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080B1 -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080B1
KR101793080B1 KR1020160033641A KR20160033641A KR101793080B1 KR 101793080 B1 KR101793080 B1 KR 101793080B1 KR 1020160033641 A KR1020160033641 A KR 1020160033641A KR 20160033641 A KR20160033641 A KR 20160033641A KR 101793080 B1 KR101793080 B1 KR 101793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vehicle
handle rim
rim
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9459A (ko
Inventor
정수희
Original Assignee
정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희 filed Critical 정수희
Priority to KR1020160033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080B1/ko
Publication of KR20170109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Abstract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는 차량 핸들림의 서로 다른 영역에 장착된 둘 이상의 센서와, 상기 센서의 동작유무에 따라 좌우방향지시등, 비상등 또는 경적을 울리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핸들림의 간단한 조작으로 방향지시나 조작 스위치의 위치를 확인할 필요없이 조작이 가능하므로 운전자의 시선을 뺏지 않고서도 조작이 가능하므로, 전방에서 시야가 벗어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고, 전방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VEHICLE DRIVING OPERATION DEVICE}
본 발명은 운전자 정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의 그립부에 센서를 구비하여, 그립부의 센서로는 방향지시등과 관련된 조작을 행하고, 핸들에 구비된 터치센서로는 센터페시아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한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방향지시등은 마주 오는 차량 또는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선변경 또는 방향 전환을 하겠다는 것을 미리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후방 양측에 설치되어 운전자에 의한 라이트 턴 스위치레버의 조작에 의해 동작을 하게 된다.
자동차의 방향지시등은 차량 주행시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거나 교차로 또는 곡선주로에서 방향을 전환하고자 라이트 턴 스위치레버를 변경하고자 하는 방향쪽으로 돌리게 되면, 방향지시 스위치가 도통되어 차량의 전후방향에 설치된 좌,우측 방향지시등 중, 어느 일측의 전후 방향지시등이 점등 및 소등을 주기적이고 반복적으로 하면서 마주 오는 전방 차량 및 뒤따라오는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방향 전환을 미리 알려주게 된다.
이와 같이, 차선변경 또는 방향 전환을 하고 난 후에 운전자가 다시 라이트 턴 스위치레버를 조작하여 직진방향 쪽으로, 즉 다시 말해서 라이트 턴스위치 레버를 중립위치에 놓게 되면 방향지시 스위치가 차단되어 방향지시등이 소등된다.
또한, 운전자가 목적지까지 가기 위해 차선 변경 및 방향을 전환하고자 할시에는 라이트 턴 스위치레버를 수시로 조작하고 변경후에도 라이트 턴스위치레버를 원상태로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자동차주행 중 운전자의 행태는 한 손으로 스티어링을 쥐고, 나머지 다른 한손으로 방향지시램프, 경적 등을 작동하는데, 특히 센터페시아 부분에 있는 음악, 히터/에어컨 등을 조작할 때는 고개를 옆으로 돌려 조작 버튼을 제어하기 때문에 전방주시를 소흘히 하기 쉽고, 위험스런 제어 방식이었다.
가령 직진주행중 우측 골목으로 우회전시 성가시다는 이유로 방향지시레버를 조작하지 않은 채 속도를 줄이다가, 결국 뒷차의 추돌 사고를 유발하거나, 고개를 돌려, 음악 또는 히터등의 버튼을 조작하다가, 차선이탈이나, 돌발 상황을 접하면, 그에 대한 대응 역량이 현저히 감소하여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돌발 상황시 신속한 경적처리는 상대차량과 주변 차량에 위험을 알리는 중요한 수단인데, 스티어링 또는 그 주변부에 위치하던 손을 스티어링 중심축에 주로 설치되어 있는 경적 버튼으로 이동시킬 때는 그 신속성에서 미흡하여, 사고율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도로 위 자전거, 전동휠 등의 개인용 이동수단이 급격히 증가하는 만큼, 전방주시는 더욱 중요한 운전자세가 되기에 본 고안에 의한 장치 조작툴의 집적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자동차 조작장치 구조는 운전석의 스티어링을 중심으로 좌,우에 레버 및, 버튼, 다이얼 등의 수많은 장치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운전의 편의성을 저해하고, 위험성을 높이는 문제들이 있다.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0707호(2009.11.25)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별도의 조작 스위치 대신 핸들의 그립(grip) 상태에 따라 운전자 정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조작장치를 핸들림에 집적하여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복잡 다양한 조작장치를 직관적인 손동작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핸들 림에 집약하여 구성한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는 차량 핸들림의 서로 다른 영역에 장착된 둘 이상의 센서와, 상기 센서의 동작유무에 따라 좌우회전방향지시등, 비상등 또는 경적을 울리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센서는 차량의 핸들림의 내측에 장착된 제1센서와, 차량의 핸들림의 외측에 장착된 제2센서로 구성한 경우,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가 동작된 것으로 판단하면 좌회전방향지시등을 점멸 또는 오프시키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를 차량의 핸들림의 내측에 장착된 제1센서와, 차량의 핸들림의 후면에 장착된 제3센서로 구성하고, 상기 제1센서와 제3센서가 동작한 경우에 우회전방향지시등을 점멸 또는 오프시키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를 차량의 핸들림의 내측에 장착된 제1센서와, 차량의 핸들림의 외측에 장착된 제2센서 또는 차량의 핸들림의 후면에 장착된 제3센서 중 둘 이상의 센서로 구성하고, 상기 둘 이상의 센서가 동시에 소정 시간 연속으로 동작된 것으로 판단되면 비상등을 점멸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센서를 차량의 핸들림의 내측에 장착된 제1센서와, 차량의 핸들림의 외측에 장착된 제2센서 그리고 차량의 핸들림의 후면에 장착된 제3센서로 구성하고, 상기 3개의 센서가 동시에 동작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적을 울리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림은 상부핸들림과 하부핸들림으로 구성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상부핸들림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핸들림에 상기 센서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에 의하면, 핸들에 그립 센서를 배치하고, 그립 센서에 가하는 손의 동작 형태에 따라 직관적인 버튼 형태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전방주시의 집중력을 높여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에 의하면, 핸들의 간단한 조작으로 방향지시나 조작 스위치의 위치를 확인할 필요없이 조작이 가능하므로 운전자의 시선을 뺏지않고서도 조작이 가능하므로, 전방에서 시야가 벗어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고, 전방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센터페시아를 제거하여 앞좌석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센터페시아에 장착되는 각종 장치 부품 종류를 감소시켜 제조 단가를 낮출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의 주요 구성도,
도 2는 핸들림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핸들림의 일단면도,
도 4는 핸들림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핸들림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 내지 도 10은 좌우회전 조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비상등 조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경적 조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핸들림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의 주요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전 조작 장치는 핸들림(140)과 핸들림(140)의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방향지시등(120)과 센터페시아(130), 그리고 경적부(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핸들림(140)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센서를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의 위치에 대응하는 그립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따라서, 핸들림(140)은 센서를 림의 외측부, 내측부, 후면부에 장착하고, 림의 전면 일부에는 터치패드를 장착하여 각종 차량조작 행위를 최소한의 손 동작만으로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의 핸들림의 분해 사시도를 참고하면, 핸들림(140)의 내측과 외측 그리고 후면에 링형상의 센서를 장착하여 방향지시등과 비상등과 경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핸들림(140)의 내측에 구비된 센서를 제1센서(141a)로 칭하고, 외측에 구비된 센서를 제2센서(141b)로, 그리고 후면에 구비된 센서를 제3센서(141c)로 칭한다.
이러한 센서는 그립센서로서 압전소자, 피에조(Piezo) 센서, 터치센서, 패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의 핸들림의 일 단면도를 참고하면, 핸들림(140)은 상부핸들림(140a)과 하부핸들림(140b)으로 구성하고, 상부핸들림(140a)의 우측에는 제1센서(141a)를 장착하고, 상부핸들림(140a)의 좌측에는 제2센서(141b)를 장착하고, 그 하부에는 제3센서(141c)를 장착한다.
본 발명은 핸들림을 잡고 있는 손의 모양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여 센서들이 동작하게끔 하기 위한 것이므로, 핸들림을 자연스럽게 잡은 상태에서 제1센서(141a)는 엄지의 원형부분에 제2센서(141b)는 검지 또는 새끼손가락 뿌리부분의 원형부위에 제3센서(141c)는 검지, 중지, 약지 및 새끼손가락의 바닥면 원형부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한다.
이러한 센서들은 핸들림 즉 핸들 그립을 사용자가 잡고 손목을 오른쪽(시계방향) 또는 왼쪽(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 방향지시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림을 쥐고 있는 손의 손가락을 살짝 편 상태로 엄지와 검지로 압을 가하면, 비상등이 작동되도록 하고, 돌발 상황 시 림을 쥐고 있는 손을 주먹을 쥐듯이 압을 가하면 경적을 울리도록 동작한다.
이를 위하여 각 센서들은 하부림에 가해지는 압에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가압부를 각 센서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제1센서(141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가압부(143a)가 형성되고, 제2센서(141b)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가압부(143b)가 제3센서(141c)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가압부(143c)를 돌출되게 구성하여 핸들림을 손으로 잡고 가압하면 해당 센서가 동작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5의 본 발명의 핸들림의 단면도를 참고하면, 각 센서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압부가 위치하게 하고, 조립시 각 센서와 각 가압부가 미세 거리 이격되게 설치하여, 어느 하나의 가압부에 가압하면 해당 센서가 동작되도록 한다.
센서의 동작을 인식하기 위하여 각 센서들은 전기적으로 제어부(110)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핸들림의 정면부에는 센터페시아에 설치된 장치들 예를 들면 에어컨, 히터, 오디오의 컨트롤러, 또는 내비게이션(이하, 센터페시아라 한다)을 동작시킬 수 있는 터치패드(142)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터치패드가 핸들림의 정면 상부에 림의 라운드를 따라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는 정면 위치에 구성하고, 도 5의 단면도를 참고하면, 상부핸들림(140a)의 상부 전면에 일부 함몰되어 터치패드(142)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는 핸들림의 조작시 터치패드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터치패드(142)도 터치된 장치의 기능을 작동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제어부(110)에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방향지시등(120)은 통상의 방향지시등과 동일한 구성으로 좌우측 깜박이와 비상등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센터페시아(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컨, 히터, 오디오의 컨트롤러, 또는 내비게이션을 포함하는 각각의 장치들을 의미한다.
제어부(110)는 핸들림(140)으로부터 제1센서(141a), 제2센서(141b), 제3서(141c) 그리고 터치패드(142)의 신호를 입력받아 방향지시등(120)과 경적부(150) 그리고 센터페시아(130) 내의 각 장치들을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먼저 센서들을 이용한 방향지시등과 비상등 그리고 경적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좌우회전 조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면을 참고하면, 림을 잡고 있는 손의 손목을 오른쪽으로 살짝 돌려주면, 내측부와 외측부에 장착된 센서가 동작하여 오른쪽 방향지시등이 깜빡이며,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다시 손목을 왼쪽으로 꺽어주면, 방향지시등이 꺼지게 된다.
반대로, 림을 잡고 있는 왼손의 손목을 왼쪽으로 꺽어주면, 내측부와 외측부에 장착된 센서가 동작하여, 왼쪽 방향지시등이 깜빡이며,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손목을 오른쪽으로 꺽어주면, 방향지시등이 꺼지게 된다.
즉, 손목을 왼쪽으로 꺽어 좌회전 방향지시등이 동작하고 있을 때 손목을 우측으로 꺽으면 좌회전 방향지시등이 오프하고, 손목을 오른쪽으로 꺽어 우회전 방향지시등이 동작하고 있을 때 손목을 좌측으로 꺽으면 우회전 방향지시등이 오프하는 것이다.
도 7과 도 8은 왼손의 손목을 조작하여 좌회전과 우회전을 도 9와 도 10은 오른손의 손목을 조작하여 좌회전과 우회전을 표시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핸들림을 쥐고 있는 오른손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중앙의 그림은 오른손이 핸들림을 잡고 있는 정상적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좌측 그림은 좌회전을 하고자 할 경우 화살표 방향(반시계방향)으로 손목을 회전시키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우측그림은 우회전을 하고자 할 경우 화살표 방향(시계방향)으로 손목을 회전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손목을 왼쪽으로 돌려주면, 엄지와 검지의 원형부위(도면에서 "O"로 마크되어 있음)가 림에 압력을 주어 좌회전 깜빡이가 작동하도록 한다.
즉, 손목을 왼쪽으로 돌리게 되면 엄지와 검지의 원형부위가 림에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엄지와 검지의 원형부위에 있는 핸들림의 제1센서(141a)와 제2센서(141b)가 동작하게 되므로, 제어부(110)는 이때를 좌회전으로 판단하고 방향지시등(120)의 좌회전깜박이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손목을 오른쪽으로 돌려주면, 엄지와 새끼손가락의 뿌리의 원형부위(도면에서 "O"로 마크되어 있음)가 림에 압력을 주어 우회전 깜빡이가 작동하도록 한다.
즉, 손목을 오른쪽으로 돌리게 되면 엄지와 새끼손가락의 뿌리의 원형부위가 림에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엄지와 새끼손가락의 뿌리의 원형부위에 있는 핸들림의 제1센서(141a)와 제3센서(141c)가 동작하게 되고, 제어부(110)는 이때를 우회전 신호로 판단하고 방향지시등(120)의 우회전깜박이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즉, 왼손이든 오른손이든 좌회전의 경우에는 손목을 좌측(반시계)방향으로 돌려주고, 우회전의 경우에는 손목을 우측(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비상등을 작동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비상등 조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등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핸들림을 쥐고 있는 손의 손가락을 살짝 편 상태로 엄지와 검지로 소정 시간(약 0.3초 가량) 압을 가하면, 비상등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역시 같은 행동을 반복하여 비상등을 중지하게 된다.
도면의 좌측그림은 주행중 자연스럽게 핸들림을 쥐고 있는 모습이고, 우측그림은 비상등을 켤 때 손의 자세이다.
원형부분("O"로 표시되어 있음)은 핸들림의 터치 센서에 압력을 전달하는 손가락 부위로 동시에 가압하여 제1센서(141a)와 제2센서(141b)가 동작되게 하되 소정시간(약 0.3초 가량) 가압하면, 제어부(110)는 이를 비상등 표시로 인식하고, 방향지시등(120)을 제어하여 좌우측 방향등이 동시에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비상등을 오프하고자 할 경우에는 온할때와 동일하게 제1센서(141a)와 제2센서(141b)가 동작되게 소정 시간(약 0.3초 가량) 가압하면, 비상등을 오프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는 돌발 상황시 경적을 울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돌발상황 시 핸들림을 쥐고 있는 손을 주먹을 쥐듯이 압을 가하여 제1센서(141a)와 제2센서(141b) 그리고 제3센서(141c)가 모두 동작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경적부(150)를 동작시켜 경적이 울리도록 하는 것이다.
도 12의 경적 조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참고하면, 도면의 좌측그림은 주행중 자연스럽게 림을 쥐고 있는 모습이고, 우측그림은 경적을 울릴 때 손의 자세이다.
원형부분("O"로 표시되어 있음)은 핸들림의 제1센서(141a)와 제2센서(141b) 그리고 제3센서(141c)에 압력을 전달하는 손가락부분을 표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좌우회전은 2개의 센서의 작동여부에 따라 동작하고, 비상등은 2개의 센서를 일정 시간 이상 가압한 경우, 그리고 경적의 경우에는 3개의 센서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였다.
즉, 가장 표준적인 손의 형태에 따라 센서가 동작하고 이를 기준으로 좌우회전과 비상등 경적이 울리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손의 잡는 형태에 따라 센서의 동작위치가 달라질 수 있음을 배제할 수는 없다.
특히, 좌우회전의 판단은 가압하는 손의 모양에 따라 일부 센서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들의 위치를 일부 변경하면, 좌우회전신호시의 동작센서가 일치하게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핸들림의 분해 사시도를 참고하면, 초기 핸들림의 정상위치를 기준으로, 제1센서와 제2센서가 서로 교차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핸들림 좌측의 내측에 구비된 제1센서(144a)는 우측에서 외측센서로 동작되게 위치를 변경하고, 핸들림 좌측의 외측에 구비된 제2센서(144b)가 우측에서는 내측센서로 동작되게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핸들림의 어느 위치에서든 제1센서(144a)와 제2센서(144b)가 동작하게 되면 좌회전으로 판단하고, 제1센서(144a)와 제3센서(141c)가 동작하게 되면 우회전으로 판단하면 된다.
즉, 어느 손으로든 핸들림의 어떤 부분을 조작하여도 손목의 오른쪽 스냅(시계방향)과 왼쪽스냅(반시계방향)만 맞추면 좌우측 방향지시등을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도 13의 구성은 보다 정확하게 센서의 위치에 따라 좌우회전을 구별하도록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핸들림의 서로 다른 위치에 3개의 센서를 구비하고, 3개의 센서의 조합에 의하여 좌회전과 우회전, 비상등, 그리고 경적을 울릴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구성의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제어부(110)는 핸들림(140)으로부터 센서신호가 감지되면(S10), 제어부(110)는 좌측방향지시등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100).
즉, 제어부(110)는 제1센서(141a)와 제2서(141b)가 동시에 동작하는 지를 판단하여 좌측방향지시등을 판단한다.
단계 S100에서 좌측방향지시등으로 판단되면 방향지시등(120)이 좌측으로 깜박이게 하고(S111), 다시 방향지시등을 오프하라는 신호가 접수되는 지를 판단한다(S112).
단계 S112에서 오프 신호가 접수되지 않으면 계속 좌측 방향신호등을 동작시키고, 오프 신호 즉, 제1센서(141a)와 제3센서(141c)의 신호가 접수되면 좌측 방향지시등을 오프하면 된다(S113).
단계 S100에서 좌측방향지시등의 신호가 아닌 경우는 우측방향지시등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120).
즉, 제어부(110)는 제1센서(141a)와 제3센서(141c)가 동시에 동작하는 지를 판단하여 우측방향지시등을 판단한다.
단계 S120에서 우측방향지시등으로 판단되면 방향지시등(120)이 우측으로 깜박이게 하고(S121), 다시 방향지시등을 오프하라는 신호가 접수되는 지를 판단한다(S122).
단계 S122에서 오프 신호가 접수되지 않으면 계속 우측 방향신호등을 동작시키고, 오프 신호 즉, 제1센서(141a)와 제2센서(141b)의 신호가 접수되면 우측 방향지시등을 오프하면 된다(S123).
단계 S120에서 우측방향지시등의 신호가 아닌 경우는 비상등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130).
즉, 제어부(110)는 제1센서(141a)와 제2센서(141b)가 소정시간(약 0.3초 가량) 가압되었는 지를 판단하여 비상등 유무를 판단한다.
단계 S130에서 비상등 신호로 판단되면 방향지시등(120)이 비상 점멸하게 하고(S131), 다시 비상등을 오프하라는 신호가 접수되는 지를 판단한다(S132).
단계 S132에서 오프 신호가 접수되지 않으면 계속 비상등을 동작시키고, 오프 신호 즉, 제1센서(141a)와 제2센서(141b)가 소정시간(약 0.3초 가량) 가압되었는 지를 판단하여 비상등을 오프하면 된다(S133).
단계 S130에서 비상등 신호가 아닌 경우는 터치패드(142)의 신호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하고(S140), 아닌 경우는 종료하고, 터치패드(142)의 신호로 판단하면 센터페시아(130)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어하도록 하면 된다(S141).
도면에는 생략되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센서(141a)와 제2센서(141b) 그리고 제3센서(141c)가 동시에 동작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적부(150)를 제어하여 경적을 울리게 하면 된다.
이때의 경적은 다음 제1센서(141a)와 제2센서(141b) 그리고 제3센서(141c)가 동시에 동작할 때까지 동작시킬 수도 있고, 제1센서(141a)와 제2센서(141b) 그리고 제3센서(141c)가 동시에 동작할 때마다 경적을 울리게 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은 림에 구성된 2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좌우측 방향지시등을 동작시키고, 2개의 센서가 동시에 일정 시간 가압되었을 경우 비상등을, 그리고, 3개의 센서가 동시에 가압되면 경적을 울리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0 : 제어부 120 : 방향지시등
130 : 센터페시아 140 : 핸들림
140a : 상부핸들림 140b : 하부핸들림
141a : 제1센서 141b : 제2센서
141c : 제3센서 142 : 터치패드
143a, 143b, 143c : 가압부 150 : 경적부

Claims (6)

  1. 차량 핸들림의 서로 다른 영역에 장착된 둘 이상의 센서;
    상기 센서의 동작유무에 따라 좌우회전방향지시등, 비상등 또는 경적을 울리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차량의 핸들림의 내측에 장착된 제1센서와, 차량의 핸들림의 외측에 장착된 제2센서로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가 동작된 것으로 판단하면 좌회전방향지시등을 점멸 또는 오프시키는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2. 삭제
  3. 차량 핸들림의 서로 다른 영역에 장착된 둘 이상의 센서;
    상기 센서의 동작유무에 따라 좌우회전방향지시등, 비상등 또는 경적을 울리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차량의 핸들림의 내측에 장착된 제1센서와, 차량의 핸들림의 후면에 장착된 제3센서로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와 제3센서가 동작한 경우에 우회전방향지시등을 점멸 또는 오프시키는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4. 차량 핸들림의 서로 다른 영역에 장착된 둘 이상의 센서;
    상기 센서의 동작유무에 따라 좌우회전방향지시등, 비상등 또는 경적을 울리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차량의 핸들림의 내측에 장착된 제1센서와, 차량의 핸들림의 외측에 장착된 제2센서 또는 차량의 핸들림의 후면에 장착된 제3센서 중 둘 이상의 센서로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둘 이상의 센서가 동시에 소정 시간 연속으로 동작된 것으로 판단되면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5. 차량 핸들림의 서로 다른 영역에 장착된 둘 이상의 센서;
    상기 센서의 동작유무에 따라 좌우회전방향지시등, 비상등 또는 경적을 울리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차량의 핸들림의 내측에 장착된 제1센서와, 차량의 핸들림의 외측에 장착된 제2센서 그리고 차량의 핸들림의 후면에 장착된 제3센서로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3개의 센서가 동시에 동작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적을 울리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6. 삭제
KR1020160033641A 2016-03-21 2016-03-21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KR101793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641A KR101793080B1 (ko) 2016-03-21 2016-03-21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641A KR101793080B1 (ko) 2016-03-21 2016-03-21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459A KR20170109459A (ko) 2017-09-29
KR101793080B1 true KR101793080B1 (ko) 2017-11-02

Family

ID=6003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641A KR101793080B1 (ko) 2016-03-21 2016-03-21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0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761B1 (ko) * 2020-04-03 2021-07-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듀얼 유비쿼터스 햅틱 센서가 적용된 스티어링 휠을 이용한 차량 내 전장제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2464A (ja) * 1998-12-11 2000-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2464A (ja) * 1998-12-11 2000-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459A (ko) 2017-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1122B1 (en) Motorcycle hand control with optical sensor
EP2475550B1 (en) Integrated vehicle turn signal system and apparatus
US7441800B2 (en) Steering wheel for a motor vehicle
JP2016510286A (ja) ハンドル搭載型指示システム
US20110198201A1 (en) Steering wheel having a direction light button
US20180208212A1 (en) User Interface Device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for an Automated Drive
JP6068865B2 (ja) 方向指示装置
JP6800120B2 (ja) 操作状況検出装置
JP2001160336A (ja) 車両用操作スイッチ装置
KR101793080B1 (ko)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JP4793312B2 (ja) 旋回方向指示装置
EP3187370A2 (en) Steering wheel turn signal
JP7028118B2 (ja) 車両制御装置
JP2014058234A (ja) パドルスイッチ
KR101550602B1 (ko)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US20060044129A1 (en) Facilitating signaling in a vehicle
JP4496915B2 (ja) 旋回方向指示装置
KR20170025175A (ko) 차량 조향 보조 장치 및 방법
EP0807553B1 (en) A control device for an acoustic indicator, particularly for the steering wheel of a motor vehicle
US20230219588A1 (en)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JP5148847B2 (ja) 変速機の操作システム
KR101415421B1 (ko)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
WO2022230591A1 (ja) 入力装置
JP2019043266A (ja) 車載機器の制御装置
KR101588737B1 (ko)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