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303B1 - 마스크 제조용 롤러 - Google Patents

마스크 제조용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303B1
KR102567303B1 KR1020210000451A KR20210000451A KR102567303B1 KR 102567303 B1 KR102567303 B1 KR 102567303B1 KR 1020210000451 A KR1020210000451 A KR 1020210000451A KR 20210000451 A KR20210000451 A KR 20210000451A KR 102567303 B1 KR102567303 B1 KR 102567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ultrasonic bonding
roller
contou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8592A (ko
Inventor
우일도
박용우
Original Assignee
우일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일도 filed Critical 우일도
Priority to KR1020210000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3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98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3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마스크 제조용 롤러가 개시된다. 마스크 제조용 롤러는 원통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배치된 복수 개의 마스크 제조용 원단을 초음파접착하기 위한 초음파접착용 돌기부; 및 상기 초음파접착용 돌기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마스크 제조용 원단을 초음파접착하여, 마스크본체 형상의 윤곽을 형성하는 윤곽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윤곽 형성부의 높이는 상기 초음파접착용 돌기부의 높이 보다 소정의 깊이만큼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 제조용 롤러{ROLLER FOR MANUFACTURING MASK}
본 발명은 마스크 제조용 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 접지를 통해 마스크의 가장자리 부분이 완벽하게 접촉되도록 할 수 있는 마스크 제조용 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지공장이나 방직공장, 조선소나 화학공장 등과 같이 작업시 분진이나 유독성 기체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작업현장에서는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마스크로는 사용상의 편의와 위생적인 목적을 위해 주로 일회용 마스크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미세먼지가 호흡기를 통해 폐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거나 코로나 19와 같은 바이러스가 인체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회용 마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일회용 마스크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측에 걸이용 밴드(24a)(24b)가 각각 설치되는 마스크본체(21)가 구비되며, 상기 마스크본체(21)의 내측면상하부에는 착용자의 코부분에 밀착되는 상부커버(22)와 턱부분에 밀착되는 하부커버(23)가 상하대칭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일회용 마스크는 대부분 부직포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초음파진동을 발생시키게 되는 초음파진동발생부(36)와 양단부에 회전축(33a)(33b)이 돌출형성된 원통형상의 몸체(32)의 외주면에 마스크본체용 원단(40)의 양측에 상부커버용 원단(41)과 하부커버용 원단(42)을 초음파접착하기 위한 초음파접착용 돌기부(34)와 초음파접착된 마스크본체용 원단(40)과 상ㆍ하부커버용 원단(41)(42)을 마스크형상대로 커팅하기 위한 형상커팅날부(35)가 형성된 가공롤러(31)가 구비된 마스크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하게 된다.
종래의 마스크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일회용 마스크를 제조할 경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마스크본체용 원단(40)의 양측에 1차가공된 상ㆍ하부커버용 원단(41)(42)이 위치하도록 마스크본체용 원단(40)과 1차가공된 상ㆍ하부커버용 원단(41)(42)을 중첩시켜 마스크 제조장치에 구비된 초음파진동발생부(36)의 지지대(37)와 가공롤러(31)사이로 투입하게 되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가공롤러(31)에 의해 마스크본체용 원단(40)과 1차가공된 상ㆍ하부커버용 원단(41)(42)이 초음파접착되는 동시에 마스크형상대로 커팅되므로써 마스크 본체(21)의 양측에 상ㆍ하부커버(22)(23)가 초음파접착된 마스크(20)를 용이하게 양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 제조장치용 가공롤러의 경우에는 초음파접착을 함과 동시에 마스크본체의 윤곽을 형성하는 커팅날이 함께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마스크 제조장치용 가공롤러를 통해 마스크본체를 제작하는 경우에 마스크본체의 외곽 가장자리 부분이 서로 밀접하게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마스크 외곽 부분이 미세하게 접착되지 않아 나풀거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초음파접착과 커팅을 동시에 수 있는 커팅날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초음파접착과 동시에 마스크 제조용 원단이 커팅되므로 마스크 제조용 원단이 서로 밀접하게 결합될 시간도 없이 바로 커팅되어 위와 같이 나풀거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2870(2010.03.0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마스크본체 윤곽의 가장자리 부분이 벌어지지 않고 완벽하게 밀착 고정되게 할 수 있고, 마스크본체 윤곽 가장자리 부분을 밀착 고정하더라도 너무 경직되지 않고 일정 수준 이상의 유연성을 갖도록 할 수 있는 마스크 제조용 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용 롤러는 원통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배치된 복수 개의 마스크 제조용 원단을 초음파접착하기 위한 초음파접착용 돌기부; 및 상기 초음파접착용 돌기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마스크 제조용 원단을 초음파접착하여, 마스크본체 형상의 윤곽을 형성하는 윤곽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윤곽형성부의 높이는 상기 초음파접착용 돌기부의 높이 보다 소정의 깊이만큼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소정의 깊이는 0.1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마스크본체 윤곽의 가장자리 부분이 벌어지지 않고 완벽하게 밀착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스크본체 윤곽의 가장자리 부분이 벌어지지 않고 완벽하게 밀착 고정시키기 때문에 보다 고급의 마스크 제품이 생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초음파접착을 통해 마스크본체 윤곽 가장자리 부분을 밀착 고정하더라도 너무 경직(딱딱하게 굳음)되지 않고 일정 수준 이상의 유연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스크본체 윤곽 가장자리 부분이 일정 수준 이상의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마스크본체가 사용자의 안면에 적절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스크본체 윤곽 가장자리 부분이 일정 수준 이상의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가 마스크본체를 만지더라도 부드러운 촉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마스크 제조장치용 가공롤러에 의한 마스크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접착용 돌기부와 윤곽 형성부의 배치가 표현된 마스크 제조용 롤러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기준으로 도시한 마스크 제조용 롤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접착용 돌기부와 윤곽 형성부의 배치가 표현된 마스크 제조용 롤러의 전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기준으로 도시한 마스크 제조용 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용 롤러(1000)는 몸체(100), 초음파접착용 돌기부(200) 및 윤곽 형성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는 원통형상이고, 몸체(100)의 양단에는 모터와 연결되어 몸체(10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모터의 회전축이 몸체(100)의 양 단에 형성된 삽입홈(미도시)에 끼움 결합되어 몸체(10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몸체(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결합 구조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초음파접착용 돌기부(200)는 몸체(100)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마스크 제조용 원단을 초음파접착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 개의 마스크 제조용 원단은 상부 커버용 원단, 하부 커버용 원단, 상부 커버용 원단과 하부 커버용 원단 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 부직포와 상부 커버용 원단 또는 부직포와 하부 커버용 원단 사이에 배치되며 어느 정도의 경도를 가져 제조된 마스크 본체를 지지해주는 지지용 원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초음파접착용 돌기부(200)는 몸체(10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초음파접착용 돌기부(200)의 배치는 변경이 가능하다.
일 예로 초음파접착용 돌기부(200)는 원기둥 모양의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다양한 모양으로 변경이 가능하며, 하트 모양, 물결 모양, 일직선 모양 등의 변경이 가능하다.
초음파접착용 돌기부(200)를 통해 복수 개의 마스크 제조용 원단을 초음파접착되면 복수 개의 마스크 제조용 원단이 서로 결합되게 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모양이 마스크본체에 형성되므로 시각적으로 미려한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초음파접착용 돌기부(200)를 통해 제조사의 이름이나 이름의 이니셜 등 다양한 글자를 마스크본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윤곽 형성부(300)는 초음파접착용 돌기부(200)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윤곽 형성부(300)는 복수 개의 마스크 제조용 원단을 초음파접착하여, 마스크본체 형상의 윤곽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윤곽 형성부(300)는 상부면이 평평한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마스크본체 형상의 윤곽부분의 마스크제조용 원단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윤곽 형성부(300)를 통해 마스크본체 형상의 윤곽부분이 서로 밀접하게 결합되고 나면, 윤곽 형성부(300)가 형성한 마스크본체 형상의 윤곽을 따라 커팅날(미도시)이 형성된 다른 롤러를 사용하여 커팅하므로써 마스크본체 형상이 제작된다.
초음파접착용 돌기부(200)는 마스크본체를 초음파접착하고, 다양한 모양을 형성시키는 부분이지만 마스크본체 형상의 윤곽을 초음파접착하는 부분이 아니다. 마스크본체 형상의 윤곽부분을 접촉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용 롤러(1000)는 윤곽 형성부(3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윤곽 형성부(300)는 일반적으로 생산되는 마스크본체의 윤곽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마스크본체의 외과 형상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게 윤곽 형성부(300)의 형상도 변경될 수 있다.
윤곽 형성부(300)는 초음파접착용 돌기부(200)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나 윤곽 형성부(300)와 초음파접착용 돌기부(200)간의 거리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곽 형성부(300)와 초음파접착용 돌기부(200)간의 거리는 근접한 거리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윤곽 형성부(300)를 통해 마스크본체 형상의 윤곽부분이 서로 밀접하게 결합하는 경우 윤곽 형성부(300)의 높이 조절이 상당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윤곽 형성부(300)의 높이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에는 윤곽 형성부(300)가 마스크 제조용 원단을 과하게 눌러주게 되어 마스크 제조용 원단과 윤곽 형성부(300)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짐과 동시에 초음파접착도 과하게 진행되어 윤곽 형성부(300)와 접촉된 마스크 제조용 원단의 경도가 높아지게 된다. 즉, 마스크본체 형상의 윤곽부분이 너무 딱딱하게 굳어지게 된다.
마스크본체 형상의 윤곽부분이 너무 딱딱하게 굳어지게 되면, 추후 마스크본체 형상의 윤곽부분을 따라 커팅하는 커팅날의 손상이 심해지고, 커팅날을 통해 커팅된 부분이 너무 딱딱하게 굳어져 매우 날카롭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반하여 윤곽 형성부(300)의 높이가 과도하게 낮은 경우에는 윤곽 형성부(300)가 마스크 제조용 원단을 제대로 눌러주지 못하게 되어 초음파접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마스크본체 형상의 윤곽부분의 가장자리가 제대로 결합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마스크본체 형상의 윤곽부분의 가장자리가 쉽게 벌어지거나 나풀거리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곽형성부의 높이(300)는 초음파접착용 돌기부(200)의 높이 보다 소정의 깊이만큼 낮게 형성하여야만 하며, 상기 소정의 깊이는 0.1mm이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마스크본체 형상의 윤곽부분의 가장자리가 제대로 결합되어 나풀거리지 않게 되며, 일정 수준의 경도를 가지면서도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갖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용 롤러(1000)를 사용하여 마스크본체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마스크본체의 가장자리 부분이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어 마스크 제품의 품질을 고급화할 수 있고, 마스크본체의 가장자리 부분이 나풀거림으로써 사용자의 피부를 간지럽게 하여 사용의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의 안면에 적절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마스크 본연의 기능은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마스크 제조용 롤러 100: 몸체
200: 초음파접착용 돌기부 300: 윤곽형성부

Claims (2)

  1. 원통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배치된 복수 개의 마스크 제조용 원단을 초음파접착하기 위한 초음파접착용 돌기부; 및
    상기 초음파접착용 돌기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마스크 제조용 원단을 초음파접착하여, 마스크본체 형상의 윤곽을 형성하는 윤곽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윤곽 형성부의 높이는 상기 초음파접착용 돌기부의 높이 보다 0.1mm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제조용 롤러.
  2. 삭제
KR1020210000451A 2021-01-04 2021-01-04 마스크 제조용 롤러 KR102567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451A KR102567303B1 (ko) 2021-01-04 2021-01-04 마스크 제조용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451A KR102567303B1 (ko) 2021-01-04 2021-01-04 마스크 제조용 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592A KR20220098592A (ko) 2022-07-12
KR102567303B1 true KR102567303B1 (ko) 2023-08-14

Family

ID=8241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451A KR102567303B1 (ko) 2021-01-04 2021-01-04 마스크 제조용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3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5849A (ja) * 2008-11-12 2010-05-27 Kao Corp シール装置及びシール方法
JP2014054389A (ja) 2012-09-12 2014-03-27 Sadafumi Abe トイレットペーパー
JP2016054846A (ja) 2014-09-08 2016-04-21 モリト株式会社 中敷の製造方法及び中敷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870A (ko) 2008-06-30 2010-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KR20100022870A (ko) * 2008-08-20 2010-03-03 임웅재 마스크 제조장치용 가공롤러
KR20110086964A (ko) * 2010-01-25 2011-08-02 방종관 화장솜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장솜
KR20170002199U (ko) * 2015-12-14 2017-06-22 안성준 화장솜
KR102091060B1 (ko) * 2018-08-17 2020-03-19 김태식 마스크 제조롤러유닛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5849A (ja) * 2008-11-12 2010-05-27 Kao Corp シール装置及びシール方法
JP2014054389A (ja) 2012-09-12 2014-03-27 Sadafumi Abe トイレットペーパー
JP2016054846A (ja) 2014-09-08 2016-04-21 モリト株式会社 中敷の製造方法及び中敷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592A (ko) 202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571B1 (ko) 손가락 및 발가락 끝 보호 장치
US6055672A (en) Ear held earmuff
EP2251064A2 (en) Sanitary mask for the protection of others
US3300786A (en) Eye shield blank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20080216209A1 (en) Safety glove
KR102283616B1 (ko) 끈 조절 구조가 개선된 입체형 접이식 마스크
KR102567303B1 (ko) 마스크 제조용 롤러
US200401824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nail trimming
KR20220102762A (ko) 마스크 제조장치
KR20220059676A (ko) 마스크 제조용 마스크 마감처리를 개선한 금형장치
CN112171782B (zh) 口罩穿孔器
JP3226830U (ja) マスクの耳掛け構造及びマスク
KR200389496Y1 (ko) 클린룸용 방진마스크
KR102226952B1 (ko) 입체형 접이식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JPS5959314A (ja) 回転刃とその製造方法
KR102422551B1 (ko) 마스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422550B1 (ko) 안경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위생 마스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425130B1 (ko) 신축형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CN214386206U (zh) 一种带有防噪音功能的防护面罩
CN214283405U (zh) 一种口罩自毁装置及一种具有口罩自毁装置的口罩
JP3220726U (ja) 彫刻刀用の指保護具
JP2005152030A (ja) 簡易マスク
JP2022141433A (ja) マスク
KR20220076102A (ko) 부직포 마스크 내측에 착용하는 피부보호용 이너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00390A (ko) 마스크용 김서림 방지구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