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045B1 -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 Google Patents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045B1
KR102662045B1 KR1020230131286A KR20230131286A KR102662045B1 KR 102662045 B1 KR102662045 B1 KR 102662045B1 KR 1020230131286 A KR1020230131286 A KR 1020230131286A KR 20230131286 A KR20230131286 A KR 20230131286A KR 102662045 B1 KR102662045 B1 KR 102662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ving
coupled
fixe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1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제정
Original Assignee
문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제정 filed Critical 문제정
Priority to KR1020230131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02Nail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02Nailing machines
    • B27F7/05Driving means
    • B27F7/09Driving means operated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27M3/006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characterised by oblong elements connected both laterally and at their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1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urniture or of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재의 사각틀을 조립, 형성하는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필요한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여 설치비를 절감함은 물론 고장이 발생할 확률을 낮춰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절감을 할 수 있으며, 사각틀의 상,하부 모서리 부분을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조립 및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립의 안정성과 제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Automatic Assembly System for Square Frame for Furniture Materials}
본 발명은 가구재로 사용되는 판재를 사각 형태의 틀로 조립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구재를 형성하는 양 측판과 상,하판을 자동으로 조립하여 제품의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가구재 생산에 필요한 인력을 최소화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가구재는 각종 물품을 진열 및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목재로 된 판재를 이용하여 직육면체 형태의 사각틀로 가공하여 제공되며, 그 용도에 따라 개방된 전방에 도어를 설치하거나 내부에 선반을 설치하여 씽크대나 신발장 또는 서랍장 및 장농으로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 가구재는 소정 두께 및 면적으로 제공되는 상,하판과 양측판을 서로 체결하여 사각틀을 형성한 다음 후방에 후면판을 타카로 고정하고, 내부에는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선반을 설치하며, 전방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상기 사각틀을 가공하기 위해 작업자가 상,하판과 양측판을 일일이 나사로 체결하였기 때문에 생산성 및 작업 능률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바 있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3086호의 가구재 조립장치는 부품의 수가 많고 설치가 매우 까다로워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공정 또한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이 다시 제안한 등록특허공보 제10-1938599호의 가구재 제조용 자동화시스템은 가구재를 생산하는 모든 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는 있었으나, 상기 자동화시스템 중 상,하판과 양측판을 조립하는 제3가공부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부품의 수가 많아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후, 특허등록 제10-2258661호의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으나, 이 또한 구성 부품의 수가 많고, 작동하는 공정이 많아 조립의 신속성이 저하되었고, 양측판과 상,하판의 고정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3086호. 등록특허공보 제10-1938599호. 등록특허공보 제10-2258661호.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구재의 사각틀을 조립, 형성하는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필요한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여 설치비를 절감함은 물론 고장이 발생할 확률을 낮춰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절감을 할 수 있으며, 사각틀의 상,하부 모서리 부분을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조립 및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립의 안정성과 제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을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구재를 구성하는 상,하판과 양측판을 사각틀 형태가 되게 자동으로 조립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프로파일을 소정 형태로 조립하여 형성되며, 상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좌,우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가이드봉이 설치되고, 후방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연동, 회전하는 볼스크류가 횡설된 메인프레임과, 다수의 프로파일을 사각틀 형태로 조립하여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다수의 프로파일을 사각틀 형태로 조립하여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제1고정결합체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되,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볼스크류에 결합되어 그 회전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제1이동결합체와;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 전방에 일체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고정결합체와;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되,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볼스크류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제2이동결합체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의 하부에 서로 대칭이 되게 설치되어 사각틀의 전방 양측 하부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는 전방하부그립부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의 상부에 서로 대칭이 되게 설치되어 사각틀의 전방 양측 상부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는 전방상부그립부와; 상기 제1 및 제2이동결합체의 하부에 서로 대칭이 되게 설치되어 사각틀의 후방 양측 하부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는 후방하부그립부와; 상기 제1 및 제2이동결합체의 상부에 서로 대칭이 되게 설치되어 사각틀의 후방 양측 상부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는 후방상부그립부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와 제1 및 제2이동결합체에 각각 설치되어 상,하/전,후로 이동하며 양측판에 각각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양측판과 상,하판이 일체가 되어 가구재용 사각틀을 형성하는 나사체결부; 및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와 제1 및 제2이동결합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나사체결부에 나사를 공급하는 나사공급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은, 다수의 프로파일을 사각틀 형태로 조립하여 형성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상부 양측에 전,후방 길이방향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봉과, 상기 고정틀의 타측 내벽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동, 회전하는 볼스크류가 상기 고정틀의 내측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봉에 결합되는 복수의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이동지지판과, 상기 복수의 이동지지판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프로파일을 사각틀 형태로 조립하여 형성되는 이동틀과, 상기 이동틀의 상부 양측에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봉과, 상기 이동틀의 일측 내벽에 장착된 구동모터과 연동, 회전하여 상기 제2이동결합체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볼스크류가 상기 이동틀의 내측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프레임을 이루는 복수의 이동지지판 중 어느 하나의 이동지지판 저면에 설치되는 수직연결대와, 상기 수직연결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지지판을 일측으로 밀거나 타측으로 당겨주는 밀착실린더와, 상기 밀착실린더가 저면에 설치,고정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구동모터와 연동된 볼스크류에 결합되어 그 회전에 의해 좌,우 이동하는 이동블록으로 이루어진 이동밀착부가 상기 이동프레임 전체를 고정프레임 방향으로 밀어 가구재를 형성하는 양측판과 상,하판이 서로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는 소정 면적 및 두께로 구비되는 상,하부패널과, 상기 상,하부패널의 모서리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대와, 상기 상,하부패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봉과, 상기 상,하부패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볼스크류와,상기 수직대 중 내향되게 설치된 수직대의 전,후면에는 각각 수직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하부패널의 저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볼스크류를 연동,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승강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이동결합체는 소정 면적 및 두께로 구비되는 상,하부패널과, 상기 상,하부패널의 모서리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대와, 상기 상,하부패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봉과, 상기 상,하부패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볼스크류와, 상기 수직대 중 내향되게 설치된 수직대의 전,후면에는 각각 수직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하부패널의 저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볼스크류를 연동,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승강모터와, 상기 하부패널의 저면에 설치되어 고정프레임의 고정틀 또는 이동프레임의 이동틀에 각각 설치된 가이드봉과 결합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하부패널의 저면에 설치되어 고정프레임의 고정틀 또는 이동프레임의 이동틀에 각각 장착된 구동모터와 연동, 회전하는 볼스크류에 결합되는 스크류블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하부그립부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의 하부패널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의 수직대 전,후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전,후면에 레일블록이 각각 장착되고, 중간 부분에 형성된 벽체에는 다수의 지지롤러가 수평으로 장착된 승강판체와, 상기 승강판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판의 하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1그립수단과, 상기 제1그립수단의 전,후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승강판체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에 설치되어 전,후로 이동하여 하판의 하부 외벽면에 밀착되는 제2그립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그립수단은, 상기 승강판체와 가이드블록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블록의 상부로 일정 길이 상향 돌출되어 하판의 하부 외벽면과 접하는 고정취구와, 상기 고정취구와 대응되게 상기 승강판체와 가이드블록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블록의 상부로 일정 길이 상향 돌출되어 하판의 하부 내벽면을 지지하는 지지취구와, 상기 지지취구의 후방에 결합되어 자체 탄성에 의해 지지취구가 전방을 향해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부면에 소정 넓이와 깊이 및 길이로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의 내벽에 서로 마주보게 가이드홈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며, 저면에는 상기 제1그립수단이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매립홈이 형성되며, 상기 매립홈에 삽입,설치되는 제1그립수단의 지지취구가 상부로 돌출되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그립수단은, 상기 가이드블록에 설치되는 밀착실린더와, 상기 밀착실린더의 로드가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블록에 형성된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각각 가이드턱이 돌출, 형성된 밀착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밀착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밀착판이 하판의 하부 외벽면과 측판의 하부 전방을 동시에 밀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상부그립부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의 하부패널에 각각 설치된 제1승강모터와 연동되는 제1볼스크류에 각각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스크류블록이 설치되고, 그 일측 또는 타측에 완충실린더가 저면에 설치되는 연결패널과, 상기 완충실린더 로드가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의 수직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레일블록이 전,후면에 각각 설치되고, 저면 전,후방에는 각각 레일블록이 횡설되며, 일측에는 풋싱실린더가 장착된 승강몸체와, 상기 승강몸체에 장착된 풋싱실린더 로드가 일측면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승강몸체의 저면 전,후방에 횡설된 레일블록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 전,후방에 각각 가이드레일이 횡설되고, 저면 후방에는 측판의 상부 전방을 눌러주는 압착블록이 장착되며, 저면 전,후방에 각각 지지블록이 수직으로 설치된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의 지지블록에 결합되어 전,후로 이동하여 하판의 상부 외벽면에 밀착되는 제1그립수단과, 상기 제1그립수단에 설치되어 전,후로 이동하여 하판의 상부 내벽면에 밀착되는 제2그립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하부그립부는 상기 제1 및 제2이동결합체의 하부패널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이동결합체의 수직대 전,후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전,후면에 레일블록이 각각 장착되고, 상부면 타측에는 이동공이 소정 크기로 관통, 형성되며, 상부면 후방에는 지지대가 수직으로 설치된 승강판체와, 상기 승강판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실린더에 의해 상판의 하부 내벽면에 밀착되는 제1그립수단과, 상기 제1그립수단의 전,후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승강판체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상부면에 이동홈이 일정 길이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승강판체 상에 설치되어 전,후로 이동하여 상판의 하부 외벽면에 밀착되는 제2그립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상부그립부는 상기 제1 및 제2이동결합체의 하부패널에 각각 설치된 제1승강모터와 연동되는 제1볼스크류에 각각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스크류블록이 설치되고, 그 일측 또는 타측에 완충실린더가 저면에 설치되는 연결패널과, 상기 완충실린더 로드가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이동결합체의 수직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레일블록이 전,후면에 각각 설치되고, 전방에는 측판의 상부를 눌러주는 압착블록이 장착되며, 저면 전,후방에 각각 지지블록이 수직으로 설치된 승강몸체와, 상기 승강몸체의 지지블록에 결합되어 전,후로 이동하여 상판의 상부 외벽면에 밀착되는 제1그립수단과, 상기 제1그립수단에 설치되어 전,후로 이동하여 상판의 상부 내벽면에 밀착되는 제2그립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결부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와 제1 및 제2이동결합체의 하부패널에 각각 설치된 제2승강모터와 연동되는 제2볼스크류에 각각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스크류블록이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고, 각각의 가이드봉과 결합되는 복수의 가이드블록이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며,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전방 또는 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볼스크류의 양측으로 각각 한쌍의 안내봉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의 볼스크류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에 스크류블록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 양측에는 각각 고정블록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블록에 양측이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나사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의 고정프레임과 이동프레임의 전방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어 나사 체결되어 완성된 사각틀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는 상기 고정프레임과 이동프레임의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회동실린더와, 상기 회동실린더의 로드에 하부가 결합되어 승,하강하며, 상부 측면에는 힌지축이 일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된 작동대와, 상기 작동대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전방으로 소정 깊이 단턱지게 회동홈을 형성하며, 상기 회동홈에는 축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가이드대와, 상기 가이드대의 회동홈 내로 위치되며, 중앙에 축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외주연에는 각각 연결편과 체결편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편에는 힌지공을 장공형태로 관통되게 형성하여 상기 작동대의 힌지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체결편에는 복수의 체결공을 관통되게 형성한 회동체와, 상기 가이드대의 축공과 상기 회동체의 축공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축공들을 삽입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대의 타측면으로 돌출된 단부에 너트가 체결되는 축볼트와, 상기 회동체의 체결편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과 일치될 수 있도록 후방에 복수의 체결공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며, 일측면에 다수의 배출롤러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배출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가구재의 사각틀을 조립, 형성하는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필요한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여 설치비를 절감시킴은 물론 고장이 발생할 확률을 낮춰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절감을 할 수 있고, 자동화시스템의 부피를 소형화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경제성까지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 다양한 길이의 상,하판 및 양측판의 투입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다양한 크기의 사각틀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프레임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프레임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프레임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우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프레임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이동프레임에 포함된 이동밀착부를 확대 도시해 보인 평면도와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제1고정결합체의 정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제1고정결합체의 우측면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제1고정결합체의 평면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제1이동결합체의 정면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제1이동결합체의 우측면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제1이동결합체의 평면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제2고정결합체의 정면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제2고정결합체의 좌측면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제2고정결합체의 평면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제2이동결합체의 정면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제2이동결합체의 좌측면 예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제2이동결합체의 평면 예시도.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전방하부그립부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전방하부그립부를 분리해 보인 정면 예시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전방하부그립부를 분리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전방하부그립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전방하부그립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전방하부그립부를 이루는 제1그립수단의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 예시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전방하부그립부를 이루는 제2그립수단의 작동되는 상태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 예시도.
도 31 내지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전방상부그립부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전방상부그립부를 분리해 보인 정면 예시도.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전방상부그립부를 분리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전방상부그립부를 분리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전방하부그립부를 이루는 제1그립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전방하부그립부를 이루는 제2그립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39 내지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후방하부그립부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후방하부그립부를 분리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43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후방하부그립부를 분리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후방하부그립부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후방하부그립부를 이루는 제1그립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단면 예시도.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후방하부그립부를 이루는 제2그립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단면 예시도.
도 4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후방하부그립부를 이루는 제2그립수단의 밀대와 고정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48 내지 도 50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후방상부그립부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
도 5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후방상부그립부를 분리해 보인 정면 예시도.
도 5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후방상부그립부를 분리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5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후방상부그립부를 분리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5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후방상부그립부를 이루는 제1그립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5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후방상부그립부를 이루는 제2그립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5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후방상부그립부를 이루는 받침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57 내지 도 5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나사체결부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
도 60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나사체결부를 이루는 체결수단이 작동되기 전 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단면 예시도.
도 6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나사체결부를 이루는 체결수단이 작동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단면 예시도.
도 62 및 도 6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배출부를 도시해 보인 정면과 측면 예시도.
도 64 및 도 6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배출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과 평면 예시도.
도 6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배출부를 분리해 보인 정면 예시도.
도 6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배출부를 분리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68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배출부를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은 일정 면적 및 두께로 제공되는 상,하판(T)(L)과 좌,우 측판(S)을 사각틀 형태가 되게 자동으로 조립하여 씽크대나 서랍장 또는 신발장 등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프레임부(100)와 제1고정결합체(200), 제1이동결합체(300), 제2고정결합체(400), 제2이동결합체(500), 전방하부그립부(600), 전방상부그립부(700), 후방하부그립부(800), 후방상부그립부(900), 나사체결부(1000)와 나사공급부(1100) 및 배출부(12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부(10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20)과 이동프레임(130)을 포함한 모든 부품들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다수의 프로파일을 소정 형태로 조립하여 형성되며, 상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좌,우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한쌍의 가이드봉(112)이 설치되고, 후방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M-110)와 연동, 회전하는 볼스크류(B-110)가 가로 방향으로 횡설되어 구비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20)은 상부에 상기 제1고정결합체(20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이동결합체(30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프로파일을 사각틀 형태로 조립하여 형성되는 고정틀(122)과, 상기 고정틀(122)의 상부 양측에 전,후방 길이방향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봉(124)과, 상기 고정틀(122)의 타측 내벽에 장착된 구동모터(M-120)와 연동, 회전하는 볼스크류(B-120)가 상기 고정틀(122)의 내측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 고정틀(122) 상에 상기 제1이동결합체(300)가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쌍의 가이드봉(124)을 설치하고, 외부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모터(M-120)를 장착하며, 상기 구동모터(M-120)와 연동되는 볼스크류(B-120)가 설치된 고정프레임(120)을 상기 메인프레인(110)의 상부 일측에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110)과 고정프레임(120) 사이에는 복수의 받침블록(126)을 설치하여 상기 고정프레임(120)과 이동프레임(130)의 높이가 동일하게 받쳐주는 동시에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봉(112)의 일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프레임(130)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된 가이드봉(112)에 결합되는 복수의 이동블록(131)과, 상기 이동블록(131)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이동지지판(132)과, 상기 복수의 이동지지판(132)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프로파일을 사각틀 형태로 조립하여 형성되는 이동틀(133)과, 상기 이동틀(133)의 상부 양측에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봉(134)과, 상기 이동틀(133)의 일측 내벽에 장착된 구동모터(M-130)과 연동, 회전하여 상기 제2이동결합체(50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볼스크류(B-130)가 상기 이동틀(133)의 내측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이동프레임(130)은 상기 고정프레임(120)과 대칭되게 메인프레임(10)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되,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된 구동모터(M-110)와 연동되는 볼스크류(B-110)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고정틀(122)과 동일한 형태로 이동틀(133)을 형성하되, 상기 이동틀(133)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 각각 이동지지판(132)을 설치하고, 상기 이동지지판(132)의 저면에는 각각 이동블록(131)을 설치하며, 상기 이동틀(133)의 상부 양측에 각각 가이드봉(134)을 설치하고, 일측 내벽에 구동모터(M-130)를 장착하며, 상기 구동모터(M-130)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볼스크류(B-130)를 전,후 길이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프레임(130)을 이루는 복수의 이동지지판(132) 중 어느 하나의 이동지지판(132) 저면에 설치되는 수직연결대(141)와, 상기 수직연결대(141)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지지판(132)을 일측으로 밀거나 타측으로 당겨주는 밀착실린더(S-140)와, 상기 밀착실린더(S-140)가 저면에 설치,고정되는 연결판(142)과, 상기 연결판(142)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구동모터(M-110)와 연동된 볼스크류(B-110)에 결합되어 그 회전에 의해 좌,우 이동하는 이동블록(143)으로 이루어진 이동밀착부(140)가 상기 이동프레임(130) 전체를 고정프레임(120) 방향으로 밀어 가구재를 형성하는 양측판(S)과 상,하판(T)(L)이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나사체결부(1000)의 나사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1고정결합체(20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0)의 고정프레임(120)의 상부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소정 면적 및 두께로 구비되는 상,하부패널(210)(220)과, 상기 상,하부패널(210)(220)의 모서리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대(230)와, 상기 상,하부패널(210)(22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봉(240)과, 상기 상,하부패널(210)(22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볼스크류(B-210)(B-220)와, 상기 수직대(230) 중 내향되게 설치된 수직대(230)의 전,후면에는 각각 수직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50)과, 상기 하부패널(220)의 저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볼스크류(B-210)(B-220)를 연동,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승강모터(M-210)(M-22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고정결합체(200)는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상부 전방에 이동하지 않게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 면적 및 두께로 제공되는 금속 판체로 이루어진 상,하부패널(210)(220)을 구비하되, 상기 하부패널(22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대(230) 상단에 상부패널(210)을 고정시키고, 상기 상,하부패널(210)(220) 사이의 소정 위치에는 복수의 가이드봉(240)과 제1 및 제2승강모터(M-210)(M-220)에 의해 연동 회전하여 상기 전방상부그립부(700)와 나사체결부(1000)를 승,하강시키는 제1 및 제2볼스크류(B-210)(B-220)를 수직으로 각각 설치하며, 상기 복수의 수직대(230) 중 내향 설치된 수직대(230)의 전,후면에 각각 가이드레일(250)을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고정결합체(200)의 복수의 수직대(230) 중 어느 하나의 수직대(230) 내측 소정 위치에 가이드롤러(232)를 장착하여 측판(S)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측판(S)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이동결합체(300)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0)의 고정프레임(120)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프레임(120)에 설치된 구동모터(M-120)와 연동되는 볼스크류(B-120)에 결합되어 그 회전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소정 면적 및 두께로 구비되는 상,하부패널(310)(320)과, 상기 상,하부패널(310)(320)의 모서리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대(330)와, 상기 상,하부패널(310)(32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봉(340)과, 상기 상,하부패널(310)(32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볼스크류(B-310)(B-320)와, 상기 수직대(330) 중 내향되게 설치된 수직대(330)의 전,후면에는 각각 수직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50)과, 상기 하부패널(320)의 저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볼스크류(B-310)(B-320)를 연동,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승강모터(M-310)(M-320)와, 상기 하부패널(32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고정틀(122)에 설치된 가이드봉(124)과 결합되는 가이드블록(360)과, 상기 하부패널(32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고정틀(122)에 장착된 구동모터(M-120)와 연동, 회전하는 볼스크류(B-120)에 결합되는 스크류블록(37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이동결합체(300)는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상부 후방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 면적 및 두께로 제공되는 금속 판체로 이루어진 상,하부패널(310)(320)을 구비하되, 상기 하부패널(32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대(330) 상단에 상부패널(310)을 고정시키고, 상기 상,하부패널(310)(320) 사이의 소정 위치에는 복수의 가이드봉(340)과 제1 및 제2승강모터(M-310)(M-320)에 의해 연동 회전하여 상기 후방상부그립부(900)와 나사체결부(1000)를 승,하강시키는 제1 및 제2볼스크류(B-310)(B-320)를 수직으로 각각 설치하며, 상기 복수의 수직대(330) 중 내향 설치된 수직대(330)의 전,후면에 각각 가이드레일(350)을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하부패널(320)의 저면 소정 위치에는 각각 복수의 가이드블록(360)과 스크류블록(370)을 설치하여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고정틀(122)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봉(124)과 볼스크류(B-120)에 결합되어 구동모터(M-1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이동결합체(300)의 전,후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2고정결합체(400)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0)의 이동프레임(130) 상부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소정 면적 및 두께로 구비되는 상,하부패널(410)(420)과, 상기 상,하부패널(410)(420)의 모서리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대(430)와, 상기 상,하부패널(410)(42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봉(440)과, 상기 상,하부패널(410)(42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볼스크류(B-410)(B-420)와, 상기 수직대(430) 중 내향되게 설치된 수직대(430)의 전,후면에는 각각 수직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450)과, 상기 하부패널(420)의 저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볼스크류(B-410)(B-420)를 연동,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승강모터(M-410)(M-42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고정결합체(400)는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상부 전방에 이동하지 않게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 면적 및 두께로 제공되는 금속 판체로 이루어진 상,하부패널(410)(420)을 구비하되, 상기 하부패널(42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대(430) 상단에 상부패널(410)을 고정시키고, 상기 상,하부패널(410)(420) 사이의 소정 위치에는 복수의 가이드봉(440)과 제1 및 제2승강모터(M-410)(M-420)에 의해 연동 회전하여 상기 전방상부그립부(600)와 나사체결부(1000)를 승,하강시키는 제1 및 제2볼스크류(B-410)(B-420)를 수직으로 각각 설치하며, 상기 복수의 수직대(430) 중 내향 설치된 수직대(430)의 전,후면에 각각 가이드레일(450)을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고정결합체(400)의 복수의 수직대(430) 중 어느 하나의 수직대(430) 내측 소정 위치에 가이드롤러(432)를 장착하여 측판(S)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측판(S)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이동결합체(500)는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0)의 이동프레임(130) 상부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이동프레임(130)에 설치된 구동모터(M-130)와 연동되는 볼스크류(B-130)에 결합되어 그 회전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소정 면적 및 두께로 구비되는 상,하부패널(510)(520)과, 상기 상,하부패널(510)(520)의 모서리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대(530)와, 상기 상,하부패널(510)(52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봉(540)과, 상기 상,하부패널(510)(52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볼스크류(B-510)(B-520)와, 상기 수직대(530) 중 내향되게 설치된 수직대(530)의 전,후면에는 각각 수직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550)과, 상기 하부패널(520)의 저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볼스크류(B-510)(B-520)를 연동,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승강모터(M-510)(M-520)와, 상기 하부패널(52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이동틀(133)에 설치된 가이드봉(134)과 결합되는 가이드블록(560)과, 상기 하부패널(52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이동틀(133)에 장착된 구동모터(M-130)와 연동, 회전하는 볼스크류(B-130)에 결합되는 스크류블록(57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이동결합체(500)는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상부 후방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 면적 및 두께로 제공되는 금속 판체로 이루어진 상,하부패널(510)(520)을 구비하되, 상기 하부패널(52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대(530) 상단에 상부패널(510)을 고정시키고, 상기 상,하부패널(510)(520) 사이의 소정 위치에는 복수의 가이드봉(540)과 제1 및 제2승강모터(M-510)(M-520)에 의해 연동 회전하여 상기 후방상부그립부(900)와 나사체결부(1000)를 승,하강시키는 제1 및 제2볼스크류(B-510)(B-520)를 수직으로 각각 설치하며, 상기 복수의 수직대(530) 중 내향 설치된 수직대(530)의 전,후면에 각각 가이드레일(550)을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하부패널(520)의 저면 소정 위치에는 각각 복수의 가이드블록(560)과 스크류블록(570)을 설치하여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이동틀(133)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봉(134)과 볼스크류(B-130)에 결합되어 구동모터(M-1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이동결합체(500)의 전,후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전방하부그립부(60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고정프레임(120) 상부 전방과 이동프레임(130) 상부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제1 및 제2고정결합체(200)(400)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가구재를 형성하는 양측판(S)과 하판(L)의 하부 모서리 부분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200)(400)의 하부패널(220)(420)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승강실린더(S-610)와, 상기 승강실린더(S-610)의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대(230)(430) 전,후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40)(44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전,후면에 레일블록(612)이 각각 장착되고, 중간 부분에 형성된 벽체(614)에는 다수의 지지롤러(616)가 수평으로 장착되며, 상부면 타측에는 이동공(617)이 소정 크기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이동공(617)의 후방으로 핀공(618)이 관통되게 형성된 승강판체(610)와, 상기 승강판체(610)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실린더(S-620)의 로드와 결합되어 전,후로 이동하여 하판(L)의 하부 내벽면에 밀착되는 제1그립수단(620)과, 상기 제1그립수단(620)의 전,후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승강판체(61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가이드블록(630)과, 상기 가이드블록(630)에 설치되어 전,후로 이동하여 하판(L)의 하부 외벽면에 밀착되는 제2그립수단(64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그립수단(620)은, 하단이 상기 승강판체(610)의 이동공(617)으로 하향 돌출되게 삽입되어 상기 제1실린더(S-620)의 로드와 결합되며, 상부에는 수직으로 장공(621)이 관통되게 형성된 이동대(622)와, 상기 이동대(622)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판(L)의 내벽면과 접하는 취구(624)와, 상기 승강판체(610)의 저면에 수직으로 설치하되, 로드가 상기 승강판체(610)의 핀공(617)으로 삽입된 후 상기 이동대(622)의 장공(621)으로 삽입되거나 이탈하여 상기 이동대(622)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동시에 이동대(622)의 후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제한실린더(S-622)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그립수단(640)은, 상기 가이드블록(630)에 설치되는 제2실린더(S-640)와, 상기 제2실린더(S-640)의 로드가 전면에 결합되며, 전방 양측으로 가이드턱(642)이 돌출, 형성된 밀착판(644)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실린더(S-6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밀착판(644)이 하판(L)의 하부 외벽면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블록(630)은, 상기 이동대(622)가 삽입, 매립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저면에 매립홈(632)이 형성되고, 상기 매립홈(632)과 수직으로 연통되어 상기 취구(624)가 삽입되어 상향, 돌출될 수 있도록 장공(634)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제2그립수단(640)의 밀착판(644)에 형성된 가이드턱(642)이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636)을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상부그립부(70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고정프레임(120) 상부 전방과 이동프레임(130) 상부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제1 및 제2고정결합체(200)(400)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가구재를 형성하는 양측판(S)과 하판(L)의 상부 모서리 부분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200)(400)의 하부패널(220)(420)에 설치된 제1승강모터(M-210)(M-410)와 연동되는 제1스크류(B-210)(B-410)에 각각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스크류블록(712)이 설치되고, 그 일측 또는 타측에 완충실린더(S-710)가 저면에 설치되는 연결패널(710)과, 상기 완충실린더(S-710) 로드가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대(230)(43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50)(450)에 결합되는 레일블록(722)이 전,후면에 각각 설치되고, 저면 전,후방에는 각각 레일블록(724)이 횡설되며, 일측에는 풋싱실린더(S-720)가 장착된 승강몸체(720)와, 상기 승강몸체(720)에 장착된 풋싱실린더(S-720) 로드가 일측면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승강몸체(720)의 저면 전,후방에 횡설된 레일블록(724)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 전,후방에 각각 가이드레일(732)이 횡설되고, 저면 후방에는 측판(S)의 상부 전방을 눌러주는 압착블록(734)이 장착되며, 저면 전,후방에 각각 지지블록(736)이 수직으로 설치된 이동몸체(730)와, 상기 이동몸체(730)의 지지블록(736)에 결합되어 전,후로 이동하여 하판(L)의 상부 외벽면에 밀착되는 제1그립수단(740)과, 상기 제1그립수단(740)에 설치되어 전,후로 이동하여 하판(L)의 상부 내벽면에 밀착되는 제2그립수단(75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그립수단(740)은, 상기 이동몸체(730)의 저면 전,후방에 설치된 지지블록(736)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안내봉(742)과, 상기 안내봉(74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실린더(S-740)와, 상기 이동실린더(S-740)의 저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전,후로 이동하며, 상부면 소정 위치에는 장공(743)이 수직 관통되게 형성된 장착판체(744)와, 상기 장착판체(744)의 후면에 일체로 고정되며, 저면 타측에는 일정 길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판(L)의 상부 외벽면과 밀착되는 밀착블록(74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밀착블록(746)의 소정 위치에는 핀공(747)이 수직으로 관통되고, 상기 핀공(747)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지지핀(748)을 삽입시켜 측판(S)의 전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그립수단(750)은, 상기 제1그립수단(740)의 장착판체(744) 상에 설치되는 당김실린더(S-750)와, 상기 당김실린더(S-750)의 로드에 결합되어 전,후로 이동하며, 상부면 소정 위치에 삽입공(751)이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장착대(752)와, 상기 장착대(752) 상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공(751)으로 삽입되어 길이가 신축되는 로드가 하판(L)의 내벽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밀착실린더(S-75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동몸체(730)의 저면에 설치된 지지블록(736) 중 전방에 설치된 지지블록(736) 상에는 위치제한실린더(S-730)의 로드를 하향 돌출되게 설치하되, 상기 로드가 장착판체(744)에 형성된 장공(743)으로 삽입되어 상기 장착판체(744)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하부그립부(80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고정프레임(120) 상부 후방과 이동프레임(130) 상부 후방에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이동결합체(300)(500)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가구재를 형성하는 양측판(S)과 상판(T)의 하부 모서리 부분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상기 제1 및 제2이동결합체(300)(500)의 하부패널(320)(520)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승강실린더(S-810)와, 상기 승강실린더(S-810)의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대(330)(530) 전,후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50)(55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전,후면에 레일블록(812)이 각각 장착되고, 상부면 타측에는 이동공(814)이 소정 크기로 관통, 형성되며, 상부면 후방에는 지지대(816)가 수직으로 설치된 승강판체(810)와, 상기 승강판체(810)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실린더(S-820)에 의해 상판(T)의 하부 내벽면에 밀착되는 제1그립수단(820)과, 상기 제1그립수단(820)의 전,후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승강판체(810)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상부면에 이동홈(832)이 일정 길이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블록(830)과, 상기 승강판체(810) 상에 설치되어 전,후로 이동하여 상판(T)의 하부 외벽면에 밀착되는 제2그립수단(84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그립수단(820)은, 하단이 상기 승강판체(810)의 이동공(814)으로 하향 돌출되게 삽입되어 상기 제1실린더(S-820)의 로드와 결합되는 이동대(822)와, 상기 이동대(822)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블록(830)에 형성된 이동홈(832)을 통해 상향 돌출되어 상판(T)의 내벽면과 접하는 취구(82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그립수단(840)은, 상기 승강판체(810)의 지지대(816)와 상기 가이드블록(830)의 후방에 설치된 이동스크류(B-840)를 연동 회전시키는 구동모터(M-840)와, 상기 이동스크류(B-840)에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스크류블록(842)과, 상기 스크류블록(842)에 결합되어 동시 이동하며, 전방이 상판(T)의 외벽면과 접하는 밀대(844)와, 상기 밀대(844)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상기 이동스크류(B-840)의 전단이 결합되는 고정대(84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판체(810)에 설치된 지지대(816)에는 감지센서(1S)를 장착하여 상기 제2그립수단(840)의 밀대(844)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M-84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상부그립부(90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고정프레임(120) 상부 후방과 이동프레임(130) 상부 후방에 고정, 설치되는 제1 및 제2이동결합체(300)(500)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가구재를 형성하는 양측판(S)과 상판(T)의 상부 모서리 부분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상기 제1 및 제2이동결합체(300)(500)의 하부패널(320)(520)에 설치된 제1승강모터(M-310)(M-510)와 연동되는 제1볼스크류(B-310)(B-510)에 각각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스크류블록(912)이 설치되고, 그 일측 또는 타측에 완충실린더(S-910)가 저면에 설치되는 연결패널(910)과, 상기 완충실린더(S-910) 로드가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대(330)(53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50)(550)에 결합되는 레일블록(922)이 전,후면에 각각 설치되고, 전방에는 측판(S)의 상부를 눌러주는 압착블록(924)이 장착되며, 저면 전,후방에 각각 지지블록(926)이 수직으로 설치된 승강몸체(920)와, 상기 승강몸체(920)의 지지블록(926)에 결합되어 전,후로 이동하여 상판(T)의 상부 외벽면에 밀착되는 제1그립수단(940)과, 상기 제1그립수단(940)에 설치되어 전,후로 이동하여 상판(T)의 상부 내벽면에 밀착되는 제2그립수단(95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그립수단(940)은, 상기 승강몸체(920)의 저면 전,후방에 설치된 지지블록(926)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안내봉(941)과, 상기 안내봉(94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실린더(S-940)와, 상기 이동실린더(S-940)의 저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전,후로 이동하는 장착판체(942)와, 상기 장착판체(942)의 전면에 일체로 고정되며, 저면 타측에는 일정 길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판(T)의 상부 외벽면과 밀착되는 밀착블록(94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그립수단(950)은 상기 제1그립수단(940)의 장착판체(942) 상에 설치되는 당김실린더(S-950)와, 상기 당김실린더(S-950)의 로드에 결합되어 전,후로 이동하며, 상부면 소정 위치에 삽입공(951)이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장착대(952)와, 상기 장착대(952) 상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공(951)으로 삽입되어 길이가 신축되는 로드가 상판(T)의 내벽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밀착실린더(S-952)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그립수단(940)의 장착판체(942) 저면에 상단이 수직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가이드봉(944)과, 상기 가이드봉(944)의 하단에 고정되는 지지판체(945)와, 상기 지지판체(945)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판체(942)와 지지판체(945)의 중앙에 수직으로 종설되는 볼스크류(B-94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M-940)와, 상기 구동모터(M-940)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되는 받침수단(96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받침수단(960)은, 상기 볼스크류(B-940)에 결합되는 스크류블록(961)과 상기 가이드봉(944)에 결합되는 볼베어링(962)이 상부 소정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받침판체(963)와, 상기 받침판체(963)의 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중앙에 로드공(964)이 관통, 형성된 연장판(965)과, 상기 연장판(965)에 형성된 로드공(964)에 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받침실린더(S-96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판체(945)에는 위치감지센서(2S)를 장착하여 상기 받침수단(96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M-94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체결부(1000)는 상기 전방하부그립부(600)와 전방상부그립부(700), 후방하부그립부(800) 및 후방상부그립부(900)에 의해 상,하판(T)(L)과 좌,우 측판(S)이 사각틀 형태로 밀착되어 위치되면 상기 상판(T)과 양측판(S)이 밀착된 부분과 상기 하판(L)과 양측판(S)이 밀착된 부분에 각각 다수의 나사를 체결하여 일체로 조립된 사각틀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나사체결부(1000)의 구성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200)(400)와 제1 및 제2이동결합체(300)(500)의 하부패널(220)(420)(320)(520)에 각각 설치된 제2승강모터(M-220)(M-420)(M-320)(M-520)와 연동되는 제2볼스크류(B-220)(B-420)(B-320)(B-520)에 각각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스크류블록(1012)이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고, 각각의 가이드봉(250)(450)(350)(550)과 결합되는 복수의 가이드블록(1014)이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며,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볼스크류(B-101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M-1010)가 전방 또는 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볼스크류(B-1010)의 양측으로 각각 한쌍의 안내봉(1016)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승강체(1010)와, 상기 승강체(1010)의 볼스크류(B-10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에 스크류블록(102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블록(1022) 양측으로 상기 안내봉(1016)과 결합되는 안내블록(1024)일 설치되며, 상부 양측에는 각각 고정블록(1026)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된 이동체(1020)와, 상기 이동체(102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블록(1026)에 양측이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나사를 체결하는 체결수단(103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나사체결부(1000)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200)(400)와 제1 및 제2이동결합체(300)(500)에 각각 설치되어 상,하/전,후로 이동하며 양측판(S)에 각각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양측판(S)과 상,하판(T)(L)이 일체가 되어 가구재용 사각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체(1010)에는 전방 또는 후방에 스크류블록(1012)이 설치되고, 그 양측으로는 2개의 가이드블록(1014)이 설치되며,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는 구동모터(M-1010)와 연동되는 볼스크류(B-1010) 및 안내봉(1016)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구비되며, 상기 이동체(1020)에는 저면에 스크류블록(1022)과 안내블록(1024)이 설치되며, 상부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고정블록(1026)이 설치되어 구비되고, 상기 이동체(1020)의 고정블록(1026) 상에는 체결수단(1030)이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1030)은, 상기 이동체(1020)의 고정블록(1026) 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장공 형태의 회전방지홈(1042)이 형성되며, 중간 부분의 외주연에는 감지홈(1044)이 관통되게 형성된 하우징(1040)과, 상기 하우징(1040)의 단부에 설치되는 헤드부(1050)와, 상기 하우징(1040)의 외주연을 감싸듯이 설치되되, 어느 하나는 감지센서(1062)를 장착하여 이 감지센서(1062)가 상기 하우징(1040)의 감지홈(1044) 상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유동블록(1060)과, 상기 하우징(104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체결실린더(1070)와, 상기 체결실린더(1070)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040)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1040)의 회전방지홈(1042)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걸림핀(1082)이 일체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후방 외주연에는 감지핀(1084)이 일체로 매립되게 설치된 드릴(1080)과, 상기 이동체(1020)의 한쌍의 고정블록(1026) 중 일측의 고정블록(1026)에 고정되고, 신축되는 로드는 상기 한쌍의 유동블록(1060) 중 다른 하나의 유동블록(1060)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40) 전체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헤드부(1050)가 측판(S)의 외벽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실린더(1090)로 이루어진다.
상기 나사공급부(1100)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200)(400)와 상기 제1 및 제2이동결합체(300)(500)에는 각각 설치되어 상기 나사체결부(1000)에 나사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특허등록 제10-1938599호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어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배출부(1200)는 상기 고정프레임(120)과 이동프레임(130)의 전방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어 나사 체결되어 완성된 사각틀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프레임(120)과 이동프레임(130)의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회동실린더(S-1200)와, 상기 회동실린더(S-1200)의 로드에 하부가 결합되어 승,하강하며, 상부 측면에는 힌지축(1212)이 일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된 작동대(1210)와, 상기 작동대(1210)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22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222)의 전방으로 소정 깊이 단턱지게 회동홈(1224)을 형성하며, 상기 회동홈(1224)에는 축공(1226)이 관통되게 형성된 가이드대(1220)와, 상기 가이드대(1220)의 회동홈(1224) 내로 위치되며, 중앙에 축공(1232)이 관통되게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외주연에는 각각 연결편(1234)과 체결편(1236)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편(1234)에는 힌지공(1235)을 장공형태로 관통되게 형성하여 상기 작동대(1210)의 힌지축(12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체결편(1236)에는 복수의 체결공(1237)을 관통되게 형성한 회동체(1230)와, 상기 가이드대(1220)의 축공(1226)과 상기 회동체(1230)의 축공(1232)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축공(1232)(1226)들을 삽입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대(1220)의 타측면으로 돌출된 단부에 너트(1242)가 체결되는 축볼트(1240)와, 상기 회동체(1230)의 체결편(1236)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1237)과 일치될 수 있도록 후방에 복수의 체결공(1252)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며, 일측면에 다수의 배출롤러(1254)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배출대(125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고정프레임(120)과 이동프레임(130)의 저면에 각각 회동실린더(S-1200)를 설치하되, 상기 회동실린더(S-1200)의 로드가 상기 고정프레임(120)과 이동프레임(130)을 관통하여 상향 돌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대(1220)는 제1고정결합체(200)의 수직대(230)와 상기 제2고정결합체(400)의 수직대(430)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대(1210)의 상부를 가이드대(1220)의 가이드홈(1222)으로 삽입, 결합시킨 다음 상기 작동대(1210)의 하부를 상기 회동실린더(S-1200) 로드에 일체로 체결하면 된다.
이어서, 상기 회동체(1230)의 체결편(1236)에 배출대(125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동체(1230)의 축공(1232)을 가이드대(1220)에 형성된 축공(1226)에 일치시키는 동시에 상기 작동대(1210)의 힌지축(1212)을 회동체(1230)의 연결편(1234)에 형성된 힌지공(1235)에 삽입, 결합시킨 후 상기 회동체(1230)의 축공(1232)과 가이드대(1220)의 축공(1226)을 관통하도록 볼트축(1240)을 삽입시켜 그 단부에 너트(1242)로 체결하여 배출부(1200)를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부(1200)의 배출대(1250) 전방 상부에 걸림블록(1260)을 설치하여 상기 회동체(1230)의 회동시 가구재 사각틀이 상기 걸림블록에 받쳐지도록 하여 배출대(1250)로부터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다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작용은 먼저, 가구재를 형성하는 상,하판(T)(L)과 양측판(S)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입력하면, 상기 프레임부(100)의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된 구동모터(M-110)와 연동된 볼스크류(B-110)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프레임(130)을 고정프레임(120) 측으로 소정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고정틀(122)에 설치된 구동모터(M-120)와 연동되는 볼스크류(B-120)가 회전하여 상기 제1이동결합체(300)를 소정 위치까지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이동틀(133)에 설치된 구동모터(M-130)와 연동되는 볼스크류(B-130)가 회전하여 상기 제2이동결합체(500)를 소정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이동결합체(300)와 제2이동결합체(500)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된 후방하부그립부(800)는 상승하고, 후방상부그립부(900)는 소정 위치까지 하강하여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1고정결합체(200)와 제1이동결합체(300)의 내측과 상기 제2고정결합체(400)와 제2이동결합체(500)의 내측에 각각 양측판(S)을 세워서 투입한 다음 상기 양측판(S) 사이에 상판(T)을 세워서 투입하면, 상기 후방하부그립부(800)와 상기 후방상부그립부(900)가 작동하여 상기 양측판(S)과 상판(T)의 상,하부 모서리 부분을 잡아주게 된다.
먼저, 상기 후방하부그립부(800)의 작용은 상기 제1이동결합체(300) 및 제2이동결합체(500)의 하부패널(320)(520) 상부면에 수직으로 각각 설치된 승강실린더(S-810) 로드가 신장되면 상기 수직대(330)(53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50)(550)과 레일블록(812)에 의해 결합된 승강판체(810)가 일정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승강판체(810)에 설치되는 가이드블록(830)과 제1 및 제2그립수단(820)(840)도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승강판체(810)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그립수단(820)이 작동하여 상판(T)의 하부 내벽면을 지지하게 되는바, 상기 제1그립수단(820)의 작용은, 상기 승강판체(810)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실린더(S-820)의 로드를 축소시키면, 상기 로드에 결합된 이동대(822)가 승강판체(810)의 이동공(814) 내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이동대(822)에 설치된 취구(824)가 상판(T)의 하부 내벽면에 밀착되어 지지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승강판체(810)의 지지대(816) 상에 설치되는 제2그립수단(840)이 작동하여 상판(T)의 하부 외벽면에 밀착되는바, 상기 제2그립수단(840)의 작용은, 상기 승강판체 상에 설치되는 고정대(846) 전면과 밀대(844)의 전면에는 측판(S)의 후방 하단과 상판(T)의 하부 외벽면이 밀착되어 지지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그립수단(820)의 취구(824)와 상기 제2그립수단(840)의 밀대(844)에 의해 상판(T)의 하부 내/외벽면을 잡아주게 되며, 상기 고정대(846)에 의해 측판(S)의 후방 하단이 지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판(T)이 없는 개수대에는 씽크볼(도시하지 않음)이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일명 쫄대(J)가 조립되게 되는데, 상기 쫄대(J)를 측판(S)의 소정 위치에 체결할 경우에 상기 제2그립수단(840)의 구동모터(M-840)와 연동된 볼스크류(B-840)를 회전시켜 상기 볼스크류(B-840)에 결합된 스크류블록(842)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스크류블록(842)과 결합된 밀대(844)가 상기 고정대(846)에 지지된 상태로 안내되어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쫄대(J)의 후방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제1그립수단(8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취구(824)가 쫄대(J)의 전방에 밀착되어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후방상부그립부(900)의 작용은 상기 제1 및 제2이동결합체(300)(500)의 하부패널(320)(520)에 각각 설치된 제1승강모터(M-310)(M-510)와 연동되는 제1볼스크류(B-310)(B-510)의 회전에 의해 연결패널(910)이 하강하면서 상기 연결패널(910)에 설치된 완충실린더(S-910) 로드에 결합된 승강몸체(920)의 레일블록(922)이 상기 수직대(330)(53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50)(550)을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승강몸체(920)의 전방에 설치된 압착블록(924)이 측판(S)의 상부를 눌러서 고정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승강몸체(920)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블록(926)에 설치되는 제1그립수단(940)이 작동하여 상판(T)의 상부 외벽면을 지지하게 되는바, 상기 제1그립수단(940)의 작용은, 상기 지지블록(926)에 설치되는 안내봉(942) 상에 결합되는 이동실린더(S-940)가 작동하여 이동실린더(S-940) 자체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이동실린더(S-940)의 저면에 결합된 장착판체(942)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장착판체(942)에 설치된 밀착블록(943)이 상판(T)의 상부 외벽면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장착판체(942) 상에 설치되는 제2그립수단(950)이 작동하여 상판(T)의 상부 내벽면에 밀착되는바, 상기 제2그립수단(950)의 작용은, 장착대(952)에 설치된 밀착실린더(S-952) 로드가 신장되면서 삽입공(951)을 통과하여 하향 돌출되는 동시에 상기 장착판체(942)에 설치되는 당김실린더(S-950)의 로드가 축소되면서 상기 당김실린더(S-950)의 로드에 결합된 장착대(952)가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밀착실린더(S-952) 로드가 상판(T)의 상부 외벽면에 밀착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그립수단(940)의 밀착블록(943)과 상기 제2그립수단(950)의 밀착실린더(S-952) 로드에 의해 상판(T)의 상부 내/외벽면을 잡아주게 되며, 상기 승강몸체(920)에 형성된 압착블록(924)에 의해 측판(S)의 후방 상단이 지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판(T)이 없는 개수대에는 씽크볼(도시하지 않음)이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일명 쫄대(J)가 조립되게 되는데, 상기 쫄대(J)를 측판(S)의 소정 위치에 체결할 경우에는 상기 장착판체(942)의 저면에 설치된 받침수단(960)에 의해 쫄대(J)의 하부를 받쳐줘야 한다.
이에 따른 상기 받침수단(960)의 작용은, 상기 제1그립수단(940)의 지지판체(945) 저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M-940)와 연동된 볼스크류(B-940)를 회전시켜 상기 볼스크류(B-940)에 결합된 스크류블록(961)을 상승시키면, 상기 스크류블록(961)과 결합된 받침판체(963)가 가이드봉(944)에 결합된 볼베어링(962)에 의해 일정 높이까지 안정적으로 상승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받침판체(963)의 저면에 형성된 연장판(965)에 장착된 받침실린더(S-960) 로드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신장되면서 상기 로드가 쫄대(J)의 하부를 받쳐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구재의 소재로 사용되는 양측판(S)의 후방 상/하단과 상기 상판(T)의 상/하부, 내/외벽면이 상기 후방하부그립부(800)와 후방상부그립부(900)에 의해 잡혀진 상태가 되면, 상기 고정프레임(120)과 이동프레임(130)에 장착된 구동모터(M-120)(M-130)와 연동되는 볼스크류(B-120)(B-130)를 회전시켜 상기 제1 및 제2이동결합체(300)(5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상판(T)과 양측판(S)도 동시에 입력된 길이만큼 이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고정결합체(200)와 제2고정결합체(400)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된 전방상부그립부(700)가 소정 위치까지 하강하여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양측판(S)과 상판(T)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전방하부그립부(600)의 승강실린더(S-610) 로드는 축소되어 승강판체(610)가 내려와 있는 상태이며, 상기 승강판체(610)에 형성된 벽체(614)에 장착되어 있는 다수의 지지롤러(616) 상에 상기 양측판(S)의 하부가 안착되어 이동하기 때문에 마찰이 최소화 된 상태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이동결합체(300)(500)가 입력된 거리만큼 이동 후 정지하면, 상기 양측판(S)의 전방에 하판(L)을 세워서 투입하게 되고, 상기 전방하부그립부(600)와 상기 전방상부그립부(700)가 작동하여 상기 양측판(S)과 하판(L)의 상,하부 모서리 부분을 잡아주게 된다.
먼저, 상기 전방하부그립부(600)의 작용은 상기 제1고정결합체(200) 및 제2고정결합체(400)의 하부패널(220)(420) 상부면에 수직으로 각각 설치된 승강실린더(S-610) 로드가 신장되면 상기 수직대(230)(43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40)(440)과 레일블록(612)에 의해 결합된 승강판체(610)가 일정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승강판체(610)에 설치되는 가이드블록(630)과 제1 및 제2그립수단(620)(640)도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양측판(S)이 이동하면서 상기 승강판체(610)의 벽체(614)에 장착된 다수의 지지롤러(616)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상태에서 이동이 정지되기 때문에 상기 승강실린더(S-610)의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후 양측판(S) 사이에 하판(L)을 세워서 투입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승강판체(610)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그립수단(620)이 작동하여 하판(L)의 하부 내벽면을 지지하게 되는바, 상기 제1그립수단(620)의 작용은, 상기 승강판체(610)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실린더(S-620)의 로드를 축소시키면, 상기 로드에 결합된 이동대(622)가 승강판체(610)의 이동공(614) 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이동대(622)에 설치된 취구(624)가 하판(L)의 하부 내벽면에 밀착되어 지지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승강판체(610)의 가이드블록(630)에 설치되는 제2그립수단(640)이 작동하여 하판(L)의 하부 외벽면에 밀착되는바, 상기 제2그립수단(640)의 작용은, 상기 승강판체(610) 상에 설치되는 가이드블록(630)에 장착되는 제2실린더(S-640) 로드가 신장되면, 상기 로드에 결합된 밀착판(644)이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하판(L)의 하부 외벽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그립수단(620)의 취구(624)와 상기 제2그립수단(640)의 밀착판(644)에 의해 하판(L)의 하부 내/외벽면을 잡아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방상부그립부(700)의 작용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200)(400)의 하부패널(220)(420)에 설치된 제1승강모터(M-210)((M-410)와 연동되는 제1볼스크류(B-210)(B-410)의 회전에 의해 연결패널(710)이 하강하면서 상기 연결패널(710)에 설치된 완충실린더(S-710) 로드에 결합된 승강몸체(720)의 레일블록(722)이 상기 수직대(230)(43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50)(450)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상기 승강몸체(710)의 하부에 설치된 이동몸체(730)도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몸체(710) 저면에 설치된 풋싱실린더(S-720)의 로드가 신장되면서 상기 로드에 결합되고, 상부 전,후방에 가이드레일(732)이 형성된 이동몸체(730)가 상기 가이드레일(732)과 결합되는 승강몸체(710)의 레일블록(724)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몸체(730)에 설치된 압착블록(734)이 측판(S)의 상부를 눌러서 고정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이동몸체(730)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블록(736)에 설치되는 제1그립수단(740)이 작동하여 하판(L)의 상부 외벽면을 지지하게 되는바, 상기 제1그립수단(740)의 작용은, 상기 지지블록(736)에 설치되는 안내봉(742) 상에 결합되는 이동실린더(S-740)가 작동하여 이동실린더(S-740) 자체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이동실린더(S-740)의 저면에 결합된 장착판체(744)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장착판체(744)에 설치된 밀착블록(746)이 상판(T)의 상부 외벽면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장착판체(744) 상에 설치되는 제2그립수단(750)이 작동하여 하판(L)의 상부 내벽면에 밀착되는바, 상기 제2그립수단(750)의 작용은, 장착대(752)에 설치된 밀착실린더(S-752) 로드가 신장되면서 삽입공(751)을 통과하여 하향 돌출되는 동시에 상기 장착판체(744)에 설치되는 당김실린더(S-750)의 로드가 축소되면서 상기 당김실린더(S-750)의 로드에 결합된 장착대(752)가 전방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밀착실린더(S-752) 로드가 하판(L)의 상부 외벽면에 밀착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그립수단(740)의 밀착블록(746)과 상기 제2그립수단(750)의 밀착실린더(S-752) 로드에 의해 하판(L)의 상부 내/외벽면을 잡아주게 되며, 상기 이동몸체(730)에 형성된 압착블록(734)에 의해 측판(S)의 전방 상단이 지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양측판(S)의 상부 전,후단이 각각 눌려서 고정되고, 상판(T)과 하판(L)의 상,하부가 잡혀진 상태가 되면, 상기 이동프레임(130)을 이루는 복수의 이동지지판(132) 중 어느 하나의 이동지지판(132)에 설치되는 이동밀착부(140)가 작동하여 양측판(S)과 그 사이에 위치한 상,하판(T)(L)을 긴밀하게 밀착시키게 된다.
상기 이동밀착부(140)의 작용은, 먼저 메인프레임(110)의 볼스크류(B-110)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블록(143)에 설치된 연결판(142) 상의 밀착실린더(S-140) 로드가 신장되면, 상기 로드에 결합된 수직연결대(141)가 저면에 형성된 이동지지판(132)과 상기 이동지지판(132) 상부에 설치되는 이동틀(133)이 고정프레임(120)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고정결합체(400)와 제2이동결합체(500)도 동시에 상기 제1고정결합체(200)와 제1이동결합체(300) 쪽으로 이동하면서 양측판(S)과 그 사이에 위치한 상,하판(T)(L)이 완전하게 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양측판(S)과 상,하판(T)(L)이 완전하게 밀착되면,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200)(400)와 제1 및 제2이동결합체(300)(500)에 각각 설치된 나사공급부(1100)로부터 나사를 공급받은 나사체결부(1000)가 상/하,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하판(T)(L)이 위치된 양측판(S)의 측면에 각각 다수의 나사를 체결하여 사각틀 형태의 가구재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나사체결부(1000)의 작용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200)(400)와 제1 및 제2이동결합체(300)(500)에 각각 설치된 제2승강모터(M-220)(M-420)(M-320)(M-520)들과 각각 연동된 제2볼스크류(B-220)(B-420)(B-320)(B-52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2볼스크류(B-220)(B-420)(B-320)(B-520)에 결합되는 스크류블럭(1012)이 설치된 승강체(1010)가 승하강하여 나사를 체결할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승강체(1010)에 설치되는 이동체(1020)의 고정블록(1026)에 설치된 밀착실린더(1090)의 로드가 신장되어 상기 하우징(1040) 전체를 이동시켜 헤드부(1050)가 측판(S)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나사공급부(1100)로부터 공급되는 나사가 상기 헤드부(1050)로 공급되면, 상기 체결수단(1030)의 하우징(1040) 내부에 설치되는 드릴(1080)이 회전하는 동시에 체결실린더(1070)가 작동하여 로드를 신장시켜 상기 드릴(1080)을 헤드부(1050) 측으로 밀어 나사를 체결하는 작업을 여러 회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상기 측판(S)과 상,하판(T)(L)이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구재용 사각틀이 완성되면, 이를 다시 프레임부(100)의 전방으로 이송시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면 되는데, 그 작용은 먼저, 상기 이동밀착부(140)의 밀착실린더(S-140) 로드를 축소시켜 상기 로드에 결합된 수직연결대(141)가 저면에 형성된 이동지지판(132)과 상기 이동지지판(132) 상부에 설치되는 이동틀(133)이 원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고정결합체(400)와 제2이동결합체(500)도 동시에 이동하여 원위치되어 밀착이 풀리면서 양측판(S)의 양측에 소정의 틈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이동결합체(300)(500)에 대칭으로 각각 설치된 후방상부그립부(900)가 상기한 그립과정의 역순으로 작동하여 가구재용 사각틀의 후방 상부의 그립이 풀어지게 되며,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200)(400)에 대칭으로 각각 설치된 전방상부그립부(700)가 상기한 그립과정의 역순으로 작동하여 가구재용 사각틀의 전방 상부의 그립이 풀어지게 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200)(400)에 대칭으로 각각 설치된 전방하부그립부(600)가 상기한 그립과정의 역순으로 작동하여 가구재용 사각틀의 전방 하부의 그립이 풀어진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전방하부그립부(600)의 그립 해제는 먼저, 상기 제1그립수단(620)의 제1실린더(S-620)의 로드를 신장시켜 상기 로드에 결합된 이동대(622)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하판의 하부 내벽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제2그립수단(640)의 제2실린더(S-640) 로드가 축소되면서 이 로드에 결합된 밀착판(644)이 전방으로 당겨지면서 하판(L)의 하부 외벽면과 분리되어 그립이 해제가 되면,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200)(400)의 하부패널(220)(420)에 대칭으로 설치된 승강실린더(S-610)의 로드를 축소시켜 상기 승강판체(610)와 벽체(614)가 하강하도록 함에 따라 상기 벽체(614)에 설치된 다수의 지지롤러(616)가 사각틀의 하부와 동일한 높이로 원상복귀되어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20)과 이동프레임(130)에 각각 설치된 구동모터(M-120)(M-130)의 구동에 의해 볼스크류(B-120)(B-130)를 역회전시키면, 상기 볼스크류(B-120)(B-130)에 결합된 제1 및 제2이동결합체(300)(500)가 동시에 전방을 향해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1 및 제2이동결합체(300)(500)에 대칭으로 설치된 후방하부그립부(800)에 의해 사각틀의 후방 하부가 그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구동모터(M-120)(M-130)의 구동이 정지되면, 상기 제1 및 제2이동결합체(300)(500)에 대칭으로 설치된 후방하부그립부(800)가 상기한 그립과정의 역순으로 작동하여 가구재용 사각틀의 후방 하부의 그립이 풀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프레임(120)과 이동프레임(130)에 각각 설치된 상기 배출부(1200)가 작동하여 완성된 사각틀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부(1200)의 배출 또는 인출하는 작용은 먼저, 회동실린더(S-1200)가 작동하여 로드가 축소되면, 상기 로드에 결합된 작동대(1210)가 가이드대(1220)의 가이드홈(1222)을 따라 하강하게 되며, 상기 작동대(1210)의 힌지축(1212)이 연결편(1234)의 힌지공(1235)에 삽입, 결합된 회동체(1230)가 축볼트(1240)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동체(12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출대(1250)가 수평 상태로 펼쳐져 사각틀의 하부를 받쳐주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사각틀을 이루는 측판(S)의 전방이 배출대(1250)에 설치된 걸림블록(1260)에 도달하면, 상기 회동실린더(S-1200)가 작동하여 로드를 신장시키고, 그 작동에 의해 상기 작동대(1210)가 가이드대(1220)의 가이드홈(1222)을 따라 상승하게 되며, 상기 작동대(1210)의 힌지축(1212)이 연결편(1234)의 힌지공(1235)에 삽입, 결합된 회동체(1230)가 축볼트(1240)를 중심으로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상복귀되고, 상기 회동체(12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출대(1250)가 수직으로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대(1250)의 단부에는 걸림블록(1260)이 설치되어 있어 사각틀을 이루는 측판(S)의 전방과 하판(L)이 상기 걸림블록(1260)에 걸려 받치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사각틀이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게 되며, 이후 작업자가 사각틀을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은 가구재의 사각틀을 조립, 형성하는 시스템의 공정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동시에 적용해야 하는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여 설치비를 절감은 물론 고장이 생길 확률을 낮춰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절감을 할 수 있고, 시스템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공간활용도까지도 높여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발명인 것이다.
100 : 프레임부 110 : 메인프레임
120 : 고정프레임 122 : 고정틀
124 : 가이드봉 130 : 이동프레임
131 : 이동블록 132 : 이동지지판
133 : 이동틀 134 : 가이드봉
140 : 이동밀착부 141 : 수직연결대
142 : 연결판 143 : 이동블록
200 : 제1고정결합체 210, 220 : 상,하부패널
230 : 수직대 240 : 가이드봉
250 : 가이드레일
300 : 제1이동결합체 310, 320 : 상,하부패널
330 : 수직대 340 : 가이드봉
350 : 가이드레일 360 : 가이드블록
370 : 스크류블록
400 : 제2고정결합체 410, 420 : 상,하부패널
430 : 수직대 440 : 가이드봉
450 : 가이드레일
500 : 제2이동결합체 510, 520 : 상,하부패널
530 : 수직대 540 : 가이드봉
550 : 가이드레일 560 : 가이드블록
570 : 스크류블록
600 : 전방하부그립부 610 : 승강판체
620 : 제1그립수단 630 : 가이드블록
640 : 제2그립수단
700 : 전방상부그립부 710: 연결패널
720 : 승강몸체 730 : 이동몸체
740 : 제1그립수단 750 : 제2그립수단
800 : 후방하부그립부 810 : 승강판체
820 : 제1그립수단 830 : 가이드블록
840 : 제2그립수단
900 : 후방상부그립부 910 : 연결패널
920 : 승강몸체 940 : 제1그립수단
950 : 제2그립수단 960 : 받침수단
1000 : 나사체결부 1010 : 승강체
1020 : 이동체 1030 : 체결수단
1100 : 나사공급부
1200 : 배출부 1210 : 작동대
1220 : 가이드대 1230 : 회동체
1240 : 축볼트 1250 : 배출대
1260 : 걸림블록

Claims (13)

  1. 가구재를 구성하는 상,하판과 양측판을 사각틀 형태가 되게 자동으로 조립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프로파일을 소정 형태로 조립하여 형성되며, 상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좌,우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가이드봉이 설치되고, 후방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연동, 회전하는 볼스크류가 횡설된 메인프레임과, 다수의 프로파일을 사각틀 형태로 조립하여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다수의 프로파일을 사각틀 형태로 조립하여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제1고정결합체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되,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볼스크류에 결합되어 그 회전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제1이동결합체와;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 전방에 일체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고정결합체와;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되,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볼스크류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제2이동결합체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의 하부에 서로 대칭이 되게 설치되어 사각틀의 전방 양측 하부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는 전방하부그립부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의 상부에 서로 대칭이 되게 설치되어 사각틀의 전방 양측 상부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는 전방상부그립부와;
    상기 제1 및 제2이동결합체의 하부에 서로 대칭이 되게 설치되어 사각틀의 후방 양측 하부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는 후방하부그립부와;
    상기 제1 및 제2이동결합체의 상부에 서로 대칭이 되게 설치되어 사각틀의 후방 양측 상부 모서리 부분을 고정하는 후방상부그립부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와 제1 및 제2이동결합체에 각각 설치되어 상,하/전,후로 이동하며 양측판에 각각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양측판과 상,하판이 일체가 되어 가구재용 사각틀을 형성하는 나사체결부; 및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와 제1 및 제2이동결합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나사체결부에 나사를 공급하는 나사공급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다수의 프로파일을 사각틀 형태로 조립하여 형성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상부 양측에 전,후방 길이방향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봉과,
    상기 고정틀의 타측 내벽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동, 회전하는 볼스크류가 상기 고정틀의 내측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봉에 결합되는 복수의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이동지지판과,
    상기 복수의 이동지지판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프로파일을 사각틀 형태로 조립하여 형성되는 이동틀과,
    상기 이동틀의 상부 양측에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봉과,
    상기 이동틀의 일측 내벽에 장착된 구동모터과 연동, 회전하여 상기 제2이동결합체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볼스크류가 상기 이동틀의 내측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을 이루는 복수의 이동지지판 중 어느 하나의 이동지지판 저면에 설치되는 수직연결대와,
    상기 수직연결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지지판을 일측으로 밀거나 타측으로 당겨주는 밀착실린더와,
    상기 밀착실린더가 저면에 설치,고정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구동모터와 연동된 볼스크류에 결합되어 그 회전에 의해 좌,우 이동하는 이동블록으로 이루어진 이동밀착부가 상기 이동프레임 전체를 고정프레임 방향으로 밀어 가구재를 형성하는 양측판과 상,하판이 서로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는
    소정 면적 및 두께로 구비되는 상,하부패널과,
    상기 상,하부패널의 모서리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대와,
    상기 상,하부패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봉과,
    상기 상,하부패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볼스크류와,
    상기 수직대 중 내향되게 설치된 수직대의 전,후면에는 각각 수직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하부패널의 저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볼스크류를 연동,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승강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이동결합체는
    소정 면적 및 두께로 구비되는 상,하부패널과,
    상기 상,하부패널의 모서리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대와,
    상기 상,하부패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봉과,
    상기 상,하부패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볼스크류와,
    상기 수직대 중 내향되게 설치된 수직대의 전,후면에는 각각 수직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하부패널의 저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볼스크류를 연동,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승강모터와,
    상기 하부패널의 저면에 설치되어 고정프레임의 고정틀 또는 이동프레임의 이동틀에 각각 설치된 가이드봉과 결합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하부패널의 저면에 설치되어 고정프레임의 고정틀 또는 이동프레임의 이동틀에 각각 장착된 구동모터와 연동, 회전하는 볼스크류에 결합되는 스크류블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하부그립부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의 하부패널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의 수직대 전,후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전,후면에 레일블록이 각각 장착되고, 중간 부분에 형성된 벽체에는 다수의 지지롤러가 수평으로 장착되며, 상부면 타측에는 이동공이 소정 크기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이동공의 후방으로 핀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승강판체와,
    상기 승강판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실린더의 로드와 결합되어 전,후로 이동하여 하판의 하부 내벽면에 밀착되는 제1그립수단과,
    상기 제1그립수단의 전,후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승강판체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에 설치되어 전,후로 이동하여 하판의 하부 외벽면에 밀착되는 제2그립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립수단은,
    하단이 상기 승강판체의 이동공으로 하향 돌출되게 삽입되어 상기 제1실린더의 로드와 결합되며, 상부에는 수직으로 장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판의 내벽면과 접하는 취구와,
    상기 승강판체의 저면에 수직으로 설치하되, 로드가 상기 승강판체의 핀공으로 삽입된 후 상기 이동대의 장공으로 삽입되거나 이탈하여 상기 이동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동시에 이동대의 후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제한실린더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상부그립부는
    상기 제1 및 제2이동결합체의 하부패널에 각각 설치된 제1승강모터와 연동되는 제1볼스크류에 각각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스크류블록이 설치되고, 그 일측 또는 타측에 완충실린더가 저면에 설치되는 연결패널과,
    상기 완충실린더 로드가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이동결합체의 수직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레일블록이 전,후면에 각각 설치되고, 전방에는 측판의 상부를 눌러주는 압착블록이 장착되며, 저면 전,후방에 각각 지지블록이 수직으로 설치된 승강몸체와,
    상기 승강몸체의 지지블록에 결합되어 전,후로 이동하여 상판의 상부 외벽면에 밀착되는 제1그립수단과,
    상기 제1그립수단에 설치되어 전,후로 이동하여 상판의 상부 내벽면에 밀착되는 제2그립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결부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결합체와 제1 및 제2이동결합체의 하부패널에 각각 설치된 제2승강모터와 연동되는 제2볼스크류에 각각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스크류블록이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고, 각각의 가이드봉과 결합되는 복수의 가이드블록이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며,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전방 또는 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볼스크류의 양측으로 각각 한쌍의 안내봉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의 볼스크류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에 스크류블록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 양측에는 각각 고정블록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블록에 양측이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나사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이동체의 고정블록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장공 형태의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며, 중간 부분의 외주연에는 감지홈이 관통되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설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을 감싸듯이 설치되되, 어느 하나는 감지센서를 장착하여 이 감지센서가 상기 하우징의 감지홈 상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유동블록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체결실린더와,
    상기 체결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의 회전방지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걸림핀이 일체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후방 외주연에는 감지핀이 일체로 매립되게 설치된 드릴과,
    상기 이동체의 한쌍의 고정블록 중 일측의 고정블록에 고정되고, 신축되는 로드는 상기 한쌍의 유동블록 중 다른 하나의 유동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전체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헤드부가 측판의 외벽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고정프레임과 이동프레임의 전방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어 나사 체결되어 완성된 사각틀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는
    상기 고정프레임과 이동프레임의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회동실린더와,
    상기 회동실린더의 로드에 하부가 결합되어 승,하강하며, 상부 측면에는 힌지축이 일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된 작동대와,
    상기 작동대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전방으로 소정 깊이 단턱지게 회동홈을 형성하며, 상기 회동홈에는 축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가이드대와,
    상기 가이드대의 회동홈 내로 위치되며, 중앙에 축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외주연에는 각각 연결편과 체결편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편에는 힌지공을 장공형태로 관통되게 형성하여 상기 작동대의 힌지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체결편에는 복수의 체결공을 관통되게 형성한 회동체와,
    상기 가이드대의 축공과 상기 회동체의 축공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축공들을 삽입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대의 타측면으로 돌출된 단부에 너트(1242)가 체결되는 축볼트와,
    상기 회동체의 체결편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과 일치될 수 있도록 후방에 복수의 체결공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며, 일측면에 다수의 배출롤러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배출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배출대 전방 상부에 걸림블록을 설치하여 상기 회동체의 회동시 가구재 사각틀이 상기 걸림블록에 받쳐지도록 하여 배출대로부터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KR1020230131286A 2023-09-29 2023-09-29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KR102662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1286A KR102662045B1 (ko) 2023-09-29 2023-09-29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1286A KR102662045B1 (ko) 2023-09-29 2023-09-29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045B1 true KR102662045B1 (ko) 2024-04-30

Family

ID=9088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1286A KR102662045B1 (ko) 2023-09-29 2023-09-29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04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1978A (ja) * 2002-05-10 2003-11-21 Nec Saitama Ltd 外部接続用コネクタ及び保護カバ−構造並びに該構造を備える携帯電話機
KR20090103086A (ko) 2008-03-27 2009-10-01 문제정 가구재 조립 장치
KR20170131311A (ko) * 2017-11-10 2017-11-29 엄준호 핸드폰 충전 잭 보호 고정대
KR101938599B1 (ko) 2016-04-05 2019-04-10 문제정 가구재 제조용 자동화시스템
KR20200001134U (ko) * 2018-11-23 2020-06-02 김동훈 휴대폰 거치대충전기
KR102258661B1 (ko) 2019-08-21 2021-05-31 문제정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JP7033008B2 (ja) * 2018-05-31 2022-03-09 アンリツ株式会社 近傍界測定装置及び近傍界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1978A (ja) * 2002-05-10 2003-11-21 Nec Saitama Ltd 外部接続用コネクタ及び保護カバ−構造並びに該構造を備える携帯電話機
KR20090103086A (ko) 2008-03-27 2009-10-01 문제정 가구재 조립 장치
KR101938599B1 (ko) 2016-04-05 2019-04-10 문제정 가구재 제조용 자동화시스템
KR20170131311A (ko) * 2017-11-10 2017-11-29 엄준호 핸드폰 충전 잭 보호 고정대
JP7033008B2 (ja) * 2018-05-31 2022-03-09 アンリツ株式会社 近傍界測定装置及び近傍界測定方法
KR20200001134U (ko) * 2018-11-23 2020-06-02 김동훈 휴대폰 거치대충전기
KR102258661B1 (ko) 2019-08-21 2021-05-31 문제정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546698U (zh) 一种层板四头钻孔倒角机
KR102662045B1 (ko) 가구재용 사각틀 자동화 조립시스템
CN113666071B (zh) 一种板材生产线用的堆叠装置
CN215993254U (zh) 一种高度可调式立体仓库
KR102258661B1 (ko)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CN113247472A (zh) 一种便于移动的装配式环保集装箱
CN209875660U (zh) 一种木制品的连接结构
CN211392585U (zh) 一种可调节的物流货架
CN210453276U (zh) 一种石材加工用切割装置
CN109454278B (zh) 立式双面铣床
RU205390U1 (ru) Стол для укладки керна
CN220702179U (zh) 一种物流仓储货架用升降结构
KR102062910B1 (ko) 가구 서랍 제조장치
CN215477791U (zh) 建筑施工楼层内材料输送轨道小车
CN219739751U (zh) 一种组装式变压站机箱
CN217743612U (zh) 一种板料存放架
CN215347788U (zh) 一种机械零件用升降式仓储货架
CN205873141U (zh) 一种新型滑轨顶升机构
CN210039552U (zh) 人力资源管理的信息展示架
CN217852152U (zh) 方便取放的卷烟成品展览柜
CN214503169U (zh) 一种建筑检测用钢材强度检测装置
CN215056528U (zh) 一种带有升降式高贴合度的上门框连接装置
CN216138005U (zh) 一种高效的管机自动上料辅助装置
CN220536628U (zh) 一种防止货品掉落的货架
CN215271288U (zh) 一种拉门工作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