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196B1 -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196B1
KR102409196B1 KR1020210154920A KR20210154920A KR102409196B1 KR 102409196 B1 KR102409196 B1 KR 102409196B1 KR 1020210154920 A KR1020210154920 A KR 1020210154920A KR 20210154920 A KR20210154920 A KR 20210154920A KR 102409196 B1 KR102409196 B1 KR 102409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s
packing box
sheet
sepa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래용
Original Assignee
이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용 filed Critical 이래용
Priority to KR1020210154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3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by elements, e.g. fingers, plates, rollers, inserted or traversed between articles to be separated and remainder of the pile
    • B65H3/32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by elements, e.g. fingers, plates, rollers, inserted or traversed between articles to be separated and remainder of the pile for separating a part of the pile, i.e. several articles at o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ntrolled by height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5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in or on special supports
    • B65H2301/42256Pallets; Skids; Platforms with feet, i.e. handled together with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65H2301/423245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the pile lying on a stationary support, i.e. the separator moving according to the decreasing height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팔레트에 적재된 포장박스용 시트를 일정량씩 팔레트로부터 분리하여 블랭크 매거진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과, 포장박스용 시트들이 적층된 팔레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터 테이블과, 상기 리프터 테이블에 안착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일측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과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사이를 왕복으로 이동하는 시트정렬유닛과, 상기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후면에서 적층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사이로 투입되어 이송할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전체를 분리하는 한 쌍의 이격바가 포함된 분리유닛과, 상기 한 쌍의 이격바에 의해 분리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을 거치하여 블랭크 매거진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후크바가 포함된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기적으로 팔레트에 적재된 포장박스용 시트들 중 일정량을 분리하여 블랭크 매거진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블랭크 매거진에 수납된 포장박스용 시트의 수량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AUTOMATIC FEEDING DEVICE OF SHEET FOR PACKING BOX}
본 발명은 포장박스용 시트를 블랭크 매거진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팔레트에 적재된 포장박스용 시트를 일정량씩 팔레트로부터 분리하여 블랭크 매거진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종이재 원단을 이용하여 일정한 형태로 재단하여 적정규격으로 절곡과 절취를 위한 가공공정을 거치게 된다. 가공이 완료된 포장박스용 시트는 팔레트에 적재되어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에 납품된다.
이러한 팔레트에 적층된 다수의 포장박스용 시트를 수작업으로 블랭크 매거진에 공급하려면 작업자의 노동력이 많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여 안내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재에 상승 및 하강 운동을 하는 복수 개의 에어실린더를 설치하고, 에어실린더의 끝단에 포장박스를 진공흡착하기 위한 진공패드를 설치하여 포장박스를 진공 흡착하여 이송하는 제품 포장용 박스의 자동투입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0241호의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다수의 포장박스를 낙하시켜 일렬로 정렬하기 어렵고, 낙하된 다수의 포장박스가 달라붙거나 흐트러져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1711호(2014.08.1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5795호(2014.10.0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0241호(2012.03.2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63341호(2021.06.09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랭크 매거진에 수납된 포장박스용 시트의 수량이 일정 개수 이상으로 꾸준히 유지되도록 팔레트에 적층된 다수의 포장박스용 시트 중 일부의 포장박스용 시트를 분리하여 블랭크 매거진으로 공급하는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외형을 제공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포장박스용 시트들이 적층된 팔레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터 테이블과, 상기 리프터 테이블에 안착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과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사이를 왕복으로 이동하는 시트정렬유닛과, 상기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후면에서 적층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사이로 투입되고 포장박스용 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팔레트에 적재된 포장박스용 시트들로부터 이송할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전체를 분리하는 한 쌍의 이격바가 포함된 분리유닛, 및 상기 한 쌍의 이격바에 의해 분리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을 거치하여 블랭크 매거진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후크바가 포함된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기적으로 팔레트에 적재된 포장박스용 시트들 중 일정량을 분리하여 블랭크 매거진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블랭크 매거진에 수납된 포장박스용 시트의 수량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작업을 배제한 자동화 공정으로 인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팔레트에 적재된 포장박스용 시트의 움직임을 제한한 상태에서 블랭크 매거진으로 공급하므로, 포장박스용 시트가 흐트러짐 없이 정렬된 상태로 블랭크 매거진에 적재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팔레트에 적재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간격을 2개의 간격조절장치로 이격시킨 후, 포장박스용 시트를 상승시키는 후크유닛을 투입하기 때문에 포장박스용 시트의 이송과정 중에 포장박스용 시트의 손상이 억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에 대한 전기적 연결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이하,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라고 약칭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에 대한 전기적 연결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는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의 외형을 제공하는 하우징(100)과, 포장박스용 시트들이 적층된 팔레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터 테이블(200)과, 상기 리프터 테이블(200)에 안착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을 정렬시키는 시트정렬유닛(300)과, 이송 대상인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전체를 팔레트에 적층된 포장박스용 시트들로부터 분리하는 분리유닛(400), 및 이송 대상인 포장박스용 시트들을 거치하여 블랭크 매거진(B)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유닛(500)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사이로 간격확장바를 내삽시켜 이송 대상인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말단을 팔레트에 적층된 포장박스용 시트들로부터 분할하는 분할유닛(600)과, 블랭크 매거진(B)에 보관된 포장박스용 시트를 감지하여 공급요청신호를 생성하는 시트감지센서(700)와, 상기 공급요청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블랭크 매거진(B)으로 포장박스용 시트가 공급되도록 리프터 테이블(200), 시트정렬유닛(300), 분할유닛(600), 분리유닛(400), 및 이송유닛(500)을 제어하는 제어반(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는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외형을 제공하는 것으로, 직육면체형 프레임이 나사를 통해 서로 결합되며 시트정렬유닛(300), 분할유닛(600), 분리유닛(400), 및 이송유닛(500)의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거치된 복수개의 기둥 프레임과, 각 기둥 프레임의 상단으로 연결하도록 기둥 프레임과 기둥 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지붕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는 리프터 테이블(200)을 포함한다.
상기 리프터 테이블(2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포장박스용 시트들이 적층된 팔레트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또한, 리프터 테이블(200)은 시트정렬유닛(300), 분할유닛(600), 분리유닛(400), 및 이송유닛(500)이 미리 지정된 위치에서 팔레트에 적층된 포장박스용 시트들로부터 블랭크 매거진(B)으로 이송할 포장박스용 시트들을 분리할 수 있도록 팔레트에 남아 있는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수량에 따라 승강 위치를 조정한다.
이를 위해, 리프터 테이블(200)에 인접한 하우징(100)에는 리프터 테이블(200)에 안착된 포장박스용 시트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된 높이측정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지면과 가까운 위치로부터 순차적으로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5개의 높이측정센서가 설치된 경우, 제어반(800)은 전체의 높이측정센서로부터 모두 센싱정보가 수신되면 팔레트에 기준 수량의 포장박스용 시트가 구비된 것으로 분석하여 팔레트의 승강을 미리 설정된 단계에서 최소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제어반(800)은 최하단의 높이측정센서에서만 센싱정보가 수신되면 팔레트에 소량의 포장박스용 시트가 구비된 것으로 분석하여 팔레트의 승강을 미리 설정된 단계에서 최대 단계로 진행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터 테이블(200)은 팔레트가 안착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에 연결되며 하우징(100)의 상,하부에 장착된 상,하부 풀리에 연결된 체인과, 상기 하부 풀리를 구동하도록 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터 테이블(200)은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체인이 정회전되면 팔레트가 안착된 받침판이 승강되고,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체인이 역회전되면 팔레트가 안착된 받침판이 하강된다. 이때, 구동모터는 제어반(80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는 팔레트 공급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팔레트 공급유닛은 포장박스용 시트가 적층된 팔레트가 리프터 테이블(200)에 공급되도록 상기 팔레트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말단이 리프터 테이블(200)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팔레트 공급유닛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롤러와, 상기 롤러에 벨트 연결되며 회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팔레트 공급유닛은 지게차에 의해 롤러의 상부로 팔레트가 공급되면, 팔레트를 리프터 테이블(200)로 이동시킨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는 시트정렬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정렬유닛(300)은 리프터 테이블(20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팔레트에 적층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이 정렬되도록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전면에서 포장박스용 시트들을 향하여 압력을 제공한다.
또한, 시트정렬유닛(300)은 리프터 테이블(200)에 안착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하우징(100)과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사이를 왕복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시트정렬유닛(300)은 분리유닛(400)이나 분할유닛(600)에 의해 블랭크 매거진(B)으로 이송될 포장박스용 시트들이 리프터 테이블(200)에 안착된 포장박스용 시트들로부터 이격되기 전에 포장박스용 시트의 전면을 가압하여 팔레트에 적층된 모든 포장박스용 시트를 동일한 위치로 정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아울러, 시트정렬유닛(300)은 분리유닛(400)에 의해 외력이 포장박스용 시트들로 공급되더라도 포장박스용 시트들이 외력이 작용하는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전면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정렬유닛(300)은 제1 구동기구(310) 및 가압판(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구동기구(310)는 리프터 테이블(200)에 의해 하우징(100)의 상부로 승강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전면을 마주보도록 하우징(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어반(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반(800)의 제어에 따라 포장박스용 시트의 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1 구동기구(310)로는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전동실린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는 분리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유닛(400)은 리프터 테이블(200)의 상측에 배치되며 분할유닛(600) 주위의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후면에서 적층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사이로 투입되고 포장박스용 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팔레트에 적재된 포장박스용 시트들로부터 이송할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전체를 분리하는 한 쌍의 이격바가 포함된다.
이러한 분리유닛(400)은 분할유닛(600)이 미설치된 경우 서로 밀착된 주 집단(이송할 포장박스용 시트들을 제외한 나머지 포장박스용 시트들)과 이송 집단(이송할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사이로 한 쌍의 이격바를 투입하여 주 집단과 이송 집단을 이격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분리유닛(400)은 분할유닛(600)이 설치된 경우 분할유닛(600)에 의해 주 집단과 이송 집단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에 한 쌍의 이격바를 투입하여 이격 공간을 확장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분리유닛(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 내측체인(430) 및 제2 내측체인(440)과, 상기 제1 내측체인(430)과 제2 내측체인(44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2 내측체인(430,440)의 궤도 운동에 따라 간격확장바(610)가 내삽된 공간으로 투입되는 제1 이격바(410)와, 상기 제1,2 내측체인(430,440)의 외부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2 외측체인(450,460)과, 상기 제1 외측체인(450)과 제2 외측체인(46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2 외측체인(450,460)의 궤도 운동에 따라 상기 간격확장바(610)가 내삽된 공간으로 투입되는 제2 이격바(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내측체인(430,440)은 제1 이격바(41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1 이격바(410)의 일단은 제1 내측체인(430)에 연결되며, 제1 이격바(410)의 타단은 제2 내측체인(440)에 연결된다.
또한, 제2 내측체인(440)은 제1 내측체인(430)과의 사이에 포장박스용 시트들이 배치될 수 있는 간격을 갖도록 하우징(100)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제1 내측체인(430)은 리프터 테이블(200)에 안착된 포장박스용 시트의 좌측에 설치되며, 제2 내측체인(440)은 리프터 테이블(200)에 안착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우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이격바(410)는 리프터 테이블(200)에 안착된 포장박스용 시트들 중 주 집단과 이송 집단이 구분되도록 제1,2 내측체인(430,440)을 따라 주 집단과 이송 집단 사이로 투입되어 이송 집단을 주 집단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상기 제1,2 외측체인(450,460)은 제2 이격바(42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2 이격바(420)의 일단은 제1 외측체인(450)에 연결되며, 제2 이격바(420)의 타단은 제2 외측체인(460)에 연결된다.
또한, 제1,2 외측체인(450,460)은 제1,2 내측체인(430,440)과 중첩되지 않도록 포장박스용 시트들을 중심으로 제1,2 내측체인(430,440)의 바깥쪽에 설치된다. 예컨대, 제1 외측체인(450)은 제1 내측체인(430)의 좌측에 설치되며, 제2 외측체인(460)은 제2 내측체인(440)의 우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2 이격바(420)는 제1 이격바(410)와 함께 이송 집단을 주 집단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제1,2 외측체인(450,460)을 따라 주 집단과 이송 집단 사이로 투입되며, 이송 집단의 하단에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전면에 인접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제1 이격바(410)와 달리 이송 집단의 하단에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후면에 인접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는 이송유닛(500)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유닛(500)은 리프터 테이블(200) 상측의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이격바에 의해 분리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을 거치하여 블랭크 매거진(B)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후크바(510,520)가 포함된다.
상기 한 쌍의 후크바(510,520)는 포장박스용 시트의 이송 집단을 양측에서 안착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종축단면이 "
Figure 112021130271427-pat00001
"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유닛(500)은 제1 후크바(510), 제2 후크바(520), 제1 이동레일, 제2 이동레일, 제1 연결바(530), 제2 연결바(540), 제2 구동기구(550), 제3 구동기구(560)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흡착모듈(5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레일은 한 쌍의 후크바(510,520)에 의해 거치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이 블랭크 매거진(B)의 상부로 이송되도록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리프터 테이블(200)과 블랭크 매거진(B)의 사이를 연결하는 길이를 가지며,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전면 방향에서 하우징(100)에 설치된다.
상기 제2 이동레일은 한 쌍의 후크바(510,520)에 의해 거치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이 블랭크 매거진(B)의 상부로 이송되도록 제1 이동레일과 함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리프터 테이블(200)과 블랭크 매거진(B)의 사이를 연결하는 길이를 가지며,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후면 방향에서 하우징(100)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연결바(530)는 리프터 테이블(200)에 의해 하우징(100)의 상부로 승강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좌측면을 마주보도록 제1 이동레일과 제2 이동레일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 구동기구(550)의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1 연결바(530)는 직선바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일단이 제1 이동레일에 연결되며,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제2 이동레일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연결바(530)는 제1, 2 이동레일을 따라 리프터 테이블(200)의 상부와 블랭크 매거진(B)의 상부의 사이를 왕복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 연결바(540)는 리프터 테이블(200)에 의해 하우징(100)의 상부로 승강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우측면을 마주보도록 제1 이동레일과 제2 이동레일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3 구동기구(560)의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2 연결바(540)는 직선바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일단이 제1 이동레일에 연결되며,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제2 이동레일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연결바(540)는 제1, 2 이동레일을 따라 리프터 테이블(200)의 상부와 블랭크 매거진(B)의 상부의 사이를 왕복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2 연결바(540)는 제1, 2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 중 제1 연결바(530)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동한다.
상기 제2 구동기구(550)는 리프터 테이블(200)에 의해 하우징(100)의 상부로 승강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좌측면을 마주보도록 제1 연결바(53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어반(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반(800)의 제어에 따라 포장박스용 시트의 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2 구동기구(550)로는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전동실린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3 구동기구(560)는 리프터 테이블(200)에 의해 하우징(100)의 상부로 승강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우측면을 마주보도록 제2 연결바(54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어반(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반(800)의 제어에 따라 포장박스용 시트의 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3 구동기구(560)로는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전동실린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크바(510)는 제2 구동기구(550)에 연결되는 것으로, 제2 구동기구(550)의 동작에 따라 포장박스용 시트의 이송 집단을 좌측에서 안착시켜 지지한다. 이를 위해, 제1 후크바(510)는 종축단면이 "
Figure 112021130271427-pat00002
"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후크바(520)는 제3 구동기구(560)에 연결되는 것으로, 제3 구동기구(560)의 동작에 따라 포장박스용 시트의 이송 집단을 우측에서 안착시켜 지지한다. 이를 위해, 제2 후크바(520)는 종축단면이 "
Figure 112021130271427-pat00003
"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착모듈(570)은 팔레트에 적층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이 소량만 잔존하여 한 쌍의 후크바(510,520)를 통해 블랭크 매거진(B)으로 이송될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소량의 포장박스용 시트를 흡착패드(575)로 흡착시킨 후 블랭크 매거진(B)으로 이송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흡착모듈(570)은 이동레일(571), 거치대(572), 실린더(573), 패드부착판(574), 흡착패드(5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571)은 흡착패드(575)에 의해 흡착된 포장박스용 시트가 블랭크 매거진(B)의 상부로 이송되도록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리프터 테이블(200)과 블랭크 매거진(B)의 사이를 연결하는 길이를 가지며, 하우징(100)의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거치대(572)는 시트정렬유닛(300), 분리유닛(400), 이송유닛(500)과 중첩되지 않도록 이들의 상단에서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리프터 테이블(200)에 의해 승강된 포장박스용 시트의 상면과 마주보도록 실린더(573)가 설치될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실린더(573)는 리프터 테이블(200)에 의해 하우징(100)의 상부로 승강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상면을 마주보도록 거치대(572)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어반(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반(800)의 제어에 따라 포장박스용 시트의 상면 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을 수행한다. 이러한 실린더(573)로는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전동실린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패드부착판(574)은 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설치되는 것으로, 흡착패드(575)의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흡착패드(575)는 패드부착판(574)에 한 개 이상 설치된 것으로, 패드부착판(574)이 실린더에 의해 포장박스용 시트의 상면으로 이동하면 포장박스용 시트를 흡착하여 한 장씩 팔레트로부터 분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는 분할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유닛(600)은 리프터 테이블(200)의 상측에 배치되며 리프터 테이블(200)에 안착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전면에 대향되는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후면과 마주보도록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적층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사이로 간격확장바(610)를 내삽시켜 팔레트에 적층된 포장박스용 시트들 중 이송할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말단을 분할한다. 이때, 분리유닛(40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이격바는 포장박스용 시트의 후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간격확장바(610)가 내삽된 공간으로 투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할유닛(600)은 팔레트에 적층된 포장박스용 시트들 중 블랭크 매거진(B)으로 이송할 포장박스용 시트들을 구분하기 위해 포장박스용 시트의 주 집단과 이송 집단 사이로 간격확장바(610)를 내삽시킨다. 다시 말해, 분할유닛(600)은 간격확장바(610)가 주 집단과 이송 집단 사이로 내삽되도록 간격확장바(610)를 하우징(100)과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사이에서 왕복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분할유닛(600)은 주 집단과 이송 집단의 사이에서 이격된 구간을 형성하여 주 집단과 이송 집단의 분리를 위해 분리유닛(400)이 주 집단과 이송 집단의 사이로 투입되더라도 포장박스용 시트들이 분리유닛(400)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분할유닛(600)은 간격확장바(610)와, 제4 구동기구(620)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연결판(630) 및 제2 간격확장바(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확장바(610)는 승하강 하는 포장박스용 시트들로부터 떨어져 있다가 리프터 테이블(200)에 의해 간격확장바와 마주보는 위치까지 포장박스용 시트들이 상승하면, 주 집단과 이송 집단이 구분되도록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후면으로 투입된다. 이하에서는 제2 간격확장바(640)와 구분하기 위해 제1 간격확장바(610)로 지칭한다.
상기 제4 구동기구(620)는 리프터 테이블(200)에 의해 하우징(100)의 상부로 승강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후면을 마주보도록 하우징(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어반(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반(800)의 제어에 따라 포장박스용 시트의 후면 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4 구동기구(620)로는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전동실린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판(630)은 복수개의 간격확장바가 구비될 수 있도록 간격확장바들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4 구동기구(620)에 설치된다.
상기 제2 간격확장바(640)는 도 3과 같이 제1 간격확장바(610)와 함께 연결판(630)에 설치되어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후면으로 투입되는 것으로, 주 집단과 이송 집단 사이의 일부 구간에서 한 쌍의 이격바(410,420)가 원활히 투입될 수 있는 틈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2 간격확장바(610,640)는 적층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사이로 내삽됨에 따라 적층된 포장박스용 시트들 중 이송할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말단이 팔레트에 적재된 포장박스용 시트들로부터 점차 멀어지도록 그 두께가 포장박스용 시트에 먼저 접촉되는 선단에서 후단으로 점차 두꺼워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는 시트감지센서(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감지센서(700)는 블랭크 매거진(B)에 설치되는 것으로, 블랭크 매거진(B)에 보관된 포장박스용 시트를 감지하여 공급요청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시트감지센서(700)는 블랭크 매거진(B)에 수납된 포장박스용 시트가 1/10 내지 1/3이 남아 있는 위치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며, 블랭크 매거진(B)에 수납 가능한 총 포장박스용 시트의 1/10 내지 1/3에 미달하면 공급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공급요청신호를 제어반(800)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시트감지센서(700)로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는 시트하강유닛(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하강유닛(900)은 이송유닛(500)을 통해 블랭크 매거진(B)의 상단으로 이송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이 블랭크 매거진(B)을 벗어나지 않고 블랭크 매거진(B)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납되도록 포장박스용 시트의 하강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송유닛(500)과 블랭크 매거진(B)의 사이의 하우징(100)에 설치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하강유닛(900)은 제1 벨트컨베이어, 제2 벨트컨베이어, 제5 구동기구(940), 제1 안착판(992), 제2 안착판(99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벨트컨베이어는 제5 구동기구(94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따라 블랭크 매거진(B)의 상부로 이송된 포장박스용 시트의 일측을 지지하면서 포장박스용 시트를 하강시키는 것으로, 제1 상단풀리(910)와 제1 하단풀리(950) 및 제1 회전벨트(9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상단풀리(910)는 회전봉(930)을 통해 제5 구동기구(940)에 연결되어 제5 구동기구(940)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는 것으로, 타이밍 풀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단풀리(950)는 이송부로 이송된 포장박스용 시트가 블랭크 매거진(B)까지 이동하는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제1 상단풀리(910)의 하부에서 제1 상단풀리(910)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 것으로, 타이밍 풀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벨트(970)는 제1 상단풀리(910)와 제1 하단풀리(95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포장박스용 시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안착판(992)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제1 회전벨트(970)로는 제1 상단풀리(910)의 회전에 따라 궤도 운동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타이밍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 벨트컨베이어는 제5 구동기구(94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따라 블랭크 매거진(B)의 상부로 이송된 포장박스용 시트의 타측을 지지하면서 포장박스용 시트를 하강시키는 것으로, 제2 상단풀리(920)와 제2 하단풀리(960) 및 제2 회전벨트(9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상단풀리(920)는 제1 상단풀리(910)와 함께 회전봉(930)을 통해 제5 구동기구(940)에 연결되어 제5 구동기구(940)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는 것으로, 타이밍 풀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단풀리(960)는 이송부로 이송된 포장박스용 시트가 블랭크 매거진(B)까지 이동하는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제2 상단풀리(920)의 하부에서 제2 상단풀리(920)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 것으로, 타이밍 풀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벨트(980)는 제2 상단풀리(920)와 제2 하단풀리(96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포장박스용 시트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안착판(994)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제2 회전벨트(980)로는 제2 상단풀리(920)의 회전에 따라 궤도 운동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타이밍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안착판(992)은 제1 회전벨트(970)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송유닛(500)으로부터 이탈된 포장박스용 시트를 좌측에서 안착시켜 지지하며, 제1 회전벨트(970)의 회전에 따라 포장박스용 시트를 블랭크 매거진(B)을 향하여 하강시킨다. 이를 위해, 제1 안착판(992)은 종축단면이 "
Figure 112021130271427-pat00004
"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안착판(994)은 제2 회전벨트(980)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송유닛(500)으로부터 이탈된 포장박스용 시트를 우측에서 안착시켜 지지하며, 제2 회전벨트(980)의 회전에 따라 포장박스용 시트를 블랭크 매거진(B)을 향하여 하강시킨다. 이를 위해, 제2 안착판(994)은 종축단면이 "
Figure 112021130271427-pat00005
"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는 제어반(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반(800)은 시트감지센서(700), 리프터 테이블(200), 시트정렬유닛(300), 분할유닛(600), 분리유닛(400), 및 이송유닛(5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시트감지센서(700)로부터 전송된 공급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블랭크 매거진(B)으로 포장박스용 시트가 공급되도록 리프터 테이블(200), 시트정렬유닛(300), 분할유닛(600), 분리유닛(400), 및 이송유닛(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반(800)은 시트감지센서(700)로부터 전송된 공급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높이측정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정보에 따라 팔레트에 적층된 포장박스용 시트가 분할유닛(600) 및 분리유닛(400)에 적합한 높이로 승강하도록 리프터 테이블(200)을 제어한다.
이어서, 제어반(800)은 리프터 테이블(200)에 안착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에 분할유닛(600)의 간격확장바가 내삽되기 전에 포장박스용 시트들을 정렬시키기 위해 시트정렬유닛(300)이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시트정렬유닛(300)을 제어한다.
그 다음, 제어반(800)은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주 집단과 이송 집단의 사이로 한 개 이상의 간격확장바(610,640)가 내삽되도록 분할유닛(600)을 제어한다. 이는, 팔레트에 적층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이 주 집단과 이송 집단이 분할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어반(800)은 분할유닛(600)에 의해 말단이 분할된 포장박스용 시트의 주 집단과 이송 집단 사이의 간격이 더 확장되도록 간격확장바(610,640)가 주 집단과 이송 집단 사이로 내삽된 상태에서 리프터 테이블(200)을 제어하여 팔레트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 후, 제어반(800)은 간격확장바에 의해 벌어진 틈으로 한 쌍의 이격바(410,420)가 투입되도록 분리유닛(400)을 제어하고, 한 쌍의 이격바(410,420)가 지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간격확장바(610,640)를 초기 위치로 회동시킨다.
마지막으로, 제어반(800)은 한 쌍의 후크바(510,520)가 한 쌍의 이격바(410,420)에 의해 주 집단으로부터 분리된 이송 집단을 거치한 후 블랭크 매거진(B)으로 이동되도록 이송유닛(500)을 제어하고, 한 쌍의 이격바(410,420)를 초기 위치로 회동시킨다.
필요에 따라, 제어반(800)은 블랭크 매거진(B)의 상부에 설치된 시트하강유닛(900)에 한 쌍의 후크바(510,520)가 도달하면, 제1 후크바(510)와 제2 후크바(520) 사이의 내부 간격을 넓혀주어 이송유닛(500)에 의해 이송된 이송 집단을 시트하강유닛(900)으로 투입한다.
그리고 제어반(800)은 시트하강유닛(900)의 제5 구동기구(940)를 동작시켜 시트하강유닛(900)으로 투입된 이송 집단을 하강시킨 후 자유 낙하를 통해 블랭크 매거진(B)에 수납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하우징 200 : 리프터 테이블
300 : 시트정렬유닛 310 : 제1 구동기구
320 : 가압판 400 : 분리유닛
410 : 제1 이격바 420 : 제2 이격바
430 : 제1 내측체인 440 : 제2 내측체인
450 : 제1 외측체인 460 : 제2 외측체인
500 : 이송유닛 510 : 제1 후크바
520 : 제2 후크바 530 : 제1 연결바
540 : 제2 연결바 550 : 제2 구동기구
560 : 제3 구동기구 570 : 흡착모듈
571 : 이동레일 572 : 거치대
573 : 실린더 574 : 패드부착판
575 : 흡착패드 600 : 분할유닛
610 : 제1 간격확장바 620 : 제4 구동기구
630 : 연결판 640 : 제2 간격확장바
700 : 시트감지센서 800 : 제어반
900 : 시트하강유닛 910 : 제1 상단풀리
920 : 제2 상단풀리 930 : 회전봉
940 : 제5 구동기구 950 : 제1 하단풀리
960 : 제2 하단풀리 970 : 제1 회전벨트
980 : 제2 회전벨트 992 : 제1 안착판
994 : 제2 안착판 B : 블랭크 매거진

Claims (7)

  1.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외형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포장박스용 시트들이 적층된 팔레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터 테이블;
    상기 리프터 테이블에 안착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과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사이를 왕복으로 이동하는 시트정렬유닛;
    상기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후면과 마주보도록 하우징에 설치되고, 적층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사이로 간격확장바를 내삽시켜 팔레트에 적층된 포장박스용 시트들 중 이송할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말단을 일시적으로 분할하는 분할유닛;
    상기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후면에서 적층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사이로 투입되고, 포장박스용 시트의 후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간격확장바가 내삽된 공간으로 투입되며, 포장박스용 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팔레트에 적재된 포장박스용 시트들로부터 이송할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전체를 분리하는 한 쌍의 이격바가 포함된 분리유닛;
    상기 한 쌍의 이격바에 의해 분리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을 거치하여 블랭크 매거진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후크바가 포함된 이송유닛; 및
    상기 포장박스용 시트들에 분할유닛의 간격확장바가 내삽되기 전에 포장박스용 시트들을 정렬시키기 위해 시트정렬유닛이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시트정렬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분할유닛에 의해 말단이 분할된 포장박스용 시트의 주 집단과 이송 집단 사이의 간격이 더 확장되도록 간격확장바가 주 집단과 이송 집단 사이로 내삽된 상태에서 리프터 테이블을 제어하여 팔레트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하강시키며, 간격확장바에 의해 벌어진 틈으로 한 쌍의 이격바가 투입되어 지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간격확장바를 초기 위치로 회동시키는 제어반을 포함하는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확장바는
    적층된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사이로 내삽됨에 따라 적층된 포장박스용 시트들 중 이송할 포장박스용 시트들의 말단이 팔레트에 적재된 포장박스용 시트들로부터 점차 멀어지도록 그 두께가 포장박스용 시트에 먼저 접촉되는 선단에서 후단으로 점차 두꺼워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유닛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2 내측체인과,
    상기 제1 내측체인과 제2 내측체인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2 내측체인의 궤도 운동에 따라 상기 간격확장바가 내삽된 공간으로 투입되는 제1 이격바와,
    상기 제1,2 내측체인의 외부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2 외측체인과,
    상기 제1 외측체인과 제2 외측체인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2 외측체인의 궤도 운동에 따라 상기 간격확장바가 내삽된 공간으로 투입되는 제2 이격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 매거진에 설치되며 블랭크 매거진에 보관된 포장박스용 시트를 감지하여 공급요청신호를 생성하는 시트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반은 상기 공급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블랭크 매거진으로 포장박스용 시트가 공급되도록 리프터 테이블, 시트정렬유닛, 분리유닛, 이송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210154920A 2021-11-11 2021-11-11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 KR102409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920A KR102409196B1 (ko) 2021-11-11 2021-11-11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920A KR102409196B1 (ko) 2021-11-11 2021-11-11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196B1 true KR102409196B1 (ko) 2022-06-15

Family

ID=8198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920A KR102409196B1 (ko) 2021-11-11 2021-11-11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1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504B1 (ko) * 2022-10-17 2023-04-19 성우에이피(주) 원단 흡착 이송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122Y1 (ko) * 2003-07-07 2003-11-07 김영우 판상자재와 팔레트의 분리 이송 시스템
KR20100033273A (ko) * 2008-09-19 2010-03-29 김재수 포장박스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130091296A (ko) * 2013-07-18 2013-08-16 진석봉 박스 자동분할 공급장치
KR101445795B1 (ko) 2012-06-15 2014-10-06 김재수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KR101971836B1 (ko) * 2018-09-19 2019-04-23 윤석환 시트 공급 및 픽업 장치
KR102263341B1 (ko) 2020-11-23 2021-06-09 이창헌 톰슨박스 반전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122Y1 (ko) * 2003-07-07 2003-11-07 김영우 판상자재와 팔레트의 분리 이송 시스템
KR20100033273A (ko) * 2008-09-19 2010-03-29 김재수 포장박스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1130241B1 (ko) 2008-09-19 2012-03-26 김재수 포장박스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1445795B1 (ko) 2012-06-15 2014-10-06 김재수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KR20130091296A (ko) * 2013-07-18 2013-08-16 진석봉 박스 자동분할 공급장치
KR101421711B1 (ko) 2013-07-18 2014-08-12 진석봉 박스 자동분할 공급장치
KR101971836B1 (ko) * 2018-09-19 2019-04-23 윤석환 시트 공급 및 픽업 장치
KR102263341B1 (ko) 2020-11-23 2021-06-09 이창헌 톰슨박스 반전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504B1 (ko) * 2022-10-17 2023-04-19 성우에이피(주) 원단 흡착 이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795B1 (ko)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CN108249119B (zh) 一种铜排自动化平面仓库及铜排一体化生产线
CN101336200B (zh) 自动纸箱仓装载系统
CN109626038B (zh) 图文送纸切割机的控制方法
KR20100033273A (ko) 포장박스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US20090238672A1 (en) Infeed station of a stack palletiz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stacks to a gripper with an infeed station of this type
KR20060034540A (ko) 트레이 이송장치
KR102409196B1 (ko)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
KR101427323B1 (ko) 타이어 휠 보호용 패드 공급장치
KR100862795B1 (ko) 판재의 연속공급장치
JP4945824B2 (ja) 商品の自動段積み方法及びその装置
CN210417159U (zh) 包装机送袋装置及挂面自动包装机
KR100959200B1 (ko) 용지공급장치
KR102248817B1 (ko) 레이저 절단용 피절단물의 이송 시스템
KR101776580B1 (ko) 목재 적재 장치
KR102067134B1 (ko) 포장용지의 사전 급지장치
JP4703914B2 (ja) シート整列装置
CN219383934U (zh) 一种零件检测机构的运输上料装置
JPH0741196A (ja) 板材供給装置
CN114435896B (zh) 一种复判缓存设备及复判缓存方法
CN220500067U (zh) 一种纸箱原料上料系统
CN216785039U (zh) 一种书本输送装置
CN112297508B (zh) 硬卡纸包装盒自动成形装置及成形方法
JP2564228Y2 (ja) 収納部付板材加工機
CN115057035B (zh) 一种靶材自动化包装装置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