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060B1 - 마스크 제조롤러유닛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 제조롤러유닛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060B1
KR102091060B1 KR1020180096039A KR20180096039A KR102091060B1 KR 102091060 B1 KR102091060 B1 KR 102091060B1 KR 1020180096039 A KR1020180096039 A KR 1020180096039A KR 20180096039 A KR20180096039 A KR 20180096039A KR 102091060 B1 KR102091060 B1 KR 102091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haft
driven
chain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386A (ko
Inventor
김태식
신용주
Original Assignee
김태식
신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식, 신용주 filed Critical 김태식
Priority to KR1020180096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06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7/00Felting apparatus
    • D04H17/10Felting apparatus for felting between rollers, e.g. heated rollers
    • D04H17/12Multi-rolle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제조롤러유닛의 회전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전방측 성형롤러와 이 성형롤러와 종동체인으로 연결되는 후방측 절단롤러가 설치되는 마스크 제조롤러유닛에 있어서, 상기 성형롤러와 절단롤러 사이에 감겨지는 종동체인을 체인누름기로 누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인누름기에 의해 눌려지는 종동체인의 롤러부가 절단롤러와 동일축 상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의 톱니부를 눌러줌에 따라 톱니부가 눌리는 만큼 종동스프라켓과 동일축 상에 설치되는 절단롤러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테이블(101)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양측 축지지대(102)에 성형롤러부(10)와 절단롤러부(30)가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성형롤러부(10)는 외주면에 패턴성형부(12)가 돌출 형성된 성형롤러(11)와 제1,2구동스프라켓(14,15)이 구동축(13)에 설치되며, 성형롤러(11)가 양측 축지지대(102) 사이의 롤러설치공간(104)에 삽입되게 구동축(13)이 축지지대(102)에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고, 성형롤러(11)의 상부에는 상부롤러 지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절단롤러부(30)는 외주면에 칼날부(31)가 돌출 형성된 절단롤러(32)와 , 하부기어(34), 종동스프라켓(35)이 종동축(33)에 설치되며, 절단롤러(32)가 양측 축지지대(102) 사이의 롤러설치공간(104)에 삽입되게 종동축(33)이 축지지대(102)에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고, 절단롤러(32)의 상부에는 하부기어(34)와 맞물리는 상부기어(37) 및 절단롤러(32)와 대응하는 상부지지롤러(38)가 회전축(36)에 설치되며 이 회전축(36)이 양측 축지지대(102)에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14)에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체인(40)이 감겨지게 설치되고, 제2구동스프라켓(15)와 종동스프라켓(35)에는 종동체인(41)이 감겨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2구동스프라켓(15)과 종동스프라켓(35) 사이의 테이블(101) 상에는 종동체인(41)을 눌러주는 체인누름기(50)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 제조롤러유닛의 회전각도 조절장치{Rotating angle adjuster for mask-manufactured roller unit}
본 발명은 마스크 제조롤러유닛의 회전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전방측 성형롤러와 이 성형롤러와 종동체인으로 연결되는 후방측 절단롤러가 설치되는 마스크 제조롤러유닛에 있어서, 상기 성형롤러와 절단롤러 사이에 감겨지는 종동체인을 체인누름기로 누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인누름기에 의해 눌려지는 종동체인의 롤러부가 절단롤러와 동일축 상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의 톱니부를 눌러줌에 따라 톱니부가 눌리는 만큼 종동스프라켓과 동일축 상에 설치되는 절단롤러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직포 마스크를 제조할 때는 다단의 롤러 사이를 여러 겹의 부직포원단을 통과시키면서 접고, 패턴압착부를 성형 압착하고, 패턴압착부의 외곽을 절단하여 부직포마스크를 제작한다.
도 5의 (가)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성형롤러(11)의 외부면이 평면적으로 보이도록 전개된 상태로 도시한 것으로 성형롤러 외부면(11a)에 패턴성형부(12)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이고, 도 5의 (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절단롤러의 외주면 외부면이 평면적으로 보이도록 전개된 상태로 도시한 것으로 절단롤러 외부면(32a)에 칼날부(31)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턴성형부(12)는 여러 겹의 부직포 원단을 눌러서 마스크 모양에 맞게 융착하는 것이고, 칼날부(31)는 패턴성형부(12)에 의해 형성된 패턴압착부(4)의 외곽을 절단하여 마스크를 완성하게 하는 것이다.
종래의 마스크를 제작하는 기계장치에도 도 1, 2 및 도 6에서와 같이 성형롤러부(10)와 절단롤러부(30)가 구비되어 성형롤러부(10)에서 여러 겹으로 겹쳐져서 진입하는 부직포 원단을 마스크의 모양이 형성되도록 마스크 모양에 맞게 융착하여 패턴압착부(4)를 형성하게 되고, 절단롤러부(30)에서는 패턴압착부(4)의 외곽에 패턴압착부(4)와 간격을 두고 절단하여 마스크를 완성하게 되며, 칼날부(31)에 의해 절단되는 부분을 절단선(5)이라고 칭한다.
종래와 같은 마스크를 제작하는 기계장치에서 부직포 마스크를 제작할 때, 작업장의 온도나 습도에 의해 마스크 제작에 사용되는 부직포원단이 신축하거나, 성형롤러부(10)와 절단롤러부(30)를 감아서 연결하고 있는 종동체인(41)이 이완되거나 긴장되는 등의 기계적인 변형에 의해 성형롤러부(10)의 성형롤러와 절단롤러부(30)의 절단롤러의 각도가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위와 같은 부직포원단의 신축이나 기계적인 변형이 발생하면 패턴성형부(12)의 중심과 칼날부(31)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게 되며, 그로인하여 도 6의 (나)와 같이 마스크 양 끝단의 여백이 동일하지 않고 도면상 좌측의 여백(B1)이 우측의 여백(B2) 보다 넓은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도 6의 (가)는 좌우 여백(C1,C2)이 동일한 정품을 도시한 것이며, 상기 여백이란 패턴압착부(4)의 외곽과 절단선(5) 사이의 간격을 칭한 것이다.
도 6의 (나)와 같이 좌우측 여백(B1,B2)이 다른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에 종래 마스크 제작기계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종동축(33)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35)과 구동축(13)에 설치되는 제2구동스프라켓(15)에 파워록설치홈(110)을 각각 형성한 뒤에 종동 및 구동축(33,13)의 외주연과 파워록설치홈(110)의 내주면 사이에 공지된 파워록(105)을 설치하였다.
상기 파워록(105)은 내륜(106)과 외륜(107)을 링형태로 형성하되, 일측이 방사방향으로 절개되어 신축이 가능하며, 내외륜(106,107)의 내측 전후방이 테이퍼져서 단면이 산형으로 각각 형성되고, 내외륜(106,107) 사이의 전후방에는 내외륜(106,107)의 경사진 부분과 대면하는 경사부를 구비한 전후방 경사압착구(108)가 체결볼트(109)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볼트(109)를 조이면 전후방측 경사압착구(108)가 가까워지면서 내외륜(106,107) 사이의 전후방으로 쐐기 형태로 압입되면서 내외륜(106,107) 사이의 두께(높이)가 두꺼워지는 구조로써, 내외륜(106,107) 사이의 두께(높이)가 두꺼워지면 종동 및 구동축(33,13)의 외주연과 파워록설치홈(110)의 내주면 사이에 파워록(105)이 꽉 끼어서 종동 및 구동축(33,13)과 종동 및 제2구동스프라켓(35,15)이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도 6의 (나)와 같은 좌우 여백(B1,B2)이 다른 불량이 발생할 경우에는 먼저, 마스크 제작기계의 가동을 완전 정지시킨 상태에서 파워록설치홈(110)의 체결볼트(109)를 풀어서 파워록(105)의 두께가 낮아지게 하면, 즉, 내외륜(106,107)의 두께가 낮아지면 종동 및 구동축(33,13)의 외주연과 파워록설치홈(110)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된 파워록(105)이 느슨한 상태가 된다.
이렇게 파워록설치홈(110)에 끼워진 파워록(105)의 끼움상태가 느슨해지면 작업자가 종동 및 제2구동스프라켓(35,15)을 손으로 돌려서 종동 및 제2구동스프라켓(35,15)의 틀어진 각도를 맞추는 수정작업을 실행하는데, 이 수정작업은 고도로 숙련된 작업자만이 수정작업이 가능하며 수정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위와 같은 수정작업을 하는 동안 기계를 정지시켜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실질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성형롤러와 절단롤러 사이에 감겨지는 종동체인을 체인누름기로 누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인누름기에 의해 종동체인이 눌려질 때, 눌려지는 종동체인과 종동스프라켓과의 접촉각이 줄어들면서 종동체인의 롤러부가 종동스프라켓의 톱니부를 눌러줌에 따라 톱니부가 눌리는 만큼 종동스프라켓과 동일축 상에 설치되는 절단롤러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테이블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양측 축지지대에 성형롤러부와 절단롤러부가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성형롤러부는 외주면에 패턴성형부가 돌출 형성된 성형롤러와 제1,2구동스프라켓이 구동축에 설치되며, 성형롤러가 양측 축지지대 사이의 롤러설치공간에 삽입되게 구동축이 축지지대에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고, 성형롤러의 상부에는 상부롤러 지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절단롤러부는 외주면에 칼날부가 돌출 형성된 절단롤러와 , 하부기어, 종동스프라켓이 종동축에 설치되며, 절단롤러가 양측 축지지대 사이의 롤러설치공간에 삽입되게 종동축이 축지지대에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고, 절단롤러의 상부에는 하부기어와 맞물리는 상부기어 및 절단롤러와 대응하는 상부지지롤러가 회전축에 설치되며 이 회전축이 양측 축지지대에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에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체인이 감겨지게 설치되고, 제2구동스프라켓와 종동스프라켓에는 종동체인이 감겨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2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 사이의 테이블 상에는 종동체인을 눌러주는 체인누름기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마스크 제조롤러유닛의 회전각도 조절장치는, 종동체인을 체인누름기로 누를 때 서로 간격을 두고 있던 종동체인의 롤러부가 종동스프라켓의 톱니부를 누르는 만큼 종동스프라켓이 자동적으로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절단롤러에 대한 각도조절을 비숙련자라도 단 시간내에 간편하게 맞출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 제조장치의 가동을 중지하지 않고 가동하는 동안에 절단롤러의 각도조절을 나사식으로 간편하게 실행함에 따라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제조 롤러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제조 롤러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의 (가)(나)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성형롤러와 절단롤러의 외부면을 전개 도시한 전개도.
도 6의 (가)(나)는 본 발명에서 제작되는 마스크의 성형과정을 나타내는 표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체인누름기의 분해사시도.
도 8은 종래 마스크 제작기계의 종동 및 제2구동스프라켓에 파워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제조롤러유닛의 회전각도 조절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제조 롤러유닛(10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이블(101)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양측 축지지대(102)에 성형롤러부(10)와 절단롤러부(30)가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성형롤러부(10)는 외주면에 패턴성형부(12)가 돌출 형성된 성형롤러(11)와 제1,2구동스프라켓(14,15)이 구동축(13)에 설치되며, 성형롤러(11)가 양측 축지지대(102) 사이의 롤러설치공간(104)에 삽입되게 구동축(13)이 축지지대(102)에 회전 지지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성형롤러(11)의 상부에는 진동장치(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자 혼(Horn:16)이 설치되나, 진동자 혼(16) 대신에 상부롤러를 설치하여 성형롤러(11)와 상부롤러의 사이로 부직포원단(1)이 통과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며, 상기 진동자 혼(16)과 상부롤러를 상부롤러지지수단이라고 통칭할 수 있다.
상기 절단롤러부(30)는 외주면에 칼날부(31)가 돌출 형성된 절단롤러(32)와 하부기어(34), 종동스프라켓(35)이 종동축(33)에 설치되며, 절단롤러(32)가 양측 축지지대(102) 사이의 롤러설치공간(104)에 삽입되게 종동축(33)이 축지지대(102)에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고, 절단롤러(32)의 상부에는 하부기어(34)와 맞물리는 상부기어(37) 및 절단롤러(32)와 대응하는 상부지지롤러(38)가 회전축(36)에 설치되며, 이 회전축(36)이 양측 축지지대(102)에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다.
성형롤러(11)와 절단롤러(32)를 전개된 상태로 도시한 도 5의 (가)(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형롤러 외주면(11a)에 돌출 형성된 패턴성형부(12)는 상하로 겹쳐진 부직포원단(1)을 소정의 모양으로 융착하는 것이며, 절단롤러 외부면(32a)에 돌출 형성된 칼날부(31)는 상기 패턴성형부(12) 외부 둘레와 간격을 두고 테두리형태로 감싸도록 패턴성형부(12)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패턴성형부(12)의 중심부와 칼날부(31)의 중심부가 일치되어야 도 6의 (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 여백(C1,C2)이 동일한 정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14)에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체인(40)이 감겨지게 설치되고, 제2구동스프라켓(15)과 종동스프라켓(35)에는 종동체인(41)이 감겨지게 설치되며, 제2구동스프라켓(15)과 종동스프라켓(35) 사이의 테이블(101) 상에는 종동체인(41)을 눌러주는 체인누름기(50)가 설치된다.
상기 체인누름기(50)는 도 2, 3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이블(101)에 수직 설치되는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51)이 형성되며 상측에 스템(64)의 목부(63)가 걸려 공회전하게 하는 걸림부(52)가 형성된 수직지지대(53)와, 가이드홈(51)에 승하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에 나사홀(54)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몸체 중간부와 하부에 장공(55) 및 하부통공(56)이 형성된 승하강대(57)와, 회전볼트(58)에 끼워진 상태로 장공(55)과 하부통공(56) 전면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는 상부누름스프라켓(59)과 하부받침스프라켓(60), 상부에 회전핸들(61)이 구비되고 하부에 나사홀(54)에 체결되는 나사부(62)가 설치되며, 나사부(62) 상부에 걸림부(52)의 하부에 걸려 공회전하는 목부(63)를 형성한 스템(64)을 포함한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 부호 "3"은 마스크본체, "103"은 축단부지지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제조 롤러유닛(100)이 설치된 부직포 마스크 제작기계(미도시)를 이용하여 부직포 마스크 제작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마스크 제작기계의 선단부측에 설치된 여러 개의 보빈에서 여러 겹의 부직포원단(1)이 풀려나오면서 마스크의 형태에 맞게 접어지고 부분적으로 절단되면서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형롤러부(10) 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부직포원단(1)이 보빈에서 풀려나오면서 성형롤러부(10)와 절단롤러부(30)를 통과하는데, 이렇게 절단롤러부(30)를 통과한 부직포원단(1)의 전방측은 마스크 제작기계의 후방측에 설치된 폐소재 감김롤러에 감기는 힘에 의해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폐소재는 부직포원단(1)에서 마스크(2)가 제작되는 절단선(5)을 연속적으로 따내어서 길이방향으로 남아 폐기하게 되는 것을 칭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성형롤러부(10)와 절단롤러부(30)를 통과하는 부직포원단(1)은 성형롤러부(10)의 진동자 혼(16)과 성형롤러(11) 사이를 통과하고, 뒤이어 절단롤러부(30) 측의 상부지지롤러(38)와 절단롤러(32) 사이를 통과하는데, 상기 폐소재가 당기는 힘에 성형롤러부(10)와 절단롤러부(30)가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구동력이 더해져서 부직포원단(1)이 후방측으로 정확하게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체인(40)에 의해 성형롤러(11)가 설치된 구동축(13)이 회전하게 되고, 이 구동축(13)에는 제2구동스프라켓(15)도 함께 설치되며 이 제2구동스프라켓(15)과 절단롤러부(30) 측의 종동스프라켓(35)이 종동체인(41)으로 연결되어서 구동축(13)과 종동축(33)이 동일하게 회전하게 된다.
위와 같이 성형롤러부(10)와 절단롤러부(30)가 회전할 때, 성형롤러부(10)에 포함하는 성형롤러(11)의 외주면에는 패턴성형부(1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성형롤러(11)의 상부에는 진동자 혼(16)이 설치되어 있으며, 진동자 혼(16)이 별도의 초음파 진동장치에 의해 미세하게 고속으로 진동하므로 진동자 혼(16)과 성형롤러(11)의 패턴성형부(12) 사이에서 열이 발생하면서 패턴성형부(12)의 모양대로 진동자 혼(16)과 성형롤러(11)의 사이를 통과하는 부직포원단(1)이 융착된다.
이러한 부직포원단(1)은 진동자 혼(16)과 성형롤러(11)의 사이를 통과하고 성형롤러(11)가 회전되므로 성형롤러(11)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패턴성형부(12)의 모양대로 도 5, 6에서와 같이 패턴압착부(4)가 형성되며, 패턴압착부(4)가 형성된 부직포원단(1)이 후방측으로 이동하면서 절단롤러부(30)의 상부지지롤러(38)와 절단롤러(32) 사이를 통과할 때, 절단롤러(32)의 외부면에 형성된 칼날부(31)에 의해 패턴압착부(4)의 외곽에 절단선(5)이 형성되면서 그 절단선(5) 부분이 절단되어 부직포마스크(2)를 완성하게 된다.
이때, 성형롤러(11)와 절단롤러(32)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나, 작업현장의 온도, 습기에 의해 마스크 제작에 사용되는 부직포원단이 신축하거나, 성형롤러부(10)의 제2구동스프라켓(15)과 절단롤러부(30)의 종동스프라켓(35)에 감겨서 연결하고 있는 종동체인(41)이 이완되거나 긴장되는 등의 기계적인 변형에 의해 성형롤러(11)와 절단롤러(32)의 각도가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위와 같은 부직포원단의 신축이나 기계적인 변형이 발생하면, 패턴성형부(12)와 칼날부(31)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서 도 6의 (나)와 같이 마스크 양 끝단의 여백(B1,B2)이 동일하지 않고 도면상 좌측의 여백(B1)이 우측의 여백(B2) 보다 넓은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런 상황이 발생하면 본 발명의 특징부가 되는 마스크제조 롤러유닛(100)의 회전각도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도 6의 (가)와 같이 패턴압착부(4)와 절단선(5)의 중심이 일치되어 좌우 여백(C1,C2)이 동일하도록 회전각도 조절작업(종래 설명에서는 수정작업으로 설명하였음)을 실행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의 회전각도 조절작업은 도 1, 2와 같이 제2구동스프라켓(15)과 종동스프라켓(35)의 사이에 종동체인(41)이 감겨진 상태에서 체인누름기(50)로서 종동체인(41)을 아래로 누르거나 위로 올리면, 종동체인(41)과 종동스프라켓(35)의 접촉각도가 변경되면서 종동스프라켓(35)의 각도가 변경되고, 그 종동스프라켓(35)과 절단롤러(32)가 동일한 종동축(33)에 설치되어서 절단롤러(32)의 각도가 변경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종동체인(41)이 아래로 눌리거나 위로 올라갈 때 종동스프라켓(35)만 각도가 변경되고 제2구동스프라켓(15)의 각도가 변경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구동스프라켓(15)에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체인(40)이 도면상 우측방향에서 제1구동스프라켓(14)에 감겨지고, 동일한 구동축(13)에 설치된 제2구동스프라켓(15)에는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종동체인(41)이 감겨져서 종동체인(41)이 눌리거나 상측으로 들리는 경우에도 제2구동스프라켓(15)은 회전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제 절단롤러(32)의 각도가 변경되는 것에 대한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4,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인누름기(50)의 회전핸들(61)을 회전시켜서 승하강대(57)가 하강하게 하는데, 도 4의 (가)에서 같이 종동체인(41)이 수평한 상태에서 승하강대(57)가 도 4의 (나)와 같이 하강하면 상부누름스프라켓(59)과 하부받침스프라켓(60)이 동일한 간격으로 하강하면서 수평한 상태의 종동체인(41)의 상부를 하측으로 눌러 "D"와 같이 경사지게 내려가게 된다.
종동체인(41)이 수평상태일 때 상부측 롤러홈(35a) 삽입된 종동체인(41)의 롤러부(41a:E)가 롤러홈(35a)에 접촉되지 않고 허공에 뜬 상태이나, 상부측 종동체인(41)이 "D"와 같이 경사지게 내려갈 때, 상기 롤러부(41a:E)가 톱니부(35b)를 눌러주어 톱니부(35b)가 눌리는 만큼 종동스프라켓(35)이 도 4의 "F"와 같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각도조절이 된다.
위와 같이 롤러부(41a:E)가 톱니부(35b)를 누르기 위하여 상부누름스프라켓(59)이 하강할 때, 그 하측의 하부받침스프라켓(60)도 승하강대(57)와 함께 하강하면서 상부누름스프라켓(59)의 하측부터 하부받침스프라켓(60)의 상부까지의 종동체인(41)이 절단롤러(32)의 도면 상 좌측부분을 감은 상태로 "D"와 같이 각도가 아래로 내려가는데, 이는 스패너로 볼트나 너트를 클램핑하여 돌리는 것과 같은 형태로 절단롤러(32)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절단롤러부(30)에서 상부측 회전축(36)에 설치된 상부기어(37)와 하부측 종동축(33)에 설치되는 하부기어(34)는 서로 맞물려서 종동스프라켓(35)에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상부지지롤러(38)를 회전시키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절단롤러(32)가 "D"와 같이 회전할 때 종동축(33)에 종동스프라켓(35)이 절단롤러(32)와 함께 설치되어서 절단롤러(32)도 종동스프라켓(35)이 회전한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어 도 6의 (나)에서와 같이 좌우 여백(B1,B2)이 다른 경우에 위와 같은 회전각도 조절작업을 거쳐서 도 6의 (가)와 같이 좌우여백(C1,C2)을 동일하게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는 상부누름스프라켓(59)을 하강시켜서 종동스프라켓(35)이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회전 하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반대로 종동스프라켓(35)을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회전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의 경우와 반대로 승하강대(57)를 상승시키면 되는 것이다.
위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할 때 마스크 제작기계에서 전방측의 성형롤러(11)에서 성형한 패턴압착부(4)에 후방측 절단롤러(32)에서 절단 작업하는 절단선(5)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구조는 인쇄장치에서 전방측 롤러에서 인쇄되는 중심과 후방측에서 인쇄되는 다른 모양이나 다른 색상을 인쇄할 때 그 중심을 일치시키는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임을 밝혀둔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체인누름기(50)는 회전핸들(61)을 돌릴 때 목부(63)가 수직지지대(53)의 걸림부(52)에 걸린 상태로 제자리에서 공회전하고, 그 목부(63)의 하방에 설치된 나사부(62)가 승하강대(57)의 나사홀(54)에 체결되며, 승하강대(57)가 수직지지대(53)의 가이드홈(51)에 승하강되게 설치되어서 회전핸들(61)을 돌리는 방향에 따라 승하강대(57)가 승하강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대(57)에는 상부누름스프라켓(59)과 하부받침스프라켓(60)이 핀형태의 회전볼트(58)에 의해 상하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 회전되게 설치되어서 도 3과 같이 종동체인(41)의 상하부를 오르내리게 할 수 있으며, 상부누름스프라켓(59)과 하부받침스프라켓(60)의 상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성형롤러(11)와 절단롤러(32)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한 것이다.
1 : 부직포원단 2 : 부직포마스크 3 : 마스크본체
4 : 패턴압착부 5 : 절단선 10 : 성형롤러부
11 : 성형롤러 12 : 패턴성형부 13 : 구동축
14 : 제1구동스프라켓 15 : 제2구동스프라켓 16 : 진동자 혼
30 : 절단롤러부 31 : 칼날부 32 : 절단롤러
33 : 종동축 34 : 하부기어 35 : 종동스프라켓
36 : 회전축 37 : 상부기어 38 : 상부지지롤러
40 : 구동체인 41 : 종동체인 50 : 체인누름기
51 : 가이드홈 52 : 걸림부 53 : 수직지지대
54 : 나사홀 55 : 장공 56 : 하부통공
57 : 승하강대 58 : 회전볼트 59 : 상부누름스프라켓
60 : 하부받침스프라켓 61 : 회전핸들 62 : 나사부
63 : 목부 64 : 스템 100 : 마스크제조 롤러유닛
101 : 테이블 102 : 축지지대 103 : 축단부지지대
104 : 롤러설치공간 105 : 파워록 106 : 내륜
107 : 외륜 108 : 경사압착구 109 : 체결볼트
110 : 파워록설치홈

Claims (2)

  1. 테이블(101)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양측 축지지대(102)에 성형롤러부(10)와 절단롤러부(30)가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성형롤러부(10)는 외주면에 패턴성형부(12)가 돌출 형성된 성형롤러(11)와 제1,2구동스프라켓(14,15)이 구동축(13)에 설치되며, 성형롤러(11)가 양측 축지지대(102) 사이의 롤러설치공간(104)에 삽입되게 구동축(13)이 축지지대(102)에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고, 성형롤러(11)의 상부에는 상부롤러 지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절단롤러부(30)는 외주면에 칼날부(31)가 돌출 형성된 절단롤러(32)와, 하부기어(34), 종동스프라켓(35)이 종동축(33)에 설치되며, 절단롤러(32)가 양측 축지지대(102) 사이의 롤러설치공간(104)에 삽입되게 종동축(33)이 축지지대(102)에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고, 절단롤러(32)의 상부에는 하부기어(34)와 맞물리는 상부기어(37) 및 절단롤러(32)와 대응하는 상부지지롤러(38)가 회전축(36)에 설치되며 이 회전축(36)이 양측 축지지대(102)에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14)에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체인(40)이 감겨지게 설치되고, 제2구동스프라켓(15)와 종동스프라켓(35)에는 종동체인(41)이 감겨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2구동스프라켓(15)과 종동스프라켓(35) 사이의 테이블(101) 상에는 종동체인(41)을 눌러주는 체인누름기(50)가 설치되고,
    상기 체인누름기(50)는 테이블(101)에 수직 설치되는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51)이 형성되며 상측에 스템의 목부가 걸려 공회전하게 하는 걸림부(52)가 형성된 수직지지대(53)와, 가이드홈(51)에 승하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에 나사홀(54)이 상하로 형성되고 몸체 중간부와 하부에 상부누름스프라켓(59)과 하부받침스프라켓(60)이 회전자유롭게 설치되는 승하강대(57)와, 상부에 회전핸들(61)이 구비되고 하부에 나사홀(54)에 체결되는 나사부(62)가 설치되며, 나사부(62) 상부에 걸림부(52) 하부에 걸려 공회전하는 목부(63)를 형성한 스템(64)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제조롤러유닛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2. 삭제
KR1020180096039A 2018-08-17 2018-08-17 마스크 제조롤러유닛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KR102091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039A KR102091060B1 (ko) 2018-08-17 2018-08-17 마스크 제조롤러유닛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039A KR102091060B1 (ko) 2018-08-17 2018-08-17 마스크 제조롤러유닛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386A KR20200020386A (ko) 2020-02-26
KR102091060B1 true KR102091060B1 (ko) 2020-03-19

Family

ID=69637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039A KR102091060B1 (ko) 2018-08-17 2018-08-17 마스크 제조롤러유닛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0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324B1 (ko) 2020-10-14 2021-05-18 주식회사 스완 마스크 합지 롤러 구조
KR102309497B1 (ko) * 2020-10-16 2021-10-07 다우이엔지(주) 마스크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326B1 (ko) * 2020-04-22 2022-08-31 윤정식 마스크 제조 장치
KR102261058B1 (ko) * 2020-06-03 2021-06-04 주식회사 프로티앤씨 마스크 원단 레스트 절단장치
CN111663319B (zh) * 2020-06-12 2022-03-15 海宁市米奥服饰有限公司 一种间距可自由调节的无纺布自动切割设备
KR102246255B1 (ko) * 2020-07-10 2021-04-29 황상연 초음파 융착부의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마스크 제조 장치
KR102246662B1 (ko) * 2020-10-14 2021-05-03 (주)피에이치원 마스크의 이어밴드 자동 부착 장치
KR102600039B1 (ko) * 2020-11-12 2023-11-13 조인규 마스크 패드 절단용 롤커터
KR102267892B1 (ko) * 2020-12-15 2021-06-22 주식회사 토모아이 고속 마스크 제조장치용 융착-커팅유니트
KR102567303B1 (ko) * 2021-01-04 2023-08-14 우일도 마스크 제조용 롤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586B1 (ko) 2016-10-20 2018-04-27 동서위생 주식회사 물결무늬 형상을 갖는 팩 기능 화장 솜 제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3172B1 (ko) * 1998-04-01 2000-08-01 황병증 부직포 필터 제조방법 및 그 장치
US6394090B1 (en) * 1999-02-17 2002-05-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at-folded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same
JP5234670B2 (ja) * 2010-01-28 2013-07-1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ガイド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586B1 (ko) 2016-10-20 2018-04-27 동서위생 주식회사 물결무늬 형상을 갖는 팩 기능 화장 솜 제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324B1 (ko) 2020-10-14 2021-05-18 주식회사 스완 마스크 합지 롤러 구조
KR102309497B1 (ko) * 2020-10-16 2021-10-07 다우이엔지(주) 마스크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386A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060B1 (ko) 마스크 제조롤러유닛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WO2018036500A1 (zh) 一种面膜高速裁切机
US1642782A (en) Machine for making corrugated paper
CN101041927A (zh) 用于缝纫机的持针器
KR101397316B1 (ko) 비드 와이어 그립 장치
US6367723B1 (en) Size reduction machine having an adjustable impeller and screen holder
EP3204545B1 (en) Open-type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the open and width-variable web production with a knitted fabric take-down and/or collecting assembly
US5123318A (en) Paperboard cutting machine
KR20060027922A (ko) 차량용 풀리의 크라운 성형장치
KR101800720B1 (ko) 파이프 절단기
US1626619A (en) Brick machine
CN213770761U (zh) 一种涂层布生产用张紧装置
KR101888906B1 (ko) 나사보관용 엠보 밴드의 제조장치
ITMI971717A1 (it) Dispositivo per il tiraggio di tessuti a maglia in macchine per maglieria particolarmente per macchine circolari a grande diametro
KR100492636B1 (ko) 철판 밴딩머신
CN218812647U (zh) 一种丝绵拉伸定型装置
KR20130071707A (ko) 타이어 반제품 제조용 비드포머장치
KR102495677B1 (ko) 상부 구동 방식 마스크 제조장치
KR100433468B1 (ko) 프레스 펀칭장치
KR20020085609A (ko) 파일직물의 무늬모양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
JPH05138594A (ja) 生地の裁断装置
KR200367820Y1 (ko) 롤백 가공기계
US508545A (en) Administratrix op isaac
JPS5953171B2 (ja) ロ−タリダイカツタ
CN114735276A (zh) 一种智能自动化包装机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