시킨 다음 상기 이동실린더(430)의 로드를 신장시켜 상기 밀착블록(440)의 후방이 측판(30)의 전방 하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몸체(420)의 지지실린더(424)의 로드가 상승하여 하판(20)의 하부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몸체(420)에 설치된 지지실린더(424)에 의해 하판(20)의 하부 내측면을 지지 및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실린더(430)의 작동에 의해 밀착블록(440)이 측판(30)의 전방 하부를 밀착, 고정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에 각각 설치된 하판상부고정부(800)가 작동하여 상기 하판(20) 및 측판(30)의 상부를 각각 고정하게 되는바, 먼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의 상부베이스판(210)(310)에 상부면 전방에 설치되는 구동모터(810)가 볼스크류(8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승강체(830)가 상,하부베이스판(210)(220)(310)(320) 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프로파일(240)(340) 중 전방에 설치된 프로파일(240(340))의 가이드레일(242)(342)을 따라 소정 위치까지 하강하게 된다.
상기 제2승강체(830)가 하강하면서 하부에 형성된 지지대(840)가 하판(20)의 상부 내측면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제2승강체(830)의 하부에 설치된 풋싱실린더(850)의 로드가 신장되어 밀착대(860)를 측판(30)의 상부 외측면에 밀착시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밀착대(860)의 핀공(862)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핀(870)은 상기 풋싱실린더(850)의 로드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밀착대(860)와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측판(30)의 상부 전면을 밀착,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본체(110) 하부에 설치된 밀착실린더(130)의 로드를 신장시켜 상기 제1결합체(200)가 가이드봉(120)을 따라 상기 제2결합체(300) 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다시 상기 측판(30)의 후방 내측면과 상판(10)의 양측단이 서로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00)(300)에 설치된 각각의 나사체결부(900)가 작동하게 되는바, 먼저 각각의 상부베이스판(210)(310) 상부에 위치되는 구동모터(910)를 구동시켜 연동축(912)으로 연결된 한쌍의 감속기(914)를 구동시키면 한쌍의 볼스크류(9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 회전에 의해 승강몸체(930)가 다수의 승강봉(230)(330)을 타고 소정의 위치까지 하강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승강몸체(930)의 후방에 설치된 구동모터(942)가 구동하여 이와 연동된 볼스크류(94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몸체(940)가 안내봉(945)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이동몸체(940) 상의 천공부(1100) 및 체결부(1200)의 헤드부(1120)(1220)가 상기 측판(30)의 전방 외측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천공부(1100)에 의해 측판(30)과 하판(20)에 구멍을 형성한 다음 상기 체결부(1200)에 의해 나사를 체결하여 측판(30)과 하판(20)이 일체가 되게 조립하되, 상기 구동모터(910)의 구동으로 볼스크류(920)를 회전시켜 승강몸체(930)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구멍을 형성하고 나사를 체결하는 작업을 여러 회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상기 측판(30)과 상판(10)이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판(10)과 하판(20) 및 측판(30)이 사각틀 형태로 조립되어 완성되면, 상기 하판상부고정부(800)의 제2승강체(830)에 설치된 풋싱실린더(850) 로드를 축소시켜 밀착대(860)와 고정핀(870)이 하판(20)과 측판(3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되면 상기 상부베이스판(210)(310)에 상부면 전방에 설치되는 구동모터(810)가 볼스크류(82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승강체(830)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하부취구부(500)의 고정블럭(520)에 설치된 승강실린더(530) 중 하판(20)이 올려져 있는 승강실린더(530)를 하강시켜 취구블록(540)에 설치된 취구(550)가 하판(20)의 하부와 분리시킨다.
또한, 상기 측판밀착부(400)의 이동실린더(430)의 로드를 전방으로 축소시켜 상기 밀착블록과 설치판(450) 전체를 전방으로 원상복귀시켜 상기 밀착블록이 측판의 하부 전면과 분리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회동실린더의 로드를 축소시켜 상기 밀착블록이 회동하여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본체(110)에 설치된 밀착실린더(130)의 로드를 축소시켜 제1결합체(200)를 원상복귀시킨 다음
상기 상판하부고정견인부(600)의 지지실린더(630) 로드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밀착실린더(640)의 로드를 다시 축소시키면 상기 지지실린더(630)의 로드가 상판(10)의 하부 내측면에 밀착,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670)의 구동으로 볼스크류(660)를 역회전시켜 상기 이동체(620)가 가이드레일(610)을 타고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여 조립 완성된 사각틀을 메인프레임(100)의 전방으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밀착실린더(640)의 로드를 신장시켜 상기 지지실린더(630)의 로드가 상판(10)의 하부 내측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작업자가 상기 사각틀을 본 발명의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으로부터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은 가구재의 사각틀을 조립, 형성하는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필요한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여 설치비를 절감시킴은 물론 고장이 발생할 확률을 낮춰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절감을 할 수 있고, 시스템의 부피를 축소시켜 공간활용도를 높여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발명인 것이다.
100 : 메인프레임 110 : 본체 120 : 가이드봉
130 : 밀착실린더 140 : 구동모터 150 : 볼스크류
200, 300 : 제1 및 제2결합체 210, 220, 310, 320 : 상,하부베이스판
230, 330 : 승강봉 240, 340 : 프로파일
250 : 결합판 350 : 이동결착판
260, 360 : 가이드블록 270, 370 : 집진부
280, 380 : 나사공급부 290, 390 : 콘트롤박스
400 : 측판밀착부 410 : 받침롤러
420 : 고정몸체 430 : 이동실린더 440 : 밀착블록
450 : 설치판 460 : 조임판 500 : 하부취구부
510 : 인출실린더 520 : 고정블록 530 : 승강실린더
540 : 취구블록 550 : 취구 600 : 상판하부고정견인부
610 : 가이드레일 620 : 이동체 630 : 지지실린더
640 : 밀착실린더 650 : 이동블록 660 : 볼스크류
670 : 구동모터 700 : 상판상부고정부
710 : 구동모터 720 : 볼스크류 730 : 제1승강체
740 : 밀착실린더 750 : 지지실린더 760 : 지지판
770 : 감지실린더 800 : 하판상부고정부
810 : 구동모터 820 : 볼스크류 830 : 제2승강체
840 : 지지대 850 : 풋싱실린더 860 : 밀착대
870 : 고정핀 880 : 조절실린더 890 : 감지실린더
900 : 나사체결부 910 : 구동모터 920 : 볼스크류
930 : 승강몸체 940 : 이동몸체 942 : 구동모터
944 : 볼스크류 945 : 안내봉 946 : 고정블록
1100 : 천공부 1120 : 체결부 1130 : 흡착부

Claims (12)

  1. 가구재를 구성하는 상,하판과 양측판을 사각틀 형태가 되게 자동으로 조립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프로파일을 사각 형태로 조립하여 형성되는 본체의 상부 전,후방에 각각 가이드봉이 설치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위치되게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 설치되어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하판과 양측판을 밀착시키는 제1결합체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에 위치되게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하판의 폭과 비례하여 좌,우로 이동하는 제2결합체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하부 측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양측판을 각각 후방으로 이송 및 밀착시키는 측판밀착부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하부 내측에 서로 대칭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판과 하판의 하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취구부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하부 내측에 서로 대칭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판과 양측판이 접하는 하부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한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상판하부고정견인부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상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판과 양측판이 접하는 상부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는 상판상부고정부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상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하판과 양측판이 접하는 상부를 고정하는 하판상부고정부와;
    상기 측판밀착부와 하부취구부와 상판하부고정견인부 및 상판상부고정부 또는 상기 측판밀착부와 하부취구부와 상판하부고정견인부 및 하판상부고정부에 의해 상판과 양측판 또는 하판과 양측판이 밀착, 고정되면 양측판의 소정 위치에 다수의 구멍을 뚫고, 상기 구멍에 각각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상,하판과 양측판을 일체로 체결하여 사각틀 형태로 조립하는 나사체결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프로파일을 사각 형태가 되게 조립하여 본체를 형성하되, 상기 본체의 전,후방에 위치되는 프로파일의 상부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봉을 설치하고, 일측 하부에는 상기 제1결합체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밀착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밀착실린더와 이격된 위치에는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는 볼스크류가 가로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제2결합체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체는
    소정 면적 및 두께의 금속판체 형태로 제공되는 상부베이스판과,
    상기 상부베이스판과 동일한 면적 및 두께로 제공되며, 상부 일측에 일정 길이의 설치파일이 설치되는 하부베이스판과,
    상기 상,하부베이스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승강봉과,
    상기 상,하부베이스판 사이의 전후방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며, 전면 또는 후면에 가이드레일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프로파일과,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밀착실린더의 로드와 결합되는 결합판과,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가이드봉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가이드블록과,
    상기 하부베이스판 상부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체결부의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부와,
    상기 상부베이스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체결부에 나사를 공급하는 나사공급부와,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어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박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체는
    소정 면적 및 두께의 금속판체 형태로 제공되는 상부베이스판과,
    상기 상부베이스판과 동일한 면적 및 두께로 제공되며, 상부 일측에 일정 길이의 설치파일이 설치되는 하부베이스판과,
    상기 상,하부베이스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승강봉과,
    상기 상,하부베이스판 사이의 전후방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며, 전면 또는 후면에 가이드레일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프로파일과,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볼스크류와 결착되는 이동결착판과,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가이드봉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가이드블록과,
    상기 하부베이스판 상부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체결부의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부와,
    상기 상부베이스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체결부에 나사를 공급하는 나사공급부와,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어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박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밀착부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에 서로 대칭으로 설치되는 받침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에 설치되는 설치파일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측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센서와 상기 하판의 하부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실린더 및 다수의 안내롤러가 각각 소정 위치에 장착되고, 후방 외측면에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외측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이동실린더와,
    상기 이동실린더의 로드와 결합되어 전,후로 이동하며, 회동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회동하여 측판의 전방 하부를 밀어 밀착,고정시키는 밀착블록과,
    상기 밀착블록의 전방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이동실린더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며, 내측에는 측판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안내롤러가 일정 간격으로 소정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외측에는 복수의 조임실린더가 일체로 장착되며, 후방 측면에 감지센서가 일체로 장착되는 일정 면적 및 두께로 제공되는 설치판과,
    상기 복수의 조임실린더의 로드를 상기 설치판의 내측으로 관통되게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로드에 결합되어 측판의 하부를 잡아주는 조임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취구부는
    일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에 대칭으로 각각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에 대칭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인출실린더와,
    상기 한쌍의 인출실린더의 로드가 일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승강실린더와,
    상기 한쌍의 승강실린더의 로드가 각각 하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부에는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한쌍의 취구블록과,
    상기 한쌍의 취구블록에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에 각각 결합되어 그 사이에 상기 상,하판의 하부 또는 쫄대가 끼워지는 두개의 취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하부고정견인부는
    일정 길이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며,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일체로 장착된 프로파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슈가 연결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일측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측판의 하부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면 중앙에는 소정 길이로 절개된 이동홈이 형성되며, 상부면 후방에 상판의 하부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지지블록이 일체로 형성된 사각 파이프 형태의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홈으로 로드를 돌출시켜 상판의 하부 내측면과 접하도록 하는 지지실린더와,
    상기 지지실린더가 저면에 일체로 장착되는 지지대를 전, 후로 이동시켜 상기 지지실린더의 로드와 상기 지지블록 사이에 위치된 상판의 하부를 밀착, 고정시키는 밀착실린더와,
    상기 이동체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판의 하부에 일체로 조립, 설치되는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이 결합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를 정, 역으로 회전시켜 상기 이동블록과 연결판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이동체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상부고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상부베이스판에 상부면 후방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상,하부베이스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와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상,하부베이스판 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프로파일 중 후방에 설치된 프로파일의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가이드슈가 후방에 설치되고, 저면에는 연결판이 일체로 형성된 제1승강체와,
    상기 제1승강체의 연결판 상부면에 설치되는 밀착실린더와,
    상기 밀착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는 고정앵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로드를 하향되게 신축시켜 상판의 상부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실린더와,
    상기 제1승강체의 연결판 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밀착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판의 상부 외측면이 전방으로 밀착되며, 후방에는 보조실린더가 설치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체의 전방 상부에는 상기 측판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실린더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상기 감지실린더의 로드가 측판의 상부면과 접하면서 입력된 측판의 높이보다 높게 감지될 경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보조실린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공과 상기 보조실린더의 로드가 전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도록 유동공을 수직으로 장공 형태가 되게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상부고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상부베이스판에 상부면 전방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상,하부베이스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와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의 상,하부베이스판 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프로파일 중 전방에 설치된 프로파일의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가이드슈가 전방에 설치된 제2승강체와,
    상기 제2승강체의 후방 하부 내벽에 전,후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되며, 일정 길이로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판의 상부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제2승강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풋싱실린더와,
    상기 풋싱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어 하판의 상부 외측면을 지지하며, 상부면에 소정의 직경으로 핀공이 단차지게 수직 관통된 밀착대와,
    상기 밀착대의 핀공에 삽입되어 일정길이 돌출된 하부가 측판의 전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풋싱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측판을 후방으로 밀착,고정시키는 고정핀과,
    상기 제2승강체의 후방 상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향 신축되는 로드에 의해 상기 풋싱실린더와 연결된 밀착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조절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체의 후방 상부에는 상기 측판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실린더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상기 감지실린더의 로드가 측판의 상부면과 접하면서 입력된 측판의 높이보다 높게 감지될 경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KR1020190102431A 2019-08-21 2019-08-21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KR102258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431A KR102258661B1 (ko) 2019-08-21 2019-08-21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431A KR102258661B1 (ko) 2019-08-21 2019-08-21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969A KR20210022969A (ko) 2021-03-04
KR102258661B1 true KR102258661B1 (ko) 2021-05-31

Family

ID=7517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431A KR102258661B1 (ko) 2019-08-21 2019-08-21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6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045B1 (ko) 2023-09-29 2024-04-30 문제정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41452A (zh) * 2023-03-13 2023-05-23 斯玛特(苏州)包装有限公司 一种包装木箱的装配设备及木箱的装配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599B1 (ko) * 2016-04-05 2019-04-10 문제정 가구재 제조용 자동화시스템
JP7033008B2 (ja) * 2018-05-31 2022-03-09 アンリツ株式会社 近傍界測定装置及び近傍界測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3086A (ko) 2008-03-27 2009-10-01 문제정 가구재 조립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599B1 (ko) * 2016-04-05 2019-04-10 문제정 가구재 제조용 자동화시스템
JP7033008B2 (ja) * 2018-05-31 2022-03-09 アンリツ株式会社 近傍界測定装置及び近傍界測定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045B1 (ko) 2023-09-29 2024-04-30 문제정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969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8661B1 (ko)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CN107966124B (zh) 汽车电池托盘检具
CN106476090B (zh) 节省能耗的自动拼板机
CN107413979B (zh) 一种金属板材折边机上料机构
CN208179788U (zh) 一种复合木地板定位切边装置
CN111515576B (zh) 一种不锈钢防盗窗制作加工自动化组装机
KR102053476B1 (ko) 창호용 프로파일의 보강재 자동 체결장치 및 방법
KR20100037197A (ko) 패널 이송장치
CN106825368A (zh) 一种铆钉自动铆接机
CN110524664B (zh) 一种木工五金件智能安装设备及方法
KR102409196B1 (ko)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
CN217025172U (zh) 电机支架托盘上料机构
KR100650596B1 (ko) 덕트용 코너부재 조립기
KR20090103086A (ko) 가구재 조립 장치
KR102258662B1 (ko)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
KR102662045B1 (ko)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CN206782708U (zh) 一种运输机器人agv
JP3052003B2 (ja) 薄板ワークの移載装置
CN216138005U (zh) 一种高效的管机自动上料辅助装置
CN215705469U (zh) 一种前围板横梁总成专用料架
CN203249593U (zh) 一种电子产品显示屏检测机
KR101964729B1 (ko) 가구재 제조용 측판 가공장치
CN219097721U (zh) 一种移动式实时物料仓储设备
CN215094313U (zh) 一种封边机的收料装置
CN217514062U (zh) 一种门板专用一体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