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662B1 -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662B1
KR102258662B1 KR1020190102432A KR20190102432A KR102258662B1 KR 102258662 B1 KR102258662 B1 KR 102258662B1 KR 1020190102432 A KR1020190102432 A KR 1020190102432A KR 20190102432 A KR20190102432 A KR 20190102432A KR 102258662 B1 KR102258662 B1 KR 102258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astening
pair
moving body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2970A (ko
Inventor
문제정
Original Assignee
문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제정 filed Critical 문제정
Priority to KR1020190102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662B1/ko
Publication of KR20210022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02Nailing machines
    • B27F7/025Nailing machines for inserting joint-n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02Nailing machines
    • B27F7/05Driving means
    • B27F7/09Driving means operated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15/00Boring or turning tools; Augers
    • B27G15/02Drills for undercut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23/00Gauging means specially designed for adjusting of tools or guides, e.g. adjusting cutting blades in cutter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27M3/007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characterised by nailing, stapling or screwing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1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urniture or of do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볼스크류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몸체 상에 설치된 천공부와 체결부 및 흡착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천공부에 의해 가구재의 사각틀을 형성하는 상판과 측판 또는 하판과 측판의 소정 위치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상기 체결부에 의해 나사를 순차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각틀의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사각틀을 체결 및 조립하는 장치의 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생산단가를 낮춰 경쟁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나사가 돌출되지 않도록 체결할 수 있어 제품의 완성도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Fastening device for assembly of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재로 사용되는 판재들을 육면체 형태의 사각틀로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각틀을 형성하는 상,하판과 양측판의 모서리를 서로 맞대어 고정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구멍을 뚫고 이 구멍에 나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인건비를 절감하여 생산단가를 낮춰 제품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가구재는 각종 물품을 진열 및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목재로 된 판재를 이용하여 직육면체 형태의 사각틀로 가공하여 제공되며, 그 용도에 따라 내부에 선반을 설치하거나 개방된 전방에 도어를 설치하여 서랍장이나 신발장 또는 장농 및 씽크대로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 가구재는 소정 두께 및 면적으로 제공되는 상,하판과 양측판을 서로 체결하여 사각틀을 형성한 다음 후방에 후면판을 타카로 고정하고, 내부에는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선반을 설치하며, 전방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를 설치된다.
종래에는 상기 사각틀을 가공하기 위해 작업자가 상,하판과 양측판을 일일이 나사로 체결하였기 때문에 생산성 및 작업 능률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바 있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3086호의 가구재 조립장치는 부품의 수가 많고 설치가 매우 까다로워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공정 또한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이 다시 제안한 등록특허공보 제10-1938599호의 가구재 제조용 자동화시스템은 가구재를 생산하는 모든 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는 있었으나, 상기 자동화시스템 중 상,하판과 양측판을 조립하는 제3가공부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부품의 수가 많아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상기 제3가공부의 나사체결장치는 다수를 구비하여 상,하판과 양측판을 나사로 체결할 수 있는 구조로서, 다수의 구성 부품에 의해 조립 및 설치가 까다롭고 설비 단가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나사를 이요하여 직결로 체결, 조립함으로써, 상기 나사가 측판으로부터 돌출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3086호 등록특허공보 제10-1938599호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볼스크류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몸체 상에 설치된 천공부와 체결부 및 흡착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천공부에 의해 가구재의 사각틀을 형성하는 상판과 측판 또는 하판과 측판의 소정 위치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상기 체결부에 의해 나사를 순차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각틀의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사각틀을 체결 및 조립하는 장치의 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생산단가를 낮춰 경쟁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나사가 돌출되지 않도록 체결할 수 있어 제품의 완성도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동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는 결합블록이 설치되며, 상부에는 한쌍의 고정블록이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고정블록의 양측면 상,하부에 각각 결합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의 고정블록 상의 하부에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구재의 사각틀을 형성하는 상판과 측판 또는 하판과 측판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천공부와; 상기 이동몸체의 고정블록 상의 상부에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천공부에 의해 형성된 구멍에 나사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천공부는 원통형 단관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이동몸체의 한쌍의 고정블록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장공 형태의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며, 후방 중간 부분의 외주연에는 감지홈이 관통되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설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을 감싸듯이 설치되되, 어느 하나는 감지센서를 장착하여 이 감지센서가 상기 하우징의 감지홈 상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유동블록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타공실린더와, 상기 타공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의 회전방지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걸림핀이 일체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후방 외주연에는 감지핀이 일체로 매립되게 설치된 드릴과, 상기 이동몸체의 한쌍의 고정블록 중 일측의 고정블록에 고정되고, 신축되는 로드는 상기 한쌍의 유동블록 중 다른 하나의 유동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전체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헤드부가 측판의 외벽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체결부는 원통형 단관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이동몸체의 한쌍의 고정블록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장공 형태의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며, 후방 중간 부분의 외주연에는 감지홈이 관통되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설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을 감싸듯이 설치되되, 어느 하나는 감지센서를 장착하여 이 감지센서가 상기 하우징의 감지홈 상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유동블록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체결실린더와, 상기 체결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의 회전방지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걸림핀이 일체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후방 외주연에는 감지핀이 일체로 매립되게 설치된 드릴과, 상기 이동몸체의 한쌍의 고정블록 중 일측의 고정블록에 고정되고, 신축되는 로드는 상기 한쌍의 유동블록 중 다른 하나의 유동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전체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헤드부가 측판의 외벽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천공부와 체결부에 의해 측판이 밀려나지 않도록 잡아주는 흡착부를 더 설치하되, 상기 흡착부는 상기 이동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밀착실린더와, 상기 밀착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어 공기 흡입에 의해 측판을 흡입하여 고정하는 흡착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가구재를 형성하는 사각틀의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사각틀을 체결 및 조립하는 장치의 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생산단가를 낮춰 경쟁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나사가 돌출되지 않도록 체결할 수 있어 제품의 완성도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를 도시해 보인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를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를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의 요부인 천공부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인 정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의 요부인 체결부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인 정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의 평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의 요부인 흡착부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인 정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는 일정 면적 및 두께로 제공되는 상,하판(10)(20)과 좌,우 측판(30)을 사각틀 형태가 되게 자동으로 나사 체결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구동모터(100)와 볼스크류(200), 이동몸체(1000), 천공부(1100), 체결부(1200) 및 흡착부(13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10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를 통해 회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볼스크류(200)를 연동시켜 상기 이동몸체(100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별도로 구비되는 프레임(도시하지 않음) 상에 견고하게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볼스크류(200)는 상기 구동모터(100)와 연동되게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몸체(100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소정 길이로 구비되어 프레임에 설치된다.
상기 이동몸체(1000)는 상부에 설치되는 천공부(1100)와 체결부(1200) 및 흡착부(1300)를 상기 구동모터(100)와 연동되는 볼스크류(200)의 회전에 의해 전,후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소정 면적 및 두께로 제공되는 금속판체의 하부에 상기 볼스크류(2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결합블록(1010)이 설치되며, 상부에는 한쌍의 고정블록(1020)이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몸체(10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블록(1020)은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양측면을 관통하는 결합공(1022)이 상,하부에 형성되어 있어 후술되는 천공부(1100) 및 체결부(1200)의 하우징(1110)(1210)이 각각 삽입, 결합되게 된다.
상기 천공부(1100)는 상기 이동몸체(1000)의 한쌍의 고정블록(102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공(1022)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구재의 사각틀을 형성하는 상판(10)과 측판(30) 또는 하판(20)과 측판(30)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천공부(1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원통형 단관 형태로 구비되며, 하부에는 장공 형태의 회전방지홈(1112)이 형성되며, 후방 중간 부분의 외주연에는 감지홈(1114)이 관통되게 형성된 하우징(1110)과, 상기 하우징(1110)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헤드부(1120)와, 상기 하우징(1110)의 외주연을 감싸듯이 설치되되, 어느 하나는 감지센서(1132)를 장착하여 이 감지센서(1132)가 상기 하우징(1110)의 감지홈(1114) 상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유동블록(1130)과,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타공실린더(1140)와, 상기 타공실린더(1140)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110)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1110)의 회전방지홈(11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걸림핀(1152)이 일체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후방 외주연에는 감지핀(1154)이 일체로 매립되게 설치된 드릴(1150)과, 상기 이동몸체(1000)의 한쌍의 고정블록(1020) 중 일측의 고정블록(1020)에 고정되고, 신축되는 로드는 상기 한쌍의 유동블록(1130) 중 다른 하나의 유동블록(1130)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110) 전체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헤드부(1120)가 측판(30)의 외벽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실린더(116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헤드부(1120)의 외주연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관(1122)이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 연결관에 호스(H)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호스(H)의 타단은 집진부(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게 설치하여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여 주변 환경을 청결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70은 상기 하우징(1110)의 타단부를 밀폐시키는 마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체결부(1200)는 상기 이동몸체(1000)의 한쌍의 고정블록(102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공(1022)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천공부(1100)에 의해 형성된 구멍에 나사를 자동으로 체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12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원통형 단관 형태로 구비되며, 하부에는 장공 형태의 회전방지홈(1212)이 형성되며, 후방 중간 부분의 외주연에는 감지홈(1214)이 관통되게 형성된 하우징(1210)과, 상기 하우징(1210)의 단부에 설치되는 헤드부(1220)와, 상기 하우징(1210)의 외주연을 감싸듯이 설치되되, 어느 하나는 감지센서(1232)를 장착하여 이 감지센서(1232)가 상기 하우징(1210)의 감지홈(1214) 상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유동블록(1230)과, 상기 하우징(12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체결실린더(1240)와, 상기 체결실린더(1240)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210)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1210)의 회전방지홈(12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걸림핀(1252)이 일체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후방 외주연에는 감지핀(1254)이 일체로 매립되게 설치된 드릴(1250)과, 상기 이동몸체(1000)의 한쌍의 고정블록(1020) 중 일측의 고정블록(1020)에 고정되고, 신축되는 로드는 상기 한쌍의 유동블록(1230) 중 다른 하나의 유동블록(1230)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210) 전체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헤드부(1220)가 측판(30)의 외벽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실린더(126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헤드부(1220)의 외주연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관(1222)이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 연결관에 호스(H')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호스(H')의 타단은 나사공급부(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게 설치하여 상기 헤드부(1220)에 나사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헤드부(1220)의 내주연에는 다수의 스프링(1224)의 탄성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다수의 볼(1226)을 설치하여 상기 볼(1226)에 의해 나사의 머리를 잡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의 전단부 내측에는 나팔관(1228)을 설치하되, 상기 나팔관(1228)은 자체 탄성을 갖는 얇은 금속판을 나팔 형태로 가공하여 구비되어 상기 드릴(1250)로 나사를 회전시킬 때 나사의 몸통부분을 잡아주어 수평으로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도면상 미설명 부호 1270은 상기 하우징(1210)의 타단부를 밀폐시키는 마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흡착부(1300)는 상기 이동몸체(100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천공부(1100)와 체결부(1200)에 의해 측판(30)이 밀려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몸체(10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밀착실린더(1310)와, 상기 밀착실린더(1310)의 로드에 결합되어 공기 흡입에 의해 측판(30)을 흡입하여 고정하는 흡착판(13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의 작용은 먼저, 상기 상판(10)과 측판(30) 또는 하판(20)과 측판(30)의 모서리가 서로 맞물려 있는 상태가 되면 상기 이동몸체(1000)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고정블록(1020)에 설치된 밀착실린더(1160)의 로드가 신장되어 상기 하우징(1110) 전체를 이동시켜 헤드부(1120)가 측판(3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몸체(940) 상의 천공부(1100)의 하우징(1110) 내부에 설치되는 드릴(1150)이 회전하는 동시에 타공실린더(1140)가 작동하여 로드를 신장시켜 상기 드릴(1150)을 헤드부(1120) 측으로 밀어 상기 드릴(1150)에 설치된 비트가 측판(30)을 관통한 후 상판(10)또는 하판(20)까지 소정 깊이의 구멍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몸체(1000)의 상부에 설치된 흡착부(1300)의 밀착실린더(1310)가 작동하여 흡착판(1320)이 상기 측판(30)의 외측면을 흡착하여 밀려나지 않도록 잡아줌으로써 상기 구멍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헤드부(1120)와 호스(1122)로 연결된 상기 집진부가 작동하여 상기 드릴(115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여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승강몸체(1000)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체결부(1200)의 헤드부(1220)가 상기 구멍의 높이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이동몸체(1000)의 고정블록(1020)에 설치된 밀착실린더(1260)의 로드를 신장시켜 상기 하우징(1210) 전체를 이동시켜 헤드부(1220)가 측판(3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나사공급부로부터 호스(1222)를 통해 상기 헤드부(1220)에 나사를 공급한 후 상기 이동몸체(1000) 상의 체결부(1200)의 하우징(1210) 내부에 설치되는 드릴(1250)이 회전하는 동시에 체결실린더(1240)가 작동하여 로드를 신장시켜 상기 드릴(1250)을 헤드부(1220) 측으로 밀어 상기 구멍에 나사를 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는 가구재를 형성하는 사각틀의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사각틀을 체결 및 조립하는 장치의 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생산단가를 낮춰 경쟁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나사가 돌출되지 않도록 체결할 수 있어 제품의 완성도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발명인 것이다.
100 : 구동모터 200 : 볼스크류
1000 : 이동몸체 1010 : 결합블록
1020 : 고정블록 1100 : 천공부
1200 : 체결부 1110, 1210 : 하우징
1112, 1212 : 회전방지홈 1114, 1214 : 감지홈
1120, 1220 : 헤드부 1122, 1222 : 연결관
1130, 1230 : 유동블록 1150, 1250 : 드릴
1152, 1252 : 걸림핀 1154, 1254 : 감지핀
1160, 1260 : 밀착실린더 H, H' : 호스
1300 : 흡착부 1310 : 밀착실린더
1320 : 흡착판

Claims (4)

  1.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동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는 결합블록이 설치되며, 상부에는 한쌍의 고정블록이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고정블록의 양측면 상,하부에 각각 결합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의 고정블록 상의 하부에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구재의 사각틀을 형성하는 상판과 측판 또는 하판과 측판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천공부와; 상기 이동몸체의 고정블록 상의 상부에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천공부에 의해 형성된 구멍에 나사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천공부는,
    원통형 단관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이동몸체의 한쌍의 고정블록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장공 형태의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며, 후방 중간 부분의 외주연에는 감지홈이 관통되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설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을 감싸듯이 설치되되, 어느 하나는 감지센서를 장착하여 이 감지센서가 상기 하우징의 감지홈 상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유동블록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타공실린더와,
    상기 타공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의 회전방지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걸림핀이 일체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후방 외주연에는 감지핀이 일체로 매립되게 설치된 드릴과,
    상기 이동몸체의 한쌍의 고정블록 중 일측의 고정블록에 고정되고, 신축되는 로드는 상기 한쌍의 유동블록 중 다른 하나의 유동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전체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헤드부가 측판의 외벽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원통형 단관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이동몸체의 한쌍의 고정블록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장공 형태의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며, 후방 중간 부분의 외주연에는 감지홈이 관통되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설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을 감싸듯이 설치되되, 어느 하나는 감지센서를 장착하여 이 감지센서가 상기 하우징의 감지홈 상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유동블록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체결실린더와,
    상기 체결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의 회전방지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걸림핀이 일체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후방 외주연에는 감지핀이 일체로 매립되게 설치된 드릴과,
    상기 이동몸체의 한쌍의 고정블록 중 일측의 고정블록에 고정되고, 신축되는 로드는 상기 한쌍의 유동블록 중 다른 하나의 유동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전체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헤드부가 측판의 외벽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
  4. 삭제
KR1020190102432A 2019-08-21 2019-08-21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 KR102258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432A KR102258662B1 (ko) 2019-08-21 2019-08-21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432A KR102258662B1 (ko) 2019-08-21 2019-08-21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970A KR20210022970A (ko) 2021-03-04
KR102258662B1 true KR102258662B1 (ko) 2021-05-31

Family

ID=75174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432A KR102258662B1 (ko) 2019-08-21 2019-08-21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6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599B1 (ko) * 2016-04-05 2019-04-10 문제정 가구재 제조용 자동화시스템
JP7033008B2 (ja) * 2018-05-31 2022-03-09 アンリツ株式会社 近傍界測定装置及び近傍界測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3086A (ko) 2008-03-27 2009-10-01 문제정 가구재 조립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599B1 (ko) * 2016-04-05 2019-04-10 문제정 가구재 제조용 자동화시스템
JP7033008B2 (ja) * 2018-05-31 2022-03-09 アンリツ株式会社 近傍界測定装置及び近傍界測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970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2404B2 (en) Support device
US9403247B2 (en) Screw tightening rubbish vacuum
KR102258662B1 (ko) 가구재 조립용 체결장치
JP2015521115A (ja) クレセントブラケットの自動取付装置
KR102258661B1 (ko) 가구재용 사각틀 조립시스템
KR101163761B1 (ko) 회전식 창문 개폐장치
WO2015139616A1 (zh) 带有卡合机构的自移动装置
US9925652B2 (en) Magazine attachment and fastening system
US9352390B2 (en) Vacuum container and vacuum form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090103086A (ko) 가구재 조립 장치
JP2015223470A (ja) 壁付け収納家具の組立て据付け方法
CN209440036U (zh) 夹持式防水定位治具
KR101493197B1 (ko) 가구재 조립 장치
CN208705543U (zh) 一种镜头组装机
EP2302157A1 (en) Frame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KR100898184B1 (ko) 벽걸이컴퓨터케이스
CN216535105U (zh) 一种除尘房清尘设备
US20160221179A1 (en) Air tool storage rail
CN213928203U (zh) 一种感应报警功能的通道门设备
JP2012139412A (ja) 家具と建物面との間の隙間閉塞装置
CN212385458U (zh) 一种装饰装修安装工程工具箱
JP2018204175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
JPH0541125Y2 (ko)
JP2009243047A (ja) 枠体の取付方法及び枠体ユニット
KR20120005128U (ko) 가구용 패널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