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279B1 -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279B1
KR102564279B1 KR1020220128414A KR20220128414A KR102564279B1 KR 102564279 B1 KR102564279 B1 KR 102564279B1 KR 1020220128414 A KR1020220128414 A KR 1020220128414A KR 20220128414 A KR20220128414 A KR 20220128414A KR 102564279 B1 KR102564279 B1 KR 102564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pressure
gener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윤
Original Assignee
김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윤 filed Critical 김상윤
Priority to KR1020220128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측 손이 파지되는 제1파지부와, 우측 손이 파지되는 제2파지부를 갖는 스티어링 휠 본체; 상기 제1파지부의 둘레 일측에 마련되어, 좌측 손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에 의한 기준 압력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면 제1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1조작부; 상기 제2파지부의 둘레 일측에 마련되어, 우측 손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에 의한 기준 압력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면 제2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2조작부; 상기 제1압력 신호의 단일 생성, 상기 제2압력 신호의 단일 생성 및 상기 제1압력 신호와 상기 제2압력 신호의 동시 생성을 판독하는 신호 판독부; 및 상기 신호 판독부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차량 편의 기능을 확인하고 해당하는 차량 편의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SYSTEM FOR VEHICLE STEERING WHEEL WITH IMPROVED OPERATION}
본 발명은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이동 수단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각종 편의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기능을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 버튼이 구비된다. 이러한 복수의 조작 버튼은 차량용 스티어링 휠에 집중적으로 마련되어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에는 복수의 조작 버튼이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전방에 마련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조작 버튼을 조작할때, 운전자가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전방을 주시함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 집중력이 저하되고 교통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69951호(2006.04.0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편의 기능을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손가락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조작부가 스티어링 휠 본체를 파지한 운전자의 손가락에 인접하게 마련됨으로써, 운전자의 조작성이 향상되고 운전자의 운전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은 좌측 손이 파지되는 제1파지부와, 우측 손이 파지되는 제2파지부를 갖는 스티어링 휠 본체; 상기 제1파지부의 둘레 일측에 마련되어, 좌측 손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에 의한 기준 압력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면 제1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1조작부; 상기 제2파지부의 둘레 일측에 마련되어, 우측 손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에 의한 기준 압력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면 제2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2조작부; 상기 제1압력 신호의 단일 생성, 상기 제2압력 신호의 단일 생성 및 상기 제1압력 신호와 상기 제2압력 신호의 동시 생성을 판독하는 신호 판독부; 및 상기 신호 판독부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차량 편의 기능을 확인하고 해당하는 차량 편의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파지부의 둘레 타측에 마련되어, 푸싱되면 제1푸싱 신호를 생성하는 제1버튼; 및 상기 제1파지부의 둘레 타측에 마련되어, 푸싱되면 제2푸싱 신호를 생성하는 제2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푸싱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제1조작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푸싱 신호가 비생성되면 상기 제1조작부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2푸싱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제2조작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2푸싱 신호가 비생성되면 상기 제2조작부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작부는 상기 제1파지부를 파지한 좌측 손의 검지 손가락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파지부의 후방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버튼은 상기 제1파지부를 파지한 좌측 손의 엄지 손가락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파지부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조작부는 상기 제2파지부를 파지한 우측 손의 검지 손가락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2파지부의 후방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버튼은 상기 제2파지부를 파지한 우측 손의 엄지 손가락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2파지부의 전방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판독부는 상기 제1푸싱 신호의 생성 지속 시간의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1압력 신호의 생성 여부를 판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상기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1압력 신호의 생성을 판독하면 상기 제1조작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상기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1압력 신호의 비생성을 판독하면 차량 편의 기능 중 제1기능을 작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판독부는 상기 제2푸싱 신호의 생성 지속 시간의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2압력 신호의 생성 여부를 판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상기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2압력 신호의 생성을 판독하면 상기 제2조작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상기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2압력 신호의 비생성을 판독하면 차량 편의 기능 중 제2기능을 작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버튼은 푸싱되면 제1푸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버튼은 푸싱되면 제2푸싱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신호 판독부는 상기 제1푸싱 신호와 상기 제2푸싱 신호의 동시 생성이 판독되면, 상기 제1푸싱 신호와 상기 제2푸싱 신호의 동시 생성 지속 시간의 기준 시간 초과 여부를 판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상기 기준 시간 초과임을 판독하면 차량 편의 기능 중 제3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판독부는 상기 제1압력 신호의 단일 생성이 판독되면, 상기 제1압력 신호의 생성 횟수를 판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상기 생성 횟수를 1회로 판독하면 차량 편의 기능 중 제4기능을 작동시키고,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생성 횟수를 2회로 판독하고 차량이 정지 상태이면 차량의 운전석 도어를 개방시키며,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생성 횟수를 2회로 판독하고 차량이 주행 상태이면 경고음을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판독부는 상기 제2압력 신호의 단일 생성이 판독되면, 상기 제2압력 신호의 생성 횟수를 판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상기 생성 횟수 1회를 판독하면 차량 편의 기능 중 제5기능을 작동시키고,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상기 생성 횟수 2회를 판독하고 차량이 정지 상태이면 차량의 조수석 도어를 개방시키며,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상기 생성 횟수 2회를 판독하고 차량이 주행 상태이면 경고음을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판독부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실행할 차량 편의 기능을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한 항목을 차량의 센터페시아의 화면에 표시하는 커스터 마이징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작부와 상기 제2조작부는 터치 감지 센서 또는 압력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은 차량의 편의 기능을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손가락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조작부가 스티어링 휠 본체를 파지한 운전자의 손가락에 인접하게 마련됨으로써, 운전자의 조작성이 향상되고 운전자의 운전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의 스티어링 휠 본체, 제1조작부, 제2조작부, 제1버튼 및 제2버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의 스티어링 휠 본체, 제1조작부, 제2조작부, 제1버튼 및 제2버튼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의 스티어링 휠 본체, 제1조작부, 제2조작부, 제1버튼 및 제2버튼이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의 스티어링 휠 본체(10), 제1조작부(20), 제2조작부(30), 제1버튼(60) 및 제2버튼(7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의 스티어링 휠 본체(10), 제1조작부(20), 제2조작부(30), 제1버튼(60) 및 제2버튼(70)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의 스티어링 휠 본체(10), 제1조작부(20), 제2조작부(30), 제1버튼(60) 및 제2버튼(70)이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은 스티어링 휠 본체(10), 제1조작부(20), 제2조작부(30), 신호 판독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0)는 와이어링을 통해 차량의 ECU나 MCU에 연결될 수 있다.
스티어링 휠 본체(10)는 운전자가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차량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어,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스티어링 휠 본체(10)는 금속 재질의 바디와, 바디 외측에 합성 수지, 가죽 등을 포함하는 표피층을 마련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 본체(10)는 좌측 손이 파지되는 제1파지부(12)와 우측 손이 파지되는 제2파지부(14)를 가질 수 있다.
제1파지부(12)는 스티어링 휠 본체(10)의 좌측에 마련될 수 있고, 제2파지부(14)는 스티어링 휠 본체(10)의 우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파지부(12)와 제2파지부(14)에는 손의 파지를 용이하기 위한 복수의 그루브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 형성될 수 있다.
제1조작부(20)는 제1파지부(12)의 둘레 일측에 마련되어, 좌측 손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에 의한 기준 압력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면 제1압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조작부(20)는 제1파지부(12)를 파지한 좌측 손의 검지 손가락에 인접하도록 제1파지부(12)의 우측 둘레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조작부(20)는 좌측 손의 검지 손가락이 쉽게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조작부(30)는 제2파지부(14)의 둘레 일측에 마련되어, 우측 손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에 의한 기준 압력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면 제2압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조작부(30)는 제2파지부(14)를 파지한 우측 손의 검지 손가락에 인접하도록 제2파지부(14)의 좌측 둘레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조작부(30)는 우측 손의 검지 손가락이 쉽게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조작부(20)와 제2조작부(30)는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제1조작부(20)는 운전자에 의해 터치되는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일 경우 제1압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제2조작부(30)는 운전자에 의해 터치되는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일 경우 제2압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조작부(20)와 제2조작부(30)는 압력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제1조작부(20)는 운전자에 의해 눌러지는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일 경우 제1압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제2조작부(30)는 운전자에 의해 눌러지는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일 경우 제2압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판독부(40)는 제1압력 신호의 단일 생성, 제2압력 신호의 단일 생성 및 제1압력 신호와 제2압력 신호의 동시 생성을 판독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신호 판독부(40)는 제1버튼(60)에서 생성되는 제1푸싱 신호의 생성, 제2푸싱 신호의 생성도 판독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신호 판독부(40)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차량 편의 기능을 확인하고 해당하는 차량 편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50)는 마이컴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은 제1버튼(60) 및 제2버튼(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버튼(60)은 제1파지부(12)의 둘레 타측에 마련되어, 푸싱되면 제1푸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버튼(60)은 제1파지부(12)를 파지한 좌측 손의 엄지 손가락에 인접하도록 제1파지부(12)의 상측 둘레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버튼(60)은 좌측 손의 엄지 손가락이 쉽게 푸싱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버튼(70)은 제2파지부(14)의 둘레 타측에 마련되어, 푸싱되면 제2푸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버튼(70)은 제2파지부(14)를 파지한 우측 손의 엄지 손가락에 인접하도록 제2파지부(14)의 상측 둘레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버튼(70)은 우측 손의 엄지 손가락이 쉽게 푸싱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의 다양한 구동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제1버튼(60)의 푸싱에 의해 제1푸싱 신호가 생성되면 제1조작부(20)를 활성화하고 제1푸싱 신호가 비생성되면 제1조작부(20)를 비활성화하고, 제2버튼(70)의 푸싱에 의해 제2푸싱 신호가 생성되면 제2조작부(30)를 활성화하고 제2푸싱 신호가 비생성되면 제2조작부(3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즉, 제1버튼(60)이 푸싱된 상태에서는 제1조작부(20)가 활성화되고, 제1버튼(60)이 푸싱 해제된 상태에서는 제1조작부(20)가 비활성화되며, 제2버튼(70)이 푸싱된 상태에서는 제2조작부(30)가 활성화되고, 제2버튼(70)이 푸싱 해제된 상태에서는 제2조작부(30)가 비활성화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제1조작부(20)와 제2조작부(30) 중 적어도 하나에 운전자의 의도하지 않은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차량의 편의 기능이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호 판독부(40)는 제1푸싱 신호의 생성 지속 시간의 기준 시간 내에 제1압력 신호의 생성 여부를 판독하고, 제어부(50)는 신호 판독부(40)에서 기준 시간 내에 제1압력 신호의 생성을 판독하면 제1조작부(20)를 활성화하고, 신호 판독부(40)에서 기준 시간 내에 제1압력 신호의 비생성을 판독하면 차량 편의 기능 중 제1기능을 작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즉, 제1버튼(60)이 푸싱되어 제1조작부(2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기준 시간 내에 제1조작부(2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제1기능이 작동 또는 정지되는 것이다. 이때, 제1기능의 정지 상태에서는 제1기능이 작동되고, 제1기능의 작동 상태에서는 제1기능이 정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기능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기준 시간은 2초 내지 5초 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신호 판독부(40)는 제2푸싱 신호의 생성 지속 시간의 기준 시간 내에 제2압력 신호의 생성 여부를 판독하고, 제어부(50)는 신호 판독부(40)에서 기준 시간 내에 제2압력 신호의 생성을 판독하면 제2조작부(30)를 활성화하고, 신호 판독부(40)에서 기준 시간 내에 제2압력 신호의 비생성을 판독하면 차량 편의 기능 중 제1기능을 작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즉, 제2버튼(70)이 푸싱되어 제2조작부(3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기준 시간 내에 제2조작부(3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제2기능이 작동 또는 정지되는 것이다. 이때, 제2기능의 정지 상태에서는 제2기능이 작동되고, 제2기능의 작동 상태에서는 제2기능이 정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기능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기준 시간은 2초 내지 5초 일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신호 판독부(40)는 제1푸싱 신호와 제2푸싱 신호의 동시 생성이 판독되면 제1푸싱 신호와 제2푸싱 신호의 동시 생성 지속 시간의 기준 시간 초과 여부를 판독하고, 제어부(50)는 신호 판독부(40)에서 기준 시간 초과임을 판독하면 차량 편의 기능 중 제3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제1버튼(60)과 제2버튼(70)이 동시에 푸싱된 상태가 기준 시간을 초과할 경우, 제3기능이 작동 또는 정지되는 것이다. 이때, 제3기능의 정지 상태에서는 제3기능이 작동되고, 제3기능의 작동 상태에서는 제3기능이 정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3기능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기준 시간은 2초 내지 5초 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호 판독부(40)는 제1압력 신호의 단일 생성이 판독되면, 제1압력 신호의 생성 횟수를 판독하고, 제어부(50)는 신호 판독부(40)에서 생성 횟수를 1회로 판독하면 차량 편의 기능 중 제4기능을 작동시키고, 신호 판독부(40)에서 생성 횟수를 2회로 판독하고 차량이 정지 상태이면 차량의 운전석 도어를 개방시키며, 신호 판독부(40)에서 생성 횟수를 2회로 판독하고 차량이 주행 상태이면 경고음을 방출시킬 수 있다. 즉, 제1조작부(20)에 기준 압력 이상의 압력이 1회 가해지면 제4기능이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조작부(20)에 기준 압력 이상의 압력이 2회 가해지고 차량이 정지 상태이면 차량의 운전석 도어가 개방되는 것이다. 또한, 제1조작부(20)에 기준 압력 이상의 압력이 2회 가해지고 차량이 주행 상태이면 차량의 운전석 도어가 개방되지 않고 경고음이 방출되는 것이다. 이때, 경고음은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센터페시아의 스피커에서 방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신호 판독부(40)는 제2압력 신호의 단일 생성이 판독되면, 제2압력 신호의 생성 횟수를 판독하고, 제어부(50)는 신호 판독부(40)에서 생성 횟수 1회를 판독하면 차량 편의 기능 중 제5기능을 작동시키고, 신호 판독부(40)에서 생성 횟수 2회를 판독하고 차량이 정지 상태이면 차량의 조수석 도어를 개방시키며, 신호 판독부(40)에서 생성 횟수 2회를 판독하고 차량이 주행 상태이면 경고음을 방출시킬 수 있다. 즉, 제2조작부(30)에 기준 압력 이상의 압력이 1회 가해지면 제5기능이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조작부(30)에 기준 압력 이상의 압력이 2회 가해지고 차량이 정지 상태이면 차량의 조수석 도어가 개방되는 것이다. 또한, 제2조작부(30)에 기준 압력 이상의 압력이 2회 가해지고 차량이 주행 상태이면 차량의 조수석 도어가 개방되지 않고 경고음이 방출되는 것이다. 이때, 경고음은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센터페시아의 스피커에서 방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신호 판독부(40)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실행할 차량 편의 기능을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한 항목을 차량의 센터페시아의 화면에 표시하는 커스터 마이징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커스터 마이징 어플리케이션은 제1기능에서 실행할 차량 편의 기능, 제2기능에서 실행할 차량 편의 기능, 제3기능에서 실행할 차량 편의 기능, 제4기능에서 실행할 차량 편의 기능, 제5기능에서 실행할 차량 편의 기능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
이러한 커스터 마이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기능 내지 제5기능에서 커스터마이징되는 차량 편의 기능은 와이퍼 작동 기능, 전조등 작동 기능, 미등 작동 기능, 좌측 방향 지시등 작동 기능, 우측 방향 지시등 작동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기능은 와이퍼 작동 기능, 제2기능은 전조등 작동 기능, 제3기능은 비상등 작동 기능, 제4기능은 좌측 방향 지시등 작동 기능, 제5기능은 우측 방향 지시등 작동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은 차량의 편의 기능을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손가락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조작부가 스티어링 휠 본체를 파지한 운전자의 손가락에 인접하게 마련됨으로써, 운전자의 조작성이 향상되고 운전자의 운전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은 제1실시예와 달리, 한 쌍의 근접 감지부(80), 알람부(90), 응급 알림 준비부(100) 및 위치 정보 전송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근접 감지부(80)는 각각 제1파지부(12)와 제2파지부(14)에 마련되어, 제1파지부(12)에 파지되는 좌측 손과 제2파지부(14)에 파지되는 우측 손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근접 감지부(80)는 제1파지부(12)와 제2파지부(14)에 모두 좌측 손과 우측 손이 감지되지 않으면 경고 신호를 생성하고 제1파지부(12)와 제2파지부(14) 중 적어도 하나에 좌측 손과 우측 손이 감지되면 경고 신호 생성을 중지 할 수 있다.
에를들어, 한 쌍의 근접 감지부(80)는 각각 제1파지부(12)와 제2파지부(14)에 파지되는 좌측 손의 체온과 우측 손의 체온을 통해, 좌측 손과 우측 손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때, 한 쌍의 근접 감지부(80)는 온도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 판독부(40)는 경고 신호의 생성 지속 시간의 기준 시간 초과 여부를 판독하고, 제어부(50)는 신호 판독부(40)에서 경고 신호의 생성 지속 시간의 기준 시간 초과임을 판독하면 알람부(9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기준 시간은 2초 내지 5초 일 수 있다.
알람부(90)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에 마련되어,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알람음을 방출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알람음은 “핸들을 잡아주세요”일 수 있다.
응급 알림 준비부(100)는 알람부(90)에서 알람음이 방출된 후, 응급 기준 시간 내에 한 쌍의 근접 감지부(80)에서 경고 신호 생성이 중지되지 않으면 응급 알림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들어, 응급 기준 시간은 30초 내지 1분 일 수 있다.
위치 정보 생성부는 GPS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응급 알림 준비에서 응급 알림 신호가 생성되면, 운전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시키고, 운전자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기능을 이용하여, 경찰서, 소방서, 사설경호업체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운전자가 교통사고를 당하거나 운전자의 질환으로 인하여, 운전자가 정신을 잃어서, 운전자가 차량용 스티어링 휠(10)을 파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운전자의 응급 상황을 경찰서, 소방서, 사설경호업체로 알릴 수 있다.
참고로, 운전자가 교통사고를 당하여, 운전석의 에어백이 터진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 본체(10)의 제1파지부(12)와 제2파지부(14)를 파지하기 어려우므로, 운전자의 응급 상황을 경찰서, 소방서, 사설경호업체로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스티어링 휠 본체
12: 제1파지부
14: 제2파지부
20: 제1조작부
30: 제2조작부
40: 신호 판독부
50: 제어부
60: 제1버튼
70: 제2버튼
80: 근접 감지부
90: 알람부
100: 응급 알림 준비부
110: 위치 정보 전송부

Claims (10)

  1. 좌측 손이 파지되는 제1파지부와, 우측 손이 파지되는 제2파지부를 갖는 스티어링 휠 본체;
    상기 제1파지부의 둘레 일측에 마련되어, 좌측 손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에 의한 기준 압력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면 제1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1조작부;
    상기 제2파지부의 둘레 일측에 마련되어, 우측 손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에 의한 기준 압력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면 제2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2조작부;
    상기 제1압력 신호의 단일 생성, 상기 제2압력 신호의 단일 생성 및 상기 제1압력 신호와 상기 제2압력 신호의 동시 생성을 판독하는 신호 판독부;
    상기 신호 판독부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차량 편의 기능을 확인하고 해당하는 차량 편의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
    상기 제1파지부와 상기 제2파지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파지부와 상기 제2파지부에 파지되는 좌측 손과 우측손을 감지하고, 상기 좌측 손과 상기 우측 손이 모두 감지되지 않으면 경고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좌측 손과 상기 우측 손 중 어느 하나가 감지되면 상기 경고 신호의 생성을 중지하는 한 쌍의 근접 감지부;
    상기 경고 신호의 생성 지속 기간의 기준 시간 초과 여부를 판독하는 신호 판독부;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경고 신호의 생성 지속 시간의 기준 시간 초과임을 판독하면 알람음을 방출하는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상기 알람부에서 알람음이 방출된 후, 응급 기준 시간 내에 한 쌍의 상기 근접 감지부에서 상기 경고 신호의 생성이 중지되지 않으면 응급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응급 알림 준비부;
    상기 응급 알림 신호가 생성되면 운전자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경찰서, 소방서 및 사설경호업체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상기 제1파지부의 둘레 타측에 마련되어, 푸싱되면 제1푸싱 신호를 생성하는 제1버튼; 및
    상기 제2파지부의 둘레 타측에 마련되어, 푸싱되면 제2푸싱 신호를 생성하는 제2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푸싱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제1조작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푸싱 신호가 비생성되면 상기 제1조작부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2푸싱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제2조작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2푸싱 신호가 비생성되면 상기 제2조작부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1파지부와 상기 제2파지부에는 배열 형성되는 복수의 그루브홈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판독부는 상기 제1푸싱 신호의 생성 지속 시간의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1압력 신호의 생성 여부를 판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상기 제1푸싱 신호의 생성 지속 시간의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1압력 신호의 생성을 판독하면 상기 제1조작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상기 제1푸싱 신호의 생성 지속 시간의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1압력 신호의 비생성을 판독하면 차량 편의 기능 중 제1기능을 작동 또는 정지시키고
    상기 신호 판독부는 상기 제2푸싱 신호의 생성 지속 시간의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2압력 신호의 생성 여부를 판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상기 제2푸싱 신호의 생성 지속 시간의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2압력 신호의 생성을 판독하면 상기 제2조작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상기 제2푸싱 신호의 생성 지속 시간의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2압력 신호의 비생성을 판독하면 차량 편의 기능 중 제2기능을 작동 또는 정지시키고,
    상기 신호 판독부는 상기 제1푸싱 신호와 상기 제2푸싱 신호의 동시 생성이 판독되면 상기 제1푸싱 신호와 상기 제2푸싱 신호의 동시 생성 지속 시간의 기준 시간 초과 여부를 판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상기 제1푸싱 신호와 상기 제2푸싱 신호의 동시 생성 지속 시간의 기준 시간의 초과임을 판독하면 차량 편의 기능 중 제3기능을 작동시키고,
    상기 신호 판독부는 상기 제1압력 신호의 단일 생성이 판독되면, 상기 제1압력 신호의 생성 횟수를 판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상기 제1압력 신호의 생성 횟수를 1회로 판독하면 차량 편의 기능 중 제4기능을 작동시키고,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상기 제1압력 신호의 생성 횟수를 2회로 판독하고 차량이 정지 상태이면 차량의 운전석 도어를 개방시키며,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상기 제1압력 신호의 생성 횟수를 2회로 판독하고 차량이 주행 상태이면 경고음을 방출시키고,
    상기 신호 판독부는 상기 제2압력 신호의 단일 생성이 판독되면, 상기 제2압력 신호의 생성 횟수를 판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상기 제2압력 신호의 생성 횟수 1회를 판독하면 차량 편의 기능 중 제5기능을 작동시키고,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상기 제2압력 신호의 생성 횟수를 2회로 판독하고 차량이 정지 상태이면 차량의 조수석 도어를 개방시키며,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상기 제2압력 신호의 생성 횟수를 2회로 판독하고 차량이 주행 상태이면 경고음을 방출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판독부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실행할 차량 편의 기능을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한 항목을 차량의 센터페시아의 화면에 표시하는 커스터 마이징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커스터 마이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커스터마이징되는 상기 제1기능은 와이퍼 작동 기능이고, 상기 제2기능은 전조등 작동 기능이고, 상기 제3기능은 비상등 작동 기능이고, 상기 제4기능은 좌측 방향 지시등 작동 기능이고, 상기 제5기능은 우측 방향 지시등 작동 기능인,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작부는 상기 제1파지부를 파지한 좌측 손의 검지 손가락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파지부의 후방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버튼은 상기 제1파지부를 파지한 좌측 손의 엄지 손가락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파지부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조작부는 상기 제2파지부를 파지한 우측 손의 검지 손가락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2파지부의 후방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버튼은 상기 제2파지부를 파지한 우측 손의 엄지 손가락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2파지부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는,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작부와 상기 제2조작부는 터치 감지 센서 또는 압력 센서로 구성되는,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
KR1020220128414A 2022-10-07 2022-10-07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 KR102564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414A KR102564279B1 (ko) 2022-10-07 2022-10-07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414A KR102564279B1 (ko) 2022-10-07 2022-10-07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279B1 true KR102564279B1 (ko) 2023-08-04

Family

ID=87568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414A KR102564279B1 (ko) 2022-10-07 2022-10-07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2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951B1 (ko) 2003-10-09 2006-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휠 리모콘 스위치 버튼
KR101405214B1 (ko) * 2012-12-24 2014-06-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틸팅기능과 텔레스코프기능을 갖는 조향기구
KR20150137827A (ko) * 2014-05-30 2015-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들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1436B1 (ko) * 2019-03-31 2019-10-02 리 엘리자베스 운전자의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951B1 (ko) 2003-10-09 2006-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휠 리모콘 스위치 버튼
KR101405214B1 (ko) * 2012-12-24 2014-06-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틸팅기능과 텔레스코프기능을 갖는 조향기구
KR20150137827A (ko) * 2014-05-30 2015-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들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1436B1 (ko) * 2019-03-31 2019-10-02 리 엘리자베스 운전자의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548B1 (ko) 통합된 차량 방향 지시등 시스템 및 장치
JP4166477B2 (ja) 自動車用機能装置等のための容量性のコマンド装置、およびかかる装置を備えた装備部品
US9007190B2 (en) Steering wheel sensors
JP2003076472A (ja) 人間−マシンインタフェースを具えた装置
US20130001058A1 (en) Vehicle touch button
US11117515B2 (en) Monitoring system
CN113147969A (zh) 电动车及其控制方法、存储介质
US20140172186A1 (en) Capacitive steering wheel switches with audible feedback
JP2015039979A (ja) 車輌ドア開報知照明装置
KR102564279B1 (ko)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
CN216034620U (zh) 方向盘组件和方向盘总成
US9561944B2 (en) Reverse drive handle for lift truck
JP4910484B2 (ja) 車載操作システム
US20210094484A1 (en) Vehicle information conveying device
TWM541402U (zh) 車門開啓警示裝置
JP2018176977A (ja) 足位置表示装置
KR102270574B1 (ko) 차량 키 음성 알림 시스템 및 방법
WO2023005640A1 (zh) 方向盘组件和方向盘总成
KR101793080B1 (ko)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CN109733513B (zh) 车辆、用于其的喇叭防误触装置及方法
US20240149786A1 (en) Motor vehicle with steering wheel provided with an illuminable portion
US20240067197A1 (en) Vehicle control device
JP7360916B2 (ja) 情報出力装置及び情報出力方法
JP3223841U (ja) 乗用車
JP7406956B2 (ja) 車両緊急停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